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9444B1 - 렌즈 세정 기능을 구비하는 렌즈집게 - Google Patents

렌즈 세정 기능을 구비하는 렌즈집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9444B1
KR102469444B1 KR1020200097046A KR20200097046A KR102469444B1 KR 102469444 B1 KR102469444 B1 KR 102469444B1 KR 1020200097046 A KR1020200097046 A KR 1020200097046A KR 20200097046 A KR20200097046 A KR 20200097046A KR 102469444 B1 KR102469444 B1 KR 1024694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gs
pair
lens
pressurization
volu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70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16732A (ko
Inventor
김민규
Original Assignee
김민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규 filed Critical 김민규
Priority to KR10202000970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9444B1/ko
Publication of KR202200167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67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94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94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3/00Assembling; Repairing; Cleaning
    • G02C13/008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leaning contact len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61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곡부로부터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각각 연장 형성하고, 가압 또는 가압의 해제에 의한 상호 간격 변화에 따라 끝단에 렌즈를 파지할 수 있도록 구비된 한 쌍의 집게부; 한 쌍의 집게부의 끝단에 형성하는 개방부; 및 한 쌍의 집게부 내부에 형성하고, 한 쌍의 집게부의 가압 또는 가압의 해제에 따라 개방부를 통하여 내부유체를 외부로 배출하거나, 외부유체를 내부로 흡입하는 도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세정 기능을 구비하는 렌즈집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렌즈집게를 이용하여 렌즈를 파지할 때에, 렌즈집게의 끝단에서 렌즈세정액 등의 유체를 배출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렌즈 삽입 직전에 렌즈에 묻어있는 이물질 등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렌즈 세정 기능을 구비하는 렌즈집게{LENS TWEEZERS WITH LENS CLEANING FUNCTION}
본 발명은 렌즈를 파지하는 렌즈집게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렌즈를 파지할 때 소정의 액체를 배출하여, 파지한 렌즈를 세정할 수 있는 렌즈 세정 기능을 구비하는 렌즈집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택트 렌즈(contact lens)는 안경 대신에 눈의 각막에 직접 붙여서 사용하는 렌즈로, 시력 교정 외에도 미용의 목적이나 특수 분장 등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
콘택트 렌즈는 보관액으로 세척하고, 보관액이 담긴 용기에 콘택트 렌즈 담가 보관하여 건조와 세균 번식등을 방지한다.
콘택트 렌즈를 착용할 때에는 용기를 개방하고 손가락을 이용하여 각막에 부착하여 사용하는데, 콘택트 렌즈를 손으로 직접 다루게 되면 손의 세균, 땀, 이물질 등이 옮겨지고, 이는 각막 손상이나 콘택트 렌즈의 세균 및 곰팡이 증식으로 이어진다.
이에 따라, 콘택트 렌즈를 파지할 수 있는 핀셋 형태의 렌즈집게가 고안되어 사용되고 있다.
한편, 콘택트 렌즈에 먼지 등의 이물질이 묻어 있는 상태에서 콘택드 렌즈를 안구에 착용하게 되면, 안구에 통증이 유발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종 안구 질환을 일으킬 우려가 있다.
