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7766B1 - 다중 음식물 포장용기 - Google Patents

다중 음식물 포장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7766B1
KR102467766B1 KR1020220058359A KR20220058359A KR102467766B1 KR 102467766 B1 KR102467766 B1 KR 102467766B1 KR 1020220058359 A KR1020220058359 A KR 1020220058359A KR 20220058359 A KR20220058359 A KR 20220058359A KR 102467766 B1 KR102467766 B1 KR 1024677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unit
food
main body
closing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83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조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장스푸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장스푸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장스푸드
Priority to KR10202200583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77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77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77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22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 B65D1/24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with moulded compartments or part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22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 B65D1/26Thin-walled containers, e.g. formed by deep-drawing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40Details of walls
    • B65D1/42Reinforcing or strengthening parts or members
    • B65D1/44Corrug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33Nestable containers

Abstract

본 발명은 다중 음식물 포장용기에 관한 것으로, 음식물을 담거나 포장 가능하도록 형성된 본체를 포함하는 음식물 용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일측에 형성되고, 측면에 둘레를 따라 제1 요철부가 형성된 제1 수납부; 및 상기 본체의 타측에 상기 제1 수납부와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형성되고, 측면에 둘레를 따라 제2 요철부가 형성된 제2 수납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용기 본체에 제1 수납부 및 제2 수납부가 각각 형성되어 상단만 서로 연결됨으로써, 제1 수납부 및 제2 수납부를 통해 서로 다른 음식물이 섞이지 않고 담겨 포장될 수 있으며, 제1 수납부 및 제2 수납부가 상단만 연결되어 용기가 상하 방향으로 포개질 경우 밀접하게 포개질 수 있어 공간활용도가 우수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다중 음식물 포장용기{RECEPTACLE FOR PACKING FOOD}
본 발명은 다중 음식물 포장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서로 다른 음식이 섞이지 않도록 포장이 가능한 다중 음식물 포장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포장 용기는 주지된 바와 같이 그 안에 보관되는 내용물, 예를 들어 반찬류, 과일류, 과자류, 조리 음식류 등을 냉장고에 보관하거나 또는 피크닉이나 야외 활동을 위한 음식물을 담아서 휴대하기 쉽도록 사용된다.
이러한 포장 용기는 그 용도에 따라 크기나 형상이 다양하나, 그 안에 내용물을 담고 밀폐시키기 위하여 본체와 뚜껑이 서로 분리되었다가 체결되어야 한다는 점은 공통적이다.
이러한 체결은 내용물을 적절한 상태로 보존하며 동시에 내용물의 냄새 등이 용기에서 새어나기 않도록 하기 위하여 신뢰할 수 있는 밀폐력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더 나아가 신뢰할만한 밀폐력을 제공하면서도 반복적으로 행하여지는 이러한 체결 및 분리 작업이 보다 편리하고 간단하게 달성될 수 있다면 더욱 바랄 것이 없다 할 것이다.
한편, 종래의 밀폐 저장 용기는 용기의 내부가 단일 본체로 형성되어 반찬류, 과일류, 과자류, 조리 음식류 등과 같은 내용물 중 하나의 종류만을 본체에 넣어서 보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용기 본체가 단일 몸체로 된 경우에는 단일 종류의 내용물의 양이 과다하여 남길 수가 있는데, 이때, 여분의 내용물을 버릴 수밖에 없게 되거나 또는 보관하더라도 섭취한 채로 보관해야 함으로 비경제적이고 비위생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다양한 종류의 내용물은 여러 개의 포장 용기에 나누어서 수용할 수밖에 없음으로 피크닉이나 야외 활동시에 다수개의 포장 용기가 차지하는 부피로 인해 휴대상 적절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특허청 등록번호 제20-0222459호 대한민국특허청 등록번호 제20-0094959호 대한민국특허청 공개번호 제10-1992-0021404호 대한민국특허청 등록번호 제20-0440486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서로 다른 음식물이 섞이지 않도록 각각 담아 포장할 수 있는 음식물 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중 음식물 포장용기는, 음식물을 담거나 