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6787B1 - 선택적 촉매 환원 시스템 및 동력 장치 - Google Patents

선택적 촉매 환원 시스템 및 동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6787B1
KR102466787B1 KR1020160067415A KR20160067415A KR102466787B1 KR 102466787 B1 KR102466787 B1 KR 102466787B1 KR 1020160067415 A KR1020160067415 A KR 1020160067415A KR 20160067415 A KR20160067415 A KR 20160067415A KR 102466787 B1 KR102466787 B1 KR 1024667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engine
unit
catalyst
exhaust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74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35457A (ko
Inventor
김석하
유창성
최종태
Original Assignee
에이치에스디엔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치에스디엔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치에스디엔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674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6787B1/ko
Publication of KR201701354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54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67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67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 F01N3/1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 F01N3/1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characterised by methods of operation; Control
    • F01N3/2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characterised by methods of operation;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catalytic conversion ; Methods of operation or control of catalytic converters
    • F01N3/2066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SC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2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 F01N3/021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by means of filters
    • F01N3/023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by means of filters using means for regenerating the filters, e.g. by burning trapped particles
    • F01N3/029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by means of filters using means for regenerating the filters, e.g. by burning trapped particles by adding non-fuel substances to exhaust
    • F01N3/0293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by means of filters using means for regenerating the filters, e.g. by burning trapped particles by adding non-fuel substances to exhaust injecting substances in exhaust stream
    • F01N3/0296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by means of filters using means for regenerating the filters, e.g. by burning trapped particles by adding non-fuel substances to exhaust injecting substances in exhaust stream having means for preheating additional substan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9/00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 F02D19/06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peculiar to engines working with pluralities of fuels, e.g. alternatively with light and heavy fuel oil, other than engines indifferent to the fuel consumed
    • F02D19/0602Control of components of the fuel supply system
    • F02D19/0613Switch-over from one fuel to anoth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570/00Exhaust treating apparatus eliminating, absorbing or adsorbing specific elements or compounds
    • F01N2570/14Nitrogen ox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590/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adapted to particular use, e.g. for military applications, airplanes, submarines
    • F01N2590/02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adapted to particular use, e.g. for military applications, airplanes, submarines for marine vessels or naval appl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610/00Adding substances to exhaust gases
    • F01N2610/02Adding substances to exhaust gases the substance being ammonia or ure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610/00Adding substances to exhaust gases
    • F01N2610/14Arrangements for the supply of substances, e.g. conduits
    • F01N2610/1453Sprayers or atomisers; Arrangement thereof in the exhaust apparat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30Use of alternative fuels, e.g. biofu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xhaust Gas After Trea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서로 다른 종류의 연료가 각각 저장된 복수의 연료 탱크 중 어느 하나의 연료 탱크로부터 선택적으로 연료를 공급받아 동력을 발생시키는 엔진에서 배출된 배기가스의 질소산화물을 저감시키는 선택적 촉매 환원 시스템은 상기 복수의 연료 탱크에서 공급하는 상기 연료의 점도를 측정하는 점도 센서와, 상기 엔진에서 배출된 상기 배기가스에 함유된 질소산화물을 저감시키기 위한 촉매가 설치된 반응기와, 상기 점도 센서를 거쳐 상기 엔진에 공급되는 연료의 온도를 승온시키기 위한 연료 프리 히터(pre-heater)와, 상기 반응기로 유입되는 상기 배기가스에 환원제를 공급하는 환원제 공급부, 그리고 상기 점도 센서가 측정한 점도 변화에 따라 상기 연료의 변경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연료 프리 히터 또는 상기 환원제 공급부 중 하나 이상에 대한 가동 필요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선택적 촉매 환원 시스템 및 동력 장치{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SYSTEM AND POWER GENER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선택적 촉매 환원 반응을 이용하여 배기가스에 함유된 질소산화물을 저감시키는 선택적 촉매 환원 시스템과 배기가스를 배출하는 동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 등에 사용되는 동력 장치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디젤 엔진과, 디젤 엔진에 소기용 공기를 공급하는 과급기(turbocharger), 그리고 디젤 엔진에서 배출된 배기가스가 함유한 질소산화물을 저감시키는 선택적 촉매 환원(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SCR) 시스템 등을 포함한다.
선택적 촉매 환원 시스템은 촉매가 내부에 설치된 반응기에 배기가스와 환원제를 함께 통과시키면서 배기가스에 함유된 질소산화물과 환원제를 반응시켜 질소와 수증기로 환원 처리한다.
그런데 선박의 경우, 선박에서 배출되는 질소산화물(NOx) 및 황산화물(Sox)의 배출량이 배출 통제 지역(emission control area, ECA)에서 엔진 국제 대기 오염 방지 3차 규제(IMO Tier-III)를 만족시킬 수 있도록 디젤 엔진 및 선택적 촉매 환원 시스템의 성능과 운용이 요구된다.
이에, 선박용 디젤 엔진의 효율적인 운용을 위하여 배출 통제 지역 내에서와 배출 통제 지역 외에서 디젤 엔진에 다른 연료를 공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구체적으로, 배출 통제 지역 외에서는 고유황 연료유(high sulfur feul oil, HFO)를 사용하다가 선박이 배출 통제 지역으로 진입하기 전에 저유황 연료유(Marine Gas oil, MGO)로 교체하고 있다. 일례로, 저유황 연료유는 황 함유량이 0.1% 이하가 되도록 탈황된 연료유이다.
하지만, 배출 통제 지역 내에서 질소산화물(NOx) 배출량에 대한 규제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단순히 디젤 엔진에 공급하는 연료만 교체하는 것으로는 어려움이 있다.
즉, 선박용 디젤 엔진 및 선택적 촉매 환원 시스템의 효율적인 운용을 위하여는 단순히 디젤 엔진에 공급하는 연료만 교체하는 것이 아니라 디젤 엔진과 선택적 촉매 환원 시스템의 효과적인 운전 제어도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효율적인 운용이 가능한 선택적 촉매 환원 시스템 및 동력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서로 다른 종류의 연료가 각각 저장된 복수의 연료 탱크 중 어느 하나의 연료 탱크로부터 선택적으로 연료를 공급받아 동력을 발생시키는 엔진에서 배출된 배기가스의 질소산화물을 저감시키는 선택적 촉매 환원 시스템은 상기 복수의 연료 탱크에서 공급하는 상기 연료의 점도를 측정하는 점도 센서와, 상기 엔진에서 배출된 상기 배기가스에 함유된 질소산화물을 저감시키기 위한 촉매가 설치된 반응기와, 상기 점도 센서를 거쳐 상기 엔진에 공급되는 연료의 온도를 승온시키기 위한 연료 프리 히터(pre-heater)와, 상기 반응기로 유입되는 상기 배기가스에 환원제를 공급하는 환원제 공급부, 그리고 상기 점도 센서가 측정한 점도 변화에 따라 상기 연료의 변경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연료 프리 히터 또는 상기 환원제 공급부 중 하나 이상에 대한 가동 필요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한 선택적 촉매 환원 시스템은 상기 연료 프리 히터를 거친 상기 연료의 점도를 측정하는 추가의 점도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선택적 촉매 환원 시스템은 상기 반응기에 설치된 상기 촉매를 예열시키는 촉매 예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점도 센서가 측정한 점도 변화에 따라 상기 연료의 변경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촉매 예열부의 가동 필요 여부를 상기 연료 프리 히터 또는 상기 환원제 공급부의 가동 필요 여부와 함께 판단할 수 있다.
상기한 선택적 촉매 환원 시스템은 상기 제어부가 제공하는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사용자가 상기 연료 프리 히터, 상기 촉매 예열부, 또는 상기 환원제 공급부 중 하나 이상의 작동 여부를 지시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료가 변경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연료 프리 히터, 상기 촉매 예열부, 또는 상기 환원제 공급부 중 하나 이상의 가동 필요 여부에 대한 판단 결과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부의 입력 결과에 따라 상기 연료 프리 히터, 상기 촉매 예열부, 또는 상기 환원제 공급부 중 하나 이상을 가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료가 변경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연료 프리 히터, 상기 촉매 예열부, 또는 상기 환원제 공급부 중 하나 이상을 가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환원제 공급부를 가동시키기 이전에 상기 촉매 예열부를 먼저 가동시킬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연료 탱크는 상대적으로 점도가 높은 제1 연료를 저장하는 제1 연료 탱크와, 상대적으로 점도가 낮은 제2 연료를 저장하는 제2 연료 탱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점도 센서의 측정 결과에 따라, 상기 제어부가 상기 엔진에 공급되는 연료가 상기 제1 연료에서 상기 제2 연료로 변경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촉매 예열부 또는 상기 환원제 공급부 중 하나 이상을 가동시키고, 상기 연료 프리 히터는 가동 정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점도 센서의 측정 결과에 따라, 상기 제어부가 상기 엔진에 공급되는 연료가 상기 제2 연료에서 상기 제1 연료로 변경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료 프리 히터를 가동시키고, 상기 촉매 예열부 및 상기 환원제 공급부는 가동 정지시킬 수 있다.
