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0192B1 - 소화용 가압 박스 - Google Patents

소화용 가압 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0192B1
KR102470192B1 KR1020200079748A KR20200079748A KR102470192B1 KR 102470192 B1 KR102470192 B1 KR 102470192B1 KR 1020200079748 A KR1020200079748 A KR 1020200079748A KR 20200079748 A KR20200079748 A KR 20200079748A KR 102470192 B1 KR102470192 B1 KR 1024701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ipe
fire
valve
tap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97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10143A (ko
Inventor
박성호
Original Assignee
박성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호 filed Critical 박성호
Publication of KR202101101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0143A/ko
Priority to KR10202201244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60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01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01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62C31/03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adjustable, e.g. from spray to jet or vice versa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62C31/05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with two or more outle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20Hydrants, e.g. wall-hoses, wall units, plug-in cabine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2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capable of producing different kinds of discharge, e.g. either jet or spr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05B1/16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having selectively- effective out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05B1/18Roses; Shower heads
    • B05B1/185Roses; Shower heads characterised by their outlet element; Mounting arrangement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3/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13/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13/06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 F04D13/0686Mechanical details of the pump control un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9/00Priming; Preventing vapour lock
    • F04D9/02Self-priming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5/00Plug valves; Taps or cocks comprising only cut-off apparatus having at least one of the sealing faces shaped as a more or less complete surface of a solid of revolu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being predominantly rotary
    • F16K5/06Plug valves; Taps or cocks comprising only cut-off apparatus having at least one of the sealing faces shaped as a more or less complete surface of a solid of revolu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being predominantly rotary with plugs having spherical surfaces; Packing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1/00Hoses, i.e. flexible pipes
    • F16L11/14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igid material, e.g. metal or hard plastics
    • F16L11/15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igid material, e.g. metal or hard plastics corrugate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 Electromagnet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재 진압에 필요한 물을 건물에 구비된 수도관으로부터 공급받아 생활 주거공간 또는 업무공간 등에 발생한 초기화재를 빠르고 용이하게 진압할 수 있으며, 화염에 물우산(수막) 형상으로 수도수 또는 수도압력수를 분사하여 화재의 확산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관리 및 내구성이 우수한 소화용 가압 박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소화용 가압 박스{Booster pump box for fire extinguishing}
본 발명은 소화용 가압 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재진압용 방수배관없이 건축물의 내부에 설치된 수도관과 간단하게 연결되어 설치 및 시공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화재 시 소화에 필요한 물을 수도관으로부터 공급받아 소화용 가압박스 내의 펌프로 가압하여 주거공간 또는 업무공간 등 장소에서 초기 화재를 효과적으로 진압할 수 있는 소화용 가압 박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화전은 화재 발생 시 신속하게 소화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소화전의 내부에는 소화나 방화를 위하여 소화 호스가 구비되고, 소화 호스의 물 공급상태를 제어하는 밸브가 설치되고, 소화 호스의 선단에는 물을 분사시키는 관창이 결합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소화전 내부에 보관된 소화 호스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통적으로 포개 접어 소화전함에 보관되며, 그 길이가 길어 호스의 꺾임, 또는 엉킴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소방호스에 곰팡이가 발생되는 등 위생적인 보관이 어렵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소화전의 일예로, 국내 출원 특허 제 10-2013-0022637호에 의하면, 소방호스의 길이는 5m내지 10m로 법규정 소화호스 15m보다 짧고 가늘며 위생적이고 안전한 보관은 물론, 유사시 소방호스를 신속하게 발화점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의 벽면에 매설된 화재진압용 방수배관(11')에는 인입소방호스(14a')의 일측이 접속되고, 상기 인입소방호스(14a')의 타측은 보빈(30')의 양측에 형성된 외판(31')에 접속된다. 방수배관(11')과 접속되는 인입소방호스(14a')의 타측이 보빈(30')에 연결되고, 보빈(30')에 접속되는 또 다른 소방호스인 인출소방호스(14b')의 타측에 관창(15')이 연결되는 구성을 제공함으로써, 인출소방호스(14b')를 보빈(30')에 감아서 보관함과 동시에 화재 시 인출소방호스(14b')를 보빈(30')에서 신속하게 풀어내어 발화점으로 관창(15')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소화용 가압 박스를 제공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의한 소화전은 소화전에 물을 공급하는 화재진압용 방수배관이 별도로 설치되어 화재진압용 방수배관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으며, 특정 건축물 또는 특정 구역 및 공간에 제한적으로 설치되어 비상시 소화전을 이용한 소화작업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소방호스의 구경이 크고 길이가 최소 15m이며 밸브개방이 힘들며 집안에 있지 않아, 화재 발생 시 화재 초기에 소화 호스를 꺼내 화재구역으로 이동하는데 많은 힘과 시간이 소요된다. 특히 수압이 차면 더욱 힘들어 노약자와 부녀자 및 혼자서는 사용하기 어려워 초기화재 진압의 골든 타임을 놓칠 수 있다. 또한, 소화작업 시 소화 호스를 길게 펼친 상태에서 물을 분사시켜야 하므로 소화전으로부터 먼 거리에서 화재가 발생할 경우, 길게 늘어진 소화 호스가 밟히거나 꺾이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에서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화염의 확산으로 인해 피해가 매우 크게 진행되는데, 특히 종래의 관창에서 분사되는 물줄기는 일직선 형태로 분사되기 때문에, 초기 화재 시 화염을 확산시키지 않고 진압하기가 어려워 화염을 감싸 덮는 형태로 소화수가 분사될 수 있는 노즐 형태가 요구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수도관이 구비된 벽체 인근, 특히 주방 또는 욕실 등에 간단하게 설치되어 상시 사용되는 수도관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으며 비 화재시에는 가압 박스 방향의 배관 밸브는 잠가 두어 공배관상태이므로 동절기에 동파되는 염려가 없고, 설치 및 시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가정 내부 및 근거리에서 발생한 초기화재를 신속하게 진압할 수 있도록 수도배관압을 높이는 자흡식 가압모터 펌프를 설치한다. 그 크기가 소형으로 제작되어 신속한 사용 및 좁은공간에서 보관이 용이하고, 소화 호스의 선단에는 물우산(수막) 형태로 물우산을 분사하는 특수한 모양의 분사 헤드를 더 구비함으로써 화재의 확산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소화용 가압 박스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건축물 내부에 구비되어 건축물의 내부 공간에 수도수를 공급하는 하나 이상의 수도관에 있어서, 수도관과 연결되고 개방 폐쇄가 가능하여 개방시 수도관으로부터 수도수를 공급하는 배관모듈과, 수도관과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소화 호스와, 소화 호스 끝단부에 인접하게 구비되는 조절 밸브와, 소화 호스 끝단에 연결되는 분사 헤드와, 벽체에 고정 설치되며 소화 호스가 수납되는 내부 공간이 형성된 하우징을 포함한다.
