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7907B1 - 통신단말기 인증처리시스템, 통신단말기, 단말기 인증서버 및 그 인증처리방법 - Google Patents

통신단말기 인증처리시스템, 통신단말기, 단말기 인증서버 및 그 인증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7907B1
KR102187907B1 KR1020140095767A KR20140095767A KR102187907B1 KR 102187907 B1 KR102187907 B1 KR 102187907B1 KR 1020140095767 A KR1020140095767 A KR 1020140095767A KR 20140095767 A KR20140095767 A KR 20140095767A KR 102187907 B1 KR102187907 B1 KR 1021879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authentication
ctn
server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57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12853A (ko
Inventor
김동한
오완석
이상훈
김택훈
김기수
Original Assignee
토스페이먼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토스페이먼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토스페이먼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957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7907B1/ko
Publication of KR201600128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28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79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79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통신단말기 인증처리시스템, 통신단말기, 단말기인증서버 및 인증처리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단말기 인증처리 시스템은, 통신단말기로부터 식별정보를 수신하며, 복수의 회선번호 중 임의의 회선번호를 이동통신단말기의 식별정보에 매칭하고, 매칭된 회선번호를 이동통신단말기에 전송하는 단말기인증서버; 및 회선을 연결한 상대단말기의 회선번호 및 CTN을 단말기인증서버에 전송하는 ARS(Automatic Response System)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단말기인증서버는 통신단말기에 전송한 회선번호와 ARS서버로부터 수신한 상대단말기의 회선번호가 일치하면, ARS서버로부터 수신한 CTN을 통신단말기에 전송한다.

Description

통신단말기 인증처리시스템, 통신단말기, 단말기 인증서버 및 그 인증처리방법{Communication Terminal Certification Processing System, Communication Terminal, Server and Certification Processing Method}
본 발명은 통신단말기 인증처리시스템, 통신단말기, 단말기 인증서버 및 그 인증처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회선번호 중 임의의 회선번호를 단말기인증을 요청한 통신단말기와 매칭하고, 설정된 시간 이내에 ARS 회선을 연결하는 상대단말기의 회선번호와 매칭된 회선번호가 일치하는 경우에 대응하는 통신단말기에 CTN을 전송함으로써, 스미싱 등을 이용하여 타인의 정보를 탈취한 단말기에서는 해당 타인의 정보에 기초한 CTN을 이용하여 더 이상의 인증절차를 진행하지 못하도록 하여 인증절차를 강화하는, 통신단말기 인증처리 시스템, 통신단말기, 단말기 인증서버 및 그 인증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이동통신단말기는 그 기본적인 음성통화 기능 이외에 디지털방송 시청, 오디오 청취, 게임 플레이, 모바일 뱅킹 등의 기존에 컴퓨터에 의해 수행되던 대부분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
특히, 이동통신단말기는 이동통신서비스의 가입 시에 등록된 가입자정보 및 이동통신단말기의 번호(CTN: Cellular Telephone Number)를 이용하여 인증기관을 통해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용자를 인증하며, 이를 통해 사용자가 현금 또는 카드를 소지하지 않더라도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언제 어디서나 사용자가 구입하는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결제를 편리하게 결제할 수 있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인증처리 방법은, 통신단말기가 인증을 요청하면서 인증기관의 서버에 사용자가 입력한 고객정보와 자신이 점유하고 있는 통신단말기의 CTN을 입력하여 전송하면, 인증기관의 서버가 입력한 고객정보와 입력된 CTN에 대응하는 통신단말기의 고객정보 일치를 통해 본인인증을 한 후 입력된 CTN에 대응하는 통신단말기에 SMS 등으로 인증정보(인증번호)를 전송하고, 사용자가 자신이 점유한 통신단말기에 수신한 해당 인증정보를 다시 인증기관의 서버에 전송함으로써, 인증처리를 수행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인증처리 방법은 스미싱(smishing) 등을 통해 타인이 해당 CTN을 통해 종래 인증처리 방법으로 인증이 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불법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통신단말기를 점유하는 가입자의 가입자정보 및 통신단말기의 CTN 등을 입수한 타인은 해당 CTN 및 가입자정보를 이용하여 인증기관에 인증을 요청하면 인증기관의 서버에서 가입자단말기로 인증정보가 전송되나, 해당 가입자단말기에 설치된 불법 어플리케이션 등을 통해 해당 가입자단말기를 점유하는 가입자의 인지없이 인증정보가 타인에게 전송되는 등 가로채는 것이 가능하므로 이를 입수한 타인은 인증기관에 인증을 계속 진행하여 구매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결제처리를 하거나 특정 사이트에 가입하는 등의 사용자정보를 도용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19282호 (공개일자: 2011. 02. 25)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복수의 회선번호 중 임의의 회선번호를 단말기인증을 요청한 통신단말기와 매칭하고, 설정된 시간 이내에 ARS 회선을 연결하는 상대단말기의 회선번호와 매칭된 회선번호가 일치하는 경우에 대응하는 통신단말기에 CTN을 전송함으로써, 스미싱 등을 이용하여 타인의 정보를 탈취한 단말기에서는 해당 타인의 정보에 기초한 CTN을 이용하여 더 이상의 인증절차를 진행하지 못하도록 하여 인증절차를 강화하는, 통신단말기 인증처리 시스템, 통신단말기, 단말기 인증서버 및 그 인증처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단말기 인증처리 시스템은, 통신단말기로부터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단말기인증 요청신호를 수신하며, 통신단말기에 회선번호를 전송하는 단말기인증서버; 및 회선을 연결한 상대단말기의 CTN을 단말기인증서버에 전송하는 ARS(Automatic Response System)서버;를 포함하며, 단말기인증서버는 ARS서버로부터 수신한 CTN을 통신단말기에 전송하고, 통신단말기는 단말기인증서버로부터 전송받은 CTN을 인증화면에 표시하며, 인증화면에 표시되는 CTN은 수정이 불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ARS서버는, 상대단말기가 회선번호로 ARS서버에 회선을 연결한 경우에 상대단말기의 CTN을 단말기인증서버에 전송한다.
또한, ARS서버는, 단말기인증서버가 통신단말기에 회선번호를 전송한 후, 상대단말기가 설정된 시간 이내에 ARS서버에 회선을 연결한 경우에 상대단말기의 CTN을 단말기인증서버에 전송한다.
단말기인증서버는 통신단말기로부터 고객정보를 수신하고, ARS서버는 단말기인증서버를 통해 수신한 고객정보에 기초하여, 상대단말기의 사용자를 인증처리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단말기는 상대단말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단말기는, 단말기인증서버에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단말기인증 요청신호를 전송하는 단말기인증요청부; 단말기인증요청부에 의한 단말기 인증요청에 대응하여 단말기인증서버로부터 회선번호를 수신하는 회선번호수신부; 및 회선번호수신부를 통해 회선번호가 수신된 후, 단말기인증서버로부터 ARS서버와 회선이 연결된 상대단말기의 CTN을 자동으로 입력받으며, 입력받은 CTN을 인증화면에 표시하는 CTN표시부;를 포함하며, CTN표시부에 의해 인증화면에 표시되는 CTN은 수정이 불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CTN표시부는, 회선번호수신부를 통해 회선번호가 수신된 후, 설정된 시간 이내에 ARS서버에 회선을 연결한 상대단말기의 CTN을 자동으로 입력받는다.
또한, CTN표시부는, 회선번호수신부를 통해 수신한 회선번호와 동일한 회선번호로 상대단말기가 ARS서버에 회선을 연결한 경우에 상대단말기의 CTN을 자동으로 입력받는다.
