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7712B1 - 전력 공급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전력 공급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7712B1
KR102467712B1 KR1020197020478A KR20197020478A KR102467712B1 KR 102467712 B1 KR102467712 B1 KR 102467712B1 KR 1020197020478 A KR1020197020478 A KR 1020197020478A KR 20197020478 A KR20197020478 A KR 20197020478A KR 102467712 B1 KR102467712 B1 KR 1024677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power switching
power
units
supply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04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4157A (ko
Inventor
에스펜 하우간
Original Assignee
지멘스 에너지 에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멘스 에너지 에이에스 filed Critical 지멘스 에너지 에이에스
Publication of KR201901041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41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77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77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08Modifications for protecting switching circuit against overcurrent or overvoltage
    • H03K17/081Modifications for protecting switching circuit against overcurrent or overvoltage without feedback from the output circuit to the control circuit
    • H03K17/0814Modifications for protecting switching circuit against overcurrent or overvoltage without feedback from the output circuit to the control circuit by measures taken in the output circuit
    • H03K17/08148Modifications for protecting switching circuit against overcurrent or overvoltage without feedback from the output circuit to the control circuit by measures taken in the output circuit in composite switch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00Circuit arrangements for dc mains or dc distribution network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2217/00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 H03K2217/0054Gating switches, e.g. pass ga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60Arrangements for transfer of electric power between AC networks or generators via a high voltage DC link [HVC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irect Current Feeding And Distribution (AREA)

Abstract

DC 전력 공급 시스템은 제1 DC 배전 버스 섹션 및 제2 DC 배전 버스 섹션, 그리고 DC 전력 스위칭 어셈블리(122)를 포함하며, DC 전력 스위칭 어셈블리(122)는 복수의 직렬 연결된 전력 스위칭 유닛들(121) 및 전류 제한기(100)를 포함한다. 각각의 전력 스위칭 유닛은 제1 전력 스위칭 유닛 단자(123) 및 제2 전력 스위칭 유닛 단자(124), 그리고 제1 단자와 제2 단자 사이의 전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2 개의 대칭적인 전력 스위칭 서브-유닛들(146)을 포함한다. 각각의 서브-유닛(146)은 일 측에서 제1 전력 스위칭 유닛 단자(123) 및 제2 전력 스위칭 유닛 단자(124) 중 하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다른 측에서 다른 서브-유닛(146)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전력 스위칭 서브-유닛들(146) 각각은 반도체 디바이스(Q1, Q2), 그리고 반도체 디바이스와 병렬인, 직렬 연결된 다이오드(D1, D2) 및 커패시터(C1, C2)를 포함한다. 어셈블리(122)의 제1 단자(28)는 배전 버스의 제1 버스 섹션(30)에 전기적으로 커플링되고, 제2 단자(29)는 배전 버스의 제2 버스 섹션(31)에 전기적으로 커플링된다. 전력 스위칭 어셈블리(122)의 일 측에서의 전압은 1 kV 이상이다.

Description

전력 공급 시스템 및 방법
본 발명은, 특히 오프쇼어 플랫폼(offshore platform) 또는 선박을 위한, 전력 스위칭 어셈블리(switching assembly)를 포함하는 DC 전력 공급 시스템(system)에 관한 것이다.
오프쇼어 플랫폼들 또는 선박들, 드릴링 리그(drilling rig)들, 항공기, HVDC 시스템들, 풍력 그리드(grid)들 또는 유사한 DC 시스템들에서, 많은 장비는 임계적인(critical) 것으로 여겨지며, 규제 요건들은 결함(fault)의 경우에 전력의 이용가능성을 특정한다. 결과적으로, 결함이 하나의 섹션(section)에서 발생하면, 이 결함이 다른 섹션으로 전달되지 않고 모든 동작 능력이 손실되지 않도록, 중복적으로, 선박 또는 리그에 있는 장비를 섹션들로 분리(separate)하고 각각의 섹션에 별개의 전력을 제공하는 것이 정상적인 관행이었다. 이 분리는, 상시 개방(normally open)되는, 섹션들 사이의 버스 타이(bus tie)들을 이용하여 동작시키고, 제한된 상황들에서만, 일 측이 다른 측으로부터 전력을 수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그러한 버스 타이들을 폐쇄함으로써 달성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버스 타이들은 저전압 DC 시스템들에 대해서만 이용가능하다. 고전압 시스템들에 대해서는, 기계 차단기들이 사용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제1 양상에 따르면, DC 전력 공급 시스템은, 제1 DC 배전 버스(bus) 섹션 및 제2 DC 배전 버스 섹션, 그리고 DC 전력 스위칭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DC 전력 스위칭 어셈블리는 복수의 직렬 연결된 전력 스위칭 유닛(unit)들 및 전류 제한기를 포함하며; 각각의 전력 스위칭 유닛은 제1 전력 스위칭 유닛 단자 및 제2 전력 스위칭 유닛 단자, 그리고 제1 단자와 제2 단자 사이의 전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2 개의 대칭적인 전력 스위칭 서브-유닛(sub-unit)들을 포함하며; 각각의 서브-유닛은 일 측에서 제1 전력 스위칭 유닛 단자 및 제2 전력 스위칭 유닛 단자 중 하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다른 측에서 다른 서브-유닛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전력 스위칭 서브-유닛들 각각은 반도체 디바이스(device), 그리고 반도체 디바이스와 병렬인, 직렬 연결된 다이오드(diode) 및 커패시터(capacitor)를 포함하며; 어셈블리의 제1 단자는 배전 버스의 제1 버스 섹션에 전기적으로 커플링되고(coupled), 제2 단자는 배전 버스의 제2 버스 섹션에 전기적으로 커플링되며; 그리고 전력 스위칭 어셈블리의 일 측에서의 전압은 1 kV 이상이다.
