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0668B1 - 컨테이너 기반 스마트조명 클라우드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컨테이너 기반 스마트조명 클라우드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0668B1
KR102470668B1 KR1020220045661A KR20220045661A KR102470668B1 KR 102470668 B1 KR102470668 B1 KR 102470668B1 KR 1020220045661 A KR1020220045661 A KR 1020220045661A KR 20220045661 A KR20220045661 A KR 20220045661A KR 102470668 B1 KR102470668 B1 KR 1024706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service
smart lighting
customized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56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명호
Original Assignee
엔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엔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456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06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06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06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테이너 기반 스마트조명 클라우드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에서 개발자 단말, 관리자 단말 및 사용자 단말 중 적어도 하나가 접근 가능하도록 하고, 다수의 사용자환경에 구비되는 스마트조명이 각 사용자환경에서 적합하게 제어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통해 컨테이너 기반의 스마트조명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는 클라우드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개발자 단말이 상기 스마트조명 제어를 위한 다수 개의 컨테이너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도록 입력란을 제공하고, 상기 다수 개의 컨테이너 이미지를 등록하는 컨테이너 생성모듈, 상기 다수 개의 컨테이너 이미지 중 상기 관리자 단말로부터 선택된 컨테이너 이미지를 조합하여 맞춤 서비스를 생성하고, 임의의 사용자환경에 구비된 게이트웨이를 통해서 상기 스마트조명에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컨테이너 엔진모듈 및 상기 컨테이너 엔진모듈로부터 생성된 상기 맞춤 서비스를 저장하는 서비스 저장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기반 스마트조명 클라우드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컨테이너 기반 스마트조명 클라우드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ontainer-based Smart Lighting Cloud Platform Service Providing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컨테이너 기반 스마트조명 클라우드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하나의 스마트조명 클라우드 플랫폼 내 다수 개의 컨테이너 이미지를 이용하여 사용자 맞춤형 또는 주거, 상업, 산업 및 실외 등 사용자환경에 특화되어 조명을 제어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컨테이너 기반 스마트조명 클라우드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네트워크 기술의 발전으로 사용자의 환경을 보다 편리하게 구성하기 위한 산업이 성장하고 있다. 특히, IoT 서비스 제공업체들은 사용자에게 IoT 및 빅데이터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가전기기 및 이를 이용한 다양한 IoT 서비스들을 제공하고 있다. 예컨대, 스마트조명은 사용자가 음성으로 명령하게 되면, 인공지능으로 이를 해석한 뒤 조명의 온/오프 등을 제어하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다만, 종래 스마트 조명을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은 특정 서비스에 대한 알고리즘이 미리 작업자에 의하여 코딩(Coding)된 후 저장되어 있고, 클라이언트가 스마트조명을 제어하기 위해서 시스템에 접근하게 되면 기 저장된 알고리즘이 구동되어 스마트조명의 동일한 제어만을 수행할 수 있는 기술적 한계가 존재한다. 그리고 작업자 입장에서는 스마트조명 제어 서비스를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환경과 목적에 따라서 매번 제어 알고리즘을 최초에 구축해야 하고, 사용하면서 제어방식을 변경하고자 할 때 직접 사용자를 방문해야하거나 추가적인 작업을 수행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관련문헌 1(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70285호)은 지그비통신을 이용한 스마트조명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센서의 감지정보에 따라서 MCU가 펠티에 소자, LED 램프를 기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서 구동시킬 수 있다. 관련문헌 2(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248683호)는 스마트 조명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배전 차단기로부터 분기되는 각각의 누전 차단기의 전력량을 측정하여 연결된 조명의 소모 전력량을 측정하고, 조명의 상태를 파악하여 조명의 소모전력을 확인하고 전력 사용 계획을 수립할 수 있도록 한다. 다만, 관련문헌 1 내지 2는 스마트조명을 사용하는 환경에 따라 제공하고자 하는 서비스가 생성 또는 변경되어야할 경우에는 수많은 작업자가 스크립트 기반 프로그래밍 언어를 사용하여 알고리즘을 매번 생성, 수정 및 추가해야한다.
