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8842B1 - 확장형 모뎀을 이용한 원격 검침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확장형 모뎀을 이용한 원격 검침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8842B1
KR102468842B1 KR1020200161711A KR20200161711A KR102468842B1 KR 102468842 B1 KR102468842 B1 KR 102468842B1 KR 1020200161711 A KR1020200161711 A KR 1020200161711A KR 20200161711 A KR20200161711 A KR 20200161711A KR 102468842 B1 KR102468842 B1 KR 1024688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m
subnet
master
meter reading
exten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17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73543A (ko
Inventor
진창우
문재명
Original Assignee
(주)누리플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누리플렉스 filed Critical (주)누리플렉스
Priority to KR10202001617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8842B1/ko
Publication of KR202200735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35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88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88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4Charging, meter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data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 H04L12/1403Architecture for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30Smart metering, e.g. specially adapted for remote rea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확장형 모뎀을 이용한 원격 검침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장형 모뎀을 이용한 원격 검침 방법은, 마스터 모뎀이 상기 마스터 모뎀과 유지관리 포트(Maintenance port)를 통해 연결된 서브넷 모뎀에 마스터 모드 설정 커맨드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브넷 모뎀으로부터 상기 유지관리 포트를 통해 상기 마스터 모드 설정 커맨드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면 마스터 모드 변경에 따른 모드 변경 알람과 마스터 및 서브넷 모뎀에 대한 모뎀 정보를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로부터 응답받으면 상기 서브넷 모뎀에 모드 변경을 알려 마스터 및 서브넷 모뎀의 모드 변경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확장형 모뎀을 이용한 원격 검침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REMOTE METER READING USING EXTENDED MODEM}
본 발명은 확장형 모뎀을 이용한 원격 검침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AMI(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 시스템에서는 무선 RF 망을 구성 할 때 DCU(1) ↔ 모뎀(n) 형태로 구성되었고, RF 음영 지역 해소 및 망 확장 즉, 망 커버리지를 높이기 위해서는 DCU(Data concentration unit)가 필수 적으로 추가로 설치되어야 했다. 
DCU의 경우 전원 공사 및 유지 보수 비용을 추가로 필요로 하고, 절차가 복잡하여 설치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
망 커버리지 대비 DCU의 추가 설치가 빈번히 발생한다. 예컨대, 음영 지역의 모뎀인 경우에 해당한다.
현재 국내 및 해외에 설치되어 있는 모뎀 설치 환경에 확장형 모뎀 시스템을 도입하기 적합하다. 예컨대, LTE 모뎀과 Wi-Sun/ Zigbee 모뎀 등 혼재되어 필드(Feild) 환경에 설치되어 있다. 뿐만 아니라 추가 망 구성에 있어 기존 모뎀 교체 또는, 추가 설치를 통해 기존의 DCU 설치 절차 요소를 없애고 비용적인 측면에서 고려해야 될 사항이 줄어들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일반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모뎀의 유지관리 포트(maintenance port)(예컨대, UART 시리얼) 확장을 통해 원격 검침 시스템에서 주로 사용되는 집중기(DCU) 구성을 대체하기 위한, 확장형 모뎀을 이용한 원격 검침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망 확장성 및 부하 관리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고, 원격 검침 시스템의 데이터 실시간성을 높이기 위한, 확장형 모뎀을 이용한 원격 검침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의 환경에서도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마스터 모뎀이 상기 마스터 모뎀과 유지관리 포트(Maintenance port)를 통해 연결된 서브넷 모뎀에 마스터 모드 설정 커맨드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브넷 모뎀으로부터 상기 유지관리 포트를 통해 상기 마스터 모드 설정 커맨드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면 마스터 모드 변경에 따른 모드 변경 알람과 마스터 및 서브넷 모뎀에 대한 모뎀 정보를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로부터 응답받으면 상기 서브넷 모뎀에 모드 변경을 알려 마스터 및 서브넷 모뎀의 모드 변경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확장형 모뎀을 이용한 원격 검침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서브넷 모뎀과 서브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서브넷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서브넷 모뎀을 통해 네트워크 조인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네트워크 조인 메시지의 조인 요청을 처리하고 조인 요청의 처리 결과를 상기 서브넷 모뎀을 통해 서브넷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검침 스케줄에 따라 상기 서브넷 디바이스에 상기 서브넷 모뎀을 통해 검침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서브넷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서브넷 모뎀을 통해 검침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수신된 검침 정보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서브넷 디바이스로부터 조인 요청을 수신하면, 기설정된 등록 가능한 서브넷 디바이스의 개수를 확인하여 서브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상기 서브넷 디바이스의 수용 한도를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브넷 디바이스의 수용 한도를 조절하는 단계는, 기설정된 등록 가능한 서브넷 디바이스의 개수를 초과하는 경우, 기설정된 시간 동안 통신이 되지 않은 서브넷 디바이스를 삭제한 후, 상기 서브넷 디바이스의 등록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마스터 모뎀의 유휴 메모리 자원이 부족할 경우, 상기 서브넷 모뎀의 메모리를 상기 마스터 모뎀의 외부 메모리로 사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스터 모뎀의 외부 메모리로 사용하는 단계는, 외부 메모리 사용 시, 상기 서브넷 모뎀의 메모리에서의 마지막 주소부터 하위 주소 방향으로 검침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마스터 모뎀과 유지관리 포트(Maintenance port)를 통해 연결된 서브넷 모뎀; 및 상기 서브넷 모뎀에 마스터 모드 설정 커맨드를 전송하고, 상기 서브넷 모뎀으로부터 상기 유지관리 포트를 통해 상기 마스터 모드 설정 