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6524B1 - Portable smart handgrip and total healthcare system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Portable smart handgrip and total healthcare system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6524B1
KR102466524B1 KR1020200094961A KR20200094961A KR102466524B1 KR 102466524 B1 KR102466524 B1 KR 102466524B1 KR 1020200094961 A KR1020200094961 A KR 1020200094961A KR 20200094961 A KR20200094961 A KR 20200094961A KR 102466524 B1 KR102466524 B1 KR 1024665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p
user
unit
elastic
manipu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496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16320A (en
Inventor
김초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앰비션핑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앰비션핑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앰비션핑크
Priority to KR10202000949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6524B1/en
Publication of KR202200163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632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65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652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1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 A63B23/1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for hands or fing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2Ergometry; Measuring muscular strength or the force of a muscular blow
    • A61B5/224Measuring muscular strength
    • A61B5/225Measuring muscular strength of the fingers, e.g. by monitoring hand-grip for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Alarms related to a physiological condition, e.g. details of setting alarm thresholds or avoiding false ala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5Arrangements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patient and care services, e.g. by using a telephone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3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 A63B21/4035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for operation by han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69Score-keepers or score display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3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physical therapies or activities, e.g. physiotherapy, acupressure or exercis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20Distances or displac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50Force related parameters
    • A63B2220/56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62Time or time measurement used for time reference, time stamp, master time or clock signa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30/00Measuring physiological parameters of the us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Nursing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hysi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스마트 악력기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그립되는 악력 그립부 및 상기 악력 그립부의 양 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사용자의 악력에 의해 변형가능하도록 구성된 탄성 변형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스마트 악력기로서, 상기 악력 그립부는, 상기 탄성 변형부의 변형에 따른 사용자의 조작을 감지하기 위한 조작 감지부, 및 상기 조작 감지부를 통해 사용자의 악력 데이터를 측정하기 위한 악력 측정부를 포함한다.A portable smart grip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for solv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grip grip portion for gripping a user's finger and an elastic deformable portion extending from both ends of the grip grip portion and configured to be deformable by the user's grip force A portable smart gripper, wherein the grip grip unit includes a manipulation detecting unit for detecting a user's manipulation according to deformation of the elastic deformable part, and a grip strength measurement unit for measuring user's grip strength data through the manipulation detecting unit.

Description

휴대용 스마트 악력기 및 이를 이용한 통합 건강관리 시스템{PORTABLE SMART HANDGRIP AND TOTAL HEALTHCARE SYSTEM USING THE SAME}Portable smart gripper and integrated health management system using the same {PORTABLE SMART HANDGRIP AND TOTAL HEALTHCARE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휴대용 스마트 악력기 및 이를 이용한 통합 건강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팔에 팔찌 형태로 착용하여, 손쉽게 휴대가능한 휴대용 스마트 악력기 및 이를 이용하여 측정된 사용자의 악력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근감소증 정도를 판별하고, 사용자의 근감소증 정도에 따라 운동 방법 및 행동 교정을 위한 피드백을 제공하는 통합 건강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smart gripper and an integrated health management system us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rtable smart gripper worn in the form of a bracelet on a user's arm and easily portable, and a user's grip strength data measured using the same , It relates to an integrated health management system that determines the degree of sarcopenia of the user and provides feedback for exercise method and behavior correction according to the degree of sarcopenia of the user.

근육의 양, 근력, 근 기능이 모두 감소하는 근감소증은 근골격계 질환으로서, 낙상사고 이외에 다양한 심혈관계 및 대사질환을 야기하여 많은 진료비를 야기한다. 특히 저소득 독거노인 등 의료취약계층의 경우, 생활고로 인하여 운동 등으로 자기 몸을 돌 볼 여유가 없기 때문에, 근감소증 발병은 다양한 질병을 동반하여 이들의 재정 또는 건강상태를 악화시키는 사회적인 문제가 있다. Sarcopenia, in which muscle mass, strength, and function are all reduced, is a musculoskeletal disease, and causes various cardiovascular and metabolic diseases in addition to falls, resulting in high medical expenses.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medically vulnerable groups such as low-income seniors living alone, there is a social problem that worsens their financial or health condition due to the onset of sarcopenia, which is accompanied by various diseases, because they cannot afford to take care of themselves through exercise or the like due to hardships in life.