따라서 스마트조명을 사용하는 작업환경에 따라 요구되는 스마트조명 제어 서비스를 사용자와 작업자 모두가 용이하도록 하는 확장성이 향상된 기술이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7028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24868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다수의 사용자환경에 구비되는 스마트조명이 각 사용자환경에서 적합하게 제어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통해 컨테이너 기반의 스마트조명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는 클라우드 서버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기반 스마트조명 클라우드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얻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본 발명의 기재로부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컨테이너 기반 스마트조명 클라우드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에서 개발자 단말, 관리자 단말 및 사용자 단말 중 적어도 하나가 접근 가능하도록 하고, 다수의 사용자환경에 구비되는 스마트조명이 각 사용자환경에서 적합하게 제어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통해 컨테이너 기반의 스마트조명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는 클라우드 서버;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개발자 단말이 상기 스마트조명 제어를 위한 다수 개의 컨테이너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도록 입력란을 제공하고, 상기 다수 개의 컨테이너 이미지를 등록하는 컨테이너 생성모듈; 상기 다수 개의 컨테이너 이미지 중 상기 관리자 단말로부터 선택된 컨테이너 이미지를 조합하여 맞춤 서비스를 생성하고, 임의의 사용자환경에 구비된 게이트웨이를 통해서 상기 스마트조명에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컨테이너 엔진모듈; 및 상기 컨테이너 엔진모듈로부터 생성된 상기 맞춤 서비스를 저장하는 서비스 저장모듈;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컨테이너 기반 스마트조명 클라우드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컨테이너 생성모듈에 의하여, 개발자 단말이 스마트조명 제어를 위한 다수 개의 컨테이너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도록 입력란을 제공하는 입력란 제공단계; 상기 컨테이너 생성모듈에 의하여, 상기 개발자 단말로부터 생성된 상기 다수 개의 컨테이너 이미지를 등록하는 컨테이너 생성단계; 컨테이너 엔진모듈에 의하여, 상기 다수 개의 컨테이너 이미지 중 상기 관리자 단말로부터 선택된 컨테이너 이미지를 조합하여 맞춤 서비스를 생성하는 맞춤 서비스 생성단계; 서비스 저장모듈에 의하여, 상기 맞춤 서비스 생성단계로부터 생성된 상기 맞춤 서비스를 저장하는 맞춤 서비스 저장단계; 및 상기 컨테이너 엔진모듈에 의하여, 임의의 사용자환경에 구비된 게이트웨이를 통해서 상기 스마트조명에 상기 맞춤 서비스에 대한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맞춤 서비스 제공단계;를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통해 컨테이너 기반의 스마트조명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는 클라우드 서버를 구비함으로써, 하나의 스마트조명 클라우드 플랫폼으로 사용자 맞춤형 또는 주거, 상업, 산업 및 실외 등 사용자환경에 특화되어 스마트조명을 제어할 수 있어 가용성 및 확장성이 향상된 플래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컨테이너 기반 스마트조명 클라우드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서버를 표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컨테이너 기반 스마트조명 클라우드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맞춤 서비스 재생성단계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기반 스마트조명 클라우드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흐름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컨테이너 기반 스마트조명 클라우드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컨테이너 기반 스마트조명 클라우드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서버(200)를 표시한 도면이다.
우선 도 1을 보면, 본 발명의 컨테이너 기반 스마트조명 클라우드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에서 개발자 단말(400), 관리자 단말(500) 및 사용자 단말(300) 중 적어도 하나가 접근 가능하도록 하고, 다수의 사용자환경에 구비되는 스마트조명(100)이 각 사용자환경에서 적합하게 제어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통해 컨테이너 기반의 스마트조명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는 클라우드 서버(200)를 포함한다.
상기 클라우드 서버(200)는 인터넷 기반의 컴퓨팅 기술인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을 기반으로 하고, 서로 다른 물리적인 위치에 존재하는 컴퓨터들의 리소스를 가상화 기술로 통합하여 제공할 수 있다. 즉, 수많은 사용자가 필요한 하드웨어를 가상의 공간에서 사용할 수 있고, 소프트웨어를 자신의 컴퓨터에 설치하지 않고도 인터넷 접속을 통해 언제든 사용할 수 있는 동시에 각종 데이터를 손쉽게 공유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클라우드 서버(200)는 사용자환경에 스마트조명(100)의 제어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개발자의 개발자 단말(400), 사용자환경을 전반적으로 관리하는 관리자의 관리자 단말(500) 및 서로 다른 사용자환경에 존재하는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300)이 인터넷 네트워크상에 접속한 후 간단한 인증절차를 통과하면 접근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클라우드 서버(200)는 가장 바람직하게 오픈API(Open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기반일 수 있다. 이는, 사용자환경에 적절하게 스마트조명(100)의 제어를 위해서 각종 단말이 상기 클라우드 서버(200)에 접근하여 상기 클라우드 서버(200)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스마트조명(100)은 기존 조명에 물체의 여부, 온도, 주변밝기 등을 감지하는 다종의 센서와 조명의 ON/OFF 제어 및 밝기 제어 등을 수행할 수 있는 컨트롤러, 및 서버 또는 단말기와 양방향 유선 또는 무선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일련의 장치를 일컫는다. 그리고 사용자환경에는 다수 개의 상기 스마트조명(100)뿐만 아니라 센서(700) 및 게이트웨이(600)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스마트조명(100) 및 센서(700) 내 통신부와 게이트웨이(600)가 무선 통신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클라우드 서버(200)에서 전송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게이트웨이(600)를 통해서 임의의 스마트조명(100)으로 전송할 수 있고, 반대로 임의의 스마트조명(100)의 상태정보를 상기 게이트웨이(600)를 통해서 상기 클라우드 서버(200) 또는 각종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발자 단말(400), 관리자 단말(500) 및 상기 사용자 단말(300)은 스마트폰, PDA, 노트북 컴퓨터, 태블릿 PC, 웨어러블 장치 또는 그 밖의 다기능 통신/엔터테인먼트 장치일 수 있다. 즉, 각종 단말은 특정 장치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의 입력이 가능하고, 게이트웨이(600)를 통해서 상기 클라우드 서버(2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양방향 통신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입력정보를 전송하고 시각적, 청각적 알림을 전송받을 수 있는 모든 장치를 일컫는다.
