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0233B1 - 운동기구용 벤치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운동기구용 벤치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0233B1
KR102470233B1 KR1020200161254A KR20200161254A KR102470233B1 KR 102470233 B1 KR102470233 B1 KR 102470233B1 KR 1020200161254 A KR1020200161254 A KR 1020200161254A KR 20200161254 A KR20200161254 A KR 20200161254A KR 102470233 B1 KR102470233 B1 KR 1024702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nch
pair
exercise equipment
bar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12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73308A (ko
Inventor
노환영
Original Assignee
노환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환영 filed Critical 노환영
Priority to KR10202001612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0233B1/ko
Publication of KR202200733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33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02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02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78Devices for bench press exercises, e.g. supports, guid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10/00Space saving
    • A63B2210/50Size reducing arrangements for stowing or transpor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운동기구용 벤치 어셈블리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용 벤치 어셈블리는, 높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관통공에 바벨 거치대가 삽입 고정되거나, 바벨 거치대가 높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 이격된 한 쌍의 전방 프레임과, 상기 전방 프레임과 이격되는 한 쌍의 후방 프레임과, 상기 전방 프레임과 상기 후방 프레임 각각을 서로 연결하는 한 쌍의 연결 프레임을 포함하는 랙 또는 스미스 머신에 설치되는 벤치 어셈블리로서, 양단부가 상기 한 쌍의 연결 프레임에 각각 장착되는 제1기준바; 양단부가 상기 한 쌍의 후방 프레임의 하부에 각각 장착되는 제2기준바; 한 쌍으로 마련되어 각각 상기 제1기준바와 상기 제2기준바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슬라이딩 이동부; 한 쌍의 상기 슬라이딩 이동부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바; 벤치; 상기 벤치의 상부가 장착되며, 상기 연결바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되, 상기 벤치의 각도가 조절되는 브라켓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랙 또는 스미스 머신과 같은 운동기구에 사용되는 벤치 어셈블리이며, 미사용 시 좌우 슬라이딩 이동을 통해 수납 가능하며, 사용 시 높이방향을 따른 슬라이딩을 통해 전개되는 운동기구용 벤치 어셈블리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운동기구용 벤치 어셈블리{BENCH ASSEMBLY FOR EXERCISE EQUIPMENT}
본 발명은 운동기구용 벤치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랙 또는 스미스 머신과 같은 운동기구에 사용되는 벤치 어셈블리이며, 미사용 시 좌우 슬라이딩 이동을 통해 수납 가능하며, 사용 시 높이방향을 따른 슬라이딩을 통해 전개되는 운동기구용 벤치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웨이트 운동기구는 상체단련용 운동기구와 하체단련용 운동기구로 구분되어 있으며, 이들 운동기구에는 사용자에 따라 적절하게 무게를 조절할 수 있는 중량체가 구비되어 중량체에 의해 사용자의 상체 또는 하체의 근육운동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예를 들어, 하체운동기구는 사용자의 하체부분의 종아리 근육과 허벅지 근육을 강화시키는 운동기구이고, 상체운동기구는 사용자의 가슴근육, 등근육과 어깨근육을 강화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팔근육을 강화시키는 운동기구이다.
이 외에, 벤치프레스 등의 상체운동과, 스쿼트 등의 하체운동을 모두 수행할 수 있도록, 바벨 거치대의 높이를 변경할 수 있는 멀티랙(파워랙)이나, 바벨 거치대의 거치 높이를 변경할 수 있는 스미스머신 등의 전신 웨이트 운동기구가 있다.
멀티랙이나 스미스머신 등에서 하체운동을 하는 경우 벤치를 사용하지 않으나, 벤치프레스나 인클라인 벤치프레스, 밀리터리 프레스 등 프레스 류의 상체운동을 하는 경우에는 벤치가 필요하다.