배관 모듈은, 수도관 타단부에 연결되는 하나의 유입공과 제1 배출공 및 제2 배출공을 포함하는 T자 배관과, T자 배관의 제1 배출공에 연결되어 소화 호스에 수도수를 전달하는 제1 파이프와, 제1 파이프에 구비되어 제1 파이프에 공급되는 수도수의 흐름상태를 제어하는 제2 밸브와 T자 배관의 제2 배출공에 연결되는 가정 내 샤워기 또는 기타 수도시설과 제1 파이프에 구비되는 자흡식 가압모터펌프와, 접선단자를 포함하여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가압모터 펌프에 공급함으로써 가압모터 펌프의 전원을 제어하는 펌프 제어 스위치를 포함한다.
조절 밸브를 열고 펌프 제어 스위치를 가동시켰을 때, 분사 헤드를 통해 배출되는 수도수는 소정의 물 분사 영역을 가지며 펌프 제어 스위치의 가동을 정지시키지 않는 한 연속적으로 수도수를 배출함으로써 화재 시 근거리에 배치된 수도관으로부터 공급되는 수도수를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단시간내에 초기화재를 진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올바른 실시예에 따르면, 수도관은 수도수의 공급을 제어하는 제1-1 밸브를 포함하고, 제2 밸브는 볼밸브이며 T자 배관의 제2 배출공은 기존 수도관의 규격과 동일하다. 본 발명은 제1 파이프와 소화 호스 사이에 구비되어 제1 파이프와 소화 호스의 결합상태를 유지하는 연결구를 더 포함한다. 상기 소화 호스는 릴 호스이며, 15A 내지 20A 규격의 스테인레스 주름관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밸브의 폐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밸브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고, 밸브 고정수단은 제2 밸브가 폐쇄 상태일 때, 제2 밸브가 젖혀지거나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2 밸브의 일단부와 제1 파이프를 고정 결합하는 고정핀 또는 연결 끈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기존 수도관의 규격과 동일하며, T자 배관의 제2 배출공과 가정 내 샤워기 또는 기타 수도시설을 연결하는 제2 파이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펌프 제어 스위치는 가압모터 펌프에 전원을 공급 및 제어하며 정격감도 15mA이하이면서 동작 시간이 0.03초 이내인 누전차단기와, 펌프제어 스위치에 전원 공급상태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LED발광표시부를 더 포함한다. 가압모터 펌프는 AC 220v 60Hz, 용량이 110w 내지 140w인 단상모터이면서 최대양정이 3.5m내지 5.5m이고 유량이 25L/min의 범위이고 구경의 크기가 15mm인 규격을 갖음에 따라, 제1 파이프를 통해 흐르는 수도수가 가압모터 펌프를 거쳐 수압이 커지며 수도압력수가 공급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가압모터 펌프 제어 스위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비상벨을 더 포함하고 상기 비상벨은 펌프 제어 스위치의 접선단자에 병렬 연결된 비상벨 접선단자가 구비되어 펌프 제어 스위치가 on상태일 때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기가 펌프제어 스위치의 접선단자와 비상벨 접선단자에 전달되어 가압모터 펌프 및 비상벨을 동시에 작동 시킨다.
올바른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하우징은 전면부를 제외한 나머지 면이 폐쇄되어 내부 공간이 형성되고, 전면이 소정의 영역으로 개방되는 개방부와 상기 개방부를 폐쇄함으로써 내부 공간을 밀폐시킬 수 있는 덮개부와 제1 파이프가 끼워지는 제1 관통공을 포함하며 하우징은 PVC재질로 제작되고 규격은 가로 400mm 세로 500mm 높이 150mm의 사면체 형상을 갖고, 내부 공간에 소화 호스 및 분사 헤드, 배관모듈의 일부와 가압모터 펌프와 비상벨이 수용된다. 제1 파이프는 가압모터 펌프가 구비된 지점을 중심으로, 가압모터 펌프에 수도수가 유입되는 제1 방향과 가압모터 펌프에서 수도압력수가 배출되는 제2 방향에 일단과 타단이 각각 연결되는 ㄷ자형의 바이패스 배관을 포함하며, 바이패스배관은 가압모터 펌프가 정상작동 시 바이패스배관의 일단에 수도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3밸브를 포함하며, 제1파이프는 바이패스배관의 타단인근에 수도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4밸브가 더 구비되어 가압모터 펌프가 고장 또는 정전 시, 제3밸브를 개방하고 제4밸브를 잠궈 제1 파이프를 통해 공급되는 수도수가 가압모터 펌프를 거치지 않고 바이패스 배관을 통해 수도수가 분사 헤드로 공급되도록 한다. 분사 헤드는, 일정간격 이격 배치된 복수의 물 분사 홀로 이루어지는 배출부를 포함하며, 물 분사 홀의 테두리부에는 소정의 영역이 테두리부를 따라 소정 각도로 턱이 형성되는 돌출부가 형성된다. 배출부는 분사 헤드 테두리부를 따라 내측방향으로 소정두께를 갖도록 배치되는 원형의 링 형상을 갖으면서 돌출부는 배출부 내측방향을 향하도록 구비됨에 따라, 물 분사 홀에서 배출되는 수도수 또는 수도압력수가 돌출부에서 방향유도작용에 의해 반대 방향인 돌출이 없는 외측 방향으로 분사되어 물우산(수막) 형상으로 방사분사되며 초기화재의 화염을 물보자기로 덮어주는 형태로 분사된다. 배출부는 원주를 그리도록 복수, 예를 들어 4개의 원형 물 분사 홀이 배치된 제1 배출부와, 물 분사 홀이 제1 배출부보다 작은 원주를 그리면서 동시에 제1 배출부를 구성하는 물 분사 홀과 엇갈려 배치되는 제2 배출부를 포함한다. 돌출부가 테두리부를 따라 형성되는 호의 길이는 3mm내지 7mm이며, 상기 분사 헤드는 지름 120mm를 갖고, 물 분사 영역은 분사 헤드의 테두리부를 따라 40mm 폭으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분사헤드의 중앙에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에 나사 결합되어 개구부를 밀폐시키는 분리캡을 더 포함하며 분리캡이 분사헤드의 중앙 개구부에 결합 된 상태에서는 배출부를 통해 수도수 또는 수도압력수가 방사분사되고, 분사헤드의 분리캡을 분사헤드로부터 분리한 상태에서는 개구부를 통해 수도수 또는 수도압력수가 직사분사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생활 주거공간 또는 업무공간에 배치된 수도관에 소화용 가압 박스를 연결하여 설치함으로써, 동절기에 동파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화재 발생 시 가볍고 짧은 소화 호스를 들고 이동하게 되어 초기 화재를 빠르게 진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운반이 용이하고, 소화 호스의 분리 및 결합이 용이하여 사용 후 소화 호스 내부에 남은 물기에 의한 부식을 방지할 수 있으며 동시에 물기가 모두 제거된 소화 호스를 하우징 내에 보관하여 소화 호스의 외부노출로 인한 부식을 방지할 수 있어 내구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미관이 수려하다. 