따라서, 콘택트 렌즈를 렌즈집게로 파지하여 안구에 착용하기 직전에, 콘택트 렌즈를 세정하여 이물질 등을 제거해줄 필요가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061679호 (2016.06.01 공개)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 렌즈집게를 이용하여 렌즈를 파지할 때에, 렌즈집게의 끝단에서 렌즈세정액 등의 유체를 배출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렌즈 삽입 직전에 렌즈에 묻어있는 이물질 등을 제거할 수 있는 렌즈 세정 기능을 구비하는 렌즈집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절곡부로부터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각각 연장 형성하고, 가압 또는 상기 가압의 해제에 의한 상호 간격 변화에 따라 끝단에 렌즈를 파지할 수 있도록 구비된 한 쌍의 집게부; 상기 한 쌍의 집게부의 끝단에 형성하는 개방부; 및 상기 한 쌍의 집게부 내부에 형성하고, 상기 한 쌍의 집게부의 상기 가압 또는 상기 가압의 해제에 따라 상기 개방부를 통하여 내부유체를 외부로 배출하거나, 외부유체를 내부로 흡입하는 도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세정 기능을 구비하는 렌즈집게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도관부는, 상기 가압에 따라 상기 한 쌍의 집게부의 상호 간격이 가까워지는 경우, 상기 내부유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세정 기능을 구비하는 렌즈집게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절곡부는, 소정의 탄성을 갖도록 형성하여, 상기 한 쌍의 집게부로부터 상기 가압을 해제하는 경우, 상기 한 쌍의 집게부의 상호 간격이 멀어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세정 기능을 구비하는 렌즈집게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집게부 사이에 위치하면서 양 측단이 상기 한 쌍의 집게부와 각각 결합하고, 내부에 상기 도관부와 연통하는 체적가변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가압 또는 상기 가압의 해제에 의한 상기 한 쌍의 집게부의 상호 간격 변화에 따라 체적이 변화하는 체적가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세정 기능을 구비하는 렌즈집게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집게부는, 내부에 상기 도관부와 연통하는 체적가변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가압 또는 상기 가압의 해제에 의한 상기 한 쌍의 집게부의 상호 간격 변화에 따라 체적이 변화하는 체적가변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세정 기능을 구비하는 렌즈집게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집게부는 상기 가압 또는 상기 가압의 해제에 의해 체적이 변화하도록 연질의 소재로 형성하고, 상기 도관부는 상기 한 쌍의 집게부의 체적 변화에 따라 상기 내부유체를 외부로 배출하거나, 상기 외부유체를 내부로 흡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세정 기능을 구비하는 렌즈집게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렌즈집게를 이용하여 렌즈를 파지할 때에, 렌즈집게의 끝단에서 렌즈세정액 등의 유체를 배출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렌즈 삽입 직전에 렌즈에 묻어있는 이물질 등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렌즈 세정 기능을 구비하는 렌즈집게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렌즈 세정 기능을 구비하는 렌즈집게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일부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렌즈 세정 기능을 구비하는 렌즈집게에 가압을 해제하여 도관부 내부로 외부유체를 흡입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일부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렌즈 세정 기능을 구비하는 렌즈집게를 가압하여 도관부 내부유체를 외부로 배출하여 렌즈를 세정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일부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렌즈 세정 기능을 구비하는 렌즈집게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렌즈 세정 기능을 구비하는 렌즈집게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일부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렌즈 세정 기능을 구비하는 렌즈집게에 가압을 해제하여 도관부 내부로 외부유체를 흡입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일부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렌즈 세정 기능을 구비하는 렌즈집게를 가압하여 도관부 내부유체를 외부로 배출하여 렌즈를 세정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일부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렌즈 세정 기능을 구비하는 렌즈집게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렌즈 세정 기능을 구비하는 렌즈집게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일부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각 실시예(제1실시예, 제2실시예, 제3실시예)에 따른 렌즈 세정 기능을 구비하는 렌즈집게(10)는, 절곡부(100)로부터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각각 연장 형성하고, 가압 또는 가압의 해제에 의한 상호 간격 변화에 따라 끝단에 렌즈를 파지할 수 있도록 구비된 한 쌍의 집게부(210, 230); 한 쌍의 집게부(200)의 끝단에 형성하는 개방부(211, 231); 및 한 쌍의 집게부(210, 230) 내부에 형성하고, 한 쌍의 집게부(210, 230)의 가압 또는 가압의 해제에 따라 개방부(211, 231)를 통하여 내부유체(W1)를 외부로 배출하거나, 외부유체(W2)를 내부로 흡입하는 도관부(213, 2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각 실시예(제1실시예, 제2실시예, 제3실시예)에 따라 도면부호를 각각 a, b, c로 구분하였으며, 다만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구성 중 절곡부(100), 한 쌍의 집게부(210, 230), 개방부(211, 231), 도관부(213, 233), 파지부(215, 235) 및 가압부(217, 237)는, 각 실시예들이 공통으로 포함하고 있는 구성이므로, 위 구성들에 대해서는 도면부호를 a, b, c로 구분하지 않고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각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한 쌍의 집게부(210, 230)는 절곡부(100)로부터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각각 연장 형성하고, 가압 또는 가압의 해제에 의한 상호 간격 변화에 따라 끝단에 렌즈를 파지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한 쌍의 집게부(210, 230)는 절곡부(100)로부터 상호 간격을 갖도록 나란히 연장 형성되어, 사용자의 가압에 따라 상호 간격이 가까워지거나, 또는 가압의 해제에 따라 상호 간격이 멀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안구에 렌즈(콘택트 렌즈)를 착용할 때에, 한 쌍의 집게부(210, 230)를 가압하여 상호 간격을 가까워지게 함으로써, 렌즈 보관케이스 등에서 렌즈를 파지하여 꺼낼 수 있다.
