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0080B1 - Metal flooring for preventing noise between floors - Google Patents

Metal flooring for preventing noise between floor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0080B1
KR102470080B1 KR1020210171406A KR20210171406A KR102470080B1 KR 102470080 B1 KR102470080 B1 KR 102470080B1 KR 1020210171406 A KR1020210171406 A KR 1020210171406A KR 20210171406 A KR20210171406 A KR 20210171406A KR 102470080 B1 KR102470080 B1 KR 1024700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metal
forming
metal layer
heat insul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140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현호
Original Assignee
김현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호 filed Critical 김현호
Priority to KR10202101714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008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00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008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 B32B9/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such particular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9/041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such particular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1/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1/02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performed by spra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3/00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3/14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electrical means
    • B05D3/141Plasma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7/00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7/14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metal, e.g. car bo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7/00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7/50Multi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5/00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not covered by groups B29B7/00 - B29B13/00
    • B29B15/08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not covered by groups B29B7/00 - B29B13/00 of reinforcements or fillers
    • B29B15/10Coating or impregnating independently of the moulding or shaping step
    • B29B15/12Coating or impregnating independently of the moulding or shaping step of reinforcements of indefinite length
    • B29B15/122Coating or impregnating independently of the moulding or shaping step of reinforcements of indefinite length with a matrix in liquid form, e.g. as melt, solution or latex
    • B29B15/125Coating or impregnating independently of the moulding or shaping step of reinforcements of indefinite length with a matrix in liquid form, e.g. as melt, solution or latex by dip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3Opt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 B32B9/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animal or vegetable substances, e.g. cork, bamboo, starc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 B32B9/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such particular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9/04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such particular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181Insulating layers integrally formed with the flooring or the floo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 E04F15/203Separately-laid layers for sound ins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metal flooring material for preventing noise between floors that can minimize damage due to an impact unlike the existing ceramic flooring material by using a metal plate having a multi-layered structure for a flooring material.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metal flooring material for preventing noise between floors which comprises: a metal layer; a printed layer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metal layer; a heat insulating layer formed on a lower portion of the metal layer; and an impact absorbing layer formed on a lower portion of the heat insulating layer.

Description

층간소음 방지용 금속재질 바닥재{Metal flooring for preventing noise between floors}Metal flooring for preventing noise between floors}

본 발명은 층간소음 방지용 금속재질 바닥재에 관한 것으로,보다 상세하게는 다층구조를 가지는 금속판을 바닥재에 사용하는 것으로 기존의 세라믹재질의 바닥재와는 달리 충격에 의한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층간소음 방지용 금속재질 바닥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al flooring material for preventing inter-floor noise, and more particularly, to using a metal plate having a multi-layered structure for the flooring material, unlike existing ceramic floor coverings, metal for preventing inter-floor noise that can minimize damage caused by impact It's about material flooring.

일반적으로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이나 복층 건축물의 경우 공기 전파 음은 콘크리트 슬래브(Slab) 구조에 의해 대다수가 차단되나, 상층에서 사람의 보행이나 물건의 낙하 등에 의해 그 바닥에 충격이나 진동이 직접 가해지면 고체 전파 음으로 변하여 거의 감쇠 되지 않고, 바닥 슬래브나 천장 및 벽체를 통해 하층 또는 인접한 세대로 방사되는 특성이 있다. In general, in the case of apartment houses or multi-story buildings, most of the air propagation sound is blocked by the concrete slab structure, but when shock or vibration is directly applied to the floor by people walking or falling objects from the upper floors, It is transformed into solid propagation sound and is hardly attenuated, and is radiated to lower floors or adjacent households through floor slabs, ceilings, and walls.

이러한 바닥 충격음은 그릇이나 물건의 낙하 및 의자를 이동시킬 때 나는 소리와 같이 고주파수 성분의 음을 많이 발생시키는 경량 충격음과, 어린이의 뛰는 소리, 성인의 보행 등 저주파수 성분의 음을 많이 발생시키는 중량 충격음으로 대별된다. The floor impact sound is a lightweight impact sound that generates a lot of high-frequency sound, such as when a bowl or object is dropped or a chair is moved, and a heavy impact sound that generates a lot of low-frequency sound, such as a child's running sound or an adult's walking. is divided into

근래에는 이와 같은 바닥 충격음(층간소음)으로 인한 이웃 간의 분쟁이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면서 대한민국 정부는 2014년 3월 "공동주택 층간소음 방지기준"을 정해 건설교통부 고시로 공동주택의 층간소음을 줄이기 위한 표준바닥 구조 5종을 포함하여 바닥 충격음 성능등급 등을 발표하였고, 이 기준에 정해진 일정 품질 이상의 제품만을 건설현장에서 적용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는 실정이다. In recent years, as disputes between neighbors due to floor impact noise (inter-floor noise) have emerged as a serious social problem, the Korean government established the "Standard for Preventing Noise Between Floors in Apartment Houses" in March 2014 to reduce noise between floors in apartment houses by public notice of the Ministry of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 The floor impact sound performance grade, including five types of standard floor structures for the

또한, 주거용 건물의 바닥에는 "건축물의 설비 기준 등에 관한 규칙"에 의거하여 냉, 난방 시 그 효율을 증대 및 열의 손실을 방지하기 위한 단열재를 의무적으로 시공해야 한다. In addition, in accordance with the "Rules on Equipment Standards for Buildings," the floors of residential buildings must be installed with insulation materials to increase their efficiency and prevent heat loss during heating and cooling.

이에 따라 아파트나 빌라와 같은 주거용 공동주택 등의 건축물 슬래브 바닥층은 열이 층간 구조체의 하부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단열과 층간소음 차단 규정을 동시에 충족시켜야만 한다. Accordingly, the slab floor of a building such as a residential multi-unit dwelling such as an apartment or a villa must simultaneously satisfy the insulation and inter-floor noise blocking regulations to prevent heat from being transferred to the lower part of the inter-floor structure.

한편 건축물의 바닥을 마감하기 위하여 다양한 소재들이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인 바닥마감의 경우 단순히 바닥면의 시멘트를 고화시킨다음 이를 평탄화하여 수행되고 있지만, 이는 단순히 회색의 바닥면을 형성할 뿐이어서 심미감이 매우 떨어지고 있으며, 시멘트의 특성상 갈라짐이 발생함과 더불어 내화학성이 떨어져 장기간 사용이 어렵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Meanwhile, various materials are used to finish the floor of a building. In the case of general floor finishing, it is performed by simply solidifying the cement on the floor surface and then flattening it, but this simply forms a gray floor surface, which is very poor in aesthetics, and due to the nature of cement, cracks occur and chemical resistance The downside is that it is difficult to use for a long time.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바닥면에 타일을 시공하는 방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타일은 세라믹을 주재로 제조되는 마감재를 의미하는 것으로 크기에 비하여 얇은 두께를 가지고 있어 바닥면에 부착하는 경우 바닥면에 색다른 조형감을 줄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 타일의 경우 바닥면과 분리되어 시공됨에 따라 손상시 교체할 수 있으며, 다양한 크기와 모양을 가지는 타일을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In order to improve this, a method of constructing tiles on the floor surface is widely used. The tile refers to a finishing material mainly made of ceramic, and has a thin thickness compared to its size, and thus has the advantage of giving a unique sense of shape to the floor when attached to the floor.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tile, since it is installed separately from the floor surface, it can be replaced when damaged, and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use tiles having various sizes and shapes.

하지만 이러한 타일의 경우 세라믹의 특성상 충격에 손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음을 그대로 바닥면에 전달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추가적인 소음방지구조를 시공해야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such tiles, not only can they be damaged by impact due to the nature of ceramics, but also have a characteristic that transmits noise to the floor as it is, so it has a disadvantage that an additional noise prevention structure must be constructed.

따라서 이러한 타일의 단점을 개선하기 위한 새로운 바닥재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new flooring material to improve the disadvantages of these tiles.