한편, 근력에 있어서, 손으로 물건을 쥐는 힘을 악력이라고 한다. 이러한 악력은 근육의 신진대사 변화와 신체 근육량을 평가하고, 재활치료 프로그램의 성공 여부를 평가하는 지표, 즉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지표로서 사용되고 있다. 악력이 기준치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에는 장애 발생확률이 높아지고 더 나아가 사망 위험도가 증가하게 되므로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서는 반드시 악력을 꾸준히 유지하거나 향상시키기 위한 운동을 하는 것이 좋다. On the other hand, in muscle strength, the power to hold an object by hand is called grip strength. Such grip strength is used as an index for evaluating changes in muscle metabolism and body muscle mass, and for evaluating the success of a rehabilitation treatment program, that is, as an index for comprehensively evaluating a user's health condition. If the grip strength falls below the standard value, the probability of occurrence of disability increases and the risk of death further increases, so it is good to steadily maintain or improve the grip strength as you get older.

이러한 운동을 위한 기구로서 다양한 형태의 악력기가 사용되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악력기의 휴대성을 고려한 작은 형태의 악력기가 시중에 보급되어 빈번하게 사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악력기는 단순히 휴대성만을 고려하였기 때문에, 어디서든 손쉽게 악력 운동을 할 수 있다는 장점 외에는 별다른 기능이 추가되어 있지 않은 한계가 있다.As a mechanism for such exercise, various types of grip machines are used. On the other hand, in recent years, a small type of gripper considering the portability of a gripper has been supplied to the market and is frequently used. However, since this gripper simply considers portability, other functions are added other than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easily perform gripping exercise anywhere. There are limits that have not been mad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 단말과 연동가능하여 사용자의 근력 데이터를 건강관리 서버에 송신하고, 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통합 건강관리가 가능한 휴대용 스마트 악력기 및 이를 이용한 통합 건강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portable smart gripper capable of interworking with a user terminal to transmit user's muscle strength data to a health management server, and based on this, integrated health management of the user, and integrated health management using the same The purpose is to provide a system.

본 발명의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스마트 악력기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그립되는 악력 그립부 및 상기 악력 그립부의 양 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사용자의 악력에 의해 변형가능하도록 구성된 탄성 변형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스마트 악력기로서, 상기 악력 그립부는, 상기 탄성 변형부의 변형에 따른 사용자의 조작을 감지하기 위한 조작 감지부, 및 상기 조작 감지부를 통해 사용자의 악력 데이터를 측정하기 위한 악력 측정부를 포함한다.A portable smart grip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for solv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grip grip portion for gripping a user's finger and an elastic deformable portion extending from both ends of the grip grip portion and configured to be deformable by the user's grip force A portable smart gripper, wherein the grip grip unit includes a manipulation detecting unit for detecting a user's manipulation according to deformation of the elastic deformable part, and a grip strength measurement unit for measuring user's grip strength data through the manipulation detecting uni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악력 측정부는, 상기 조작 감지부에 의해 감지되는 상기 탄성 변형부의 변형 여부에 따른 악력 운동의 횟수를 카운트하도록 구성된 횟수 카운트부를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rip force measuring unit may include a number counting unit configured to count the number of times of the gripping force movement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 elastic deformable unit is deformed, which is detected by the manipulation detecting uni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악력 측정부는, 상기 조작 감지부에 의해 감지되는 상기 탄성 변형부의 변형 정도에 따른 최대 변형된 시점의 간격에 기초하여 주기 또는 피크와 인접하는 피크 사이의 인터벌 간격을 측정하도록 구성된 인터벌 측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rip force measurement unit, based on the interval of the maximum deformed time point according to the degree of deformation of the elastic deformable portion detected by the manipulation detection unit period or interval interval between peaks and adjacent peaks It may further include an interval measuring unit configured to measure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악력 측정부는, 상기 조작 감지부에 의해 감지되는 상기 탄성 변형부의 변형 정도에 따른 최대 변형된 상태가 유지되는 시간을 측정하도록 구성된 홀딩 유지시간 측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rip force measurement unit may further include a holding holding time measurement unit configured to measure a time during which a maximum deformed state is maintained according to a degree of deformation of the elastic deformable unit detected by the manipulation detection unit. ca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작 감지부는 압력 센서이고, 상기 악력 측정부는 상기 압력 센서에 의해 상기 탄성 변형부의 변형된 정도에 따른 압력의 변화를 감지하고, 감지된 압력의 크기에 따라 상기 탄성 변형부의 조작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nipulation detecting unit is a pressure sensor, the grip strength measuring unit detects a change in pressure according to a degree of deformation of the elastic deformable part by the pressure sensor, and the pressure is detected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detected pressure.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degree of manipulation of the elastic deformation par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작 감지부는 적외선을 이용한 근접 센서이고, 상기 악력 측정부는 상기 근접 센서를 통해 상기 탄성 변형부의 변형된 정도에 따른 거리의 변화를 감지하고, 감지된 거리에 따라 상기 탄성 변형부의 조작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nipulation detecting unit is a proximity sensor using infrared rays, and the grip strength measuring unit detects a change in distance according to the degree of deformation of the elastic deformable part through the proximity sensor, and according to the detected distance A manipulation degree of the elastic deformation unit may be determin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탄성 변형부는 C 자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악력 그립부에 결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악력 그립부 및 상기 탄성 변형부가 결합된 상태는, 내부에 개구를 형성한 도넛 형태를 이루어, 상기 개구에 사용자의 팔목을 위치시켜, 팔찌 형태로 휴대가 가능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astic deformable portion is formed in a C shape and is configured to be coupled to the grip grip portion, and the grip grip portion and the elastic deformable portion are coupled to each other in a donut shape having an opening therein. By making it, by placing the user's wrist in the opening, it can be carried in the form of a bracele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악력 그립부는, 컨텐츠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사용자의 악력 운동에 대한 정보, 시간, 날짜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rip grip unit may include a display unit displaying content, and display at least one of information about the user's grip strength exercise, time, and date through the display uni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악력 그립부 및 상기 탄성 변형부는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rip grip portion and the elastic deformation portion may be integrally formed.

