KR102471353B1 - 바이메탈을 이용한 복원 기능을 포함하는 퓨즈 - Google Patents

바이메탈을 이용한 복원 기능을 포함하는 퓨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1353B1
KR102471353B1 KR1020200081880A KR20200081880A KR102471353B1 KR 102471353 B1 KR102471353 B1 KR 102471353B1 KR 1020200081880 A KR1020200081880 A KR 1020200081880A KR 20200081880 A KR20200081880 A KR 20200081880A KR 102471353 B1 KR102471353 B1 KR 1024713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metal
conductor
fuse
switch
me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18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4271A (ko
Inventor
이재명
Original Assignee
한국공학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공학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공학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818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1353B1/ko
Publication of KR202200042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42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13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13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7/00Thermally-actuated switches
    • H01H37/02Details
    • H01H37/32Thermally-sensitive members
    • H01H37/52Thermally-sensitive members actuated due to deflection of bimetallic el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7/00Thermally-actuated switches
    • H01H37/74Switches in which only the opening movement or only the closing movement of a contact is effected by heating or cooling
    • H01H37/76Contact member actuated by melting of fusible material, actuated due to burning of combustible material or due to explosion of explosiv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241Structural association of a fuse and another component or apparatus
    • H01H2085/0258Structural association of a fuse or a fuse holder with a bimetallic elem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Fuses (AREA)
  • Thermally Actuated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바이메탈을 이용한 복원 기능을 포함하는 퓨즈는,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가해지는 열에 의해 휘어지는 바이메탈부; 상기 바이메탈부가 휘어짐으로써, 상기 바이메탈부와 접촉한 제1 영역이 들리는 전달부; 및 상기 제1 영역의 반대편에서 상기 전달부와 수직 방향에서 중첩되는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의 한쪽 끝이 아래 방향으로 눌리면, 상기 바이메탈부의 제1 전도체와 상기 전달부의 제2 전도체가 접촉될 수 있다.

Description

바이메탈을 이용한 복원 기능을 포함하는 퓨즈 {Fuse including restoration function using bimetal}
본 발명은 복원 기능을 포함하는 퓨즈(fuse)에 대한 것으로, 상세하게, 바이메탈(bimetal)을 이용하여 복원 기능이 구현된 퓨즈에 관한 것이다.
퓨즈는 전기 회로에 장착되어, 전기 회로 상에서 일정 전류보다 더 큰 전류(이하, 과전류)가 발생하는 경우, 일정 시간 내에 전류를 차단하여 회로를 보호하는 장치를 말한다. 퓨즈 중에서 온도 퓨즈는 온도 감지에 의한 회로 차단 장치로서, 과전류로 이한 과열을 감지하여 회로를 차단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발열부를 가진 헤어드라이기, 커피포트, 또는 자동차 엔진부분 등은 고장에 의하여 온도가 설정값 이상으로 상승하여 과열이 될 때 자동으로 상기 헤어드라이기 등으로의 전원 또는 전류를 차단시키기 위하여 퓨즈를 사용하고 있다.
도 1a 및 도 1b을 참조하면, 종래 온도 퓨즈(110)는 온도 감지를 통해 화재나 누전, 전자제품의 비정상적인 과정에서 생기는 과전류로 인한 과열을 감지하여 회로를 차단할 수 있다. 과전류가 발생하기 전에는 리드선(120)과 가용체(130)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특수 수지(140)는 로진이 주성분이며, 퓨즈의 동작 성능을 장기간 유지하기 위해 가용체(130) 주위에 도포될 수 있다. 퓨즈(110)에 과전류가 발생하게 되면 융점에 도달한 가용체(130)가 변화하기 시작한다. 특수 수지(140)에 의해 합금의 표면장력이 증가되어 가용체(130)가 양 끝단 쪽으로 응축되면서 끊어지게 될 수 있다. 즉, 영구적으로 회로가 끊어지게 되는 것이다. 추가적으로, 리드선(120)에 스프링이 구비될 수 있어, 가용체(130)가 용융되기 시작하면, 스프링의 힘에 의해 한쪽 리드선(120)이 당겨지게 되어 가용체(130)가 끊어질 수도 있다.
