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6738B1 - Construction method for a database system - Google Patents

Construction method for a database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6738B1
KR102466738B1 KR1020220016165A KR20220016165A KR102466738B1 KR 102466738 B1 KR102466738 B1 KR 102466738B1 KR 1020220016165 A KR1020220016165 A KR 1020220016165A KR 20220016165 A KR20220016165 A KR 20220016165A KR 102466738 B1 KR102466738 B1 KR 1024667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database
contribution
information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616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허만일
Original Assignee
(주)한국전설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국전설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한국전설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2200161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673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67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673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5Integrating or interfacing systems involving database management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1Indexing; Data structures therefor; Storage struc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9Performance analysis of employees; Performance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operations
    • G06Q10/06395Quality analysis or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constructing a personal information database system using a communication network. The method comprises the steps of: receiving data used for constructing a database from a user; calculating a time contribution by inputting time-series information about the order in which the data is received from the user into a function having a higher contribution as the order of the received time-series information is earlier; and calculating a data contribution based on qualitative or quantitativ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data. The database system includes a database constructing device. The database constructing device maps the calculated construction contribution to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manages it through a storage device or server. A separate unit is provided at the location where the server is provided to perform access management to the place where the server is located and monitor management of handling for expansion, maintenance, and repair of the server.

Description

통신망을 이용한 개인정보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구축방법{Construction method for a database system}Personal information database system construction method using communication network {Construction method for a database system}

본 발명은 통신망을 이용한 개인정보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구축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데이터베이스의 시스템 구축을 효과적으로 수행하되 이러한 데이터베이스 구축에 필요한 필수요소의 안전관리와 상태관리를 위한 모니터가 수반되고, 데이터베이스 구축에 참여한 사용자의 기여도를 객관적으로 측정하며, 이에 따라 사용자에게 데이터베이스의 지분을 할당하고, 발생하는 수익을 데이터베이스의 구축에 참여한 개개인에게 합리적으로 돌려주는 통신망을 이용한 개인정보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구축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constructing a personal information database system using a communication network, and more particularly, effectively constructs a database system, but is accompanied by a monitor for safety management and state management of essential elements necessary for constructing such a database. It relates to a personal information database system construction method using a communication network that objectively measures the contribution of participating users, allocates shares of the database to users accordingly, and reasonably returns generated profits to individuals who participated in database construction.

터넷 플랫폼 산업의 발달로 인하여 많은 사람들이 아마존, 페이스북, 유튜브, 트위터 등의 플랫폼을 이용하면서 개인 정보가 담겨있는 데이터를 인터넷에 업로드하거나, 검색 이력이나 구매 이력 등의 데이터를 검색 이력의 로그로 남기게 된다. Due to the development of the Internet platform industry, many people upload data containing personal information to the Internet while using platforms such as Amazon, Facebook, YouTube, and Twitter, or store data such as search history or purchase history as a log of search history. will be left

이러한 데이터들은 일반적으로 플랫폼 서비스 제공업자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플랫폼 서비스 제공업자가 정보를 관리하게 된다. These data are generally stored in the database of the platform service provider, and the platform service provider manages the information.

이러한 개개인의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플랫폼 서비스 제공업자가 활용하여 다른 서비스를 창출하거나 이를 필요로 하는 제3 업체에 판매하는 경우 수익이 발생하지만, 이와 같이 데이터베이스 구축에 사용된 개개인의 데이터를 이용한 수익이 플랫폼 서비스의 주체에게만 돌아가고 있기 때문에 불합리하다는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Revenue is generated when platform service providers utilize data containing such individual information to create other services or sell it to a third party that needs it, but revenue using individual data used to build a database like this The problem is raised that it is unreasonable because it is returned only to the subject of this platform service.

아울러 무엇보다도 이러한 시스템의 구축과 운영에 있어 보안과 안전관리를 통한 피해 억제방안이 부재한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above all, there is a problem in the absence of damage suppression measures through security and safety management in the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these systems.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데이터베이스 구축에 참여한 사용자의 기여도를 객관적으로 측정하고, 이에 따라 사용자에게 데이터베이스의 지분을 할당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echnique for objectively measuring the contribution of users participating in database construction and allocating shares of the database to users accordingly.

또한 개개인의 정보가 모여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함에 따라 발생하는 수익을 데이터베이스의 구축에 참여한 개개인에게 합리적으로 돌려주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it is to provide a technology that reasonably returns profits generated by utilizing a database built by collecting individual information to individuals who participated in database construction.

또한 사용자들이 자발적으로 데이터베이스의 구축에 참여하게끔 유도하여, 신속하면서 정성적으로나 정량적으로 좋은 품질의 데이터로 이루어진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by inducing users to voluntarily participate in the construction of a database, it is to provide a technique for quickly creating a database consisting of qualitatively and quantitatively good quality data.

또한 시스템의 제공과정을 신뢰성을 부여하고 검증이 가능하도록 하여 품질관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process of providing the system is given reliability and verifiable to enable quality control.

또한 시스템의 준비, 설치 운영 등에 대한 관리수단이 갖춰져 시스템에 대한 안정적 취급을 위한 실시간 감시와 대응을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In addition, management means for system preparation, installation and operation are provided to enable real-time monitoring and response for stable handling of the system.

또한 이러한 관리수단을 통해 시스템은 물론 이러한 시스템에 주변현장에 관련된 인원, 비인가 인원 등의 관리와 통제를 가능케 하여 시스템 품질에 영향을 주는 다양항 상황을 복합적으로 관리하도록 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rough these management means, it is possible to manage and control not only the system, but also the personnel related to the surrounding sites and unauthorized personnel in the system, so that various situations affecting the system quality can be managed in a complex way.

또한 이러한 관리수단이 최소한도로 구비되어 다수의 대상물을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모니터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In addition, such a management means is provided to a minimum so that a plurality of objects can be effectively and efficiently monitored and managed.

또한 이러한 관리수단의 동작 전환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부하와 딜레이를 억제하고 외부 환경에 대한 능동적인 대응을 통해 설치 운용상태를 최적화 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In addition, it is to suppress the load and delay that may occur according to the operation change of these management means and to optimize the installation operation state through active response to the external environment.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task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asks mentioned above, and other task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은 통신망을 이용한 개인정보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구축방법으로서, 사용자로부터 데이터베이스 구축에 사용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데이터를 수신한 순서에 대한 시계열적 정보를, 상기 수신한 시계열적 정보의 순서가 이를수록 높은 기여도를 갖게 하는 형태의 함수에 입력하여 시간 기여도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에 포함된 정성적 정보 또는 정량적 정보를 기초로 데이터 기여도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은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데이터베이스 구축장치는 계산된 구축 기여도를 사용자의 식별 정보에 매핑하여 저장 장치 또는 서버를 통해 관리하며,서버가 구비되는 위치에는 별도의 유닛이 구비되어 상기 서버가 위치된 장소로의 출입관리와, 상기 서버의 증설과 유지 관리 및 보수를 위한 취급을 모니터 관리를 수행하는, 통신망을 이용한 개인정보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구축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personal information database system construction method using a communication network, comprising the steps of receiving data used for database construction from a user; calculating a time contribution by inputting time-series information about the order in which the data is received from the user into a function having a higher contribution as the order of the received time-series information is earlier; And calculating a data contribution based on qualitative or quantitativ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data, wherein the database system includes a database construction device, wherein the database construction device converts the calculated contribution to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t is mapped to and managed through a storage device or server, and a separate unit is provided at the location where the server is located to monitor access management to the place where the server is located and handling for expansion, maintenance, and repair of the server Provides a method of constructing a personal information database system using a communication network, which performs management.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re is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effects.

본 발명에 따르면 데이터베이스 구축에 참여한 사용자의 기여도를 객관적으로 측정하고, 이에 따라 사용자에게 데이터베이스의 지분을 할당하는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technique for objectively measuring the contribution of users participating in database construction and allocating shares of the database to users accordingly.

또한 개개인의 정보가 모여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함에 따라 발생하는 수익을 데이터베이스의 구축에 참여한 개개인에게 합리적으로 돌려주는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technology that reasonably returns profits generated by utilizing a database built by gathering information of individuals to individuals who participated in the construction of the database.

또한 사용자들이 자발적으로 데이터베이스의 구축에 참여하게끔 유도하여, 신속하면서 정성적으로나 정량적으로 좋은 품질의 데이터로 이루어진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는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by inducing users to voluntarily participate in the construction of the databas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technique for rapidly generating a database consisting of qualitatively and quantitatively good quality data.

또한 시스템의 제공과정을 신뢰성을 부여하고 검증이 가능하도록 하여 품질관리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reliability can be given to the system provision process and quality control can be made possible by making it possible to verify.

또한 시스템의 준비, 설치 운영 등에 대한 관리수단이 갖춰져 시스템에 대한 안정적 취급을 위한 실시간 감시와 대응을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management means for system preparation, installation and operation, etc. can be provided to enable real-time monitoring and response for stable handling of the system.

또한 이러한 관리수단을 통해 시스템은 물론 이러한 시스템에 주변현장에 관련된 인원, 비인가 인원 등의 관리와 통제를 가능케 하여 시스템 품질에 영향을 주는 다양항 상황을 복합적으로 관리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rough these management means, it is possible to manage and control not only the system but also the personnel related to the surrounding sites and unauthorized personnel in the system, so that various situations affecting the system quality can be managed in a complex manner.

또한 이러한 관리수단이 최소한도로 구비되어 다수의 대상물을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모니터 관리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such a management means is provided to a minimum, so that a plurality of objects can be effectively and efficiently monitored and managed.