특히 소화 시 소화헤드로부터 연속적으로 물우산(수막) 형태로 수도수 또는 수도압력수를 분사할 수 있어 초기 화재에서 화염의 확산 방지로 신속히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특징과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소화박스의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도 2은 종래 기술의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소화용 가압 박스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관모듈의 연결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종래 수도관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관모듈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7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화용 가압 박스 하우징 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8는 본 발명의 소화용 가압 박스의 소화헤드를 상세히 도시한 평면도와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소화용 가압 박스의 소화헤드를 상세히 도시한 평면도와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소화용 가압 박스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아울러,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도 3는 본 발명의 소화용 가압 박스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3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건축물의 벽체에 설치되어 수도수를 공급하는 수도관(10)과, 수도관(10)으로부터 공급되는 수도수를 전달하는 배관모듈(110)에 의해 상기 수도관(10)과 연결되는 소화 호스(20)와, 소화 호스(20) 끝단부에 인접하게 구비되는 조절 밸브(21)와, 소화 호스(20) 끝단에 연결되는 분사헤드(120)와, 벽체와 인접하게 구비되며 소화 호스(20)가 수납되는 하우징(130)을 포함하여 소화 호스(20)의 외부노출로 인한 부식을 방지한다. 실시예에 의하면 조절 밸브(21)가 구비되는 소화호스 끝단부 인근에는 조절밸브의 작동 및 사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손잡이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나아가 각 가정에 구비되어있는 수도관(10)으로부터 수도수를 공급받으므로 별도로 수도수를 공급하는 장치가 필요치 않아 설치가 용이할뿐만 아니라, 설치/시공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소화용 가압 박스는 아파트 또는 공동주택과 같이 가정의 수도관에 연결되어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그 밖의 사무실 등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에서 연면적 3000mㅂ이상, 지하층, 무창층, 층수가 4층이상인 것 중 바닥면적이 600mㅂ이상인 층이 있는 것 위에 해당하지 아니하는 근생, 판매시설, 숙박, 노유자시설등에서는 지하층, 무창층, 4층 이상의 층의 바닥면적 300mㅂ이상은 전층 등에 해당하지 아니하는 건물과 같이 모든 건축물)화장실이나 각 실의 세면대 수도관에 연결하여 설치할 수 있다. 기술한 구조에 따르면, 본 발명의 소화용 가압 박스의 기능과 가격을 고려하였을 때, 본 발명의 소화용 가압 박스는 설치비가 약 25만원 내외로써 현재 사용되는 7KG규격의 청정 소화기의 개당 가격이 15만원인 것을 감안하면, 본 발명의 소화용 가압 박스를 가정에서 상비하는데에 큰 부담이 되지 않으며, 작은 빌딩이나 상가 등에서도 설치비용에 큰 부담이 되지 않는다. 또한, 건축물에 하나 이상 설치된 각각의 수도관(10)에 본 발명의 소화용 가압 박스(100)를 연결함으로써 화재 시 근거리에 설치된 소화용 가압 박스(100)를 이용하여 빠르게 화염을 진압할 수 있어, 특히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 내에서 화재가 확산되는 것을 초기에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소화 호스(20)는 릴 호스이며, 하우징 내에 권취된 상태로 보관되는 것이 좋다. 소화 호스는 15A 내지 20A 규격의 스테인레스 주름관을 이용함으로써 녹이 스는 것을 방지하고, 굽힘이 용이하며 신축력이 뛰어나 보관 및 사용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상기 하우징(130)은 수도관(10)이 형성된 건축물의 벽체에 고정 설치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구조에 따르면, 화재 시 하우징(130)의 내부 공간에 수납된 배관모듈(110)의 폐쇄상태를 개방하는 단순한 동작으로 작동하여 자동화 소화작업 시 기계의 노후에 따른 오작동 문제를 방지할 수 있고, 화재 시에만 상시 사용되는 수도관(10)으로부터 수도수를 공급받으므로 동절기에 소화배관 동파 염려가 없다. 또한, 우산 형상으로 수도수를 분사하는 분사헤드(120)를 구비하여 화염이 물 분사 영역 내에 위치하도록 하였을 때, 화염이 물 분사 영역 밖으로 확산되는 것을 차단할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 물 분사 거리를 조정하여 수도수를 분사시킬 수 있으므로 초기 화재가 확산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관모듈의 연결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종래 수도관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4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배관모듈(110)은 수도관(10) 타단부에 연결되는 하나의 유입공(111a)과 제1 배출공(111b)과 제2 배출공(111c)을 포함하는 T자 배관(111)과 T자 배관의 제1 배출공(111b)에 연결되어 소화 호스(20)에 수도수를 전달하는 제1 파이프(112)와 T자 배관의 제2 배출공(111c)에 연결되어 가정 내 샤워기 또는 기타 수도시설에 수도수를 공급하는 제2 파이프(113)와 제1 파이프(112)에 구비되는 자흡식 가압모터펌프(114)와, 접선단자를 포함하여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자흡식 가압모터펌프(114)에 공급함으로써 자흡식 가압모터펌프(114)의 전원을 제어하는 펌프 제어 스위치(114a)를 포함한다. 