이 때, 멀티랙이나 스미스머신과 떨어져있는 벤치를 옮겨와야 하며, 만일 다른 사람이 벤치를 사용하고 있는 경우에는 사용 종료시까지 기다려야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벤치를 옮겨온 뒤에도 상체의 좌,우에 하중이 동일하게 가해질 수 있도록 정중앙에 위치시키는 것도 용이하지 않다. 일반적으로 적절한 위치에 벤치를 두고 사용하다가 불편함을 느끼면 다시 벤치 위치를 조절한다던가, 또는 벤치 위에 바벨을 놓고 바벨의 정중앙과 벤치의 정중앙이 일치하도록 벤치의 위치를 수정하는 등을 통해 조절한다. 이 또한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멀티랙이나 스미스 머신 등과 일체화된 벤치가 필요하며, 위치를 쉽게 설정하고 고정할 수 있는 벤치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12192호(2019.08.13.등록) "웨이트 운동기구의 의자 어셈블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 2120008호(2020.06.01.등록) "웨이트 운동기구의 개량형 의자 어셈블리"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9-0013055호(2019.02.11.공개) "바벨운동 보조장치가 구비된 복합 헬스 기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용 벤치 어셈블리는, 랙 또는 스미스 머신과 같은 운동기구에 사용되는 벤치 어셈블리이며, 미사용 시 좌우 슬라이딩 이동을 통해 수납 가능하며, 사용 시 높이방향을 따른 슬라이딩을 통해 전개되는 운동기구용 벤치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용 벤치 어셈블리는, 랙 또는 스미스머신에 벤치를 일체화시키면서도, 미사용 시 벤치의 수납이 편리하며, 사용 시 벤치의 정확한 위치설정이 용이한 운동기구용 벤치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용 벤치 어셈블리는, 높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관통공에 바벨 거치대가 삽입 고정되거나, 바벨 거치대가 높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 이격된 한 쌍의 전방 프레임과, 상기 전방 프레임과 이격되는 한 쌍의 후방 프레임과, 상기 전방 프레임과 상기 후방 프레임 각각을 서로 연결하는 한 쌍의 연결 프레임을 포함하는 랙 또는 스미스 머신에 설치되는 벤치 어셈블리로서, 양단부가 상기 한 쌍의 연결 프레임의 상부에 각각 장착되는 제1기준바; 양단부가 상기 한 쌍의 후방 프레임의 하부에 각각 장착되는 제2기준바; 한 쌍으로 마련되어 각각 상기 제1기준바와 상기 제2기준바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슬라이딩 이동부; 한 쌍의 상기 슬라이딩 이동부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바; 벤치; 상기 벤치의 상부가 장착되며, 상기 연결바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되, 상기 벤치의 각도가 조절되는 브라켓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기준바를 따라 이동하는 상기 슬라이딩 이동부에 장착되며, 단부가 상기 벤치와 연결된 와이어 로프가 권취되는 스프링 밸런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전방프레임 간의 이격거리의 절반 지점에 대응되는 상기 제1기준바 또는 상기 제2기준바에는 제1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딩 이동부에는 상기 제1관통홀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갖는 위치고정핀이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바의 소정 지점에는 제3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브라켓에는 상기 제3관통홀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갖는 고정핀이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운동기구용 벤치 어셈블리는, 랙이나 스미스머신 등의 운동기구에서 벤치가 불필요한 경우 좌우 슬라이딩 이동을 통해 용이하게 벤치를 수납할 수 있는 운동기구용 벤치 어셈블리가 제공된다.
또한, 프레스류 상체운동을 위해 벤치가 필요한 경우 좌우 슬라이딩 이동을 통해 벤치 인출이 가능하며 높이방향을 따른 슬라이딩을 통해 전개되어 의자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제1기준바 또는 제2기준바에 형성된 제1관통홀과, 위치고정핀에 의해 의자의 정확한 위치를 쉽게 설정 및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용 벤치 어셈블리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용 벤치 어셈블리의 측면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용 벤치 어셈블리의 벤치 전개 설명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를 도면에 예시하고 이에 대해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설명에 앞서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용어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용 벤치 어셈블리의 정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용 벤치 어셈블리의 측면도이며,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용 벤치 어셈블리의 벤치 전개 설명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용 벤치 어셈블리는, 랙 또는 스미스 머신과 같은 운동기구에 사용되는 벤치 어셈블리이며, 미사용 시 좌우 슬라이딩 이동을 통해 수납 가능하며, 사용 시 높이방향을 따른 슬라이딩을 통해 전개되는 것이다.
