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6703B1 - 가상 라이딩 시스템 - Google Patents

가상 라이딩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6703B1
KR102466703B1 KR1020200124382A KR20200124382A KR102466703B1 KR 102466703 B1 KR102466703 B1 KR 102466703B1 KR 1020200124382 A KR1020200124382 A KR 1020200124382A KR 20200124382 A KR20200124382 A KR 20200124382A KR 102466703 B1 KR102466703 B1 KR 1024667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ercise
image
bike
information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43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41330A (ko
Inventor
선우현
Original Assignee
(주)굿프렌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굿프렌드 filed Critical (주)굿프렌드
Priority to KR10202001243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6703B1/ko
Publication of KR202200413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13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67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67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support elements performing a rotating cycling movement, i.e. a closed path movement
    • A63B22/060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support elements performing a rotating cycling movement, i.e. a closed path movement performing a circular movement, e.g. ergomet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63B23/047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by rotating cycling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87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groups A63B21/00 - A63B23/00, e.g. controlling loa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support elements performing a rotating cycling movement, i.e. a closed path movement
    • A63B22/060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support elements performing a rotating cycling movement, i.e. a closed path movement performing a circular movement, e.g. ergometers
    • A63B2022/06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support elements performing a rotating cycling movement, i.e. a closed path movement performing a circular movement, e.g. ergometers specially adapted for a particular us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support elements performing a rotating cycling movement, i.e. a closed path movement
    • A63B22/060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support elements performing a rotating cycling movement, i.e. a closed path movement performing a circular movement, e.g. ergometers
    • A63B2022/06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support elements performing a rotating cycling movement, i.e. a closed path movement performing a circular movement, e.g. ergometers specially adapted for a particular use
    • A63B2022/0641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support elements performing a rotating cycling movement, i.e. a closed path movement performing a circular movement, e.g. ergometers specially adapted for a particular use enabling a lateral movement of the exercising apparatus, e.g. for simulating movement on a bicycl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87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groups A63B21/00 - A63B23/00, e.g. controlling load
    • A63B2024/009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groups A63B21/00 - A63B23/00, e.g. controlling load the load of the exercise apparatus being controlled in synchronism with visualising systems, e.g. hill slop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63B2071/0638Displaying moving images of recorded environment, e.g. virtual environment

Abstract

가상 라이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제어 보드는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대응하는 운동이 이루어 지도록 운동 기구와 디스플레이를 제어하여 가상 라이딩을 통한 운동이 이루어 지도록 하되, 운동이 이루어지는 동안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영상의 종류를 선택하는 영상 선택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로 상기 영상 선택 정보에 대응되는 영상 정보를 송신하는 통신 모듈; 가상 라이딩을 위한 프로그램 및 상기 영상 선택 정보에 의해 선택되는 복수의 영상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영상 선택 정보에 대응되는 영상 정보를 상기 메모리로부터 로딩 한 후,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송신되게 하는 중앙 처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가상 라이딩 시스템{virtual riding system}
본 발명은 가상 라이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바이크 등일 수 있는 운동 기구를 이용하여 가상 현실을 통한 운동을 할 수 있는 가상 라이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건강에 대한 관심이 고조됨에 따라 실내에서도 운동이 가능한 다양한 운동기구가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실내 운동기구로는 러닝 머신(running machine), 실내 사이클(cycle), 로윙 머신(rowing machine)을 비롯한 각종 헬스기구 등이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실내용 운동기구는 특정의 운동효과를 목적으로 제작됨에 따라 이용자가 꾸준히 흥미를 갖기에는 부족한 점이 있었다.
일례로, 실내 사이클에 있어서 벽이나 거울 등을 보면서 페달을 밟도록 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운동효과를 보기 위해서는 지속적으로 단조로운 동작을 해야 하므로 자연히 흥미가 반감되면서 지루한 운동이 된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실내 사이클 운동기기 앞에 대형스크린을 설치하고 사용자가 실제 달리거나 주행하는 느낌을 갖도록 하는 시청각 기기가 부가 설치된 시스템이 제안되었다.
