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8128B1 - Piano practice device that can be linked with multiple displays - Google Patents

Piano practice device that can be linked with multiple display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8128B1
KR102468128B1 KR1020220082566A KR20220082566A KR102468128B1 KR 102468128 B1 KR102468128 B1 KR 102468128B1 KR 1020220082566 A KR1020220082566 A KR 1020220082566A KR 20220082566 A KR20220082566 A KR 20220082566A KR 102468128 B1 KR102468128 B1 KR 1024681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s
piano
display device
housing
key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256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129497A (en
Inventor
박타민
Original Assignee
박타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타민 filed Critical 박타민
Priority to KR10202200825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8128B1/en
Publication of KR202201294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949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81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812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5/00Teaching music
    • G09B15/001Boards or like means for providing an indication of chords
    • G09B15/002Electrically operated systems
    • G09B15/003Electrically operated systems with indication of the keys or strings to be played on instru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5/00Teaching music
    • G09B15/06Devices for exercising or strengthening fingers or arms; Devices for holding fingers or arms in a proper position for playing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GREPRESENTATION OF MUSIC; RECORDING MUSIC IN NOTATION FORM; ACCESSORIES FOR MUSIC OR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UPPORTS
    • G10G1/00Means for the representation of music
    • G10G1/02Chord or note indicators, fixed or adjustable, for keyboard of fingerbo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 Display Devices Of Pinball Game Machines (AREA)

Abstract

복수의 디스플레이와 연동 가능한 피아노 연습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디스플레이와 연동 가능한 피아노 연습장치는, 타건가능한 복수의 피아노 건반이 좌우로 배열 설치된 하우징; 표시장치가 상기 하우징에 탈착가능하게 거치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후방에 구비되는 결합부; 및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고, 기저장된 피아노악보의 음표를 상기 건반에 일대일 매칭되는 막대음표 형태로 상기 표시장치에 출력하도록 상기 표시장치와 연결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장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로 구성되어 각각 상기 결합부에 거치되고,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상기 디스플레이와 각각 유무선으로 연결되며, 상기 결합부에 거치된 복수의 상기 디스플레이의 위치를 각각 구분하여 인식하기 위해 상기 결합부에 설치되는 복수의 센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더이상 피아노 교습시 악보가 인쇄된 책자가 요구되지 않고, 악보에 대한 제반지식이나 교육자의 특별한 지도 없이도 악보에 부합하도록 출력되는 막대음표의 가이드에 따라 게임처럼 즐기며 직관적으로 건반을 타건하는 피아노 학습이 가능해져 충분한 동기부여는 물론, 자율적인 피아노 학습과 빠른 실력 향상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A piano practice device capable of interlocking with a plurality of displays is disclosed. A piano practice device capable of interlocking with a plurality of display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in which a plurality of keyable piano keys are arranged left and right; a coupling part provided at the rear of the housing so that the display device is detachably mounted on the housing; and a controller provided in the housing and connected to the display device to output pre-stored notes of the piano sheet music to the display device in the form of bar notes that are matched one-to-one with the keyboard, wherein the display device displays a plurality of displays. configured and installed in the coupling unit, the control unit i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the displays by wire or wireless, respectively, and is installed in the coupling unit to distinguish and recognize the positions of the plurality of displays mounted in the coupling uni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plurality of sensing uni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booklet with printed sheet music is no longer required during piano lessons, and without general knowledge of sheet music or special guidance from an educator, you can intuitively play the keyboard while enjoying it like a game according to the guide of bar notes output to match the sheet music. It has the effect of providing sufficient motivation as well as enabling autonomous piano learning and rapid skill improvement.

Description

복수의 디스플레이와 연동 가능한 피아노 연습장치{PIANO PRACTICE DEVICE THAT CAN BE LINKED WITH MULTIPLE DISPLAYS}Piano practice device that can be linked with multiple displays {PIANO PRACTICE DEVICE THAT CAN BE LINKED WITH MULTIPLE DISPLAYS}

본 발명은, 복수의 디스플레이와 연동 가능한 피아노 연습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탈부착 가능한 표시장치에서 출력되는 막대음표에 일대일 매칭되는 건반을 누르는 방식으로 피아노를 즐기며 학습할 수 있는 피아노 연습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ano practice device that can be interlocked with a plurality of displays, and more particularly, a piano practice device that can enjoy and learn the piano by pressing keys that are one-to-one matched with bar notes output from a detachable display device. It is about.

다양한 음악콘텐츠와 미디어의 발달, 유년기 음악교육에 대한 필요성, 다양한 취미 또는 여가 생활에 대한 요구 등으로 인해 악기에 대한 수요와 함께 악기연주와 관련된 시장이 과거에 비해 해가 갈수록 증대되고 있다.Due to the development of various music contents and media, the need for music education in childhood, and the demand for various hobbies or leisure life, the market related to musical instrument performance is increasing year by year compared to the past, along with the demand for musical instruments.

특히, 학창시절 음악교육에서 필수적이라 할 수 있는 다양한 악기 중에서 피아노는, 체계적인 양손 운지 교육 또는 오랜 기간 연습에 의해서 비로소 습득이 가능한 악기이기 때문에, 오프라인상의 학원 등을 통해 일대일 교습을 받거나 또는 꾸준한 연습을 위해 고가의 피아노를 구입해야하는 부담감이 있었다.In particular, among the various instruments that can be said to be essential in music education in school, the piano is an instrument that can only be acquired through systematic fingering with both hands or through long-term practice. There was a burden of having to purchase an expensive piano for this.

또한, 악보가 인쇄된 책자를 통하여 주로 교습이 이루어지는 피아노를 포함한 대부분의 악기의 경우, 제반지식이나 교육자의 도움 없이는 음표로 구성된 악보에 대한 정확한 독해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most musical instruments, including the piano, in which lessons are mainly taught through a booklet printed with sheet music,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read the sheet music composed of musical notes without general knowledge or help from an educator.

따라서 악보의 빠르기나 리듬에 부합하는 충실한 피아노 학습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피아노 학습에 대한 동기부여가 미흡하여 자율적인 학습과 빠른 실력 향상등 이 기대되기 어련운 점에서 악보가 인쇄된 책자를 이용한 피아노 학습에는 일정한 한계가 있다.Therefore, faithful piano learning that matches the tempo and rhythm of the score cannot be achieved, and it is difficult to expect autonomous learning and rapid skill improvement due to insufficient motivation for piano learning. has certain limits.

위와 같은 피아노 학습과 관련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시된 종래 기술 중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0-0122191호(공개일: 2014년 08월 19일)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음악 생성 방법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0-0122191 (published on August 19, 2014) among the prior art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related to piano learning is a method for generating music using a mobile terminal equipped with a touch screen. is initiating.

