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6881B1 - Safty guardrail for building - Google Patents

Safty guardrail for build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6881B1
KR102466881B1 KR1020210185551A KR20210185551A KR102466881B1 KR 102466881 B1 KR102466881 B1 KR 102466881B1 KR 1020210185551 A KR1020210185551 A KR 1020210185551A KR 20210185551 A KR20210185551 A KR 20210185551A KR 102466881 B1 KR102466881 B1 KR 1024668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rail
bar
coupled
coupling
e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555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윤범진
이강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승우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승우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승우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2101855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688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68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688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02Handrails mounted on walls, e.g. on the wall side of stairs
    • E04F11/1804Details of anchoring to the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02Handrails mounted on walls, e.g. on the wall side of stairs
    • E04F11/1808Handrail members; Connections between handrail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asily replaced building safety guardrail, which comprises: a fixing plate having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formed thereon; a coupler including a support bar; a handrail having a plurality of insertion holes; a support ring having a seating groove; and a fixing ring.

Description

교체가 용이한 건축물용 안전난간{Safty guardrail for building}Safety guardrail for buildings that can be easily replaced {Safty guardrail for building}

본 발명은 교체가 용이한 건축물용 안전난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개방된 공간에 설치되어 난간이 외부 충격이나 환경에 의하여 손상되는 경우에도, 손상된 부위를 손쉽게 교체하며 사용을 이룰 수 있도록 한 교체가 용이한 건축물용 안전난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safety railings for buildings that are easily replaceable, and more particularly, are installed in an open space of a building and can be used by easily replacing damaged parts even when the railings are damaged by external impact or the environment. It relates to safety railings for buildings that can be easily replaced.

난간이란, 건축물의 개방된 부위를 가리도록 설치되거나, 층간 이동을 위하여 설치되는 계단의 개방된 부위를 가리도록 설치되는 것을 말하는 것이다.A handrail refers to a thing installed to cover an open part of a building or to cover an open part of a stairway installed for moving between floors.

위와 같은 난간은, 건축물의 시공 과정에서 건축물의 개방된 부위로 사람이 낙하되는 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것으로, 건축물의 형태나 설치를 이루고자 하는 장소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이루도록 구성된다.The above handrail is installed to prevent an accident in which a person falls into an open part of a building during the construction process of the building, and is configured to form various forms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building or the place where the installation is to be achieved.

이때, 상기 난간은 건축물의 개방된 공간에 견고하게 설치된 상태를 이루도록 하기 위하여 건축물의 바닥에 설치되는 하부레일의 상부로 복수개의 난간동자를 설치하고, 상기 난간동자를 연결할 수 있도록 핸드레일이 설치되는 것이 보통이다.At this time, in order to achieve a state in which the handrail is firmly installed in the open space of the building, a plurality of balusters are installed above the lower rail installed on the floor of the building, and a handrail is installed to connect the balusters. it is normal

그러나 최근에는 건축물의 개방된 공간에 복수개의 핸드레일을 설치하여 난간의 형태를 이루도록 설치하는 방법이 많이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However, recently, a method of installing a plurality of handrails in an open space of a building to form a handrail has been proposed and used.

예컨대, 종래의 난간은 문헌(1)에서와 같이, 건축물의 벽체에 설치되는 플렌지를 통하여 건축물의 개방된 부위에 견고하게 설치되는 형태가 제안된 바 있으며, 문헌(2)에서와 같이, 건축물의 개방된 부위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프레임을 난간살로 연결한 후 벽체와 연결되는 프레임 구조 등을 통하여 건축물의 개방된 부위에 설치하는 방법 등이 제안된 바 있다.For example, as in Document (1), a conventional handrail has been proposed to be firmly installed in an open part of a building through a flange installed on a wall of a building, and as in Document (2), A method of connecting a plurality of frames installed in the open area with railings and then installing them in the open area of the building through a frame structure connected to a wall has been proposed.

그러나 문헌(1), 문헌(2)와 같은 종래의 난간구조들은 건축물의 개방된 부위를 가리도록 설치하기 위하여 건축물의 벽체에 플렌지나 프레임구조 등을 통하여 견고하게 설치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난간을 이루는 핸드레일이 외부 충격이나 환경에 의하여 손상되는 경우에는 난간을 이루는 핸드레일은 물론이고, 핸드레일과 연결되는 난간살 등을 모두 교체하여야 하는 문제가 발생 될 수 있었다.However, conventional handrail structures such as Documents (1) and (2) are installed to maintain a solidly installed state through a flange or frame structure on the wall of a building in order to be installed to cover the open part of the building, When the handrail constituting the handrail is damaged by an external impact or environment, there may be a problem of having to replace all of the handrail constituting the handrail as well as the handrails connected to the handrail.

또한, 위와 같은 문제로 인하여 난간의 교체과정에서 불필요한 작업비용과 작업시간이 증대될 수 있는 문제가 있었고, 이로 인한 유지비용 등이 증가 되는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In addition, due to the above problem, there was a problem that unnecessary work cost and work time could be increased in the process of replacing the handrail, and there was a problem that maintenance cost increased due to this.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373425호(2005.01.06)Republic of Korea Registered Utility No. 20-0373425 (2005.01.06)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37090호(2013.11.28)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337090 (2013.11.28)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첫째, 건축물의 개방된 공간에 난간을 이루는 핸드레일의 설치를 용이하게 이룰 수 있도록 한다.First, it is possible to easily install a handrail forming a handrail in an open space of a building.

둘째, 건축물의 개방된 공간에 난간을 설치하여 사용하는 중에도 외부 충격이나 환경 변화에 의하여 핸드레일이 손상되는 경우에는 핸드레일을 신속하게 교체하며 사용을 이룰 수 있도록 한다.Second, if the handrail is damaged due to external impact or environmental change during use by installing a handrail in the open space of the building, the handrail can be quickly replaced and used.

셋째, 복잡한 구성 없이도 건축물의 개방된 공간에 난간을 이루는 핸드레일의 설치를 용이하게 이루도록 함으로써, 불필요한 작업시간과 작업비용이 증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Third, by making it easy to install a handrail forming a handrail in an open space of a building without a complicated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unnecessary work time and work cost from increasing.

넷째, 건축물의 개방된 공간에 난간을 이루는 복수개의 핸드레일을 설치하는 경우에도 핸드레일을 연결하는 탄성조절수단의 구성을 통하여 핸드레일의 설치 위치를 더욱 견고하게 유지하며 사용을 이룰 수 있도록 한다.Fourth, even when a plurality of handrails forming handrails are installed in the open space of a building,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handrails can be maintained more firmly and used through the configuration of the elastic control means connecting the handrails.