전력 공급 시스템은 결함, 이를테면 단락이 검출되면 시스템의 일 측에서의 결함이 다른 측으로 전파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DC 버스 섹션들을 서로 연결해제(disconnect)한다.
통상적으로, 전류 제한기는 인덕턴스(inductance)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전류 제한기는 제1 단자 및 제2 단자 각각과, 인접한 전력 스위칭 유닛 사이에 제공된다.
이는 DC 배전 시스템의 양측에서 발생하는 단락들로부터 스위칭 유닛들에 대한 보호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서브-유닛들 중 하나 또는 각각은 커패시터와 직렬인 저항기를 더 포함한다.
이는 시스템 오실레이션(oscillation)들을 제한하도록 돕는다. 각각의 서브-유닛은 저항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서브-유닛들 중 하나 또는 각각은 커패시터와 직렬인 댐핑(damping) 회로를 더 포함한다.
이는 시스템 오실레이션들을 제한하도록 돕는다. 서브-유닛들 각각은 댐핑 회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반도체 디바이스는 다이오드 또는 트랜지스터(transistor) 중 하나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반도체 디바이스는 절연 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전력 스위칭 어셈블리의 일 측에서의 전압은 1 kV 내지 15 kV 범위 내에 있다.
본 발명의 제2 양상에 따르면, 제1 양상에 따른 DC 전력 공급 시스템을 동작시키는 방법은, 동작 동안 시스템 전압 및 전류를 모니터링(monitoring)하는 단계; 단락이 검출되면, 시스템의 단락 측으로부터의 전류를 차단하기 위해 전력 스위칭 유닛들을 개방하는 단계; 단락이 처리되었다는(cleared) 표시에 대해 모니터링하는 단계; 전류가 전력 스위칭 유닛들을 통과할 수 있도록 전력 스위칭 유닛들을 폐쇄하는 단계; 및 단락의 표시들에 대해 시스템을 계속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제,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스위칭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DC 전력 공급 시스템 및 방법의 예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며, 이 도면들에서:
도 1은 저전압 디젤(diesel) 전기 추진 시스템을 위한 회로소자의 예를 예시하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스위칭 어셈블리의 전력 스위칭 유닛의 예를 예시하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스위칭 어셈블리의 예시적인 토폴로지(topology)를 도시하고;
도 4는 도 3의 전력 스위칭 어셈블리에 대한 전기 등가 회로이고;
도 5a는 도 3의 예에 대한, 시간에 따른 전류 및 전압 곡선들을 예시하고;
도 5b는 도 3의 예에 대한, 시간에 따른 커패시터(C1 또는 C2)에서의 전압을 예시하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스위칭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DC 전력 공급 시스템의 동작 방법의 흐름 다이어그램(diagram)이다.
오프쇼어 선박들 또는 플랫폼들, 또는 원격 드릴링 리그들에 있는 DC 배전 시스템들은 통상적으로, 버스 타이 스위치(switch)에 의해 결합되는(joined) DC 버스 섹션들과 함께 전력원, 이를테면 원동기, 발전기 또는 에너지(energy) 저장소를 포함한다. 안전한 동작을 위한 규제 요건들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시스템의 일 측에서의 결함이 다른 측으로 전파되고 잠재적으로 임계 시스템들, 이를테면 드릴링 장비의 스러스터(thruster)들 또는 필수적인 부품들에 대한 모든 전력을 잃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버스 타이 스위치는 DC 버스 섹션들을 서로 연결해제할 수 있어야 한다.