먼저, 본 실시예에 따른 벤치 어셈블리가 적용되는 운동기구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운동기구는 랙(멀티랙, 파워랙) 또는 스미스머신일 수 있다. 랙은 한 쌍의 전방 프레임(10)과, 전방 프레임(10) 후방으로 이격되는 한 쌍의 후방 프레임(20)과, 전방 프레임(10)과 후방 프레임(20) 각각의 상부를 서로 연결하는 한 쌍의 연결 프레임(30)을 포함한다. 스미스머신 또한, 한 쌍의 전방 프레임(10)과, 전방 프레임(10) 후방으로 이격되는 한 쌍의 후방 프레임(20)과, 전방 프레임(10)과 후방 프레임(20) 각각을 서로 연결하는 한 쌍의 연결 프레임(30)을 포함한다.
전방 프레임(10)에는 바벨이 거치된다. 랙의 경우 바벨이 프레임과 분리되어 있으며, 바벨을 거치할 수 있는 바벨 거치대(12)가 전방 프레임(10)의 소정 높이에 장착되도록 마련된다. 이에 전방 프레임(10)에는 높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관통공(11)이 형성되어 각 관통공(11)에 바벨 거치대(12)가 장착된다. 스미스머신의 경우 바벨이 프레임과 연결되어 있으며, 바벨을 거치할 수 있는 바벨 거치대(12)가 전방 프레임(10)의 높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 이격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용 벤치 어셈블리(1000)는, 제1기준바(100)와, 제2기준바(200)와, 슬라이딩 이동부(300)와, 연결바(400)와, 벤치(500)와, 브라켓(600)과 스프링 밸런스(700)를 포함한다.
제1기준바(100)는 양단부가 한 쌍의 연결 프레임(30)에 장착되는 구성이다. 제1기준바(100)는 벤치(500)의 좌/우 슬라이딩 이동을 위한 구성으로서, 정면에서 보았을 때 좌/우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구성이다. 제2기준바(200)는 양단부가 한 쌍의 후방 프레임(20)의 하부에 장착되는 구성이다. 제2기준바(200)는 제1기준바(100)와 같이 벤치(500)의 좌/우 슬라이딩 이동을 위한 구성으로서, 이 또한 정면에서 보았을 때 좌/우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제2기준바(200)는 제1기준바(100)와 높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된다.
슬라이딩 이동부(300)는 한 쌍으로 마련되어 각각 제1기준바(100)와 제2기준바(200)에 장착되어, 제1기준바(100)와 제2기준바(200)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는 구성이다. 한 쌍의 슬라이딩 이동부(300)는 연결바(400)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즉, 연결바(400)는 높이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양 단부에 각각 한 쌍의 슬라이딩 이동부(300)가 연결되며, 따라서 한 쌍의 슬라이딩 이동부(300)는 함께 이동된다.
브라켓(600)은 연결바(400)를 따라 높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벤치(500)의 상부가 장착되는 구성이다.
벤치(500)의 하부에는 바퀴 어셈블리(510)가 장착된다. 바퀴 어셈블리(510)는 벤치(500)의 전개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구성이다.
벤치(500)의 상부는 브라켓(60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회전 정도에 따라 접혀지거나 전개된다. 구체적으로 벤치(500)가 접혀진 상태는 벤치(500)의 길이가 연결바(400)와 실질적으로 나란한 상태이며, 벤치(500)가 회전하면서 전개된다. 전개되었을 때 벤치(500)와 연결바(400)의 각도는 직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전개과정에서 벤치(500)의 하부에 장착된 바퀴 어셈블리(510)에 의해 용이하게 전개될 수 있다.
