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9743B1 - 약물 복용에 따른 갑상선 기능 모니터링 방법, 이를 수행하는 모니터링 서버 및 사용자 단말 - Google Patents

약물 복용에 따른 갑상선 기능 모니터링 방법, 이를 수행하는 모니터링 서버 및 사용자 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9743B1
KR102469743B1 KR1020200069999A KR20200069999A KR102469743B1 KR 102469743 B1 KR102469743 B1 KR 102469743B1 KR 1020200069999 A KR1020200069999 A KR 1020200069999A KR 20200069999 A KR20200069999 A KR 20200069999A KR 102469743 B1 KR102469743 B1 KR 1024697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monitoring
heart rate
period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99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53208A (ko
Inventor
문재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타이로스코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타이로스코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타이로스코프
Priority to KR10202000699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9743B1/ko
Priority to KR1020200128685A priority patent/KR102548235B1/ko
Priority to PCT/KR2021/002707 priority patent/WO2021251593A1/ko
Priority to EP21819321.7A priority patent/EP4166068A4/en
Priority to JP2021576255A priority patent/JP2022541110A/ja
Priority to US17/514,952 priority patent/US11937936B2/en
Publication of KR202101532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32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97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9743B1/ko
Priority to KR1020230080244A priority patent/KR20230095053A/ko
Priority to JP2023126948A priority patent/JP2023162209A/ja
Priority to KR1020240004035A priority patent/KR20240007955A/ko
Priority to KR1020240004034A priority patent/KR202400077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7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remote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61B5/02405Determining heart rate variabil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61B5/02416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using photoplethysmograph signals, e.g. generated by infrared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61B5/0243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with portable devices, e.g. worn by the pat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61B5/024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by using sensing means generating electric signals, i.e. ECG sign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 A61B5/053Measuring electrical impedance or conductance of a portion of the body
    • A61B5/0531Measuring skin impeda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25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 A61B5/251Means for maintaining electrode contact with the body
    • A61B5/256Wearable electrodes, e.g. having straps or ba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25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 A61B5/279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 A61B5/28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for electrocardiography [EC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18Heart-related electrical modalities, e.g. electrocardiography [ECG]
    • A61B5/346Analysis of electrocardiograms
    • A61B5/349Detecting specific parameters of the electrocardiograph cycle
    • A61B5/353Detecting P-wa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18Heart-related electrical modalities, e.g. electrocardiography [ECG]
    • A61B5/346Analysis of electrocardiograms
    • A61B5/349Detecting specific parameters of the electrocardiograph cycle
    • A61B5/366Detecting abnormal QRS complex, e.g. wide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gastrointestinal, the endocrine or the exocrine systems
    • A61B5/4222Evaluating particular parts, e.g. particular organs
    • A61B5/4227Evaluating particular parts, e.g. particular organs endocrine glands, i.e. thyroid, adrenals, hypothalamic, pituita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48Monitoring or testing the effects of treatment, e.g. of medic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02Sensor mounted on worn items
    • A61B5/681Wristwatch-type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35Details of waveform analysis
    • A61B5/7264Classification of physiological signals or data, e.g. using neural networks, statistical classifiers, expert systems or fuzzy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71Specific aspects of physiological measurement analysis
    • A61B5/7275Determining trends in physiological measurement data; Predicting development of a medical condition based on physiological measurements, e.g. determining a risk fac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A61B5/7445Display arrangements, e.g. multiple display uni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Alarms related to a physiological condition, e.g. details of setting alarm thresholds or avoiding false ala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5Arrangements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patient and care services, e.g. by using a telephone network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7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mining of medical data, e.g. analysing previous cases of other patien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7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references
    • G16H7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references relating to drugs, e.g. their side effects or intended usa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Card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Endocrinology (AREA)
  • Psychiatr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Nur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ermat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Toxicology (AREA)

Abstract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갑상선 기능 이상과 관련된 경고 메시지를 출력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약물 복용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약물 복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경고 메시지의 출력 여부 결정에 이용될 모니터링 알고리즘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모니터링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상기 경고 메시지 출력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갑상선 기능 이상 모니터링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약물 복용에 따른 갑상선 기능 모니터링 방법, 이를 수행하는 모니터링 서버 및 사용자 단말{Method for monitoring thyroid function according to drug administration, monitoring server and user terminal performing the same}
실시예는 약물 복용에 따른 갑상선 기능 모니터링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는 약물 복용에 따른 갑상선 기능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모니터링 서버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는 약물 복용에 따른 갑상선 기능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는 피부 전도도 데이터에 기초한 갑상선 기능 모니터링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한 통계자료에 따르면 미국의 전체 인구의 12프로가 그들의 일생동안 갑상선 기능 이상을 경험한다고 하며, 약 2천만명의 미국인이 갑상선 기능 이상으로 인한 질병으로 고통받는다고 알려져 있다. 미국에서뿐만 아니라, 갑상선 기능 이상은 전 세계적으로 많은 사람들에게 생활의 불편과, 합병증을 유발하여 관심을 기울여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수행해야하는 질환이다.
다만, 기존에는 갑상선 기능 이상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병원에 내원하여 혈액 검사를 수행하여야 했기 때문에, 병원 진료 예약에 따라 검사 시기가 지연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여 체계적인 모니터링이 불가능했고, 실질적으로 병원 진료를 위해 병원을 방문하는 것 자체가 환자에게는 시간적 손실이었기 때문에 갑상선 기능 이상으로 인한 증상이 발현될 때까지 검사를 수행하지 않는 환자들도 상당히 많았다.
이러한 갑상선 기능 이상 모니터링의 부재는, 환자들의 증상을 악화시키고 치료 비용의 부담을 증가시키는 여러가지 부정적 현상을 야기하였다. 이에 따라, 지속적이고 환자들이 쉽게 사용할 수 있는 갑상선 기능 모니터링 방법이 제공될 필요가 있어왔다.
또한, 갑상선 기능 이상 환자들의 경우, 대다수가 약물 복용을 통한 치료 요법을 수행하고 있는데, 그들은 자신이 복용하는 약물 용량의 적절성과 자신의 신체에 현재 부작용이 발생하고 있지는 않은가에 대한 우려를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약물을 복용하고 있는 환자들에게도 제공될 수 있는 갑상선 기능 모니터링 방법의 개발이 필요하다. 상술한 갑상선 기능 모니터링 방법 중 하나로, (특허문헌 0001)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32668호 (2019.03.28.)가 개시되어있다.
실시예는 환자들의 약물 복용에 따른 부작용으로 발생을 감지하는 모니터링 방법을 제공한다.
실시예는 환자들의 약물의 과다 복용을 방지하고 환자의 병원 방문을 유도하는 모니터링 방법을 제공한다.
실시예는 웨어러블 장치를 통해 획득된 피부 전도도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갑상선 기능 이상을 예측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갑상선 기능 이상과 관련된 경고 메시지를 출력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약물 복용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상기 약물 복용 정보는 갑상선 기능에 관련된 약물의 처방 일자, 약물 이름, 약물 유형, 약물 용량, 또는 약물 복용 주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상기 약물 복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경고 메시지의 출력 여부 결정에 이용될 모니터링 알고리즘을 선택하는 단계-상기 모니터링 알고리즘은 제1 모니터링 알고리즘 또는 상기 제1 모니터링 알고리즘과 상이한 제2 모니터링 알고리즘임 -; 및 상기 선택된 모니터링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상기 경고 메시지 출력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경고 메시지 출력 여부 결정 단계는, 상기 선택된 모니터링 알고리즘이 상기 제1 모니터링 알고리즘 이면, 모니터링 심박수가 기준 심박수보다 제1 임계치 이상 큰 경우 상기 경고 메시지의 출력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모니터링 알고리즘이 상기 제2 모니터링 알고리즘 이면, 상기 모니터링 심박수가 상기 기준 심박수보다 제2 임계치 이상 작은 경우 상기 경고 메시지의 출력을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기준 심박수는 상기 사용자의 갑상선 호르몬 수치 및 상기 사용자의 심박수에 기초하여 산출되거나, 연속된 복수의 날들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상기 심박수에 기초하여 산출되며, 상기 모니터링 심박수는 휴지 구간에서의 상기 사용자의 상기 심박수에 기초하여 산출되고, 상기 휴지 구간은 상기 사용자의 운동 상태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되는, 사용자의 갑상선 기능 이상과 관련된 경고 메시지를 출력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약물 복용에 따른 부작용 발생을 우려하는 환자들이 안정된 상태에서 치료를 지속할 수 있도록, 환자들의 약물 복용에 따른 부작용으로 발생될 수 있는 갑상선 기능 이상을 모니터링 하는 모니터링 방법을 제공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약물 복용 기간이 장기화됨에 따라 환자들이 이미 치료되었음에도 계속적으로 처방된 약물을 복용하는 것을 모니터링하여, 환자들의 약물의 과다 복용을 방지하고 환자의 병원 방문을 유도하는 모니터링 방법을 제공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웨어러블 장치를 통해 획득된 피부 전도도 데이터 중 휴지 구간을 정의하고, 상기 휴지 구간에서의 피부 전도도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갑상선 기능 이상을 예측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출원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갑상선 기능 모니터링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서버의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갑상선 기능 모니터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이다.
도 6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데이터의 산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준 데이터의 산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이다.
도 8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준 데이터 산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라, 모니터링 서버가 정상 범위를 벗어난 갑상선 상태 정보를 수신한 경우의 기준 데이터 산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갑상선 기능 이상 판단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1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준 데이터와 모니터링 데이터를 비교하는 알고리즘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이다.
도 12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갑상선 기능 이상 모니터링 방법의 동작 수행 타이밍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 및 14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갑상선 기능 이상 모니터링 시스템에서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갑상선 기능 이상 모니터링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이다.
도 16은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획득되는 PPG 데이터 및 모니터링 서버를 통해 수행되는 PPG 데이터의 분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인자에 따른 갑상선 기능 모니터링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이다.
도 18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ECG 데이터의 획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이다.
도 19(a) 및 (b)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ECG 데이터의 파형 분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물 복용을 고려한 갑상선 기능 모니터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1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알고리즘의 선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이다.
도 22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1 모니터링 알고리즘의 선택에 따른 갑상선 기능 모니터링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3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2 모니터링 알고리즘의 선택에 따른 갑상선 기능 모니터링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4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갑상선 기능 이상 모니터링 방법(S400)의 동작 수행 타이밍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5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물 복용 추천을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에서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전도도 측정 센서의 블록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전도도를 측정하는 장치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8은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전도도 그래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9는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전도도 그래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0은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전도도 데이터 그래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전도도 데이터 그래프에서의 휴지 구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2는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전도도 데이터 그래프에서의 휴지 구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3은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전도도 데이터 그래프에서의 휴지 구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4는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전도도 데이터 그래프에서의 휴지 구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5는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전도도 데이터 그래프에서의 휴지 구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6은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전도도 데이터 그래프에서의 휴지 구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휴지 구간을 추출하는 방법에 대한 순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 착용 상태에 따른 피부 전도도 데이터 그래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출원의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다만, 본 출원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들을 가질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들에 있어서, 층 및 영역들의 두께는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되어진 것이며, 또한, 구성요소(element) 또는 층이 다른 구성요소 또는 층의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구성요소 또는 층의 바로 위 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구성요소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원칙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본 출원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출원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갑상선 기능 이상과 관련된 경고 메시지를 출력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약물 복용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상기 약물 복용 정보는 갑상선 기능에 관련된 약물의 처방 일자, 약물 이름, 약물 유형, 약물 용량, 또는 약물 복용 주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상기 약물 복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경고 메시지의 출력 여부 결정에 이용될 모니터링 알고리즘을 선택하는 단계-상기 모니터링 알고리즘은 제1 모니터링 알고리즘 또는 상기 제1 모니터링 알고리즘과 상이한 제2 모니터링 알고리즘임 -; 및 상기 선택된 모니터링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상기 경고 메시지 출력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경고 메시지 출력 여부 결정 단계는, 상기 선택된 모니터링 알고리즘이 상기 제1 모니터링 알고리즘 이면, 모니터링 심박수가 기준 심박수보다 제1 임계치 이상 큰 경우 상기 경고 메시지의 출력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모니터링 알고리즘이 상기 제2 모니터링 알고리즘 이면, 상기 모니터링 심박수가 상기 기준 심박수보다 제2 임계치 이상 작은 경우 상기 경고 메시지의 출력을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기준 심박수는 상기 사용자의 갑상선 호르몬 수치 및 상기 사용자의 심박수에 기초하여 산출되거나, 연속된 복수의 날들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상기 심박수에 기초하여 산출되며, 상기 모니터링 심박수는 휴지 구간에서의 상기 사용자의 상기 심박수에 기초하여 산출되고, 상기 휴지 구간은 상기 사용자의 운동 상태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되는, 사용자의 갑상선 기능 이상과 관련된 경고 메시지를 출력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모니터링 알고리즘을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를 상기 약물 복용 정보에 기초하여 갑상선기능항진증 치료 그룹 또는 갑상선기능저하증 치료 그룹으로 분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갑상선 기능 이상과 관련된 경고 메시지를 출력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모니터링 알고리즘을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갑상선기능저하증 치료 그룹으로 분류되면, 상기 제1 모니터링 알고리즘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갑상선 기능 이상과 관련된 경고 메시지를 출력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모니터링 알고리즘을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갑상선기능항진증 치료 그룹으로 분류되면, 상기 제2 모니터링 알고리즘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갑상선 기능 이상과 관련된 경고 메시지를 출력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경고 메시지 출력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모니터링 알고리즘이 상기 제1 모니터링 알고리즘이면, 상기 모니터링 심박수가 상기 기준 심박수보다 제2 임계치 이상 작은 경우 상기 처방 일자에 기초하여 소정의 기간이 도과하였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소정의 기간이 도과한 경우, 상기 경고 메시지 출력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갑상선 기능 이상과 관련된 경고 메시지를 출력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경고 메시지 출력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모니터링 알고리즘이 상기 제2 모니터링 알고리즘이면, 상기 모니터링 심박수가 상기 기준 심박수보다 제1 임계치 이상 큰 경우 상기 처방 일자에 기초하여 소정의 기간이 도과하였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소정의 기간이 도과한 경우, 상기 경고 메시지 출력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갑상선 기능 이상과 관련된 경고 메시지를 출력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약물 복용 정보가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되기 이전에, 상기 모니터링 심박수가 상기 기준 심박수보다 제1 임계치 이상 큰 경우 상기 경고 메시지의 출력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모니터링 심박수가 상기 기준 심박수보다 제2 임계치 이상 작은 경우 상기 경고 메시지의 출력을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갑상선 기능 이상과 관련된 경고 메시지를 출력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휴지 구간은, 사용자의 걸음수가 0인 상태로 소정의 시간 이상 지속된 구간에 기초하여 결정되거나, 상기 휴지 구간은, 사용자의 가속도가 0인 상태로 소정의 시간 이상 지속된 구간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사용자의 갑상선 기능 이상과 관련된 경고 메시지를 출력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
상기 기준 심박수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준 심박수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갑상선 호르몬 수치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갑상선 호르몬 수치가 정상 범위인지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갑상선 호르몬 수치가 정상 범위인 경우, 상기 갑상선 호르몬 수치의 테스트 날을 포함하는 연속되는 복수의 날들의 휴지기 심박수에 기초하여 상기 기준 심박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갑상선 기능 이상과 관련된 경고 메시지를 출력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기준 심박수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갑상선 호르몬 수치가 정상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갑상선 호르몬 수치의 테스트 날을 포함하는 연속되는 복수의 날들의 휴지기 심박수에 기초하여 상기 현재 심박수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갑상선 호르몬 수치 및 상기 산출된 현재 심박수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갑상선 기능이 정상일때의 상기 기준 심박수를 추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갑상선 기능 이상과 관련된 경고 메시지를 출력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모니터링 알고리즘을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약물 복용 정보가 수신될때마다 수행되고, 상기 경고 메시지 출력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하는 단계가 수행된 이후에 매일 수행되며, 상기 경고 메시지 출력 여부 결정 단계는 상기 모니터링 알고리즘 선택 단계보다 더 많은 횟수만큼 수행되는, 사용자의 갑상선 기능 이상과 관련된 경고 메시지를 출력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약물 복용 주기에 기초하여 약물 복용 알림 출력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약물 복용 알림 출력 결정 단계는 상기 경고 메시지 출력 여부 결정 단계보다 더 많은 횟수만큼 수행되는, 사용자의 갑상선 기능 이상과 관련된 경고 메시지를 출력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제1 주기마다 상기 사용자의 상기 심박수를 측정하는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제2 주기마다 상기 사용자의 심박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주기보다 상기 제2 주기가 긴, 사용자의 갑상선 기능 이상과 관련된 경고 메시지를 출력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경고 메시지 출력이 결정되면, 상기 외부 장치의 디스플레이 유닛을 통해 상기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상기 외부 장치로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의 갑상선 기능 이상과 관련된 경고 메시지를 출력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어느 한항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에 의해 독출되어 실행 가능한 코드가 저장된 기록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 장치로부터 웨어러블 장치의 사용자로부터 획득된 생체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상기 사용자의 약물 복용 정보에 기초하여, 모니터링 알고리즘을 선택하고, 선택된 모니터링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경고 메시지 출력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경고 메시지의 출력이 결정되면 상기 통신부를 통해 신호가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약물 복용 정보는 갑상선 기능에 관련된 약물의 처방 일자, 약물 이름, 약물 유형, 약물 용량, 또는 약물 복용 주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를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링 알고리즘은 제1 모니터링 알고리즘 또는 제2 모니터링 알고리즘이고, 상기 제1 모니터링 알고리즘은 모니터링 심박수가 기준 심박수보다 제1 임계치 이상 큰 경우 상기 경고 메시지의 출력을 결정하는 알고리즘이고, 상기 제2 모니터링 알고리즘은 상기 모니터링 심박수가 상기 기준 심박수보다 제2 임계치 이상 작은 경우 상기 경고 메시지의 출력을 결정하는 알고리즘이며, 상기 기준 심박수는 상기 사용자의 갑상선 호르몬 수치 및 상기 사용자의 심박수에 기초하여 산출되거나, 연속된 복수의 날들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상기 심박수에 기초하여 산출되며, 상기 모니터링 심박수는 휴지 구간에서의 상기 사용자의 상기 심박수에 기초하여 산출되고, 상기 휴지 구간은 상기 사용자의 운동 상태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되는, 모니터링 서버가 제공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웨어러블 장치로부터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사용자로부터 획득된 생체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사용자의 약물 복용 정보를 수신하는 입력부-상기 약물 복용 정보는 갑상선 기능에 관련된 약물의 처방 일자, 약물 이름, 약물 유형, 약물 용량, 또는 약물 복용 주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및 상기 약물 복용 정보에 기초하여 모니터링 알고리즘을 선택하고, 선택된 모니터링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경고 메시지 출력 여부를 결정하여, 상기 경고 메시지의 출력이 결정되면 출력부를 통해 사용자의 갑상선 기능 이상과 관련된 경고 메시지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링 알고리즘은 제1 모니터링 알고리즘 또는 제2 모니터링 알고리즘이고, 상기 제1 모니터링 알고리즘은 모니터링 심박수가 기준 심박수보다 제1 임계치 이상 큰 경우 상기 경고 메시지의 출력을 결정하는 알고리즘이고, 상기 제2 모니터링 알고리즘은 상기 모니터링 심박수가 상기 기준 심박수보다 제2 임계치 이상 작은 경우 상기 경고 메시지의 출력을 결정하는 알고리즘이며, 상기 기준 심박수는 상기 사용자의 갑상선 호르몬 수치 및 상기 사용자의 심박수에 기초하여 산출되거나, 연속된 복수의 날들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상기 심박수에 기초하여 산출되며, 상기 모니터링 심박수는 휴지 구간에서의 상기 사용자의 상기 심박수에 기초하여 산출되고, 상기 휴지 구간은 상기 사용자의 운동 상태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되는, 사용자 단말이 제공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착용되는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갑상선 기능 이상을 예측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사용자의 피부 전도도를 측정하는 상기 웨어러블 장치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피부 전도도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피부 전도도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피부 전도도 데이터가 미리 정해진 기간 동안 임계 범위 이내에서 변화하는 휴지 구간을 추출하는 단계, 및 기준 피부 전도도와 모니터링 피부 전도도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의 갑상선 기능 이상을 예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휴지 구간은 상기 피부 전도도 데이터가 상기 임계 범위의 크기 이상 감소하는 감소 구간 이후에 시작하는 구간이고, 상기 기준 피부 전도도는 기준 기간 동안의 상기 휴지 구간에서의 상기 피부 전도도 데이터에 기초하여 산출되고, 상기 모니터링 피부 전도도는 모니터링 기간- 상기 모니터링 기간은 상기 사용자의 갑상선 기능이 비정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간임 -동안의 상기 휴지 구간에서의 상기 피부 전도도 데이터에 기초하여 산출되고, 상기 기준 기간 및 상기 모니터링 기간은 서로 오버랩되지 않는 갑상선 기능 이상 예측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모니터링 기간은 적어도 1일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상기 피부 전도도 측정 주기는 상기 미리 정해진 기간보다 짧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임계 범위의 크기는 2uS 이하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예측하는 단계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메시지를 상기 웨어러블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메시지는, 상기 모니터링 피부 전도도가 상기 기준 피부 전도도보다 제1 값보다 큰 경우, 제1 경고 메시지를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링 피부 전도도가 상기 기준 피부 전도도보다 제2 값보다 작은 경우, 제2 경고 메시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경고 메시지는 갑상선 기능 항진증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경고 메시지는 갑상선 기능 저하증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값과 상기 제2 값은 상이할 수 있다.
여기서, 일정 기간 동안 상기 제1 경고 메시지 또는 상기 제2 경고 메시지의 출력 횟수가 미리 정해진 횟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메시지는 전문가의 의견을 구하도록 제안하는 코멘트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모니터링 기간은 상기 사용자의 수면 구간에 기초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모니터링 기간은 상기 사용자의 복수의 REM 수면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모니터링 피부 전도도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휴지 구간에 기초하여 얻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준 피부 전도도는 상기 사용자의 갑상선 기능이 정상일 때,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휴지 구간에 기초하여 얻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메시지는 자가 진단을 위한 문진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휴지 구간 동안의 상기 피부 전도도 데이터는 미리 정해진 값 이하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감소 구간 이전의 상기 피부 전도도 데이터의 평균은 상기 감소 구간 이후의 상기 피부 전도도 데이터의 평균보다 클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감소 구간 이전의 상기 피부 전도도 데이터의 변화 빈도는 상기 감소 구간 이후의 상기 피부 전도도 데이터의 변화 빈도보다 크고, 상기 변화 빈도는 상기 피부 전도도 데이터의 미분값에 기초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감소 구간 이전의 상기 피부 전도도의 변화 빈도는 상기 감소 구간 동안의 상기 피부 전도도의 변화 빈도보다 크고, 상기 변화 빈도는 상기 피부 전도도 데이터의 미분값에 기초할 수 있다.
여기서, 착용 기간 동안의 상기 피부 전도도 데이터의 변화 빈도는 상기 휴지 구간 동안의 상기 피부 전도도 데이터의 변화 빈도보다 크고, 상기 착용 기간은 상기 사용자가 상기 웨어러블 장치를 착용한 이후 일정 기간이고, 상기 변화 빈도는 상기 피부 전도도 데이터의 미분값에 기초할 수 있다.
여기서, 착용 기간 전후의 상기 피부 전도도의 차이는 상기 휴지 구간 전후의 상기 피부 전도도의 차이보다 크고, 상기 착용 기간은 상기 사용자가 상기 웨어러블 장치를 착용한 이후 일정 기간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준 기간에 포함된 제1 시점은 상기 모니터링 기간에 포함된 제2 시점보다 앞선 시점일 수 있다.
상기 어느 한항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에 의해 독출되어 실행 가능한 코드가 저장된 기록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갑상선 기능 모니터링 시스템(100)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갑상선 기능 모니터링 시스템(100)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를 통해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감지하고, 감지한 생체 신호에 기초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의 사용자의 갑상선 기능을 예측하는 시스템이다.
<갑상선 기능 모니터링 시스템(100)>
도 1 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갑상선 기능 모니터링 시스템(100)의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갑상선 기능 모니터링 시스템(100)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 사용자 단말(2000) 및 모니터링 서버(300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고, 갑상선 기능 모니터링 시스템(100)은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를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를 가질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는,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어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일 예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는, 사용자의 심박수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는, 사용자의 심박수 정보 및 사용자의 움직임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는, 사용자의 심박수 정보 및 사용자의 온도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는, 사용자의 피부 전도도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다만, 본 명세서에 열거된 예시들에 한정되지 않고,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는, 사용자의 생체 신호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생체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는, 감지한 생체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0) 및/또는 모니터링 서버(300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는 감지한 생체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0)로 전송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2000)은 수신한 생체 정보를 모니터링 서버(300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는, 사용자의 심박수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는, 사용자의 움직임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는, 사용자의 온도를 사용자 단말(20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는, 사용자의 피부 전도도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0)로 전송할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는, 감지한 제1 생체 정보를 외부 환경에 관한 정보와 연동하여 사용자 단말(200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는 감지한 제1 생체 신호에 관한 정보를 시간 정보와 연동하여 사용자 단말(2000)로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는 사용자의 심박수 정보를 시간 정보와 매핑하여 사용자 단말(20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는 감지한 제1 생체 신호에 관한 정보를 외부 온도 정보와 연동하여 사용자 단말(2000)로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는 사용자의 피부 전도도 정보를 외부 온도 정보와 매핑하여 사용자 단말(2000)로 전송할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는, 감지한 제1 생체 정보를 상기 제1 생체 정보 다른 제2 생체 정보와 연동하여 사용자 단말(200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는 복수 종류의 생체 신호(예를 들어, 심박수 정보 및 온도 정보)가 시간에 따라 연계된 데이터 셋 형태로 사용자 단말(2000)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0)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로부터 수신된 생체 정보에 기초하여 정해진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 단말(2000)은 단말 입력부(2100)를 통해 사용자의 갑상선 상태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사용자의 갑상선 상태 정보를 모니터링 서버(30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사용자 단말(2000)은, 정해진 조건에 따라, 수신된 생체 정보를 모니터링 서버(3000)로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2000)은 생체 정보가 수신되면, 모니터링 서버(20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구체적인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2000)은 수신되는 생체 정보를 저장하고, 정해진 주기에 저장된 생체 정보를 모니터링 서버(3000)로 전송할 수 있다.