그러나 도 1a 및 도 1b의 상기 종래 온도 퓨즈(110)는 구조가 간단한 장점은 있으나 과열로 인하여 한 번 퓨즈가 용단되면 상기 온도 퓨즈(110)가 접속된 전기 회로를 계속 사용할 수 없거나 과열에 의한 고장이 발생하여 퓨즈가 용단 될 마다 퓨즈를 교체하여 주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130472호 (1999. 10. 01)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메탈을 이용한 복원 기능을 포함하는 퓨즈는 스위치를 이용하여 온도 퓨즈의 사용수명을 반영구적으로 하고 안정성을 더욱 높일 수 있는 바이메탈을 구성으로 하는 퓨즈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이메탈을 이용한 복원 기능을 포함하는 퓨즈는,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가해지는 열에 의해 휘어지는 바이메탈부; 상기 바이메탈부가 휘어짐으로써, 상기 바이메탈부와 접촉한 제1 영역이 들리는 전달부; 및 상기 제1 영역의 반대편에서 상기 전달부와 수직 방향에서 중첩되는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의 한쪽 끝이 아래 방향으로 눌리면, 상기 바이메탈부의 제1 전도체와 상기 전달부의 제2 전도체가 접촉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전달부의 상기 제1 영역이 한계 범위를 초과하여 들리면, 전류 차단 상태가 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바이메탈부 또는 상기 전달부의 온도, 위치 또는 기울기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감지부로부터 감지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스위치의 한쪽 끝이 아래 방향으로 눌리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제공되는 바이메탈을 이용한 복원 기능을 포함하는 퓨즈는, 용융식 구성이 아닌 바이메탈을 구성으로 포함하여 반영구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회로의 이상 점검 후, 퓨즈의 기능을 복원하기 위한 스위치를 포함으로써 외부에서 스위치로 편하게 복원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 온도 퓨즈의 구조 및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메탈을 이용한 복원 기능을 포함하는 퓨즈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a 내지 도 3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메탈을 이용한 복원 기능을 포함하는 퓨즈의 동작 과정의 각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원 기능을 포함하는 퓨즈의 바이메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메탈을 이용한 복원 기능을 포함하는 퓨즈의 제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으로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구성과 작용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들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 온도 퓨즈의 구조 및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종래 온도 퓨즈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메탈을 이용한 복원 기능을 포함하는 퓨즈의 동작 과정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한편, 도 3a 내지 도 3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메탈을 이용한 복원 기능을 포함하는 퓨즈의 동작 과정의 각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므로, 도 2와 함께 설명한다.
도 3a를 참조하면, 바이메탈을 이용한 복원 기능을 포함하는 퓨즈(300)는 온도에 따라 형상이 변형하는 바이메탈부(310), 바이메탈부(310)의 전도체(313)와 직접 접촉하여 전류를 전달할 수 있는 전달부(320) 및 복원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스위치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메탈을 이용한 복원 기능을 포함하는 퓨즈(300)는 바이메탈부(310)의 제1 전도체(313)와 전달부(320)의 제2 전도체(323)이 접촉된 상태, 즉, 전류 전달 상태(S340)에 있을 수 있다(S210).
전류 전달 상태(S340)는, 바이메탈부(310)에 연결된 제1 리드선(도면 미도시)과 전달부(320)에 연결된 제2 리드선(도면 미도시)가 전기적으로 통하는 상태를 지시할 수 있고, 이에, 바이메탈부(310)에서 전달부(320)로 전류가 흐를 수 있다.
S350은 바이메탈부(310), 전달부(320) 및 스위치부(330)를 시각적으로 개별적으로 식별하기 위한 수직 방향의 구분 도면이다.
실시예에 따라, 바이메탈부(310)는 서로 상이한 열팽창계수를 갖는 제1 메탈(311), 제2 메탈(312), 전달부(320)의 제2 전도부(323)과 접촉하는 제1 전도체(313) 및 이들을 지지하는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바이메탈부(310)은 서로 상이한 열팽창계수를 가진 제1 메탈(311) 및 제2 메탈(312)을 붙여서 구성될 수 있다. 바이메탈부(310)는 제1 메탈(311) 및 제2 메탈(312)을 원자 또는 분자 수준에서 섞은 합금과 상이하며, 거시적인 수준에서 붙여서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바이메탈부(310)은 곡선의 기울기를 조절하기 위해 추가적인 메탈이 부가되어 트라이메탈(3개의 금속이 붙어 구성) 또는 테트라메탈(4개의 금속이 붙어 구성)로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1 메탈(311) 및 제2 메탈(312)은 열팽창 계수 차이가 적당한 정도가 고려되어 철 및 구리로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전달부(320)는 부도체부(321), 도체부(322, 323)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도체부(322, 323)는 리드선이 연결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1 메탈(311) 및 제2 메탈(312)의 열팽창 계수 차이가 무척 크다면 바이메탈부(310)가 작은 온도 변화에도 너무 쉽게 휘어 온도 조절에 적당하지 않을 수 있다. 반대로, 열팽창 계수 차이가 아주 큰 차이를 일으키면 어느 정도의 큰 온도 변화를 견디지 못하고 바이메탈이 분해될 수도 있어, 열 팽창 계수의 차이가 적당한 제1 메탈(311) 및 제2 메탈(312)이 선택될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바이메탈부(310)에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열이 가해지면, 제1 메탈(311) 및 제2 메탈(312)은 각각 팽창하게 되는데, 열팽창 정도가 상이하기 때문에 어느 하나가 더 많이 팽창하게 된다. 그러나, 제1 메탈(311) 및 제2 메탈(312)은 서로 붙어 있어 어느 하나만 계속해서 팽창할 수 없고, 결과적으로, 열팽창 정도가 적은 금속 쪽으로 휘어지게 된다(S220).