상기 촉매 예열부는 상기 반응기의 후단과 상기 반응기의 전단을 연결하는 예열 유로와, 상기 예열 유로 상에 설치되어 상기 예열 유로를 이동하는 유체를 승온시키는 가열 장치, 그리고 상기 예열 유로 상에 설치되어 상기 가열 장치가 승온시킨 유체를 순환시키는 블로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동력 장치는 상이한 성분의 연료가 각각 저장된 복수의 연료 탱크와, 상기 복수의 연료 탱크로부터 연료를 공급받아 동력을 발생시키는 엔진과, 상기 복수의 연료 탱크와 상기 엔진을 연결하는 연료 공급 라인과, 상기 연료 공급 라인에 설치되어 상기 엔진에 공급되는 연료의 종류를 변경시키는 연료 전환 밸브, 그리고 상기한 선택적 촉매 환원 시스템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동력 장치는 상이한 성분의 연료가 각각 저장된 복수의 연료 탱크와, 상기 복수의 연료 탱크로부터 연료를 공급받아 동력을 발생시키는 엔진과, 상기 복수의 연료 탱크와 상기 엔진을 연결하는 연료 공급 라인과, 상기 연료 공급 라인에 설치되어 상기 엔진에 공급되는 연료의 종류를 변경시키는 연료 전환 밸브와, 상기 복수의 연료 탱크에서 공급하는 상기 연료의 점도를 측정하는 점도 센서와, 상기 점도 센서를 거쳐 상기 엔진에 공급되는 연료의 온도를 승온시키는 연료 프리 히터(pre-heater)와, 상기 엔진의 배기가스에 함유된 질소산화물을 저감하기 위한 질소산화물 저감장치, 그리고 상기 점도 센서가 측정한 상기 연료의 점도 변화에 따라 상기 연료의 변경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연료 프리 히터의 가동 여부, 상기 엔진의 운전 상태 변경 필요 여부, 또는 상기 질소산화물 저감장치의 가동 필요 여부 중 하나 이상을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한 동력 장치는 상기 연료 프리 히터를 거친 상기 연료의 점도를 측정하는 추가의 점도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연료 탱크는 상대적으로 점도가 높은 제1 연료를 저장하는 제1 연료 탱크와, 상대적으로 점도가 낮은 제2 연료를 저장하는 제2 연료 탱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점도 센서의 측정 결과에 따라, 상기 제어부가 상기 엔진에 공급되는 연료가 상기 제1 연료에서 상기 제2 연료로 변경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료 프리 히터를 가동 정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점도 센서의 측정 결과에 따라, 상기 제어부가 상기 엔진에 공급되는 연료가 상기 제2 연료에서 상기 제1 연료로 변경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료 프리 히터를 가동시킬 수 있다.
상기 질소산화물 저감장치는 상기 엔진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에 함유된 질소 산화물을 저감시키기 위해 상기 엔진에 설치된 배기가스 재순환 장치와, 상기 엔진에서 배출된 상기 배기가스에 함유된 질소산화물을 저감시키기 위한 촉매가 설치된 반응기 및 상기 반응기로 유입되는 상기 배기가스에 환원제를 공급하는 환원제 공급부를 구비한 선택적 촉매 환원 시스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력 장치는 표시부와, 사용자로부터 상기 질소산화물 저감장치의 가동여부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엔진의 운전 상태 변경 여부 또는 상기 선택적 촉매 환원 시스템 및 상기 배기가스 재순환 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가동 여부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부의 입력 결과에 따라서 상기 엔진의 운전 상태를 변경하거나 상기 선택적 촉매 환원 시스템 및 상기 배기가스 재순환 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가동시킬 수 있다.
상기 질소산화물 저감장치는 상기 엔진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에 함유된 질소 산화물을 저감시키기 위해 상기 엔진에 설치된 배기가스 재순환 장치와, 상기 엔진에서 배출된 상기 배기가스에 함유된 질소산화물을 저감시키기 위한 촉매가 설치된 반응기 및 상기 반응기로 유입되는 상기 배기가스에 환원제를 공급하는 환원제 공급부를 구비한 선택적 촉매 환원 시스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엔진의 운전상태 변경이 필요하거나 상기 질소산화물 저감장치의 가동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엔진의 출력을 제한하거나 상기 배기가스 재순환 장치 및 상기 선택적 촉매환원 시스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가동시킬 수 있다.
상기 선택적 촉매 환원 시스템은 상기 엔진에서 배출된 상기 배기가스에 함유된 질소산화물을 저감시키기 위한 촉매가 설치된 반응기 및 상기 반응기로 유입되는 상기 배기가스에 환원제를 공급하는 환원제 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점도 센서에 의해 측정된 상기 엔진에 공급되는 상기 연료의 점도 변화에 따라 상기 환원제 공급부의 가동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선택적 촉매 환원 시스템은 상기 반응기에 설치된 상기 촉매를 예열시키는 촉매 예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환원제 공급부를 가동시키기 이전에 상기 촉매 예열부를 먼저 가동시킬 수 있다.
상기 선택적 촉매 환원 시스템은 상기 엔진에서 배출된 상기 배기가스에 함유된 질소산화물을 저감시키기 위한 촉매가 설치된 반응기와, 상기 반응기에 설치된 상기 촉매를 예열시키는 촉매 예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점도 센서에 의해 측정된 상기 엔진에 공급되는 상기 연료의 점도 변화에 따라 상기 촉매 예열부의 가동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촉매 예열부는 상기 반응기의 후단과 상기 반응기의 전단을 연결하는 예열 유로와, 상기 예열 유로 상에 설치되어 상기 예열 유로를 이동하는 유체를 승온시키는 가열 장치, 그리고 상기 예열 유로 상에 설치되어 상기 가열 장치가 승온시킨 유체를 순환시키는 블로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선택적 촉매 환원 시스템 및 동력 장치는 효율적인 운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촉매 환원 시스템 및 동력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엔진에 공급되는 연료의 교체에 따른 연료의 온도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촉매 환원 시스템 및 동력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촉매 환원 시스템 및 동력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촉매 환원 시스템 및 동력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촉매 환원 시스템 및 동력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촉매 환원 시스템 및 동력 장치의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 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적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축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둘 이상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조물, 요소 또는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촉매 환원 (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SCR) 시스템(301) 및 이를 포함한 동력 장치(101)를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력 장치(101)는 복수의 연료 탱크(281, 282), 연료 공급 라인(285), 연료 전환 밸브(270), 엔진(200), 그리고 선택적 촉매 환원 시스템(301)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연료 탱크(281, 282)는 각각 상이한 성분의 연료를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연료 탱크(281, 282)는 제1 연료 탱크(281)와 제2 연료 탱크(28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연료 탱크(281)에는 제1 연료가 저장되고 제2 연료 탱크(282)에는 제2 연료가 저장될 수 있다. 일례로, 제1 연료는 고유황 연료유(high sulfur fuel oil, HFO)일 수 있으며, 제2 연료는 저유황 연료유(Marine Gas oil, MGO)일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제1 실시예가 전술한 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복수의 연료 탱크(281, 282)는 3개 이상의 연료 탱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연료 및 제2 연료로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지된 다양한 연료가 사용될 수 있다.
엔진(200)은 복수의 연료 탱크(281, 282)로부터 연료를 공급받아 동력을 발생시키면서 배기가스를 배출한다. 이때, 엔진(200)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는 황산화물(Sox)과 질소산화물(NOx)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엔진(200)은 2행정 저속 디젤 엔진일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제1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엔진(200)은 4행 중속 디젤 엔진일 수도 있다. 또한, 복수의 엔진(200)이 사용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2행정 저속 디젤 엔진과 4행 중속 디젤 엔진이 혼용될 수 있다. 이때, 2행정 저속 디젤 엔진은 선박에 추친력을 제공하는 주동력원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4행 중속 디젤 엔진은 발전용 또는 보조 동력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엔진(200)이 반드시 선박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차량용 엔진일 수도 있다. 즉, 엔진(200)으로는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지된 다양한 종류의 엔진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동력 장치(101)는 과급기(turbo charg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과급기는 엔진(200)의 배기구와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과급기는 엔진(200)에서 배출된 배기가스의 압력에 의해 회전되는 터빈과, 터빈으로부터 동력을 전달 받아 엔진(200)으로 공급되는 공기를 압축하는 압축기를 포함할 수 있다.
연료 공급 라인(285)은 복수의 연료 탱크(281, 282)와 엔진(200)을 연결시킨다. 즉, 연료 공급 라인(285)은 복수의 연료 탱크(281, 282)에 저장된 연료를 엔진(200)에 공급한다.
