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7597B1 -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llocating cars and loading based on variable region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llocating cars and loading based on variable reg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7597B1
KR102467597B1 KR1020210176779A KR20210176779A KR102467597B1 KR 102467597 B1 KR102467597 B1 KR 102467597B1 KR 1020210176779 A KR1020210176779 A KR 1020210176779A KR 20210176779 A KR20210176779 A KR 20210176779A KR 102467597 B1 KR102467597 B1 KR 1024675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livery
vehicle
area
rolltainer
loa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677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대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로지스밸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로지스밸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로지스밸리
Priority to KR10202101767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759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75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759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6Recipient pick-up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4Forecasting or optimisation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e.g. linear programming or "cutting stock problem"
    • G06Q10/047Optimisation of routes or paths, e.g. travelling salesman probl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4Status monitoring or status determination for a person or grou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5Relationships between shipper or supplier and carrie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Abstract

A variable area-based vehicle allocation and loading management system and a method thereof are provided. The variable area-based vehicle allocation and loading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ariable area setting unit which variably sets a large area according to the distribution of orders by area and sets a small area according to the load capacity per vehicle centered on the landing closest to the distribution center within any one set large area; and a delivery routing determining unit for determining a delivery routing according to a delivery destination for a central location for each sub-area.

Description

가변 권역 기반 배차 및 상차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llocating cars and loading based on variable regio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llocating cars and loading based on variable region

본 발명은 가변 권역 기반 배차 및 상차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주문량에 따른 변화에 대처하여 빠른 배송을 달성할 수 있고 오상차를 방지하는 동시에 상차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가변 권역 기반 배차 및 상차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riable area-based vehicle allocation and loading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variable area-based system capable of coping with changes in order volume to achieve fast delivery, preventing mis-delivery and reducing loading time at the same time. It relates to a vehicle dispatch and loading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일반적으로 배송 업무의 효율적 운영은 물류 관리의 중요한 요소이며, 이를 위해 배송 계획에 따른 차량 경로 설정 및 배송 일정을 최적화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적용한다. In general, efficient operation of delivery operations is an important factor in logistics management, and for this, algorithms for optimizing vehicle routes and delivery schedules according to delivery plans are applied.

이때, 기존 택배사는 행정구역을 중심으로 권역을 지정하고, 택배차량은 권역 기준으로 배정되어 있다. 따라서 고객사의 주문량 또는 물성에 따른 물동량의 변화에 대응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At this time, the existing courier company designates the area around the administrative district, and the delivery vehicles are assigned based on the area.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respond to changes in the volume of goods transported according to the customer's order volume or physical properties.

아울러, 풀필먼트(Fulfillment) 물류센터에서도 화물 분류를 위해 권역 기준으로 분류기가 작동한다. 따라서 물동량의 변화에 따른 가변 권역 생성에 대한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In addition, sorters operate on a regional basis to classify cargo at the Fulfillment distribution center. Therefore, there is a demand for improvement in the creation of variable zones according to changes in the volume of goods transported.

KRKR 10-2002-0005516 10-2002-0005516 AA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주문 분포에 따라 권역을 가변적으로 설정하여 주문량에 따른 변화에 대처하여 빠른 배송을 달성할 수 있는 가변 권역 기반 배차 및 상차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variable area-based dispatch and loading management that can achieve fast delivery by coping with changes according to the order amount by variably setting the area according to the distribution of orders. It is intended to provide a system and its metho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가변 권역 설정에 따라 배정된 롤테이너와 배송기사 단말을 연동하고 위치 확인을 위한 알람을 통하여 오상차를 방지하는 동시에 상차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가변 권역 기반 배차 및 상차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terlocks the rolltainer and delivery driver terminals assigned according to the variable area setting and prevents error errors through an alarm for location confirmation, and a variable area-based dispatch that can shorten loading time and It is intended to provide a loading vehicl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지역별 주문 분포에 따라 대권역을 가변적으로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어느 하나의 대권역 내에서 물류센터와 가장 근접한 착지를 중심으로 차량 대당 적재량에 따라 소권역을 설정하는 가변 권역 설정부; 및 상기 소권역 별 중심 위치에 대한 배송 착지에 따라 대한 배송 라우팅을 결정하는 배송 라우팅 결정부;를 포함하는 가변 권역 기반 배차 및 상차 관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the large area is variably set according to the distribution of orders by region, and the loading capacity per vehicle is adjusted based on the landing closest to the distribution center within any one large area set above. a variable region setting unit for setting a small region according to; and a delivery routing determining unit for determining a delivery routing for the center location of each small region.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가변 권역 설정부는, 전자 지도상에 상기 주문 분포를 나타내도록 착지별로 주문 정보를 매핑하되 착지의 위도 및 경도 좌표의 일정 거리 반경 이내를 하나의 포인트로 매핑하고, 상기 주문 분포에 따라 군집화하여 각 군집의 윤곽선을 검출하고 상기 윤곽선을 위치 정보로 변환하여 상기 대권역을 설정하며, 상기 어느 하나의 대권역 내에서 차량 대당 적재량에 따라 군집화하여 각 군집의 윤곽선을 검출하고 상기 윤곽선을 위치 정보로 변환하여 상기 소권역을 설정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variable region setting unit maps order information for each landing to indicate the order distribution on an electronic map, but maps within a certain distance radius of the latitude and longitude coordinates of the landing as one point, and the order distribution Detects the contours of each cluster by clustering according to, converts the contours into location information to set the large range, detects the contours of each cluster by clustering according to the load per vehicle within any one large range, and detects the contours of each cluster It is possible to set the small area by converting to location information.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배송 라우팅 결정부는, 상기 소권역 별로 중심 좌표를 생성하고, 상기 소권역 내에 상기 배송 착지를 매핑하며, 상기 소권역 내에서 상기 중심 좌표와 상기 배송 착지 중 가장 근접한 지점을 선정하는 방식으로 배송 순서를 산출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delivery routing determination unit generates center coordinates for each subregion, maps the delivery destination within the subregion, and selects the closest point among the center coordinates and the delivery destination within the subregion. In this way, the order of delivery can be calculated.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가변 권역 설명부는 K-mean 클러스터링 알고리즘에 따라 군집화를 수행하고, 상기 배송 라우팅 결정부는 그리디(Greedy) 알고리즘에 따라 배송 순서를 산출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variable region descriptor may perform clustering according to a K-mean clustering algorithm, and the delivery routing determining unit may calculate a delivery order according to a Greedy algorithm.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가변 권역 기반 배차 및 상차 관리 시스템은 상기 설정된 권역 정보에 따라 화물을 분류하도록 설정하고, 상기 소권역 별 롤테이너 및 배송기사 단말을 연동하여 해당 배송 차량에 분류된 화물을 상차하도록 관리하는 상차 관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variable area-based vehicle dispatch and loading management system is set to classify cargoes according to the set area information, and loads the classified cargo in a corresponding delivery vehicle by linking rolltainers and delivery driver terminals for each small area. It may further include a vehicle management unit that manages to do so.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차 관리부는, 상기 소권역 별로 배송 차량을 할당하고 해당 배송 차량의 배송기사 ID를 설정하고, 상기 소권역 별 배차에 따라 해당 롤테이너를 배정하며, 해당 배송 차량이 상기 설정된 롤테이너로부터 일정 거리 내로 접근하면, 상기 설정된 롤테이너를 식별하도록 해당 배차기사 단말이 상기 설정된 롤테이너와 통신하도록 설정하고, 해당 롤테이너의 화물을 상기 배송 차량에 상차 후 상기 배송기사 단말이 상차 완료를 선택하면, 상기 배송기사 ID 및 해당 롤테이너의 설정을 해제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loading vehicle management unit allocates a delivery vehicle for each subregion, sets a delivery driver ID of the delivery vehicle, assigns a corresponding rolltainer according to the allocation for each subregion, and sets the delivery vehicle to the set When approaching within a certain distance from the rolltainer, the dispatcher terminal is set to communicate with the set rolltainer to identify the set rolltainer, and after loading the rolltainer's cargo onto the delivery vehicle, the delivery driver terminal finishes loading If is selected, the setting of the delivery driver ID and the corresponding rolltainer may be canceled.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배송기사 단말은 상기 롤테이너에 부착된 비콘과 통신하고, 상기 롤테이너는 해당 배송기사 단말이 접근하면 시각적으로 및 청각적으로 알람하는 알람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delivery driver terminal communicates with a beacon attached to the rolltainer, and the rolltainer may include an alarm unit that visually and audibly alarms when the corresponding delivery driver terminal approaches.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가변 권역 기반 배차 및 상차 관리 시스템은 가변 권역 설정, 배송 라우팅 및 상차 관리에 필요한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배송 주문 서버로부터 접수되며 화물 및 착지 정보를 포함하는 배송 주문 정보; 운송 서버로부터 제공되며 자동 배차에 배정 가능한 배송 차량에 대한 차량 정보; 상기 가변 권역 설정부에서 설정된 대권역 및 소권역에 대한 가변 권역 정보; 및 상기 상차 관리부에서 상기 소권역 별로 배송 차량을 할당한 배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variable area-based vehicle dispatch and loading management system may further include a database in which information necessary for variable area setting, delivery routing, and loading management is stored. Here, the database includes delivery order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delivery order server and including cargo and landing information; Vehicle information about delivery vehicles provided by the transport server and assignable to automatic dispatch; variable area information on the large area and the small area set by the variable area setting unit; and vehicle allocation information for allocating delivery vehicles for each small area in the vehicle management unit.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지역별 주문 분포에 따라 대권역을 가변적으로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어느 하나의 대권역 내에서 물류센터와 가장 근접한 착지를 중심으로 차량 대당 적재량에 따라 소권역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소권역 별 중심 위치에 대한 배송 착지에 따라 대한 배송 라우팅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변 권역 기반 배차 및 상차 관리 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ably setting a large area according to the distribution of orders by region, and setting a small area according to the load capacity per vehicle centered on the landing closest to the distribution center within any one of the set large areas ; and determining a delivery routing for each small region according to the delivery destination for the center location of each small region.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설정하는 단계는, 전자 지도상에 상기 주문 분포를 나타내도록 착지별로 주문 정보를 매핑하되 착지의 위도 및 경도 좌표의 일정 거리 반경 이내를 하나의 포인트로 매핑하는 단계; 상기 주문 분포에 따라 군집화하여 각 군집의 윤곽선을 검출하고 상기 윤곽선을 위치 정보로 변환하여 상기 대권역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어느 하나의 대권역 내에서 차량 대당 적재량에 따라 군집화하여 각 군집의 윤곽선을 검출하고 상기 윤곽선을 위치 정보로 변환하여 상기 소권역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etting may include mapping order information for each landing to indicate the order distribution on an electronic map, but mapping a point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radius of latitude and longitude coordinates of the landing; clustering according to the order distribution, detecting contours of each cluster, and converting the contours into location information to set the large domain; and detecting the contours of each cluster by clustering according to the load capacity per vehicle within the one large area, and setting the small area by converting the contours into location information.

