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1320B1 - 세탁조용 미세플라스틱 저감장치 - Google Patents

세탁조용 미세플라스틱 저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1320B1
KR102471320B1 KR1020200125411A KR20200125411A KR102471320B1 KR 102471320 B1 KR102471320 B1 KR 102471320B1 KR 1020200125411 A KR1020200125411 A KR 1020200125411A KR 20200125411 A KR20200125411 A KR 20200125411A KR 102471320 B1 KR102471320 B1 KR 1024713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 water
chamber
case
filter
vacuum pu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54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43935A (ko
Inventor
신성식
서영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쿱엔지니어링
신성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쿱엔지니어링, 신성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쿱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2001254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1320B1/ko
Publication of KR202200439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39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13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13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7/00Processes of filtration
    • B01D37/04Controlling the filtration
    • B01D37/043Controlling the filtration by flow measur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0Filtering arrang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조용 미세플라스틱 저감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세탁조로부터 배수되는 배수에 포함된 미세플라스틱을 제거한 상태로 세탁수를 배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세탁수에서 미세플라스틱이 제거된 필터 또는 필터조립체를 교환할 수 있도록 된 세탁조용 미세플라스틱 저감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세탁조용 미세플라스틱 저감장치(1000)는, 일측으로 세탁기의 세탁수배출관과 연결되는 세탁수배출관연결구가 갖추어진 밀폐된 제1챔버와, 타측으로 미세플라스틱이 걸러진 상태로 배출되는 세탁수배출구가 구비된 밀폐상태의 제2챔버를 포함하는 케이스본체(1100)와,
상기 제1챔버에 안착됨과 더불어 세탁수배출관연결구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제2챔버로 연결된 진공펌프(1200)와,
상기 진공펌프의 배출단부에 설치되어 세탁수가 진공펌프를 통해 배수될 때 물의 흐름을 감시하고 콘트롤러에 신호를 보내어 진공펌프를 회전 또는 정지시키도록 된 세탁수센서(1300)와,
상기 제1챔버에 설치되어 전원이 공급되면 세탁수센서의 신호를 받아서 진공펌프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도록 된 콘트롤러(1400)와,
상기 제2챔버의 중간부위에 착탈가능하게 끼워져 안착됨과 더불어 케이스본체의 일측으로 분리할 수 있도록 되는 한편, 상기 진공펌프로부터 압송된 세탁수가 상부로 유입되면 세탁수에 포함된 미세플라스틱을 상하로 적층된 3개의 필터가 3단계로 걸러준 다음 하부를 통해 세탁수배출구로 배출할 수 있도록 된 필터조립체(15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세탁조용 미세플라스틱 저감장치{Microplastic reduction device for washing tank}
본 발명은 미세플라스틱 저감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세탁조로부터 배수되는 배수에 포함된 미세플라스틱을 제거한 상태로 세탁수를 배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세탁수에서 미세플라스틱이 제거된 필터 또는 필터조립체를 교환할 수 있도록 된 세탁조용 미세플라스틱 저감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5 mm 미만의 작은 플라스틱 조각인 미세 플라스틱(micro-plastics, microbeads)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고, 미세 플라스틱은 처음부터 치약이나 화장품 등에 사용하기 위해 작은 플라스틱 알갱이 형태로 제조되기도 하며, 플라스틱 제품의 일부가 부서지면서 생성되기도 한다.
이러한 미세 플라스틱은 환경을 파괴하고 그 결과로 인간의 건강을 위협하는 점에서 문제가 되고, 강과 바다에 사는 생물들이 미세 플라스틱을 먹이로 오인하여 섭취하여 몸에 축적시키는데 이들 생물을 인간이 섭취하므로 결국은 인간의 몸에 축적되기 때문에 미세 플라스틱은 장폐색을 유발하며 에너지 할당 감소, 성장 등에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 같은 문제의 심각성 때문에 전 세계적으로 미세 플라스틱이 포함된 제품을 규제하려는 접근법이 강구되고 있으나, 세탁시 옷감에서 미세플라스틱이 박리되어 세탁수에 배수되면서 해양 환경오염을 초래하게 된다.