또한, 상기 클라우드 서버(200)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사용자의 환경에 설치되어 있는 다수 개의 스마트 조명(100)을 환경에 맞게 자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컨테이너 생성모듈(210), 컨테이너 엔진모듈(220) 및 서비스 저장모듈(230)을 포함한다.
도 2를 보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컨테이너 생성모듈(210)은 상기 개발자 단말(400)이 상기 스마트조명(100) 제어를 위한 다수 개의 컨테이너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도록 입력란을 제공하고, 상기 다수 개의 컨테이너 이미지를 등록한다.
상기 개발자 단말(400)에 제공되는 입력란에는 조명등록, 조명관리, 조명제어, 상태이력, 알림설정, 알림발송, 센서등록, 센서관리 및 센서이력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조명등록을 하고자 한다면 상기 개발자 단말(400)은 제품명, 제품사이즈, 원산지, 정격전압, 소비전력, 색상, 원산지 등을 포함하는 입력란을 상기 컨테이너 생성모듈(210)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그러면, 상기 개발자 단말(400)은 상기 입력란을 모두 채운 후 상기 컨테이너 생성모듈(210)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컨테이너 생성모듈(210)은 조명등록에 대한 컨테이너 이미지 1개를 등록할 수 있다. 이렇게 생성된 상기 컨테이너 이미지는 사용자환경에 제공할 수 있는 1개의 기능이 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컨테이너 엔진모듈(220)은 상기 다수 개의 컨테이너 이미지 중 상기 관리자 단말(500)로부터 선택된 컨테이너 이미지를 조합하여 맞춤 서비스를 생성하고, 임의의 사용자환경에 구비된 게이트웨이(600)를 통해서 상기 스마트조명(100)에 제어신호를 전송한다.
임의의 사용자환경을 전반적으로 관리하는 관리자의 상기 관리자 단말(500)은 상기 컨테이너 생성모듈(210)에 등록된 다수 개의 컨테이너 이미지 중 원하는 기능을 검색할 수 있다. 그리고 검색된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컨테이너 엔진모듈(220)에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컨테이너 엔진모듈(220)은 선택된 상기 컨테이너 이미지를 조합하여 하나의 맞춤서비스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관리자는 스마트조명(100)의 전력사용량을 확인하고 싶어 상기 관리자 단말(500)을 통해서 상기 컨테이너 생성모듈(210)로부터 전력사용량을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컨테이너 이미지 ‘A’와 스마트조명(100)의 제어 이력을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컨테이너 이미지 ‘B’를 검색한 후 모두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컨테이너 엔진모듈(220)은 ‘A’와 ‘B’를 조합하여 스마트조명(100)의 제어에 따른 전력사용량을 확인할 수 있는 맞춤 서비스를 생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서비스 저장모듈(230)은 상기 컨테이너 엔진모듈(220)로부터 생성된 상기 맞춤 서비스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맞춤 서비스는 주거, 상업, 산업, 실외 등 각 사용자환경에 특화되어 생성된 후 상기 서비스 저장모듈(230)에 저장될 수 있다. 예컨대, 주거 특화 서비스는 주거환경의 스마트조명(100)이 안방, 거실, 주방 등 공간에 따라 적절한 밝기를 가질 수 있도록 조도와 연계된 서비스일 수 있다. 상업 특화 서비스는 상업환경의 스마트조명(100)이 상품에 대한 소비자의 구매욕을 자극하거나 매장의 분위기를 조성하는데 큰 영향을 줌으로 상기 스마트조명(100)의 밝기, 색상, 색온도와 연계된 서비스일 수 있다. 산업 특화 서비스는 산업환경의 스마트조명(100)이 전체 전력사용량에 큰 부분을 차지할 수 있으므로 에너지절감차원에서 시간대별, 공간별 전력사용량과 연계된 서비스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실외 특화 서비스는 주차장 등 실외환경의 스마트조명(100)이 일몰에 점등되고, 일출에 소등될 수 있도록 지역별 일몰일출 시간에 따른 점등 및 소등하는 서비스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테이너 엔진모듈(220)은, 상기 다수 개의 컨테이너 이미지 중 상기 관리자 단말(500)로부터 선택된 컨테이너 이미지와 상기 서비스 저장모듈(230)에 기 저장된 다수 개의 맞춤 서비스 중 상기 관리자 단말(500)로부터 선택된 맞춤 서비스를 조합하여 또 다른 맞춤 서비스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비스 저장모듈(230)은, 상기 또 다른 맞춤 서비스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임의의 사용자환경을 전반적으로 관리하고자 하는 관리자의 상기 관리자 단말(500)은, 상기 컨테이너 생성모듈(210)에 접근하여 등록된 다수 개의 컨테이너 이미지 중 원하는 제어기능을 갖는 일부 컨테이너 이미지를 검색할 수 있다. 그리고 검색된 컨테이너 이미지 중 일부를 선택하여 상기 컨테이너 엔진모듈(22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자 단말(500)은 상기 서비스 저장모듈(230)에 접근하여 등록된 다수 개의 맞춤 서비스 중 원하는 제어 서비스를 갖는 맞춤 서비스를 검색할 수 있다. 그리고 검색된 맞춤 서비스 중 일부를 선택하여 상기 컨테이너 엔진모듈(220)에 전송할 수 있다. 