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9414B1 - 비상등용 구동회로 - Google Patents

비상등용 구동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9414B1
KR102469414B1 KR1020220004446A KR20220004446A KR102469414B1 KR 102469414 B1 KR102469414 B1 KR 102469414B1 KR 1020220004446 A KR1020220004446 A KR 1020220004446A KR 20220004446 A KR20220004446 A KR 20220004446A KR 102469414 B1 KR102469414 B1 KR 1024694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circuit
battery
control
resis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44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재덕
김호성
Original Assignee
루멘전광 주식회사
주식회사 바이더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루멘전광 주식회사, 주식회사 바이더엠 filed Critical 루멘전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044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94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94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94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H02J9/061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for DC powered loa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30Driver 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2207/20Charging or discharging characterised by the power electronics conver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AC컨버터의 전원동작을 제어하는 전원입력제어회로(111); 상기 전원입력제어회로(111)의 후단에 회로연결되어 입력된 전원을 필터링하여 안정화시키는 필터회로(112); 상기 필터회로(112)의 후단에 회로연결되어 AC전압을 정류하여 DC전압으로 변환하는 정류회로(113); 상기 정류회로(113)의 후단에 회로연결되어 AC입력 전압이 설정 저전압 이하시 배터리(20)로 방전이 이루어지도록 감시하는 저전압 감시회로(114); 상기 저전압 감시회로(114)의 후단에 회로연결되어 입력전압을 스위칭하면서 출력전압으로 유기시키며 출력전류를 제어하는 발진 및 전류제어 회로(115); 배터리(20)의 전압을 스위칭하여 부스트된 전압을 출력하고 전류를 제어하는 DC방전회로(126); AC컨버터의 전원동작 릴레이를 제어하는 전원제어회로(124); 방전동작 확인을 위한 점검스위치가 구비되고 충전을 감시하는 점검제어회로(121); 배터리(20)에 전압을 인가하여 충전시키는 충전제어회로(122); 배터리(20)의 전압을 DC방전회로로 인가하여 방전시키는 방전제어회로(123); 회로전체에 대한 충전감시, 충전제어, 방전제어 및 리모콘제어하는 프로그램 제어회로(119); 및 충전 감시 및 방전감시 전압을 설정하는 전압감시회로(117);를 포함하는 비상등용 구동회로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비상등용 구동회로{DRIVING CIRCUIT FOR EMERGENCY LIGHT}