실시예에 따라, 제1 메달(311)의 열팽창 계수가 제2 메탈(312)의 열팽창 계수보다 클 수 있고, 제1 메달(311)의 열팽창 정도가 제2 메탈(312)의 열팽창 정도보다 클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바이메탈부(310)는 열팽창 계수가 상대적으로 작은 제2 메탈(312) 쪽으로 휘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전달부(320)는 바이메탈부(310)에 밀려 한쪽 끝이 들릴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전달부(320)는 한쪽 끝만 들릴 수 있도록 전달부(320)의 일 영역은 고정될 수 있고, 고정된 영역을 회전 축으로 하여 전달부(320)의 한쪽 끝만 회전하여 들릴 수 있다.
S220 까지도 바이메탈부(310)의 제1 전도체(313)이 전달부(320)의 제2 전도체와 일부 영역이 접촉되어 전류가 흐를 수 있다.
도 3c를 참조하면, 바이메탈부(310)의 휘는 정도에 의해 전달부(320)의 한쪽 끝이 들리는 한계 범위가 초과되게 되면, 전달부(320)은 다시 초기의 위치로 돌아올 수 있다(S230).
이에, 바이메탈부(310)의 제1 전도체(313)은 전달부(320)의 위쪽에 위치하게 되고, 바이메탈부(310)에서 전달부(320)으로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될 수 있다.
도 3d를 참조하면, 바이메탈부(310)에 가해진 열원이 제거되면, 바이메탈부(310)은 냉각되어 최초의 전류 전달 상태에서의 휘는 정도로 원형 복구될 수 있다(S240).
실시예에 따라, 바이메탈부(320)에 전기가 흐르지 않아 열이 적어지면 원 상태로 수축할 수 있고, 반대로, 바이메탈이 냉각되는 정도에 따라 열팽창 정도가 큰 금속 쪽으로 휘어질 수 있다.
도 3e를 참조하면, 스위치(330)의 한쪽 끝이 아래 방향으로 눌리게 되면, 스위치(330)와 수직 방향으로 중첩되는 영역에 위치하는 전달부(320)의 한쪽 끝, 즉, 스위치(330)와 중첩되는 영역의 반대쪽 끝이 위 방향으로 들릴 수 있다. 이에 연쇄적으로, 전달부(320)의 한쪽 끝이 들리는 한계 범위가 초과될 정도로 한쪽 끝이 들리게 되면, 바이메탈부(310)는 원래 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S250).
실시예에 따라, 스위치(330)의 동작은 외부에 의해 수동으로 동작될 수 있거나, 외부 또는 내부 시스템으로부터 유선 또는 무선에 의한 시스템 제어에 의하여 구동될 수 있다.
이에, 바이메탈부(310)의 제1 전도체(313)와 전달부(320)의 제2 전도체(323)는 다시 접촉된 상태, 즉, 전류 전달 상태(S340)로 위치 및 상태를 복구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원 기능을 포함하는 퓨즈의 바이메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정상온도(normal temperature)에서 휘지 않을 정도의 열 팽창 계수의 차이를 갖는, 열 팽창 계수가 상대적으로 큰 붉은 메탈과 열 팽창 계수가 상대적으로 작은 푸른 메탈은 휘지 않고, 상호간에 붙여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정상온도보다 상대적으로 고온인 특정 온도 이상의 온도(high temperature)에서 열 팽창 계수가 상대적으로 큰 붉은 메탈의 선형 열팽창 정도가 열 팽창 계수가 상대적으로 작은 푸른 메탈의 선형 열팽창 정도보다 크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적은 열팽창 계수를 갖는 푸른 메탈 쪽으로 휠 수 있다.