본 선행기술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의 구동만으로 음표, 계명, 음자리표 등 음악의 기초가 되는 지식을 교육자의 특별한 도움 없이도 용이하게 습득가능하여 책자로 된 음악교재를 통한 학습에서 나타나는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According to this prior art, it is possible to easily acquire basic knowledge of music, such as musical notes, commandments, clefs, etc., without special help from an educator only by driving the application, thereby overcoming the limitations of learning through book music textbooks. there is

그러나 이러한 선행기술은, 음악의 작곡, 편곡 및 반주를 실행할 수 있도록 표시장치인 터치스크린을 이용하고 있을 뿐, 실제 피아노 건반과의 연관성이 없어서 실제 건반을 타건하며 피아노를 학습하는 데에는 활용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However, these prior arts only use a touch screen, which is a display device to perform music composition, arrangement, and accompaniment, and have no connection with the actual piano keyboard, so it is difficult to use them for learning the piano by typing the actual keyboard. there is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0-0122191호(공개일: 2014년 08월 19일)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0-0122191 (published on August 19, 2014)

본 발명의 목적은, 악보가 인쇄된 책자를 이용한 피아노 교습을 탈피하여 악보에 대한 제반지식이나 교육자의 특별한 지도 없이도 악보의 빠르기나 리듬 등에 부합하는 충실하고 직관적인 피아노 학습이 가능하고, 게임처럼 즐기며 진행되는 피아노 학습으로 인해 충분한 동기부여가 이루어져 자율적인 학습과 빠른 실력 향상을 기대할 수 있는 복수의 디스플레이와 연동 가능한 피아노 연습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reak away from piano lessons using a booklet with sheet music printed, enabling faithful and intuitive piano learning that matches the speed or rhythm of the sheet music without general knowledge of sheet music or special guidance from an educator, and enjoy it like a game. It is to provide a piano practice device that can be interlocked with a plurality of displays in which self-learning and rapid skill improvement can be expected due to sufficient motivation due to ongoing piano learning.

상기 목적은, 타건가능한 복수의 피아노 건반이 좌우로 배열 설치된 하우징; 표시장치가 상기 하우징에 탈착가능하게 거치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후방에 구비되는 결합부; 및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고, 기저장된 피아노악보의 음표를 상기 건반에 일대일 매칭되는 막대음표 형태로 상기 표시장치에 출력하도록 상기 표시장치와 연결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연동형 피아노 연습장치에 의해 달성된다.The above object is a housing in which a plurality of keyable piano keys are arranged in left and right directions; a coupling part provided at the rear of the housing so that the display device is detachably mounted on the housing; and a control unit provided in the housing and connected to the display device to output notes of a previously stored piano score to the display device in the form of bar notes that are matched one-to-one with the keyboard. achieved by the device.

상기 표시장치는, 출력되는 상기 막대음표와 상기 건반이 서로 직관적으로 매칭되도록, 상기 건반의 끝단에 인접하여 상기 결합부에 거치될 수 있다.The display device may be mounted on the coupler adjacent to an end of the keyboard so that the output bar note and the keyboard intuitively match each other.

상기 결합부는, 상기 하우징의 후방에서 좌우 길이방향을 따라 함몰형성된 안착홈; 상기 표시장치의 각도조절을 위해 상기 안착홈에 삽입되어 전후로 회동하는 회전체; 및 상기 표시장치가 끼워져 거치되도록, 상기 회전체의 좌우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슬릿홈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upling part may include a seating groove recessed along the left and right longitudinal directions at the rear of the housing; a rotating body that is inserted into the seating groove and rotates forward and backward to adjust the angle of the display device; and slit groove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rotating body so that the display device is inserted and mounted therein.

상기 결합부는, 상기 회전체의 회동을 단계별로 고정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내설된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upling part may further include a stopper built into the housing to fix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body step by step.

상기 표시장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로 구성되어 각각 상기 결합부에 거치되고,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상기 디스플레이와 각각 유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display device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displays and mounted on the coupler, respectively, and the control unit may be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displays in a wired or wireless manner.

상기 또 다른 목적은, 타건가능한 복수의 피아노 건반이 좌우로 배열 설치된 하우징; 표시장치가 상기 하우징에 탈착가능하게 거치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후방에 구비되는 결합부; 및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고, 기저장된 피아노악보의 음표를 상기 건반에 일대일 매칭되는 막대음표 형태로 상기 표시장치에 출력하도록 상기 표시장치와 연결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Another object of the above is a housing in which a plurality of keyable piano keys are arranged in left and right directions; a coupling part provided at the rear of the housing so that the display device is detachably mounted on the housing; and a control unit provided in the housing and connected to the display device to output pre-stored notes of a piano score to the display device in the form of bar notes that are matched one-to-one with the keyboard;

상기 표시장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로 구성되어 각각 상기 결합부에 거치되고,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상기 디스플레이와 각각 유무선으로 연결되며,The display device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displays and is mounted on the coupler, respectively, and the control unit is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displays in a wired or wireless manner,

상기 결합부에 거치된 복수의 상기 디스플레이의 위치를 각각 구분하여 인식하기 위해 상기 결합부에 설치되는 복수의 센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와 연동 가능한 피아노 연습장치에 의해 달성된다.It is achieved by a piano practice device capable of interlocking with a plurality of display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plurality of sensing units installed in the coupling portion to distinguish and recognize the positions of the plurality of displays mounted on the coupling portion.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부에서 인식된 상기 디스플레이 각각의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기저장된 피아노악보의 음표가 상기 건반에 일대일 매칭되는 막대음표 형태로 복수의 상기 디스플레이 각각에 개별적으로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previously stored notes of the piano score to be individually output to each of the plurality of displays in the form of bar notes that are matched one-to-one with the keyboard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of the displays recognized by the sensing unit. .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부에서 감지된 상기 디스플레이별 테두리부의 길이에 기초하여 기저장된 피아노악보의 음표가 상기 건반에 일대일 매칭되는 막대음표 형태로 화면부 중 상기 건반 위로 노출된 영역에서부터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controls so that notes of a pre-stored piano sheet music are output from an area exposed above the keyboard among the screen units in the form of bar notes that are matched one-to-one with the keyboard based on the length of the edge portion for each display detected by the sensing unit. can

