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7049B1 - 불렛 카메라 - Google Patents

불렛 카메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7049B1
KR102467049B1 KR1020220006471A KR20220006471A KR102467049B1 KR 102467049 B1 KR102467049 B1 KR 102467049B1 KR 1020220006471 A KR1020220006471 A KR 1020220006471A KR 20220006471 A KR20220006471 A KR 20220006471A KR 102467049 B1 KR102467049 B1 KR 1024670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rotating rod
control module
cradle
movabl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64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용석
Original Assignee
(주)강원네트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강원네트웍스 filed Critical (주)강원네트웍스
Priority to KR10202200064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70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70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70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변을 감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CCTV 카메라 중의 하나인 불렛 카메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카메라를 제어하는 제어모듈이 거치대에 장차되어서 제어모듈의 조작부가 거치대의 노출부에 배치되고, 노출부는 덮개에 의해 개폐되어서, 사용자에 의한 제어모듈의 조작이나 업그레이드 등이 편리하고, 카메라를 완충 성능이 우서한 방진가대에 설치하여 고품질의 영상을 취득할 수 있는 불렛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불렛 카메라는 카메라모듈(60)을 내장하는 본체(10); 상기 본체(10)의 후방에 결합되고, 구조물에 장착되는 거치대(30); 상기 거치대(30)의 하부면에 장착되고, 상기 카메라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모듈(40);을 포함하고, 상기 거치대(30)의 상부면에는 상기 제어모듈의 조작부(41)가 노출되어 장착되는 노출부(35)가 형성되고, 상기 노출부(35)를 개폐하는 덮개(37)가 구비되는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불렛 카메라{BULLET CAMERA}
본 발명은 주변을 감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CCTV 카메라 중의 하나인 불렛 카메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카메라를 제어하는 제어모듈이 거치대에 장차되어서 제어모듈의 조작부가 거치대의 노출부에 배치되고, 노출부는 덮개에 의해 개폐되어서, 사용자에 의한 제어모듈의 조작이나 업그레이드 등이 편리하고, 카메라를 완충 성능이 우서한 방진가대에 설치하여 고품질의 영상을 취득할 수 있는 불렛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공원, 공공기관, 도로의 교차로, 은행, 전시장 등의 장소에는 사건, 사고를 사전에 예방하고, 사건, 사고를 사후에 확인하기 위하여 카메라가 설치된다.
카메라에 관한 종래기술로 등록실용신안 20-0252100 "폐쇄회로 텔레비전용 불렛 카메라", 등록특허 10-1954059 "스마트 IoT 회전형 뷸렛 카메라" 등에서 보는 바와 같이, 통상 카메라는 피사체를 촬영하는 촬상소자와 초점거리를 조절하는 렌즈 등으로 이루어지는 카메라모듈을 내장하는 본체, 본체의 후방에 결합되고 구조물에 장착되는 거치대를 포함한다.
그리고 카메라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은 본체에 내장된다. 제어모듈에는 카메라모듈의 제어를 위한 설정값을 조정하는 조작버튼과, 프로그램을 업데이트하기 위한 인터페이스포트 등으로 구성되는 조작부가 구비된다.
이처럼 종래기술은 제어모듈이 본체에 내장되기에 제어모듈을 통한 설정 값의 조정이나 프로그램의 업데이트를 위해서 사용자가 본체를 열어 조작하고 다시 본체를 닫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본체를 열고 닫는 작업은 손이 많이 가는 번거로운 작업이다.