이때, 절곡부(100)는 소정의 탄성을 갖도록 형성하여, 한 쌍의 집게부(210, 230)로부터 가압을 해제하는 경우, 한 쌍의 집게부(210, 230)의 상호 간격이 멀어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사용자가 한 쌍의 집게부(210, 230)를 가압하여 렌즈를 파지한 상태에서 한 쌍의 집게부(210, 230)에 가압을 해제하면, 절곡부의 탄성에 따라 한 쌍의 집게부(210, 230)의 상호 간격이 멀어져 렌즈의 파지 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한편, 한 쌍의 집게부(210, 230)는 다수의 돌기를 포함하는 가압부(217, 237)를 형성할 수 있다.
한 쌍의 집게부(210, 230)의 일부분에 가압부(217, 237)가 형성됨으로써, 사용자는 가압부(217, 237)에 엄지 및 검지 등을 접촉시켜 한 쌍의 집게부(210, 230)를 용이하게 가압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집게부(210, 230)는 렌즈를 파지하는 끝단에 연질의 소재로 이루어지는 파지부(215, 235)를 형성할 수 있다.
파지부(215, 235)는 일예로 실리콘, 고무 등의 부드럽고 소정의 마찰을 갖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집게부(210, 230)의 끝단에 파지부(215, 235)가 형성됨으로써, 한 쌍의 집게부(210, 230)로 렌즈를 파지할 때에, 렌즈가 한 쌍의 집게부(210, 230)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렌즈가 한 쌍의 집게부(210, 230)로부터 미끄러져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어서, 개방부(211, 231)는 한 쌍의 집게부(210, 230)의 끝단에 형성한다.
개방부(211, 231)는 한 쌍의 집게부(210, 230)의 끝단에 형성되어, 후술하는 도관부(213, 233)와 연통하게 된다.
개방부(211, 231)는 한 쌍의 집게부(210, 230)의 모두 형성될 수 있지만, 한 쌍의 집게부(210, 230) 중 어느 하나에만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도관부(213, 233)에 수용된 내부유체(W1)는 개방부(211, 231)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고, 외부유체(W2)는 개방부(211, 231)를 통하여 도관부(213, 233) 내부로 흡입된다.
이어서, 도관부(213, 233)는 한 쌍의 집게부(210, 230) 내부에 형성하고, 한 쌍의 집게부(210, 230)의 가압 또는 가압의 해제에 따라 개방부(211, 231)를 통하여 내부유체(W1)를 외부로 배출하거나, 외부유체(W2)를 내부로 흡입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도관부(213, 233)는 한 쌍의 집게부(210, 230)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개방부(211, 231)와 마찬가지로 한 쌍의 집게부(210, 230)의 모두에 형성될 수 있지만, 한 쌍의 집게부(210, 230) 중 어느 하나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도관부(213, 233)는 한 쌍의 집게부(210, 230)의 가압 또는 가압의 해제에 따라 전술한 개방부(211, 231)를 통하여 내부유체(W1)를 외부로 배출하거나, 외부유체(W2)를 내부로 흡입한다.