본 발명에 의하면, 타건가능한 복수의 피아노 건반이 좌우로 배열 설치된 하우징의 후방에서 표시장치를 탈착가능하게 거치하는 결합부와, 기저장된 피아노악보의 음표를 건반에 일대일 매칭되는 막대음표 형태로 표시장치에 출력하도록 표시장치와 연결되는 제어부가 마련되고, 표시장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로 구성되어 각각 결합부에 거치되고, 제어부는 복수의 디스플레이와 각각 유무선으로 연결됨으로 인해, 더이상 피아노 교습시 악보가 인쇄된 책자가 요구되지 않고, 악보에 대한 제반지식이나 교육자의 특별한 지도 없이도 악보에 부합하도록 출력되는 막대음표의 가이드에 따라 게임처럼 즐기며 직관적으로 건반을 타건하는 피아노 학습이 가능해져 충분한 동기부여는 물론, 자율적인 피아노 학습과 빠른 실력 향상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oupling portion for detachably mounting a display device at the rear of a housing in which a plurality of keyable piano keys are arranged left and right, and a display device in the form of bar notes that match notes of a previously stored piano score to the keyboard one-to-one. A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display device is provided, the display device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displays and is mounted on each coupling unit, and the control unit is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displays by wire or wireless, so that sheet music is no longer printed during piano lessons. Booklets are not required, and without general knowledge of sheet music or special guidance from an educator, it is possible to learn the piano intuitively while playing a game according to the guide of bar notes printed to match the sheet music, providing sufficient motivation as well as autonomous learning. It has the effect of enabling in-piano learning and rapid improvement of skill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 연동형 피아노 연습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주요 구성을 분해한 분해도이다.
도 3은 건반에 일대일 매칭되도록 표시장치에 출력되는 막대음표와 보조적으로 출력되는 악보상 음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절단선 A-A'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결합부의 작동을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사용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복수의 디스플레이와 연동 가능한 피아노 연습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센싱부의 작동을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사용상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splay device-linked piano practi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view in which main components of FIG. 1 are disassembled.
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bar notes output to a display device and notes on a score that are auxiliaryly output so as to be matched one-to-one with a keyboard.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1 .
5 is a use state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coupl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piano practice device capable of interlocking with a plurality of displays according to a modified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use state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sens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descriptions of already 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will be omitted to clarify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 연동형 피아노 연습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주요 구성을 분해한 분해도이고, 도 3은 건반에 일대일 매칭되도록 표시장치에 출력되는 막대음표와 보조적으로 출력되는 악보상 음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절단선 A-A'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결합부의 작동을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사용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복수의 디스플레이와 연동 가능한 피아노 연습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센싱부의 작동을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사용상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splay device-linked piano practi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view in which the main components of FIG. 1 are disassembled, and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cutting line A-A' in FIG. 1, and FIG. 5 is a use state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coupl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piano practice device capable of interlocking with a plurality of displays according to a mod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use state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sens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발명의 설명 및 청구범위 등에서 방향을 지칭하는 상(위쪽), 하(아래쪽), 좌우(옆쪽 또는 측방), 전(정,건반 쪽), 후(배,표시장치 쪽) 등은 권리의 한정의 용도가 아닌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도면 및 구성 간의 상대적 위치를 기준으로 정한 것으로, 3개의 축은 서로 대응되게 회전하여 바뀔 수 있으며, 특별히 다르게 한정하는 경우 외에는 이에 따른다.Up (top), bottom (down), left and right (side or side), front (front, keyboard side), back (pear, display device side), etc., which refer to directions in the description and claims of the invention, etc. It is determined based on the relative position between the drawings and configurations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rather than purpose, and the three axes can be rotated and changed to correspond to each other, and this is followed unless specifically limited otherwise.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 연동형 피아노 연습장치(100)는, 악보에 대한 제반지식이나 교육자의 특별한 지도 없이도 게임처럼 즐기며 직관적이고 악보에 충실히 부합하는 피아노 학습이 가능하고, 충분한 동기부여를 통한 자율적인 피아노 학습과 빠른 실력 향상이 이루어지도록 안출된 발명이다.The display device-linked piano practice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intuitive piano learning that faithfully conforms to the score while enjoying it like a game without general knowledge of sheet music or special guidance from an educator, and autonomous learning through sufficient motivation. It is an invention devised to enable piano learning and rapid skill improvement.

상술한 바와 같은 기능 내지 작용을 구체적으로 구현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 연동형 피아노 연습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한 표시장치(200), 하우징(110), 결합부(120), 제어부(130) 및 센싱부(140) 등을 포함하는 실시예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디스플레이(210a,210b,210c)로 구성된 표시장치(200)가 임의적으로 탈부착되는 변형예로 구성될 수 있다. In order to specifically implement the functions or actions as described above, the display device-linked piano practice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1 to 5, includes a single display device 200, a housing 110, a coupling unit 120, a display device including a plurality of displays 210a, 210b, and 210c as shown in an embodiment including an embodiment including a control unit 130 and a sensing unit 140, and the like ( 200) may be configured as a modified example in which it is optionally attached or detached.

이하에서는 상술한 각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ach configuration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표시장치(200)는, 사람의 눈을 통해 인식가능하도록 다양한 영상데이터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장치로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악보용 음표(10)를 해당 건반(112)에 대응시킨 막대음표(20)를 영상으로 출력할 수 있는 상용화된 장치라면, 특별하게 제한되지 않는다.First, the display device 200 is a device that visually displays various image data so as to be recognizable through human eyes. 20) as an image, i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20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건반(112)이 배열된 하우징(110)에 콤팩트하고 간편하게 탈부착되도록 하기 위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얇고 평평한 판형태로 제작가능한 상용화된 액정표시장치일 수 있다. However, the display device 2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It may be a commercialize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that can be manufactured in a thin and flat plate form as shown in FIG.

이때, 단일한 액정표시장치로 이루어진 표시장치(200)는, 배열된 복수의 건반(112)에 대응하는 막대음표(20)를 동시에 모두 표시할 수 있도록, 배열된 건반(112)에 대응하는 길이로 제작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display device 200 composed of a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has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arranged keys 112 so as to simultaneously display all bar notes 20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arranged keys 112. can be made with

한편, 이러한 표시장치(200)는, 상술한 실시예와 같이 복수의 건반(112)에 대응하는 길이의 액정표시장치가 없더라도, 도 6에 도시된 변형예와 같이, 사용자가 구비하고 있는 다양한 복수의 디스플레이(210a,210b,210c)로 구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such a display device 200, even if there is no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keyboards 112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like the modified example shown in FIG. It may be configured as a display (210a, 210b, 210c) of.

이때, 복수의 디스플레이(210a,210b,210c)는, 영상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는 판형상으로 이루어진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 PC, 전자북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내비게이션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displays 210a, 210b, and 210c are plate-shaped smart phones, tablet PCs, electronic book terminals,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and PMP (Portable Multimedia) that can output image data. Player), navigation, and the like, but are not limited thereto.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변형예에 따른 표시장치(200)는, 후술할 제어부(130)와 유선 또는 무선방식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30)의 작동제어에 따라 연속된 영상정보인 막대음표(20)를 시각적으로 출력하거나 또는 종래 음표(10)로 구성된 악보와 함께 시각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The display device 2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and modific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130 to be described later in a wired or wireless manner, and the bar note 20, which is continuous imag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30 ) can be visually output or visually output together with the musical score composed of the conventional notes 10.

여기서 본 발명의 설명 전체에서 언급되는 막대음표(20)란,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곡을 이루는 악보 상의 음표(10)를 건반(112)에 일대일 대응시켜 막대형태로 시각화한 것을 말한다. Here, the bar note 20 referred to throughout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3, means that the note 10 on the score constituting the music is visualized in the form of a bar in a one-to-one correspondence with the keyboard 112.

구체적으로 막대음표(20)는, 음의 높이(도,레,미,파 등)에 해당하는 건반(112)의 연직 상방에 직관적으로 표시되고, 음의 길이에 비례하여 상하로 길게 표현되며, 곡의 연주 속도에 따라 건반(112)의 상방에서 아래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Specifically, the bar note 20 is intuitively displayed vertically above the keyboard 112 corresponding to the height of the note (do, re, mi, pa, etc.), and is expressed vertically and long in proportion to the length of the note, It is configured to move from the top of the keyboard 112 to the bottom according to the playing speed of the song.

