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8233B1 - 무선 터미널 메시지를 이용하는 서비스 식별 및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터미널 메시지를 이용하는 서비스 식별 및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8233B1
KR102468233B1 KR1020200189629A KR20200189629A KR102468233B1 KR 102468233 B1 KR102468233 B1 KR 102468233B1 KR 1020200189629 A KR1020200189629 A KR 1020200189629A KR 20200189629 A KR20200189629 A KR 20200189629A KR 102468233 B1 KR102468233 B1 KR 1024682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ervice
terminal
entity
wireless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96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96830A (ko
Inventor
우종현
이태일
정일진
신희준
장형석
손민재
백상헌
박서빈
권효상
김미주
송정훈
딜쇼드
김동희
김정진
Original Assignee
(주)이스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스톰 filed Critical (주)이스톰
Priority to KR10202001896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8233B1/ko
Publication of KR202200968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6830A/ko
Priority to KR1020220150357A priority patent/KR1025891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82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82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125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involving control of end-device applications over a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75Indicating network or usage conditions on the user 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60Context-dependent security
    • H04W12/69Identity-depend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0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60Subscription-based services using application servers or record carriers, e.g. SIM application toolk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터미널 메시지를 이용하는 서비스 식별 및 처리 방법은, (a) 모바일 디바이스인 제1 엔티티가 무선 터미널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b) 상기 제1 엔티티에 설치되는 정보 처리용 응용 프로그램인 제1 에이전트가, 상기 무선 터미널 메시지의 정보에 근거하여 제2 엔티티의 엔티티 정보 및 상기 제2 엔티티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에 관련된 서비스 확인 정보를 상기 제1 에이전트에 의한 앱 화면을 통해서 표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선 터미널 메시지를 이용하는 서비스 식별 및 처리 방법{SERVICE IDENTIFYING AND PROCESSING METHOD USING LOW DISTANCE WIRELESS TERMINAL MESSAGE}
본 발명은 무선 터미널 메시지를 이용하여 해당 메시지를 전송한 터미널 장치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식별하고, 이를 통해서 서비스를 처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모바일 기기를 활용한 오프라인 기반의 응용 서비스가 빠른 속도로 발전 및 확대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QR 코드를 이용하는 다양한 정보 제공 서비스들이 많이 생겨나고 있는데, 이는 QR 코드 안에 URL, 기타 정보를 탑재하여 이를 스캔한 사용자 측에서 해당 정보를 직접 조회하거나, 저장된 URL로 접속(이동)하거나 해당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 구현된다.
그러나 QR 코드는 오프라인 서비스 제공자가 직접 게시한 것인지 스캔하기 전까지 진위여부를 확인할 수 없어 보안이 취약하고, 사용자가 카메라로 스캔하는 동작을 요구하기 때문에 사용성 측면에서 다소 번잡함이 있다. 이에 사용자가 스마트폰 등으로 QR 코드를 스캔하는 과정을 거치지 않고 오프라인에서 서비스가 제공 가능한 시스템을 안전하게 확인 하면서 조작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된다.
종래 QR 코드를 대체할 수 있는 기술 중 하나로, BLE(Bluetooth Low Energy) 비콘 기술이 존재하지만, 해당 비콘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바일 앱에 한정하여 조작이 가능하여 QR 코드처럼 범용성과 호환성을 폭발적으로 넓히기 어려운 점이 있었다.