본 발명은 비상등용 구동회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평상시에는 상용전원으로 LED모듈을 발광구동시키며 상용전원이 차단되면 배터리의 비상전원을 LED모듈에 인가하여 발광구동시키는 비상등용 구동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 내의 조명은 상용전원을 공급하여 발광구동시키나 상용전원이 차단되는 비상상황(예를 들면, 화재시)에도 비상구를 찾아 대피할 수 있도록 배터리(20)에 충전된 전원으로 조명을 발광구동시키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비상등용 구동회로는 충전제어회로와 방전제어회로에 다수 개의 릴레이가 회로구성되어, 배터리(20)에 전원을 충전하거나 충전된 전원을 방전하는 경우 다수 개의 릴레이가 구동하면서 접점이 붙거나 떨어지는 순간에 소음이 발생할 수 밖에 없으며 접점불량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하여 배터리(20)의 충전 및 방전 제어가 원활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비상등용 구동회로의 점검스위치측에 AC전류가 인가되기 때문에 점검시 감전의 위험이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053535호(2011.07.27),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한 비상등 구동회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용전원 차단시 비상전원을 공급하는 기능을 구현하면서도 회로구성을 간소화하여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릴레이의 동작소음과 점검스위치에 의한 감전위험을 최소화한 비상등용 구동회로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상용전원이 공급되는 평상시에는 상용전원을 이용하여 배터리(20)에 비상전원을 충전하고 상용전원이 차단되는 비상시에는 배터리(20)에 충전된 비상전원을 LED모듈(10)에 인가하는 비상등용 구동회로에 있어서, 상용전원 입력단(101)에 회로연결되어 상용전원이 공급되며 입력되는 점검신호에 따라 공급되는 상용전원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전원입력 제어회로(111); 상기 전원입력 제어회로(111)에 회로연결되어 입력되는 상용전원에 포함된 이상전원을 필터링하여 안정화시키는 필터회로(112); 상기 필터회로(112)에 회로연결되어 입력되는 교류전압의 상용전원을 직류전압으로 정류하고 평활시키는 정류회로(113); 상기 정류회로(113)에 회로연결되어 입력전원의 전압을 감지하여 설정저전압 이하로 감지시 배터리(20)의 방전이 이루어지도록 감시하는 저전압 감시회로(114); 상기 저전압 감시회로(114)에 회로연결되어 입력전압을 스위칭하면서 출력전압으로 유기시키며 출력전류를 제어하는 발진 및 전류제어 회로(115); 배터리(20)의 전압을 스위칭하여 부스트된 전압을 출력하고 전류를 제어하는 DC방전회로(126); 방전동작 확인을 위한 점검스위치가 구비되고 배터리(20)의 충전을 감시하는 점검제어회로(121); 배터리(20)에 전압을 인가하여 충전시키는 충전제어회로(122); 배터리(20)의 전압을 DC방전회로(126)로 인가하여 방전시키는 방전제어회로(123); 회로전체에 대한 충전감시, 배터리(20)의 충전 및 방전을 제어하는 프로그램 제어회로(119); 및 충전 감시 및 방전감시 전압을 설정하는 전압감시회로(117);를 포함하는 비상등용 구동회로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방전제어회로(123)는 트랜지스터(Q8) 및 FET(Q9)의 스위칭동작에 따라 배터리(20)에 충전된 전원이 방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등용 구동회로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충전제어회로(122)는 트랜지스터(Q6) 및 FET(Q7)의 스위칭동작에 따라 배터리(20)에 전원이 충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등용 구동회로가 제공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상용전원이 공급되는 평상시에는 상용전원을 이용하여 배터리(20)에 비상전원을 충전하고 상용전원이 차단되는 비상시에는 배터리(20)에 충전된 비상전원을 LED모듈(10)에 인가하는 비상등용 구동회로에 있어서, 상용전원 입력단(101)에 회로연결되어 상용전원이 공급되며 입력되는 점검신호에 따라 공급되는 상용전원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전원입력 제어회로(111); 상기 전원입력 제어회로(111)에 회로연결되어 입력되는 상용전원에 포함된 이상전원을 필터링하여 안정화시키는 필터회로(112); 상기 필터회로(112)에 회로연결되어 입력되는 교류전압의 상용전원을 직류전압으로 정류하고 평활시키는 정류회로(113); 상기 정류회로(113)에 회로연결되어 입력전원의 전압을 감지하여 설정저전압 이하로 감지시 배터리(20)의 방전이 이루어지도록 감시하는 저전압 감시회로(114); 상기 저전압 감시회로(114)에 회로연결되어 입력전압을 스위칭하면서 