또한, 수도관(10)은 배관모듈(110)보다 전방에 위치하는 제1-1 밸브(11)가 구비된다. 제1 파이프(112)에는 수도수의 흐름상태를 제어하는 제2 밸브(112a)가 구비된다. 제2 밸브는 하우징 내부에 수납되도록 구비됨에 따라 외부 충격에 의한 밸브의 이동 및 파손을 방지하고, 외부환경 조건에 의해 밸브가 부식되거나 녹이 슬어 수명이 단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제2 밸브의 위치는 하우징 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소화용 가압 박스가 시공되는 설치장소 및 환경조건에 따라 하우징의 외부에 구비될 수도 있다.(미도시) 제1 파이프(112)와 소화 호스(20) 사이에는 결합상태를 유지하는 연결구(115)가 구비됨에 따라, 제1 파이프(112)와 소화 호스(20)는 연결구(115)에 의해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샤워기 및 수도시설(30)은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도관(10)에 직접적으로 연결된다. 도 5 및 도 4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올바른 실시예를 설명하면, 도 5의 (a)와 같이 수도관(10)에 연결되어 있던 샤워기 및 수도시설(30)을 도 5의 (b)와 같이 수도관(10)으로부터 분리했을 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워기 및 수도시설(30)이 분리된 수도관(10)에는 기존 수도관(10)의 규격과 동일한 T자 배관(111)을 연결하고, T배관의 제2 배출공(111c)에는 분리한 샤워기 및 수도시설(30)을 연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가정 내 샤워기 또는 기타 수도시설(30)은 제2 파이프(113)를 생략하고 기존 수도관(10)의 규격과 동일한 T자 배관(111)의 제2 배출공(111c)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제1 배출공(111b)에 연결되는 제1 파이프(112)에 있어서, 제1 파이프(112)에 구비된 제2 밸브(112a)는 볼밸브를 이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나아가 본 발명의 소화용 가압 박스은, 제2 밸브의 폐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밸브 고정 수단(116)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좋으며 특히 제2 밸브가 하우징의 외부에 구비되었을 때 밸브 고정수단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밸브 고정 수단(116)은 제2 밸브가 폐쇄 상태일 때, 제2 밸브가 젖혀지거나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2 밸브의 일단부와 제1 파이프(112)를 고정 결합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종래의 다양한 고정방법을 사용할 수 있되, 이때 밸브 고정 수단(116)은 제2 밸브와 제1 파이프(112)로부터 용이하게 제거가 가능한 고정핀 또는 쉽게 해체할 수 있는 연결 끈을 이용하는 것이 가장 좋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자흡식 가압모터펌프(114)는 AC 220v 60Hz, 용량이 110w 내지 140w인 단상모터이고, 최대양정이 3.5m내지 5.5m이고 유량이 25L/min의 범위이고 구경의 크기가 15mm인 규격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파이프(112)를 통해 흐르는 수도수는 자흡식 가압모터펌프(114)를 통하여 수압이 가압되어 수도압력수가 형성되고 수도압력수는 분사헤드(120)를 통해 분사되므로 초기 화재 진압에 더욱 효과적이다.
펌프 제어 스위치(114a)는 220V 콘센트를 이용하여 전원을 공급받으며, 나아가 상기 자흡식 가압모터펌프(114)제어스위치(114a)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비상벨(114b)을 더 포함한다. 비상벨(114b)은 펌프 제어 스위치(114a)의 접선단자에 병렬 연결된 비상벨 접선단자를 포함하며, 펌프 제어 스위치(114a)가 on상태일 때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기가 펌프 제어 스위치(114a)의 접선단자와 비상벨 접선단자에 전달되어 자흡식 가압모터펌프(114) 및 비상벨(114b)을 작동 시킨다. 펌프 제어 스위치(114a)인근에는 정격감도 15mA이하이면서 동작 시간이 0.03초 이내인 누전차단기(114c)를 설치하여 감전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르면 펌프 제어 스위치(114a)는 하우징 외부 잘 보이는곳에 설치된 LED발광표시부(114a')를 펌프 제어 스위치(114a)에 전원 공급상태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기술한 구조에 따르면, 화재 시 호스를 화재 장소까지 펼치고, 수도관(10)에 구비된 제1-1 밸브(11)를 개방하고, 제2 밸브의 밸브 고정 수단(116)을 제거한 뒤, 제1 파이프(112)에 구비된 제2 밸브(112a)를 개방하고, 펌프 스위치를 on상태로 실행시켜 비상벨(114b) 및 자흡식 가압모터펌프(114)를 작동시키고, 소화 호스(20) 끝단부에 구비된 조절 밸브(21)를 열어 분사헤드(120)에서 수도수 또는 수도압력수가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화재 발생 상태를 주변에 알림과 동시에 분사헤드(120)로 화재를 진압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1-1 밸브는 일반적으로 가정 내에서 수도관으로부터 공급되는 수도수를 사용하기 위하여 개방되어 있으므로, 제1-1 밸브를 개방하는 과정은 생략될 수 있다. 일반 스프링클러 헤드는 약 79ㅀC의 온도에서 작동되어 분사헤드의 안전판이 녹게된다. 이상황이 되려면 화재의 크기가 상당히 진행되어야 천장 온도가 79ㅀC까지 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크게 진행된 화염에 의해 스프링클러 헤드의 부품이 개방되어 스프링클러 헤드로부터 분사되는 물이 쏟아지게 된다. 본 발명의 분사헤드는 화재를 발견한 사람이 스프링클러 헤드의 작동과 무관하게 화재 초기에서 화염이 크게 진행되기 전 화염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으며, 완벽하고 안전하게 소화작업을 할 수 있다.