이렇게 아래로 이동하는 복수의 막대음표(20)로 인해, 사용자는 건반(112) 위로 낙하하는 막대음표(20)에 대응하여 순서대로 건반(112)을 타건하는 방식으로 곡을 연주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악보에 대한 제반지식이나 교육자의 특별한 지도가 없어도 직관적이고 악보에 충실히 부합하는 피아노 학습을 게임처럼 즐기며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Due to the plurality of bar notes 20 moving downward in this way, the user can play the song by pressing the keys 112 in sequence in response to the bar notes 20 falling on the keyboard 112. According to this, it is possible to enjoy and perform piano learning that is intuitive and faithfully conforms to the music score, like a game, without general knowledge of the score or special guidance from an educator.

하우징(110)은, 타건가능한 복수의 피아노 건반(112)이 좌우로 배열 설치되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 구성요소로서, 전체적으로 디지털 피아노와 유사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후술할 결합부(120) 및 제어부(130) 등이 설치되는 공간이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The housing 110 is a component provided to arrange and install a plurality of keyable piano keys 112 left and right, and has a shape similar to that of a digital piano as a whole, and includes a coupling unit 120 and a control unit 130 to be described later. A space in which a lamp is installed may be formed inside.

이때, 건반(112)은, 대략 7 음계에 대응하는 80개 내지 90개의 건반(112)들로 구성되어 하우징(110)의 전방에 배열되고, 각 건반(112)은 해당 건반(112)의 타건을 인식하는 입력단(112a) 및 건반(112)의 터치감을 형성하는 중량부재(미도시)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At this time, the keyboard 112 is composed of 80 to 90 keys 112 corresponding to approximately 7 musical scales and is arranged in front of the housing 110, and each key 112 is the key of the corresponding keyboard 112. It may include an input terminal 112a for recognizing and a weight member (not shown) for forming a touch feeling of the keyboard 112.

이러한 하우징(110)에는, 디지털 피아노에 설치되는 구조와 유사하게 본 발명에 따른 피아노 연습장치(100)의 다양한 작동을 위한 기능버튼,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부(미도시), 건반(112)의 타건에 따른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미도시) 및 하우징(110)의 하부를 지지하는 받침대(114) 등이 구비될 수 있다. In this housing 110, function buttons for various operations of the piano practice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ower supply unit (not shown) that provides power, and keystrokes of the keyboard 112, similar to the structure installed in a digital piano, A speaker (not shown) outputting a sound according to the speaker (not shown) and a pedestal 114 supporting a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110 may be provided.

결합부(120)는, 상술한 표시장치(200)가 하우징(110)에 탈착가능하게 거치되도록 하기 위해 하우징(110)의 후방에 구비되는 구성요소로서, 표시장치(200)의 일단부가 끼워져 하우징(110)에 거치될 수 있고, 손쉽게 하우징(110)으로부터 탈거될 수 있는 홈형상의 구조라면, 특별하게 제한되지 않는다.The coupler 120 is a component provided at the rear of the housing 110 so that the above-described display device 200 can be detachably mounted on the housing 110, and one end of the display device 200 is fitted into the housing 110. If it is a groove-shaped structure that can be mounted on (110) and can be easily detached from the housing (110), i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변형예에 따른 결합부(120)는, 건반(112)의 끝단에 인접하도록 표시장치(200)를 거치하는 한편, 거치된 표시장치(200)의 기울기를 가변시키는 구조로 하우징(110)에 설치될 수 있다.However, the coupler 120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and modified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mounts the display device 200 so as to be adjacent to the end of the keyboard 112, while varying the inclination of the mounted display device 200. It may be installed in the housing 110 as a structure.

여기서 건반(112)의 끝단에 인접하도록 표시장치(200)를 거치하는 결합부(120)의 구조는, 표시장치(200)에서 출력되는 막대음표(20)와 건반(112)이 서로 직관적으로 매칭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Here, the structure of the coupling part 120 holding the display device 200 adjacent to the end of the keyboard 112 is such that the bar note 20 output from the display device 200 and the keyboard 112 intuitively match each other. is to make it happen.

이러한 결합부(120)의 인접 구조로 인해, 막대음표(20)를 출력하는 표시장치(200)가 건반(112)의 끝단으로부터 거리를 둔 위치에 거치된 경우 발생하게 되는 실수, 즉 사용자가 막대음표(20)에 대응한 건반(112)이 아니라 인접한 다른 건반(112)을 타건하는 실수가 효과적으로 저감될 수 있게 된다.Due to the adjacent structure of the coupling part 120, mistakes that occur when the display device 200 outputting the bar note 20 is placed at a distance from the end of the keyboard 112, that is, the user Mistakes of pressing not the key 112 corresponding to the note 20 but another adjacent key 112 can be effectively reduced.

그리고 거치된 표시장치(200)의 기울기를 가변시키는 결합부(120)의 구조는, 표시장치(200)에서 출력되는 막대음표(20)에 대한 사용자의 편안한 시야각 확보를 위해 마련된 것으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홈(122), 회전체(124), 슬릿홈(126) 및 스토퍼(128)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structure of the coupler 120 for varying the inclination of the mounted display device 200 is provided to secure a user's comfortable viewing angle for the bar note 20 output from the display device 200, as shown in FIG. 4 and As shown in FIG. 5, it may include a seating groove 122, a rotating body 124, a slit groove 126, and a stopper 128.

여기서 안착홈(122)은, 후술할 회전체(124)를 지지하며 회전체(124)가 회전하도록 끼워지는 구성요소로서, 하우징(110)의 후방을 구성하는 몸체 일부가 좌우 길이방향을 따라 원통형태로 오목하게 함몰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Here, the seating groove 122 is a component that supports the rotating body 124 to be described later and is inserted so that the rotating body 124 rotates. It may be made concavely depressed in the form.

회전체(124)는, 표시장치(200)의 각도조절을 위해 상술한 안착홈(122)에 삽입되어 전후로 회동하는 구성요소로서, 함몰된 안착홈(122)에 꼭 맞게 끼워지는 상보적인 원통의 막대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rotating body 124 is a component that is inserted into the above-described seating groove 122 to adjust the angle of the display device 200 and rotates back and forth, and is a complementary cylindrical shape that fits snugly into the recessed seating groove 122. It may be made in a rod shape.

이러한 회전체(124)의 일단부에는, 사용자가 하우징(110)의 외부에서 회전체(124)를 조작할 수 있도록, 조절노브(124a)가 결합될 수 있다. An adjustment knob 124a may be coupled to one end of the rotating body 124 so that the user can manipulate the rotating body 124 from the outside of the housing 110 .

슬릿홈(126)은, 얇은 판상의 표시장치(200)가 끼워져 거치되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 구성요소로서, 표시장치(200)의 하단부에 대응하는 폭으로 회전체(124)의 좌우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The slit groove 126 is a component provided to allow the thin plate-shaped display device 200 to be inserted and mounted, and is formed along the left and right longitudinal directions of the rotating body 124 with a width corresponding to the lower end of the display device 200. It can be.