연료 전환 밸브(270)는 연료 공급 라인(285) 상에 설치된다. 그리고 연료 전환 밸브(270)는 엔진(200)에 공급되는 연료의 종류를 변경시킬 수 있다. 즉, 연료 전환 밸브(270)는 제1 연료 탱크(281)에 저장된 제1 연료와 제2 연료 탱크(282)에 저장된 제 연료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엔진(200)에 공급할 수 있다.
즉, 연료 전환 밸브(270)는 제1 위치에 있을 경우 제1 연료를 상기 엔진(200)에 공급하고 제2 위치에 있을 경우 제2 연료를 상기 엔진(200)에 공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연료 전환 밸브(270)의 작동 위치는 제1 위치 및 제2 위치 사이로 변경될 수 있으며, 이러한 연료 전환 밸브(270)의 위치 정보는 후술할 제어부(700), 후술할 연료 감지부(810), 또는 밸브 정보 수신부(미도시) 중 하나 이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연료 전환 밸브(270)는 2종류의 연료만 선택적으로 엔진(200)으로 공급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필요 시, 3종류 이상의 연료를 선택적으로 엔진(200)에 공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연료 전환 밸브(270)는 하나 이상의 밸브로 마련될 수도 있다.
배기 유로(610)는 엔진(200)에서 배출된 배기가스를 이동시킨다. 또한, 동력 장치(101)가 과급기를 포함한 경우, 배기 유로(610)는 엔진(200)과 과급기(미도시) 그리고 후술할 선택적 촉매 환원 시스템(301)의 반응기(300)를 순차적으로 연결한다. 즉, 엔진(200)에서 배출된 배기가스는 배기 유로(610)를 따라 이동하여 반응기(300)에 유입된다.
선택적 촉매 환원(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SCR) 시스템(301)은 엔진(200)의 동력 발생 과정에서 배출된 배기가스에 함유된 질소산화물(NOx)를 저감시킨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촉매 환원 시스템(301)은 연료 감지부(810), 반응기(300), 환원제 공급부(500), 촉매 예열부(400), 및 제어부(700)를 포함한다.
반응기(300)는 배기 유로(610) 상에 설치된다. 또한, 반응기(300)는 엔진(200)에서 배출된 배기가스에 함유된 질소산화물(NOx)을 저감시키기 위한 촉매(350)를 포함한다. 촉매(350)는 배기가스에 함유된 질소산화물(NOx)과 환원제의 반응을 촉진시켜 질소산화물(NOx)을 질소와 수증기로 환원 처리한다.
또한, 반응기(300)의 내부에 설치되는 촉매(350)는 배기가스의 이동 방향을 기준으로 다층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촉매(350)가 복수의 촉매 모듈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복수의 촉매 모듈은 배기가스의 이동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촉매(350)는 제올라이트(Zeolite), 바나듐(Vanadium), 및 백금(Platinum) 등과 같이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지된 다양한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일례로, 촉매(350)는 섭씨 250도 내지 섭씨 350도 범위 내의 활성 온도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활성 온도는 촉매(350)가 피독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질소산화물을 환원시킬 수 있는 온도를 말한다. 촉매(350)가 활성 온도 범위를 벗어난 환경에서 반응하면, 촉매(350)가 피독되면서 효율이 저하된다.
예를 들어, 섭씨 150도 이상 섭씨 250도 미만의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에서 배기가스가 함유한 질소산화물을 저감시키기 위한 환원 반응이 일어나면, 배기가스의 황산화물(SOx)과 암모니아(NH3)가 반응하여 촉매 피독 물질이 생성된다.
구체적으로, 촉매(350)를 피독시키는 피독 물질은 황산암모늄(Ammonium sulfate, (NH4)2SO4)과 아황산수소암모늄(Ammonium bisulfate, NH4HSO4)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촉매 피독 물질은 촉매(350)에 흡착되어 촉매(350)의 활성을 저하시킨다. 촉매 피독 물질은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 즉 섭씨 350도 내지 섭씨 450도 범위 내의 온도에서 분해되므로, 반응기(300) 내의 촉매(350)를 승온시켜 피독된 촉매(350)를 재생할 수 있다.
환원제로는 암모니아(NH3) 또는 우레아(urea, CO(NH2)2)가 사용될 수 있다. 환원제로 우레아(urea)가 사용될 경우, 우레아(urea, CO(NH2)2)를 가수분해 또는 열분해시켜 암모니아(NH3)와 이소시안산(Isocyanic acid, HNCO)을 생성한다. 그리고 이소시안산(HNCO)은 다시 암모니아(NH3)와 이산화탄소(CO2)로 분해한다. 이와 같이, 우레아를 분해시켜 최종적으로 암모니아를 생성한다. 그리고 암모니아(NH3)는 질소산화물과 직접 반응하는 최종적인 환원제의 역할을 한다. 즉, 우레아(urea, CO(NH2)2)와 이소시안산(Isocyanic acid, HNCO)은 환원제 전구체에 해당한다.
또한, 반응기(300)의 하우징은, 일례로, 내열성이 우수한 스테인레스 스틸(stainless steel)을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환원제 공급부(500)는 반응기(300)로 유입되는 배기가스에 환원제를 공급한다. 일례로, 환원제 공급부(500)는 반응기(300) 전방의 배기 유로(610) 상에서 배기가스를 향해 환원제 전구체인 우레아(urea, CO(NH2)2) 또는 환원제인 암모니아(NH3)를 분사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전방이라 함은 배기가스의 이동 방향을 기준으로 상류 방향을 의미하고, 후방이라 함은 배기가스의 이동 방향을 기준으로 하류 방향을 의미한다.
환원제 공급부(500)는 엔진(200)의 부하에 따라 변동하는 환원제 요구량을 고려하여 적절한 양의 우레아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으나, 환원제 공급부(500)는 저장 탱크, 분무용 압축 공기 공급 장치 등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지된 다양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선택적 촉매 환원 시스템(301)은 믹싱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믹싱 부재는 배기 유로(610) 상에 설치되어 환원제 공급부(500)에서 분사된 환원제 또는 환원제 전구체가 반응기(300)에 유입되기 전에 배기가스와 효과적으로 혼합될 수 있게 한다.
촉매 예열부(400)는 반응기(300)에 설치된 촉매(350)를 예열시킨다.
구체적으로, 촉매 예열부(400)는 반응기(300)의 후단과 반응기(300)의 전단을 연결하는 예열 유로(480)와, 예열 유로(480) 상에 설치되어 예열 유로(480)를 따라 이동하는 유체를 승온시키는 가열 장치(410), 그리고 예열 유로(480) 상에 설치되어 가열 장치(410)가 승온시킨 유체를 순환시키는 블로워(450)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가열 장치(410)는 오일 버너(oil burner) 또는 플라스마 버너(plasma burner)일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열 장치(410)로 오일 버너 또는 플라스마 버너가 사용될 경우, 가열 장치(410)의 가동에는 산소가 요구될 수 있다. 따라서, 가열 장치(410)로 오일 버너 또는 플라스마 버너가 사용될 경우, 산소를 공급하는 외기 공급부(미도시)가 추가될 수 있다. 즉, 외기 공급부(미도시)는 가열 장치(410)의 가동을 위해 필요한 산소가 공급될 정도의 공기를 가열 장치(410) 또는 예열 유로(480)에 공급할 수 있다.
블로워(450)는 가열 장치(410)에 의해 승온된 유체의 유량과 유속을 제어할 수 있다.
하지만, 촉매 예열부(400)가 전술한 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촉매 예열부(400)는 촉매(350)를 직접적으로 가열하는 전기 히터일 수도 있으며, 촉매 예열부(400)는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지된 다양한 방법으로 촉매(350)를 예열시킬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촉매 예열부(400)는 촉매(350)를 가열하여 재생시킬 수도 있다.
연료 감지부(810)는 상기 엔진(200)에 공급되는 상기 연료의 종류를 감지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연료 감지부(810)는 상기 연료의 물성치(material property)를 통해 상기 연료의 종류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물성치는 상기 연료의 온도(temperature), 점도(viscosity), 연료에 포함된 황(sulfur) 성분의 비율, 연료 성분간의 조성비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도 연료의 종류를 판별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떤 정보라도 연료의 물성치에 해당할 수 있다.
이에, 상기 연료 감지부(810)는 상기 연료의 물성치를 측정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센서는 상기 연료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 상기 연료의 점도을 측정하는 점도 센서, 상기 연료의 황 농도를 측정하는 황 농도 센서, 또는 이들 센서 중 2개 이상을 결합한 다중 센서일 수 있다.