도 4c를 참조하면, 정상온도보다 상대적으로 저온인 특정 온도 이하의 온도(low temperature)에서 열 팽창 계수가 상대적으로 큰 붉은 메탈의 선형 열팽창 정도가 열 팽창 계수가 상대적으로 작은 푸른 메탈의 선형 열팽창 정도보다 작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큰 열팽창 계수를 갖는 붉은 메탈 쪽으로 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선형 열팽창 계수가 상대적으로 작은 물질로, 철, 니켈, 콘스탄탄(constantan)이 선택될 수 있고, 선형 열팽창 계수가 상대적으로 큰 물질로, 철과 니켈의 합금(alloy) 이 선택될 수 있다.
도 4d를 참조하면, 바이메탈을 구성하는 제1 금속과 제2 금속의 열 팽창 계수가 각각 α1, α2일 때, 바이메탈의 곡률 반경(bimetal curvature radius)은 아래 수학식 1과 수학식 2를 통해 산출될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112020069163618-pat00001
[수학식 2]
Figure 112020069163618-pat00002
여기서, ρ는 곡률 반경(radius of curvature)을 지시하며, m은 제1 금속과 제2 금속의 두께에 대한 비율(m = t1/t2, ratio of thickness)이며, n은 탄성계수 또는 강성에 대한 제1 금속과 제2 금속의 비율을 지시할 수 있고 n = E1/E2, ratio of the young's moduli으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Th는 변화된 온도를 지시하며, Tc는 초기 온도를 지시할 수 있다. 또한, l은 원 길이를 지시할 수 있고, Δl은 길이 변화를 지시할 수 있고, Δt는 온도 변화를 지시할 수 있다.
도 4e를 참조하면, 바이메탈의 곡률 반경 그래프는 바이메탈을 구성하는 금속의 재질 및 온도에 따라 달리 산출될 수 있으나, 지수함수적 특성은 동일한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도 4e에서, 초기 온도가 상온(normal temperature)이라고 할 때, 온도 변화가 60도가 될 때까지 바이메탈의 곡률 반경의 변화가 크다고 해석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바이메탈의 구조를 설계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메탈을 이용한 복원 기능을 포함하는 퓨즈의 제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바이메탈을 이용한 복원 기능을 포함하는 퓨즈(300)의 제어 장치(500)는 바이메탈부(310) 또는 전달부(320)의 온도, 위치 또는 기울기를 감지할 수 있는 감지부(510), 감지부(510)로부터 전달 받은 신호를 이용하여 퓨즈(300)가 전류 전달 상태에 있는지 또는 전류 차단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520), 전류 차단 상태에서 외부 입력을 통하거나 주기적 판단을 통해 스위치(330)를 제어하는 입력부(530)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감지부(510)는 지속적으로 또는 기 설정 주기에 따라 바이메탈부(310) 또는 전달부(320)에 직접 또는 간접적인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감지부(510)는 바이메탈부(310) 또는 전달부(320)의 온도가 휘기 시작하는 기 설정 온도 보다 높은지를 감지할 수 있고, 바이메탈부(310) 또는 전달부(320)의 기울기 또는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감지부(510)는 바이메탈부(310) 또는 전달부(320)에서 감지한 감지 정보를 제어부(520)로 전송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520)는 감지부(510)로부터 수신한 감지 정보를 바탕으로 퓨즈(300)가 전력 전달 상태인지 전력 차단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그 판단 결과를 입력부(530)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520)는 퓨즈(300)가 전력 차단 상태에 있다고 판단한 이후, 바이메탈부(310)의 온도가 일정 온도 보다 높을 경우 전력 차단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반대로, 제어부(520)는 퓨즈가 전력 찬단 상태에 있다고 판단한 이후, 바이메탈부(310)의 온도가 일정 온도 보다 낮은 경우, 전력 전달 상태로 원상 복귀시키기 위해, 입력부(530)에 스위치(330)의 제어를 요청할 수 있다.