커맨드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면 마스터 모드 변경에 따른 모드 변경 알람과 마스터 및 서브넷 모뎀에 대한 모뎀 정보를 서버에 전송하는 마스터 모뎀을 포함하고, 상기 마스터 모뎀은, 상기 서버로부터 응답받으면 상기 서브넷 모뎀에 모드 변경을 알려 마스터 및 서브넷 모뎀의 모드 변경을 수행하는, 확장형 모뎀을 이용한 원격 검침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마스터 모뎀은, 상기 서브넷 모뎀과 서브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서브넷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서브넷 모뎀을 통해 네트워크 조인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네트워크 조인 메시지의 조인 요청을 처리하고 조인 요청의 처리 결과를 상기 서브넷 모뎀을 통해 서브넷 디바이스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마스터 모뎀은, 검침 스케줄에 따라 상기 서브넷 디바이스에 상기 서브넷 모뎀을 통해 검침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서브넷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서브넷 모뎀을 통해 검침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수신된 검침 정보를 상기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마스터 모뎀은, 상기 서브넷 디바이스로부터 조인 요청을 수신하면, 기설정된 등록 가능한 서브넷 디바이스의 개수를 확인하여 서브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상기 서브넷 디바이스의 수용 한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마스터 모뎀은, 기설정된 등록 가능한 서브넷 디바이스의 개수를 초과하는 경우, 기설정된 시간 동안 통신이 되지 않은 서브넷 디바이스를 삭제한 후, 상기 서브넷 디바이스의 등록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마스터 모뎀은, 상기 마스터 모뎀의 유휴 메모리 자원이 부족할 경우, 상기 서브넷 모뎀의 메모리를 상기 마스터 모뎀의 외부 메모리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서브넷 모뎀은, 외부 메모리 사용 시, 상기 서브넷 모뎀의 메모리에서의 마지막 주소부터 하위 주소 방향으로 검침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일반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모뎀의 유지관리 포트(maintenance port)(예컨대, UART 시리얼) 확장을 통해 원격 검침 시스템에서 주로 사용되는 집중기(DCU) 구성을 대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를 통해 DCU 설치에 들어가는 유지 보수 및 설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망 확장성 및 부하 관리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고, AMI 시스템의 데이터 실시간 성을 높이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이는 원격 검침 시스템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확장형 모뎀을 이용하여 저전력 통신(예컨대, Wi-Sun 및 LoRa, NB-IoT 등) 저전력 특성을 가지면서 장거리 통신이 가능한 LPWAN 환경에서 스마트그리드, 스마트팩토리, 시티 등의 분야에서 다양하게 쓰여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장형 모뎀을 이용한 원격 검침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터 모뎀과 서브넷 모뎀 간의 연결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장형 모뎀을 이용한 원격 검침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터 모뎀 및 서브넷 모뎀에서의 확장형 모뎀을 이용한 모드 설정 관리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장형 모뎀을 이용한 원격 검침 시스템에서 부하 관리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장형 모뎀을 이용한 원격 검침 시스템에서의 검침 관리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터 모뎀 및 서브넷 모뎀에서의 확장형 메모리 관리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a, 도9b 및 도 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터 모뎀 및 서브넷 모뎀에서의 메모리 확장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장형 모뎀의 유지관리 포트 패킷 레이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 및 도 1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장형 모뎀을 통한 망 확장성 증가 및 부하 분산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이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판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장형 모뎀을 이용한 원격 검침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장형 모뎀을 이용한 원격 검침 시스템(100)은 서버(150), 마스터 모뎀(140), 서브넷 모뎀(130), 서브 네트워크 디바이스(120) 및 계량기(110)를 포함한다. 그러나 도시된 구성요소 모두가 필수 구성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많은 구성요소에 의해 확장형 모뎀을 이용한 원격 검침 시스템(100)이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에 의해서도 확장형 모뎀을 이용한 원격 검침 시스템(100)이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도 1의 확장형 모뎀을 이용한 원격 검침 시스템의 각 구성요소들의 구체적인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장형 모뎀을 이용한 원격 검침 시스템(100)은 종래의 집중기(DCU)를 필요로 하지않고, 설치되어 있는 모뎀을 마스터 모뎀(140)(Master Modem) 및 서브넷 모뎀(130)(Sub-network Modem)으로 확장하여 원격 검침 네트워크를 효율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 즉, LTE 모뎀 1대와 서브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모뎀에 유지관리 포트(Maintenance port)(예컨대, UART 시리얼)을 활용하여 모뎀에 내장되어 있는 커맨드를 활용하고, DCU와 똑같은 역할을 하는 구조를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를 통해 DCU 설치에 들어가는 유지 보수 및 설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검침 시스템(100)은 망 확장성 및 부하 관리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고, AMI 시스템의 데이터 실시간 성을 높이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이는 선불식 검침 시스템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검침 시스템(100)은 확장형 모뎀을 이용하여 저전력 통신(예컨대, Wi-Sun 및 LoRa, NB-IoT 등) 저전력 특성을 가지면서 장거리 통신이 가능한 LPWAN 환경에서 스마트그리드, 스마트팩토리, 시티 등의 분야에서 다양하게 쓰여질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터 모뎀과 서브넷 모뎀 간의 연결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확장형 모뎀의 구성도에 대한 세부적인 도면이다. 도 2와 같이 확장형 모뎀의 경우 두개의 모뎀이 유지관리 포트를 통해 연결 되어 있다. 이때, 두 모뎀은 각각 마스터 모드로 변경된다. WAN( LTE ) 모뎀의 경우는 마스터 모뎀(140)으로 동작하며, 서버(150)와 통신이 가능한 노드 역할을 한다. 서브 네트워크 모뎀은 서브넷 모뎀(130)으로 동작하고, 서브 네트워크 노드 디바이스들의 부모(Parent) 노드역할을 한다. 또한, 서브 네트워크 모뎀은 서브 네트워크의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 수집 및 커맨드 전송 역할을 수행한다. 
WAN( LTE ) 모뎀의 경우 마스터 모뎀(140)으로 동작하고, 서브 네트워크 모뎀의 경우 서브넷 모뎀(130)으로 정의한다. 