상기 센서들이 상기 선택적 촉매 환원 시스템(301)이 설치될 선박에 이미 설치되어 있는 경우, 상기 연료 감지부(810)는 기 설치된 센서로부터 상기 연료의 물성치 정보를 수신하는 연료 정보 수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상기 연료 감지부(810)는 상기 선택적 촉매 환원 시스템(301)이 설치되는 선박의 엔진(101)의 연료 전환 밸브(810)의 전환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밸브 정보 수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료 전환 밸브(810)는 작업자에 의해서 수동으로 또는 액츄에이터(미도시)에 의해 자동으로 전환될 수 있다. 여기서, 전환 상태 정보라 함은 연료 전환 밸브(270)의 작동 위치 정보이며, 연료 전환 밸브(270)의 작동 위치에 따라서 어떤 종류의 연료가 상기 엔진(101)으로 공급되고 있는지를 알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상기 연료 감지부(810)는 연료의 물성치를 측정하는 센서와 상기 밸브 정보 수신부를 다 함께 포함할 수도 있다. 즉, 제어부(700)는 센서를 통해 측정한 연료의 물성치와 상기 밸브 정보 수신부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조합하여 연료의 종류 및 연료의 변경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연료 감지부(810)로 온도 센서가 사용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연료 감지부(810)는 엔진(200)에 공급되는 연료의 온도를 측정한다. 구체적으로, 온도 센서는 연료 전환 밸브(270)와 엔진(200) 사이의 연료 공급 라인(285) 상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온도 센서는 엔진(200)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때, 제어부(700)는 연료 감지부(810)인 온도 센서가 측정한 연료의 온도 변화에 따라 환원제 공급부(500)의 가동 여부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700)는 온도 센서가 측정한 연료의 온도가 기 설정된 값 미만으로 낮아지면, 환원제 공급부(500)를 가동시킨다. 또한, 제어부(700)는 연료 감지부(810)가 측정한 연료의 온도가 기 설정된 값 이상이 되면 다시 환원제 공급부(500)의 가동을 중단시킬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값은 복수의 연료 탱크(281, 282)에 저장된 연료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선택적 촉매 환원 시스템(30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780)와 사용자 입력부(7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780)는 제어부(700)에 의해서 제어된다. 상기 표시부(780)는 CRT, LCD, OLED 등의 다양한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770)는 사용자(작업자)로부터 상기 선택적 촉매 환원시스템(301)의 구성 요소인 촉매 예열부(400) 및 환원제 공급부(5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가동 여부를 입력받는다. 사용자 입력부(770)는 키보드, 마우스, 터치스크린, 터치패드, 전자펜 등 공지된 다양한 입력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연료 감지부(810)의 감지 신호로부터 상기 연료가 변경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촉매 예열부(400) 및 상기 환원제 공급부(5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가동 필요 여부에 대한 판단한다. 그리고, 상기 판단 결과를 상기 표시부(780)에 표시하고, 사용자의 입력을 기다린다.
상기 사용자 입력부(770)를 통해 사용자의 입력이 있는 경우, 입력 결과에 따라 상기 촉매 예열부(400) 및 상기 환원제 공급부(5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가동시킨다. 즉,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연료 종류가 변경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자동으로 상기 촉매 예열부(400) 및 상기 환원제 공급부(5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가동시킬 수도 있지만, 사용자에게 가동 여부를 상기 표시부(780)에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부(770)를 통해 사용자의 지시가 있는 경우에 비로소 상기 촉매 예열부(400) 및 상기 환원제 공급부(5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가동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엔진(200)에 공급되는 연료가 연료 전환 밸브(270)의 동작에 의해 고유황 연료유인 제1 연료에서 저유황 연료유인 제2 연료로 교체될 경우, 엔진(200)에 공급되는 연료의 온도가 변화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연료 감지부(810)가 측정한 연료의 온도에 근거하여 제어부(700)는 연료의 교체 시점을 판단하고 연료의 교체에 맞추어 선택적 촉매 환원 시스템(301)의 가동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배출 통제 지역으로 진입할 때 연료를 교체하여 황산화물(Sox) 배출량에 대한 규제를 만족시키면서 동시에 선택적 촉매 환원 시스템(301)을 가동하여 질소산화물(NOx) 배출량에 대한 규제도 만족시킬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촉매 환원 시스템(301)을 상시 가동하지 않고 필요한 경우에만 가동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환원제 공급부(500)의 가동 시점과 중단 시점을 연료의 온도를 측정하는 방법만으로 간단하게 결정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선택적 촉매 환원 시스템(301)의 효율적인 운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제어부(700)는 환원제 공급부(500)를 가동시키기 이전에 촉매 예열부(400)를 먼저 가동시킬 수 있다.
이때, 촉매 예열부(400)의 가동 시점은 환원제 공급부(500) 가동 시점의 기준이 되는 기 설정된 온도값보다 높은 온도로 설정될 수 있다. 이에, 연료 교체에 따라 연료의 온도가 낮아져 환원제 공급부(500)가 가동되기 이전에 먼저 촉매 예열부(400)를 가동시킬 수 있다.
또한, 촉매 예열부(400)의 가동 시점은 연료의 온도가 아닌 연료 교체를 위한 사전 작업을 기준으로 삼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연료 교체를 하기 전에 수행되는 점검 단계에서 촉매 예열부(400)를 가동시키거나 연료 전환 밸브(270)에 조작 신호가 전달되는 시점에서 촉매 예열부(400)를 가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연료 전환 밸브(270)가 동작하여 연료의 교체가 시작된 후 연료의 온도가 상승하여 환원제 공급부(500)가 가동하기까지는 소정의 경과 시간이 요구되므로, 연료 전환 밸브(270)에 조작 신호가 전달되는 시점에서 촉매 예열부(400)를 가동시킨다면, 환원제 공급부(500)의 가동보다 촉매 예열부(400)의 가동을 선행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선택적 촉매 환원 시스템(301)을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변형례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변형례에 따르면, 제어부(700)는 연료 감지부(810)가 측정한 연료의 온도 변화에 따라 촉매 예열부(400)의 가동 여부를 제어한다. 즉,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변형례는 제어부(700)가 환원제 공급부(500)에 우선하여 연료의 온도 변화에 따라 촉매 예열부(400)의 가동 여부를 제어하는 점을 제외하면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구체적으로, 제어부(700)는 연료 감지부(810)가 측정한 연료의 온도가 기 설정된 값 미만으로 낮아지면, 촉매 예열부(400)를 가동시킨다.
촉매 예열부(400)는 일정 시간 가동되어 촉매(350)가 예열되면 가동을 중단한다.
이때, 촉매 예열부(400)가 가동되는 시간은 촉매(350)의 현재 온도와, 기후 환경, 그리고 가열 장치(410)의 성능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일례로, 촉매(350)는 촉매 예열부(400)에 의해 섭씨 200도 이상의 온도 승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변형례에 따르면, 연료 감지부(810)가 측정한 연료의 물성치 또는 연료 전환 밸브(270)의 밸브 전환 상태 정보에 근거하여 제어부(700)는 연료의 교체 시점을 판단하고 연료의 교체에 맞추어 선택적 촉매 환원 시스템(301)의 가동을 위한 예열을 시작할 수 있다. 여기서, 연료의 물성치는 연료의 온도, 연료의 점도, 연료의 황성분비, 또는 연료 구성 성분 간의 조성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배출 통제 지역으로 진입할 때 연료를 교체하여 황산화물(Sox) 배출량에 대한 규제를 만족시키면서 동시에 선택적 촉매 환원 시스템(301)을 가동하여 질소산화물(NOx) 배출량에 대한 규제도 만족시킬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촉매 환원 시스템(301)을 상시 가동하지 않고 필요한 경우에만 가동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촉매(350)의 예열 시점을 연료의 물성치를 직접 측정하거나 간접적으로 측정정보를 수신하거나 연료 전환 밸브(270)의 밸브 전환 상태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간단하게 결정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변형례에 따르면, 선택적 촉매 환원 시스템(301)의 효율적인 운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제어부(700)는 촉매 예열부(400)를 가동시킨 이후에 환원제 공급부(500)를 가동시킬 수 있다.
이때, 환원제 공급부(500)의 가동 시점은 촉매(350)가 예열된 이후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변형례에 따른 경우에도, 선택적 촉매 환원 시스템(301)을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동력 장치(102)는, 질소산화물 저감장치를 포함한다. 여기서, 질소산화물 저감장치는 배기가스 재순환장치(240)를 포함한다. 또한, 질소산화물 저감장치는 배기가스 재순환장치(240)외 선택적 촉매환원 시스템(30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동력 장치(102)에서는 제어부(700)가 연료 감지부(810)가 측정한 연료의 물성치 변화에 따라 엔진(200)의 운전을 제어한다. 이때, 연료 감지부(810)는 제1 실시예에서 선택적 촉매 환원 시스템(301)에 사용된 연료 감지부(810)와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700)는 연료 감지부(810)가 측정한 연료의 온도가 기 설정된 값 미만이 되면 엔진(200)의 출력(power), 회전 속도(RPM), 및 부하(load) 중 하나 이상을 제한하거나 배기가스 재순환(EGR)율을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엔진(200)의 운전이 제어되면, 엔진(200)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에 함유된 질소산화물의 함유량이 감소한다. 즉, 엔진(200)의 출력, 회전 속도, 또는 부하를 낮추거나 배기가스 재순환율을 높이면 엔진(200)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에 함유된 질소산화물의 함유량이 감소한다.