모니터링 서버(3000)는 수신된 생체 정보에 기초하여, 갑상선 기능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본 출원에 따르는 갑상선 기능 모니터링 방법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아래에서 더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모니터링 서버(3000)는 갑상선 기능 모니터링에 따른 결과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0)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0)은 모니터링 서버(3000)로부터 수신된 결과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 출력부(2200)를 통해 상기 결과 정보에 대응되는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모니터링 서버(3000)는 갑상선 기능 모니터링에 따른 결과에 기초하여 경고를 사용자 단말(2000)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0)은 모니터링 서버(3000)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단말 출력부(2200)를 통해 사용자의 갑상선 기능에 대한 경고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갑상선 기능 모니터링 시스템(100)에 대해서 개략적으로 설명하였다.
도 1에서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와 사용자 단말(2000)이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사용자 단말(2000)은 모니터링 서버(3000)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된 시스템의 개략도를 도시하였으나, 각 구성요소간의 연결 관계는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 단말(2000)과 모니터링 서버(3000)의 연결관계가 스위치되어, 모니터링 서버(30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와 직접 통신하고, 사용자 단말(2000)은 모니터링 서버(3000)를 통과한 정보를 수신하는 형태로 갑상선 기능 모니터링 시스템(100)이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모니터링 서버(3000)는 사용자 단말(2000)에 설치된 프로그램의 형태로 구현되어, 사용자 단말(2000)과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의 양자간 통신만 수행되는 모니터링 시스템(100)이 구현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는 모니터링 서버(3000)와 직접통신하고, 모니터링 서버(3000)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를 통해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형태로 구현되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와 모니터링 서버(3000)의 양자간 통신만 수행되는 모니터링 시스템(100)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도 1에는 사용자 단말(2000)의 개수가 하나인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모니터링 서버(3000)는 복수의 사용자의 각 사용자 단말(2000)과 연결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한 명의 사용자가 하나의 사용자 단말(2000)을 이용하여 갑상선 기능 모니터링 시스템(100)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한 명의 사용자가 복수의 사용자 단말(2000)을 이용하여 갑상선 기능 모니터링 시스템(100)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복수의 사용자가 하나의 사용자 단말(2000)을 이용하여 갑상선 기능 모니터링 시스템(100)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갑상선 기능 모니터링 시스템(100)의 구성요소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갑상선 기능 모니터링 시스템(100)의 구성요소>
1.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
도 2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의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는 디바이스 입력부(1100), 디바이스 출력부(1200), 디바이스 통신부(1300), 디바이스 센서부(1400), 디바이스 메모리부(1500) 및 디바이스 제어부(160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고,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는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를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를 가질 수 있다.
디바이스 입력부(1100)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획득 받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디바이스 입력부(1100)는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은 키 입력, 터치 입력 및/또는 음성 입력이거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디바이스 입력부(1100)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용자 입력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디바이스 입력부(1100)는 전통적인 형태의 키패드나 키보드, 마우스는 물론,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 센서, 음성 신호를 입력받는 마이크, 영상 인식을 통해 제스처 등을 인식하는 카메라, 사용자 접근을 감지하는 조도 센서나 적외선 센서 등으로 구성되는 근접 센서, 가속도 센서나 자이로 센서 등을 통해 사용자 동작을 인식하는 모션 센서 및/또는 그 외의 다양한 형태의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거나 입력받는 다양한 형태의 입력 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부착되는 터치 패널이나 터치 필름을 통해 터치를 감지하는 압전식 또는 정전식 터치 센서, 및/또는 광학적인 방식에 의해 터치를 감지하는 광학식 터치 센서 등을 의미할 수 있다.
또는, 디바이스 입력부(1100) 는 자체적으로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는 대신, 사용자 입력을 입력받는 외부의 입력 장치를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에 연결시키는 입력 인터페이스(USB 포트, PS/2 포트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디바이스 입력부(1100)는 사용자의 의도적인 입력을 감지하는 수단뿐만 아니라, 획득된 촬상 영역에 대한 데이터를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에 입력하는 카메라와 같은 영상 장치(Imaging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 출력부(1200)는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정보를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디바이스 출력부(1200)는 사용자로부터 획득, 외부 장치로부터 획득 및/또는 가공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정보의 출력은 시각적, 청각적 및/또는 촉각적 출력이거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디바이스 출력부(1200)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소리를 출력하는 스피커, 진동을 발생시키는 햅틱 장치 및/또는 그 외 다양한 형태의 출력 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평판 디스플레이(FPD: Flat Panel Display), 투명 디스플레이(transparent display), 곡면 디스플레이(Curved Display),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holographic display), 프로젝터 및/또는 그 외의 영상 출력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를 모두 포함하는 광의의 영상 표시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또는, 디바이스 출력부(1200)는 자체적으로 외부로 정보를 출력하는 장치 대신, 정보를 출력하는 외부의 출력 장치를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에 연결시키는 출력 인터페이스(USB 포트, PS/2 포트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디바이스 출력부(1200)는 디바이스 입력부(1100)와 일체된 형태일 수 있다. 일 예로, 디바이스 출력부(1200)가 디스플레이인 경우, 디바이스 출력부(1200)는 디바이스 입력부(1100)인 터치 센서와 일체로 구성된 터치 디스플레이의 형태일 수 있다.
디바이스 통신부(13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가 외부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 통신부(1300)는 사용자 단말(2000) 및/또는 모니터링 서버(3000)와 통신할 수 있다.
디바이스 통신부(1300)는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 통신부(1300)는 유선 방식을 통해 외부 기기와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디바이스 통신부(1300)는 무선 방식을 통해 외부 기기와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디바이스 통신부(1300)는 유선 방식을 통해 외부 기기와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모듈 및 디바이스 통신부(1300)는 무선 방식을 통해 외부 기기와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디바이스 통신부(1300)는 LAN(Local Area Network)를 통해 인터넷 등에 접속하는 유선통신 모듈, 이동 통신 기지국을 거쳐 이동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LTE(Long Term Evolution) 등의 이동 통신 모듈, 와이파이(Wi-Fi) 같은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계열의 통신 방식이나 블루투스(Bluetooth), 직비(Zigbee)와 같은WPAN(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계열의 통신 방식을 이용하는 근거리 통신 모듈, GPS(Global Positioning System)과 같은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을 이용하는 위성 통신 모듈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디바이스 센서부(14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의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획득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 센서부(1400)는 사용자의 심박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디바이스 센서부(1400)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의 획득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디바이스 센서부(1400)는 광학적 방식을 이용하여 심장 박동에 관한 정보(예, 심박수)를 획득하는 PPG 센서 모듈, 전기적 방식을 통해 심장 박동에 관한 정보(예, 심전도)를 획득하는 ECG 센서 모듈, 접촉식/비접촉식으로 온도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온도 센서 모듈,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및/또는 걸음 감지 센서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모션 센서 모듈, 피부 전도도를 이용하여 교감신경계의 활성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EDA 센서 모듈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디바이스 센서부(1400)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다양한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 센서부(14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의 외부 환경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디바이스 센서부(14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의 외부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 메모리부(15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가 동작하는 데 필요한 각종 데이터 및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디바이스 메모리부(15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가 획득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예로, 디바이스 메모리부(1500)에는 디바이스 센서부(1400)가 획득한 생체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디바이스 메모리부(1500)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를 구동하기 위한 운용 프로그램(OS: Operating System), 갑상선 기능 모니터링이 수행되기 위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에서 구동되어야 하거나 이용되는 각종 프로그램, 그리고 이들 프로그램에 의해 참조될 미디어에 관한 각종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디바이스 메모리부(1500)는 데이터를 임시적으로 또는 반영구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디바이스 메모리부(1500)의 예로는 하드디스크(HDD: 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rive), 플래쉬 메모리(1400, flash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램(RAM: Random Access Memory) 또는 클라우드 스토리지(Cloud Storage) 등이 있을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디바이스 메모리부 (1500)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다양한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디바이스 메모리부(15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에 내장되는 형태나 탈부착 가능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디바이스 제어부(16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총괄하고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디바이스 제어부(1600)는 각종 정보의 연산 및 처리를 수행하고 단말의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디바이스 제어부(1600)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에 따라 컴퓨터나 이와 유사한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으로 디바이스 제어부(1600)는 전기적인 신호를 처리하여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CPU 칩 등의 전자 회로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소프트웨어적으로는 하드웨어적인 디바이스 제어부(1600)를 구동시키는 프로그램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 제어부(1600)는 디바이스 센서부(1400)가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센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 제어부(1600)는 디바이스 메모리부(1500)가 일시적으로 센싱된 생체 신호를 저장하고, 디바이스 통신부(1300)를 통해 생체 신호에 기초한 생체 정보가 전송된 이후 저장된 생체 신호를 삭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 특별한 언급이 없는 경우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의 동작은 디바이스 제어부(1600)의 제어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는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되어 생체 정보를 획득하는 웨어러블 손목 밴드(Band)일 수 있고, 사용자의 발에 양말형태로 착용되어 생체 정보를 획득하는 웨어러블 양말일 수 있고, 사용자의 손가락에 끼워져 생체 정보를 획득하는 웨어러블 링(Ring)일 수 있고,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되어 생체 정보를 획득하는 웨어러블 패치(Patch)일 수 있고,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되어 생체 정보를 획득하는 웨어러블 헤어 밴드일 수 있고, 사용자의 귀에 귀걸이 형태로 착용되거나, 이어폰 형태로 끼워지는 웨어러블 장치일 수 있고, 사용자의 눈에 삽입되는 웨어러블 렌즈(Lens)일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 열거된 예시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2. 사용자 단말(2000)
도 3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2000)의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2000)은 단말 입력부(2100), 단말 출력부(2200), 단말 통신부(2300), 단말 메모리부(2400) 및 단말 제어부(250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3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고, 사용자 단말(2000)은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를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를 가질 수 있다.
단말 입력부(2100)는 전술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의 디바이스 입력부(1100)와 유사하게,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획득 받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단말 출력부(2200)는 전술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의 디바이스 출력부(1200)와 유사하게,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정보를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단말 통신부(2300)는 전술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의 디바이스 통신부(1300)와 유사하게, 외부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단말 메모리부(2400)는 전술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의 디바이스 메모리부(1500)와 유사하게, 사용자 단말(2000)가 동작하는데 필요한 각종 데이터 및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단말 제어부(2500)는 전술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의 디바이스 제어부(1600)와 유사하게, 사용자 단말(20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총괄하고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 제어부(2500)는 단말 입력부(210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정보를 가공하고, 가공된 정보가 단말 통신부(2300)를 통해 모니터링 서버(3000)로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단말 제어부(2500)는 단말 입력부(2100)를 통해, 갑상선 상태 정보 및/또는 약물 복용 정보를 획득하고, 모니터링 서버(3000)와의 통신 형식에 맞게 해당 정보를 가공하여 단말 통신부(2300)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 제어부(2500)는 단말 통신부(2300)를 통해 모니터링 서버(3000)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가공하여, 단말 출력부(2200)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단말 제어부(2500)는 단말 통신부(2300)를 통해 갑상선 기능 모니터링의 결과에 따른 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의 갑상선 기능을 경고하기 위해 단말 출력부(2200)를 통해 갑상선 기능 이상에 대한 판단 결과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 특별한 언급이 없는 경우에는, 사용자 단말(2000)의 동작은 단말 제어부(2500)의 제어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따라서, 단말 입력부(2100), 단말 출력부(2200), 단말 통신부(2300), 단말 메모리부(2400) 및 단말 제어부(2500)에 대한 중복되는 모듈 등에 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2000)은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 PC, 노트북(laptop),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과 같은 이동식 단말뿐만 아니라,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키오스크 등과 같은 고정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일반적으로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전자기기 및/또는 서버 등과 연결되어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는 모든 것은 본 출원의 명세서 상의 사용자 단말(2000)이 될 수 있다.
3. 모니터링 서버(3000)
도 4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서버(3000)의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모니터링 서버(3000)는 서버 통신부(3100), 서버 데이터베이스(3200) 및 서버 제어부(330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4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고, 모니터링 서버(3000)는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를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모니터링 서버(3000)의 각 구성요소는 물리적으로 하나의 서버에 포함될 수도 있고, 각각의 기능 별로 분산된 분산 서버일 수 있다.
서버 통신부(3100)는 전술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의 디바이스 통신부(1300) 와 유사하게, 외부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서버 통신부(3100)에 대한 중복되는 모듈 등에 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 통신부(3100)는 사용자 단말(2000)로부터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의 사용자의 생체 정보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 통신부(3100)는 사용자 단말(2000)을 통해 획득된 사용자의 갑상선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서버 데이터베이스(3200)는 전술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의 디바이스 메모리부(1500) 와 유사하게, 모니터링 서버(3000)가 동작하는데 필요한 각종 데이터 및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서버 데이터베이스(3200)에 대한 중복되는 모듈 등에 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 데이터베이스(3200)는 갑상선 기능 예측에 이용되는 모니터링 알고리즘, 사용자 정보 및/또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서버 제어부(3300)는 전술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의 디바이스 제어부(1600)와 유사하게, 모니터링 서버(30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총괄하고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서버 제어부(3300)에 대한 중복되는 모듈 등에 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 제어부(3300)는 서버 데이터베이스(3200)에 저장된 모니터링 알고리즘를 이용하여, 서버 통신부(3100)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의 생체 정보에 기초한 사용자의 갑상선 기능을 예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 제어부(3300)는 서버 통신부(3100)를 통해 수신된 생체 정보 및 갑상선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기준 데이터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서버 제어부(3300)는 서버 통신부(3100)를 통해 수신된 생체 정보에 기초하여 모니터링 데이터를 산출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 제어부(3300)는 서버 통신부(3100)를 통해 수신된 약물 복용 정보에 기초하여 서버 데이터베이스(3200)에 저장된 모니터링 알고리즘 중 특정 모니터링 알고리즘을 선택할 수 있다. 서버 제어부(3300)는 선택된 모니터링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갑상선 기능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 특별한 언급이 없는 경우에는, 모니터링 서버(3000)의 동작은 서버 제어부(3300)의 제어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서버(3000)는 갑상선 기능 모니터링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컴퓨터 하드웨어 또는 다른 프로그램 및/또는 전자기기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서버(3000)는 외부 단말과 서버가 연결되는 네트워크를 관리 또는 제어하고, 갑상선 기능 모니터링에 사용되는 데이터와 같은 소프트웨어 자원을 공유할 수 있다. 모니터링 서버(3000)는 물리적으로 하나인 단일 서버일 수 있고, 복수의 서버가 그 처리량이나 역할을 분산하는 분산형 서버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갑상선 기능 모니터링 시스템(100)의 동작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갑상선 기능 모니터링 시스템(100)의 동작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함에 있어, 별도의 언급이 있는 경우을 제외하고는, 갑상선 기능 모니터링 시스템(100)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 사용자 단말(2000) 및 모니터링 서버(3000)를 포함하고,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는 웨어러블 워치, 사용자 단말(2000)은 디스플레이를 가지는 스마트폰, 모니터링 서버(3000)는 단일 서버인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다만,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 실시예를 기준으로 구체적인 설명을 개시하는 것일 뿐,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의해 본 출원의 권리 범위가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야 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본 출원의 권리 범위는 청구 범위의 해석 원리에 따라 결정되어야 할 것이다.
<갑상선 기능 모니터링 시스템(100)의 동작>
1. 갑상선 기능 이상 모니터링(S100)의 동작
1.1 갑상선 기능 이상 모니터링(S100)
본 출원의 갑상선 기능 모니터링 시스템(100)은 사용자의 생체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갑상선 기능 이상을 예측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갑상선 기능 모니터링 시스템(100)은 사용자의 심박수 정보에 기초하여 갑상선 기능 이상을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갑상선 기능 이상"의 의미는, 갑상선 기능 항진증, 갑상선 기능 저하증, 갑상선 중독증 중 어느 하나의 발병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갑상선 기능 이상을 예측"하는 것은, 사용자의 생체 정보에 기초하여 갑상선 기능 이상 모니터링을 수행한 결과 정보를 획득하는 것으로, 본 명세서에서는 갑상선 기능 이상을 판단, 갑상선 기능 이상을 진단 등과 혼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도 5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갑상선 기능 모니터링 방법(S100)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생체 정보가 획득(S1100)되면, 모니터링 데이터를 산출(S1300)하여, 사용자의 갑상선 기능 이상을 판단(S1500)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술한 S1100, S1300 및 S1500 단계는 모니터링 서버(30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1.1.1 생체 정보의 획득(S1100)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를 착용한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를 통한 사용자의 생체 정보의 획득은 일정한 주기로 수행될 수 있다.
일 예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의 디바이스 센서부(1400)는 PPG 센서를 포함하고,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는 PPG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심박수 정보를 제1 주기로 획득할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의 디바이스 센서부(1400)는 모션 센서를 포함하고,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는 모션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모션 정보를 제2 주기로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제1 주기와 상기 제2 주기는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제1 주기와 상기 제2 주기는 상이할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획득하는 동시에 사용자 단말(20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는 획득된 사용자의 생체 정보 셋(Set)을 정해진 주기로 사용자 단말(20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가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획득하는 주기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전송하는 주기보다 짧을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는 한 종류 이상의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 단말(2000)로 전송되는 생체 정보는, 심박수 정보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사용자 단말(2000)로 전송되는 생체 정보는, 심박수 정보 및 모션 정보일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가 전송하는 생체 정보는 다른 정보와 연계되어 있을 수 있다. 일 예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가 전송하는 생체 정보는 시간과 연계된 심박수 정보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가 전송하는 생체 정보는, 시간과 연계된 심박수 정보 및 시간과 연계된 모션 정보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가 전송하는 생체 정보는, 시간, 심박수 정보 및 모션 정보가 연계된 형태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0)은 수신한 생체 정보를 모니터링 서버(300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 단말(2000)은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수신하는 동시에 모니터링 서버(30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사용자 단말(2000)은 수신된 복수의 사용자의 생체 정보 셋을 정해진 주기로 모니터링 서버(30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단말(2000)이 생체 정보 셋을 획득하는 주기는 생체 정보 셋을 전송하는 주기보다 짧을 수 있다.
모니터링 서버(3000)는 사용자 단말(2000)로부터 생체 정보를 획득(S1100)할 수 있다. 서버 통신부(3100)는 사용자 단말(2000)로부터 생체 정보를 획득(S1100)할 수 있다. 모니터링 서버(3000)는 적절한 형태로 변형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에서 감지한 생체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0)을 통해 수신할 수 있다.
1.1.2 모니터링 데이터의 산출(S1300)
모니터링 서버(3000)는 획득된 생체 정보에 기초하여, 모니터링 데이터를 산출(S1300)할 수 있다. 서버 제어부(3300)는 모니터링 데이터를 산출(S1300)할 수 있다.
여기서, "모니터링 데이터"는, 1회의 갑상선 기능 이상 판단(S1500) 동작에서 갑상선 기능 판단의 대상이 되는 모니터링 기간에 대한 사용자의 상태 데이터일 수 있다.
일 예로, "모니터링 데이터"는, 모니터링 기간(예, 갑상선 기능 이상 판단(S1500) 시점 이전의 연속하는 복수의 일들(days))의 사용자의 상태 데이터에 기초하여 산출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모니터링 데이터"는, 모니터링 기간 중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는 하나 이상의 구간(예, 휴지 구간)에 대한 사용자의 상태 데이터에 기초하여 산출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니터링 데이터는 모니터링 기간 중 사용자가 안정된 상태에 있을 때의 사용자의 상태 데이터에 기초하여 산출될 수 있다.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모니터링 데이터는 모니터링 기간 중 사용자가 휴지 상태에 있을 때의 사용자의 상태 데이터에 기초하여 산출될 수 있다.
도 6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데이터의 산출 방법(S1300)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모니터링 데이터 산출 방법(S1300)는 휴지 구간의 확인(S1310), 휴지 구간에 대응되는 생체 정보의 추출(S1330) 및 모니터링 데이터 산출(S135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술한 S1310, S1330 및 S1350 단계는 모니터링 서버(30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모니터링 서버(3000)는 휴지 구간을 확인(S1310)할 수 있다. 서버 제어부(3300) 는 휴지 구간을 확인(S1310)할 수 있다. 모니터링 서버(3000)는 정해진 기간(예, 모니터링 기간) 중 적어도 하나의 휴지 구간을 확인(S1310)할 수 있다. 일 예로, 모니터링 기간은 하루(24시간)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정해진 기간은 복수의 날들(days)(예를 들어, 5일)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모니터링 기간은 하루보다 짧을 수 있다.
모니터링 서버(3000)는 정해진 기간 중 기결정된 조건에 대응되는 휴지 구간을 확인(S1310)할 수 있다. 일 예로, 모니터링 서버(3000)는 모니터링 기간 중 사용자의 운동 정보에 기초하여 휴지 구간을 확인(S1310)할 수 있다.
상기 휴지 구간으로 확인되기 위한 상기 기결정된 조건은 사용자의 모션 정보와 연관되어 있을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상기 휴지 구간은 사용자의 모션 정보에 따라, 사용자의 움직임이 없는 상태로 소정의 시간(예, 5분)이 경과하였다고 판단되는 구간으로 결정될 수 있다. 다른 예로, 기결정된 조건은 사용자의 피부 전도도 정보와 연관되어 있을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휴지 구간은 사용자의 피부 전도도 정보에 따라, 사용자가 수면 중이라고 판단되는 구간으로 결정될 수 있다.
S1310 단계를 통해 확인되는 휴지 구간은 복수개일 수 있다. 상기 모니터링 기간에는 복수의 휴지 구간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휴지 구간은 서로 불 연속적일 수 있다. 일 예로, 하나의 휴지 구간과 다른 하나의 휴지 구간 사이에는, 사용자의 움직임이 감지되는 구간이 존재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모니터링 기간에는 하나의 휴지 구간, 다른 하나의 휴지 구간 및 사용자의 움직임이 감지되는 구간이 포함될 수 있다.
모니터링 서버(3000)는 휴지 구간에 대응되는 생체 정보를 추출(S1330)할 수 있다. 서버 제어부(3300)는 휴지 구간에 대응되는 생체 정보를 추출(S1330)할 수 있다. 모니터링 서버(3000)는 확인된 하나 이상의 휴지 구간에 대응되는 생체 정보를 추출(S1330)할 수 있다. 모니터링 서버(3000)는 상기 모니터링 기간에 포함되는 확인된 하나 이상의 휴지 구간에 대응되는 생체 정보를 추출(S1330)할 수 있다.
모니터링 서버(3000)는 상기 모니터링 기간에 포함되는 확인된 휴지 구간에 대응되는 심박수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또는, 모니터링 서버(3000)는 상기 모니터링 기간에 포함되는 확인된 휴지 구간에 대응되는 온도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또는, 모니터링 서버(3000)는 상기 모니터링 기간에 포함되는 확인된 휴지 구간에 대응되는 피부 전도도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니터링 서버(3000)는 상기 모니터링 기간에 포함되는 복수의 확인된 휴지 구간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심박수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모니터링 서버(3000)는 모니터링 데이터를 산출(S1350)할 수 있다. 서버 제어부(3300)는 모니터링 데이터를 산출(S1350)할 수 있다. 모니터링 서버(3000)는 추출된 생체 정보에 기초하여, 모니터링 데이터를 산출(S1350)할 수 있다.
일 예로, 모니터링 서버(3000)는 상기 모니터링 기간에 포함되는 복수의 확인된 휴지 구간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심박수 정보의 평균값을 모니터링 데이터로 산출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모니터링 서버(3000)는 상기 모니터링 기간에 포함되는 복수의 휴지 구간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심박수 정보의 중간값들의 중간값을 모니터링 데이터로 산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모니터링 서버(3000)는 상기 모니터링 기간에 포함되는 복수의 휴지 구간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심박수 정보 중 최대값 및 최소값을 제외하고, 나머지 심박수 정보들의 연산값을 모니터링 데이터로 산출할 수 있다.
1.1.3 기준 데이터의 산출(S200)
1.1.3.1 기준 데이터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서버(3000)는 기준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 데이터"의 의미는 갑상선 기능 이상의 판단 동작을 수행할 때에 모니터링 데이터와 비교되는 기준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준 데이터는 사용자의 갑상선 기능에 관한 상태 정보가 정상에 대응되는 경우의 사용자의 생체 정보에 기초하여 판단될 수 있다.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기준 데이터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가 기 결정된 조건에 대응되는 경우에, 대응되는 구간에서의 사용자의 생체 정보에 기초하여 판단될 수 있다.
1.1.3.2 기준 데이터의 산출 방법
도 7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준 데이터의 산출 방법(S200)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모니터링 서버(3000)는 갑상선 상태 정보가 수신(S2100)되면, 기준 데이터를 산출(S2300)할 수 있다.
모니터링 서버(3000)는 갑상선 상태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0)로부터 수신(S2100)할 수 있다. 서버 통신부(3100)는 단말 통신부(2300)로부터 갑상선 상태 정보를 수신(S2100)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2000)은 단말 입력부(2100)를 통해 사용자의 갑상선 상태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 때, 갑상선 상태 정보는 사용자의 혈액 검사 등을 통해 획득된 갑상선 호르몬 수치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또는, 갑상선 상태 정보는 사용자의 증상에 대한 문진을 통해 획득한 갑상선 상태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0)은 입력받은 갑상선 상태 정보를 모니터링 서버(3000)로 전송할 수 있다.
모니터링 서버(3000)는 갑상선 상태 정보가 수신(S2100)되면, 기준 데이터를 산출(S2300)할 수 있다. 서버 제어부(3300)는 갑상선 상태 정보가 수신되면 기준 데이터를 산출(S2300)할 수 있다.
도 8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준 데이터 산출 방법(S2300)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기준 데이터 산출 방법(S2300)은 기준 데이터의 산출 기간을 결정(S2310), 기준 데이터 산출 기간 중 휴지 구간을 확인(S2320), 휴지 구간에 대응되는 생체 정보의 추출(S2330) 및 기준 데이터 산출(S236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S2310, S2320, S2330 및 S2360 단계는 모니터링 서버(30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모니터링 서버(3000)는 기준 데이터 산출 기간을 결정(S2310)할 수 있다. 서버 제어부(3300)는 기준 데이터 산출 기간을 결정(S2310)할 수 있다. 서버 제어부(3300)는 서버 데이터베이스(3200)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기준 데이터 산출 기간을 결정(S2310)할 수 있다.
모니터링 서버(3000)는 수신한 갑상선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기준 데이터 산출 기간을 결정(S2310)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르면, 기준 데이터 산출 기간은 기준 기간 또는 래퍼런스 기간으로 혼용되어 표현될 수 있다.
기준 데이터 산출 기간은 갑상선 상태 정보에 따라 사용자의 갑상선 기능이 '정상'에 대응되는 시점의 기간일 수 있다.