통상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으로 최대 1000 V DC의 저전압 DC 분배 시스템들 또는 기계 차단기들을 갖는 AC 분배(고전압 및 저전압) 솔루션(solution)들에 대해서는 버스 타이 스위치 또는 차단기 기능이 제공된다. 현재, 해양 및 오프쇼어 시스템들에서 사용하기 위한 고전압 정적 DC 스위치들에 대해서는 제한된 옵션(option)들이 이용가능하다. 통상적으로 10 내지 15 kV 이상에서의 동작을 위한 고전압 등가물(equivalent)들은 이용가능하지 않다. 분류 표준들을 충족시키기 위해 두 개의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전력 시스템들이 요구되는 경우, 결함들이 일 측으로부터 다른 측으로 전파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DC 버스 타이 연결들을 매우 빠르게 연결해제할 필요가 있다. 기존의 저전압 버스 타이 스위치들은 1000 V를 초과하는 전압들에서는 동작할 수 없으며, 10 내지 15 kV 이상 구역의 전압에 대해서는 확실히 동작할 수 없다.
도 1의 예는 저전압 DC 분배에 기반하는 디젤 전기 추진 시스템이고, 복수의 디젤 엔진(engine)들(1)을 포함하며, 복수의 디젤 엔진들(1) 각각은 개개의 발전기 보호 시스템들(P1, P2, P3, P4) 내의 발전기(G1, G2, G3, G4)에 연결된다. 발전기 보호 시스템들은 발전기 제어부(2)를 통합하는 발전기 큐비클(cubicle)(K1, K2, K3, K4)을 포함한다. 각각의 발전기는, 다이오드(4) 및 격리 스위치(5)를 포함하는 라인(line)(3)을 통해 DC 주 스위치보드(switchboard)(S1, S2)에 커플링된다. 발전기들(G1 및 G2)은 스위치보드(S1)에 커플링된다. 발전기들(G3 및 G4)은 스위치보드(S2)에 커플링된다. 스위치보드(S1, S2) 각각으로부터, DC 주 스위치보드와 모터(motor)들(10) 사이의 인버터(inverter)들(9)로의, 또는 필터(filter)(11) 및 트랜스포머(transformer)(12)를 통해 AC 보조 스위치보드(A1, A2)에 커플링되는, 모터 기능을 갖는 축 발전기로의 라인들(8)에, 스위치들(6) 및 퓨즈(fuse)들(7)이 제공된다. 부가하여, DC 주 스위치보드(S1, S2)는 DC-DC 컨버터(DC to DC converter)(20)를 통해 배터리(battery)(19)를 공급한다. AC 보조 스위치보드는 바이패스(bypass)(13) 및 격리 스위치들(14)을 통해 커플링된다. DC 주 스위치보드는, di/dt 리액터(reactor)(18)의 양측에 격리 스위치(16) 및 트랜지스터 다이오드 어레인지먼트(arrangement)(17)를 포함하는 버스 타이 스위치(15)를 통해 연결된다.
도 1의 예는, 버스 타이 스위치(15)를 이하에 설명된 전력 스위칭 어셈블리(122)로 대체함으로써, 고전압 DC 분배를 위해 적응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DC 전력 공급 시스템의 전력 스위칭 어셈블리용 전력 스위칭 유닛, 특히, 고전압 DC 시스템들에서 사용하기에 적절한 전력 스위칭 유닛의 예를 예시한다. 본 발명의 DC 전력 공급 시스템은 도 1의 예에 의해 표현될 수 있는데, 도 1의 버스 타이 스위치(15)는 도 3의 전력 스위칭 어셈블리(122) 또는 회로 차단기로 대체된다. 전력 스위칭 어셈블리(122)는 단자들(28, 29)에서, 양측의 기계 차단기들(127)을 통해 DC 주 스위치보드들(S1, S2)의 DC 버스 섹션들(30, 31)에 연결된다. 도 3의 전력 스위칭 어셈블리(122)를 형성하기 위해, 도 3에 예시된 전력 스위칭 어셈블리(122)는 전류 제한기(100), 통상적으로는 인덕턴스와 직렬로 함께 연결된, 도 2에 예시된 복수의 전력 스위칭 유닛들(121)을 포함한다.
