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8584B1 - 안테나 및 통신 장치 - Google Patents

안테나 및 통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8584B1
KR102468584B1 KR1020180082384A KR20180082384A KR102468584B1 KR 102468584 B1 KR102468584 B1 KR 102468584B1 KR 1020180082384 A KR1020180082384 A KR 1020180082384A KR 20180082384 A KR20180082384 A KR 20180082384A KR 102468584 B1 KR102468584 B1 KR 1024685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s
inner region
antenna
substrate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23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8347A (ko
Inventor
김수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트센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트센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트센싱
Priority to KR10201800823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8584B1/ko
Publication of KR202000083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83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85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85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01Q1/38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formed by a conductive layer on an insulating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3/00Waveguides; Transmission lin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3/12Hollow waveguides
    • H01P3/122Dielectric loaded (not ai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3/00Waveguide horns or mouths; Slot antennas; Leaky-waveguide antennas; Equivalent structures causing radiation along the transmission path of a guided wave

Abstract

복수의 기판을 포함하는 안테나는 복수의 기판은 각각 내부 영역 및 외부 영역으로 구분되고, 각 기판의 내부 영역은 전파의 진행 방향에 대한 법선 방향으로 형성되고, 복수의 기판은 상기 전파의 진행 방향을 따라 각 기판의 내부 영역이 인접하도록 적층되고, 인접하는 내부 영역에 의해 도파관이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안테나 및 통신 장치{ANTENNA AND COMMUNICATION DEVICE}
본 발명은 안테나 및 통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혼 안테나는 도체를 이용하여 나팔과 같은 형상으로 제작되고, 주파수 의존도가 낮아 광대역 특성을 갖는다. 이러한 혼 안테나는 금속을 가공하여 제작되기 때문에 제작비가 높고 부피와 무게가 크다는 단점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기존에는 안테나의 부피를 줄이기 위해 한 장의 기판을 이용하여 전계면 부채꼴형 혼 안테나 또는 자계면 부채꼴형 혼 안테나를 제작했었다. 즉, 전계 및 자계가 진행하는 방향인 경도 방향으로 기판을 눕힌 상태에서 혼 안테나가 제작되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작된 안테나는 유전율에 의한 부피 축소를 가능하게 하지만 안테나의 지향성을 높이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다.
지향성이 높고 부엽 레벨이 낮은 종래의 주름 혼 안테나는, 안테나 내부에 미세한 패턴의 가공이 필요하기 때문에 제작이 어렵고 가격이 비싸다. 또한, 안테나의 물리적인 크기는 주파수와 반비례하기 때문에 주파수가 올라갈수록 안테나의 물리적인 크기와 더불어 주름의 패턴도 작아지므로 제작비용은 증가할 수 밖에 없었다.
한편, 현재 차량충돌방지용 레이더는 76~77GHz 대역의 주파수가 할당되어 있으며, 감지물체에 대한 거리 해상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추가적으로 4GHz의 대역폭이 할당되도록 국제적으로 협의 중에 있다. 기존에는 기판으로 쉽게 제작할 수 있는 패치 안테나를 사용했지만, 공진(Resonance) 타입인 패치 안테나의 협대역 특성으로 인해 5GHz의 대역폭에서 동일한 안테나 특성을 갖는 데에 한계가 있다.