또한 이러한 관리수단의 동작 전환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부하와 딜레이를 억제하고 외부 환경에 대한 능동적인 대응을 통해 설치 운용상태를 최적화 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load and delay that may occur according to the operation change of the management means, and to optimize the installation operation state through active response to the external environmen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을 실시하는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의 포괄적인 프로세스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 중 기여도를 산정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시간 기여도를 산정하는 함수의 예시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데이터 기여도를 산정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데이터 내용의 희귀성에 따라 가중치를 부여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데이터 업로드 순서에 따른 사용자의 구축 기여도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구축 기여도에 대한 사용자의 분포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8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주요 구성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a system for implementing a database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a comprehensive process of a database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calculating contribution in a database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function for calculating a time contribu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A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calculating a data contribu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B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assigning weights according to rarity of data conten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A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a user's contribution to construction according to data upload or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B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distribution of users with respect to construction contribu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block diagram of a database constru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to 13 are diagrams showing the main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을 실시하는 시스템(1)을 나타낸 도면이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1 is a diagram showing a system 1 implementing a database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을 실시하는 시스템(1)은 사용자 단말(10a, 10b, 10c),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100) 및 데이터베이스 이용 장치(200a, 200b, 200c)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은 사용자의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100)로 전송한다. 이때 데이터는 데이터베이스(101)의 목적에 상응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a system 1 for implementing a database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user terminals 10a, 10b, and 10c, a database construction apparatus 100, and a database using apparatus 200a, 200b, 200c) may be included. The user terminal 10 transmits data including user information to the database construction apparatus 100 . At this time, the data may includ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urpose of the database 101 .

가령, 데이터베이스(101)가 생체 정보를 기반으로 구축될 데이터베이스(101)라면, 사용자의 질병 정보, 조직 이미지 정보, 임상 실험 정보, 유전자 정보, 병리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101)가 금융 정보를 기반으로 구축될 데이터베이스(101)라면, 사용자의 자산 정보, 신용도 정보, 연봉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database 101 is to be built based on biometric information, it may include user disease information, tissue image information, clinical trial information, gene information, pathology information, and the like. In addition, if the database 101 is to be built based on financial information, it may include user asset information, credit rating information, annual salary information, and the like.

아울러, 데이터베이스(101)가 구매 이력을 기반으로 구축될 데이터베이스(101)라면, 사용자의 나이 정보, 거주 지역 정보, 접속 시간 정보, 지불 금액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사용될 수 있는 데이터는 데이터베이스(101)의 목적에 맞게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되는 데이터의 종류가 상술한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if the database 101 is to be built based on the purchase history, it may include the user's age information, residence area information, access time information, payment amount information, and the like. As such, data that can be us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various information to suit the purpose of the database 101, and the type of data used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xample.

다만, 본 명세서의 설명에서는 이해의 편의를 위해 생체 정보 기반의 데이터베이스(101)를 구축하는 것을 예시로 하여, 이하 사용자 단말(10)이 송신하는 데이터를 생체 데이터라고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생체 데이터를 수신한다. 이에 따라,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100)는 수신한 생체 데이터에 포함된 시계열적 정보, 정량적인 정보 또는 정성적인 정보에 따라 데이터베이스(101)의 구축에 대한 사용자의 기여도를 산정하고, 이러한 기여도에 기반하여 사용자에게 데이터베이스(101)의 가치에 대한 지분을 부여할 수 있다. 이후,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100)는 데이터베이스(101)가 활용되어 수익이 발생할 경우, 발생한 수익을 지분에 기반하여 사용자에게 분배할 수 있다. However, in the description of this specification, for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building the database 101 based on biometric information is taken as an example, and hereinafter, data transmitted by the user terminal 10 is assumed to be biometric data. The database construction apparatus 100 receives biometric data from the user terminal 10 . Accordingly, the database construction apparatus 100 calculates the user's contribution to the construction of the database 101 according to time-series information, quantitative information, or qualitativ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received biometric data, and based on this contribution, A stake in the value of the database 101 may be given to the user. Thereafter, when the database 101 is utilized and revenue is generated, the database construction apparatus 100 may distribute the generated revenue to users based on shares.

데이터베이스 이용 장치(200)는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100)가 생성한 데이터베이스(101)를 이용할 수 있다. 이때도 상술한 바와 같이, 생성된 데이터베이스(101)가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기반으로 구축된 데이터베이스(101)라면, 데이터베이스 이용 장치(200)는 데이터베이스(101)를 활용하여 사람들의 유전자에 따라 발병 가능한 질병을 예측하는 데에 사용할 수 있다.The database using device 200 may use the database 101 created by the database building device 100 . At this time, as described above, if the generated database 101 is the database 101 built based on the user's biometric information, the database using device 200 utilizes the database 101 to determine the possibility of developing disease according to the genes of people. It can be used to predict disease.

또한, 생성된 데이터베이스(101)가 사용자의 금융 정보를 기반으로 구축된 데이터베이스(101)라면, 데이터베이스 이용 장치(200)는 사용자의 자산 수준에 따른 적절한 금융 상품을 예측하는 프로세스를 구축하는 데에 데이터베이스(101)를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if the generated database 101 is the database 101 built based on the user's financial information, the database using device 200 is used to build a process for predicting an appropriate financial product according to the user's asset level. (101) can be used.

더하여, 데이터베이스(101)가 사용자의 구매 이력을 기반으로 구축된 데이터베이스(101)라면, 사용자의 구매 이력에 따라 적합한 상품을 자동으로 추천하는 프로세스를 구축하는 데에 데이터베이스(101)를 활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데이터베이스 이용 장치(200)는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100)에 데이터베이스(101)의 활용 또는 구매를 위해 적절한 대금을 지급할 수 있다. 이러한 수익에 대해,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100)는 데이터베이스(101)가 활용되어 수익이 발생할 경우, 발생한 수익을 지분에 기반하여 사용자에게 분배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10),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100) 및 데이터베이스 이용 장치(200)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In addition, if the database 101 is built based on the user's purchase history, the database 101 can be used to build a process that automatically recommends suitable products according to the user's purchase history. To this end, the database using device 200 may pay an appropriate price for the utilization or purchase of the database 101 to the database building device 100 . Regarding such revenue, the database construction apparatus 100 may distribute the generated revenue to users based on shares when the database 101 is utilized and revenue is generated. At this time, the user terminal 10, the database building device 100, and the database using device 200 may transmit and receive information through a wired or wireless network.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을 실시하는 시스템(1)을 실현시키기 위한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 2를 통해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의 구현 단계를 포괄적으로 설명한 다음, 도3 내지 도 6와 함께 각 단계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한다.In order to explain in more detail the database construction method for realizing the system 1 implementing the database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mplementation steps of the database construction method are comprehensively described through FIG. , Each step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FIGS. 3 to 6.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의 포괄적인 프로세스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에 따른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의 각 단계는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1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100)가 수행하는 각 단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2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a comprehensive process of a database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step of the database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FIG. 2 may be performed by the database construction apparatus 100, and each step performed by the database construction apparatus 100 is described as follows.

우선,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생체 데이터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101) 구축에 참여한 사용자의 기여도를 산정할 수 있다(S100). 이후,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100)는 산정된 기여도를 기초로 데이터베이스(101)의 가치에 대한 사용자의 지분을 산정할 수 있다(S200). 이에 따라,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100)는 데이터베이스(101)에 의해 수익이 발생하면, 발생한 수익을 산정된 지분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배분할 수 있다(S300).First, the database construction apparatus 100 may receive biometric data from a user and calculate the contribution of the user participating in the database 101 construction (S100). Thereafter, the database construction apparatus 100 may calculate the user's share of the value of the database 101 based on the calculated contribution (S200). Accordingly, when revenue is generated by the database 101, the database construction apparatus 100 may distribute the generated revenue to the user based on the calculated share (S300).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 중 기여도를 산정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후, 설명에서는 이해의 편의를 위해 생체 정보 기반의 데이터베이스(101)를 구축하는 것을 예시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에 따른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의 각 단계는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1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각 단계의 순서가 방법의 시계열적 순서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통상의 기술자의 선택에 따라 각 단계의 순서를 바꾸어 수행할 수 있다. 이에, 각 단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calculating contribution in a database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construction of the database 101 based on biometric information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Each step of the database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FIG. 3 may be performed by the database construction apparatus 100 . Here, the order of each step does not limit the chronological order of the method, and the order of each step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a person skilled in the art. Accordingly, each step is described as follows.

우선,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데이터베이스(101) 구축에 사용될 생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S110).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100)는 생체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10)로부터 통신망을 통한 전송을 기초로 직접 수신하거나, 사용자 단말(10)이 인터넷 상에 남긴 로그 기록을 수집하여 수신할 수 있다.First, the database construction apparatus 100 may receive biometric data to be used for constructing the database 101 from the user (S110). The database construction apparatus 100 may directly receive biometric data based on transmission from the user terminal 10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or collect and receive log records left by the user terminal 10 on the Internet.

이때 생체 데이터는 복수의 항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생체 데이터는 유전체 정보, 조직 이미지 정보, 임상 정보 또는 병리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러한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this case, the biometric data may include information on a plurality of items. For example, biometric data may include genome information, tissue image information, clinical information, or pathology information, but is not limited to these examples.

다음으로,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100)는 생체 데이터에 포함된 시계열적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시계열적 순서가 이를수록 높은 기여도를 갖는 시간 기여도를 계산할 수 있다(S120). 즉, 사용자가 생체 데이터를 업로드한 시간이 다른 사용자에 비해 이를수록 데이터베이스(101) 구축에 높은 기여도를 부여하는 방식이다.Next, the database construction apparatus 100 may calculate a time contribution having a higher contribution as the chronological order received from the user is earlier based on the chronological information included in the biometric data (S120). That is, the higher the contribution to the establishment of the database 101, the earlier the user uploads the biometric data compared to other users.

이때 시계열적 정보는 사용자가 생체 데이터를 업로드한 순서나 시간으로 판별되거나, 사용자가 생체 데이터를 인터넷 로그에 남긴 순서 또는 시간을 기초로 판별될 수 있으나, 이러한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구체적으로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100)는 도 4의 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time-sequential information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order or time in which the user uploads the biometric data or the order or time when the user leaves the biometric data in an Internet log, but is not limited to these examples. More specifically, the database building apparatus 100 may use the means of FIG. 4 .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시간 기여도를 산정하는 함수의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100)는 시간이 지날수록 감소하는 형태의 n차(n은 1 이상의 자연수) 함수(도 4(a)), 계단 함수(도 4(b)), 로그 함수(도 4(c)) 및 지수 함수(도 4(d)) 중 어느 하나에 수신한 생체 데이터의 시계열적 정보를 입력하여 시간 기여도를 계산할 수 있다.4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function for calculating a time contribu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4, the database construction apparatus 100 is an n-order (n is a natural number greater than or equal to 1) function (FIG. 4(a)), a step function (FIG. 4(b)), and a logarithmic function that decreases over time. The time contribution can be calculated by inputting time-series information of the received biometric data to either a function (FIG. 4(c)) or an exponential function (FIG. 4(d)).