하지만 상술한 시스템은 사용자가 실제 주행코스와 같은 실질적인 행동변화가 일어나지 않고 단순히 시청각에 의존하는 것에 불과하여 운동효과와 사용자의 관심을 지속시키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이상과 같이 종래의 대부분의 운동기구는 동작구현이 단순한 동작을 반복 수행하는 운동종목에 국한되어 있어 소비자의 관심과 흥미를 유발하는데 한계가 있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운동 기구를 이용하여 가상 현실을 통한 운동을 할 수 있는 가상 라이딩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가 탑승 가능하게 제공되는 운동 기구;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및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대응하는 운동이 이루어 지도록 상기 운동 기구와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여 가상 라이딩을 통한 운동이 이루어 지도록 하는 제어 보드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 보드는, 운동이 이루어지는 동안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영상의 종류를 선택하는 영상 선택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로 상기 영상 선택 정보에 대응되는 영상 정보를 송신하는 통신 모듈; 가상 라이딩을 위한 프로그램 및 상기 영상 선택 정보에 의해 선택되는 복수의 영상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영상 선택 정보에 대응되는 영상 정보를 상기 메모리로부터 로딩 한 후,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송신되게 하는 중앙 처리부를 포함하는 가상 라이딩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운동 기구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구비된 바이크 본체; 및 상기 베이스와 상기 바이크 본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바이크 본체에 움직임을 부여하는 인크라인 유닛을 포함하여, 상기 인크라인 유닛을 이용하여 상기 바이크 본체의 기울기를 조절함으로써 실제 바이크를 탈 때와 흡사한 운동효과 및 분위기를 구현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운동 기구를 이용하여 가상 현실을 통한 운동을 할 수 있는 가상 라이딩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상 라이딩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가상 라이딩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태의 도 1의 단말기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제어 보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디스플레이에 영상이 표시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운동 기구의 일 예로 제공되는 실내 운동용 바이크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실내 운동용 바이크의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상 라이딩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가상 라이딩 시스템(1)은 단말기(2), 제어 보드(3), 디스플레이(4) 및 운동 기구(7)를 포함한다.
가상 라이딩 시스템(1)을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는 네트워크(network)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 네트워크는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일 수 있다. 또 따른 예로, 네트워크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단말기(2)는 네트워크를 통해 제어 보드(3)와 통신할 수 있다. 단말기(2)는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 과 같이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다양한 형태의 전자 장비일 수 있다. 단말기(2)는 가상 라이딩 시스템(1) 제공을 위한 가상 라이딩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도 2는 가상 라이딩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태의 도 1의 단말기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가상 라이딩 어플리케이션은 운동이 이루어지는 동안 디스플레이(4)에 표시될 영상의 종류를 선택(이하, 영상 선택 정보)하고, 제어 보드(3)로 영상 선택 정보를 송신 가능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가상 라이딩 어플리케이션은 가상 라이딩이 이루어 지는 지형의 상태를 선택(이하, 지형 정보)하고, 지형 정보를 제어 보드(3)로 송신 가능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형 정보는 지형이 오르막인 상태, 내리막인 상태, 일 방향으로 기울어진 상태, 오르막이나 내리막이 반복되는 패턴, 지면의 상태(울퉁불퉁한 정도 등)등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운동이 이루어 지는 동안 운동 기구(7)는 지형 정보에 대응하여, 주행 거리의 경과에 따라 전후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정도, 좌우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정도, 진동이 발생하는 정도, 운동 기구(7)의 바퀴 회전에 인가되는 부하가 조절된다.
또한, 지형 정보는 영상의 종류와 연동되게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영상의 종류를 선택하면, 영상에 나타나는 지형에 대응되는 정보가 지형 정보로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지형 정보를 선택하면 해당 지형을 갖는 영상의 종류가 선택될 수 있다. 이때 영상의 종류가 복수이면, 복수의 영상의 종류가 표시되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또한, 가상 라이딩 어플리케이션은 가상 라이딩 시스템(1)을 동작 시키기 위한 실행 명령을 입력하여, 제어 보드(3)로 송신 가능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제어 보드(3)는 단말기(2)로부터 수신되는 정보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4)에 영상이 출력되고, 지형 정보에 대응하여 운동 기구(7)의 상태가 조절되게 한다.