전력 스위칭 어셈블리는, 접지 전위로부터 전기적으로 리프팅되는(lifted) 전력 스위칭 유닛들(121)에 기반하여 고전압 모듈러(modular) DC 버스 타이 스위치를 제공한다. 버스 타이 스위치는, 특정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에 요구되는 토폴로지에 따라 쉽게 부가되거나 또는 제거될 수 있는 복수의 전력 스위칭 유닛 모듈(module)들을 포함한다. 각각의 전력 유닛은 입력(123) 및 출력(124)을 포함하며, 입력(123)과 출력(124) 사이에는, 다이오드(D1), 반도체 디바이스(Q1), 통상적으로 다이오드 또는 트랜지스터, 및 커패시터(C1)를 포함하는 제1 서브-유닛 회로(146), 그리고 대칭 라인(125)의 다른 측에, 다이오드(D2), 반도체 디바이스(Q2) 및 커패시터(C2)를 포함하는 제2 서브-유닛 회로(146)가 있다. 선택적으로, 하나의 또는 각각의 서브-유닛 회로는 저항기(R1, R2)를 가질 수 있다. 통상적으로, 서브-유닛들은 단일 전력 스위칭 유닛 모듈의 일부를 형성하지만, 대안적으로, 예컨대, 별개의 화재 존(zone)들이 있는 오프쇼어 플랫폼 또는 선박에서, 서브-유닛들은, 2 개의 서브-유닛들 사이의 DC 연결에 의해 함께 커플링되는 인접한 화재 존들에 있도록 배열될 수 있다.
서브-유닛 회로(146)는 커패시터(C1, C2)와 직렬로 제공되는, 시스템 오실레이션들을 제한하고 전압 스파이크(spike)들을 억제하기 위한 저항기 또는 에너지 흡수 회로(126a, 126b) 또는 댐퍼(damper), 이를테면 다이오드 회로를 가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에너지 흡수 또는 댐핑 회로(149a, 149b)가 커패시터들과 병렬로 제공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직렬 및 병렬 댐핑 회로들(126a, 149a, 126b, 149b) 둘 모두가 제공될 수 있다. 이 댐퍼(126a, 126b, 149a, 149b) 또는 각각의 댐퍼(126a, 126b, 149a, 149b)는, 트랜지스터 또는 다이오드와 병렬로 연결될 수 있는 직렬 연결된 커패시터 및 저항기 또는 직렬 연결된 인덕터 및 저항기를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직렬 연결된 커패시터 및 다이오드와, 커패시터와 병렬인 저항기를 포함할 수 있다. 커패시터들(C1, C2)과 직렬 또는 병렬인 선택적인 댐퍼(126a, 126b, 149a, 149b)는 반도체 디바이스의 설계의 일부로서 삽입될 수 있다. 다이오드들(D1, D2)은 트랜지스터에서 프리휠링(freewheeling) 다이오드들로서 구현될 수 있다.
트랜지스터 또는 다이오드 회로들(Q1, Q2)은 회로 차단기(122)가 온(ON) 상태에 있을 때 전류를 전도한다. 전력 스위칭 어셈블리(122)의 일 측에서 단락이 발생하면, 외부 전류 제한기(100)는 단락 미분(derivative), 즉 전류의 변화율인 di/dt를 제한하며, 차단기가 개방될 때, 어셈블리(122)에서 직렬인 유닛들(121) 각각에서, 트랜지스터 다이오드 회로(Q1, Q2)가 턴 오프된다(turn off). 단락이 전력 스위칭 유닛 외부에 있는 한, 토폴로지에서 인덕터(inductor)가 어느 측에 연결되는지에 관계 없이 인덕턴스는 단락과 항상 직렬이 될 것이다.
도 3에서 회로의 일 측에만 도시되지만, 외부 전류 제한기(100)는 제1 유닛과 측 1 사이에서 그리고 마지막 유닛과 측 2 사이에서 직렬의 전력 스위칭 유닛들(121)의 어느 측에든 또는 양측에 제공될 수 있다. 커패시터들(C1, C2) 중 하나는, 트랜지스터들(Q1, Q2) 중 하나 또는 둘 모두가 턴 오프될(turned off) 때 전압을 차단한다. 선택적인 저항기(R1, R2)는, 트랜지스터들이 턴 오프될 때, 회로에서의 내부 인덕턴스와 외부 인덕턴스 둘 모두에 의해 형성되는 LC 오실레이션 회로의 댐핑을 제공하며, 그리고 Q1, Q2가 턴 온(turn on)될 때, 커패시터 방전 전류를 또한 제한한다. 선택적인 저항기들은 외부 저항기들(R1, R2) 또는 커패시터들(C1, C1)에서의 내부 직렬 저항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오실레이션 회로에서의 인덕턴스는 통상적으로, 도 4에 더욱 상세히 예시된 바와 같이, 외부 전류 제한기(100)의 인덕턴스와, 가장 가까운 전압원 또는 커패시터 뱅크(bank)로부터 연결된 전체 직렬의 유닛들에서의 표유 인덕턴스의 합(sum)이다.