출력전압으로 유기시키며 출력전류를 제어하는 발진 및 전류제어 회로(115); 배터리(20)의 전압을 스위칭하여 부스트된 전압을 출력하고 전류를 제어하는 DC방전회로(126); 방전동작 확인을 위한 점검스위치가 구비되고 배터리(20)의 충전을 감시하는 점검제어회로(121); 배터리(20)에 전압을 인가하여 충전시키는 충전제어회로(122); 배터리(20)의 전압을 DC방전회로(126)로 인가하여 방전시키는 방전제어회로(123); 회로전체에 대한 충전감시, 배터리(20)의 충전 및 방전을 제어하는 프로그램 제어회로(119); 및 충전 감시 및 방전감시 전압을 설정하는 전압감시회로(117);를 포함함으로써, 상용전원 차단시 비상전원을 공급하는 기능을 구현하면서도 회로구성을 간소화하여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점검스위치에 의한 감전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전제어회로(123)는 트랜지스터(Q8) 및 FET(Q9)의 스위칭동작에 따라 배터리(20)에 충전된 전원이 방전되도록 하고, 상기 충전제어회로(122)는 트랜지스터(Q6) 및 FET(Q7)의 스위칭동작에 따라 배터리(20)에 전원이 충전되도록 함으로써, 릴레이의 동작소음과 점검스위치에 의한 감전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상등용 구동회로의 회로구성을 나타낸 회로도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상등용 구동회로는 평상시에 상용전원으로 LED모듈을 발광구동시키며 상용전원이 차단되면 배터리(20)의 비상전원을 LED모듈에 인가하여 발광구동시키는 회로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입력제어회로(111), 필터회로(112), 정류회로(113), 저전압 감시회로(114), 발진 및 전류제어 회로(115), 전압제어회로(116), DC방전회로(126), 점검제어회로(121), 충전제어회로(122), 방전제어회로(123), 프로그램 제어회로(119) 및, 전압감시회로(117);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전원입력제어회로(111)는 상용전원 입력단(101)에 회로연결되어 상용전원이 공급되며 입력되는 점검신호에 따라 공급되는 상용전원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면서 AC컨버터의 전원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필터회로(112)는 상기 전원입력제어회로(111)의 후단에 회로연결되어 입력된 전원을 필터링하여 안정화시키며, 상기 정류회로(113)는 필터회로(112)의 후단에 회로연결되어 AC전압을 정류하여 DC전압으로 변환한다.
또한, 상기 저전압 감시회로(114)는 상기 상기 정류회로(113)의 후단에 회로연결되어 AC입력 전압이 설정 저전압 이하시 배터리(20)로 방전이 이루어지도록 감시하고 트랜지스터(Q3), FET(Q2), 저항(R19), 저항(R20) 및 콘덴서(EC3)를 포함한다.
상기 발진 및 전류제어 회로(115)는 저전압 감시회로(114)의 후단에 회로연결되어 입력전압을 스위칭하면서 출력전압으로 유기시키며 출력전류를 제어한고 제어IC(U1), 트랜스포머(L1) 및 FET(Q1)를 포함한다.
상기 전압제어회로(116)는 발진 및 전류제어 회로(115)의 후단에 회로연결되고 다이오드(D2), 다이오드(D3), 콘덴서(EC4), 저항(R23), 저항(R24), 저항(R25) 및 제어IC(PC1)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설정 저전압은 일반적인 상용전원 220V를 기준으로 할때 100V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회로의 감시 분해능에 따라 그 수치는 조절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DC방전회로(126)는 배터리(20)의 전압을 스위칭하여 부스트된 전압을 출력하고 전류를 제어하고, 상기 전원제어회로(124)는 AC컨버터의 전원동작 릴레이를 제어하며, 상기 점검제어회로(121)는 방전동작 확인을 위한 점검스위치가 구비되고 충전을 감시한다. 전원제어회로(124)는 AC컨터버(30)의 전원동작 릴레이를 제어하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상기 충전제어회로(122)는 배터리(20)에 전압을 인가하여 충전시키고, 상기 방전제어회로(123)는 배터리(20)의 전압을 DC방전회로로 인가하여 방전시키며 배터리(20)에 전압을 인가하여 충전시키고 트랜지스터(Q8) 및 FET(Q9)를 포함한다.