일 예로, 입력된 갑상선 상태 정보가 정상 범위에 대응되는 경우, 갑상선 상태 정보가 입력된 시점의 전후로 소정의 기간이 기준 데이터 산출 기간으로 결정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복수개의 갑상선 상태 정보의 입력이 존재하는 경우, 정상에 대응되는 갑상선 상태 정보가 입력된 시점을 전후로 소정의 기간 들이 기준 데이터 산출 기간으로 결정 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3월 1일에 정상 갑상선 호르몬 수치에 관한 갑상선 상태 정보가 입력되고, 6월 1일에 비정상 갑상선 호르몬 수치에 관한 갑상선 상태 정보가 입력되고, 9월 1일에 정상 갑상선 호르몬 수치에 관한 갑상선 상태 정보가 입력된 경우, 3월 1일을 기준으로 소정의 기간(예를 들어, 2월 27일부터 3월 3일까지의 5일의 기간) 및 9월 1일을 기준으로 소정의 기간(예를 들어, 8월 30일부터 9월 3일까지의 5일의 기간)이 기준 데이터 산출 기간으로 결정될 수 있다.
모니터링 서버(3000)는 결정된 기준 데이터 산출 기간에 대응되는 휴지 구간을 확인(S2320)할 수 있다. 서버 제어부(3300)는 결정된 기준 데이터 산출 기간에 대응되는 휴지 구간을 확인(S2320)할 수 있다. 서버 제어부(3300)는 서버 데이터베이스(3200)에 저장된 조건에 기초하여, 결정된 기준 데이터 산출 기간에 대응되는 휴지 구간을 확인(S2320)할 수 있다.
"S2320단계에서의 휴지 구간"은 모니터링 데이터의 산출에서 휴지 구간을 확인할 때의 조건과 대응되는 조건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일 예로, S1310단계에 휴지 구간이 사용자의 움직임이 없는 상태로 소정의 시간(예, 5분)이 경과하였다고 판단되는 구간으로 결정되었다면, S2320에 휴지 구간도 사용자의 움직임이 없는 상태로 소정의 시간(예, 5분)이 경과하였다고 판단되는 구간으로 결정될 수 있다.
S2320 단계를 통해 확인되는 휴지 구간은 복수개일 수 있다. 상기 기준 데이터 산출 기간에는 복수의 휴지 구간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휴지 구간은 서로 불 연속적일 수 있다. 일 예로, 하나의 휴지 구간과 다른 하나의 휴지 구간 사이에는, 사용자의 움직임이 감지되는 구간이 존재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기준 데이터 산출 기간에는 하나의 휴지 구간, 다른 하나의 휴지 구간 및 사용자의 움직임이 감지되는 구간이 포함될 수 있다.
모니터링 서버(3000)는 휴지 구간에 대응되는 생체 정보를 추출(S2330)할 수 있다. 서버 제어부(3300)는 휴지 구간에 대응되는 생체 정보를 추출(S2330)할 수 있다. 모니터링 서버(3000)는 확인된 하나 이상의 휴지 구간에 대응되는 생체 정보를 추출(S2330)할 수 있다. 모니터링 서버(3000)는 상기 기준 데이터 산출 기간에 포함되는 확인된 하나 이상의 휴지 구간에 대응되는 생체 정보를 추출(S2330)할 수 있다.
모니터링 서버(3000)는 상기 기준 데이터 산출 기간에 포함되는 확인된 휴지 구간에 대응되는 심박수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또는, 모니터링 서버(3000)는 상기 기준 데이터 산출 기간에 포함되는 확인된 휴지 구간에 대응되는 온도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또는, 모니터링 서버(3000)는 상기 기준 데이터 산출 기간에 포함되는 확인된 휴지 구간에 대응되는 피부 전도도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니터링 서버(3000)는 상기 기준 데이터 산출 기간에 포함되는 복수의 확인된 휴지 구간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심박수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S2330 구간에서의 생체 정보"는 모니터링 데이터의 산출에서 추출되는 생체 정보와 대응될 수 있다. 일 예로, S1330단계에 생체 정보로 심박수가 추출되었다면, S2330단계에서 생체 정보로 심박수가 추출될 수 있다. 다른 예로, S1330단계에 생체 정보로 피부 전도도가 추출되었다면, S2330단계에서 생체 정보로 피부 전도도가 추출될 수 있다.
모니터링 서버(3000)는 기준 데이터를 산출(S2360)할 수 있다 서버 제어부(3300)는 기준 데이터를 산출(S2360)할 수 있다. 모니터링 서버(3000)는 추출된 생체 정보에 기초하여, 기준 데이터를 산출(S2360)할 수 있다.
일 예로, 모니터링 서버(3000)는 상기 기준 데이터 산출 기간에 포함되는 복수의 확인된 휴지 구간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심박수 정보의 평균값을 기준 데이터로 산출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모니터링 서버(3000)는 상기 기준 데이터 산출 기간에 포함되는 복수의 휴지 구간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심박수 정보의 중간값들의 중간값을 기준 데이터로 산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모니터링 서버(3000)는 상기 기준 데이터 산출 기간에 포함되는 복수의 휴지 구간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심박수 정보 중 최대값 및 최소값을 제외하고, 나머지 심박수 정보들의 연산값을 기준 데이터로 산출할 수 있다.
도 9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라, 모니터링 서버(3000)가 정상 범위를 벗어난 갑상선 상태 정보를 수신한 경우의 기준 데이터 산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모니터링 서버(3000)는, 기준 데이터 산출 기간을 결정(S2310)하고, 기준 데이터 산출 기간 중 휴지 구간을 확인(S2320)하고, 확인된 휴지 구간의 생체 정보를 추출(S2330)할 수 있다.
S2310단계에서 기준 데이터 산출 기간은, 상술한 바와 같이, 수신된 갑상선 상태 정보에 따라 사용자의 갑상선 기능이 '정상'에 대응되는 시점의 기간일 수 있다.
S2310단계에서 기준 데이터 산출 기간은, 모니터링 서버(3000)가 정상 범위의 사용자의 갑상선 상태 정보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즉, 모니터링 서버(3000)가 수신한 갑상선 상태 정보가 정상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수신된 갑상선 상태 정보에 따라 사용자의 갑상선 기능이 '비정상'에 대응되는 시점의 기간일 수 있다.
일 예로, 입력된 갑상선 상태 정보가 정상 범위에 대응되지 않는 경우, 갑상선 상태 정보가 입력된 시점의 전후로 소정의 기간이 기준 데이터 산출 기간으로 결정될 수 있다.
모니터링 서버(3000)는 결정된 기준 데이터 산출 기간에 대응되는 휴지 구간을 확인(S2320)하고, 휴지 구간에 대응되는 생체 정보를 추출(S2330)할 수 있다. 상기 S2320 및 S2330 단계에 대해서는, 위에서 이미 자세히 설명한 바 있어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모니터링 서버(3000)는 기준 기간 데이터를 산출(S2340)할 수 있다. 서버 제어부(3300)는 기준 기간 데이터를 산출(S2340)할 수 있다. 모니터링 서버(3000)는 기준 데이터 산출 기간에 포함된 휴지 구간에 대응되는 생체 정보에 기초하여, 기준 기간 데이터를 산출 할 수 있다.
일 예로, 모니터링 서버(3000)는 상기 기준 데이터 산출 기간에 포함되는 복수의 확인된 휴지 구간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심박수 정보의 평균값을 기준 시간 데이터로 산출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모니터링 서버(3000)는 상기 기준 데이터 산출 기간에 포함되는 복수의 휴지 구간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심박수 정보의 중간값들의 중간값을 기준 기간 데이터로 산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모니터링 서버(3000)는 상기 기준 데이터 산출 기간에 포함되는 복수의 휴지 구간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심박수 정보 중 최대값 및 최소값을 제외하고, 나머지 심박수 정보들의 연산값을 기준 기간 데이터로 산출할 수 있다.
이 때, S2340단계에서 산출된 기준 기간 데이터는, 사용자의 갑상선 기능이 '비정상'로 추정될 때의 생체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된 데이터일 수 있다.
모니터링 서버(3000)는 기준 데이터를 산출(S2350)할 수 있다. 서버 제어부(3300)는 기준 데이터를 산출(S2350)할 수 있다. 모니터링 서버(3000)는 수신된 갑상선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기준 데이터를 산출(S2350)할 수 있다. 모니터링 서버(3000)는 수신된 갑상선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기준 기간 데이터를 보정함으로써, 기준 데이터를 산출(S2350)할 수 있다.
일 예로, 모니터링 서버(3000)는 수신된 갑상선 상태 정보에 따른 사용자의 호르몬 수치가 정상 범위에 대응되려면 몇 ng/dL만큼 증가/감소 해야하는지 계산하여, 상기 증가/감소에 따른 생체 정보의 변화량을 추정할 수 있다. 모니터링 서버(3000)는 기준 기간 데이터에 추정된 생체 정보의 변화량을 더하거나 빼, 기준 데이터를 산출(S2350)할 수 있다.
모니터링 서버(3000)에는 상기 기준 기간 데이터의 보정에 필요한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일 예로, 모니터링 서버(3000)에는 다수의 사용자의 호르몬 수치와 휴지기 심박수 간의 관련성에 관한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모니터링 서버(3000)에는 호르몬 수치가 0.1 ng/dL만큼 증가할 때 대략적으로 몇 회의 심박수가 증가하는지에 대한 통계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지금까지, 사용자 단말(2000)로부터 갑상선 상태 정보가 수신되었을 때, 모니터링 서버(3000)가 기준 데이터를 산출하는 방법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개시하였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니터링 서버(3000)는 저장된 사용자의 갑상선 상태 정보가 없는 경우, 사용자 단말(2000)을 통해 갑상선 상태 정보를 입력받기 위해, 사용자 단말(2000)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 단말(2000)의 단말 출력부(2200)를 통해 갑상선 상태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입력 인터페이스가 출력되도록, 모니터링 서버(3000)는 필요한 신호를 사용자 단말(2000)로 전송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니터링 서버(3000)는 저장된 사용자의 갑상선 상태 정보가 없는 경우, 상기 S1300 단계에서 산출된 모니터링 데이터에 기초하여 기준 데이터를 산출할 수도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모니터링 서버(3000)는 소정의 일수동안 획득된 사용자의 심박수에 기초하여 기준 데이터를 산출할 수 있다. 모니터링 서버(3000)는 소정의 일수동안 획득된 복수의 휴지 구간의 각 사용자의 심박수에 기초하여 기준 데이터를 산출할 수 있다. 이 때, 소정의 일수는 상기 모니터링 기간에 비해 긴 기간일 수 있다.
1.1.3.3 기준 데이터의 산출 시기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준 데이터는 갑상선 상태 정보의 수신을 트리거(trigger)로 하여 산출될 수 있다.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기준 데이터는 모니터링 서버(3000)에 기 설정된 주기마다 산출될 수 있다. 본 출원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기준 데이터는 모니터링 서버(3000)에 기준 데이터 산출을 위한 신호가 외부 장치(예, 사용자 단말(2000))로부터 수신되면 산출될 수 있다.
본 출원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기준 데이터는 모니터링 데이터의 산출 시기마다 산출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모니터링 서버(3000)는 모니터링 데이터를 산출하고, 기준 데이터를 새로 산출할 수 있다. 또는, 모니터링 서버(3000)는 모니터링 데이터를 산출하기 이전에, 기준 데이터를 새로 산출하여, 두 데이터를 비교할 수 있다.
1.1.4 갑상선 기능 이상의 판단(S1500)
도 5에 이어서,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갑상선 기능 모니터링(S100)은, 생체 정보 획득(S1100), 모니터링 데이터 산출(S1300) 및 갑상선 기능 이상 판단(S1500)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다.
도 10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갑상선 기능 이상 판단(S1500)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모니터링 서버(3000)는 모니터링 데이터 산출(S1300) 이후, 기준 데이터와 모니터링 데이터를 비교(S1510)할 수 있다. 서버 제어부(3300)는 기준 데이터와 모니터링 데이터를 비교(S1510)할 수 있다.
기준 데이터와 모니터링 데이터를 비교하는 알고리즘은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다. 기준 데이터와 모니터링 데이터를 비교하는 알고리즘은 모니터링 서버(3000)의 서버 데이터베이스(3200)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일 예로, 기준 데이터와 모니터링 데이터를 비교하는 알고리즘은, 모니터링 데이터가 기준 데이터에 비해 소정의 수치 범위 이상으로 클 경우, 갑상선 기능 이상 판단(S1530)을 수행하도록 설계되어 있을 수 있다. 다른 예로, 기준 데이터와 모니터링 데이터를 비교하는 알고리즘은, 모니터링 데이터가 기준 데이터에 비해 소정의 수치 범위 이상으로 작을 경우, 갑상선 기능 이상 판단(S1530)을 수행하도록 설계되어 있을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기준 데이터와 모니터링 데이터를 비교하는 알고리즘은, 모니터링 데이터가 기준 데이터에 비해 소정의 수치 범위 이상으로 크거나, 작을 경우, 갑상선 기능 이상 판단(S1530)을 수행하도록 설계되어 있을 수 있다.
S1510단계에 따라 기준 데이터 및 모니터링 데이터를 비교하여, 기 설정된 조건에 부합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모니터링 서버(3000)는 사용자의 갑상선 기능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S1530)할 수 있다. 서버 제어부(3300)는 기준 데이터와 모니터링 데이터를 비교(S1510)하여, 기 결정된 조건에 대응되는 경우 갑상선 기능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S1530)할 수 있다.
S1530단계에 따라 사용자의 갑상선 기능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모니터링 서버(3000)는, 사용자 단말(2000)의 단말 출력부(2200)를 통해 사용자의 갑상선 이상과 관련된 경고가 출력되도록, 사용자 단말(2000)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 단말(2000)은 모니터링 서버(3000)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응답하여 단말 출력부(2200)의 사용자의 갑상선 기능 항진증에 관한 경고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사용자 단말(2000)은 모니터링 서버(3000)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응답하여 단말 출력부(2200)의 사용자의 갑상선 기능 저하증에 관한 경고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사용자 단말(2000)은 모니터링 서버(3000)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응답하여 단말 출력부(2200)의 사용자의 갑상선 중독증에 관한 경고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사용자 단말(2000)은 모니터링 서버(3000)로부터 일정 기간동안 미리 정해진 횟수를 초과하는 만큼 S1530에 대응되는 신호가 수신되면, 단말 출력부(2200)의 사용자의 갑상선 중독증에 관한 경고에 전문가의 의견을 구하도록 제안하는 코멘트가 포함되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갑상선 기능 이상에 관련된 경고는, 질병의 발병 여부에 대한 경고이거나, 질병의 발병 가능성(또는, 위험도) 에 대한 경고이거나, 병원 내원에 대한 유도 등일 수 있다.
상기 갑상선 기능 이상에 관련된 경고는, 디스플레이 패널 등을 통한 시각적 출력일 수 있고, 스피커 등을 통한 청각적 출력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1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준 데이터와 모니터링 데이터를 비교하는 알고리즘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이다.
모니터링 서버(3000)는 모니터링 데이터와 기준 데이터를 비교할 수 있다. 모니터링 서버(3000)는 모니터링 데이터가 기준 데이터에 비해 제1 임계치이상 큰지 비교(S1511)할 수 있다.
모니터링 서버(3000)는 모니터링 데이터가 기준 데이터에 비해 제1 임계치이상 큰 경우, 모니터링 서버(3000)는 사용자의 갑상선 기능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예로, 모니터링 서버(3000)는 모니터링 심박수가 기준 심박수에 비해 제1 임계치(예, 10회)이상 큰 경우, 모니터링 서버(3000)는 사용자의 갑상선 기능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모니터링 서버(3000)는 사용자의 갑상선 기능 항진증을 예측(S1531)할 수 있다. 모니터링 서버(3000)는 사용자의 갑상선 기능 항진증을 진단(S1531)할 수 있다. 모니터링 서버(3000)는 사용자의 갑상선 기능 항진증을 판단(S1531)할 수 있다.
S1531단계에 따라 사용자의 갑상선 기능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모니터링 서버(3000)는, 사용자 단말(2000)의 단말 출력부(2200)를 통해 사용자의 갑상선 이상과 관련된 경고가 출력되도록, 사용자 단말(2000)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모니터링 데이터가 기준 데이터에 비해 제1 임계치이상 크지 않은 경우, 모니터링 서버(3000)는 모니터링 데이터가 기준 데이터에 비해 제2 임계치이상 작은지 비교(S1513)할 수 있다.
모니터링 서버(3000)는 모니터링 데이터가 기준 데이터에 비해 제2 임계치이상 작은 경우, 모니터링 서버(3000)는 사용자의 갑상선 기능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예로, 모니터링 서버(3000)는 모니터링 심박수가 기준 심박수에 비해 제2 임계치(예, 8회)이상 작은 경우, 모니터링 서버(3000)는 사용자의 갑상선 기능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모니터링 서버(3000)는 사용자의 갑상선 기능 저하증을 예측(S1531)할 수 있다. 모니터링 서버(3000)는 사용자의 갑상선 기능 저하증을 진단(S1531)할 수 있다. 모니터링 서버(3000)는 사용자의 갑상선 기능 저하증을 판단(S1531)할 수 있다.
S1533단계에 따라 사용자의 갑상선 기능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모니터링 서버(3000)는, 사용자 단말(2000)의 단말 출력부(2200)를 통해 사용자의 갑상선 이상과 관련된 경고가 출력되도록, 사용자 단말(2000)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1.1.5 갑상선 기능 이상 모니터링(S100)의 시기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갑상선 기능 이상 모니터링 방법(S100)은 생체 정보 획득(S1100), 모니터링 데이터 산출(S1300) 및 갑상선 기능 이상 판단(S1500)을 포함할 수 있다.
생체 정보의 획득(S1100)은 제1 주기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생체 정보의 획득(S1100) 주기는 사용자 단말(2000)의 데이터 전송 주기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생체 정보의 획득(S1100) 주기는 사용자 단말(2000)의 생체 정보 전송 주기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생체 정보의 획득(S1100)은 정해진 주기(즉, 직전의 제1 주기)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모니터링 서버(3000)가 사용자 단말(2000)로부터 생체 정보를 획득(S1100)하는 주기(즉, 직전의 제1 주기)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가 생체 신호를 획득하는 주기와는 상이할 수 있다. 모니터링 서버(3000)가 사용자 단말(2000)로부터 생체 정보를 획득(S1100)하는 주기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가 생체 신호를 획득하는 주기보다는 길거나 같을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위에서 이미 서술한 바 있어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모니터링 데이터 산출(S1300)은 제2 주기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모니터링 데이터의 산출(S1300)은 생체 정보의 획득(S1100)을 트리거(trigger)로 하여 수행될 수 있다. 모니터링 데이터의 산출(S1300)은 모니터링 서버(3000)에 기 설정된 주기(즉, 직전의 제2 주기)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또는, 외부 장치(예, 사용자 단말(2000))로부터 S1300단계를 수행을 위한 신호가 수신되면, 모니터링 데이터의 산출(S1300)은 수행될 수 있다.
모니터링 서버(3000)가 모니터링 데이터를 산출(S1300)하는 주기(즉, 직전의 제2 주기)는, 모니터링 서버(3000)가 생체 정보를 획득(S1100)하는 주기(즉, 직전의 제1 주기)와 상이할 수 있다. 모니터링 서버(3000)가 모니터링 데이터를 산출(S1300)하는 주기(즉, 직전의 제2 주기)는, 모니터링 서버(3000)가 생체 정보를 획득(S1100)하는 주기(즉, 직전의 제1 주기)보다 길거나 같을 수 있다.
갑상선 기능 이상 판단(S1500)은 제3 주기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갑상선 기능 이상 판단(S1500)은 모니터링 데이터의 산출(S1300)을 트리거(trigger)로 하여 수행될 수 있다. 갑상선 기능 이상 판단(S1500)은 모니터링 서버(3000)에 기 설정된 주기(즉, 직전의 제3 주기)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모니터링 서버(3000)가 갑상선 기능 이상을 판단(S1500)하는 주기(즉, 직전의 제3 주기)는, 모니터링 서버(3000)가 모니터링 데이터를 산출(S1300)하는 주기(즉, 직전의 제2 주기)와 상이할 수 있다. 모니터링 서버(3000)가 갑상선 기능 이상을 판단(S1500)하는 주기(즉, 직전의 제3 주기)는, 모니터링 서버(3000)가 모니터링 데이터를 산출(S1300)하는 주기(즉, 직전의 제2 주기)보다 길거나 같을 수 있다.
도 12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갑상선 기능 이상 모니터링 방법(S100)의 동작 수행 타이밍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준 데이터는 갑상선 상태 정보의 수신을 트리거(trigger)로 하여 산출될 수 있다. 생체 정보는 제1 주기에 따라 획득될 수 있다. 모니터링 데이터는 제2 주기에 따라 산출될 수 있다. 갑상선 기능 이상 판단은 모니터링 데이터의 산출에 대한 응답으로 수행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모니터링 서버(3000)에 갑상선 상태 정보가 수신(S2100)되면, 기준 데이터 산출 기간(RP)에 대한 기준 데이터가 산출(S2300)될 수 있다.
기준 데이터는, 기준 데이터 산출 기간(RP)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휴지 구간의 생체 정보에 기초하여 산출될 수 있다. 기준 데이터는, 기준 데이터 산출 기간(RP)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휴지 구간의 심박수에 기초하여 산출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기준 데이터의 산출 방법에 따라 산출되며, 산출 시 이용되는 생체 정보가 심박수를 포함하는 경우의 기준 데이터는 기준 심박수로 개시될 수 있다.
일 예로, 기준 심박수는, 상기 사용자의 갑상선 호르몬 수치가 정상 범위인 날을 포함하는 기간 동안의 휴지 구간을 추출하여, 상기 휴지 구간의 심박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다른 예로, 기준 심박수는, 상기 사용자의 갑상선 호르몬 수치가 정상 범위를 벗어난 날을 포함하는 기간 동안의 휴지 구간을 추출하여, 상기 휴지 구간의 심박수에 기초하여 결정된 기준 기간 데이터에 대한 추정 데이터로 결정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기준 심박수는, 상기 사용자의 갑상선 호르몬 수치가 없는 경우, 연속된 복수의 날들에 대한 사용자의 심박수에 기초하여 산출될 수 있다.
기준 데이터 산출 기간(RP)은 갑상선 상태 정보의 수신(S2100) 이전의 구간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기준 데이터의 산출 기간(RP)은 갑상선 상태 정보의 수신(S2100)일을 기준으로, 이전 2일과 이후 2일을 포함한 총 5일로 결정될 수 있다.
모니터링 서버(3000)에는 제1 주기에 따라 생체 정보가 획득(S1100)될 수 있다. 생체 정보가 획득(S1100)되는 기간은 기준 데이터 산출 기간(RP)과 중첩되는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생체 정보가 획득(S1100)은 모니터링 데이터의 산출(S1300) 시기와 중첩될 수 있다.
제1 주기에 따라 획득된 생체 정보는 모니터링 서버(3000)에 저장될 수 있다. 제1 주기에 따라 획득된 생체 정보는 소정의 기간동안 모니터링 서버(3000)에 저장될 수 있다.
모니터링 서버(3000)는 제2 주기에 따라 모니터링 데이터를 산출(S1300)할 수 있다. 모니터링 서버(3000)는 제2 주기마다 모니터링 기간(MP)에 대한 모니터링 데이터를 산출(S1300)할 수 있다.
모니터링 데이터는, 모니터링 기간(MP)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휴지 구간의 생체 정보에 기초하여 산출될 수 있다. 모니터링 데이터는, 모니터링 기간(MP)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휴지 구간의 심박수에 기초하여 산출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모니터링 데이터의 산출 방법에 따라 산출되며, 산출 시 이용되는 생체 정보가 심박수를 포함하는 경우의 모니터링 데이터는 모니터링 심박수로 개시될 수 있다.
일 예로, 모니터링 심박수는, 모니터링 기간의 휴지 구간을 추출하여, 상기 휴지 구간의 심박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휴지 구간은 사용자의 운동 상태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될 수 있다. 휴지 구간은 사용자의 걸음수가 0인 상태로 소정의 시간 이상 지속된 구간에 기초하여 선택될 수 있다. 휴지 구간은, 사용자의 가속도가 0인 상태로 소정의 시간 이상 지속된 구간에 기초하여 선택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모니터링 심박수는, 모니터링 기간의 수면 구간을 추출하여, 상기 수면 구간의 심박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수면 구간은 사용자의 운동 상태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될 수 있다. 또는, 수면 구간은 디바이스 센싱부(1400)를 통해 호흡에 관한 정보, 소음에 관한 정보, 심박수와 다른 생체 정보 등에 기초하여 선택될 수 있다.
모니터링 서버(3000)는 제1 시점에 제1 모니터링 기간(MP)에 대한 제1 모니터링 데이터를 산출할 수 있다. 모니터링 서버(3000)는 제1 시점으로부터 제2 주기에 상응하는 기간이 도과한 제2 시점에 제2 모니터링 기간(MP)에 대한 제2 모니터링 데이터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제1 모니터링 기간(MP)와 상기 제2 모니터링 기간(MP)은 중첩되는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모니터링 기간(MP)과 상기 제2 모니터링 기간(MP)은 동일한 길이의 기간일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제1 모니터링 기간(MP)이 5일 이면, 상기 제2 모니터링 기간(MP)도 5일일 수 있다.
필수적이지는 않지만, 기준 데이터 산출 기간(RP)과 모니터링 기간(MP)은 동일한 길이의 기간일 수 있다. 다시 말해, 기준 데이터 산출 기간(RP)이 5일 이면, 모니터링 기간(MP)도 5일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니터링 서버(3000)가 모니터링 데이터를 산출(S1300)하는 주기는, 모니터링 서버(3000)가 생체 정보를 획득(S1100)하는 주기보다 길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모니터링 서버(3000)는 생체 정보를 3시간간격으로 획득할 수 있고, 모니터링 데이터를 1일간격으로 산출할 수 있다.
모니터링 데이터를 산출(S1300)하는 시점은 모니터링 데이터의 모니터링 기간(MP)의 종료 시점과 인접할 수 있다. 모니터링 데이터를 산출(S1300)하는 시점은 모니터링 데이터의 모니터링 기간(MP)의 종료 시점과 동일할 수 있다. 모니터링 데이터를 산출(S1300)하는 시점은 모니터링 데이터의 모니터링 기간(MP)의 종료 시점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모니터링 서버(3000)는 제3 주기에 따라 갑상선 기능 이상 판단(S1500)을 수행할 수 있다. 모니터링 서버(3000)는 모니터링 데이터가 산출(S1300)되면, 갑상선 기능 이상 판단(S1500)을 수행할 수 있다.
모니터링 서버(3000)는 모니터링 데이터가 산출(S1300)되면, 기준 데이터와 모니터링 데이터를 비교(S1510)할 수 있다. 모니터링 서버(3000)는 기준 데이터와 모니터링 데이터를 비교(S1510)하여 소정의 조건을 만족할 때, 갑상선 기능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S1530)하고 경고를 출력하기 위한 적절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S1510단계를 수행하는 횟수는 S1530을 수행하는 횟수보다 많거나 같을 수 있다.