도 6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관모듈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6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하면, 제1 파이프(112)는 자흡식 가압모터펌프(114)가 구비된 지점을 중심으로, 자흡식 가압모터펌프(114)에 수도수가 유입되는 제1 방향과 자흡식 가압모터펌프(114)에서 수도압력수가 배출되는 제2 방향에 일단과 타단이 각각 연결되는 ㄷ자형의 바이패스 배관(117)이 구비된다. 바이패스 배관(117)은 자흡식 가압모터펌프(114)가 고장 또는 정전 시, 제1 파이프(112)를 통해 공급되는 수도수가 자흡식 가압모터펌프(114)를 거치지 않고 바이패스 배관(117)을 통해 분사헤드(120)로 공급된다. 이때 분사헤드(120)로 공급되는 수압은 수도관(10)에서 공급되는 수도수의 수압과 일치한다. 바이패스 배관(117)은 자흡식 가압모터펌프(114)가 정상작동 시 바이패스 배관(117)의 일단에 수도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3밸브(117a)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제1파이프는 바이패스배관의 타단인근에 수도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4밸브(117b)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자흡식 가압모터펌프(114)가 고장 또는 정전 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화용 가압박스의 사용방법을 설명하면, 화재 시 호스를 화재 장소까지 펼치고, 수도관(10)에 구비된 제1-1 밸브(11)를 개방하고, 제2 밸브의 밸브 고정 수단(116)을 제거한 뒤, 제1 파이프(112)에 구비된 제2 밸브(112a)를 개방하고, 바이패스 배관(117)에 설치된 두 개의 제3밸브(117a)를 개방하고 제4밸브(117b)를 잠근후, 소화 호스(20) 끝단부에 구비된 조절 밸브(21)를 열어 분사헤드(120)에서 수도 압력수가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분사헤드(120)에서 배출되는 일반압의 수도수로 화재를 진압할 수 있도록 한다. 조절 밸브(21)를 열고 펌프 제어 스위치를 가동시켰을 때, 분사헤드(120)는 펌프 제어 스위치(114a)의 가동을 정지시키지 않는 한 본원 발명의 분사헤드는 연속적으로 수도수 또는 수도압력수가 분사되며, 상세하게는 최초 수도수 또는 수도압력수가 공급되기 시작할 경우, 분사헤드에 설치된 조절 밸브(21)에서 손을 떼어도 수압에 의해 자동으로 수도수 또는 수도압력수가 연속적으로 분사된다. 또한 분사헤드는 필요에 따라 수동으로 제1-1 밸브와 제2 밸브를 잠궈 수도수의 공급을 차단함으로써 분사헤드에서 공급되는 수도수 또는 수도압력수를 멈추도록 할 수 있다.
화재 진압 후에는, 펌프 제어 스위치(114a)의 전원을 끄고, 제1-1 밸브(11)와 제2 밸브(112a)를 폐쇄상태로 닫아 잠구고, 연결구(115)를 분리하여 제1 파이프(112)와 소화 호스(20)의 결합상태를 분리하고, 소화 호스(20) 내에 남은 물기를 제거 및 건조한 후, 연결구(115)를 이용하여 제1 파이프(112)와 소화 호스(20)를 재결합하여 보관함으로써 소화 호스(20)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화용 가압 박스 하우징 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7를 참조하면, 하우징(130)은 전면부를 제외한 나머지 면이 폐쇄되어 내부 공간(130a)이 형성되고, 전면이 소정의 영역으로 개방되는 개방부(130b)와 상기 개방부(130b)를 폐쇄함으로써 내부 공간(130a)을 밀폐시킬 수 있는 덮개부(131)와 제1 파이프(112)가 끼워지는 제1 관통공(132)을 포함하며 하우징(130)은, T자배관과, T자배관과 연결된 제1 파이프(112)의 일단을 제외한 배관모듈(110)을 수용함으로써, 덮개부(131)에 의해 폐쇄된 하우징(130)은 내부 공간에 수용된 제1 파이프의 타단과 자흡식 가압모터펌프(114), 바이패스 배관(117) 및 소화 호스(20)와 분사헤드(120)와 비상벨(114b) 등을 외부충격으로부터 보호하고 외부환경조건에 의한 부식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최대화시킬 수 있다. 하우징(130)은 PVC재질로 제작되며 규격은 가로 400mm 세로 500mm 높이 150mm의 사면체 형상을 갖는다. 덮개부(131)는 소화용 가압 박스(100)의 내부 형상 및 사용방법이 인쇄 또는 부착되는 것이 좋다.
도 8는 본 발명의 소화용 가압 박스의 소화헤드를 상세히 도시한 평면도와 사시도이다.
도 8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분사헤드(120)는,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간격 이격 배치된 복수의 물 분사 홀(121a)로 이루어지는 배출부(121)를 포함한다. 도 8의 (b)에서 도시된 물 분사 홀(121a)의 테두리부에는, 소정의 영역이 테두리부를 따라 소정 각도로 턱이 형성된 돌출부(121b)가 형성된다.