두 개의 모뎀이 연결되었을 경우 데이터 집중기 역할을 수행하며, 각각 서로 다른 네트워크(예컨대, WAN - LTE, 서브 네트워크 - Wi-sun/Zigbee ) 간의 통신 선로의 역할을 한다. 
이때, 두 모뎀의 경우 마스터 모드로 변경이 되었을 경우 네트워크 트래픽 및 메모리 관리가 추가적으로 수행한다.
한편, 서브넷 모뎀(130)은 마스터 모뎀(140)과 유지관리 포트(Maintenance port)를 통해 연결된다.
마스터 모뎀(140)은 서브넷 모뎀(130)에 마스터 모드 설정 커맨드를 전송하고, 서브넷 모뎀(130)으로부터 유지관리 포트를 통해 마스터 모드 설정 커맨드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면 마스터 모드 변경에 따른 모드 변경 알람과 마스터 및 서브넷 모뎀(130)에 대한 모뎀 정보를 서버(150)에 전송한다.
그리고 마스터 모뎀(140)은, 서버(150)로부터 응답받으면 서브넷 모뎀(130)에 모드 변경을 알려 마스터 및 서브넷 모뎀(130)의 모드 변경을 수행한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마스터 모뎀(140)은, 서브넷 모뎀(130)과 서브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서브넷 디바이스로부터 서브넷 모뎀(130)을 통해 네트워크 조인 메시지를 수신하면, 네트워크 조인 메시지의 조인 요청을 처리하고 조인 요청의 처리 결과를 서브넷 모뎀(130)을 통해 서브넷 디바이스에 전송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마스터 모뎀(140)은, 검침 스케줄에 따라 서브넷 디바이스에 상기 서브넷 모뎀(130)을 통해 검침 정보를 요청하고, 서브넷 디바이스로부터 서브넷 모뎀(130)을 통해 검침 정보를 수신하면 수신된 검침 정보를 서버(150)에 전송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마스터 모뎀(140)은, 서브넷 디바이스로부터 조인 요청을 수신하면, 기설정된 등록 가능한 서브넷 디바이스의 개수를 확인하여 서브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서브넷 디바이스의 수용 한도를 조절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마스터 모뎀(140)은, 기설정된 등록 가능한 서브넷 디바이스의 개수를 초과하는 경우, 기설정된 시간 동안 통신이 되지 않은 서브넷 디바이스를 삭제한 후, 상기 서브넷 디바이스의 등록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마스터 모뎀(140)은, 마스터 모뎀(140)의 유휴 메모리 자원이 부족할 경우, 서브넷 모뎀(130)의 메모리를 마스터 모뎀(140)의 외부 메모리로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서브넷 모뎀(130)은, 외부 메모리 사용 시, 서브넷 모뎀(130)의 메모리에서의 마지막 주소부터 하위 주소 방향으로 검침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장형 모뎀을 이용한 원격 검침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확장형 모뎀에 대한 모드 전환 및 검침에 대한 순서도가 도 2에 나타나 있다.
단계 S101에서, 마스터 ( WAN/LTE ) 모뎀(140)은 전원이 켜졌을 경우 시리얼을 통해 마스터 모드 설정 커맨드를 전송한다. 
단계 S102에서, 마스터 모뎀(140)은 만약 시리얼에 연결되어 있는 서브넷 모뎀(130)이 존재 한다면 응답을 받을 것이다. 마스터 모뎀(140)은 응답이 없을 경우 기존 모뎀 동작과 동일하게 동작한다. 
단계 S103에서, 응답을 받게 되면 서브넷 모뎀(130)의 정보를 마스터 모뎀(140)이 받게 되고 해당 정보를 저장한다. 
단계 S104에서, 또한, 마스터 모뎀(140)은 마스터 모드 변경에 따른 모드 변경 알람과 마스터/ 서브넷 모뎀(130)에 대한 정보를 서버(150)로 전송한다. 
단계 S105에서, 서버(150)는 데이터에 대한 응답을 마스터 모뎀(140)에게 전달한다. 
단계 S106에서, 서버(150)로부터 수신을 잘 받았다면, 마스터 모뎀(140)은 서브넷 모뎀(130)으로 모드 변경( 마스터 모드)에 대한 시작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한다.
단계 S107에서, 서브넷 모뎀(130)은 단계 S106번의 메시지를 받게 되면, 마스터 모드로 변경 후 서브 네트워크 노드에서의 하위 디바이스로부터 무선 조인(RF Join) 메시지를 기다린다.
단계 S108에서, 서브넷 모뎀(130)은 모드 ( 마스터 모드 ) 변경과 동시에 마스터 모뎀(140)에 모드 변경에 대한 결과를 응답한다. 
단계 S109에서, 서브넷 모뎀(130)은 지속적으로 서브 네트워크망의 무선 조인(RF Join) 수집을 대기한다. 
단계 S110에서, 서브 네트워크 망의 하위 서브 네트워크 디바이스(120)로부터 네트워크 접속(Join) 메시지를 받았을 경우 서브넷 모뎀(130)은 마스터 모뎀(140)에 메시지를 전송한다. 
단계 S111에서, 마스터 모뎀(140)은 하위 서브 네트워크 디바이스(120)의 조인 요청에 대한 처리 프로세스를 진행한다. 이때, 메모리유휴 상태 및 최대 모뎀 연결 관련 처리 프로세스 진행한다.
단계 S112에서, 마스터 모뎀(140)은 처리 프로세스에 대한 결과를 서브넷 모뎀(130)을 통해 서브 네트워크 디바이스(120)에 응답한다.
단계 S113 및 S114에서, 마스터 모뎀(140)은 원격 검침 스케줄 프로세스를 수행하고, 원격 검침 정보를 서브넷 모뎀(130)을 통해 서브 네트워크 디바이스(120)에 요청한다.