전술한 바에 따르면, 한 쌍의 집게부(210, 230)는 가압 또는 가압의 해제에 따라 끝단에 렌즈를 파지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데, 이와 동시에 가압 또는 가압의 해제에 따라 한 쌍의 집게부(210, 230)의 도관부(213, 233)가 내부유체(W1)를 외부로 배출하거나, 외부유체(W2)를 도관부(213, 233) 내부로 흡입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여기서, 내부유체(W1)는 렌즈세정액 또는 공기일 수 있고, 외부유체(W2)도 렌즈세정액 또는 공기일 수 있다.
이때, 도관부(213, 233)는 가압에 따라 한 쌍의 집게부(210, 230)의 상호 간격이 가까워지는 경우, 내부유체(W1)를 외부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한 쌍의 집게부(210, 230)를 통하여 렌즈를 파지할 때에, 도관부(213, 233)의 내부유체(W1)가 개방부(211, 231)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도관부(213, 233) 내부에 렌즈세정액이 수용되어 있는 경우 한 쌍의 집게부(210, 230)를 통하여 렌즈를 파지 및 렌즈의 세척이 동시에 일어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렌즈를 착용하기 직전에 렌즈가 도관부(213, 233)로부터 배출되는 유체(렌즈세정액)에 의해 한 번 더 세정되어, 렌즈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도관부(213, 233)의 내부유체(W1)를 외부로 배출시키거나, 외부유체(W2)를 도관부(213, 233)의 내부로 흡입하기 위하여, 한 쌍의 집게부(210, 230)의 가압 또는 가압의 해제에 따라 도관부(213, 233) 내부의 압력이 변화하도록 구성하였다.
좀 더 구체적으로, 한 쌍의 집게부(210, 230)를 가압하는 경우, 도관부(213, 233)의 내부 압력이 증가하여 내부유체(W1)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성하고, 한 쌍의 집게부(210, 230)의 가압을 해제하는 경우 도관부(213, 233)의 내부 압력이 감소하여 외부유체(W2)를 내부로 흡입하도록 구성하였다.
본 발명은 도관부(213, 233)의 내부 압력을 변화시키는 방법에 따라 제1실시예, 제2실시예 및 제3실시예로 구분될 수 있으며, 이하 본 발명의 각 실시예들을 도면부호 a, b, c로 구분하여 상세히 설명한다(다만, 각 실시예들이 공통으로 포함하는 구성들에 대하여는 이전에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이들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먼저, 도면 1 내지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따른 렌즈 세정 기능을 구비하는 렌즈집게(10a)는, 한 쌍의 집게부(210a, 230a) 사이에 위치하면서 양 측단이 한 쌍의 집게부(210a, 230a)와 각각 결합하고, 내부에 도관부(213a, 233a)와 연통하는 체적가변공간(301a)을 형성하며, 가압 또는 가압의 해제에 의한 한 쌍의 집게부(210a, 230a)의 상호 간격 변화에 따라 체적이 변화하는 체적가변부(300a);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체적가변부(300a)는 한 쌍의 집게부(210a, 230a) 사이에 위치하면서 양 측단이 한 쌍의 집게부(210a, 230a)에 결합한다.
이때, 체적가변부(300a)는 연질의 소재로 형성하여, 가압 또는 가압의 해제에 의한 한 쌍의 집게부(210a, 230a)의 상호 간격 변화에 따라 체적이 변화하도록 구비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체적가변부(300a)는 한 쌍의 집게부(210a, 230a) 사이에 위치하여, 한 쌍의 집게부(210a, 230a)가 가압되어 상호 간격이 가까워지는 경우에 체적이 감소하고, 한 쌍의 집게부(210a, 230a)의 가압이 해체되어 상호 간격이 멀어지는 경우 체적이 증가하도록 구비된다.