입력부(530)은 외부 사용자를 통해 스위치(330)와 전달부(320)의 수직 방향으로 중첩되는 일 영역에 해당하는 한쪽 끝을 아래 방향으로 눌리게 할 수 있고, 또는 제어부(520)의 요청에 따라 자동으로 상기 한쪽 끝을 아래 방향으로 눌리게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전술한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고,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방법에서 사용된 데이터의 구조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여러 수단을 통하여 기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방법들을 수행하기 위한 실행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이나 코드를 기록하는 기록 매체는, 반송파(carrier waves)나 신호들과 같이 일시적인 대상들은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지는 않아야 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DVD 등)와 같은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 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설명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와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Claims (4)

  1.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가해지는 열에 의해 휘어지고, 일면에 제1 전도체가 구비되는 바이메탈부;
    상기 제1 전도체와 대향하여 하면에 제2 전도체가 구비되고, 상기 바이메탈부가 상방으로 휘어짐으로써, 상기 바이메탈부와 접촉한 제1 영역이 들리는 전달부; 및
    상기 제1 영역의 반대편에서 상기 전달부와 수직 방향에서 중첩되는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바이메탈부는,
    상방으로 휘어짐에 따라, 상기 제1 영역이 한계 범위를 초과하여 들리면, 상기 제1 전도체가 상기 전달부의 상면에 위치하여 전류 차단 상태가 되고,전류 차단 상태에서, 상기 스위치의 한쪽 끝이 아래 방향으로 눌림에 따라, 상기 제1 영역이 한계 범위를 초과하여 들리면 상기 바이메탈부가 원 형으로 복귀되고, 이후 스위치가 원위치로 복귀되면 상기 바이메탈부의 제1 전도체와 상기 전달부의 제2 전도체가 접촉되어 전류 전달 상태가 되는,
    바이메탈을 이용한 복원 기능을 포함하는 퓨즈.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메탈부 또는 상기 전달부의 온도, 위치 또는 기울기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바이메탈을 이용한 복원 기능을 포함하는 퓨즈.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로부터 감지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스위치의 한쪽 끝이 아래 방향으로 눌리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바이메탈을 이용한 복원 기능을 포함하는 퓨즈.
KR1020200081880A 2020-07-03 2020-07-03 바이메탈을 이용한 복원 기능을 포함하는 퓨즈 KR1024713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1880A KR102471353B1 (ko) 2020-07-03 2020-07-03 바이메탈을 이용한 복원 기능을 포함하는 퓨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1880A KR102471353B1 (ko) 2020-07-03 2020-07-03 바이메탈을 이용한 복원 기능을 포함하는 퓨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4271A KR20220004271A (ko) 2022-01-11
KR102471353B1 true KR102471353B1 (ko) 2022-11-28

Family

ID=79355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1880A KR102471353B1 (ko) 2020-07-03 2020-07-03 바이메탈을 이용한 복원 기능을 포함하는 퓨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135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5325B2 (ja) * 1989-09-08 2000-04-24 グラクソ・ソシエタ・ペル・アツイオーニ ヘテロ環化合物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15435A (ja) * 1990-09-04 1992-04-16 Fujitsu Ltd リレー
JP3035325U (ja) * 1996-09-03 1997-03-18 宏洋 高野 安全装置および安全装置付き二次電池パック
KR100765673B1 (ko) * 2006-09-19 2007-10-12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열동식 트립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회로 차단기
US11044462B2 (en) 2019-05-02 2021-06-22 Niantic, Inc. Self-supervised training of a depth estimation model using depth hint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5325B2 (ja) * 1989-09-08 2000-04-24 グラクソ・ソシエタ・ペル・アツイオーニ ヘテロ環化合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4271A (ko) 2022-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67279A (en) Overcurrent protection device
JP2791383B2 (ja) 二重安全サーモスタット
US5757262A (en) Thermostat with bulging portion to prevent contact of a resilient plate to housing
JPS62268030A (ja) プロテクタ−
CA1195364A (en) Thermostatic switch with thermal override
US5847638A (en) Thermal circuit protector and switch
KR102471353B1 (ko) 바이메탈을 이용한 복원 기능을 포함하는 퓨즈
JP4463088B2 (ja) 低電流電気モータ保護装置
CN101221683A (zh) 一种易熔金属感温断路器
CN205789717U (zh) 一种利用自身电阻控制温度的温控器
US20160020054A1 (en) Thermal fuse and printed circuit board with thermal fuse
US5627506A (en) Overload protector
CN101728120B (zh) 双重温度感应断电的电路保护装置
US5844466A (en) Bimetallic thermal triggering apparatus for a protection device
US5235308A (en) Thermal protector
WO2005078756A1 (ja) 安全装置
CN210040104U (zh) 一种制冷压缩机用带支撑调节杆的保护器结构
US3622932A (en) Self-restoring thermal switch with means for indicating previous overtemperature condition
EP0651412A1 (en) Safety device, particularly for a thermostat with an immersion rod sensor
JP2017016997A (ja) 温度感応電子部品
CN112863794A (zh) 一种温敏ptc保护器
CN101728121B (zh) 双重温度感应断电的电路保护装置
GB2349508A (en) A bimetallic actuator and a spring metal carrier
US3573696A (en) Thermostatic switch
CN210489524U (zh) 一种过热保护器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