미국등록특허공보 제6879298호 (2005.04. 21. 공개)
본 발명은 복수의 기판이 전파의 진행 방향을 따라 적층된 안테나를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른 복수의 기판을 포함하는 안테나는 상기 복수의 기판은 각각 내부 영역 및 외부 영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각 기판의 내부 영역은 전파의 진행 방향에 대한 법선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기판은 상기 전파의 진행 방향을 따라 상기 각 기판의 내부 영역이 인접하도록 적층되고, 상기 인접하는 내부 영역에 의해 도파관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따른 안테나를 통해 전파를 송수신하는 통신 장치는 전파를 송신 및 수신하는 레이더 및 복수의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레이더에 부착되는 안테나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기판은 각각 내부 영역 및 외부 영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각 기판의 내부 영역은 상기 전파의 진행 방향에 대한 법선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기판은 상기 전파의 진행 방향을 따라 상기 각 기판의 내부 영역이 인접하도록 적층되고, 상기 레이더는 상기 인접하는 내부 영역에 의해 형성된 도파관을 따라 상기 전파를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본 발명은 복수의 기판 각각에 형성된 관통홀의 위치를 다르게 함으로써 안테나의 내벽에 그루브 구조를 구현할 수 있고, 구현된 그루브(Groove) 구조를 통해 안테나의 주요 특성인 빔폭(Beamwidth) 및 부엽 레벨(Side Lobe Level)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안테나에 포함된 복수의 기판을 고정부재로 고정함으로써 유전체에 의한 전파 손실과 신호 왜곡 현상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안테나는 광대역 특성을 가지며 대역폭 및 부엽 레벨이 종래의 안테나에 비해 매우 우수하기 때문에 차량 레이더의 안테나에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안테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 내지 3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 내지 4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파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 및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의 형태를 나타낸 예시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구성도 또는 처리 흐름도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1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통신 장치(10)는 전파를 송신 및 수신하는 레이더(200) 및 레이더(200)에 부착된 안테나(3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a 내지 5을 함께 참조하여 안테나(300)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기로 한다.
안테나(300)는 복수의 기판(202)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학에서 구분구적법을 이용하여 입체의 체적을 구하는 방식과 같이 복수의 기판(202)이 적층되어 안테나(300)가 구성될 수 있다.
안테나(300)를 구성하는 복수의 기판(202)은 원자재(Raw material)인 기판이 가공된 인쇄회로기판일 수 있다.
각 기판(202)은 적어도 세 개의 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각 기판(202)은 상단 도체(204) 및 하단 도체(206)를 포함하며 상단 도체(204) 및 하단 도체(206) 사이에 위치하는 유전체층(208)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각 기판(202)의 유전체층(208)의 유전율은 동일하게 구성하거나 상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
안테나(300)의 특성은 안테나(303)를 구성하는 각 기판(202)의 유전체층(208)의 유전율에 의해서 제어될 수 있기 때문에 적층되는 기판의 유전율을 점진적으로 증가 및 하강, 또는 특정 값으로 구성함으로써 안테나(300)의 특성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판의 유전율이 클수록 도파관 및 안테나(300)의 크기는 작아지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적층되는 기판의 유전율이 클수록 안테나를 더 작게 구현할 수 있다.
상단 도체(204) 및 하단 도체(206) 중 적어도 하나는 상단 도체(204) 및 하단 도체(206)의 일부 영역에 해당하는 도체가 제거됨으로써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패턴은 전파를 가이딩하여 통과될 수 있도록 복수의 기판(202)의 내부 영역에 해당하는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도 3c를 살펴보면, 도 3c에 도시된 기판(202)은 가공된 인쇄회로기판이다. 기판(202)의 금색 부분은 기판(202)의 상단 도체(204) 및 하단 도체(206)의 일부 영역에 해당하는 도체가 PCB 가공에 의해 남겨진 부분이고, 기판(202)의 흰색 부분은 상단 도체(204) 및 하단 도체(206)에 해당하는 도체가 PCB 가공에 의해 제거됨에 따라 형성된 패턴일 수 있다.