전술한 통신단말기는, 회선번호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회선번호를 이용하여 ARS서버에 회선을 연결하는 회선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통신단말기는, CTN표시부에 표시되는 CTN에 기초하여 인증기관서버로부터 인증정보를 수신하는 인증정보수신부; 인증정보수신부에 의해 수신되는 인증정보를 인증기관서버에 전송하는 인증정보전송부; 및 인증기관서버에 전송되는 인증정보에 대응하여 인증기관서버로부터 인증결과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인증결과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인증서버는, 통신단말기로부터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단말기인증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요청신호수신부; 요청신호수신부에 의해 단말기인증 요청신호가 수신되면, 통신단말기에 회선번호를 전송하는 회선번호전송부; ARS서버로부터 회선이 연결된 상대단말기에 대한 CTN을 수신하는 CTN수신부; 및 CTN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CTN을 통신단말기에 전송하는 CTN입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CTN수신부는, 회선번호전송부가 통신단말기에 회선번호를 전송한 후, 상대단말기가 설정된 시간 이내에 ARS서버에 회선을 연결한 경우에 ARS서버로부터 상대단말기의 CTN을 수신할 수 있다.
CTN수신부는, 회선번호전송부가 통신단말기에 전송한 회선번호와 동일한 번호로 상대단말기가 ARS서버에 회선을 연결한 경우에 ARS서버로부터 상대단말기의 CTN을 수신할 수도 있다.
여기서, 단말기인증 요청신호는 고객정보를 더 포함하며, CTN수신부는, 요청신호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고객정보에 기초하여 ARS서버가 상대단말기의 사용자를 인증한 경우에, ARS서버로부터 상대단말기의 CTN을 수신할 수 있다.
CTN입력부는, CTN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CTN이 통신단말기의 인증화면에 입력될 수 있도록 통신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통신단말기의 인증화면에 입력되는 CTN은 수정이 불가능하게 구현된다.
통신단말기는 상대단말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인증서버는, 통신단말기로부터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단말기인증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요청신호수신부; 요청신호수신부에 의해 단말기인증 요청신호가 수신되면, 회선번호를 통신단말기에 전송하는 회선번호전송부; 회선을 연결한 상대단말기의 CTN을 인식하는 ARS처리부; 및 ARS처리부에 의해 인식된 CTN을 통신단말기에 전송하는 CTN입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RS처리부는, 회선번호전송부가 통신단말기에 회선번호를 전송한 후, 상대단말기가 설정된 시간 이내에 ARS처리부에 회선을 연결한 경우에 상대단말기의 CTN을 인식할 수 있다.
ARS처리부는, 회선번호전송부가 통신단말기에 전송한 회선번호와 동일한 번호로 상대단말기가 ARS처리부에 회선을 연결한 경우에 상대단말기의 CTN을 인식할 수도 있다.
단말기인증 요청신호는 고객정보를 더 포함하며, ARS처리부는 요청신호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고객정보에 기초하여 상대단말기의 사용자에 대한 ARS 인증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통신단말기는 상대단말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증처리방법은, 통신단말기에 의해 수행되는 인증처리방법에 있어서, 단말기인증서버에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단말기인증 요청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단말기인증 요청신호 전송단계에 의한 단말기 인증요청에 대응하여 단말기인증서버로부터 회선번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회선번호 수신단계를 통해 회선번호가 수신된 후, 단말기인증서버로부터 ARS서버와 회선이 연결되는 상대단말기의 CTN을 자동으로 입력받으며, 입력받은 CTN을 인증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CTN 표시단계에 의해 인증화면에 표시되는 CTN은 수정이 불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CTN을 입력받는 단계는, 회선번호 수신단계를 통해 회선번호가 수신된 후, 설정된 시간 이내에 ARS서버에 회선을 연결한 상대단말기의 CTN을 자동으로 입력받는다.
CTN을 입력받는 단계는, 회선번호 수신단계를 통해 수신한 회선번호와 동일한 회선번호로 상대단말기가 ARS서버에 회선을 연결한 경우에 상대단말기의 CTN을 자동으로 입력받을 수도 있다.
전술한 인증처리방법은, 회선번호 수신단계에 의해 수신된 회선번호를 이용하여 ARS서버에 회선을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인증처리방법은, 인증화면에 표시되는 CTN에 기초하여 인증기관서버로부터 인증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인증정보 수신단계에 의해 수신되는 인증정보를 인증기관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및 인증기관서버에 전송되는 인증정보에 대응하여 인증기관서버로부터 인증결과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증처리방법은, 단말기인증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인증처리방법에 있어서, 통신단말기로부터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단말기인증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단말기인증 요청신호 수신단계에 의해 단말기인증 요청신호가 수신되면, 통신단말기에 회선번호를 전송하는 단계; ARS서버로부터 회선이 연결된 상대단말기에 대한 CTN을 수신하는 단계; 및
ARS서버로부터 수신한 CTN을 통신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CTN 수신단계는, 회선번호 전송단계를 통해 통신단말기에 회선번호를 전송한 후, 상대단말기가 설정된 시간 이내에 ARS서버에 회선을 연결한 경우에 ARS서버로부터 상대단말기의 CTN을 수신한다.
CTN 수신단계는, 회선번호 전송단계를 통해 통신단말기에 전송한 회선번호와 동일한 번호로 상대단말기가 ARS서버에 회선을 연결한 경우에 ARS서버로부터 상대단말기의 CTN을 수신할 수도 있다.
단말기인증 요청신호는 고객정보를 더 포함하며, CTN 수신단계는, 단말기인증 요청신호 수신단계를 통해 수신되는 고객정보에 기초하여 ARS서버가 상대단말기의 사용자를 인증한 경우에, ARS서버로부터 상대단말기와 연결된 회선번호 및 CTN을 수신할 수 있다.
CTN 전송단계는, CTN 수신단계에 의해 수신된 CTN이 통신단말기의 인증화면에 입력될 수 있도록 통신단말기에 전송한다.
통신단말기의 인증화면에 입력되는 CTN은 수정이 불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통신단말기는 상대단말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증처리방법은, 단말기인증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인증처리방법에 있어서, 통신단말기로부터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단말기인증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단말기인증 요청신호 수신단계에 의해 단말기인증 요청신호가 수신되면, 통신단말기에 회선번호를 전송하는 단계; 회선을 연결한 상대단말기의 CTN을 인식하는 단계; 및 CTN 인식단계에 의해 인식된 CTN을 통신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CTN 인식단계는, 회선번호 전송단계를 통해 통신단말기에 회선번호를 전송한 후, 상대단말기가 설정된 시간 이내에 회선을 연결한 경우에 상대단말기의 CTN을 인식한다.
CTN 인식단계는, 회선번호 전송단계에 의해 통신단말기에 전송한 회선번호와 동일한 번호로 상대단말기가 회선을 연결한 경우에 상대단말기의 CTN을 인식할 수도 있다.
전술한 인증처리방법은, 단말기인증 요청신호 수신단계를 통해 수신되는 고객정보에 기초하여 상대단말기의 사용자에 대한 ARS 인증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단말기인증 요청신호는 고객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증을 요청한 통신단말기에 매칭된 회선번호를 인증을 요청한 통신단말기에 전송하고, 해당 회신번호로 ARS를 연결한 상대단말기의 CTN을 서버가 인식하여 인증을 요청한 통신단말기에게 전송함으로써 탈취한 타인의 정보를 이용하여 인증절차를 수행하고자 하는 단말기의 경우에는 단말기 인증서버로부터 해당 타인의 단말기에 대응하는 CTN을 받을 수 없으며, 그에 따라 타인의 단말기에 대응하는 CTN을 이용하여 더 이상의 인증절차를 진행하지 못하게 된다.
또한, 복수의 회선번호 중 임의의 회선번호를 단말기인증을 요청한 통신단말기와 매칭하고, 설정된 시간 이내에 ARS 회선을 연결하는 상대단말기의 회선번호가 매칭된 회선번호가 일치하는 경우에 대응하는 통신단말기에 상대단말기의 CTN을 전송함으로써 상대단말기를 점유하고 있는 사용자만이 인증절차를 수행할 수가 있으므로 강화된 인증이 가능하다.
또한, 단말기인증서버로부터 통신단말기로 수신된 CTN 은 CTN을 수신받은 통신단말기의 사용자가 이후 인증 절차에서 임의로 수정이 불가능하게 함으로써 점유하지 않는 단말기의 CTN 또는 불법으로 탈취한 CTN 으로 인증 절차을 진행할 수 없게 한다.