단계 S115에서, 서브 네트워크 디바이스(120)는 원격 검침 정보를 서브넷 모뎀(130)을 통해 마스터 모뎀(140)에 응답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터 모뎀 및 서브넷 모뎀에서의 확장형 모뎀을 이용한 모드 설정 관리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모드 설정 관리 동작은 정상 모드에서 마스터 모드로 변경되는 경우에 수행된다.
단계 S201에서, 마스터 모뎀(140)은 초기화를 시작한다.
단계 S202에서, 마스터 모뎀(140)은 유지관리 포트를 확인한다.
단계 S203에서, 마스터 모뎀(140)은 유지관리 포트를 통해 서브넷 모뎀(130)에 마스터 모드 설정 커맨드를 전송한다.
단계 S204에서, 마스터 모뎀(140)은 응답 대기한다.
단계 S205에서, 마스터 모뎀(140)은 응답에 대한 요청이 없을 경우 단계 S203번으로 이동하여 재요청하고 재전송 횟수는 예컨대, 3 회로 정하기로 한다.
단계 S206에서, 마스터 모뎀(140)은 요청에 대한 응답 및 서브넷 모뎀(130)에 대한 모뎀 정보를 응답받는지를 확인한다.
단계 S207에서, 마스터 모뎀(140)은 요청에 대한 응답이 있을 경우 서버(150) 측으로 마스터 모드 변경에 대한 푸시 커맨드를 수행한다.
단계 S208 및 S209에서, 마스터 모뎀(140)은 서버(150)로부터 응답 대기하고, 응답이 없을 경우 재시도한다. 이 과정은 WAN 망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의 여부도 함께 확인하게 된다.
단계 S210에서, 마스터 모뎀(140)은 서버(150)로부터 확인 응답을 받으면, 마스터 모드 변경 완료에 대한 최종 커맨드를 서브넷 모뎀(130)에 전송한다.
단계 S211에서, 마스터 모뎀(140)은 마스터 모드 진행을 완료한다.
한편, 서브넷 모뎀(130)에서의 확장형 모뎀을 이용한 모드 설정 관리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단계 S301에서, 서브넷 모뎀(130)은 초기화를 수행한다.
단계 S302에서, 서브넷 모뎀(130)은 유지관리 포트를 통해 수신(listen) 대기한다.
단계 S303에서, 마스터 모드 변경에 대한 요청이 마스터 모뎀(140)으로부터 전송된다.
단계 S304에서, 서브넷 모뎀(130)은 응답 요청이 있는지 확인하고, 응답이 있다면 다음 단계로 진행한다.
단계 S305에서, 서브넷 모뎀(130)은 마스터 모뎀(140)에 대한 응답 및 자신의 ( 서브넷 모뎀(130) ) 정보를 함께 전송한다.
단계 S306에서, 서브넷 모뎀(130)은 응답 대기한다.
단계 S307에서, 서브넷 모뎀(130)은 마스터 모뎀(140)으로부터 마스터 모드 시작을 요청받는다.
단계 S308에서, 서브넷 모뎀(130)은 마스터 모드 시작 요청이 맞는지를 확인한다.
단계 S309에서, 서브넷 모뎀(130)은 마스터 모드 변경 후 서브 네트워크 망의 다른 서브 네트워크 디바이스(120)로부터 네트워크 조인(join) 응답을 받을 수 있도록 대기한다. 
단계 S310에서, 서브넷 모뎀(130)은 마스터 모드 시작을 완료한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장형 모뎀을 이용한 원격 검침 시스템에서 부하 관리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마스터 모뎀(140)의 경우 서브 네트워크 망내의 모뎀들의 수용 한도를 조절해야 한다. 이는 서브 네트워크 망내의 부하 관리를 통해 최적의 통신환경을 유지하기 위함이며, 뿐만 아니라 제한적인 메모리 환경에서 다수의 서브 네트워크 디바이스(120)를 수용하기 위해서 이다. 
단계 S401에서, 마스터 모뎀(140)은 마스터 모드를 시작한다.
단계 S402에서, 마스터 모뎀(140)은 서브 네트워크 디바이스(120)의 네트워크 조인 요청을 대기한다. 
단계 S403에서, 마스터 모뎀(140)은 서브 네트워크 디바이스(120)로부터 조인 요청을 서브넷 모뎀(130)을 통해 수신한다.
단계 S404에서, 마스터 모뎀(140)은 서브 네트워크 디바이스(120)로부터 조인 요청이 있는지를 확인한다.
단계 S405에서, 마스터 모뎀(140)은 연결된 모뎀의 리스트를 현재 접속 요청된 모뎀과 비교하여 중복 확인한다.
단계 S406에서, 마스터 모뎀(140)은 기등록된 모뎀인지를 확인한다.
단계 S407에서, 마스터 모뎀(140)은 기등록 모뎀이라면 등록 완료 메세지를 서브 네트워크 디바이스(120)에 보내고, 검침 리스트 및 네트워크 상태에 대한 정보를 업데이트 해준다. 
단계 S408에서, 마스터 모뎀(140)은 기등록 모뎀이 아니라면 등록 프로세스를 실행한다.
단계 S409 및 S410에서, 마스터 모뎀(140)은 등록 가능한 모뎀의 개수를 확인하고, 등록 가능하다면, 등록 및 검침 리스트 추가 및 네트워크 상태에 대한 정보를 업데이트 해준다. 또한, 등록 사실을 서브 네트워크 디바이스(120)에 알려준다. 
단계 S411에서, 마스터 모뎀(140)은 등록된 모뎀 중 현재 통신이 가장 오랫동안 통신되지 않은 모뎀을 확인한다. 
단계 S412 및 S413에서, 마스터 모뎀(140)은 만약 통신되지 않은 모뎀이 존재한다면, 기등록된 모뎀(통신 실패 모뎀)을 삭제한 후, 현재 접속 모뎀을 등록하는 단계 S410번 단계를 수행한다.