도 3은 도 1의 제어 보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어 보드(3)는 단말기(2)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대응하여 가상 라이딩을 통한 운동이 이루어 지도록 운동 기구(7)와 디스플레이(4)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 보드(3)는 센서(5) 및 카메라(6)에서 수신되는 신호를 운동 기구(7)와 디스플레이(4)의 제어에 반영할 수 있다.
제어 보드(3)는 통신 모듈(31), 메모리(32) 및 중앙 처리부(33)를 포함한다.
통신 모듈(31)은 단말기(2), 디스플레이(4), 운동 기구(7)와 데이터 송수신 가능하게 제공된다. 통신 모듈(31)은 단말기(2)로부터 영상 선택 정보, 지형 정보, 실행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통신 모듈(31)은 영상 선택 정보에 대응한 영상 정보를 디스플레이(4)에 송신하여, 디스플레이(4)를 통해 출력되게 할 수 있다. 통신 모듈(31)은 지형 정보에 대응한 운동 기구(7) 제어 신호를 운동 기구(7)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모듈(31)은 운동 기구(7)에 제공되는 센서(5)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예로, 센서(5)는 운동 기구(7)에 설치되어 운동 기구(7)의 주행 속도, 방향, 기울기 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주행상태정보를 측정한다. 예컨대, 센서(5)는 후술할 바이크(10)의 구동휠(도 5의 250) 측에 설치되어 속도를 측정하거나, 핸들(도 5의 220) 측에 설치되어 방향을 측정하거나, 프레임(도 5의 210)에 설치되어 기울기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센서(5)는 감마센서로 제공되고 바이크(10)의 일측에 위치되어, 바이크(10)의 속도, 방향, 기울기 등의 주행상태정보를 측정하고 통신 모듈(31)을 통해 제어 보드(3)에 측정값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모듈(31)은 운동 기구(7)의 일측에 위치되는 카메라(6)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카메라(6)은 운동 기구(7)의 상태, 사용자를 촬영하여 사용자의 동작 상태, 운동 기구(7)의 상태를 통신 모듈(31)을 통해 제어 보드(3)에 제공할 수 있다.
메모리(32)는 수신된 데이터 및 가상 라이딩을 위한 프로그램 및 각종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32)는 영상 선택 정보에 의해 선택되는 복수의 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32)에 저장된 영상을 실사 콘텐츠로 제공될 수 있다. 메모리(32)는 저장된 복수의 영상 각각과 해당 영상의 지형 정보를 링크 시켜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32)는 지형 정보에 대응하여 운동 기구(7)의 제어 값 산출을 위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중앙 처리부(33)는 통신 모듈(31)을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하고, 데이터를 메모리(32)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적용한다. 중앙 처리부(33)는 영상 선택 정보에 대응되는 영상 정보를 메모리(32)로부터 로딩 한 후, 통신부를 통해 디스플레이(4)로 송신되게 할 수 있다. 또한, 중앙 처리부(33)는 통신 모듈(31)을 통해 수신된 지형 정보에 대응한 운동 기구 제어 값을 산출한 후, 운동 기구(7)에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2)로부터 지형 정보는 생략되고, 영상 정보만이 수신되는 경우, 중앙 처리부(33)는 지형 정보와 링크된 지형 정보를 통해 운동 기구 제어 값을 산출한 후, 운동 기구(7)에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중앙 처리부(33)는 센서(5), 카메라(6)를 통해 수신되는 운동 기구(7)의 상태, 사용자의 상태를 영상 정보에 반영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운동 기구(7)의 상태, 사용자의 상태를 반영하여 영상에서 풍경이 지나가는 속도, 사용자의 시선에 대응한 초점의 방향 등이 조절되게 할 수 있다. 중앙 처리부(33)는 지형 정보에 대응되는 운동 기구(7)의 제어 값을 산출한 후, 운동 기구(7)로 송신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디스플레이에 영상이 표시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4)는 제어 보드(3)의 통신 모듈(31)로부터 영상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한다. 일 예로, 디스플레이(4)는 TV, 모니터, 빔 프로젝터 등으로 제공되고, 제어 보드(3)의 통신 모듈(31)로부터 영상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통신부가 부착된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운동 기구(7)는 사용자가 탑승 가능하게 제공되어, 디스플레이(4)에 표시되는 영상과 연동되는 운동이 사용자에게 제공되게 한다. 운동 기구(7)는 제어 보드(3)의 통신 모듈(31)로부터 수신되는 운동 기구(7)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 상태가 조절될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운동 기구의 일 예로 제공되는 실내 운동용 바이크의 측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실내 운동용 바이크의 정면도이다.
