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1180B1 - A system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content service and a method of providing the service - Google Patents

A system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content service and a method of providing the ser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1180B1
KR102471180B1 KR1020210162315A KR20210162315A KR102471180B1 KR 102471180 B1 KR102471180 B1 KR 102471180B1 KR 1020210162315 A KR1020210162315 A KR 1020210162315A KR 20210162315 A KR20210162315 A KR 20210162315A KR 102471180 B1 KR102471180 B1 KR 1024711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gmented reality
user
advertisement
reality content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231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은령
Original Assignee
이은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은령 filed Critical 이은령
Priority to KR10202101623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1180B1/en
Priority to KR1020220157595A priority patent/KR2023007610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11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118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special video data, e.g 3D video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7Online advertis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service providing method for providing an augmented reality content service.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system and method that provide an application so that the users can produce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anytime and anywhere, and through thereof, enable the users to provide a service such as allowing the users to share and the like the various augmented reality contents with the other users. The service providing method comprises: a receiving step; a selection input receiving step; a forming step; an inserting step; and a display step.

Description

증강현실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서비스 제공 방법{A SYSTEM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CONTENT SERVICE AND A METHOD OF PROVIDING THE SERVICE}System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content ser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본 발명은 증강현실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들이 언제 어디서나 증강현실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도록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들이 다양한 증강현실 콘텐츠를 다른 사용자들과 공유하게 하는 등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service providing method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content services, and more specifically, to provide an application so that users can create augmented reality content anytime, anywhere, through which users can view various augmented reality content to other users. It relates to a system and method capable of providing services such as sharing with others.

사용자가 눈으로 보는 현실세계에 가상의 객체를 겹쳐 보여주는 기술을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이라고 하며, 현실세계에 실시간으로 부가정보를 갖는 가상세계를 합쳐 하나의 영상으로 보여주므로 혼합현실(Mixed Reality, MR)이라고도 한다. 이러한 혼합현실세계에서 펼쳐지는 이색적이고 색다른 콘텐츠들은 이를 시청하는 시청자들에게 새로운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 받고 있다. The technology of superimposing virtual objects on the real world that the user sees is called 'Augmented Reality'. reality, MR). Exotic and different contents unfolding in this mixed reality world are attracting attention in that they can provide new experiences to viewers.

그러나 일반적으로 증강현실 콘텐츠는 제작이 쉽지 않은 것으로 인식되어 있어 전문 콘텐츠 제작자가 아닌 대부분의 일반 사용자들은 증강현실 콘텐츠 제작에 소극적이며, 이는 궁극적으로 증강현실 콘텐츠의 활성화를 저해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However, it is generally recognized that augmented reality content is not easy to produce, so most general users, not professional content creators, are passive in augmented reality content production, which ultimately becomes a factor hindering the activation of augmented reality content.

본 발명은 이러한 어려운 환경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누구든지 쉽게 증강현실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게, 그리고 제작한 증강현실 콘텐츠는 타인과 공유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view of such a difficult environment, so that anyone can easily produce augmented reality content, and the created augmented reality content is intended to provide an environment that can be shared with others.

10-2012-0022483(2012.03.12 공개)10-2012-0022483 (released on March 12, 2012)

본 발명은 사용자가 증강현실 콘텐츠를 쉽게 제작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nvironment in which a user can easily create augmented reality content.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기에 기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가 자율적으로, 주도적으로, 그리고 쉽게 증강현실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도록 환경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nvironment so that a user can autonomously, initiatively, and easily create augmented reality content through an application pre-installed in a user terminal.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이미지리스트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상기 이미지리스트 중 특정 이미지를 선택하면, 사용자 단말기의 카메라 구동에 의해 촬영되는 사용자 단말기 화면 상에 상기 선택된 특정 이미지가 증강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증강현실을 체험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mage list to the user and when the user selects a specific image from the image list, the selected specific image is augmented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photographed by driving the camera of the user terminal, so that the user can experience augmented reality. Another object is to provide a system and method for enabling experience.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증강현실에서 사용될 배경 템플릿을 선택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배경 템플릿 양식으로 증강현실 콘텐츠가 제작될 수 있도록 하고, 누구나 쉬운 방법으로 증강현실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llow a user to select a background template to be used in augmented reality so that augmented reality content can be produced in the form of a background template desired by the user, and to allow anyone to produce augmented reality content in an easy way. .

한편,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technical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대상 이미지 선택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AR카메라를 실행시키고, 촬영 중인 화면 상에 증강현실 레이어를 형성시키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을 수신하고, 터치 입력된 지점에 상기 대상 이미지를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method for providing an augmented reality content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receiving a target image selection input from a user; Executing the AR camera and forming an augmented reality layer on the screen being photographed; and receiving a touch input from the user and inserting the target image at the touch input point.

또한, 상기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대상 이미지를 삽입하는 단계는, 상기 증강현실 레이어 상에 가상의 투명 패널을 형성시키는 단계; 및 상기 투명 패널 상에 상기 대상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service providing method, the inserting of the target image may include forming a virtual transparent panel on the augmented reality layer; and displaying the target image on the transparent panel. can include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배경 템플릿 선택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배경 템플릿 내에 삽입될 대상 이미지를 선택입력 받는 단계; AR 카메라를 실행시키고, 촬영 중인 화면 상에 증강현실 레이어를 형성시키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을 수신하고, 터치 입력된 지점에 상기 배경 템플릿을 삽입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a method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content ser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receiving a background template selection input from a user; receiving a selection input of a target image to be inserted into the background template from the user; Executing an AR camera and forming an augmented reality layer on a screen being filmed; and receiving a touch input from the user and inserting the background template at the touch input point. can include

또한, 상기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배경 템플릿은 적어도 4 이상의 면(面)을 가지는 다면체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lso, in the service providing method, the background template may have a polyhedral shape having at least four faces.

또한, 상기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배경 템플릿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투명한 가상 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lso, in the service providing method, the background template may include at least one transparent virtual panel.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전문적인 지식이 없는 사용자라 할지라도 쉽게 자신이 보유하고 있는 소스들(이미지, 동영상)을 활용하여 증강현실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even a user without professional knowledge has an effect of enabling the user to easily create augmented reality content by utilizing sources (images, videos) possessed by the user.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기에 기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가 주도적으로 증강현실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손쉽게 원하는 증강현실 콘텐츠를 제공하여 많은 사용자들이 증강현실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도록 콘텐츠적인 접근성과 범용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user to proactively produce augmented reality content through an application pre-installed on the user terminal, thereby providing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that the user wants easily and increasing content accessibility so that many users can use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It has the effect of improving versatility.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대상 이미지리스트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상기 대상 이미지리스트 중 대상 이미지를 선택하면, 사용자 단말기 카메라에 의해 출력되는 사용자 단말기 화면 상에 대상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임의의 누군가에 의해 만들어진 증강현실 콘텐츠를 여러 사람들이 함께 체험하고 제작할 수 있도록 하여, 체험한 사람들간에 또 다른 사회적 네트워크를 형성시켜주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arget image list to a user, and when the user selects a target image from the target image list, the target image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output by a camera of the user terminal. It has the effect of forming another social network among the people who experienced it by allowing many people to experience and produce the created augmented reality content together.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에게 증강현실에서 사용될 배경 템플릿을 선택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배경 템플릿 양식으로 증강현실 콘텐츠가 제작될 수 있도록 하고, 누구나 쉬운 방법으로 증강현실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증강현실 콘텐츠에 자신만의 개성을 표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거나 사용자가 다양하게 증강현실 콘텐츠를 즐길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allowing the user to select a background template to be used in augmented reality, augmented reality content can be produced in the form of a background template desired by the user, and by enabling anyone to produce augmented reality content in an easy way, the user can It has the effect of providing an opportunity to express one's own personality in real content or allowing users to enjoy various augmented reality content.

한편, 본 발명에 의한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 콘텐츠를 활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의 전체적인 구성들을 간략히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 콘텐츠 제작과정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증강현실 콘텐츠 제작과정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 콘텐츠를 활용하여 서비스가 사용자로부터 배경 템플릿을 선택 받고 선택된 배경템플릿을 기반으로 증강현실 콘텐츠가 생성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증강현실 콘텐츠의 구현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증강현실 콘텐츠를 활용하여 광고 서비스 제공방법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증강현실 콘텐츠를 활용하여 광고 서비스 제공방법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증강현실 콘텐츠를 활용하여 광고 서비스 제공방법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증강현실 콘텐츠를 활용하여 광고 서비스 제공방법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에 따른 증강현실 콘텐츠를 활용하여 광고 서비스 제공방법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증강현실 콘텐츠를 활용하여 광고 서비스 제공방법의 활용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증강현실 콘텐츠를 활용하여 광고 서비스 제공방법의 또 다른 활용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of overall configurations of a server providing a service by utilizing augmented reality con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in detail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production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showing in detail another augmented reality content production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in detail a process in which a service receives a background template selected from a user by utilizing augmented reality con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creates augmented reality content based on the selected background template.
5 and 6 illustrate implementation examples of augmented reality content.
7 is a diagram specifically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an advertisement service by utilizing augmented reality conten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diagram specifically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an advertisement service by utilizing augmented reality conten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diagram specifically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an advertisement service by utilizing augmented reality conten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diagram specifically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an advertisement service by utilizing augmented reality content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diagram specifically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an advertisement service by utilizing augmented reality content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method of providing an advertisement service using augmented reality con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diagram showing another utilization example of a method of providing an advertisement service by utilizing augmented reality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 present embodiments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holder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bers design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used in a meaning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n addition,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not interpreted ideally or excessively unless explicitly specifically defined.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for describing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singular forms also include plural form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a phrase.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and the scope of righ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For example, a first element may be termed a second element, and similarly, a second element may be termed a first element.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 (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As used herein, "comprises" and/or "comprising" means that a stated component, step, operation, and/or element is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steps, operations, and/or elements. Existence or additions are not excluded.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 및 응용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구별되어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and application examples described above,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lementation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Of course, these modifications should not be understood separately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perspec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 콘텐츠를 활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erver that provides a service by utilizing augmented reality con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 콘텐츠를 활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10)는 통신부(100), 저장부(110), 및 서비스 제공부(120) 를 포함한다.As can be seen in Figure 1, the service server 10 for providing services by utilizing augmented reality con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100, a storage unit 110, and a service providing unit 120.