BLE 비콘 기술을 QR 코드처럼 여러 모바일 결제 서비스, 모바일 기반 출입/출석 관리 서비스, 각종 IoT 기기와의 연동 서비스, 모바일 기반의 스마트 시티 서비스 등에서 범용성과 호환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BLE 기반의 비콘 메시지를 이용하여 해당 메시지를 전송한 터미널 장치가 다양한 모바일 앱에서 서비스 이용이 개시되기 전에, 서비스에 대한 정보 제공과 함께 서비스의 조작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하는 독립적 인터페이스 구성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a) 모바일 디바이스인 제1 엔티티가 무선 터미널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b) 상기 제1 엔티티에 설치되는 정보 처리용 응용 프로그램인 제1 에이전트가, 상기 무선 터미널 메시지의 정보에 근거하여 제2 엔티티의 엔티티 정보 및 상기 제2 엔티티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에 관련된 서비스 확인 정보를 상기 제1 에이전트에 의한 앱 화면을 통해서 표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터미널 메시지를 이용하는 서비스 식별 및 처리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터미널 메시지를 이용하는 서비스 식별 방법 및 서비스 처리 방법에 의하면, BLE 비콘 메시지 등의 근거리 무선 터미널 메시지를 송출하는 터미널 장치의 진위 여부에 관한 인증이 이루어지기 이전에, 해당 터미널 장치가 제공하는 서비스의 타입에 맞춰 해당 서비스에 관한 정보 및 실행 화면을 고객(사용자) 측에게 신속히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BLE 기반의 비콘 메시지를 이용하여 해당 메시지를 전송한 터미널 장치가 다양한 모바일 앱에서 서비스 이용이 개시되기 전에, 서비스에 대한 정보 제공과 함께 서비스의 조작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하는 독립적 인터페이스 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선 터미널 메시지를 이용하는 서비스 식별 및 처리 방법에 관한 프로세스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선 터미널 메시지를 이용하는 서비스 식별 및 처리 방법에 관한 프로세스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무선 터미널 메시지를 이용하는 서비스 식별 및 처리 방법에 관한 프로세스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무선 터미널 메시지를 이용하는 서비스 식별 및 처리 방법에 관한 프로세스 흐름도.
도 5a ~ 도 6b는 본 발명의 무선 터미널 메시지를 이용하는 서비스 식별 및 처리 방법에 따라, 식별된 서비스에 따라 해당 서비스 타입에 맞는 정보 화면이 고객(사용자) 측의 모바일 기기의 앱 화면으로 표출된 각각의 예시 화면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일 구성요소가 특정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처리"를 수행함에 있어서, "직접 처리" 또는 "직접 수행"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지 않는 이상, 연동되는 다른 구성요소를 통한 "처리" 또는 "수행"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선 터미널 메시지를 이용하는 서비스 식별 및 처리 방법에 관한 프로세스 흐름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선 터미널 메시지를 이용하는 서비스 식별 및 처리 방법에 관한 프로세스 흐름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무선 터미널 메시지를 이용하는 서비스 식별 및 처리 방법에 관한 프로세스 흐름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무선 터미널 메시지를 이용하는 서비스 식별 및 처리 방법에 관한 프로세스 흐름도이다.
또한, 도 5a ~ 도 6b는 본 발명의 무선 터미널 메시지를 이용하는 서비스 식별 및 처리 방법에 따라, 식별된 서비스에 따라 해당 서비스 타입에 맞는 정보 화면이 고객(사용자) 측의 모바일 기기의 앱 화면으로 표출된 각각의 예시 화면들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터미널 메시지를 이용하는 서비스 식별 및 처리 방법은, (a) 제1 엔티티가 무선 터미널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b) 상기 제1 엔티티에 설치되는 정보 처리용 응용 프로그램인 제1 에이전트가, 상기 무선 터미널 메시지의 정보에 근거하여 제2 엔티티의 엔티티 정보 및 상기 제2 엔티티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에 관련된 서비스 확인 정보를 상기 제1 에이전트에 의한 앱 화면을 통해서 표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현된다.
여기서, 제1 엔티티는 사용자의 모바일 디바이스를 지칭하고, 제1 에이전트는 사용자의 모바일 디바이스에 설치되어 본 발명과 관련된 정보 처리를 수행하는 응용 프로그램으로서 도 1 ~ 도 4의 모바일 에이전트(100)를 지칭하며, 제2 엔티티는 무선 터미널 메시지를 송출하는 주체로서 도 1 ~ 도 4의 BLE 브로드캐스트 터미널(50)(이하, BLE 터미널(50)로 간략하게 명명함)에 대응된다.
본 발명에서 무선 터미널 메시지는 특별한 제한을 두지는 않으나,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 및 집중을 위해, 도 1 ~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터미널 메시지로서 BLE(Bluetooth Low Energy) 비콘 메시지가 이용되는 케이스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BLE 터미널(50)은, BLE 비콘 메시지를 송출하기 위한 BLE 비콘 송출 모듈을 포함하는 독립 기기일 수도 있고, 스마트폰 등의 모바일 기기에서 앱으로 구동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는 등 그 구현 방식에 특별한 제한은 없다.