본 발명은 이처럼 종래기술에 따른 카메라가 갖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발명으로서, 카메라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거치대의 하부면에 장착하고, 거치대의 상부면에는 제어모듈의 조작부를 노출시키는 노출부가 구비되어서, 사용자가 조작부를 조작하기 위해 본체를 열고 닫아야하는 번거로움이 없는 불렛 카메라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카메라를 완충 성능이 뛰어난 방진가대 위에 설치함으로써 카메라를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며 카메라가 흔들림이 최소화된 고품질의 영상을 취득하는 블렛 카메라를 제공함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불렛 카메라는
카메라모듈(60)을 내장하는 본체(10);
상기 본체(10)의 후방에 결합되고, 구조물에 장착되는 거치대(30);
상기 거치대(30)의 하부면에 장착되고, 상기 카메라모듈(60)을 제어하는 제어모듈(40);을 포함하고,
상기 거치대(30)의 상부면에는 상기 제어모듈의 조작부(41)가 노출되어 장착되는 노출부(35)가 형성되고, 상기 노출부(35)를 개폐하는 덮개(37)가 구비되는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거치대(30)의 후방에 결합되어 상기 제어모듈을 수용하고, 구조물에 장착되는 하우징(5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구조물에 장착되고, 상부에 상기 하우징(50)이 탄성지지되는 방진가대(1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방진가대(100)는
구조물에 장착되는 고정판(101)과, 상기 고정판(101) 상부에 배치되고 그 위에 상기 하우징(50)이 장착되는 가동판(103)과, 상기 고정판(101)과 가동판(103) 사이 곳곳에 개재되어서 가동판(103)을 탄성지지하는 완충스프링(105)들을 포함하고,
상기 가동판(103)의 하부면으로 양측 가장자리에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가압핀(110)과, 상기 고정판(101)의 상부면으로서 양측 가장자리에서 마주보며 구비되며 회전 가능한 제1회전봉(121)과 제2회전봉(122), 상기 제1회전봉(121)과 제2회전봉(122)에 돌출되어 구비되며 각자 상기 가압핀(110)에 연결되는 다수의 연결핀(125)과, 상기 제1회전봉(121)과 제2회전봉(122)을 연결하여서 상기 제1회전봉(121)의 회전시에 상기 제2회전봉(122)을 연동하여 회전시키는 제1와이어(131)와, 상기 제2회전봉(122)과 제1회전봉(121)을 연결하여서 상기 제2회전봉(122)의 회전시에 상기 제1회전봉(121)을 연동하여 회전시키는 제2와이어(132)를 포함하는 충격분산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불렛 카메라는 제어모듈의 설정값 조정이나 프로그램 업데이트 등이 필요한 경우에 거치대에 구비된 덮개를 열어 제어모듈의 조작부를 노출시켜 간단하게 조작할 수 있고, 방진가대는 충격이 가해지는 때에 일측으로 치우치지 않고 전체적으로 눌리면서 충격을 흡수하여서 카메라는 흔들림이 최소화된 고품질 영상을 취득할 수 있는 제품으로서, 산업발전에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불렛 카메라의 일례를 도시한 사시도.
도 2 는 거치대에 장착된 제어모듈을 요부로 하는 도면.
도 3 는 방진가대의 구조와 작동 매커니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불렛 카메라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불렛 카메라에 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불렛 카메라는 본체(10), 차광판(20), 거치대(30), 제어모듈(40), 하우징(50), 방진가대(1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10)는 원통형 구조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카메라모듈(60)이 장착된다.
상기 카메라모듈(60)은 피사체를 촬영하는 촬상소자와, 촬상소자의 초점거리를 조절하는 렌즈, 야간촬영이 가능하도록 하는 적외선엘이디, 촬영 영상의 흔들림 보정을 위한 자이로센서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촬상소자로는 1/2형 2메가픽셀 CMOS를 사용한다. 이 촬상소자는 1920*1080의 고해상도를 갖는다.
상기 적외선엘이디는 야간 가시거리 70m를 지원할 수 있는 것을 사용한다.
상기 카메라모듈(60)은 촬영된 피사체의 정체를 파악하는 영상분석기능, 움직이는 피사체를 추적하여 촬영하는 추적촬영기능, 프라이버시로 설정된 영역의 영상은 모자이크 처리하는 프라이버시기능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차광판(20)은 상기 본체(10)의 상부에 결합되고, 본체(10)의 전방 상부측을 덮어서, 외부 빛이 본체(10) 내부의 카메라모듈(60)로 조사되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 거치대(30)는 상기 본체(10)의 후방에 결합되고, 구조물에 장착된다. 상기 거치대(30)의 전방에는 결합되는 상기 본체(1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관절부(31)가 구비되고, 후방에는 장착판(33)이 구비된다.