단계 S414에서, 마스터 모뎀(140)은 만약 통신되지 않은 모뎀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등록 실패로 정하고, 서버(150)에 등록 실패 메시지 전송 및 서브 네트워크 디바이스(120)에 등록 실패를 알린다.
단계 S415에서, 마스터 모뎀(140)은 서브 네트워크 디바이스(120)에 등록 거절(reject) 알림을 전송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장형 모뎀을 이용한 원격 검침 시스템에서의 검침 관리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확장형 모뎀에서 검침 스케줄(Schedule) 관리는 마스터 모뎀(140)( WAN )이 진행하게 되며, 서브넷 모뎀(130)의 경우 마스터 모뎀(140)의 검침 커맨드를 서브 네트워크 디바이스(120)에 전송해주는 터널 역할을 해준다. 
단계 S501에서, 마스터 모뎀(140)은 검침 스케쥴을 시작한다.
단계 S502에서, 마스터 모뎀(140)은 검침 스케쥴 타임을 대기한다.
단계 S503에서, 마스터 모뎀(140)은 모뎀 리스트 중 검침을 수행할 모뎀이 존재 하는지를 확인한다. 만약, 마스터 모뎀(140)은 없다면 단계 S502를 수행하여 검침 대기한다.
단계 S504에서, 마스터 모뎀(140)은 계량기(110)(서브 네트워크 디바이스(120))로 검침 관련 커맨드를 수행하고, 서브넷 모뎀(130)은 서브 네트워크 디바이스(120)로 검침 관련 커맨드를 전송한다.
단계 S505에서, 마스터 모뎀(140) 및 서브넷 모뎀(130)은 응답 대기한다.
단계 S506에서, 서브넷 모뎀(130)은 서브 네트워크 디바이스(120)로부터 응답받는다.
단계 S507에서, 마스터 모뎀(140) 및 서브넷 모뎀(130)은 요청에 대한 응답이 존재하는지를 확인한다.
단계 S508에서, 마스터 모뎀(140)은 응답 실패시, 모뎀 리스트에 해당 모뎀의 네트워크 상태를 업데이트하고, 검침 실패로 등록한다.
단계 S509에서, 마스터 모뎀(140)은 응답 성공 시, 모뎀 데이터 체크 후 서버(150)로 전송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터 모뎀 및 서브넷 모뎀에서의 확장형 메모리 관리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종래에 설치된 모뎀의 경우, 하드웨어 메모리 구성의 경우 집중기(DCU)에 비해 가격이 저렴하기 때문에 서브 네트워크 노드 디바이스의 정보를 저장하는데 용량이 부족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마스터 모뎀(140)은 각 확장형 모뎀 각각에 연결 된 검침데이터 또한 저장해야 하므로 효율적인 메모리 관리가 필요하다. 
확장형 모뎀의 경우 마스터 모뎀(140) 및 서브넷 모뎀(130) 두 개의 모뎀으로 구성이 되므로 마스터 모뎀(140)의 유휴 메모리 자원이 부족할 경우 메모리 플래그(Flag)와 서브넷 모뎀(130)의 시작 메모리 주소를 사용하여 마스터 모뎀(140)이 마치 외부 메모리를 사용하는 것처럼 서브넷 모뎀(130)의 메모리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마스터 모뎀(140) 및 서브넷 모뎀(130)의 경우 자신과 연결된 계량기(110)의 검침 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우선으로 하고, 그외 마스터 모드로 변경 시에 전체 메모리 2/5를 서브 네트워크 디바이스(120) 정보를 저장하는데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서브넷 모뎀(130)은 메모리 사용 시 메모리의 마지막 주소부터 하위 주소 방향으로 데이터를 저장한다.  
마스터 모뎀(140)은 서브 네트워크 망 구성 및 관리에 할당된 유휴 메모리를 모두 사용할 경우 서버(150)에 알람을 통해 상황을 인지시키고, 모뎀 조인 제한 또는 데이터 리프레시(refresh) 프로세스를 통해 자원을 사용할 수 있도록 조치를 취한다. 
도 9a, 도9b 및 도 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터 모뎀 및 서브넷 모뎀에서의 메모리 확장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a 및 도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 S601에서, 마스터 모뎀(140)은 메모리 저장 프로세서를 동작한다.
단계 S602에서, 마스터 모뎀(140)은 데이터 입력을 확인한다.
단계 S603에서, 마스터 모뎀(140)은 서브 네트워크 망과 관련된 데이터 저장 프로세스가 수행되는지를 확인한다.
단계 S604에서, 마스터 모뎀(140)은 서브 네트워크 망과 관련된 데이터 저장 프로세스가 수행되면, 유휴 저장 공간을 확인한다.
단계 S605에서, 마스터 모뎀(140)은 저장 공간이 충분한지를 확인한다.
단계 S606에서, 마스터 모뎀(140)은 저장 공간이 충분하면, 데이터를 저장한다.
단계 S607에서, 마스터 모뎀(140)은 저장 공간이 충분하지 않으면, 서브넷 모뎀(130)의 서브 메모리 플래그를 트루(true)로 설정한다.
단계 S608에서, 마스터 모뎀(140)은 서브넷 모뎀(130)에 데이터 저장을 푸시 요청한다.
단계 S609에서, 마스터 모뎀(140)은 서브넷 모뎀(130)에 데이터 푸시한다.
단계 S610에서, 마스터 모뎀(140)은 서브넷 모뎀(130)으로부터 요청에 대한 결과가 성공인지를 확인한다.
단계 S611에서, 마스터 모뎀(140)은 서버(150)에 메모리 부족에 대한 알람을 전달한다.
단계 S612에서, 마스터 모뎀(140)은 응답을 확인한다.
단계 S613에서, 마스터 모뎀(140)은 데이터 정리 작업을 진행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 S701에서, 서브넷 모뎀(130)은 메모리 저장 프로세스를 동작한다.