다섯째, 난간을 이루는 핸드레일의 설치와 분리과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장기간 사용하는 경우에도 유지, 보수 비용이 증대되는 것을 방지하며 안정적인 사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Fifth, by making it easy to install and separate the handrail constituting the handrail, it prevents maintenance and repair costs from increasing even in the case of long-term use and maintains stable us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건축물의 개방된 공간을 이루는 벽체에 설치되는 난간에 있어서, 상기 벽체와 대응되는 부위에 볼트가 결합되는 복수개의 고정공이 형성되고, 전면에는 복수개의 체결공이 형성된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전면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체결공과 대응되는 부위에는 볼트가 결합되는 복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된 결합판과, 상기 결합판의 전면 상, 하 부위로 한 쌍이 마주보게 돌출 구비되며 외측 테두리 부위에는 고정홈이 형성되고 돌출된 단부에는 고정돌기가 형성된 결합바와, 상기 고정판의 전면에 돌출 구비되며 상기 결합바의 사이에 위치되는 바 형상으로, 외측 테두리 부위에는 복수개의 밀착돌기가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 이격 구비된 지지바로 구성된 결합구와, 상기 지지바(23)의 외측을 감싸도록 결합되며 외측 테두리 길이 방향으로는 복수개의 삽입공이 형성된 핸드레일과, 상기 핸드레일의 외측을 감싸는 링 형상으로, 외측 테두리 부위에는 상기 고정돌기가 안착 결합되는 안착홈이 형성된 지지링과, 상기 결합구와 핸드레일 간 결합 시, 상기 고정홈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결합구와 핸드레일의 결합을 견고하게 지지하는 고정링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구와 핸드레일이 결합될 시, 상기 결합구의 결합바를 벌려 핸드레일이 지지바의 외측을 감싸도록 결합 된 후, 상기 결합바의 고정돌기가 핸드레일의 외측을 감싸도록 결합되는 지지링의 안착홈에 걸려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n a handrail installed on a wall constituting an open space of a building, a plurality of fixing holes to which bolts are coupled are formed in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wall, and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are formed on the front side A fixing plate, a coupling plate detachably install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ixing plate, and form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to which bolts are coupled at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fastening hole, and a pair protruding to face the upper and lower front surfaces of the coupling plate A coupling bar with a fixing groove formed on the outer rim and a fixing protrusion formed on the protruding end, a bar protruding from the front of the fixing plate and positioned between the coupling bar, and a plurality of close protrusions on the outer rim. A coupler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upport bars spaced apart along the length direction, a handrail coupled to surround the outside of the support bar 23 and having a plurality of insertion holes formed in the length direction of the outer edge, and a ring surrounding the outside of the handrail In shape, a support ring having a seating groove in which the fixing protrusion is seated and coupled to the outer rim is formed, and when the coupler and the handrail are coupled, they are detachably coupled to the fixing groove to firmly support the coupling between the coupler and the handrail. When the coupler and the handrail are coupled, the coupling bar of the coupler is widened so that the handrail is coupled to surround the outside of the support bar, and then the fixing protrusion of the coupling bar wraps around the outside of the handrail. It can be firmly coupled to the seating groove of the support ring coupled so as to be engaged.

이때, 상기 벽체에 복수개의 결합구와 핸드레일이 설치될 시, 상기 핸드레일의 삽입공에는 상, 하 방향으로 위치된 핸드레일을 상호 견고하게 지지하는 연결수단이 더 설치되고, 상기 연결수단은 내측에 설치홈이 형성되고, 양단부에는 상기 설치홈과 연통되는 한 쌍의 배출공이 형성된 원통형의 연결바와, 상기 배출공과 인접하게 상기 설치홈의 내측에 마주보게 설치되는 한 쌍의 탄성구와, 상기 탄성구를 연결하도록 설치홈의 내측에 위치되는 탄성줄과, 상기 탄성구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배출공을 관통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연결줄과, 상기 배출공을 관통한 연결줄에 연결되어 상기 삽입공에 삽입 결합되는 한 쌍의 연결막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a plurality of couplers and handrails are installed on the wall, connecting means for mutually firmly supporting the handrails located in the upper and lower directions are further installed in the insertion holes of the handrails, and the connecting means are installed on the inner side. A cylindrical connecting bar having installation grooves formed therein and having a pair of discharge holes communicating with the installation grooves formed at both ends thereof, a pair of elastic spheres installed facing the inside of the installation grooves adjacent to the discharge holes, and the elastic spheres An elastic string positioned inside the installation groove to connect a pair of connecting strings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elastic ball and the other end passing through the discharge hole, and a connection line passing through the discharge hole to insert the insertion hole.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pair of connecting rods inserted into the ball.

또한, 상기 탄성구는 상기 탄성줄에 일단이 연결되는 제1가이드바와, 상기 제1가이드바에 일단이 고정 연결되는 스프링과, 상기 제1가이드바와 마주보게 스프링에 일단이 고정되게 연결되고, 타단에는 상기 연결줄이 연결된 제2가이드바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elastic sphere has a first guide bar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elastic string, a spring having one end fixedly connected to the first guide bar, and one end fixedly connected to the spring facing the first guide bar, and the other end having the above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second guide bar to which the connecting line is connected.

또한, 상기 연결바의 일측에는 설치공이 더 형성되고, 상기 설치공에는 상기 탄성줄의 탄성력을 조절하는 탄성조절수단이 더 구비되며, 상기 탄성조절수단은 상기 설치공의 전면으로 돌출 형성되며 둘출된 전면 테두리 부위에는 복수개의 지지공이 형성되고, 내경 테두리 부위에는 복수개의 안착돌기가 이격 배치된 조립부와, 상기 안착돌기와 대응되는 밀착돌기가 외측 테두리 부위에 형성되어 상기 탄성줄과 연결되도록 상기 설치공에 관통 결합되는 회전바와, 상기 지지공과 대응되는 부위에 볼트가 결합되는 복수개의 조립공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바의 단부에 일체로 구비되는 조절손잡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n installation hole is further formed on one side of the connecting bar, and an elastic adjustment means for adjusting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string is further provided in the installation hole, and the elastic adjustment means protrudes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installation hole and protrudes. A plurality of support holes are formed on the front rim, an assembly portion in which a plurality of seating protrusion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inner rim, and a close contact protrusion corresponding to the seating protrusion is formed on the outer rim to be connected to the elastic string.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rotation bar coupled through and a plurality of assembly holes to which bolts are coupled to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support hole, and an adjustment knob integrally provided at an end of the rotation bar.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can obtain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건축물의 개방된 공간에 난간을 이루는 핸드레일의 설치를 용이하게 이룰 수 있다.First, it is possible to easily install a handrail forming a handrail in an open space of a building.