또한 BLE 터미널(50)이 곧 상기 제2 엔티티에 해당할 수도 있지만, 장치 구성에 따라서 BLE 터미널(50)은 상기 제2 엔티티의 서비스 제공과 연관되되 상기 제2 엔티티와 별개인 장치일 수도 있다.
예로 들면, 상점 POS 기기 자체에 BLE 비콘 송출 모듈이 탑재된 경우 또는 출입문 제어 단말 자체에 BLE 비콘 송출 모듈이 탑재된 경우가 위 설명에서의 전자의 케이스에 해당한다. 반면, 결제 처리 서비스를 위한 단말기인 상점 POS 기기(상기 제2 엔티티에 대응됨) 주변에 또는 출입 서비스를 위한 단말기인 출입문 제어 단말(상기 제2 엔티티에 대응됨) 주변에 이와는 물리적으로 독립된 장치로서 BLE 비콘 송출기(상기 BLE 터미널(50)에 대응됨)가 인접 설치되어, 해당 서비스 처리를 위해 상호간 기능적으로 연동되도록 구성된 경우가 위 설명에서의 후자의 케이스에 해당한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 및 집중을 위해, BLE 터미널(50)이 곧 제2 엔티티인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의 설명 - 제1 실시예]
도 1을 참조하면, 모바일 에이전트(100)는 BLE 터미널(50)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된 BLE 비콘 메시지를 수신한다[도 1의 도면부호 (1) 참조].
이때, BLE 터미널(50)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되는 BLE 비콘 메시지에는 터미널 식별 정보 및 터미널 인증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터미널 식별 정보로는 특별한 제한 없이 다양한 식별값들이 이용될 수 있는 것이나, 본 예에서는 소정의 일련번호로 표현되는 Beacon ID가 이용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와 유사한 취지에서 터미널 인증 정보도 특별한 제한 없이 다양한 인증값들이 이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후, 모바일 에이전트(100)는 BLE 데이터로서 상기 터미널 식별 정보 및 상기 터미널 인증 정보를 오픈 터미널 서버(200)로 전송한다[도 1의 도면부호 (2) 참조].
본 명세서에서, 오픈 터미널 서버(200)는, BLE 터미널(50)의 진위 여부에 관한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 처리 서버로서의 역할을 수행함과 아울러, BLE 터미널(50)(즉, 제2 엔티티)을 통해서 제공되는 서비스를 처리하기 위한 서비스 처리 서버로서의 역할도 수행하는 주체에 해당한다. 다만, 시스템 구현 방식에 따라서, 인증 처리를 위한 서버와 서비스 처리를 위한 서버는 별개의 독립된 장치로 구성되되 상호간 연동되도록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에 따라, 오픈 터미널 서버(200)는, 모바일 에이전트(100)로부터 수신한 터미널 인증 정보의 검증을 통해 BLE 터미널(50)의 진위 여부(즉, 실제로 해당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대방이 맞는지 여부)에 관한 인증을 수행하고, 해당 인증 결과를 모바일 에이전트(50)로 전달하게 될 것이다.
종래 기술에 의하면, 사용자 측의 진위 여부에 관한 인증(사용자 인증 또는 신원 인증)만이 요구될 뿐 그 상대방 측의 진위 여부에 관한 인증은 수행하지 않았으며, 이에 따라 거래 안전 또는 서비스 처리 안전 상의 허점이 있었다. 반면,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 측 및 그 상대방 측의 상호 인증을 수행함으로써 안전한 거래 및 서비스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되, 상대방 측의 인증 과정이 추가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서비스 처리 속도 지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그 상대방 측(즉, BLE 터미널(50))에 관한 인증 수행 또는 인증 결과의 전송이 실행되기 이전에, BLE 터미널(50)의 터미널 정보(즉, 그 상대방 엔티티의 엔티티 정보) 및 서비스 확인 정보의 사용자 측 모바일 화면 표출이 먼저 실행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오픈 터미널 서버(200)는, 모바일 에이전트(100)로부터 터미널 식별 정보를 수신한 경우, 수신된 터미널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터미널 정보(즉, 엔티티 정보)를 획득하고, 또한 이와 관련된 터미널 타입 정보(또는 서비스 타입 정보)를 획득하여, 이를 모바일 에이전트(100)로 전달할 수 있다[도 1의 도면부호 (3) 참조].
