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6699B1 - 건강관리가 가능한 반려동물용 먹이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건강관리가 가능한 반려동물용 먹이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6699B1
KR102466699B1 KR1020200131674A KR20200131674A KR102466699B1 KR 102466699 B1 KR102466699 B1 KR 102466699B1 KR 1020200131674 A KR1020200131674 A KR 1020200131674A KR 20200131674 A KR20200131674 A KR 20200131674A KR 102466699 B1 KR102466699 B1 KR 1024666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anion animal
weight
unit
cover
conductive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16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48601A (ko
Inventor
김혜현
윤승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마크에이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마크에이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마크에이치
Priority to KR10202001316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6699B1/ko
Priority to PCT/KR2021/011081 priority patent/WO2022080647A1/ko
Publication of KR202200486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86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66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66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A01K5/0291Automatic devices with timing mechanisms, e.g. pet feed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 A01K29/005Monitoring or measuring activity, e.g. detecting heat or ma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A01K5/0275Automatic devices with mechanisms for delivery of measured doses
    • A01K5/0283Automatic devices with mechanisms for delivery of measured doses by we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 A61B5/053Measuring electrical impedance or conductance of a portion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03/00Evaluating a particular growth phase or type of persons or animals
    • A61B2503/40Anima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rd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Feeding And Watering For Cattle Raising And Animal Husbandry (AREA)

Abstract

건강관리가 가능한 반려동물용 먹이 공급 장치가 개시된다. 건강관리가 가능한 반려동물용 먹이 공급 장치는 내부에 용기가 제공되는 바디; 상기 바디에 대해 회동가능하도록 상기 바디의 상면과 결합하는 커버; 상기 커버의 개폐를 조절하는 구동부; 상기 바디의 전방에 놓이며, 반려동물의 체중을 측정하는 체중 측정부; 및 상기 체중 측정부에서 수신된 상기 반려동물의 체중 정보에 따라 상기 커버가 개폐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건강관리가 가능한 반려동물용 먹이 공급 장치{feeding apparatus for healthcare of pets}
본 발명은 반려동물용 먹이 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강관리가 가능한 반려동물용 먹이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반려동물을 기르는 사람들도 다른 사람들과 마찬가지로 외부에서 많은 시간을 보내고 있기 때문에 집을 비우는 경우 반려동물의 관리에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외출하거나 휴가 등으로 장기간 집을 비울 경우에는 먹이의 공급이 문제가 되며, 이로 인해 유료인 수탁시설 등에 반려동물을 수탁하기도 하나 각 반려동물 마다 식성이나 식사의 습성 등이 다르므로 그 대응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환경 변화에 민감한 동물의 특성상 환경 변화에 대한 주의도 필요한 현실이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반려동물에게 자동으로 먹이를 공급해주는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81468호에는 "반려동물의 지능적인 먹이 공급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피딩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먹이 공급장치는 반려동물의 보호자가 집을 비우는 경우에도 반려동물의 먹이를 설정된 시간에 설정된 양만큼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자동 급식기는 반려동물의 건강 상태와 무관하게 설정 시간마다 먹이가 일정량 공급되기 때문에, 반려동물의 먹이 취식이 가능한 상태를 항상 제공한다. 