통상적으로, 복수의 유닛들(121)은 도 3에서와 같이 직렬로 함께 연결되고, 이어서, 도 1의 DC 주 스위치보드(S1, S2)의 양측에 있는 DC 버스들(30, 31) 사이의 전력 공급 시스템에 연결된다. U1, U2...Un로서 표시된, 임의의 수의 직렬 연결된 유닛들이 사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 Un은 무한 유닛 번호일 수 있다. 기계 스위치들(127)은 양극 및 음극의 측 1 및 측 2에 제공되며, 이들 스위치들은, 표유 전류(stray current)들이 일 측으로부터 다른 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전력 스위칭 어셈블리(122)의 양측 사이의 갈바닉(galvanic) 분리를 제공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측 1 또는 측 2에, 또는 양 측에, 전류 제한기, 인덕턴스, -L이 배치될 수 있다. 전력 스위칭 유닛들 외부에 인덕턴스를 제공하는 것은, 다수의 구성요소들을 단 하나의 또는 두 개의 구성요소들로 대체함으로써, 각각의 유닛에서의 비용 및 복잡성을 감소시킨다. 이는, 많은 수의 직렬 유닛들이 연결되는 경우 특히 유용하다. 유닛들은 양전위 또는 음전위로, 또는 둘 모두로 연결될 수 있다. 소정의 조건들 하에서 전력 스위칭 유닛들을 보호하기 위해 측 1과 측 2 중 어느 일 측 또는 양측에서 어셈블리(122)의 극(pole)들에 걸쳐 선택적인 커패시턴스(capacitance)(148)가 연결될 수 있다. 커패시턴스(148)는 전류 제한기(100)의 앞에 또는 뒤에 있을 수 있다. 도 2와 관련하여 설명된 유형의 선택적인 저항기(미도시) 또는 댐퍼 회로(미도시)가 커패시턴스(148)와 직렬로 부가될 수 있다.
도 4는 도 2에 예시된 전력 스위칭 유닛들(121)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스위칭 어셈블리에 대한, 도 3의 전력 스위칭 어셈블리의 전기 등가 회로를 예시한다. 음극에서, 측 1 및 측 2에 표유 인덕턴스(140)가 있을 뿐만 아니라, 기계 스위치들(127) 사이에 표유 인덕턴스(141)가 있다. 양극에서, 측 1 및 측 2에 표유 인덕턴스(142)가 있을 뿐만 아니라, 전력 유닛들(121) 각각과 기계 스위치들(127) 사이에 표유 인덕턴스(143)가 있으며, 그리고 또한 2 개의 전력 유닛들 사이에 표유 인덕턴스(144)가 있다. 전류 제한기(100)는 인덕턴스로서 모델링된다(modelled). 측 1로부터의 입력(128) 및 측 2로부터의 입력(129)은 대형 커패시터 또는 전압원으로서 취급된다. DC 전력 공급 시스템의 측 1 또는 측 2에서의 고장(failure), 이를테면 이 예에서는 측 2에 도시된 단락(130)의 경우에, 시스템의 다른 측, 이 예에서는 측 1에서의 안정된 전압에 대해서는 어떤 중단도 없다.
직렬로 연결된 2 개의 전력 유닛들(121) 및 측 1에 2 kV DC 전압원을 갖는 전력 스위칭 어셈블리(122)의 시뮬레이션(simulation)으로부터의 전류 및 전압의 예가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다. 도 5a에서, 곡선(132)은 시간에 따른, 결함 또는 고장을 갖는 측인 측 2에서의 전류의 변동(variation)을 표현하며, 곡선(131)은 시간에 따른, 측 2에서의 DC 전압의 변동을 표현한다. 도 5b는 전력 유닛 자체에 대한 전압을 도시한다. 곡선(133)은 전력 유닛(21)에서의 커패시터(C1)에 걸친 DC 전압을 표현하고, 곡선(134)은 전력 유닛에서의 커패시터(C2)에 걸친 DC 전압을 표현한다. 전압 축적(build up)은 유닛들(121) 전부에 대해 동일한데, 그 이유는 유닛들(21)이 직렬로 있기 때문이다.