즉, 이러한 세탁수에 포함된 미세플라스틱을 포집하기 위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0-0035191호로 발명의 명칭 "세탁물의 미세 플라스틱 사전제거 기능을 구비한 세탁기 및 그 동작 제어 방법"이 공지되어 있는바, 세탁기에 세탁물을 집어놓고 세탁 동작을 개시하면 세탁물에 물이 투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미리 설정된 비교적 짧은 시간 동안 세탁조의 건식 공회전을 수행하면서 세탁물의 합성섬유로부터 떨어져 나오는 미세 플라스틱을 포집 제거한 이후에 세탁물에 물을 투입하고 일반적인 세탁 과정을 수행하는 구성을 채택함으로써 세탁 과정에서 발생하는 미세플라스틱을 감소시키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세탁 과정에서 세탁물의 합성섬유에서 떨어져 나올 수 있는 미세 플라스틱을 건식 공회전 선처리를 통해 제거함으로써 물에 섞여 배출되는 미세 플라스틱의 양을감소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미세 플라스틱에 의한 해양 환경오염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제10-2020-0035191호의 포집부재는 기존에 판매된 세탁기에서 발생되는 미세플라스틱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할 방법이 없으며, 또 포집부재의 교환이 어려우며, 세탁수에 여전히 미세플라스틱이 잔존하여 포집부재의 성능에 신뢰성이 부족한 문제점이 있었다.
참조문헌: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0-0035191호로 발명의 명칭 "세탁물의 미세 플라스틱 사전제거 기능을 구비한 세탁기 및 그 동작 제어 방법".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요구사항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기존에 판매된 세탁기와 신규로 구입한 세탁기의 외부에서 세탁기의 배수관에 연결하여 사용하므로 세탁기에서 발생되는 세탁수의 미세플라스틱을 제거하기 용이하도록 된 세탁조용 미세플라스틱 저감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세탁수에서 포집한 미세플라스틱을 제거한 필터를 가정에서도 교환하기 용이하도록 된 세탁조용 미세플라스틱 저감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세탁조용 미세플라스틱 저감장치는, 일측으로 세탁기의 세탁수배출관과 연결되는 세탁수배출관연결구가 갖추어진 밀폐된 제1챔버와, 타측으로 미세플라스틱이 걸러진 상태로 배출되는 세탁수배출구가 구비된 밀폐상태의 제2챔버를 포함하는 케이스본체와, 상기 제1챔버에 안착됨과 더불어 세탁수배출관연결구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제2챔버로 연결된 진공펌프와, 상기 진공펌프의 배출단부에 설치되어 세탁수가 진공펌프를 통해 배수될 때 물의 흐름을 감시하고 콘트롤러에 신호를 보내어 진공펌프를 회전 또는 정지시키도록 된 세탁수센서와, 상기 제1챔버에 설치되어 전원이 공급되면 세탁수센서의 신호를 받아서 진공펌프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도록 된 콘트롤러와, 상기 제2챔버의 중간부위에 착탈가능하게 끼워져 안착됨과 더불어 케이스본체의 일측으로 분리할 수 있도록 되는 한편, 상기 진공펌프로부터 압송된 세탁수가 상부로 유입되면 세탁수에 포함된 미세플라스틱을 상하로 적층된 3개의 필터가 3단계로 걸러준 다음 하부를 통해 세탁수배출구로 배출할 수 있도록 된 필터조립체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본체는, 상기 격벽에 의해 1,제2챔버를 구획하도록 된 4각관 형태로 구성됨과 더불어, 제2챔버에는 필터조립체가 끼워져 착탈가능하게 안착되도록 필터조립체안내돌기가 구비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제1챔버를 구성하도록 케이스의 일측에 밀폐가능하게 조립되는 케이스우측밀폐수단과, 상기 케이스의 제2챔버를 구성하도록 케이스의 타측에 밀폐가능하게 조립되는 케이스좌측밀폐수단과, 상기 케이스의 제1챔버 상측에 형성된 구멍에 끼워짐과 더불어 진공펌프의 일단으로 끼워지는 세탁수배출관연결구와, 상기 제2챔버의 하부에 설치되어 세탁수가 배수되도록 된 세탁수배출구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는, 전면 또는 배면에 세탁기 또는 철판에 케이스본체를 선택적으로 부착할 수 있도록 자성체가 더 구비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제1챔버의 바닥면에 배수를 위한 배수공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필터조립체는, 상기 케이스본체의 제2챔버에 구비된 필터조립체안내돌기로 착탈가능하게 