상기 프로그램 제어회로(119)는 회로전체에 대한 충전감시, 충전제어, 방전제어 및 리모콘제어하고 제어IC(U1)을 포함한다., 상기 전압감시회로(117)는 충전 감시 및 방전감시 전압을 설정하고 저항(R48), 저항(R51)을 포함한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컨트롤부 전원회로(127)는 프로그램 제어회로(119)에 안정적인 전압이 공급되도록 한다. 더불어,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방전제어회로(123)는 트랜지스터(Q8) 및 FET(Q9)의 스위칭동작에 따라 배터리(20)에 충전된 전원이 방전되도록 하고, 상기 충전제어회로(122)는 트랜지스터(Q6) 및 FET(Q7)의 스위칭동작에 따라 배터리(20)에 전원이 충전되도록 함으로써, 릴레이의 동작소음과 점검스위치에 의한 감전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러한 회로구성을 통해, 상용전원 차단시 비상전원을 공급하는 기능을 구현하면서도 회로구성을 간소화하여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점검스위치에 의한 감전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상등용 구동회로의 동작원리를 설명한다.
먼저, 상용전원 입력단(101)을 통해 상용전원이 공급되면 정류회로(113)의 브릿지다이오드(BD1)를 통해 정류된 전압이 저전압 감시회로(114)의 저항(R18)과 저항(R20)을 통해 상시 입력 전압을 감시하고 트랜지스터(Q3)과 FET(Q2)를 제어하여 전압강하 기준전압(예를 들면, 100V) 이하시 상용전원이 차단된 것으로 간주하여 비상 기능을 수행하고 정상 기준전압(예를 들면, 220V) 시에는 저항(R14) 및 저항(R15)을 통해 상용전원을 공급받아 제어IC(U1)에서 트랜스포머(L1)을 컨트롤 하여 전압을 안정화하고 트랜스포머(L1)에 다운된 전압이 다이오드(D3)와 콘덴서(EC4)에 의해 정류된 직류전압으로 예비 전원을 충전한다.
여기서, 급속충전을 위하여 충전시 1/5C이하로 전류를 제어하고, 완충시 1/20C 이하로 보충 충전 하도록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비상전원인 배터리(20)에 충전회로가 연결되지 않은 경우나 휴즈(FUSE)의 단선시 저항(R43) 및 저항(R44)의 전압강하를 감지하여 제어IC(U4)에 의해 LED가 점등(적색)되며 정상으로 동작시 소등된다. 단 방전시에는 방전이 진행됨에 표시 LED는 소등된다.
더불어, 배터리(20)의 충전은 다이오드(D2)의 출력 전압을 제어IC(U4)의 11번 PIN 저항(R42) 및 저항(R45)을 통하여 전압을 감지하고 정상 전압일시 제어IC(U4)의 3번 PIN에 신호를 통하여 트랜지스터(Q6) 및 FET(Q7)를 구동하여 배터리(20)에 충전을 개시하며 방전시에는 제어IC(U4)의 11번 PIN 저항(R42) 및 저항(R45)의 전압을 감지하여 제어IC(U4)의 2번 PIN에 신호를 통하여 트랜지스터(Q8) 및 FET(Q9)를 통해 DC-DC 컨버터로 전원을 공급한다. 이때 DC-DC 컨버터의 제어IC(U3)가 FET(Q4)를 제어하여 저항(R35) 내지 저항(R38)의 설정된 전류로 출력을 제어한다.