복수의 기판(202)은 복수의 기판(202)을 관통하는 고정 부재(21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 부재(210)는 복수의 기판(202)의 적층을 위해 복수의 기판(202)을 결합하기 위한 수단일 수 있다. 또한, 고정 부재(210)는 기판(202)에 형성된 패턴에 영향을 주지 않는 기판(202)의 외곽 부분에 삽입될 수 있도록 가공된 홀에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고정 부재(210)에는 볼트, 너트, 나사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고정 부재(210)에 의해 결합된 복수의 기판(202)은 도 3a 내지 도 3d와 같이 적층된 구조를 나타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원 발명에서 제안하는 복수의 기판(202)은 전파의 진행 방향을 따라 적층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기판(202)은 인접하는 기판(202) 사이를 접착시키는 접착제에 의해 고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기판(202)은 기판용 접착제인 프리프레그(Prepreg) 접착제에 의해 연결 및 고정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4e를 참조하면, 복수의 기판(202)은 각각 내부 영역 및 외부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도 4d 및 4e는 단일의 기판이 관통홀(400)에 의해 내부 영역(202-1) 및 외부 영역(202-2)으로 구분된 모습을 도면으로 구체화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기판(202) 각각에는 상단 도체(204) 및 하단 도체(206)를 관통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400)이 형성되어 있고,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400)에 의해 각 기판(202)은 내부 영역 및 외부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기판(202)의 상단 도체(204) 및 하단 도체(206)에 드릴로 홀을 만들어서 해당 홀에 도금처리를 하면 관통홀(400)이 생성될 수 있다. 이러한, 관통홀(400)은 유전체층(208)에 의해 이격된 상단 도체(204) 및 하단 도체(206)를 연결할 수 있다. 즉, 본원 발명의 각 기판에는 기판을 수직으로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400)이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기판의 전체 영역 중 위와 같이 배치된 관통홀에 의해 둘러쌓인 일부분을 내부 영역(202-1)으로 정의하고, 기판의 전체 영역 중 각 관통홀이 모여서 형성하는 내부 영역(202-1)의 외부를 외부 영역(202-2)으로 정의할 수 있다. 각 기판에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이 배치된 형태는 도 4d와 4e와 같이 직사각형일 수 있고, 원형 또는 다각형을 비롯한 각종 폐도형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각 기판(202)에 생성된 관통홀(400)은 전계벽(Electric Wall) 또는 완전 도체(PEC; Perfect Electric Conductor)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각 기판(202)에 관통홀(400)이 배열되면 전파는 관통홀(400)을 벽(전계벽 또는 도체벽)으로 간주하기 때문에 관통홀(400)을 빠져나가지 못한다. 따라서, 각 기판(202)의 옆면을 도금하지 않더라도 관통홀(400)을 이용하면 전파를 가둘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전파가 일정한 분포를 형성하고 있다. 이는 관통홀(400)이 전파가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전계벽 또는 도체벽과 동일한 효과를 제공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실제로는 관통홀(400)과 관통홀(400) 사이에 공간이 있지만, 전파 입장에서는 막혀있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관통홀(400)을 통해 전계벽 또는 도체벽을 구현하게 되면, 도파관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도파관은 원하는 전파를 가이딩하여 전달하는 일종의 전송선로이다. 도파관의 내부는 공기로 채워져 있지만, 물리적 크기를 줄이기 위해 유전율을 가진 매질로 채워져 있을 수도 있다. 도파관의 끝부분을 나팔 모양으로 늘리면 안테나의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를 혼 안테나라고 볼 수 있다. 도파관은 외부와의 격리를 위한 도체가 필요하며 유천체를 사용할 경우에는 도금을 통해 도체의 효과를 대체할 수 있다.
또한, 도금 처리된 관통홀(400)을 이용하여 전계벽(Electric Wall) 또는 완전 도체(PEC; Perfect Electric Conductor)를 구현함으로써 내부 영역(202-1) 및 외부 영역(202-2)으로 구분될 수 있다.
한편, 도 4a 내지 4c를 살펴보면, 복수의 기판(202) 중 인접하는 기판 사이에는 각 기판(202)의 내부 영역(202-1)에 형성된 패턴에 의해 공기층(410)이 형성될 수 있다.
각 기판(202)의 내부 영역(202-1)은 전파의 진행 방향에 대한 법선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전파는 예를 들면, 각 기판(202)의 재질 및 두께, 복수의 기판(202)의 개수, 각 기판(202)의 유전체층의 유전율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전파는 복수의 기판(202)에 형성된 내부 영역(202-1)의 형태, 내부 영역(202-1) 간의 크기 및 복수의 기판(202) 중 최외곽에 적층된 기판의 내부 영역(202-1)의 크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관통홀(400)의 위치가 점진적으로 변경되는 혼 안테나의 경우, 전파의 출력 효율면에서 기판의 두께는 얇을수록 안정적일 수 있다.