둘째, 건축물의 개방된 공간에 난간을 설치하여 사용하는 중에도 외부 충격이나 환경 변화에 의하여 핸드레일이 손상되는 경우에는 핸드레일을 신속하게 교체하며 사용을 이룰 수 있다.Second, if a handrail is damaged due to an external shock or environmental change while using a handrail installed in an open space of a building, the handrail can be quickly replaced and used.

셋째, 복잡한 구성 없이도 건축물의 개방된 공간에 난간을 이루는 핸드레일의 설치를 용이하게 이루도록 함으로써, 불필요한 작업시간과 작업비용이 증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ird, by making it easy to install a handrail forming a handrail in an open space of a building without a complicated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unnecessary work time and work cost from increasing.

넷째, 건축물의 개방된 공간에 난간을 이루는 복수개의 핸드레일을 설치하는 경우에도 핸드레일을 연결하는 탄성조절수단의 구성을 통하여 핸드레일의 설치 위치를 더욱 견고하게 유지하며 사용을 이룰 수 있다.Fourth, even when a plurality of handrails constituting handrails are installed in an open space of a building,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handrails can be more firmly maintained and used through the configuration of the elastic control means connecting the handrails.

다섯째, 난간을 이루는 핸드레일의 설치와 분리과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장기간 사용하는 경우에도 유지, 보수 비용이 증대되는 것을 방지하며 안정적인 사용을 유지할 수 있다.Fifth, by making it easy to install and separate the handrail constituting the handrail, it is possible to prevent an increase in maintenance and repair costs even in the case of long-term use and to maintain stable us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교체가 용이한 건축물용 안전난간이 벽체에 설치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교체가 용이한 건축물용 안전난간이 벽체에 설치되는 상태를 도시한 다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교체가 용이한 건축물용 안전난간이 벽체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인 교체가 용이한 건축물용 안전난간의 탄성조절수단을 도시한 요부 발췌 확대 단면도.
도 5는 도 4에 따른 탄성조절수단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요부 발췌 확대 단면도.
도 6은 도 4에 따른 탄성조절수단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다른 요부 발췌 확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인 교체가 용이한 건축물용 안전난간이 건축물의 개방된 공간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afety railing for a building that is easily replac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a wall.
Figure 2 is another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afety railing for buildings, which is easy to repl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a wall.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afety railing for buildings, which is easy to repl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a wall.
Figure 4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main part showing an elastic control means of a safety railing for a building, which is easy to replace by the present inventors.
Figure 5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main part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elastic control means according to Figure 4;
Figure 6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nother main part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elastic adjusting means according to Figure 4;
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resent inventors are easily replaced safety railings for buildings installed in the open space of the building.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될 것이 아니라,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The terms or word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are not to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a common or dictionary meaning, but 'the inventor must proper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best explain his/her invention. It should be interpreted as a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of 'can'.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In addition,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they can be replaced at the ti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many equivalents and variations.

또한,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건축물의 벽체에서 핸드레일의 방향으로 결합이 이루어지는 부위를 전면이라 명명하고, 핸드레일에서 벽체의 방향으로 결합이 이루어지는 부위를 후면이라고 명명하여 설명하기로 한다.In addition, prior to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art where the wall of the building is coupled in the direction of the handrail is called the front side, and the part where the handrail is coupled in the direction of the wall is called the rear sid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7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건축물의 개방된 공간을 이루는 벽체(1)에 설치되는 난간에 있어서, 상기 벽체(1)와 대응되는 부위에 볼트(P)가 결합되는 복수개의 고정공(11)이 형성되고, 전면에는 복수개의 체결공(12)이 형성된 고정판(10)과, 상기 고정판(10)의 전면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체결공(12)과 대응되는 부위에는 볼트(P)가 결합되는 복수개의 관통공(21a)이 형성된 결합판(21)과, 상기 결합판(21)의 전면 상, 하 부위로 한 쌍이 마주보게 돌출 구비되며 외측 테두리 부위에는 고정홈(22a)이 형성되고 돌출된 단부에는 고정돌기(22b)가 형성된 결합바(22)와, 상기 고정판(10)의 전면에 돌출 구비되며 상기 결합바(22)의 사이에 위치되는 바 형상으로, 외측 테두리 부위에는 복수개의 밀착돌기(23a)가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 이격 구비된 지지바(23)로 구성된 결합구(20)와, 상기 지지바(23)의 외측을 감싸도록 결합되며 외측 테두리 길이 방향으로는 복수개의 삽입공(31)이 형성된 핸드레일(30)과, 상기 핸드레일(30)의 외측을 감싸는 링 형상으로, 외측 테두리 부위에는 상기 고정돌기(22b)가 안착 결합되는 안착홈(41)이 형성된 지지링(40)과, 상기 결합구(20)와 핸드레일(30) 간 결합 시, 상기 고정홈(22a)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결합구(20)와 핸드레일(30)의 결합을 견고하게 지지하는 고정링(50)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구(20)와 핸드레일(30)이 결합될 시, 상기 결합구(20)의 결합바(22)를 벌려 핸드레일(30)이 지지바(23)의 외측을 감싸도록 결합 된 후, 상기 결합바(22)의 고정돌기(22b)가 핸드레일(30)의 외측을 감싸도록 결합되는 지지링(40)의 안착홈(41)에 걸려 견고하게 결합되게 구성된다.As shown in FIGS. 1 to 7, in the handrail installed on the wall 1 constituting the open space of the building, a plurality of bolts P are coupled to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wall 1. A fixing plate 10 in which two fixing holes 11 are formed and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12 are formed on the front side, and detachably install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ixing plate 10 and corresponding to the fastening holes 12 A coupling plate 21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21a through which bolts P are coupled, and a pair protruding from the upper and lower front surfaces of the coupling plate 21 facing each other, are fixed to the outer edge portion. A coupling bar 22 having a groove 22a formed and a fixing protrusion 22b formed at the protruding end, and a bar shape protruding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fixing plate 10 and positioned between the coupling bar 22 , In the outer rim portion, a plurality of close protrusions 23a are coupled to the coupler 20 composed of a plurality of support bars 23 spaced apart along the length direction, and to surround the outside of the support bar 23, and the outer rim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handrail 30 having a plurality of insertion holes 31 formed therein, a ring shape surrounding the outside of the handrail 30, and a seating groove in which the fixing protrusion 22b is seated and coupled to the outer rim. When the support ring 40 formed with (41) is coupled to the coupler 20 and the handrail 30, i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fixing groove 22a and the coupler 20 and the handrail 30 ) Includes a fixing ring 50 for firmly supporting the coupling, and when the coupler 20 and the handrail 30 are coupled, the coupling bar 22 of the coupler 20 is widened to form a handrail After the 30 is coupled to surround the outside of the support bar 23, the fixing protrusion 22b of the coupling bar 22 is seated on the support ring 40 coupled to surround the outside of the handrail 30. It is configured to be firmly coupled to the groove 41.