(000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49601호(0001) 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649601 (000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60085호(0002) 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560085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금속층을 포함하는 다층구조를 가지는 층간소음 방지용 바닥재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loor covering for preventing inter-floor noise having a multi-layer structure including a metal layer.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금속층의 하면에 단열층 및 충격흡수층이 형성되어 단열효과 및 층간소음 방지효과를 동시에 가질 수 있는 층간소음 방지용 금속재질 바닥제를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al flooring material for preventing inter-floor noise that can simultaneously have an insulation effect and an inter-floor noise prevention effect by forming a heat insulating layer and a shock absorbing layer on the lower surface of the metal layer.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금속층의 상면에 색상을 표현할 수 있는 인쇄층을 형성하는 것으로 다양한 형상 및 색상을 표현할 수 있는 층간소음 방지용 금속재질 바닥재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al flooring material for preventing inter-floor noise that can express various shapes and colors by forming a printed layer capable of expressing color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etal layer.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금속층의 하부에 코르크층을 포함하는 층간소음 방지용 금속재질 바닥재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al flooring material for preventing inter-floor noise including a cork layer under the metal layer.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tasks mentioned above, and other task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금속층; 상기 금속층의 상부에 형성되는 인쇄층; 상기 금속층의 하부에 형성되는 단열층; 및 상기 단열층의 하부에 형성되는 충격흡수층을 포함하는 층간소음 방지용 금속재질 바닥재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al layer; a printed layer formed on top of the metal layer; a heat insulating layer formed under the metal layer; And it provides a metallic flooring material for preventing inter-floor noise including a shock absorbing layer formed under the heat insulating layer.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인쇄층의 상부에는 보호층이 추가로 형성되며, 상기 인쇄층은, 상기 금속층의 표면을 플라즈마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플라즈마 처리된 금속층의 표면에 인쇄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형성되며, 상기 플라즈마 처리는 산소조건에서 고압 글로우 플라즈마를 이용하여 수행되며, 상기 보호층은, 상기 인쇄층을 일정간격으로 천공하는 단계; 상기 인쇄층의 상부에 보호층 형성용 화합물을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보호층 형성용 화합물을 경화시킨 다음, 표면에 편광구조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되며, 상기 천공은 상기 인쇄층을 통과하여 상기 금속층까지 소정의 깊이로 천공되며, 상기 보호층은 도포시 상기 인쇄층의 천공부를 통과하여 상기 금속층 내부와 접촉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 protective layer is additionally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printed layer, and the printed layer includes plasma-treating a surface of the metal layer; and forming a printed layer on the surface of the plasma-treated metal layer, wherein the plasma treatment is performed using high-pressure glow plasma under an oxygen condition, and the protective layer is formed by covering the printed layer at regular intervals. perforating with; coating a compound for forming a protective layer on top of the printed layer; and curing the compound for forming the protective layer and then forming a polarization structure on the surface, wherein the perforation passes through the printed layer to the metal layer to a predetermined depth, and the protective layer When silver is applied, it may pass through the perforations of the printed layer and come into contact with the inside of the metal layer.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금속층의 상부에는 상기 천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공극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공극은, 상기 금속의 표면에 보호제를 도포하는 단계; 상기 보호제가 도포된 금속을 일정간격으로 천공하는 단계; 상기 천공이 완료된 금속을 1차 애칭액에 침지하여 1차 애칭하는 것으로 천공부의 내벽을 확장하여 1차 공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1차 공극이 형성된 금속을 2차 애칭액에 침지하여 상기 공극의 벽면에 2차 공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2차 공극의 형성이 완료된 이후 상기 보호제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 gap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erforation on the top of the metal layer, and the gap is formed by applying a protective agent to the surface of the metal; drilling the metal coated with the protective agent at regular intervals; Forming a primary void by dipping the drilled metal into a primary etching solution and performing primary etching to expand the inner wall of the perforation; Forming a secondary void on the wall surface of the void by immersing the metal in which the primary void is formed in a secondary etchant; It may be prepared by a method including the step of removing the protective agent after the formation of the secondary pores is completed.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 표면에 편광구조는, (a) 보호층의 표면에 패턴 물질을 도포하는 단계; (b) 상기 패턴 물질을 일정간격으로 식각하여 프리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식각이 완료된 다음, 노출된 보호층 및 남아있는 프리패턴의 상부에 편광물질을 도포하는 단계; (d)에칭을 통하여 상기 편광물질을 상기 프리패턴의 측면부에 부착하는 단계; 및 (e) 상기 프리패턴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형성되고, 상기 (b)단계는 보호층 상에 패턴 물질을 도포한 다음, 리소그래피 또는 임프린팅 공정을 수행하여 프리패턴을 형성하며, 상기 에칭은 0.1mTorr~10mTorr의 압력하에서 기체를 이용하여 플라즈마를 형성한 다음 상기 플라즈마를 100eV~5,000eV로 가속화하여 수행되는 밀링 공정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olarization structure on the surface of the protective layer, (a) applying a pattern material to the surface of the protective layer; (b) forming a pre-pattern by etching the pattern material at regular intervals; (c) after the etching is completed, applying a polarizing material on the exposed protective layer and the remaining pre-pattern; (d) attaching the polarizing material to the side surface of the pre-pattern through etching; and (e) removing the pre-pattern, wherein step (b) forms a pre-pattern by applying a pattern material on the protective layer and then performing a lithography or imprinting process, The etching may be a milling process performed by forming plasma using gas under a pressure of 0.1 mTorr to 10 mTorr and then accelerating the plasma to 100 eV to 5,000 eV.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금속층과 상기 단열층의 사이에는 상기 금속층의 하부에 형성되는 전도층; 및 상기 전도층의 하부에 형성되는 발열층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전도층은 전도성 폴리머 100중량부 대비 선형 탄소화합물 3~10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선형 탄소화합물은 상기 전도성 폴리머와 혼합되어 네트워크 구조를 형성하며, 상기 발열층은, 일정간격으로 배열되어 있는 발열선; 및 상기 발열선의 하부에 형성되는 방수층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 conductive layer formed under the metal layer between the metal layer and the heat insulating layer; and a heating layer formed under the conductive layer, wherein the conductive layer includes 3 to 10 parts by weight of a linear carbon compound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a conductive polymer, and the linear carbon compound is mixed with the conductive polymer to form a network. forming a structure, and the heating layer includes heating lines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and a waterproof layer formed under the heating wire.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열층 및 상기 충격흡수층은, 분사노즐의 하방에 수집판을 설치하고 상기 분사노즐과 수집판 사이에 고전압을 인가하는 단계; 상기 분사노즐을 통하여 용해 또는 용융된 고분자를 공급하는 단계;상기 분사노즐이 설치된 원심회전부를 회전시켜 상기 용융된 고분자를 상기 분사노즐의 외부로 토출시키는 단계; 상기 토출된 고분자가 하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인가된 고전압에 의하여 상기 수집판의 상부에 나노파이버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나노파이버를 초음파 융착하여 단열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단열층의 상부에 고분자 진동 흡수체를 배열하는 단계;상기 고분자 흡수체의 상부에서 충격흡수층 형성용 화합물을 도포하여충격흡수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단열층의 하부를 상기 발열층에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되며, 상기 충격흡수층 형성용 화합물은 상기 단열층의 일부를 함침하며, 상기 고분자 진동 흡수체는 폴리우레탄으로 제조되고, 직경 0.1~5mm의 구형이며, 상기 충격흡수층은 내부에 상기 고분자 진동 흡수체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heat insulating layer and the shock absorbing layer may include installing a collection plate below a spray nozzle and applying a high voltage between the spray nozzle and the collection plate; supplying a dissolved or melted polymer through the injection nozzle; discharging the molten polymer to the outside of the injection nozzle by rotating a centrifugal rotation unit in which the injection nozzle is installed; forming nanofibers on an upper portion of the collecting plate by applying a high voltage as the discharged polymer moves downward; Forming a thermal insulation layer by ultrasonically welding the nanofibers; arranging a polymeric vibration absorber on top of the heat insulating layer; forming a shock-absorbing layer by applying a compound for forming a shock-absorbing layer on top of the polymeric absorber; and attaching a lower portion of the heat insulating layer to the heat generating layer, wherein the shock absorbing layer-forming compound impregnates a portion of the heat insulating layer, and the polymer vibration absorber is made of polyurethane and has a diameter of 0.1 to 0.10. It has a spherical shape of 5 mm, and the shock absorbing layer may include the polymer vibration absorber therein.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금속층의 하부에는 코르크층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 cork layer may be further included under the metal lay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금속판의 상부에 인쇄층을 형성하여 다양한 형상을 표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금속판과는 다른 목재 또는 석재의 형상을 인쇄하는 것으로 다양한 형상의 표현이 가능한 금속재질 바닥재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etal flooring material capable of expressing various shapes by forming a printing layer on top of a metal plate, and also capable of expressing various shapes by printing wood or stone shapes different from those of the metal plate. can

또한 본 발명은 금속판의 하부에 단열층 및 충격흡수층을 포함하여, 추가적인 단열 소재를 시공하지 않고도 적절한 단열효과를 낼 수있을 뿐만 아니라 층간소음을 저감할 수 있는 금속재질 바닥재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eat insulating layer and a shock absorbing layer under the metal plate, thereby providing a metal flooring material capable of reducing inter-floor noise as well as providing an appropriate heat insulating effect without the construction of additional heat insulating materials.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세라믹으로 제작되는 바닥재와는 달리 높은 내구성을 가지고 있어 장기간 사용되는 경우에도 깨짐이나 갈라짐을 최소화할 수 있는 금속재질 바닥재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metallic flooring material that can minimize cracking or cracking even when used for a long time because it has high durability, unlike flooring materials made of conventional ceramics.

또한 본 발명은 ?O속층의 하부에 코르크층을 포함하는 것으로 단열성 및 충격흡수력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이 완료된 이후 폐기시 곰석층은 재활용할 수 있으며, 코르크층은 자연분해될 수 있으므로, 환경오염을 최소화 할 수 있는 금속재질 바닥재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rk layer at the bottom of the ?O inner layer, which can improve thermal insulation and shock absorption, as well as recycle the bear stone layer when discarded after use, and the cork layer can be naturally decomposed, so it is environmentally friendly.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etallic floor covering capable of minimizing contamination.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발명 내에 포함되어 있다.Effec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by the contents exemplified above, and more various effects are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금속재질 바닥재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보호층의 상부에 편광패턴이 형성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인쇄층의 천공에 의한 금속층과 보호층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a) 금속층의 1차 에칭에 의한 1차공극의 형성 및 (b) 2차 에칭에 의한 2차공극의 형성을 나타낸 것이다.
1 shows the structure of a metal flooring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shows that a polarization pattern is formed on top of a protective la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shows the bonding structure of the metal layer and the protective layer by perforation of the printed la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llustrates (a) formation of primary voids by primary etching of a metal layer and (b) formation of secondary voids by secondary etch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가 도면에서 묘사되고 상세한 설명에서 자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한 실시 예는 다양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따라서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 실시 예에 의해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modified in various ways. Certain embodiments may be depic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specific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only intended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various embodiments. Therefore, the technical idea is not limited by the specific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invention.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상술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술한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s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above terms. The terminology described above is only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ing"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is not precluded. It is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other elements may exist in the middle.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o other element exists in the middle.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모듈" 또는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모듈" 또는 "부"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의해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특정 하드웨어에서 수행되어야 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서 수행되는 "모듈" 또는 "부"를 제외한 복수의 "모듈들" 또는 복수의 "부들"은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통합될 수도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Meanwhile, a “module” or “unit” for a component used in this specification perform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And a "module" or "unit" may perform a function or operation by hardware,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In addition, a plurality of “modules” or “units” other than “modules” or “units” to be executed in specific hardware or to be executed in at least one processor may be integrated into at least one modul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그 밖에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축약하거나 생략한다.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abbreviated or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바닥재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1 shows the structure of the flooring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금속층; 상기 금속층의 상부에 형성되는 인쇄층; 상기 금속층의 하부에 형성되는 단열층; 및 상기 단열층의 하부에 형성되는 충격흡수층을 포함하는 층간소음 방지용 금속재질 바닥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al layer; a printed layer formed on top of the metal layer; a heat insulating layer formed under the metal layer; And it relates to a metal flooring material for preventing inter-floor noise including a shock absorbing layer formed under the heat insulating layer.