서비스 서버(10)는 기본적으로 사용자로부터 증강현실 콘텐츠 제작을 위한 입력을 수신한 뒤 증강현실 콘텐츠를 생성하는 기능을 하거나, 또는 사용자에 의해 제작되어진 증강현실 콘텐츠를 서비스 서버(10) 내에 저장해 둔 채 타인과 공유가 가능하게 하는 기능을 한다. The service server 10 basically functions to generate augmented reality contents after receiving an input for producing augmented reality contents from a user, or while storing augmented reality contents produced by a user in the service server 10 It has the ability to share with others.

한편 본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증강현실 콘텐츠란, 임의의 사용자에 의해 제작 및 공유될 수 있는 콘텐츠의 한 종류를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자 단말기의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현실 공간 상에서 특정 이미지 또는 오브젝트(캐릭터 등)들이 함께 디스플레이 되어 마치 사용자가 존재하는 공간에 해당 이미지 또는 오브젝트들도 함께 존재하는 것처럼 느낄 수 있게 한 콘텐츠를 의미한다. Meanwhile, augmented reality content referred to in this detailed description refers to a type of content that can be produced and shared by any user, and a specific image or object (such as a character, etc.) in real space captured by a camera of a user terminal. ) are displayed together to make the user feel as if the corresponding images or objects also exist in the space where the user exists.

참고로, 도 1에 따른 서비스 서버(10)는 증강현실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도록 애플리케이션을 사용자들에게 제공하는 기능, 사용자들이 제작한 증강현실 콘텐츠를 저장 및 공유할 수 있는 기능과 함께 광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도 함께 수행할 수도 있음을 이해하기로 한다.For reference, the service server 10 according to FIG. 1 provides an advertising service with a function of providing users with an application to create augmented reality contents and a function of storing and sharing augmented reality contents created by user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function to be performed may also be performed together.

이하에서는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서비스 서버(10)의 각 세부구성들에 대해 개별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ach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service server 10 shown in FIG. 1 will be individually described.

먼저 통신부(100)는 서비스 서버(10)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는 사용자 단말기들, 또는 타 서버들과 데이터를 송수신 하기 위해 필요한 구성이다. 통신부(100)는 유선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통신 모듈과, 무선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이동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은,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에 따라 구축된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및 외부의 사용자 단말기, 또는 참여자 단말과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며, 이를 통해 사용자간의 양방향 통신이 가능해 지는 것이다.First, the communication unit 100 is a component necessary for the service server 10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with user terminals or other servers connected to the network. The communication unit 100 may include a communication module for supporting wired communication and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for supporting wireless communica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complies with technical standards or communication methods for mobile communication (eg,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 (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 (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 (Enhanced Voice) -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 (Wideband CDMA), HSDP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 (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 (Long Term Evolution), LTEA (Long Term Evolution-Advanced) etc.), wireless signals are transmitted and received with a base station, an external user terminal, or a participant terminal o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buil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which two-way communication between users becomes possible.

다음으로, 저장부(110)는 대상 이미지, 증강현실 레이어, 증강현실 콘텐츠 등 사용자간의 양방향 통신에 의해 공유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정보를 저장하는 구성이다. 여기서 언급되는 대상 이미지, 증강현실 레이어, 증강현실 콘텐츠는 서비스 서버(10)에서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얻어진 결과물들로서 이후에 설명할 증강현실 콘텐츠 제작프로세스, 광고 서비스 제공방법에 자주 등장하는 용어이기에 자세히 살펴보고 넘어가도록 한다. Next, the storage unit 110 is a component that stores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that can be shared by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users, such as target images, augmented reality layers, and augmented reality contents. The target image, augmented reality layer, and augmented reality content mentioned here are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e application provided by the service server 10, and are terms that often appear in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production process and advertising service providing method that will be described later, so take a closer look. let it go and see

[대상 이미지][target image]

대상 이미지란, 증강현실 콘텐츠를 생성하고자 할 때에 사용자가 콘텐츠 내에 삽입시킬 수 있는 이미지를 의미하며, 예를 들어 사용자 자신이 촬영한 사진, 사용자가 다른 소스로부터 다운로드 받아 둔 사진, 사용자 자신이 직접 디자인 한 동물, 사물, 인물 등의 오브젝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대상 이미지는 반드시 정적 이미지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동영상과 같은 동적 이미지도 포함하는 것임을 이해한다. 후술하겠지만,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대상 이미지는 증강현실 레이어 상에 사용자의 클릭 또는 터치 입력 등에 의해 생성될 수 있는 투명한 가상 패널에 디스플레이 된다.The target image means an image that the user can insert into the content when creating augmented reality content. Objects such as an animal, a thing, or a person may be included. In addition, it is understood that the target image here does not necessarily mean only static images, but also includes dynamic images such as moving images.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target image selected by the user is displayed on a transparent virtual panel that can be generated by a user's click or touch input on the augmented reality layer.

[증강현실 콘텐츠 저작툴][Augmented reality contents authoring tool]

이렇게,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대상 이미지를 선택하면, 애플리케이션은 AR카메라를 구동시키고 증강현실 콘텐츠 저작툴이 실행된다. 여기서, 증강현실 콘텐츠 저작툴은 용어 그대로 사용자가 증강현실 콘텐츠를 만들 수 있도록 제공되는 인터페이스이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증강현실 콘텐츠 저작툴을 쉬운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AR카메라를 구동하였을 때에 AR 카메라를 통해 사용자의 단말기 화면에는 증강현실이 출력될 것인데, 이 때 사용자로 하여금 증강현실 화면 상의 원하는 위치에 터치와 같은 소정의 입력을 함으로써 해당 위치에 대상 이미지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저작툴이다.In this way, when the user selects a target image through the application, the application drives the AR camera and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authoring tool is executed. Here,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authoring tool, as the term implies, is an interface provided so that the user can create augmented reality content, and is provided to the user through an application. To explain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authoring tool as an easy example, when the user runs the application and drives the AR camera, augmented reality will be output on the screen of the user's terminal through the AR camera. It is an authoring tool that allows a target image to be inserted into a corresponding position by performing a predetermined input such as a touch on the position.

이 때, 대상 이미지는 서비스 서버(10) 상에 업로드 되어 있는 상태의 것으로서, 사용자가 증강현실 콘텐츠를 저작하기 위한 터치 입력을 할 때에 서비스 서버(10) 상에 저장되어 있던 대상 이미지가 다운로드(또는 스트리밍) 되는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target image is in a state of being uploaded on the service server 10, and when the user makes a touch input for authoring augmented reality content, the target image stored on the service server 10 is downloaded (or Streaming) may be provided.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 콘텐츠 저작툴에서는 증강현실 화면 상에 증강현실 레이어라는 백그라운드 프레임을 더 두고, 이 증강현실 레이어 상에서 투명한 가상 패널들이 생성되도록 한 뒤 이 가상 패널들 상에서 상기 대상 이미지들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증강현실 레이어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제공되는 구성이며, 이는 다시 말해 상기 증강현실 레이어는 사용자 단말기(20)의 구동에 의해 외부 네트워크 연결 없이도 제공될 수 있는 것임을 의미한다. 상기 증강현실 레이어는 쉽게 말해 증강현실 화면 상에서 대상 이미지들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는 패널 역할을 하는 것이며, 증강현실 레이어 그 자체는 사용자 단말기(20)에 의해 생성이 되도록, 그리고 대상 이미지는 서버로부터 다운로드가 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단말기(20) 상에서의 애플리케이션 구동이 빠르게 실행될 수 있게 할 수 있다. 만일, 증강현실 레이어 자체도 서버로부터 다운로드가 되도록 구현이 되었다면 상기 애플리케이션, 즉 증강현실 콘텐츠 저작툴은 비교적 대용량의 데이터를 필요로 하는 증강현실 레이어를 매번 다운로드 하여야 할 것이므로 사용자가 불편을 느낄 정도로 구동이 느려지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처럼 증강현실 레이어가 사용자 단말기(20)에 의해 자체적으로 생성되고 대상 이미지만을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하게 시스템을 구현하는 경우, 사용자는 증강현실 화면 상에서 자신이 삽입시키고자 하는 대상 이미지들을 빠르게 넘겨볼 수 있는 효과를 경험할 수 있게 된다.Meanwhile, in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authoring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background frame called an augmented reality layer is further placed on the augmented reality screen, transparent virtual panels are created on the augmented reality layer, and then the target images are displayed on the virtual panels. can do. At this time, the augmented reality layer is a configuration provided by the application, which means that the augmented reality layer can be provided without an external network connection by driving the user terminal 20 . In other words, the augmented reality layer serves as a panel on which target images can be displayed on the augmented reality screen, and the augmented reality layer itself is generated by the user terminal 20 and the target image is downloaded from the server. By doing so, application driving on the user terminal 20 can be executed quickly. If the augmented reality layer itself is also implemented to be downloaded from the server, the application, that is,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authoring tool, must download the augmented reality layer that requires a relatively large amount of data each time, so the operation is slow enough to cause inconvenience to the user. will be In addition, as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augmented reality layer is created by the user terminal 20 itself and the system is implemented to download only the target image from the server, the user quickly passes the target images he/she wants to insert on the augmented reality screen You can experience the visible effects.

[증강현실 콘텐츠][Augmented Reality Content]

증강현실 콘텐츠는 사용자가 증강현실 저작툴에 의하여 대상 이미지를 증강현실 레이어에 디스플레이 시킨 결과물을 의미할 수 있으며, 또한 대상 이미지가 증강현실 레이어 상에 디스플레이 된 결과물이 또 다른 포맷의 이미지 또는 영상 등으로 변환(변형)된 것들 역시 증강현실 콘텐츠로 정의될 수 있다. Augmented reality content may refer to a result of a user displaying a target image on an augmented reality layer using an augmented reality authoring tool, and the result of displaying the target image on the augmented reality layer is converted into an image or video in another format (Transformed) things can also be defined as augmented reality content.

다음으로, 서비스 제공부(120)는 사용자 단말기(20) 상에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되는 증강현실 콘텐츠 서비스 전반을 관리하는 구성으로,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입력하는 요청,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업로드 하는 이미지 또는 동영상,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업로드 하는 증강현실 콘텐츠 등을 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그 밖에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함에 있어 필요한 제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Next, the service provider 120 is a configuration that manages the overall augmented reality content service provided through the application on the user terminal 20, a request input by the user through the application, an image or video uploaded through the application, It plays the role of receiving augmented reality contents uploaded through the application. In addition, it serves to provide all interfaces necessary for users to use applications.