그리고, 최초 설치시 초기에 비상전원의 방전을 막기 위하여 배터리(20) 가 연결된 상태에서는 상시 전원이 공급되지 않을 경우 제어IC(U4)의 11번 PIN 저항(R42) 및 저항(R45)를 통해 전압을 감시하여 방전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회로 구성되어 배터리(20)의 커넥터를 꼽았다 뺐다 하는 불편함을 없애고 상용전원이 공급되면 충전이 이루어지고 차단되면 비상점등 되도록 회로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용전원(AC220V)이 차단되면 비상등이 방전을 개시하고 이때, 비상전원이 완전방전되지 않도록 셀당 1.0V이하로 잔류전압이 떨어지거나 비상전원의 연결을 임의로 끊으면 방전을 차단시키는 제어회로이다. 다시 상용전원이 공급되면 충전이 이루어진다. (운반시 방전종지전압 이후의 불필요한 방전을 차단하는 보호기능) 더불어, 비상작동 점검시에는 리모콘을 이용하여 점검 및 상시 안정기를 제어할 수 있으며 점검 스위치를 이용하여 점검이 가능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정류회로(113)에 의해 정류된 전압은 상기 트랜스포머(L1)에 공급되고 공급된 전압은 상기 제어IC(U1)에 의해 상기 FET(Q1)를 스위칭하여 트랜스포머(L1)의 2차측으로 전압을 유기하고, 상기 다이오드(D3)과 콘덴서(EC4)에 의해 전압이 평활화되며 저항(R23), 저항(R24), 저항(R25)에 의해 출력전압이 감지되어 제어IC(PC1)을 통해 제어IC(U1)에 피드백되면서 일정전압이 유지되고, 출력전류는 제어IC(U1)에 의해 FET(Q1)를 스위칭하면서 저항(R5), 저항(R6)에 의해 출력전류가 결정된다.
상기 정류회로(113)에 의해 정류된 전압을 저항(R19) 및 저항(R20)이 감시하여 정상 기준전압의 크기 이상시 트랜지스터(Q3)에 의해 FET(Q2)에 가해지는 전압이 상쇄되며 전압강하 기준전압 이하시 트랜지스터(Q3)가 동작을 멈추고 FET(Q2)가 동작하여 제어IC(U1)의 동작 전압을 상쇄시켜 충전동작을 멈추게 한다.
충전중에는 저항(R51), 저항(R48)에 의해 전압을 감시하여 설정 기준전압 이상시 충전중임을 인식하여 제어IC(U4)의 2번 PIN에 전압을 공급하여 트랜지스터(Q8)를 동작하여 FET(Q9)를 OFF시키고 제어IC(U4)의 3번 PIN에 전압을 OFF하여 트랜지스터(Q6)이 동작을 멈추고 FET(Q7)가 동작하여 다이오드(D2)로 출력된 전압이 배터리(20)에 공급되면서 충전되도록 하며, 저항(R51) 및 저항(R48)에 의해 전압을 감시하여 설정 기준전압 이하시 방전중임을 인식하여 제어IC(U4)의 2번 PIN에 전압을 OFF하여 트랜지스터(Q8)를 정지시키고 FET(Q9)를 동작되면서 방전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트랜지스터(Q6)가 동작을 하여 FET(Q7)를 OFF하면 충전동작이 멈추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11...전원입력제어회로 112...필터회로
113...정류회로 114...저전압 감시회로
115...발진 및 전류제어 회로 117...전압감시회로
119...프로그램 제어회로 121...점검제어회로
122...충전제어회로
123...방전제어회로 124...점검제어회로
126...DC방전회로

Claims (3)

  1. 상용전원이 공급되는 평상시에는 상용전원을 이용하여 배터리(20)에 비상전원을 충전하고 상용전원이 차단되는 비상시에는 배터리(20)에 충전된 비상전원을 LED모듈(10)에 인가하는 비상등용 구동회로에 있어서, 상용전원 입력단(101)에 회로연결되어 상용전원이 공급되며 입력되는 점검신호에 따라 공급되는 상용전원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전원입력 제어회로(111); 상기 전원입력 제어회로(111)에 회로연결되어 입력되는 상용전원에 포함된 이상전원을 필터링하여 안정화시키는 필터회로(112); 상기 필터회로(112)에 회로연결되어 입력되는 교류전압의 상용전원을 직류전압으로 정류하고 평활시키는 정류회로(113); 상기 