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6823B1 - cooking pot having heat insulating handle - Google Patents

cooking pot having heat insulating hand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6823B1
KR102466823B1 KR1020220080437A KR20220080437A KR102466823B1 KR 102466823 B1 KR102466823 B1 KR 102466823B1 KR 1020220080437 A KR1020220080437 A KR 1020220080437A KR 20220080437 A KR20220080437 A KR 20220080437A KR 102466823 B1 KR102466823 B1 KR 1024668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heat insulation
receiving groove
pair
coo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043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원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룸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룸쿡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룸쿡
Priority to KR10202200804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682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68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682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65Bails, e.g. for pails, for kett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8Heat-insulating 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oking vessel with a heat insulation handle unit so as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use and safety. The cooking vessel comprises: a container main body unit with an upper side open and a cooking space formed therein; a pair of rotating handle units having both ends hingedly rotated at both ends of the container main body unit to be connected to be selectively upright, formed of a ferromagnetic or paramagnetic material, and provided so as to be supported in a triangular shape as central sides of the rotating handle units disposed upward in an upright state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 heat insulation handle unit having a receiving groove, into which a central unit of the rotating handle unit is inserted, opened upward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so as to support a central lower part of the rotating handle unit and move the container main body unit upward, and provided with a magnet unit so as to be attached and fixed to the rotating handle unit through magnetic force in the receiving groove, wherein the receiving groove is formed inside between a pair of side wall protrusion units protruding upward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eat insulation handle unit, and the side wall protrusion units protrude at a height exceeding the cross-sectional thickness of the rotating handle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afety and durability can be remarkably improved by preventing damage to the heat insulation handle unit by fire while holding the heated rotating handle unit without the risk of burns.

Description

단열손잡이부가 구비된 조리용기{cooking pot having heat insulating handle}Cooking pot having heat insulating handle {cooking pot having heat insulating handle}

본 발명은 단열손잡이부가 구비된 조리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편의성 및 안전성이 개선되는 단열손잡이부가 구비된 조리용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oking vessel equipped with an insulated hand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oking vessel equipped with an insulated handle with improved usability and safety.

일반적으로, 음식물을 조리 가공하는데 있어서 여러 종류의 조리용기가 이용된다. 상기 조리용기는 프라이팬, 궁중팬, 냄비 등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이 중 냄비의 경우 조리하고자 하는 음식의 종류에 따라 그 종류가 다양하게 개시되고 있다.In general, several types of cooking vessels are used for cooking and processing food. The cooking vessel may be classified into a frying pan, a court pan, a pot, and the like, and in the case of the pot, various types are disclosed according to the type of food to be cooked.

한편, 도 1은 종래의 전골냄비를 나타낸 예시도이다.On the other hand, Figure 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conventional hot pot.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전골냄비(1)는 비교적 넓은 면적을 가지면서도 높이가 낮은 용기본체(2) 및 상기 용기본체(2)에 힌지 회동되도록 구비되는 손잡이(3)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손잡이(3)는 상기 용기본체(2)의 양측에 구비된 힌지부(4)를 중심으로 수직방향 또는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데, 상기 손잡이(3)가 수평방향으로 배치시 상기 손잡이(3)의 내면이 상기 용기본체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형상으로 구비된다.Referring to FIG. 1, a conventional hot pot 1 includes a container body 2 having a relatively large area and a low height, and a handle 3 provided to be hingedly rotated to the container body 2. At this time, the handle 3 is disposed in a vertical or horizontal direction around the hinge portion 4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container body 2, when the handle 3 is dispos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handle ( The inner surface of 3) is provided in a shape dispos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container body.

따라서, 상기 손잡이(3)를 세운 상태에서 상기 전골냄비(1)를 이동시키도록 파지하거나 화로의 거치대에 걸어 사용할 수 있으며, 보관시 상기 손잡이(3)를 눕히면 상기 전골냄비(1)의 부피가 최소화될 수 있다.Therefore, in a state where the handle 3 is upright, the pot 1 can be gripped to be moved or used by hanging it on a holder of a brazier, and when the handle 3 is laid down during storage, the volume of the pot 1 can be reduced. can be minimized.

그러나, 종래의 전골냄비(1)는 상기 용기본체(2) 및 상기 손잡이(3)가 실질적 동일한 금속 소재로 구비되는데, 음식의 조리과정에서 상기 용기본체(2)에 전달되는 열이 상기 손잡이에도 전도된다. 이로 인해, 사용자가 화상 등의 안전사고에 노출되기 쉽고, 수건 및 장갑 등과 같은 별도의 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전골냄비(1)를 들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상기 손잡이(3)에 단열부가 일체로 구비되더라도 상기 조리의 열원이 직접적인 불인 경우, 강한 화력으로 인해 상기 단열부가 타거나 녹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in the conventional hot pot 1, the container body 2 and the handle 3 are provided with substantially the same metal material, and the heat transferred to the container body 2 during the cooking process is transferred to the handle as well. it is conducted Due to this, the user is easily exposed to safety accidents such as burns, and there was a hassle of having to lift the hot pot 1 using a separate means such as a towel and gloves. In addition, even if the handle 3 is integrally provided with an insulator, when the heat source for cooking is direct fir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insulator burns or melts due to strong heat.