초기에, 회로 차단기는 개방되고, 트랜지스터/다이오드 누설 임피던스(impedance)에 기인하여 전압(131)은 측 2에서 높다. 측 2에는 전류(132)가 없고 전력 유닛(U1)의 커패시터(C1)에는 DC 전압(133)이 없는데, 그 이유는 커패시터(C1)가 충전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C2에 걸친 전압(134)은 500 V보다 약간 아래에서 시작하는데, 그 이유는 이 예에서 커패시터(C2)가 이미 충전되어 있기 때문이다. 시간(0.1 ms)에서, 2 MW 부하가 연결되고, 차단기는 여전히 개방된 상태이지만, 측 1에서, 전력 유닛(121)에서의 커패시터들은 각각 전체 전압원의 ½, 즉 1000 V로 충전되는데, 그 이유는 직렬로 2 개의 유닛들이 있기 때문이다. DC 전압(131)은 0으로 떨어지고, 이어서, 짧은 기간 동안 다시 상승하기 시작하며, 그리고 시간(0.6 ms)까지 0으로 차츰 작아진다. 측 2에서의 전류(132)는 초기에 상승하고, 이어서, 시간(0.6 ms)까지 0으로 차츰 작아진다. 커패시터(C2)에 걸친 전압(134)은 시간(0.6 ms)에 거의 1 kV로 상승하지만, C1에 걸친 전압(133)은 계속 0에 있다.
시간(0.6 ms)에서, 회로 차단기 폐쇄의 효과가 예시되며, 이에 따라 커패시터 뱅크들에서의 전압(134)은 유닛 유도율(unit inductivity) 및 커패시터 직렬 저항기에 따라 떨어진다. 전압(133)은 약 0.95 ms까지 계속 0에 있다. 측 2에서의 전압(131) 및 전류(132) 둘 모두는 초기에 상승하고, 이어서, 안정된다(level off). 시간(0.80 ms)에서, 측 2에서의 단락이 예시되며, 이는 0으로의, 측 2에서의 전압(131)의 강하를 유발하며, 3 kA를 초과하는, 측 2에서의 전류(132)의 스파이크를 유발한다. 시간(0.82 ms)에서, 차단기는 개방되고, 제어 시스템은 단락을 검출하고 트랜지스터들을 개방하며, 이어서, 약 0.9 ms에서 1500 V를 초과하는 전압(134) 최고조들은 다시 떨어지기 시작한다. 측 2에서의 전류(132)는 시간(0.95ms)까지 떨어지기 시작하여 0 아래로 내려가며, 전압(131)은 계속 0에 있다. 시간(0.95 ms)에서, 단락은 처리되고, 차단기는 개방되며, 전류(132)는 다시 오르기 시작하고, 전압(131)은 -1.1 kV로 순간적으로 떨어지며, 이어서, 시간(1.2 ms)까지 0을 향해 다시 오르기 시작한다. 커패시터(C2)에 걸친 전압(134)은 계속 떨어지고, 전압(133)은 상승하기 시작한다. 시간(1.20 ms)에서, 차단기는 폐쇄되고, 부하는 여전히 연결된 상태이며, 그리고 유닛들에서의 커패시터들은 방전된다. 측 2에서의 전류(132) 및 전압(131)이 상승하고 그리고 안정되는 한편, 전압들(133, 134) 둘 모두는 떨어진다. 시간(1.4 ms)에서, 차단기는 개방되고, 전압(134)은 올라가며, 그리고 유닛들에서의 커패시터들은 충전된다. 전류(132) 및 전압(131)은 0을 향해 떨어진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DC 전력 스위칭 어셈블리의 동작 방법의 예를 도시하는 흐름 다이어그램이다. 회로에 부하가 연결될 수 있으며(50), 전력 스위칭 어셈블리(122)의 버스 타이 스위치들은 정상 동작을 위해 폐쇄되도록 세팅된다(set)(51). 시스템 제어기(미도시)는 동작 동안 시스템 전압 및 전류를 모니터링(monitor)한다(52). 전력 스위칭 어셈블리(122)의 일 측에서의 단락의 검출(53) 시, 제어기는 차단기들이 개방되게 하고(54), 전류 또는 전압을 차단하기 위해 각각의 서브-유닛 내의 트랜지스터 다이오드 회로소자를 개방한다(55). 단락의 원인이 제거되고(56) 처리된 후에, 시스템은 차단기를 다시 폐쇄하여서(57), 관련 서브-유닛의 트랜지스터 다이오드 회로를 폐쇄하여 전류 또는 전압을 다시 허용할 수 있으며, 정상 동작이 재개되는데(58), 시스템 제어기는 다른 단락이 발생하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전류 및 전압을 계속 모니터링한다(52).