정류회로(113)에 회로연결되어 입력전원의 전압을 감지하여 설정저전압 이하로 감지시 배터리(20)의 방전이 이루어지도록 감시하며 트랜지스터(Q3), FET(Q2), 저항(R19), 저항(R20) 및 콘덴서(EC3)를 포함하는 저전압 감시회로(114); 상기 저전압 감시회로(114)에 회로연결되어 입력전압을 스위칭하면서 출력전압으로 유기시키며 출력전류를 제어하고 제어IC(U1), 트랜스포머(L1) 및 FET(Q1)를 포함하는 발진 및 전류제어 회로(115); 상기 발진 및 전류제어 회로(115)의 후단에 회로연결되고 다이오드(D2), 다이오드(D3), 콘덴서(EC4), 저항(R23), 저항(R24), 저항(R25) 및 제어IC(PC1)를 포함하는 전압제어회로(116); 배터리(20)의 전압을 스위칭하여 부스트된 전압을 출력하고 전류를 제어하는 DC방전회로(126); 방전동작 확인을 위한 점검스위치가 구비되고 배터리(20)의 충전을 감시하는 점검제어회로(121); 배터리(20)에 전압을 인가하여 충전시키고 트랜지스터(Q6) 및 FET(Q7)를 포함하는 충전제어회로(122); 배터리(20)의 전압을 DC방전회로(126)로 인가하여 방전시키고 트랜지스터(Q8) 및 FET(Q9)를 포함하는 방전제어회로(123); 회로전체에 대한 충전감시, 배터리(20)의 충전 및 방전을 제어하고 제어IC(U4)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제어회로(119); 및 충전 감시 및 방전감시 전압을 설정하고 저항(R48), 저항(R51)을 포함하는 전압감시회로(117);를 포함하되,
    상기 정류회로(113)에 의해 정류된 전압은 상기 트랜스포머(L1)에 공급되고 공급된 전압은 상기 제어IC(U1)에 의해 상기 FET(Q1)를 스위칭하여 트랜스포머(L1)의 2차측으로 전압을 유기하고, 상기 다이오드(D3)과 콘덴서(EC4)에 의해 전압이 평활화되며 저항(R23), 저항(R24), 저항(R25)에 의해 출력전압이 감지되어 제어IC(PC1)을 통해 제어IC(U1)에 피드백되면서 일정전압이 유지되고, 출력전류는 제어IC(U1)에 의해 FET(Q1)를 스위칭하면서 저항(R5), 저항(R6)에 의해 출력전류가 결정되며,
    상기 정류회로(113)에 의해 정류된 전압을 저항(R19) 및 저항(R20)이 감시하여 정상 기준전압의 크기 이상시 트랜지스터(Q3)에 의해 FET(Q2)에 가해지는 전압이 상쇄되며 전압강하 기준전압 이하시 트랜지스터(Q3)가 동작을 멈추고 FET(Q2)가 동작하여 제어IC(U1)의 동작 전압을 상쇄시켜 충전동작을 멈추게 하고,
    충전중에는 저항(R51), 저항(R48)에 의해 전압을 감시하여 설정 기준전압 이상시 충전중임을 인식하여 제어IC(U4)의 2번 PIN에 전압을 공급하여 트랜지스터(Q8)를 동작하여 FET(Q9)를 OFF시키고 제어IC(U4)의 3번 PIN에 전압을 OFF하여 트랜지스터(Q6)이 동작을 멈추고 FET(Q7)가 동작하여 다이오드(D2)로 출력된 전압이 배터리(20)에 공급되면서 충전되도록 하며, 저항(R51) 및 저항(R48)에 의해 전압을 감시하여 설정 기준전압 이하시 방전중임을 인식하여 제어IC(U4)의 2번 PIN에 전압을 OFF하여 트랜지스터(Q8)를 정지시키고 FET(Q9)를 동작되면서 방전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트랜지스터(Q6)가 동작을 하여 FET(Q7)를 OFF하면 충전동작이 멈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는 비상등용 구동회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전제어회로(123)는 트랜지스터(Q8) 및 FET(Q9)의 스위칭동작에 따라 배터리(20)에 충전된 전원이 방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등용 구동회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충전제어회로(122)는 트랜지스터(Q6) 및 FET(Q7)의 스위칭동작에 따라 배터리(20)에 전원이 충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등용 구동회로.