이때, 슬릿홈(126)의 폭은, 판형상으로 이루어진 일반적인 표시장치(200)의 두께보다 큰 대략 10mm 내지 15mm로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width of the slit groove 126 may be formed to be approximately 10 mm to 15 mm larger than the thickness of the general display device 200 made of a plate shape.

그리고 슬릿홈(126)의 상하방향 깊이는, 표시장치(200)(디스플레이(210a,210b,210c))에서 영상을 출력하는 화면부(212)를 둘러싸며 지지하는 테두리부(214)(베젤)를 수용하며 표시장치(200)를 일정한 각도로 유지 및 거치할 수 있는 깊이로 형성하게 된다.Further, the vertical depth of the slit groove 126 is the rim portion 214 (bezel) that surrounds and supports the screen portion 212 that outputs an image on the display device 200 (displays 210a, 210b, and 210c). and is formed to a depth capable of holding and mounting the display device 200 at a constant angle.

스토퍼(128)는, 회전체(124)의 회동을 단계별로 고정하여 표시장치(200)의 거치각도를 가변시키기 위해 회전체(124)의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하우징(110)에 내설되는 구성요소이다.At least one stopper 128 is installed in the housing 11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tating body 124 to change the mounting angle of the display device 200 by fixing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body 124 step by step. is a component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변형예에 따른 스토퍼(128)는, 구체적으로 도 2,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체(124)와 안착홈(122) 사이에 구비되는 판스프링(128a)과 고정돌기(128b)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stopper 128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nd mod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leaf spring 128a provided between the rotating body 124 and the seating groove 122, as shown in FIGS. 2, 4 and 5 ) and a fixing protrusion 128b.

여기서 판스프링(128a)은, 중앙부가 볼록하게 돌출된 판형상의 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상술한 안착홈(122)의 일측에 매설되는 구성요소이다.Here, the plate spring 128a is a component that is formed of a plate-shaped spring with a convexly protruding central portion and is embedded in one side of the above-described seating groove 122 .

여기서 판스프링(128a)의 볼록하게 돌출된 부분은 후술할 요철구조인 고정돌기(128b)의 상대회전에 따라 탄성변형되고, 탄성복원됨으로써 회전체(124)를 견고하게 고정지지하게 된다.Here, the convexly protruding part of the leaf spring 128a is elastically deformed according to the relative rotation of the fixing protrusion 128b, which is a concave-convex structure to be described later, and is elastically restored to firmly fix and support the rotating body 124.

고정돌기(128b)는, 회전체(124)의 둘레를 따라 일부구간에 골과 산의 요철형태로 형성되어 회전체(124)의 회동에 따라 함께 회전하는 구성요소이다.The fixing protrusion 128b is a component that i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rotating body 124 in a concave-convex shape of valleys and hills in some sections and rotates along with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body 124.

이러한 고정돌기(128b)는, 상술한 바와 같이 안착홈(122) 일측에 매설된 판스프링(128a)의 돌출된 부분과 상호작용하며 상대회전하는 회전체(124)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단으로 고정지지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fixing protrusion 128b interacts with the protruding part of the leaf spring 128a buried on one side of the seating groove 122 and rotates the rotating body 124 relatively, as shown in FIG. , it is fixed and supported in multiple stages.

센싱부(140)는, 결합부(120)에 표시장치(200)가 거치되었는지 여부와 표시장치(200)가 복수의 디스플레이(210a,210b,210c)로 구성된 경우 그 위치를 각각 구분하여 감지 내지 인식하기 위해 결합부(120)에 설치되는 구성요소로서, 후술할 제어부(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작동제어될 수 있다.The sensing unit 140 detects whether or not the display device 200 is mounted on the coupling unit 120 and, when the display device 200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displays 210a, 210b, and 210c, respectively, distinguishes the position thereof. As a component installed in the coupler 120 for recognition, it can be operated and controlled by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130 to be described later.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변형예에 따른 센싱부(140)는, 상술한 바와 같은 감지기능의 구현을 위해 초음파, 적외선 또는 레이저 등과 같은 음파 또는 광파의 반사를 이용한 상용화된 복수의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The sensing unit 140 according to embodiments and modific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commercially available sensors using reflection of sound waves or light waves such as ultrasonic waves, infrared rays, or lasers to implement the above-described sensing function. have.

위와 같이 상용화된 센서로 구성되는 센싱부(140)는, 구체적으로 결합부(120)를 구성하는 슬릿홈(126)의 내측에서 그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이격된 상태로 표시장치(200)(디스플레이(210a,210b,210c))의 화면부(212)를 지향하도록 슬릿홈(126)의 일면에 매설될 수 있다.The sensing unit 140 composed of the commercially available sensor as described above is, in detail, the display device 200 ( It may be embedded in one surface of the slit groove 126 so as to direct the screen portion 212 of the displays 210a, 210b, and 210c.

이때, 슬릿홈(126)의 일면에 매설된 복수의 센싱부(140)는, 레이저 등을 방사한 후 전방물체(표시장치(200) 또는 슬릿홈(126)의 타면)에 반사되어 수신되는 레이저 정보로부터 거리를 측정(시간함수)하고, 해당 측정정보를 제어부(130)에 전송함으로써 표시장치(200)의 거치여부가 판별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sensing units 140 embedded in one surface of the slit groove 126 emits laser beams, etc., which are reflected and received by a front object (the display device 200 or the other surface of the slit groove 126). Whether or not the display device 200 is installed can be determined by measuring a distance (time function) from the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corresponding measurement information to the control unit 130 .

그리고 복수의 센싱부(140)는, 표시장치(200)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병렬배치된 복수의 디스플레이(210a,210b,210c)로 구성된 경우, 서로 다른 디스플레이(210a,210b,210c)간에 중첩적으로 위치하게 되는 테두리부(214)(또는 화면부(212))에 대한 레이저 등의 특징적인 반사율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210a,210b,210c)의 개수와 디스플레이(210a,210b,210c)별 화면부(212) 크기(거치된 상태의 가로길이) 등을 감지 내지 인식하고, 해당 측정정보를 제어부(130)에 전송하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display device 200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displays 210a, 210b, and 210c arranged in parallel as shown in FIG. The number of displays 210a, 210b, and 210c and the number of displays 210a, 210b, and 210c based on the characteristic reflectance of a laser or the like for the edge portion 214 (or screen portion 212) positioned overlapping between The size (horizontal length of the mounted state) of each screen unit 212 is detected or recognized, and the corresponding measurement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130 .

이때, 디스플레이(210a,210b,210c)별 화면부(212)와 그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테두리부(214)는, 구체적으로 센싱부(140)에 수신되는 레이저 등의 반사율 차이 내지 변화로부터 명확히 구별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creen portion 212 for each display 210a, 210b, and 210c and the edge portion 214 disposed along the periphery are clearly distinguished from the difference or change in the reflectance of the laser or the like received by the sensing unit 140 in detail. It can be.