복수의 기판(202)은 전파의 진행 방향을 따라 각 기판(202)의 내부 영역(202-1)이 인접하도록 적층될 수 있다. 이 때, 인접하는 내부 영역(202-1)에 의해 도파관이 형성될 수 있다.
각 기판(202)에 형성된 관통홀(400)은 각 기판(202)의 다른 위치에 형성되거나 각 기판(202)의 동일 선상에 있는 동일한 위치에 형성될 수도 있다. 동일한 위치 또는 상이한 위치에 형성되는 관통홀(400)에 의해 인접하여 배치되는 각 기판(202)의 내부 영역(202-1)의 형태는 상이하게 설계될 수 있다. 여기서, 관통홀(400)이 다른 위치에 형성된 경우, 내부 영역(202-1)은 다른 위치에 형성된 관통홀(400)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
도 4a와 같이, 각 기판(202)의 내부 영역(202-1)이 점차적으로 좁아지도록 제 1 계단식으로 각 기판(202)의 각기 다른 위치에 관통홀(400)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내부 영역(202-1)은 관통홀(400)에 의해 전파의 진행 방향에 대해 법선 방향으로 점진적으로 감소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4b와 같이, 각 기판(202)의 내부 영역(202-1)이 점차적으로 확장되도록 제 2 계단식으로 각 기판(202)의 각기 다른 위치에 관통홀(400)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내부 영역(202-1)은 관통홀(400)에 의해 전파의 진행 방향에 대해 법선 방향으로 점진적으로 증가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4c와 같이, 그루브(Groove) 형식으로 각 기판(202) 마다 교대로 제 1 위치 및 제 2 위치에 관통홀(400)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내부 영역(202-1)은 관통홀(400)에 의해 전파의 진행 방향에 대해 법선 방향으로 산부와 골부가 연속적으로 교차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원 발명은 각 기판의 외부 영역과 내부 영역이 구분되도록 관통홀을 형성하고, 관통홀에 의해 내부 영역이 형성된 복수의 기판을 적층함으로써 안테나의 내부 영역에 형성되는 미세한 패턴에 대한 가공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6a와 같이, 동일한 크기의 복수의 기판(202)을 트위스트 형식으로 적층하게 되는 경우, 다른 위치에 형성된 관통홀(400)에 의해 트위스티드 도파관(Twisted waveguide)의 형태로 내부 영역(202-1)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도 6b와 같이, 동일한 크기의 복수의 기판(202)을 적층하면, 다른 위치에 형성된 관통홀(400)에 의해 광대역 특성을 갖는 리지드 도파관(Ridged waveguide)의 형태로 내부 영역(202-1)을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원 발명은 복수의 기판을 적층시킴으로써 예를 들어, 도파관 전력분배기와 도파관 결합기 등과 같은 도파관 형태의 수동소자(Passive device)를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일반적인 안테나에서 방사되는 구면파(Spherical wave)를 평면파(Plane wave), 즉 전파를 TEM 모드 전파로 변경할 수 있도록 안테나(300)의 최종 기판의 단부 앞에 최종 기판과 비슷한 방식으로 관통홀(400)을 구비한 기판을 적층하여 안테나의 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안테나의 최종 기판의 단부에 위치하는 기판은 관통홀이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레이더(200)는 복수의 기판(202)의 인접하는 내부 영역(202-1)에 의해 형성된 도파관을 따라 전파를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다.