한편, 체적가변부(300a)는 도관부(213a, 233a)와 연통하는 체적가변공간(301a)을 내부에 형성한다.
여기서, 체적가변부(300a)의 체적 변화에 따라, 체적가변공간(301a)의 체적도 함께 변화하게 된다.
전술한 구성에 따르면, 렌즈를 파지하기 위하여 한 쌍의 집게부(210a, 230a)를 가압하면, 한 쌍의 집게부(210a, 230a)의 상호 간격이 가까워지면서 체적가변부(300a) 및 체적가변부(300a) 내부에 형성된 체적가변공간(301a)의 체적은 감소한다.
체적가변공간(301a)의 체적이 감소함에 따라, 체적가변공간(301a) 내부의 압력은 증가하게 되는데, 이때 체적가변공간(301a)은 도관부(213a, 233a)와 연통되어 있으므로, 체적가변공간(301a) 내부 압력이 증가함에 따라 도관부(213a, 233a)의 내부 압력도 함께 증가하게 된다.
여기서, 도관부(213a, 233a) 내부의 내부유체(W1)는 도관부(213a, 233a)의 내부 압력 증가에 따라 외부로 배출되며, 만일 도관부(213a, 233a)의 내부에 렌즈세정액에 수용되어 있는 경우에는 렌즈수용액이 배출되며, 도관부(213a, 233a)의 내부에 렌즈세정액에 수용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공기가 배출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한 쌍의 렌즈(210a, 230a)의 가압을 해제하면, 한 쌍의 집게부(210a, 230a)의 상호 간격이 멀지면서 체적가변부(300a) 및 체적가변부(300a) 내부에 형성된 체적가변공간(301a)의 체적은 증가한다.
체적가변공간(301a)의 체적이 증가함에 따라, 체적가변공간(301a) 내부의 압력은 감소하게 되는데, 이때 체적가변공간(301a)은 도관부(213a, 233a)와 연통되어 있으므로, 체적가변공간(301a) 내부 압력이 감소함에 따라 도관부(213a, 233a)의 내부 압력도 함께 감소하게 된다.
여기서, 도관부(213a, 233a) 외부유체(W2)는 도관부(213a, 233a)의 내부 압력 감소에 따라 도관부(213a, 233a) 내부로 흡입되며, 만일 도관부(213a, 233a)의 외부에 렌즈세정액이 있는 경우에는 렌즈수용액이 흡입되며, 도관부(213a, 233a)의 외부에 렌즈세정액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공기가 흡입될 수 있다.
이어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렌즈 세정 기능을 구비하는 렌즈집게(10a)의 작동을 간단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한 쌍의 집게부(210a, 230a)를 가압한 상태에서, 한 쌍의 집게부(210a, 230a)의 개구부(211a, 231a)가 외부유체(W2)(여기서는 렌즈세정액)에 잠기도록 위치시킨다.
개구부(211a, 231a)가 외부유체(W2)에 잠긴 상태에서, 한 쌍의 집게부(210a, 230a)의 가압을 해제하면, 외부유체(W2)가 개구부(211a, 231a)를 통하여 도관부(213a, 233a) 내부로 흡입된다.
이어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한 쌍의 집게부(210a, 230a)를 가압하여 렌즈 보관케이스 등에서 렌즈를 파지한다.