여기서 레이저 등의 반사율 차이 내지 변화는, 화면부(212) 및 테두리부(214)의 제작에 사용된 소재의 차이, 소재의 투명도 차이, 화면부(212)와 테두리부(214) 간의 결합단차 등으로 인해 특징적으로 유발되는 것이다.Here, the difference or change in the reflectance of the laser or the like is a difference in materials used in the production of the screen portion 212 and the frame portion 214, a difference in transparency of the material, a coupling step between the screen portion 212 and the frame portion 214, etc. It is characteristically caused by

이로 인해 제어부(130)는, 복수의 센싱부(140)로부터 측정되어 전송된 레이저 등의 반사율 차이 내지 변화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디스플레이(210a,210b,210c)의 개수, 디스플레이(210a,210b,210c)별 화면부(212) 크기와 테두리부의 길이(Ta 내지 Tc) 등으로 구성된 디스플레이(210a,210b,210c)별 위치정보를 구체적으로 산출할 수 있게 된다.For this reason, the control unit 130 determines the number of displays 210a, 210b, and 210c, the number of displays 210a, 210b based on the information about the difference or change in the reflectance of the laser light measured and transmitted by the plurality of sensing units 140. , 210c), the location information for each display 210a, 210b, 210c composed of the size of the screen portion 212 and the lengths (Ta to Tc) of the frame portion can be calculated in detail.

제어부(130)는, 상술한 표시장치(2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고, 상술한 건반(112), 스피커, 센싱부(140) 등과 하우징(110) 내부에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각각의 작동을 제어하고, 필요한 정보 등을 송수신하며 처리하는 구성요소이다.The control unit 130 is connected to the above-described display device 200 by wire or wirelessly,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above-described keyboard 112, speaker, sensing unit 140, etc. inside the housing 110 to perform each operation. It is a component that controls, transmits, receives, and processes necessary information.

이러한 제어부(130)는, MCU(micro controller unit), 마이컴(microcomputer), 아두이노(Arduino) 또는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등과 같이 프로그래밍을 통해 정보 연산과 시퀀스 제어가 가능한 정보처리장치, 피아노악보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한 저장장치, 표시장치(200)와의 통신을 위한 유무선모듈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control unit 130 is a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capable of information operation and sequence control through programming, such as a micro controller unit (MCU), a microcomputer, an Arduino, or a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PLC), and a piano sheet music. It may include a storage device for storing data about the display device, a wired/wireless module for communication with the display device 200, and the like.

상술한 구성들로 이루어지는 제어부(130)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기본적으로, 저장장치에 기저장된 피아노악보의 음표(10)를 건반(112)에 일대일 매칭되는 막대음표(20) 형태로 변환하고, 변환된 막대음표(20)를 표시장치(200)에 출력하는 일련의 제어작동을 수행하게 된다.In relation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130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basically converts the notes 10 of the piano score pre-stored in the storage device into bar notes 20 that are matched one-to-one with the keyboard 112, , a series of control operations for outputting the converted bar note 20 to the display device 200 are performed.

이때, 제어부(1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장치(200)를 통해 막대음표(20)와 음표(10)로 구성된 악보를 함께 시각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130 may visually output the score composed of the bar note 20 and the note 10 through the display device 200 as shown in FIG. 3 .

그리고 제어부(130)는, 사용자가 피아노 연주를 위해 표시장치(200)에서 건반(112) 위로 낙하하는 막대음표(20)에 따라 순서대로 건반(112)을 타건하는 경우, 입력단(112a)의 눌림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음향을 스피커를 통해 연속 출력하는 한편, 타건의 정확성 등을 판단하고 표시장치(200)를 통해 시각적으로 출력하는 일련의 제어작동을 수행하게 된다.Further, the control unit 130 determines that when the user keys the keyboard 112 sequentially according to the bar notes 20 falling on the keyboard 112 from the display device 200 to play the piano, the input end 112a is pressed. Based on this, a series of control operations are performed to continuously output corresponding sounds through the speaker, determine the accuracy of keystrokes, and visually output them through the display device 200 .

그리고 제어부(13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장치(200)가 단일한 액정표시장치로 이루어진 경우, 센싱부(140)를 작동제어하여 결합부(120)에 표시장치(200)가 거치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미거치시 이를 알리는 알람을 표시하는 제어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And, as shown in FIGS. 1 and 2 , when the display device 200 is composed of a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the control unit 13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sensing unit 140 to provide the coupling unit 120 with the display device. It is possible to perform a control operation of checking whether or not the 200 is mounted and displaying an alarm informing of this when it is not mounted.

한편, 제어부(13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디스플레이(210a,210b,210c)로 구성된 표시장치(200)를 사용하는 경우, 각각의 디스플레이(210a,210b,210c)와 유선 또는 무선연결시 디시플레이별 화면부(212)의 사이즈, 해상도 등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전송받고, 상술한 센싱부(140)를 통해 디스플레이(210a,210b,210c)의 위치를 각각 구분하여 판별하는 일련의 제어작동을 수행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controller 130, when using the display device 200 composed of a plurality of displays 210a, 210b, 210c as shown in FIG. 6, each display (210a, 210b, 210c) and a wired or During a wireless connection, various information about the size and resolution of the screen unit 212 for each display is received, and the positions of the displays 210a, 210b, and 210c are classified and determined through the above-described sensing unit 140. control operation is performed.

그리고 제어부(130)는, 센싱부(140)에서 인식된 디스플레이(210a,210b,210c) 각각의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기저장된 피아노악보의 음표(10)가 건반(112)에 일대일 매칭되는 막대음표(20) 형태로 복수의 디스플레이(210a,210b,210c) 각각에 개별적으로 출력되도록 제어하게 된다. Further, the control unit 130 determines that the previously stored notes 10 of the piano score are matched one-to-one with the keyboard 112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isplays 210a, 210b, and 210c recognized by the sensing unit 140. In the form of (20), it is controlled to be individually output to each of the plurality of displays 210a, 210b, and 210c.

이로 인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복수의 건반(112)에 대응하는 길이로 제작된 액정표시장치가 없더라도, 사용자가 구비하고 있는 다양한 복수의 디스플레이(210a,210b,210c) 즉, 스마트폰, 태블릿 PC, 전자북단말기 등을 활용한 피아노 학습이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As a result, even if there is no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manufactured with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keyboards 112 as shown in FIGS. , Piano learning using smart phones, tablet PCs, e-book terminals, etc. can be done easily.