<증강현실 콘텐츠 저작 실시예 1(사용자 본인이 직접 제작)><Example 1 of authoring augmented reality contents (produced by the user himself)>

도 2는 앞서 설명한 서비스 서버(10)의 구성요소를 통해 증강현실 콘텐츠가 저작되는 프로세스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2 is a diagram showing in detail a process in which augmented reality content is authored through the components of the service server 10 described above.

서비스 서버(10)를 통해 증강현실 콘텐츠가 제작되려면 먼저,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증강현실 콘텐츠에 쓰일 대상 이미지를 선택하는 단계(S100)부터 시작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촬영하거나 사용자 단말기에 기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를 선택하여 대상 이미지로 사용한다.In order for augmented reality content to be produced through the service server 10, first, it may start from the step (S100) in which a user executes an application to select a target image to be used in augmented reality content. At this time, the user selects an image taken through an application or pre-stored in the user terminal and uses it as a target image.

사용자 단말기(20)에 의해 대상 이미지가 촬영되었거나 또는 사용자에 의해 대상 이미지가 선택된 경우, 애플리케이션에서는AR 카메라가 실행되고 사용자 단말기(20)의 화면 상에는 증강현실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이 때, 애플리케이션에서는 증강현실 레이어를 형성(S110)시켜 언제든지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이 있을 때 대상 이미지를 표시할 준비가 되어 있을 것이다. When a target image is captured by the user terminal 20 or the target image is selected by the user, an AR camera is executed in the application and an augmented reality screen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20 . At this time, the application will be ready to display the target image whenever there is an input from the user by forming an augmented reality layer (S110).

한편, AR카메라는 사용자가 기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카메라기능으로, 상기 AR카메라가 구동되면 기존의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되는 것과 같이 현실세계가 사용자 단말기(20)에 디스플레이 됨과 동시에 증강현실 콘텐츠를 확인하고 제작할 수 있는 상태로 전환된다. On the other hand, the AR camera is a camera function provided by an application pre-installed by a user. When the AR camera is driven, the real world is displayed on the user terminal 20 and augmented reality content is checked at the same time as the existing camera application is driven. and converted to a state that can be produced.

이어서,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AR카메라가 실행되고 증강현실 레이어가 형성되면, 사용자는 증강현실 콘텐츠 저작툴을 사용하여 사용자 단말기 화면 상에서 터치 또는 클릭함으로써 대상 이미지를 삽입(S120)시킬 수 있다. 이 때, 상기 화면 상에서는 대상 이미지가 삽입될 수 있는 영역이 별도 아이콘, 또는 움직이는 이미지 등으로 표시될 수 있다. 대상 이미지가 증강현실 화면 상에서 적절히 삽입되기 위하여서는 대상 이미지가 삽입될 만한 평평한 면(面)이 식별될 필요가 있는데, 애플리케이션에는 증강현실 화면 내에서 소정의 평평한 면을 탐색한 뒤 이를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20)의 화면 상에서는 증강현실 화면이 보임과 동시에 벽면, 바닥면, 천장면, 그 외 대상 이미지가 삽입될 수 있을만한 평평한 면에 대해서는 점멸 화살표, 또는 동심원 애니메이션 등이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해당 면에 대상 이미지 삽입이 가능함을 알릴 수 있다. Subsequently, when the AR camera is executed by the application and the augmented reality layer is formed, the user can insert a target image by touching or clicking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using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authoring tool (S120). At this time, on the screen, an area into which the target image can be inserted may be displayed as a separate icon or a moving image. In order for the target image to be properly inserted on the augmented reality screen, it is necessary to identify a flat surface into which the target image can be inserted. have. For example,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20, an augmented reality screen is displayed, and at the same time, a blinking arrow or concentric circle animation is displayed on a wall surface, a floor surface, a ceiling surface, and other flat surfaces into which a target image can be inserted. By doing so, it can be notified that the target image can be inserted into the corresponding surface.

한편, 증강현실 콘텐츠 저작툴은 사용자로부터 터치와 같은 소정의 입력을 수신하고 이 입력 위치를 기반으로 해당 자리에 대상 이미지를 삽입시킨다. 참고로, 증강현실 콘텐츠 저작툴은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활성화/비활성화할 수도 있으며, 활성화를 한 경우 사용자는 새로운 대상 이미지를 추가로 삽입하는 등의 콘텐츠 편집을 할 수 있고, 비활성화를 한 경우에는 편집이 불가하도록 함과 동시에 타사용자로부터 공유된 증강현실 콘텐츠를 보는 것만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위 활성화/비활성화는 반드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조작되는 것은 아닐 수 있으며, 자신이 제작한 콘텐츠에 대해서는 활성화가 되도록, 타인이 제작한 콘텐츠에 대해서는 비활성화가 되도록 자동으로 조작될 수도 있다. Meanwhile,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s authoring tool receives a predetermined input such as a touch from the user and inserts a target image in the corresponding position based on the input position. For reference,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authoring tool can be selectively activated/deactivated by the user. When activated, the user can edit the content, such as adding a new target image, but cannot edit when deactivated. 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to only view augmented reality content shared by other users. In addition, the above activation/deactivation may not necessarily be manipulated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and may be automatically manipulated so that content produced by the user is activated or deactivated for content produced by others.

한편, 사용자가 터치 입력을 통하여 삽입시키는 대상 이미지는 실질적으로는 상기 증강현실 화면 상에 형성되어 있는 증강현실 레이어 상에, 더 정확하게는 증강현실 레이어 내에 포함되는 가상의 투명한 패널 상에 표시(S130)된다. On the other hand, the target image inserted by the user through a touch input is actually displayed on an augmented reality layer formed on the augmented reality screen, more precisely, on a virtual transparent panel included in the augmented reality layer (S130) do.

이렇게, 대상 이미지가 증강현실 레이어에 디스플레이 되면서 상기 사용자의 증강현실 콘텐츠 제작이 완료(S140)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상기 증강현실 콘텐츠를 또 다른 매체의 포맷으로 변환할 수 있다. In this way, while the target image is displayed on the augmented reality layer, the user's creation of augmented reality content may be completed (S140). Meanwhile, the user may convert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into another media format.

<증강현실 콘텐츠 저작 실시예 2 (기 제작된 대상 이미지 리스트 선택)><Example 2 of Authoring Augmented Reality Content (Selecting a list of pre-produced target images)>

도 3은 도2에서 설명한 증강현실 콘텐츠 저작방법과는 또 다른 방법으로 증강현실 콘텐츠를 저작하는 프로세스이며,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서비스 서버(10)로부터 제공되는 타 사용자의 기 제작된 증강현실 콘텐츠 또는 타사용자가 업로드 한 대상 이미지 리스트 중 하나를 선택하여, 선택되어진 증강현실 콘텐츠 또는 이미지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방식으로 증강현실 콘텐츠를 재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세스이다. 쉬운 예로, A씨가 “사과 이미지”를 활용하여 증강현실 콘텐츠를 제작하고 이 증강현실 콘텐츠를 서비스 서버(10)에 업로드 하였다면, B씨가 서비스 서버(10)에서 제공하는 이미지리스트 및 증강현실 콘텐츠 중 A씨가 제작한 “사과 이미지”를 활용한 증강현실 콘텐츠를 선택하고 이를 실행함으로써 B씨는 A씨의 증강현실 콘텐츠를 봄과 동시에 “사과 이미지”를 활용하여 B씨가 원하는 대로 증강현실 콘텐츠를 재제작하거나 현재 B씨가 위치한 장소에서 A씨의 증강현실 콘텐츠를 시청할 수 있다는 것이다.3 is a process of authoring augmented reality contents in a different way from the method of authoring augmented reality contents described in FIG. This is a process of selecting one of the target image lists uploaded by the user and reproducing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in a desired way through the selected augmented reality content or image. As an easy example, if Mr. A creates augmented reality content using “apple images” and uploads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to the service server 10, Mr. B provides the image list and augmented reality content from the service server 10. Among them, by selecting augmented reality content using the “apple image” produced by A and executing it, Mr. B sees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of Mr. A and at the same time utilizes the “apple image” to make augmented reality content as desired by Mr. B. , or at the place where Mr. B is currently located, he can watch augmented reality contents of Mr. A.

이러한 과정들을 도 3을 통해 자세히 살펴보면, 실시예 2는 먼저 서비스 서버(10)가 사용자 단말기(20)에 대상 이미지 리스트 및/또는 증강현실 콘텐츠 리스트를 제공하는 단계(S200)에서부터 시작된다.Looking at these processes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 , Example 2 first starts from step S200 in which the service server 10 provides a target image list and/or an augmented reality content list to the user terminal 20 .

사용자 단말기(20)가 서비스 서버(10)로부터 이미지 리스트 및/또는 증강현실 콘텐츠 리스트를 제공받게 된 경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제공받은 이미지 리스트 및/또는 증강현실 콘텐츠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대상 이미지 또는 증강현실 콘텐츠를 선택(S210)한다.When the user terminal 20 receives an image list and/or an augmented reality content list from the service server 10, the user terminal receives at least one target image or augmentation from among the provided image list and/or augmented reality content list. The actual content is selected (S210).

사용자 단말기(20)가 서비스 서버(10)가 제공한 이미지 리스트 및 증강현실 콘텐츠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대상 이미지 또는 증강현실 콘텐츠를 선택한 경우, 사용자 단말기(2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서는 AR 카메라가 실행되고 사용자 단말기(20)의 화면 상에는 증강현실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물론 이 때의 증강현실 화면은 증강현실 레이어가 형성되어 있는 상태의 것일 수 있다.(S220)When the user terminal 20 selects at least one target image or augmented reality content from among the image list and augmented reality content list provided by the service server 10, the AR camera is executed in the application installed on the user terminal 20 and the user An augmented reality screen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terminal 20 . Of course, the augmented reality screen at this time may be in a state in which an augmented reality layer is formed. (S220)

증강현실 화면이 표시된 후, 사용자는 증강현실 콘텐츠 저작툴을 사용하여 사용자 단말기 화면상에 터치 또는 클릭함으로써 대상 이미지를 삽입(S230)할 수 있다. 사용자가 증강현실 콘텐츠 저작툴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기 화면상을 터치하거나 입력한 경우, 증강현실 레이어에 대상 이미지 또는 증강현실 콘텐츠가 디스플레이 된다.(S240)After the augmented reality screen is displayed, the user may insert a target image by touching or clicking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using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s authoring tool (S230). When the user touches or inputs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using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authoring tool, the target image or augmented reality content is displayed on the augmented reality layer (S240).