KR1020220004446A 2022-01-12 2022-01-12 비상등용 구동회로 KR1024694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4446A KR102469414B1 (ko) 2022-01-12 2022-01-12 비상등용 구동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4446A KR102469414B1 (ko) 2022-01-12 2022-01-12 비상등용 구동회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9414B1 true KR102469414B1 (ko) 2022-11-22

Family

ID=84236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4446A KR102469414B1 (ko) 2022-01-12 2022-01-12 비상등용 구동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9414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3535B1 (ko) 2009-11-30 2011-08-03 (주)프로맥엘이디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한 비상등 구동회로
KR20140088441A (ko) * 2013-01-02 2014-07-10 주식회사 케이비텍 형광등용 비상등 전원공급장치
KR20140124294A (ko) * 2013-04-16 2014-10-24 주식회사 케이비텍 Led 비상등 컨버터
KR101797382B1 (ko) * 2016-08-08 2017-11-13 주식회사 대림시스템 비상유도등용 전원공급장치
JP2020036419A (ja) * 2018-08-28 2020-03-05 三菱電機株式会社 非常用照明装置
KR102260359B1 (ko) * 2020-05-22 2021-06-03 유니비스 주식회사 다중 경로 비상조명 제어모듈 및 그를 포함하는 비상조명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3535B1 (ko) 2009-11-30 2011-08-03 (주)프로맥엘이디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한 비상등 구동회로
KR20140088441A (ko) * 2013-01-02 2014-07-10 주식회사 케이비텍 형광등용 비상등 전원공급장치
KR20140124294A (ko) * 2013-04-16 2014-10-24 주식회사 케이비텍 Led 비상등 컨버터
KR101797382B1 (ko) * 2016-08-08 2017-11-13 주식회사 대림시스템 비상유도등용 전원공급장치
JP2020036419A (ja) * 2018-08-28 2020-03-05 三菱電機株式会社 非常用照明装置
KR102260359B1 (ko) * 2020-05-22 2021-06-03 유니비스 주식회사 다중 경로 비상조명 제어모듈 및 그를 포함하는 비상조명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94879B1 (en) Ballast for a discharge lamp
CN104081881A (zh) 照明供电
US8476866B2 (en) Battery charger capable of notifying a user of a power connection state thereof
EP3403310B1 (en) Emergency lighting unit with ac power charging
JP2013188093A (ja) 電源装置
US6049178A (en) Circuit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an emergency exit lamp
KR102469414B1 (ko) 비상등용 구동회로
KR100933979B1 (ko) 비상등 겸용 센서등
KR101844855B1 (ko) 정전 대응 기능을 구비한 전기 차량용 배터리 충전 장치 및 그 방법
US8836227B2 (en) Lighting device
KR20010051942A (ko) 리모트 컨트롤 수신 시스템 및 ac 어댑터 시스템을포함하는 전자 기기
KR100960981B1 (ko) 비상조명등용 배터리 과충방전 제어장치
KR20060098318A (ko) 비상 조명장치
KR100831739B1 (ko) 비상등 겸용 조명기구의 점등 제어장치
JP6332620B2 (ja) 非常用点灯装置
KR101797382B1 (ko) 비상유도등용 전원공급장치
ITMI961198A1 (it) Dispositivo di illuminazione di emergenza a consumo energetico otti- mizzato
KR200191129Y1 (ko) 비상 전원장치
KR200341367Y1 (ko) 소비전력 절약형 소방용 등
KR200275615Y1 (ko) 엘리베이터 비상조명등 전원 장치
CN102820795B (zh) 用于为插入式交通工具充电的离线供电电源和装置
JPH11329024A (ja) 街路灯装置
KR20050108458A (ko)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통로 및 피난구 유도등
KR102107202B1 (ko) 터널등 제어 장치
KR200194852Y1 (ko) 비상 조명전원 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