또한, 통신단말기로부터 수신한 고객정보에 기초하여 ARS 회선을 연결한 사용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함으로써, 단말기인증을 요청하는 통신단말기의 사용자와 ARS 회선을 연결한 상대단말기의 사용자에 대한 동일성 여부를 인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인증기관에 사용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기 이전에 인증을 요청하는 CTN에 대응하는 단말기에 대한 인증이 추가됨으로써, 기존의 사용자에 대한 인증절차를 더욱 강화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단말기 인증처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낸 통신단말기에 의해 인증이 요청되는 경우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낸 인증요청에 의해 CTN이 입력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나타낸 CTN에 기초하여 인증결과가 표시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4에 나타낸 CTN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대한 인증을 요청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나타낸 사용자에 대한 인증 요청에 대응하여 인증번호가 표시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나타낸 인증번호를 인증서버에 전송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인증서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인증서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증처리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증처리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증처리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단말기 인증처리 시스템, 통신단말기, 인증서버 및 인증처리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단말기 인증처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단말기 인증처리 시스템은 통신단말기(100), 단말기인증서버(200) 및 ARS서버(300)를 포함한다. 이때, 통신단말기(100)와 단말기인증서버(200) 및 ARS서버(300)는 네트워크(10)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인증서버(200)는 ARS서버(300) 및 인증기관서버(20)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10)는 인터넷뿐만 아니라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LTE(Long Term Evolution) 등과 같은 이동통신망, 와이파이(Wi-Fi), 와이브로(Wibro) 등의 무선통신망을 포함하는 광의의 개념으로 정의한다. 또한, 단말기인증서버(200)는 통신단말기(100)의 사용자가 이동통신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상품 또는 서비스의 구매에 대한 결제를 하거나 특정 사이트에 가입하는 경우 등에 그 인증을 요청하는 이동통신단말기(100)가 스미싱된 단말기인지 아닌지의 여부를 인증하는 서버로서, 통신사업자로부터 부여받은 전화번호, 통신서비스의 가입시에 등록한 가입자정보 등을 이용하여 통신단말기(100)의 사용자에 대한 인증처리를 수행하는 인증기관의 서버(20)와 구분한다.
통신단말기(100)는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및 실행이 가능한 단말기로서,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네트워크(10)를 통하여 단말기인증서버(200)에 단말기 자체의 스미싱 여부에 대한 인증을 요청할 수 있다. 이때, 통신단말기(100)는 식별정보, 또는 식별정보 및 고객정보를 단말기인증 요청신호에 포함시켜 단말기인증서버(200)에 전송한다. 여기서, 식별정보는 단말기인증서버(200)에 스미싱된 단말기인지의 여부에 대한 단말기인증을 요청하는 기기 자체의 식별정보이거나 네트워크상에서 해당 통신단말기를 구별하기 위한 정보로서, 해당 통신단말기(100)의 제조 시에 부여된 시리얼 넘버(Serial Number), 네트워크상의 IP주소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고객정보는 통신단말기(100)의 사용자에 대한 정보로서, 성명, 주민등록번호 등의 통신서비스의 가입 시에 등록된 가입자정보가 이용될 수 있다.
단말기인증서버(200)는 복수의 회선번호를 구비하며, 통신단말기(100)로부터 식별정보 및 고객정보를 수신하고, 구비된 복수의 회선번호 중에서 임의의 회선번호를 통신단말기(100)의 식별정보와 매칭하며, 매칭된 회선번호를 통신단말기(100)에 전송한다. 이때, 단말기인증서버(200)는 구비된 각각의 회선번호에 대응하여 서로 다른 대표번호를 설정하고, 통신단말기(100)의 식별정보와 임의의 회선번호에 대응하는 대표번호를 매칭하며, 매칭된 대표번호를 통신단말기(100)에 전송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인증서버(200)는 10개의 회선번호를 구비하며, 각각의 회선번호에 대응하여 0부터 9까지의 대표번호를 설정하고, 통신단말기(100)의 식별정보와 임의의 대표번호를 매칭한 후 매칭된 대표번호를 통신단말기(10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인증서버(200)는 복수의 회선번호 중 비어있는 순서에 따라 임의의 회선번호를 선택하거나, 복수의 회선 중의 비어있는 회선번호들에서 난수 선택 알고리즘에 따라 무작위로 임의의 회선번호를 선택할 수 있다. 그러나, 임의의 회선번호를 선택하는 방법은 기재된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방법으로 임의의 회선번호를 선택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기인증서버(200)는 통신단말기(100)의 식별정보와 임의의 회선번호의 매칭시간을 설정하며, 설정된 시간 동안 통신단말기(100)의 식별정보와 임의의 회선번호의 매칭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ARS서버(300)는 통신단말기(100)가 단말기인증서버(200)로부터 수신한 회선번호를 이용하여 회선을 연결하면, 통신단말기(100)의 CTN(Cellular Telephone Number)을 인식하며, 통신단말기(100)와 연결된 회선번호 및 인식된 CTN을 단말기인증서버(200)로 전송한다. 즉, ARS서버(300)는 통신단말기(100)가 단말기인증서버(200)로부터 수신한 임의의 회선번호를 이용하여 회선을 연결하면, 발신자번호 추적을 통해 통신단말기(100)의 CTN을 인식하며, 해당 통신단말기(200)와 연결된 회선번호를 판단하고, 통신단말기(100)와 연결된 회선번호와 함께 인식된 CTN을 단말기인증서버(200)로 전송한다. 이때, ARS서버(300)는 단말기인증서버(200)를 통해 수신한 고객정보에 기초하여 통신단말기(100)의 사용자를 ARS 인증처리할 수 있다. 즉, ARS서버(300)는 회선이 연결된 통신단말기(100)에 ARS 메시지를 전송하며 그에 대응하여 통신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되는 응답신호를 단말기인증서버(200)를 통해 수신한 고객정보와 비교하여 회선을 연결한 통신단말기(100)의 사용자가 단말기인증서버(200)에 단말기인증 요청신호를 전송한 통신단말기(100)의 사용자와 동일한지의 여부를 ARS(Automatic Response System) 인증 처리할 수 있다. 이 경우, ARS서버(300)는 회선을 연결한 통신단말기(100)의 사용자와 단말기인증을 요청한 통신단말기(100)의 사용자가 동일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 통신단말기(100)와 연결된 회선번호 및 인식된 CTN을 단말기인증서버(2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여기서, CTN은 통신단말기(100)의 사용자가 통신서비스에 가입할 때 통신서비스의 사업자로부터 부여받은 전화번호를 말한다.
ARS서버(300)에 회선을 연결한 통신단말기(100)는 단말기인증서버(200)로부터 회선번호를 전송받은 통신단말기(100)와 동일한 단말기인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ARS서버(300)에 회선을 연결한 통신단말기(100)는 단말기인증서버(200)로부터 회선번호를 전송받은 통신단말기(100)와 다른 단말기일 수도 있다. 이 경우, ARS서버(300)는 단말기인증서버(200)에 의해 통신단말기(100)에 회선번호가 전송된 후 설정된 시간 이내에 해당 회선번호를 통해 회선이 연결되었는지의 여부, ARS 메시지에 대응하여 상대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응답신호 등에 기초하여 단말기인증서버(200)에 의해 회선번호가 전송된 통신단말기(100)의 사용자와 상대단말기의 사용자에 대한 동일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단말기인증서버(200)는 통신단말기(100)에 전송한 임의의 회선번호와 ARS서버(300)로부터 수신한 상대단말기에 대한 회선번호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며, 서로 일치하는 경우에 ARS서버(300)로부터 수신한 CTN을 통신단말기(100)에 전송한다. 이때, 단말기인증서버(200)는 통신단말기(100)에 전송한 임의의 회선번호와 ARS서버(300)로부터 수신한 상대단말기에 대한 회선번호가 일치하는 경우, 해당 회선번호와 매칭된 식별정보의 통신단말기에 ARS서버(300)로부터 수신한 CTN을 전송한다. 이때, 단말기인증서버(200)는 ARS서버(300)로부터 수신한 CTN이 통신단말기(100)의 인증화면에 입력될 수 있도록 통신단말기(100)에 전송하며, 통신단말기(100)는 단말기인증서버(200)로부터 전송받은 CTN을 인증화면에 표시하고 사용자에 의한 수정이 불가능하도록 한다. 이를 통해, 스미싱 등을 이용하여 타인의 정보를 탈취한 단말기의 경우에는 단말기 인증서버로부터 해당 타인의 단말기에 대응하는 CTN을 받을 수 없으며, 그에 따라 타인의 단말기에 대응하는 CTN을 이용하여 더 이상의 인증절차를 진행하지 못하게 된다.