일 실시예에서,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소권역 별로 중심 좌표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소권역 내에 상기 배송 착지를 매핑하는 단계; 및 상기 소권역 내에서 상기 중심 좌표와 상기 배송 착지 중 가장 근접한 지점을 선정하는 방식으로 배송 순서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determining may include generating center coordinates for each subregion; mapping the delivery destination within the subregion; and calculating a delivery order by selecting the closest point among the center coordinates and the delivery landing within the small area.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설정하는 단계는 K-mean 클러스터링 알고리즘에 따라 군집화를 수행하고,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그리디 알고리즘에 따라 배송 순서를 산출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etting may perform clustering according to a K-mean clustering algorithm, and the determining may calculate a delivery order according to a greedy algorithm.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가변 권역 기반 배차 및 상차 관리 방법은 상기 설정된 권역 정보에 따라 화물을 분류하도록 설정하고, 상기 소권역 별 롤테이너 및 배송기사 단말을 연동하여 해당 배송 차량에 분류된 화물을 상차하도록 관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variable area-based vehicle dispatch and loading management method sets the cargo to b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set area information, and loads the classified cargo in the corresponding delivery vehicle by linking the rolltainer and delivery driver terminal for each small area. It may further include a step of managing to do so.

일 실시예에서, 상기 관리하는 단계는, 상기 소권역 별로 배송 차량을 할당하고 해당 배송 차량의 배송기사 ID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소권역 별 배차에 따라 해당 롤테이너를 배정하는 단계; 해당 배송 차량이 상기 설정된 롤테이너로부터 일정 거리 내로 접근하면, 상기 설정된 롤테이너를 식별하도록 해당 배차기사 단말이 상기 설정된 롤테이너와 통신하는 단계; 및 해당 롤테이너의 화물을 상기 배송 차량에 상차 후 상기 배송기사 단말이 상차 완료를 선택하면, 상기 배송기사 ID 및 해당 롤테이너의 설정을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managing step may include allocating a delivery vehicle for each subregion and setting a delivery driver ID of the corresponding delivery vehicle; Allocating a corresponding rolltainer according to the allocation for each subregion; When the corresponding delivery vehicle approaches within a certain distance from the set rolltainer, communicating with the set rolltainer by a corresponding dispatcher terminal to identify the set rolltainer; and releasing the setting of the delivery driver ID and the corresponding rolltainer when the delivery driver terminal selects completion of loading after loading the cargo of the corresponding rolltainer onto the delivery vehicle.

일 실시예에서, 상기 통신하는 단계는, 상기 배송기사 단말이 상기 롤테이너에 부착된 비콘과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롤테이너로 해당 배송기사 단말이 접근하면 상기 롤테이너에 부착된 알람부를 통하여 시각적으로 및 청각적으로 알람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in the communicating, the delivery driver terminal communicates with a beacon attached to the rolltainer, and when the corresponding delivery driver terminal approaches the rolltainer, a visual message is generated through an alarm unit attached to the rolltainer. You can be notified visually and audibl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권역 기반 배차 및 상차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은 주문 분포에 따른 군집화에 의해 권역을 가변적으로 설정함으로써 주문량에 따른 변화에 대처하여 빠른 배송을 달성할 수 있으므로 배송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ariable area-based vehicle dispatch and loading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can achieve fast delivery by coping with changes according to the amount of orders by variably setting the area by clustering according to order distribution, thereby improving delivery efficiency. can improv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권역 기반 배차 및 상차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은 가변 권역 설정에 따라 배정된 롤테이너와 배송기사 단말을 연동하고 위치 확인을 위한 알람을 수행함으로써, 오상차를 방지하는 동시에 상차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므로 배송 품질을 향상시키므로 고객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vehicle allocation and loading based on a variable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terlocks a rolltainer and a delivery driver terminal assigned according to the setting of a variable area and performs an alarm for location confirmation, thereby preventing an error vehicle. At the same time, loading time can be shortened, thereby improving delivery quality and thus improving customer satisfaction.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권역 기반 배차 및 상차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은 가변 권역 설정에 따라 대당 소권역을 설정하여 자동으로 배차를 수행함으로써, 대량의 배송 주문에 대한 배차 인력을 축소할 수 있으므로 배송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variable area-based dispatch and loading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ts a small area per unit according to the variable area setting and automatically performs dispatch, thereby reducing the number of dispatchers for large delivery orders. So you can save shipping cos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권역 기반 배차 및 상차 관리 시스템을 적용한 서비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권역 기반 배차 및 상차 관리 시스템과 연동된 물류센터의 화물 분류 및 상차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권역 기반 배차 및 상차 관리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권역 기반 배차 및 상차 관리 시스템의 가변 권역 설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권역 기반 배차 및 상차 관리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권역 기반 배차 및 상차 관리 방법의 가변 권역 설정 절차의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권역 기반 배차 및 상차 관리 방법의 배송 라우팅 결정 절차의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권역 기반 배차 및 상차 관리 방법의 상차 관리 절차의 순서도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ervice to which a variable area-based vehicle allocation and loading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cargo sorting and loading process of a logistics center linked with a variable area-based vehicle dispatch and loading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of a variable area-based vehicle allocation and loading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variable area setting of a variable area based vehicle dispatch and loading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of a variable area-based vehicle allocation and loading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 chart of a variable area setting procedure of a variable area based dispatch and loading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chart of a procedure for determining a delivery routing in a variable area-based dispatch and loading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low chart of a loading management procedure of a variable regional area based dispatching and loading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This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권역 기반 배차 및 상차 관리 시스템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권역 기반 배차 및 상차 관리 시스템을 적용한 배송 서비스를 나타낸 도면이다.Hereinafter, a variable area-based vehicle dispatch and loading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elivery service to which a variable area-based vehicle allocation and loading vehicl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송 서비스는 배송 주문 서버(10), 운송 서버(20), 및 가변 권역 기반 배차 및 상차 관리 시스템(10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a delivery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delivery order server 10, a transport server 20, and a variable area-based vehicle dispatch and loading management system 100.

배송 주문 서버(10)는 가변 권역 기반 배차 및 상차 관리 시스템(100)의 고객사에 대응하며, 배송 주문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배송 주문 서버(10)는 고객사별로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The delivery order server 10 may correspond to a customer company of the variable region-based vehicle dispatch and loading management system 100 and provide a delivery order. Such a delivery order server 10 may be provided separately for each customer company.

운송 서버(20)는 가변 권역 기반 배차 및 상차 관리 시스템(100)에 배송을 위해 차량을 제공하는 운송사에 대응하며, 투입 가능한 배송 차량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운송 서버(20)는 운송사별로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The transport server 20 corresponds to a transport company that provides a vehicle for delivery to the variable area-based vehicle dispatch and loading management system 100 and may provide delivery vehicle information that can be input. Such transport server 20 may be provided separately for each transport company.

가변 권역 기반 배차 및 상차 관리 시스템(100)은 택배사에서 자동 배차 및 상차 관리를 위해 운영하는 시스템으로서, 배송 요청 데이터를 기반으로 화주의 특성, 물성, 착지 특성을 분석한 데이터 분석 모델을 적용하여, 배송 권역을 가변적으로 설정하고 물류 센터의 현실적인 제약 조건을 고려한 효율적인 자동 배차 알고리즘을 적용한 시스템이다. The variable area-based dispatch and loading management system 100 is a system operated by a courier company for automatic dispatch and loading management. Based on delivery request data, a data analysis model that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physical properties, and landing characteristics of shippers is applied, It is a system that sets the delivery area variably and applies an efficient automatic dispatch algorithm that considers the realistic constraints of the distribution center.

이러한 가변 권역 기반 배차 및 상차 관리 시스템(100)은 배송 상품의 물성에 따라 특정지역에 배송물량이 집중되는 현상이 빈번함에 따라 배송 지정 권역에서 기존의 배송 대응 권역으로 개선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배송 지정 권역은 행정 구역에 따라 설정된 권역을 의미한다. 아울러, 배송 대응 권역은 배송 화물의 물성별 착지 정보를 군집화 기법에 의해 군집화하여 동적으로 설정된 권역을 의미한다. 이러한 배송 대응 권역은 다양한 물성에 대한 배송 착지의 변화에 대응할 수 있다. This variable area-based vehicle allocation and loading management system 100 is intended to improve from a designated delivery area to an existing delivery response area as a phenomenon in which delivery quantities are frequently concentrated in a specific area according to the physical properties of a delivery product. Here, the delivery designation area means an area set according to an administrative district. In addition, the delivery response region means a region dynamically set by clustering the landing information for each property of the delivery cargo through a clustering technique. This delivery response area can respond to changes in delivery destinations for various physical properties.

롤테이너(30)는 가변 권역 기반 배차 및 상차 관리 시스템(100)에 의한 자동 배차에 따라 특정 차량에 배정된 화물을 적재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러한 롤테이너(30)는 배차 정보 또는 화물 정보를 포함하는 비콘(31)이 구비될 수 있다.The rolltainer 30 is a device for loading cargo allocated to a specific vehicle according to automatic allocation by the variable area-based allocation and loading management system 100 . Such a rolltainer 30 may be provided with a beacon 31 including vehicle dispatch information or cargo information.