상기 고정판(10)은 도 1 내지 도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건축물의 벽체(1) 전면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벽체(1)와 대응되는 부위에 복수개의 고정공(11)이 형성된 판 형상으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S. 1 to 3, the fixing plate 10 is fixedly install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wall 1 of the building, and a plate having a plurality of fixing holes 11 formed in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wall 1. made up of shapes.

이는, 상기 고정공(11)에 체결되는 복수개의 볼트(P)를 통하여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할 핸드레일(30)을 설치하고자 하는 건축물의 벽체(1)에 한 쌍의 고정판(10)이 마주보도록 설치되는 것이다.This is so that the pair of fixing plates 10 face each other on the wall 1 of the building where the handrail 30 to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is to be installed through the plurality of bolts P fastened to the fixing hole 11. it will be installed

또한, 상기 고정판(10)의 전면에는 복수개의 체결공(12)이 형성되어 구성되며, 상기 체결공(12)은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할 결합구(20)가 고정판(10)의 전면에 볼트(P)를 통하여 고정 설치되도록 형성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12 ar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ixing plate 10, and the fastening holes 12 are bolt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fixing plate 10 by a coupler 20 to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It is formed to be fixedly installed through P).

그리고 상기 결합구(20)는 도 1 내지 도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고정판(10)의 전면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고정판(10)의 전면에 밀착되게 설치되는 결합판(21)과, 상기 결합판(12)의 전면, 상, 하 부위로 마주보게 돌출 구비되는 한 쌍의 결합바(22)와, 상기 결합바(22)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결합판(21)의 전면에 돌출 구비되는 지지바(23)로 구성된다.And, as shown in FIGS. 1 to 3, the coupler 20 is detachably installed on the front of the fixing plate 10, and the coupling plate 21 is installed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of the fixing plate 10. And, a pair of coupling bars 22 protruding to face the front,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coupling plate 12,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coupling plate 21 so as to be located between the coupling bars 22 It consists of a support bar 23 protruding on the.

이때, 상기 결합판(21)은 상기 고정판(10)의 체결공(12)과 대응되는 부위에 복수개의 관통공(21a)이 형성되어 구성됨으로써, 상기 관통공(21a) 체결되는 볼트(P)가 체결공(12)에 결합을 이루도록 하여,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고정판(10)의 전면에 고정되게 설치된다.At this time, the coupling plate 21 is configured by form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21a at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fastening hole 12 of the fixing plate 10, so that the through hole 21a is fastened with a bolt P Is coupled to the fastening hole 12 so as to be fixedly install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ixing plate 10, as shown in FIGS. 2 and 3.

또한, 상기 결합바(22)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결합판(21)의 전면 상, 하 부위로 한 쌍이 마주보게 돌출 구비되어 도 3 및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결합바(22)의 사이로 핸드레일(30)이 삽입되게 구성된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as described above, a pair of coupling bars 22 are protruded to face each other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coupling plate 21, and as shown in FIGS. 3 and 7, the coupling bar 22 The handrail 30 is configured to be inserted between the.

또한, 상기 지지바(23)는 상기 결합판(21)의 전면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되, 상기 결합바(22)의 사이로 위치되게 구성되어, 상기 결합바(22)의 사이로 삽입되는 핸드레일(30)의 내경으로 상기 지지바(23)가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며, 이러한 경우에는 지지바(23)의 외측 테두리 부위에 구비된 복수개의 밀착돌기(23a)가 핸드레일(30)의 내경에 밀착되게 구성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support bar 23 is provided to protrude toward the front of the coupling plate 21, and is configured to be positioned between the coupling bars 22, and the handrail 30 inserted between the coupling bars 22 ) is configured so that the support bar 23 is inserted into the inner diameter of the support bar 23, and in this case, a plurality of close contact protrusions 23a provided on the outer edge of the support bar 23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diameter of the handrail 30. that is composed

위와 같은 구성은, 상기 고정판(10)의 전면으로 결합구(20)를 설치하는 경우, 결합바(22)의 사이로 핸드레일(30)이 삽입된 후, 상기 지지바(23)가 핸드레일(30)의 내경으로 삽입되어 지지바(23)와 핸드레일(30)의 결합을 지지하게 되는 것이며, 이와 동시에 지지바(23)의 외측 테두리 부위에 구비된 복수개의 밀착돌기(23a)가 핸드레일(30)의 내경에 밀착되도록 하여, 지지바(23)와 핸드레일(30)의 결합이 더욱 견고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이다.In the above configuration, when the coupler 20 is installed on the front of the fixing plate 10, after the handrail 30 is inserted between the coupling bars 22, the support bar 23 is attached to the handrail ( 30) to support the coupling between the support bar 23 and the handrail 30, and at the same time, a plurality of close protrusions 23a provided on the outer edge of the support bar 23 (30) so that i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diameter, so that the coupling between the support bar 23 and the handrail 30 is made more robust.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벽체(1)의 전면에 설치된 결합구(20)와 핸드레일(30)의 결합을 견고하게 유지하여 건축물의 개방된 공간에 핸드레일(30)의 설치를 용이하게 이룰 수 있는 것이다.Through this configuration, the coupling between the coupler 20 installed on the front of the wall 1 and the handrail 30 is firmly maintained to facilitate the installation of the handrail 30 in the open space of the building. will be.

이에 더하여, 상기 결합구(20)와 핸드레일(30)을 결합하는 경우에도, 상기 핸드레일(30)의 외측을 감싸도록 지지링(40)을 결합함으로써, 도 1, 도 2, 도 3, 도 7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핸드레일(30)의 외측으로 지지링(40)이 결합을 이룬 상태에서 지지바(23)가 핸드레일(30)의 내경으로 삽입되게 결합하여, 상기 지지바(23)가 핸드레일(30)의 내경에 견고하게 결합을 이룸과 동시에 결합바(22)의 단부에 구비된 고정돌기(22b)가 지지링(40)의 외측 테두리 부위에 형성된 안착홈(41)에 안착 결합되어 결합구(20)와 핸드레일(30)의 결합을 더욱 견고하게 이룰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even when the coupler 20 and the handrail 30 are coupled, the support ring 40 is coupled so as to surround the outside of the handrail 30, FIGS. 1, 2, 3, As shown in FIG. 7, in a state in which the support ring 40 is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handrail 30, the support bar 23 is coupled to be inserted into the inner diameter of the handrail 30, and the support bar ( 23) is firmly coupled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handrail 30, and at the same time, the fixing protrusion 22b provided at the end of the coupling bar 22 is a seating groove 41 formed on the outer edge of the support ring 40 It is seated and coupled to achieve a more robust coupling of the coupler 20 and the handrail 30.