더욱이, 상기 손잡이(3)가 수직방향으로 직립된 상태에서 자체 하중 또는 주변 진동 등에 의해 불필요하게 회전됨으로 인하여 사용시 불편함 및 안전사고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였다.Furthermore, problems such as inconvenience and safety accidents occurred during use due to unnecessarily rotating the handle 3 by its own load or surrounding vibration in a state of being upright in the vertical direction.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75664호Korea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75664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용편의성 및 안전성이 개선되는 단열손잡이부가 구비된 조리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oking vessel equipped with a heat-insulated handle portion that improves convenience and safety in use.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측으로 개방되며 내부에 조리공간이 형성된 용기본체부; 양단이 상기 용기본체부의 양단에 힌지 회전되어 선택적으로 직립되도록 연결되며 강자성체 또는 상자성체 소재로 형성되되 직립 상태에서 상측으로 배치되는 중앙부측이 상호 접촉됨에 따라 삼각형상으로 지지되도록 한쌍으로 구비되는 회전손잡이부; 및 상기 회전손잡이부의 중앙측 하부가 지지되어 상기 용기본체부를 상측으로 견인이동하도록 상기 회전손잡이부의 중앙부가 삽입되는 수용홈이 길이방향을 따라 상측으로 개구 형성되되, 상기 수용홈에 자력을 통해 상기 회전손잡이부에 부착 고정되도록 자석부가 구비된 단열손잡이부를 포함하되, 상기 수용홈은 상기 단열손잡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향 돌출된 한쌍의 측벽돌출부 사이의 내부에 형성되되 상기 측벽돌출부는 상기 회전손잡이부의 단면두께를 초과하는 높이로 돌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손잡이부가 구비된 조리용기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open to the upper side and the container body portion formed with a cooking space therein; Both ends are hingedly rotated at both ends of the container body portion to be selectively connected to be upright, and formed of ferromagnetic or paramagnetic material, but as the center portion disposed upward in an upright state contacts each other, a pair of rotating handles provided to be supported in a triangular shape ; And a receiving groove into which the central portion of the rotating handle is inserted is opened upwar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lower center of the rotating handle is supported and the container body is pulled upward, and the rotation is performed through the magnetic force in the receiving groove. Including a heat insulation handle having a magnet so as to be attached to and fixed to the handle, wherein the receiving groove is formed inside between a pair of side wall projections protruding upwar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eat insulation handle, and the side wall projection is formed on the cross section of the rotating handle It provides a cooking container provided with a heat insulating handle, characterized in that it protrudes to a height exceeding the thickness.

여기서, 상기 자석부는 영구자석으로 구비되되 상기 수용홈의 내측 하면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Here, the magnet portion is provided as a permanent magnet, but is preferably provided on an inner lower surface of the receiving groove.

그리고, 상기 수용홈의 내측 하면은 상기 회전손잡이부의 내면에 형합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수용홈의 내면에 상기 자석부가 삽입되는 결합홈이 상기 자석부의 길이에 대응하는 깊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inner lower surface of the receiving groove is formed in a shape mat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rotation handle portion, and the coupling groove into which the magnet part is inserted into the inner surface of the receiving groove is preferably formed to a dep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magnet part.

또한, 상기 회전손잡이부는 상기 용기본체부에 힌지 결합되는 단부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한쌍으로 구비되되, 한쌍의 상기 측벽돌출부 사이 간격이 한쌍의 상기 회전손잡이부의 접촉 단면두께에 대응하는 넓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rotation handle portion is provided in a pair with the ends hinged to the container body portion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pair of side wall protrusions is formed in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of the contact section of the pair of rotation handle portions this is preferable

한편, 상기 단열손잡이부의 하부에 그립면이 상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grip surface is formed concave upwar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heat insulation handle.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해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Through the above solu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단열손잡이부가 수용홈의 내측 하면에 구비된 자석부를 통해 강자성체 또는 상자성체로 구비되는 회전손잡이부에 용이하게 부착 고정 및 분리되므로 사용편의성이 개선되며, 가열된 회전손잡이부를 화상 위험없이 파지하면서도 화기에 의한 단열손잡이부의 손상을 방지하여 안전성 및 내구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First, since the heat insulation handle is easily attached, fixed, and separated from the rotating handle provided with a ferromagnetic or paramagnetic material through the magnet provided on the inner lower surface of the receiving groove, the convenience of use is improved, and the heated rotating handle is gripped without the risk of burns while holding the fire. Safety and durability can be remarkably improved by preventing damage to the insulated handle part.

둘째, 수용홈의 내측 하면이 회전손잡이부의 내면에 형합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상호 선접촉 또는 면접촉 지지되므로 조리용기의 견인이동시 회전손잡이부와 단열손잡이부 간의 유동이 방지되어 음식이 넘치면서 주변이 지저분해지거나 뜨거운 음식물에 의한 주변의 화상 위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Second, since the inner lower surface of the receiving groove is formed in a shape conforming to the inner surface of the rotating handle and is supported in line or surface contact as a whole, flow between the rotating handle and the insulation handle is prevented when the cooking container is towed and moved, so that the food overflows and the surrounding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risk of burns in the surroundings due to messy or hot food.

셋째, 단열손잡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에 돌설된 측벽돌출부가 회전손잡이부의 단면두께를 초과하는 길이로 형성되므로 단열손잡이부를 파지시 사용자의 손이 회전손잡이부와 접촉됨을 방지하며, 단열손잡이부의 하면에 그립면이 오목하게 형성되어 그립감이 향상되므로 안전성 및 사용편의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Third, since the side wall protrusions protruding on both sid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eat insulation handle are formed with a length exceeding the cross-sectional thickness of the rotation handle, the user's hand prevents contact with the rotation handle when gripping the heat insulation handl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heat insulation handle Since the grip surface is concavely formed to improve grip, safety and convenience of use can be further improved.