대상 이미지 또는 증강현실 콘텐츠가 증강현실 레이어에 디스플레이되면, 타사용자가 기 업로드한 대상 이미지 또는 증강현실 콘텐츠가 사용자가 현재 위치한 증강현실 화면에 구현되고, 사용자는 구현된 타사용자의 대상 이미지 또는 증강현실 콘텐츠를 보거나 이미지 또는 영상과 같은 다양한 증강현실 콘텐츠로 재제작 함으로써 증강현실 콘텐츠 제작을 마무리 할 수 있다.(S250)When a target image or augmented reality content is displayed on the augmented reality layer, the target image or augmented reality content previously uploaded by another user is implemented on the augmented reality screen where the user is currently located, and the user is able to implement the target image or augmented reality of another user. It is possible to finish the production of augmented reality contents by viewing the contents or reproducing them into various augmented reality contents such as images or videos. (S250)

이렇게 재제작된 증강현실 콘텐츠는 사용자가 서비스 서버(10)에 송신되고(S260), 서비스 서버(10)는 이러한 증강현실 콘텐츠를 저장하고 공유(S270)한다.The user transmits the recreated augmented reality content to the service server 10 (S260), and the service server 10 stores and shares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S270).

<배경템플릿을 통한 증강현실 콘텐츠 제작 프로세스><Process of creating augmented reality content through background template>

다음으로, 도 4는 사용자가 서비스 서버(10)를 통해 증강현실 콘텐츠를 제작할 때에 사용자가 누구나 쉽게 증강현실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배경템플릿에 관한 설명과 배경템플릿을 통해 증강현실 콘텐츠가 제작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Next, FIG. 4 is a description of a background template provided so that anyone can easily create augmented reality content when a user creates augmented reality content through the service server 10, and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is produced through the background template. It is a drawing to explain the process.

[배경 템플릿][Background template]

배경 템플릿은 사용자가 증강현실 콘텐츠 저작을 할 때에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는 프레임을 제공함으로써 쉽게 증강현실 콘텐츠를 저작할 수 있게 가이드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도면에서도 보이는 바와 같이 일반 사각형, 또는 큐브형의 배경 템플릿이 존재할 수 있다. The background template serves as a guide so that users can easily author augmented reality content by providing a frame in which images can be displayed when authoring augmented reality content. A background template may exist.

사각형 배경 템플릿은 가장 기본적인 배경 템플릿 중 하나로 하나의 대상 이미지를 다양한 위치에 표시시키기에 적합한 배경 템플릿이다. 큐브형 배경 템플릿은 육면체 형상의 패널들로 구성된 것으로, 각 면마다 대상 이미지(들)가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큐브형 배경 템플릿은 사용자 본인만의 큐브형 증강현실 레이어 안에서 한 가지 테마로 증강현실 콘텐츠를 제작하기에 적합하다. 쉬운 예로, 큐브형 배경 템플릿은 사용자가 육면체 공간 내에 바다와 관련된 이미지만 삽입시켜 증강현실 콘텐츠를 제작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제작된 증강현실 콘텐츠를 실행한 타사용자들은 바다 이미지로만 구성된 큐브형 배경 템플릿에 내부를 들여다 볼 수 있어 마치 실제 바다에 들어온 것처럼 느끼게 할 수 있다는 것이다.A rectangular background template is one of the most basic background templates and is suitable for displaying one target image in various locations. The cube-shaped background template is composed of hexahedron-shaped panels, and target image(s) may be displayed on each side. This cube-shaped background template is suitable for creating augmented reality content with one theme within the user's own cube-shaped augmented reality layer. As an easy example, a cube-shaped background template allows a user to create augmented reality content by inserting only images related to the sea in a hexahedral space, and other users who have executed the created augmented reality content use a cube-shaped background template composed only of sea images. Because you can look inside, you can feel as if you are actually in the sea.

한편, 배경 템플릿은 앞서 설명한 사각형, 큐브형 배경템플릿으로만 한정되지 않으며, 원형, 원통형, 사각뿔대형, 나무형, 사람형, 동물형 등 여러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서비스 서버(10)를 사용하는 사용자끼리도 직접 배경 템플릿을 제작하여 서로 공유할 수 있도록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background template is not limited to the rectangular and cube-shaped background templates described above, and can be produced in various shapes such as circular, cylindrical, quadrangular pyramid, tree, human, and animal shapes, using the service server 10. A service may be provided so that even users who do this can directly create a background template and share it with each other.

이제 다시 도 4로 돌아와서 배경 템플릿을 통해 증강현실 콘텐츠가 제작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배경 템플릿을 통해 증강현실 콘텐츠가 제작되는 과정은 먼저, 서비스 서버(10)가 배경 템플릿 리스트를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하여 사용자가 배경 템플릿을 선택하는 단계(S300)로부터 시작될 수 있다. Now, returning to FIG. 4 and examining the process of producing augmented reality content through a background template, the process of producing augmented reality content through a background template is first provided by the service server 10 providing a list of background templates through an application to provide the user with a list of background templates. may start from the step of selecting a background template (S300).

배경 템플릿을 선택한 후, 사용자는 대상 이미지를 촬영하거나 또는 기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들로부터 선택(S310)할 수 있다. After selecting the background template, the user may take a target image or select it from pre-stored images (S310).

대상 이미지를 촬영하거나 사용자 단말기(20)에 기 저장된 대상 이미지를 선택한 후, AR 카메라가 실행되고 증강현실 화면이 표시될 수 있으며, 참고로, 화면에는 증강현실 레이어가 형성(S320)되어 있는 상태일 수 있다. 이 때 증강현실 레이어에는 앞서 사용자가 선택한 배경 템플릿, 즉 대상 이미지가 삽입될 사각형 배경 템플릿 또는 큐브형 배경 템플릿이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참고로, 앞서에서는 증강현실 레이어 상에 가상의 투명 패널이 삽입될 수 있음에 대해 언급하였었는데, 이 가상의 투명 패널이 곧 상기 사각형의 배경 템플릿과 동일한 구성일 수 있다. 같은 방식으로, 상기 큐브형의 배경 템플릿은 본질적으로는 육면체 구조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투명 패널들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After capturing a target image or selecting a target image pre-stored in the user terminal 20, the AR camera may be executed and an augmented reality screen may be displayed. For reference, an augmented reality layer may be formed on the screen (S320). can In this case, a background template previously selected by the user, that is, a rectangular background template or a cube-shaped background template into which a target image is to be inserted may be inserted into the augmented reality layer. Also, for reference, it has been mentioned above that a virtual transparent panel can be inserted on an augmented reality layer, and this virtual transparent panel may have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rectangular background template. In the same way, the cube-shaped background template may consist essentially of a plurality of transparent panels constituting a hexahedral structure.

한편, 증강현실 화면이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는 증강현실 콘텐츠 저작툴을 이용하여 화면을 터치함으로써 대상 이미지를 삽입(S330)시킬 수 있고, 원하는 대상 이미지들이 모두 삽입된 후 사용자는 완료 버튼을 누름으로써 증강현실 콘텐츠 저작을 완성(S340)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state where the augmented reality screen is displayed, the user can insert target images by touching the screen using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authoring tool (S330), and after all desired target images are inserted, the user presses the finish button As a result, the authoring of augmented reality content can be completed (S340).

도 5 및 도 6은 앞선 설명에서 언급한 증강현실 콘텐츠의 실제 구현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5 and 6 show the actual implementation of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mentioned in the previous description.

먼저 도 5는, 앞서 도 4(b)의 상단에 표시되어 있던 배경 템플릿 중 사각형 템플릿을 선택하였을 때 구현된 증강현실 콘텐츠를 도시한 것으로, 여기에는 임의의 인물 사진이 대상 이미지(A)로 배경(C) 내에 삽입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참고로, 배경(C)은 현재 스마트폰을 들고 있는 사용자가 현재 서 있는 공간을 촬영한 것이며, 사용자는 스마트폰 화면에 손가락으로 터치를 반복함으로써 여러 개의 대상 이미지(A)들을 삽입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마트폰 화면에 보이는 배경(C)은 실제로는 증강현실 레이어가 형성되어 있는 상태의 것이며, 여기에는 상기 대상 이미지(A)의 위치와 대응되는 복수 개의 투명 패널(B)들이 삽입될 수 있음을 다시 한번 기억하기로 한다. 사용자의 손가락 터치에 의해 삽입되는 것은 실질적으로는 복수 개의 투명 패널(B)들이며, 위 투명 패널(B) 상에 대상 이미지(A)가 표시되는 것임을 다시 한번 이해하기로 한다. First, FIG. 5 shows augmented reality content implemented when a rectangular template is selected among the background templates previously displayed at the top of FIG. It can be confirmed that it is inserted in (C). For reference, the background (C) is a photograph of the space where the user holding the smartphone is currently standing, and the user can insert several target images (A) by repeatedly touching the smartphone screen with a finger. On the other hand, the background (C) visible on the smartphone screen is actually in a state in which an augmented reality layer is formed, and a plurality of transparent panels (B)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target image (A) can be inserted therein. Let us remember once again that there is It will be understood once again that what is inserted by the user's finger touch is substantially a plurality of transparent panels B, and the target image A is displayed on the transparent panels B.

다음으로 도 6은, 앞서 도 4(b)의 상단에 표시되어 있던 배경 템플릿 중 큐브형 템플릿을 선택하였을 때 구현된 증강현실 콘텐츠를 도시한 것으로, 도 6의 (a)는 큐브형 템플릿의 내측면에 표시될 대상 이미지(D), 및/또는 큐브형 템플릿의 내부공간(큐브형 템플릿의 면(面)들에 의해 형성되는 내측 공간)에 표시될 대상 이미지(E)를 선택하는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것이며, 도 6의 (b)는 증강현실 화면 내에 삽입된 큐브형 템플릿(F), 그리고 부가적으로 해시태그 메시지(G)가 삽입된 상태의 증강현실 콘텐츠를 도시한 것이다. Next, FIG. 6 shows augmented reality content implemented when a cube-type template is selected among the background templates previously displayed at the top of FIG. 4 (b), and FIG. 6 (a) shows the inside of the cube-type template. Shows an interface for selecting a target image D to be displayed on the side and/or a target image E to be displayed on the inner space of the cube-shaped template (the inner space formed by the faces of the cube-shaped template) 6(b) shows augmented reality content in a state in which a cube-shaped template (F) inserted into an augmented reality screen and a hashtag message (G) are additionally inserted.