이러한 결합과정은 즉, 상기 결합구(20)와 핸드레일(30)을 결합하고자 할 시, 상기 결합구(20)의 결합바(22)를 벌려 핸드레일(30)이 지지바(23)의 외측을 감싸도록 결합시키는 과정을 거치는 것이며, 이러한 과정을 거친 후에는 상기 결합바(22)의 고정돌기(22b)가 핸드레일(30)의 외측을 감싸도록 결합 된 지지링(40)의 안착홈(41)에 걸리도록 삽입하여 결합구(20)와 핸드레일(30)의 결합을 견고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In this coupling process, that is, when trying to combine the coupler 20 and the handrail 30, the coupling bar 22 of the coupler 20 is opened so that the handrail 30 is attached to the support bar 23. After this process, the fixing protrusion 22b of the coupling bar 22 is coupled to the outer side of the handrail 30, and the seating groove of the support ring 40 is coupled to it. (41) to be inserted so that it can firmly maintain the coupling of the coupler 20 and the handrail (30).

또한, 위와 같은 결합을 이룬 후에는 상기 고정링(50)이 상기 결합판(21)의 전면, 상, 하 부위에 마주보게 구비된 결합바(22)의 고정홈(22a)에 결합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상기 지지바(23)가 핸드레일(30)의 내경에 삽입되도록 결합이 이루어진 후에는 결합바(22)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결합구(20)와 핸드레일(30)의 결합을 더욱 견고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after the above coupling is achieved, the fixing ring 50 is coupled to the fixing groove 22a of the coupling bar 22 provided to face the front,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coupling plate 21. After the support bar 23 is coupled so that it is inserted into the inner diameter of the handrail 30, the coupling bar 22 is prevented from opening to further strengthen the coupling between the coupler 20 and the handrail 30. that can be maintained.

위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사용자가 결합구(20)에 핸드레일(30)을 편리하게 설치하여 사용을 이룰 수 있음은 물론이고, 설치된 핸드레일(30)이 손상되는 경우에는 손상된 핸드레일(30)을 편리하게 교체하며 안정적인 사용을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rough the above configuration, the user can conveniently install and use the handrail 30 in the coupler 20, and in case the installed handrail 30 is damaged, the damaged handrail 30 It is possible to conveniently replace and maintain stable use.

또한, 도 1 내지 도 6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건축물의 벽체(1) 전면으로 복수개의 결합구(20)와 핸드레일(30)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핸드레일(30)의 삽입공(31)에는 상, 하 방향으로 위치된 핸드레일(30)을 상호 견고하게 지지하는 연결수단(60)이 더 설치되어 구성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S. 1 to 6, when a plurality of couplers 20 and a handrail 30 are install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wall 1 of a building, the insertion hole 31 of the handrail 30 ) is configured by further installing a connecting means 60 for mutually firmly supporting the handrails 30 located in the upper and lower directions.

그리고 상기 연결수단(60)은 내측에 설치홈(61a)이 형성되어 구성되고, 양단부에는 상기 설치홈(61a)과 연통 되는 한 쌍의 배출공(61b)이 형성된 원통형의 연결바(61)와, 상기 배출공(61b)과 인접하게 상기 설치홈(61a)의 내측에 마주보게 설치되는 한 쌍의 탄성구(62)와, 상기 탄성구(62)를 연결하도록 설치홈(61a)의 내측에 위치되는 탄성줄(63)과, 상기 탄성구(62)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배출공(61b)을 관통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연결줄(64)과, 상기 배출공(61b)을 관통한 연결줄(64)에 연결되어 상기 삽입공(31)에 삽입 결합되는 한 쌍의 연결막대(6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nd the connecting means 60 is configured by forming an installation groove 61a on the inside, and a cylindrical connecting bar 61 having a pair of discharge holes 61b communicating with the installation groove 61a at both ends, and , a pair of elastic spheres 62 installed facing the inside of the installation groove 61a adjacent to the discharge hole 61b, and on the inside of the installation groove 61a to connect the elastic spheres 62 An elastic string 63 positioned, a pair of connecting strings 64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elastic ball 62 and the other end passing through the discharge hole 61b, and penetrating the discharge hole 61b.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pair of connecting rods 65 connected to a connecting line 64 and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31.

상기 연결수단(60)은 도 3 및 도 7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건축물의 개방된 부위에 복수개의 핸드레일(30)이 설치를 이루는 경우, 상기 핸드레일(30)을 상호 연결할 수 있게 구성된다.As shown in FIGS. 3 and 7 , the connecting means 60 is configured to interconnect the handrails 30 when a plurality of handrails 30 are installed in an open area of a building.

이는 즉, 핸드레일(30)의 삽입공(31)으로 도 4 및 도 5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수단(60)의 연결막대(65)가 삽입되어 걸리도록 하여 이격되게 위치된 핸드레일(30)의 사이로 연결바(61)가 위치되게 설치를 이루는 것이며,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연결막대(65)와 연결되는 연결줄(64)과, 상기 연결줄(64)에 연결되어 상기 연결바(61)의 배출공(61b)에 설치되는 탄성구(62), 탄성줄(63)의 구성을 통하여 이격되게 위치된 핸드레일(30)을 연결바(61)의 방향으로 당겨, 핸드레일(61)의 설치 위치를 견고하게 유지시키는 것이다.That is, as shown in FIGS. 4 and 5 with the insertion hole 31 of the handrail 30, the connecting rod 65 of the connecting means 60 is inserted and caught so that the handrail 30 positioned at a distance ) It is installed so that the connecting bar 61 is positioned between the connecting rods 65, and in this case, the connecting line 64 connected to the connecting rod 65 and the connecting line 64 are connected to the discharge of the connecting bar 61. Through the configuration of the elastic ball 62 and the elastic string 63 installed in the ball 61b, the handrail 30 located at a distance is pulled in the direction of the connecting bar 61, and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handrail 61 is to keep it solid.