상기 금속층(100)은 본 발명의 금속재질 바닥재의 중심을 이루는 층으로 기존의 바닥재와는 달리 금속으로 제작되어 높은 내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금속층은 철, 구리, 알루미늄, 아연, 마그네슘, 주석, 티타늄 또는 이들의 합금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 또는 스테인레스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속층(100)의 경우 본 발명의 바닥재의 하중을 지지하는 부분으로 사용되므로 충분한 강도를 가질 수 있는 두께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금속층은 1~20mm의 두께로 제작될 수 있으며, 1mm 미만의 두께로 제작되는 경우 상부에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하지 못하여 침하가 발생하거나 하중이 가해질 때 늘어나 파손될 수 있고, 20mm를 초과하는 두께를 가지는 경우 자체 중량이 많이 나가게 되어 시공이 어려울 수 있다.The metal layer 100 is a central layer of the metal flooring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unlike existing flooring materials, it is made of metal and can have high durability. In this case, the metal layer may be made of iron, copper, aluminum, zinc, magnesium, tin, titanium, or an alloy thereof, preferably made of aluminum or stainless. In addition, since the metal layer 100 is used as a part supporting the load of the flooring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o have a thickness capable of having sufficient strength. That is, the metal layer may be made to have a thickness of 1 to 20 mm, and if it is made to a thickness of less than 1 mm, it may not support the load applied to the top, so that settlement may occur or be stretched and damaged when a load is applied, and a thickness exceeding 20 mm If it has a lot of weight, it may be difficult to construct.

상기 금속층의 상부 및 하부에는 다양한 기능성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부에는 주로 심미성을 결정하는 인쇄층(200)을 비롯한 보호층(300)이 형성될 수 있으며, 하부에는 상기 금속층의 기능을 높이기 위한 기능성층인 단열층(400) 및 충격흡수층(500)을 포함할 수 있다.Various functional layers may be included above and below the metal layer. At this time, a protective layer 300 including a printing layer 200, which mainly determines aesthetics, may be formed on the upper part, and a heat insulating layer 400 and a shock absorbing layer 500, which are functional layers for enhancing the function of the metal layer, may be formed on the lower part. can do.

상기 인쇄층(200)은 상기 금속의 표면에 다양한 모양을 형성하는 층으로 단순히 백색, 검은색 또는 청색과 같은 단색의 인쇄를 수행할 수도 있지만, 대리석 또는 목재와 같은 천연물의 형상을 나타낼 수 있는 모양을 형성하거나 특정 형상, 도형, 기호 또는 문자등을 형성하여 사용자에게 새로운 심미감을 주거나 일정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상기 금속층의 상부에 목재의 나이테 무늬를 형성하는 경우 금속으로 제작되는 바닥재이지만 목재로 제작되는 바닥재와 유사한 심미적 효과를 가질 수 있으며, 또한 화살표 및 경고문구를 형성하는 경우 대피로를 안내하는 역할로도 사용될 수 있다.The printing layer 200 is a layer that forms various shapes on the surface of the metal, and may simply print in a single color such as white, black, or blue, but may have a shape that can represent the shape of a natural object such as marble or wood. or form a specific shape, figure, symbol or character to give a new aesthetic sense to the user or deliver certain information. As an example, if a tree ring pattern is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metal layer, although it is a flooring material made of metal, it may have an aesthetic effect similar to that of a flooring material made of wood. Can also be used as a role.

또한 상기 인쇄층(200)의 형성시 상기 인쇄층과 상기 인쇄층의 표면사이의 접합력을 높이기 위하여 상기 금속층(100)의 표면에는 플라즈마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플라즈마 처리는 금속층(100)의 표면에 인위적인 손상을 발생시켜 금속층(100)의 표면 거칠기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상기 금속층(100)의 표면적을 높이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금속층(100)과 상기 인쇄층(200)은 화학적인 결합을 수행하지 않고 반데르발스 인력에 의하여 접합되고 있으므로 이러한 표면적을 높이는 경우 접합력이 높아질 수 있다. 또한 이때 사용되는 플라즈마 표면처리는 식각력이 우수한 고압 글로우 플라즈마를 산소조건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하여 상기 금속의 표면의 경우 짧은 시간의 처리만으로도 원하는 거칠기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printed layer 200 is formed, plasma treatment may be performed on the surface of the metal layer 100 to increase bonding strength between the printed layer and the surface of the printed layer. The plasma treatment increases the surface roughness of the metal layer 100 by artificially causing damage to the surface of the metal layer 100 , and may serve to increase the surface area of the metal layer 100 . In general, since the metal layer 100 and the printed layer 200 are bonded by van der Waals attraction without chemical bonding, bonding strength can be increased when the surface area is increased.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use high-pressure glow plasma with excellent etching power under oxygen conditions for the plasma surface treatment used at this time. Through this, in the case of the surface of the metal, a desired roughness can be formed with only a short treatment time.

상기 인쇄층(200)의 경우 인체와 접촉이 수행되는 부분이므로 친환경도료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특히 최근들어 많이 문제시되고 있는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방출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수성도료를 이용하여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인쇄층의 결합력은 상기 기재한 바와 같이 단순히 반데르발스 인력을 통해서만 나타나고 있으므로 이를 더욱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인쇄층(200)에는 일정간격으로 천공(210)이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천공은 후술할 보호층 형성용 화합물이 모세관 현상을 통하여 인쇄층의 하부로 스며들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보호층 형성용 화합물은 상기 금속층에 접합되어 인쇄층을 물리적으로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인쇄층의 경우 상기 인쇄층과 상기 금속층 사이의 접합력 뿐만 아니라 상기 보호층과 금속층 사이의 물리적인 접합을 통하여 고정될 수 있으므로 기존의 금속 표면인쇄층에 비하여 높은 내구성을 가질 수 있다(도 3 참조).In the case of the printing layer 200, since it is a part that is in contact with the human body, it can be performed using an eco-friendly paint. In particular, it is more preferable to form using a water-based paint in order to minimize the emission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which have been a lot of problems recently. In addition, since the bonding force of the printed layer appears only through van der Waals attraction 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further improve this, the printed layer 200 may be perforated 210 at regular intervals. Such perforations allow the compound for forming the protective layer to be described below to permeate into the lower part of the printed layer through capillary action, and at this time, the compound for forming the protective layer is bonded to the metal layer to physically fix the printed layer. can be done That is, in the case of the printed layer, since it can be fixed through physical bonding between the protective layer and the metal layer as well as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printed layer and the metal layer, it can have higher durability than the conventional metal surface printed layer (FIG. 3 Reference).

또한 상기와 같은 인쇄층의 결합력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금속층의 상부에는 상기 천공(210)과 대응되는 위치에 공극(11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공극은, 상기 금속의 표면에 보호제를 도포하는 단계; 상기 보호제가 도포된 금속을 일정간격으로 천공하는 단계; 상기 천공이 완료된 금속을 1차 애칭액에 침지하여 1차 애칭하는 것으로 천공부의 내벽을 확장하여 1차 공극을형성하는 단계; 상기 1차 공극이 형성된 금속을 2차 애칭액에 침지하여 상기 공극의 벽면에 2차 공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2차 공극의 형성이 완료된 이후 상기 보호층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further improve the bonding force of the printing layer as described above, a gap 110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erforation 210 on the top of the metal layer, and the gap is formed by applying a protective agent to the surface of the metal. step; drilling the metal coated with the protective agent at regular intervals; Forming a primary void by dipping the drilled metal into a primary etching solution and performing primary etching to expand the inner wall of the perforation; Forming a secondary void on the wall surface of the void by immersing the metal in which the primary void is formed in a secondary etchant; It may be prepared by a method including removing the protective layer after the formation of the secondary pores is completed.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애칭액의 경우 상기 금속을 무작위적으로 부식시켜 제거할 수 있으므로 상기 금속층 표면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금속층의 표면에는 보호제가 도포될 수 있다. 상기 보호제는 단순히 에칭액과 혼합되지 않는 비극성 용액 또는 오일일 수 있으며, 이밖에 필름을 부착하거나 고분자 소재를 도포하여 보호제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In the case of the etchant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metal can be randomly corroded and removed, a protective agent may be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metal layer to prevent damage to the surface of the metal layer. The protective agent may simply be a non-polar solution or oil that is not mixed with the etchant, and it is also possible to use it as a protective agent by attaching a film or applying a polymer material.