도 6의 (b)에서 볼 수 있듯 큐브형 템플릿은 사용자가 현재 서 있는 공간에 가상의 큐브, 내측면에 대상 이미지들이 디스플레이 되어 있는 가상의 큐브가 형성된 것과 같은 효과를 불러일으키며, 사용자는 스마트폰 화면을 든 상태에서 마치 큐브 내부로 입장하는 것과 같은 경험을 느낄 수 있게 된다. As can be seen in (b) of FIG. 6, the cube-shaped template brings about the effect of forming a virtual cube in the space where the user is currently standing and a virtual cube with target images displayed on the inner side, and the user can use a smartphone You can feel the same experience as entering the inside of the cube while holding the screen.

이러한 큐브형 템플릿은 다양한 용도로 활용이 가능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장소에 구애 받지 않는 나만의 갤러리로 활용이 가능할 수 있으며, 또는 미술전시 주체에 의해 증강현실 콘텐츠가 제공되는 경우에는 장소에 구애 받지 않는 가상 미술관으로 활용이 가능할 수도 있고, 나아가 상품을 광고하는 가상 광고부스로 활용이 가능할 수도 있다. This cube-shaped template can be used for various purposes, for example, it can be used as your own gallery regardless of location, or if augmented reality content is provided by the art exhibition subject, it can be used regardless of location. It can be used as a virtual art museum that does not exist, or as a virtual advertising booth that advertises products.

이상, 서비스 서버(10)의 서버 구성과 증강현실 콘텐츠 제작과정, 그리고 실제 제작된 증강현실 콘텐츠를 살펴보았다.Above, the server configuration of the service server 10,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s production process, and the actually produced augmented reality contents have been looked at.

<제 1 실시 예: 광고 서비스 제공방법><Embodiment 1: Advertising Service Provision Method>

앞서에서는 본 발명의 주된 특징이라 할 수 있는 증강현실 콘텐츠 제작 과정, 그리고 증강현실 콘텐츠의 실제 구현예에 대해 살펴 보았다. 이하에서는 증강현실 콘텐츠를 활용하여 소비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는 광고 서비스에 대해서도 설명을 하고자 한다.In the above, we looked at the process of producing augmented reality contents, which can be said to be the main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ctual implementation of augmented reality contents. Hereinafter, advertisement services that can be provided to consumers using augmented reality contents will also be described.

도 7은 제 1실시 예에 따른 증강현실 광고 서비스 제공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an augmented reality advertisement ser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광고를 하고자 하는 사용자 즉, 광고주가 광고주 단말기(21)를 통하여 서비스 서버(10)에 광고를 의뢰하기 위해서는 먼저 광고주 단말기(21)가 서비스 서버(10)에 광고를 요청하는 단계(S400)로부터 시작될 수 있다. In order for a user who wants to advertise, that is, an advertiser to request an advertisement from the service server 10 through the advertiser terminal 21, the advertiser terminal 21 first requests the service server 10 for an advertisement (S400). can

광고주 단말기(21)가 서비스 서버(10)에 광고를 요청한 경우, 서비스 서버(10)는 광고주 단말기(21)측으로 광고 조건을 입력하라는 요청을 전송(S410)할 수 있다. When the advertiser terminal 21 requests an advertisement from the service server 10, the service server 10 may transmit a request to input advertisement conditions to the advertiser terminal 21 (S410).

서비스 서버(10)로부터 광고 조건 입력 요청을 수신한 경우, 광고주 단말기(10)는 광고주의 의사에 따라 광고 조건을 입력(S420)할 수 있다. 광고 조건은 광고가 되는 지역, 광고가 되는 시간, 광고의 타겟이 되는 대상(소비자)의 성별, 광고의 타겟이 되는 대상의 연령, 직업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광고 조건에는 광고주가 자신의 광고를 삽입하고자 하는 특정 증강현실 콘텐츠(광고주 자신이 직접 제작한 증강현실 콘텐츠, 또는 타인이 제작한 증강현실 콘텐츠), 또는 콘텐츠 카테고리도 포함될 수 있으며, 타겟이 되는 대상의 특정 행동(일정 속도 이상으로 달리기, 바닥면으로부터 기 설정된 높이만큼 엎드리기 등)이 광고를 실행시키기 위한 조건으로서 입력될 수도 있다. 또한, 증강현실 콘텐츠 내에서 광고가 표시될 영역(예. 타겟을 중심으로 5m 이내에서만 광고를 표시될 것), 광고가 표시될 영역의 크기(예. 반드시 3m X 3m 이상의 면적이 식별될 때에만 광고를 표시할 것) 등과 같은 조건들도 입력될 수 있다. 또는 그 밖에 광고를 노출 시키는 데에 있어 정해질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조건들이 입력될 수 있다. Upon receiving a request for inputting advertisement conditions from the service server 10, the advertiser terminal 10 may input advertisement conditions according to the intention of the advertiser (S420). The advertisement condition may include an advertisement area, an advertisement time, a gender of an advertisement target (consumer), an advertisement target age, occupation,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advertising conditions may also include specific augmented reality content (augmented reality content produced by the advertiser himself or augmented reality content produced by others) or content categories in which the advertiser wants to insert his/her advertisement, and the target A specific action of the target (running at a certain speed or higher, lying down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floor, etc.) may be input as a condition for running the advertisement. In addition, the area where the advertisement will be displayed within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eg, the advertisement will be displayed only within 5m of the target), the size of the area where the advertisement will be displayed (eg, only when an area of 3m X 3m or more is identified) displaying an advertisement) and the like may also be input. Alternatively, various types of conditions that can be determined in exposing the advertisement may be input.

참고로 상기 광고 요청 단계, 또는 광고 조건 입력 단계에서는 광고주 단말기(21)가 서비스 서버(10) 측으로 광고용 콘텐츠(이미지 또는 동영상)를 전달할 수 있다. For reference, in the advertisement request step or advertisement condition input step, the advertiser terminal 21 may deliver advertisement content (image or video) to the service server 10.

한편, 광고 조건들의 입력이 이루어진 후, 서비스 서버(10)는 상기 광고 조건에 맞추어 타겟 단말기(22)들을 대상으로 광고를 실행하게 된다. 이를 위해 서비스 서버(10)는 먼저 광고를 노출시키고자 하는 증강현실 콘텐츠들을 탐색(S430)할 수 있다. 광고를 노출시키고자 하는 증강현실 콘텐츠들을 탐색하는 과정은, 또 다른 측면에서는 타겟 단말기(22)에서 플레이 되고 있는, 또는 타겟 단말기(22)에서 플레이 될 예정인 증강현실 콘텐츠들을 탐색하는 과정으로도 이해될 수 있다. 서비스 서버(10) 상에 업로드 되어 있는 수 많은 증강현실 콘텐츠 모두에 광고를 할 수 없는 이상 서비스 서버(10)로서는 어느 콘텐츠에, 또는 타겟(소비자)에게 광고 노출을 할 것인지 특정하여야 하는데, 앞서 광고주가 입력한 광고 조건을 참고하여 광고를 노출시키기 위한 증강현실 콘텐츠, 또는 타겟을 특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서버(10)는 '카메라' 제품의 광고를 위해서 '여행, 풍경' 키워드를 가지는 증강현실 콘텐츠들을 탐색 및 특정할 수 있고, 또는, 서비스 서버(10)는 '학습지' 광고를 위해서 사용자 개인정보 상에 연령대가 10대로 입력되어 있는 사용자들, 혹은 직업이 '중학생, 고등학생'으로 입력되어 있는 사용자들을 타겟으로 특정할 수 있다.Meanwhile, after the advertisement conditions are entered, the service server 10 executes advertisements targeting the target terminals 22 according to the advertisement conditions. To this end, the service server 10 may first search (S430) augmented reality contents for which advertisements are to be exposed. The process of searching for augmented reality contents for which advertisements are to be exposed can also be understood as a process of searching for augmented reality contents being played in the target terminal 22 or scheduled to be played in the target terminal 22 in another aspect. can As long as it is impossible to advertise in all of the numerous augmented reality contents uploaded on the service server 10, the service server 10 must specify which content or target (consumer) to expose the advertisement to. Augmented reality content for exposing an advertisement or a target may be specified by referring to the advertisement condition input by the user. For example, the service server 10 may search for and specify augmented reality contents having a keyword 'travel, landscape' for advertisement of a 'camera' product, or the service server 10 may display an advertisement for 'tutorial materials'. To this end, it is possible to specify users whose age group is entered as 10 in the user's personal information, or users whose occupation is entered as 'middle school student or high school student' as targets.

다른 한편, 상기 광고를 노출시키고자 하는 콘텐츠 또는 타겟을 탐색 및 특정하는 단계에서는 서비스 서버(10)가 임의의 증강현실 콘텐츠의 상태, 또는 타겟 단말기(22)의 상태를 모니터링 하는 과정(S440)이 수반될 수 있다. 즉, 서비스 서버(10)는 광고 노출 대상이 되는 콘텐츠 또는 타겟을 탐색하기 위해 현 시점에서 어떤 증강현실 콘텐츠가 어떤 사용자에 의해 실행되고 있는지, 그 사용자는 현재 어디에서 콘텐츠를 실행시키고 있는지 등과 같은 정보들을 수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4세 남자 직장인에 의해 여행 콘텐츠가 실행되고 있을 때, 그리고 상기 남자 직장인의 현재 위치(스마트폰을 통해 수집되는 위치정보)가 특정 전자제품 매장인 것으로 파악되었을 때, 서비스 서버(10)는 상기 직장인이 보고 있는 콘텐츠 내에 카메라 제품의 광고를 삽입시켜 노출시킬 수 있다. 이처럼 서비스 서버(10)가 임의의 증강현실 콘텐츠의 상태, 또는 타겟 단말기의 상태를 모니터링 하는 과정은 서비스 서버(10)로 하여금 실시간으로 광고 노출의 대상을 탐색 및 특정할 수 있게 해 주며, 이를 통해서는 광고 효과를 크게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step of searching for and specifying the content or target to display the advertisement, the service server 10 monitors the state of any augmented reality content or the state of the target terminal 22 (S440). may accompany That is, the service server 10 provides information such as which augmented reality content is currently being executed by which user and where the user is currently executing the content in order to search for content or target to be exposed to advertisements. can collect them. For example, when travel content is being executed by a 24-year-old male office worker, and when the male office worker's current location (location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a smartphone) is determined to be a specific electronic product store, the service server (10 ) can be exposed by inserting an advertisement for a camera product into the content that the office worker is watching. As such, the process of monitoring the state of any augmented reality content or the state of the target terminal by the service server 10 enables the service server 10 to search for and specify the target of advertisement exposure in real time, and through this has the advantage of greatly increasing the effectiveness of advertising.