이때, 상기 탄성구(62)는 도 4 및 도 6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탄성줄(63)에 일단이 연결되는 제1가이드바(62a)와, 상기 제1가이드바(62a)에 일단이 고정 연결되는 스프링(62b)과, 상기 제1가이드바(62a)와 마주보게 스프링(62b)에 일단이 고정되게 연결되고, 타단에는 상기 연결줄(64)이 연결된 제2가이드바(62c)로 구성됨으로써, 상기 연결막대(65)가 핸드레일(30)의 삽입공(31)에 삽입된 후 핸드레일(30)의 내경에 걸리도록 설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1가이드바(62a)와 제2가이드바(62c)를 연결하게 설치되는 스프링(62b)의 탄성력을 통하여 이격 되게 위치된 핸드레일(30)을 연결바(61)의 방향으로 당겨, 견고하게 설치된 위치를 유지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S. 4 and 6, the elastic ball 62 has a first guide bar 62a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elastic string 63 and one end to the first guide bar 62a. Consists of a fixedly connected spring 62b, one end fixedly connected to the spring 62b facing the first guide bar 62a, and a second guide bar 62c to which the connection line 64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Thus, when the connecting rod 65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31 of the handrail 30 and installed so as to be caught in the inner diameter of the handrail 30, the first guide bar 62a and the second guide bar 62a Through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62b installed to connect the guide bar 62c, the handrail 30 located at a distance is pulled in the direction of the connecting bar 61, so that the firmly installed position can be maintained.

그리고 이러한 구성에 따라, 건축물의 개방된 부위에 설치된 핸드레일(30)로 충격이 전달되는 경우에도 핸드레일(30)의 설치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And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prevent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handrail 30 from being changed even when an impact is transmitted to the handrail 30 installed in the open part of the building.

더하여, 도 3, 도 4, 도 5, 도 6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연결바(61)의 일측에는 설치공(61c)이 더 형성되어 구성되고, 상기 설치공(61c)에는 상기 탄성줄(63)의 탄성력을 조절하는 탄성조절수단(70)이 더 구비되어 구성되며, 상기 탄성조절수단(70)은 상기 설치공(61c)의 전면으로 돌출 형성되며 둘출된 전면 테두리 부위에는 복수개의 지지공(71a)이 형성되고, 내경 테두리 부위에는 복수개의 안착돌기(71b)가 이격 배치된 조립부(71)와, 상기 안착돌기(71b)와 대응되는 밀착돌기(72a)가 외측 테두리 부위에 형성되어 상기 탄성줄(63)과 연결되도록 상기 설치공(61c)에 관통 결합되는 회전바(72)와, 상기 지지공(71a)과 대응되는 부위에 볼트(P)가 결합되는 복수개의 조립공(73a)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바(72)의 단부에 일체로 구비되는 조절손잡이(7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S. 3, 4, 5, and 6, an installation hole 61c is further formed on one side of the connecting bar 61, and the elastic string ( 63) is further provided with an elastic adjusting means 70 for adjusting the elastic force, and the elastic adjusting means 70 protrudes from the front of the installation hole 61c and has a plurality of support holes on the protruded front edge. (71a) is formed, an assembly part 71 in which a plurality of seating protrusions 71b are spaced apart on the inner rim, and a close contact protrusion 72a corresponding to the seating protrusion 71b is formed on the outer rim. A rotation bar 72 penetrated through the installation hole 61c to be connected to the elastic string 63, and a plurality of assembly holes 73a to which bolts P are coupled to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support hole 71a It is formed and is configured to include an adjustment knob 73 integrally provided at the end of the rotation bar 72.

이러한 구성은, 도 3 및 도 7에서와 같이, 건축물의 개방된 부위에 난간을 이루는 복수개의 핸드레일(30)을 설치하고, 상기 핸드레일(30)에 연결수단(60)을 설치하는 경우에도, 사용자가 도 5 및 도 6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연결바(61)의 설치공(61c)에 삽입되게 결합 된 회전바(72)가 회전을 이루도록 조절손잡이(73)를 파지하여 회전시키고, 이에 따라, 회전바(72)에 연결된 탄성줄(63)이 회회전바(72)의 외측에 감기도록 구성됨으로써, 회전바(72)의 외측에 감기는 탄성줄(63)의 이동을 통하여, 상기 탄성구(62)를 이루는 스프링(62b)이 늘어나게 되어, 스프링(62b)의 탄성력을 통하여 핸드레일(30)과 연결수단(60)의 결합이 더욱 견고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이다.3 and 7, even when a plurality of handrails 30 forming a handrail are installed in an open part of a building and a connecting means 60 is installed on the handrail 30. As shown in FIGS. 5 and 6, the user grips and rotates the adjustment knob 73 so that the rotation bar 72 coupled to be inserted into the installation hole 61c of the connection bar 61 rotates, Accordingly, the elastic line 63 connected to the rotation bar 72 is configured to be wound on the outside of the rotation bar 72, so that through the movement of the elastic line 63 wound on the outside of the rotation bar 72, The spring 62b constituting the elastic sphere 62 is stretched so that the coupling between the handrail 30 and the connecting means 60 is made more robust through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62b.