끼워져 안착됨과 더불어, 상부에는 실링부재가 안착되어 실링이 이루어지도록 된 상부실링홈이 형성되고, 상부에서 하부로 연통되면서 일측면으로는 필터케이스가 끼워져 조립되도록 된 필터케이스끼움부가 구비되는 필터케이스수납부재와, 상기 필터케이스끼움부에 3단으로 적층되어 끼워져 안착되도록 된 필터케이스와, 상기 필터케이스에 끼워져 안착됨과 더불어 필터케이스의 두께 보다는 얇을 두께로 안착되어 세탁수에 포함된 미세플라스틱을 순차적으로 걸러주도록 된 필터와, 상기 필터케이스수납부재의 상부에 형성된 상부실링홈에 끼워진 실링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세탁조용 미세플라스틱 저감장치에 의하면, 기존에 판매된 세탁기와 신규로 구입한 세탁기의 외부에서 세탁기의 배수관에 연결하여 사용하므로 세탁기에서 발생되는 세탁수의 미세플라스틱을 제거하기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세탁조용 미세플라스틱 저감장치에 의하면, 세탁수에서 포집한 미세플라스틱을 제거한 필터를 가정에서도 교환하기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조용 미세플라스틱 저감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 - A선 단면도,
도 3은 도 2의 B - B선 단면도,
도 4는 도 2의 C - C선 단면도,
도 5는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도 5의 타방향 분해사시도,
도 7은 도 1의 배면 분해사시도,
도 8은 도 7의 타방향 분해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필터조립체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필터케이스수납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1은 도 9의 필터케이스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조용 미세플라스틱 저감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인용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으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부', '하부', '앞', '뒤', '선단', '전방', '후단' 등과 같은 방향성 용어는 개시된 도면(들)의 배향과 관련하여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요소는 다양한 배향으로 위치 설정될 수 있기 때문에 방향성 용어는 예시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지 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세탁조용 미세플라스틱 저감장치(1000)는,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케이스본체(1100)와, 진공펌프(1200), 세탁수센서(1300), 콘트롤러(1400) 및 필터조립체(15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본체(1100)는, 일측으로 세탁기의 세탁수배출관과 연결되는 세탁수배출관연결구(1140)가 갖추어진 밀폐된 제1챔버(S1)와, 타측으로 미세플라스틱이 걸러진 상태로 배출되는 세탁수배출구(1150)가 구비된 밀폐상태의 제2챔버(S2)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세탁수배출관연결구(1140)로 유입된 세탁수가 제1챔버(S1)와 제2챔버(S2)를 거쳐 세탁수배출구(1150)로 배출된다.
상기 케이스본체(1100)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격벽(1111)에 의해 1,제2챔버(S1,S2)를 구획하도록 된 4각관 형태로 구성됨과 더불어, 제2챔버에는 필터조립체(1500)가 끼워져 착탈가능하게 안착되도록 필터조립체안내돌기(1112)가 구비된 케이스(1110)와, 상기 케이스의 제1챔버(S1)를 구성하도록 케이스의 일측에 밀폐가능하게 조립되는 실링부재(1121)와 우측커버(1122) 및 체결나사(1123)로 이루어진 케이스우측밀폐수단(1120)과, 상기 케이스의 제2챔버(S2)를 구성하도록 케이스의 타측에 밀폐가능하게 조립되는 실링부재(1131)와 우측커버(1132) 및 체결나사(1133)로 이루어진 케이스좌측밀폐수단(1130)과, 상기 케이스의 제1챔버 상측에 형성된 구멍(1113)에 끼워짐과 더불어 진공펌프(1200)의 일단으로 끼워지는 세탁수배출관연결구(1140)와, 상기 제2챔버(S2)의 하부에 설치되어 세탁수가 배수되도록 된 세탁수배출구(1150)를 갖춘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케이스(1110)의 우측과 좌측에 케이스우측밀폐수단(1120)과 케이스좌측밀폐수단(1130)이 조립되어 제1,2챔버(S1,S2)를 