단계 S702에서, 서브넷 모뎀(130)은 데이터 입력을 확인한다.
단계 S703에서, 서브넷 모뎀(130)은 서브넷 모뎀(130)에 대한 메모리 플래그 업 커맨드인지를 확인한다.
단계 S704에서, 서브넷 모뎀(130)은 서브넷 모뎀(130)에 대한 메모리 플래그 업 커맨드이면 메모리 플래그를 업시킨다.
단계 S705에서, 서브넷 모뎀(130)은 서브넷 모뎀(130)에 대한 메모리 플래그 업 커맨드가 아니면 메모리 플래그를 확인한다.
단계 S706에서, 서브넷 모뎀(130)은 메모리 플래그가 확인되면 메모리 저장 공간이 충분한지를 확인한다.
단계 S707에서, 서브넷 모뎀(130)은 메모리 저장 공간이 충분하면 데이터를 저장한다.
단계 S708에서, 서브넷 모뎀(130)은 저장된 메모리 주소에 대한 정보를 마스터 모뎀(140)에 전송한다.
단계 S709에서, 서브넷 모뎀(130)은 메모리 저장 공간이 충분하지 않으면 마스터 모뎀(140)에 유휴 메모리가 존재하지 않음을 알린다.
한편, 단계 S710에서, 서브넷 모뎀(130)은 메모리 플래그가 확인되지 않으면 메모리 정리 커맨드인지를 확인한다.
단계 S711에서, 서브넷 모뎀(130)은 메모리 정리 커맨드이면 메모리 정리 및 정리 완료를 마스터 모뎀(140)에 전송한다.
한편, 확장형 모뎀 정보 구조(structure)(메모리)가 [표 1] 및 [표 2]와 같이 나타내진다.
변수 크기 (Byte)
parent ID 4 byte
모뎀 ID 4 byte
계량기(110) ID 4 byte
Rssi 1 byte
네트워크 상태 1 byte
마스터 모뎀(140)은 서브넷 모뎀(130)의 메모리 내의 모뎀 정보에 대한 테이블을 가지고 있다. 단, 메모리 플래그가 셋업(Set up)이 되었을 경우에만 테이블을 사용한다. 테이블의 구조는 [표 3]과 같다.
start Address (4 byte) length (1 byte) type (1 byte)
hexa 10 byte (info structure) modem info (0x00)
마스터 모뎀(140)의 경우 유지관리 포트로 서브 네트워크 디바이스(120)의 데이터를 서브넷 모뎀(130)으로부터 전송을 받는데 이때, 사용가능한 메모리가 한계에 도달 했을 경우 메모리 플래그를 트루(true)로 셋업(set up)하고 서브넷 모뎀(130)에 메모리 플래그 셋업(Flag set up) 요청을 한다. 이후, 서브넷 모뎀(130)은 메모리 플래그를 셋업하고 현재 데이터를 저장한다. 저장 직후 서브넷 모뎀(130)은 마스터 모뎀(140)에 위의 저장된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전송한다. 기본 디폴트 타입(default type)은 모뎀 정보 저장 용도로 사용된다. 메모리 플래그가 셋업된 이후에 서브넷 모뎀(130)은 서브 네트워크 상의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를 받게 될 경우 즉시 자신의 메모리에 데이터를 저장하며 마스터 모뎀(140)에는 저장 된 데이터의 메모리 위치에 대한 정보만을 다시 전송 한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장형 모뎀의 유지관리 포트 패킷 레이어를 나타낸 도면이다.
유지관리 포트 내부에 마스터 모뎀(140)과 서브넷 모뎀(130)의 데이터 전송 패킷은 다음과 같이 구성 된다. 모뎀 회사 별 CLI 커맨드 미리 정해져 있고, 위의 패킷은 정형적으로 표현하였다.
시작 플래그(start flag), 마지막 플래그(end flag)는 동일하며 각 마스터와 서브의 동작에 따라 커맨드 필드(Field)를 설정해준다. 다음 소스 주소(Source address), 목적지 주소(Destination Address)는 커맨드의 최종 수행 위치를 및 응답에 대한 처리를 누가 해야 되는지에 대한 결정을 할 수 있도록 주소로 구분한다. 
모뎀 정보(info) 데이터 커맨드의 경우 서브넷 모뎀(130)으로부터 마스터 모뎀(140)으로 주로 전송하며, 서브 네트워크 디바이스(120)가 서브넷 모뎀(130)으로 조인되었을 경우 마스터 모뎀(140)이 해당 패킷을 서브넷 모뎀(130)으로부터 받아 처리하는 명령이다. 
검침 데이터 커맨드의 경우 서브넷 모뎀(130)으로부터 마스터 모뎀(140)을 거쳐 서버(150)로 검침 데이터를 바로 전송하는 명령이며, 모뎀의 옵션에 따라 저장소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프로세스를 수행 할 수 있다. 
모드 변경 커맨드의 경우 마스터 모뎀(140)으로부터 서브넷 모뎀(130)으로의 커맨드며 최초 실행 or 서버(150) 커맨드에 의해 마스터 모뎀(140)이 수행한다. 
플래그 셋업 저장(Save Flag Set up) 커맨드의 경우 마스터 모뎀(140)으로부터 서브넷 모뎀(130)으로의 커맨드며 마스터 모뎀(140)의 유휴 메모리를 모두 사용했을 경우 서브넷 모뎀(130)의 메모리를 외부 메모리 처럼 사용하기 전에 설정하는 명령어이다. 
각 커맨드 필드와 마스터 모뎀(140) 및 서브넷 모뎀(130) 간의 셋업 절차 경우 모뎀 사 별로 상이 할 수 있으며, 다양한 커맨드들이 존재 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장형 모뎀을 통한 망 확장성 증가 및 부하 분산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서브 네트워크 망의 부하 분산(Load Balancing)을 통해 망 안정화 및 서브 트리 노드 모뎀의 데이터의 실시간 성을 극대화 시킬 수 있다. 