이에 따라, 모바일 에이전트(100)는, 오픈 터미널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터미널 정보를 앱 화면을 통해서 표출하고, 또한 오픈 터미널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상기 터미널 타입 정보(또는 상기 서비스 타입 정보)에 상응하는 서비스 확인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서비스 확인 정보를 앱 화면을 통해서 표출할 수 있다[도 1의 도면부호 (4) 참조].
위와 같이 앱 화면을 통해서 서비스 확인 정보가 표출되면, 사용자는 화면 표출된 서비스 확인 정보에 기초하여 자신이 필요로 하는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고[도 1의 도면부호 (5) 참조], 모바일 에이전트(10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서비스에 관한 처리를 오픈 터미널 서버(200)로 요청하며[도 1의 도면부호 (6) 참조], 이에 따라 오픈 터미널 서버(200)는 해당 요청에 따른 서비스 처리를 실행하여 서비스 처리 결과를 모바일 에이전트(100) 및 BLE 터미널(50)로 전달할 수 있다[도 1의 도면부호 (7) 및 (8) 참조].
이때, 앞서 설명한 BLE 터미널(50)에 관한 인증은, 사용자 측으로부터 요청된 서비스 처리를 실제 실행하기 이전까지만 처리되면 충분하므로, BLE 터미널(50)의 인증 과정이 추가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서비스 처리 속도 지연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도 2의 설명 - 제2 실시예]
도 2의 케이스도 앞서 설명한 도 1의 케이스에서와 일부 프로세스는 동일하다[도 2의 도면부호 (3), (5), (6) 참조].
도 2의 케이스에 의할 때, BLE 터미널(50)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되는 BLE 비콘 메시지에는 터미널 타입(또는 서비스 타입) 정보가 포함된다[도 2의 도면부호 (1) 참조].
이에 따라, 모바일 에이전트(100)는, BLE 비콘 메시지에 포함된 터미널 타입(또는 서비스 타입)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터미널 타입(또는 서비스 타입) 정보에 상응하는 서비스 확인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서비스 확인 정보를 상기 화면을 통해서 표출할 수 있다[도 2의 도면부호 (2) 참조]. 이를 위해, 모바일 에이전트(100)는, 터미널 타입(또는 서비스 타입) 별로 이에 상응하는 서비스 확인 정보를 미리 저장해둘 수 있다.
또한, 도 2의 케이스에 의할 때, BLE 터미널(50)에 의해 제공되는 특정 서비스 처리 요청시, BLE 터미널(50)의 인증을 위한 인증 정보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도 2의 도면부호 (4) 참조].
[도 3의 설명 - 제3 실시예]
도 3은 BLE 터미널(50)에 관한 터미널 정보(즉, 엔티티 정보) 및 서비스 확인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에서, BNS(BLE Name Server)(300)와의 연동을 통해서 BLE 터미널(50)의 조회를 수행하는 케이스를 보여주고 있다.
특히, 도 3에서는 모바일 에이전트(100)가 BNS(300)와 직접 연동하는 케이스를 도시하고 있으나, BNS(300)는 도 1 및 도 2에서 설명한 오픈 터미널 서버(200)(혹은 서비스 처리 서버 및 인증 처리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연동되는 방식으로 동작할 수도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 및 집중을 위해, BNS(300)가 모바일 에이전트(100)와 직접 연동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에 의할 때, 모바일 에이전트(100)는, BLE 터미널(50)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된 BLE 비콘 메시지로부터 터미널 식별 정보(도 3의 Terminal ID 참조)를 추출하고[도 3의 도면부호 (1) 및 (2) 참조], 추출된 터미널 식별 정보를 BNS(300)로 전달하여 BNS(300)로 터미널 정보에 관한 조회(즉, 엔티티 정보 및 서비스 확인 정보의 조회)를 요청하고[도 3의 도면부호 (3) 참조], BNS(300)로부터 터미널 정보(즉, 엔티티 정보로서 터미널 메타 정보(도 3의 Metadata 참조) 및 서비스 확인 정보로서 도 3의 Return URL 및 Type 정보 참조)가 수신되는 경우[도 3의 도면부호 (4) 참조], 수신된 상기 엔티티 정보 및 상기 서비스 확인 정보를 사용자 측의 모바일 앱 화면을 통해서 표출할 수 있다[도 3의 도면부호 (5) 참조].