이때, 한 쌍의 집게부(210a, 230a)의 가압에 따라 도관부(213a, 233a)의 내부유체(W1)(여기서는 렌즈세정액)가 외부로 배출되어, 한 쌍의 집게부(210a, 230a)의 끝단에 파지된 렌즈를 세정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면 5 내지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 따른 렌즈 세정 기능을 구비하는 렌즈집게(10b)는, 한 쌍의 집게부(210b, 230b)는 내부에 도관부(213b, 233b)와 연통하는 체적가변공간(311b, 331b)을 형성하고, 가압 또는 가압의 해제에 의한 한 쌍의 집게부(210b, 230b)의 상호 간격 변화에 따라 체적이 변화하는 체적가변부(310b, 330b);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체적가변부(300a)가 한 쌍의 집게부(210a, 230a)의 사이에 위치하는 것과 달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체적가변부(310b, 330b)가 한 쌍의 집게부(210b, 230b)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체적가변부(310b, 330b)는 연질의 소재로 형성하여, 가압 또는 가압의 해제에 의한 한 쌍의 집게부(210b, 230b)의 상호 간격 변화에 따라 체적이 변화하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체적가변부(310b, 330b)는 전술한 가압부(217b, 237b)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즉, 가압부(217b, 237b)가 한 쌍의 집게부(210b, 230b)의 외측에 각각 형성되는 경우, 체적가변부(310b, 330b)는 한 쌍의 집게부(210b, 230b)의 내측에 가압부(217b, 237b)의 위치에 대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체적가변부(310b, 330b)가 전술한 가압부(217b, 237b)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됨으로써, 사용자가 가압부(217b, 237b)를 통하여 한 쌍의 집게부(210b, 230b)를 가압할 때에, 체적가변부(310b, 330b)느 더욱 효과적으로 체적이 변화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체적가변부(310b, 330b)는 도관부(213b, 233b)와 연통하는 체적가변공간(311b, 331b)을 내부에 각각 형성한다.
여기서, 체적가변부(310b, 330b)의 체적 변화에 따라, 체적가변공간(311b, 331b)의 체적도 함께 변화하게 되고, 도관부(213b, 233b)와 연통하는 체적가변공간(311b, 331b)의 체적 변화에 따라 도관부(213b, 233b)의 내부유체(W1)가 외부로 배출되거나, 외부유체(W2)가 도관부(213b, 233b)의 내부로 흡입되는 원리는 전술한 제1실시예에서와 같으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체적가변부(310b, 330b)는 한 쌍의 집게부(210b, 230b) 모두에 형성될 수 있으나, 한 쌍의 집게부(210b, 230b) 중 어느 하나에만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7 및 도 8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렌즈 세정 기능을 구비하는 렌즈집게(10b)의 작동이 도시되어 있으며, 구체적인 작동은 전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도면 9 및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 따른 렌즈 세정 기능을 구비하는 렌즈집게(10c)는, 한 쌍의 집게부(210c, 230c)는 가압 또는 가압의 해제에 의해 체적이 변화하도록 연질의 소재로 형성하고, 도관부(213c, 233c)는 한 쌍의 집게부(210c, 230c)의 체적 변화에 따라 내부유체(W1)를 외부로 배출하거나, 외부유체(W2)를 내부로 흡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제1실시예 또는 제2실시예에서는, 도관부(213a, 233a 또는 213b, 233b) 내부의 압력을 변화시키기 위하여 체적가변부(300a 또는 310b, 330b)를 구비시켰다.
이와 다르게,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집게부(210c, 230c)를 연질의 소재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가압 또는 가압의 해제에 의해 한 쌍의 집게부(210c, 230c)의 체적이 변화하도록 형성하였다.
이에 따라, 한 쌍의 집게부(210c, 230c)의 내부에 형성된 도관부(213c, 233c)도 한 쌍의 집게부(210c, 230c)의 가압 또는 가압의 해제에 따라 체적이 변화하게 된다.
한 쌍의 집게부(210c, 230c)의 가압 또는 가압의 해제에 따라 도관부(213c, 233c)의 체적이 변화하면, 도관부(213c, 233c)의 압력 또한 변화하게 되며, 종국적으로 도관부(213c, 233c)의 내부유체(W1)를 외부로 배출하거나, 외부유체(W2)를 도관부(213c, 233c) 내부로 흡입할 수 있게 된다.