또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조절손잡이(73)를 파지하여 회전바(72)가 설치공(61c)의 전면과 연결되는 조립부(71)의 내경에서 회전을 이루도록 하는 경우에도, 상기 조립부(71)의 내경 테두리 부위에 구비된 복수개의 안착돌기(71b)를 따라, 회전바(72)의 외측 테두리 부위에 구비된 밀착돌기(72a)가 회전을 이루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회전바(72)가 회전을 이룬 후에는 회전바(72)의 밀착돌기(72a)가 조립부(71)의 안착돌기(71b)에 걸려 회전된 위치를 견고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며, 상기 조절손잡이(73)의 조립공(73a)으로 체결되는 볼트(P)가 조립부(71)의 지지공(71a)에 결합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사용자의 조절에 따라 회전된 회전바(72)와 조절손잡이(73)가 회전바(72)에 연결된 탄성줄(63)의 탄성력에 의하여 원래의 위치로 돌아가는 것을 방지하며 안정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even when the rotation bar 72 is rotated in the inner diameter of the assembly part 71 connect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installation hole 61c by gripping the adjustment handle 73, the assembly part ( 71) is configured such that the contact protrusions 72a provided on the outer rim of the rotation bar 72 rotate along the plurality of seating protrusions 71b provided on the inner diameter rim, so that the rotation bar 72 After the rotation is made, the contact protrusion 72a of the rotation bar 72 is hooked on the seating protrusion 71b of the assembly part 71 to firmly maintain the rotated position, and the adjustment knob 73 The bolt (P) fastened to the assembly hole (73a) is configured to be coupled to the support hole (71a) of the assembly part 71, the rotation bar 72 and the adjustment knob 73 rotated according to the user's adjustment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string 63 connected to the rotation bar 72, it is possible to prevent returning to the original position and achieve stable use.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도 7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벽체(1)의 개방된 부위에 복수개의 핸드레일(30)을 설치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도, 상기 연결수단(60)과 탄성조절수단(70)의 구성을 통하여 핸드레일(30)의 설치 위치를 견고하게 유지시키며 안정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rough this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 7, even when a plurality of handrails 30 are installed and used in the open portion of the wall 1, the connection means 60 and the elasticity control means 70 Through the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firmly maintain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handrail 30 and achieve stable use.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요지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in relation to specific embodiments, it is known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improved and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by the claims below. It will be self-evid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1: 벽체 10: 고정판
11: 고정공 12: 체결공
20: 결합구 21: 결합판
21a: 관통공 22: 결합바
22a: 고정홈 22b: 고정돌기
23: 지지바 23a: 밀착돌기
30: 핸드레일 31: 삽입공
40: 지지링 41: 안착홈
50: 고정링 60: 연결수단
61: 연결바 61a: 설치홈
61b: 배출공 61c: 설치공
62: 탄성구 62a: 제1가이드바
62b: 스프링 62c: 제2가이드바
63: 탄성줄 64: 연결줄
65: 연결막대 70: 탄성조절수단
71: 조립부 71a: 지지공
71b: 안착돌기 72: 회전바
72a: 밀착돌기 73: 조절손잡이
73a: 조립공 P: 볼트
1: wall 10: fixed plate
11: fixed hole 12: fastening hole
20: coupling tool 21: coupling plate
21a: through hole 22: coupling bar
22a: fixing groove 22b: fixing protrusion
23: support bar 23a: close protrusion
30: handrail 31: insertion hole
40: support ring 41: seating groove
50: fixing ring 60: connecting means
61: connecting bar 61a: installation groove
61b: discharge hole 61c: installation hole
62: elastic sphere 62a: first guide bar
62b: spring 62c: second guide bar
63: elastic string 64: connecting string
65: connecting rod 70: elastic adjustment means
71: assembly part 71a: support hole
71b: seating protrusion 72: rotation bar
72a: close protrusion 73: adjustment knob
73a: Assembler P: Bolt

Claims (4)

건축물의 개방된 공간을 이루는 벽체(1)에 설치되는 난간에 있어서,
상기 벽체(1)와 대응되는 부위에 볼트(P)가 결합되는 복수개의 고정공(11)이 형성되고, 전면에는 복수개의 체결공(12)이 형성된 고정판(10)과,
상기 고정판(10)의 전면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체결공(12)과 대응되는 부위에는 볼트(P)가 결합되는 복수개의 관통공(21a)이 형성된 결합판(21)과, 상기 결합판(21)의 전면 상, 하 부위로 한 쌍이 마주보게 돌출 구비되며 외측 테두리 부위에는 고정홈(22a)이 형성되고 돌출된 단부에는 고정돌기(22b)가 형성된 결합바(22)와, 상기 고정판(10)의 전면에 돌출 구비되며 상기 결합바(22)의 사이에 위치되는 바 형상으로, 외측 테두리 부위에는 복수개의 밀착돌기(23a)가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 이격 구비된 지지바(23)로 구성된 결합구(20)와,
상기 지지바(23)의 외측을 감싸도록 결합되며 외측 테두리 길이 방향으로는 복수개의 삽입공(31)이 형성된 핸드레일(30)과,
상기 핸드레일(30)의 외측을 감싸는 링 형상으로, 외측 테두리 부위에는 상기 고정돌기(22b)가 안착 결합되는 안착홈(41)이 형성된 지지링(40)과,
상기 결합구(20)와 핸드레일(30) 간 결합 시, 상기 고정홈(22a)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결합구(20)와 핸드레일(30)의 결합을 견고하게 지지하는 고정링(50)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구(20)와 핸드레일(30)이 결합될 시, 상기 결합구(20)의 결합바(22)를 벌려 핸드레일(30)이 지지바(23)의 외측을 감싸도록 결합 된 후, 상기 결합바(22)의 고정돌기(22b)가 핸드레일(30)의 외측을 감싸도록 결합되는 지지링(40)의 안착홈(41)에 걸려 견고하게 결합되게 구성되되,
상기 벽체(1)에 복수개의 결합구(20)와 핸드레일(30)이 설치될 시,
상기 핸드레일(30)의 삽입공(31)에는 상, 하 방향으로 위치된 핸드레일(30)을 상호 견고하게 지지하는 연결수단(60)이 더 설치되고,
상기 연결수단(60)은
내측에 설치홈(61a)이 형성되고, 양단부에는 상기 설치홈(61a)과 연통되는 한 쌍의 배출공(61b)이 형성된 원통형의 연결바(61)와,
상기 배출공(61b)과 인접하게 상기 설치홈(61a)의 내측에 마주보게 설치되는 한 쌍의 탄성구(62)와,
상기 탄성구(62)를 연결하도록 설치홈(61a)의 내측에 위치되는 탄성줄(63)과,
상기 탄성구(62)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배출공(61b)을 관통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연결줄(64)과,
상기 배출공(61b)을 관통한 연결줄(64)에 연결되어 상기 삽입공(31)에 삽입 결합되는 한 쌍의 연결막대(6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가 용이한 건축물용 안전난간.
In the handrail installed on the wall (1) constituting the open space of the building,
A fixing plate 10 in which a plurality of fixing holes 11 to which bolts P are coupled are formed at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wall 1, and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12 ar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A coupling plate 21 detachably install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ixing plate 10 and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21a formed therein, to which bolts P are coupled, at portions corresponding to the fastening holes 12, and the coupling plate 21 A coupling bar 22 provided with a pair protruding from the upper and lower front surfaces of the plate 21 to face each other, a fixing groove 22a formed at the outer edge, and a fixing protrusion 22b formed at the protruding end, and the fixing plate It is protruded on the front surface of (10) and has a bar shape positioned between the coupling bars 22, and a plurality of close protrusions 23a are provided on the outer rim por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the support bar 23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paced apart. The configured coupler 20,
A handrail 30 coupled to surround the outside of the support bar 23 and having a plurality of insertion holes 31 formed in the length direction of the outer rim;
A support ring 40 having a ring shape surrounding the outside of the handrail 30 and having a seating groove 41 in which the fixing protrusion 22b is seated and coupled to the outer rim portion;
When coupling between the coupler 20 and the handrail 30, the fixing ring 5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fixing groove 22a and firmly supports the coupling between the coupler 20 and the handrail 30. ),
When the coupling 20 and the handrail 30 are coupled, the coupling bar 22 of the coupling 20 is widened so that the handrail 30 is coupled to surround the outside of the support bar 23, and then , The fixing protrusion 22b of the coupling bar 22 is configured to be firmly coupled by being caught in the seating groove 41 of the support ring 40 coupled to surround the outside of the handrail 30,
When the plurality of couplers 20 and the handrail 30 are installed on the wall 1,
Connecting means 60 for mutually firmly supporting the handrails 30 located in the upper and lower directions are further installed in the insertion hole 31 of the handrail 30,
The connecting means 60 is
A cylindrical connecting bar 61 having an installation groove 61a formed on the inside and a pair of discharge holes 61b communicating with the installation groove 61a at both ends,
A pair of elastic spheres 62 installed facing the inside of the installation groove 61a adjacent to the discharge hole 61b;
An elastic string 63 located inside the installation groove 61a to connect the elastic sphere 62;
A pair of connecting lines 64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elastic sphere 62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pass through the discharge hole 61b;
A safety handrail for buildings that is easy to repla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air of connecting rods 65 connected to the connection line 64 penetrating the discharge hole 61b and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31.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구(62)는
상기 탄성줄(63)에 일단이 연결되는 제1가이드바(62a)와,
상기 제1가이드바(62a)에 일단이 고정 연결되는 스프링(62b)과,
상기 제1가이드바(62a)와 마주보게 스프링(62b)에 일단이 고정되게 연결되고, 타단에는 상기 연결줄(64)이 연결된 제2가이드바(62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가 용이한 건축물용 안전난간.
According to claim 1,
The elastic ball 62 is
A first guide bar (62a)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elastic string (63);
A spring 62b having one end fixedly connected to the first guide bar 62a;
It is easy to replace,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second guide bar (62c), one end of which is fixedly connected to the spring (62b) facing the first guide bar (62a) and the other end to which the connection line (64) is connected. Safety railings for building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바(61)의 일측에는 설치공(61c)이 더 형성되고,
상기 설치공(61c)에는 상기 탄성줄(63)의 탄성력을 조절하는 탄성조절수단(70)이 더 구비되며,
상기 탄성조절수단(70)은
상기 설치공(61c)의 전면으로 돌출 형성되며 둘출된 전면 테두리 부위에는 복수개의 지지공(71a)이 형성되고, 내경 테두리 부위에는 복수개의 안착돌기(71b)가 이격 배치된 조립부(71)와,
상기 안착돌기(71b)와 대응되는 밀착돌기(72a)가 외측 테두리 부위에 형성되어 상기 탄성줄(63)과 연결되도록 상기 설치공(61c)에 관통 결합되는 회전바(72)와,
상기 지지공(71a)과 대응되는 부위에 볼트(P)가 결합되는 복수개의 조립공(73a)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바(72)의 단부에 일체로 구비되는 조절손잡이(7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가 용이한 건축물용 안전난간.
According to claim 1,
An installation hole 61c is further formed on one side of the connecting bar 61,
An elastic adjusting means 70 for adjusting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string 63 is further provided in the installation hole 61c.
The elastic adjusting means 70 is
A plurality of support holes 71a are formed on the protruding front rim portion of the installation hole 61c, and a plurality of seating protrusions 71b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assembly portion 71. ,
A rotating bar 72 having a close contact protrusion 72a corresponding to the seating protrusion 71b formed on an outer rim portion and coupled through the installation hole 61c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elastic string 63;
A plurality of assembling holes 73a to which bolts P are coupled are formed at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support hole 71a, and an adjustment knob 73 integrally provided at the end of the rotation bar 72. Safety guardrails for buildings that can be easily replaced.
KR1020210185551A 2021-12-23 2021-12-23 Safty guardrail for building KR10246688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5551A KR102466881B1 (en) 2021-12-23 2021-12-23 Safty guardrail for build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5551A KR102466881B1 (en) 2021-12-23 2021-12-23 Safty guardrail for build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6881B1 true KR102466881B1 (en) 2022-11-14