이때, 상기 터미널 메타 정보는, 일련번호 형태의 터미널 식별 정보(예를 들어, beacon ID)를 사용자가 직접 인지 및 식별할 수 있는 형태의 정보로 전환시킨 엔티티 정보를 지칭한다. 예를 들어, 도 5a에서의 OOO 카페, OOO PC방, 도 5b에서의 거실 TV, 안방 조명, 서재 스피커, 거실 에어컨, 도 6a의 (A)에서의 시설 A, 시설 B, 도 6a의 (B)에서의 가맹점 A, 가맹점 B, 도 6b의 (A)에서의 받는 사람 A, 받는 사람 B, 도 6b의 (B)에서의 계약서 A, 계약서 B가 바로 그 예이다.
이에 따르면, 상기 터미널 식별 정보는 일련번호 형태로 되어 있어 사용자가 구분 식별 및 인지할 수 없는 형태의 정보인 반면, 상기 터미널 메타 정보는 사용자가 오프라인 상의 상대방 엔티티와 연관지어 인지 및 식별할 수 있는 형태의 엔티티 정보이므로, 상술한 상대방 엔티티에 관한 인증 처리 서버에서의 인증 과정이 생략되더라도, 상대방 엔티티에 관한 진위 여부의 판별을 사용자 스스로 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이를 위해, BNS(300)에는 상기 터미널 메타 정보를 상기 터미널 식별 정보와 연계하여 저장한 DB가 구축될 수 있다.
[도 4의 설명 - 제4 실시예]
도 4의 케이스도 앞서 설명한 도 3의 케이스에서와 전반적인 프로세스가 대동소이하다. 다만, 도 4의 케이스에서는, 도 3에서 이용하였던 터미널 식별 정보를 대신하여 데이터 키(Data Key)를 활용하고 있다.
즉, BNS(300)는 BLE 터미널(50)에 관한 데이터들을 저장하되 이러한 데이터들을 추출하기 위한 데이터 키(이는 일시적 키 값일 수 있음)를 할당하고[도 4의 도면부호 (1) 및 (2) 참조], BLE 터미널(50)은 이러한 데이터 키를 포함하는 BLE 비콘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팅함으로써[도 4의 도면부호 (3) 참조], 모바일 에이전트(100)는 BLE 비콘 메시지에 포함된 데이터 키를 이용하여 BNS(300)로 해당 터미널에 관한 정보(즉, 엔티티 정보 및 서비스 확인 정보)를 조회 요청하고 이에 관한 정보들을 수신하는 방식[도 4의 도면부호 (4), (5), (6) 참조]이 채용되고 있다.
[도 5a ~ 도 6b의 화면 예시 설명]
도 5a ~ 도 6b는, 사전 지정된 신호 세기 이상을 갖는 복수의 BLE 비콘 신호가 수신됨에 따라, 복수의 엔티티 정보 및 선택된 엔티티(또는 각 엔티티 별)의 서비스 확인 정보가 앱 화면에 표출된 예시를 보여주고 있다.