구성하게 되고, 상기 진공펌프(1200)가 작동하여 세탁수가 제2챔버(S2)로 압송되면 필터조립체(1500)에서 미세플라스틱을 걸러진 세착수가 세탁수배출구(1150)로 배출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110)는, 상기 제1챔버(S1)의 바닥면에 배수를 위한 배수공(1114)이 더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진공펌프(1200)에서 누수가 발생하여 제1챔버(S1)로 세탁수가 떨어지는 경우에 배수공(1114)으로 배수되도록 하여 상기 콘트롤러(1400)가 침수되어 불량 또는 고장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미설명부호 1115는 전원공급선을 인출하기 위한 전원선구멍이고, 이 전원선구멍은 본 실시예에서는 케이스(1110)의 바닥면에 형성되어 있으나, 상기 케이스우측밀폐수단(1120)의 우측커버(1122)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진공펌프(1200)는, 상기 제1챔버(S1)에 안착되어 일단부가 구멍(1113)에 끼워짐과 더불어 세탁수배출관연결구(1140)에 끼워져 케이스(1110)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부가 격벽(1111)의 상부에 형성된 펌프연결구멍(1115)으로 실링된 상태로 끼워져 조립되는 한편, 상기 우측커버(1122)의 내측면으로 돌출된 진공펌프안착돌기(1122a)에 끼워져 안착되고, 또 상기 펌프연결구멍(1115)과 연결되는 쪽의 하부에 상기 세탁수센서(1300)가 세탁수를 감지할 수 있도록 조립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진공펌프(1200)는, 상기 세탁수배출관연결구(1140)와 펌프연결구멍(1115) 및 진공펌프안착돌기(1122a)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됨과 더불어, 상기 세탁수센서(1300)가 세탁수를 감지하여 제1챔버(S1)의 바닥면에 설치된 콘트롤러(1400)로 신호를 보내게 되면 이 콘트롤러(1400)는 진공펌프(1200)의 작동신호를 보내게 되어 진공펌프를 작동시키게 되어 세탁수를 제2챔버(S2)로 압송하게 되므로 필터조립체(1500)를 세탁수가 통과하면서 미세플라스틱이 걸러지면서 펌프연결구멍(1115)에 설치된 세탁수배출구(1150)를 통해서 배출되게 된다.
이때 상기 세탁수센서(1300)가 세탁수를 감지하지 못하게 되면 콘트롤러(1400)에서 진공펌프(1200)를 약 10 ~ 20초 후에 멈추도록 셋팅하므로서 제2챔버(S2)에 남은 세탁수를 진공상태로 가압하여 세탁수배출구(1150)를 통해서 세탁수가 모두 배출되게 된다.
한편, 상기 세탁수센서(13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진공펌프(1200)의 배출단부에 설치되어 세탁수가 진공펌프(1200)를 통해 배수될 때 물의 흐름을 감시하고 콘트롤러(1400)에 신호를 보내어 진공펌프(1200)를 회전 또는 정지시키도록 한다.
또 상기 콘트롤러(1400)는 본 실시예에서 제1챔버(S1)에 설치되어 전원이 공급되면 세탁수센서(1300)의 신호를 받아서 진공펌프(1200)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고, 세탁수센서(1300)에서 세탁수를 감지하지 못하면 진공펌프(1200)를 약 10 ~ 20초 후에 멈추도록 셋팅되어 있다.
따라서 전원이 콘트롤러(1400)로 공급된 상태에서 세탁기가 작동하여 세탁수가 진공펌프(1200)로 유입되어 세탁수센서(1300)가 세탁수를 감지하게 되면 콘트롤러(1400)가 진공펌프(1200)를 작동시켜 세탁수를 제1챔버(S1)쪽에서 제2챔버(S2)쪽으로 압송하게 되고, 상기 세탁수센서(1300)가 세탁수를 감지하지 못하게 되면 약 10 ~ 20초 후에 진공펌프(1200)를 멈추어서 상기 제2챔버(S2)로 배출되는 세탁수가 필터조립체(1500)를 모두 통과하여 세탁수배출구(1150)로 배출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필터조립체(1500)는, 상기 제2챔버(S2)의 중간부위에 착탈가능하게 끼워져 안착됨과 더불어 케이스본체(1100)의 일측으로 분리할 수 있도록 되는 한편, 상기 진공펌프(1200)로부터 압송된 세탁수가 제2챔버(S2)의 상부로 유입되면 세탁수에 포함된 미세플라스틱을 상,하로 적층된 각각 3개의 필터(1530)가 3단계로 걸러준 다음 하부를 통해 세탁수배출구(1150)로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2챔버(S2)로 유입된 세탁수는 3개의 필터(1530)를 갖춘 필터조립체(1500)에 의해 미세플라스틱이 걸려진 상태로 배수되게 되므로 해양수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한편, 상기 필터조립체(1500)는 케이스본체(1100)의 일측으로 분리할 수 있어서, 주기적으로 필터를 교환하여 오염된 필터를 교체가능하게 된다.