이에, 상기 컨테이너 엔진모듈(220)은 상기 관리자 단말(500)로부터 선택된 컨테이너 이미지와 맞춤 서비스를 조합하여 또 다른 새로운 맞춤 서비스를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환경의 스마트조명(100), 센서(700) 등을 제어하여 에너지사용을 절감하고자 하는 관리자는 플랫폼 자체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에 맞춰서 해당 서비스를 사용하는 것이 아닌, 컨테이너 이미지 또는 맞춤 서비스 단위로 분할된 기능들 중에서 사용자환경에서 필요한 기능만을 조합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으므로 높은 만족도를 느낄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환경에서 해당 서비스를 제공받으면서 수정이 필요한 제어기능이 있다면 상기 관리자 단말(500)은 상기 클라우드 서버(200)에 접근하여 기존의 서비스에서 컨테이너 이미지 및 맞춤 서비스를 추가 및 수정할 수 있고, 공간 사용자의 변경 등으로 새로운 서비스가 필요한 경우 역시 상기 관리자 단말(500)은 상기 클라우드 서버(200)에 접근하여 기존의 서비스를 삭제하고 새로운 서비스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별도의 인프라 설치 없이 사용자환경에 스마트조명(100) 설치 후 인터넷 네트워크를 통한 클라우드 서비스로 언제 어디서나, 다양한 사용자 단말로 맞춤형 스마트조명 제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하여 사용자별 필요한 기능, 성능, 속도 등을 확장 및 축소하여 탄력적으로 서비스를 운영할 수 있고, 사용자 요구 및 수요변화에 따라 신축적으로 서비스 운영이 가능한 현저한 효과가 있다.
다음으로, 상기 클라우드 서버(200)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태정보 저장모듈(240) 및 분석정보 제공모듈(2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태정보 저장모듈(240)은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제어되는 상기 스마트조명(100)의 상태정보를 사용자환경에 구비된 게이트웨이(600)를 통해서 획득하고, 상기 상태정보를 누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분석정보 제공모듈(250)은 기 설정된 시간동안 누적으로 저장된 상기 상태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스마트조명(100)의 평균고장간격(Mean Time Between Failure; MTBF), 평균수리시간(Mean Time To Repair; MTTR) 및 평균고장시간(Mean Time To Failure; MTTF)을 포함하는 분석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태정보 저장모듈(240)은 사용자환경에 구비된 다수 개의 상기 스마트조명(100)의 유지보수관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상기 상태정보를 누적으로 저장한다. 여기서, 상기 상태정보는 상기 스마트조명(100)의 수명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기 설정된 기간 동안의 전력사용량, 보수작업 전후의 ON/OFF 시간, 점등시간, 소등시간, 평균 조도값, 최대 조도값, 최소 조도값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분석정보 제공모듈(250)은 상기 상태분석 시 누적으로 저장된 상기 상태정보를 빅데이터로 하여 분석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분석정보는 평균고장간격(MTBF)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스마트조명(100)을 동작시켰을 경우 고장(Failure)에서 고장(Failure)까지의 평균시간을 말한다. 평균고장간격(MTBF)이 길수록 내구성 및 신뢰성이 높은 스마트조명(100)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만, 회선불량, 과도한 수동조작, 부적합한 제어 서비스를 제공받은 경우 스마트조명(100)의 열화 또는 불량이 발생할 수 있고 이는 평균고장간격(MTBF)을 감소하게 하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상기 분석정보 제공모듈(250)은 상기 평균고장간격(MTBF)을 분석항목으로 두고 해당 사용자환경의 스마트조명(100)의 신뢰성을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석정보는 평균수리시간(MTTR)을 포함할 수 있는데, 고장 후 수리까지의 복구되는 시간이다. 스마트조명(100)이 맞춤 서비스에 따라 동작하지 않거나 전원이 OFF된 경우 고장이 발생한 시간으로 판단할 수 있고 관리자 또는 사용자에 의하여 해당 스마트조명(100)이 보수되어 맞춤 서비스에 따라 동작하거나 전원이 ON된 경우 복구된 시간으로 판단할 수 있다. 평균수리시간(MTTR)을 이용하여 사용자환경에서 적극적으로 유지보수에 관여하고 있는지, 제공하는 분석정보에 따라 유지보수를 충실히 이행하고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석정보는 평균고장시간(MTTF)을 포함할 수 있는데, 보수되고 정상동작 후 다음 고장(Failure)까지의 시간으로 이는 실질적으로 스마트조명(100)이 고장 없이 운영된 시간을 말한다. 평균고장시간(MTTF)을 이용하여 해당 스마트조명(100)의 수명을 판단할 수 있다. 즉, 상기 분석정보 제공모듈(250)은 점등 및 소등 시간, 조도값 등의 분석정보를 통해서 해당 스마트조명(100)이 실질적으로 운영된 시간을 산출할 수 있고 평균적인 수명에 도달하기 몇 일, 몇 달 전에 해당 스마트조명(100)의 배터리 교체를 권장하는 상기 분석정보를 상기 관리자 단말(500) 또는 사용자 단말(300)에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상태정보 저장모듈(240) 및 분석정보 제공모듈(250)을 구비함으로써, 광활한 사용자환경에 구비된 다수 개의 상기 스마트조명(100)의 상태 정보를 각각 획득하여 분석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상기 분석정보를 이용하여 각각의 상기 스마트조명(100)의 고장여부, 내구성 및 신뢰성, 유지보수 여부, 교체주기 임박여부, 스마트조명(100) 또는 배터리 교체주기 임박여부를 관리자 또는 사용자가 원격으로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고 효율적인 관리운용이 가능한 현저한 효과가 있다.