모바일 에이전트(100)의 앱 화면을 통해서 표출되는 엔티티 정보로서 터미널 메타 정보에 관해서는 앞서 설명하였는 바, 이하에서는 앱 화면을 통해서 표출되는 서비스 확인 정보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모바일 에이전트(100)는, 상기 서비스 확인 정보로서, 식별된 엔티티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 구성 정보(예를 들어, 도 5a의 (A)의 네번째 화면 예시 참조), 서비스 설명 정보(예를 들어, 도 5a의 (B)의 네번째 화면 예시 참조), 서비스 기능 실행 정보(예를 들어, 도 5b의 (C)의 네번째 화면 예시 또는 도 5b의 (D)의 두번째 화면 예시 참조) 등을 앱 화면을 통해서 표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b를 참조하면, 터미널 타입 또는 서비스 타입에 상응하는 서비스를 모바일 에이전트(100)가 구현함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기능 실행 정보로서, 타입이 TV 타입인 경우 전원버튼과 채널선택 버튼, 음향조절 버튼이 나열될 수 있고, 조명 타입인 경우 온/오프 버튼만 도출될 수 있다. 또한 도면을 통해서 명확히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타입이 엘리베이터 타입인 경우, 1층, 2층 등 층 선택 버튼 등이 나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도 6a를 참조하면, 타입이 결제 단말 타입인 경우 결제 수단인 신용카드를 앱 화면 상에 표출함과 아울러 서비스 기능 실행 정보로서 결제 버튼만이 도출될 수도 있으며, 타입이 출입문 단말 타입인 경우 서비스 기능 실행 정보로서 신분증 제시 버튼만 활성화 될 수도 있다.
또한 모바일 에이전트(100)는, 해당 엔티티와의 관계에서 식별된 서비스를 처리하는데 요구되는 사용자 소유의 서비스 처리 오브젝트 정보를 해당 서비스 타입에 맞게 추출하여, 상기 서비스 확인 정보와 상기 사용자 소유의 서비스 처리 오브젝트 정보를 함께 상기 앱 화면을 통해서 표출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소유의 서비스 처리 오브젝트 정보란, 도 6a의 (A)에서 출입 서비스 처리를 위해서 사용자 측에 요구되는 신분증 정보, 도 6a의 (B)에서 결제 서비스 처리를 위해서 사용자 측이 사용할 신용카드 정보, 도 6b의 (C)에서 입출금 서비스 처리를 위해서 사용자 측이 사용할 입출금 계좌 정보, 도 6b의 (D)에서 계약 전자서명 서비스 처리를 위해 사용될 사용자 전자서명 이미지 정보가 여기에 해당될 수 있다.
이때, 모바일 에이전트(100)는, 이와 반대로 사용자 소유의 서비스 처리 오브젝트 정보와 해당 오브젝트가 지원 가능한 서비스 타입을 확인하고, 수신한 무선 터미널 메시지 중에서 상기 서비스 타입에 해당하는 상기 서비스 확인 정보만을 상기 앱 화면을 통해서 표출할 수도 있다.
이에 따르면, 모바일 에이전트는, 그 상대방 엔티티(본 예에서는 BLE 터미널(50))가 제공하는 서비스의 이용이 실제 개시(처리)되기 전이라도, 획득된 터미널 타입 또는 서비스 타입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모바일 기기의 앱 화면을 통해서 해당 서비스에 대한 정보 제공과 함께 서비스의 조작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하는 독립적 인터페이스(GUI) 구성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의할 때, 모바일 에이전트(100)는, 상기 앱 화면을 통해 표출된 상기 서비스 확인 정보를 통한 서비스의 조작이 선택되는 경우에야 비로소, 터미널 식별 정보, 터미널 인증 정보, 사용자 식별 정보, 사용자 인증 정보, 상기 선택된 서비스 조작에 관한 정보를 오픈 터미널 서버(200)로 전달하여, 상기 BLE 터미널(50)의 인증 및 사용자 인증에 관한 상호 인증을 통해 상기 선택된 서비스 조작 정보에 따른 서비스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0)

  1. 무선 터미널 메시지를 이용하는 서비스 식별 및 처리 방법으로서,
    (a) 모바일 디바이스인 제1 엔티티가 무선 터미널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여기서, 상기 무선 터미널 메시지에는 터미널 식별 정보 및 터미널 인증 정보가 포함됨-;
    (b) 상기 제1 엔티티에 설치되는 정보 처리용 응용 프로그램인 제1 에이전트가, 상기 무선 터미널 메시지의 정보에 근거하여 제2 엔티티의 엔티티 정보 및 상기 제2 엔티티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에 관련된 서비스 확인 정보를 상기 제1 에이전트에 의한 앱 화면을 통해서 표출하는 단계;