상기 필터조립체(1500)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케이스본체(1100)의 제2챔버(S2)에 구비된 필터조립체안내돌기(1112)로 착탈가능하게 끼워져 안착됨과 더불어, 상부에는 실링부재(1540)가 안착되어 실링이 이루어지도록 된 상부실링홈(1511)이 형성되고, 상부에서 하부로 연통되면서 일측면으로는 필터케이스가 끼워져 조립되도록 된 필터케이스끼움부(1512)가 구비되는 필터케이스수납부재(1510)와, 상기 필터케이스끼움부에 3단으로 적층되어 끼워져 안착되도록 된 필터케이스(1520)와, 상기 필터케이스에 끼워져 안착됨과 더불어 필터케이스의 두께 보다는 얇을 두께로 안착되어 세탁수에 포함된 미세플라스틱을 걸러주도록 된 필터(1530)와, 상기 필터케이스수납부재의 상부에 형성된 상부실링홈에 끼워진 실링부재(1540)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필터케이스수납부재(1510)의 상부로 배출된 세탁수는 필터케이스끼움부(1512)에 필터케이스(1520)와 필터(1530)이 한쌍으로 되어 3단으로 적층된 상태로 세탁수에 포함된 미세플라스틱을 걸러내어 세탁수로 인한 해양수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필터케이스수납부재(1510)의 필터케이스끼움부(1512)는, 상기 상부실링홈(1511)쪽으로 관통된 상부관통구멍(1512a)과, 상기 상부실링홈(1511)의 반대쪽으로 관통된 하부관통구멍(1512b)과, 상기 필터케이스수납부재(1510)의 폭방향 일측면에 관통된 필터케이스끼움구멍(1512c)와, 상기 상부관통구멍(1512a)과 하부관통구멍(1512b)의 사이에 등간격으로 위치하면서 양쪽 내측면으로 일정길이 돌출되어 필터케이스끼움구멍(1512c)으로 끼워지는 필터케이스(1520)의 양단하부를 지지함과 더불어 필터케이스수납부재(1510)의내부로 안내하는 2쌍의 필터케이스안내돌기(1512d)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필터케이스안내돌기(1512d)와 하부관통구멍(1512b)의 상부에 필터케이스(1520)가 3단으로 조립되게 되어 세탁수에 포함된 미세플라스틱을 최대한 제거할 수 있게 되는 한편, 상기 필터케이스안내돌기(1512d)와 하부관통구멍(1512b)에서 필터케이스(1520)를 빼내어 필터(1530)를 새것으로 교환하여 깨끗한 물을 배수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케이스(1520)는, 4각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상부와 하부가 관통된 벽체부(1521)와, 이 벽체부(1521)의 하부이면서 내측면에서 일정한 폭으로 연장되어 필터의 가장자리를 지지하도록 된 제1필터지지리브(1522)와, 상기 벽체부(1521)의 하부 내측면 또는 제1필터지지리브(1522)에서 대각선방향과 허니컴모양으로 배출되는 세탁수의 유속에 방해가 최대한 되지 않고 잘 빠지도록 일정한 폭과 두께를 갖는 제2,3필터지지리브(1523,1524)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벽체부(1521)의 내측에 안착되는 필터(1530)로 세탁수가 압송되어도 제2,3필터지지리브(1523,1524)에 의해 지지되어 하부로 빠지지 않게 됨과 더불어, 이때 상기 제2,3필터지지리브(1523,1524)의 폭을 얇게 형성하여 세탁수의 배수와 유속은 물론 필터링의 감소를 최대한 방지하게 되고, 상기 제1필터지지리브(1522)에 의해 필터(1530)의 가장자리를 지지하여 견고하게 필터(1530)가 하부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지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필터(1530)는, 마이크로 필터를 이용하여 꾸정물인 세탁 폐수를 걸러내는 것으로, 필터는 3가지 타입으로 최상부의 필터는 1차 메시망으로 건더기 물때 등을 걸러주고, 중간의 필터는 10㎛이상용으로 세탁물 속에 미세먼지와 미세플라스틱등 불순물 제거하며 하단의 필터는 1㎛ 단위의 플라스틱까지 제거할수 있는 필터로 구성할 수 있다.