배출부는 원주를 그리도록 복수의 원형 물 분사 홀(121a)이 배치된 제1 배출부(121')와 제1 배출부보다 작은 원주를 그리면서 제1 배출부를 구성하는 물 분사 홀과 엇갈려 배치되는 제2 배출부(121'')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2배출부(121'')이외에도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는 제3배출부와 제4배출부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미도시)
돌출부(121b)가 테두리부를 따라 형성되는 호의 길이는 3mm내지 7mm이고 바람직하게는, 돌출부(121b)가 테두리부를 따라 형성되는 호의 길이가 5mm인 것이 가장 좋다. 배출부(121)는 분사헤드(120) 테두리부를 따라 내측방향으로 소정두께를 갖도록 배치되는 원형의 링 형상이며, 돌출부(121b)는 배출부(121) 내측방향을 향하도록 구비됨에 따라, 물 분사 홀(121a)에서 배출되는 수도수 또는 수도압력수가 돌출부(121b)에서 방향유도작용에 의해 반대 방향인 돌출이 없는 외측 방향으로 분사되어 물우산(수막) 형상으로 방사분사되며 초기화재의 화염을 물보자기로 덮어주는 형태로 방사 분사된다. 상기 분사헤드(120)의 지름(D2)은 120mm이고, 배출부(121)는 분사헤드(120)의 테두리부를 따라 40mm 폭으로 형성되어 내주면의 지름(D1)이 80mm인 것이 가장 적절한 물 우산(수막)모양을 형성하기에 효과적일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소화용 가압 박스의 소화헤드를 상세히 도시한 평면도와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면,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사헤드의 중앙에는 개구부(122)가 형성되었을 때, 상기 개구부에 나사 결합되어 개구부를 밀폐시키는 분리캡(123)을 더 포함한다.
도 9의 (a)와 같이 분리캡이 분사헤드의 중앙 개구부에 결합 된 상태에서는 배출부(121)를 통해 수도수 또는 수도압력수가 방사분사된다. 초기화재 진압 실패시에는 도 9의 (b)와 같이, 분사헤드의 분리캡을 분사헤드로부터 분리하여 직사분사가 가능하도록 한다.
도 8과 도9를 참조하여 분사헤드를 상세히 설명하면, 물 분사 영역(P1)의 지름(D3)은 분사헤드(120)의 지름(D2)보다 크며, 수도수 또는 수도압력수 분사영역의 지름(D3)는 분사헤드(120)와 화염 사이의 거리에 따라 변화한다. 일반적으로 분사헤드와 화염사이의 거리가 멀어질 때 물 분사 영역의 지름이 커진다. 본 발명의 분사헤드(120)와 화염 사이의 거리가 60cm일 경우, 물 분사 영역(P1)의 크기는 0.8M내지 1.3M의 지름을 갖게되며 화염의 모양에 따라 화염과 분사헤드의 간격을 조정하여 물 분사 영역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분사헤드(120)를 통해 물 분사 영역에 골고루 분사되는 수도수 또는 수도압력수는 물우산(수막) 형상으로 소정의 영역을 갖도록 분사된다. 물우산(수막) 면적 안에 있는 화염은, 화재 상태가 지속되기 위한 산소가 부족하게 되고, 수도수 또는 수도압력수의 잠열에 의한 냉각 효과가 발생하여 질식, 냉각 소화가 효과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화염이 물우산(수막) 형상의 물 분사 영역(P1)을 벗어날 수 없어서 화재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일반 가구류, 침구류에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화염의 확산 방지 효과 및 소화 기능이 뛰어나다. 나아가 본 발명의 분사헤드(120)의 구조에 의하면 넓은 영역에 동시다발적으로 수도수 또는 수도압력수를 분사할 수 있어 사용자가 자가(自家)의 아래층에서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사용자가 자가(自家)의 베란다 유리에 수도수 또는 수도압력수를 분사함으로써 화염이 자가내부로 확산되는 것을 차단시킬 뿐만 아니라 하부로 수도수 또는 수도압력수를 분사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가내에서 화재가 확산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아래층에서 화재시 자가(自家) 천장은 79ㅀC까지 온도가 올라가지 않아 상기 천장에 설치된 스프링클러 헤드에서 물이 방출되지 못하고 외부의 화염이 베란다 유리창을 파손하며 자가 내로 들어와 화재가 전파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소화용 가압박스를 이용하여 집안의 가연성 물질을 적셔주고 베란다 등에 설치된 유리에 연속적으로 물을 뿌려 화재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다.
분사헤드의 테두리부에 형성된 배출부 보다 작은 직경 내에는 물 분사 홀이 형성되지 않아 수도압력수가 분사헤드의 테두리부에 형성된 직경이 작은 물 분사홀만을 통하여 고압으로 신속히 배출되므로 화재의 초기에 신속하게 진압할 수 있다. 설령 중앙에 물분출구가 형성되어도 제2실시예에서와 같이 분리캡으로 폐쇄하여 화재 발생시에는 마찬가지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상에서 기술한 본 발명의 소화용 가압 박스의 기능과 가격을 종래의 소화기와 비교하면, 종래 사용되는 소화기는 통상적으로 1회성 사용이 가능하여 초기 진화에 실패했을 때, 다른 대안이 없으나 본원 발명의 소화용 가압 박스는 수도관을 통해 수도수 또는 수도압력수가 지속적으로 공급되는 한, 화재 진압이 완료될 때까지 사용이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분당 25L의 수도수 또는 수도압력수를 분사하였을 때, 3분 내지 5분가량의 시간동안 100L 수도수 또는 수도압력수의 양이 분사되므로 가정내의 초기 화재는 본원 발명의 소화용 가압 박스를 이용하여 완벽한 진압이 가능하다.
삭제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소화용 가압 박스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화용 가압박스는, 수도관(10) 타단부에 형성된 배관모듈(110)보다 후방에 위치하는 제1-2 밸브(12)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6에 도시된 상기 제4밸브(117b)가 생략되어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일련의 과정에서 제 4밸브의 잠금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소화 호스(20)는 배관모듈의 끝단부에서 두 개 내지 복수개가 연결될 수 있으며 배관모듈(110)과 소화호스(20)의 연결 방법은 본 발명을 실시하는 자에게 통상적으로 널리 알려진 기술로써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기술한 구조에 따르면, 두 개의 소화호스(20) 및 분사헤드를 설치함으로써 2명의 사용자가 동시에 소화수를 분사할 수 있도록 하며 화재 확산 상태에서도 화재 진압의 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도록 한다.