상기 장착판(33)의 하부면에는 상기 카메라모듈(60)을 제어하는 제어모듈(40)이 장착되고, 상기 장착판(33)의 상부면에는 상기 제어모듈(40)의 조작부가 노출되도록 하는 노출부(35)가 형성된다.
상기 장착판(33)에는 상기 노출부(35)를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덮개(37)가 구비된다. 사용자는 상기 덮개(37)를 여는 간편한 동작으로 제어모듈(40)의 조작부를 노출시켜 조작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40)은 상기 카메라모듈(60)의 작동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모듈(40)에는 상기 카메라모듈(60)의 제어를 위한 각종 설정 값을 입력하는 버튼(45), 프로그램을 업데이트하기 위한 인터페이스포트(46) 등을 갖는 조작부(41)가 구비된다.
상기 하우징(50)은 상기 거치대(30)의 장착판(33) 하부에 결합되어서, 내부에 상기 제어모듈(40)을 수용하여 보호한다.
상기 하우징(50)은 구조물에 직접 장착될 수 있는데, 이 경우 구조물에 가해지는 충격이 그대로 카메라모듈(60)이나 제어모듈(40)에 전달되어서 이들을 손상시키거나 촬영 영상이 흔들림을 유발하여 영상 품질을 저하시킨다. 그리고 바람이나 빗물에 의해 본체(10)에 가해지는 충격도 카메라모듈(60)이나 제어모듈(40)에 전달되어서 이들을 손상시키거나 촬영 영상이 흔들림을 유발하여 영상 품질을 저하시킨다.
그래서 구조물에서 전달되는 충격과 본체(10)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여, 카메라모듈(60)이나 제어모듈(40)을 보호하고, 카메라모듈(60)에서 촬영되는 영상에 흔들림을 최소화하기 위해 방진가대(100)를 도입하였다.
상기 방진가대(100)는 구조물에 장착되고, 상부에 상기 하우징(50)이 장착된다.
상기 방진가대(100)는 구조물에 장착되는 고정판(101)과, 상기 고정판(101) 상부에 배치되고 그 위에 하우징이 장착되는 가동판(103)과, 상기 고정판(101)과 가동판(103) 사이 곳곳에 개재되어서 가동판(103)을 탄성지지하는 완충스프링(105)들로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충격은 방진가대(100) 전체에 골고루 분산되기 보다는 특정 부위에 집중되는 경우가 많다. 충격이 방진가대(100)의 특정 부위에 집중되면 방진가대(100)는 충격이 집중되는 부위가 손상되거나, 충격이 집중되는 부위로 가동판(103)이 기울어져서 카메라모듈(60)의 촬영자세도 기울어지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방진가대(100)에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에, 그 충격을 방진가대(100)의 가동판(103) 전체에 분사시켜서 가동판(103)이 충격이 집중되는 부위로 기울어지면서 눌리지 않고 전체가 같은 깊이로 눌리도록 하는 충격분산수단을 도입하였다.
도3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방진가대(100)의 충격분산수단은 가동판(103)의 하부면으로 양측 가장자리에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가압핀(110)과, 상기 고정판(101)의 상부면으로서 양측 가장자리에서 마주보며 구비되고, 회전 가능한 제1회전봉(121)과 제2회전봉(122), 상기 제1회전봉(121)과 제2회전봉(122)에 돌출되어 구비되며 각자 상기 가압핀(110)에 연결되는 다수의 연결핀(125)과, 상기 제1회전봉(121)과 제2회전봉(122)을 연결하여서 상기 제1회전봉(121)의 회전시에 상기 제2회전봉(122)을 연동하여 회전시키는 제1와이어(131)와, 상기 제2회전봉(122)과 제1회전봉(121)을 연결하여서 상기 제2회전봉(122)의 회전시에 상기 제1회전봉(121)을 연동하여 회전시키는 제2와이어(13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가압핀(110)은 브라켓(111)을 통해 상기 가동판(103)의 하부면에 결합되고, 상기 제1회전봉(121)과 제2회전봉(122)은 베어링(123)을 통해 상기 고정판(101)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3b를 참조하면, 마주보는 제1회전봉(121)과 제2회전봉(122)은 방진가대(100)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와, 전후 양측 가장자리에 구비된다.