본원 발명에서 제안하는 기술에 의하면 관통홀을 이용하여 주름 혼 안테나를 쉽게 제작할 수 있으며, 이에 기본적인 혼 안테나와 Aperture-matched 혼 안테나보다 얇은 빔폭과 낮은 부엽 레벨로서 우수한 주름 혼 안테나를 제작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통신 장치
200: 레이더
300: 안테나

Claims (17)

  1. 복수의 기판을 포함하는 안테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기판은 각각 내부 영역 및 외부 영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각 기판의 내부 영역은 전파의 진행 방향에 대한 법선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기판은 상기 전파의 진행 방향을 따라 상기 각 기판의 내부 영역이 인접하도록 적층되고,
    상기 인접하는 내부 영역에 의해 도파관이 형성되고,
    상기 각 기판의 다른 위치에 관통홀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인접하여 배치되는 내부 영역의 형태를 설계하고,
    상기 내부 영역은 상기 다른 위치에 형성된 관통홀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홈부가 형성되는 것인, 안테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기판은 상단 도체 및 하단 도체를 포함하는 것인, 안테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각 기판은 상기 상단 도체 및 상기 하단 도체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에 의해 상기 내부 영역 및 상기 외부 영역으로 구분되는 것인, 안테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각 기판은 상기 상단 도체 및 상기 하단 도체 사이에 위치하는 유전체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관통홀은 도금 처리됨으로써 상기 유전체층에 의해 이격된 상기 상단 도체 및 상기 하단 도체를 연결하는 것인, 안테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각 기판은 상기 도금 처리된 관통홀이 전계벽(Electric Wall) 또는 완전 도체(PEC; Perfect Electric Conductor)를 구현함으로써 상기 내부 영역 및 상기 외부 영역으로 구분되는 것인, 안테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도체 및 상기 하단 도체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상단 도체 및 상기 하단 도체의 일부 영역에 해당하는 도체가 제거됨으로써 패턴이 형성되는 것인, 안테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기판 중 인접하는 기판 사이는 상기 각 기판에 형성된 패턴에 의해 공기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인, 안테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기판은 상기 복수의 기판을 관통하는 고정부재에 의해 고정되는 것인, 안테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기판은 인접하는 기판 사이를 접착시키는 접착제에 의해 고정되는 것인, 안테나.
  10. 삭제
  11. 삭제
  12. 복수의 기판을 포함하는 안테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기판은 각각 내부 영역 및 외부 영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각 기판의 내부 영역은 전파의 진행 방향에 대한 법선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기판은 상기 전파의 진행 방향을 따라 상기 각 기판의 내부 영역이 인접하도록 적층되고,
    상기 인접하는 내부 영역에 의해 도파관이 형성되고,
    상기 각 기판의 다른 위치에 관통홀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인접하여 배치되는 내부 영역의 형태를 설계하고,
    상기 내부 영역은 상기 다른 위치에 형성된 관통홀에 의해 상기 전파의 진행 방향에 대해 법선 방향으로 점진적 증가, 정체, 또는 감소되는 형태로 구현되는 것인, 안테나.
  13. 복수의 기판을 포함하는 안테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기판은 각각 내부 영역 및 외부 영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각 기판의 내부 영역은 전파의 진행 방향에 대한 법선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기판은 상기 전파의 진행 방향을 따라 상기 각 기판의 내부 영역이 인접하도록 적층되고,
    상기 인접하는 내부 영역에 의해 도파관이 형성되고,
    상기 각 기판의 다른 위치에 관통홀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인접하여 배치되는 내부 영역의 형태를 설계하고,
    상기 내부 영역은 상기 다른 위치에 형성된 관통홀에 의해 트위스티드 도파관(Twisted waveguide)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인, 안테나.
  14. 복수의 기판을 포함하는 안테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기판은 각각 내부 영역 및 외부 영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각 기판의 내부 영역은 전파의 진행 방향에 대한 법선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기판은 상기 전파의 진행 방향을 따라 상기 각 기판의 내부 영역이 인접하도록 적층되고,
    상기 인접하는 내부 영역에 의해 도파관이 형성되고,
    상기 각 기판의 다른 위치에 관통홀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인접하여 배치되는 내부 영역의 형태를 설계하고,
    상기 내부 영역은 상기 다른 위치에 형성된 관통홀에 의해 리지드 도파관(Ridged waveguide)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인, 안테나.
  1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각 기판에 포함된 유전체층의 유전율을 상이하게 구성하여 상기 안테나의 특성을 제어하는 것인, 안테나.