모니터링 서버(3000)가 기준 데이터를 산출(S200)하는 주기는, 모니터링 데이터를 산출(S1300)하는 주기에 비해 길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준 데이터는, 모니터링 데이터의 산출(S1300) 이전에 모니터링 서버(3000)의 서버 데이터베이스(3200)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모니터링 서버(3000)는 모니터링 데이터의 산출(S1300) 및 갑상선 기능 이상 판단(S1500) 시점에 저장된 기준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새로운 이벤트가 발생되어 기준 데이터가 업데이트 될 때까지, 서버 데이터베이스(3200)에 저장된 기준 데이터 값은 유지될 수 있다. 갑상선 상태 정보가 수신되면, 모니터링 서버(3000)는 기준 데이터를 산출(S200)하고, 새로운 기준 데이터를 서버 데이터베이스(3200)에 저장할 수 있다.
기준 데이터가 산출(S200)되고 나면, 해당 기준 데이터를 활용한 갑상선 기능 이상 판단(S1500)이 복수회 수행될 수 있다. 기준 데이터가 산출(S200)되고 다른 이벤트가 발생될 때까지, 복수 회의 갑상선 기능 이상 모니터링(S100)이 수행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준 데이터의 산출(S2300) 시점과 갑상선 기능 이상 판단(S1500)시점은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기준 데이터 산출 기간(RP)과 모니터링 기간(MP)은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갑상선 상태 정보의 수신(S2100)에 따른 응답으로 산출된 제1 기준 데이터 산출 기간(RP)에 대한 제1 기준 데이터가 산출(S2300)될 수 있다. 새로운 갑상선 상태 정보의 수신(S2100)에 따른 응답으로 산출된 제2 기준 데이터 산출 기간(RP)에 대한 제2 기준 데이터가 산출(S2300)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기준 데이터 산출 기간(RP)과 상기 제2 기준 데이터 산출 기간(RP)은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 기준 데이터 산출 기간(RP)은 상기 제2 기준 데이터 산출 기간(RP)에 포함될 수 있다.
2. 갑상선 기능 이상 모니터링 시스템(100)의 유저 인터페이스
도 13 및 14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갑상선 기능 이상 모니터링 시스템(100)에서의 유저 인터페이스(4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2000)은 갑상선 기능 이상 모니터링(S100)에 따른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2000)은 갑상선 기능 이상 판단(S1500)에 따른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2000)은 갑상선 기능 이상 판단(S1530)에 따른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0)의 단말 출력부(2200)는 모니터링 서버(3000)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2000)은 갑상선 정보 인터페이스(4100), 심박수 정보 인터페이스(4200) 및 호르몬 정보 인터페이스(4300)를 포함하는 유저 인터페이스(400)를 출력할 수 있다.
갑상선 정보 인터페이스(4100)는 갑상선 기능 이상 판단(S1500)에 기초한 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 일 예로, 갑상선 정보 인터페이스(4100)는 갑상선 기능 이상 위험도에 대한 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갑상선 정보 인터페이스(4100)는 갑상선 기능 항진증 위험도가 74%로, 고위험이라는 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 갑상선 정보 인터페이스(4100)에는 병원 방문을 유도하기 위한 정보가 더 출력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갑상선 정보 인터페이스(4100)는 갑상선 기능 항진증 위험도가 높으니, 주치의와 상담하라는 메시지가 출력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갑상선 정보 인터페이스(4100)는 자가 진단을 위한 문진표가 출력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경고'는 갑상선 기능 이상 판단(S1500)에 기초한 사용자에의 정보 제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경고 메시지'는 갑상선 기능 이상 판단(S1500)에 기초한 사용자에의 정보 제공이, 시각적, 청각적, 촉각적, 후각적, 및/또는 미각적 방식으로 수행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심박수 정보 인터페이스(4200)는 모니터링 데이터의 산출(S1300)에 기초한 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 일 예로, 심박수 정보 인터페이스(4200)는 모니터링 심박수 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심박수 정보 인터페이스(4200)는 모니터링 심박수 정보가 시간에 따른 변화 양상이 표현되도록 출력될 수 있다.
심박수 정보 인터페이스(4200)에는 기준 데이터의 산출(S200)에 기초한 정보가 함께 출력될 수 있다. 일 예로, 심박수 정보 인터페이스(4200)에는 기준 심박수 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심박수 정보 인터페이스(4200)에는 기준 심박수 정보, 기준 심박수보다 제1 임계치만큼 큰 갑상선 이상 판단의 기준이 될 제1 임계 심박수 정보, 기준 심박수보다 제2 임계치만큼 작은 갑상선 이상 판단의 기준이 될 제2 임계 심박수 정보가 함께 출력될 수 있다.
심박수 정보 인터페이스(4200)는 모니터링 심박수 정보와 함께 다른 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심박수 정보 인터페이스(4200)는 모니터링 심박수 정보 및 사용자의 혈액 검사에 따른 호르몬 수치가 시간에 따른 변화 양상이 표현되도록 출력될 수 있다.
호르몬 정보 인터페이스(4300)는 단말 입력부(210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혈액 검사에 따른 호르몬 수치가 출력될 수 있다. 일 예로, 호르몬 정보 인터페이스(4300)에는 가장 최근에 입력된 사용자의 혈액 검사에 따른 호르몬 수치가 출력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호르몬 정보 인터페이스(4300)에는 가장 최근에 입력된 사용자의 혈액 검사에 따른 freeT4 및 TSH 호르몬 수치가 출력될 수 있다.
호르몬 정보 인터페이스(4300)에는 사용자의 혈액 검사 일자가 함께 출력될 수 있다. 호르몬 정보 인터페이스(4300)에는 가장 최근의 사용자의 혈액 검사 일자를 기준으로 도과한 일자가 함께 출력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2000)은 검사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4400)를 포함하는 유저 인터페이스(400)를 출력할 수 있다.
검사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4400)에는 사용자의 혈액 검사 결과를 입력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가 출력될 수 있다. 일 예로, 검사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4400)에는 사용자의 혈액 검사 결과가 호르몬 별로 입력될 수 있도록, 구분된 인터페이스가 출력될 수 있다.
검사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4400)는 사진 입력 인터페이스(44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진 입력 인터페이스(4420)가 클릭되면, 사용자 단말(2000)은 사용자의 검사 결과지를 이미지로 촬영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의 검사 결과지가 촬영되면, 사용자 단말(2000)은 광학적 문자 판독(optical character reader, OCR)을 수행하여 사용자의 호르몬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유저 인터페이스(400)는 사용자의 증상 정보를 입력 받기위한 자가 문진 입력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자가 문진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불면증, 두통, 손떨림, 집중력 저하 등의 증상 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3. 갑상선 기능 이상 모니터링 시스템(100)의 변형 실시예
본 출원의 일 실시에에 따르면, 갑상선 기능 이상 모니터링 시스템(100)은 생체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갑상선 기능 이상을 예측할 수 있다. 갑상선 기능 이상 모니터링 시스템(100)은 사용자의 심박수 정보를 모니터링 하여, 사용자의 갑상선 기능 이상을 예측할 수 있다.
갑상선 기능 이상 모니터링 시스템(100)에 의해 사용자의 갑상선 기능 이상이 예측되는 경우, 더 정확한 갑상선 기능을 판단하기 위해서는, 유사 증상(즉, 유사 생체 신호)가 발현되는 타 질병과 구별할 필요성이 있다. 예를 들어, 갑상선 기능 이상 모니터링 시스템(100)이 사용자의 심박수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갑상선 기능을 예측하는 경우, 평소에 비해 심박수가 크게 증가하는 심방세동과 구별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 갑상선 기능 이상 모니터링 시스템(100)은 심박수와 다른 제2 인자를 더 고려하여, 갑상선 기능 이상을 예측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보다 정확한 사용자의 갑상선 기능 이상 예측을 위한, 갑상선 기능 이상 모니터링 시스템(100)의 변형 실시예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개시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갑상선 기능 이상 모니터링 방법에 따르면, 기존에 갑상선 기능 항진증이나 저하증을 앓은 적이 없거나, 유전적 요인이 적은 사용자에 대해서도 보다 정확한 갑상선 기능 이상 모니터링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5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갑상선 기능 이상 모니터링(S300)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출원에 따른 갑상선 기능 이상 모니터링 방법(S300)은 제1 인자에 따른 갑상선 기능 모니터링(S3100), 제2 인자에 따른 갑상선 기능 모니터링(S3200) 및 갑상선 기능 이상 판단(S330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S3100, S3200 및 S3300단계는 모니터링 서버(30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제1 인자에 따른 갑상선 기능 모니터링(S3100)은 전술한 갑상선 기능 이상 모니터링(S100) 방식과 유사하게 수행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인자에 따른 갑상선 기능 모니터링(S3100)은 심박수 정보를 획득(S1100)하고, 모니터링 심박수를 산출(S1300)하여, 기준 심박수와의 비교를 통해 갑상선 기능 이상을 판단(S1500)하는 전술한 갑상선 기능 이상 모니터링(S100) 방식과 유사하게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인자에 따른 갑상선 기능 모니터링(S3100)에 대한 중복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2 인자에 따른 갑상선 기능 모니터링(S3200)은 디바이스 센서부(1400)를 통해 획득된 PPG 데이터를 분석하는 형태로 수행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획득된 PPG 데이터는 제1 인자에 따른 갑상선 기능 모니터링(S3100)에서 이용되는 심박수를 추출하기 위해 획득된 데이터일 수 있다.
도 16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를 통해 획득되는 PPG 데이터 및 모니터링 서버(3000)를 통해 수행되는 PPG 테이터의 분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모니터링 서버(30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의 디바이스 센서부(1400)를 통해 획득된 PPG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서버 통신부(3100)는 상기 획득된 PPG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2000) 및/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는 획득된 PPG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2000)로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2000)은 수신된 PPG 데이터를 모니터링 서버(3000)로 전송할 수 있다. 모니터링 서버(3000)는 사용자 단말(2000)을 통해 디바이스 센서부(1400)를 통해 획득된 PPG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모니터링 서버(3000)는 PPG 데이터에 기초하여 피크 간격(PI)을 확인할 수 있다. 모니터링 서버(3000)는 PPG 데이터 중 PPG 피크가 확인된 지점과 다음 PPG 피크가 확인된 지점 간의 시간 간격인 피크 간격(PI)을 확인할 수 있다. 모니터링 서버(3000)는 PPG 데이터에 기초하여 피크 간격(PI)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갑상선 기능 이상의 경우, 심박수가 오랜 시간 동안 꾸준히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양상을 보이지만, 심방 세동의 경우 '심방근의 많은 부분이 동시에 불규칙적으로 통제없이 수축하는 상태'로 불규칙한 심박동이 반복되는 양상을 보이기 때문에, PPG 데이터의 피크 간격(PI)을 구분하는 것으로 갑상선 기능 이상 판단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니터링 서버(3000)는 S3200 단계에서 PPG 데이터의 피크 간격(PI)을 확인하고, 피크 간격(PI)이 시간에 따라 크게 변화하는 경우에는, 갑상선 기능 이상의 위험도 보다는 심방세동의 위험도가 더 높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예로, S3100단계에서 갑상선 기능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모니터링 서버(3000)는 S3200 단계에서 PPG 데이터의 피크 간격(PI)을 확인하고, 피크 간격(PI)이 시간에 따라 크게 변화하는 경우에는, 심방세동의 위험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S3300)할 수 있다. S3200 및 S3300단계는 서버 제어부(33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모니터링 서버(3000)는 S3200 단계에서 PPG 데이터의 피크 간격(PI)을 확인하고, 피크 간격(PI)이 거의 일정하게 유지되는 경우에는, 심방세동의 위험도보다는 갑상선 기능 이상의 위험도가 더 높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예로, S3100단계에서 갑상선 기능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모니터링 서버(3000)는 S3200 단계에서 PPG 데이터의 피크 간격(PI)을 확인하고, 피크 간격(PI)이 시간의 변화와 무관하게 거의 일정하게 유지되는 경우에는, 갑상선 기능 이상의 위험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S3300)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갑상선 기능 이상 모니터링(S300)을 수행하는 경우, 별도의 하드웨어의 추가 없이도 갑상선 기능 이상을 보다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는 이점이 도출될 수 있다.
도 15에 이어서, 제2 인자에 따른 갑상선 기능 모니터링(S3200)은 디바이스 센서부 (1400)를 통해 획득되는 심박수 정보 이외의 다른 생체 정보를 함께 분석하는 형태로 수행될 수 있다. 일 예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는 사용자의 온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디바이스 센서부(1400)는 사용자의 온도를 센싱하고, 디바이스 통신부(1300)는 온도 정보를 모니터링 서버(3000)로 전송할 수 있다.
모니터링 서버(3000)는 기준 온도 및 모니터링 온도를 산출할 수 있다. 기준 온도는, 상술한 S2300단계에서 기준 데이터가 획득되는 방법과 유사하게 획득될 수 있다. 모니터링 온도는, 상술한 S1300단계에서 모니터링 데이터가 획득되는 방법과 유사하게 획득될 수 있다.
모니터링 서버(3000)는 기준 온도와 모니터링 온도를 비교하여, 갑상선 기능 모니터링(S3200)을 수행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서버(3000)는 사용자의 심박수 정보 및 온도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갑상선 기능 이상을 판단할 수 있다. 모니터링 서버(3000)는 심박수 정보에 따른 사용자의 갑상선 기능 모니터링과, 온도 정보에 따른 사용자의 기능 모니터링을 병렬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모니터링 기간에 대한 모니터링 심박수 및 모니터링 온도 정보를 산출하여, 모니터링 심박수와 기준 심박수를 비교하고, 모니터링 온도와 기준 온도를 비교하여, 두 결과값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갑상선 기능 이상 판단(S3300)을 수행할 수 있다.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모니터링 서버(3000)는 심박수 정보에 따른 사용자의 갑상선 기능 모니터링과, 온도 정보에 따른 사용자의 기능 모니터링을 순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모니터링 심박수와 기준 심박수를 비교하여 갑상선 기능 이상이 판단(S3100)된 경우, 모니터링 온도와 기준 온도를 비교하여, 두 결과값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갑상선 기능 이상 판단(S3200)을 수행하여, 최종적인 사용자의 갑상선 기능 이상 판단(S3300)을 수행할 수 있다. 만약, 모니터링 심박수와 기준 심박수를 비교하여 갑상선 기능 이상이 없는 것으로 판단(S3100)된 경우, 모니터링 온도와 기준 온도를 비교하는 갑상선 기능 모니터링(S3200)은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위의 기준 심박수가 산출될 때의 기준 기간과 기준 온도가 산출될 때의 기준 기간은 중첩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위의 기준 심박수가 산출될 때의 기준 기간과 기준 온도가 산출될 때의 기준 기간은 동일할 수 있다. 위의 모니터링 심박수가 산출될 때의 모니터링 기간과 모니터링 온도가 산출될 때의 모니터링 기간은 중첩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위의 모니터링 심박수가 산출될 때의 모니터링 기간이 모니터링 온도가 산출될 때의 모니터링 기간에 비해 길 수 있다.
도 15에 이어서, 제2 인자에 따른 갑상선 기능 모니터링(S3200)은 디바이스 센서부(1400)를 통한 추가적인 생체 정보를 요청하는 형태로 수행될 수 있다. 일 예로, 모니터링 서버(3000)는 S3100에 따른 결과가 갑상선 이상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추가적인 ECG 파형 데이터의 전송을 요청하여, 해당 데이터를 분석 제2 인자에 따른 갑상선 기능 모니터링(S3200)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7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인자에 따른 갑상선 기능 모니터링(S3200)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이다.
제1 인자에 따른 갑상선 기능 모니터링(S3100)을 통해, 사용자의 갑상선 기능 이상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모니터링 서버(3000)는 추가 데이터의 입력을 요청(S3210)할 수 있다. 모니터링 서버(3000)는 추가 데이터를 입력받기 위해 사용자 단말(2000)에 추가 데이터의 요청을 전송(S3210)할 수 있다. S3210단계는 서버 통신부(3100)를 통해 서버 제어부(3300)가 수행하는 동작일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 단말(2000)은 모니터링 서버(3000)의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로 추가 데이터를 요청할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는 사용자 단말(2000)의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디바이스 출력부(1200)를 통해 추가 데이터를 입력해 달라는 알림을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사용자 단말(2000)은 단말 출력부(2200)를 통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를 통해 추가 데이터를 입력해 달라는 알림을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다.
추가 데이터가 ECG 데이터인 경우, 사용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에 형성된 적어도 두 전극의 각각에 양손이 접속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도 18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를 이용한 ECG 데이터의 획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이다.
ECG데이터의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를 통한 획득을 위해, 왼손 또는 오른손이 제1 전극(ET1)에 접촉하고, 나머지 손이 제2 전극(ET2)에 접촉하여, 양 전극을 기준으로 신체적인 전기적 폐루프를 형성이 요구될 수 있다.
도 18에 도시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에서는 제1 전극(ET1)은 팔목과 접촉하는 디스플레이의 후면에 형성되고, 제2 전극(ET2)은 디스플레이 등의 조절을 위한 스크롤에 형성되는 것으로 나타내었다.
이 때, 왼손 팔목에 제1 전극(ET1)이 형성되는 형태로 왼손이 제1 전극(ET1)에 접촉되고, 오른손가락이 제2 전극(ET2)에 접촉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를 통한 ECG센싱이 수행될 수 있다.
도 17에 이어서, 모니터링 서버(3000)에 의해 추가 데이터의 입력 요청(S3210)으로, 사용자가 오른쪽 손가락을 제2 전극(ET2)에 접촉시키도록 유발될 수 있다. 사용자의 특정 동작의 수행으로 인해, 추가 데이터가 입력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는 획득된 추가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2000)을 통해 모니터링 서버(3000)로 전송할 수 있다.
모니터링 서버(3000)는 입력된 추가 데이터의 파형을 분석(S3230)할 수 있다. 추가 데이터의 파형을 분석하는 일 예로, P파의 구별 가부를 확인할 수 있다.
도 19(a) 및 (b)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ECG 데이터의 파형 분석(S3230)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사용자가 심방세동 증세를 보이는 경우, 사용자는 PQRS파 중 P파가 정확히 구별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9(a)를 참조하면, 정상인으로 구별되는 사람의 ECG데이터에는 PQRS파가 모두 명확히 나타나지만, 도 19(b)를 참조하면, 심방세동으로 구별되는 사람의 ECG 데이터에는 최대 피크값 이외의 다른 값들이 정확히 구별되지 않으며, 특히 P파가 구별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7에 이어서, 모니터링 서버(3000)는 입력된 추가 데이터의 파형을 분석(S3230)하여 사용자의 P파가 크게 구분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갑상선 기능 이상의 위험도 보다는 심방세동의 위험이 더 많은 것으로 판단(S3300)할 수 있다.
모니터링 서버(3000)는 입력된 추가 데이터의 파형을 분석(S3230)하여 사용자의 P파가 잘 구분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심방세동의 위험보다는 갑상선 기능 이상의 위험이 더 많은 것으로 판단(S3300)할 수 있다.
4. 약물 복용을 고려한 갑상선 기능 이상 모니터링(S400)
갑상선 기능 이상 환자들의 경우, 대다수가 약물 복용을 통한 치료 요법을 수행하고 있다. 다만, 약물을 복용하고 있는 환자들에 대해서도 갑상선 기능 이상을 모니터링해주는 것이 필요하다.
환자들의 경우, 자신이 복용하는 약물 용량의 적절성과 자신의 신체에 현재 부작용이 발생하고 있지는 않은가에 대한 우려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은 약물을 복용하고 있는 환자들에게 제공될 수 있는 갑상선 기능 이상 모니터링 방법에 대해서 개시하기로 한다.
약물을 복용하고 있는 환자들에게 갑상선 기능 이상 모니터링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다음의 사항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일 예로, 모니터링이 이미 '항진증'에 걸려서 약을 먹고 있는 상황이면, 이미 항진증에 걸려 약을 먹고 있으므로 항진증을 계속적으로 경고하는 것은 불필요하며, 계속적인 경고는 환자에게 지나친 위기의식을 조장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모니터링이 이미 '항진증'에 걸려서 약을 먹고 있는 상황인데, 저하증 위험이 있는 양상을 보인다면 이는 약물의 양이 환자에게 과도한 것으로 최대한 빠른 시일 이내에 사용자에게 경고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약물을 복용하고 있는 환자들에게 갑상선 기능 이상 모니터링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복용 약물에 기초한 적절한 갑상선 기능 이상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것이 중요하며,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물 복용을 고려한 갑상선 기능 모니터링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4.1 약물 복용 정보의 수신(S4100)
도 20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물 복용을 고려한 갑상선 기능 모니터링 방법(S40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약물 복용을 고려한 갑상선 기능 모니터링 방법(S400)은 약물 복용 정보의 수신(S4100), 모니터링 알고리즘 선택(S4300) 및 갑상선 기능 모니터링(S450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S4100, S4300 및 S4500 단계는 모니터링 서버(30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모니터링 서버(3000)는 사용자 단말(2000)로부터 약물 복용 정보를 수신 (S4100)할 수 있다. 서버 통신부(3100)는 사용자 단말(2000)로부터 약물 복용 정보를 수신 (S4100)할 수 있다. 상기 약물 복용 정보는, 단말 입력부(2100)를 통해 획득된 정보일 수 있다. 상기 약물 복용 정보는, 단말 입력부(2100)를 통해 사용자의 처방 정보가 획득되면, 처방 정보에 기초하여 모니터링 서버(3000)로 전송되는 정보일 수 있다. 상기 약물 복용 정보는, 처방 정보를 관리하는 별도의 서버로부터 획득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의 사용자의 처방 정보에 기초하여 모니터링 서버(3000)로 전송되는 정보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0)은 사용자의 갑상선 기능에 관련된 약물의 처방 일자, 약물 이름, 약물 유형, 약물 용량, 또는 약물 복용 주기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정보는 사용자의 물리적인 입력(예, 터치 입력)을 통해 단말 입력부(2100)를 통해 수신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정보는 처방전 등에 대한 이미지 촬영을 통해 단말 입력부(2100)를 통해 수신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0)은 사용자의 갑상선 기능에 관련된 약물의 처방 일자, 약물 이름, 약물 유형, 약물 용량, 또는 약물 복용 주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약물 복용 정보를 모니터링 서버(3000)로 전송할 수 있다.
4.2 모니터링 알고리즘의 선택(S4300)
모니터링 서버(3000)에 약물 복용 정보가 수신되면, 모니터링 서버(3000)는 모니터링 알고리즘을 선택(S4300)할 수 있다. 서버 제어부(3300)는 약물 복용 정보가 수신되면, 모니터링 알고리즘을 선택(S4300)할 수 있다.
도 21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알고리즘의 선택(S4300)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이다.
모니터링 서버(3000)는 약물 복용 정보가 수신되면, 사용자의 갑상선 기능 이상을 판단(S4500)하는데 이용될 모니터링 알고리즘을 선택(S4300)할 수 있다.
모니터링 서버(3000)는 사용자가 복용하는 약물 중 '항갑상선제'로 분류되는 약물이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S4311)할 수 있다. 모니터링 서버(3000)는 사용자가 복용하는 약물 중 '항갑상선제'로 분류되는 약물이 포함되어 있으면, 제1-1 모니터링 알고리즘에 따라 S4500단계가 수행되도록 제1-1 모니터링 알고리즘을 선택(S4331)할 수 있다.
모니터링 서버(3000)는 사용자가 복용하는 약물 중 '항갑상선제'로 분류되는 약물이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사용자가 복용하는 약물 중 '갑상선 호르몬제'로 분류되는 약물이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S4313)할 수 있다. 모니터링 서버(3000)는 사용자가 복용하는 약물 중 '갑상선 호르몬제'로 분류되는 약물이 포함되어 있으면, 제1-2 모니터링 알고리즘에 따라 S4500단계가 수행되도록 제1-2 모니터링 알고리즘을 선택(S4333)할 수 있다.
모니터링 서버(3000)는 사용자가 복용하는 약물 중 '갑상선 호르몬제'로 분류되는 약물도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제2 모니터링 알고리즘에 따라 S4500단계가 수행되도록 제2 모니터링 알고리즘을 선택(S4335)할 수 있다.
모니터링 서버(3000)는 상기 S4311 및 S4313단계는 수행되는 순서가 서로 변경되거나,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약물 복용 정보에 기초하여 '항갑상선제' 및 '갑상선 호르몬제'를 모두 복용하는 것으로 판단될 경우, 모니터링 서버(3000)는 제1-1 모니터링 알고리즘에 따라 S4500단계가 수행되도록 제1-1 모니터링 알고리즘을 선택(S4331)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니터링 서버(3000)가 약물 복용 정보에 기초하여 '항갑상선제' 및/또는 '갑상선 호르몬제'에 해당하는 약물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서버 데이터베이스(3200)에 약물의 이름과 약물의 유형이 매핑된 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모니터링 서버(3000)는 저장된 약물 이름 및 약물 유형의 정보를 참고하여, 약물 복용 정보에 '항갑상선제' 및/또는 '갑상선 호르몬제'에 해당하는 약물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모니터링 서버(3000)는 약물 복용 정보으로부터 약물 유형을 확인하고, 약물의 유형이 '항갑상선제' 및/또는 '갑상선 호르몬제'에 대응되는지를 확인하여, 약물 복용 정보에 '항갑상선제' 및/또는 '갑상선 호르몬제'에 해당하는 약물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니터링 서버(3000)는 약물 복용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진단 정보를 더 획득할 수 있다. 일 예로, 모니터링 서버(3000)는 상기 약물 복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를 갑상선기능항진증 치료 그룹 또는 갑상선기능저하증 치료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
상기 S4311 단계에서, 약물 복용 정보에 '항갑상선제'에 대응되는 약물이 포함된 것으로 판단되면, 모니터링 서버(3000)는 사용자의 사용자가 갑상선기능항진증 치료 그룹에 포함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가 갑상선기능항진증 치료 그룹에 포함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모니터링 서버(3000)는 제1-1 모니터링 알고리즘에 따라 S4500단계가 수행되도록 제1-1 모니터링 알고리즘을 선택(S4331)할 수 있다.