여기서, 브라켓(600)의 높이는 바퀴 어셈블리(510)의 높이와 동일하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벤치(500)가 완전히 전개되었을 때, 벤치(500)의 상부와 하부의 지면으로부터의 높이가 동일해야 되는데, 벤치(500)의 상부는 브라켓(600)에 의해 지지되고, 하부는 바퀴 어셈블리(510)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이다.
한편, 제1기준바(100)의 지면으로부터의 위치는 벤치(500)의 길이보다 길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벤치(500)의 미사용 시, 브라켓(600)의 위치는 연결바(400)의 최상단이며, 슬라이딩 이동부(300)의 좌우 이동을 통해 벤치(500)의 수납 및 인출이 이루어지는데, 슬라이딩 이동부(300)가 좌우로 이동을 할 때 벤치(500)에 의해 마찰이 생기지 않도록 벤치(500)의 하단이 지면과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제1기준바(100)의 지면으로부터의 위치는 벤치(500)의 길이보다 길게 마련된다.
한편, 브라켓(600)과 벤치(500)에는 가스 스프링(520)이 장착될 수 있다. 가스 스프링(520)은 일단은 브라켓(600)에 연결되며 타단은 벤치(500)의 하면 일 영역에 장착될 수 있다. 전개된 벤치(500)를 접을 때 가스 스프링(520)에 의해 벤치(500)가 부딪히며 발생하는 소음을 줄일 수 있으며 급격하게 접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벤치(500)가 접혀진 상태에서 수납될 때에는 벤치(500)가 제1기준바(100)를 따라 좌측 또는 우측 끝으로 이동을 하게 되며, 운동기구의 전방 프레임(10)과 후방 프레임(20)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어 수납된다.
벤치(500)를 사용할 때에는 벤치(500)를 인출하여야 하는데, 슬라이딩 이동부(300)의 이동에 의해 벤치(500)가 제1기준바(100)/제2기준바(200)의 중앙부 측으로 이동을 한다.
이 때, 제1기준바(100) 또는 제2기준바(200)에는 한 쌍의 전방 프레임(10) 간의 이격거리의 절반에 대응되는 지점에 제1관통홀(미도시)이 형성된다. 또한, 슬라이딩 이동부(300)에는 위치 고정핀(800)이 장착된다. 위치 고정핀(800)은 제1관통홀(미도시)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갖는다. 따라서 위치 고정핀(800)이 제1관통홀(미도시)에 대응되면 복원력에 의해 위치 고정핀(800)이 제1관통홀(미도시)에 삽입됨으로써 벤치(500)의 위치가 고정된다.
이 때, 제1관통홀(미도시)은 한 쌍의 전방 프레임(10) 간의 이격거리의 절반에 대응되는 지점, 다시 말해, 벤치(500)의 정중앙에 대응되는 지점에 형성되므로 위치 고정핀(800)이 제1관통홀(미도시)에 삽입되었다는 것은 결국 벤치(500)가 정중앙에 위치되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벤치(500)의 정중앙으로의 위치설정 및 고정이 매우 용이하다.
또한, 제1기준바(100) 또는 제2기준바(200)에는 제2관통홀(미도시)이 형성된다. 제2관통홀(미도시)은 벤치(500)가 수납된 위치가 고정되기 위한 구성으로서, 제1기준바(100) 또는 제2기준바(200)의 우측부 또는 좌측부에 형성된다. 벤치(500)가 수납된 상태에서는 위치 고정핀(800)이 제2관통홀(미도시)에 삽입된다.