컨테이너 기반 스마트조명 클라우드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컨테이너 기반 스마트조명 클라우드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맞춤 서비스 재생성단계(S500)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기반 스마트조명 클라우드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흐름도이다.
우선 도 3을 보면, 본 발명의 컨테이너 기반 스마트조명 클라우드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은 입력란 제공단계(S100), 컨테이너 생성단계(S200), 맞춤 서비스 생성단계(S300), 맞춤 서비스 저장단계(S400) 및 맞춤 서비스 제공단계(S600)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입력란 제공단계(S100)는 컨테이너 생성모듈(210)에 의하여, 개발자 단말(400)이 스마트조명(100) 제어를 위한 다수 개의 컨테이너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도록 입력란이 제공된다. 상기 개발자 단말(400)에 제공되는 입력란에는 조명등록, 조명관리, 조명제어, 상태이력, 알림설정, 알림발송, 센서등록, 센서관리 및 센서이력이 포함될 수 있다. 예컨대, 조명등록을 하고자 한다면 상기 입력란 제공단계(S100)는 제품명, 제품사이즈, 원산지, 정격전압, 소비전력, 색상, 원산지 등을 포함한 입력란을 상기 개발자 단말(400)에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컨테이너 생성단계(S200)는 상기 컨테이너 생성모듈(210)에 의하여, 상기 개발자 단말(400)로부터 생성된 상기 다수 개의 컨테이너 이미지가 등록된다. 즉, 상기 개발자 단말(400)은 상기 입력란 제공단계(S100)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입력란을 모두 채운 후 상기 컨테이너 생성모듈(210)에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컨테이너 생성단계(S200)는 조명등록에 대한 컨테이너 이미지 1개를 등록할 수 있다. 이렇게 생성된 상기 컨테이너 이미지는 사용자환경에 제공할 수 있는 1개의 기능이 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맞춤 서비스 생성단계(S300)는 컨테이너 엔진모듈(220)에 의하여, 상기 다수 개의 컨테이너 이미지 중 상기 관리자 단말(500)로부터 선택된 컨테이너 이미지를 조합하여 맞춤 서비스가 생성된다. 임의의 사용자환경을 전반적으로 관리하는 관리자의 상기 관리자 단말(500)은 상기 컨테이너 생성단계(S200)로부터 등록된 다수 개의 컨테이너 이미지 중 원하는 기능을 검색할 수 있다. 그리고 검색된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컨테이너 엔진모듈(220)에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맞춤 서비스 생성단계(S300)는 선택된 상기 컨테이너 이미지를 조합하여 하나의 맞춤서비스가 생성될 수 있다.
예컨대, 관리자는 스마트조명(100)의 전력사용량을 확인하고 싶어 상기 관리자 단말(500)을 통해서 상기 컨테이너 생성모듈(210)로부터 전력사용량을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컨테이너 이미지 ‘A’와 스마트조명(100)의 제어 이력을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컨테이너 이미지 ‘B’를 검색한 후 모두 선택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상기 맞춤 서비스 생성단계(S300)는 ‘A’와 ‘B’를 조합하여 스마트조명(100)의 제어에 따른 전력사용량을 확인할 수 있는 맞춤 서비스가 생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맞춤 서비스 저장단계(S400)는 서비스 저장모듈(230)에 의하여, 상기 맞춤 서비스 생성단계(S300)로부터 생성된 상기 맞춤 서비스를 저장한다.
상기 맞춤 서비스는 주거, 상업, 산업, 실외 등 각 사용자환경에 특화되어 생성된 후 상기 맞춤 서비스 저장단계(S400)를 통해서 저장될 수 있다. 예컨대, 주거 특화 서비스는 주거환경의 스마트조명(100)이 안방, 거실, 주방 등 공간에 따라 적절한 밝기를 가질 수 있도록 조도와 연계된 서비스일 수 있다. 상업 특화 서비스는 상업환경의 스마트조명(100)이 상품에 대한 소비자의 구매욕을 자극하거나 매장의 분위기를 조성하는데 큰 영향을 줌으로 상기 스마트조명(100)의 밝기, 색상, 색온도와 연계된 서비스일 수 있다. 산업 특화 서비스는 산업환경의 스마트조명(100)이 전체 전력사용량에 큰 부분을 차지할 수 있으므로 에너지절감차원에서 시간대별, 공간별 전력사용량과 연계된 서비스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실외 특화 서비스는 주차장 등 실외환경의 스마트조명(100)이 일몰에 점등되고, 일출에 소등될 수 있도록 지역별 일몰일출 시간에 따른 점등 및 소등하는 서비스일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맞춤 서비스 제공단계(S600)는 상기 컨테이너 엔진모듈(220)에 의하여, 임의의 사용자환경에 구비된 게이트웨이(600)를 통해서 상기 스마트조명(100)에 상기 맞춤 서비스에 대한 제어신호를 전송한다. 그러면, 해당 맞춤 서비스에 따라서 상기 스마트조명(100)이 제어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자동적으로 에너지절감을 실현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은 상기 컨테이너 엔진모듈(220)에 의하여, 상기 다수 개의 컨테이너 이미지 중 상기 관리자 단말(500)로부터 선택된 컨테이너 이미지와 상기 서비스 저장모듈(230)에 기 저장된 다수 개의 맞춤 서비스 중 상기 관리자 단말(500)로부터 선택된 맞춤 서비스를 조합하여 또 다른 맞춤 서비스를 생성하는 맞춤 서비스 재생성단계(S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보면, 상기 맞춤 서비스 재생성단계(S500)는 가장 바람직하게 상기 맞춤 서비스 저장단계(S400)와 상기 맞춤 서비스 제공단계(S600) 사이에서 실행될 수 있다. 상기 관리자 단말(500)이 추가적으로 맞춤 서비스를 생성하고자 한다면 상기 맞춤 서비스 재생성단계(S500)가 실행될 수 있고, 그렇지 않다면 상기 맞춤 서비스 제공단계(S600)가 곧바로 실행될 수 있다.