상기 S4313 단계에서, 약물 복용 정보에 '갑상선 호르몬제'에 대응되는 약물이 포함된 것으로 판단되면, 모니터링 서버(3000)는 사용자의 사용자가 갑상선기능저하증 치료 그룹에 포함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가 갑상선기능저하증 치료 그룹에 포함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모니터링 서버(3000)는 제1-2 모니터링 알고리즘에 따라 S4500단계가 수행되도록 제1-2 모니터링 알고리즘을 선택(S4333)할 수 있다
약물 복용 정보에 '갑상선 호르몬제' 및 '항갑상선제'에 대응되는 약물이 없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모니터링 서버(3000)는 제2 모니터링 알고리즘에 따라 S4500단계가 수행되도록 제2 모니터링 알고리즘을 선택(S4335)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모니터링 서버(3000)는 사용자의 과거 병력을 확인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0)로 요청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모니터링 서버(3000)는 사용자의 과거 병력을 확인하기 위해 서버 데이터베이스(3200)에 저장되어 있는 기존의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4.3 갑상선 기능 이상의 모니터링(S4500)
도 20에 이어서, 모니터링 서버(3000)는 선택된 모니터링 알고리즘에 따라 갑상선 기능 모니터링(S4500)을 수행할 수 있다. 서버 제어부(3300)는 선택된 모니터링 알고리즘에 따라 갑상선 기능 모니터링(S4500)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2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1 모니터링 알고리즘의 선택(S4331)에 따른 갑상선 기능 모니터링(S4500)방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2을 참조하면, 모니터링 데이터와 기준 데이터를 비교하여 갑상선 기능 모니터링(S4500)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모니터링 데이터는 모니터링 심박수, 기준 데이터는 기준 심박수인 것으로 가정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모니터링 서버(3000)는 모니터링 데이터와 기준 데이터를 비교할 수 있다. 모니터링 서버(3000)는 모니터링 데이터가 기준 데이터에 비해 제1 임계치이상 큰지 비교(S4511)할 수 있다.
모니터링 서버(3000)는 모니터링 데이터가 기준 데이터에 비해 제1 임계치이상 큰 경우, 모니터링 서버(3000)는 사용자의 갑상선 기능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예로, 모니터링 서버(3000)는 모니터링 심박수가 기준 심박수에 비해 제1 임계치(예, 10회)이상 큰 경우, 모니터링 서버(3000)는 사용자의 갑상선 기능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모니터링 서버(3000)는 사용자의 갑상선 기능 항진증을 예측할 수 있다.
다만, 제1-1 모니터링 알고리즘이 선택된 경우, 사용자는 이미 갑상선 기능 항진증의 진단을 받아 갑상선 기능 항진증 치료를 위한 약물을 복용하고 있으므로, 갑상선 기능 항진증이 의심되니 병원을 방문해 보라는 취지의 경고를 지속적으로 출력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따라서, 모니터링 서버(3000)는 제1-1 모니터링 알고리즘이 선택되었는데 모니터링 데이터가 기준 데이터에 비해 제1 임계치이상 큰 경우, 약물의 처방 일자를 기준으로 유예기간이 도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S4531)하고, 유예기간이 도과한 경우 갑상선 기능 항진증에 관련된 경고를 출력하도록 유도(S4533)할 수 있다. 일 예로, 유예기간은 약물의 처방일자로부터 3달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유예기간은 약물의 처방일자로부터 1달일 수 있다. 유예 기간은, 약물 복용 정보를 수신한 모니터링 서버(3000)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S4533단계에 따라 사용자의 갑상선 기능 항진증이 지속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모니터링 서버(3000)는, 사용자 단말(2000)의 단말 출력부(2200)를 통해 사용자의 갑상선 이상과 관련된 경고가 출력되도록, 사용자 단말(2000)로 신호를 전송(S4533)할 수 있다. 일 예로, 단말 출력부(2200)를 통해 '약물의 복용량을 증가시킬 필요가 있으니 병원을 방문하라' 또는 '병원에 가서 의사와 상의하라'는 취지의 경고가 출력되도록, 모니터링 서버(3000)는 사용자 단말(2000)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모니터링 데이터가 기준 데이터에 비해 제1 임계치이상 크지 않은 경우, 모니터링 서버(3000)는 모니터링 데이터가 기준 데이터에 비해 제2 임계치이상 작은지 비교(S4513)할 수 있다.
모니터링 서버(3000)는 모니터링 데이터가 기준 데이터에 비해 제2 임계치이상 작은 경우, 모니터링 서버(3000)는 사용자의 갑상선 기능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예로, 모니터링 서버(3000)는 모니터링 심박수가 기준 심박수에 비해 제2 임계치(예, 8회)이상 작은 경우, 모니터링 서버(3000)는 사용자의 갑상선 기능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모니터링 서버(3000)는 사용자의 갑상선 기능 저하증을 예측할 수 있다.
모니터링 서버(3000)는 모니터링 데이터가 기준 데이터에 비해 제2 임계치이상 작은 경우, 갑상선 기능 저하증에 관련된 경고를 출력하도록 유도(S4535)할 수 있다.
S4535단계에 따라 사용자의 갑상선 기능 저하증이 발병한 것으로 판단되면, 모니터링 서버(3000)는, 사용자 단말(2000)의 단말 출력부(2200)를 통해 사용자의 갑상선 이상과 관련된 경고가 출력되도록, 사용자 단말(2000)로 신호를 전송(S4535)할 수 있다. 일 예로, 단말 출력부(2200)를 통해 '약물의 복용량이 과도한 것으로 판단되니 병원을 방문하라' 또는 '병원에 가서 의사와 상의하라'는 취지의 경고가 출력되도록, 모니터링 서버(3000)는 사용자 단말(2000)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도 23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2 모니터링 알고리즘의 선택(S4333)에 따른 갑상선 기능 모니터링(S4500)방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23의 단계는 서버 제어부(33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23을 참조하면, 모니터링 데이터와 기준 데이터를 비교하여 갑상선 기능 모니터링(S4500)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모니터링 데이터는 모니터링 심박수, 기준 데이터는 기준 심박수인 것으로 가정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모니터링 서버(3000)는 모니터링 데이터와 기준 데이터를 비교할 수 있다. 모니터링 서버(3000)는 모니터링 데이터가 기준 데이터에 비해 제1 임계치이상 큰지 비교(S4511)할 수 있다.
모니터링 서버(3000)는 모니터링 데이터가 기준 데이터에 비해 제1 임계치이상 큰 경우, 모니터링 서버(3000)는 사용자의 갑상선 기능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예로, 모니터링 서버(3000)는 모니터링 심박수가 기준 심박수에 비해 제1 임계치(예, 10회)이상 큰 경우, 모니터링 서버(3000)는 사용자의 갑상선 기능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모니터링 서버(3000)는 사용자의 갑상선 기능 항진증을 예측할 수 있다.
모니터링 서버(3000)는 모니터링 데이터가 기준 데이터에 비해 제1 임계치이상 큰 경우, 모니터링 서버(3000)는 사용자의 갑상선 기능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모니터링 서버(3000)는 사용자의 갑상선 기능 항진증을 예측할 수 있다.
모니터링 서버(3000)는 모니터링 데이터가 기준 데이터에 비해 제1 임계치이상 큰 경우, 갑상선 기능 항진증에 관련된 경고를 출력하도록 유도(S4532)할 수 있다.
S4515단계에 따라 사용자의 갑상선 기능 항진증이 발병한 것으로 판단되면, 모니터링 서버(3000)는, 사용자 단말(2000)의 단말 출력부(2200)를 통해 사용자의 갑상선 이상과 관련된 경고가 출력되도록, 사용자 단말(2000)로 신호를 전송(S4532)할 수 있다. 일 예로, 단말 출력부(2200)를 통해 '약물의 복용량이 과도한 것으로 판단되니 병원을 방문하라' 또는 '병원에 가서 의사와 상의하라'는 취지의 경고가 출력되도록, 모니터링 서버(3000)는 사용자 단말(2000)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모니터링 데이터가 기준 데이터에 비해 제1 임계치이상 크지 않은 경우, 모니터링 서버(3000)는 모니터링 데이터가 기준 데이터에 비해 제2 임계치이상 작은지 비교(S4513)할 수 있다.
모니터링 서버(3000)는 제1-2 모니터링 알고리즘이 선택되었는데 모니터링 데이터가 기준 데이터에 비해 제2 임계치이상 작은 경우, 약물의 처방 일자를 기준으로 유예기간이 도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S4534)하고, 유예기간이 도과한 경우 갑상선 기능 항진증에 관련된 경고를 출력하도록 유도(S4536)할 수 있다. 일 예로, 유예기간은 약물의 처방일자로부터 3달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유예기간은 약물의 처방일자로부터 1달일 수 있다. 유예 기간은, 약물 복용 정보를 수신한 모니터링 서버(3000)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S4534단계에 따라 사용자의 갑상선 기능 저하증이 지속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모니터링 서버(3000)는, 사용자 단말(2000)의 단말 출력부(2200)를 통해 사용자의 갑상선 이상과 관련된 경고가 출력되도록, 사용자 단말(2000)로 신호를 전송(S4536)할 수 있다. 일 예로, 단말 출력부(2200)를 통해 '약물의 복용량을 증가시킬 필요가 있으니 병원을 방문하라' 또는 '병원에 가서 의사와 상의하라'는 취지의 경고가 출력되도록, 모니터링 서버(3000)는 사용자 단말(2000)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모니터링 알고리즘이 선택(S4335)된 경우, 모니터링 서버(3000)에 약물 복용 정보가 입력되기 이전과 동일하게 모니터링이 수행될 수 있다.
일 예로, 모니터링 제2 모니터링 알고리즘이 선택(S4335)된 경우, 서버(3000)는 상기 모니터링 심박수가 상기 기준 심박수보다 제1 임계치 이상 큰 경우 상기 경고 메시지의 출력하고, 상기 모니터링 심박수가 상기 기준 심박수보다 제2 임계치 이상 작은 경우 상기 경고 메시지의 출력할 수 있다. 제2 모니터링 알고리즘이 선택(S4335)된 경우, 상술한 도 11에서와 유사하게 갑상선 기능 모니터링이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지금까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물 복용을 고려한 갑상선 기능 이상 모니터링(S400)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다만, 상술한 약물 복용을 고려한 갑상선 기능 이상 모니터링(S400)은 갑상선 기능 저하증 및 갑상선 기능 항진증에 대한 위험도 판단을 모두 수행하는 경우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갑상선 기능 저하증만을 모니터링하거나 갑상선 기능 항진증만을 모니터링 하도록 갑상선 기능 이상 모니터링이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이해를 위해 서술된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라 본 권리 범위가 한정해석 되어서는 안되며, 본 출원의 청구범위의 해석에 따라 본 출원의 권리범위가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24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갑상선 기능 이상 모니터링 방법(S400)의 동작 수행 타이밍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약물 복용 정보의 수신(S4100)을 트리거로 하여 모니터링 알고리즘이 선택(S4300)될 수 있다. 모니터링 서버(3000)는 약물 복용 정보가 수신(S4100)되면, 모니터링 알고리즘을 선택(S4300)할 수 있다.
모니터링 서버(3000)가 모니터링 알고리즘을 선택(S4300)하는 횟수는 모니터링 서버(3000)가 약물 복용 정보를 수신(S4100)하는 횟수와 대응될 수 있다. 또는, 모니터링 서버(3000)가 모니터링 알고리즘을 선택(S4300)하는 횟수는 모니터링 서버(3000)가 약물 복용 정보를 수신(S4100)하는 횟수보다 많거나 같을 수 있다.
모니터링 서버(3000)가 모니터링 알고리즘을 선택(S4300)한 이후, 모니터링 서버(3000)는 모니터링 알고리즘에 따른 갑상선 기능 모니터링(S4500)을 수행할 수 있다. 모니터링 서버(3000)가 모니터링 알고리즘을 선택(S4300)한 이후 새로운 이벤트가 발생할 때까지, 모니터링 서버(3000)는 모니터링 알고리즘에 따른 갑상선 기능 모니터링(S4500)을 모니터링 주기에 따라 수행할 수 있다.
모니터링 서버(3000)가 갑상선 기능 모니터링을 수행(S4500)하는 횟수는 모니터링 서버(3000)가 약물 복용 정보를 수신(S4100)하는 횟수보다 많을 수 있다. 모니터링 서버(3000)가 갑상선 기능 모니터링을 수행(S4500)하는 횟수는 모니터링 서버(3000)가 모니터링 알고리즘을 선택(S4300)하는 횟수보다 많을 수 있다.
일 예로, 환자가 병원에 방문한 이후 처방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0)에 입력하면, 사용자 단말(2000)은 입력된 정보를 모니터링 서버(3000)로 전송할 수 있다. 모니터링 서버(3000)에 약물 복용 정보(예, 처방 정보에 포함된 몇몇 정보를 포함)가 수신(S4100)되면, 모니터링 서버(3000)는 모니터링 알고리즘을 선택(S4300)할 수 있다. 모니터링 알고리즘이 선택(S4300)되고 나면, 모니터링 서버(3000)는 갑상선 기능 모니터링(S4500)을 모니터링 주기에 따라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모니터링 서버(3000)는 모니터링 알고리즘이 선택(S4300)되고 난 후, 매일 1회씩 갑상선 기능 모니터링(S4500)을 수행할 수 있다.
갑상선 기능 모니터링을 수행(S4300)할 때에, 모니터링 서버(3000)에는 기준 데이터(예, 기준 심박수)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모니터링 서버(3000)에 저장된 기준 데이터는 사용자의 갑상선 상태 정보의 수신(S2100)에 대한 응답으로 산출된 것일 수 있다. 모니터링 서버(3000)의 기준 데이터 산출 주기와 모니터링 서버(3000)의 모니터링 알고리즘 선택 주기는 서로 독립적일 수 있다. 모니터링 서버(3000)의 기준 데이터 산출 기간와 모니터링 서버(3000)의 모니터링 알고리즘 선택 시점은 중첩되는 구간을 가질 수 있다.
5 약제 복용 관리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니터링 서버(3000)는 수신된 약물 복용 정보에 기초하여, 약물 복용 알림 제공할 수 있다. 모니터링 서버(3000)는 약물 복용 정보에 포함된 약물 복용 주기에 기초하여, 약물 복용 알림을 출력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모니터링 서버(3000)는 사용자에게 약물의 복용 알림을 제공해주기 위해, 사용자 단말(2000)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일예로, 사용자 단말(2000)은 모니터링 서버(3000)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약물을 복용할 시점임을 알려줄 수 있다.
도 25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물 복용 추천을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2000)에서의 유저 인터페이스(4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5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2000)은 약물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4600) 및 약물 복용 알림 인터페이스(4700)를 포함하는 유저 인터페이스(400)를 출력할 수 있다.
약물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4600)는 사용자로부터 처방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사용자가 약물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4600)를 선택하면, 사용자 단말(2000)에는 약물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구체적인 인터페이스가 더 출력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 단말(2000)에는 갑상선 기능에 관련된 약물의 처방 일자, 약물 이름, 약물 유형, 약물 용량, 또는 약물 복용 주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약물 복용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인터페이스가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사용자 단말(2000)에는 사용자의 처방전 사진을 촬영하기 위한 인터페이스가 제공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사용자 단말(2000)에는 별도의 서버로부터 사용자의 처방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서, 사용자 인증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인터페이스가 제공될 수 있다.
약물 복용 알림 인터페이스(4700)에는 약물의 복용 후 복용 하였음을 체크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가 포함될 수 있다. 약물 복용 알림 인터페이스(4700)에는 약물의 복용 시점을 나타내고, 사용자가 약물의 복용 시점에 약물을 복용하도록 유도하기 위한 인터페이스가 포함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 단말(2000)은 사용자가 약물 복용 시점에 맞춰 약물을 복용할 수 있도록 알림을 제공하는 인터페이스가 제공될 수 있다. 해당 인터페이스는, 사용자 단말(2000)에 갑상선 기능 모니터링을 위한 프로그램이 출력되고 있을 때 확인가능한 화면일 수 있다. 해당 인터페이스는, 사용자 단말(2000)에 다른 프로그램이 구동되고 있을 때 팝업 형태로 제공되는 화면일 수 있다.
일 예로, 모니터링 서버(3000)는 갑상선 기능 이상 모니터링(S4500)보다 잦은 횟수만큼 약물 복용 추천을 출력할 수 있다. 일 예로, 갑상선 기능 이상 모니터링(S4500)이 1일 1회 주기로 수행된다면, 약물 복용 추천을 1일 3회 주기로 수행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모니터링 서버(3000)는 갑상선 기능 이상 모니터링(S4500) 횟수와 동일한 횟수만큼 약물 복용 추천을 출력할 수 있다. 일 예로, 갑상선 기능 이상 모니터링(S4500)이 1일 1회 주기로 수행된다면, 약물 복용 추천을 1일 1회 주기로 수행될 수 있다.
지금까지, 갑상선 기능 모니터링 시스템(100)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 사용자 단말(2000) 및 모니터링 서버(3000)를 포함하는 경우, 몇몇 실시예에 따른 갑상선 기능 이상 모니터링 방법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개시한 바 있다.
다만, 갑상선 기능 모니터링 시스템(100)은 당업자에게 용이한 범주에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술한 갑상선 기능 이상 모니터링 방법은 해당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에 의해 독출되어 실행 가능한 코드가 저장된 기록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술한 갑상선 기능 이상 모니터링 방법은 해당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 사용자 단말(2000) 및/또는 모니터링 서버(3000)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술한 갑상선 기능 이상 모니터링 방법은 해당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 사용자 단말(2000) 및/또는 모니터링 서버(300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갑상선 기능 모니터링 시스템(100)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갑상선 기능 모니터링 시스템(100)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와 모니터링 서버(3000)만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단말(2000)을 통해 출력될 정보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0)을 통해 입력된 정보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를 통해 입력될 수 있다. 모니터링 서버(3000)에서 판단된 사용자의 갑상선 기능 이상에 관한 정보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는 갑상선 상태 정보, 약물 복용 정보 등 사용자로부터 특정 정보를 입력 받는 입력 인터페이스로써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예로, 갑상선 기능 모니터링 시스템(100)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와 사용자 단말(2000)만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단말(2000)은 단말 메모리부(2400)에 저장된 프로그램의 구동에 따라, 상술한 모니터링 서버(3000)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갑상선 기능 모니터링 시스템(100)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모니터링 서버(3000), 모니터링 서버(3000)와 통신하는 사용자 단말(2000)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 때,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는 획득된 생체 정보를 모니터링 서버(3000)로 전송하고, 모니터링 서버(3000)는 획득된 생체 정보를 이용하여 갑상선 기능 모니터링을 수행하며, 모니터링 서버(3000)는 사용자 단말에의 심박수 정보 출력을 위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로부터 수신된 생체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0)로 전송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외에도, 갑상선 기능 모니터링 시스템(100)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전도도를 이용한 갑상선 기능 이상 판단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6 피부 전도도를 이용한 갑상선 기능 이상 모니터링 방법
도 2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전도도 측정 센서의 블록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피부 전도도 측정 센서는 EDA(Electrodermal Activity) 센서로도 표현될 수 있다.
도 26을 참조하면, EDA 센서(5000)는 EDA 측정부(5100), EDA 산출부(5200), EDA 출력부(5300), EDA 저장부(5400), EDA 통신부(5500) 및 EDA 제어부(560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26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고, EDA 센서(5000)는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를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를 가질 수 있다.
EDA 센서(5000)는 전자장치에 포함될 수 있다. EDA 센서(50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EDA 센서(5000)는 스마트 워치, 스마트 링, 탈착가능한 패치 등에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EDA 센서(50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를 착용하고 있는 사용자의 피부 전도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때, EDA 센서(5000)에 포함된 EDA 측정부(5100)는 상기 사용자의 피부 전도도를 측정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EDA 센서(50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에 일체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예로, 상술한 EDA 센서(5000)는 디바이스 센서부(1400)에 포함된 일 센서일 수 있고, 이 때, EDA 센서(5000)는 디바이스 제어부(1600)의 제어를 받을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디바이스 제어부(1600)는 EDA 측정부(5100)를 통해 피부 전도도가 측정되도록 제어하여, 측정된 피부 전도도가 디바이스 통신부(1300)을 통해 사용자 단말(2000)로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EDA 측정부(5100)는 전극을 통해 사용자의 피부 전도도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EDA 측정부(5100)는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할 수 있는 복수의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EDA 측정부(5100)는 각각 (+)극과 (-)극 역할을 하는 2개의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피부 각질층의 두께에 따라 전극 사이의 간격이 다르게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극 사이의 간격은 피부 각질층의 두께보다 크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때, 피부 각질층이 얇은 사용자는 피부 각질층이 두꺼운 사용자보다 전극 사이의 간격이 작은 EDA 센서(5000)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를 사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EDA 측정부(5100)는 2개의 전극을 통해 사용자의 피부에 일정값 미만의 전류를 흘러주어 사용자의 피부 전도도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EDA 측정부(5100)는 전극을 통해 사용자의 피부에 DC 전류 또는 AC 전류를 흘러 사용자의 피부 전도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때, DC 전류를 흘러줄 경우, 그때의 측정 정확도가 AC 전류를 흘려줄 경우의 측정 정확도보다 향상될 수 있으나, 모근 파괴의 가능성이 존재할 수 있다.
반대로, AC 전류를 흘러줄 경우, 그때의 측정 정확도는 DC 전류를 흘려줄 경우의 측정 정확도보다 저하될 수 있으나, 모근 파괴의 가능성이 낮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EDA 측정부(5100)는 가상의 접지(virtual ground), 전류 소스(current source) 및 저역 통과 필터(low-pass filter)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EDA 측정부(5100)는 증폭기(amplifier)를 더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때, 저역 통과 필터 또는 증폭기는 EDA 측정부(5100)에 포함될 수도 있고, EDA 산출부(5200)에 포함될 수도 있다.
EDA 측정부(5100)는 전극과 연결된 전류 소스를 통해 사용자의 피부 전도도를 센싱한 결과값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EDA 측정부(5100)는 저역 통과 필터를 통해 피부 전도도 데이터에 대한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EDA 측정부(5100)는 측정된 결과값을 EDA 산출부(5200), EDA 통신부(5300) 또는 EDA 저장부(54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EDA 센서(5000)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와 물리적으로 동일한 장치가 아닐 경우, EDA 측정부(5100)는 EDA 통신부(5500)를 통해 디바이스 입력부(1100)로 측정된 결과값(예, 피부 전도도 데이터)을 전송할 수 있다.
EDA 산출부(5200)는 EDA 측정부(5100)의 결과값을 수신할 수 있다. EDA 산출부(5200)는 EDA 측정부(5100)의 결과값을 가공할 수도 있다. EDA 산출부(5200)는 EDA 측정부(5100)의 결과값에 기초하여 피부 전도도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다른 예로, EDA 산출부(5200)는 상기 결과값을 가공하지 않고 그대로 피부 전도도 데이터로 얻을 수도 있다. 이때, EDA 측정부(5100)와 EDA 산출부(5200)는 구분되지 않고 하나의 유닛 또는 모듈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EDA 산출부(5200)는 필터를 이용해 EDA 측정부(5100)의 결과값을 필터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EDA 산출부(5200)는 슈미트 트리거(schmitt trigger) 필터 또는 재귀식 이동 필터를 이용하여 EDA 측정부(5100)의 결과값을 필터링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필터를 사용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EDA 산출부(5200)는 EDA 측정부(5100)의 결과값을 가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EDA 산출부(5200)는 EDA 측정부(5100)의 결과값을 옴의 법칙을 통해 다른 값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EDA 측정부(5100)의 결과값이 저항이라면, EDA 산출부(5200)는 옴의 법칙을 통해 상기 결과값을 전압 또는 전류로 변환시킬 수 있다. 전압을 전류 또는 저항으로 바꾸는 예와, 전류를 저항 또는 전압으로 바꾸는 예도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EDA 산출부(5200)는 EDA 측정부(5100)의 결과값을 토닉 EDA(Tonic EDA) 및 페이직(Phasic EDA)로 분리할 수 있다. 토닉 EDA 및 페이직 EDA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또한 예를 들어, EDA 산출부(5200)는 EDA 측정부(5100)의 결과값을 SCL(skin conductance(SC) level)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이때, SCL은 상기 결과값의 로그값일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EDA 산출부(5200)는 EDA 측정부(5100)의 결과값을 이용하여 SCFr(skin conductance fluctuation rate), SCRr(skin conductance response rate), SCRh(skin conductance response habitation), SCRm(skin conductance response magnitude), SCRol(skin conductance response onset latency), SCRpl(skin conductance response peak latency), SCRd(skin conductance response duration), SCRpr(skin conductance response peak rate), SCRrr(skin conductance response recovery rate) 등의 파라미터를 추출할 수 있다. 열거된 파라미터들에 대해서는 도 29에 대한 설명을 통해 더 자세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인바, 여기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예를 들어, EDA 산출부(5200)는 EDA 측정부(5100)의 결과값에 대한 평균값, 중앙값, 표준편차 등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EDA 산출부(5200)는 상기 SCL, SCFr, SCRr, SCRh, SCRm, SCRol, SCRpl, SCRd, SCRpr, SCRrr에 대한 평균값, 중앙값, 표준편차 등을 산출할 수 있다.
EDA 산출부(5200)는 산출 결과인 피부 전도도 데이터를 EDA 출력부(5300), EDA 저장부(5400) 및 EDA 통신부(55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EDA 센서(5000)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와 물리적으로 동일한 장치가 아닐 경우, EDA 산출부(5200)는 EDA 통신부(5500)를 통해 디바이스 입력부(1100)로 산출 결과를 전송할 수 있다.
EDA 출력부(5300)는 EDA 산출부(5200)의 산출 결과인 피부 전도도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EDA 출력부(5300)는 상기 피부 전도도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EDA 출력부(5300)는 시각적, 청각적 및/또는 촉각적 출력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EDA 출력부(5300)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소리를 출력하는 스피커, 진동을 발생시키는 햅틱 장치 및/또는 그 외 다양한 형태의 출력 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다.
EDA 출력부(5300)는 자체적으로 외부로 정보를 출력하는 장치 대신, 정보를 출력하는 외부의 출력장치를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에 연결시키는 출력 인터페이스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EDA 출력부(53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의 디바이스 출력부(1200)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EDA 출력부(5300)는 EDA 통신부(5500)를 통해 디바이스와 통신하여, 디바이스 출력부(12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디바이스 출력부(1200)는 EDA 출력부(5300)의 결과값을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의 디스플레이, 스피커, 햅틱 장치 또는 그 외 다양한 형태의 출력 수단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EDA 출력부(5300)는 전술한 디바이스 출력부(1200)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EDA 출력부(53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의 디바이스 출력부(1200)와 동일한 컴포넌트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EDA 저장부(5400)는 EDA 산출부(5200)의 산출 결과인 피부 전도도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EDA 저장부(5400)는 상기 피부 전도도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EDA 저장부(5400)는 EDA 센서(5000)가 동작하는 데 필요한 각종 데이터 및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EDA 저장부(5400)는 EDA 센서(5000)가 획득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EDA 저장부(5400)는 데이터를 임시적으로 또는 반영구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EDA 저장부(5400)의 예로는 하드디스크(HDD), SSD, 플래쉬 메모리, 롬, 램 또는 클라우드 스토리지 등이 있을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EDA 저장부(5400)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다양한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EDA 저장부(5400)는 EDA 센서(5000)에 내장되는 형태나 탈부착 가능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EDA 저장부(5400)는 전술한 디바이스 메모리부(1500)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EDA 저장부(5400)는, 디바이스 통신부(1300)을 통해 피부 전도도 데이터가 전송될 때까지, 피부 전도도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EDA 저장부(54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의 디바이스 메모리부(1500)와 동일한 컴포넌트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EDA 센서(5000)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와 물리적으로 동일한 장치가 아닐 경우, EDA 저장부(5100)는 EDA 통신부(5500)를 통해 디바이스 메모리부(1500)로 저장된 값을 전송할 수 있다.