도 1은 종래의 전골냄비를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열손잡이부가 구비된 조리용기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열손잡이부가 구비된 조리용기의 일부분에 대한 투영예시도.
도 4는 도 3의 A-B방향 단면도.
도 5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열손잡이부가 구비된 조리용기의 보관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열손잡이부가 구비된 조리용기의 단면예시도.
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conventional hot pot.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oking vessel equipped with a heat insulating han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rojection example of a portion of the cooking vessel equipped with a heat insulating han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in the AB direction of Figure 3;
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orage state of a cooking vessel equipped with a heat insulating han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oking vessel equipped with a heat-insulating han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열손잡이부가 구비된 조리용기를 상세히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cooking container having a heat insulating hand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열손잡이부가 구비된 조리용기의 분해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열손잡이부가 구비된 조리용기의 일부분에 대한 투영예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A-B방향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5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열손잡이부가 구비된 조리용기의 보관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열손잡이부가 구비된 조리용기의 단면예시도이다.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oking vessel equipped with a heat insulating han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FIG. 3 is a projection example view of a portion of a cooking vessel equipped with a heat insulating han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in the A-B direction of FIG. 3 . 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orage state of a cooking vessel equipped with a heat-insulated han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oking vessel equipped with a heat-insulated han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lso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열손잡이부가 구비된 조리용기(100)는 용기본체부(10), 회전손잡이부(14) 및 단열손잡이부(20)를 포함한다. 이때, 이하에서 상기 단열손잡이부가 구비된 조리용기(100)와 조리용기(100)는 동일한 의미인 것으로 동일한 번호 및 도면으로 설명 및 도시한다.Referring to FIGS. 2 to 6 , a cooking vessel 100 having a heat insulating han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ainer body 10, a rotating handle 14, and a heat insulating handle 20. do. Hereinafter, the cooking vessel 100 provided with the heat insulation handle and the cooking vessel 100 have the same meaning and will be described and illustrated with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drawings.

상기 용기본체부(10)는 바닥부(15)와 측벽부(16)를 포함하며 상측으로 개방된 내부에 조리공간(10a)이 형성된다. 상기 용기본체부(10)는 내구성 및 열전도율이 우수한 금속 재질로 형성되며, 내식성 소재 또는 내식 처리된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용기본체부(10)는 융해된 금속을 기설정된 용기 형상으로 주물 가공하여 제조하거나, 평판형의 금속판을 상기 용기 형상으로 프레스 및 펀칭 가공하여 제조할 수도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상기 조리용기(100)가 특히 전골, 스키야키 등의 요리에 주로 사용되는 전골냄비인 것을 예로써 설명 및 도시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The vessel main body 10 includes a bottom portion 15 and a side wall portion 16, and a cooking space 10a is formed inside an open upward portion. The container body portion 10 is formed of a metal material having excellent durability and thermal conductivity, and may be formed of a corrosion-resistant material or a metal material treated with corrosion resistance. The container body 10 may be manufactured by casting molten metal into a predetermined container shape, or by pressing and punching a flat metal plate into the container shape. At this tim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oking vessel 100 is described and illustrated as an example that is a hot pot mainly used for cooking such as hot pot and sukiyaki,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회전손잡이부(14)는 그의 양단이 상기 용기본체부(10)의 양단에 구비된 힌지연결부(11)에 결합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회전손잡이부(14)가 한쌍으로 구비되어 대칭으로 결합된 것을 예로써 설명 및 도시하였으나, 상기 회전손잡이부(14)는 단일로 구비되어 상기 용기본체부(10)를 가로질러 배치될 수도 있다.Both ends of the rotation handle 14 are coupled to hinge connection portions 11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container body 10 . At this tim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rotation handle 14 is provided as a pair and symmetrically coupled as an example, but has been described and illustrated, but the rotation handle 14 is provided singly to the container body 10. may be placed across.

상기 회전손잡이부(14)는 상기 힌지연결부(11)에 결합되는 양단의 사이가 상기 측벽부(16)의 외형 윤곽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측벽부(16)가 도면에서와 같이 원형으로 형성되면 상기 회전손잡이부(14)도 반원형으로 라운드지게 절곡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측벽부가 사각형으로 형성되면 상기 회전손잡이부는 'ㄷ'자 형으로 절곡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회전손잡이부(14)는 상기 용기본체부(10)의 횡단면적으로 초과하는 형상으로 절곡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해 상기 회전손잡이부(14)가 상기 용기본체부(10)의 상측 및 외측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It is preferable that the rotation handle 14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outer contour of the side wall portion 16 between both ends coupled to the hinge connection portion 11 . For example, when the side wall portion 16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as shown in the drawing, the rotation handle portion 14 may also be formed in a semi-circular shape and rounded. Alternatively, when the side wall portion is formed in a quadrangular shape, the rotating handle portion may be formed bent in a 'c' shape. Moreover, the rotating handle 14 is preferably formed in a shape that exceeds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container body 10, through which the rotating handle 14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container body 10. And it may be spaced a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to the outside.

상기 회전손잡이부(14)는 그의 양단이 상기 힌지연결부(11)에 결합된 상태에서 힌지 회전된다. 이를 통해, 상기 회전손잡이부(14)는 상기 용기본체부(10)의 중앙부 상측으로 직립되거나 상기 용기본체부(10)의 개구된 상단 테두리와 인접하도록 수평 배치될 수 있다.The rotation handle 14 is hingedly rotated in a state in which both ends thereof are coupled to the hinge connecting portion 11 . Through this, the rotation handle 14 may be upright on the upper side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container body 10 or horizontally disposed adjacent to the open upper edge of the container body 10 .