즉, 전술한 제1실시예 또는 제2실시예에서 도관부(213a, 233a 또는 213b, 233b)에 연통하는 체적가변공간(301a 또는 311b, 331b)의 체적 변화에 따라 도관부(213a, 233a 또는 213b, 233b)의 내부 압력을 변화시켰다면, 제3실시예에서는 도관부(213c, 233c)의 체적을 변화시켜 도관부(213c, 233c)의 내부 압력을 변화시키는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렌즈 세정 기능을 구비하는 렌즈집게(10c)의 작동은 전술한 제1실시예 또는 제2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렌즈집게를 이용하여 렌즈를 파지할 때에, 렌즈집게의 끝단에서 렌즈세정액 등의 유체를 배출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렌즈 삽입 직전에 렌즈에 묻어있는 이물질 등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W1 : 내부유체
W2 : 외부유체
100a, 100b, 100c : 절곡부
210a, 210b, 210c : 집게부
211a, 211b, 211c : 개방부
213a, 213b, 213c : 도관부
215a, 215b, 215c : 파지부
217a, 217b, 217c : 가압부
230a, 230b, 230c : 집게부
231a, 231b, 231c : 개방부
233a, 233b, 233c : 도관부
235a, 235b, 235c : 파지부
237a, 237b, 237c : 가압부
300a : 체적가변부
301a : 체적가변공간
310b, 330b : 체적가변부
311b, 331b : 체적가변공간

Claims (6)

  1. 절곡부로부터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각각 연장 형성하고, 가압 또는 상기 가압의 해제에 의한 상호 간격 변화에 따라 끝단에 렌즈를 파지할 수 있도록 구비된 한 쌍의 집게부;
    상기 한 쌍의 집게부의 끝단에 형성하는 개방부;
    상기 한 쌍의 집게부 내부에 형성하고, 상기 한 쌍의 집게부의 상기 가압 또는 상기 가압의 해제에 따라 상기 개방부를 통하여 내부유체를 외부로 배출하거나, 외부유체를 내부로 흡입하는 도관부; 및
    상기 한 쌍의 집게부 사이에 위치하면서 양 측단이 상기 한 쌍의 집게부와 각각 결합하고, 내부에 상기 도관부와 연통하는 체적가변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가압 또는 상기 가압의 해제에 의한 상기 한 쌍의 집게부의 상호 간격 변화에 따라 체적이 변화하는 체적가변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세정 기능을 구비하는 렌즈집게.
  2. 절곡부로부터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각각 연장 형성하고, 가압 또는 상기 가압의 해제에 의한 상호 간격 변화에 따라 끝단에 렌즈를 파지할 수 있도록 구비된 한 쌍의 집게부;
    상기 한 쌍의 집게부의 끝단에 형성하는 개방부; 및
    상기 한 쌍의 집게부 내부에 형성하고, 상기 한 쌍의 집게부의 상기 가압 또는 상기 가압의 해제에 따라 상기 개방부를 통하여 내부유체를 외부로 배출하거나, 외부유체를 내부로 흡입하는 도관부;
    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집게부는,
    내부에 상기 도관부와 연통하는 체적가변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가압 또는 상기 가압의 해제에 의한 상기 한 쌍의 집게부의 상호 간격 변화에 따라 체적이 변화하는 체적가변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세정 기능을 구비하는 렌즈집게.