다만, 위와 같이 사용자가 구비하고 있는 다양한 복수의 디스플레이(210a,210b,210c)로 표시장치(200)를 구성하게 되면, 서로 다른 길이(Ta 내지 ,Tc)의 테두리부(214)로 인해 디스플레이(210a,210b,210c)별로 출력되는 막대음표(20)가 건반(112)의 수평 배열과 서로 일치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However, when the display device 200 is configured with a plurality of various displays 210a, 210b, and 210c provided by the user as described above, the display ( 210a, 210b, and 210c), a problem may occur in that the bar notes 20 output for each of the keys 112 do not coincide with the horizontal arrangement of the keyboard 112.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제어부(1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센싱부(140)로부터 측정되어 전송된 레이저 등의 반사율 차이 내지 변화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디스플레이(210a,210b,210c)의 개수, 디스플레이(210a,210b,210c)별 화면부(212) 크기(거치된 상태의 가로길이), 디스플레이(210a,210b,210c)별 테두리부의 길이(Ta 내지 Tc)에 대한 정보를 산출하게 된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control unit 130, as described above, displays (210a, 210b, 210c) based on the information about the difference or change in the reflectance of the laser, etc. measured and transmitted by the plurality of sensing units 140. ), the size of the screen unit 212 for each display 210a, 210b, and 210c (horizontal length in a mounted state), and information about the lengths (Ta to Tc) of the frame for each display 210a, 210b, and 210c are calculated. will do

그리고 제어부(13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된 디스플레이(210a,210b,210c)의 각도(수직선 기준), 거치각도별로 정해지는 디스플레이(210a,210b,210c)의 숨겨진 깊이(HD)(건반(112)의 상단면에서 슬릿홈(126)의 저부까지의 길이) 및 위에서 산출된 디스플레이(210a,210b,210c)별 테두리부의 길이(Ta 내지 Tc)에 기초하여, 기저장된 피아노악보의 음표(10)가 건반(112)에 일대일 매칭되는 막대음표(20) 형태로 디스플레이(210a,210b,210c)별 화면부(212) 중 건반(112) 위로 노출된 영역에서부터 출력되도록 제어하게 된다.And, as shown in FIG. 7 , the controller 130 determines the angle (based on a vertical line) of the mounted displays 210a, 210b, and 210c and the hidden depth (HD) of the displays 210a, 210b, and 210c determined by the mounting angle. ) (the length from the top surface of the keyboard 112 to the bottom of the slit groove 126) and the lengths (Ta to Tc) of the rims of each display 210a, 210b, and 210c calculated above, the previously stored piano sheet music The notes 10 of are controlled to be output from the area exposed above the keyboard 112 among the screen parts 212 for each display 210a, 210b, and 210c in the form of a bar note 20 that is matched one-to-one with the keyboard 112. .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도 6 및 도 7의 (a)에 도시된 좌측 디스플레이(210a)의 경우, 거치각도별로 정해지는 디스플레이(210a)의 숨겨진 깊이(HD)에서 산출된 테두리부의 길이(Ta)를 차감하여 막대음표(20)의 출력이 제한되는 화면부(212)의 길이를 산출하게 된다.Specifically, in the case of the left display 210a shown in (a) of FIGS. 6 and 7 , the controller 130 determines the length of the edge portion calculated from the hidden depth HD of the display 210a determined for each mounting angle. (Ta) is subtracted to calculate the length of the screen portion 212 where the output of the bar note 20 is limited.

물론, 출력이 제한되는 화면부(212)의 길이는, 거치된 디스플레이(210a,210b,210c)의 각도(수직선 기준)를 고려한 삼각함수를 통해 더욱 정확하게 산출될 수 있다. Of course, the length of the screen unit 212 whose output is limited can be more accurately calculated through a trigonometric function considering the angles (based on a vertical line) of the mounted displays 210a, 210b, and 210c.

그리고 제어부(130)는, 유선 또는 무선연결시 전송받은 좌측 디스플레이(210a,210b,210c)의 사이즈, 디스플레이(210a,210b,210c) 자체의 기울기 정보(세로/가로방향 거치 여부확인) 및 위에서 산출된 출력이 제한된 화면부(212)의 길이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좌측 디스플레이(210a,210b,210c)의 화면부(212) 중 건반(112) 위로 노출된 영역에서부터 막대음표(20)가 출력되도록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30 calculates the size of the left displays 210a, 210b, and 210c transmitted during a wired or wireless connection, the tilt information of the displays 210a, 210b, and 210c themselves (confirming whether they are mounted in the vertical/horizontal direction) and the above Based on the information on the length of the screen portion 212 whose output is limited, bar notes 20 are output from the area exposed above the keyboard 112 among the screen portions 212 of the left displays 210a, 210b, and 210c. You will be able to control it.

또한, 제어부(130)는, 도 6 및 도 7의 (b)에 도시된 우측 디스플레이(210c)의 경우, 거치각도별로 정해지는 디스플레이(210c)의 숨겨진 깊이(HD)에서 산출된 테두리부의 길이(Tc)를 차감하여 막대음표(20)의 출력이 제한되는 화면부(212)의 길이를 산출하게 된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right display 210c shown in (b) of FIGS. 6 and 7, the controller 130 calculates the length of the edge ( Tc) is subtracted to calculate the length of the screen portion 212 where the output of the bar note 20 is limited.

그리고 제어부(130)는, 유선 또는 무선연결시 전송받은 좌측 디스플레이(210a,210b,210c)의 사이즈, 디스플레이(210a,210b,210c) 자체의 기울기 정보(세로/가로방향 거치 여부확인) 및 위에서 산출된 출력이 제한된 화면부(212)의 길이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우측 디스플레이(210a,210b,210c)의 화면부(212) 중 건반(112) 위로 노출된 영역에서부터 막대음표(20)가 출력되도록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30 calculates the size of the left displays 210a, 210b, and 210c transmitted during a wired or wireless connection, the tilt information of the displays 210a, 210b, and 210c themselves (confirming whether they are mounted in the vertical/horizontal direction) and the above Based on the information about the length of the screen portion 212 whose output is limited, bar notes 20 are output from the area exposed above the keyboard 112 among the screen portions 212 of the right displays 210a, 210b, and 210c. You will be able to control it.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변형예에 따르면, 더 이상 피아노 교습시 악보가 인쇄된 책자가 요구되지 않고, 악보에 대한 제반지식이나 교육자의 특별한 지도 없이도 악보에 부합하도록 출력되는 막대음표(20)의 가이드에 따라 게임처럼 즐기며 직관적으로 건반(112)을 타건하는 피아노 학습이 가능해져 충분한 동기부여는 물론, 자율적인 피아노 학습과 빠른 실력 향상이 기대될 수 있고, 거치되는 표시장치(200)에 대한 각도 조절과 사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다양한 디스플레이(210a,210b,210c)의 활용을 통해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and modific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 booklet printed with sheet music is no longer required during piano lessons, and a bar output to match the sheet music without general knowledge of sheet music or special guidance from an educator According to the guide of the notes 20, it is possible to learn the piano by intuitively playing the keyboard 112 while enjoying it like a game, so that sufficient motivation, as well as autonomous piano learning and rapid skill improvement can be expected, and a mounted display device ( 200) and user convenience can be improved through utilization of various displays 210a, 210b, and 210c possessed by the user.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In the foregoing, although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nd show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it is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self-evident to those who have Therefore, such modifications or vari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viewpoi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odified embodiments should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음표 20: 막대음표
100: 표시장치 연동형 피아노 연습장치
110: 하우징 112: 건반
112a: 입력단 114: 받침대
120: 결합부 122: 안착홈
124: 회전체 124a: 조절노브
126: 슬릿홈 128: 스토퍼
128a: 판스프링 128b: 고정돌기
130: 제어부 140: 센싱부
200: 표시장치 210a,210b,210c: 디스플레이
212: 화면부 214: 테두리부
Ta,Tc: 테두리부의 두께 HD: 디스프레이의 숨겨진 깊이
10: note 20: bar note
100: display device linked piano practice device
110: housing 112: keyboard
112a: input terminal 114: pedestal
120: coupling part 122: seating groove
124: rotating body 124a: control knob
126: slit groove 128: stopper
128a: plate spring 128b: fixed protrusion
130: control unit 140: sensing unit
200: display device 210a, 210b, 210c: display
212: screen portion 214: frame portion
Ta,Tc: Thickness of the frame HD: Hidden depth of display