가령, 사용자가 시간을 달리하여 동일한 데이터를 업로드 한다고 가정하였을 때, 1번째 업로드한 사용자와 100,000번째 업로드한 사용자의 기여도가 약 10배가 차이나도록 함수를 설계하여 사용자의 시간 기여도를 계산할 수 있다.For example, assuming that users upload the same data at different times, the user's time contribution can be calculated by designing a function so that the contribution between the first uploader and the 100,000th uploader differs by about 10 times.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생체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100)에 업로드한 시간이나 순서가 빠를수록 높은 시간 기여도를 부여 받을 수 있게 하여, 사용자들의 데이터 업로드를 유도하여 신속하게 데이터베이스(101)를 구축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100)는 생체 데이터에 포함된 정보의 정성적 정보 또는 정량적 정보를 기초로 데이터 기여도를 계산할 수 있다(S130).Accordingly, the faster the time or order of uploading the biometric data to the database building device 100, the higher the time contribution, so that the database 101 can be built quickly by inducing users to upload their data. let it be In addition, the database construction apparatus 100 may calculate a data contribution based on qualitative information or quantitative information of information included in biometric data (S130).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데이터 기여도를 산정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100)는 생체 데이터에 포함된 정보의 종류마다 기 설정되어 있는 기여 점수를 합산하여 데이터 기여도를 계산할 수 있다.5A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calculating a data contribu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5A , the database construction apparatus 100 may calculate data contribution by summing preset contribution scores for each type of information included in biometric data.

예를 들어,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2의 생체 데이터에 D1 및 D3에 해당하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면, D1 및 D3에 기 설정된 기여 점수를 합산하여, 30 + 0 + 20 + 0 = 50 의 데이터 기여도를 계산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5A , if user 2's biometric data include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D1 and D3, preset contribution scores are added to D1 and D3 to obtain 30 + 0 + 20 + 0 = 50 The data contribution of can be calculated.

이때 데이터에 포함된 정보의 종류 중 데이터 분석에 있어 서로 부가 가치를 내는 것으로 미리 지정된 복수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복수의 정보에 기 설정되어 있는 가중치를 부가하여 데이터 기여도를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임상 정보와 병리 정보가 서로 부가 가치를 내는 정보라고 설정하여, 이러한 정보가 함께 포함하는 경우 생체 데이터에 대해 10%의 가중치를 부가하여 데이터 기여도를 계산한다고 가정한다. 그렇다면,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1의 생체 데이터에 D1 내지 D4에 해당하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D1 내지 D4에 기 설정된 기여 점수를 합산하되, D3 및 D4에 해당하는 점수의 합 25에 10%의 가중치를 부가하여, 30 + 10 + (20 + 5) * 1.1 = 67.5 의 데이터 기여도를 계산할 수 있다.At this time, if a plurality of pieces of information previously designated as providing added value in data analysis are included among the types of information included in the data, the data contribution may be calculated by adding a preset weight to the plurality of pieces of information. ] For example, it is assumed that clinical information and pathology information are set as information that adds value to each other, and when these information are included together, a 10% weight is added to the biometric data to calculate the data contribution. Then, as shown in FIG. 5A, since the biometric data of user 1 include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D1 to D4, the preset contribution scores are added to D1 to D4, but the sum of the scores corresponding to D3 and D4 is 25. By adding a weight of 10%, we can calculate the data contribution of 30 + 10 + (20 + 5) * 1.1 = 67.5.

또한, 데이터에 포함된 정보 종류의 개수에 따라 합산된 가치에 가중치를 부가하여 데이터 기여도를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생체 데이터 중 4가지 종류 이상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3.8%의 가중치를 부가하는 것으로 설정하였다고 가정한다. 그렇다면, 도 5a에 도시된 사용자 1의 생체 데이터에 D1 내지 D4에 해당하는 4 가지 종류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D1 내지 D4에 기 설정된 가치를 합산하되, 3.8%의 가중치를 부가하여, (30 + 10 + 20 + 5) * 1.038 = 67.5 의 데이터 기여도를 계산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ata contribution may be calculated by adding a weight to the summed value according to the number of types of information included in the data. For example, it is assumed that a weight of 3.8% is set to be added when four or more kinds of information are included among biometric data. Then, since the biometric data of user 1 shown in FIG. 5A includes four types of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D1 to D4, the preset values are added to D1 to D4, and a weight of 3.8% is added to (30 + 10 + 20 + 5) * 1.038 = 67.5 data contribution can be calculated.

아울러, 생체 데이터에 포함된 정보의 내용 중 기 지정된 내용의 정보가 포함된 경우, 데이터베이스(101)의 구축에 참여한 모든 사용자에 대한 기 지정된 내용의 정보를 보유한 사용자의 수를 기초로, 기 지정된 내용의 정보를 보유한 사용자의 수에 반비례하는 가중치를 부가하여 데이터 기여도를 계산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실시예를 도 5b와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In addition, if the information of th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biometric data includes the information of the predetermined content, based on the number of users who have the information of the predetermined content for all users who participated in the construction of the database 101, the information of the predetermined content Data contribution can be calculated by adding a weight that is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number of users who have the information of . More specifically, this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together with FIG. 5B.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데이터 내용의 희귀성에 따라 가중치를 부여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b를 참조하면, 생체 데이터에 포함된 정보가 다른 사용자들에게 거의 없는 희귀한 정보일 경우, 희귀한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에게 더 높은 기여도를 부여하도록, 생체 데이터가 포함하는 항목 중'질병 정보'라는 항목에 포함된 정보의 내용이 '위암' 또는 '췌장암'일 경우 더 높은 가중치를 부가하도록 기 지정하였다고 가정한다.5B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assigning weights according to rarity of data conten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Referring to FIG. 5B, when th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biometric data is rare information that is rare for other users, 'disease' It is assumed that the content of th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item 'information' is previously specified to add a higher weight when 'stomach cancer' or 'pancreatic cancer'.

이 경우, 부가되는 가중치는 의 계산 방식을 사용하여 정보가 희귀할수록 보다 높은 가중치를 부여 받을 수 있도록 설계할 수 있다. 이때 발병률에 대한 정보는 공인된 질병 확률 통계 자료를 활용하거나, 실제로 구축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101)에 저장된 정보의 통계를 집계하여 발병률을 계산할 수 있으나, 이러한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this case, the added weight can be designed so that the rarer the information, the higher weight can be assigned using the calculation method of . At this time, the information on the incidence rate may be calculated by using certified disease probability statistical data or by aggregating statistics of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101 that is actually being built, but is not limited to these examples.

이에 따라,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1의 경우 질병 정보 중'위암'의 정보를 포함하므로 에 해당하는 희귀도 가중치를 계산할 수 있고, 사용자 2의 경우 질병 정보 중'췌장암'의 정보를 포함하므로 에 해당하는 희귀도 가중치를 계산할 수 있다. 이렇게 계산된 희귀도 가중치는 데이터 기여도에 별도로 합산되어 반영되거나 곱하는 방식으로 반영할 수 있으며, 또는 후술할 구축 기여도를 계산하는 단계에서 희귀도 가중치가 사용될 수도 있다. 다만, 이러한 예시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방식으로 희귀도 가중치를 사용자의 기여도에 반영할 수 있다.Accordingly, as shown in FIG. 5B, in the case of user 1, 'stomach cancer'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disease information, so the rarity weight corresponding to is calculated, and in the case of user 2, 'pancreatic cancer'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disease information. Therefore, the rarity weight corresponding to can be calculated. The calculated rarity weight may be separately added to the data contribution and reflected or multiplied, or the rarity weight may be used in the step of calculating the construction contribution,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example, and the rarity weight may be reflected in the user's contribution in various ways.

한편, 데이터 기여도를 계산하기 위해 적용될 수 있는 각각의 실시예들은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100)를 사용하는 관리자의 선택에 따라 조합하여 데이터 기여도를 계산할 수 있다. 이후,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100)는 산출된 데이터 기여도에 산출된 시간 기여도를 반영하여, 사용자가 최종적으로 데이터베이스(101) 구축에 기여한 정도를 의미하는 구축 기여도를 계산할 수 있다(S140).Meanwhile, each of the embodiments that can be applied to calculate the data contribution can be combined according to the manager using the database building apparatus 100 to calculate the data contribution. Thereafter, the database construction apparatus 100 may calculate a construction contribution, which means the degree of the user's final contribution to the construction of the database 101, by reflecting the calculated time contribution to the calculated data contribution (S140).

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100)는 시계열적 정보가 이를수록 높은 기여도를 갖는 시간 기여도가 산출되도록 설계된 함수에 데이터 기여도를 입력하여 구축 기여도를 산출하거나, 미리 계산된 데이터 기여도와 시간 기여도를 곱하여 구축 기여도를 산출할 수 있다. 다만, 구축 기여도를 산정하는 방식이 이러한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For example, the database construction apparatus 100 calculates the construction contribution by inputting the data contribution to a function designed to calculate the time contribution having a higher contribution as the time-series information is earlier, or by multiplying the pre-calculated data contribution and the time contribution Construction contribution can be calculated. However, the method of calculating the construction contribu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xamples.

한편, 사용자가 생체 데이터를 복수 회에 걸쳐 나누어 업로드하는 경우,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100)는 각 생체 데이터가 포함하는 시계열적 정보에 따라 각 생체 데이터의 구축 기여도를 별도로 산출하여 합산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divides and uploads the biometric data multiple times, the database construction apparatus 100 may separately calculate and sum the construction contributions of each biometric data according to time-sequential information included in each biometric data.