  16. 안테나를 통해 전파를 송수신하는 통신 장치에 있어서,
    전파를 송신 및 수신하는 레이더 및
    복수의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레이더에 부착되는 안테나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기판은 각각 내부 영역 및 외부 영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각 기판의 내부 영역은 상기 전파의 진행 방향에 대한 법선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기판은 상기 전파의 진행 방향을 따라 상기 각 기판의 내부 영역이 인접하도록 적층되고,
    상기 레이더는 상기 인접하는 내부 영역에 의해 형성된 도파관을 따라 상기 전파를 송신 및 수신하고,
    상기 각 기판의 다른 위치에 관통홀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인접하여 배치되는 내부 영역의 형태를 설계하고,
    상기 내부 영역은 상기 다른 위치에 형성된 관통홀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홈부가 형성되는 것인, 통신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전파는 상기 각 기판 두께, 상기 복수의 기판의 개수, 상기 내부 영역의 형태, 상기 내부 영역 간의 크기 및 상기 복수의 기판 중 최외곽에 적층된 기판의 내부 영역의 크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KR1020180082384A 2018-07-16 2018-07-16 안테나 및 통신 장치 KR1024685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2384A KR102468584B1 (ko) 2018-07-16 2018-07-16 안테나 및 통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2384A KR102468584B1 (ko) 2018-07-16 2018-07-16 안테나 및 통신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8347A KR20200008347A (ko) 2020-01-28
KR102468584B1 true KR102468584B1 (ko) 2022-11-22

Family

ID=69370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2384A KR102468584B1 (ko) 2018-07-16 2018-07-16 안테나 및 통신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8584B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5138B1 (ko) * 2001-01-20 2004-01-14 한현길 기지국용 광대역 마이크로 스트립 안테나 및 그 설계방법
US6879298B1 (en) 2003-10-15 2005-04-12 Harris Corporation Multi-band horn antenna using corrugations having frequency selective surfaces
KR100878707B1 (ko) * 2007-05-30 2009-01-14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다중 공진 광대역 안테나
KR101119267B1 (ko) * 2010-04-13 2012-03-16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매칭 기판을 이용한 유전체 공진기 안테나
KR20140021380A (ko) * 2012-08-10 2014-02-20 삼성전기주식회사 유전체 공진기 어레이 안테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8347A (ko) 2020-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21475B2 (en) Phased array antenna
US11387568B2 (en) Millimeter-wave antenna array element, array antenna, and communications product
US20220109246A1 (en) Antenna array based on one or more metamaterial structures
US8957819B2 (en) Dielectric antenna and antenna module
JP5590504B2 (ja) トリプレート線路層間接続器及び平面アレーアンテナ
JP2016220029A (ja) アンテナ装置、無線通信装置、及びレーダ装置
JP2006024618A (ja) 配線基板
US10965020B2 (en) Antenna device
KR20150037679A (ko) 안테나 기판
US10854996B2 (en) Dual-polarized substrate-integrated beam steering antenna
JP2016105583A (ja) アンテナ装置、無線通信装置、及びレーダ装置
CN110854548B (zh) 天线结构及具有该天线结构的无线通信装置
KR20170067887A (ko) 무선 전자 디바이스를 위한 주기적인 슬롯을 갖는 스트립라인 결합 안테나
CN111129704B (zh) 一种天线单元和电子设备
CN110808463A (zh) 一种强穿透天线装置
JP6490319B1 (ja) アレーアンテナ装置及び通信機器
US9822159B2 (en) Electromagnetic band gap element, electronic circuit, and conductor structure
US8810475B2 (en) Antenna device
CN113300094A (zh) 一种波导天线单元及波导阵列天线
KR102468584B1 (ko) 안테나 및 통신 장치
CN107896420B (zh) 电路板及其电磁带隙结构
KR20100005616A (ko) 손실 개선을 위한 rf 전송 선로
CN210926323U (zh) 一种强穿透天线装置
JP2020529798A (ja) 導波管アンテナ磁気電気的適合変換器
JP2018046403A (ja) マイクロストリップアンテ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