또한, 연결바(400)의 상부 소정지점에는 제3관통홀(미도시)이 형성되며, 브라켓(600)에는 고정핀(900)이 장착된다. 연결바(400)와 제3관통홀(미도시)은 벤치(500)가 미사용인 상태를 고정하기 위한 구성이다. 고정핀(900)은 제3관통홀(미도시)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가지며, 제3관통홀(미도시)의 위치는 벤치(500)가 미사용인 상태(접혀진 상태)일 때 브라켓(600)이 위치한 지점에 대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프링 밸런스(700)는 벤치(500)나 급격하게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벤치(500)는 제1기준바(100)를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딩 이동부(300)에 장착되며, 와이어 로프(710)가 권취된다. 와이어 로프(710)의 말단은 벤치(500)에 장착된다.
벤치(500)가 미사용인 상태에서 제3관통홀(미도시)에 브라켓(600)의 고정핀(900)이 장착되어 벤치(500)가 세워진 상태가 유지된다. 사용자가 고정핀(900)을 제3관통홀(미도시)로부터 분리시키면, 브라켓(600)이 자중에 의해 연결프레임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낙하하게되는데, 벤치(500)의 무게에 의해 급격한 속도로 하강할 수 있다. 이는 벤치(500)를 포함한 장치 전체적으로의 파손 및 사용자의 부상의 원인이 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슬라이딩 이동부(300)에 스프링 밸런스(700)가 설치되며, 와이어 로프(710)가 벤치(500)에 장착되어, 사용자가 고정핀(900)을 제3관통홀(미도시)로부터 분리시켜도 와이어 로프(710)의 텐션에 의해 벤치(500)가 갑자기 낙하하는 것이 방지된다.
지금부터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용 벤치 어셈블리(1000)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벤치(500) 미사용 시와 사용 시로 구분하여 설명한다.
1. 벤치 미사용 시
벤치 미사용 시 벤치(500)는 접혀진 상태이며 연결바(400)와 실질적으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운동기구의 전방 프레임(10)과 후방 프레임(20) 사이에 배치되어 수납되어 있다. 브라켓(600)의 위치 고정핀(800)은 제1기준바(100)의 제2관통홀(미도시)에 삽입된다.
2. 벤치 사용 시(수납 -> 인출)
사용자가 벤치(500)를 사용하려는 경우, 먼저 위치 고정핀(800)을 제2관통홀(미도시)로부터 분리한 뒤, 벤치(500)를 중앙부로 이동시킨다. 벤치(500)는 상부가 브라켓(600)에 장착된 상태이며, 브라켓(600)은 연결 프레임(30)에 장착되어 있고, 연결바(400)는 한 쌍의 슬라이딩 이동부(300)에 장착되어 있으며, 한 쌍의 슬라이딩 이동부(300)는 각각 제1기준바(100)와 제2기준바(200)에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벤치(500)를 중앙부로 이동시키면 슬라이딩 이동부(300)가 제1기준바(100)와 제2기준바(200)를 따라 정중앙부로 이동한다.
제1기준바(100)의 지면으로부터의 위치는 벤치(500)의 길이보다 길기 때문에, 벤치(500)는 지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있어 이동이 용이하다.
이 때, 위치 고정핀(800)은 제1기준바(100)의 외면에 의해 압축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동과정에서 위치 고정핀(800)이 제1관통홀(미도시)에 대응되면, 복원력에 의해 위치 고정핀(800)이 제1관통홀(미도시)에 삽입되며 벤치(500)의 위치가 고정된다. 이는 벤치(500)가 운동기구의 정중앙에 위치되었음을 의미한다.
이 후, 사용자는 고정핀(900)을 제3관통홀(미도시)로부터 분리한다. 고정핀(900)이 분리되면, 벤치(500)의 무게에 의해 브라켓(600)이 연결프레임을 따라 하강한다. 이 때 스프링 밸런스(700)와 와이어 로프(710)에 의해 벤치(500)가 급격하게 하강하는 것이 방지된다.