배송기사 단말(40)은 롤테이너(30)에 대응하는 배송 차량의 차주가 소지하는 단말일 수 있다. 배송기사 단말(40)은 운송 서버(20)를 통하여 가변 권역 기반 배차 및 상차 관리 시스템(100)에 미리 등록된 단말일 수 있다. 이러한 배송기사 단말(40)은 비콘(31)을 통하여 롤테이너(30)와 통신할 수 있다.The delivery driver terminal 40 may be a terminal possessed by the owner of the delivery vehicle corresponding to the rolltainer 30 . The delivery driver terminal 40 may be a terminal pre-registered in the variable area-based vehicle dispatch and loading vehicle management system 100 through the transportation server 20 . The delivery driver terminal 40 may communicate with the rolltainer 30 through the beacon 31 .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권역 기반 배차 및 상차 관리 시스템과 연동된 물류센터의 화물 분류 및 상차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cargo sorting and loading process of a logistics center linked with a variable area-based vehicle dispatch and loading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입고 차량(60)이 물류센터로 도착하여 적재된 화물이 분류기 측으로 입고된다. 이때, 입고된 화물은 분류기(50)를 통하여 해당 배송 차량(70, 70')에 따라 배정된 롤테이너(30, 30')로 각각 분류되어 적재된다. Referring to FIG. 2 , a warehousing vehicle 60 arrives at the distribution center and the loaded cargo is warehousing toward the sorter. At this time, the received cargo is classified and loaded into the roll retainers 30 and 30' assigned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delivery vehicles 70 and 70' through the sorter 50, respectively.

배송 차량(70, 70')이 자신에게 배정된 롤테이너(30, 30')로 이동하여 해당 화물을 상차한다. 여기서, 롤테이너(30) 및 배송 차량(70)은 가변 권역 기반 배차 및 상차 관리 시스템(100)으로부터 임의의 소권역에 대응하여 배정된 차량을 의미하고, 롤테이너(30') 및 배송 차량(70')은 그 외의 소권역에 대응하여 배정된 차량을 의미한다.The delivery vehicles 70 and 70' move to the rolltainers 30 and 30' assigned to them and load the corresponding cargo. Here, the rolltainer 30 and the delivery vehicle 70 refer to vehicles allocated in correspondence to an arbitrary small area from the variable area-based vehicle and loading management system 100, and the rolltainer 30 'and the delivery vehicle ( 70') means vehicles assigned in response to other subregions.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권역 기반 배차 및 상차 관리 시스템의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권역 기반 배차 및 상차 관리 시스템의 가변 권역 설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3 is a block diagram of a variable area-based allocation and loading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description of setting a variable area of the variable area-based allocation and loading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rawing for

도 3을 참조하면, 가변 권역 기반 배차 및 상차 관리 시스템(100)은 서버(110) 및 데이터베이스(12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the variable area based vehicle dispatch and loading management system 100 may include a server 110 and a database 120 .

서버(110)는 가변 권역 설정부(112), 배송 라우팅 결정부(114) 및 상차 관리부(116)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rver 110 may include a variable area setting unit 112 , a delivery routing determining unit 114 and a loading vehicle management unit 116 .

가변 권역 설정부(112)는 배송 주문 서버(10)에서 접수된 주문에 따라 대권역을 설정할 수 있다. 이때, 가변 권역 설정부(112)는 지역별 주문 분포에 따라 대권역을 가변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The variable area setting unit 112 may set a large area according to an order received from the delivery order server 10 . At this time, the variable region setting unit 112 may variably set the large region according to the order distribution for each region.

보다 구체적으로, 가변 권역 설정부(112)는 가변 권역을 설정하기 위해 데이터 마이닝 기법 중 군집분석을 통하여 배송 주문 데이터 중 배송을 위한 유사 건에 대해 집단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일례로, 군집 분석은 K-Means 클러스터링(Clustering) 알고리즘일 수 있다. 이러한 K-means 클러스터링 알고리즘은 사전에 정해진 어떤 수의 클러스터를 통해서 주어진 데이터 집합을 분류하는 방식이다. 여기서, K-Means 클러스터링 알고리즘은 초기 중심의 선정에 따라 성능이 달라지는데, 가변 권역 설정부(112)는 중심 선정 방법을 배송 주문량 통계치의 데이터 분석을 기반으로 고정된 초기값을 이용함으로써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variable region setting unit 112 may classify similar cases for delivery among delivery order data into groups through cluster analysis among data mining techniques in order to set a variable region. As an example, cluster analysis may be a K-Means clustering algorithm. This K-means clustering algorithm is a method of classifying a given data set through a predetermined number of clusters. Here, the performance of the K-Means clustering algorithm varies depending on the selection of the initial center. can

이때, 가변 권역 설정부(112)는 핫스팟과 콜드스팟을 구분하여 공간적 분포를 파악하기 위해 착지 분포도를 생성할 수 있다. 즉, 가변 권역 설정부(112)는 먼저, 전자 지도상에 주문 분포를 나타내도록 착지별로 주문 정보를 매핑할 수 있다. 여기서, 가변 권역 설정부(112)는 착지의 위도 및 경도 좌표의 일정 거리 반경 이내를 하나의 포인트로 매핑할 수 있다. 일례로, 가변 권역 설정부(112)는 커스텀오버레이(CustomOverlay) 기법을 통하여 전자 지도상에 주문 정보를 매핑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variable area setting unit 112 may generate a landing distribution map to determine the spatial distribution by dividing the hot spot and the cold spot. That is, the variable region setting unit 112 may first map order information for each destination to indicate order distribution on the electronic map. Here, the variable region setting unit 112 may map an area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radius of the latitude and longitude coordinates of the landing as one point. For example, the variable region setting unit 112 may map order information on an electronic map through a custom overlay technique.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포인트는 예를 들면 100m 반경의 지점을 나타내며, 각 지점의 표시는 주문량을 나타낸다. 즉, A 권역은 착지는 2개이지만, 주문량이 큰 분포를 나타내고 있다. B 권역은 착지별 주문량이 작고 착지가 넓은 지역에 분포되며 낮은 분포를 나타내고 있다. C 권역은 착지 당 주문량이 A 권역보다는 작지만 B 권역보다는 크며, 중간 분포를 나타내고 있다. As shown in (a) of FIG. 4, one point represents a point with a radius of 100 m, for example, and the mark of each point represents the order quantity. In other words, the area A has two landings, but shows a distribution with a large order quantity. Area B has a low order volume by landing and is distributed in a wide area with a low distribution. Area C has a smaller order quantity per landing than area A, but larger than area B, showing an intermediate distribution.

가변 권역 설정부(112)는 주문 분포에 따라 군집화하여 각 군집의 윤곽선을 검출할 수 있다. 여기서, 가변 권역 설정부(112)는 각 군집이 동일 또는 유사한 주문량을 포함하도록 군집화할 수 있다. 이때, 가변 권역 설정부(112)는 군집의 윤곽선을 위치 정보로 변환함으로써 대권역을 설정할 수 있다. 아울러, 가변 권역 설정부(112)는 설정된 대권역 정보를 분류기(50)로 제공할 수 있다. The variable region setting unit 112 may cluster according to order distribution and detect contours of each cluster. Here, the variable region setting unit 112 may cluster so that each cluster includes the same or similar order quantity. At this time, the variable region setting unit 112 may set the large region by converting the contour of the cluster into location information. In addition, the variable region setting unit 112 may provide the set large region information to the classifier 50 .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변 권역 설정부(112)는 동일 주문량으로 권역을 설정하는데, 착지별 주문량이 큰 A 권역, 착지별 주문량이 작고 넓은 범위 분포되는 B 권역 및 착지별 주문량이 중간 수준인 C 권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As shown in (a) of FIG. 4 , the variable region setting unit 112 sets the regions with the same order amount, such as region A with a large order amount for each landing, region B with a small amount of order per landing and a wide distribution, and region for each landing. It can be set to the C region, where the order volume is at a medium level.

이에 의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권역 기반 배차 및 상차 관리 시스템(100)은 주문량에 따른 변화에 대처하여 빠른 배송을 달성할 수 있으므로 배송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Accordingly, the variable area-based vehicle dispatch and loading management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chieve fast delivery by coping with changes according to the order amount, thereby improving delivery efficiency.

가변 권역 설정부(112)는 배송 주문 정보에서 착지 정보를 분석하여 소권역을 설정할 수 있다. 이때, 가변 권역 설정부(112)는 설정된 어느 하나의 대권역 내에서 차량 대당 적재량에 따라 소권역을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소권역은 배송 차량(70) 한대로 배송될 수 있는 배송 착지 그룹에 대응하는 권역일 수 있다. The variable region setting unit 112 may set a small region by analyzing landing information in delivery order information. At this time, the variable area setting unit 112 may set a small area according to the loading amount per vehicle within any one set large area. Here, the small area may be a area corresponding to a delivery destination group that can be delivered with one delivery vehicle 70 .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변 권역 설정부(112)는 물류센터와 가장 근접한 착지를 중심으로 차량 대당 적재량에 따라 군집화하여 소권역을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가변 권역 설정부(112)는 해당 위치를 기준으로 그리디(Greedy) 알고리즘에 의해 순차적으로 최소 거리에 위치한 착지에 해당하는 주문 정보를 최대 상차 수량으로 나누어 1차 소권역을 설정한다. 가변 권역 설정부(112)는 반복적으로, 1차 소권역을 제외하고 나머지 주문량에 대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2차~N차 소권역을 설정할 수 있다. 이때, 가변 권역 설정부(112)는 각 군집의 윤곽선을 검출하고 윤곽선을 위치 정보로 변환하여 소권역을 설정할 수 있다.As shown in (b) of FIG. 4 , the variable region setting unit 112 may set a small region by clustering according to the loading amount per vehicle centering on the landing closest to the distribution center. Here, the variable area setting unit 112 sets the first small area by dividing the ord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landing located at the minimum distance sequentially by the maximum number of vehicles based on the location based on the Greedy algorithm. The variable region setting unit 112 may repeatedly set the second to Nth small regions for the remaining orders except for the first small region in the same manner. At this time, the variable region setting unit 112 may set a small region by detecting the contour of each cluster and converting the contour into location information.

일례로, A 권역에서 물류센터와 가장 근접한 착지(j)를 지정하고 이에 이웃하는 착지를 A 권역의 소그룹으로 설정할 수 있다. C 권역에서 물류센터와 가장 근접한 착지(k)를 지정하고 이에 이웃하는 착지를 C 권역의 소그룹으로 설정할 수 있다. B 권역에서 물류센터와 가장 근접한 착지(l)를 지정하고 이에 이웃하는 착지를 1차 소그룹으로 설정할 수 있다. B 권역의 나머지 주문에 대하여, 물류센터와 가장 근접한 착지(m)를 지정하고 이에 이웃하는 착지를 2차 소그룹으로 설정할 수 있다.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designate a landing point (j) closest to the distribution center in area A, and set the neighboring landings to a small group in area A. In area C, a landing area (k) closest to the distribution center may be designated, and the neighboring landing areas may be set as a small group in area C. In area B, the landing (l) closest to the distribution center can be designated, and the landings adjacent to it can be set as the primary small group. For the remaining orders in the B region, the landing (m) closest to the distribution center can be designated, and the landing next to it can be set as a secondary small group.