집중기(DCU)의 가격 = 10 / 확장형 모뎀 설치 비용 = 2라고 가정 했을 경우 2가지 이점이 존재한다.
첫번째, 망의 부하 분산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DCU의 가격으로 확장형 모뎀의 경우 여러개의 망으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망의 부하를 분산시켜 데이터 유실 방지 및 실시간 성을 극대화 시킬 수 있다. 
로드 분산 효과 = ( DCU 가격 / 확장형 모뎀 설치 가격) ( 단위 : 배 )  
두번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서브 네트워크망의 커버리지를 최대로 높일 수 있다. 
DCU의 가격으로 확장형 모뎀의 경우 도 14와 같이 구성할 수 있다. 이는 서브 네트워크 영역을 확장시켜 더 넓은 지역에 서비스를 저렴하게 제공할 수 있다. 
커버 가능 모뎀 대수 = ( DCU 가격 / 확장형 모뎀 설치 비용 ) X ( 서브 네트워크 장비의 커버 가능한 장비의 대수 ) ( 단위 : 대 )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종래의 서브 네트워크 망을 유지한 상태로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종래 모뎀의 구성에서 유지관리 포트 라인만 연결해주면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무선 망이 무엇이든 관계 없이 내부 소프트웨어만으로 망 구성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종래 AMI 모뎀 구성을 유지한 상태에서 유지관리 포트(예컨대, UART 시리얼 )을 연결로 LTE 모뎀 (마스터 모뎀(140)) ↔ 서브 네트워크 모뎀(서브넷 모뎀(130))을 구성해, 종래 DCU를 대체 할 수 있는 확장형 모뎀을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DCU 설치시에 전기 공사 및 유지 보수 비용을 상당히 줄일 수 있으며 종래 DCU의 비용 절감효과를 가져온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확장성이 용이해 기존의 DCU 중심의 망에서 발생 했던 부하 몰림 현상과 DCU 의존성을 분산 시켜, AMI 시스템에서의 데이터의 실시간성을 극대화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망의 확장성이 용이해 AMI 시스템 구성 절차를 간소화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상에서 설명된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예: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machine-readable storage media)에 저장된 명령어를 포함하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기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명령어를 호출하고, 호출된 명령어에 따라 동작이 가능한 장치로서,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A))를 포함할 수 있다. 명령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프로세서가 직접, 또는 프로세서의 제어 하에 다른 구성요소들을 이용하여 명령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명령은 컴파일러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생성 또는 실행되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신호(signal)를 포함하지 않으며 실재(tangible)한다는 것을 의미할 뿐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 또는 임시적으로 저장됨을 구분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상에서 설명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온라인으로 배포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150),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150), 또는 중계 서버(150)의 메모리와 같은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상에서 설명된 다양한 실시예들은 소프트웨어(software), 하드웨어(hardware) 또는 이들의 조합을 이용하여 컴퓨터(computer)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있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이 프로세서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기기의 프로세싱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명령어(computer instructions)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명령어는 특정 기기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상술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기기에서의 처리 동작을 특정 기기가 수행하도록 한다.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구체적인 예로는,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구성 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 각각은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전술한 해당 서브 구성 요소들 중 일부 서브 구성 요소가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서브 구성 요소가 다양한 실시예에 더 포함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일부 구성 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개체로 통합되어, 통합되기 이전의 각각의 해당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을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적어도 일부 동작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개시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10; 원격 검침 시스템
110: 계량기
120: 서브 네트워크 디바이스
130: 서브넷 모뎀
140: 마스터 모뎀
150: 서버

Claims (14)

  1. 마스터 모뎀이 상기 마스터 모뎀과 유지관리 포트(Maintenance port)를 통해 연결된 서브넷 모뎀에 마스터 모드 설정 커맨드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브넷 모뎀으로부터 상기 유지관리 포트를 통해 상기 마스터 모드 설정 커맨드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면 마스터 모드 변경에 따른 모드 변경 알람과 마스터 및 서브넷 모뎀에 대한 모뎀 정보를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로부터 응답받으면 상기 서브넷 모뎀에 모드 변경을 알려 마스터 및 서브넷 모뎀의 모드 변경을 수행하여, 상기 서브넷 모뎀을 정상 모드에서 마스터 모드로 변경시키는 단계; 및
    상기 서브넷 모뎀이 서브넷 디바이스가 포함된 서브 네트워크에서 상기 서브넷 디바이스의 부모 노드 역할을 수행하는 마스터 모드로 동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확장형 모뎀을 이용한 원격 검침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넷 모뎀과 서브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서브넷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서브넷 모뎀을 통해 네트워크 조인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네트워크 조인 메시지의 조인 요청을 처리하고 조인 요청의 처리 결과를 상기 서브넷 모뎀을 통해 서브넷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확장형 모뎀을 이용한 원격 검침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검침 스케줄에 따라 상기 서브넷 디바이스에 상기 서브넷 모뎀을 통해 검침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서브넷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서브넷 모뎀을 통해 검침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수신된 검침 정보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확장형 모뎀을 이용한 원격 검침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넷 디바이스로부터 조인 요청을 수신하면, 기설정된 등록 가능한 서브넷 디바이스의 개수를 확인하여 서브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상기 서브넷 디바이스의 수용 한도를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확장형 모뎀을 이용한 원격 검침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넷 디바이스의 수용 한도를 조절하는 단계는,
    기설정된 등록 가능한 서브넷 디바이스의 개수를 초과하는 경우, 기설정된 시간 동안 통신이 되지 않은 서브넷 디바이스를 삭제한 후, 상기 서브넷 디바이스의 등록 과정을 수행하는, 확장형 모뎀을 이용한 원격 검침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모뎀의 유휴 메모리 자원이 부족할 경우, 상기 서브넷 모뎀의 메모리를 상기 마스터 모뎀의 외부 메모리로 사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확장형 모뎀을 이용한 원격 검침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모뎀의 외부 메모리로 사용하는 단계는,
    외부 메모리 사용 시, 상기 서브넷 모뎀의 메모리에서의 마지막 주소부터 하위 주소 방향으로 검침 데이터를 저장하는, 확장형 모뎀을 이용한 원격 검침 방법.