여기서, 단말기인증서버(200) 및 ARS서버(300)는 각각 독립적인 서버로 구현된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단말기인증서버(200) 및 ARS서버(300)는 하나의 서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즉, 단말기인증서버(200)는 ARS서버(300)를 포함하며, ARS서버(300)의 기능 및 동작을 자체적으로 수행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도 1에는 통신단말기(100)에서 단말기인증서버(200)에 단말기에 대한 인증을 요청하고, 해당 통신단말기(100)가 단말기인증서버(200)로부터 수신한 회선번호를 이용하여 ARS서버(300)에 회선을 연결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단말기인증서버(200)에 단말기인증을 요청하는 단말기와 ARS서버(300)에 회선을 연결하는 단말기는 서로 다른 단말기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인증서버(200)에 단말기인증을 요청하는 단말기는 컴퓨터, 노트북 등의 통신단말기가 이용될 수 있으며, ARS서버(300)에 회선을 연결하는 단말기는 음성통화가 가능한 인터넷 전화기, 휴대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단말기는 도 1에 나타낸 통신단말기 인증처리 시스템의 통신단말기(100)로 이용될 수 있으며, 따라서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였다. 여기서, 통신단말기(100)는 컴퓨터와 같은 유선단말기뿐만 아니라, 스마트 폰과 같이 어플리케이션의 설치가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단말기(100)는 인증요청부(110), 회선번호수신부(120), 회선연결부(130), CTN표시부(140), 인증정보수신부(150), 인증정보전송부(160) 및 인증결과표시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인증요청부(110)는 단말기인증서버(200)에 통신단말기(100)의 식별정보, 또는 통신단말기(100)의 식별정보 및 고객정보를 포함하는 단말기인증 요청신호를 전송한다. 즉, 인증요청부(110)는 통신단말기(100) 자체를 식별하는 식별정보, 또는 통신단말기(100)의 식별정보 및 통신단말기(100)의 사용자에 대한 고객정보를 단말기인증서버(200)에 전송하면서 통신단말기(100)가 스미싱된 단말기인지의 여부에 대한 단말기인증을 요청한다. 이때, 인증요청부(110)는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해 통신단말기(100)에 설치된 단말기인증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경우,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신단말기(100)의 화면에 표시되는 전화번호의 버튼을 터치하면 통신단말기(100)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단말기인증 요청신호가 자동으로 단말기인증서버(200)에 전송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여기에 기재하고 도시한 단말기인증 요청신호의 전송방법은 이해를 돕기 위한 예일 뿐이며, 다양한 방법으로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회선번호수신부(120)는 단말기인증요청부(110)에 의한 단말기 인증요청에 대응하여 단말기인증서버(200)로부터 복수의 회선번호 중의 임의의 회선번호를 수신한다. 즉, 회선번호수신부(120)는 인증요청부(110)에 의해 단말기인증서버(200)에 전송된 단말기인증 요청신호에 대응하여, 단말기인증서버(200)로부터 복수의 회선번호 중의 어느 하나의 회선번호를 수신한다. 이때, 회선번호수신부(120)는 단말기인증서버(200)로부터 복수의 회선번호 중의 어느 하나의 회선번호에 대응하는 대표번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회선연결부(130)는 회선번호수신부(120)에 의해 수신된 회선번호를 이용하여 ARS서버(300)에 회선을 연결한다. 즉, 회선연결부(130)는 회선번호수신부(120)에 의해 수신된 회선번호를 이용하여 ARS서버(300)에 전화를 걸어 회선을 연결한다. 이때, 단말기인증서버(200)로부터 회선번호를 수신한 통신단말기와 다른 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ARS서버(300)에 회선을 연결하는 경우, 회선연결부(130)는 생략될 수도 있다.
여기서, ARS서버(300)는 단말기인증서버(200)와 연동하는 서버로서, 통신단말기(100)가 단말기인증서버(200)에 전송한 고객정보에 기초하여 회선이 연결된 상대단말기의 사용자에 대한 ARS 인증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즉, ARS서버(300)는 회선이 연결된 상대단말기에 소정의 문의메시지를 출력하며, 그에 대응하여 상대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응답신호를 통신단말기(100)가 단말기인증서버(200)에 전송한 고객정보와 비교하여 단말기인증서버(200)에 단말기인증을 요청한 통신단말기(100)의 사용자와 상대단말기의 사용자에 대한 동일성 여부를 판단하여 사용자에 대한 인증을 처리할 수 있다. 이때, ARS서버(300)는 통신단말기(100)의 사용자와 상대단말기의 사용자에 대한 동일성이 인증되면 상대단말기와 연결된 회선번호와 상대단말기에 대한 발신자표시에 의해 인식된 CTN을 단말기인증서버(200)에 전송하며, 그에 따라 단말기인증서버(200)는 통신단말기(100)에 전송한 회선번호와 ARS서버(300)로부터 수신한 상대단말기의 회선번호가 일치하는지를 비교하여 단말기인증을 요청한 통신단말기(100)와, ARS서버(300)와 회선이 연결된 상대단말기의 정당성을 인증할 수 있게 된다.
CTN표시부(140)는 ARS서버(300)와 회선이 연결되는 상대단말기의 회선번호와 회선번호수신부(120)를 통해 수신한 회선번호의 일치여부에 기초하여 단말기인증서버(200)로부터 CTN을 자동으로 입력받는다. 즉, ARS서버(300)에 회선을 연결한 상대단말기의 회선번호와 회선번호수신부(120)에 의해 수신한 회선번호가 일치하는 경우, CTN표시부(140)는 단말기인증서버(200)로부터 자동으로 CTN을 입력받는다. 이때, CTN표시부(140)는 단말기인증서버(200)로부터 입력받은 CTN을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신단말기(100)의 인증화면에 자동으로 표시한다. 이 경우, CTN표시부(140)는 통신단말기(100)의 인증화면에 표시되는 CTN을 사용자가 임의로 수정하지 못하도록 구현된다. 또한, CTN표시부(14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신단말기(100)의 인증화면에 단말기에 대한 인증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함께 표시함으로써 통신단말기(100)의 사용자로 하여금 스미싱 여부에 대한 인증이 완료되었음을 인식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로써, 단말기인증서버에 단말기인증을 요청한 통신단말기에 매칭된 회선번호와 ARS서버에 회선을 연결한 상대단말기의 회선번호의 동일성이 인정되어야만 해당 통신단말기에 CTN이 입력될 수 있으며, 입력되는 CTN은 사용자가 임의로 수정할 수 없도록 함으로써, 타인의 정보를 스미싱한 경우에는 해당 타인의 단말기에 대한 CTN을 사용할 수 없도록 하여 인증절차를 강화할 수 있게 된다.