벤치(500)가 하강하여 벤치(500) 하부의 바퀴 어셈블리(510)가 지면에 닿는다. 이 후 사용자가 벤치(500)를 누르면 벤치(500) 상부의 각도가 벌어지면서 벤치(500) 하부가 바퀴 어셈블리(510)에 의해 이동되어 전개된다.
3. 벤치 미사용 시(인출 -> 수납)
벤치(500)의 사용이 종료되면, 고정핀(900) 등을 파지하여 벤치(500)를 상승시킨다. 벤치(500) 상부의 각도가 좁혀지면서 벤치(500) 하부가 바퀴 어셈블리(510)에 의해 이동되어 접혀진다. 이 때, 가스 스프링(520)에 의해 벤치(500)가 급격하게 접히는 것이 방지되며 부드럽게 접히게 되고, 벤치(500)가 부딪히는 것이 방지되어 소음이 발생하지 않는다.
벤치(500)가 접혀지면 벤치(500)를 들어올려 고정핀(900)이 제3관통홀(미도시)에 삽입되도록 한다.
이 후, 위치 고정핀(800)을 제1관통홀(미도시)로부터 분리시킨 뒤 벤치(500)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시킨다. 이 때, 위치 고정핀(800)은 제1기준바(100)의 외면에 의해 압축된 상태를 유지한다.
벤치(500)가 좌측 또는 우측 끝쪽으로 이동되어 위치 고정핀(800)이 제2관통홀(미도시)에 대응되면, 위치 고정핀(800)이 제2관통홀(미도시)에 삽입됨으로써 위치가 고정되며, 이 위치는 벤치(500)가 운동기구의 전방 프레임(10)과 후방 프레임(20) 사이에 배치된 수납 상태가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랙 또는 스미스 머신과 같은 운동기구에 사용되는 벤치 어셈블리이며, 미사용 시 좌우 슬라이딩 이동을 통해 수납 가능하며, 사용 시 높이방향을 따른 슬라이딩을 통해 전개되는 운동기구용 벤치 어셈블리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를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factor)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0 : 운동기구용 벤치 어셈블리
10 : 전방 프레임 11 : 관통공
12 : 바벨 거치대 20 : 후방 프레임
30 : 연결 프레임
100 : 제1기준바 200 : 제2기준바
300 : 슬라이딩 이동부 400 : 연결바
500 : 벤치 510 : 바퀴 어셈블리
600 : 브라켓 700 : 스프링 밸런스
710 : 와이어 로프 800 : 위치 고정핀
900 : 고정핀

Claims (4)

  1. 높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관통공에 바벨 거치대가 삽입 고정되거나, 바벨 거치대가 높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 이격된 한 쌍의 전방 프레임과, 상기 전방 프레임과 이격되는 한 쌍의 후방 프레임과, 상기 전방 프레임과 상기 후방 프레임 각각을 서로 연결하는 한 쌍의 연결 프레임을 포함하는 랙 또는 스미스 머신에 설치되는 벤치 어셈블리로서,
    양단부가 상기 한 쌍의 연결 프레임에 각각 장착되는 제1기준바;
    양단부가 상기 한 쌍의 후방 프레임의 하부에 각각 장착되는 제2기준바;
    한 쌍으로 마련되어 각각 상기 제1기준바와 상기 제2기준바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슬라이딩 이동부;
    한 쌍의 상기 슬라이딩 이동부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바;
    벤치;
    상기 벤치의 상부가 장착되며, 상기 연결바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되, 상기 벤치의 각도가 조절되는 브라켓을 포함하는 운동기구용 벤치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준바를 따라 이동하는 상기 슬라이딩 이동부에 장착되며, 단부가 상기 벤치와 연결된 와이어 로프가 권취되는 스프링 밸런스를 더 포함하는 운동기구용 벤치 어셈블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전방프레임 간의 이격거리의 절반 지점에 대응되는 상기 제1기준바 또는 상기 제2기준바에는 제1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딩 이동부에는 상기 제1관통홀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갖는 위치고정핀이 장착되는 운동기구용 벤치 어셈블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바의 소정 지점에는 제3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브라켓에는 상기 제3관통홀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갖는 고정핀이 장착되는 운동기구용 벤치 어셈블리.