이때, 상기 회전손잡이부(14)는 사용자가 쥐고 견인이동할 수 있는 손잡이로서 기능함은 물론, 캠핑 등과 같은 야외 취사시 상기 조리용기(100)를 삼각대 등과 같은 걸이대에 걸 수 있는 행거로서 기능한다. 따라서, 상기 조리용기(100)가 상기 회전손잡이부(14)를 통해 상기 걸이대에 걸린 상태에서 상기 조리용기(100)의 하부에 구비되는 다양한 열원을 통해 취사 및 조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At this time, the rotating handle 14 functions as a handle that the user can grip and pull and move, as well as a hanger that can hang the cooking vessel 100 on a hanging stand such as a tripod during outdoor cooking such as camping. Therefore, cooking and cooking can be performed through various heat sources provided at the lower part of the cooking container 100 while the cooking container 100 is hung on the hanger through the rotating handle 14 .

상기 회전손잡이부(14)는 상기 용기본체부(10)와 마찬가지로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강자성체 또는 상자성체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회전손잡이부(14)는 상기 단열손잡이부(20)에 구비되는 자성부의 자기장을 통해 자화되는 금속 소재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회전손잡이부(14)는 철 및 그의 합금 소재와 같은 강자성체 또는 알루미늄 및 그의 합금 소재와 같은 상자성체로 형성될 수 있다.The rotation handle 14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similarly to the container body 10, and preferably may be formed of a ferromagnetic material or a paramagnetic material. That is, the rotation handle 14 is preferably formed of a metal material that is magnetized through a magnetic field of a magnetic unit provided in the heat insulation handle 20 . For example, the rotating handle 14 may be formed of a ferromagnetic material such as iron and its alloy material or a paramagnetic material such as aluminum and its alloy material.

더욱이, 상기 용기본체부(10) 및 상기 회전손잡이부(14)는 주철(무쇠)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주철은 내구력이 강하고 열을 오래 유지할 수 있어 전골요리와 같이 장시간 가열하는 요리뿐만 아니라 구이요리와 같이 빠른시간 내 조리하는 요리에도 적합한 소재이다.Moreover, the container body portion 10 and the rotation handle portion 14 is preferably formed of cast iron (cast iron). The cast iron has strong durability and can retain heat for a long time, so it is suitable for cooking that is cooked for a short time, such as grilling, as well as cooking that is heated for a long time, such as hot pot cooking.

상기 단열손잡이부(20)는 사용자가 상기 회전손잡이부(14)를 안전하게 파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구비된다. 상기 단열손잡이부(20)는 일반적인 손의 넓이를 초과하는 길이로 형성되며, 상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용홈(21)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용홈(21)은 상측으로 개구되며, 상기 회전손잡이부(14)의 중앙측이 상기 수용홈(21)에 삽입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단열손잡이부(20)의 외면을 감싸 쥔 상태로 들어올리면 상기 회전손잡이부(14)의 중앙측 하부가 상기 수용홈(21)의 하면에 지지되어 상기 용기본체부(10)를 상측으로 견인이동할 수 있다.The heat insulation handle 20 is provided as a means for the user to safely grip the rotation handle 14 . The heat insulating handle portion 20 is formed to a length exceeding the width of a general hand, and it is preferable that an accommodation groove 21 i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per surface. The accommodating groove 21 is opened upward, and the central side of the rotation handle 14 is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ng groove 21 . In addition, when the user lifts the heat insulation handle part 20 while holding the outer surface thereof, the central lower part of the rotation handle part 14 is suppor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receiving groove 21, and the container body part 10 can be towed upwards.

이때, 상기 수용홈(21)에 상기 자석부(22)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magnet part 22 is provided in the receiving groove 21 .

상세히, 상기 자석부(22)는 영구자석으로 구비되되 상기 수용홈(21)의 내측 하면(23)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자석부(22)의 자력을 통해 상기 단열손잡이부(20)가 상기 회전손잡이부(14)에 부착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상기 단열손잡이부(20)를 쥐고 소정의 힘을 가하기만 하면 상기 회전손잡이부(14)로부터 상기 단열손잡이부(20)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어 사용편의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In detail, the magnet part 22 is preferably provided as a permanent magnet and provided on the inner lower surface 23 of the receiving groove 21 . Therefore, the heat insulation handle 20 may be attached and fixed to the rotation handle 14 through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22 . In addition, the user can easily separate the heat insulation handle 20 from the rotation handle 14 by simply holding the heat insulation handle 20 and applying a predetermined force, so that the convenience of use can be remarkably improved. .

상기 단열손잡이부(20)는 상기 회전손잡이부(14)로부터 전달되는 열이 단열되는 단열소재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단열손잡이부(20)는 열이 전도되지 않는 목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구비될 수 있다.It is preferable that the heat insulating handle 20 is provided with a heat insulating material that insulates heat transmitted from the rotation handle 14 . For example, the heat insulating handle portion 20 may be made of wood or a synthetic resin material that does not conduct heat.