상기와 같이 보호제가 도포된 이후 상기 보호제가 도포된 금속의 상부를 일정간격으로 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금속의 천공은 상기 인쇄층의 천공과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도록 하는 것으로 후술할 보호층 형성용 화합물이상기 인쇄층의 천공을 통하여 상기 금속층(100)의 내부까지 침투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After the protective agent is applied as described above, the upper part of the metal to which the protective agent is applied may be drilled at regular intervals. In this case, the perforation of the metal is formed at the same position as the perforation of the printed layer, and a compound for forming a protective layer to be described later can penetrate into the metal layer 100 through the perforation of the printed layer.

또한 상기와 같이 단순히 금속층을 천공하는 경우 상기 보호층 형성용 화합물과 상기 금속층의 경우 단순히 표면 마찰력에 의해서만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고정력을 더욱 높이기 위하여 상기 천공이 완료된 금속층을 에칭하여 상기 천공부의 내벽을 확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3의 확대도 참조). 이 경우 상기 보호층 형성용 화합물은 상기 급속층의 내부도 주입되어 경화될 때 상기 인쇄층에 형성된 천공보다 직경이 크게 경화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상기 인쇄층 및 상기 보호층의 내구성을 크게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simply perforating the metal layer as described above, the compound for forming the protective layer and the metal layer may be simply fixed only by surface frictional force. Therefore, in order to further increase the fixing force, it is preferable to expand the inner wall of the perforated part by etching the perforated metal layer (refer to the enlarged view of FIG. 3). In this case, when the compound for forming the protective layer is injected into the rapid layer and cured, the diameter may be larger than that of the perforation formed in the printed layer, and through this, the durability of the printed layer and the protective layer may be greatly increased. have.

이때 상기 에칭은1차 애칭과 2차 에칭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천공이 완료된 금속을 상기 1차 애칭액에 침지하여 1차 공극(110)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1차 에칭이 완료된 이후 2차 애칭액에 침지하여 2차 에칭하는 것으로 상기 공극의 벽면에 새로운 미세공극(2차 공극, 111)을 형성할 수 있다(도 4 참조).At this time, the etching may be performed through primary etching and secondary etching. The drilled metal may be immersed in the primary etching solution to form the primary gap 110, and after the primary etching is completed, the secondary etching is performed by dipping in the secondary etching solution to form the wall surface of the gap. New micropores (secondary pores, 111) may be formed (see FIG. 4).

이때 상기 1차 에칭액은 옥살산(C2H2O4), 아세트산(CH3COOH), 질산(HNO3), 염산(HCl), 과산화수소(H2O2) 및 증류수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에칭액은 증류수 100중량부 대비 옥살산 0.5~5중량부, 아세트산 0.1~5중량부, 질산 5~40중량부, 염산 5~40중량부, 과산화수소 0.5~5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primary etchant may include oxalic acid (C 2 H 2 O 4 ), acetic acid (CH 3 COOH), nitric acid (HNO 3 ), hydrochloric acid (HCl), hydrogen peroxide (H 2 O 2 ), and distilled water. Preferably, the etching solution may include 0.5 to 5 parts by weight of oxalic acid, 0.1 to 5 parts by weight of acetic acid, 5 to 40 parts by weight of nitric acid, 5 to 40 parts by weight of hydrochloric acid, and 0.5 to 5 parts by weight of hydrogen peroxide,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distilled water.

상기와 같이 1차 애칭액에 침지되는 것으로 상기 금속 표면의 천공부의 내벽이 확장될 수 있다(도 4의 (a)).As described above, by being immersed in the primary etching solution, the inner wall of the perforated portion of the metal surface can be expanded (Fig. 4 (a)).

또한 상기 1차 에칭에 의하여 생성되는 공극의 내부에 2차 공극(포어)을 형성하는 것으로 후술할 보호층 형성용 화합물과의 결합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것도 가능하다(도 4의 (b)). 이를 위하여 상기 1차 에칭이 완료된 이후 2차 에칭액에 상기 금속을 침지하여 에칭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때 사용되는 2차 에칭액은 증류수 100중량부 대비 탄산수소나트륨 0.5~8중량부, 수산화나트륨 5~20중량부 및 사붕산나트륨0.5~8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2차 에칭액을 사용하는 것으로 상기 1차 공극의 벽면에는 2차 공극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후술할 보호층 형성용 화합물이 상기 공극의 내부로 침투하는 경우 더욱 강력한 결합력을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by forming secondary pores (pores) inside the pores generated by the primary etching, it is possible to further improve bonding with a compound for forming a protective layer to be described later (FIG. 4(b)). To this end, etching may be performed by immersing the metal in a secondary etchant after the primary etching is completed, and the secondary etchant used at this time is 0.5 to 8 parts by weight of sodium bicarbonate and 5 to 8 parts by weight of sodium hydroxide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distilled water. 20 parts by weight and sodium tetraborate 0.5 to 8 parts by weight may be included. By using the secondary etchant as described above, a secondary void can be formed on the wall surface of the primary void, and through this, when a compound for forming a protective layer to be described below penetrates into the void, a stronger bonding force can be obtained. have.

상기와 같이 금속층의 공극이 형성된 이후 금속 표면의 보호제를 제거하고 인쇄층을 형성할 수 있다.After the gaps in the metal layer are formed as described above, the protective agent on the surface of the metal may be removed and a printed layer may be formed.

또한 상기 인쇄층(200)을 형성하고 상기 공극의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천공(210)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천공은 0.01~0.5mm의 직경을 가지도록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천공이 0.01mm미만의 직경을 가지는 경우 상기 보호층 형성용 화합물의 침투가 용이하지 못할 수 있으며, 0.5mm를 초과하는 직경을 가지는 경우 상기 천공홀이 와부에 노출되어 보임으로서 심미성이 떨어질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각 천공사이의 간격은 상기 공극의 간격과 동일하며, 그 간격은 1~10mm일 수 있다. 상기 간격이 1mm미만인 경우 상기 인쇄층의 발색성이 떨어질 수 있으며, 10mm를 초과하는 간격을 가지는 경우 상기 천공에 의한 인쇄층의 내구성 증대효과가 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after forming the printed layer 200, perforation 210 may be performed at the same position as the position of the gap.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perforation is performed to have a diameter of 0.01 to 0.5 mm. When the perforation has a diameter of less than 0.01 mm, it may not be easy to penetrate the compound for forming the protective layer, and when the perforation has a diameter exceeding 0.5 mm, the perforation hole may be exposed and seen in the wavy portion, resulting in poor aesthetics. . In addition, the distance between each of the perforations is the same as the distance between the pores, and the distance may be 1 to 10 mm. When the interval is less than 1 mm, the color development of the printed layer may deteriorate, and when the interval exceeds 10 mm, the effect of increasing durability of the printed layer due to the perforation may decrease.

상기와 같이 인쇄층에 천공홀이 형성된 이후 상기 인쇄층의 표면에 보호층(300)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보호층(300)의 경우 상기 인쇄층(200)이 경화된 이후 보호층 형성용 화합물을 도포하여 형성되는데 이때 상기 보호층 형성용 화합물은 상기 인쇄층에 형성된 천공을 통하여 상기 금속층까지 침투할 수 있으며, 이러한 침투에 의하여 접착성 및 내구성이 증대되는 것은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다(도 3참조).After the perforation holes are formed in the printed layer as described above, the protective layer 300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layer. In the case of the protective layer 300, it is formed by applying a compound for forming a protective layer after the printed layer 200 is cured. At this time, the compound for forming a protective layer can penetrate into the metal layer through perforations formed in the printed layer. It is as described above that the adhesion and durability are increased by this penetration (see FIG. 3).

또한 상기 보호층 형성용 화합물이 경화되어 보호층을 형성한 이후 상기 보호층의 표면에는 편광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도 2 참조). 일반적으로 인쇄층에 사용되는 염료 또는 안료의 경우 자외선에 오랜시간 노출되는 경우 변색되거나 탈색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이러한 변색 또는 탈색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상기 보호층의 표면에 편광 구조를 형성하는 것으로 입사되는 자외선의 양을 대폭 줄일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상기 인쇄층의 수명을 늘릴 수 있다.In addition, after the compound for forming the protective layer is cured to form the protective layer, a polarization structure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protective layer (see FIG. 2). In general, dyes or pigments used in printed layers are known to be discolored or discolored when exposed to ultraviolet rays for a long time. Therefore, by forming a polarizing structure on the surface of the protective layer in order to minimize such discoloration or discoloration, the amount of incident ultraviolet light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and through this, the lifespan of the printed layer can be increased.

이를 위하여 상기 보호층 표면에 편광구조는, (a) 보호층의 표면에 패턴 물질을 도포하는 단계; (b) 상기 패턴 물질을 일정간격으로 식각하여 프리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식각이 완료된 다음, 노출된 보호층 및 남아있는 프리패턴의 상부에 편광물질을 도포하는 단계; (d)에칭을 통하여 상기 편광물질을 상기 프리패턴의 측면부에 부착하는 단계; 및 (e) 상기 프리패턴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polarization structure on the surface of the protective layer may include: (a) applying a pattern material to the surface of the protective layer; (b) forming a pre-pattern by etching the pattern material at regular intervals; (c) after the etching is completed, applying a polarizing material on the exposed protective layer and the remaining pre-pattern; (d) attaching the polarizing material to the side surface of the pre-pattern through etching; and (e) removing the prepattern.