예를 들어, 동일한 사용자가 복수의 생체 데이터를 상이한 시간에 업로드 한 경우, t1 시간에 수신한 생체 데이터를 제1 데이터라 하고, t2 시간에 수신한 생체 데이터를 제2 데이터라고 한다. 이때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100)는 제1 데이터 및 제2 데이터 각각의 시계열적 정보 t1, t2를 기준으로 계산된 제1 시간 기여도 및 제2 시간 기여도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100)는 제1 데이터 및 제2 데이터 각각으로부터 데이터 기여도를 별도로 계산하여 제1 데이터 기여도 및 제2 데이터 기여도를 산출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same user uploads a plurality of biometric data at different times, the biometric data received at time t1 is referred to as first data, and the biometric data received at time t2 is referred to as second data. In this case, the database construction apparatus 100 may calculate a first time contribution and a second time contribution calculated based on time-series information t1 and t2 of the first data and the second data,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database building apparatus 100 may separately calculate the data contribution from each of the first data and the second data to calculate the first data contribution and the second data contribution.

이에 따라,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100)는 제1 시간 기여도와 제1 데이터 기여도를 기초로 제1 구축 기여도를 계산하고, 제2 시간 기여도와 제2데이터 기여도를 기초로 제2 구축 기여도를 계산하여, 제1 구축 기여도 및 제2 구축 기여도를 합산하는 방식으로, 사용자가 생체 데이터를 복수 회에 걸쳐 나누어 업로드한 경우에도 각각의 업로드 시간 또는 순서를 반영한 최종 기여도를 산정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database construction apparatus 100 calculates a first construction contribution based on the first time contribution and the first data contribution, and calculates a second construction contribution based on the second time contribution and the second data contribution, By summing the first construction contribution and the second construction contribution, even when the user divides and uploads the biometric data multiple times, the final contribution reflecting each upload time or order can be calculated.

또한,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100)는 사용자의 식별 정보에 계산한 구축 기여도를 부여할 수 있다(S150). 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100)는 계산된 구축 기여도를 사용자의 식별 정보에 매핑하여 저장 장치 또는 서버를 통해 관리하거나, 블록체인 상에 기록하여 사용자의 식별 정보에 구축 기여도를 부여하여 투명하게 관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atabase construction apparatus 100 may assign the calculated contribution to the user's identification information (S150). For example, the database building device 100 maps the calculated construction contribution to the user's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manages it through a storage device or server, or records it on a blockchain to give the user's identification information a construction contribution to transparently can manage

일 예로,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100)는 사용자의 생체 데이터를 기초로 얻은 정보들을 포함하는 블록을 생성하고, 데이터베이스(101)의 구축에 참여한 다른 사용자들의 블록에 연결하여 블록체인 상에 저장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database building device 100 may generate a block including information obtained based on the user's biometric data, connect it to blocks of other users who participated in building the database 101, and store it on a blockchain.

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100)는 새로운 사용자로부터 생체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 식별 정보(또는 주소)에 해당하는 사용자의 공개키(public key), 생체 데이터에 포함된 정보(시계열적 정보, 정성적 정보 또는 정량적 정보), 시간 기여도, 데이터 기여도, 구축 기여도, 또는 지분을 포함하는 블록을 생성하여, 이전 사용자의 정보가 포함된 블록에 연결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database construction apparatus 100 receives biometric data from a new user, the user's public key corresponding to identification information (or address), information included in the biometric data (time-sequential information, A block containing qualitative information or quantitative information), time contribution, data contribution, construction contribution, or stake can be created and linked to a block containing previous user information.

한편, 블록에 기록될 정보는 사용자의 식별 정보 및 생체 데이터를 포함하는 정보일 수 있으나, 관리자의 선택에 따라 블록체인 상에 기록될 정보와 서버에 저장할 정보가 별도로 나뉘도록 설계할 수도 있다.Meanwhile, the information to be recorded in the block may be information including the user's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biometric data, but the information to be recorded on the blockchain and the information to be stored in the server may be separately designed according to the administrator's choice.

도 6은 공공 데이터 포털의 "암 발생율 주요 통계"에 따른 암 발병 확률 통계에 대해 본 발명의 실시예를 적용하여 시뮬레이션을 한 결과이다. 이때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뮬레이션 결과로서 데이터 업로드 순서에 따른 사용자의 구축 기여도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뮬레이션 결과로서 구축 기여도에 대한 사용자의 분포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6 is a result of simulation by apply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cancer incidence probability statistics according to “main statistics of cancer incidence” of a public data portal. In this case, FIG. 6A is a simulation resul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the user's contribution to construction according to the data upload order, and FIG. 6B is a simulation resul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construction contribution. It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the distribution of users.

본 시뮬레이션에서, 생체 데이터가 가지는 정보의 종류는, D1-질병 종류 정보(내용: "암 발생율 주요 통계"에 따른 암에 관한 정보), D2-병리 정보(내용: 있음/없음) 및 D3-임상 정보(내용: 있음/없음)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도록 샘플로 사용될 생체 데이터를 생성하였다.In this simulation, the types of information that biometric data has are: D1-disease type information (contents: information about cancer according to "key statistics of cancer incidence"), D2-pathology information (contents: yes/no), and D3-clinical Biometric data to be used as a sample was created to include any one or more of information (content: present/absent).

이때 10만명의 사용자들이 생체 데이터를 업로드하는 경우 질병 정보(D1)를 모두 업로드하되, 병리 정보(D2) 및 임상 정보(D3)는 일부의 사용자들만 업로드하는 경우를 가정하기 위해, 생체데이터가 질병 정보(D1)를 포함하는 확률을 100%, D2를 포함하는 확률을 30%, D3를 포함하는 확률을 10%로 설정하였다.At this time, if 100,000 users upload biometric data, all disease information (D1) is uploaded, but pathological information (D2) and clinical information (D3) are uploaded only by some users. The probability of including information (D1) was set to 100%, the probability to include D2 to 30%, and the probability to include D3 to 10%.

한편, D1:D2:D3 의 상대적 기여 점수는 5:45:5로 설정하였고, 이때 만약 D1, D2, D3가 모두 포함된 경우에는 가중치를 두어 기여 점수가 '100'이 되도록 설정하였다. 따라서, 생체 데이터가 포함하는 정보의 종류 또는 수에 따라 계산되는 데이터 기여도는 다음과 같다.On the other hand, the relative contribution score of D1:D2:D3 is set to 5:45:5. At this time, if D1, D2, and D3 are all included, the contribution score is set to '100' by weighting. Therefore, the data contribution calculated according to the type or number of information included in the biometric data is as follows.

- D1 포함: 5- With D1: 5

- D1, D2 포함: 50- Including D1, D2: 50

- D1, D3 포함: 10- Including D1, D3: 10

- D1, D2, D3 포함: 100- Including D1, D2, D3: 100

이후, 생체 데이터를 업로드한 순서에 따라 기여도가 지수 함수 형태로 감소하면서, 1번째 업로더와 100,000번째 업로더의 기여도가 약 10배가 되도록 시간 기여도 계산 방식을 설정하였다.Thereafter, the time contribution calculation method is set so that the contributions of the 1st uploader and the 100,000th uploader are approximately 10 times as the contribution decreases in the form of an exponential function according to the order of uploading the biometric data.

또한, "암 발생율 주요 통계"를 참조할 때, 실제 췌장암 발병 확률이 약 10/100,000 이므로, 시뮬레이션에서는 데이터베이스(101)에 저장될 100,000 명 중 10명이 "췌장암"을 가지도록 샘플 생체 데이터를 생성하였다.In addition, since the actual probability of developing pancreatic cancer is about 10/100,000 when referring to "main statistics of cancer incidence," sample biometric data was created so that 10 out of 100,000 people to be stored in the database 101 had "pancreatic cancer" in the simulation. .

이에 따라, 생체 데이터 중 질병 정보의 내용이 "췌장암"을 가지는 경우 만큼의 희귀도 가중치를, 시간 기여도 및 데이터 기여도를 통해 미리 계산된 구축 기여도에 곱하여 최종 구축 기여도를 산출하였다.Accordingly, the final construction contribution was calculated by multiplying the pre-calculated construction contribution through the time contribution and the data contribution by the rarity weight corresponding to the case where the content of the disease information among the biometric data had "pancreatic cancer".

이를 통해, 최종적으로 산출된 구축 기여도의 평균이 '1'이 되도록 조절하였고, 도 6a 및 도 6b에 게시된 구축 기여도는 평균이 1이 되도록 조절한 최종 기여도를 1부터 70의 범위로 확장하여 표현하였다.Through this, the average of the finally calculated construction contributions was adjusted to be '1', and the construction contributions posted in FIGS. 6A and 6B were expressed by expanding the final contribution adjusted so that the average was 1 to the range of 1 to 70. did

이에 따라, 도 6a를 참조하면 전체적으로 데이터 업로드 순서에 따라, 구축 기여도가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면서, 데이터 기여도에 따라 유사한 순서 내에서도 구축 기여도는 차이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6b를 참조하면 대부분의 경우는 0과 1 사이의 기여도를 가지면서, 높은 기여도를 가지는 사용자의 수는 음의 지수 함수 형태로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다.Accordingly, referring to FIG. 6A ,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construction contribution shows a decreasing trend according to the data upload order as a whole, and the construction contribution shows a difference even within a similar order according to the data contribution. In addition, referring to FIG. 6B , it can be seen that in most cases, the contribution is between 0 and 1, and the number of users having a high contribution decreases in the form of a negative exponential function.

즉, 도 6a 및 도 6b를 통해, 먼저 업로드를 한 사용자 및 양질의 데이터를 업로드한 사용자에게 높은 구축 기여도를 부여하면서, 어느 한 사용자가 기여도를 몰아서 갖지 않도록 하여 많은 사람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하려는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할 수 있도록 구현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That is, through FIGS. 6A and 6B, while giving a high construction contribution to a user who uploads first and a user who uploads quality data, the present invention to allow many people to participate by preventing any one user from having the contribution. It can be confirmed that it can be implemented to realize the purpose of

이후,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100)는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100)는 산정된 기여도를 기초로 데이터베이스(101)의 가치에 대한 사용자의 지분을 산정함에 있어(S200), 데이터베이스(101)의 구축에 참여한 다른 사용자들에게 부여된 구축 기여도의 합에 대한 사용자의 구축 기여도를 기초로 각 사용자의 지분을 계산할 수 있다.Thereafter, the database construction apparatus 100 calculates the user's share of the value of the database 101 based on the calculated contribution (S200), other participating in the construction of the database 101 Each user's share may be calculated based on the user's contribution to the construction of the sum of the contributions to the construction given to the users.