한편,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수용홈(21)은 상기 회전손잡이부(14)의 내면(14a)에 형합되는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회전손잡이부(14)가 반원형으로 라운드지게 절곡되면 상기 수용홈(21)도 중앙부측이 상기 수용홈(21)의 외측으로 볼록하게 라운드진 원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손잡이부(14)가 상기 수용홈(21)에 삽입되면 상기 회전손잡이부(14)의 내면(14a)과 상기 수용홈(21)의 내측 하면(23)이 전체적으로 선접촉 또는 면접촉 지지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조리용기(100)의 견인이동시 상기 회전손잡이부(14)와 상기 단열손잡이부(20) 간의 유동이 방지되므로 안정적이다.Meanwhile, referring to FIGS. 3 and 4 , the receiving groove 21 is preferably formed in a shape matched to the inner surface 14a of the rotation handle 14 . That is, when the rotation handle 14 is bent in a semicircular shape, the receiving groove 21 may also be formed in an arc shape with a central portion convexly rounded to the outside of the receiving groove 21 . Therefore, when the rotating handle 14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21, the inner surface 14a of the rotating handle 14 and the inner lower surface 23 of the receiving groove 21 are in line contact or surface as a whole. Contact can be supported. Through this, when the cooking vessel 100 is pulled and moved, movement between the rotation handle 14 and the heat insulation handle 20 is prevented, so that it is stable.

이때, 상기 수용홈(21)은 상기 단열손잡이부(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향 돌출된 한쌍의 측벽돌출부(24) 사이의 내부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회전손잡이부(14)가 상기 수용홈(21)에 삽입된 상태에서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receiving groove 21 is formed inside between a pair of side wall protrusions 24 protruding upwar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eat insulation handle 20 .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rotation handle 14 from escaping to the outside in a state in which it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21 .

더욱이, 상기 회전손잡이부(14)는 도면에서와 같이 한쌍으로 대칭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각 상기 회전손잡이부(14)의 단부는 상기 힌지연결부(11)에 연결되되 각 상기 회전손잡이부(14)의 단부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구비된다. 따라서, 한쌍의 상기 회전손잡이부(14)가 직립 상태에서 상측으로 배치되는 중앙부측이 상호 접촉됨에 따라 삼각형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손잡이부(14)가 단일로 구비되는 경우보다 더욱 안정적인 직립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Moreo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rotation handle 14 is provided symmetrically as a pair as shown in the drawing. In detail, the end of each rotation handle 14 is connected to the hinge connecting portion 11, and the end of each rotation handle 14 is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herefore, the pair of rotation handles 14 may be supported in a triangular shape as the central portions disposed upward in an upright state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Therefore,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more stable upright state than when the rotation handle 14 is provided singly.

이때, 한쌍의 상기 측벽돌출부(24) 사이 간격이 한쌍의 상기 회전손잡이부(14)의 접촉 단면두께에 대응하는 넓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접촉 단면두께라 함은 상기 한쌍의 상기 회전손잡이부(14)가 양측으로 이웃하는 전체적인 수평간격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즉, 한쌍의 상기 회전손잡이부(14)의 단면두께(d2)의 합이 상기 접촉 단면두께인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pair of side wall protrusions 24 is formed in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of the contact section of the pair of rotation knobs 14 . Here, the thickness of the contact section is preferably understood as an overall horizontal interval at which the pair of rotation handles 14 are adjacent to each other on both sides. That is, it is preferable to understand that the sum of the cross-sectional thicknesses d2 of the pair of rotation handles 14 is the contact cross-sectional thickness.

따라서, 한쌍의 상기 회전손잡이부(14)의 중앙부가 상기 수용홈(21)에 동시에 삽입되면 한쌍의 상기 회전손잡이부(14)가 삼각형상으로 지지된 상태가 구속되므로 불필요한 유동/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조리용기(100)의 견인이동시 상기 조리용기(100)가 유동되면서 내부의 가열된 음식이 흘러 넘쳐 주변이 오염되거나 주변인이 화상 위험에 노출되는 문제가 근본적으로 해소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central portion of the pair of rotation handles 14 is simultaneously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21, the pair of rotation handles 14 are restrained in a triangular shape, so unnecessary movement/rotation is restricted. can Through this, when the cooking container 100 is moved when the cooking container 100 is moved, the heated food inside overflows, contaminating the surrounding area or exposing the surrounding people to the risk of burns, can be fundamentally solved.

또한, 한쌍의 상기 측벽돌출부(24)를 통해 한쌍의 상기 회전손잡이부(14)의 중앙부가 상기 자석부(22)와 인접하게 유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자석부(22)의 자력이 한쌍의 상기 회전손잡이부(14)에 전달되면 상호 자화됨에 따라 견고한 부착 고정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entral portion of the pair of rotation handles 14 may be guided adjacent to the magnet portion 22 through the pair of side wall protrusions 24 . Through this, when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part 22 is transmitted to the pair of rotation handle parts 14, a strong attachment and fixation state can be maintained as they are mutually magnetized.

상기 수용홈(21)의 내측 하면(23)에 상기 자석부(22)가 삽입되도록 함몰된 결합홈(26)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홈(26)은 상기 자석부(22)가 형합 삽입되도록 상기 자석부(22)의 부피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함몰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결합홈(26)은 상기 수용홈(21)의 내측 하면(23)에 상기 자석부(22)의 상하길이에 대응하는 깊이(d3)로 형성된다.It is preferable that a recessed coupling groove 26 is formed on the inner lower surface 23 of the receiving groove 21 so that the magnet part 22 is inserted. It is preferable that the coupling groove 26 is recess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volume of the magnet part 22 so that the magnet part 22 is mold-fitted. That is, the coupling groove 26 is formed on the inner lower surface 23 of the receiving groove 21 to a depth d3 corresponding to the vertical length of the magnet part 22 .