이 경우, 과체중 또는 저 체중인 반려동물에게도 항상 정량으로 먹이가 제공되므로 반려동물의 건강 상태를 악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반려동물의 먹이 공급을 조절할 수 있는 반려동물용 먹이 공급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반려동물의 건강을 관리할 수 있는 반려동물용 먹이 공급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건강관리가 가능한 반려동물용 먹이 공급 장치는 내부에 용기가 제공되는 바디; 상기 바디에 대해 회동가능하도록 상기 바디의 상면과 결합하는 커버; 상기 커버의 개폐를 조절하는 구동부; 상기 바디의 전방에 놓이며, 반려동물의 체중을 측정하는 체중 측정부; 및 상기 체중 측정부에서 수신된 상기 반려동물의 체중 정보에 따라 상기 커버가 개폐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바디의 전단에 제공되며, 상기 제어부로부터 수신된 상기 반려동물의 체중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체중 측정부는, 상기 바디의 전단과 결합하는 하부 플레이트;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 플레이트; 및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 사이에 제공되는 체중 측정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중 측정부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상면에 격자 문양으로 형성되는 전도성 패턴; 및 상기 전도성 패턴의 저항 변화를 측정하는 저항 측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도성 패턴의 저항 변화를 수신하며, 상기 전도성 패턴의 저항 크기에 따라 상기 커버의 개폐 시간을 제어하고, 상기 반려동물의 체중 정보와 상기 전도상 패턴의 저항 크기를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구동 기어가 결합된 모터; 상기 구동 기어와 맞물리고, 부채꼴 형상을 갖는 회전 기어; 상기 회전 기어의 중심축에 삽입되는 회전 로드; 및 일단이 상기 회전 로드와 고정 결합하고, 타단이 상기 커버와 고정 결합하는 연결 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반려 동물의 체중을 측정하고, 측정된 체중 변화에 따라 커버의 개폐 및 개방 시간을 조절하므로, 반려 동물의 먹이 섭취량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저항 측정부에서 측정된 저항의 변화로 반려 동물의 발바닥 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며, 발바닥 상태에 따라 반려 동물의 건강 상태를 예측하여 커버의 개폐 및 개방 시간을 조절하므로, 반려 동물의 먹이 섭취량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술한 과정을 통한 반련 동물의 먹이 섭취량 조절로 반려 동물의 건강 관리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강관리가 가능한 반려동물용 먹이 공급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반려동물용 먹이 공급 장치의 커버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반려동물용 먹이 공급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반려동물용 먹이 공급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건강관리가 가능한 반려동물용 먹이 공급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체중 측정부에 반려 동물이 올라 갔을 때의 발바닥을 표현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5의 반려동물용 먹이 공급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는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 예 들에서 제1, 제2, 제3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따라서, 어느 한 실시 예에 제 1 구성요소로 언급된 것이 다른 실시 예에서는 제 2 구성요소로 언급될 수도 있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각 실시 예는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 예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은 전후에 나열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연결"은 복수의 구성 요소를 간접적으로 연결하는 것, 및 직접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강관리가 가능한 반려동물용 먹이 공급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반려동물용 먹이 공급 장치의 커버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반려동물용 먹이 공급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반려동물용 먹이 공급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반려동물용 먹이 공급 장치(10)는 반려동물의 체중을 측정하고, 측정된 체중에 따라 커버(200)를 개방하고, 커버(200)의 개방 시간을 제어함으로써, 반려동물의 체중관리를 보조할 수 있다. 반려동물용 먹이 공급 장치(10)는 바디(100), 커버(200), 구동부(300), 체중 측정부(400), 제어부(500), 수동 스위치(600), 디스플레이부(700), 그리고 통신부(800)를 포함한다.
바디(100)는 대체로 육면체 형상을 하며, 상면은 후단에서 전단으로 하향 경사지게 제공된다. 바디(100)의 내부에는 용기(101, 102)가 놓일 수 있는 공간이 제공된다. 바디(100)의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용기(101, 102)가 놓일 수 있다. 용기(101, 102)에는 먹이 또는 물이 담길 수 있다. 실시 예에 의하면, 바디(100)의 내부에는 2개의 용기(101, 102)가 놓일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용기(101)에는 먹이가 담기고, 다른 하나의 용기(102)에는 물이 담길 수 있다. 바디(100)의 상면에는 기어 인입홀(111, 112, 113)이 형성된다. 기어 인입홀(111, 112, 113)은 바디(100)의 상면에서 후방 영역에 형성되며, 바디(100)의 폭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서로 이격하여 형성된다.
커버(200)는 사각 형상의 판으로, 바디(100)의 상면에 놓인다. 커버(200)의 후단은 바디(100)의 후단과 결합한다. 커버(200)는 바디(100)에 대해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한다. 커버(200)에는 투명 창(201, 202)이 제공될 수 있다. 투명 창(201, 202)을 통해 용기(101, 102)에 담긴 먹이와 물의 양을 확인할 수 있다.
구동부(300)는 커버(200)를 회동시켜 개폐한다. 구동부(300)는 회전 기어(310), 회전 로드(320), 연결 브라켓(330), 구동 기어(340), 그리고 모터(350)를 포함한다.
회전 기어(310)는 커버(200)의 회전 반경과 대응하는 각도를 갖는 부채꼴 형상을 가지며, 부채꼴 형상의 외주면을 따라 치들이 형성된다.
회전 로드(320)는 소정 길이를 갖는 로드로, 바디(100)의 기어 인입홀(112) 내부에 놓인다. 회전 로드(320)는 그 일단이 회전 기어(310)의 회전 중심축에 삽입 고정된다. 회전 로드(320)는 회전 기어(310)의 회전과 함께 회전한다.