EDA 통신부(5500)는 EDA 센서(5000)가 외부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EDA 통신부(5500)는 EDA 센서(5000)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
EDA 통신부(5500)는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EDA 통신부(5500)는 유선 방식을 통해 외부 기기와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EDA 통신부(5500)는 무선 방식을 통해 외부 기기와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EDA 통신부(5500)는 유선 방식을 통해 외부 기기와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모듈 및 무선 방식을 통해 외부 기기와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EDA 통신부(5500)는 LAN을 통해 인터넷 등에 접속하는 유선 통신 모듈, 이동 통신 기지국을 거쳐 이동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LTE 등의 이동 통신 모듈, 와이파이 같은 WLAN 계열의 통신 방식이나 블루투스, 직비와 같은 WPAN 계열의 통신 방식을 이용하는 근거리 통신 모듈, GPS와 같은 GNSS를 이용하는 위성 통신 모듈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EDA 통신부(5500)는 전술한 디바이스 통신부(1300)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EDA 통신부(5500)는, 사용자 단말(2000) 및/또는 모니터링 서버(3000)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EDA 통신부(55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의 디바이스 통신부(1300)와 동일한 컴포넌트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EDA 제어부(5600)는 EDA 센서(50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총괄하고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EDA 제어부(5600)는 각종 정보의 연산 및 처리를 수행하고 단말의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EDA 제어부(5600)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에 따라 컴퓨터나 이와 유사한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으로 EDA 제어부(5600)는 전기적인 신호를 처리하여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CPU 칩 등의 전자 회로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소프트웨어적으로는 하드웨어적인 EDA 제어부(5600)를 구동시키는 프로그램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에에 따르면, EDA 제어부(5600)는 EDA 측정부(5100)가 사용자의 피부 전도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전극을 통해 피부에 전류를 흘러주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EDA 제어부(5600)는 EDA 측정부(5100)가 결과값을 EDA 산출부(5200), EDA 통신부(5300) 또는 EDA 저장부(54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에에 따르면, EDA 제어부(5600)는 EDA 산출부(5200)가 EDA 측정부(5100)의 결과값을 수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EDA 제어부(5600)는 EDA 산출부(5200)가 피부 전도도 데이터를 얻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EDA 제어부(5600)는 EDA 산출부(5200)가 피부 전도도 데이터를 EDA 출력부(5300), EDA 저장부(5400) 및 EDA 통신부(5500)로 전송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EDA 제어부(5600)는 EDA 출력부(5300)가 EDA 산출부(5200)의 산출 결과인 피부 전도도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EDA 제어부(5600)는 EDA 출력부(5300)가 피부 전도도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EDA 제어부(5600)는 EDA 저장부(5400)가 피부 전도도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EDA 제어부(5600)는 EDA 저장부(5400)가 피부 전도도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EDA 제어부(5600)는 EDA 통신부(5500)가 외부 장치와 통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EDA 제어부(5600)는 전술한 디바이스 제어부(1600)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EDA 제어부(56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의 디바이스 제어부(1600)와 동일한 컴포넌트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하에서 특별한 언급이 없는 경우에는, EDA 센서(5000)의 동작은 EDA 제어부(5600)의 제어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도 2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전도도를 측정하는 장치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7을 참조하면, 도 27(a)는 웨어러블 장치인 스마트 워치(6100)를 나타내고, 도 27(b)는 웨어러블 장치인 스마트 링(6200)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스마트 워치(6100) 및/또는 스마트 링(6200)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와 동일하거나 동일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7에는 피부 전도도를 측정할 수 있는 장치가 스마트 워치(6100)와 스마트 링(6200)만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몇몇 실시예를 들어 설명한 것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피부 전도도를 측정하는 장치는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되는 손목 밴드(band), 사용자의 발에 양말 형태로 착용되는 웨어러블 양말,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되는 웨어러블 패치,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되는 웨어러블 헤어 밴드, 사용자의 귀에 귀걸이 형태로 착용되는 장치, 이어폰 형태로 끼워지는 장치 및 사용자의 눈에 삽입되는 렌즈 형태의 장치일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열거된 예시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7의 웨어러블 장치들은 도 26의 EDA 센서(500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27(a)의 스마트 워치(6100)는 본체(6110)에 EDA 센서(500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워치(6100)의 본체(6100)는 사용자의 피부에 닿는 부분에 EDA 측정부(5100)를 포함하여 사용자의 피부 전도도를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EDA 측정부(5100)의 전극은 본체(6110)의 뒷부분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피부에 전류를 흘러주어 사용자의 피부 전도도를 측정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27(a)의 스마트 워치(6100)는 본체(6110)에 EDA 센서(5000)의 구성 일부를 포함하고, 밴드 영역(6120)에 EDA 센서(5000)의 다른 구성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워치(6100)의 밴드 영역(6120)은 사용자의 피부에 닿는 부분에 EDA 측정부(5100)를 포함하여 사용자의 피부 전도도를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EDA 측정부(5100)의 전극은 밴드 영역(6120)의 뒷부분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피부에 전류를 흘러주어 사용자의 피부 전도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27(b)의 스마트 링(6200)은 EDA 센서(500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링(6200)은 사용자의 피부에 닿는 부분에 EDA 측정부(5100)를 포함하여 사용자의 피부 전도도를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EDA 측정부(5100)의 전극(6210)은 스마트 링(6100)의 안쪽 영역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피부에 전류를 흘러주어 사용자의 피부 전도도를 측정할 수 있다.
도 28은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전도도 그래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8을 참조하면, 피부 전도도 그래프는 시간에 따른 피부 전도도 데이터(7110)로 나타날 수 있다. 피부 전도도 데이터(7110)는 토닉 컴포넌트(7120) 및 페이직 컴포넌트(7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피부 전도도 데이터(7110)는 EDA 센서(5000) 에 의해 획득된 데이터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피부 전도도 데이터(7110)는 토닉 컴포넌트(7120) 및 페이직 컴포넌트(7130)의 합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토닉 컴포넌트(7120)는 피부 전도도 데이터(7110) 중 외부 환경(예, 주변 온도)과 관련이 있는 피부 전도도 데이터일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토닉 컴포넌트(7120)는 피부 전도도 레벨(SCL : skin conductance level)을 나타내는 피부 전도도 데이터의 일부일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페이직 컴포넌트(7130)는 외부 자극, 환경 자극 또는 짧은 기간(short-term)동안의 이벤트(event)와 관련이 있는 피부 전도도 데이터일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페이직 컴포넌트(7130)는 피부 전도도 반응(SCR : skin conductance response)을 나타내는 피부 전도도 데이터의 일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토닉 컴포넌트(7120)는 피부 전도도 데이터(7110)에서 페이직 컴포넌트(7130)를 제외하면 얻어질 수 있다. 또한, 페이직 컴포넌트(7130)는 피부 전도도 데이터(7110)에서 토닉 컴포넌트(7120)를 제외하면 얻어질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페이직 컴포넌트(7130)는 반응 함수(response function)와 피부 전도도 데이터(7110)의 컨볼루션(convolution) 연산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또한, 토닉 컴포넌트(7120) 및 페이직 컴포넌트(7130)는 옴의 법칙에 의해 전류, 저항 또는 전압의 단위로 변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토닉 컴포넌트(7120) 및 페이직 컴포넌트(7130)는 EDA 센서(5000)의 EDA 산출부(5200)의 연산을 통해 획득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토닉 컴포넌트(7120) 및 페이직 컴포넌트(7130)는 피부 전도도 데이터를 수신한 모니터링 서버(3000)의 서버 제어부(3300)의 연산을 통해 획득될 수 있다.일 실시예에 따르면, 토닉 컴포넌트(7120)는 피부 전도도의 크기(magnitude) 또는 발생 추이를 나타내는 지표로 이용될 될 수 있다. 피부 전도도의 크기 또는 발생 추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유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니터링 서버(3000)는 토닉 컴포넌트(7120)의 전체적인 변화에 기초하여, 피부 온도 또는 체온의 변화를 알 수 있다.
또한, 페이직 컴포넌트(7130)는 피부 전도도의 변화 정도, 변화량 또는 피부 전도도의 일차 미분값에 의해 표현되는 스톰(strom)을 나타내는 지표로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니터링 서버(3000)는 페이직 컴포넌트(7130)의 전체적인 변화를 통해, 사용자의 기분, 스트레스, 흥분 정도 또는 자율 신경계의 변화를 예측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니터링 서버(3000)는 피부 전도도 데이터에 기초하여 토닉 컴포넌트(7120) 및/또는 페이직 컴포넌트(7130)를 획득할 수 있고, 획득된 토닉 컴포넌트(7120) 및/또는 페이직 컴포넌트(7130)를 참고하여 사용자의 갑상선 기능 이상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모니터링 서버(3000)는 휴지 구간에 대응되는 토닉 컴포넌트(7120)에 기초하여 모니터링 피부 전도도를 산출할 수 있고, 산출된 모니터링 피부 전도도가 기준 피부 전도도 보다 높으면, 사용자가 갑상선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29는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전도도 그래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9를 참조하면, 피부 전도도 데이터 그래프의 분석을 통해 획득될 수 있는 여러가지 파라미터들이 도시되어 있다.
모니터링 서버(3000)는 피부 전도도 데이터 그래프에 기초하여 자극 시작 지점(stimulus onset, 7210), 반응 시작 지점(response onset, 7220), 잠재 기간(latency, 7230), 반응 문턱값(response threshold, 7240), 피크 지점(peak response, 7250), 회복 기간(recovery time, 7260) 및/또는 진폭(amplitude, 7270)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극 시작 지점(7210)은 피부 전도도 데이터가 증가하기 시작하는 시점일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반응 시작 지점(7220)은 자극 시작 지점(7210)으로부터 일정 값 이상의 크기를 갖는 시점일 수 있다. 이때, 반응 시작 지점(7220) 및 자극 시작 지점(7210)의 크기 차이는 반응 문턱값(7240)일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잠재 기간(7230)은 자극 시작 지점(7210) 및 반응 시작 지점(7220)을 통해 산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잠재 기간(7230)은 자극 시작 지점(7210)으로부터 반응 시작 지점(7220)까지의 기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니터링 서버(3000)는 잠재 기간(7230)의 길이를 통해 사용자의 피부 전도도의 변화 정도, 사용자의 기분, 스트레스 또는 자율 신경계의 변화를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니터링 서버(3000)는 잠재 기간(7230)이 짧은 경우, 사용자의 피부 전도도의 변화 정도가 급격하게 이루어지는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모니터링 서버(3000)는 잠재 기간(7230)이 짧은 경우, 사용자의 기분의 기분이 급격하게 변화하고, 사용자가 스트레스를 받거나 사용자의 자율 신경계의 변화가 급격하게 이루어지는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니터링 서버(3000)는 반응 문턱값(7240)을 조절함으로써, 피부 전도도 변화량의 민감도(sensitivity)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응 문턱값(7240)을 작게 하면, 피부 전도도 변화의 빈도가 커질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반응 문턱값(7240)을 크게 하면, 모니터링 서버(3000)는 피부 전도도 변화의 빈도가 작아지고, 비교적 큰 변화량에 대해서만 피부 전도도가 변화한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피크 지점(7250)은 자극 시작 지점(7210) 이후 또는 반응 시작 지점(7220) 이후에 피부 전도도 데이터가 가장 큰 값을 갖는 시점일 수 있다. 또는 피크 지점(7250)은 피부 전도도 데이터의 1차 미분값이 0인 시점일 수 있다. 또는 피크 지점(7250)은 피부 전도도 데이터의 1차 미분값이 0이고, 2차 미분값이 음수인 시점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피크 지점(7250)을 통해, 모니터링 서버(3000)는 일정 기간 동안 피부 전도도 데이터의 최대값을 알 수 있고, 사용자의 기분, 스트레스 또는 자율 신경계의 변화를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크 지점(7250)이 큰 경우, 모니터링 서버(3000)는 사용자의 기분 변화가 크거나, 스트레스의 양이 크거나 또는 자율 신경계의 변화가 큰 것으로 파악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회복 기간(7260)은 피부 전도도 데이터가 피크 지점(7250)으로부터 일정 값까지 도달하는데 걸린 시간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피크 지점(7260)으로부터 상기 일정 값까지의 크기는 피부 전도도 데이터의 진폭(7270)일 수 있다. 그러나, 진폭(7270)은 피크 지점(7260)으로부터 회복 기간(7260)과 관련된 일정 값이 아닌, 회복 기간(7260)과 관련되지 않은 다른 값까지의 크기일 수 있다.
이때, 회복 기간(7260)은 잠재 기간(7230) 또는 반응 시점(7220)으로부터 피크 지점(7250)까지의 기간과 연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잠재 기간(7230) 또는 반응 시점(7220)으로부터 피크 지점(7250)까지의 기간이 짧아진다면, 회복 기간(7260)도 짧아질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잠재 기간(7230) 또는 반응 시점(7220)으로부터 피크 지점(7250)까지의 기간이 길어진다면, 회복 기간(7260)도 길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회복 기간(7260) 또는 진폭(7270)을 통해, 모니터링 서버(3000)는 사용자의 기분, 스트레스 또는 자율 신경계의 변화를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복 기간(7260)이 짧은 경우, 모니터링 서버(3000)는 사용자의 기분이 급격하게 변화하거나, 스트레스가 많거나 또는 자율 신경계의 변화가 급격한 것으로 파악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진폭(7270)이 큰 경우, 모니터링 서버(3000)는 사용자의 기분이 급격하게 변화하거나, 스트레스가 많거나 또는 자율 신경계의 변화가 급격한 것으로 파악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니터링 서버(3000)는 피부 전도도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술한 파라미터를 획득할 수 있고, 획득된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스트레스가 많거나 또는 자율 신경계의 변화가 급격한 구간을 확인할 수 있다.
일 예로, 모니터링 서버(3000)는 갑상선 기능 모니터링을 수행할 때에 도 29의 설명에서 상술한 파라미터를 참고하여, 모니터링 피부 전도도를 산출할 수 있다. 모니터링 피부 전도도 산출에 이용되는 구간과 과도한 스트레스를 받거나 자율 신경계가 급격하게 변화한 구간은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모니터링 서버는, 도 29의 설명에서 상술한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SCFr, SCRm, SCRpl, SCRd, SCRpr 및/또는 SCRrr 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CFr은 자극 시작 지점(7210)의 크기에서 피크 지점(7250)의 크기까지 도달하는 기간에 대한 지표일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SCRr은 잠재 기간(7230)과 관련된 지표일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SCRm은 반응 시작 지점 또는 반응 문턱값(7240)과 관련된 지표일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SCRol은 자극 시작 지점(7210)과 관련된 지표일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SCRpl은 반응 시작 지점(7220)과 관련된 지표일 수 있다. 또한 SCRpl은 반응 시작 지점(7220) 또는 피크 지점(7250)과 관련된 지표일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SCRd는 반응 시작 지점(7220) 또는 잠재 기간(7230)과 관련된 지표일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SCRpr은 피크 지점(7250) 또는 회복 기간(7260)과 관련된 지표일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SCRrr은 회복 기간(7260) 또는 진폭(7270)과 관련된 지표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니터링 서버(3000)는 SCFr, SCRm, SCRpl, SCRd, SCRpr 및/또는 SCRrr 를 산출하고, 산출된 파라미터를 참조하여 갑상선 기능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모니터링 서버(3000)는 피부 전도도 데이터(7110)에 기초하여 갑상선 기능 모니터링을 수행하되, 산출된 SCFr, SCRm, SCRpl, SCRd, SCRpr 및/또는 SCRrr를 2차적인 참고 데이터로 활용하여 더욱 정확한 갑상선 기능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도 있다.
지금까지 피부 전도도와 관련된 파라미터를 설명함에 있어, 모니터링 서버(3000)가 피부 전도도 데이터의 여러가지 지표를 파악하고 산출하는 것을 기준으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EDA 산출부(5200)가 모니터링 서버(3000)의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30은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전도도 데이터 그래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피부 전도도 데이터를 통해, 모니터링 서버(3000)는 사용자의 기분, 스트레스 또는 자율 신경계의 변화를 알 수 있다. 또한, 피부 전도도 데이터는 사용자의 거짓 진술 여부를 확인하는 데에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피부 전도도 데이터는 범죄자의 행동 또는 진술을 분석하는 데에도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피부 전도도 데이터를 통해, 모니터링 서버(3000)는 사용자의 갑상선 기능 이상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피부 전도도 데이터를 통해 모니터링 서버(3000)는 갑상선 기능 항진증 또는 갑상선 기능 저하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모니터링 서버(3000)는 사용자의 피부 전도도 데이터를 통해 갑상선 암, 갑상선 염증 등의 갑상선 질환들을 발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갑상선 기능 항진증을 앓고 있는 사용자의 자율 신경계 기능은 흥분될 수 있다. 또한, 갑상선 기능 저하증을 앓고 있는 사용자의 자율 신경계 기능은 저하될 수 있다. 이때, 피부 전도도 데이터를 통해 자율 신경계 기능의 흥분 상태 여부를 파악한다면, 모니터링 서버(3000)는 사용자의 갑상선 기능 항진증 또는 저하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정 기간(예, 모니터링 기간) 동안의 사용자의 피부 전도도 데이터가 일정 값 이상으로 나타나는 경우, 모니터링 서버(3000)는 사용자의 자율 신경계 기능이 정상인에 비하여 과도 흥분 상태인 것으로 파악할 수 있고, 사용자는 갑상선 기능 항진증을 앓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구체적으로, 일정 기간 동안의 사용자의 피부 전도도 데이터가 일정 값 이하로 나타나는 경우, 모니터링 서버(3000)는 사용자의 자율 신경계 기능이 정상인에 비하여 과도 저하된 상태인 것으로 파악할 수 있고, 사용자는 갑상선 기능 저하증을 앓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피부 전도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갑상선 기능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피부 전도도 데이터를 통해 사용자의 갑상선 기능 이상 여부를 판단할 경우, 사용자는 호르몬 검사를 하지 않고 비침습을 통해 갑상선 기능 이상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피부 전도도 데이터를 통해 사용자의 갑상선 기능 이상 여부를 판단할 경우, 사용자의 일상 생활 속에서 자연스럽게 사용자의 갑상선 기능 이상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갑상선 기능을 검사하기 위한 종래의 검사 방법(예, 호르몬 검사)은 사용자의 긴장을 초래하여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갑상선 기능 이상 여부 판단 방법은 사용자의 긴장을 초래하지 않을 수 있다.
도 30을 참조하면, 수면 개시 시점(7310)을 전후로, 피부 전도도 데이터를 구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면 개시 시점(7310)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를 통한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정해지는 시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에 수면 시작에 대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고, 수면 개시 시점(7310)은 상기 정보를 통해 정해지는 시점일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면 개시 시점(7310)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의 판단에 의해 정해지는 시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수면 개시 시점(7310)은 사용자의 움직임을 파악할 수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의 복수의 센서를 통해 정해지는 시점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면 개시 시점(7310)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의 만보계에서 추출한 걸음 수가 일정 값 이하인 구간에 의해 정해질 수 있다. 또한 구체적으로, 수면 개시 시점(7310)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의 GPS 결과가 일정 범위 이내인 구간에 의해 정해질 수 있다.
또한 구체적으로, 수면 개시 시점(7310)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의 심박계에서 추출한 심박수가 일정 값 이하인 구간에 의해 정해질 수 있다. 또한 구체적으로, 수면 개시 시점(7310)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의 자이로스코프의 결과가 일정 값 이하인 구간에 의해 정해질 수 있다.
또한 구체적으로, 수면 개시 시점(7310)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를 통해 파악된 사용자의 수면 패턴에 의해 정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수면 개시 시점(7310)은 사용자의 수면 패턴이 깨어 있는 구간(wake)에서 깨어 있는 구간이 아닌 구간(예를 들어, REM, non-REM, SWS)으로 진입하는 시점일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면 개시 시점(7310)은 피부 전도도 데이터가 급격히 감소하기 시작한 시점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면 개시 시점(7310)은 피부 전도도 데이터가 1uS 이상 감소하기 시작한 시점일 수 있다.
또한 구체적으로, 수면 개시 시점(7310)은 감소 구간(7440)이 시작한 시점일 수 있다. 감소 구간(744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수면 개시 시점(7310)은 사용자가 수면 구간에 진입한 것으로 볼 수 있는 시점으로, 본 발명의 설명에서 제시한 예시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30을 참조하면, 수면 개시 시점(7310)을 전후로, 피부 전도도 데이터의 양상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면 개시 시점(7310) 전의 피부 전도도 데이터의 변화 빈도는 수면 개시 시점(7310) 후의 피부 전도도 데이터의 변화 빈도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수면 개시 시점(7310) 전의 피부 전도도 데이터의 평균은 수면 개시 시점(7310) 후의 피부 전도도 데이터의 평균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수면 개시 시점(7310) 전의 피부 전도도 데이터의 최대값은 수면 개시 시점(7310) 후의 피부 전도도 데이터의 최대값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수면 개시 시점(7310) 전의 피부 전도도 데이터의 최소값은 수면 개시 시점(7310) 후의 피부 전도도 데이터의 최소값보다 클 수 있다.
도 3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전도도 데이터 그래프에서의 휴지 구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도 31을 참조하면, 수면 개시 시점(7310) 이후의 피부 전도도 데이터는 수면 개시 시점(7310) 이전보다 감소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면 개시 시점(7310) 이후의 피부 전도도 데이터는 감소 구간(7440) 및 휴지 구간(745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휴지 구간(7450)은 감소 구간(7440) 이후에 시작하는 구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휴지 구간(7450)은 피부 전도도 데이터의 변동(fluctuation)이 일정 범위(7410) 내에서 이루어지는 구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휴지 구간(7450)은 피부 전도도 데이터의 변동이 제1 범위(7410) 이내인 구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범위(7410)의 크기는 3uS 일 수 있다. 바람직한 예를 들어, 제1 범위(7410)의 크기는 2uS 일 수 있다. 더 바람직한 예를 들어, 제1 범위(7410)의 크기는 1uS 일 수 있다. 다만, 제1 범위(7410)는 사용자의 피부의 특성에 따라 다른 최적치가 선택될 수 있고, 따라서, 상술한 수치에 한정되지 않는다.
감소 구간(7440)은 수면 개시 시점(7310) 이후 피부 전도도 데이터가 제2 범위 이상 감소하는 구간일 수 있다. 이 때, 제2 범위는 제1 범위보다 클 수 있다. 일 예로, 제2 범위는 2uS일 수 있고, 제1 범위(7410)는 1uS일 수 있다.
감소 구간(7440)은 수면 개시 시점(7310) 이후 피부 전도도 데이터가 상기 제1 범위(7410) 이상 감소하는 구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소 구간(7440)은 수면 개시 시점(7310) 이후 피부 전도도 데이터가 1uS 또는 2uS 이상 감소하는 구간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피부 전도도 데이터가 다른 수치 이상 감소하는 구간일 수 있다.
또한, 감소 구간(7440) 및 휴지 구간(7450)은 휴지 구간 개시 시점(7430)에 의해 구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휴지 구간 개시 시점(7430)은 피부 전도도 데이터의 변동이 상기 제1 범위(7410) 이내인 시점 중, 피부 전도도 데이터가 증가 추세로 진입하는 진입 시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휴지 구간 개시 시점(7430)은 피부 전도도 데이터의 변동이 1uS 이내인 구간 중에서, 기울기가 양수인 가장 이른 시점일 수 있다.
이때, 수면 개시 시점(7310)에서의 피부 전도도 데이터와 휴지 구간 개시 시점(7430)에서의 피부 전도도 데이터의 차이(7420)는 상기 제1 범위(7410)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이때, 산출된 휴지 구간(7450)을 사용자의 진정한 수면 구간으로 파악할 수 있다. 또한, 휴지 구간(7450)에서의 피부 전도도 데이터를 통해 모니터링 피부 전도도를 산출할 수 있다. 모니터링 피부 전도도는 휴지 구간(7450)에서의 피부 전도도 데이터의 평균값, 중앙값, 표준 편차 또는 이동 평균 등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모니터링 서버(3000)는 모니터링 피부 전도도와 기준 피부 전도도를 비교하여 사용자의 갑상선 기능 이상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휴지 구간(7450)의 종료 시점은 피부 전도도 데이터의 변동 범위가 상기 제1 범위를 벗어나는 시점이 될 수 있다. 또는 휴지 구간(7450)의 종료 시점은 피부 전도도 데이터의 크기가 일정 값 이상 또는 이하가 되는 시점이 될 수 있다.
도 3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전도도 데이터 그래프에서의 휴지 구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도 32를 참조하면, 수면 개시 시점(7310) 이후에 복수의 휴지 구간(7551, 7554)이 존재할 수 있다. 모니터링 서버(3000)는 수면 개시 시점(7310) 이후의 복수의 휴지 구간(7551, 7554)을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면 개시 시점(7310) 이후의 피부 전도도 데이터는 감소 구간(7540), 제1 휴지 구간(7551) 및 제2 휴지 구간(7554)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휴지 구간(7551) 및 제2 휴지 구간(7554)은 감소 구간(7540) 이후에 시작하는 구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휴지 구간(7551) 및 제2 휴지 구간(7554)은 피부 전도도 데이터의 변동이 일정 범위(7510) 내에서 이루어지는 구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휴지 구간(7551) 및 제2 휴지 구간(7554)은 피부 전도도 데이터의 변동이 제1 범위(7510) 이내인 구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상기 제1 범위(7510)의 크기는 1uS 또는 2uS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수치를 가질 수도 있다.
감소 구간(7540)은 수면 개시 시점(7310) 이후 피부 전도도 데이터가 제2 범위 이상 감소하는 구간일 수 있다. 이 때, 제2 범위는 제1 범위보다 클 수 있다. 일 예로, 제2 범위는 2uS일 수 있고, 제1 범위(7510)는 1uS일 수 있다. 감소 구간(7540)은 수면 개시 시점(7310) 이후 피부 전도도 데이터가 상기 제1 범위(7510) 이상 감소하는 구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소 구간(7540)은 수면 개시 시점(7310) 이후 피부 전도도 데이터가 1uS 또는 2uS 이상 감소하는 구간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피부 전도도 데이터가 다른 수치 이상 감소하는 구간일 수 있다.