이때, 가변 권역 설정부(112)는 배송 차량 한 대 분량의 적재량에 대응하는 화물량만큼만 소권역으로 설정하고, 이를 초과하는 경우 해당 착지 및 화물은 다음 소권역 설정에 반영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variable area setting unit 112 sets only a small area as much as the amount of cargo corresponding to the load amount of one delivery vehicle, and if it exceeds this limit, the corresponding landing and cargo may be reflected in setting the next small area.

배송 라우팅 결정부(114)는 소권역 별 중심 위치에 대한 배송 착지에 따라 대한 배송 라우팅을 결정할 수 있다. 이때, 배송 라우팅 결정부(114)는 배송 착지를 거리 기준으로 정렬시키고, 그리디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배송 순서를 지정할 수 있다.The delivery routing determining unit 114 may determine a delivery routing for each small region according to the delivery destination for the central location. At this time, the delivery routing determining unit 114 may sort delivery destinations based on distance and designate a delivery order by applying a greedy algorithm.

보다 구체적으로, 배송 라우팅 결정부(114)는 소권역 별로 중심 좌표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배송 라우팅 결정부(114)는 가변 권역 설정부(112)에서 설정된 각 소권역에 대하여 검출된 윤관석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해당 소권역의 중심 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delivery routing determining unit 114 may generate center coordinates for each small area. At this time, the delivery routing determining unit 114 may calculate the center coordinates of the corresponding small area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Kwan-seok Yoon detected for each small area set by the variable area setting unit 112 .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송 라우팅 결정부(114)는 A, B, C 대권역 내의 각 소권역 별로 중심 좌표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각 소권역은 간략화를 위해 원으로 표시되지만, 실제로는 다각형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배송 라우팅 결정부(114)는 각 소권역의 다각형 형상에 대한 중심 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As shown in (c) of FIG. 4 , the delivery routing determining unit 114 may generate center coordinates for each subregion within the A, B, and C large areas. Here, each subregion is represented as a circle for simplification, but may actually have a polygonal shape. Therefore, the delivery routing determination unit 114 may calculate the center coordinates of the polygonal shape of each small area.

배송 라우팅 결정부(114)는 소권역 내에 배송 착지를 매핑할 수 있다. 도 4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송 라우팅 결정부(114)는 각 소권역에 생성된 중심 좌표를 기반으로 해당 소권역에 대한 배송 착지를 매핑할 수 있다.The delivery routing determination unit 114 may map delivery destinations within a small area. As shown in (d) of FIG. 4 , the delivery routing determination unit 114 may map a delivery destination for a corresponding small region based on the center coordinates generated in each small region.

배송 라우팅 결정부(114)는 소권역 내에서 중심 좌표와 배송 착지 중 가장 근접한 지점을 선정하는 방식으로 배송 순서를 산출할 수 있다. 일례로, 배송 라우팅 결정부(114)는 그리디 알고리즘에 따라 배송 순서를 산출할 수 있다.The delivery routing determination unit 114 may calculate the delivery order by selecting the closest point among the center coordinates and the delivery landing within the small area. For example, the delivery routing determining unit 114 may calculate a delivery order according to a greedy algorithm.

도 4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송 라우팅 결정부(114)는 각 소권역의 중심 좌표와 각 배송 착지 중 가장 가까운 착지 순으로 정렬하고, 그라디 알고리즘에 의해 배송 순서를 산출할 수 있다. 일례로, 배송 라우팅 결정부(114)는 배송 화물별로 0~1 사이의 실수값으로 재정의한 기준값을 지정하고 정렬된 기준값에 따라 그리디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배차 순서를 산출할 수 있다.As shown in (e) of FIG. 4, the delivery routing determining unit 114 arranges the center coordinates of each small area and the nearest landing among each delivery landing, and calculates the delivery order by the Gradi algorithm have. For example, the delivery routing determining unit 114 may designate a reference value redefined as a real value between 0 and 1 for each shipment and calculate the order of dispatch by applying a greedy algorithm according to the sorted reference value.

이에 따라, 가변 권역 기반 배차 및 상차 관리 시스템(100)은 주문 분포에 따라 동적으로 차량을 배차할 수 있으므로 투입 차량의 수를 최적화할 수 있는 동시에 배송 차량의 이동 동선을 최적화할 수 있으므로 운송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variable region-based dispatch and loading management system 100 can dynamically dispatch vehicles according to order distribution, thereby optimizing the number of input vehicles and at the same time optimizing the movement of delivery vehicles, thereby reducing transportation costs. savings can be made

상차 관리부(116)는 가변 권역 설정부(112)에서 설정된 권역 정보에 따라 화물을 분류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차 관리부(116)는 소권역 별 롤테이너(30) 및 배송기사 단말(40)을 연동하여 해당 배송 차량(70)에 분류된 화물을 상차하도록 관리할 수 있다.The loading vehicle management unit 116 may set to classify cargo according to the area information set in the variable area setting unit 112 . In addition, the loading management unit 116 may manage to load classified cargo into the corresponding delivery vehicle 70 by linking the rolltainer 30 and the delivery driver terminal 40 for each small area.

보다 구체적으로, 상차 관리부(116)는 소권역 별로 배송 차량(70)을 할당하고 해당 배송 차량(70)의 배송기사 ID를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배송기사 ID는 배송기사가 소유한 배송기사 단말(40)에 대응하여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상차 관리부(116)는 운송 서버(20)에서 제공한 차량 정보 중에서 해당 소권역의 위치에 따라 배송 차량(70)을 할당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loading vehicle management unit 116 may allocate a delivery vehicle 70 for each small area and set a delivery driver ID of the corresponding delivery vehicle 70 . Here, the delivery driver ID may be set corresponding to the delivery driver terminal 40 owned by the delivery driver. At this time, the loading vehicle management unit 116 may allocate the delivery vehicle 70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corresponding small area among the vehicle information provided by the transportation server 20 .

이에 의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권역 기반 배차 및 상차 관리 시스템(100)은 대량의 배송 주문에 대한 배차 인력을 축소할 수 있으므로 배송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system 100 for managing variable area-based vehicle dispatch and loading vehicl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delivery costs by reducing dispatch manpower for a large amount of delivery orders.

상차 관리부(116)는 소권역 별 배차에 따라 해당 롤테이너(30)를 배정할 수 있다. 즉, 상차 관리부(116)는 롤테이너(30) 별로 구비되는 비콘(31)을 이용하여 할당된 배송 차량(70)에 대응하여 롤테이너(30)를 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차 관리부(116)는 비콘(31)에 해당 배송 차량(70)의 배송기사 ID를 지정할 수 있다. 이때, 물류센터의 분류기(50)는 개별 배송 차량(70)별로 지정된 롤테이너(30)로 화물을 분류할 수 있다.The loading vehicle management unit 116 may allocate the corresponding rolltainer 30 according to the distribution for each small area. That is, the loading vehicle management unit 116 may allocate the rolltainer 30 in correspondence to the assigned delivery vehicle 70 using the beacon 31 provided for each rolltainer 30 . Here, the loading vehicle management unit 116 may designate a delivery driver ID of the corresponding delivery vehicle 70 to the beacon 31 . At this time, the classifier 50 of the distribution center may classify the cargo into rolltainers 30 designated for each individual delivery vehicle 70 .

상차 관리부(116)는 해당 배송 차량(70)이 설정된 롤테이너(30)로부터 일정 거리 내로 접근하면, 설정된 롤테이너(30)를 식별하도록 해당 배송기사 단말(40)이 설정된 롤테이너(30)와 통신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일례로, 배송 차량(70)이 물류센터로 진입하면, 배송기사 단말(40)은 전용 앱을 통하여 롤테이너(30)에 부착된 비콘(31)과 통신할 수 있다. When the delivery vehicle 70 approaches within a certain distance from the set rolltainer 30, the loading vehicle management unit 116 identifies the set rolltainer 30 so that the delivery driver terminal 40 is set to the rolltainer 30 and You can set it up to communicate. For example, when the delivery vehicle 70 enters the distribution center, the delivery driver terminal 40 may communicate with the beacon 31 attached to the rolltainer 30 through a dedicated app.

이때, 배송기사가 자신에게 할당된 롤테이너(30)를 찾아 배송 차량(70)이 이동한다. 이에 따라 롤테이너(30)는 배송기사 단말(40)이 근거리로 접근하면, 알람부를 통하여 시각적으로 및 청각적으로 알람할 수 있다. 일례로, 롤테이너(30)는 비프음을 통하여 청각적으로 알람할 수 있다. 또한, 롤테이너(30)는 LED를 통하여 시각적으로 알람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delivery vehicle 70 moves in search of the rolltainer 30 assigned to the delivery driver. Accordingly, when the delivery driver terminal 40 approaches a short distance, the rolltainer 30 can visually and audibly alarm through the alarm unit. For example, the rolltainer 30 may give an audible alarm through a beep sound. In addition, the rolltainer 30 can visually alarm through the LED.

배송기사가 해당 롤테이너(30)를 확인하고 그에 적재된 화물을 자신의 배송 차량(70)에 상차한다. 이후, 배송기사 단말(40)의 앱에서 상차 완료를 선택하면, 상차 관리부(116)는 배송기사 ID 및 해당 롤테이너(30)의 설정을 해제할 수 있다. 이때, 해당 롤테이너(30)는 새로운 배차를 위해 대기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The delivery driver checks the corresponding rolltainer 30 and loads the cargo loaded therein onto his own delivery vehicle 70 . Thereafter, when loading completion is selected in the app of the delivery driver terminal 40, the loading management unit 116 may release the setting of the delivery driver ID and the corresponding rolltainer 30. At this time, the rolltainer 30 may be switched to a standby state for a new dispatch.

이에 의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권역 기반 배차 및 상차 관리 시스템(100)은 오상차를 방지하는 동시에 상차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므로 배송 품질을 향상시키므로 고객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Accordingly, the variable area-based vehicle dispatch and loading management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errors and reduce loading time, thereby improving delivery quality and thus improving customer satisfaction.