한편, 노출시키고자 하는 콘텐츠 또는 타겟이 특정된 후에는 서비스 서버(10)가 해당 콘텐츠가 실행될 때에, 또는 해당 타겟이 임의의 콘텐츠를 실행할 때에 광고를 디스플레이(S450) 할 수 있다. Meanwhile, after content or target to be exposed is specified, the service server 10 may display an advertisement when the corresponding content is executed or when the target executes arbitrary content (S450).

이상,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증강현실 광고 서비스 제공방법 살펴보았다.In the above, the augmented reality advertisement service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looked at.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증강현실 광고 서비스 제공방법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한다.Next, a method for providing an augmented reality advertisement ser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제 2 실시 예: 광고 서비스 제공방법><Second Embodiment: How to Provide Advertisement Service>

도 8은 광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8 illustrates another embodiment of a method of providing an advertisement service.

제 2 실시 예에 따른 증강현실 광고 서비스 제공방법은 제 1 실시 예에 따른 증강현실 광고 서비스 제공방법과 비교할 때 광고주 단말기(21)가 광고 조건을 입력하는 단계 이전까지는 동일하여 이전 단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광고 조건을 입력하는 단계서부터 설명하도록 한다.Compared with the augmented reality advertisement service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the augmented reality advertisement service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s the same until the advertiser terminal 21 inputs the advertisement condition, so the description of the previous step is the same. It will be omitted and will be described from the step of inputting the advertisement conditions.

제 2 실시 예에 따른 증강현실 광고 서비스 제공방법에서의 광고 조건 입력 단계(S520)는 광고주 단말기(21)가 타겟의 조건을 입력하는 단계, 즉 광고를 보이고 싶은 소비자들을 특정하는 단계일 수 있다. The advertisement condition input step (S520) in the augmented reality advertisement service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may be a step in which the advertiser terminal 21 inputs target conditions, that is, a step for specifying consumers who want to show an advertisement.

이렇게 광고 조건 선택 단계에서 광고 조건을 특정 시청자를 타겟팅 하도록 선택한 경우, 서비스 서버(10)는 광고주 단말기(21)가 선택한 타겟 단말기(22)들을 탐색(S530)하여 광고 노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일 예로, 광고주가 20대 연령층을 타겟팅하여 광고하고 싶으면 해당 연령대의 타겟 단말기(22)들을 탐색할 수 있으며, 이 탐색 과정에는 타겟 단말기(22)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광고식별자(ADID, IDFA)가 활용될 수 있다. 또한, 광고식별자가 아니라 할 지라도 사용자가 각자 입력해 둔 사용자 정보, 즉 나이, 성별, 직업 등과 같은 정보들이 타겟 단말기(22)를 특정하는 데에, 혹은 타겟 소비자들을 특정하는 데에 활용될 수 있다. In this way, in the advertisement condition selection step, when the advertisement condition is selected to target a specific viewer, the service server 10 searches for the target terminals 22 selected by the advertiser terminal 21 (S530) so that the advertisement can be exposed. For example, if an advertiser wants to advertise by targeting a 20-something age group, he or she can search for target terminals 22 of that age group. can be utilized In addition, even if it is not an advertising identifier, user information entered by each user, that is, information such as age, gender, occupation, etc., can be used to specify the target terminal 22 or target consumers. .

한편, 광고를 노출시키고자 하는 타겟 단말기(22)들이 특정된 후, 서비스 서버(10)는 해당 타겟 단말기(22)들에서 증강현실 콘텐츠가 실행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S540) 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타겟 단말기(22)의 사용자가 로그인(접속) 하였는지 여부, 그리고 해당 타겟 단말기(22)에서 증강현실 콘텐츠가 실행되었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fter the target terminals 22 for which advertisements are to be exposed are specified, the service server 10 may monitor (S540) whether augmented reality content is executed in the corresponding target terminals 22. For example,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monitor whether a user of the target terminal 22 has logged in (connected) and whether augmented reality content has been executed in the corresponding target terminal 22 .

이후, 서비스 서버(10)는 상기 특정된 타겟 단말기(22), 즉 상기 사용자에 의해 플레이 되고 있는 증강현실 콘텐츠 내에 광고를 디스플레이(S550) 할 수 있다. Thereafter, the service server 10 may display an advertisement in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being played by the specified target terminal 22, that is, the user (S550).

이상,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증강현실 광고 서비스 제공방법 살펴보았다.In the above, the augmented reality advertisement service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looked at.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증강현실 광고 서비스 제공방법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한다.Next, a method for providing an augmented reality advertisement ser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제 3 실시 예: 광고 서비스 제공방법(특정 위치에 도달)><Third Embodiment: Method of Providing Advertising Service (Arriving at a Specific Location)>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증강현실 광고 서비스 제공방법은 광고주 단말기(21)가 특정 지역 또는 특정 위치에 존재할 때에 서비스 서버(10)가 광고를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A method for providing an augmented reality advertisement ser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displaying an advertisement by the service server 10 when the advertiser terminal 21 exists in a specific region or a specific location.

도 9를 참고하여 제 3 실시 예를 살펴보면, 광고주 단말기(21)는 광고 조건 입력 단계에서 특정 지역 또는 특정 위치를 입력(S620)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고주는 강남구 지역 내에서만 광고 노출을 하고 싶어할 수 있으며, 또는 강남구 중에서도 백화점 건물 주변 반경 50m 내에서만 광고 노출을 하고 싶어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광고주는 자신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서비스 서버(10)측에 특정 지역, 또는 특정 위치를 정의하는 광고 조건 입력을 할 수 있다.Looking at the third embodiment with reference to FIG. 9 , the advertiser terminal 21 may input a specific area or location in the advertisement condition input step (S620). For example, an advertiser may want to expose an advertisement only within the Gangnam-gu area, or may want to expose an advertisement only within a radius of 50 m around a department store building in Gangnam-gu. To this end, the advertiser may use his terminal to input advertisement conditions defining a specific region or specific location to the service server 10 side.

이렇게 광고 조건이 설정된 후, 서비스 서버(10)는 서비스 서버(10)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이 상기 광고 조건을 충족시키는 위치에 존재하는지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S630) 할 수 있다. 이 때 모니터링은 임의의 사용자 단말기들, 즉 타겟 단말기(22)들이 서비스 서버(10)와 위치정보를 공유하게 구현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타겟 단말기(22)에서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었거나 또는 증강현실 콘텐츠가 실행되었을 때 타겟 단말기(22)로 하여금 주기적으로 서비스 서버(10) 측에 위치정보를 공유하게 함으로써 모니터링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After the advertisement condition is set in this way, the service server 10 may monitor in real time whether users using the service server 10 exist in a position satisfying the advertisement condition (S630). At this time, monitoring can be performed by implementing arbitrary user terminals, that is, target terminals 22 to share location information with the service server 10. For example, an application is executed in the target terminal 22 or augmented reality. Monitoring may be performed by having the target terminal 22 periodically share location information with the service server 10 when content is executed.

한편, 서비스 서버(10)는 임의의 타겟 단말기(22)로부터 수집된 위치정보로부터 해당 사용자가 광고 조건을 충족시키는지를 판단(S640)할 수 있고, 판단 결과 해당 사용자 및 타겟 단말기(22)가 특정 위치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면 증강현실 콘텐츠 내에 광고를 디스플레이(S650)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ervice server 10 may determine (S640) whether the corresponding user satisfies the advertisement condition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collected from any target terminal 22, and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the corresponding user and the target terminal 22 are specified. If it is determined to exist at the location, an advertisement may be displayed in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S650).

일 예로, 특정 위치에서 임의의 사용자가 증강현실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켰다면, 이 때의 위치정보가 서비스 서버(10)에 공유될 수 있으며, 서비스 서버(10)는 상기 사용자가 보게 될 증강현실 콘텐츠 내에 광고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임의의 사용자가 증강현실 콘텐츠를 보면서 이동 중인 경우에도 서비스 서버(10)는 상기 사용자의 타겟 단말기(22)로부터 위치정보를 주기적으로 공유 받을 수 있고, 사용자가 특정 지역 내로 혹은 특정 위치에 도달하였다고 판단되면 증강현실 콘텐츠 내에 광고를 디스플레이 할 수도 있다. For example, if an arbitrary user executes an augmented reality application at a specific location, the location information at this time may be shared with the service server 10, and the service server 10 advertises in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that the user will see. can display. As another example, even when a user is moving while viewing augmented reality content, the service server 10 may periodically receive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target terminal 22 of the user, and the user may enter a specific area or a specific loc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has been reached, an advertisement may be displayed within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자신의 타겟 단말기(22)로 증강현실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킨 것을 전제로만 광고 노출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설명하였는데, 증강현실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있지 않은 상태라도 특정 지역 또는 특정 위치 접근 시 상기 사용자에게 푸시 메시지를 보냄으로써 증강현실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유도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is embodiment, it has been described that advertisement exposure can be made only on the premise that the user has executed the augmented reality application on his or her target terminal 22, even when the augmented reality application is not running in a specific region or specific location. Upon access, execution of the augmented reality application may be induced by sending a push message to the user.