맞춤 서비스를 재생성함에 있어서, 임의의 사용자환경을 전반적으로 관리하고자 하는 관리자의 상기 관리자 단말(500)은 상기 컨테이너 생성모듈(210)에 접근하여 등록된 다수 개의 컨테이너 이미지 중 원하는 제어기능을 갖는 일부 컨테이너 이미지를 검색할 수 있다. 그리고 검색된 컨테이너 이미지 중 일부를 선택하여 상기 컨테이너 엔진모듈(22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자 단말(500)은 상기 서비스 저장모듈(230)에 접근하여 등록된 다수 개의 맞춤 서비스 중 원하는 제어 서비스를 갖는 맞춤 서비스를 검색할 수 있다. 그리고 검색된 맞춤 서비스 중 일부를 선택하여 상기 컨테이너 엔진모듈(220)에 전송할 수 있다. 이에, 상기 맞춤 서비스 재생성단계(S500)는 상기 관리자 단말(500)로부터 선택된 컨테이너 이미지와 맞춤 서비스를 조합하여 또 다른 새로운 맞춤 서비스가 생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새롭게 생성된 맞춤 서비스는 상기 맞춤 서비스 저장단계(S400)로부터 상기 서비스 저장모듈(230)에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관리자 단말(500)에서 추가적으로 맞춤 서비스를 생성하고자 한다면 상기 맞춤 서비스 재생성단계(S500)가 실행될 수 있고, 그렇지 않다면 상기 맞춤 서비스 제공단계(S600)가 곧바로 실행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상기 관리자 단말(500)의 맞춤 서비스 추가 생성여부에 따라서 계속적으로 반복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상태정보 저장모듈(240)에 의하여,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제어되는 상기 스마트조명(100)의 상태정보가 사용자환경에 구비된 게이트웨이(600)를 통해서 획득되고, 상기 상태정보가 누적으로 저장되는 상태정보 저장단계(S700) 및 상기 분석정보 제공모듈(250)에 의하여, 기 설정된 시간동안 누적으로 저장된 상기 상태정보가 분석되어 상기 스마트조명(100)의 평균고장간격(Mean Time Between Failure; MTBF), 평균수리시간(Mean Time To Repair; MTTR) 및 평균고장시간(Mean Time To Failure; MTTF)을 포함하는 분석정보가 제공되는 분석정보 제공단계(S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태정보 저장단계(S700)는 사용자환경에 구비된 다수 개의 상기 스마트조명(100)의 유지보수관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상기 상태정보가 누적으로 저장된다. 여기서, 상기 상태정보는 상기 스마트조명(100)의 수명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기 설정된 기간 동안의 전력사용량, 보수작업 전후의 ON/OFF 시간, 점등시간, 소등시간, 평균 조도값, 최대 조도값, 최소 조도값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분석정보 제공단계(S800)는 상기 상태분석 시 누적으로 저장된 상기 상태정보를 빅데이터로 하여 분석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분석정보는 평균고장간격(MTBF)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스마트조명(100)을 동작시켰을 경우 고장(Failure)에서 고장(Failure)까지의 평균시간을 말한다. 평균고장간격(MTBF)이 길수록 내구성 및 신뢰성이 높은 스마트조명(100)으로 판단될 수 있다. 다만, 회선불량, 과도한 수동조작, 부적합한 제어 서비스를 제공받은 경우 스마트조명(100)의 열화 또는 불량이 발생할 수 있고 이는 평균고장간격(MTBF)을 감소하게 하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상기 분석정보 제공단계(S800)는 상기 평균고장간격(MTBF)을 분석항목으로 두고 해당 사용자환경의 스마트조명(100)의 신뢰성이 분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석정보는 평균수리시간(MTTR)을 포함할 수 있는데, 고장 후 수리까지의 복구되는 시간이다. 스마트조명(100)이 맞춤 서비스에 따라 동작하지 않거나 전원이 OFF된 경우 고장이 발생한 시간으로 판단할 수 있고 관리자 또는 사용자에 의하여 해당 스마트조명(100)이 보수되어 맞춤 서비스에 따라 동작하거나 전원이 ON된 경우 복구된 시간으로 판단할 수 있다. 평균수리시간(MTTR)을 이용하여 사용자환경에서 적극적으로 유지보수에 관여하고 있는지, 상기 분석정보에 따라 유지보수를 충실히 이행하고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석정보는 평균고장시간(MTTF)을 포함할 수 있는데, 보수되고 정상동작 후 다음 고장(Failure)까지의 시간으로 이는 실질적으로 스마트조명(100)이 고장 없이 운영된 시간을 말한다. 평균고장시간(MTTF)을 이용하여 해당 스마트조명(100)의 수명이 판단될 수 있다. 즉, 상기 분석정보 제공단계(S800)는 점등 및 소등 시간, 조도값 등의 분석정보를 통해서 해당 스마트조명(100)이 실질적으로 운영된 시간이 산출될 수 있고 평균적인 수명에 도달하기 몇 일, 몇 달 전에 해당 스마트조명(100)의 배터리 교체를 권장하는 상기 분석정보가 상기 관리자 단말(500) 또는 사용자 단말(300)에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별도의 인프라 설치 없이 사용자환경에 스마트조명(100) 설치 후 인터넷 네트워크를 통한 클라우드 서비스로 언제 어디서나, 다양한 사용자 단말로 맞춤형 스마트조명 제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하여 사용자별 필요한 기능, 성능, 속도 등을 확장 및 축소하여 탄력적으로 서비스를 운영할 수 있고, 사용자 요구 및 수요변화에 따라 신축적으로 서비스 운영이 가능한 현저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상태정보 저장단계(S700) 및 분석정보 제공단계(S800)가 구비됨으로써, 광활한 사용자환경에 구비된 다수 개의 상기 스마트조명(100)의 상태정보를 각각 획득하여 분석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상기 분석정보를 이용하여 각각의 상기 스마트조명(100)의 고장여부, 내구성 및 신뢰성, 유지보수 여부, 교체주기 임박여부, 스마트조명(100) 또는 배터리 교체주기 임박여부를 관리자 또는 사용자가 원격으로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고 효율적인 관리운용이 가능한 현저한 효과가 있다.