데이터베이스(120)는 가변 권역 설정, 배송 라우팅 및 상차 관리에 필요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베이스(120)는 배송 주문 정보(122), 차량 정보(124), 가변 권역 정보(126) 및 배차 정보(128)를 포함할 수 있다.The database 120 may store information necessary for variable regional setting, delivery routing, and load management. The database 120 may include delivery order information 122 , vehicle information 124 , variable area information 126 , and vehicle dispatch information 128 .

배송 주문 정보(122)는 배송 요청 정보로서 배송 주문 서버(10)로부터 접수될 수 있다. 이러한 배송 주문 정보(122)는 배송 요청된 화물 및 착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착지 정보는 주소 정보로서 전자 지도상에 매핑될 수 있다.The delivery order information 122 may be received from the delivery order server 10 as delivery request information. The delivery order information 122 may include delivery requested cargo and landing information. Here, landing information may be mapped on an electronic map as address information.

차량 정보(124)는 자동 배차에 배정 가능한 배송 차량에 대한 정보로서, 운송 서버(20)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즉, 차량 정보(124)는 일정 시간 또는 기간 별로 배송에 투입 가능한 배송 차량(70)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The vehicle information 124 is information about a delivery vehicle that can be assigned to automatic dispatch, and may be provided from the transportation server 20 . That is, the vehicle information 124 may be information about a delivery vehicle 70 that can be put into delivery for a certain time or period.

가변 권역 정보(126)는 가변 권역 설정부(112)에서 설정된 대권역 및 소권역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아울러, 가변 권역 정보(126)는 배송 라우팅 결정부(114)에서 결정된 배송 라우팅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variable region information 126 may be information on the large region and the small region set by the variable region setting unit 112 . In addition, the variable area information 126 may include delivery routing information determined by the delivery routing determining unit 114 .

배차 정보(128)는 설정된 가변 권역 정보를 기반으로 상차 관리부(116)에서 소권역 별로 할당한 배송 차량(70)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즉, 배차 정보(128)는 설정된 배송 라우팅에 따라 해당 착지로 화물을 운송하도록 배정된 배송 차량(70)일 수 있다. The vehicle allocation information 128 may be information about the delivery vehicle 70 allocated for each small region by the loading vehicle management unit 116 based on the set variable region information. That is, the dispatch information 128 may be a delivery vehicle 70 assigned to transport cargo to a corresponding destination according to a set delivery route.

이하,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가변 권역 기반 배차 및 상차 관리 방법을 설명한다.Hereinafter, a variable area-based vehicle allocation and loading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to 8 .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권역 기반 배차 및 상차 관리 방법의 순서도이다. 5 is a flowchart of a variable area-based vehicle allocation and loading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가변 권역 기반 배차 및 상차 관리 방법(200)은 가변 권역을 설정하는 단계(S210), 배송 라우팅을 결정하는 단계(S220) 및 상차를 관리하는 단계(S230)를 포함할 수 있다.The variable area-based dispatch and loading management method 200 may include setting a variable area (S210), determining a delivery routing (S220), and managing a load (S230).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가변 권역 기반 배차 및 상차 관리 시스템(100)은 배송 주문 서버(10)에서 접수된 주문 분포를 기초로 대권역을 가변적으로 설정하고 대권역 내에서 소권역을 설정한다(단계 S210). 이때, 가변 권역 기반 배차 및 상차 관리 시스템(100)은 지역별 주문 분포에 따라 대권역을 가변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아울러, 가변 권역 기반 배차 및 상차 관리 시스템(100)은 설정된 어느 하나의 대권역 내에서 차량 대당 적재량에 따라 소권역을 설정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5, first, the variable area-based vehicle dispatch and loading management system 100 variably sets a large area based on the order distribution received from the delivery order server 10 and A subregion is set within (step S210). At this time, the variable area-based vehicle dispatch and loading management system 100 may variably set the large area according to the order distribution for each region. In addition, the variable area-based vehicle dispatch and loading management system 100 may set a small area according to the load capacity per vehicle within any one set large area.

여기서, 가변 권역 기반 배차 및 상차 관리 시스템(100)은 가변 권역을 설정하기 위해 데이터 마이닝 기법 중 군집분석을 통하여 배송 주문 데이터 중 배송을 위한 유사 건에 대해 집단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일례로, 군집 분석은 K-Means 클러스터링 알고리즘일 수 있다. Here, the variable area-based vehicle dispatch and loading management system 100 may classify similar cases for delivery among delivery order data into groups through cluster analysis among data mining techniques in order to set a variable area. As an example, cluster analysis can be a K-Means clustering algorithm.

다음으로, 가변 권역 기반 배차 및 상차 관리 시스템(100)은 소권역 별 중심 위치에 대한 배송 착지에 따라 대한 배송 라우팅을 결정한다(단계 S220). 이때, 가변 권역 기반 배차 및 상차 관리 시스템(100)은 배송 착지를 거리 기준으로 정렬시키고, 그리디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배송 순서를 지정할 수 있다.Next, the variable area-based vehicle dispatch and loading management system 100 determines the delivery routing according to the delivery landing for the central location of each small area (step S220). In this case, the variable area-based vehicle dispatch and loading management system 100 may align delivery destinations based on distance and designate a delivery order by applying a greedy algorithm.

다음으로, 가변 권역 기반 배차 및 상차 관리 시스템(100)은 설정된 권역 정보에 따라 화물을 분류하도록 설정하여 상차를 관리한다(단계 S230). 이때, 가변 권역 기반 배차 및 상차 관리 시스템(100)은 소권역 별 롤테이너(30) 및 배송기사 단말(40)을 연동하여 해당 배송 차량(70)에 분류된 화물을 상차하도록 관리할 수 있다.Next, the variable area-based vehicle dispatch and loading management system 100 manages the loading vehicle by setting the cargo to b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set area information (step S230). At this time, the variable area-based vehicle dispatch and loading management system 100 may manage to load the classified cargo into the corresponding delivery vehicle 70 by interlocking the rolltainer 30 and the delivery driver terminal 40 for each small area.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권역 기반 배차 및 상차 관리 방법의 가변 권역 설정 절차의 순서도이다. 6 is a flow chart of a variable area setting procedure of a variable area based dispatch and loading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가변 권역 설정 절차(210)는 전자 지도상에 주문 정보를 매핑하는 단계(S212), 주문 분포에 따른 군집화로 대권역을 설정하는 단계(S214), 및 차량 대당 적재량에 따른 군집화로 소권역을 설정하는 단계(S216)를 포함할 수 있다.The variable region setting procedure 210 includes mapping order information on the electronic map (S212), setting a large region by clustering according to order distribution (S214), and setting a small region by clustering according to the load per vehicle. It may include a step (S216) of doing.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가변 권역 기반 배차 및 상차 관리 시스템(100)은 전자 지도상에 주문 분포를 나타내도록 착지별로 주문 정보를 매핑한다(단계 S212). 이때, 가변 권역 기반 배차 및 상차 관리 시스템(100)은 핫스팟과 콜드스팟을 구분하여 공간적 분포를 파악하기 위해 착지 분포도를 생성할 수 있다. 즉, 가변 권역 기반 배차 및 상차 관리 시스템(100)은 착지의 위도 및 경도 좌표의 일정 거리 반경 이내를 하나의 포인트로 매핑할 수 있다. 일례로, 가변 권역 기반 배차 및 상차 관리 시스템(100)은 커스텀오버레이 기법을 통하여 전자 지도상에 주문 정보를 매핑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6, first, the variable area-based vehicle dispatch and loading management system 100 maps order information for each landing to indicate order distribution on an electronic map (step S212). In this case, the variable area-based vehicle dispatch and vehicle management system 100 may generate a landing distribution map to determine the spatial distribution by dividing hot spots and cold spots. That is, the variable area-based vehicle dispatch and loading management system 100 may map an area within a certain distance radius of latitude and longitude coordinates of a landing as one point. For example, the variable regional based vehicle dispatch and loading management system 100 may map order information on an electronic map through a custom overlay technique.

다음으로, 가변 권역 기반 배차 및 상차 관리 시스템(100)은 지역별 주문 분포에 따라 군집화하여 대권역을 설정한다(단계 S214). 이때, 가변 권역 기반 배차 및 상차 관리 시스템(100)은 각 군집의 윤곽선을 검출할 수 있다. 여기서, 가변 권역 기반 배차 및 상차 관리 시스템(100)은 각 군집이 동일 또는 유사한 주문량을 포함하도록 K-means 클러스터링 알고리즘을 통하여 군집화할 수 있다. 즉, 가변 권역 기반 배차 및 상차 관리 시스템(100)은 군집의 윤곽선을 위치 정보로 변환함으로써 대권역을 설정할 수 있다. 아울러, 가변 권역 기반 배차 및 상차 관리 시스템(100)은 설정된 대권역 정보를 분류기(50)로 제공할 수 있다. Next, the variable area-based vehicle dispatch and loading management system 100 sets a large area by clustering according to the distribution of orders by region (step S214). At this time, the variable area-based vehicle dispatch and loading management system 100 may detect the outline of each cluster. Here, the variable area-based vehicle dispatch and loading management system 100 may cluster through the K-means clustering algorithm so that each cluster includes the same or similar order amount. That is, the variable area-based vehicle dispatch and loading management system 100 may set a large area by converting the outline of a cluster into location information. In addition, the variable area-based vehicle dispatch and loading management system 100 may provide set large area information to the classifier 50 .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변 권역 기반 배차 및 상차 관리 시스템(100)은 동일 주문량으로 권역을 설정하는데, 착지별 주문량이 큰 A 권역, 착지별 주문량이 작고 넓은 범위 분포되는 B 권역 및 착지별 주문량이 중간 수준인 C 권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As shown in (a) of FIG. 4 , the variable area-based vehicle dispatch and loading management system 100 sets the area with the same order amount, area A where the order amount per landing is large, and area B where the order amount per landing is small and distributed over a wide range. It can be set as C region, which has a medium level of order volume by region and landing.