또 상기 케이스(1110)는, 전면 또는 배면에 세탁기 또는 철판에 케이스본체(1100)를 선택적으로 부착할 수 있도록 자성체(1600)가 더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케이스(1110)에 구비된 자성체(1600)에 의해서 본 발명의 세탁조용 미세플라스틱 저감장치(1000)를 세탁기의 측면 또는 전면에 부착하기 용이하게 됨은 물론, 별도로 마련된 금속판에 부착이 용이하셔 사용시 편리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자명한 것인 경우에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00: 세탁조용 미세플라스틱 저감장치 1100: 케이스본체
1110: 케이스 1111: 격벽
1112: 필터조립체안내돌기 1113: 구멍
1114: 배수공 1120: 케이스우측밀폐수단
1130: 케이스좌측밀폐수단 1140: 세탁수배출관연결구
1150: 세탁수배출구 1200: 진공펌프
1300: 세탁수센서 1400: 콘트롤러
1500: 필터조립체 1510: 필터케이스수납부재
1511: 상부실링홈 1512: 필터케이스끼움부
1520: 필터케이스 1530: 필터
1540: 실링부재 1600: 자성체

Claims (5)

  1. 일측으로 세탁기의 세탁수배출관과 연결되는 세탁수배출관연결구가 갖추어진 밀폐된 제1챔버와, 타측으로 미세플라스틱이 걸러진 상태로 배출되는 세탁수배출구가 구비된 밀폐상태의 제2챔버가 격벽에 의해 구획되되, 상기 격벽에 의해 1,제2챔버(S1,S2)를 구획하도록 된 4각관 형태로 구성됨과 더불어, 상기 제2챔버에는 필터조립체(1500)가 끼워져 착탈가능하게 안착되도록 필터조립체안내돌기(1112)가 구비되는 한편, 전면 또는 배면에 세탁기 또는 철판에 케이스본체(1100)를 선택적으로 부착할 수 있도록 자성체(1600)가 구비되고, 상기 제1챔버의 바닥면에 배수를 위한 배수공(1114)이 구비된 케이스(1110)와, 상기 케이스의 제1챔버를 구성하도록 케이스의 일측에 밀폐가능하게 조립되는 케이스우측밀폐수단(1120)과, 상기 케이스의 제2챔버를 구성하도록 케이스의 타측에 밀폐가능하게 조립되는 케이스좌측밀폐수단(1130)과, 상기 케이스의 제1챔버 상측에 형성된 구멍(1113)에 끼워짐과 더불어 진공펌프(1200)의 일단으로 끼워지는 세탁수배출관연결구(1140)와, 상기 제2챔버의 하부에 설치되어 세탁수가 배수되도록 된 세탁수배출구(1150)를 갖춘 케이스본체(1100)와,
    상기 제1챔버에 안착됨과 더불어 세탁수배출관연결구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제2챔버로 연결된 진공펌프(1200)와,
    상기 진공펌프의 배출단부에 설치되어 세탁수가 진공펌프를 통해 배수될 때 물의 흐름을 감시하고 콘트롤러에 신호를 보내어 진공펌프를 회전 또는 정지시키도록 된 세탁수센서(1300)와,
    상기 제1챔버에 설치되어 전원이 공급되면 세탁수센서의 신호를 받아서 진공펌프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도록 된 콘트롤러(1400)와,
    상기 제2챔버의 중간부위에 착탈가능하게 끼워져 안착됨과 더불어 케이스본체의 일측으로 분리할 수 있도록 되는 한편, 상기 진공펌프로부터 압송된 세탁수가 상부로 유입되면 세탁수에 포함된 미세플라스틱을 상하로 적층된 3개의 필터가 3단계로 걸러준 다음 하부를 통해 세탁수배출구로 배출할 수 있도록 되되, 상기 케이스본체(1100)의 제2챔버에 구비된 필터조립체안내돌기(1112)로 착탈가능하게 끼워져 안착됨과 더불어, 상부에는 실링부재(1540)가 안착되어 실링이 이루어지도록 된 상부실링홈(1511)이 형성되고, 상부에서 하부로 연통되면서 일측면으로는 필터케이스가 끼워져 조립되도록 된 필터케이스끼움부(1512)가 구비되는 필터케이스수납부재(1510)와, 상기 필터케이스끼움부(1512)에 3단으로 끼워져 안착되도록 된 필터케이스(1520)와, 상기 필터케이스(1520)에 끼워져 안착됨과 더불어 필터케이스의 두께 보다는 얇을 두께로 안착되어 필터와 필터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여 세탁수를 압송하면서 세탁수에 포함된 미세플라스틱을 순차적으로 걸러주도록 된 필터(1530)와, 상기 필터케이스수납부재의 상부에 형성된 상부실링홈(1511)에 끼워진 실링부재(1540)를 갖춘 