  3. 절곡부로부터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각각 연장 형성하고, 가압 또는 상기 가압의 해제에 의한 상호 간격 변화에 따라 끝단에 렌즈를 파지할 수 있도록 구비된 한 쌍의 집게부;
    상기 한 쌍의 집게부의 끝단에 형성하는 개방부; 및
    상기 한 쌍의 집게부 내부에 형성하고, 상기 한 쌍의 집게부의 상기 가압 또는 상기 가압의 해제에 따라 상기 개방부를 통하여 내부유체를 외부로 배출하거나, 외부유체를 내부로 흡입하는 도관부;
    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집게부는 상기 가압 또는 상기 가압의 해제에 의해 체적이 변화하도록 연질의 소재로 형성하고,
    상기 도관부는 상기 한 쌍의 집게부의 체적 변화에 따라 상기 내부유체를 외부로 배출하거나, 상기 외부유체를 내부로 흡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세정 기능을 구비하는 렌즈집게.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도관부는,
    상기 가압에 따라 상기 한 쌍의 집게부의 상호 간격이 가까워지는 경우, 상기 내부유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세정 기능을 구비하는 렌즈집게.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는,
    소정의 탄성을 갖도록 형성하여, 상기 한 쌍의 집게부로부터 상기 가압을 해제하는 경우, 상기 한 쌍의 집게부의 상호 간격이 멀어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세정 기능을 구비하는 렌즈집게.
  6. 삭제
KR1020200097046A 2020-08-03 2020-08-03 렌즈 세정 기능을 구비하는 렌즈집게 KR1024694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7046A KR102469444B1 (ko) 2020-08-03 2020-08-03 렌즈 세정 기능을 구비하는 렌즈집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7046A KR102469444B1 (ko) 2020-08-03 2020-08-03 렌즈 세정 기능을 구비하는 렌즈집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6732A KR20220016732A (ko) 2022-02-10
KR102469444B1 true KR102469444B1 (ko) 2022-11-22

Family

ID=80253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7046A KR102469444B1 (ko) 2020-08-03 2020-08-03 렌즈 세정 기능을 구비하는 렌즈집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944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16413A (ja) 2012-07-06 2014-01-30 Menicon Co Ltd コンタクトレンズ吸着具
JP5500690B2 (ja) 2008-06-24 2014-05-21 株式会社ルミカ 多用途に使えるスポイト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26345A (en) * 1977-12-27 1978-11-21 List Frederick B Handling device for soft contact lenses
US5071276A (en) * 1991-01-04 1991-12-10 Abbott Laboratories Contact lens cleaning system
KR20150010388A (ko) * 2013-07-18 2015-01-28 (주)알비 안경렌즈 및 액정표면 세정도구
KR20160061679A (ko) 2014-11-24 2016-06-01 노병진 콘택트 렌즈의 착용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00690B2 (ja) 2008-06-24 2014-05-21 株式会社ルミカ 多用途に使えるスポイト
JP2014016413A (ja) 2012-07-06 2014-01-30 Menicon Co Ltd コンタクトレンズ吸着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6732A (ko) 2022-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23098A (en) Contact lens insertion and retraction device
US5732990A (en) Contact lens applicator
US4766914A (en) Hairdresser's glove
US4750771A (en) Lens cleaning and handling device
US5941583A (en) Contact lens insertion and manipulation assembly and method
EP0588434B1 (en) Contact lens fitter-remover
US2323854A (en) Fingernail guard
EP2740447A1 (en) Contact-lens putting support tool
KR102469444B1 (ko) 렌즈 세정 기능을 구비하는 렌즈집게
US20150216724A1 (en) Contact Lens Wearing and Removing Clip
US4245859A (en) Tweezer device for manipulation of soft contact lenses
US7981108B2 (en) Protective cover for a surgical tool
US20050103649A1 (en) Contact lens handling and inserting device and storage container
JP2011036605A (ja) 耳穴の手入れ用具
JP5006440B2 (ja) コンタクトレンズ着脱器具
JP6185642B1 (ja) コンタクトレンズ装着具
WO2022054033A3 (en) Single touch contact lens case
WO1981001239A1 (en) Contact lens insertion and retraction device
KR200385775Y1 (ko) 콘택트렌즈 착용기
USD972886S1 (en) Flatware holder
EP3509545B1 (en) A contact lens manipulator assembly
JP2000245765A (ja) コンタクトレンズ装着具
KR20240101908A (ko) 젓가락 콜렉터
KR20060098310A (ko) 콘택트렌즈 착용기
CN213910837U (zh) 一种无接触隐形眼镜取戴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