다음으로, 가변 권역 기반 배차 및 상차 관리 시스템(100)은 배송 주문 정보에서 착지 정보를 분석하여 소권역을 설정한다(단계 S216). 이때, 가변 권역 기반 배차 및 상차 관리 시스템(100)은 설정된 어느 하나의 대권역 내에서 차량 대당 적재량에 따라 소권역을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소권역은 배송 차량(70) 한대로 배송될 수 있는 배송 착지 그룹에 대응하는 권역일 수 있다. Next, the variable area-based vehicle dispatch and loading management system 100 analyzes landing information in the delivery order information to set a small area (step S216). At this time, the variable area-based vehicle dispatch and loading management system 100 may set a small area according to the loading amount per vehicle within any one set large area. Here, the small area may be a area corresponding to a delivery destination group that can be delivered with one delivery vehicle 70 .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변 권역 기반 배차 및 상차 관리 시스템(100)은 물류센터와 가장 근접한 착지를 중심으로 차량 대당 적재량에 따라 군집화하여 소권역을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가변 권역 기반 배차 및 상차 관리 시스템(100)은 해당 위치를 기준으로 그리디 알고리즘에 의해 순차적으로 최소 거리에 위치한 착지에 해당하는 주문 정보를 최대 상차 수량으로 나누어 1차 소권역을 생성한다. 이때, 가변 권역 기반 배차 및 상차 관리 시스템(100)은 각 군집의 윤곽선을 검출하고 윤곽선을 위치 정보로 변환하여 소권역을 설정할 수 있다.As shown in (b) of FIG. 4 , the variable region-based vehicle dispatch and loading management system 100 may set a small region by clustering according to the loading amount per vehicle around the landing closest to the distribution center. Here, the variable area-based vehicle dispatch and loading management system 100 divides the ord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landing located at the minimum distance sequentially by the maximum number of vehicles based on the location based on the greedy algorithm to generate the first small area. At this time, the variable area-based vehicle dispatch and loading management system 100 may set a small area by detecting the outline of each cluster and converting the outline into location information.

일례로, A 권역에서 물류센터와 가장 근접한 착지(j)를 지정하고 이에 이웃하는 착지를 A 권역의 소그룹으로 설정할 수 있다. C 권역에서 물류센터와 가장 근접한 착지(k)를 지정하고 이에 이웃하는 착지를 C 권역의 소그룹으로 설정할 수 있다. B 권역에서 물류센터와 가장 근접한 착지(l)를 지정하고 이에 이웃하는 착지를 1차 소그룹으로 설정할 수 있다. B 권역의 나머지 주문에 대하여, 물류센터와 가장 근접한 착지(m)를 지정하고 이에 이웃하는 착지를 2차 소그룹으로 설정할 수 있다.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designate a landing point (j) closest to the distribution center in area A, and set the neighboring landings to a small group in area A. In area C, a landing area (k) closest to the distribution center may be designated, and the neighboring landing areas may be set as a small group in area C. In area B, the landing (l) closest to the distribution center can be designated, and the landings adjacent to it can be set as the primary small group. For the remaining orders in the B region, the landing (m) closest to the distribution center can be designated, and the landing next to it can be set as a secondary small group.

이때, 가변 권역 기반 배차 및 상차 관리 시스템(100)은 배송 차량 한 대분의 적재량에 대응하는 화물량만큼만 소권역으로 설정하고, 이를 초과하는 경우 해당 착지 및 화물은 다음 소권역 설정에 반영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variable area-based vehicle dispatch and loading management system 100 sets only the small area as much as the amount of cargo corresponding to the load of one delivery vehicle, and if it exceeds this limit, the corresponding landing and cargo can be reflected in the next small area setting.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권역 기반 배차 및 상차 관리 방법의 배송 라우팅 결정 절차의 순서도이다. 7 is a flowchart of a procedure for determining a delivery routing in a variable area-based dispatch and loading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배송 라우팅 결정 절차(220)는 소권역의 중심 좌표를 생성하는 단계(S222), 소권역 내에 배송 착지를 매핑하는 단계(S224), 및 배송 순서를 산출하는 단계(S226)를 포함할 수 있다.The delivery routing determination procedure 220 may include generating center coordinates of a small area (S222), mapping a delivery destination within a small area (S224), and calculating a delivery order (S226).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가변 권역 기반 배차 및 상차 관리 시스템(100)은 소권역 별로 중심 좌표를 생성한다(단계 S222). 이때, 가변 권역 기반 배차 및 상차 관리 시스템(100)은 가변 권역 설정 단계(S210)에서 설정된 각 소권역에 대하여 검출된 윤관석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해당 소권역의 중심 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변 권역 기반 배차 및 상차 관리 시스템(100)은 A, B, C 대권역 내의 각 소권역 별로 중심 좌표를 생성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7 , first, the variable area-based vehicle dispatch and loading management system 100 generates center coordinates for each small area (step S222). At this time, the variable region-based dispatch and loading vehicle management system 100 may calculate the center coordinates of the corresponding small region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Kwan-seok Yoon detected for each small region set in the variable region setting step (S210). As shown in (c) of FIG. 4 , the system 100 for dispatching and loading vehicles based on variable coverage areas may generate center coordinates for each small area within the A, B, and C large areas.

다음으로, 가변 권역 기반 배차 및 상차 관리 시스템(100)은 소권역 내에 배송 착지를 매핑한다(단계 S224). 도 4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변 권역 기반 배차 및 상차 관리 시스템(100)은 각 소권역에 생성된 중심 좌표를 기반으로 해당 소권역에 대한 배송 착지를 매핑할 수 있다.Next, the variable region-based vehicle dispatch and loading management system 100 maps delivery destinations within a small region (step S224). As shown in (d) of FIG. 4 , the variable regional area-based dispatch and loading management system 100 may map the delivery destination for the corresponding small area based on the center coordinates generated in each small area.

다음으로, 가변 권역 기반 배차 및 상차 관리 시스템(100)은 소권역 내에서 중심 좌표와 배송 착지 중 가장 근접한 지점을 선정하는 방식으로 배송 순서를 산출한다(단계 S226). 일례로, 가변 권역 기반 배차 및 상차 관리 시스템(100)은 그리디 알고리즘에 따라 배송 순서를 산출할 수 있다.Next, the variable region-based vehicle dispatch and vehicle management system 100 calculates the delivery order by selecting the closest point among the center coordinates and the delivery landing within the small region (step S226). For example, the variable regional-based vehicle dispatch and loading management system 100 may calculate a delivery order according to a greedy algorithm.

도 4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변 권역 기반 배차 및 상차 관리 시스템(100)은 각 소권역의 중심 좌표와 각 배송 착지 중 가장 가까운 착지 순으로 정렬하고, 그라디 알고리즘에 의해 배송 순서를 산출할 수 있다. 일례로, 가변 권역 기반 배차 및 상차 관리 시스템(100)은 배송 화물별로 0~1 사이의 실수값으로 재정의한 기준값을 지정하고 정렬된 기준값에 따라 그리디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배차 순서를 산출할 수 있다.As shown in (e) of FIG. 4, the variable area-based dispatch and loading management system 100 sorts the center coordinates of each small area and the nearest landing among each delivery landing, and the delivery order by the Grady algorithm can be calculated. As an example, the variable region-based dispatch and loading management system 100 may designate a reference value redefined as a real value between 0 and 1 for each shipment and calculate the order of dispatch by applying a greedy algorithm according to the sorted reference value. .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권역 기반 배차 및 상차 관리 방법의 상차 관리 절차의 순서도이다. 8 is a flow chart of a loading management procedure of a variable regional area based dispatching and loading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차 관리 절차(230)는 배송기사 ID를 설정하는 단계(S232), 배차에 따른 롤테이너(30)를 배정하는 단계(단계 S234), 롤테이너(30)와 배송기사 단말(40) 사이에 통신하는 단계(S236), 및 상차 후 해당 ID 및 롤테이너(30)의 설정을 해제하는 단계(S238)를 포함할 수 있다.The loading and unloading management procedure 230 includes a step of setting a delivery driver ID (S232), a step of allocating rolltainers 30 according to dispatch (step S234), and communication between the rolltainer 30 and the delivery driver terminal 40 It may include a step (S236), and a step (S238) of canceling the setting of the corresponding ID and rolltainer 30 after loading.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가변 권역 기반 배차 및 상차 관리 시스템(100)은 소권역 별로 배송 차량(70)을 할당하고 해당 배송 차량(70)의 배송기사 ID를 설정한다(단계 S232). 이때, 가변 권역 기반 배차 및 상차 관리 시스템(100)은 운송 서버(20)에서 제공한 차량 정보 중에서 해당 소권역의 위치에 따라 배송 차량(70)을 할당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8, first, the variable area-based vehicle dispatch and loading management system 100 allocates a delivery vehicle 70 for each small area and sets a delivery driver ID of the delivery vehicle 70. (step S232). At this time, the variable region-based vehicle dispatch and loading management system 100 may allocate a delivery vehicle 70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corresponding small region among the vehicle information provided by the transport server 20 .

다음으로, 가변 권역 기반 배차 및 상차 관리 시스템(100)은 소권역 별 배차에 따라 해당 롤테이너(30)를 배정한다(단계 S234). 이때, 가변 권역 기반 배차 및 상차 관리 시스템(100)은 롤테이너(30) 별로 구비되는 비콘(31)을 이용하여 할당된 배송 차량(70)에 대응하여 롤테이너(30)를 배정할 수 있다. 여기서, 가변 권역 기반 배차 및 상차 관리 시스템(100)은 비콘(31)에 해당 배송 차량(70)의 배송기사 ID를 지정할 수 있다. 이때, 물류센터의 분류기(50)는 개별 배송 차량(70)별로 지정된 롤테이너(30)로 화물을 분류할 수 있다.Next, the variable area-based allocation and load management system 100 allocates the corresponding rolltainer 30 according to the allocation for each small area (step S234). At this time, the variable area-based vehicle dispatch and loading management system 100 may allocate the rolltainer 30 in correspondence to the assigned delivery vehicle 70 using the beacon 31 provided for each rolltainer 30. Here, the variable area-based vehicle dispatch and loading management system 100 may designate the delivery driver ID of the corresponding delivery vehicle 70 to the beacon 31 . At this time, the classifier 50 of the distribution center may classify the cargo into rolltainers 30 designated for each individual delivery vehicle 70 .