포장 가능하도록 형성된 본체를 포함하는 음식물 용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일측에 형성되고, 측면에 둘레를 따라 제1 요철부가 형성된 제1 수납부; 및 상기 본체의 타측에 상기 제1 수납부와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형성되고, 측면에 둘레를 따라 제2 요철부가 형성된 제2 수납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수납부 및 제2 수납부의 사이의 상단이 연결부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제1 수납부 및 제2 수납부의 사이에 전후방 및 하방이 개방된 이격공간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수납부의 하단에는 상기 제1 수납부의 하단과 마주보는 위치에 상기 이격공간부를 개폐하는 바닥개폐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닥개폐부는 접히거나 펼쳐지도록 형성되어, 접힘 시 상기 이격공간부 내에 위치되고, 펼침 시 상기 제1 수납부의 하면과 일직선상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닥개폐부의 단부에는 상기 제1 요철부 사이로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삽입부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다중 음식물 포장용기에 따르면, 용기 본체에 제1 수납부 및 제2 수납부가 각각 형성되어 상단만 서로 연결됨으로써, 제1 수납부 및 제2 수납부를 통해 서로 다른 음식물이 섞이지 않고 담겨 포장될 수 있으며, 제1 수납부 및 제2 수납부가 상단만 연결되어 용기가 상하 방향으로 포개질 경우 밀접하게 포개질 수 있어 공간활용도가 우수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1 수납부 및 제2 수납부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바닥개폐부에 의해 개폐됨으로써, 공간부에 광고물이나 물티슈나 냅킨이 아래로 빠지지 않게 수납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중 음식물 포장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겹쳐진 다중 음식물 포장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중 음식물 포장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 3의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바닥개폐부의 동작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겹쳐진 다중 음식물 포장용기의 단면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다중 음식물 포장용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중 음식물 포장용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겹쳐진 다중 음식물 포장용기의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다중 음식물 포장용기는, 서로 다른 음식물이 섞이지 않고 담겨 포장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본 실시예에 따른 다중 음식물 포장용기(100)는, 음식물을 담거나 포장 가능하도록 형성된 본체(110)를 포함하는 음식물 용기에 있어서, 제1 수납부(120), 제2 수납부(130), 연결부(140) 및 이격공간부(15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수납부(120)는 상기 본체(110)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음식물이 담길 수 있도록 상단이 개방된 형상을 가진다.
상기 제1 수납부(120)의 측면에는 둘레를 따라 제1 요철부(121)가 형성된다.
상기 제1 요철부(121)는 하단이 상기 제1 수납부(120)의 하면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2 수납부(130)는 상기 본체(110)의 타측에 상기 제1 수납부(120)와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고, 음식물이 담길 수 있도록 상단이 개방된 형상을 가진다.
상기 제2 수납부(130)의 측면에는 둘레를 따라 제2 요철부(131)가 형성된다.
상기 제2 요철부(131)는 하단이 상기 제2 수납부(130)의 하면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140)는 상기 제1 수납부(120) 및 제2 수납부(130)를 연결하는 것으로, 상기 제1 수납부(120) 및 제2 수납부(130)의 서로 마주보는 상단이 서로 연결되도록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이격공간부(150)는 상기 제1 수납부(120) 및 제2 수납부(130)의 사이 공간을 말하며, 상기 연결부(140)에 의해 연결된 제1 수납부(120) 및 제2 수납부(130)의 사이로 전후 및 하방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용기(100)가 상하 방향으로 포개질 경우, 상기 연결부(140)가 또 다른 이격공간부에 삽입되어 보다 밀접하게 포개질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중 음식물 포장용기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 3의 단면도,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바닥개폐부의 동작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겹쳐진 다중 음식물 포장용기의 단면확대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다중 음식물 포장용기(200)는, 음식물을 담거나 포장 가능하도록 형성된 본체(210)를 포함하는 음식물 용기에 있어서, 제1 수납부(220), 제2 수납부(230), 연결부(240), 이격공간부(250) 및 바닥개폐부(26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수납부(220)는 상기 본체(210)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음식물이 담길 수 있도록 상단이 개방된 형상을 가진다.