필터조립체(1500)를 포함하는 세탁조용 미세플라스틱 저감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00125411A 2020-09-28 2020-09-28 세탁조용 미세플라스틱 저감장치 KR1024713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5411A KR102471320B1 (ko) 2020-09-28 2020-09-28 세탁조용 미세플라스틱 저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5411A KR102471320B1 (ko) 2020-09-28 2020-09-28 세탁조용 미세플라스틱 저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3935A KR20220043935A (ko) 2022-04-06
KR102471320B1 true KR102471320B1 (ko) 2022-11-30

Family

ID=81211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5411A KR102471320B1 (ko) 2020-09-28 2020-09-28 세탁조용 미세플라스틱 저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132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66183A (ko) * 2022-05-30 2023-12-07 주식회사 마이크로필터 필터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5915B1 (ko) * 2005-12-06 2007-02-01 이희자 수질 정화 장치
KR101406127B1 (ko) * 2014-02-12 2014-06-12 (주) 삼진정밀 포터블 독립형 마을 간이정수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5977Y1 (ko) * 2010-09-30 2015-01-16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5915B1 (ko) * 2005-12-06 2007-02-01 이희자 수질 정화 장치
KR101406127B1 (ko) * 2014-02-12 2014-06-12 (주) 삼진정밀 포터블 독립형 마을 간이정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3935A (ko) 2022-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49370Y1 (ko) 세탁기의 이물질 걸름장치
US7918995B2 (en) Filter device for water tank
KR102471320B1 (ko) 세탁조용 미세플라스틱 저감장치
CN112890706A (zh) 一种可过滤杂物的污水箱及洗地机
KR20220043936A (ko) 미세플라스틱 저감장치용 필터조립체
CN107142681B (zh) 洗衣机排水装置的清洗方法、排水装置及洗衣机
CN219218465U (zh) 一种过滤模块及洗涤设备
KR200405172Y1 (ko) 공기청정기의 필터장치
US7396455B2 (en) Brine container with filter system
CN218606450U (zh) 清洁设备及清洁系统
CN215348744U (zh) 一种可过滤杂物的污水箱及洗地机
JP2006230212A (ja) 観賞魚用水槽の濾過装置
KR20130081521A (ko) 활어수족관 정수장치
CN115961455A (zh) 一种过滤装置及洗衣机
CN111067413A (zh) 一种吸水刷头
EP4339351A1 (en) Filter-type detergent feeding assembly and washing apparatus
CN212307698U (zh) 一种吸水刷头
CN214414783U (zh) 一种洗碗机回流清洗水路系统
CN219815858U (zh) 一种罐式超滤装置
CN117379859B (zh) 一种链板网式微滤机
CN220846732U (zh) 一种洗涤设备污水收集处理装置
CN213446354U (zh) 一种隔渣除油器
JP2004049424A (ja) 食器洗浄機の残菜回収装置
CN216551165U (zh) 一种节水型迷你洗衣机
CN217052754U (zh) 过滤器及具有其的衣物处理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