인증정보수신부(150)는 CTN표시부(140)에 표시되는 CTN에 기초하여 인증기관서버(20)로부터 인증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단말기(100)의 인증화면에 CTN이 표시되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신단말기(100)의 사용자가 인증기관서버(20)에 사용자에 대한 인증을 요청할 수 있도록 하며, 인증정보수신부(150)는 인증기관서버(20)에 전송된 사용자에 대한 인증요청신호에 대응하여 인증기관서버(20)로부터 인증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인증정보수신부(170)는 인증기관서버(20)로부터 수신되는 인증정보를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인증정보수신부(170)는 인증기관서버(20)로부터 인증번호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인증기관서버(20)로부터 수신되는 인증정보는 문자나 기호를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인증기관서버(20)는 통신단말기(100)의 사용자에 대한 통신서비스 가입정보, 인증서비스 가입정보 등을 미리 등록하여 두고, 통신단말기(100)가 사용자에 대한 인증을 요청하는 경우에 해당 통신단말기(100)에 인증정보를 전송한 후 다시 회신하며, 인증 요청 시에 수신되는 고객정보, 기 등록된 가입정보, 인증정보의 회신여부 등에 기초하여 통신단말기(100)의 사용자를 인증하는 서버로서, 통신단말기(100)의 사용자와 상대단말기의 사용자에 대한 동일성을 인증하는 ARS서버(300)와 구별된다.인증정보전송부(160)는 인증정보수신부(150)에 의해 수신되는 인증정보를 인증기관서버(20)에 전송한다. 이때, 인증정보전송부(160)는 인증기관서버(20)에 대한 인증이 요청된 시점부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인증정보를 인증기관서버(20)에 전송하도록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증결과표시부(170)는 인증기관서버(200)에 전송되는 인증번호에 대응하여 인증기관서버(20)로부터 인증결과를 수신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증결과표시부(170)는 인증기관서버(20)로부터 인증정보수신부(150)를 통해 수신한 인증정보번호와 인증정보전송부(160)에 의해 전송되는 인증정보가 동일하다는 인증결과를 수신하며, 그에 기초하여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에 대한 인증이 완료되었다는 메시지를 인증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인증서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증서버는 도 1에 나타낸 인증처리 시스템의 단말기인증서버(200)로 이용될 수 있으며, 따라서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였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인증서버(200)는 요청신호수신부(210), 회선번호전송부(220), CTN수신부(230) 및 CTN입력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요청신호수신부(210)는 통신단말기(100)로부터 통신단말기(100) 자체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정보, 또는 통신단말기(100)의 식별정보 및 사용자에 대한 고객정보를 포함하는 단말기인증 요청신호를 수신한다. 즉, 요청신호수신부(210)는 통신단말기(1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시에 통신단말기(100)로부터 통신단말기(100)의 스미싱 여부에 대한 인증을 요청하는 단말기인증 요청신호를 수신하거나,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통신단말기(100)로부터 통신단말기(100)의 스미싱 여부에 대한 단말기인증 요청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회선번호전송부(220)는 요청신호수신부(210)에 의해 단말기인증 요청신호가 수신되면, 복수의 회선번호 중 임의의 회선번호를 통신단말기의 식별정보에 매칭하고, 매칭된 회선번호를 통신단말기(100)에 전송한다. 즉, 회선번호전송부(220)는 요청신호수신부(210)를 통해 수신한 단말기인증 요청신호에 대응하여, 통신단말기(100)의 식별정보와 임의의 회선번호를 매칭하며, 매칭된 회선번호를 통신단말기(100)에 전송한다. 이때, 회선번호전송부(220)는 통신단말기(100)의 식별정보와 임의의 회선번호의 매칭에 대한 매칭시간을 설정하여 해당 매칭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CTN수신부(230)는 회선번호전송부(220)에 의해 통신단말기(100)에 전송된 회선번호에 대응하여 통신단말기(100)의 사용자가 ARS서버(300)에 회선을 연결하면, ARS서버(300)로부터 회선이 연결된 상대단말기의 회선번호 및 CTN을 수신한다. 이때, ARS서버(300)에 회선이 연결된 상대단말기는 통신단말기(100)와 동일하거나, 다른 단말기일 수도 있다. 또한, CTN수신부(230)는, 요청신호수신부(210)를 통해 수신되는 고객정보에 기초하여 ARS서버(300)가 상대단말기의 사용자를 인증한 경우에, ARS서버(300)로부터 상대단말기와 연결된 회선번호 및 CTN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CTN수신부(230)는 회선번호전송부(220)에 의해 통신단말기(100)에 회선번호가 전송된 후, 설정된 시간 이내에 상대단말기가 ARS서버(300)에 회선을 연결한 경우에 ARS서버(300)로부터 회선번호 및 CTN을 수신할 수도 있다. 이 경우, CTN수신부(230)는 회선번호전송부(220)에 의해 설정된 매칭시간의 이내에 상대단말기가 ARS서버(300)에 회선을 연결한 경우에 ARS서버(300)로부터 회선번호 및 CTN을 수신하도록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CTN입력부(240)는 통신단말기(100)에 전송한 회선번호와 ARS서버(300)로부터 수신한 상대단말기의 회선번호가 동일한지를 비교하며, 각각의 회선번호가 서로 일치하면, CTN수신부(230)에 의해 수신된 CTN을 통신단말기(100)에 전송한다. 이때, CTN입력부(240)는 일치되는 회선번호와 매칭된 식별정보의 통신단말기로 CTN을 전송함으로써, 단말기인증을 요청한 통신단말기(100)에 CTN이 전송되도록 한다. 또한, CTN입력부(240)는 CTN수신부(230)에 의해 수신된 CTN이 통신단말기(100)의 인증화면에 입력될 수 있도록 해당 통신단말기(100)에 CTN을 전송하며, 전송되는 CTN은 해당 통신단말기(100)의 사용자가 임의로 수정할 수 없도록 구현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인증서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인증서버는 도 1에 나타낸 통신단말기 인증처리 시스템에서 단말기인증서버(200)가 ARS서버(300)의 기능 및 동작을 함께 실행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인증서버(200)는 요청신호수신부9210), 회선번호전송부(220), ARS처리부(232) 및 CTN입력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요청신호수신부(210)는 통신단말기(100)로부터 통신단말기(100)의 식별정보, 또는 통신단말기(100)의 식별정보 및 사용자에 대한 고객정보를 포함하는 단말기인증 요청신호를 수신한다. 즉, 요청신호수신부(210)는 통신단말기(1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시에 통신단말기(100)로부터 통신단말기(100)의 스미싱 여부에 대한 인증을 요청하는 단말기인증 요청신호를 수신하거나,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통신단말기(100)로부터 통신단말기(100)의 스미싱 여부에 대한 단말기인증 요청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회선번호전송부(220)는 요청신호수신부(210)에 의해 단말기인증 요청신호가 수신되면, 복수의 회선번호 중 임의의 회선번호를 통신단말기의 식별정보에 매칭하고, 매칭된 회선번호를 통신단말기(100)에 전송한다. 즉, 회선번호전송부(220)는 요청신호수신부(210)를 통해 수신한 단말기인증 요청신호에 대응하여, 통신단말기(100)의 식별정보와 임의의 회선번호를 매칭하며, 매칭된 회선번호를 통신단말기(100)에 전송한다. 이때, 회선번호전송부(220)는 통신단말기(100)의 식별정보와 임의의 회선번호의 매칭에 대한 매칭시간을 설정하여 해당 매칭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ARS처리부(232)는 회선번호전송부(220)에 의해 통신단말기(100)에 전송된 회선번호에 대응하여 회선이 연결되면, 회선이 연결된 상대단말기의 CTN을 인식한다. 이때, ARS처리부(232)는 회선번호전송부(220)에 의해 통신단말기(100)에 회선번호가 전송된 후 설정된 시간 이내에 상대단말기와 회선이 연결되는 경우에 해당 상대단말기의 CTN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ARS처리부(232)는 단말기인증 요청신호에 고객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요청신호수신부(210)를 통해 수신한 고객정보에 기초하여 상대단말기의 사용자에 대한 ARS 인증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즉, ARS처리부(232)는 회선번호전송부(220)에 의해 통신단말기(100)에 회선번호가 전송된 후 상대단말기와 회선이 연결되면, 해당 상대단말기의 CTN을 인식하고 상대단말기의 사용자가 단말기인증을 요청한 통신단말기(100)의 사용자와 동일한지의 여부를 인증할 수 있다. 이때, ARS처리부(232)는 회선번호전송부(220)에 의해 통신단말기(100)에 회선번호가 전송된 후, 설정된 시간 이내에 상대단말기가 회선을 연결하는 경우에 해당 상대단말기의 사용자에 대한 ARS 인증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CTN입력부(240)는 통신단말기(100)에 전송한 회선번호와 ARS처리부(232)에 회선이 연결된 상대단말기의 회선번호가 일치하면, ARS처리부(232)에 의해 인식된 CTN을 통신단말기(100)에 전송한다. 이때, CTN입력부(240)는 일치하는 회선번호와 함께 매칭된 식별정보의 통신단말기로 CTN을 전송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증처리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증처리방법은 도 2에 나타낸 통신단말기(1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8, 및 도 11을 참조하면, 통신단말기(100)는 단말기인증서버(200)에 통신단말기(100)의 식별정보, 또는 통신단말기(100)의 식별정보 및 사용자에 대한 고객정보를 포함하는 단말기인증 요청신호를 전송하면서 통신단말기(100)가 스미싱된 단말기인지의 여부에 대한 인증을 요청한다(S102).