본 발명의 회로소자는, 일반적으로 이용가능한 구성요소들에 기반하여 임의의 DC 전압 수준에 대해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중간 및 높은 전압 수준들에서, 즉 1000 V를 초과하는 전압 수준에서, 1 kV 내지 10 kV 범위에서, 1 kV 내지 15 kV 범위에서, 또는 심지어 15 kV를 초과하는 전압 수준에서도 사용될 수 있는 정적 DC 회로 차단기를 제공한다. 2 개의 직렬 연결된 전력 스위칭 유닛들에 대한 예들이 제공되었지만, 임의의 요구되는 전압에 대해, 각각의 유닛이 동작하도록 정격되는 전압을 고려하여 유닛들 전부에 걸쳐 실질적으로 동등하게 총 전압 요건을 분할함으로써 전력 스위칭 어셈블리를 형성하도록, 직렬인 전력 스위칭 유닛들의 수가 선정된다. 현재 바람직한 전압들은 대략 10 kV 내지 15 kV이지만, 모듈러 접근법은, 추가적인 유닛들을 부가함으로써 최대 100 kV에서의 동작이 달성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Claims (9)

  1. DC 전력 공급 시스템(system)으로서,
    제1 DC 배전 버스 섹션(bus section) 및 제2 DC 배전 버스 섹션, 그리고 DC 전력 스위칭 어셈블리(switching assembly)를 포함하며,
    상기 DC 전력 스위칭 어셈블리는 복수의 직렬 연결된 전력 스위칭 유닛(unit)들 및 전류 제한기를 포함하며;
    각각의 전력 스위칭 유닛은 제1 단자 및 제2 단자, 그리고 상기 제1 단자와 상기 제2 단자 사이의 전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제1 단자와 상기 제2 단자 사이에 대칭적으로 연결된 2개의 전력 스위칭 서브-유닛(sub-unit)들을 포함하며;
    각각의 서브-유닛은 상기 제1 단자 및 상기 제2 단자 중 한 단자와 다른 서브-유닛의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전력 스위칭 서브-유닛들 각각은 반도체 디바이스(device), 그리고 상기 반도체 디바이스와 병렬인, 직렬 연결된 다이오드(diode) 및 커패시터(capacitor)를 포함하며;
    상기 전력 스위칭 어셈블리의 제1 단자는 배전 버스의 제1 버스 섹션에 전기적으로 커플링되고(coupled) 상기 전력 스위칭 어셈블리의 제2 단자는 상기 배전 버스의 제2 버스 섹션에 전기적으로 커플링되며; 그리고
    상기 전력 스위칭 어셈블리의 상기 제1 단자 또는 상기 제2 단자 중 한 단자에서의 전압은 1 kV 이상인,
    DC 전력 공급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제한기는 인덕턴스(inductance)를 포함하는,
    DC 전력 공급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제한기는 상기 전력 스위칭 유닛의 상기 제1 단자 및 상기 제2 단자 각각과, 인접한 전력 스위칭 유닛 사이에 제공되는,
    DC 전력 공급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유닛들 중 하나 또는 각각은 상기 커패시터와 직렬인 저항기를 더 포함하는,
    DC 전력 공급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유닛들 중 하나 또는 각각은 상기 커패시터와 직렬인 댐핑(damping) 회로를 더 포함하는,
    DC 전력 공급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디바이스는 다이오드 또는 트랜지스터(transistor) 중 하나를 포함하는,
    DC 전력 공급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디바이스는 절연 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를 포함하는,
    DC 전력 공급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스위칭 어셈블리의 상기 제1 단자 또는 제2 단자 중 한 단자에서의 전압은 1 KV 내지 10 KV 범위 내에 있는,
    DC 전력 공급 시스템.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DC 전력 공급 시스템을 동작시키는 방법으로서,
    동작 동안 시스템 전압 및 전류를 모니터링(monitoring)하는 단계;
    단락이 검출되면, 상기 시스템의 단락 측으로부터의 전류를 차단하기 위해 상기 전력 스위칭 유닛들을 개방하는 단계;
    상기 단락이 처리되었다는(cleared) 표시에 대해 모니터링하는 단계;
    전류가 상기 전력 스위칭 유닛들을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전력 스위칭 유닛들을 폐쇄하는 단계; 및
    단락의 표시들에 대해 상기 시스템을 계속 모니터링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DC 전력 공급 시스템을 동작시키는 방법.