더욱이, 상기 결합홈(26)은 상기 자석부(22)의 상하길이에 대응하되 상기 수용홈(21)의 내측 하면(23)과 후술되는 그립면(25) 사이 간격 미만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자석부(22)가 상기 그립면(25)측으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상기 단열손잡이부(20)를 파지시 사용자의 손이 상기 그립면(25)측으로 노출된 상기 자석부(22)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자석부(22)가 상기 회전손잡이부(14)를 통해 열에 의해 가열되더라도 사용자의 손에 직접 접촉됨을 방지하여 안전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Furthermore, the coupling groove 26 corresponds to the upper length of the magnet part 22, but is formed less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inner lower surface 23 of the receiving groove 21 and the grip surface 25 described later.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magnet part 22 from being exposed to the grip surface 25 side, and when the user grips the heat insulation handle part 20, the user's hand is exposed to the grip surface 25 side. Contact with the magnet part 22 can be prevented. Through this, even if the magnet part 22 is heated by heat through the rotation handle part 14, direct contact with the user's hand is prevented, and safety can be further improved.

여기서, 상기 측벽돌출부(24)는 상기 회전손잡이부(14)의 단면두께(d2)를 초과하는 높이(d1)로 돌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수용홈(21)에 상기 회전손잡이부(14)가 삽입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단열손잡이부(20)를 파지하더라도 사용자의 손이 가열된 상기 회전손잡이부(14)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Here, the side wall protruding portion 24 is preferably formed to protrude at a height d1 exceeding the cross-sectional thickness d2 of the rotating handle portion 14 . Therefore, even if the user grips the heat insulation handle 20 in a state in which the rotation handle 14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21, the user's hand does not come into contact with the heated rotation handle 14. It can be prevented.

한편, 상기 단열손잡이부(20)의 하부에 상기 그립면(25)이 상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사용자가 손으로 상기 단열손잡이부(20)를 감싸 파지시 그립감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손이 상기 그립면(25)의 오목한 부분을 통해 상기 단열손잡이부(20)의 길이방향 중앙측으로 안정적으로 유도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손이 상기 단열손잡이부(20)의 길이방향 외측으로 노출된 상기 손잡이부에 불필요하게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화상 등과 같은 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grip surface 25 is concave upwardly at the lower part of the heat insulating handle part 20 . Therefore, when the user wraps the heat insulation handle 20 with his/her hand, the feeling of grip can be remarkably improved. In addition, the user's hand can be stably guided toward the central side of the heat insulating handle 2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rough the concave portion of the grip surface 25 and disposed thereon. Through this, since the user's hand is prevented from unnecessarily contacting the handle part exposed to the out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eat insulation handle part 20, safety accidents such as burns can be prevented in advance.

이때, 도면에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상기 그립면(25)에는 논슬립면이 더 형성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상기 단열손잡이부(20)를 파지시 미끄러지면서 상기 조리용기(100)를 놓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At this tim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 non-slip surface may be further formed on the grip surface 25 . Through this, safety can be further improved by preventing the user from missing the cooking vessel 100 while slipping while gripping the heat insulation handle 20 .

더불어, 상기 자석부(22)의 상면은 상기 수용홈(21)의 내측 하면(23)과 연속적인 윤곽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수용홈(21)의 내측 하면(23)이 기설정된 반지름값을 갖는 원호형인 경우 상기 자석부(22)의 상면도 상기 반지름값에 대응하는 원호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결합홈(26)에 상기 자석부(22)가 삽입되더라도 상기 수용홈(21)의 내측 하면에 불필요한 돌출구조 없이 연속적인 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magnet part 22 is formed in a continuous contour with the inner lower surface 23 of the receiving groove 21. That is, when the inner lower surface 23 of the receiving groove 21 has an arc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radius value, the upper surface of the magnet part 22 may also be formed in an arc shape corresponding to the radius value. Therefore, even if the magnet part 22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26, the inner lower surface of the receiving groove 21 can be formed as a continuous surface without unnecessary protruding structures.

또한, 도면에는 상기 자석부(22)가 하나인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상기 자석부(22)는 상기 단열손잡이부(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이격되어 구비될 수도 있으며, 상기 자석부(22)의 형상 역시 원기둥형, 각기둥형 등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단열손잡이부(20)가 자력을 통해 상기 회전손잡이부(14)에 부착될 수 있는 구조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In addition, although the drawing shows that the magnet part 22 is one, the magnet part 22 may be provided in a plurality spaced apar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eat insulating handle part 20, and the magnet part 22 The shape of may also be provided in various forms such as a cylindrical shape and a prismatic shape. That is, any structure in which the heat insulation handle 20 can be attached to the rotation handle 14 through magnetic force fall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조리용기(100)는 상기 회전손잡이부(14)가 수평 배치되도록 힌지 회전시켜 보관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손잡이부(14)가 수평 배치되면 상기 용기본체부(10)의 상측 및 외측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므로 상기 조리공간(10a)이 개방된다. 따라서, 상기 용기본체부(10)의 내부에 다른 조리용기(100) 등을 적층 보관할 수 있어 공간활용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5 and 6 , the cooking container 100 may be stored by rotating the hinge so that the rotation handle 14 is horizontally disposed. Here, when the rotation handle 14 is horizontally disposed, the cooking space 10a is opened because it is spaced apart from the upper and outer sides of the container body 10 at predetermined intervals. Accordingly, since other cooking vessels 100 and the like can be stacked and stored inside the container body 10, space utilization can be remarkably improved.