이상, 본 발명의 제 3실시 예에 따른 증강현실 광고 서비스 제공방법 살펴보았다.In the above, the augmented reality advertisement service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looked at.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증강현실 광고 서비스 제공방법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한다.Next, a method for providing an augmented reality advertisement servic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제 4 실시 예: 광고 서비스 제공방법(사용자간의 광고 계약)><Embodiment 4: Advertising service provision method (advertisement contract between users)>

도 10은 제 4 실시 예에 따른 증강현실 콘텐츠를 활용하여 광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 광고 서비스 제공방법에는 사용자 단말기(20)와 광고주 단말기(21)간의 광고 계약에 관한 광고 서비스 제공방법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의 광고주 단말기(21)는 직접 광고에 사용되는 콘텐츠(이미지, 동영상 등)를 따로 제작할 수는 있으나 증강현실 콘텐츠 자체를 직접 제작하지는 않는 경우를 상정한 것이다. 다시 말해, 광고주 본인이 광고할 무언가를 직접 광고 하지 않고 광고를 대신해주는 대상자를 물색하고 물색한 대상자에게 광고를 요청하고 광고 요청을 수락하면 광고 결과 값에 따라 돈을 지불하면서 광고를 할 수 있게 한 것이다.10 is a diagram specifically showing a method of providing an advertisement service by utilizing augmented reality content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In the method of providing an advertisement service, an advertisement concerning an advertisement contract between a user terminal 20 and an advertiser terminal 21 is shown. A service provision method may be included. Here, the advertiser terminal 21 assumes a case in which content (image, video, etc.) used for direct advertisement can be separately produced, but augmented reality content itself is not directly produced. In other words, instead of directly advertising something to be advertised, the advertiser searches for a target to replace the advertisement, requests an advertisement from the searched target, and accepts the advertisement request, paying money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advertisement. will be.

이렇게 광고주 단말기(21)가 물색하는 대상자는 주로 증강현실 콘텐츠를 제작하는 인플루언서, 유명 연예인, 유명 인사일 수 있으며 증강현실 콘텐츠 시청자가 몰릴 수 있는 화제의 인물이 될 수 있다. In this way, the target the advertiser terminal 21 searches for may be an influencer who mainly produces augmented reality content, a famous celebrity, or a celebrity, and may be a hot topic that viewers of augmented reality content may flock to.

하지만, 광고주가 이러한 인플루언서를 일일이 찾아가 광고를 요청하기에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에 따라 서비스 서버(10)는 이러한 번거로움을 해소해주고 새로운 광고시장을 구축하기 위하여, 광고주와 증강현실 콘텐츠를 제작하는 사용자 사이에 개입되어 중개해주거나 매칭해 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고주 단말기(21)가 서비스 서버(10)에 광고 의뢰를 하면, 서비스 서버(10)는 광고주에게 원하는 증강현실 컨텐츠 제작자가 있는지 여부를 물어보거나 적합자 조건을 물어볼 수 있으며, 조건에 따라 서비스 서버(10)가 적합자를 찾아 광고 요청을 전달하거나 모든 인플루언서, 유명 인사들에게 광고 요청을 배포할 수 있다.(S720) 또는 서비스 서버(10)는 광고주에게 별도 적합자를 묻지 않은 채 자체적으로 적합자를 찾아 광고 요청을 할 수도 있다. However, it is cumbersome for advertisers to visit these influencers one by one and request advertisements. Accordingly, the service server 10 may intervene between advertisers and users who produce augmented reality content to play a role of intermediary or matching in order to relieve such troubles and build a new advertising market. For example, when the advertiser terminal 21 requests an advertisement to the service server 10, the service server 10 may ask the advertiser whether there is a desired augmented reality content creator or ask the suitable person condition, and according to the condition Accordingly, the service server 10 may find a suitable person and deliver the advertisement request or distribute the advertisement request to all influencers and celebrities (S720). Alternatively, the service server 10 may not ask the advertiser for a suitable person separately. You can also find a suitable person on your own and make an ad request.

이이서, 증강현실 콘텐츠를 제작하는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기(20)가 서비스 서버(10)로부터 이러한 광고 요청을 수신한 경우, 사용자가 해당 광고에 대한 증강현실 콘텐츠 제작을 원하면 광고 요청을 수락(S730)한다. 수락 과정에서는 사용자 단말기(20)가 서비스 서버(10)와 광고 조건을 공유하는 과정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의 광고 조건은 사용자 단말기(20)와 광고주 단말기(21) 간의 협의에 따른 광고 조건일 수 있으며, 서비스 서버(10)에 의해 중개될 수 있다. 광고 조건 중에는 광고 기간, 광고 시간, 방문자 당 지불 비용 등에 대한 조건들이 포함될 수 있다.Subsequently, when the user's terminal 20 producing augmented reality contents receives such an advertisement request from the service server 10, if the user wants to produce augmented reality contents for the advertisement, the advertisement request is accepted (S730) do. The acceptance process may further include a process in which the user terminal 20 shares advertisement conditions with the service server 10 . The advertisement condition here may be an advertisement condition according to an agreement between the user terminal 20 and the advertiser terminal 21, and may be brokered by the service server 10. Among the advertisement conditions, conditions for advertisement period, advertisement time, cost per visitor, and the like may be included.

이 후, 서비스 서버(10)는 타겟 단말기, 타겟 소비자들을 탐색(S740)한 후 탐색된 타겟 단말기(22) 측 증강현실 콘텐츠에 광고를 디스플레이(S750)할 수 있다. Thereafter, the service server 10 may search for target terminals and target consumers (S740) and display advertisements on the searched augmented reality content on the target terminal 22 (S750).

<제 5 실시 예: 광고 서비스 제공방법(광고 결과 분석)><Fifth Embodiment: Advertising service providing method (advertising result analysis)>

본 발명의 제 5실시 예에 따른 증강현실 광고 서비스 제공방법은 서비스 서버(10)에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 중 하나의 실시 예이며, 광고 조건이 적용된 증강현실 콘텐츠에 대한 광고 결과를 분석해주는 서비스의 실시 예이다.A method for providing an augmented reality advertisement service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ne of the services provided to users by the service server 10, and is a service that analyzes advertisement results for augmented reality content to which advertisement conditions are applied. This is an example.

도 11에 따른 서비스 서버(10)는 증강현실 콘텐츠의 광고 결과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실시간으로 콘텐츠 사용자들의 광고 시청 횟수, 방문 횟수를 분석하기 위하여 모니터링(S800)을 시작한다.The service server 10 according to FIG. 11 starts monitoring (S800) to analyze the number of times of watching advertisements and visits of content users in real time in order to analyze the advertisement results of augmented reality content.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중인 서비스 서버(10)에 광고주 단말기(20)가 광고 결과를 분석 요청(S810) 한 경우, 서비스 서버(10)는 광고 결과를 분석(S820)한 후 광고 분석 결과값을 광고주 단말기(20)에 송신(S830)하고 분석 결과값은 사용자 단말기(20)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 된다.When the advertiser terminal 20 requests the service server 10 being monitored in real time to analyze the advertisement result (S810), the service server 10 analyzes the advertisement result (S820), and then returns the advertisement analysis result value to the advertiser terminal (S820). 20) is transmitted (S830) and the analysis result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20.

도 11의 (b)를 참고할 때, 서비스 서버(10)에 의해 분석되는 광고 결과 내용 중에는 광고 시청 횟수, 웹사이트 방문 횟수, 사용자의 프로필 조회수, 시청자의 성별, 연령, 지역, 주요 시청 시간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추가적인 광고 분석 내용들이 포함될 수 있다.Referring to (b) of FIG. 11, among the advertisement results analyzed by the service server 10, the number of advertisements viewed, the number of website visits, the number of user profile views, the viewer's gender, age, region, major viewing time, etc. It may be includ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additional advertisement analysis contents may be included.

<광고 서비스 활용 예><Examples of using advertising services>

한편, 도 12 내지 도 13은 광고 조건이 적용된 증강현실 콘텐츠가 타겟 단말기, 즉 소비자의 단말기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 되는 장면을 나타낸 도면들이다.Meanwhile, FIGS. 12 to 13 are diagrams illustrating scenes in which augmented reality content to which advertisement conditions are applied is displayed on a screen of a terminal of a target terminal, that is, a consumer.

도 12에 따르면, 타겟 단말기가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AR 카메라를 구동하였을 때 화면 상에 사용자 AR과 광고 AR이 디스플레이 된 것을 알 수 있다. According to FIG. 12, it can be seen that user AR and advertisement AR are displayed on the screen when the target terminal drives the AR camera through the application.

사용자 AR은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의 증강현실 콘텐츠 저작툴을 통해 직접 제작한 증강현실 콘텐츠이거나 타사용자가 제작하여 업로드된 증강현실 콘텐츠를 사용자가 활용하여 재제작한 증강현실 콘텐츠 일 것이다. User AR may be augmented reality content created by the user through the application's augmented reality content authoring tool, or augmented reality content recreated by the user using augmented reality content produced and uploaded by other users.

광고 AR은 누군가 광고를 목적으로 제작한 증강현실 콘텐츠일 수 있다. Advertising AR may be augmented reality content created by someone for the purpose of advertising.

사용자 AR은 콘텐츠 저작툴을 통해 사용자가 언제 어디서든 얼마든지 화면 상의 원하는 위치에 터치하여 이미지를 삽입시킬 수 있지만, 광고 AR은 광고 조건에 따라서 표시되는 영역(위치), 시간 등이 달라질 수 있고, 사용자가 임의로 변경할 수 없도록 조작이 제한될 수 있다. User AR allows the user to insert an image by touching a desired location on the screen anytime, anywhere through a content authoring tool. Operation can be restricted so that can not be arbitrarily changed.

한편, 상기 광고AR은 특정 조건에서만 디스플레이가 되도록 구현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특정한 면을 AR 카메라로 촬영하여야만 광고가 포함된 증강현실 콘텐츠가 실행될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특정한 면을 촬영했더라도 특정한 시간이 되어야만 광고가 노출되도록 할 수 있으며, 특정 위치, 특정 이벤트 조건(ex, 경기의 승리 또는 패배)에 해당해야지만 광고가 노출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광고 AR은 증강현실 콘텐츠 내에서 어느 위치에 얼마나 크게 표시가 되는지에 따라 과금 비용이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광고 AR이 사용자가 75도 각도로 스마트폰을 들어야지만 볼 수 있는 위치에 표시가 되는 조건과 사용자가 정면으로 스마트폰을 들면 곧바로 볼 수 있는 위치에 표시되는 조건이 있다면 당연히 후자의 광고 AR이 더 비용이 많이 들게 될 것이다. 또한, 광고 AR의 디스플레이 면적도 넓을수록 비용이 더 많이 과금될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advertisement AR can be implemented to be displayed only under specific conditions. For example, augmented reality content including an advertisement can be executed only when a specific surface is photographed with an AR camera, and even if a specific surface is photographed, a specific The advertisement may be exposed only when the time is right, and the advertisement may be exposed only when a specific location and a specific event condition (eg, winning or losing a game) is met. On the other hand, the billing cost of the advertisement AR may vary depending on where and how large it is displayed in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For example, if there is a condition in which the advertisement AR is displayed in a position where the user can only see it when the user holds the smartphone at an angle of 75 degrees, and a condition in which the advertisement AR is displayed in a position where the user can see it immediately when the user holds the smartphone in front, of course, the latter Advertising AR will become more expensive. In addition, the wider the display area of the advertising AR, the higher the cost will be charged.