도 5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 운동용 바이크(10)는, 실내 운동용 바이크(10)의 설치를 위한 받침대 겸 거치대 역할을 하는 베이스(100)와, 사용자가 실제로 탑승하는 바이크 본체(200)와, 바이크 본체(200)에 움직임을 부여하는 인크라인 유닛(300)을 포함한다.
베이스(100)는 바이크 본체(200)가 전도되지 않도록 소정의 무게를 가진 중량물이다. 이러한 베이스(100)는, 평행하게 배치된 한 쌍의 제1부재(110,120)와, 한 쌍의 제1부재(110,120) 사이를 연결하는 제2부재(130)를 포함한다.
한 쌍의 제1부재(110,120)의 양 단부 하면에는 소음 및 진동을 흡수하기 위한 탄성패드(140)가 설치된다. 또한, 한 쌍의 제1부재(110,120) 중 적어도 하나에는 실내 운동용 바이크(10)의 이동을 위한 바퀴(150)가 설치된다.
바이크 본체(200)는 베이스(100)의 상부에 구비되되, 바이크 본체(200)가 전후방향 또는/및 좌우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도록 베이스(100)에 힌지(hinge) 결합된다.
바이크 본체(200)는 프레임(210)과, 프레임(210)의 상단 전방 및 후방에 각각 구비된 핸들(220) 및 시트(230)와, 프레임(210)의 하단에 마련되며 페달(240)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휠(250)을 포함한다.
프레임(210)은, 베이스(100)의 후단에서 사선방향으로 연장된 탑 튜브(212)와, 탑 튜브(212)의 전단에서 상부로 연장된 헤드 튜브(214)와, 탑 튜브(212)의 후단에서 상부로 연장된 시트 튜브(216)와, 헤드 튜브(214)에서 하부로 연장된 다운 튜브(218)를 포함한다.
프레임(210)의 탑 튜브(212)와 베이스(100) 사이에는 바이크 본체(200)에 움직임을 부여하는 인크라인 유닛(300)이 설치된다. 헤드 튜브(214)의 상단에는 방향 전환을 위한 핸들(220)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시트 튜브(216)의 상단에는 사용자의 탑승을 위한 시트(230)가 높이 조절 가능하게 설치된다.
한편, 프레임(210)의 다운 튜브(218)는 베이스(100)의 전단에 결합되되, 바이크 본체(200)가 전후방향 또는/및 좌우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도록 힌지 결합된다. 예를 들어, 볼과 소켓으로 이루어진 볼 조인트 등의 힌지 구조물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인크라인 유닛(300)은 바이크 본체(200)에 움직임을 부여하는 수단으로서, 베이스(100)와 바이크 본체(200) 사이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베이스(100)의 제1부재(110)와 바이크 본체(200)의 프레임(210) 사이에 설치되되, 바이크 본체(200)의 양측에 각각 설치된 한 쌍 위치된다.
인크라인 유닛(300)은, 전원 인가 시 구동하는 인크라인 모터(310)와, 인크라인 모터(310)에 의해 신장 또는 수축되는 인크라인 액추에이터(320), 제어 보드(3)의 통신 모듈(31)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에 따라 인크라인 모터(310)를 제어하는 유닛 제어부를 포함한다.
인크라인 유닛(300)에 따르면, 인크라인 모터(310)가 정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인크라인 액추에이터(320)를 신장시켜 바이크 본체(200)의 후단을 상승시키거나 바이크 본체(200)가 일측으로 기울어지게 한다.