예를 들어, 전체 사용자의 수 n명이고, 사용자 x의 기여도를 Cx 라 할 때, 로 정의 할 수 있다. 여기서, a는 데이터베이스(101)의 전체 지분에 대한 전체 사용자들의 지분 비율, 데이터베이스(101) 전체에 대한 사용자들의 소유 지분을 50%로 설정한다면, a는 0.5가 될 수 있다. 따라서, a는 0에서 1 사이의 값을 가질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total number of users is n and the contribution of user x is Cx, it can be defined as Here, a is the ratio of all users' shares to the total shares of the database 101, and if the user's ownership share of the entire database 101 is set to 50%, a may be 0.5. Therefore, a can have a value between 0 and 1.

이에 따라 a=1 일 때, 사용자 1의 기여도가 30 이라면, 사용자 1이 갖는 최초의 지분은 이고, 새로운 사용자 2의 기여도 20이 발생한다면, 사용자 1의 지분은 이 되고, 사용자 2의 지분은 이 될 수 있다. 이후, 새로운 사용자가 데이터베이스(101) 구축에 참여함에 따라, 사용자들의 비율은 위의 과정에 따라 새롭게 갱신될 수 있다.Accordingly, when a = 1, if user 1's contribution is 30, user 1's first share is , and if a new user 2's contribution is 20, user 1's share is It can be. Then, as a new user participates in constructing the database 101, the ratio of users may be newly updated according to the above process.

또한,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100)는 데이터베이스(101)에 의해 수익이 발생하면, 발생한 수익을 산정된 지분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분배함에 있어(S300), 구축된 데이터베이스(101)로 인하여 발생한 수익을 '지분'에 비례하여 사용자들에게 분배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revenue is generated by the database 101, the database construction apparatus 100 divides the revenue generated by the user based on the calculated share (S300), the revenue generated by the built database 101 ' It can be distributed to users in proportion to the 'share'.

또한, 구축된 데이터베이스(101) 중 일부 사용자의 생체 데이터로 인하여 수익이 발생하였다면, 발생한 수익 중 소정의 비율을 일부 사용자의 지분에 따라 일부 사용자에게 더 분배하여, 수익의 발생에 기인한 사용자들에게 더 큰 비율로 수익을 분배할 수 있다.In addition, if revenue is generated due to the biometric data of some users in the built database 101, a predetermined percentage of the generated revenue is further distributed to some users according to the share of some users, so that the users due to the generation of revenue Profits can be distributed in larger proportions.

예를 들어, 데이터 구매 기관이 구축된 데이터베이스(101)에 포함된 전체 10만명의 데이터 중 1000명의 데이터를 구매하였다면, 전체 수익 중 40% 는 100,000명의 지분에 따라 분배하고, 전체 수익 중 60%는 생체 데이터의 각 주인인 1000명에게 1000명 내의 상대적 지분 비율에 따라 분배할 수 있다.For example, if a data purchasing institution purchases 1000 data of 100,000 people included in the database 101 built, 40% of the total revenue is distributed according to the stake of 100,000 people, and 60% of the total revenue is It can be distributed to 1000 people, each owner of biometric data, according to the relative share ratio within 1000 people.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100)의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100)는 수신부(110), 기여도 계산부(120), 기여도 부여부(130), 지분 계산부(140) 및 수익 분배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7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database construc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database construc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ceiving unit 110, a contribution calculation unit 120, a contribution granting unit 130, a share calculation unit 140, and a profit distribution unit 150 can include

수신부(110)는 사용자로부터 데이터베이스(101) 구축에 사용되는 생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기여도 계산부(120)는 생체 데이터에 포함된 시계열적 정보를 기초로 시계열적 정보가 이를수록 높은 기여도를 갖는 시간 기여도 및 생체 데이터에 포함된 정성적 또는 정량적 정보를 기초로 데이터 기여도를 계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여도 계산부(120)는 계산된 데이터 기여도에 계산된 시간 기여도를 반영하여 사용자가 데이터베이스(101) 구축에 기여한 구축 기여도를 계산할 수 있다.The receiving unit 110 may receive biometric data used to build the database 101 from the user. The contribution calculation unit 120 may calculate the data contribution based on the time contribution having a higher contribution as the time-series information is earlier based on the time-series information included in the biometric data and the qualitative or quantitativ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biometric data. . Accordingly, the contribution calculation unit 120 may calculate the construction contribution that the user contributed to the construction of the database 101 by reflecting the calculated time contribution to the calculated data contribution.

기여도 부여부(130)는 사용자의 식별 정보에 구축 기여도를 부여할 수 있다. 지분 계산부(140)는 산정된 구축 기여도를 기초로 데이터베이스(101)의 가치에 대한 사용자의 지분을 산정할 수 있다.The contribution granting unit 130 may assign a construction contribution to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share calculation unit 140 may calculate the user's share of the value of the database 101 based on the calculated construction contribution.

수익 분배부(150)는 산정된 지분을 기초로 데이터베이스(101)로부터 발생한 수익을 사용자에게 배분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100)가 포함하는 구성 요소들이 해당 동작을 실시하기 위한 과정은 도 2 내지 도 6과 함께 설명하였으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The revenue distribution unit 150 may distribute revenue generated from the database 101 to users based on the calculated share. On the other hand, since the process for the components included in the database build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o perform the corresponding operation has been described together with FIGS. 2 to 6, redundant description will be omitted.

한편 상술한 실시예가 포함하는 수신부(110), 기여도 계산부(120), 기여도 부여부(130), 지분 계산부(140) 및 수익 분배부(150)는 이들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프로그램된 명령어를 포함하는 메모리, 및 이들 명령어를 수행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연산 장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Meanwhile, the receiving unit 110, the contribution calculating unit 120, the contribution giving unit 130, the share calculating unit 140, and the profit distribution unit 150 included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use commands programmed to perform their functions. It may be implemented by a computing device including a memory including a memory, and a microprocessor that executes these instructions.

상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서버에 자신의 데이터를 업로드한 시계열적 정보, 데이터의 정량적 정보 및 데이터의 정성적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데이터베이스(101)의 구축에 기여한 정도를 산정함에 따라, 각 사용자의 데이터베이스(101) 구축에 대한 기여도를 객관적으로 계산할 수 있으며, 초기에 데이터 업로드를 유도하여 신속하면서 정성적으로나 정량적으로 좋은 품질의 데이터로 이루어진 데이터베이스(101)를 구축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s the degree of contribution to the construction of the user's database 101 is calculated based on the time-series information that the user uploaded his or her data to the server, the quantitative information of the data, and the qualitative information of the data, It is possible to objectively calculate each user's contribution to the establishment of the database 101, and by inducing data upload at an early stage, it is possible to construct the database 101 consisting of qualitatively and quantitatively good quality data quickly and qualitatively.

이를 통해, 사용자의 기여도에 따라 데이터베이스(101)의 지분을 분배하여, 사용자들은 자신들의 정보가 모여 구축된 데이터베이스(101)의 활용에 있어 발생하는 수익을 합당하게 돌려받을 수 있다.Through this, by distributing the shares of the database 101 according to the user's contribution, the users can reasonably return the profits generated from the utilization of the database 101 built by gathering their information.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수단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것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through various means. For exampl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by hardware, firmware, soft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In the case of hardware implementation, the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one or more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FPGAs), processors, controllers, microcontrollers, microprocessors, etc.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이상에서 설명된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또는 함수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 등이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또는 메모리 유닛에 저장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메모리 유닛은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여, 이미 공지된 다양한 수단에 의해 프로세서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In the case of implementation by firmware or software, the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module, procedure, or function that performs the functions or operations described above. A computer program in which software codes and the like are recorded may be stored in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or a memory unit and driven by a processor. The memory unit may be located inside or outside the processor and exchange data with the processor by various means known in the art.

또한 본 발명에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인코딩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인코딩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In addition, combinations of each block of the block diagram and each step of the flowchart attach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erformed by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Since these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may be loaded into an encoding processor of a general-purpose computer, special-purpose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the instructions executed by the encoding processor of the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are each block or block diagram of the block diagram. Each step in the flow chart creates means for performing the functions described.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법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및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These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may also be stored in a computer usable or computer readable memory that can be directed to a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to implement functionality in a particular way, such that the computer usable or computer readable memory It is also possible for the instructions stored in to produce an article of manufacture containing instruction means for performing the function described in each block of the block diagram or each step of the flow chart. The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can also be loaded on a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so that a series of operational steps are performed on the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to create a computer-executed process to generate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instructions performing the processing equipment provide steps for executing the functions described in each block of the block diagram and each step of the flowchart.

더불어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몇 가지 대체 실시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each block or each step may represent a module, segment or piece of code that contains one or more executable instructions for executing a specified logical function. It should also be noted that in some alternative embodiments it is possible for the functions recited in blocks or steps to occur out of order. For example, two blocks or steps shown in succession may in fact be performed substantially concurrently, or the blocks or steps may sometimes be performed in reverse order depending on their function.

도 8 내지 도 13를 참조하면 통신망을 이용한 개인정보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구축방법으로서, 사용자로부터 데이터베이스 구축에 사용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데이터를 수신한 순서에 대한 시계열적 정보를, 상기 수신한 시계열적 정보의 순서가 이를수록 높은 기여도를 갖게 하는 형태의 함수에 입력하여 시간 기여도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에 포함된 정성적 정보 또는 정량적 정보를 기초로 데이터 기여도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8 to 13, a personal information database system construction method using a communication network, comprising: receiving data used for database construction from a user; calculating a time contribution by inputting time-series information about the order in which the data is received from the user into a function having a higher contribution as the order of the received time-series information is earlier; and calculating a data contribution based on qualitative or quantitativ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data.