연결 브라켓(330)은 일단이 바디(100)에 내장되어 회전 로드(320)와 고정 결합하고, 타단이 커버(200)와 고정 결합한다.
구동 기어(340)는 디스크 형상으로 제공되며, 그 외주면을 따라 치들이 형성된다. 구동 기어(340)의 치들은 회전 기어(310)의 치들과 맞물린다.
모터(350)는 회전축이 구동 기어(340)의 중심에 삽입되며, 구동 기어(340)를 회전시킬 수 있는 동력을 발생시킨다. 모터(350)의 구동으로 구동 기어(340)와 회전 기어(310)가 순차적으로 회전하고, 회전 기어(310)와 함께 회전 로드(320)가 회전하여 커버(200)가 개폐될 수 있다.
체중 측정부(400)는 바디(100)의 전방에 놓인다. 체중 측정부(400)는 먹이를 먹기 위해 반려동물이 올라서는 발판으로 제공되며, 반려동물의 체중을 측정한다. 체중 측정부(400)는 하부 플레이트(410), 상부 플레이트(420), 그리고 체중 측정 센서(430)를 포함한다.
하부 플레이트(410)는 사각 형상의 판으로, 바디(100)와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하부 플레이트(410)는 반려 동물의 네 발이 올라올 수 있는 너비로 제공될 수 있다.
상부 플레이트(420)는 하부 플레이트(410)와 동일한 형상 및 너비를 가지며, 하부 플레이트(410)의 상부에 위치한다.
체중 측정 센서(430)는 상부 플레이트(410)와 하부 플레이트(420) 사이에 위치하며, 상부 플레이트(410)에 가해지는 반려동물의 체중을 측정한다. 체중 측정 센서(430)는 로드 셀(load cell)이 사용될 수 있다. 체중 측정 센서(430)는 복수 개 제공되며, 서로 이격하여 배치한다.
제어부(500)는 체중 측정 센서(430)로부터 체중 정보를 수신하며, 체중 정보에 따라 구동부(300)를 제어한다.
일 예에 의하면, 제어부(300)는 수신된 체중 정보가 정상 체중 범위 이내일 경우, 커버(200)가 개방되도록 구동부(300)를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300)는 커버(200)의 개방이 제1시간 동안 유지되고, 제1시간이 경과하면 커버(200)가 닫히도록 구동부(300)를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에 의하면, 제어부(500)는 수신된 체중 정보가 정상 체중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커버(200)가 개방되지 않도록 구동부(3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 의하면, 제어부(500)는 수신된 체중 정보가 정상 체중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커버(200)가 개방되고, 커버(200)의 개방이 상기 제1시간보다 짧은 제2시간동안 유지되고, 제2시간이 경과하면 커버(200)가 닫히도록 구동부(3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 의하면, 제어부(500)는 수신된 체중 정보가 정상 체중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체중 범위의 초과 정도에 따라 달리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체중 범위가 정상 체중 범위보다 제1크기로 초과되는 경우, 상기 제1시간보다 짧은 제2시간동안 유지되고, 제2시간이 경과하면 커버(200)가 닫히도록 구동부(3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체중 범위가 정상 체중 범위보다 제2크기로 초과되는 경우, 상기 제2시간보다 짧은 제3시간동안 유지되고, 제3시간이 경과하면 커버(200)가 닫히도록 구동부(30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2크기는 상기 제1크기보다 체중 범위의 초과 정도가 큰 경우를 의미한다.
또 다른 예에 의하면, 제어부(500)는 수신된 체중 정보가 정상 체중 범위에 미달하는 경우, 커버(200)가 개방되고, 커버(200)의 개방이 상기 제1시간보다 긴 제4시간동안 유지되고, 제4시간이 경과하면 커버(200)가 닫히도록 구동부(3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 의하면, 제어부(500)는 수신된 체중 정보가 정상 체중 범위에 미달되는 경우, 체중 범위의 미달 정도에 따라 달리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체중 범위가 정상 체중 범위보다 제3크기로 미달되는 경우, 상기 제1시간보다 긴 제4시간동안 유지되고, 제4시간이 경과하면 커버(200)가 닫히도록 구동부(3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체중 범위가 정상 체중 범위보다 제4크기로 초과되는 경우, 상기 제4시간보다 긴 제5시간동안 유지되고, 제5시간이 경과하면 커버(200)가 닫히도록 구동부(30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4크기는 상기 제3크기보다 체중 범위의 미달 정도가 큰 경우를 의미한다.