상기 (a)단계는 보호층의 표면(310)에 패턴 물질(320)을 도포하는 단계로 패턴 물질을 상기 보호층(310)의 표면에 도포하여 프리패턴이 형성될 층을 제작하는 단계이다(도 2의 (b)참조). 이때 상기 패턴물질(320)은 스프레이, 롤러코팅, 증착 등의 방법을 통하여 상기 보호층의 표면에 도포될 수 있으며, 상기 프리패턴층의 두께에 비례하여 상기 편광패턴의 높이가 정해지기 때문에 100㎛의 두께로 균일하게 도포할 수 있는 증착을 사용하여 도포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The step (a) is a step of applying the pattern material 320 to the surface 310 of the protective layer, and is a step of applying the pattern material to the surface of the protective layer 310 to produce a layer on which a pre-pattern will be formed ( See Figure 2 (b)). At this time, the pattern material 320 may be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protective layer through a method such as spray, roller coating, or deposition, and since the height of the polarization pattern is determined in proportion to the thickness of the pre-pattern layer, It is more preferable to apply using a vapor deposition that can be applied uniformly with a thickness of .

상기 패턴 물질(320)은 폴리스타일렌, 키토산,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alcohol),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MMA), 포토레지스트 화합물(photoresist) 또는 전도성 고분자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패턴 물질(320)은 리소그래피 또는 임프린팅 공정에 의하여 일정 모양으로 형성되고(도 2의 (c)), 측면에 에칭에 의하여 편광 물질(330)이 증착된다. 이때, 프리패턴의 높이와 간격을 조절하여 증착되는 편광 물질(330)의 높이와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The pattern material 320 may be made of polystyrene, chitosan, polyvinylalcohol, polymethyl methacrylate (PMMA), photoresist, or a conductive polymer. The pattern material 320 is formed into a predetermined shape by a lithography or imprinting process (FIG. 2(c)), and a polarizing material 330 is deposited on the side surface by etching. In this case, the height and spacing of the polarizing material 330 may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height and spacing of the prepattern.

상기 패턴 물질(320)을 도포한 다음, 상기 패턴 물질을 일정간격으로 식각하는 것으로 프리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도 2의 (c)). 이때 식각은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리소그래피 또는 임프린팅 공정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상기 리소그래피 또는 임프린팅공정을 기존에 알려인 것과 동일한 공정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A pre-pattern may be formed by applying the pattern material 320 and then etching the pattern material at regular intervals ((c) of FIG. 2). In this case, the etching may be performed using a lithography or imprinting process as described above, and the same process as previously known for the lithography or imprinting process may be used.

상기와 같이 프리패턴이 형성된 다음, 상기 프리페턴의 상부에 편광물질(330)을 도포할 수 있다(도 2의 (d)). 상기 편광 물질은 금, 백금, 은, 구리, 알루미늄, 징크옥사이드, 크롬, 인듐 틴 옥사이드(ITO), 니켈, 철, 티타늄, 몰리브덴, 실리콘, 징크 옥사이드(zinc oxide) 또는 티타늄 옥사이드(titanium oxide)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편광물질은 상기 보호층의 표면에 균일하게 도포되기 때문에 상기 프리패턴의 윗부분뿐만 아니라 리소그래피 또는 임프린팅 공정으로 인하여 노출되는 보호층의 표면에도 균일하게 부착된다(도 2의 (d)).After the prepattern is formed as described above, a polarizing material 330 may be applied on the prepattern ((d) of FIG. 2 ). The polarizing material may include gold, platinum, silver, copper, aluminum, zinc oxide, chromium, indium tin oxide (ITO), nickel, iron, titanium, molybdenum, silicon, zinc oxide or titanium oxide. can be used Since the polarizing material is uniformly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protective layer, it is uniformly attached not only to the upper portion of the prepattern but also to the surface of the protective layer exposed through a lithography or imprinting process ((d) of FIG. 2).

상기와 같이 편광물질(330)이 도포된 다음, 이를 애칭하여 상기 편광물질을 상기 프리패턴의 벽면부에 부착할 수 있다(도 2의 (e)). 이를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에칭에 의하여 상기 편광물질(330)이 사방으로 비산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노출된 보호층에 부착된 편광물질(330)의 경우 상기 프리패턴의 밖으로 유출되지 못하고 상기 프리패턴의 벽면부에 부착될 수 있다. 즉 상기와 같이 애칭이 완료된 이후에는 상기 편광물질(330)은 상기 프리패턴의 벽면에 존재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애칭은 0.1mTorr~10mTorr의 압력하에서 기체를 이용하여 플라즈마를 형성한 다음 상기 플라즈마를 100eV~5,000eV로 가속화하여 수행되는 밀링 공정 특히 이온 밀링 공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온 밀링에 사용되는 기체는 아르곤, 헬륨, 질소, 산소 및 이들의 혼합기체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fter the polarizing material 330 is applied as described above, the polarizing material may be attached to the wall surface of the pre-pattern by nickname (Fig. 2(e)). Looking at this in detail, the polarizing material 330 is scattered in all directions by the etching. At this time, in the case of the polarizing material 330 attached to the exposed protective layer, it does not flow out of the pre-pattern and is formed on the wall surface of the pre-pattern. can be attached That is, after the nicking is completed as described above, the polarizing material 330 may exist on the wall surface of the pre-pattern. To this end, the etching may be performed by a milling process, particularly an ion milling process, in which plasma is formed using gas under a pressure of 0.1 mTorr to 10 mTorr and then the plasma is accelerated to 100 eV to 5,000 eV. In addition, the gas used for the ion milling is preferably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rgon, helium, nitrogen, oxygen, and mixtures thereof.

상기와 같이 편광물질(330)이 프리패턴의 측면에 부착된 다음, 상기 프리패턴(320)을 제거하게 되면 상기 편광물질만이 남아있게 되며(도 2의 (f)), 이를 이용하여 상기 보호층의 표면에 편광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polarizing material 330 is attached to the side of the pre-pattern and then the pre-pattern 320 is removed, only the polarizing material remains (FIG. 2(f)), and the protection is performed using this. A polarization pattern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layer.

상기 금속층의 하부에는 단열층(40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열층(400)은 상기 금속재질 바닥재가 설치되는 슬라브의 냉기를 차단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것으로 나노파이버를 이용한 부직포로 제조되어 높은 열차단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이 단열층은 후술할 충격흡수층과 동시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존의 방법과 같이 각각 형성되어 접합되는 것에 비하여 빠르고 적은 비용으로 제작될 수 있다.An insulating layer 400 may be formed below the metal layer. The heat insulation layer 400 is installed to block the cold air of the slab on which the metallic flooring material is installed, and is made of a non-woven fabric using nanofibers and can have high thermal insulation properties. In addition, this heat insulating layer is formed at the same time as the shock absorbing layer to be described later, and can be manufactured quickly and at a low cost compared to separately formed and bonded as in the conventional method.

상기 충격흡수층(500)은 상기 단열층(400)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바닥재의 상부에서 전달되는 충격 및 진동을 흡수하기위한 층으로, 우레탄 재질의 볼을 내부에 포함하고 있어 진동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The shock absorbing layer 500 is formed below the heat insulating layer 400 and is a layer for absorbing shock and vibration transmitte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flooring material, and contains balls made of urethane therein so as to effectively absorb vibration. have.

이를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바닥제의 표면에서 전달되는 진동은 일정한 파장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진동은 판형의 탄성체에 의하여 흡수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상기 진동이 파장의 정수비를 가지는 구형의 탄성체와 접촉하는 경우 상기 탄성체와 공명하는 것으로 좀더 용이하게 흡수되어 감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경우 상기 충격흡수층의 내부에 직경 0.1~5mm의 폴리우레탄 볼을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진동을 더욱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폴리우레탄볼은 다양한 진동을 흡수하기 위하여 직경 0.1~5mm의 구형볼이 균일한 비율로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Looking at this in detail, the vibration transmitted from the surface of the flooring material has a certain wavelength. Although such vibration is generally absorbed by a plate-shaped elastic body, when the vibration is in contact with a spherical elastic body having an integer ratio of wavelengths, it can be more easily absorbed and attenuated by resonating with the elastic body. Therefore,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ibration can be more effectively absorbed by including a polyurethane ball having a diameter of 0.1 to 5 mm inside the shock absorbing layer. At this time, the polyurethane balls may be used by mixing spherical balls having a diameter of 0.1 to 5 mm in a uniform ratio in order to absorb various vibrations.

또한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단열층(400)과 상기 충격흡수층(500)은 하나의 공정으로 제작되어 상기 금속층에 부착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단열층 및 상기 충격흡수층은, 분사노즐의 하방에 수집판을 설치하고 상기 분사노즐과 수집판 사이에 고전압을 인가하는 단계; 상기 분사노즐을 통하여 용해 또는 용융된 고분자를 공급하는 단계; 상기 분사노즐이 설치된 원심회전부를 회전시켜 상기 용융된 고분자를 상기 분사노즐의 외부로 토출시키는 단계; 상기 토출된 고분자가 하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인가된 고전압에 의하여 상기 수집판의 상부에 나노파이버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나노파이버를 초음파 융착하여 단열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단열층의 상부에 고분자 진동 흡수체를 배열하는 단계; 상기 고분자 흡수체의 상부에서 충격흡수층 형성용 화합물을 도포하여 충격흡수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단열층의 하부를 상기 발열층에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Also, as described above, the heat insulating layer 400 and the shock absorbing layer 500 may be manufactured in one process and attached to the metal layer. To this end, in the heat insulating layer and the shock absorbing layer, installing a collection plate under the injection nozzle and applying a high voltage between the injection nozzle and the collection plate; supplying the melted or melted polymer through the injection nozzle; Discharging the molten polymer to the outside of the injection nozzle by rotating a centrifugal rotation unit in which the injection nozzle is installed; forming nanofibers on an upper portion of the collecting plate by applying a high voltage as the discharged polymer moves downward; Forming a thermal insulation layer by ultrasonically welding the nanofibers; arranging a polymeric vibration absorber on top of the heat insulating layer; Forming a shock absorbing layer by applying a compound for forming a shock absorbing layer on top of the polymer absorber; and attaching a lower portion of the heat insulating layer to the heating layer.