도3c에서 [A]를 참조하면, 평상시에는 방진가대(100)의 고정판(101)과 가동판(103)은 완충스프링(105)으로 탄성지지되어 일정 간격을 유지한다.
도3c에서 [B]를 참조하면, 방진가대(100)의 가동판(103)의 특정 위치에 압력이 가해져서 그 위치의 가동판(103)이 하강하면(①), 가압핀(110)이 연결핀(125)을 아래로 눌러서(②), 제1회전봉(121)이 회전을 하고(③), 제1회전봉(121)이 회전하면 제1와이어(131)는 제1회전봉(121)에 감기면서 당겨지게 되어서 제2회전봉(122)을 회전시키게 되고(④), 회전하는 제2회전봉(122)의 연결핀(125)이 가압핀(110)을 아래로 당기게 되고(⑤), 그에 따라 가동판(103)의 반대측이 아래로 눌리게 된다(⑥). 그리고 제1와이어(131)에 의해 제2회전봉(122)이 회전을 하게 되면, 제2와이어(132)에 의해 제1회전봉(121)이 회전을 하게되는 구조가 된다.
이처럼, 방진가대(100)의 특정 위치에 충격이 가해져서 그 위치의 가동판(103)이 하강하는 압력을 받게 되는 경우, 이 압력은 충격분산수단을 통해 반대측으로 전달되어 분산되고, 가동판(103)은 특정 부위에 하강하는 압력을 받더라도 충격분산수단에 의해 가동판(103) 전체가 함께 하강을 하게된다. 그래서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에 좌우방향의 흔들림을 발생되지 않고, 상하방향으로의 흔들림은 줄어들어서 카메라모듈(60)은 흔들림이 발생하지 않는(최소화되는) 고품질의 영상을 촬영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불렛 카메라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본체 20 : 차광판
30 : 거치대 31 : 관절부
33 : 장착판 35 : 노출부
37 : 덮개 40 : 제어모듈
41 : 조작부 45 : 버튼
46 : 인터페이스포트 50 : 하우징
100 : 방진가대
101 : 고정판 103 : 가동판
105 : 완충스프링 110 : 가압핀
121 : 제1회전봉 122 : 제2회전봉
123 : 베어링 125 : 연결핀
131 : 제1와이어 132 : 제2와이어

Claims (4)

  1. 카메라모듈(60)을 내장하는 본체(10);
    상기 본체(10)의 후방에 결합되고, 구조물에 장착되는 거치대(30);
    상기 거치대(30)의 하부면에 장착되고, 상기 카메라모듈(60)을 제어하는 제어모듈(40);
    구조물에 장착되고, 상부에 하우징(50)이 탄성지지되는 방진가대(100);를 포함하고,

    상기 거치대(30)의 상부면에는 상기 제어모듈의 조작부(41)가 노출되어 장착되는 노출부(35)가 형성되고, 상기 노출부(35)를 개폐하는 덮개(37)가 구비되고,

    상기 방진가대(100)는
    구조물에 장착되는 고정판(101)과, 상기 고정판(101) 상부에 배치되고 그 위에 상기 하우징(50)이 장착되는 가동판(103)과, 상기 고정판(101)과 가동판(103) 사이 곳곳에 개재되어서 가동판(103)을 탄성지지하는 완충스프링(105)들을 포함하고,
    상기 가동판(103)의 하부면으로 양측 가장자리에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가압핀(110)과, 상기 고정판(101)의 상부면으로서 양측 가장자리에서 마주보며 구비되며 회전 가능한 제1회전봉(121)과 제2회전봉(122), 상기 제1회전봉(121)과 제2회전봉(122)에 돌출되어 구비되며 각자 상기 가압핀(110)에 연결되는 다수의 연결핀(125)과, 상기 제1회전봉(121)과 제2회전봉(122)을 연결하여서 상기 제1회전봉(121)의 회전시에 상기 제2회전봉(122)을 연동하여 회전시키는 제1와이어(131)와, 상기 제2회전봉(122)과 제1회전봉(121)을 연결하여서 상기 제2회전봉(122)의 회전시에 상기 제1회전봉(121)을 연동하여 회전시키는 제2와이어(132)를 포함하는 충격분산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렛 카메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50)은 거치대(30)의 후방에 결합되어 상기 제어모듈을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렛 카메라.