이와 같이, 반려동물의 체중 정보에 따라 커버(200)의 개방 여부, 그리고 커버(200)의 개방 시간을 제어함으로써, 반려동물의 먹이 섭취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반려동물의 체중 관리가 가능하다.
또한, 제어부(500)는 수신된 체중 정보를 통신부(800)와 디스플레이부(700)에 전송할 수 있다. 통신부(800)는 수신된 체중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20)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20)는 수신된 체중 정보를 일자별로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700)는 수신된 체중 정보를 표시한다.
또한, 제어부(500)는 커버(200)가 개방되면, 기 설정된 시간을 카운트하고,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커버(200)가 닫히도록 구동부(300)를 제어할 수 있다.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자동으로 커버(200)가 닫히도록 제어함으로써, 반려동물이 섭취하는 먹이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제어부(500)는 카운팅되는 시간을 디스플레이부(70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700)는 카운팅되는 시간을 숫자 또는 점멸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00)는 커버(200)가 개방되고,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반려동물이 이동하여 체중 측정 센서(430)에 반려동물의 체중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커버(200)가 닫히도록 구동부(300)를 제어할 수 있다.
수동 스위치(600)는 바디(100)의 전면에 위치한다. 사용자가 수동 스위치(600)를 누르면, 모터(350)가 구동되어 커버(200)가 개폐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건강관리가 가능한 반려동물용 먹이 공급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6은 체중 측정부에 반려 동물이 올라 갔을 때의 발바닥을 표현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5의 반려동물용 먹이 공급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체중 측정부(400)는 전도성 패턴(450)과 저항 측정부(460)를 더 포함한다.
전도성 패턴(450)은 상부 플레이트(420)의 상면에 형성된다. 전도성 패턴(450)은 전도성 물질이 격자 모양으로 형성된다. 전도성 패턴(450)은 금속 입자가 포함된 전도성 잉크가 격자 모양으로 인쇄되어 형성될 수 있다. 금속 입자는 구리 입자를 포함한다. 단위 격자의 사이즈는 반려동물의 발바닥(30)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다.
저항 측정부(460)는 전도성 패턴(450)에 미세 전류를 흘러 전도성 패턴(450)의 저항 변화를 측정한다. 저항 측정부(460)는 제어부(500)의 제어에 의해 미세 전류를 전도성 패턴(450)에 흘러준다. 제어부(500)는 체중 측정 센서(430)에서 전송된 체중 정보가 기 설정된 반려 동물의 체중 범위에 해당하는 경우, 저항 측정부(460)를 작동시킨다.
반려 동물의 발바닥(30)은 전도성 패턴(450)의 단위 격자보다 크므로, 발바닥(30)이 다수의 격자에 걸쳐 위치한다. 발바닥(30)이 전도성 패턴(450)에 위치하면 저항 측정부에 측정되는 저항 값이 증가한다. 측정 저항 값은 반려 동물의 발바닥(30)의 수분 함량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발바닥(30)이 습한 경우, 발바닥이 건조한 경우보다 측정 저항 값이 커질 수 있다. 반려동물은 발바닥(30)이 습한 정도에 따라 건강 상태를 체크할 수 있는데,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여 측정되는 저항 값의 크기로 반려동물의 건강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저항 측정부(460)에서 측정되는 전도성 패턴(450)의 저항 값은 제어부(500)에 전송된다. 제어부(500)는 반려 동물이 체중 측정부(400)에 오르기 전에 미리 측정한 전도성 패턴(450)의 저항 값과 저항 측정부에서 수신된 전도성 패턴(450)의 저항 값을 비교하여 반려 동물의 건강 상태를 판단한다. 제어부(500)는 전도성 패턴(450)의 저항 값을 다수의 구간으로 나누어 디스플레이부(700)에 반려 동물의 건강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전도성 패턴(450)의 저항 값이 높게 나타나는 경우, 반려동물의 발바닥(30)이 습한 상태로 판단하여 '건강 나쁨'으로 디스플레이부(700)에 표시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전도성 패턴(450)의 저항 값이 낮게 나타나는 경우, 반려동물의 발바닥(30)이 건조한 상태로 판단하여 '건강 양호'로 디스플레이부(700)에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500)는 반려 동물의 건강 상태에 따라 커버(200)의 개방 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제어부(500)는 반려동물의 발바닥(30)이 습한 상태로 판단되면, 반려동물의 건강 상태가 좋지 않을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제1시간보다 긴 시간 동안 커버(200)를 개방할 수 있다. 제어부(500)는 반려동물의 발바닥(30)의 습한 정도에 심할수록 커버(200)의 개방 시간을 늘릴 수 있다.