예를 들어, 재순환된 배기가스에는 질소(N2)에 비해 열용량이 큰 이산화탄소(CO2)가 많이 함유되어 있어, 동일한 양의 연료를 연소시킬 때 온도상승률이 낮다. 또한 공기에 비해 산소 함량이 적은 배기가스가 연소에 관여하게 됨으로 연소 속도가 감소하여 연소 최고 온도가 낮아지게 된다. 그렇게 되면 질소산화물(NOx)의 양은 현저하게 감소한다. 대신, 엔진(200)의 출력은 감소하게 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동력 장치(102)는, 질소산화물저감장치로서 선택적 촉매 환원 시스템(302) 외에 배기가스를 재순환시키기 위한 배기가스 재순환 장치(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배기가스 재순환 장치(240)는 엔진(200)에서 배출된 배기가스를 다시 엔진(200)으로 유입시키기 위한 재순환 유로(248)와, 재순환 유로(248)를 통해 재순환되는 배기가스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는 재순환 밸브(247)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재순환 밸브(247)는 제어부(700)의 제어를 받을 수 있다.
또한, 제어부(700)는 연료 감지부(810)가 측정한 연료의 물성치(가령, 온도)가 기 설정된 값 이상이 되면 엔진의 출력(power), 회전 속도(RPM), 및 부하(load)에 대한 제한을 해제하거나 배기가스 재순환(EGR)율을 다시 낮출 수 있다.
앞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엔진(200)에 공급되는 연료가 연료 전환 밸브(270)의 동작에 의해 고유황 연료유인 제1 연료에서 저유황 연료유인 제2 연료로 교체될 경우, 엔진(200)에 공급되는 연료의 온도가 변화함을 알 수 있다. 여기서, 도 2는 연료 종류 변경에 따른 온도 변화를 나타내는 일례로서, 연료의 종류가 변경되게 되면 연료의 물성치인 온도 외에도 점도, 황성분비율, 연료 구성성분간의 조성비 등이 변경되게 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연료 감지부(810)가 측정한 연료의 물성치(가령, 온도)에 근거하여 제어부(700)는 연료의 교체 시점을 판단하고 연료의 교체에 맞추어 엔진(200)의 운전을 제어함으로써 배출 통제 지역으로 진입할 때 연료를 교체하여 황산화물(Sox) 배출량에 대한 규제를 만족시키면서 동시에 질소산화물(NOx) 배출량에 대한 규제도 만족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엔진의(200) 효율적인 운용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제어부(700)가 연료 감지부(810)가 측정한 연료의 물성치(가령, 온도)의 변화에 따라 질소산화물 저감장치의 가동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700)는 질소산화물 저감장치로 사용되는 배기가스 재순환 장치(240)를 제어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선택적 촉매 환원 시스템(302)는 연료 감지부(810)가 측정한 연료의 물성치(가령, 온도)의 변화에 따른 제어를 받지 않고 독립적으로 가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700)는 연료 감지부(810)를 통해 연료의 종류가 변경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배기가스 재순환 장치(240)를 제어하고, 선택적 촉매 환원 시스템(302)은 NOx 농도 또는 엔진 부하 등 다른 판단 조건에 따라 별개로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700)가 상기 배기가스 재순환 장치(240)를 제어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배기가스 재순환 장치(240)의 상기 재순환 밸브(247)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700)는 연료의 종류가 변경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자동으로 직접 상기 질소산화물 저감장치를 제어할 수도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사용자에게 질소산화물 저감장치 가동여부를 문의하여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서 질소산화물 저감장치를 가동할 수도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2 실시예에 따른 동력 장치(102)는 상기 사용자에게 질소산화물 저감장치의 가동여부를 문의하기 위한 표시부(780)와, 사용자의 질소산화물 저감장치 가동여부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7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700)는 입력부(770)의 입력결과에 따라서 상기 질소산화물 저감장치를 작동시키거나 정지상태로 유지하거나 작동 정지시킬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700)가 연료 감지부(810)가 측정한 연료의 물성치(가령, 온도)의 변화에 대한 정보에 근거하여 환원제 공급부(500) 및 촉매 예열부(400)를 제어하지 않는 점을 제외하면, 선택적 촉매 환원 시스템(302)은 제1 실시예의 선택적 촉매 환원 시스템(301)과 동일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동력 장치(102)를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동력 장치(103)에서는 제어부(700)는 연료 감지부(810)가 측정한 연료의 물성치(가령, 온도)의 변화에 따라 엔진(200)의 운전을 제어함과 동시에 선택적 촉매 환원 시스템(301)을 제어한다. 여기서, 제1 실시예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연료 감지부(810)는 자신이 직접 측정하지 않고 외부에서 연료의 물성치 정보를 수신하거나, 연료 전환 밸브(270)의 밸브 전환 상태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연료의 종류를 감지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제어부(700)는 엔진(200)을 제어하는 엔진 제어부(720)와, 선택적 촉매 환원 시스템(301)을 제어하는 후처리 제어부(730)를 포함할 수 있다. 후처리 제어부(730)는 환원제 공급부(500) 또는 촉매 예열부(400) 중 하나 이상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엔진 제어부(7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가스 재순환 장치(240)을 제어하고, 상기 후처리 제어부(730)는 선택적 촉매 환원 시스템(301)을 제어하는 것으로 역할이 분리되어 있다. 상기 엔진 제어부(720)와 상기 후처리 제어부(730)는 서로 정보들을 통신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가령, 상기 후처리 제어부(730)는 상기 엔진 제어부(720)로부터 상기 연료 전환 밸브(720)의 전환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엔진 제어부(720)는 상기 후처리 제어부(730)로부터 선택적 촉매 환원 시스템(301)의 가동상태 정보를 입수할 수 있다. 여기서, 선택적 촉매 환원 시스템(301)의 가동상태 정보는 환원제 공급부(500) 또는 촉매 예열부(400) 중 하나 이상의 동작여부에 대한 정보를 말한다.
제3 실시예에 따른 동력 장치(103)는 제1 및 제2 실시예에서 상술한 표시부(780) 및 입력부(7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780) 및 상기 입력부(770)는 상기 후처리 제어부(730)에 의해서 제어될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엔진 제어부(720)에 의해서 제어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가 전술한 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나의 제어부(700)가 엔진(200)과 선택적 촉매 환원 시스템(301)을 모두 제어할 수도 있다.
엔진 제어부(720)의 동작은 제2 실시예에서 설명된 제어부(700)의 동작과 동일할 수 있으며, 후처리 제어부(730)의 동작은 제1 실시예 또는 제1 실시예의 변형례에서 설명된 제어부(700)의 동작과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제3 실시예의 선택적 촉매 환원 시스템(301)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르면, 연료 감지부(810)가 측정한 연료의 물성치(가령, 온도)에 근거하여 제어부(300)는 연료의 교체 시점을 판단하고 연료의 교체에 맞추어 엔진(200)의 운전을 제어하면서 동시에 선택적 촉매 환원 시스템(301) 및 배기가스 재순환장치(2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가동 여부를 결정하거나 선택적 촉매 환원 시스템(301)의 가동을 위한 예열을 시작할 수 있다.
따라서, 배출 통제 지역으로 진입할 때 연료를 교체하여 황산화물(Sox) 배출량에 대한 규제를 만족시키면서 동시에 질소산화물(NOx) 배출량에 대한 규제도 만족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르면, 엔진(200)과 질소산화물 저감장치인 선택적 촉매 환원 시스템(301) 및/또는 배기가스 재순환장치(240)의 효율적인 운용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르면, 선택적 촉매 환원 시스템(301) 및 이를 포함한 동력 장치(103)를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다.
이하, 도 5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촉매 환원 (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SCR) 시스템(301) 및 이를 포함한 동력 장치(104)를 설명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력 장치(104)는 엔진(200)에 공급되는 연료의 온도를 승온시키기 위한 연료 프리 히터(pre-heater)(230)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서, 연료 감지부로는 점도 센서(810)가 사용되며, 동력 장치는 추가의 점도 센서(84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르면, 동력 장치(104)는 필요에 따라 연료 공급 펌프(250), 및 연료 필터(288)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서는, 제1 연료 탱크(281)에 저장된 제1 연료는 제2 연료 탱크(282)에 저장된 제2 연료보다 상대적으로 점도가 높다. 일례로, 제1 연료는 고유황 연료유(high sulfur fuel oil, HFO)일 수 있으며, 제2 연료는 저유황 연료유(Marine Gas oil, MGO)일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제4 실시예가 전술한 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복수의 연료 탱크(281, 282)는 3개 이상의 연료 탱크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연료 탱크에는 점도가 상이한 연료가 저장될 수 있다.