상기 나노파이버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50~100nm의 직경을 가지도록 용매형 또는 용융형으로 분사하고 전기 방사하여 제작되는 것으로 기존의 방법과 같이 수집판에 상기 고분자를 용매형 또는 용융형으로 분사하여 나노파이버를 제작한 다음, 부직포로 제작되어 상기 단열층을 형성할 수 있다.The nanofibers are produced by spraying polyethylene, polypropylene, polystyrene, polyvinyl chloride,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carbonate, or mixtures thereof in a solvent type or molten form to have a diameter of 50 to 100 nm and electrospinning. As in the above method, the polymer may be sprayed onto the collecting plate in a solvent type or molten type to form nanofibers, and then made into a nonwoven fabric to form the heat insulating layer.

상기 나노파이버 제조방법을 상세히 살펴보면 고분자 수지를 용매에 용해시키거나, 용융탱크에 공급하고 열을 가하여 용융상태로 만든 다음, 용해 또는 용융된 고분자 수지를 분사노즐로 공급한다. Looking at the nanofiber manufacturing method in detail, a polymer resin is dissolved in a solvent or supplied to a melting tank, heated to make it into a molten state, and then the dissolved or melted polymer resin is supplied to a spray nozzle.

이때 상기 분사노즐은 전방에 설치된 수집판 방향으로 1개~다수개가 설치될 수 있으며, 원심회전부의 외면에 다수개의 노즐이 방사상으로 배치된 원심식 분사기를 사용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one or more injection nozzles may be installed in the direction of the collecting plate installed in the front, and a centrifugal injection nozzle having a plurality of nozzles radially arrang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entrifugal rotation unit may be used.

수집판 방향으로 다수개의 분사노즐이 배치된 경우 상기 분사노즐에는5~40kV 수집판에는 1~10kV의 전압을 고전압 발생장치를 이용하여 인가할 수 있으며, 상기 인가된 전압으로 인하여 분사된 고분자 수지가 나노파이버를 형성할 수 있다.When a plurality of injection nozzles are disposed in the direction of the collection plate, a voltage of 5 to 40 kV to the injection nozzle and a voltage of 1 to 10 kV to the collection plate may be applied using a high voltage generator, and the injected polymer resin is nanofibers can be formed.

이때 상기 분사노즐에 인가되는 전압이 5kV미만인 경우 나노파이버의 형성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으며, 40kV를 초과하는 전압이 공급되는 경우 공급되는 전력이 수집판까지 도달하여 아크를 발생시키거나 생성된 나노파이버를 산화 또는 용융시킬 수 있다. At this time, if the voltage applied to the injection nozzle is less than 5 kV, the formation of nanofibers may not be smooth, and if a voltage exceeding 40 kV is supplied, the supplied power reaches the collector plate to generate an arc or generate nanofibers. can be oxidized or melted.

또한 상기 수집판에는 상기 생성된 나노파이버에 정전기적인 인력을 가하여 나노파이버를 부착할 수 있도록 1~10kV의 전압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수집판에 가하는 전압이 1kV미만인 경우 정전기적인 인력이 약해져 나노파이버의 수집이 어려울 수 있으며, 10kV를 초과하는 전압이 가해지는 경우 분사노즐과 통전되어 아크를 발생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 voltage of 1 to 10 kV may be supplied to the collection plate so that the nanofibers may be attached by applying electrostatic attraction to the generated nanofibers. When the voltage applied to the collection plate is less than 1 kV, it may be difficult to collect nanofibers due to weakening of the electrostatic attraction, and when a voltage exceeding 10 kV is applied, an arc may be generated by being energized with the injection nozzle.

원심식 분사기를 사용하는 경우 원심회전부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다수개가 설치될 수 있으며, 분사시 상기 원심회전부가 회전함에 따라, 분사되는 고분자 수지에 원심력을 가할 수 있다. 상기 원심회전부에는 용해 또는 용융된 고분자 수지가 투입될 수 있으며, 상기 원심회전부의 회전에 의하여 분사노즐로 공급될 수 있다. In the case of using a centrifugal sprayer, a plurality of sprayers may be radially installed around the centrifugal rotation unit, and centrifugal force may be applied to the polymer resin to be sprayed as the centrifugal rotation unit rotates during injection. Molten or melted polymer resin may be introduced into the centrifugal rotation unit, and may be supplied to the spray nozzle by rotation of the centrifugal rotation unit.

또한 상기 분사노즐에는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고전압발생장치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5~40kV의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분사노즐 각각에 상기 고전압발생장치를 연결하여 고전압을 인가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상기 분사노즐은 원심회전부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원심회전부에 고전압발생장치를 연결하여 동시에 고전압을 인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a high voltage generator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injection nozzle to apply a voltage of 5 to 40 kV. At this time, it is possible to apply the high voltage by connecting the high voltage generator to each of the spray nozzles, but since the spray nozzle is connected to the centrifugal rotation unit, it is also possible to connect the high voltage generator to the centrifugal rotation unit and simultaneously apply the high voltage.

또한 상기 원심식 분사기의 측면 또는 하부에는 수집판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 수집판은 상기에 살펴본 바와 같이 1~10kV의 전압을 고전압발생장치를 이용하여 전압을 인가하는 것으로 생성되는 나노파이버를 효과적으로 수집할 수 있다.In addition, a collection plate is provided on the side or bottom of the centrifugal injector, and as described above, the collection plate can effectively collect nanofibers generated by applying a voltage of 1 to 10 kV using a high voltage generator. can

상기와 같이 나노파이버의 방사가 완료된 이후 초음파를 이용하여 융착시키는 것으로 상기 단열층의 형성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after the spinning of the nanofibers is completed, the heat insulating layer can be formed by fusing them using ultrasonic waves.

상기 단열층(400)의 형성이 완료된 이후 상기 단열층의 상부에 고분자 진동흡수체로서 상기 우레탄 수지로 제작된 구형의 볼을 배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우레탄 볼은 다양한 크기를 가지는 볼이 무작위적으로 배열되어 다양한 파장을 가지는 진동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다.After the formation of the heat insulating layer 400 is completed, spherical balls made of the urethane resin may be arranged as a polymer vibration absorber on top of the heat insulating layer. At this time, it is as described above that the urethane balls are randomly arranged to absorb vibrations having various wavelengths.

상기와 같이 고분자 진동흡수체의 배열이 완료된 이후 충격흡수층 형성용 화합물을 도포하여 충격흡수층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충격흡수층 형성용 화합물은 적절한 점도를 가지도록 제작되어 상기 고분자 충격흡수체를 내부에 포함하는 충격흡수층을 형성함과 더불어 상기 단열층의 일부에 함침되어 상기 단열층을 고정하는 역할을 추가로 수행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상기 충격흡수층 형성용 화합물은 상기 단열층 두께의 10~50%를 함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충격흡수층 형성용 화합물이 상기 단열층의 10%미만을 함침하는 경우 상기 단열층의 고정력이 떨어질 수 있으며, 50%를 초과하여 함침하는 경우 단열성이 떨어질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fter the arrangement of the polymeric vibration absorber is completed, a shock absorbing layer may be formed by applying a compound for forming a shock absorbing layer. At this time, the compound for forming the shock absorbing layer is manufactured to have an appropriate viscosity to form a shock absorbing layer including the polymer shock absorber therein and impregnates a part of the heat insulating layer to further perform a role of fixing the heat insulating layer. have. In this process, it is preferable to impregnate 10 to 50% of the thickness of the heat insulating layer with the compound for forming the shock absorbing layer. When less than 10% of the heat insulating layer is impregnated with the compound for forming the shock absorbing layer, the fixing power of the heat insulating layer may be reduced, and when the compound for forming the shock absorption layer is impregnated with more than 50%, the heat insulating property may be deteriorated.

상기와 같이 단열층(400) 및 충격흡수층(500)의 형성이 완료된 이후 상기 단열층을 상기 급속층의 하부에 부착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fter the formation of the heat insulating layer 400 and the shock absorbing layer 500 is completed, the heat insulating layer may be attach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rapid layer.

아울러 상기 금속층과 단열층의 사이에는 전도층 및 발열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금속재질 바닥제의 경우 높은 전도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단순히 바닥재로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차가운 느낌을 줄 수 있으며, 특히 겨울에는 실내의 열을 외부로 용이하게 전도하여 내부온도를 낮출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금속층의 하부에 일정한 발열층을 형성하는 것으로 이러한 금속층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체온이 떨어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In addition, a conductive layer and a heating layer may be formed between the metal layer and the heat insulating layer. Since the metal flooring material has high conductivity, it can give a user a cold feeling when simply used as a flooring material, and in particular, in winter, it can easily conduct indoor heat to the outside to lower the internal temperature. Therefore, by forming a constant heating layer under the metal layer, the temperature of the metal layer can be kept constant, and the user's body temperature can be prevented from falling.

상기 전도층은 상기 금속층의 하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발열층에서 생성되는 열을 상기 금속층에 고르게 분포하도록할 수 있다. 상기 금속층을 전도성이 높은 구리로 제작하는 경우 열의 전도가 용이하여 발열층에서 발생하는 열이 균일하게 퍼질 수 있지만, 내구성 및 내화학성을 위하여 상기 금속층은 전도성이 낮은 알루미늄 합금 또는 스테인레스로 제작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발열층에서 공급되는 열이 균일하게 전도되지 못하여 국부적인 가열이 일어날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가져옴과 동시에 상기 인쇄층의 손상을 가져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금속층의 하부에는 전도층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발열층에서 생성되는 열을 상기 바닥재의 전체로 빠르게 전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ductive layer is formed below the metal layer and can evenly distribute heat generated in the heating layer to the metal layer. When the metal layer is made of copper with high conductivity, heat conduction is easy and the heat generated in the heating layer can be spread uniformly. However, for durability and chemical resistance, the metal layer may be made of aluminum alloy or stainless steel with low conductivity. . In this case, local heating may occur because the heat supplied from the heating layer is not uniformly conducted, which may cause inconvenience to the user and damage to the printing layer.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quickly transfer the heat generated in the heating layer to the entire flooring by forming a conductive layer under the metal layer.