아울러 상기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은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데이터베이스 구축장치는 계산된 구축 기여도를 사용자의 식별 정보에 매핑하여 저장 장치 또는 서버를 통해 관리한다. In addition, the database system includes a database construction device, and the database construction device maps the calculated contribution to user identification and manages it through a storage device or server.

상기 서버가 구비되는 위치에는 별도의 모니터링설비가 구비되어 상기 서버가 위치된 장소로의 출입관리와, 상기 서버 주변에 배치되어 상기 서버의 증설과 유지 관리 및 보수를 위한 취급을 모니터 관리를 수행한다. 여기서 서버는 서버렉과 보관되고 다수로 구비되는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유닛은 상기 서버와 인접하는 위차에 배치되거나, 상기 서버로 통하는 게이트부 등에 설치될 수 있다.A separate monitoring facility is provided at the location where the server is located to manage access to and from the place where the server is located, and is placed around the server to monitor and manage handling for expansion, maintenance, and repair of the server. . Here, the server may be provided in a state in which the server rack is stored and provided in multiple numbers. Such a unit may be disposed in a location adjacent to the server, or may be installed in a gate part leading to the server.

상기 모니터설비는 현장에 위치되는 하방몸체유닛(10'); 상기 하방몸체유닛(10')의 상부 중앙에 구비되어 회전방식으로 주변을 촬영하는 중앙감시유닛(20'); 상기 하방몸체유닛(10')에서 슬라이딩방식으로 좌우 위치이동되고, 상기 중앙감시유닛(20') 일측에 구비되어 주변을 촬영하는 제1사이드감시유닛(30'); 및 상기 하방몸체유닛(10')에서 슬라이딩방식으로 좌우 위치이동되고, 상기 중앙감시유닛(20') 타측에 구비되어 주변을 촬영하는 제2사이드감시유닛(40')을 포함한다.The monitor facility includes a lower body unit (10') located on site; a central monitoring unit 20' provided at the upper center of the lower body unit 10' and photographing the surroundings in a rotational manner; a first side monitoring unit (30') that moves left and right in a sliding manner in the lower body unit (10') and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entral monitoring unit (20') to photograph the surroundings; and a second side monitoring unit 40' that moves left and right in a sliding manner in the lower body unit 10' and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central monitoring unit 20' to photograph the surroundings.

상기 중앙감시유닛(20')은, 상기 하방몸체유닛(10')에 설치되는 구동모듈(21')과, 상기 구동모듈(21')의 상부로 설치되는 연결봉모듈(22')과, 상기 연결봉모듈(22')의 상부에 구비되는 플레이트패널모듈(23')과,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 둘레부를 따라 상호 이격되어 설치되는 다수의 촬영모듈(24')과,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 둘레부를 따라 상기 촬영모듈(24')들 사이에 배치되어 조명을 제공하는 조명모듈(25')을 포함한다.The central monitoring unit 20' includes a driving module 21' installed on the lower body unit 10', a connecting rod module 22' installed above the driving module 21', A plate panel module 23' provided above the connecting rod module 22', a plurality of photographing modules 24' install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plate panel module 23', and the plate panel module (23') includes a lighting module 25' disposed between the photographing modules 24' along the circumference to provide illumination.

상기 촬영모듈(25')은,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이 상기 구동모듈(21')이 제공하는 구동력을 상기 연결봉모듈(22')을 매개로 전달받아 회전되는 상태에서 촬영을 수행한다.The photographing module 25' performs photographing in a state in which the plate panel module 23' is rotated by receiving the driving force provided by the driving module 21' through the connecting rod module 22'. .

상기 제1사이드감시유닛(30')은,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 일측과 연동되어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을 고정시키거나,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이 회전되는 상태를 정지시킨다.The first side monitoring unit 30' interlocks with one side of the plate panel module 23' to fix the plate panel module 23' or monitors a state in which the plate panel module 23' is rotated. Stop.

여기서 상기 제2사이드감시유닛(40')은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 타측과 연동되어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을 고정시키거나,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이 회전되는 상태를 정지시킨다.Here, the second side monitoring unit 40' interlocks with the other side of the plate panel module 23' to fix the plate panel module 23' or monitors the state in which the plate panel module 23' is rotated. Stop.

상기 제1사이드감시유닛(30')은, 상기 하방몸체유닛(10')에 구비되는 제1사이드구동모듈(31’)과, 상기 제1사이드구동모듈(31’) 상부에 구비되는 제1플랜지모듈(32')과, 상기 제1플랜지모듈(32')과, 상부로 대향하도록 구비되는 제2플랜지모듈(33')과, 상기 제1플랜지모듈(32')과 상기 제2플랜지모듈(33') 사이에 구비되는 제1사이드촬영모듈(34’)을 포함한다.The first side monitoring unit 30' includes a first side driving module 31' provided in the lower body unit 10' and a first side driving module 31' provided above the first side driving module 31'. A flange module 32', the first flange module 32', a second flange module 33' provided to face upward, the first flange module 32' and the second flange module (33') and a first side photographing module (34') provided between them.

아울러 상기 제2사이드감시유닛(40')은, 상기 하방몸체유닛(10')에 구비되는 제2사이드구동모듈(41’)과, 상기 제2사이드구동모듈(41’) 상부에 구비되는 제3플랜지모듈(42')과, 상기 제2플랜지모듈(33')과, 상부로 대향하도록 구비되는 제4플랜지모듈(43')과, 상기 제3플랜지모듈(42')과 상기 제4플랜지모듈(43') 사이에 구비되는 제2사이드촬영모듈(44’)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second side monitoring unit 40' includes the second side driving module 41' provided on the lower body unit 10' and the second side driving module 41' provided on the upper part. The third flange module 42', the second flange module 33', the fourth flange module 43' provided to face upward, the third flange module 42' and the fourth flange It includes a second side photographing module 44' provided between the modules 43'.

상기 제1사이드감시유닛(30')의 상기 제1플랜지모듈(32')은,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 하부로 접촉되는 제1연결모듈(71')과,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 상부로 접촉되는 제2연결모듈이 구비되며 상기 제2사이드감시유닛(40')의 상기 제2플랜지모듈(33')은,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 하부로 접촉되는 제3연결모듈과,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 상부로 접촉되는 제4연결모듈이 구비된다.The first flange module 32' of the first side monitoring unit 30' includes a first connection module 71' contacting the bottom of the plate panel module 23' and the plate panel module 23 ') A second connection module contacting upward is provided, and the second flange module 33' of the second side monitoring unit 40' is a third connection contacting downward the plate panel module 23'. module and a fourth connection module contacting the top of the plate panel module 23'.

상기 제1연결모듈(71')은 제1상방연결대와, 상기 제1상방연결대의 상부로 구비되는 제1자력고정체가 구비되며, 상기 제2연결모듈은 제2하방연결대와, 상기 제2하방연결대의 하부로 구비되는 제2자력고정체가 구비되며, 상기 제3연결모듈은 제3상방연결대와, 상기 제3상방연결대의 상부로 구비되는 제3자력고정체가 구비된다.The first connection module 71' includes a first upper connecting rod and a first magnetic fixture provided above the first upper connecting rod, and the second connecting module includes a second lower connecting rod and the second connecting module 71'. A second magnetic fixture is provided below the lower connecting rod, and the third connection module includes a third upper connecting rod and a third magnetic fixing body provided on the top of the third upper connecting rod.

이러한 상기 제4연결모듈은 제4하방연결대와, 상기 제4하방연결대의 하부로 구비되는 제4자력고정체가 구비되며, 상기 제1자력고정체 내지 상기 제4자력고정체는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의 회전상태 혹은 무회전상태에서 자력흡착방식으로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을 1차 고정시킨다.The fourth connection module is provided with a fourth lower connector and a fourth magnetic fixture provided below the fourth lower connector, and the first magnetic fixture to the fourth magnetic fixture are the plate panel module. The plate panel module 23' is primarily fixed in a rotating state or non-rotating state of (23') by a magnetic adsorption method.

상기 제1자력고정체는 내부에서 외부로 제1연동체가 출몰되며, 상기 제2자력고정체는 내부에서 외부로 제2연동체가 출몰되며, 상기 제3자력고정체는 내부에서 외부로 제3연동체가 출몰되며, 상기 제4자력고정체는 내부에서 외부로 제4연동체가 출몰되며, 상기 제1연동체 내지 상기 제4연동체는 각기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 내부로 삽입장착되어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을 2차고정시킨다.The first magnetic fixing body has a first interlocking body protruding and retracting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the second magnetic fixing body has a second interlocking body protruding and dislocating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and the third magnetic fixing body has a third interlocking body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The body protrudes and protrudes, and the fourth magnetic force fixture protrudes and protrudes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and the first to fourth interlocking bodies are inserted into and mounted into the plate panel module 23', respectively, Secondarily fix the panel module (23').

여기서 상기 하방몸체유닛(10')은, 상기 제1사이드구동모듈(31’)과 상기 구동모듈(21')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제1사이드구동모듈(31’)과 상기 구동모듈(21') 사이의 간격을 확보하는 제1간격유지모듈과, 상기 하방몸체유닛(10')에서 상기 제2사이드구동모듈(41’)과 상기 구동모듈(21')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제2사이드구동모듈(41’)과 상기 구동모듈(21') 사이의 간격을 확보하는 제2간격유지모듈이 구비된다.Here, the lower body unit 10' is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side driving module 31' and the driving module 21', and the first side driving module 31' and the driving module 21' ) and a first distance maintaining module that secures a gap between the lower body unit 10' and located between the second side driving module 41' and the driving module 21' to drive the second side A second distance maintaining module is provided to secure a distance between the module 41' and the driving module 21'.

이러한 상기 제1간격유지모듈은 상기 하방몸체유닛(10') 상부로 설치되는 제1상방몸체(81')와, 상기 제1상방몸체(81') 상부로 설치되는 제1상방구동체(82')와, 제1상방구동체(82')의 일측으로 출몰되어 상기 제1사이드구동모듈(31’)에 접하는 제1접촉체(83')와, 제1상방구동체(82')의 타측으로 출몰되어 상기 구동모듈(21')에 접하는 제2접촉체(84')를 포함한다.The first distance maintaining module includes a first upper body 81' installed above the lower body unit 10' and a first upper driving body 82 installed above the first upper body 81'. '), the first contact body 83' protruding and protruding to one side of the first upper driving body 82' and contacting the first side driving module 31', and the first upper driving body 82' It includes a second contact body 84' that protrudes and retracts to the other side and contacts the driving module 21'.