통신단말기(100)는 단말기 인증요청에 대응하여 단말기인증서버(200)로부터 복수의 회선번호 중의 임의의 회선번호를 수신한다(S104). 이때, 통신단말기(100)는 단말기인증서버(200)로부터 복수의 회선번호 중의 어느 하나의 회선번호에 대응하는 대표번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통신단말기(100)는 단말기인증서버(200)로부터 수신한 회선번호를 이용하여 ARS서버(300)에 회선을 연결한다(S106). 즉, 통신단말기(100)는 단말기인증서버(200)로부터 수신한 회선번호를 이용하여 ARS서버(300)에 전화를 걸어 회선을 연결한다. 이때, 통신단말기(100)의 사용자는 단말기인증서버(200)로부터 회선번호를 수신한 통신단말기(100)와 다른 통신단말기를 통하여 ARS서버(300)에 회선을 연결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ARS서버(300)에 회선을 연결하는 단계 S106는 생략될 수 있다.
이 경우, ARS서버(300)는 통신단말기(100)가 단말기인증서버(200)에 전송한 고객정보에 기초하여 상대단말기의 사용자에 대한 ARS 인증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즉, ARS서버(300)는 상대단말기에 소정의 문의메시지를 출력하며, 그에 대한 상대단말기로부터의 응답신호에 따라 상대단말기의 사용자와 단말기인증서버(200)에 단말기인증을 요청한 통신단말기(100)의 사용자의 동일성 여부를 판단하여 사용자에 대한 인증을 처리할 수 있다. 이때, ARS서버(300)는 상대단말기의 사용자에 대한 동일성이 인증되면 상대단말기의 회선번호와 상대단말기에 대한 발신자표시에 의해 인식된 CTN을 단말기인증서버(200)에 전송하며, 그에 따라 단말기인증서버(200)는 통신단말기(100)에 전송한 회선번호와 ARS서버(300)로부터 수신한 상대단말기의 회선번호가 일치하는지를 비교하여 단말기인증을 요청한 통신단말기(100)에 대한 스미싱 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통신단말기(100)는 ARS서버(300)에 의해 회선을 연결한 상대단말기의 사용자에 대한 ARS 인증이 완료되고, 단말기인증서버(200)에 의해 상대단말기의 회선번호와 통신단말기(100)에 매칭된 회선번호가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면(S108), 단말기인증서버(200)로부터 ARS서버(300)가 인식한 CTN을 자동으로 입력받아 인증화면에 표시한다(S110). 즉, 단말기인증서버(200)에 의해 ARS서버(300)에 회선을 연결한 상대단말기의 회선번호와 단말기인증을 요청한 통신단말기의 회선번호의 동일성이 인증되면, 통신단말기(100)는 단말기인증서버(200)로부터 상대단말기의 CTN을 수신하여 인증화면에 자동으로 표시한다. 이때, 통신단말기(100)의 사용자는 통신단말기(100)의 인증화면에 표시되는 CTN을 임의로 수정할 수 없다.
통신단말기(100)는 인증화면에 표시되는 CTN을 인증기관서버(20)에 전송하며(S112), 전송된 CTN에 대응하여 인증기관서버(20)로부터 인증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114). 이 경우, 통신단말기(100)는 수신되는 인증정보를 인증기관서버(20)에 다시 전송한다(S116). 이때, 통신단말기(100)는 인증기관서버(20)에 대한 인증이 요청된 시점부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인증정보를 인증기관서버(20)에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신단말기(100)는 인증기관서버(200)에 전송되는 인증정보에 대응하여 인증기관서버(20)로부터 인증결과를 수신하여 표시할 수 있다(S118). 예를 들어, 통신단말기(100)는 인증기관서버(20)로부터 수신한 인증정보와 통신단말기(100)가 인증기관서버(20)에 전송한 인증정보가 동일하다는 인증결과를 수신하며, 그에 따라 최종적으로 인증기관서버(20)로부터 사용자에 대한 인증이 완료되었다는 메시지를 수신하여 인증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단말기는 인증기관서버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기 이전에 단말기 인증서버를 통하여 통신단말기가 스미싱된 단말기인지를 인증함으로써 통신단말기에 대한 인증절차를 더욱 강화할 수 있게 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증처리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증처리방법은 도 9에 나타낸 단말기인증서버(2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2를 참조하면, 단말기인증서버(200)는 통신단말기(100)로부터 식별정보, 또는 식별정보 및 고객정보를 포함하는 단말기인증 요청신호를 수신한다(S202). 즉, 단말기인증서버(200)는 통신단말기(1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시에 통신단말기(100)로부터 통신단말기(100)의 스미싱 여부에 대한 인증을 요청하는 단말기인증 요청신호를 수신하거나,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통신단말기(100)로부터 통신단말기(100)의 스미싱 여부에 대한 단말기인증 요청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단말기인증서버(200)는 통신단말기(100)로부터 단말기인증 요청신호가 수신되면, 복수의 회선번호 중 임의의 회선번호를 이동통신단말기의 식별정보에 매칭하고, 매칭된 회선번호를 통신단말기에 전송한다(S204). 즉, 단말기인증서버(200)는 통신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단말기인증 요청신호에 대응하여,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식별정보와 임의의 회선번호를 매칭하며, 매칭된 회선번호를 통신단말기(100)에 전송한다. 이때, 단말기인증서버(200)는 통신단말기(100)의 식별정보와 임의의 회선번호의 매칭에 대한 매칭시간을 설정하여 해당 매칭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통신단말기(100)에 전송된 회선번호에 대응하여 상대단말기가 ARS서버(300)에 회선을 연결하면(S206), ASR서버(300)는 회선이 연결된 사용자가 단말기인증을 요청한 통신단말기(100)의 사용자와 동일한지 여부를 ARS 인증처리할 수 있다. ARS 서버(300)에 의해 상대단말기의 사용자에 대한 인증이 완료되면(S208), 단말기인증서버(200)는 ARS서버(300)로부터 상대단말기와 연결된 회선번호 및 CTN을 수신한다(S210). 이때, 단말기인증서버(200)는 통신단말기(100)에 회선번호가 전송된 후, 설정된 시간 이내에 상대단말기가 ARS서버(300)에 회선을 연결한 경우에 ARS서버(300)로부터 상대단말기의 회선번호 및 CTN을 수신할 수 있다.
단말기인증서버(200)는 통신단말기(100)에 전송한 회선번호와 ARS서버(300)로부터 수신한 상대단말기의 회선번호가 동일한지를 비교하며, 각각의 회선번호가 서로 일치하면(S212), ARS서버(300)로부터 수신한 상대단말기의 CTN을 통신단말기(100)에 전송한다(S214). 이때, 단말기인증서버(200)는 통신단말기(100)에 전송된 CTN이 통신단말기(100)의 인증화면에 입력되도록 하며, 통신단말기(100)의 사용자가 해당 CTN을 임의로 수정할 수 없도록 구현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증처리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증처리방법은 도 10에 나타낸 단말기인증서버(2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10 및 도 13을 참조하면, 단말기인증서버(200)는 통신단말기(100)로부터 식별정보, 또는 식별정보 및 고객정보를 포함하는 단말기인증 요청신호를 수신한다(S302). 즉, 단말기인증서버(200)는 통신단말기(1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시에 통신단말기(100)로부터 통신단말기(100)의 스미싱 여부에 대한 인증을 요청하는 단말기인증 요청신호를 수신하거나,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통신단말기(100)로부터 통신단말기(100)의 스미싱 여부에 대한 단말기인증 요청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단말기인증서버(200)는 통신단말기(100)로부터 단말기인증 요청신호가 수신되면, 복수의 회선번호 중 임의의 회선번호를 이동통신단말기의 식별정보에 매칭하고, 매칭된 회선번호를 통신단말기(100)에 전송한다(S304).