삭제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10 수도관 11 제1-1 밸브
12 제1-2 밸브 20 소화 호스
21 조절 밸브 30 샤워기 및 수도시설
100 소화용 가압 박스 110 배관모듈
111 T자 배관 111a 유입공
111b 제1 배출공 111c 제2 배출공
112 제1 파이프 112a 제2 밸브
113 제2 파이프 114 자흡식 가압모터펌프
114a 펌프 제어 스위치 114a' LED발광표시부
114b 비상벨 114c 누전차단기
115 연결구 116 밸브 고정수단
117 바이패스 배관 117a 제3밸브
117b 제4밸브 120 분사헤드
121 배출부 121a 물 분사 홀
121b 돌출부 122 개구부
123 분리캡 130 하우징
130a 내부 공간 130b 개방부
131 덮개부 132 제1 관통공

Claims (13)

  1. 건축물 내부에 구비되어 건축물의 내부 공간에 수도수를 공급하는 하나 이상의 수도관에 있어서, 수도관과 연결되고 개방 폐쇄가 가능하여 개방시 수도관으로부터 수도수를 공급하는 배관모듈과, 수도관과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소화 호스와, 소화 호스 끝단부에 인접하게 구비되는 조절 밸브와, 소화 호스 끝단에 연결되는 분사 헤드와, 벽체에 고정 설치되며 소화 호스가 수납되는 내부 공간이 형성된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배관 모듈은, 수도관 타단부에 연결되는 하나의 유입공과 제1 배출공 및 제2 배출공을 포함하는 T자 배관과, T자 배관의 제1 배출공에 연결되어 소화 호스에 수도수를 전달하는 제1 파이프와, 제1 파이프에 구비되어 제1 파이프에 공급되는 수도수의 흐름상태를 제어하는 제2 밸브와 T자 배관의 제2 배출공에 연결되는 가정 내 샤워기 또는 기타 수도시설과 제1 파이프에 구비되는 자흡식 가압모터펌프와, 접선단자를 포함하여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가압모터 펌프에 공급함으로써 가압모터 펌프의 전원을 제어하는 펌프 제어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조절 밸브를 열고 펌프 제어 스위치를 가동시켰을 때, 분사 헤드를 통해 배출되는 수도수는 소정의 물 분사 영역을 가지며 펌프 제어 스위치의 가동을 정지시키지 않는 한 연속적으로 수도수를 배출함으로써 화재 시 근거리에 배치된 수도관으로부터 공급되는 수도수를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단시간 내에 초기화재을 진압할 수 있으며, 제1 파이프를 통해 흐르는 수도수가 가압모터 펌프를 거쳐 수압이 커지며 수도압력수가 형성되고,
    상기 분사 헤드는, 일정간격 이격 배치되며 직경이 작은 복수의 물 분사 홀로 이루어지는 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물 분사 홀 각각의 테두리부에는 소정의 영역이 테두리부를 따라 소정 각도로 턱이 형성된 돌출부가 형성되며,
    배출부는 분사 헤드 테두리부를 따라 내측방향으로 소정두께를 갖도록 배치되는 원형의 링 형상이며,
    돌출부는 배출부의 내측방향을 향하도록 구비되어, 물 분사 홀에서 배출되는 수도수 또는 수도압력수가 돌출부에서 방향유도작용에 의해 반대 방향인 돌출이 없는 외측 방향으로 분사되어 물우산 형상으로 방사 분사되어 초기화재의 화염을 물보자기로 덮어주는 형태로 분사되며
    분사헤드의 테두리부에 형성된 배출부 보다 작은 직경 내에는 물 분사 홀이 형성되지 않아 수도압력수가 분사헤드의 테두리부에 형성된 직경이 작은 물 분사홀만을 통하여 고압으로 신속히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용 가압 박스.
  2. 제 1항에 있어서
    수도관은 수도수의 공급을 제어하는 제1-1 밸브를 포함하고, 제2 밸브는 볼밸브이며 T자 배관의 제2 배출공은 기존 수도관의 규격과 동일한 소화용 가압 박스.
  3. 제 2항에 있어서
    제1 파이프와 소화 호스 사이에 구비되어 제1 파이프와 소화 호스의 결합상태를 유지하는 연결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소화 호스는 릴 호스이며, 15A 내지 20A 규격의 스테인레스 주름관을 이용하는 소화용 가압 박스.
  4. 제 3항에 있어서
    제2 밸브의 폐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밸브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고, 밸브 고정수단은 제2 밸브가 폐쇄 상태일 때, 제2 밸브가 젖혀지거나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2 밸브의 일단부와 제1 파이프를 고정 결합하는 고정핀 또는 연결 끈인 소화용 가압 박스.
  5. 제 4항에 있어서
    기존 수도관의 규격과 동일하며, T자 배관의 제2 배출공과 가정 내 샤워기 또는 기타 수도시설을 연결하는 제2 파이프를 더 포함하는 소화용 가압 박스.
  6. 제 5항에 있어서
    펌프 제어 스위치는 가압모터 펌프에 전원을 공급 및 제어하며 정격감도 15mA이하이면서 동작 시간이 0.03초 이내인 누전차단기와,
    펌프제어 스위치에 전원 공급상태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LED발광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가압모터 펌프는 AC 220v 60Hz, 용량이 110w 내지 140w인 단상모터이면서 최대양정이 3.5m내지 5.5m이고 유량이 25L/min의 범위이고, 구경의 크기가 15mm인 규격을 갖는 소화용 가압 박스.
  7. 제 6항에 있어서
    가압모터 펌프 제어 스위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비상벨을 더 포함하고 상기 비상벨은 펌프 제어 스위치의 접선단자에 병렬 연결된 비상벨 접선단자가 구비되어 펌프 제어 스위치가 on상태일 때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기가 펌프제어 스위치의 접선단자와 비상벨 접선단자에 전달되어 가압모터 펌프 및 비상벨을 동시에 작동시키는 소화용 가압 박스.
  8. 제 7항에 있어서
    하우징은 전면부를 제외한 나머지 면이 폐쇄되어 내부 공간이 형성되고, 전면이 소정의 영역으로 개방되는 개방부와 상기 개방부를 폐쇄함으로써 내부 공간을 밀폐시킬 수 있는 덮개부와 제1 파이프가 끼워지는 제1 관통공을 포함하며 하우징은 PVC재질로 제작되고 규격은 가로 400mm 세로 500mm 높이 150mm의 사면체 형상을 갖고, 내부 공간에 소화 호스 및 분사 헤드, 배관모듈의 일부와 가압모터 펌프와 비상벨이 수용되는 소화용 가압 박스.