이때, 상기 힌지연결부(11)에는 상기 회전손잡이부(14)의 힌지 회전각도를 구속하는 스토퍼돌기가 돌설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돌기는 상기 회전손잡이부(14)의 직립 배치시 회전각도를 구속하는 제1스토퍼돌기(12)와 상기 회전손잡이부(14)의 수평 배치시 회전각도를 구속하는 제2스토퍼돌기(13)를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a stopper protrusion for restricting the rotation angle of the hinge of the rotation knob 14 may protrude from the hinge connecting portion 11 . The stopper protrusion includes a first stopper protrusion 12 for restricting the rotation angle when the rotation handle 14 is placed upright and a second stopper protrusion 13 for restricting the rotation angle when the rotation handle 14 is horizontally arranged. ) may be included.

따라서, 상기 회전손잡이부(14)는 상기 제1스토퍼돌기(12)를 통해 직립 배치시 반대측으로 불필요하게 회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회전손잡이부(14)의 직립상태가 지지될 수 있으며, 상기 회전손잡이부(14)의 각 중앙부가 상기 수용홈(21)에 삽입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Therefore, the rotation handle 14 can be prevented from being unnecessarily rotated to the opposite side when placed upright through the first stopper protrusion 12 . Through this, the upright state of the rotary knob 14 can be supported, and the state in which each center portion of the rotary knob 14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21 can be stably maintained.

또한, 상기 회전손잡이부(14)는 상기 제2스토퍼돌기(13)를 통해 수평 배치시 상기 용기본체부(10)의 상단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손잡이부(14)와 상기 용기본체부(10)의 상단 사이에 상기 측벽돌출부(24)가 삽입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2스토퍼돌기(13)는 상기 용기본체부(10)의 상단 테두리를 기준으로 상측으로 돌출된 길이가 상기 측벽돌출부(24)의 횡방향 두께에 대응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otation handle 14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end of the container body 10 at a predetermined interval when horizontally arranged through the second stopper protrusion 13 . In addition, the side wall protrusion 24 may be inserted between the rotation handle 14 and the upper end of the container body 10 . To this end, the length of the second stopper protrusion 13 protruding upward relative to the upper edge of the container body 10 may correspond to the thickness of the side wall protrusion 24 in the transverse direction.

즉, 상기 조리용기(100)의 보관시 상기 단열손잡이부(20)에 형성된 한쌍의 상기 측벽돌출부(24) 중 하나의 측벽돌출부(24)가 상기 회전손잡이부(14)와 상기 용기본체부(10)의 상단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용홈(21)에 구비된 상기 자석부(22)의 자력을 통해 상기 단열손잡이부(20)가 상기 회전손잡이부(14)에 부착 고정될 수 있다. That is, when the cooking vessel 100 is stored, one of the side wall protrusions 24 of the pair of side wall protrusions 24 formed on the heat insulation handle 20 is connected to the rotation handle 14 and the container body ( 10) can be inserted between the upper ends. In addition, the heat insulation handle 20 may be attached and fixed to the rotation handle 14 through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part 22 provided in the receiving groove 21 .

이처럼, 본 발명은 상기 단열손잡이부(20)가 상기 용기본체부(10) 및 상기 회전손잡이부(14)와 별도로 분리되어 구비되더라도 자력을 통해 상기 회전손잡이부(14)에 부착 고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단열손잡이부(20)를 상기 용기본체부(10)와 실질적으로 세트로 보관할 수 있어 분실위험이 현저히 감소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상기 단열손잡이부(20)를 손쉽게 이격 분리할 수 있으므로 사용편의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As such, in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heat insulation handle 20 is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container body 10 and the rotation handle 14, it can be attached and fixed to the rotation handle 14 through magnetic force. . Through this, since the heat insulation handle 20 and the container body 10 can be stored as a set, the risk of loss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In addition, since the heat insulation handle 20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each other as needed, convenience of use can be remarkably improved.

더욱이, 상기 단열손잡이부(20)는 손잡이가 강자성체 또는 상자성체이고 상기 손잡이의 두께가 상기 수용홈(21)의 단면적 미만인 경우 기양산된 다른 조리용기(100)에도 호환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활용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도 있다.Moreover, when the handle is a ferromagnetic material or a paramagnetic material and the thickness of the handle is less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receiving groove 21, the heat insulation handle part 20 can be used compatible with other mass-produced cooking vessels 100, so the usability is remarkable. may be improved.

한편,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On the other hand, terms such as "comprise", "comprise", "have" or "have" described above mean that the corresponding component may be present unless otherwise stated, It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able to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rather than excluding components.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unless defined otherwise. Commonly used terms, such as terms defined in a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y are not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it is possible to modify and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claimed in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uch modification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용기본체부 14: 회전손잡이부
20: 단열손잡이부 21: 수용홈
22: 자석부 25: 그립면
100: 단열손잡이부가 구비된 조리용기
10: container body part 14: rotation handle part
20: heat insulation handle 21: receiving groove
22: magnet part 25: grip surface
100: Cooking vessel equipped with an insulated handle

Claims (5)