통신단말기(100)에 전송된 회선번호에 대응하여 상대단말기가 회선을 연결하면(S306), 단말기인증서버(200)는 상대단말기의 CTN을 인식하며(S308), 통신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한 고객정보에 기초하여 상대단말기의 사용자에 대한 ARS 인증처리를 수행한다(S310). 즉, 단말기인증서버(200)는 상대단말기가 회선을 연결하면, 해당 상대단말기의 CTN을 인식하고 상대단말기의 사용자가 단말기인증을 요청한 통신단말기(100)의 사용자와 동일한지의 여부를 인증한다. 이때, 단말기인증서버(200)는 통신단말기(100)에 회선번호가 전송된 후, 설정된 시간 이내에 상대단말기가 회선을 연결하는 경우에 상대단말기의 사용자에 대한 ARS 인증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단말기인증서버(200)는 상대단말기의 사용자가 ARS 인증되고, 통신단말기(100)에 전송한 회선번호와 상대단말기에 의해 연결된 회선번호가 일치하면(S312), 인식된 상대단말기의 CTN을 통신단말기(100)에 전송하여 통신단말기(100)의 인증화면에 자동으로 입력되도록 한다(S314).
이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인증서버는 통신단말기가 인증기관서버를 통해 인증을 받기 전에 통신단말기가 스미싱된 단말기인지의 여부를 인증함으로써 통신단말기의 인증절차를 더욱 강화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인증처리방법들의 각 단계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실행되거나, 각 단계를 실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통해 컴퓨터에 의해 판독될 수 있다.

Claims (41)

  1. 통신단말기로부터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단말기인증 요청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통신단말기에 회선번호를 전송하는 단말기인증서버; 및
    회선을 연결한 상대단말기의 CTN을 상기 단말기인증서버에 전송하는 ARS(Automatic Response System)서버;
    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기인증서버는 상기 ARS서버로부터 수신한 CTN을 상기 통신단말기에 전송하고,
    상기 통신단말기는 상기 단말기인증서버로부터 전송받은 CTN을 인증화면에 표시하며, 상기 인증화면에 표시되는 CTN은 수정이 불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기 인증처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RS서버는,
    상기 상대단말기가 상기 회선번호로 상기 ARS서버에 회선을 연결한 경우에 상기 상대단말기의 CTN을 상기 단말기인증서버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기 인증처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RS서버는,
    상기 단말기인증서버가 상기 통신단말기에 상기 회선번호를 전송한 후, 상기 상대단말기가 설정된 시간 이내에 상기 ARS서버에 회선을 연결한 경우에 상기 상대단말기의 CTN을 상기 단말기인증서버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기 인증처리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인증서버는 상기 통신단말기로부터 고객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ARS서버는 상기 단말기인증서버를 통해 수신한 고객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상대단말기의 사용자를 인증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기 인증처리 시스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단말기는 상기 상대단말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기 인증처리 시스템.
  6. 단말기인증서버에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단말기인증 요청신호를 전송하는 단말기인증요청부;
    상기 단말기인증요청부에 의한 단말기 인증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단말기인증서버로부터 회선번호를 수신하는 회선번호수신부; 및
    상기 회선번호수신부를 통해 회선번호가 수신된 후, 상기 단말기인증서버로부터 ARS서버와 회선이 연결된 상대단말기의 CTN을 자동으로 입력받으며, 입력받은 CTN을 인증화면에 표시하는 CTN표시부;
    를 포함하며,
    상기 CTN표시부에 의해 인증화면에 표시되는 CTN은 수정이 불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CTN표시부는,
    상기 회선번호수신부를 통해 회선번호가 수신된 후, 설정된 시간 이내에 상기 ARS서버에 회선을 연결한 상기 상대단말기의 CTN을 자동으로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CTN표시부는,
    상기 회선번호수신부를 통해 수신한 회선번호와 동일한 회선번호로 상기 상대단말기가 상기 ARS서버에 회선을 연결한 경우에 상기 상대단말기의 CTN을 자동으로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기.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회선번호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회선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ARS서버에 회선을 연결하는 회선연결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기.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CTN표시부에 표시되는 CTN에 기초하여 인증기관서버로부터 인증정보를 수신하는 인증정보수신부;
    상기 인증정보수신부에 의해 수신되는 인증정보를 상기 인증기관서버에 전송하는 인증정보전송부; 및
    상기 인증기관서버에 전송되는 인증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인증기관서버로부터 인증결과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인증결과표시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기.
  11. 통신단말기로부터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단말기인증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요청신호수신부;
    상기 요청신호수신부에 의해 단말기인증 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통신단말기에 회선번호를 전송하는 회선번호전송부;
    ARS서버로부터 회선이 연결된 상대단말기에 대한 CTN을 수신하는 CTN수신부; 및
    상기 CTN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CTN을 상기 통신단말기에 전송하는 CTN입력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인증서버.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CTN수신부는,
    상기 회선번호전송부가 상기 통신단말기에 회선번호를 전송한 후, 상기 상대단말기가 설정된 시간 이내에 상기 ARS서버에 회선을 연결한 경우에 상기 ARS서버로부터 상기 상대단말기의 CTN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인증서버.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CTN수신부는,
    상기 회선번호전송부가 상기 통신단말기에 전송한 회선번호와 동일한 번호로 상기 상대단말기가 상기 ARS서버에 회선을 연결한 경우에 상기 ARS서버로부터 상기 상대단말기의 CTN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인증서버.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인증 요청신호는 고객정보를 더 포함하며,
    상기 CTN수신부는,
    상기 요청신호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고객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ARS서버가 상기 상대단말기의 사용자를 인증한 경우에, 상기 ARS서버로부터 상기 상대단말기의 CTN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인증서버.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CTN입력부는,
    상기 CTN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CTN이 상기 통신단말기의 인증화면에 입력될 수 있도록 상기 통신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인증서버.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단말기의 인증화면에 입력되는 CTN은 수정이 불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인증서버.
  17. 제11항 내지 제1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단말기는 상기 상대단말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인증서버.
  18. 통신단말기로부터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단말기인증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요청신호수신부;
    상기 요청신호수신부에 의해 단말기인증 요청신호가 수신되면, 회선번호를 상기 통신단말기에 전송하는 회선번호전송부;
    회선을 연결한 상대단말기의 CTN을 인식하는 ARS처리부; 및
    상기 ARS처리부에 의해 인식된 CTN을 상기 통신단말기에 전송하는 CTN입력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인증서버.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ARS처리부는,
    상기 회선번호전송부가 상기 통신단말기에 회선번호를 전송한 후, 상기 상대단말기가 설정된 시간 이내에 상기 ARS처리부에 회선을 연결한 경우에 상기 상대단말기의 CTN을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인증서버.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ARS처리부는,
    상기 회선번호전송부가 상기 통신단말기에 전송한 회선번호와 동일한 번호로 상기 상대단말기가 상기 ARS처리부에 회선을 연결한 경우에 상기 상대단말기의 CTN을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인증서버.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인증 요청신호는 고객정보를 더 포함하며,
    상기 ARS처리부는 상기 요청신호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고객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상대단말기의 사용자에 대한 ARS 인증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인증서버.
  22. 제18항 내지 제21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단말기는 상기 상대단말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인증서버.