이를 위하여 상기 전도층은 전도성 폴리머 100중량부 대비 선형 탄소화합물 3~10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conductive layer may include 3 to 10 parts by weight of the linear carbon compound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conductive polymer.

상기 선형 탄소화합물은 상기 발열층에서 생성되는 열을 1차적으로 전달하는 수단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상기 전도성 폴리머와 혼합되어 일종의 네트워크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네트워크 구조는 다양한 경로를 통하여 열이 용이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음과 더불어 일부 파단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파단부를 우회하여 열을 전달할 수 있어 장기간의 사용에도 그 성능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선형 탄소화합물은 상기 전도성 폴리머 100중량부 대비 3~10중량부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선형 탄소화합물이 3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상기 네트워크 구조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으며, 10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 상기 선형 탄소화합물이 응집되는 불량이 일어날 수 있다.The linear carbon compound is used as a means for primarily transferring heat generated in the heating layer, and may be mixed with the conductive polymer to form a kind of network structure. Such a network structure enables heat to be easily transferred through various paths, and even if some breaks occur, the heat can be transferred by bypassing the broken parts, so that its performance can be maintained even during long-term use. In this case, the linear carbon compound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3 to 1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conductive polymer. When the amount of the linear carbon compound is less than 3 parts by weight, the network structure may not be formed, and when the amount of the linear carbon compound is greater than 10 parts by weight, aggregation of the linear carbon compound may occur.

상기 전도성 폴리머는 열을 전도할 수 있는 고분자 수지를 의미하는 것으로 상기 선형 탄소화합물에 의하여 전달되는 열을 2차적으로 상기 금속층에 전달하며, 상기 선형 탄소화합물이 고정될 수 있는 메트릭스로서 사용될 수 있다.The conductive polymer refers to a polymer resin capable of conducting heat, and secondarily transfers the heat transferred by the linear carbon compound to the metal layer, and can be used as a matrix to which the linear carbon compound can be fixed.

상기와 같이 전도층의 형성이 완료된 이후 상기 전도층의 하부에는 발열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발열층은 기존에 사용되는 발열선을 일정간격으로 배열한 다음 이 표면에 방수층을 형성하는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다만 상기 발열선의 양단은 상기 바닥재의 단부에 형성되어 커넥터가 부착되는 것으로 인접한 바닥재의 설치기 각 바닥재 하부에 성치된 발열선이 연결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상기 바닥재 하부의 발열선은 전체가 하나로 연결되어 제어될 수 있으며, 또한 2~5개의 부분으로 분할되어 제어되는 것으로 바닥의 온도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After the formation of the conductive layer is completed as described above, a heating layer may be formed under the conductive layer. The heating layer may be manufactured by arranging previously used heating wires at regular intervals and then forming a waterproof layer on the surface. However, both ends of the heating wire are formed at the ends of the flooring material and connectors are attached to adjacent flooring materials. It is possible to connect the heating wire formed under each flooring material of the installation machine. Through this, the entire heating wire under the flooring material can be connected and controlled as one, and also divided into 2 to 5 parts to be controlled, so that the temperature of the floor can be easily controlled.

상기 발열선이 설치된 이후 방수층을 형성하여 마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이 방수층은 상기 발열선을 습기로부터 보호함과 동시에 상기 금속층의 습기로 인한 부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형성되는 층으로 상기와 같은 습기의 침투를 막을 수 있는 고분자수지를 도포하여 형성될 수 있다.It is preferable to finish by forming a waterproof layer after the heating wire is installed. This waterproof layer is formed to protect the heating wire from moisture and at the same time prevent corrosion of the metal layer due to moisture, and to prevent the penetration of moisture as described above. It can be formed by applying a polymer resin that can be.

또한 상기 금속층의 하부에는 코르크층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코르크를 식물의 외피에 형성되는 다공성의 층을 의미하는 것으로 약간의 탄성을 가지고 있으며, 다수개의 격실로 이루어져 있어 높은 단열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경우 이러한 코르크층을 상기 금속층의 하부에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금속재질 바닥재의 단열성 및 충격흡수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코르크층은 상기 단열층 또는 상기 층격흡수층의 상부 또는 하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금속층과 상기 단열층의 사이에 형성되어 1차적인 단열과 충격흡수를 동시에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 cork layer may be further included under the metal layer. Cork refers to a porous layer formed on the outer skin of a plant, has some elasticity, and can have high insulation properties because it consists of a plurality of compartments.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by forming such a cork layer under the metal layer, it is possible to further improve the thermal insulation and shock absorption properties of the metal flooring material. The cork layer may be formed above or below the heat insulation layer or the stratification absorption layer, and is preferably formed between the metal layer and the heat insulation layer to simultaneously perform primary insulation and shock absorption.

아울러 상시 코르크층을 구비하는 경우 상기 금속재질 바닥재의 사용이 완료된 이후 폐기될 때, 급속은 재가공 또는 용융되어 재사용이 가능하며, 상기 코르크층은 단순히 폐기 또는 매립되더라도 생분해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금속 재질 바닥재의 경우 기존의 바닥재에 비하여 환경의 영향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친환경?Ю? 바닥재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if the cork layer is provided at all times, when the metal flooring material is discarded after use is completed, it can be rapidly reprocessed or melted and reused, and the cork layer can be biodegraded even if simply discarded or landfilled. Therefore, in the case of the metal flooring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ared to conventional flooring materials, the environmental impact can be minimized. Flooring can be provided.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shown and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is common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by those with knowledge of, and these modific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pro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금속층
110 : 1차 공극
111 : 2차 공극
200 : 인쇄층
210 : 천공
300 : 보호층
310 : 보호층 표면
320 : 패턴물질
330 : 편광물질
400 : 단열층
500 : 충격흡수층
100: metal layer
110: primary void
111: secondary void
200: printing layer
210: perforation
300: protective layer
310: protective layer surface
320: pattern material
330: polarizing material
400: heat insulation layer
500: shock absorbing layer

Claims (7)