연료 프리 히터(pre-heater)(230)는 연료 공급 라인(285)을 통해 엔진(200)에 공급되는 연료의 온도를 승온시킬 수 있다. 일례로, 연료 프리 히터(230)로는 전기 히터가 사용되거나 고온의 스팀을 이용한 히터가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연료 프리 히터(230)는 연료 공급 라인(285)에 열선이 감기는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연료 프리 히터(230)로 전술한 하나 이상의 가열 수단이 복합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서, 연료 프리 히터(230)는 상대적으로 점도가 높은 제1 연료가 연료 공급 라인(285)을 통해 엔진(200)에 공급될 때 선택적으로 가동된다. 그리고 제1 연료는 연료 프리 히터(230)에 의해 승온되면서 점도가 낮아진 상태로 엔진(200)에 공급될 수 있다. 즉, 연료 프리 히터(230)는 제1 연료의 점도가 제2 연료와 동일 또는 유사한 점도가 되도록 제1 연료를 승온시킬 수 있다. 일례로, 제1 연료는 연료 프리 히터(230)에 의해 섭씨 150도 이상으로 승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르면, 엔진(200)에 공급되는 연료가 변경되는 경우에도, 엔진(200)은 일정 범위 내의 점도를 갖는 연료를 지속적으로 공급받을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점도의 일정 범위는 엔진(200)의 종류와 성능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추가의 점도 센서(840)는 연료 프리 히터(230)를 거친 연료가 엔진(200)에 공급되기에 적합한 점도를 가지고 있는지 확인한다. 추가의 점도 센서(840)에서 측정한 연료의 점도가 엔진(200)에 공급하기 부적합한 점도를 갖는 것으로 확인되면 엔진의 가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르면, 엔진(200)에 공급되는 연료가 변경되는 경우에도, 엔진(200)은 일정 범위 내의 점도를 갖는 연료를 지속적으로 공급받을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점도의 일정 범위는 엔진(200)의 종류와 성능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연료 공급 펌프(250)는 연료 공급 라인(285)에 설치되어 제1 연료 탱크(281) 또는 제2 연료 탱크(282)에 저장된 연료를 엔진(200)에 공급한다. 그리고 연료 필터(288)는 연료 공급 라인(285)을 통해 엔진(200)에 공급되는 제1 연료 또는 제2 연료를 필터링한다. 본 발명에서, 연료 공급 펌프(250) 및 연료 필터(288)는 경우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다. 또한, 연료 공급 펌프(250) 및 연료 필터(288)는 전술한 제1 실시예 내지 제3 실시예에도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서, 제어부(700)는 점도 센서(810)가 측정한 점도 변화에 따라 연료의 변경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연료 프리 히터(230), 촉매 예열부(400), 또는 환원제 공급부(500) 중 하나 이상에 대한 가동 필요 여부를 판단한다. 다만,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서, 촉매 예열부(400)는 경우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다.
그리고 표시부(780)는 제어부(700)가 제공하는 정보를 표시하며, 사용자 입력부(770)는 사용자가 연료 프리 히터(230), 촉매 예열부(400), 또는 환원제 공급부(500) 중 하나 이상의 작동 여부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에, 제어부(700)는 연료가 변경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연료 프리 히터(230), 촉매 예열부(400), 또는 환원제 공급부(500) 중 하나 이상의 가동 필요 여부에 대한 판단 결과를 표시부(780)에 표시하고 사용자 입력부(770)의 입력 결과에 따라 연료 프리 히터(230), 촉매 예열부(400), 또는 환원제 공급부(500) 중 하나 이상을 가동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4 실시예가 전술한 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어부(700)는 판단 결과에 따라 자동으로 연료 프리 히터(230), 촉매 예열부(400), 또는 환원제 공급부(500) 중 하나 이상을 가동시킬 수도 있다. 이때, 제어부(700)는 환원제 공급부(500)를 가동시키기 이전에 촉매 예열부(400)를 먼저 가동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서는, 점도 센서(810)의 측정 결과에 따라, 제어부(700)가 엔진(200)에 공급되는 연료가 제1 연료에서 제2 연료로 변경된 것으로 판단하면, 제어부(700)는 촉매 예열부(400) 또는 환원제 공급부(500) 중 하나 이상을 가동시키고, 연료 프리 히터(230)는 가동 정지시킬 수 있다.
또한, 점도 센서(810)의 측정 결과에 따라, 제어부(700)가 엔진(200)에 공급되는 연료가 제2 연료에서 제1 연료로 변경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700)는 연료 프리 히터(230)를 가동시키고, 촉매 예열부(400) 및 환원제 공급부(500)는 가동 정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는, 전술한 바와 같이 연료 감지부로 점도 센서(810)가 사용되고, 연료 프리 히터(230)와 이에 대한 제어부(700)의 제어 동작이 추가된 점을 제외하면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르면, 선택적 촉매 환원 시스템(301) 및 이를 포함한 동력 장치(104)를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촉매 환원 (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SCR) 시스템(302) 및 이를 포함한 동력 장치(105)를 설명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5 실시예에 따른 동력 장치(105)도 엔진(200)에 공급되는 연료의 온도를 승온시키기 위한 연료 프리 히터(pre-heater)(230)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서도, 동력 장치(105)는 연료 공급 펌프(250), 및 연료 필터(28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서도, 연료 감지부로는 점도 센서(810)가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서도, 제1 연료 탱크(281)에 저장된 제1 연료는 제2 연료 탱크(282)에 저장된 제2 연료보다 상대적으로 점도가 높다. 하지만, 본 발명의 제5 실시예가 전술한 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복수의 연료 탱크(281, 282)는 3개 이상의 연료 탱크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연료 탱크에는 점도가 상이한 연료가 저장될 수 있다.
연료 프리 히터(pre-heater)(230)는 연료 공급 라인(285)을 통해 엔진(200)에 공급되는 연료의 온도를 승온시킨다. 일례로, 연료 프리 히터(230)로는 전기 히터가 사용되거나 고온의 스팀을 이용한 히터가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연료 프리 히터(230)는 연료 공급 라인(285)에 열선이 감기는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연료 프리 히터(230)로 전술한 하나 이상의 가열 수단이 복합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5 실시예는, 전술한 바와 같이 연료 감지부로 점도 센서(810)가 사용되고, 연료 프리 히터(230)와 이에 대한 제어부(700)의 제어 동작이 추가된 점을 제외하면 전술한 제2 실시예와 동일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서 연료 프리 히터(230)와 이에 대한 제어부(700)의 제어 동작은 전술한 제4 실시예와 동일하다.
즉, 점도 센서(810)의 측정 결과에 따라, 제어부(700)가 엔진(200)에 공급되는 연료가 제1 연료에서 제2 연료로 변경된 것으로 판단하면, 제어부(700)는 연료 프리 히터(230)의 가동 여부, 엔진(200)의 운전 상태 변경 필요 여부, 또는 질소산화물 저감장치의 가동 필요 여부 중 하나 이상을 판단한다.
그리고 표시부(780)는 제어부(700)가 제공하는 정보를 표시하며, 사용자 입력부(770)는 사용자가 연료 프리 히터(230)의 가동, 엔진(200)의 운전 상태 변경, 또는 질소산화물 저감장치의 가동 여부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에, 제어부(700)는 연료가 변경된 것으로 판단되면, 연료 프리 히터(230)의 가동, 엔진(200)의 운전 상태 변경, 또는 질소산화물 저감장치의 가동 중 하나 이상의 가동 필요 여부에 대한 판단 결과를 표시부(780)에 표시하고 사용자 입력부(770)의 입력 결과에 따라 연료 프리 히터(230)의 가동하거나 엔진(200)의 운전 상태를 변경하거나 질소산화물 저감장치를 가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서, 엔진(200)의 운전 상태 변경은 엔진의 출력(power), 회전 속도(RPM), 또는 부하(load)의 변경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서, 질소산화물 저감장치는 배기가스 재순환장치(240)를 포함한다. 배기가스 재순환 장치(240)는 엔진(200)에서 배출된 배기가스를 다시 엔진(200)으로 유입시키기 위한 재순환 유로(248)와, 재순환 유로(248)를 통해 재순환되는 배기가스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는 재순환 밸브(247)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재순환 밸브(247)는 제어부(700)의 제어를 받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5 실시예가 전술한 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어부(700)는 판단 결과에 따라 자동으로 연료 프리 히터(230)를 가동하거나 엔진(200)의 운전 상태를 변경하거나 질소산화물 저감장치를 가동시킬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서는, 점도 센서(810)의 측정 결과에 따라, 제어부(700)가 엔진(200)에 공급되는 연료가 제1 연료에서 제2 연료로 변경된 것으로 판단하면, 제어부(700)는 엔진(200)의 운전 상태를 변경하거나 질소산화물 저감장치를 가동시키고, 연료 프리 히터(230)는 가동 정지시킬 수 있다.