  23. 통신단말기에 의해 수행되는 인증처리방법에 있어서,
    단말기인증서버에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단말기인증 요청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인증 요청신호 전송단계에 의한 단말기 인증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단말기인증서버로부터 회선번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회선번호 수신단계를 통해 회선번호가 수신된 후, 상기 단말기인증서버로부터 ARS서버와 회선이 연결되는 상대단말기의 CTN을 자동으로 입력받으며, 입력받은 CTN을 인증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CTN 표시단계에 의해 인증화면에 표시되는 CTN은 수정이 불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증처리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CTN을 입력받는 단계는,
    상기 회선번호 수신단계를 통해 회선번호가 수신된 후, 설정된 시간 이내에 상기 ARS서버에 회선을 연결한 상기 상대단말기의 CTN을 자동으로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증처리방법.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CTN을 입력받는 단계는,
    상기 회선번호 수신단계를 통해 수신한 회선번호와 동일한 회선번호로 상기 상대단말기가 상기 ARS서버에 회선을 연결한 경우에 상기 상대단말기의 CTN을 자동으로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증처리방법.
  26.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회선번호 수신단계에 의해 수신된 회선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ARS서버에 회선을 연결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증처리방법.
  27.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화면에 표시되는 CTN에 기초하여 인증기관서버로부터 인증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인증정보 수신단계에 의해 수신되는 인증정보를 상기 인증기관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인증기관서버에 전송되는 인증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인증기관서버로부터 인증결과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증처리방법.
  28. 단말기인증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인증처리방법에 있어서,
    통신단말기로부터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단말기인증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인증 요청신호 수신단계에 의해 단말기인증 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통신단말기에 회선번호를 전송하는 단계;
    ARS서버로부터 회선이 연결된 상대단말기에 대한 CTN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ARS서버로부터 수신한 CTN을 상기 통신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증처리방법.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CTN 수신단계는,
    상기 회선번호 전송단계를 통해 상기 통신단말기에 회선번호를 전송한 후, 상기 상대단말기가 설정된 시간 이내에 상기 ARS서버에 회선을 연결한 경우에 상기 ARS서버로부터 상기 상대단말기의 CTN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증처리방법.
  30.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CTN 수신단계는,
    상기 회선번호 전송단계를 통해 상기 통신단말기에 전송한 회선번호와 동일한 번호로 상기 상대단말기가 상기 ARS서버에 회선을 연결한 경우에 상기 ARS서버로부터 상기 상대단말기의 CTN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증처리방법.
  31.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인증 요청신호는 고객정보를 더 포함하며,
    상기 회선번호 및 CTN 수신단계는,
    상기 단말기인증 요청신호 수신단계를 통해 수신되는 고객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ARS서버가 상기 상대단말기의 사용자를 인증한 경우에, 상기 ARS서버로부터 상기 상대단말기의 CTN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증처리방법.
  32.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CTN 전송단계는,
    상기 CTN 수신단계에 의해 수신된 CTN이 상기 통신단말기의 인증화면에 입력될 수 있도록 상기 통신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증처리방법.
  33.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단말기의 인증화면에 입력되는 CTN은 수정이 불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증처리방법.
  34.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단말기는 상기 상대단말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증처리방법.
  35. 단말기인증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인증처리방법에 있어서,
    통신단말기로부터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단말기인증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인증 요청신호 수신단계에 의해 단말기인증 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통신단말기에 회선번호를 전송하는 단계;
    회선을 연결한 상대단말기의 CTN을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CTN 인식단계에 의해 인식된 CTN을 상기 통신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증처리방법.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CTN 인식단계는,
    상기 회선번호 전송단계를 통해 상기 통신단말기에 회선번호를 전송한 후, 상기 상대단말기가 설정된 시간 이내에 회선을 연결한 경우에 상기 상대단말기의 CTN을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증처리방법.
  37.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CTN 인식단계는,
    상기 회선번호 전송단계에 의해 상기 통신단말기에 전송한 회선번호와 동일한 번호로 상기 상대단말기가 회선을 연결한 경우에 상기 상대단말기의 CTN을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증처리방법.
  38.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인증 요청신호 수신단계를 통해 수신되는 고객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상대단말기의 사용자에 대한 ARS 인증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단말기인증 요청신호는 고객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증처리방법.
  39.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단말기는 상기 상대단말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증처리방법.
  40. 제23항 내지 제39항 중의 어느 한 항의 각각의 단계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41. 제23항 내지 제39항 중의 어느 한 항의 인증처리방법을 기록하며, 컴퓨터에 의해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40095767A 2014-07-28 2014-07-28 통신단말기 인증처리시스템, 통신단말기, 단말기 인증서버 및 그 인증처리방법 KR1021879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5767A KR102187907B1 (ko) 2014-07-28 2014-07-28 통신단말기 인증처리시스템, 통신단말기, 단말기 인증서버 및 그 인증처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5767A KR102187907B1 (ko) 2014-07-28 2014-07-28 통신단말기 인증처리시스템, 통신단말기, 단말기 인증서버 및 그 인증처리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3079A Division KR101483400B1 (ko) 2014-07-23 2014-07-23 통신단말기 인증처리시스템, 통신단말기, 단말기 인증서버 및 그 인증처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2853A KR20160012853A (ko) 2016-02-03
KR102187907B1 true KR102187907B1 (ko) 2020-12-09

Family

ID=55355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5767A KR102187907B1 (ko) 2014-07-28 2014-07-28 통신단말기 인증처리시스템, 통신단말기, 단말기 인증서버 및 그 인증처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790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6029B1 (ko) 2020-09-11 2021-08-04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인증 방법과 이를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 및 인증 서버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1023B1 (ko) 2009-08-19 2011-10-06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휴대폰을 이용한 본인 인증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KR20120037330A (ko) * 2010-10-11 2012-04-19 (주) 나무인터넷 이미지객체를 이용한 로그인 인증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30009510A (ko) * 2011-07-15 2013-01-23 (주)아이피포네트웍스 애플리케이션에 입력되는 전화번호 인증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및 기록매체
KR101364972B1 (ko) * 2011-09-23 2014-02-18 (주)소프트가족 사용자의 전화단말기를 이용한 인증방법 및 인증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2853A (ko) 2016-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79720B2 (en) Passwordless strong authentication using trusted devices
US8606641B2 (en) Secure instant message-based sales
CN108496382B (zh) 用于个人身份认证的安全信息传输系统和方法
CN107395903B (zh) 通信方法、数据处理平台以及通信系统
CN101038653B (zh) 验证系统
KR101214839B1 (ko) 인증 방법 및 그 시스템
US9680841B2 (en) Network authentication method for secure user identity verification using user positioning information
US9124571B1 (en) Network authentication method for secure user identity verification
JP2013524314A (ja) 携帯端末機を用いた認証方法及びシステム
US9338619B2 (en) User authentification system using call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method thereof
WO2017206524A1 (zh) 电子设备控制方法、终端和控制系统
US10917756B2 (en) Identification verification and authentication system
CN106332000B (zh) 一种终端位置信息获取方法及装置
KR20140081041A (ko) 전화번호를 이용한 인터넷 사이트 서비스 접속 인증 방법 및 시스템
KR101747234B1 (ko) 식별값과 인증서버를 이용한 2채널 인증 방법 및 시스템
KR101483400B1 (ko) 통신단말기 인증처리시스템, 통신단말기, 단말기 인증서버 및 그 인증처리방법
KR102187907B1 (ko) 통신단말기 인증처리시스템, 통신단말기, 단말기 인증서버 및 그 인증처리방법
US20200013056A1 (en) Authentication Terminal-Based Payment Method and Apparatus
KR20120061022A (ko) 데이터 통신망을 이용한 음성 통화망의 발신자 인증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발신측 장치, 착신 단말 및 프로그램
EP2916510B1 (en) Network authentication method for secure user identity verification using user positioning information
WO2016138743A1 (zh) 一种实现安全支付的方法、移动终端和支付认证服务端
EP2916509B1 (en) Network authentication method for secure user identity verification
KR20190128777A (ko) 인증 비콘을 이용하여 근접거리내 스마트폰 이용자간 거래 상대방을 검증하는 방법 및 시스템
CN110399714B (zh) 用于验证终端的可信用户界面真实性的方法及其系统
US20170206530A1 (en) Method and system for call authentication and providing reliabil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