상기 제1 수납부(220)의 측면에는 둘레를 따라 제1 요철부(221)가 형성된다.
상기 제1 요철부(221)는 하단이 상기 제1 수납부(220)의 하면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2 수납부(230)는 상기 본체(210)의 타측에 상기 제1 수납부(220)와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고, 음식물이 담길 수 있도록 상단이 개방된 형상을 가진다.
상기 제2 수납부(230)의 측면에는 둘레를 따라 제2 요철부(231)가 형성된다.
상기 제2 요철부(231)는 하단이 상기 제2 수납부(230)의 하면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240)는 상기 제1 수납부(220) 및 제2 수납부(230)를 연결하는 것으로, 상기 제1 수납부(220) 및 제2 수납부(230)의 서로 마주보는 상단이 서로 연결되도록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이격공간부(250)는 상기 제1 수납부(220) 및 제2 수납부(230)의 사이 공간을 말하며, 상기 연결부(240)에 의해 연결된 제1 수납부(220) 및 제2 수납부(230)의 사이로 전후 및 하방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용기(200)가 상하 방향으로 포개질 경우, 상기 연결부(240)가 또 다른 이격공간부에 삽입되어 보다 밀접하게 포개질 수 있다.
상기 바닥개폐부(260)는 상기 이격공간부(250)의 하단을 개폐하는 것으로, 상기 제2 수납부(230)의 하단에 결합된다.
상기 바닥개폐부(260)에는 상기 제2 수납부(230)와 연결된 부분에 상방으로 밴딩될 수 있도록 하방이 개방되도록 제1 밴딩홈(26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바닥개폐부(260)는 일측이 하방으로 접힐 수 있도록 중앙 부분에 상방이 개방되도록 제2 밴딩홈(262)이 형성된다.
상기 제2 밴딩홈(262)은 일측 부분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바닥개폐부(260)는 상기 제1 밴딩홈(261) 및 제2 밴딩홈(262)에 의해 용기(200)가 서로 겹쳐질 경우 또 다른 연결부에 의해 상기 제2 밴딩홈(262) 부분이 가압되면서 접히게 되어 용기(200)들이 보다 밀접하게 포개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닥개폐부(260)의 단부에는 상기 제1 요철부(221)에 의해 오목하게 인입된 부분과 마주보는 위치에 삽입부재(263)가 형성된다.
상기 삽입부재(263)는 상기 제1 요철부(221)에 인입되고, 인입된 부분의 양측에 걸림돌기(264)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 요철부(221)의 하부에는 상기 삽입부재(263)와 마주보는 양측 내벽에 상기 걸림돌기(264)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가이드홈(222)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돌기(264)는 상기 바닥개폐부(260)의 펼침 시 상기 가이드홈(222)의 일측에 위치되고, 접힘 시 상기 가이드홈(222)의 타측에 위치된다.
또한, 상기 바닥개폐부(260)는 하중에 의해 펼쳐질 수 있도록 상기 제2 밴딩홈(262)에 안착되는 중량체(262a)가 결합된다.
예컨대, 상기 제2 밴딩홈(262)은 단면이 반원 형상을 가지며, 상기 중량체(262a)는 원 형상을 가진다.
여기서, 상기 바닥개폐부(260)는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중량체(262a)가 상기 제2 밴딩홈(262)에 안착 시 제2 밴딩홈(262) 부분이 하방으로 접히지 않게 지지된다.
이때, 상기 중량체(262a)는 상기 바닥개폐부(260)의 접힘과 펼침에 의해 발생되는 수축 이완에 대응되며 고정될 수 있도록 양측에 연결부재(262b)가 결합되고, 상기 연결부재(262b)는 상기 바닥개폐부(260)의 상면 중 상기 제2 밴딩홈(262)과 인접한 위치에 결합된다.
상기 중량체(262a)는 상기 연결부재(262b)에 의해 상기 바닥개폐부(260)의 상면에 유연하게 유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제2 밴딩홈(262)에 안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체(210)는 일회용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종이나, 얇은 합성수지로 형성되므로, 상기 본체(210)에 일체로 형성된 상기 제1 수납부(220)와 제2 수납부(230)에 각각 음식물을 담을 경우 무게에 의해 연결부(240) 부분이 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본체(210)가 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바닥개폐부(260)로 지지하여 보다 견고한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다중 음식물 포장용기에 따르면, 용기 본체에 제1 수납부 및 제2 수납부가 각각 형성되어 상단만 서로 연결됨으로써, 제1 수납부 및 제2 수납부를 통해 서로 다른 음식물이 섞이지 않고 담겨 포장될 수 있으며, 제1 수납부 및 제2 수납부가 상단만 연결되어 용기가 상하 방향으로 포개질 경우 밀접하게 포개질 수 있어 공간활용도가 우수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1 수납부 및 제2 수납부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바닥개폐부에 의해 개폐됨으로써, 공간부에 광고물이나 물티슈나 냅킨이 아래로 빠지지 않게 수납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용기 110: 본체
120: 제1 수납부 121: 제1 요철부
130: 제2 수납부 131: 제2 요철부
140: 연결부 150: 이격공간부
200: 용기 110: 본체
220: 제1 수납부 221: 제1 요철부
222: 가이드홈 230: 제2 수납부 231: 제2 요철부 240: 연결부
250: 이격공간부 260: 바닥개폐부
261: 제1 밴딩홈 262: 제2 밴딩홈
262a: 중량체 262b: 연결부재
263: 삽입부재 264: 걸림돌기