상측으로 개방되며 내부에 조리공간이 형성된 용기본체부;
양단이 상기 용기본체부의 양단에 힌지 회전되어 선택적으로 직립되도록 연결되며 강자성체 또는 상자성체 소재로 형성되되 직립 상태에서 상측으로 배치되는 중앙부측이 상호 접촉됨에 따라 삼각형상으로 지지되도록 한쌍으로 구비되는 회전손잡이부; 및
상기 회전손잡이부의 중앙측 하부가 지지되어 상기 용기본체부를 상측으로 견인이동하도록 상기 회전손잡이부의 중앙부가 삽입되는 수용홈이 길이방향을 따라 상측으로 개구 형성되되, 상기 수용홈에 자력을 통해 상기 회전손잡이부에 부착 고정되도록 자석부가 구비된 단열손잡이부를 포함하되,
상기 수용홈은 상기 단열손잡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향 돌출된 한쌍의 측벽돌출부 사이의 내부에 형성되되 상기 측벽돌출부는 상기 회전손잡이부의 단면두께를 초과하는 높이로 돌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손잡이부가 구비된 조리용기.
A container body portion that is open upward and has a cooking space formed therein;
Both ends are hingedly rotated at both ends of the container body portion to be selectively connected to be upright, and formed of ferromagnetic or paramagnetic material, but as the center portion disposed upward in an upright state contacts each other, a pair of rotating handles provided to be supported in a triangular shape ; and
An accommodation groove into which the central portion of the rotary handle is inserted is opened upwar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lower center of the rotary handle is supported and the container body is pulled upward, and the rotary handle is opened through magnetic force in the receiving groove. Including a heat insulation handle portion provided with a magnet portion to be attached and fixed to the portion,
The accommodation groove is formed inside between a pair of side wall projections protruding upwar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eat insulation handle, and the side wall projection is provided with a heat insulation handle, characterized in that it protrudes to a height exceeding the cross-sectional thickness of the rotary handle cooking utensil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부는 영구자석으로 구비되되 상기 수용홈의 내측 하면에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손잡이부가 구비된 조리용기.
According to claim 1,
The magnet portion is provided as a permanent magnet and is provided on an inner lower surface of the receiving groov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의 내측 하면은 상기 회전손잡이부의 내면에 형합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수용홈의 내면에 상기 자석부가 삽입되는 결합홈이 상기 자석부의 길이에 대응하는 깊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손잡이부가 구비된 조리용기.
According to claim 1,
The inner lower surface of the receiving groove is formed in a shape mat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rotation handle portion, and a coupling groove into which the magnet portion is inserted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receiving groove to a dep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magnet portion. Cooking utensils provid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손잡이부는 상기 용기본체부에 힌지 결합되는 단부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한쌍으로 구비되되,
한쌍의 상기 측벽돌출부 사이 간격이 한쌍의 상기 회전손잡이부의 접촉 단면두께에 대응하는 넓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손잡이부가 구비된 조리용기.
According to claim 1,
The rotating handle portion is provided with a pair of ends hinged to the container body portion spaced a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A cooking container with a heat-insulating handle, characterized in that the gap between the pair of side wall protrusions is formed to a width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of the contact section of the pair of rotation handl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손잡이부의 하부에 그립면이 상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손잡이부가 구비된 조리용기.
According to claim 1,
The cooking container provided with a heat-insulated handle, characterized in that the grip surface is formed concave upwar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heat-insulated handle.
KR1020220080437A 2022-06-30 2022-06-30 cooking pot having heat insulating handle KR10246682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0437A KR102466823B1 (en) 2022-06-30 2022-06-30 cooking pot having heat insulating hand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0437A KR102466823B1 (en) 2022-06-30 2022-06-30 cooking pot having heat insulating hand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6823B1 true KR102466823B1 (en) 2022-11-16

Family

ID=84235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0437A KR102466823B1 (en) 2022-06-30 2022-06-30 cooking pot having heat insulating hand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6823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9811Y1 (en) * 2003-04-23 2003-07-12 임건빈 Installation handle for kitchen utensil
KR200468783Y1 (en) * 2013-01-26 2013-09-06 장미성 Both sides of the handle types for pot holding devices
KR200475664Y1 (en) 2013-02-21 2014-12-22 주식회사 동원금속 Potable cooker and cooker set including the same
KR101476340B1 (en) * 2014-09-05 2014-12-24 이태리 cooker having divisible type grip
KR102331192B1 (en) * 2020-08-18 2021-11-24 서경찬 A cooking vessel having a stirring function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9811Y1 (en) * 2003-04-23 2003-07-12 임건빈 Installation handle for kitchen utensil
KR200468783Y1 (en) * 2013-01-26 2013-09-06 장미성 Both sides of the handle types for pot holding devices
KR200475664Y1 (en) 2013-02-21 2014-12-22 주식회사 동원금속 Potable cooker and cooker set including the same
KR101476340B1 (en) * 2014-09-05 2014-12-24 이태리 cooker having divisible type grip
KR102331192B1 (en) * 2020-08-18 2021-11-24 서경찬 A cooking vessel having a stirring func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57038A (en) Cooking pot with reversible multi-function top
US5867867A (en) Pan handle hand grip
US5829342A (en) Cooker assembly
US20050034611A1 (en) Cooking apparatus
US7140506B1 (en) Slow cooker with lid clamp
US20090087534A1 (en) Cooking apparatus
CA2299114A1 (en) Cooking pot with reversible multi-function top
US9211034B2 (en) Utensil with simplified handling
JP2004283342A (en) Cooking vessel
US5924592A (en) Unitable utensils and container handles
US20050172948A1 (en) Grill assembly
KR102466823B1 (en) cooking pot having heat insulating handle
US20090158940A1 (en) Kitchen appliance for heating foodstuff
EP2769655B1 (en) A detachable handle for pans
KR20100030481A (en) Cooking vessel
CA2277314A1 (en) Cooking vessel
US4179039A (en) Closure fastening means
US2432792A (en) Detachable handle for reversible cooking utensils
JP3123150U (en) Cooking container
EP4032443A1 (en) Device for heating food
KR200297807Y1 (en) Structure of removable adiabatic handle grip for carrying a cooking utensil
KR102460952B1 (en) Induction grill for both cutting board and cover
JPH08243014A (en) Heat insulating cooking pot
CN217852560U (en) Frying pan capable of ensuring food to be heated uniformly
CA2054262A1 (en) Po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