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미들웨어, 마이크로코드, 하드웨어 기술 언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펌웨어, 미들웨어 또는 마이크로코드로 구현되는 경우, 필요한 작업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코드 또는 코드 세그먼트들은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되고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 설명된 주제의 양태들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 또는 컴포넌트와 같은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들의 일반적인 맥락에서 설명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프로그램 모듈 또는 컴포넌트들은 특정 작업을 수행하거나 특정 데이터 형식을 구현하는 루틴, 프로그램, 객체, 데이터 구조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주제의 양태들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링크되는 원격 처리 디바이스들에 의해 작업들이 수행되는 분산 컴퓨팅 환경들에서 실시될 수도 있다. 분산 컴퓨팅 환경에서, 프로그램 모듈들은 메모리 저장 디바이스들을 포함하는 로컬 및 원격 컴퓨터 저장 매체에 둘 다에 위치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으로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0.. 스마트조명
200.. 클라우드 서버
210.. 컨테이너 생성모듈
220.. 컨테이너 엔진모듈
230.. 서비스 저장모듈
240.. 상태정보 저장모듈
250.. 분석정보 제공모듈
300.. 사용자 단말
400.. 개발자 단말
500.. 관리자 단말
600.. 게이트웨이
700.. 센서

Claims (5)

  1.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에서 개발자 단말, 관리자 단말 및 사용자 단말 중 적어도 하나가 접근 가능하도록 하고, 다수의 사용자환경에 구비되는 스마트조명이 각 사용자환경에서 적합하게 제어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통해 컨테이너 기반의 스마트조명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는 클라우드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개발자 단말이 상기 스마트조명 제어를 위한 다수 개의 컨테이너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도록 입력란을 제공하고, 상기 다수 개의 컨테이너 이미지를 등록하는 컨테이너 생성모듈;
    상기 다수 개의 컨테이너 이미지 중 상기 관리자 단말로부터 선택된 컨테이너 이미지를 조합하여 맞춤 서비스를 생성하고, 임의의 사용자환경에 구비된 게이트웨이를 통해서 상기 스마트조명에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컨테이너 엔진모듈; 및
    상기 컨테이너 엔진모듈로부터 생성된 상기 맞춤 서비스를 저장하는 서비스 저장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컨테이너 엔진모듈은,
    상기 다수 개의 컨테이너 이미지 중 상기 관리자 단말로부터 선택된 컨테이너 이미지와 상기 서비스 저장모듈에 기 저장된 다수 개의 맞춤 서비스 중 상기 관리자 단말로부터 선택된 맞춤 서비스를 조합하여 또 다른 맞춤 서비스를 생성하고,
    상기 서비스 저장모듈은,
    상기 또 다른 맞춤 서비스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기반 스마트조명 클라우드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제어되는 상기 스마트조명의 상태정보를 사용자환경에 구비된 게이트웨이를 통해서 획득하고, 상기 상태정보를 누적으로 저장하는 상태정보 저장모듈; 및
    기 설정된 시간동안 누적으로 저장된 상기 상태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스마트조명의 평균고장간격(Mean Time Between Failure; MTBF), 평균수리시간(Mean Time To Repair; MTTR) 및 평균고장시간(Mean Time To Failure; MTTF)을 포함하는 분석정보를 제공하는 분석정보 제공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기반 스마트조명 클라우드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3. 삭제
  4. 컨테이너 생성모듈에 의하여, 개발자 단말이 스마트조명 제어를 위한 다수 개의 컨테이너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도록 입력란을 제공하는 입력란 제공단계;
    상기 컨테이너 생성모듈에 의하여, 상기 개발자 단말로부터 생성된 상기 다수 개의 컨테이너 이미지를 등록하는 컨테이너 생성단계;
    컨테이너 엔진모듈에 의하여, 상기 다수 개의 컨테이너 이미지 중 관리자 단말로부터 선택된 컨테이너 이미지를 조합하여 맞춤 서비스를 생성하는 맞춤 서비스 생성단계;
    서비스 저장모듈에 의하여, 상기 맞춤 서비스 생성단계로부터 생성된 상기 맞춤 서비스를 저장하는 맞춤 서비스 저장단계;
    상기 컨테이너 엔진모듈에 의하여, 임의의 사용자환경에 구비된 게이트웨이를 통해서 상기 스마트조명에 상기 맞춤 서비스에 대한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맞춤 서비스 제공단계; 및
    상기 컨테이너 엔진모듈에 의하여, 상기 다수 개의 컨테이너 이미지 중 상기 관리자 단말로부터 선택된 컨테이너 이미지와 상기 서비스 저장모듈에 기 저장된 다수 개의 맞춤 서비스 중 상기 관리자 단말로부터 선택된 맞춤 서비스를 조합하여 또 다른 맞춤 서비스를 생성하는 맞춤 서비스 재생성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또 다른 맞춤 서비스는 상기 서비스 저장모듈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기반 스마트조명 클라우드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5. 삭제