    (c) 인증 처리 서버가, 상기 제1 에이전트로부터 상기 터미널 식별 정보 및 터미널 인증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터미널 인증 정보의 검증을 통해 상기 제2 엔티티의 진위 여부에 관한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 결과를 상기 제1 에이전트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 터미널 메시지를 이용하는 서비스 식별 및 처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제1 에이전트는, 상기 제2 엔티티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의 이용이 실제 개시되기 전에, 상기 무선 터미널 메시지와 관련하여 획득되는 정보에 근거하여 해당 서비스에 관한 정보와 함께 해당 서비스의 조작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하는 상기 서비스 확인 정보를 독립적 인터페이스로서 구성하여 상기 앱 화면을 통해서 표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터미널 메시지를 이용하는 서비스 식별 및 처리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서비스 확인 정보를 통한 서비스의 조작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제1 에이전트는, 상기 터미널 식별 정보, 상기 터미널 인증 정보, 상기 선택된 서비스 조작에 관한 정보를 서비스 처리 서버로 전달하여, 상기 제2 엔티티의 인증을 통해 상기 선택된 서비스 조작 정보에 따른 서비스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터미널 메시지를 이용하는 서비스 식별 및 처리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 따른 인증 수행 또는 인증 결과의 전송이 실행되기 이전에, 상기 (b) 단계에 따른 엔티티 정보 및 서비스 확인 정보의 화면 표출이 먼저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터미널 메시지를 이용하는 서비스 식별 및 처리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제1 에이전트는,
    상기 무선 터미널 메시지에 포함된 터미널 식별 정보를 서비스 처리 서버 또는 인증 처리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터미널 타입 또는 서비스 타입 정보가 수신된 경우, 상기 터미널 타입 또는 상기 서비스 타입 정보에 상응하는 상기 서비스 확인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서비스 확인 정보를 상기 화면을 통해서 표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터미널 메시지를 이용하는 서비스 식별 및 처리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제1 에이전트는,
    상기 무선 터미널 메시지에 포함된 터미널 타입 또는 서비스 타입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터미널 타입 또는 서비스 타입 정보에 상응하는 상기 서비스 확인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서비스 확인 정보를 상기 화면을 통해서 표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터미널 메시지를 이용하는 서비스 식별 및 처리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에이전트, 서비스 처리 서버, 인증 처리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통신 연동되는 BNS(BLE Name Server)를 포함하되,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제1 에이전트는,
    상기 무선 터미널 메시지에 포함된 터미널 식별 정보 또는 데이터 키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터미널 식별 정보 또는 데이터 키 정보가 상기 BNS로 전달되도록 하여, 상기 BNS로 상기 엔티티 정보 및 상기 서비스 확인 정보에 관한 조회를 요청하고, 확인된 상기 엔티티 정보 및 상기 서비스 확인 정보를 상기 화면을 통해서 표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터미널 메시지를 이용하는 서비스 식별 및 처리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BNS는, 터미널 메타 정보를 상기 터미널 식별 정보와 연계하여 저장하되,
    상기 터미널 메타 정보는, 터미널 식별 정보를 사용자가 직접 인지 및 식별할 수 있는 정보로 전환시킨 엔티티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터미널 메시지를 이용하는 서비스 식별 및 처리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제1 에이전트는,
    상기 서비스 확인 정보로서, 식별된 엔티티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 구성 정보, 서비스 설명 정보, 서비스 기능 실행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앱 화면을 통해서 표출하거나,
    해당 엔티티와의 관계에서 식별된 서비스를 처리하는데 요구되는 사용자 소유의 서비스 처리 오브젝트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서비스 확인 정보와 상기 사용자 소유의 서비스 처리 오브젝트 정보를 함께 상기 앱 화면을 통해서 표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터미널 메시지를 이용하는 서비스 식별 및 처리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제1 에이전트는, 상기 서비스 처리 오브젝트에 기초하여 지원 가능한 서비스 타입을 확인하고, 수신된 무선 터미널 메시지 중에서 상기 확인된 서비스 타입에 대응되는 상기 서비스 확인 정보만을 상기 앱 화면을 통해서 표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터미널 메시지를 이용하는 서비스 식별 및 처리 방법.