상기 제2간격유지모듈은, 상기 하방몸체유닛(10') 상부로 설치되는 제2상방몸체(91')와, 상기 제2상방몸체(91') 상부로 설치되는 제2상방구동(92')체와, 제2상방구동(92')체의 일측으로 출몰되어 상기 제2사이드구동모듈(41’)에 접하는 제3접촉체(94')와, 제2상방구동(92')체의 타측으로 출몰되어 상기 구동모듈(21')에 접하는 제4접촉체(95')를 포함한다.The second distance maintaining module includes a second upper body 91' installed above the lower body unit 10' and a second upper drive 92' installed above the second upper body 91'. ) body, the third contact body 94' protruding and protruding to one side of the second upward driving body 92' and contacting the second side driving module 41', and the second upward driving body 92' and a fourth contact body 95' protruding to the other side and contacting the driving module 21'.

한편 상기 제1접촉체(83') 내지 상기 제2접촉체(84')는, 상기 제1사이드구동모듈(31’)이 상기 구동모듈(21') 측으로 위치이동되면, 상기 제1사이드구동모듈(31’)이 상기 구동모듈(21')에 각각 접하여 위치이동에 따른 충격의 완충을 수행하되, 상기 제1접촉체(83') 내지 상기 제2접촉체(84')는, 충격의 완충을 위하여 상기 제1사이드구동모듈(31’)의 상기 구동모듈(21') 측으로 위치이동에 따른 충격에 대응하여 상기 제1상방구동체(82') 내부로 일정범위 유동된다.Meanwhile, when the first side driving module 31' is moved to the side of the driving module 21', the first contact body 83' to the second contact body 84' operate the first side driving module 31'. The module 31' is in contact with the driving module 21' to buffer the shock caused by the positional movement, and the first contact body 83' to the second contact body 84' are For buffering, the first side driving module 31' moves into the first upper driving body 82' within a certain range in response to an impact caused by the movement of the driving module 21' side.

여기서 상기 제3접촉체(94') 내지 상기 제4접촉체(95')는, 상기 제2사이드구동모듈(41’)이 상기 구동모듈(21') 측으로 위치이동되면, 상기 제2사이드구동모듈(41’)이 상기 구동모듈(21')에 각각 접하여 위치이동에 따른 충격의 완충을 수행하되, 상기 제3접촉체(94') 내지 상기 제4접촉체(95')는, 충격의 완충을 위하여 상기 제2사이드구동모듈(41’)의 상기 구동모듈(21') 측으로 위치이동에 따른 충격에 대응하여 상기 제2상방구동(92')체 내부로 일정범위 유동된다.Here, the third contact body 94' to the fourth contact body 95', when the second side driving module 41' is moved to the side of the driving module 21', the second side driving module The module 41' is in contact with the driving module 21' to buffer the shock caused by the positional movement, and the third contact body 94' to the fourth contact body 95' are For buffering, the second side driving module 41' is moved to the side of the driving module 21' and responds to the impact caused by the movement, and moves within a certain range into the second upper driving body 92'.

아울러 상기 제1사이드구동모듈(31’)과 상기 제2사이드구동모듈(41’)은, 상기 구동모듈(21')로부터 외측으로 이격을 위한 위치이동이 되는 경우, 상기 제1상방구동체(82')와 상기 제2상방구동(92')체의 회전을 통하여 외측으로 이격을 위한 위치이동이 가속되도록 보조한다.In addition, when the first side driving module 31' and the second side driving module 41' are moved to the outside from the driving module 21', the first upper driving body ( 82') and the rotation of the second upward driving body 92' assist in accelerating the positional movement for the outward separation.

상기 하방몸체유닛(10')은, 상기 제1사이드구동모듈(31’) 외측으로 상기 제1사이드감시유닛(30')의 고정, 온도조절을 포함하는 취급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제1취급유닛(50')과, 상기 제2사이드구동모듈(41’) 외측으로 상기 제2사이드감시유닛(40')의 고정, 온도조절을 포함하는 취급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제2취급유닛(60')이 구비된다.The lower body unit 10' is a first handling unit for performing handling operations including fixing and temperature control of the first side monitoring unit 30' to the outside of the first side driving module 31'. 50', and a second handling unit 60' for performing a handling operation including fixing and temperature control of the second side monitoring unit 40'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side driving module 41' is provided

이러한 상기 제1취급유닛(50')은, 상기 하방몸체유닛(10')상에서 상부로 설치되는 제1패널부(51')와, 상기 제1패널부(51')의 내측으로 위치되어 상하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내부에 제1배터리모듈(53')이 구비되는 제1가동몸체(52')와, 상기 제1가동몸체(52')의 전면부로 설치되어 상기 제1사이드촬영모듈(34’)에 접촉하며 상기 제1배터리모듈(53')의 전력을 비상용으로 상기 제1사이드촬영모듈(34’)로 공급하는 제1상부접속체(54')와, 상기 제1가동몸체(52')의 전면부로 설치되어 상기 제1사이드촬영모듈(34’)에 접촉하며 상기 제1배터리모듈(53')의 전력을 비상용으로 상기 제1사이드촬영모듈(34’)로 공급하는 제1하부접속체(55')가 구비된다.The first handling unit 50' is located inside the first panel part 51' installed upward on the lower body unit 10' and the first panel part 51' so as to move up and down. A first movable body 52' provided to be movable and having a first battery module 53' inside, and the first side shooting module 34 installed on the front side of the first movable body 52' ') and supplying power from the first battery module 53' to the first side shooting module 34' for emergency use, and a first upper connector 54', and the first movable body 52 ') is installed as the front part of the first side photographing module 34' and contacts the first side photographing module 34' and supplies power from the first battery module 53' to the first side photographing module 34' for emergency use. A connecting body 55' is provided.

상기 제2취급유닛(60')은, 상기 하방몸체유닛(10')상에서 상부로 설치되는 제2패널부(61')와, 상기 제2패널부(61')의 내측으로 위치되어 상하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내부에 제2배터리모듈이 구비되는 제2가동몸체(62')와, 상기 제2가동몸체(62')의 전면부로 설치되어 상기 제2사이드촬영모듈(44’)에 접촉하며 상기 제2배터리모듈의 전력을 비상용으로 상기 제2사이드촬영모듈(44’)로 공급하는 제2상부접속체(64’)와, 상기 제2가동몸체(62')의 전면부로 설치되어 상기 제2사이드촬영모듈(44’)에 접촉하며 상기 제2배터리모듈의 전력을 비상용으로 상기 제2사이드촬영모듈(44’)로 공급하는 제2하부접속체(65’)가 구비된다.The second handling unit 60' moves up and down with the second panel part 61' installed upward on the lower body unit 10' and positioned inside the second panel part 61'. A second movable body 62 'which is provided and has a second battery module therein, and is installed on the front side of the second movable body 62' and contacts the second side shooting module 44', The second upper connector 64' for supplying power from the second battery module to the second side photographing module 44' for emergency use, and installed on the front part of the second movable body 62', A second lower connector 65' is provided that contacts the second side photographing module 44' and supplies power from the second battery module to the second side photographing module 44' for emergency use.

상기 제1취급유닛(50')은 상기 제1가동몸체(52')의 중앙에 구비되어 상기 제1사이드촬영모듈(34’)측을 향하여 히팅 혹은 냉각을 위한 유체를 분사하는 제1유체취급부(56')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취급유닛(60')의 상기 제2가동몸체(62')의 중앙에 구비되어 상기 제2사이드촬영모듈(44’)측을 향하여 히팅 혹은 냉각을 위한 유체를 분사하는 제2유체취급부(66')를 더 포함한다.The first handling unit 50' is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first movable body 52' and supplies a fluid for heating or cooling toward the first side shooting module 34'. A part 56' is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second movable body 62' of the second handling unit 60' to heat or cool toward the second side shooting module 44'. It further includes a second fluid handling unit 66 'for injecting a fluid for.

상기 제1유체취급부(56')와 상기 제2유체취급부(66')는 각기 상기 제1사이드촬영모듈(34’)과 상기 제2사이드촬영모듈(44’)측에 접하여 흡기모드 동작을 수행하여 상기 제1사이드촬영모듈(34’)과 상기 제2사이드촬영모듈(44')을 고정시키며, 상기 제1상부접속체(54')와 상기 제1하부접속체(55')는 상호 이격되는 동작을 통해 상기 제1플랜지모듈(32')과 상기 제2플랜지모듈(33')을 눌러 고정시킨다.The first fluid handling part 56' and the second fluid handling part 66' contact the side of the first side shooting module 34' and the second side shooting module 44', respectively, and operate in an intake mode. to fix the first side photographing module 34' and the second side photographing module 44', and the first upper connector 54' and the first lower connector 55' The first flange module 32' and the second flange module 33' are pressed and fixed through an operation of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상기 제2상부접속체(64’)와 상기 제2하부접속체(65’)는 상호 이격되는 동작을 통해 상기 제3플랜지모듈(42')과 상기 제4플랜지모듈(43')을 눌러 고정시킨다. The second upper connecting body 64' and the second lower connecting body 65' press and fix the third flange module 42' and the fourth flange module 43' through an operation of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let it

이상에서 전술한 물리적 구성들의 구동방식은 모터, 엑츄에이터 등을 기반으로 전후유동, 회전이동이 이루어지며 각 구성부의 형상과 크기는 설치 현장과 구현하고자하는 자재들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되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The driving method of the physical components described above is forward-backward movement and rotational movement based on motors, actuators, etc., and the shape and size of each component can be selected and provided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the installation site and the materials to be implemented. .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on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10: 사용자 단말 100: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
101: 데이터베이스 110: 수신부
10: user terminal 100: database building device
101: database 110: receiver

Claims (2)