다음으로, 해당 배송 차량(70)이 설정된 롤테이너(30)로부터 일정 거리 내로 접근하면, 설정된 롤테이너(30)를 식별하도록 해당 배송기사 단말(40)이 설정된 롤테이너(30)와 통신한다(단계 S236). 일례로, 배송 차량(70)이 물류센터로 진입하면, 배송기사 단말(40)은 전용 앱을 통하여 롤테이너(30)에 부착된 비콘(31)과 통신할 수 있다. Next, when the corresponding delivery vehicle 70 approaches within a certain distance from the set rolltainer 30, the corresponding delivery driver terminal 40 communicates with the set rolltainer 30 to identify the set rolltainer 30 ( Step S236). For example, when the delivery vehicle 70 enters the distribution center, the delivery driver terminal 40 may communicate with the beacon 31 attached to the rolltainer 30 through a dedicated app.

이때, 배송기사가 자신에게 할당된 롤테이너(30)를 찾아 배송 차량(70)이 이동한다. 이에 따라 롤테이너(30)는 배송기사 단말(40)이 근거리로 접근하면, LED를 통해 시각적으로 또는 비프음을 통해 청각적으로 알람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delivery vehicle 70 moves in search of the rolltainer 30 assigned to the delivery driver. Accordingly, when the delivery driver terminal 40 approaches a short distance, the rolltainer 30 may visually alarm through an LED or aurally through a beep sound.

다음으로, 가변 권역 기반 배차 및 상차 관리 시스템(100)은 해당 롤테이너(30)의 화물을 배송 차량(70)에 상차 후 배송기사 단말(40)이 상차 완료를 선택하면, 배송기사 ID 및 해당 롤테이너(30)의 설정을 해제한다(단계 S238). 즉, 배송기사가 해당 롤테이너(30)를 확인하고 그에 적재된 화물을 자신의 배송 차량(70)에 상차한 후, 배송기사 단말(40)의 앱에서 상차 완료를 선택하면, 가변 권역 기반 배차 및 상차 관리 시스템(100)은 배송기사 ID 및 해당 롤테이너(30)의 설정을 해제할 수 있다. 이때, 해당 롤테이너(30)는 새로운 배차를 위해 대기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Next, when the variable region-based dispatch and loading management system 100 loads the cargo of the rolltainer 30 onto the delivery vehicle 70 and the delivery driver terminal 40 selects loading completion, the delivery driver ID and the corresponding The setting of the roll retainer 30 is released (step S238). That is, after the delivery driver checks the rolltainer 30 and loads the cargo loaded therein into his or her delivery vehicle 70, and selects loading completion in the app of the delivery driver terminal 40, variable area-based dispatch And the loading vehicle management system 100 may cancel the setting of the delivery driver ID and the corresponding rolltainer 30 . At this time, the rolltainer 30 may be switched to a standby state for a new dispatch.

상기와 같은 방법들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가변 권역 기반 배차 및 상차 관리 시스템(100)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특히, 이러한 단계들을 수행하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이러한 프로그램들은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되거나 전송 매체 또는 통신망에서 반송파와 결합된 컴퓨터 데이터 신호에 의하여 전송될 수 있다. The methods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by the variable area-based vehicle dispatch and loading management system 100 as shown in FIG. 1, and in particular, may be implemented as a software program that performs these steps. These may be stored in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or transmitted by a computer data signal combined with a carrier wave in a transmission medium or communication network.

이때,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판독가능한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하며, 예를 들면, ROM, RAM, CD-ROM, DVD-ROM, DVD-RA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일 수 있다. At this time,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types of recording devices in which data readable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and includes, for example, ROM, RAM, CD-ROM, DVD-ROM, DVD-RAM, magnetic tape, It may be a floppy disk, a hard disk, an optical data storage device, and the like.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Althoug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presented herei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ho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dd elements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spirit. However, it will be possible to easily suggest other embodiments by means of changes, deletions, additions, etc., but this will also be said t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가변 권역 기반 배차 및 상차 관리 시스템
110 : 서버 112 : 가변 권역 설정부
114 : 배송 라우팅 결정부 116 : 상차 관리부
120 : 데이터베이스 122 : 배송 주문 정보
124 : 차량 정보 126 : 가변 권역 정보
128 : 배차 정보 10 : 배송 주문 서버
20 : 운송 서버 30, 30' : 롤테이너
31 : 비콘 40 : 배송기사 단말
50 : 분류기 60 : 입고 차량
70, 70' : 배송 차량
100: Variable area-based vehicle allocation and loading management system
110: server 112: variable area setting unit
114: Delivery routing determination unit 116: Loading management unit
120: database 122: delivery order information
124: vehicle information 126: variable area information
128: dispatch information 10: delivery order server
20: transport server 30, 30': rolltainer
31: beacon 40: delivery driver terminal
50: sorter 60: warehousing vehicle
70, 70': delivery vehicle

Claims (15)