반면, 인크라인 모터(310)가 역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인크라인 액추에이터(320)를 수축시켜 바이크 본체(200)의 후단을 하강 시키거나 타측으로 기울어지게 한다.
즉, 바이크 본체(200)의 양측에 각각 설치된 인크라인 유닛(300)이 동일하게 신장 또는 수축되면 바이크 본체(200)의 후단을 상승 또는 하강 시켜 전후방향 기울기를 조절되며, 양측 중 하나는 수축되고 다른 하나는 신장되면 바이크 본체(200)는 좌우방향의 일측으로 기울어 지게 된다.
상술한 구성의 실내 운동용 바이크(10)는 인크라인 유닛(300)을 이용하여 바이크 본체(200)의 전후방향 기울기 또는/및 좌우방향 기울기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실내에서 운동을 하더라도 실제 바이크를 탈 때와 흡사한 운동효과 및 분위기를 구현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실내 운동용 바이크(10)를 포함하는 가상 라이딩 시스템(1)을 이용하면 실제 바이크를 탈 때와 흡사한 운동효과 및 분위기를 더욱 실감나게 체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인크라인 유닛(300)은 제어 보드(3)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따라 구동되어, 선택된 지형 정보에 대응하여 바이크 본체(200)의 기울기(전후방향 기울기 또는/및 좌우방향 기울기)가 조절된다.
또한, 실내 운동용 바이크(10)는 구동휠(250)에 회전 부하를 인가 가능하도록 제공되고, 인가되는 부하는 제어 보드(3)의 통신 모듈(31)로부터 수신되는 운동 기구(7) 제어 신호에 따라 조절되게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선택된 지형 정보에 대응한 경사도에 따라 바이크(10)의 구동휠(250)에 부하를 인가하여 구름저항이 발생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보드(3)는 바이크(10)의 주행상태, 일례로 바이크(10)의 속도에 연동하여 모니터(20)를 통해 출력되는 가상 라이딩 영상의 재생 속도를 제어한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저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2: 단말기 3: 제어 보드
4: 디스플레이 5: 센서
6: 카메라 7: 운동 기구
10: 실내 운동용 바이크 31: 통신 모듈
32: 메모리 33: 중앙 처리부
100: 베이스 200: 바이크 본체
300: 인크라인 유닛

Claims (5)

  1. 사용자가 탑승 가능하게 제공되는 운동 기구,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및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대응하는 운동이 이루어 지도록 상기 운동 기구와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여 가상 라이딩을 통한 운동이 이루어 지도록 하는 제어 보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보드는 운동이 이루어지는 동안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영상의 종류를 선택하는 영상 선택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로 상기 영상 선택 정보에 대응되는 영상 정보를 송신하는 통신 모듈,
    가상 라이딩을 위한 프로그램 및 상기 영상 선택 정보에 의해 선택되는 복수의 영상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영상 선택 정보에 대응되는 영상 정보를 상기 메모리로부터 로딩 한 후,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송신되게 하는 중앙 처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운동 기구는 미리 설정된 무게를 갖는 중량물로 마련된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구비된 바이크 본체 및
    상기 베이스와 상기 바이크 본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바이크 본체에 움직임을 부여하는 인크라인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는 평행하게 배치된 한 쌍의 제1부재와 상기 한 쌍의 제1부재 사이를 연결하는 제2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제1부재의 양 단부 하면에는 소음 및 진동을 흡수하기 위한 탄성패드가 설치되며,
    상기 한 쌍의 제1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는 실내 운동용 바이크의 이동을 위한 바퀴가 설치되고,
    상기 바이크 본체의 프레임에 마련되는 다운 튜브는 상기 바이크 본체가 전후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의 전단에 볼과 소켓으로 이루어진 볼 조인트가 힌지 구조물로 적용되어 힌지 결합되고,
    상기 베이스와 상기 프레임 사이에는 상기 바이크 본체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바이크 본체에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움직임을 부여하는 한 쌍의 인크라인 유닛이 설치되며,
    상기 단말기에서 가상 라이딩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사용자로부터 영상의 종류가 선택되면, 영상에 나타나는 지형에 대응되는 정보를 지형 정보로 선택하고, 해당 지형을 갖는 영상의 종류를 선택하며, 영상의 종류가 복수이면, 복수의 영상의 종류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상기 제어 보드로 송신하며,