또한, 점도 센서(810)의 측정 결과에 따라, 제어부(700)가 엔진(200)에 공급되는 연료가 제2 연료에서 제1 연료로 변경된 것으로 판단하면, 제어부(700)는 연료 프리 히터(230)를 가동시키고, 엔진(200)의 운전 상태를 다시 원상태로 변경하거나 질소산화물 저감장치의 가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르면, 선택적 촉매 환원 시스템(302) 및 이를 포함한 동력 장치(105)를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촉매 환원 (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SCR) 시스템(301) 및 이를 포함한 동력 장치(106)를 설명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6 실시예에 따른 동력 장치(106)도 엔진(200)에 공급되는 연료의 온도를 승온시키기 위한 연료 프리 히터(pre-heater)(230)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서도, 동력 장치(106)는 연료 공급 펌프(250), 및 연료 필터(28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서도, 연료 감지부로는 점도 센서(810)가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서도, 제1 연료 탱크(281)에 저장된 제1 연료는 제2 연료 탱크(282)에 저장된 제2 연료보다 상대적으로 점도가 높다. 하지만, 본 발명의 제6 실시예가 전술한 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복수의 연료 탱크(281, 282)는 3개 이상의 연료 탱크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연료 탱크에는 점도가 상이한 연료가 저장될 수 있다.
연료 프리 히터(pre-heater)(230)는 연료 공급 라인(285)을 통해 엔진(200)에 공급되는 연료의 온도를 승온시킨다. 일례로, 연료 프리 히터(230)로는 전기 히터가 사용되거나 고온의 스팀을 이용한 히터가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연료 프리 히터(230)는 연료 공급 라인(285)에 열선이 감기는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연료 프리 히터(230)로 전술한 하나 이상의 가열 수단이 복합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6 실시예는, 전술한 바와 같이 연료 감지부로 점도 센서(810)가 사용되고, 연료 프리 히터(230)와 이에 대한 제어부(700)의 제어 동작이 추가된 점을 제외하면 전술한 제3 실시예와 동일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서 연료 프리 히터(230)와 이에 대한 제어부(700)의 제어 동작은 전술한 제4 실시예와 동일하다.
즉, 점도 센서(810)의 측정 결과에 따라, 제어부(700)가 엔진(200)에 공급되는 연료가 제1 연료에서 제2 연료로 변경된 것으로 판단하면, 제어부(700)는 연료 프리 히터(230)의 가동 여부, 엔진(200)의 운전 상태 변경 필요 여부, 또는 질소산화물 저감장치의 가동 필요 여부 중 하나 이상을 판단한다.
그리고 표시부(780)는 제어부(700)가 제공하는 정보를 표시하며, 사용자 입력부(770)는 사용자가 연료 프리 히터(230)의 가동, 엔진(200)의 운전 상태 변경, 또는 질소산화물 저감장치의 가동 여부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에, 제어부(700)는 연료가 변경된 것으로 판단되면, 연료 프리 히터(230)의 가동, 엔진(200)의 운전 상태 변경, 또는 질소산화물 저감장치의 가동 중 하나 이상의 가동 필요 여부에 대한 판단 결과를 표시부(780)에 표시하고 사용자 입력부(770)의 입력 결과에 따라 연료 프리 히터(230)의 가동하거나 엔진(200)의 운전 상태를 변경하거나 질소산화물 저감장치를 가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서, 엔진(200)의 운전 상태 변경은 엔진의 출력(power), 회전 속도(RPM), 또는 부하(load)의 변경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서, 질소산화물 저감장치는 배기가스 재순환장치(240)와 선택적 촉매 환원 시스템(301)을 모두 포함한다. 배기가스 재순환 장치(240)는 엔진(200)에서 배출된 배기가스를 다시 엔진(200)으로 유입시키기 위한 재순환 유로(248)와, 재순환 유로(248)를 통해 재순환되는 배기가스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는 재순환 밸브(247)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재순환 밸브(247)는 제어부(700)의 제어를 받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6 실시예가 전술한 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어부(700)는 판단 결과에 따라 자동으로 연료 프리 히터(230)를 가동하거나 엔진(200)의 운전 상태를 변경하거나 질소산화물 저감장치를 가동시킬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서는, 점도 센서(810)의 측정 결과에 따라, 제어부(700)가 엔진(200)에 공급되는 연료가 제1 연료에서 제2 연료로 변경된 것으로 판단하면, 제어부(700)는 엔진(200)의 운전 상태를 변경하거나 질소산화물 저감장치를 가동시키고, 연료 프리 히터(230)는 가동 정지시킬 수 있다.
또한, 점도 센서(810)의 측정 결과에 따라, 제어부(700)가 엔진(200)에 공급되는 연료가 제2 연료에서 제1 연료로 변경된 것으로 판단하면, 제어부(700)는 연료 프리 히터(230)를 가동시키고, 엔진(200)의 운전 상태를 다시 원상태로 변경하거나 질소산화물 저감장치의 가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르면, 선택적 촉매 환원 시스템(301) 및 이를 포함한 동력 장치(106)를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1, 102, 103, 104, 105, 106: 동력 장치
200: 엔진
230: 연료 프리 히터
250: 연료 공급 펌프
240: 배기가스 재순환 장치
247: 재순환 밸브
248: 재순환 유로
270: 연료 전환 밸브
281: 제1 연료 탱크
282: 제2 연료 탱크
285: 연료 공급 라인
288: 연료 필터
300: 반응기
301, 302: 선택적 촉매 환원 시스템
350: 촉매
400: 촉매 예열부
410: 가열 장치
450: 블로워
480: 예열 유로
500: 환원제 공급부
610: 배기 유로
700: 제어부
720: 엔진 제어부
730: 후처리 제어부
770: 사용자 입력부
780: 표시부
810: 연료 감지부
840: 추가의 점도 센서

Claims (18)

  1. 서로 다른 종류의 연료가 각각 저장된 복수의 연료 탱크 중 어느 하나의 연료 탱크로부터 선택적으로 연료를 공급받아 동력을 발생시키는 엔진에서 배출된 배기가스의 질소산화물을 저감시키는 선택적 촉매 환원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연료 탱크에서 공급하는 상기 연료의 점도를 측정하는 점도 센서;
    상기 엔진에서 배출된 상기 배기가스에 함유된 질소산화물을 저감시키기 위한 촉매가 설치된 반응기;
    상기 점도 센서를 거쳐 상기 엔진에 공급되는 연료의 온도를 승온시키기 위한 연료 프리 히터(pre-heater);
    상기 반응기로 유입되는 상기 배기가스에 환원제를 공급하는 환원제 공급부; 및
    상기 점도 센서가 측정한 점도 변화에 따라 상기 연료의 변경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연료 프리 히터 또는 상기 환원제 공급부 중 하나 이상에 대한 가동 필요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선택적 촉매 환원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프리 히터를 거친 상기 연료의 점도를 측정하는 추가의 점도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촉매 환원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기에 설치된 상기 촉매를 예열시키는 촉매 예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점도 센서가 측정한 점도 변화에 따라 상기 연료의 변경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촉매 예열부의 가동 필요 여부를 상기 연료 프리 히터 또는 상기 환원제 공급부의 가동 필요 여부와 함께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촉매 환원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제공하는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사용자가 상기 연료 프리 히터, 상기 촉매 예열부, 또는 상기 환원제 공급부 중 하나 이상의 작동 여부를 지시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료가 변경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연료 프리 히터, 상기 촉매 예열부, 또는 상기 환원제 공급부 중 하나 이상의 가동 필요 여부에 대한 판단 결과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부의 입력 결과에 따라 상기 연료 프리 히터, 상기 촉매 예열부, 또는 상기 환원제 공급부 중 하나 이상을 가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촉매 환원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료가 변경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연료 프리 히터, 상기 촉매 예열부, 또는 상기 환원제 공급부 중 하나 이상을 가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촉매 환원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환원제 공급부를 가동시키기 이전에 상기 촉매 예열부를 먼저 가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촉매 환원 시스템.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연료 탱크는 상대적으로 점도가 높은 제1 연료를 저장하는 제1 연료 탱크와, 상대적으로 점도가 낮은 제2 연료를 저장하는 제2 연료 탱크를 포함하며,
    상기 점도 센서의 측정 결과에 따라, 상기 제어부가 상기 엔진에 공급되는 연료가 상기 제1 연료에서 상기 제2 연료로 변경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촉매 예열부 또는 상기 환원제 공급부 중 하나 이상을 가동시키고, 상기 연료 프리 히터는 가동 정지시키며,
    상기 점도 센서의 측정 결과에 따라, 상기 제어부가 상기 엔진에 공급되는 연료가 상기 제2 연료에서 상기 제1 연료로 변경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료 프리 히터를 가동시키고, 상기 촉매 예열부 및 상기 환원제 공급부는 가동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촉매 환원 시스템.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촉매 예열부는,
    상기 반응기의 후단과 상기 반응기의 전단을 연결하는 예열 유로와;
    상기 예열 유로 상에 설치되어 상기 예열 유로를 이동하는 유체를 승온시키는 가열 장치; 그리고
    상기 예열 유로 상에 설치되어 상기 가열 장치가 승온시킨 유체를 순환시키는 블로워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촉매 환원 시스템.