KR1020200161254A 2020-11-26 2020-11-26 운동기구용 벤치 어셈블리 KR1024702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1254A KR102470233B1 (ko) 2020-11-26 2020-11-26 운동기구용 벤치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1254A KR102470233B1 (ko) 2020-11-26 2020-11-26 운동기구용 벤치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3308A KR20220073308A (ko) 2022-06-03
KR102470233B1 true KR102470233B1 (ko) 2022-11-22

Family

ID=81983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1254A KR102470233B1 (ko) 2020-11-26 2020-11-26 운동기구용 벤치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023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85601B1 (en) 2000-11-17 2004-02-03 Jeffrey M. Knapp Compact weightlifting system with safety cage
JP2004520897A (ja) 2000-12-20 2004-07-15 マルコ エル. レシャック 空間効率の高い多用途運動装置
KR101873869B1 (ko) 2017-07-31 2018-07-03 권창수 바벨 거치식 안전 헬스 기구
US20180229072A1 (en) 2017-02-10 2018-08-16 Rogers Athletic Company, Inc. Storable bench
US20190240525A1 (en) 2016-11-15 2019-08-08 Specialty Fitness Systems, Llc High-Low Pulley Rack System for Weight Machin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3055A (ko) 2017-07-31 2019-02-11 권창수 바벨운동 보조장치가 구비된 복합 헬스 기구
KR102012192B1 (ko) 2018-03-16 2019-10-21 주식회사 동아스포츠 웨이트 운동기구의 의자 어셈블리
KR102120008B1 (ko) 2019-06-05 2020-06-16 주식회사 동아스포츠 웨이트 운동기구의 개량형 의자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85601B1 (en) 2000-11-17 2004-02-03 Jeffrey M. Knapp Compact weightlifting system with safety cage
JP2004520897A (ja) 2000-12-20 2004-07-15 マルコ エル. レシャック 空間効率の高い多用途運動装置
US20190240525A1 (en) 2016-11-15 2019-08-08 Specialty Fitness Systems, Llc High-Low Pulley Rack System for Weight Machine
US20180229072A1 (en) 2017-02-10 2018-08-16 Rogers Athletic Company, Inc. Storable bench
KR101873869B1 (ko) 2017-07-31 2018-07-03 권창수 바벨 거치식 안전 헬스 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3308A (ko) 2022-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70546B1 (en) Exercise apparatus including multiple function aspects and small footprint
EP3541481B1 (en) High-low pulley rack system for weight machine
US20020091043A1 (en) Space efficient multi-use exercise apparatus
US4205838A (en) Adjustable safety stands for barbell plates
US4621807A (en) Leg and hip exercising apparatus
US7226400B1 (en) Weight bench apparatus
US6692412B2 (en) Interactive exercise apparatus structure
US6991588B1 (en) Standing single leg press exercise machine
US10953275B2 (en) Hip thrusting exercise machine
US7981011B1 (en) Combination exercise machine
US7575538B1 (en) Compact multi-function exercise apparatus
US4369966A (en) Folding exercising apparatus
US7131937B2 (en) Standing weightlifting apparatus
US20130102443A1 (en) Vertical exercise equipment
US20100331152A1 (en) Exercise apparatus
KR101793904B1 (ko) 다기능 운동기구
US20040259696A1 (en) Weightlifting system
FI74616B (fi) Motioneringsanordning.
US9039585B2 (en) Exercise machine
US20180304116A1 (en) Foldable climbing exercise device
US6981934B1 (en) Machine for doing squats and other exercises
CN105056464A (zh) 一种可单人使用的家庭健身杠铃
US20160074695A1 (en) Fitness structure
KR102470233B1 (ko) 운동기구용 벤치 어셈블리
US4324398A (en) Safety apparatus for barbel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