지역별 주문 분포에 따라 대권역을 가변적으로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어느 하나의 대권역 내에서 물류센터와 가장 근접한 착지를 중심으로 차량 대당 적재량에 따라 소권역을 설정하는 가변 권역 설정부; 및
상기 소권역 별 중심 위치에 대한 배송 착지에 따라 대한 배송 라우팅을 결정하는 배송 라우팅 결정부;
를 포함하고,
상기 가변 권역 설정부는,
핫스팟과 콜드스팟을 구분하여 공간적 분포를 파악하기 위해 착지 분포도를 생성하되, 커스텀오버레이(CustomOverlay) 기법을 통하여 전자 지도상에 상기 주문 분포를 나타내도록 착지별로 주문 정보를 매핑하며 착지의 위도 및 경도 좌표의 일정 거리 반경 이내를 하나의 포인트로 매핑하고,
상기 주문 분포에 따라 군집화하여 각 군집의 윤곽선을 검출하고 상기 윤곽선을 위치 정보로 변환하여 상기 대권역을 설정하며, 상기 설정된 대권역 정보를 분류기로 제공하고,
상기 어느 하나의 대권역 내에서 차량 대당 적재량에 따라 군집화하여 각 군집의 윤곽선을 검출하고 상기 윤곽선을 위치 정보로 변환하여 상기 소권역을 설정하되, 해당 위치를 기준으로 그리디(Greedy) 알고리즘에 의해 순차적으로 최소 거리에 위치한 착지에 해당하는 주문 정보를 최대 상차 수량으로 나누어 1차 소권역을 설정하며,
상기 배송 라우팅 결정부는,
상기 소권역 별로 상기 검출된 윤곽석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중심 좌표를 생성하고,
상기 소권역 내에 상기 배송 착지를 매핑하며,
상기 소권역 내에서 상기 중심 좌표와 상기 배송 착지 중 가장 근접한 지점을 선정하는 방식으로 그리디 알고리즘에 따라 배송 순서를 산출하고,
상기 가변 권역 설정부는 K-mean 클러스터링 알고리즘에 따라 군집화를 수행하되, 중심 선정 방법을 배송 주문량 통계치의 데이터 분석을 기반으로 고정된 초기값을 이용하는 가변 권역 기반 배차 및 상차 관리 시스템.
A variable area setting unit that variably sets a large area according to the distribution of orders by region and sets a small area according to the loading amount per vehicle centered on a landing closest to a distribution center within any one of the set large areas; and
a delivery routing determining unit for determining a delivery routing according to the delivery destination for the central location of each small area;
including,
The variable region setting unit,
A landing distribution map is created to identify the spatial distribution by distinguishing hot spots and cold spots, but mapping the order information for each landing to show the order distribution on the electronic map through the CustomOverlay technique, and latitude and longitude coordinates of the landing Map within a certain distance radius of to one point,
By clustering according to the order distribution, detecting the contours of each cluster, converting the contours into location information to set the large region, and providing the set large region information to a classifier;
Within any one of the large areas, the contours of each cluster are detected by clustering according to the load per vehicle, and the contours are converted into location information to set the small areas, but based on the location, by the Greedy algorithm The first subregion is set by dividing the ord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landing located at the minimum distance sequentially by the maximum number of loading vehicles.
The delivery routing determining unit,
Generating center coordinates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etected contour stone for each subregion;
Mapping the delivery landing within the subregion;
Calculate the delivery order according to the greedy algorithm by selecting the closest point among the center coordinates and the delivery landing in the small area,
The variable region setting unit performs clustering according to the K-mean clustering algorithm, but uses a fixed initial value based on data analysis of delivery order quantity statistics as a center selection method. Variable region-based dispatch and loading management system.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권역 정보에 따라 화물을 분류하도록 설정하고, 상기 소권역 별 롤테이너 및 배송기사 단말을 연동하여 해당 배송 차량에 분류된 화물을 상차하도록 관리하는 상차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가변 권역 기반 배차 및 상차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A variable region-based dispatching and loading vehicle further comprising a loading management unit configured to classify cargoes according to the set area information and managing to load the classified cargo into the corresponding delivery vehicle by linking rolltainers and delivery driver terminals for each sub-region. management system.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차 관리부는,
상기 소권역 별로 배송 차량을 할당하고 해당 배송 차량의 배송기사 ID를 설정하고,
상기 소권역 별 배차에 따라 해당 롤테이너를 배정하며,
해당 배송 차량이 상기 설정된 롤테이너로부터 일정 거리 내로 접근하면, 상기 설정된 롤테이너를 식별하도록 해당 배차기사 단말이 상기 설정된 롤테이너와 통신하도록 설정하고,
해당 롤테이너의 화물을 상기 배송 차량에 상차 후 상기 배송기사 단말이 상차 완료를 선택하면, 상기 배송기사 ID 및 해당 롤테이너의 설정을 해제하는 가변 권역 기반 배차 및 상차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5,
The vehicle management department,
Allocate a delivery vehicle for each subregion and set the delivery driver ID of the delivery vehicle,
The rolltainer is assigned according to the allocation by subregion,
When the delivery vehicle approaches within a certain distance from the set rolltainer, set the dispatcher terminal to communicate with the set rolltainer to identify the set rolltainer,
A variable region-based vehicle dispatch and loading management system for canceling the setting of the delivery driver ID and the corresponding rolltainer when the delivery driver terminal selects loading completion after loading the cargo of the corresponding rolltainer onto the delivery vehicl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배송기사 단말은 상기 롤테이너에 부착된 비콘과 통신하고,
상기 롤테이너는 해당 배송기사 단말이 접근하면 시각적으로 및 청각적으로 알람하는 알람부를 포함하는 가변 권역 기반 배차 및 상차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6,
The delivery driver terminal communicates with a beacon attached to the rolltainer,
The rolltainer includes an alarm unit that visually and audibly alarms when a corresponding delivery driver terminal approaches.
제7항에 있어서,
가변 권역 설정, 배송 라우팅 및 상차 관리에 필요한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배송 주문 서버로부터 접수되며 화물 및 착지 정보를 포함하는 배송 주문 정보;
운송 서버로부터 제공되며 자동 배차에 배정 가능한 배송 차량에 대한 차량 정보;
상기 가변 권역 설정부에서 설정된 대권역 및 소권역에 대한 가변 권역 정보; 및
상기 상차 관리부에서 상기 소권역 별로 배송 차량을 할당한 배차 정보를 포함하는 가변 권역 기반 배차 및 상차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7,
It further includes a database in which information necessary for variable area setting, delivery routing, and loading management is stored;
The database,
Delivery order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delivery order server and including cargo and landing information;
Vehicle information about delivery vehicles provided by the transport server and assignable to automatic dispatch;
variable area information on the large area and the small area set by the variable area setting unit; and
A variable region-based vehicle allocation and loading management system including vehicle allocation information in which the vehicle management unit allocates delivery vehicles for each small area.
지역별 주문 분포에 따라 대권역을 가변적으로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어느 하나의 대권역 내에서 물류센터와 가장 근접한 착지를 중심으로 차량 대당 적재량에 따라 소권역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소권역 별 중심 위치에 대한 배송 착지에 따라 대한 배송 라우팅을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설정하는 단계는,
핫스팟과 콜드스팟을 구분하여 공간적 분포를 파악하기 위해 착지 분포도를 생성하도록, 커스텀오버레이 기법을 통하여 전자 지도상에 상기 주문 분포를 나타내도록 착지별로 주문 정보를 매핑하되, 착지의 위도 및 경도 좌표의 일정 거리 반경 이내를 하나의 포인트로 매핑하는 단계;
상기 주문 분포에 따라 군집화하여 각 군집의 윤곽선을 검출하고 상기 윤곽선을 위치 정보로 변환하여 상기 대권역을 설정하는 단계 - 상기 설정된 대권역 정보를 분류기로 제공함-; 및
상기 어느 하나의 대권역 내에서 차량 대당 적재량에 따라 군집화하여 각 군집의 윤곽선을 검출하고 상기 윤곽선을 위치 정보로 변환하여 상기 소권역을 설정하되, 해당 위치를 기준으로 그리디 알고리즘에 의해 순차적으로 최소 거리에 위치한 착지에 해당하는 주문 정보를 최대 상차 수량으로 나누어 1차 소권역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소권역 별로 상기 검출된 윤곽석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중심 좌표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소권역 내에 상기 배송 착지를 매핑하는 단계; 및
상기 소권역 내에서 상기 중심 좌표와 상기 배송 착지 중 가장 근접한 지점을 선정하는 방식으로 그리디 알고리즘에 따라 배송 순서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설정하는 단계는 K-mean 클러스터링 알고리즘에 따라 군집화를 수행하되, 중심 선정 방법을 배송 주문량 통계치의 데이터 분석을 기반으로 고정된 초기값을 이용하는 가변 권역 기반 배차 및 상차 관리 방법.
variably setting a large area according to the distribution of orders by region, and setting a small area according to the load capacity per vehicle centered on a landing closest to a distribution center within any one of the set large areas; and
Determining a delivery routing for each small region according to the delivery destination for the central location;
including,
In the setting step,
Map the order information for each landing to show the order distribution on the electronic map through a custom overlay technique to create a landing distribution map to identify the spatial distribution by distinguishing hot spots and cold spots, and schedule the latitude and longitude coordinates of the landing mapping an area within a distance radius to one point;
clustering according to the order distribution, detecting contours of each cluster, and converting the contours into location information to set the large region - providing the set large region information to a classifier; and
Within any one large area, the contours of each cluster are detected by clustering according to the load capacity per vehicle, and the contours are converted into location information to set the small areas. Setting the first subregion by dividing the ord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landing located on the street by the maximum number of vehicles,
The determining step is
generating center coordinates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etected contour stone for each subregion;
mapping the delivery destination within the subregion; and
Calculating a delivery order according to a greedy algorithm by selecting the closest point among the center coordinates and the delivery landing within the small area;
The setting step performs clustering according to the K-mean clustering algorithm, but uses a fixed initial value based on data analysis of delivery order quantity statistics for the center selection method.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권역 정보에 따라 화물을 분류하도록 설정하고, 상기 소권역 별 롤테이너 및 배송기사 단말을 연동하여 해당 배송 차량에 분류된 화물을 상차하도록 관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가변 권역 기반 배차 및 상차 관리 방법.
According to claim 9,
Setting the cargo to b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set area information, and managing to load the classified cargo in the corresponding delivery vehicle by linking the rolltainer and delivery driver terminal for each sub-region, Variable area-based dispatch and loading management Way.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하는 단계는,
상기 소권역 별로 배송 차량을 할당하고 해당 배송 차량의 배송기사 ID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소권역 별 배차에 따라 해당 롤테이너를 배정하는 단계;
해당 배송 차량이 상기 설정된 롤테이너로부터 일정 거리 내로 접근하면, 상기 설정된 롤테이너를 식별하도록 해당 배차기사 단말이 상기 설정된 롤테이너와 통신하는 단계; 및
해당 롤테이너의 화물을 상기 배송 차량에 상차 후 상기 배송기사 단말이 상차 완료를 선택하면, 상기 배송기사 ID 및 해당 롤테이너의 설정을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변 권역 기반 배차 및 상차 관리 방법.
According to claim 13,
The management step is
allocating a delivery vehicle for each subregion and setting a delivery driver ID of the corresponding delivery vehicle;
Allocating a corresponding rolltainer according to the allocation for each subregion;
When the corresponding delivery vehicle approaches within a certain distance from the set rolltainer, communicating with the set rolltainer by a corresponding dispatcher terminal to identify the set rolltainer; and
and releasing the setting of the delivery driver ID and the corresponding rolltainer when the delivery driver terminal selects loading completion after loading the cargo of the corresponding rolltainer onto the delivery vehicle.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하는 단계는,
상기 배송기사 단말이 상기 롤테이너에 부착된 비콘과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롤테이너로 해당 배송기사 단말이 접근하면 상기 롤테이너에 부착된 알람부를 통하여 시각적으로 및 청각적으로 알람하는 가변 권역 기반 배차 및 상차 관리 방법.
According to claim 14,
The communication step is
The delivery driver terminal communicates with a beacon attached to the rolltainer,
A variable area-based vehicle dispatch and loading management method for visually and audibly alarming through an alarm unit attached to the rolltainer when a corresponding delivery driver terminal approaches the rolltainer.
KR1020210176779A 2021-12-10 2021-12-10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llocating cars and loading based on variable region KR10246759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6779A KR102467597B1 (en) 2021-12-10 2021-12-10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llocating cars and loading based on variable reg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6779A KR102467597B1 (en) 2021-12-10 2021-12-10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llocating cars and loading based on variable reg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7597B1 true KR102467597B1 (en) 2022-11-16

Family

ID=842360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6779A KR102467597B1 (en) 2021-12-10 2021-12-10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llocating cars and loading based on variable reg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7597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5516A (en) 2001-07-19 2002-01-17 남궁석 Method of automatically allocating freight cars and apparatus thereof
KR20160071202A (en) * 2014-12-11 2016-06-21 태상로지스틱스(주) Method of Efficient Delivery Schedule Management and Delivery Schedule Management System
KR20180124299A (en) * 2017-05-11 2018-11-21 이서우 Shiping Processing System In a Bundle
JP2019101693A (en) * 2017-11-30 2019-06-24 味の素物流株式会社 System for grasping in-physical-distribution-warehouse operation
KR20200001164A (en) * 2018-06-27 2020-01-06 씨제이대한통운 (주) Vehicle Allocation System
KR102095735B1 (en) * 2019-05-20 2020-04-01 김성묵 Logistics vender system using cargo based on region and distribution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5516A (en) 2001-07-19 2002-01-17 남궁석 Method of automatically allocating freight cars and apparatus thereof
KR20160071202A (en) * 2014-12-11 2016-06-21 태상로지스틱스(주) Method of Efficient Delivery Schedule Management and Delivery Schedule Management System
KR20180124299A (en) * 2017-05-11 2018-11-21 이서우 Shiping Processing System In a Bundle
JP2019101693A (en) * 2017-11-30 2019-06-24 味の素物流株式会社 System for grasping in-physical-distribution-warehouse operation
KR20200001164A (en) * 2018-06-27 2020-01-06 씨제이대한통운 (주) Vehicle Allocation System
KR102095735B1 (en) * 2019-05-20 2020-04-01 김성묵 Logistics vender system using cargo based on region and distribution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hompson et al. City logistics and freight transport
US10380534B2 (en) Autonomous supply and distribution chain
US5836529A (en) Object based railroad transportation network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KR101410209B1 (en) Optimization system for logistics position
US763433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reating routes for powered industrial vehicles
US20120226624A1 (en) Optimization system of smart logistics network
Kim et al. Value analysis of location-enabled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information on delivery chain performance
US20200349511A1 (en) Systems and methods of local area optimization for routing and delivery of items
CN111507667B (en) Order distribution method and server applied to short-distance logistics
CN112183938A (en) Logistics scheduling method and device
Oskarbski et al. Potential for ITS/ICT solutions in urban freight management
CN113642775A (en) Finished product warehouse delivery management method and device and computer equipment
KR102467597B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llocating cars and loading based on variable region
CN115409308A (en) Intelligent scheduling system based on TMS transportation management
Endler et al. Systematic review of the latest scientific publications on the vehicle routing problem
US20200286027A1 (en) System and methods for last mile delivery of goods
Kawamura et al. Evaluation of delivery consolidation in US urban areas with logistics cost analysis
CN112418550B (en) Vehicle-cargo matching method under various driver working states in logistics industry
Madleňák et al. The optimization approach of postal transportation network based on uncapacitated fixed charge location model in conditions of Slovak Republic
JP6625164B2 (en) Logistics container demand forecasting system, logistics container demand forecasting method, logistics container demand forecasting program, recording medium storing logistics container demand forecasting program
Aljohani Integrating logistics facilities in Inner Melbourne to alleviate impacts of urban freight transport
US20220282979A1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nd Optimizing Dynamic Dispatch Plans
KR100259465B1 (en) Distribution managing method for goods
KR102447122B1 (en) Apparatus and method of providing freight allocation service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Mpogas et al. Location Planning of Small Consolidation Centers in the City of Volo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