제1 휴지 구간(7551)은 제1 휴지 구간 개시 시점(7530) 및 제1 휴지 구간 종료 시점(7552)을 포함할 수 있다. 모니터링 서버(3000)는 제1 휴지 구간 개시 시점(7530)을 기준으로, 감소 구간(7540)과 제1 휴지 구간(7551)을 구분할 수 있다.
제2 휴지 구간(7554)은 제2 휴지 구간 개시 시점(7553) 및 제2 휴지 구간 종료 시점(7555)을 포함할 수 있다. 모니터링 서버(3000)는 제1 휴지 구간 종료 시점(7552) 및 제2 휴지 구간 개시 시점(7553) 사이의 구간은 휴지 구간으로 추출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휴지 구간 개시 시점(7530) 및 제2 휴지 구간 개시 시점(7553)은 피부 전도도 데이터의 변동이 상기 제1 범위(7510) 이내인 구간 중, 피부 전도도 데이터가 증가 추세로 진입하는 진입 시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휴지 구간 개시 시점(7530) 및 제2 휴지 구간 개시 시점(7553)은 피부 전도도 데이터의 변동이 2uS 이내인 구간 이내에서, 기울기가 양수인 시점 중 가장 이른 시점일 수 있다.
이때, 수면 개시 시점(7310)에서의 피부 전도도 데이터와 제1 휴지 구간 개시 시점(7530) 및 제2 휴지 구간 개시 시점(7553)에서의 피부 전도도 데이터의 차이(7520)는 상기 제1 범위(7510)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휴지 구간 종료 시점(7552) 및 제2 휴지 구간 종료 시점(7555)은 피부 전도도 데이터의 변동이 상기 제1 범위(7510)을 벗어나는 시점이 될 수 있다. 또는 제1 휴지 구간 종료 시점(7552) 및 제2 휴지 구간 종료 시점(7555)은 피부 전도도 데이터의 크기가 일정 값 이상 또는 이하가 되는 시점일 수 있다.
이때, 모니터링 서버(3000)는 산출된 제1 휴지 구간(7551) 및 제2 휴지 구간(7554)을 사용자의 진정한 수면 구간으로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휴지 구간(7551, 7554)에서의 피부 전도도 데이터를 통해, 모니터링 서버(3000)는 사용자의 갑상선 기능 이상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휴지 구간(7551, 7554)에서의 피부 전도도 데이터의 평균값, 중앙값, 표준 편차 또는 이동 평균 등을 통해, 모니터링 서버(3000)는 사용자의 갑상선 기능 이상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니터링 서버(3000)는 제1 휴지 구간(7551) 및 제2 휴지 구간(7554) 전체의 피부 전도도 데이터의 평균값 등을 이용할 수도 있고, 제1 휴지 구간(7551)의 평균값 및 제2 휴지 구간(7554)의 평균값 등을 각각 이용할 수도 있다.
도 33은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전도도 데이터 그래프에서의 휴지 구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도 33을 참조하면, 수면 개시 시점(7310) 이후에 복수의 휴지 구간(7651, 7654)이 존재할 수 있다.
감소 구간(7640)에 대한 내용은 도 32의 감소 구간(7540)의 내용과 중복될 수 있어, 자세한 내용은 생략한다.
또한, 제1 휴지 구간(7651) 및 제2 휴지 구간(7654)에 대한 내용은 도 32의 제1 휴지 구간(7551) 및 제2 휴지 구간(7554)의 내용과 중복될 수 있어, 자세한 내용은 생략한다.
또한, 제1 범위(7610)에 대한 내용은 도 32의 제1 범위(7510)의 내용과 중복될 수 있어, 자세한 내용은 생략한다.
또한, 제1 휴지 구간 개시 시점(7630), 제1 휴지 구간 종료 시점(7652), 제2 휴지 구간 개시 시점(7653) 및 제2 휴지 구간 종료 시점(7655)에 대한 내용은 도 32의 제1 휴지 구간 개시 시점(7530), 제1 휴지 구간 종료 시점(7552), 제2 휴지 구간 개시 시점(7553) 및 제2 휴지 구간 종료 시점(7555)의 내용과 중복될 수 있어, 자세한 내용은 생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휴지 구간(7651)에서의 피부 전도도 데이터의 연산값은 제2 휴지 구간(7654)에서의 피부 전도도 데이터의 연산값과는 상이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휴지 구간(7651)의 최대 피부 전도도는 제2 휴지 구간(7654)의 최대 피부 전도도보다 작을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 휴지 구간(7651)의 최소 피부 전도도는 제2 휴지 구간(7654)의 최소 피부 전도도보다 작을 수 있다.또 다른 예로, 제1 휴지 구간(7651)의 평균 피부 전도도는 제2 휴지 구간(7654)의 평균 피부 전도도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휴지 구간(7651)에서의 피부 전도도 데이터에 기초하여 산출될 수 있는 수치는 제2 휴지 구간(7654)에서의 피부 전도도 데이터에 기초하여 산출될 수 있는 수치와 상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휴지 구간(7651)에서의 피부 전도도 데이터의 수치 범위는 제2 휴지 구간(7654)에서의 피부 전도도 데이터의 수치 범위와 상이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휴지 구간(7651)에서의 피부 전도도 데이터의 수치 범위는 2 휴지 구간(7654)에서의 피부 전도도 데이터의 수치 범위와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 휴지 구간(7651)에서의 피부 전도도 데이터의 수치 범위는 2 휴지 구간(7654)에서의 피부 전도도 데이터의 수치 범위와 일부 구간이 중첩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제1 휴지 구간(7651)의 피부 전도도 데이터는 1uS 내지 2uS의 수치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2 휴지 구간(7654)의 피부 전도도 데이터는 2uS 내지 3uS의 수치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제1 휴지 구간(7651)의 변동 및 제2 휴지 구간(7654)의 변동은 1uS 범위 내에서 이루어지나, 제1 휴지 구간(7651) 및 제2 휴지 구간(7654)의 수치 범위는 상이할 수 있다.
모니터링 서버(3000)는 산출된 제1 휴지 구간(7651) 및 제2 휴지 구간(7654)을 사용자의 진정한 수면 구간으로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모니터링 서버(3000)는 복수의 휴지 구간(7551, 7554)에서의 피부 전도도 데이터를 통해, 사용자의 갑상선 기능 이상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34는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전도도 데이터 그래프에서의 휴지 구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감소 구간(7740)에 대한 내용은 도 31의 감소 구간(7440)의 내용과 중복될 수 있어, 자세한 내용은 생략한다.
또한, 휴지 구간(7751)에 대한 내용은 도 31의 휴지 구간(7450)의 내용과 중복될 수 있어, 자세한 내용은 생략한다.
또한, 제1 범위(7710)에 대한 내용은 도 31의 제1 범위(7410)의 내용과 중복될 수 있어, 자세한 내용은 생략한다.
도 34를 참조하면, 수면 개시 시점(7310) 이후에 휴지 구간(7751) 및 노이즈 구간(7760, 7770)이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면 개시 시점(7310) 이후에 제1 노이즈 구간(7760) 및 제2 노이즈 구간(7770)이 존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노이즈 구간(7760)의 변동 및 제2 노이즈 구간(7770)의 변동은 제1 범위(7710) 이내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모니터링 서버(3000)는 사용자의 갑상선 기능 이상 여부를 판단할 때, 휴지 구간(7751)의 피부 전도도 데이터는 이용 하나, 노이즈 구간(7760, 7770)의 피부 전도도 데이터는 이용하지 않을 수 있다.
노이즈 구간(7760, 7770)의 피부 전도도 데이터는 사용자의 진정한 수면 구간으로 보기 어려울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갑상선 기능 이상 여부를 판단할 때, 제거되어야 하는 데이터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노이즈 구간(7760)의 변동은 휴지 구간(7751)의 변동과 같이 제1 범위(7710) 이내에서 이루어지나, 제1 노이즈 구간(7760)의 수치 범위가 휴지 구간(7751)의 수치범위와 다를 수 있다.
이때, 제1 노이즈 구간(7760)의 최소값은 제1 한계값(7780)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일정 구간의 피부 전도도 데이터의 변동이 제1 범위(7710) 이내에서 이루어지지만, 상기 일정 구간의 최소값이 제1 한계값(7780) 이상인 경우, 상기 일정 구간은 노이즈 구간으로 산출될 수 있다.
또한 이때, 제1 노이즈 구간(7760)의 평균값은 제1 한계값(7780)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일정 구간의 피부 전도도 데이터의 변동이 제1 범위(7710) 이내에서 이루어지지만, 상기 일정 구간의 평균값이 제1 한계값(7780) 이상인 경우, 상기 일정 구간은 노이즈 구간으로 산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노이즈 구간(7770)의 변동은 휴지 구간(7751)의 변동과 같이 제1 범위(7710) 이내에서 이루어지나, 제2 노이즈 구간(7770)의 수치 범위가 휴지 구간(7751)의 수치범위와 다를 수 있다.
이때, 제2 노이즈 구간(7770)의 최대값은 제2 한계값(7790)보다 작을 수 있다. 따라서, 일정 구간의 피부 전도도 데이터의 변동이 제1 범위(7710) 이내에서 이루어지지만, 상기 일정 구간의 최대값이 제2 한계값(7790) 이하인 경우, 상기 일정 구간은 노이즈 구간으로 산출될 수 있다.
또한 이때, 제2 노이즈 구간(7770)의 평균값은 제2 한계값(7790)보다 작을 수 있다. 따라서, 일정 구간의 피부 전도도 데이터의 변동이 제1 범위(7710) 이내에서 이루어지지만, 상기 일정 구간의 평균값이 제2 한계값(7790) 이하인 경우, 상기 일정 구간은 노이즈 구간으로 산출될 수 있다.
그러나, 위의 예시들에 한정되지 않고, 일정 구간의 피부 전도도 데이터의 변동이 제1 범위(7710) 이내에서 이루어지지만, 상기 일정 구간의 절대적인 수치가 사용자의 진정한 수면 구간으로 볼 수 없는 수치인 경우, 상기 일정 구간은 노이즈 구간으로 추출될 수 있다.
노이즈 구간으로 추출된 구간들의 피부 전도도 데이터는, 변동이 제1 범위(7710) 이내에서 이루어지더라도, 휴지 구간에서 제외될 수 있다.
모니터링 서버(3000)는 모니터링 피부 전도도의 산출을 위한 휴지 구간을 확인할 때에, 제1 범위(7710) 이상의 피부 전도도 감소 구간 이후에 시작되며, 제1 범위(7710) 이내에서 변동하는 구간을 휴지 구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모니터링 서버(3000)는 확인된 구간 중 일부 구간의 연산값이 정해진 기준치를 벗어나는 경우, 일부 구간을 휴지 구간에서 제외시키고, 휴지 구간에 대응되는 피부 전도도 데이터에 기초하여 모니터링 피부 전도도를 산출할 수 있다.
도 35는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전도도 데이터 그래프에서의 휴지 구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감소 구간(7840)에 대한 내용은 도 31의 감소 구간(7440)의 내용과 중복될 수 있어, 자세한 내용은 생략한다.
또한, 휴지 구간(7850)에 대한 내용은 도 31의 휴지 구간(7450)의 내용과 중복될 수 있어, 자세한 내용은 생략한다.
또한 제1 범위(7810)에 대한 내용은 도 31의 제1 범위(7410)의 내용과 중복될 수 있어, 자세한 내용은 생략한다.
도 35를 참조하면, 수면 개시 시점(7310) 이후에 감소 구간(7840) 및 휴지 구간(7850)이 존재할 수 있다. 감소 구간(7840) 및 휴지 구간(7850)은 휴지 구간 개시 시점(7830)을 전후로 구분될 수 있다.
도 31의 휴지 구간 개시 시점(7430)과 달리, 도 35의 휴지 구간 개시 시점(7830)은 다른 기준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휴지 구간 개시 시점(7830)은 피부 전도도 데이터의 변동이 제1 범위(7810) 이내인 일정 구간 중 가장 이른 시점일 수 있다. 이때, 휴지 구간 개시 시점(7830)에서의 피부 전도도 데이터는 일정 값 이하일 수 있다.
이때, 수면 개시 시점(7310)에서의 피부 전도도 데이터와 휴지 구간 개시 시점(7830)에서의 피부 전도도 데이터의 차이(7860)는 제1 범위(7810)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또한, 휴지 구간(7850)은 상기 일정 구간 중 가장 늦은 시점인 휴지 구간 종료 시점을 포함할 수 있다. 휴지 구간 종료 시점에서의 피부 전도도 데이터는 일정 값 이상 또는 이하로, 사용자의 진정한 수면 구간으로 보기 어려운 값을 가질 수 있다.
도 36은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전도도 데이터 그래프에서의 휴지 구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6을 참조하면, 모니터링 서버(3000)는 피부 전도도 데이터를 통해 피부 전도도 데이터의 변화량을 산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피부 전도도 데이터의 변화량은 피부 전도도 데이터의 일차 미분을 통해 얻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피부 전도도 데이터의 변화량은 피부 전도도 데이터의 기울기에 기초하여 얻어질 수 있다.
수면 개시 시점(7310) 전후로 피부 전도도 데이터의 변화량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수면 개시 시점(7310) 전의 변화량의 평균값은 수면 개시 시점(7310) 후의 변화량의 평균값보다 클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면 개시 시점(7310) 전후로 피부 전도도 데이터의 스톰 영역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이때, 스톰 영역은 피부 전도도 데이터 변화 빈도의 정도에 기초하여 산출될 수 있다.
또한 이때, 스톰 영역은 높은 빈도(high-frequency)를 가지는 영역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톰 영역은 분당 4 내지 10 피크(4-10peaks/min)를 가지는 영역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수면 개시 시점(7310) 전의 스톰 영역은 수면 개시 시점(7310) 후의 스톰 영역 보다 그 수가 더 많을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수면 개시 시점(7310) 전의 스톰 영역의 빈도는 수면 개시 시점(7310) 후의 스톰 영역의 빈도보다 더 많을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수면 개시 시점(7310) 전의 스톰 영역의 피크들의 평균값은 수면 개시 시점(7310) 후의 스톰 영역의 피크들의 평균값보다 더 클 수 있다.
이때, 데이터 변화량의 평균값, 데이터 변화의 빈도, 스톰 영역의 개수 또는 스톰 영역의 발생 빈도를 통해 모니터링 서버(3000)는 사용자의 갑상선 기능 이상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의 파라미터들이 일정 값 이상인 경우, 모니터링 서버(3000)는 사용자가 갑상선 기능 항진증을 앓고 있는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위의 파라미터들이 일정 값 이하인 경우, 모니터링 서버(3000)는 사용자가 갑상선 기능 저하증을 앓고 있는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면 개시 시점(7310) 이후의 휴지 구간 추출은 사용자의 수면 패턴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수면 패턴은 외부 장치 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로부터 얻어진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수면 패턴은 수면다원검사법(PSG : Polysomnography)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사용자의 수면 패턴은 스마트 워치에 포함된 복수의 센서들(예를 들어, 가속도계 등)의 센싱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수면 패턴은 REM, N-REM1(non-REM1), N-REM2(non-REM2) 또는 SWS(Slow-wave sleep) 단계로 나눠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수면 패턴 중 REM 구간, N-REM1 구간 또는 이들의 결합을 휴지 구간으로 추출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모니터링 서버(3000)는 사용자의 수면 패턴이 안정되었다고 판단되는 구간을 휴지 구간으로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스톰 영역은 N-REM2 구간 또는 SWS 구간에서 발생될 확률이 높을 수 있다. 이때, 모니터링 서버(3000)는 N-REM2 구간 또는 SWS 구간을 휴지 구간에서 제외할 수 있다. 또는 이때, 모니터링 서버(3000)는 휴지 구간 중 N-REM2 구간 또는 SWS 구간에 비중을 작게 둘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휴지 구간을 추출하는 방법에 있어서, 피부 전도도 데이터와 함께 사용자의 수면 패턴을 고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니터링 서버(3000)는 수면 개시 시점(7310) 이후의 피부 전도도 데이터에서, 도 31 내지 도 35에서 설명된 방법을 통해 1차적으로 휴지 구간을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모니터링 서버(3000)는 외부 장치 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로부터 사용자의 수면 패턴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수면 패턴에 대한 정보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 또는 외부 장치의 심박수 센서 또는 움직임 센서를 통해 얻어질 수 있다.
이때, 모니터링 서버(3000)는 1차적으로 추출한 상기 휴지 구간에서, 사용자의 수면 패턴이 SWS 구간 및/또는 N-REM2 구간인 부분을 제외하여 2차적으로 휴지 구간을 추출할 수 있다.
또는 이때, 모니터링 서버(3000)는 1차적으로 추출한 상기 휴지 구간에서, 사용자의 수면 패턴이 REM 구간인 부분들을 2차적으로 휴지 구간으로 추출할 수 있다.
따라서, 모니터링 서버(3000)는 2차적으로 추출된 휴지 구간을 진정한 휴지 구간으로 하여, 휴지 구간에서의 피부 전도도 데이터를 통해 사용자의 갑상선 기능 이상을 판단할 수 있다.
도 3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휴지 구간을 추출하는 방법에 대한 순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7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휴지 구간을 추출하는 방법은 제1 구간을 추출하는 단계(S610), 제2 구간을 확인하는 단계(S620), 제1 구간의 크기를 미리 정해진 수치와 비교하는 단계(S630) 및 제1 구간을 휴지 구간에 포함시키는 단계(S64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니터링 서버(3000)는 제1 구간을 추출하는 단계(S610)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제1 구간을 추출하는 단계(S610)는 피부 전도도 데이터의 변동이 제1 범위 이내인 구간을 제1 구간으로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니터링 서버(3000)는 웨어러블 장치(1000) 또는 EDA 센서(5000)로부터 피부 전도도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1 구간을 추출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EDA 산출부(5200)는 EDA 측정부(5100)로부터 피부 전도도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1 구간을 추출할 수 있다.
이때, 추출된 제1 구간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이는 상기 제1 범위의 크기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구간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이는 3uS 이내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구간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이는 2uS 일 수 있다.
또한 이때, 추출된 제1 구간의 시작점은 도 31을 참조하여 설명된 휴지 구간 개시 시점(7430) 또는 도 35를 참조하여 설명된 휴지 구간 개시 시점(7830)일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니터링 서버(3000) 또는 EDA 산출부(5200)는 피부 전도도 데이터의 페이직 컴포넌트(7130)를 이용하여 제1 구간을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구간은 페이직 컴포넌트(7130)의 변동 또는 미분값이 제1 범위 이내인 구간일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1 구간은 페이직 컴포넌트(7130)의 최대값이 미리 정해진 수치 이하인 구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구간은 페이직 컴포넌트(7130)의 최대값이 2uS 이하인 구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니터링 서버(3000) 또는 EDA 산출부(5200)는 제2 구간을 확인하는 단계(S620)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제2 구간을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구간 이전의 피부 전도도 데이터가 상기 제1 범위의 크기 이상 감소하는 구간을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 구간은 도 31을 참조하여 설명된 감소 구간(7440)일 수 있다. 또한 이때, 제2 구간의 시작점은 도 31을 참조하여 설명된 수면 개시 시점(7310)일 수 있다.
또한 이때, 제2 구간의 종료 시점은 도 31을 참조하여 설명된 휴지 구간 개시 시점(7430)일 수도 있다. 또는 제2 구간의 종료 시점은 도 31의 휴지 구간 개시 시점(7430)보다 이전의 시점일 수 있다.
또한 이때, 제2 구간의 시작점과 종료 시점에서의 피부 전도도 데이터의 차이는 상기 제1 범위의 크기 이상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니터링 서버(3000) 또는 EDA 산출부(5200)는 제1 구간의 수치를 비교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제1 구간의 크기를 미리 정해진 수치와 비교하는 단계(S630)는 제1 구간의 크기가 제1 값(A)보다 크고 제2 값(B)보다 작은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630 단계는 모니터링 서버(3000) 또는 EDA 산출부(5200)가 제1 구간의 최소값이 제1 값(A)보다 큰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S630 단계는 모니터링 서버(3000) 또는 EDA 산출부(5200)가 제1 구간의 최대값이 제2 값(B)보다 작은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니터링 서버(3000) 또는 EDA 산출부(5200)는 피부 전도도 데이터의 토닉 컴포넌트(7120)를 이용하여 제1 구간의 크기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니터링 서버(3000) 또는 EDA 산출부(5200)가 제1 구간 동안의 토닉 컴포넌트(7120)의 최소값이 제1 값(A)보다 큰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모니터링 서버(3000) 또는 EDA 산출부(5200)가 제1 구간 동안의 토닉 컴포넌트(7120)의 최대값이 제2 값(B)보다 작은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모니터링 서버(3000) 또는 EDA 산출부(5200)가 제1 구간 동안의 토닉 컴포넌트(7120)의 평균 값이 제1 값(A)과 제2 값(B) 사이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도 있다.
S630 단계를 거치지 않을 경우, 사용자의 진정한 수면 구간에서의 휴지 구간을 추출하지 못하게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수면 중 더운 외부 환경으로 인해 깨어나, 각성 상태에서 움직임이 없을 때, 제1 구간의 변동이 제1 범위 이내이고, 제1 구간 이전에 제2 구간이 존재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때, 제1 구간의 수치가 상기 제2 값(B)보다 클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수면중이 아닌 각성상태이므로, 이 구간은 휴지 구간에서 제외되어야 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사용자가 수면 중 추운 외부 환경으로 인해 깨어나, 각성 상태에서 움직임이 없을 때에도 마찬가지로, 제1 구간의 수치가 상기 제1 값(A)보다 작을 수 있다. 이때에도, 사용자는 각성상태이므로, 이 구간은 휴지 구간에서 제외되어야 할 수 있다.
제1 구간의 수치가 미리 정해진 수치 범위 내에 들어오는 경우, S640 단계를 수행하고, 들어오지 않는 경우, 다시 새로운 제1 구간을 추출하는 S610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니터링 서버(3000)는 S610 내지 S630 단계를 거쳐 확인된 제1 구간을 휴지 구간에 포함(S640)시킬 수 있다.
제1 구간을 휴지 구간에 포함시키고, 휴지 구간에서의 피부 전도도 데이터를 통해, 사용자의 갑상선 기능 이상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가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피부 전도도 데이터를 통해 사용자의 갑상선 기능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이때, 도 5의 갑상선 기능 모니터링 방법을 따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EDA 센서(5000)를 통해 피부 전도도 정보가 획득(S1100)되면, 모니터링 데이터를 산출(S1300)하여, 사용자의 갑상선 기능 이상을 판단(S1500)할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는 사용자의 피부 전도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를 착용한 사용자의 피부 전도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피부 전도도 정보의 획득은 일정한 주기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의 디바이스 센서부(1400)는 EDA 센서(5000)를 포함하고, EDA 센서(5000)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피부 전도도 정보를 제1 주기로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의 디바이스 센서부(1400)는 모션 센서를 포함하고, 모션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모션 정보를 제2 주기로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주기와 상기 제2 주기는 동일할 수도 있고, 상이할 수도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는 사용자의 피부 전도도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는 사용자의 피부 전도도 정보를 획득하는 동시에 사용자 단말(20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는 획득된 사용자의 피부 전도도 정보 셋(Set)을 정해진 주기로 사용자 단말(20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가 사용자의 피부 전도도 정보를 획득하는 주기는 사용자의 피부 전도도 정보를 전송하는 주기보다 짧을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는 한 종류 이상의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 단말(2000)로 전송되는 생체 정보는 피부 전도도 정보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사용자 단말(2000)로 전송되는 생체 정보는 피부 전도도 정보 및 모션 정보일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가 전송하는 생체 정보는 다른 정보와 연계되어 있을 수 있다. 일 예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가 전송하는 생체 정보는 시간과 연계된 피부 전도도 정보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가 전송하는 생체 정보는, 시간과 연계된 피부 전도도 정보 및 시간과 연계된 모션 정보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가 전송하는 생체 정보는, 시간, 피부 전도도 정보 및 모션 정보가 연계된 형태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니터링 서버(3000)는 획득된 피부 전도도 정보에 기초하여, 도 5의 모니터링 데이터를 산출(S1300)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모니터링 데이터를 산출할 때, 도 6의 모니터링 데이터의 산출 방법(S1300)을 따를 수 있다.
모니터링 서버(3000)는 휴지 구간을 확인(S1310)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휴지 구간은 도 30의 수면 개시 시점(7310) 이후의 시점 중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휴지 구간의 확인(S1310)방법은 도 37에서 설명한 휴지 구간의 산출 방법으로 대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S1310의 기결정된 조건은 도 37의 S610 내지 S630 단계에서의 조건들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결정된 조건은 일 구간이 피부 전도도 데이터의 변동이 제1 범위 이내인지 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기결정된 조건은 일 구간 이전의 피부 전도도 데이터가 제1 범위 크기 이상 감소하는 제2 구간이 있는지 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기결정된 조건은 일 구간의 크기가 제1 값 이상이고, 제2 값 이하인지 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휴지 구간의 확인(S1310)단계에서 수행할 구체적인 동작에 대한 중복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니터링 서버(3000)는 휴지 구간에 대응되는 피부 전도도 정보를 추출(S1330)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니터링 서버(3000)는 확인된 하나 이상의 휴지 구간에 대응되는 피부 전도도 정보를 추출(S1330)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모니터링 서버(3000)는 상기 모니터링 기간에 포함되는 확인된 하나 이상의 휴지 구간에 대응되는 피부 전도도 정보를 추출(S1330)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니터링 서버(3000)는 모니터링 데이터를 산출(S1350)할 수 있다. 이때, 모니터링 서버(3000)는 추출된 피부 전도도 정보에 기초하여, 모니터링 데이터를 산출(S1350)할 수 있다.
이때, 추출된 피부 전도도 정보는 도 30 내지 도 36의 휴지 구간에서의 피부 전도도 데이터에 기초하여 추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니터링 서버(3000)는 상기 모니터링 기간에 포함되는 복수의 확인된 휴지 구간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피부 전도도 데이터의 평균값을 모니터링 데이터로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모니터링 서버(3000)는 상기 모니터링 기간에 포함되는 복수의 휴지 구간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피부 전도도 데이터의 중간값들의 중간값을 모니터링 데이터로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모니터링 서버(3000)는 상기 모니터링 기간에 포함되는 복수의 휴지 구간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피부 전도도 데이터 중 최대값 및 최소값을 제외하고, 나머지 피부 전도도 데이터들의 연산값을 모니터링 데이터로 산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니터링 서버(3000)는 사용자의 갑상선 기능 이상을 판단할 때, 피부 전도도 데이터에 기초한 기준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다. 기준 데이터에 대한 기본적인 설명은 도 7의 내용과 중복될 수 있어,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때, 도 7의 기준 데이터의 산출 방법을 따를 수 있다.