KR1020197020478A 2017-01-13 2018-01-10 전력 공급 시스템 및 방법 KR1024677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7151371.6A EP3349357A1 (en) 2017-01-13 2017-01-13 Power switching assembly and method
EP17151371.6 2017-01-13
PCT/EP2018/050541 WO2018130558A1 (en) 2017-01-13 2018-01-10 Power supply system and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4157A KR20190104157A (ko) 2019-09-06
KR102467712B1 true KR102467712B1 (ko) 2022-11-15

Family

ID=57838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0478A KR102467712B1 (ko) 2017-01-13 2018-01-10 전력 공급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727829B2 (ko)
EP (2) EP3349357A1 (ko)
KR (1) KR102467712B1 (ko)
CN (1) CN110192343B (ko)
CY (1) CY1124128T1 (ko)
DK (1) DK3568914T3 (ko)
ES (1) ES2878805T3 (ko)
WO (1) WO201813055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829324T3 (es) * 2017-03-21 2021-05-31 Siemens Energy AS Sistema de distribución de energía
KR102336317B1 (ko) * 2018-09-13 2021-12-07 엘에스일렉트릭 (주) 전원 공급 시스템
CN110581539B (zh) * 2019-10-15 2022-07-01 国网江苏省电力有限公司 一种用于直流配电网的保护装置及其保护方法
CN113949031A (zh) * 2020-07-16 2022-01-18 施耐德电器工业公司 电机保护器的电源装置及其供电方法
CN111952991B (zh) * 2020-08-11 2023-03-21 太原理工大学 一种主从驱动器件串联式直流断路器及其控制方法
CN113949048A (zh) * 2021-10-18 2022-01-18 南方电网电力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直流微网故障电流控制器及其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2327436B2 (en) * 2001-08-13 2006-12-07 Inductotherm Corp. Fault tolerant power supply circuit
US7439634B2 (en) * 2004-08-24 2008-10-21 Honeywell International Inc. Electrical starting, generation, conversion and distribution system architecture for a more electric vehicle
WO2006024198A1 (fr) * 2004-09-03 2006-03-09 Jie Cao Circuit limitateur pour circuit de commutation avec reinjection d'energie et blocage basse tension
US8385091B2 (en) * 2009-08-20 2013-02-26 Electric IT Corporation 3-phase high-power UPS
US8344544B2 (en) * 2010-05-19 2013-01-01 Hamilton Sundstrand Corporation Bus-tie SSPCS for DC power distribution system
ES2638512T3 (es) * 2010-09-24 2017-10-23 Siemens Aktiengesellschaft Conjunto de fuente conmutada
US9853451B2 (en) * 2015-01-30 2017-12-26 General Electric Company Direct current power system
US10230260B2 (en) * 2015-09-23 2019-03-12 Abb Schweiz Ag Fast utility disconnect switch for single conversion UP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727829B2 (en) 2020-07-28
CN110192343A (zh) 2019-08-30
DK3568914T3 (da) 2021-05-10
ES2878805T3 (es) 2021-11-19
EP3349357A1 (en) 2018-07-18
US20190363628A1 (en) 2019-11-28
WO2018130558A1 (en) 2018-07-19
EP3568914A1 (en) 2019-11-20
KR20190104157A (ko) 2019-09-06
CN110192343B (zh) 2023-07-04
CY1124128T1 (el) 2022-05-27
EP3568914B1 (en) 2021-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67712B1 (ko) 전력 공급 시스템 및 방법
KR102467807B1 (ko) Dc 전력 스위칭 어셈블리 및 방법
Li et al. Continuous operation of radial multiterminal HVDC systems under DC fault
KR102005104B1 (ko) 제어회로
RU2592066C2 (ru) Система электропитания постоянного тока с возможностью защиты системы
EP3063850B1 (en) Breaker circuit
US20140328093A1 (en) Power converter
US20180069469A1 (en) Control of voltage source converters
EP3036813B1 (en) Electric protection on ac side of hvdc
KR102290404B1 (ko) 배전 시스템
Xie et al. Modular multilevel DAB (M 2 DAB) converter for shipboard MVDC system with fault protection and ride-through capability
EP0911951A1 (en) A device for providing a voltage source converter (VSC) with voltage
WO2015039942A1 (en) Module
EP3349233A1 (en) Dc power switching unit
CN111869034A (zh) 电气组合件
Dadgostar et al. Fast and Discriminative DC Grid Protection Using Bus-bar Capacitor Current
Zanotto et al. Protection from internal faults in a special high power switching conversion system for thermonuclear fusion appl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