Family

ID=84043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5551A KR102466881B1 (en) 2021-12-23 2021-12-23 Safty guardrail for build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6881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0249B1 (en) * 2023-06-02 2024-01-03 주식회사 다주종합건축사사무소 Handrail Fixing Structure for Constructio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3425Y1 (en) 2004-10-28 2005-01-15 김길평 Security a handrail for construction
KR101337090B1 (en) 2012-09-06 2013-12-06 주식회사 주영에스앤티 Fall-proof safety device attached railings
KR102323023B1 (en) * 2020-12-23 2021-11-09 주식회사 종합건축사사무소 림 Handbar Fixing Structure for Constructio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3425Y1 (en) 2004-10-28 2005-01-15 김길평 Security a handrail for construction
KR101337090B1 (en) 2012-09-06 2013-12-06 주식회사 주영에스앤티 Fall-proof safety device attached railings
KR102323023B1 (en) * 2020-12-23 2021-11-09 주식회사 종합건축사사무소 림 Handbar Fixing Structure for Construc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0249B1 (en) * 2023-06-02 2024-01-03 주식회사 다주종합건축사사무소 Handrail Fixing Structure for Construc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66881B1 (en) Safty guardrail for building
KR20000068157A (en) Dismountable facade scaffold
US10370857B2 (en) Adjustable railing
KR102278283B1 (en) Handbar Fixing Structure for Construction
KR102249951B1 (en) Handrail Fixing Structure for Construction
KR200441895Y1 (en) Wood guardrail assembling structure
KR100876098B1 (en) Wood guardrail assembling structure
KR101198575B1 (en) Assembly type balustrade
KR101262613B1 (en) Assembly type balustrade
KR101139352B1 (en) The footboard apparatus of a lift
KR100722487B1 (en) A shelter balcony handrail
KR102063493B1 (en) Hand rail fixing device for railings for apartment houses
KR20190087047A (en) Window-integrated glass guardrail
KR102475899B1 (en) Handrail Fixing Structure for Construction
KR102369458B1 (en) Handrail Fixing Structure for Construction
KR102500173B1 (en) Handrail Fixing Structure for Construction
KR102164813B1 (en) Railing Structure for Apartment House
KR102330111B1 (en) Handbar Fixing Structure for Construction
KR101228441B1 (en) Strength reinforce type guardrail structure
KR102620249B1 (en) Handrail Fixing Structure for Construction
KR200490448Y1 (en) Prefabricated Hand Rails for Stairs
KR102650243B1 (en) Mounted bracket for bridge inspection facility and mounting method of the bracket
KR100972453B1 (en) Veranda for railing
CN219241416U (en) Safety protection structure
KR200368237Y1 (en) Asistance handrail for fall accident prevention of high build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