금속층;
상기 금속층의 상부에 형성되는 인쇄층;
상기 금속층의 하부에 형성되는 단열층; 및
상기 단열층의 하부에 형성되는 충격흡수층;
을 포함하는 층간소음 방지용 금속재질 바닥재에 있어서,
상기 인쇄층의 상부에는 보호층이 추가로 형성되며,
상기 인쇄층은,
상기 금속층의 표면을 플라즈마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플라즈마 처리된 금속층의 표면에 인쇄층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형성되며,
상기 플라즈마 처리는 산소조건에서 고압 글로우 플라즈마를 이용하여 수행되며,
상기 보호층은,
상기 인쇄층을 일정간격으로 천공하는 단계;
상기 인쇄층의 상부에 보호층 형성용 화합물을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보호층 형성용 화합물을 경화시킨 다음, 표면에 편광구조를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되며,
상기 천공은 상기 인쇄층을 통과하여 상기 금속층까지 소정의 깊이로 천공되고, 0.01~0.5mm의 직경을 가지며, 1~10mm의 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보호층은 도포시 상기 인쇄층의 천공부를 통과하여 상기 금속층 내부와 접촉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금속층과 상기 단열층의 사이에는,
상기 금속층의 하부에 형성되는 전도층; 및
상기 전도층의 하부에 형성되는 발열층;
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전도층은 전도성 폴리머 100중량부 대비 선형 탄소화합물 3~10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선형 탄소화합물은 상기 전도성 폴리머와 혼합되어 네트워크 구조를 형성하며,
상기 발열층은,
일정간격으로 배열되어 있는 발열선; 및
상기 발열선의 하부에 형성되는 방수층;
을 포함하며,
상기 발열선의 양단은 상기 바닥재의 단부에 형성되며, 인적한 바닥재의 발열선과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를 구비하고,
상기 바닥재 하부의 발열선은 전체가 하나로 연결되어 제어될 수 있으며,
상기 단열층 및 상기 충격흡수층은,
분사노즐의 하방에 수집판을 설치하고 상기 분사노즐과 수집판 사이에 고전압을 인가하는 단계;
상기 분사노즐을 통하여 용해 또는 용융된 고분자를 공급하는 단계;
상기 분사노즐이 설치된 원심회전부를 회전시켜 상기 용융된 고분자를 상기 분사노즐의 외부로 토출시키는 단계;
상기 토출된 고분자가 하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인가된 고전압에 의하여 상기 수집판의 상부에 나노파이버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나노파이버를 초음파 융착하여 단열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단열층의 상부에 고분자 진동 흡수체를 배열하는 단계;
상기 고분자 진동 흡수체의 상부에서 충격흡수층 형성용 화합물을 도포하여 충격흡수층을 형성하는 단계;및
상기 단열층의 하부를 상기 발열층에 부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되며,
상기 충격흡수층 형성용 화합물은 상기 단열층의 일부를 함침하며,
상기 고분자 진동 흡수체는 폴리우레탄으로 제조되고,직경 0.1~5mm의 구형이며,
상기 충격흡수층은 내부에 상기 고분자 진동 흡수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 방지용 금속재질 바닥재.
metal layer;
a printed layer formed on top of the metal layer;
a heat insulating layer formed under the metal layer; and
a shock absorbing layer formed under the heat insulating layer;
In the metal flooring material for preventing inter-floor noise comprising a,
A protective layer is additionally formed on top of the printed layer,
The printed layer,
Plasma-treating the surface of the metal layer; and
forming a printing layer on the surface of the plasma-treated metal layer;
It is formed by a method comprising
The plasma treatment is performed using high-pressure glow plasma under oxygen conditions,
The protective layer,
perforating the printed layer at regular intervals;
coating a compound for forming a protective layer on top of the printed layer; and
curing the compound for forming a protective layer and then forming a polarization structure on the surface;
It is prepared by a method comprising
The perforations are perforated to a predetermined depth through the printed layer to the metal layer, have a diameter of 0.01 to 0.5 mm, and are formed at intervals of 1 to 10 mm,
The protective layer is formed to pass through the perforations of the printed layer and contact the inside of the metal layer when applied,
Between the metal layer and the heat insulating layer,
a conductive layer formed under the metal layer; and
a heating layer formed under the conductive layer;
In addition,
The conductive layer includes 3 to 10 parts by weight of a linear carbon compound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a conductive polymer,
The linear carbon compound is mixed with the conductive polymer to form a network structure,
The heating layer,
heating wires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and
a waterproof layer formed under the heating wire;
Including,
Both ends of the heating wire are formed at the end of the flooring material and have a connector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heating wire of the flooring material,
The entire heating wire under the flooring material can be connected and controlled as one,
The heat insulating layer and the shock absorbing layer,
Installing a collection plate below the injection nozzle and applying a high voltage between the injection nozzle and the collection plate;
supplying the melted or melted polymer through the injection nozzle;
Discharging the molten polymer to the outside of the injection nozzle by rotating a centrifugal rotation unit in which the injection nozzle is installed;
forming nanofibers on an upper portion of the collecting plate by applying a high voltage as the discharged polymer moves downward;
Forming a thermal insulation layer by ultrasonically welding the nanofibers;
arranging a polymeric vibration absorber on top of the heat insulating layer;
Forming a shock absorbing layer by applying a compound for forming a shock absorbing layer on the top of the polymeric vibration absorber; and
attaching a lower portion of the heat insulating layer to the heating layer;
It is prepared by a method comprising
The compound for forming the shock absorbing layer impregnates a part of the heat insulating layer,
The polymer vibration absorber is made of polyurethane and has a spherical shape with a diameter of 0.1 to 5 mm,
The shock absorbing layer is a metallic flooring material for preventing inter-floor noise,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the polymer vibration absorber therein.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층의 상부에는 상기 천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공극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공극은,
상기 금속층의 표면에 보호제를 도포하는 단계;
상기 보호제가 도포된 금속층을 일정간격으로 천공하는 단계;
상기 천공이 완료된 금속층을 1차 애칭액에 침지하여 1차 애칭하는 것으로 천공부의 내벽을 확장하여 1차 공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1차 공극이 형성된 금속층을 2차 애칭액에 침지하여 상기 공극의 벽면에 2차 공극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2차 공극의 형성이 완료된 이후 상기 보호제를 제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 방지용 금속재질 바닥재.
According to claim 1,
An air gap is formed in an upper portion of the metal layer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erforation,
The void is
applying a protective agent to the surface of the metal layer;
perforating the metal layer coated with the protective agent at regular intervals;
forming a primary void by dipping the perforated metal layer in a primary etching solution and performing primary etching to expand an inner wall of the perforation;
immersing the metal layer in which the primary voids are formed in a secondary etchant to form secondary voids on the walls of the voids; and
removing the protective agent after the formation of the secondary pores is completed;
Metallic flooring material for preventing inter-floor noise, characterized in that produced by a method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 표면에 편광구조는,
(a) 보호층의 표면에 패턴 물질을 도포하는 단계;
(b) 상기 패턴 물질을 일정간격으로 식각하여 프리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식각이 완료된 다음,노출된 보호층 및 남아있는 프리패턴의 상부에 편광물질을 도포하는 단계;
(d) 에칭을 통하여 상기 편광물질을 상기 프리패턴의 측면부에 부착하는 단계; 및
(e) 상기 프리패턴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형성되고,
상기 (b)단계는 보호층상에 패턴 물질을 도포한 다음, 리소그래피 또는 임프린팅 공정을 수행하여 프리패턴을 형성하며,
상기 에칭은 0.1mTorr~10mTorr의 압력하에서 기체를 이용하여 플라즈마를 형성한 다음 상기 플라즈마를 100eV~5,000eV로 가속화하여 수행되는 밀링 공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 방지용 금속재질 바닥재.
According to claim 1,
The polarization structure on the surface of the protective layer,
(a) applying a pattern material to the surface of the protective layer;
(b) forming a pre-pattern by etching the pattern material at regular intervals;
(c) after the etching is completed, applying a polarizing material on the exposed protective layer and the remaining pre-pattern;
(d) attaching the polarizing material to the side surface of the pre-pattern through etching; and
(e) formed by a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removing the prepattern,
In the step (b), a prepattern is formed by applying a pattern material on the protective layer and then performing a lithography or imprinting process,
The etching is a metal flooring material for preventing interlayer noise, characterized in that the milling process is performed by forming plasma using gas under a pressure of 0.1 mTorr to 10 mTorr and then accelerating the plasma to 100 eV to 5,000 eV.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층의 하부에는 코르크층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 방지용 금속재질 바닥재.
According to claim 1,
A metal flooring material for preventing inter-floor nois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cork layer at the bottom of the metal layer.
KR1020210171406A 2021-12-03 2021-12-03 Metal flooring for preventing noise between floors KR10247008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1406A KR102470080B1 (en) 2021-12-03 2021-12-03 Metal flooring for preventing noise between floor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1406A KR102470080B1 (en) 2021-12-03 2021-12-03 Metal flooring for preventing noise between floor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0080B1 true KR102470080B1 (en) 2022-11-24

Family

ID=84235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1406A KR102470080B1 (en) 2021-12-03 2021-12-03 Metal flooring for preventing noise between floor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0080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9778B1 (en) * 2023-06-22 2024-05-28 주식회사디자인랜드 Deck Clip Having Coating Layer by Metal Powder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2990U (en) * 2008-09-05 2010-03-15 박영복 The electricty mat
KR20110067617A (en) * 2009-12-14 2011-06-22 한국조폐공사 Screen printing plate using etching and a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KR20120106393A (en) * 2011-03-18 2012-09-26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Polyester-based metallized film
KR101560085B1 (en) 2014-03-28 2015-10-13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Floor Board For Building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649601B1 (en) 2015-09-23 2016-08-19 이재현 Deck metal frame including heating cable
KR20190112241A (en) * 2018-03-23 2019-10-04 주식회사 세인 Flooring sheet
KR102232952B1 (en) * 2020-11-23 2021-03-26 주식회사선진씨앤디 Gravure printing film
KR102288515B1 (en) * 2021-03-15 2021-08-10 주식회사 가인인터내셔널 Antibacterial wettissue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2990U (en) * 2008-09-05 2010-03-15 박영복 The electricty mat
KR20110067617A (en) * 2009-12-14 2011-06-22 한국조폐공사 Screen printing plate using etching and a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KR20120106393A (en) * 2011-03-18 2012-09-26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Polyester-based metallized film
KR101560085B1 (en) 2014-03-28 2015-10-13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Floor Board For Building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649601B1 (en) 2015-09-23 2016-08-19 이재현 Deck metal frame including heating cable
KR20190112241A (en) * 2018-03-23 2019-10-04 주식회사 세인 Flooring sheet
KR102232952B1 (en) * 2020-11-23 2021-03-26 주식회사선진씨앤디 Gravure printing film
KR102288515B1 (en) * 2021-03-15 2021-08-10 주식회사 가인인터내셔널 Antibacterial wettissu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9778B1 (en) * 2023-06-22 2024-05-28 주식회사디자인랜드 Deck Clip Having Coating Layer by Metal Powd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706061C2 (en) Protective layer of heat-insulating panel for construction with improved adhesion properties with insulating layer
KR102116007B1 (en) Sound insulation composite floorboard with reduced generation of interlayer nois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102470080B1 (en) Metal flooring for preventing noise between floors
US4433025A (en) Heat reflecting wall or ceiling covering
US20220332106A1 (en) In-line lamination process for producing thermoplastic composite panels with textured film layers
TWM629363U (en) Structure of floor sound insulation layer cushion
JP3992147B2 (en) Repair method and structure of existing roof
TWI782843B (en) The structure of floor sound insulation layer cushion
KR100926814B1 (en) Heating board and preparing method thereof
CN102619290A (en) Fireproof vertical filament inorganic silicon fiber insulation board
CN112343186A (en) Construction method of decorative 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 waterproof structure
CN108532823A (en) A kind of heat-insulated color steel
JP2009226933A (en) Picture-drawn ti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105089251B (en) The interim ground of one kind building and its construction method
CN209874192U (en) Floor cushion layer with high efficiency and multiple performances
JP5352229B2 (en) Processing method of spray material containing asbestos
JP4073359B2 (en) Outside insulation pan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RU2772253C1 (en) Panel with stone veneer
JP2018193807A (en) Concrete modification method
CN201730269U (en) Novel heat-insulation composite material
KR20110134154A (en) A environmental-friendly method of water proof and airvent for it
CN101126268A (en) Glass fiber felt gypsum plate
CN207296044U (en) A kind of exterior-wall heat insulation anti-rain, inoffensive cladding rock cotton board
JP2002167978A (en) Modification method for building
TW202343888A (en) Millimeter-wave reflecting building material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