  9. 상이한 성분의 연료가 각각 저장된 복수의 연료 탱크;
    상기 복수의 연료 탱크로부터 연료를 공급받아 동력을 발생시키는 엔진;
    상기 복수의 연료 탱크와 상기 엔진을 연결하는 연료 공급 라인;
    상기 연료 공급 라인에 설치되어 상기 엔진에 공급되는 연료의 종류를 변경시키는 연료 전환 밸브; 및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선택적 촉매 환원 시스템을 포함하는 동력 장치.
  10. 상이한 성분의 연료가 각각 저장된 복수의 연료 탱크;
    상기 복수의 연료 탱크로부터 연료를 공급받아 동력을 발생시키는 엔진;
    상기 복수의 연료 탱크와 상기 엔진을 연결하는 연료 공급 라인;
    상기 연료 공급 라인에 설치되어 상기 엔진에 공급되는 연료의 종류를 변경시키는 연료 전환 밸브;
    상기 복수의 연료 탱크에서 공급하는 상기 연료의 점도를 측정하는 점도 센서;
    상기 점도 센서를 거쳐 상기 엔진에 공급되는 연료의 온도를 승온시키는 연료 프리 히터(pre-heater);
    상기 엔진의 배기가스에 함유된 질소산화물을 저감하기 위한 질소산화물 저감장치; 및
    상기 점도 센서가 측정한 상기 연료의 점도 변화에 따라 상기 연료의 변경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연료 프리 히터의 가동 여부, 상기 엔진의 운전 상태 변경 필요 여부, 또는 상기 질소산화물 저감장치의 가동 필요 여부 중 하나 이상을 판단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동력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프리 히터를 거친 상기 연료의 점도를 측정하는 추가의 점도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연료 탱크는 상대적으로 점도가 높은 제1 연료를 저장하는 제1 연료 탱크와, 상대적으로 점도가 낮은 제2 연료를 저장하는 제2 연료 탱크를 포함하며,
    상기 점도 센서의 측정 결과에 따라, 상기 제어부가 상기 엔진에 공급되는 연료가 상기 제1 연료에서 상기 제2 연료로 변경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료 프리 히터를 가동 정지시키며,
    상기 점도 센서의 측정 결과에 따라, 상기 제어부가 상기 엔진에 공급되는 연료가 상기 제2 연료에서 상기 제1 연료로 변경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료 프리 히터를 가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 장치.
  13. 제10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질소산화물 저감장치는,
    상기 엔진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에 함유된 질소 산화물을 저감시키기 위해 상기 엔진에 설치된 배기가스 재순환 장치와, 상기 엔진에서 배출된 상기 배기가스에 함유된 질소산화물을 저감시키기 위한 촉매가 설치된 반응기 및 상기 반응기로 유입되는 상기 배기가스에 환원제를 공급하는 환원제 공급부를 구비한 선택적 촉매 환원 시스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동력 장치는,
    표시부; 및
    사용자로부터 상기 질소산화물 저감장치의 가동여부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엔진의 운전 상태 변경 여부 또는 상기 선택적 촉매 환원 시스템 및 상기 배기가스 재순환 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가동 여부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부의 입력 결과에 따라서 상기 엔진의 운전 상태를 변경하거나 상기 선택적 촉매 환원 시스템 및 상기 배기가스 재순환 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가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 장치.
  14. 제10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질소산화물 저감장치는,
    상기 엔진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에 함유된 질소 산화물을 저감시키기 위해 상기 엔진에 설치된 배기가스 재순환 장치와, 상기 엔진에서 배출된 상기 배기가스에 함유된 질소산화물을 저감시키기 위한 촉매가 설치된 반응기 및 상기 반응기로 유입되는 상기 배기가스에 환원제를 공급하는 환원제 공급부를 구비한 선택적 촉매 환원 시스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엔진의 운전상태 변경이 필요하거나 상기 질소산화물 저감장치의 가동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엔진의 출력을 제한하거나 상기 배기가스 재순환 장치 및 상기 선택적 촉매환원 시스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가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적 촉매 환원 시스템은 상기 엔진에서 배출된 상기 배기가스에 함유된 질소산화물을 저감시키기 위한 촉매가 설치된 반응기 및 상기 반응기로 유입되는 상기 배기가스에 환원제를 공급하는 환원제 공급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점도 센서에 의해 측정된 상기 엔진에 공급되는 상기 연료의 점도 변화에 따라 상기 환원제 공급부의 가동 여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적 촉매 환원 시스템은 상기 반응기에 설치된 상기 촉매를 예열시키는 촉매 예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환원제 공급부를 가동시키기 이전에 상기 촉매 예열부를 먼저 가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 장치.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적 촉매 환원 시스템은,
    상기 엔진에서 배출된 상기 배기가스에 함유된 질소산화물을 저감시키기 위한 촉매가 설치된 반응기; 및
    상기 반응기에 설치된 상기 촉매를 예열시키는 촉매 예열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점도 센서에 의해 측정된 상기 엔진에 공급되는 상기 연료의 점도 변화에 따라 상기 촉매 예열부의 가동 여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촉매 예열부는,
    상기 반응기의 후단과 상기 반응기의 전단을 연결하는 예열 유로와;
    상기 예열 유로 상에 설치되어 상기 예열 유로를 이동하는 유체를 승온시키는 가열 장치; 그리고
    상기 예열 유로 상에 설치되어 상기 가열 장치가 승온시킨 유체를 순환시키는 블로워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 장치.
KR1020160067415A 2016-05-31 2016-05-31 선택적 촉매 환원 시스템 및 동력 장치 KR1024667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7415A KR102466787B1 (ko) 2016-05-31 2016-05-31 선택적 촉매 환원 시스템 및 동력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7415A KR102466787B1 (ko) 2016-05-31 2016-05-31 선택적 촉매 환원 시스템 및 동력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5457A KR20170135457A (ko) 2017-12-08
KR102466787B1 true KR102466787B1 (ko) 2022-11-16

Family

ID=60919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7415A KR102466787B1 (ko) 2016-05-31 2016-05-31 선택적 촉매 환원 시스템 및 동력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6787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813424B1 (en) * 2008-09-17 2018-05-09 Yanmar Co., Ltd. Exhaust gas purifying system for marine vessel engine
JP5872329B2 (ja) * 2012-02-29 2016-03-01 ヤンマー株式会社 船用燃料供給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5457A (ko) 2017-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49852B2 (ja) 選択的触媒還元システム及びこれを備えた動力装置
CN109690039B (zh) 检查用于废气再处理的部件的功能性的诊断方法和装置
US10364731B2 (en) Asynchronous reductant insertion in aftertreatment systems
US20190203629A1 (en) Method and device for the exhaust gas aftertreatment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101487178B1 (ko) 차량 탑재 산화질소 후처리 시스템
JP4122849B2 (ja) 触媒劣化検出装置
US8828342B1 (en) DPF energy conservation
KR20130087146A (ko) Urea-scr 시스템 장치 및 제어방법
US9151196B2 (en) Ducting system for feeding air and exhaust gases to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for discharging the exhaust gases produced by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from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20150059713A1 (en) Intake manifold
US20060137329A1 (en) Filter desulfation system and method
CN112867849B (zh) 用于废气后处理的方法和废气后处理系统
CN103122783B (zh) 引擎的排气净化设备
US8745974B2 (en) Exhaust system
KR102466787B1 (ko) 선택적 촉매 환원 시스템 및 동력 장치
US20180258885A1 (en) Selective catalyst reduction efficiency determination
KR102466783B1 (ko) 선택적 촉매 환원 시스템 및 동력 장치
KR101939184B1 (ko) Cng-디젤 혼소연료 공급시스템에서 우레아 분사 제어 장치
WO2014016594A1 (en) Method of controlling operation of an exhaust fluid treatment apparatus
JPWO2011101898A1 (ja) 内燃機関の排気浄化装置
US20090308056A1 (en) Procedure and device for the purification of exhaust gas
US20140086803A1 (en) Nox reduction
CN204024779U (zh) 车辆尾气处理装置
CN115667683A (zh) 具有用无碳燃料驱动的内燃发动机以及与之连接的排气系统的机动车
KR102385201B1 (ko) 저공해 가스엔진히트펌프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