KR1020220045661A 2022-04-13 2022-04-13 컨테이너 기반 스마트조명 클라우드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4706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5661A KR102470668B1 (ko) 2022-04-13 2022-04-13 컨테이너 기반 스마트조명 클라우드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5661A KR102470668B1 (ko) 2022-04-13 2022-04-13 컨테이너 기반 스마트조명 클라우드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0668B1 true KR102470668B1 (ko) 2022-11-25

Family

ID=84237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5661A KR102470668B1 (ko) 2022-04-13 2022-04-13 컨테이너 기반 스마트조명 클라우드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066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26764A (ja) * 2014-12-26 2016-07-11 キヤノンマーケティングジャパ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670285B1 (ko) 2015-03-18 2016-10-28 주식회사 수만테크 지그비통신을 이용한 스마트조명 시스템
KR20180036091A (ko) * 2016-09-30 2018-04-09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클라우드 기반 물류 자동화 장비 유지보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JP2019028635A (ja) * 2017-07-28 2019-02-21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配信データ作成装置、配信データ作成方法及び配信データ作成プログラム
KR102248683B1 (ko) 2020-11-25 2021-05-06 주식회사 케이벨 스마트 조명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26764A (ja) * 2014-12-26 2016-07-11 キヤノンマーケティングジャパ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670285B1 (ko) 2015-03-18 2016-10-28 주식회사 수만테크 지그비통신을 이용한 스마트조명 시스템
KR20180036091A (ko) * 2016-09-30 2018-04-09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클라우드 기반 물류 자동화 장비 유지보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JP2019028635A (ja) * 2017-07-28 2019-02-21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配信データ作成装置、配信データ作成方法及び配信データ作成プログラム
KR102248683B1 (ko) 2020-11-25 2021-05-06 주식회사 케이벨 스마트 조명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49255B2 (en) Compact schedules for resource-constrained devices
Motlagh et al. An IoT-based automation system for older homes: A use case for lighting system
CN109479351B (zh) 基于颜色的半寿命预测系统
US7917232B2 (en) Building automation system data management
US8055386B2 (en) Building automation system data management
US7870090B2 (en) Building automation system date management
CN101427239B (zh) 建筑物自动化系统数据管理
CA2996130C (en) Building automation system data management
US20070055759A1 (en) Building automation system data management
US20120298763A1 (en) Distributed networked thermostat system and method
CN107924301A (zh) 与设备通信
CN104423970A (zh) 联网传感器及微控制器的动态编程及控制
Riaz et al. Wireless android based home automation system
Degeler et al. Service-oriented architecture for smart environments (short paper)
CN109739530B (zh) 一种基于云端重编译的动环监控设备软件升级方法
US9170579B1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monitoring and controlling industrial energy equipment
Rocha et al. Energy efficiency in smart buildings: An IoT-based air conditioning control system
CN110794773A (zh) 一种点击式场景创建的方法及装置
Sai et al. Smart Home Messenger Notifications System using IoT
KR102470668B1 (ko) 컨테이너 기반 스마트조명 클라우드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N113986349A (zh) 数据处理方法、装置、计算机可读存储介质和计算机设备
Kumar et al. Semantic policy-based data management for energy efficient smart buildings
US11075775B2 (en) Home automation system including cloud server based maintenance operation communication and related methods
US20190005438A1 (en) Automated configuration system for complex system requiring exhaustive custom programming
US10852705B1 (en) Distributed electrical power management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