Claims (3)

타건가능한 복수의 피아노 건반이 좌우로 배열 설치된 하우징; 표시장치가 상기 하우징에 탈착가능하게 거치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후방에 구비되는 결합부; 및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고, 기저장된 피아노악보의 음표를 상기 건반에 일대일 매칭되는 막대음표 형태로 상기 표시장치에 출력하도록 상기 표시장치와 연결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장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로 구성되어 각각 상기 결합부에 거치되고,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상기 디스플레이와 각각 유무선으로 연결되며,
상기 결합부에 거치된 복수의 상기 디스플레이의 위치를 각각 구분하여 인식하기 위해 상기 결합부에 설치되는 복수의 센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와 연동 가능한 피아노 연습장치.
A housing in which a plurality of keyable piano keys are arranged left and right; a coupling part provided at the rear of the housing so that the display device is detachably mounted on the housing; and a control unit provided in the housing and connected to the display device to output pre-stored notes of a piano score to the display device in the form of bar notes that are matched one-to-one with the keyboard;
The display device,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displays, each mounted on the coupling part,
The control unit,
Connected to a plurality of the displays by wire or wirelessly, respectively,
A piano practice device capable of interlocking with a plurality of display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lurality of sensing units installed in the coupling portion to distinguish and recognize the positions of the plurality of displays mounted on the coupling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부에서 인식된 상기 디스플레이 각각의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기저장된 피아노악보의 음표가 상기 건반에 일대일 매칭되는 막대음표 형태로 복수의 상기 디스플레이 각각에 개별적으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와 연동 가능한 피아노 연습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of the displays recognized by the sensing unit, the notes of the previously stored piano score are individually output to each of the plurality of displays in the form of bar notes that are one-to-one matched to the keyboard. A piano practice device that can be interlocked with the displa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부에서 감지된 상기 디스플레이별 테두리부의 길이에 기초하여 기저장된 피아노악보의 음표가 상기 건반에 일대일 매칭되는 막대음표 형태로 화면부 중 상기 건반 위로 노출된 영역에서부터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와 연동 가능한 피아노 연습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Based on the length of the edge portion for each display detected by the sensing unit, the notes of the previously stored piano score are output from an area exposed above the keyboard among the screen portions in the form of a bar note that is one-to-one matched to the keyboard. Characterized in that A piano practice device that can be interlocked with multiple displays.
KR1020220082566A 2021-03-16 2022-07-05 Piano practice device that can be linked with multiple displays KR10246812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2566A KR102468128B1 (en) 2021-03-16 2022-07-05 Piano practice device that can be linked with multiple display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4022A KR102421338B1 (en) 2021-03-16 2021-03-16 Piano practice device linked with display device
KR1020220082566A KR102468128B1 (en) 2021-03-16 2022-07-05 Piano practice device that can be linked with multiple displays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4022A Division KR102421338B1 (en) 2021-03-16 2021-03-16 Piano practice device linked with display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9497A KR20220129497A (en) 2022-09-23
KR102468128B1 true KR102468128B1 (en) 2022-11-16

Family

ID=8284744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4022A KR102421338B1 (en) 2021-03-16 2021-03-16 Piano practice device linked with display device
KR1020220082566A KR102468128B1 (en) 2021-03-16 2022-07-05 Piano practice device that can be linked with multiple displays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4022A KR102421338B1 (en) 2021-03-16 2021-03-16 Piano practice device linked with display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421338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01576A (en) * 2002-09-04 2004-04-02 Kawai Musical Instr Mfg Co Ltd Musical performance self-teaching device
KR101607804B1 (en) 2015-01-13 2016-03-31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Electronic apparatus, method for implementing piano using an electronic apparatus, and piano system
KR101746180B1 (en) 2016-05-16 2017-06-27 한숭녕 Method for providing piano educating service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08582A (en) * 1981-10-08 1983-06-28 可児 弘文 Semi-automatic performer for keyed instrument
JPH09152867A (en) * 1995-11-30 1997-06-10 Kawai Musical Instr Mfg Co Ltd Keyboard musical instrument
KR101611511B1 (en) 2009-05-12 2016-04-12 삼성전자주식회사 A method of composing music in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touchscreen
KR101636047B1 (en) * 2014-11-18 2016-07-05 주식회사 테일윈드 System for practicing piano play
KR102162300B1 (en) * 2018-11-28 2020-10-06 (주)사운드리더 Method for operating of electronic device guiding performance of song on led piano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01576A (en) * 2002-09-04 2004-04-02 Kawai Musical Instr Mfg Co Ltd Musical performance self-teaching device
KR101607804B1 (en) 2015-01-13 2016-03-31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Electronic apparatus, method for implementing piano using an electronic apparatus, and piano system
KR101746180B1 (en) 2016-05-16 2017-06-27 한숭녕 Method for providing piano educating service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1338B1 (en) 2022-08-03
KR20220129497A (en) 2022-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63925B2 (en) Musical notation, system, and methods
US9836992B2 (en) Interactive piano training system
KR101937099B1 (en) Piano educating service offering system
US6191348B1 (en) Instructional systems and methods for musical instruments
US20060259314A1 (en) Reading device
US9076413B2 (en) Pedal operated configurable guitar chord player
JP6618083B2 (en) Device with piano keyboard
US9092994B1 (en) Interactive piano training system
CN102129798B (en) Digital stringed instrument controlled by microcomputer
CN102479501A (en) Unmodified non-contact detection device for piano keyboard state of clavier
US9099065B2 (en) System and method for teaching and playing a musical instrument
US20110205184A1 (en) electronic interactive device, and related memory
KR102468128B1 (en) Piano practice device that can be linked with multiple displays
WO2017209201A1 (en) Electronic musical score device
KR101729060B1 (en) Educational music board using block and music education system having the same
US10446128B2 (en) Interval-based musical instrument
KR20010076489A (en) Virtual musical performance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using sensor
KR100907341B1 (en) Electronic musical note
KR20130117264A (en) Using an interactive network systems piano
WO2015150748A1 (en) Musical instruction system
TW201627719A (en) Display device
KR101905750B1 (en) Smart Xylophone and Driving Control Method
KR102433036B1 (en) Practice device for wind instrument
TW200407806A (en) An electronic learning device for an interactive multi-sensory reading system
KR20120008848A (en) An Eletronic board for music edu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