  8. 마스터 모뎀과 유지관리 포트(Maintenance port)를 통해 연결된 서브넷 모뎀; 및
    상기 서브넷 모뎀에 마스터 모드 설정 커맨드를 전송하고, 상기 서브넷 모뎀으로부터 상기 유지관리 포트를 통해 상기 마스터 모드 설정 커맨드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면 마스터 모드 변경에 따른 모드 변경 알람과 마스터 및 서브넷 모뎀에 대한 모뎀 정보를 서버에 전송하는 마스터 모뎀을 포함하고,
    상기 마스터 모뎀은, 상기 서버로부터 응답받으면 상기 서브넷 모뎀에 모드 변경을 알려 마스터 및 서브넷 모뎀의 모드 변경을 수행하되, 상기 서브넷 모뎀을 정상 모드에서 마스터 모드로 변경시키고,
    상기 서브넷 모뎀이 서브넷 디바이스가 포함된 서브 네트워크에서 상기 서브넷 디바이스의 부모 노드 역할을 수행하는 마스터 모드로 동작하는, 확장형 모뎀을 이용한 원격 검침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모뎀은,
    상기 서브넷 모뎀과 서브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서브넷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서브넷 모뎀을 통해 네트워크 조인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네트워크 조인 메시지의 조인 요청을 처리하고 조인 요청의 처리 결과를 상기 서브넷 모뎀을 통해 서브넷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확장형 모뎀을 이용한 원격 검침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모뎀은,
    검침 스케줄에 따라 상기 서브넷 디바이스에 상기 서브넷 모뎀을 통해 검침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서브넷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서브넷 모뎀을 통해 검침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수신된 검침 정보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확장형 모뎀을 이용한 원격 검침 시스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모뎀은,
    상기 서브넷 디바이스로부터 조인 요청을 수신하면, 기설정된 등록 가능한 서브넷 디바이스의 개수를 확인하여 서브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상기 서브넷 디바이스의 수용 한도를 조절하는, 확장형 모뎀을 이용한 원격 검침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모뎀은,
    기설정된 등록 가능한 서브넷 디바이스의 개수를 초과하는 경우, 기설정된 시간 동안 통신이 되지 않은 서브넷 디바이스를 삭제한 후, 상기 서브넷 디바이스의 등록 과정을 수행하는, 확장형 모뎀을 이용한 원격 검침 시스템.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모뎀은,
    상기 마스터 모뎀의 유휴 메모리 자원이 부족할 경우, 상기 서브넷 모뎀의 메모리를 상기 마스터 모뎀의 외부 메모리로 사용하는, 확장형 모뎀을 이용한 원격 검침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넷 모뎀은,
    외부 메모리 사용 시, 상기 서브넷 모뎀의 메모리에서의 마지막 주소부터 하위 주소 방향으로 검침 데이터를 저장하는, 확장형 모뎀을 이용한 원격 검침 시스템.
KR1020200161711A 2020-11-26 2020-11-26 확장형 모뎀을 이용한 원격 검침 방법 및 시스템 KR1024688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1711A KR102468842B1 (ko) 2020-11-26 2020-11-26 확장형 모뎀을 이용한 원격 검침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1711A KR102468842B1 (ko) 2020-11-26 2020-11-26 확장형 모뎀을 이용한 원격 검침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3543A KR20220073543A (ko) 2022-06-03
KR102468842B1 true KR102468842B1 (ko) 2022-11-18

Family

ID=81983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1711A KR102468842B1 (ko) 2020-11-26 2020-11-26 확장형 모뎀을 이용한 원격 검침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8842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1261B1 (ko) * 2012-09-17 2014-05-29 주식회사 주빅스 데이터 집중장치 및 데이터 집중장치의 통신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3543A (ko) 2022-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060491B (zh) 移动终端,归属代理和分组通信方法
CN105847456B (zh) 一种rs485自动分配地址方法、装置和系统
JP6444405B2 (ja) ソフトウェア更新方法、システム及びデバイス
CN107852661B (zh) 网络管理器和网状网络系统
KR20150120526A (ko) 멀티캐스트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US20230209536A1 (en) Multi-link communication method, traffic-to-link mapping method, and device
US2007007668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ally allocating internet protocol address inwireless network
US20120084415A1 (en) Method and equipment for self-configuring transmission in self-organized network
EP2388717B1 (en) Method of controlling mobile terminal, home hub, and visited hub in virtual group for content sharing
CN111447055B (zh) 区块链账本的存储方法及装置
JP2018526948A (ja) 階層ベースrplネットワークのためのネットワークアドレスの割り当て及び再利用
CN102340410B (zh) 集群管理系统及方法
US20150113168A1 (en) Network Bridging
CN108141481B (zh) 6LoWPAN路由器
CN107820246B (zh) 用户认证的方法、装置和系统
CN105635931A (zh) 一种资源访问的方法和装置
KR20130015243A (ko) 지그비 장치 및 펌웨어 업그레이드 방법
KR102468842B1 (ko) 확장형 모뎀을 이용한 원격 검침 방법 및 시스템
CN113872799A (zh) 管理节点的方法、节点和系统
CN103249010B (zh) 通信设备和通信方法
JP7152452B2 (ja) サーバ装置、通信デバイス、端末装置、通信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更新方法
JP2015170970A (ja) 通信システム
WO2021027746A1 (zh) 一种通信方法及装置
US20150189693A1 (en) Wireless communicator connectable to different types of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US9160560B2 (en) CSMA time slot providing and obtaining method and device, networking method and device, and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