다른 예에 의하면, 제어부(500)는 반려동물의 발바닥(30)이 습한 상태로 판단되면, 반려 동물의 체중 정보에 따라 커버(200)의 개방 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일 예로, 반려 동물의 체중 정보가 정상 체중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과체중에 의해 반려동물의 발바닥(30) 상태가 나빠진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1시간보다 짧은 시간 동안 커버(200)를 개방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반려동물의 체중 정보가 정상 체중 범위에 미달하는 경우, 저체중에 의해 반려동물의 발바닥(30) 상태가 나빠진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1시간보다 긴 시간 동안 커버(200)를 개방할 수 있다.
다른 예에 의하면, 제어부(500)는 반려동물의 발바닥(30)이 습한 상태로 판단되면, 반려동물의 체중 정보에 따라 커버(200)의 개방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500)는 체중 측정부(400)에서 측정된 체중 정보, 저항 측정부(460)에서 측정되는 전도성 패턴(450)의 저항 값, 그리고 건강 상태 정보를 통신부(800)와 디스플레이부(700)에 전송할 수 있다. 통신부(800)는 수신된 정보를 사용자 단말(20)기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20)는 수신된 정보들을 일자별로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700)는 수신된 정보들을 표시한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용기(101, 102)와 저면에 무게 감지 센서(130)가 제공될 수 있다. 무게 감지 센서(130)는 용기(101, 102)의 무게를 측정한다. 반려동물이 용기(101, 102)에 담긴 먹이와 물을 먹을 경우, 용기(101, 102)의 무게 변화가 무게 감시 센서(130)에 측정된다. 무게 감지 센서(130)에서 측정된 용기(101, 102)의 무게는 제어부(500)로 전송된다. 제어부(500)는 용기(101, 102)의 무게가 기 설정된 무게 범위 이하로 측정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700)를 통해 이를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반려동물이 먹이와 물을 거의 다 먹어 용기(101, 102)의 무게가 기 설정된 무게 범위 이하로 낮아진 경우, '먹이 보충' 또는 '물 보충' 이라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부(700)에 표시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 반려동물용 먹이 공급 장치
20: 사용자 단말기
100: 바디
101, 102: 용기
200: 커버
201, 202: 투명 창
300: 구동부
310: 회전 기어
320: 회전 로드
330: 연결 브라켓
340: 구동 기어
350: 모터
400: 체중 측정부
410: 하부 플레이트
420: 상부 플레이트
430: 체중 측정 센서
450: 전도성 패턴
460: 저항 측정부
500: 제어부
600: 수동 스위치
700: 디스플레이부
800: 통신부

Claims (4)

  1. 내부에 용기가 제공되는 바디;
    상기 바디에 대해 회동가능하도록 상기 바디의 상면과 결합하는 커버;
    상기 커버의 개폐를 조절하는 구동부;
    상기 바디의 전방에 놓이며, 반려동물의 체중을 측정하는 체중 측정부; 및
    상기 체중 측정부에서 수신된 상기 반려동물의 체중 정보에 따라 상기 커버가 개폐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체중 측정부는,
    상기 바디의 전단과 결합하는 하부 플레이트;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 플레이트;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 사이에 제공되는 체중 측정 센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상면에 격자 모양으로 형성되되, 단위 격자의 사이즈는 반려동물의 발바닥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 전도성 패턴; 및
    상기 전도성 패턴에 미세 전류를 흘려 상기 전도성 패턴의 저항 변화를 측정하는 저항 측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체중 측정 센서에서 전송된 체중 정보가 기 설정된 반려 동물의 체중 범위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저항 측정부를 작동시켜, 상기 전도성 패턴의 저항 변화를 수신하며, 상기 전도성 패턴의 저항 크기를 반려 동물이 상기 체중 측정부에 오르기 전에 미리 측정한 저항 값과 비교하여 반려 동물의 건강 상태를 판단하고, 반려 동물의 건강 상태에 따라 상기 커버의 개폐 시간을 제어하고,
    상기 반려동물의 체중 정보와 반려 동물의 건강 상태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건강관리가 가능한 반려동물용 먹이 공급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의 전단에 제공되며, 상기 제어부로부터 수신된 상기 반려동물의 체중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건강관리가 가능한 반려동물용 먹이 공급 장치.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구동 기어가 결합된 모터;
    상기 구동 기어와 맞물리고, 부채꼴 형상을 갖는 회전 기어;
    상기 회전 기어의 중심축에 삽입되는 회전 로드; 및
    일단이 상기 회전 로드와 고정 결합하고, 타단이 상기 커버와 고정 결합하는 연결 브라켓을 포함하는 건강관리가 가능한 반려동물용 먹이 공급 장치.