한편, 도13은 광고 조건이 적용된 증강현실 콘텐츠의 또 다른 활용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의 상황을 설명하자면, 서비스 서버(10)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성탄절에 크리스마스트리 앞을 지나갈 때에 애플리케이션 푸시메시지로 “AR Spot에 도착하였습니다.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해주세요”라는 메시지가 전달될 수 있으며, 이를 본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 AR 카메라가 구동되어 증강현실 서비스를 체험할 수 있을 수 있다. 나아가 사용자가 AR 카메라를 통해 크리스마스 트리를 촬영하면, 광고를 하고자 하는 광고 AR, 즉 광고주가 제작하여 서비스 서버(10) 측에 업로드 한 광고 콘텐츠가 상기 사용자의 증강현실 화면 상에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도 13에서의 광고 콘텐츠는 핸드백 제품에 관한 것인데, 이 때 핸드백 제품은 실제 크리스마트 트리에 걸려 있는 것과 같은 모습으로 구현됨으로써 사용자에게 자연스러운 광고 노출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광고 제품이 표시되는 화면 영역에는 제품 사진뿐만 아니라 제품과 관련된 정보들(가격, 구입 가능한 매장, 재질, 크기 등)이 함께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쉽게 제품 정보를 접하게 할 수도 있다. Meanwhile, FIG. 1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utilization example of augmented reality content to which advertisement conditions are applied. To explain the situation of FIG. 13, when a user using the service server 10 passes in front of a Christmas tree on Christmas Day, an application push message says “Arrived at AR Spot. Please run the application” may be delivered, and when the user who sees this executes the application, the AR camera may be driven to experience the augmented reality service. Furthermore, when the user takes a picture of the Christmas tree through the AR camera, the advertisement AR to be advertised, that is, the advertisement content produced by the advertiser and uploaded to the service server 10 may be displayed on the user's augmented reality screen. Meanwhile, the advertising content in FIG. 13 relates to a handbag product. At this time, the handbag product is implemented in the same shape as a real Christmas tree, so that the user can be exposed to the advertisement naturally. In addition, the screen area where the advertised product is displayed displays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oduct (price, store available for purchase, material, size, etc.) as well as the product picture, so that the user can easily access product information.

또한, 도 13에서의 광고 콘텐츠는 평평한 면이 아닌 나뭇가지에 걸려 있는 상태로 구현되어 있음을 알 수 있는데, 이처럼 광고 AR은 반드시 평평한 면(面)에 표시될 필요는 없고 광고주의 요청에 따라, 또는 서비스 서버(10)에서의 조작에 따라 실제 현장에 존재하는 사물들과 조화를 이루어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the advertising content in FIG. 13 is implemented in a state hanging from a tree branch rather than a flat surface. In this way, the advertisement AR does not necessarily need to be displayed on a flat surface, Alternatively, according to an operation in the service server 10, it may be displayed in harmony with objects existing in the actual site.

이상 증강현실 콘텐츠를 활용한 광고 서비스 시스템 및 광고 방법에 대한 실시 예를 모두 살펴보았다.All embodiments of an advertising service system and an advertising method using augmented reality contents have been examined.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 및 응용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구별되어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and application examples described above,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lementation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Of course, these modifications should not be understood separately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perspec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서비스 서버(10)
사용자 단말기(20)
광고주 단말기(21)
시청자 단말기(22)
통신부(100)
저장부(110)
서비스 제공부(120)
Service Server (10)
User terminal (20)
Advertiser Terminal (21)
Viewer Terminal (22)
Communication unit (100)
storage unit 110
Service provider (120)

Claims (5)

삭제delete 삭제delete 사용자 단말기 상에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증강현실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사용자로부터 배경 템플릿 - 상기 배경 템플릿은, 다면체 형상인 것으로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대상 이미지가 표시되는 프레임을 제공함 - 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다면체 형상의 배경 템플릿 내에 삽입될 대상 이미지를 선택입력 받는 단계;
AR 카메라를 실행시키고, 촬영 중인 화면 상에 증강현실 레이어 - 상기 증강현실 레이어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제공되는 백그라운드 프레임이고, 상기 증강현실 레이어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구동에 의해 외부 네트워크 연결 없이 제공됨 - 를 형성시키는 단계;
상기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을 수신하고, 터치 입력된 지점에 상기 배경 템플릿을 삽입하는 단계; 및
다면체 형상의 상기 배경 템플릿 내측면에 상기 대상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배경 템플릿은 적어도 4 이상의 면(面)을 가지는 다면체 형상이고,
또한 상기 다면체 형상의 배경 템플릿은 상기 대상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는 복수 개의 투명한 가상 패널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투명한 가상 패널들 상에 표시되는 대상 이미지들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는 서비스 서버로부터 스트리밍 되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다면체 형상의 배경 템플릿 내에 삽입될 대상 이미지를 선택입력 받는 단계는, (i)상기 배경 템플릿의 내측면에 표시될 대상 이미지들, 및 (ii)상기 배경 템플릿의 내측면들에 의해 형성되는 내측 공간에 표시될 대상 이미지를 선택입력 받는 단계이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사용자가 현재 서 있는 공간에서 이동 시 상기 다면체 형상의 배경 템플릿에 의해 구현된 가상의 공간 내부로 입장하는 경험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As a method of providing augmented reality content service through an application on a user terminal,
receiving a selection input for selecting a background template from a user, wherein the background template has a polyhedron shape and provides a frame in which a target image selected by the user is displayed;
receiving a selection input of a target image to be inserted into the polyhedron-shaped background template from the user;
The AR camera is executed, and an augmented reality layer is formed on the screen being captured - the augmented reality layer is a background frame provided by the application, and the augmented reality layer is provided without external network connection by driving the user terminal. step of doing;
receiving a touch input from the user and inserting the background template at the touch input point; and
displaying the target image on an inner surface of the polyhedron-shaped background template;
including,
The background template is a polyhedral shape having at least four faces,
In addition, the polyhedron-shaped background template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transparent virtual panels on which the target image can be displayed, and the target images displayed on the transparent virtual panels are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through a network. Characterized in that it is streamed and displayed from a service server in
In the step of receiving a selection input of a target image to be inserted into the polyhedron-shaped background template, (i) target images to be display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ackground template, and (ii) the inner surface formed by the inner surfaces of the background template This step is to select and input a target image to be displayed in the space,
The application provides an experience of entering the virtual space implemented by the polyhedron-shaped background template when the user moves from the space where the user is currently standing.
Augmented reality content service provision method.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10162315A 2021-11-23 2021-11-23 A system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content service and a method of providing the service KR102471180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2315A KR102471180B1 (en) 2021-11-23 2021-11-23 A system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content service and a method of providing the service
KR1020220157595A KR20230076105A (en) 2021-11-23 2022-11-22 A system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content service and a method of providing the ser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2315A KR102471180B1 (en) 2021-11-23 2021-11-23 A system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content service and a method of providing the service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57595A Division KR20230076105A (en) 2021-11-23 2022-11-22 A system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content service and a method of providing the ser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1180B1 true KR102471180B1 (en) 2022-11-28

Family

ID=8423708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2315A KR102471180B1 (en) 2021-11-23 2021-11-23 A system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content service and a method of providing the service
KR1020220157595A KR20230076105A (en) 2021-11-23 2022-11-22 A system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content service and a method of providing the service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57595A KR20230076105A (en) 2021-11-23 2022-11-22 A system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content service and a method of providing the ser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471180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22483A (en) 2010-09-02 2012-03-12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Method for providing advertisement using augmented reality and system
KR20120038316A (en) * 2010-10-13 2012-04-23 주식회사 팬택 User equipment and method for providing ar service
KR20140133640A (en) * 2013-05-09 2014-11-20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ntents including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KR20180020452A (en) * 2016-08-18 2018-0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210125685A (en) * 2020-04-09 2021-10-19 주식회사 홈피플 A method of displaying furniture placement using augmented reality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22483A (en) 2010-09-02 2012-03-12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Method for providing advertisement using augmented reality and system
KR20120038316A (en) * 2010-10-13 2012-04-23 주식회사 팬택 User equipment and method for providing ar service
KR20140133640A (en) * 2013-05-09 2014-11-20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ntents including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KR20180020452A (en) * 2016-08-18 2018-0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210125685A (en) * 2020-04-09 2021-10-19 주식회사 홈피플 A method of displaying furniture placement using augmented realit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6105A (en) 2023-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50156B2 (en) Live streaming video generation method and apparatus, live service providing method and apparatus, and live streaming system
US20120124486A1 (en) Linking users into live social networking interactions based on the users&#39; actions relative to similar content
US20110239136A1 (en) Instantiating widgets into a virtual social venue
US20110225519A1 (en) Social media platform for simulating a live experience
US20110225515A1 (en) Sharing emotional reactions to social media
US20110244954A1 (en) Online social media game
US20110225039A1 (en) Virtual social venue feeding multiple video streams
CN110139162A (en) The sharing method and device of media content, storage medium, electronic device
KR101670824B1 (en) Method for Intermediating Advertisement Director and Advertiser
CN109716782A (en) Customize the method and system of immersion media content
US20110225517A1 (en) Pointer tools for a virtual social venue
CN114302160A (en) Information display method, information display device, computer equipment and medium
WO2023241154A1 (en) Interaction method and apparatus based on news feed advertisement, and device and medium
KR102471180B1 (en) A system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content service and a method of providing the service
US20230362460A1 (en) Dynamically generated interactive video content
KR20230075788A (en) Advertising service and advertising method using augumented reality contents
Polak et al. Artificial Intelligence in Communication with Music Fans: An Example from South Korea
Kasomoulis et al. MagicHOLO: A Collaborative 3D experience in the museum
KR20220021579A (en)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service
CN114765700B (en) Information interaction method and device,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equipment
Demiris et al. intGuide: A platform for context-aware services featuring augmented-reality, based on the outcome of European Research Projects
US20200226379A1 (en) Computer system, pavilion content changing method and program
KR102361883B1 (en) server for providing user-customized character goods on online platform and server therefor
US20230386152A1 (en) Extended reality (xr) 360° system and tool suite
JP2018163650A (en) Apparatus for using copyrighted work, method for using copyrighted work, and data structure there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