통신망을 이용한 개인정보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구축방법으로서,
사용자로부터 데이터베이스 구축에 사용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데이터를 수신한 순서에 대한 시계열적 정보를, 상기 수신한 시계열적 정보의 순서가 이를수록 높은 기여도를 갖게 하는 형태의 함수에 입력하여 시간 기여도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에 포함된 정성적 정보 또는 정량적 정보를 기초로 데이터 기여도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은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데이터베이스 구축장치는 계산된 구축 기여도를 사용자의 식별 정보에 매핑하여 저장 장치 또는 서버를 통해 관리하며,
서버가 구비되는 위치에는 별도의 모니터링설비가 구비되어 상기 서버가 위치된 장소로의 출입관리와, 상기 서버 주변에 배치되어 상기 서버의 증설과 유지 관리 및 보수를 위한 취급을 모니터 관리를 수행하되,
상기 모니터링설비는,
현장에 위치되는 하방몸체유닛(10'); 상기 하방몸체유닛(10')의 상부 중앙에 구비되어 회전방식으로 주변을 촬영하는 중앙감시유닛(20'); 상기 하방몸체유닛(10')에서 슬라이딩방식으로 좌우 위치이동되고, 상기 중앙감시유닛(20') 일측에 구비되어 주변을 촬영하는 제1사이드감시유닛(30'); 및 상기 하방몸체유닛(10')에서 슬라이딩방식으로 좌우 위치이동되고, 상기 중앙감시유닛(20') 타측에 구비되어 주변을 촬영하는 제2사이드감시유닛(40')을 포함하며,
상기 중앙감시유닛(20')은,
상기 하방몸체유닛(10')에 설치되는 구동모듈(21')과, 상기 구동모듈(21')의 상부로 설치되는 연결봉모듈(22')과, 상기 연결봉모듈(22')의 상부에 구비되는 플레이트패널모듈(23')과,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 둘레부를 따라 상호 이격되어 설치되는 다수의 촬영모듈(24')과,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 둘레부를 따라 상기 촬영모듈(24')들 사이에 배치되어 조명을 제공하는 조명모듈(25')을 포함하되,
상기 촬영모듈(24')은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이 상기 구동모듈(21')이 제공하는 구동력을 상기 연결봉모듈(22')을 매개로 전달받아 회전되는 상태에서 촬영을 수행하고,
상기 제1사이드감시유닛(30')은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 일측과 연동되어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을 고정시키거나,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이 회전되는 상태를 정지시키며,
상기 제2사이드감시유닛(40')은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 타측과 연동되어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을 고정시키거나,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이 회전되는 상태를 정지시키고,
상기 제1사이드감시유닛(30')은,
상기 하방몸체유닛(10')에 구비되는 제1사이드구동모듈(31’)과, 상기 제1사이드구동모듈(31’) 상부에 구비되는 제1플랜지모듈(32')과, 상기 제1플랜지모듈(32')과, 상부로 대향하도록 구비되는 제2플랜지모듈(33')과, 상기 제1플랜지모듈(32')과 상기 제2플랜지모듈(33') 사이에 구비되는 제1사이드촬영모듈(34’)을 포함하고,
상기 제2사이드감시유닛(40')은,
상기 하방몸체유닛(10')에 구비되는 제2사이드구동모듈(41’)과, 상기 제2사이드구동모듈(41’) 상부에 구비되는 제3플랜지모듈(42')과, 상기 제2플랜지모듈(33')과, 상부로 대향하도록 구비되는 제4플랜지모듈(43')과, 상기 제3플랜지모듈(42')과 상기 제4플랜지모듈(43') 사이에 구비되는 제2사이드촬영모듈(44’)을 포함하며,
상기 제1사이드감시유닛(30')의 상기 제1플랜지모듈(32')은,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 하부로 접촉되는 제1연결모듈(71')과,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 상부로 접촉되는 제2연결모듈이 구비되며 상기 제2사이드감시유닛(40')의 상기 제2플랜지모듈(33')은,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 하부로 접촉되는 제3연결모듈과,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 상부로 접촉되는 제4연결모듈이 구비되는,
통신망을 이용한 개인정보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구축방법.

As a method of constructing a personal information database system using a communication network,
Receiving data used for building a database from a user; calculating a time contribution by inputting time-series information about the order in which the data is received from the user into a function having a higher contribution as the order of the received time-series information is earlier; And calculating a data contribution based on qualitative or quantitativ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data,
The database system includes a database building device,
The database construction device maps the calculated contribution to the user's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manages it through a storage device or server,
At the location where the server is provided, a separate monitoring facility is provided to manage access to the place where the server is located, and to monitor and manage handling for expansion, maintenance, and repair of the server by being placed around the server,
The monitoring facility,
A lower body unit (10') located on site; a central monitoring unit 20' provided at the upper center of the lower body unit 10' and photographing the surroundings in a rotational manner; a first side monitoring unit (30') that moves left and right in a sliding manner in the lower body unit (10') and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entral monitoring unit (20') to photograph the surroundings; and a second side monitoring unit (40') that moves left and right in a sliding manner in the lower body unit (10') and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central monitoring unit (20') to photograph the surroundings,
The central monitoring unit 20 ',
A driving module 21' installed on the lower body unit 10', a connecting rod module 22' installed above the driving module 21', and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onnecting rod module 22' a plate panel module 23', a plurality of photographing modules 24'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plate panel module 23', and the photographing modules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plate panel module 23' Including a lighting module 25 'that is disposed between (24') and provides lighting,
The photographing module 24' performs photographing in a state in which the plate panel module 23' is rotated by receiving the driving force provided by the driving module 21' through the connecting rod module 22',
The first side monitoring unit 30' interlocks with one side of the plate panel module 23' to fix the plate panel module 23' or to stop the rotation of the plate panel module 23'. make it,
The second side monitoring unit 40' interlocks with the other side of the plate panel module 23' to fix the plate panel module 23' or to stop the rotation of the plate panel module 23'. let it,
The first side monitoring unit 30 ',
The first side driving module 31' provided on the lower body unit 10', the first flange module 32'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first side driving module 31', and the first flange The module 32', the second flange module 33' provided to face upward, and the first side shot provided between the first flange module 32' and the second flange module 33' module 34';
The second side monitoring unit 40',
The second side driving module 41' provided on the lower body unit 10', the third flange module 42'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second side driving module 41', and the second flange The module 33', the fourth flange module 43' provided to face upward, and the second side shot provided between the third flange module 42' and the fourth flange module 43' module 44';
The first flange module 32' of the first side monitoring unit 30',
A first connection module 71' contacting the lower side of the plate panel module 23' and a second connection module contacting the upper side of the plate panel module 23' are provided, and the second side monitoring unit 40' is provided. The second flange module 33' of ) is provided with a third connection module contacting the lower part of the plate panel module 23' and a fourth connection module contacting the upper part of the plate panel module 23' ,
A method of constructing a personal information database system using a communication network.

삭제delete
KR1020220016165A 2022-02-08 2022-02-08 Construction method for a database system KR10246673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6165A KR102466738B1 (en) 2022-02-08 2022-02-08 Construction method for a database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6165A KR102466738B1 (en) 2022-02-08 2022-02-08 Construction method for a database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6738B1 true KR102466738B1 (en) 2022-11-16

Family

ID=84235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6165A KR102466738B1 (en) 2022-02-08 2022-02-08 Construction method for a database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6738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9202B1 (en) * 2017-07-25 2018-01-17 (주)조은엔지니어링 Switchboard standby power interruption system including intelligent monitoring device
KR20200044220A (en) * 2018-10-12 2020-04-29 주식회사 바이오크 Method, apparatus, computer program and computer recordable medium for creating database
KR102299878B1 (en) * 2021-03-03 2021-09-08 홍현자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danger
KR102300163B1 (en) * 2021-03-03 2021-09-10 주식회사 엠피코씨엠 System for monitoring electric equipment having distribution line between utility pole by using drone
KR102306935B1 (en) * 2021-03-03 2021-10-01 주식회사 에스앤씨하이텍 Electric shock accident prevention system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9202B1 (en) * 2017-07-25 2018-01-17 (주)조은엔지니어링 Switchboard standby power interruption system including intelligent monitoring device
KR20200044220A (en) * 2018-10-12 2020-04-29 주식회사 바이오크 Method, apparatus, computer program and computer recordable medium for creating database
KR102299878B1 (en) * 2021-03-03 2021-09-08 홍현자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danger
KR102300163B1 (en) * 2021-03-03 2021-09-10 주식회사 엠피코씨엠 System for monitoring electric equipment having distribution line between utility pole by using drone
KR102306935B1 (en) * 2021-03-03 2021-10-01 주식회사 에스앤씨하이텍 Electric shock accident prevention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0517B1 (en) Optimum Tender Price prediction method and system
US10262375B1 (en) Gamification of renter's/homeowner's insurance products
US11367088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data science as a service
US20060117388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deling information security risk
US11288735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lling virtual items on multiple online sales platforms simultaneously, the virtual items being useable within an online game
CN110602217A (en) Block chain-based alliance management method, device,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CN110910135A (en) Application resource transfer method an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CN109800363A (en) Construct method, apparatus, equipment and the storage medium of standing relational network
CN105190672A (en) Trading circles
CN107346315A (en) The structure and application process of object data association index system and the system
KR101005050B1 (en) Method for estimating contract price of an ordering organ
CN111566686A (en) Digital asset value management and operation method, device, medium and computing equipment
US20200265514A1 (en) Recording medium recording communication program and communication apparatus
CN114254846A (en) Engineering projec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Gama Successful models of hackathons and innovation contests to crowdsource rapid responses to COVID-19
KR102466738B1 (en) Construction method for a database system
US20150221025A1 (en) Method, syste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determining a payment strategy
US20230027919A1 (en) Method, apparatus, computer program and computer recordable medium for database construction
KR101927273B1 (en) Risk value evaluating system for unclaimed construction and risk value evaluating apparatus for unclaimed construction
KR102203171B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medium of recommemnding investment adviser
CN111582638B (en) On-line management system for real estate marketing business
CN115115322A (en) Target group identification method, risk assessment method, apparatus, device and medium
KR20200053448A (en) Method, apparatus, computer program and computer recordable medium for creating database
JP4871849B2 (en) Ranking prediction system
JP2021081984A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