  3. 삭제
  4. 삭제
KR1020220006471A 2022-01-17 2022-01-17 불렛 카메라 KR1024670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6471A KR102467049B1 (ko) 2022-01-17 2022-01-17 불렛 카메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6471A KR102467049B1 (ko) 2022-01-17 2022-01-17 불렛 카메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7049B1 true KR102467049B1 (ko) 2022-11-16

Family

ID=84236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6471A KR102467049B1 (ko) 2022-01-17 2022-01-17 불렛 카메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704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9228A (ko) * 2017-02-28 2018-09-05 주식회사 와치캠 무정전 전원 장치가 내장된 지능형 보안 감시용 카메라
KR101954059B1 (ko) * 2018-06-25 2019-06-11 (주)비전정보통신 스마트 IoT 회전형 뷸렛 카메라
KR20190079925A (ko) * 2017-12-28 2019-07-08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차량번호 인식용 감시 카메라 및 이를 탑재한 차량
KR102116204B1 (ko) * 2019-04-12 2020-05-27 장성연 다기능 cctv 거치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9228A (ko) * 2017-02-28 2018-09-05 주식회사 와치캠 무정전 전원 장치가 내장된 지능형 보안 감시용 카메라
KR20190079925A (ko) * 2017-12-28 2019-07-08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차량번호 인식용 감시 카메라 및 이를 탑재한 차량
KR101954059B1 (ko) * 2018-06-25 2019-06-11 (주)비전정보통신 스마트 IoT 회전형 뷸렛 카메라
KR102116204B1 (ko) * 2019-04-12 2020-05-27 장성연 다기능 cctv 거치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06089B2 (en) Shifted lens camera for mobile computing devices
US20100061716A1 (en) Camera body and imaging device equipped with same
KR101764631B1 (ko) 올인원 영상감시 카메라시스템
JP2007274542A (ja) 撮像装置および携帯電話機
JP2001251541A (ja) 液晶ディスプレイを備えたカメラ
US20220365314A1 (en) Imaging device, imaging system, and recording medium
KR100944389B1 (ko) 원샷 파노라마 vr 촬영장치
KR102467049B1 (ko) 불렛 카메라
KR20180074413A (ko) 비구면 반구 돔으로 화각 가림현상을 최소화시킨 cctv 장치
US8873945B2 (en) Image pickup apparatus
KR20110099986A (ko) 감시 카메라
KR100752607B1 (ko) 회전가능한 카메라
KR101319838B1 (ko) 감시카메라 시스템
JP5645379B2 (ja) 撮像装置
CN113542538A (zh) 一种摄像头以及终端设备
JPH08331424A (ja) 電子ファインダーカメラ
JP2002148708A (ja) 三次元台座付き接写フレーム
CN217087935U (zh) 智能电话相机捕获图像的放大高分辨率实时显示设备
JP2005275126A (ja) カメラ付き携帯端末装置の多方向撮影システム及び方法
CN111353185A (zh) 电子装置及其隐私防护模块
TWI719643B (zh) 可變視場角鏡頭機構、其調整方法以及電子裝置
CN216526725U (zh) 360度全景影像变焦显示的摄影机
CN216721469U (zh) 一种带有防护机构的全景视频安防监控装置
CN212905709U (zh) 光学转向模组、成像装置及电子装置
WO2023102921A1 (zh) 摄像头模组、拍摄方法、智能终端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2101001112;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20512

Effective date: 20221031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