KR1020200189629A 2020-12-31 2020-12-31 무선 터미널 메시지를 이용하는 서비스 식별 및 처리 방법 KR1024682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9629A KR102468233B1 (ko) 2020-12-31 2020-12-31 무선 터미널 메시지를 이용하는 서비스 식별 및 처리 방법
KR1020220150357A KR102589125B1 (ko) 2020-12-31 2022-11-11 무선 터미널 메시지를 이용하는 서비스 식별 및 처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9629A KR102468233B1 (ko) 2020-12-31 2020-12-31 무선 터미널 메시지를 이용하는 서비스 식별 및 처리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50357A Division KR102589125B1 (ko) 2020-12-31 2022-11-11 무선 터미널 메시지를 이용하는 서비스 식별 및 처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6830A KR20220096830A (ko) 2022-07-07
KR102468233B1 true KR102468233B1 (ko) 2022-11-18

Family

ID=8239790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9629A KR102468233B1 (ko) 2020-12-31 2020-12-31 무선 터미널 메시지를 이용하는 서비스 식별 및 처리 방법
KR1020220150357A KR102589125B1 (ko) 2020-12-31 2022-11-11 무선 터미널 메시지를 이용하는 서비스 식별 및 처리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50357A KR102589125B1 (ko) 2020-12-31 2022-11-11 무선 터미널 메시지를 이용하는 서비스 식별 및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46823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648936A (zh) * 2021-12-23 2023-08-25 株式会社电子暴风 利用无线终端消息的服务识别及处理方法
CN117764565A (zh) * 2022-09-19 2024-03-2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条形码信息处理方法、电子设备、计算机可读介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87303A (ko) * 2016-01-20 2017-07-28 주식회사 푸른밤 출퇴근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JP6239184B1 (ja) * 2017-08-29 2017-11-29 株式会社Cygames 訪問確認のためのシステム、携帯端末装置、サーバ、プログラム及び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5249A (ko) 2022-11-22
KR102589125B1 (ko) 2023-10-13
KR20220096830A (ko) 2022-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155249A (ko) 무선 터미널 메시지를 이용하는 서비스 식별 및 처리 방법
CN112769834B (zh) 身份验证系统、方法和平台
US7076209B2 (en) Short range radio communication system with using improved authentication scheme
KR101782070B1 (ko) 스마트 장치, 단말 및 서버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KR101651696B1 (ko) 휴대 단말을 이용한 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
EP2134114A1 (en) Method for providing to an end device access to a service, to an end device and to a mobile terminal realizing such a method
CN103098441A (zh) 设备通信
KR102470816B1 (ko) 사용자 장치, 서비스 제공 장치, pos 단말, 그를 포함하는 결제 시스템, 그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CN104915829A (zh) 基于nfc技术的应用交互方法及装置
US20170068908A1 (en) Service providing device for cancelling ticket, ticket cancel guide system comprising the same, control method thereof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on
CN105915714A (zh) 终端丢失提示方法及装置
KR102431306B1 (ko) 사용자 장치, 서비스 제공 장치 그를 포함하는 결제 시스템, 그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US20170068946A1 (en) User equipment, service providing device, pos terminal, payment system including the same, control method thereof,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stor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on
JP2023139245A (ja) 無線接続システム、情報端末、表示装置、および無線接続方法
US10275580B2 (en) Method of authenticating a user of a terminal with a service provider
KR20190128777A (ko) 인증 비콘을 이용하여 근접거리내 스마트폰 이용자간 거래 상대방을 검증하는 방법 및 시스템
US20240129725A1 (en) Service identifying and processing method using low distance wireless terminal message
CN116057892A (zh) 经由短程收发器进行经验证的消息收发的系统和方法
US20150373018A1 (en) Biometric identification device
KR102594097B1 (ko) 사용자 장치, 서비스 제공 장치, 그를 포함하는 결제 시스템, 그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2408438B1 (ko) 카메라를 강제로 구동시켜 식별코드를 판독하는 서버, 그 방법 및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US1196265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issioning a sensor
JP2005149453A (ja)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
JP6975219B2 (ja) 端末制御システム、端末制御方法、制御サーバ及びプログラム
CN107750469B (zh) 印章装置、其操作方法和记录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