모니터링 서버(3000)는 갑상선 상태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0)로부터 수신(S2100)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2000)은 단말 입력부(2100)를 통해 사용자의 갑상선 상태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때, 갑상선 상태 정보는 사용자의 혈액 검사 등을 통해 획득된 갑상선 호르몬 수치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또는 갑상선 상태 정보는 사용자의 증상에 대한 문진을 통해 획득한 갑상선 상태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0)은 입력 받은 갑상선 상태 정보를 모니터링 서버(3000)로 전송할 수 있다. 모니터링 서버(3000)는 갑상선 상태 정보를 수신(S2100) 하면, 기준 데이터를 산출(S2300)할 수 있다.
기준 데이터 산출 기간은 갑상선 상태 정보에 따라 사용자의 갑상선 기능이 '정상'에 대응되는 시점의 기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된 갑상선 상태 정보가 정상 범위에 대응되는 경우, 갑상선 상태 정보가 입력된 시점의 전후로 소정의 기간이 기준 데이터 산출 기간으로 결정될 수 있다.
갑상선 상태 정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7의 내용과 중복될 수 있어,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준 데이터를 통해 사용자의 갑상선 기능 이상을 판단할 수 있다. 이때, 도 8의 기준 데이터 산출 방법을 따를 수 있다.
모니터링 서버(3000)는 기준 데이터 산출 기간을 결정(S2310)할 수 있다. 기준 데이터 산출 기간에 대한 설명은 도 8의 내용과 중복될 수 있어,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모니터링 서버(3000)는 결정된 기준 데이터 산출 기간에 대응되는 휴지 구간을 확인(S2320)할 수 있다.
여기서, 휴지 구간의 확인(S2320)방법은 도 37에서 설명한 휴지 구간의 산출 방법으로 대체될 수 있다. 따라서, 휴지 구간의 확인(S2320)단계에서 수행할 구체적인 동작에 대한 중복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니터링 서버(3000)는 휴지 구간에 대응되는 피부 전도도 정보를 추출(S2330)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니터링 서버(3000)는 확인된 하나 이상의 휴지 구간에 대응되는 피부 전도도 정보를 추출(S2330)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모니터링 서버(3000)는 상기 모니터링 기간에 포함되는 확인된 하나 이상의 휴지 구간에 대응되는 피부 전도도 정보를 추출(S2330)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니터링 서버(3000)는 기준 데이터를 산출(S2360)할 수 있다. 이때, 모니터링 서버(3000)는 추출된 피부 전도도 정보에 기초하여, 기준 데이터를 산출(S2360)할 수 있다.
이때, 추출된 피부 전도도 정보는 도 30 내지 도 36의 휴지 구간에서의 피부 전도도 데이터에 기초하여 추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니터링 서버(3000)는 상기 모니터링 기간에 포함되는 복수의 확인된 휴지 구간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피부 전도도 데이터의 평균값을 기준 데이터로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모니터링 서버(3000)는 상기 모니터링 기간에 포함되는 복수의 휴지 구간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피부 전도도 데이터의 중간값들의 중간값을 기준 데이터로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모니터링 서버(3000)는 상기 모니터링 기간에 포함되는 복수의 휴지 구간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피부 전도도 데이터 중 최대값 및 최소값을 제외하고, 나머지 피부 전도도 데이터들의 연산값을 기준 데이터로 산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니터링 서버(3000)가 정상 범위를 벗어난 갑상선 상태 정보를 수신한 경우, 도 9의 기준 데이터 산출 방법에 따라 기준 데이터가 산출될 수 있다.
모니터링 서버(3000)가 정상 범위를 벗어난 갑상선 상태 정보를 수신한 경우, 기준 데이터 산출 방법에 대한 기본적인 설명은 도 9의 내용과 중복될 수 있어,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모니터링 서버(3000)는 수신된 갑상선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기준 기간 데이터를 보정함으로써, 기준 데이터를 산출(S2350)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니터링 서버(3000)는 수신된 갑상선 상태 정보에 따른 사용자의 호르몬 수치가 정상 범위에 대응되려면 몇 ng/dL만큼 증가/감소 해야하는지 계산하여, 상기 증가/감소에 따른 피부 전도도의 변화량을 추정할 수 있다.
이때, 모니터링 서버(3000)는 기준 기간 데이터에 추정된 피부 전도도의 변화량을 더하거나 빼, 기준 데이터를 산출(S2350)할 수 있다. 모니터링 서버(3000)에는 상기 기준 기간 데이터의 보정에 필요한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니터링 서버(3000)에는 다수의 사용자의 호르몬 수치와 피부 전도도 데이터 간의 관련성에 관한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모니터링 서버(3000)에는 호르몬 수치가 0.1 ng/dL만큼 증가할 때 대략적으로 몇 uS의 피부 전도도 데이터가 증가하는지에 대한 통계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니터링 서버(3000)는 피부 전도도 데이터를 통해 산출된 모니터링 데이터 및 기준 데이터를 비교(S1510)하여, 사용자의 갑상선 기능 이상을 판단(S1500)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갑상선 기능 이상을 판단(S1500)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은 도 10의 내용과 중복될 수 있어,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니터링 서버(3000)는 모니터링 데이터와 기준 데이터를 비교할 수 있다. 비교 알고리즘에 대해서는 도 11의 내용과 중복될 수 있어,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 착용 상태에 따른 피부 전도도 데이터 그래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8을 참조하면, 피부 전도도 데이터는 사용자의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 착용 상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모니터링 서버(3000)는 피부 전도도 데이터를 통해 사용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를 착용하고 있는지 또는 올바르게 착용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 또는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를 착용한 상태에서의 피부 전도도 데이터와, 착용하지 않은 상태에서의 피부 전도도 데이터는 그 양상이 다를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사용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를 착용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를 올바르게 착용한 경우의 피부 전도도 데이터와, 올바르게 착용하지 않은 경우(예, EDA 측정 전극이 피부에 닿지 않은 경우)의 피부 전도도 데이터는 그 양상이 다를 수 있다.
도 38을 참조하면, 제1 시점(t1)과 제2 시점(t2) 사이는, 사용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를 착용하지 않은 상태일 수 있다. 또는 제1 시점(t1)과 제2 시점(t2) 사이는, 사용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를 착용하였으나, 올바르게 착용하지 않은 상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시점(t1)은 사용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를 벗은 시점이고, 제2 시점(t2)는 사용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를 다시 착용한 시점일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를 벗은 경우, 미착용 기간 동안 피부 전도도 데이터가 획득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사용자의 피부에 EDA 전극이 접촉하고 있는 상태에서, 제1 시점(t1)은 EDA 전극이 접촉하지 않게된 시점일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사용자의 피부에 EDA 전극이 접촉하지 않고 있는 상태에서, 제2 시점(t2)은 EDA 전극이 접촉하게 된 시점일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1 시점(t1)은 피부 전도도 데이터의 이동 평균이 급격히(예, 일정 수치 이상) 감소하는 시점이고, 제2 시점(t2)은 상기 제1 시점(t1) 이후, 피부 전도도 데이터의 이동 평균이 급격히 증가하는 시점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시점(t1)과 제2 시점(t2) 사이의 피부 전도도 데이터는 일정 값(v1) 이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시점(t1)과 제2 시점(t2) 사이의 피부 전도도 데이터는 0.01uS 이하이거나, 0 이하의 값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시점(t1)과 제2 시점(t2) 사이의 피부 전도도 데이터의 변동(fluctuation)은 미리 정해진 수치 이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시점(t1)과 제2 시점(t2) 사이의 피부 전도도 데이터의 기울기 또는 미분값은 미리 정해진 수치 이하일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1 시점(t1)과 제2 시점(t2) 사이의 피부 전도도 데이터의 변동은, 제1 시점(t1) 이전 및/또는 제2 시점(t2) 이후의 피부 전도도 데이터의 변동보다 적을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시점(t1)과 제2 시점(t2) 사이의 피부 전도도 데이터의 평균값 또는 중간값은, 제1 시점(t1) 이전 및/또는 제2 시점(t2) 이후의 피부 전도도 데이터의 평균값 또는 중간값보다 일정 값 이하일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시점(t1)과 제2 시점(t2) 사이의 피부 전도도 데이터의 평균값 또는 중간값은, 휴지 구간에서의 피부 전도도 데이터의 평균값 또는 중간값보다 작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시점(t1)과 제2 시점(t2) 사이의 피부 전도도 데이터의 평균값 또는 중간값은 휴지 구간에서의 피부 전도도 데이터의 평균값 또는 중간값보다 2uS 내지 5uS 정도의 크기 차이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 시점(t1)과 제2 시점(t2) 사이의 피부 전도도 데이터의 평균값 또는 중간값은 1uS 이내일 수 있다.
이때, 모니터링 서버(3000)는 제1 시점(t1)과 제2 시점(t2) 사이의 피부 전도도 데이터의 평균값 또는 중간값을 산출하고, 휴지 구간에서의 피부 전도도 데이터의 평균값 또는 중간값과 비교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모니터링 서버(3000)는 제1 시점(t1)과 제2 시점(t2) 사이의 피부 전도도 데이터의 값이 휴지 구간에서의 피부 전도도 데이터 값보다 작고, 일정 수치(예, 1uS, 0.1uS 또는 0.01uS) 이하인 경우에, 제1 시점(t1)과 제2 시점(t2) 사이의 구간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 미착용 또는 올바르지 않게 착용한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37의 제1 구간을 추출하는 단계(S610)를 수행하기 전,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의 착용 여부 또는 올바르게 착용된 상태인지 여부를 먼저 판단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모니터링 서버(3000)는 제1 구간을 추출하는 단계(S610)를 수행하기 전,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의 착용 여부 또는 올바르게 착용된 상태인지 여부를 먼저 판단할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가 착용된 상태 또는 올바르게 착용된 상태라면, S610 내지 S640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가 착용되지 않은 상태 또는 올바르지 않게 착용된 상태라면, S610 단계를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출원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출원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출원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출원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 갑상선 기능 모니터링 시스템
1000: 웨어러블 디바이스
2000: 사용자 단말
3000: 모니터링 서버

Claims (17)

  1. 사용자의 갑상선 기능 이상과 관련된 경고 메시지를 출력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약물 복용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상기 약물 복용 정보는 갑상선 기능에 관련된 약물의 처방 일자, 약물 이름, 약물 유형, 약물 용량, 약물 복용 주기 또는 약물에 의해 타겟되는 질병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상기 약물 복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경고 메시지의 출력 여부 결정에 이용될 모니터링 알고리즘을 선택하는 단계-상기 모니터링 알고리즘은 제1 모니터링 알고리즘 또는 상기 제1 모니터링 알고리즘과 상이한 제2 모니터링 알고리즘임 -; 및
    상기 선택된 모니터링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상기 경고 메시지 출력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경고 메시지 출력 여부 결정 단계는,
    상기 선택된 모니터링 알고리즘이 상기 제1 모니터링 알고리즘 이면, 모니터링 심박수가 기준 심박수보다 제1 임계치 이상 큰 경우 상기 경고 메시지의 출력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모니터링 알고리즘이 상기 제2 모니터링 알고리즘 이면, 상기 모니터링 심박수가 상기 기준 심박수보다 제2 임계치 이상 작은 경우 상기 경고 메시지의 출력을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기준 심박수는 상기 사용자의 갑상선 호르몬 수치 및 상기 사용자의 심박수에 기초하여 산출되거나, 연속된 복수의 날들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상기 심박수에 기초하여 산출되며,
    상기 모니터링 심박수는 휴지 구간에서의 상기 사용자의 상기 심박수에 기초하여 산출되고,
    상기 휴지 구간은 상기 사용자의 운동 상태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되되,
    상기 모니터링 알고리즘을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를 상기 약물 복용 정보에 기초하여 갑상선기능항진증 치료 그룹 또는 갑상선기능저하증 치료 그룹으로 분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갑상선 기능 이상과 관련된 경고 메시지를 출력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알고리즘을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갑상선기능저하증 치료 그룹으로 분류되면, 상기 제1 모니터링 알고리즘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갑상선 기능 이상과 관련된 경고 메시지를 출력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알고리즘을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갑상선기능항진증 치료 그룹으로 분류되면, 상기 제2 모니터링 알고리즘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갑상선 기능 이상과 관련된 경고 메시지를 출력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 메시지 출력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모니터링 알고리즘이 상기 제1 모니터링 알고리즘이면,
    상기 모니터링 심박수가 상기 기준 심박수보다 제2 임계치 이상 작은 경우 상기 처방 일자에 기초하여 소정의 기간이 도과하였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소정의 기간이 도과한 경우, 상기 경고 메시지 출력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갑상선 기능 이상과 관련된 경고 메시지를 출력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 메시지 출력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모니터링 알고리즘이 상기 제2 모니터링 알고리즘이면,
    상기 모니터링 심박수가 상기 기준 심박수보다 제1 임계치 이상 큰 경우 상기 처방 일자에 기초하여 소정의 기간이 도과하였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소정의 기간이 도과한 경우, 상기 경고 메시지 출력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갑상선 기능 이상과 관련된 경고 메시지를 출력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 복용 정보가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되기 이전에,
    상기 모니터링 심박수가 상기 기준 심박수보다 제1 임계치 이상 큰 경우 상기 경고 메시지의 출력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모니터링 심박수가 상기 기준 심박수보다 제2 임계치 이상 작은 경우 상기 경고 메시지의 출력을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갑상선 기능 이상과 관련된 경고 메시지를 출력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휴지 구간은, 사용자의 걸음수가 0인 상태로 소정의 시간 이상 지속된 구간에 기초하여 결정되거나,
    상기 휴지 구간은, 사용자의 가속도가 0인 상태로 소정의 시간 이상 지속된 구간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사용자의 갑상선 기능 이상과 관련된 경고 메시지를 출력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심박수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준 심박수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갑상선 호르몬 수치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갑상선 호르몬 수치가 정상 범위인지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갑상선 호르몬 수치가 정상 범위인 경우, 상기 갑상선 호르몬 수치의 테스트 날을 포함하는 연속되는 복수의 날들의 휴지기 심박수에 기초하여 상기 기준 심박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갑상선 기능 이상과 관련된 경고 메시지를 출력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심박수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갑상선 호르몬 수치가 정상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갑상선 호르몬 수치의 테스트 날을 포함하는 연속되는 복수의 날들의 휴지기 심박수에 기초하여 현재 심박수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갑상선 호르몬 수치 및 상기 산출된 현재 심박수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갑상선 기능이 정상일때의 상기 기준 심박수를 추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갑상선 기능 이상과 관련된 경고 메시지를 출력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알고리즘을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약물 복용 정보가 수신될때마다 수행되고,
    상기 경고 메시지 출력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하는 단계가 수행된 이후에 매일 수행되며,
    상기 경고 메시지 출력 여부 결정 단계는 상기 모니터링 알고리즘 선택 단계보다 더 많은 횟수만큼 수행되는,
    사용자의 갑상선 기능 이상과 관련된 경고 메시지를 출력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 복용 주기에 기초하여 약물 복용 알림 출력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약물 복용 알림 출력 결정 단계는 상기 경고 메시지 출력 여부 결정 단계보다 더 많은 횟수만큼 수행되는,
    사용자의 갑상선 기능 이상과 관련된 경고 메시지를 출력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
  13. 제1 항에 있어서,
    제1 주기마다 상기 사용자의 상기 심박수를 측정하는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제2 주기마다 상기 사용자의 심박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주기보다 상기 제2 주기가 긴,
    사용자의 갑상선 기능 이상과 관련된 경고 메시지를 출력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 메시지 출력이 결정되면, 상기 외부 장치의 디스플레이 유닛을 통해 상기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상기 외부 장치로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의 갑상선 기능 이상과 관련된 경고 메시지를 출력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
  15. 제1 내지 14 항 중 어느 한항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에 의해 독출되어 실행 가능한 코드가 저장된 기록매체.
  16. 외부 장치로부터 웨어러블 장치의 사용자로부터 획득된 생체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상기 사용자의 약물 복용 정보에 기초하여, 모니터링 알고리즘을 선택하고, 선택된 모니터링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경고 메시지 출력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경고 메시지의 출력이 결정되면 상기 통신부를 통해 신호가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약물 복용 정보는 갑상선 기능에 관련된 약물의 처방 일자, 약물 이름, 약물 유형, 약물 용량, 또는 약물 복용 주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를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링 알고리즘은 제1 모니터링 알고리즘 또는 제2 모니터링 알고리즘이고,
    상기 제1 모니터링 알고리즘은 모니터링 심박수가 기준 심박수보다 제1 임계치 이상 큰 경우 상기 경고 메시지의 출력을 결정하는 알고리즘이고,
    상기 제2 모니터링 알고리즘은 상기 모니터링 심박수가 상기 기준 심박수보다 제2 임계치 이상 작은 경우 상기 경고 메시지의 출력을 결정하는 알고리즘이며,
    상기 기준 심박수는 상기 사용자의 갑상선 호르몬 수치 및 상기 사용자의 심박수에 기초하여 산출되거나, 연속된 복수의 날들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상기 심박수에 기초하여 산출되며,
    상기 모니터링 심박수는 휴지 구간에서의 상기 사용자의 상기 심박수에 기초하여 산출되고,
    상기 휴지 구간은 상기 사용자의 운동 상태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되는,
    모니터링 서버.
  17. 웨어러블 장치로부터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사용자로부터 획득된 생체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사용자의 약물 복용 정보를 수신하는 입력부-상기 약물 복용 정보는 갑상선 기능에 관련된 약물의 처방 일자, 약물 이름, 약물 유형, 약물 용량, 또는 약물 복용 주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및
    상기 약물 복용 정보에 기초하여 모니터링 알고리즘을 선택하고, 선택된 모니터링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경고 메시지 출력 여부를 결정하여, 상기 경고 메시지의 출력이 결정되면 출력부를 통해 사용자의 갑상선 기능 이상과 관련된 경고 메시지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링 알고리즘은 제1 모니터링 알고리즘 또는 제2 모니터링 알고리즘이고,
    상기 제1 모니터링 알고리즘은 모니터링 심박수가 기준 심박수보다 제1 임계치 이상 큰 경우 상기 경고 메시지의 출력을 결정하는 알고리즘이고,
    상기 제2 모니터링 알고리즘은 상기 모니터링 심박수가 상기 기준 심박수보다 제2 임계치 이상 작은 경우 상기 경고 메시지의 출력을 결정하는 알고리즘이며,
    상기 기준 심박수는 상기 사용자의 갑상선 호르몬 수치 및 상기 사용자의 심박수에 기초하여 산출되거나, 연속된 복수의 날들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상기 심박수에 기초하여 산출되며,
    상기 모니터링 심박수는 휴지 구간에서의 상기 사용자의 상기 심박수에 기초하여 산출되고,
    상기 휴지 구간은 상기 사용자의 운동 상태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되는,
    사용자 단말.
KR1020200069999A 2020-06-10 2020-06-10 약물 복용에 따른 갑상선 기능 모니터링 방법, 이를 수행하는 모니터링 서버 및 사용자 단말 KR1024697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9999A KR102469743B1 (ko) 2020-06-10 2020-06-10 약물 복용에 따른 갑상선 기능 모니터링 방법, 이를 수행하는 모니터링 서버 및 사용자 단말
KR1020200128685A KR102548235B1 (ko) 2020-06-10 2020-10-06 갑상선 기능 이상 예측 방법
EP21819321.7A EP4166068A4 (en) 2020-06-10 2021-03-04 METHOD FOR MONITORING THYROID FUNCTION AS A FUNCTION OF DRUG ADMINISTRATION, AND MONITORING SERVER AND USER TERMINAL FOR IMPLEMENTING THIS METHOD
JP2021576255A JP2022541110A (ja) 2020-06-10 2021-03-04 薬剤服用に伴う甲状腺機能モニタリング方法、これを実行するモニタリングサーバーおよび使用者端末
PCT/KR2021/002707 WO2021251593A1 (ko) 2020-06-10 2021-03-04 약물 복용에 따른 갑상선 기능 모니터링 방법, 이를 수행하는 모니터링 서버 및 사용자 단말
US17/514,952 US11937936B2 (en) 2020-06-10 2021-10-29 Thyroid function monitoring method according to medication, and monitoring server and user terminal performing the same
KR1020230080244A KR20230095053A (ko) 2020-06-10 2023-06-22 갑상선 기능 이상 예측 방법
JP2023126948A JP2023162209A (ja) 2020-06-10 2023-08-03 薬剤服用に伴う甲状腺機能モニタリング方法、これを実行するモニタリングサーバーおよび使用者端末
KR1020240004035A KR20240007955A (ko) 2020-06-10 2024-01-10 심전도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대상 환자의 갑상선 기능 이상을 판단하는 시스템
KR1020240004034A KR20240007709A (ko) 2020-06-10 2024-01-10 심전도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대상 환자의 갑상선 기능 이상을 판단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9999A KR102469743B1 (ko) 2020-06-10 2020-06-10 약물 복용에 따른 갑상선 기능 모니터링 방법, 이를 수행하는 모니터링 서버 및 사용자 단말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8685A Division KR102548235B1 (ko) 2020-06-10 2020-10-06 갑상선 기능 이상 예측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3208A KR20210153208A (ko) 2021-12-17
KR102469743B1 true KR102469743B1 (ko) 2022-11-22

Family

ID=78845705

Famil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9999A KR102469743B1 (ko) 2020-06-10 2020-06-10 약물 복용에 따른 갑상선 기능 모니터링 방법, 이를 수행하는 모니터링 서버 및 사용자 단말
KR1020200128685A KR102548235B1 (ko) 2020-06-10 2020-10-06 갑상선 기능 이상 예측 방법
KR1020230080244A KR20230095053A (ko) 2020-06-10 2023-06-22 갑상선 기능 이상 예측 방법
KR1020240004035A KR20240007955A (ko) 2020-06-10 2024-01-10 심전도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대상 환자의 갑상선 기능 이상을 판단하는 시스템
KR1020240004034A KR20240007709A (ko) 2020-06-10 2024-01-10 심전도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대상 환자의 갑상선 기능 이상을 판단하는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8685A KR102548235B1 (ko) 2020-06-10 2020-10-06 갑상선 기능 이상 예측 방법
KR1020230080244A KR20230095053A (ko) 2020-06-10 2023-06-22 갑상선 기능 이상 예측 방법
KR1020240004035A KR20240007955A (ko) 2020-06-10 2024-01-10 심전도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대상 환자의 갑상선 기능 이상을 판단하는 시스템
KR1020240004034A KR20240007709A (ko) 2020-06-10 2024-01-10 심전도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대상 환자의 갑상선 기능 이상을 판단하는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937936B2 (ko)
EP (1) EP4166068A4 (ko)
JP (2) JP2022541110A (ko)
KR (5) KR102469743B1 (ko)
WO (1) WO202125159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8067B1 (ko) 2023-06-20 2023-12-27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알레르기 질환의 증상 발생을 예측하는 방법 및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23426A (ja) * 2002-03-28 2005-08-04 アボット・ラボラトリーズ 患者治療プログラムを管理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86818A1 (en) * 2000-08-29 2002-12-12 Osteonet, Inc. System and method for building and manipulating a centralized measurement value database
EP2538217A1 (en) * 2007-02-16 2012-12-26 Genzyme Corporation Method of identifying risk for thyroid disorder
US10650920B2 (en) * 2012-08-16 2020-05-12 Ginger.io, Inc. Method and system for improving care determination
US10318708B2 (en) * 2013-03-14 2019-06-11 Nike, Inc.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thletic activity from multiple body locations
WO2015128740A2 (en) * 2014-02-28 2015-09-03 Eco-Fusion Systems for predicting hypoglycemia and methods of use thereof
KR101821858B1 (ko) * 2015-08-07 2018-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식 심박동 측정 방법
KR101809131B1 (ko) * 2015-11-26 2017-1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그것의 동작방법
US20180365385A1 (en) * 2017-06-16 2018-12-20 University Hospitals Of Cleveland Monitoring and evaluating patient reactions to medications
KR102033696B1 (ko) * 2017-09-18 2019-10-21 서울대학교병원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한 갑상선기능항진증의 예측 시스템 및 예측 컴퓨터프로그램
KR102114638B1 (ko) * 2017-11-23 2020-05-26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수면 중 뇌졸중 모니터링 시스템
WO2020198454A1 (en) * 2019-03-28 2020-10-01 Zoll Medical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drug prescription information with monitored cardiac informa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23426A (ja) * 2002-03-28 2005-08-04 アボット・ラボラトリーズ 患者治療プログラムを管理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166068A1 (en) 2023-04-19
KR102548235B1 (ko) 2023-06-27
KR20240007955A (ko) 2024-01-17
US20220104752A1 (en) 2022-04-07
KR20210153504A (ko) 2021-12-17
WO2021251593A1 (ko) 2021-12-16
JP2023162209A (ja) 2023-11-08
KR20230095053A (ko) 2023-06-28
KR20240007709A (ko) 2024-01-16
JP2022541110A (ja) 2022-09-22
EP4166068A4 (en) 2023-12-27
US11937936B2 (en) 2024-03-26
KR20210153208A (ko) 2021-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193275A1 (en) Contactless and minimal-contact monitoring of quality of life parameters for assessment and intervention
CN108697336B (zh) 用于给药的装置和方法
US10463300B2 (en) Body-worn monitor
US20210407684A1 (en) Illness Detection Based on Temperature Data
KR20240007709A (ko) 심전도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대상 환자의 갑상선 기능 이상을 판단하는 방법
US20200359913A1 (en) System, apparatus, and methods for remote health monitoring
KR101501281B1 (ko) 당뇨병 및 당뇨 합병증 관리 방법
KR20220159430A (ko) 건강 모니터링 장치
Regalia et al. Sleep assessment by means of a wrist actigraphy-based algorithm: agreement with polysomnography in an ambulatory study on older adults
JP2023552210A (ja) コンテキスト情報を使用するデータの補完
JP2020534125A (ja) ウェアラブル装置を利用した甲状腺機能亢進症の予測システム及び予測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220406453A1 (en) Fitness Fatigue Score Determination and Management Techniques
KR20230029850A (ko) 긁음 검출 및 발적 예측을 위한 컴퓨터화된 의사결정 지원 툴 및 의료 디바이스
WO2023234317A1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記録媒体
US20220409187A1 (en) Illness detection with menstrual cycle pattern analysis
WO2024039450A1 (en) Fitness fatigue score determination and management techniqu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