  9. 제 8항에 있어서
    제1 파이프는 가압모터 펌프가 구비된 지점을 중심으로, 가압모터 펌프에 수도수가 유입되는 제1 방향과 가압모터 펌프에서 수도압력수가 배출되는 제2 방향에 일단과 타단이 각각 연결되는 ㄷ자형의 바이패스 배관을 포함하며, 바이패스배관은 가압모터 펌프가 정상작동 시 바이패스배관의 일단에 수도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3밸브를 포함하는 소화용 가압 박스.
  10. 제 9항에 있어서
    제1파이프는 바이패스배관의 타단인근에 수도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4밸브가 더 구비되어 가압모터 펌프가 고장 또는 정전 시, 제3밸브를 개방하고 제4밸브를 잠궈 제1 파이프를 통해 공급되는 수도수가 가압모터 펌프를 거치지 않고 바이패스 배관을 통해 수도압력수가 분사 헤드로 공급되도록 하는 소화용 가압 박스.
  11. 삭제
  12. 제 1항에 있어서
    배출부는 원주를 그리도록 복수의 원형 물 분사 홀이 배치된 제1 배출부와, 물 분사 홀이 제1 배출부보다 작은 원주를 그리면서 동시에 제1 배출부를 구성하는 물 분사 홀과 엇갈려 배치되는 제2 배출부를 포함하되,
    돌출부가 테두리부를 따라 형성되는 호의 길이는 3mm내지 7mm이고, 상기 분사 헤드는 지름 120mm를 갖으며, 물 분사 영역은 분사 헤드의 테두리부를 따라 40mm 폭으로 형성되는 소화용 가압 박스.
  13. 제 12항에 있어서
    분사헤드의 중앙에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에 나사 결합되어 개구부를 밀폐시키는 분리캡을 더 포함하며 분리캡이 분사헤드의 중앙 개구부에 결합 된 상태에서는 배출부를 통해 수도수 또는 수도압력수가 방사분사되고, 분사헤드의 분리캡을 분사헤드로부터 분리한 상태에서는 개구부를 통해 수도수 또는 수도압력수가 직사분사되는 소화용 가압 박스.
KR1020200079748A 2020-02-28 2020-06-30 소화용 가압 박스 KR1024701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4456A KR102576084B1 (ko) 2020-02-28 2022-09-29 가정용 소방 다용도 호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25158 2020-02-28
KR1020200025158 2020-02-28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4456A Division KR102576084B1 (ko) 2020-02-28 2022-09-29 가정용 소방 다용도 호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0143A KR20210110143A (ko) 2021-09-07
KR102470192B1 true KR102470192B1 (ko) 2022-11-23

Family

ID=7779744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9748A KR102470192B1 (ko) 2020-02-28 2020-06-30 소화용 가압 박스
KR1020220124456A KR102576084B1 (ko) 2020-02-28 2022-09-29 가정용 소방 다용도 호스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4456A KR102576084B1 (ko) 2020-02-28 2022-09-29 가정용 소방 다용도 호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47019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70419B (zh) * 2022-03-22 2022-08-02 中铁一局集团电务工程有限公司 一种地铁站隧道用火灾预警风机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9000Y1 (ko) * 2002-05-27 2002-09-13 김경주 캐비니트형 간이 스프링클러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23363U (ko) * 1980-07-18 1982-02-06
JPH0639028U (ja) * 1992-11-02 1994-05-24 株式会社横井製作所 屋内消火栓装置
GB2333251B (en) * 1998-01-20 2001-09-12 Aqualisa Products Ltd Shower head
KR20090060555A (ko) * 2007-12-10 2009-06-15 문상명 쓰리 웨이 볼밸브
KR20100074996A (ko) * 2008-12-24 2010-07-02 주식회사 윈 저압 대유량 분사노즐
KR101058419B1 (ko) * 2010-10-14 2011-08-24 (주) 일진앤드 워터스크린 노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9000Y1 (ko) * 2002-05-27 2002-09-13 김경주 캐비니트형 간이 스프링클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0143A (ko) 2021-09-07
KR102576084B1 (ko) 2023-09-08
KR20220136332A (ko) 2022-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1723B1 (ko) 사용이 용이한 소방호스를 갖춘 소방장치
KR101351939B1 (ko) 권취식 소방호스가 장착된 소화전함
KR101761721B1 (ko) 소화 및 제연기능을 갖춘 소방용 방재장치
KR102470192B1 (ko) 소화용 가압 박스
EP2939714A2 (en) Connection layout for a fire extinguisher using high-pressure water mist and procedure for extinguishing indoor fires
KR101162065B1 (ko) 건물의 외벽화재 연소확대 방지 시스템
KR101034175B1 (ko) 고압가스를 이용한 소화전
KR102236260B1 (ko) 패키지형 호스릴 스프링클러장치
KR20090105195A (ko) 화재 진압용 양수장치
KR101525005B1 (ko) 옥외 시설용 소화 설비
KR102208478B1 (ko) 권취식 소방호스가 장착된 소화전
KR102055834B1 (ko) 벽걸이 소화장치
CN113230570A (zh) 一种节能的高层建筑自救消防装置
KR19990074899A (ko) 건물의 소방시스템
KR102265322B1 (ko) 옥외 비상 소방함
JP5922276B2 (ja) 消火設備
CN218589585U (zh) 一种多级防控的智能泡沫水喷雾灭火装置
JP3883703B2 (ja) 放水栓
KR100308235B1 (ko) 소형건물의소화시스템
KR200446505Y1 (ko) 소방차의 배수구에 연결되는 화재 진압 장치
JP3201354U (ja) 屋内消火設備
KR102619622B1 (ko) 지하 매설식 소방함
KR200465223Y1 (ko) 소화전용 캡
JP7262749B2 (ja) ポンプ装置、制御盤及び制御基板
KR200465763Y1 (ko) 개폐밸브를 원격 조작할 수 있는 개폐밸브 조작스위치를 포함하는 옥내 소화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