KR1020200131674A 2020-10-13 2020-10-13 건강관리가 가능한 반려동물용 먹이 공급 장치 KR1024666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1674A KR102466699B1 (ko) 2020-10-13 2020-10-13 건강관리가 가능한 반려동물용 먹이 공급 장치
PCT/KR2021/011081 WO2022080647A1 (ko) 2020-10-13 2021-08-20 건강관리가 가능한 반려동물용 먹이 공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1674A KR102466699B1 (ko) 2020-10-13 2020-10-13 건강관리가 가능한 반려동물용 먹이 공급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8601A KR20220048601A (ko) 2022-04-20
KR102466699B1 true KR102466699B1 (ko) 2022-11-15

Family

ID=81208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1674A KR102466699B1 (ko) 2020-10-13 2020-10-13 건강관리가 가능한 반려동물용 먹이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66699B1 (ko)
WO (1) WO2022080647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21955A (ja) * 2011-07-20 2013-02-04 Toramasa Ikeda ペット用餌箱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3770B1 (ko) * 2000-04-17 2002-09-27 서종대 애완동물 자동급식기
JP4539905B2 (ja) * 2003-12-05 2010-09-08 株式会社タニタ 体脂肪測定装置
WO2005096808A1 (en) * 2004-04-08 2005-10-20 Mckeown Daniel B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ally feeding animals
US10085419B2 (en) * 2015-07-13 2018-10-02 C-Lock Inc. Modular livestock feed system for measuring animal intake and monitoring animal health
KR102352071B1 (ko) * 2018-07-12 2022-01-18 김대용 반려동물용 생체정보 측정장치
KR20200091627A (ko) * 2019-01-23 2020-07-31 광주대학교산학협력단 반려동물 자동 먹이 지급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21955A (ja) * 2011-07-20 2013-02-04 Toramasa Ikeda ペット用餌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80647A1 (ko) 2022-04-21
KR20220048601A (ko) 2022-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95973B1 (en) Automatic feeding system, device and method
US6367417B1 (en) Electronically controlled animal food dispenser
US20100263596A1 (en) Weight Controlled Pet Feeding System
KR101756360B1 (ko) 반려동물의 지능적인 먹이 공급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피딩 시스템
EP2923567B1 (en) Control unit for game or fish feeder
GB2454658A (en) Automatic pet feeder
CA2356931C (en) Arrangement for individual feeding of free-range animals
KR101808706B1 (ko) 사료량 측정 기반의 반려동물 자동급식시스템
KR101815496B1 (ko) 동물 배변 훈련용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동물 배변 훈련 시스템
EP1300073A2 (en) A device for automatically supplying a predetermined amount of feed to an animal in a period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JP2018509931A (ja) 動物に給餌するための自動化方法及びシステム
EP1300074A2 (en) A device for automatically supplying a predetermined amount of feed to an animal in a predetermined period
US7100534B2 (en) Feed metering and animal identification device having angularly displaceable weighing means
KR20170000956A (ko) 반려동물 건강관리 시스템
KR20200091627A (ko) 반려동물 자동 먹이 지급기
US20170150698A1 (en) Multi-animal feeder device and method using the same
KR101867672B1 (ko) 프로그램을 이용한 습식형 급이기의 자동 급이 제어방법
KR102466699B1 (ko) 건강관리가 가능한 반려동물용 먹이 공급 장치
AU2002301290B2 (en) An assembly for automatically supplying an amount of feed to a dairy animal in a predetermined period
KR102261887B1 (ko) 반려동물 건강을 위한 사료 공급기 및 사료 공급 시스템
KR102238892B1 (ko) 반려동물을 위한 자동 사료 급식기
CN111226821A (zh) 一种智能猫舍用实时数据监测系统
KR102191715B1 (ko) 반려동물 자동 급여기 및 이를 이용한 반려동물 자동 급여 시스템
CN109156370B (zh) 一种流浪动物智能收容中心
EP1527680B1 (en) A device for and a method of automatically supplying feed to an anim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