    상기 지형정보는 오르막 상태, 내리막 상태, 일 방향으로 기울어진 상태, 오르막이나 내리막이 반복되는 패턴, 지면의 울퉁불퉁한 정도에 대응되는 지면 상태 정보를 포함하고, 영상의 종류와 연동되게 제공되며,
    상기 제어 보드는 상기 지형정보에 연동해서 상기 운동기구의 전후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정도, 좌우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정도, 진동이 발생하는 정도, 운동 기구의 바퀴 회전에 인가되는 부하를 조절하며, 사용자에 의해 선택받아 실제 바이크를 탈 때와 흡사한 운동효과 및 분위기를 구현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라이딩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00124382A 2020-09-25 2020-09-25 가상 라이딩 시스템 KR1024667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4382A KR102466703B1 (ko) 2020-09-25 2020-09-25 가상 라이딩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4382A KR102466703B1 (ko) 2020-09-25 2020-09-25 가상 라이딩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1330A KR20220041330A (ko) 2022-04-01
KR102466703B1 true KR102466703B1 (ko) 2022-11-15

Family

ID=81183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4382A KR102466703B1 (ko) 2020-09-25 2020-09-25 가상 라이딩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6703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84982A (ko) * 2008-02-02 2009-08-06 장성철 현실감 있는 운동이 가능한 사이클 운동기구의 운용방법
KR101666811B1 (ko) * 2015-01-21 2016-10-17 (주)신우엠테크 실제 운행환경을 구현하는 자전거 운행 시뮬레이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운동관리 방법
KR101912430B1 (ko) * 2017-01-23 2018-12-28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가상현실 콘텐츠 제공 방법
KR20190133505A (ko) * 2018-05-23 2019-12-03 문희열 자전거 기울기 구현이 가능한 가상현실 자전거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1330A (ko) 2022-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001038B2 (ja) シミュレータ
US7033176B2 (en) Motion platform system and method of rotating a motion platform about plural axes
US9694235B2 (en) Method and system for virtual hiking
US10004940B2 (en) Exercising bicycle
CN106659923A (zh) 横向偏斜跑步机底板
US20020077221A1 (en) Spinning exercise cycle with lateral movement
KR101093799B1 (ko) 가상 현실에 대응 동작하는 자전거 운동기구
US20100022354A1 (en) Exercise equipment with movable handle bars to simulate steering motion in a simulated environment and methods therefor
JPH08510655A (ja) 対話式運動機器
EP0860186A1 (en) Ski simulator
KR102358011B1 (ko) 시뮬레이션 장치의 조작페달 및 조작방법
KR20100089780A (ko) 표시 기능을 갖는 운동 시스템
KR101246826B1 (ko) 역주행 및 부하 제공이 가능한 자전거 시뮬레이션시스템
KR102466703B1 (ko) 가상 라이딩 시스템
US20160184702A1 (en) Game system having full-body exercise apparatus controller with independently operable appendicular members
KR101848427B1 (ko) 사이클 거치형 무동력 시뮬레이션 장치
KR20180047466A (ko) 모터사이클 시뮬레이션 게임시스템
KR100803366B1 (ko) 승마영상과 연동되는 승마형 운동기구
KR101915639B1 (ko) 가상 현실을 이용한 자전거 운동 기구
CN110152244A (zh) 一种可逆行及可提供负荷的自行车仿真系统及装置
US10345896B2 (en) Alignment sensor system and alignment sensor system method for a movement instrument
KR102437593B1 (ko) 스마트 장갑을 포함하는 승마 운동 시스템
KR101267964B1 (ko) 레이싱 코너링 시뮬레이션 장치
CN110152242B (zh) 一种可振动自行车系统
KR20090084982A (ko) 현실감 있는 운동이 가능한 사이클 운동기구의 운용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