Claims (5)

  1. 음식물을 담거나 포장 가능하도록 형성된 본체를 포함하는 음식물 용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일측에 형성되고, 측면에 둘레를 따라 제1 요철부가 형성된 제1 수납부; 및
    상기 본체의 타측에 상기 제1 수납부와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형성되고, 측면에 둘레를 따라 제2 요철부가 형성된 제2 수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수납부 및 제2 수납부의 사이의 상단이 연결부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제1 수납부 및 제2 수납부의 사이에 전후방 및 하방이 개방된 이격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 수납부의 하단에는 상기 제1 수납부의 하단과 마주보는 위치에 상기 이격공간부를 개폐하는 바닥개폐부가 형성되고,
    상기 바닥개폐부는 접히거나 펼쳐지도록 형성되어, 접힘 시 상기 이격공간부 내에 위치되고, 펼침 시 상기 제1 수납부의 하면과 일직선상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음식물 포장용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개폐부의 단부에는 상기 제1 요철부 사이로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삽입부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음식물 포장용기.
KR1020220058359A 2022-05-12 2022-05-12 다중 음식물 포장용기 KR1024677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8359A KR102467766B1 (ko) 2022-05-12 2022-05-12 다중 음식물 포장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8359A KR102467766B1 (ko) 2022-05-12 2022-05-12 다중 음식물 포장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7766B1 true KR102467766B1 (ko) 2022-11-17

Family

ID=84233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8359A KR102467766B1 (ko) 2022-05-12 2022-05-12 다중 음식물 포장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7766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21404A (ko) 1991-05-14 1992-12-18 원본미기재 음식 포장 용기
JP2001072173A (ja) * 1999-09-03 2001-03-21 Daiwa Shinku:Kk 物品搬送容器
KR200222459Y1 (ko) 2000-12-05 2001-05-02 이창호 음식포장용기
KR200390252Y1 (ko) * 2005-03-30 2005-07-25 이제헌 란 포장용기
JP3133709U (ja) * 2007-05-10 2007-07-19 守 加茂 鶏卵包装用容器
KR200440486Y1 (ko) 2007-07-10 2008-06-16 박초록 걸림턱 후렌지를 형성하는 조립식 음식물포장용기
KR20200094959A (ko) 2019-01-31 2020-08-10 롯데첨단소재(주)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KR102160576B1 (ko) * 2020-05-07 2020-09-28 주식회사 대력 생고추냉이와 회 간장의 진공 포장체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21404A (ko) 1991-05-14 1992-12-18 원본미기재 음식 포장 용기
JP2001072173A (ja) * 1999-09-03 2001-03-21 Daiwa Shinku:Kk 物品搬送容器
KR200222459Y1 (ko) 2000-12-05 2001-05-02 이창호 음식포장용기
KR200390252Y1 (ko) * 2005-03-30 2005-07-25 이제헌 란 포장용기
JP3133709U (ja) * 2007-05-10 2007-07-19 守 加茂 鶏卵包装用容器
KR200440486Y1 (ko) 2007-07-10 2008-06-16 박초록 걸림턱 후렌지를 형성하는 조립식 음식물포장용기
KR20200094959A (ko) 2019-01-31 2020-08-10 롯데첨단소재(주)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KR102160576B1 (ko) * 2020-05-07 2020-09-28 주식회사 대력 생고추냉이와 회 간장의 진공 포장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68021B1 (en) Egg carton having compartment for other ingredients
US3933296A (en) Packaging containers
MX2007003935A (es) Vaso de domo invertido anidado de dos piezas.
EP0726214B1 (en) Egg storer
KR20100106947A (ko) 적층형 식품 보관용기
KR102467766B1 (ko) 다중 음식물 포장용기
KR200420169Y1 (ko) 포장 용기 구조
RU2503598C2 (ru) Контейнер с шарнирной крышкой
KR200444080Y1 (ko) 과일 포장용기
KR20180000716U (ko) 하나의 박스함체에 양쪽으로 덮개가 형성된 포장박스
EP0727169B1 (en) Modular device comprising container trays for the storage of food products
EP1026090B2 (en) System of identical modular containers which can be piled up on top of one another, in particular for foodstuffs.
KR200351885Y1 (ko) 음식물 저장용기
JP2011240943A (ja) 弁当用惣菜容器及び弁当用容器
KR20170004381U (ko) 분할된 공간의 다양한 결합이 가능한 모듈방식의 용기
JP4042134B2 (ja) 鶏卵包装用容器
KR20040054462A (ko) 다수의 수용 내용물에 대한 독립적 밀폐 및 사용이 용이한식품보관용기
KR200316999Y1 (ko) 다수의 수용 내용물에 대한 독립적 밀폐 및 사용이용이한 식품보관용기
GB2376456A (en) Compartmented disposable container for foodstuffs
KR200398299Y1 (ko) 햄버거 포장용 박스
CN209455258U (zh) 一种可替代一次性餐盒的外卖运输装置
KR102351533B1 (ko) 밀폐수단이 구비된 도시락용기
RU2739094C2 (ru) Упаковка для размещения и хранения яиц
KR200333938Y1 (ko) 위조방지용 밀폐용기 결합구조
WO2009022920A1 (en) Packag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