본 발명의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건강관리 시스템은,사용자의 손가락이 그립되는 악력 그립부 및 상기 악력 그립부의 양 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사용자의 악력에 의해 변형가능하도록 구성된 탄성 변형부를 포함하고, 상기 악력 그립부는 상기 탄성 변형부의 변형에 따른 사용자의 조작을 감지하기 위한 조작 감지부 및 상기 조작 감지부를 통해 사용자의 악력 데이터를 측정하기 위한 악력 측정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스마트 악력기, 사용자의 생체 데이터가 입력되고, 상기 휴대용 스마트 악력기와 연동되는 사용자 단말, 및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사용자의 생체 데이터 및 악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근감소증 여부를 판단하고, 사용자가 근감소증이라고 판단되면 근감소증 치료를 위한 피드백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건강관리 서버를 포함한다.An integrated health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for solv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grip grip part for gripping a user's finger and an elastic deformable part extending from both ends of the grip grip part and configured to be deformable by the user's grip force. The grip grip unit includes a manipulation sensor for detecting a user's manipulation according to deformation of the elastic deformation part and a grip force measurement unit for measuring user's grip strength data through the manipulation detector, a portable smart gripper, and user's biometric data is input, and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user has sarcopenia based on the user terminal interlocked with the portable smart gripper and the user's biometric data and grip strength data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network,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has sarcopenia. and a health management server that transmits feedback for sarcopenia treatment to the user terminal.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스마트 악력기 및 이를 이용한 건강 관리 시스템은, 휴대용 스마트 악력기를 통해 측정된 사용자의 근력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을 통해 건강관리 서버로 송신 가능함으로써, 상기 근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근력 정도에 따른 맞춤 운동 프로그램을 사용자 단말을 통해 제공 가능하고, 나아가 근감소증 질환의 모니터링이 가능하며, 또한 사용자의 생활 습관의 행동 교정을 유도할 수 있다. A portable smart gripper and a health management system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transmit the user's muscle strength data measured through the portable smart gripper to a health management server through a user terminal, thereby determining the degree of the user's muscle strength based on the muscle strength data. A customized exercise progr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ovided through a user terminal, furthermore, sarcopenia disease can be monitored, and lifestyle behavior correction can be induced by the us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건강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통합 건강관리 시스템의 휴대용 스마트 악력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휴대용 스마트 악력기의 악력 그립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의 통합 건강관리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for explaining an integrated health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portable smart gripper of the integrated health management system of FIG.
FIG.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grip part of the portable smart gripper of FIG. 2 .
Figure 4 is a flow chart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integrated health management system of Figure 1.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양 구성이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사이에 다른 구성이 개재하여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하며, 또한,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기능적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practice it.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addition,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components of each draw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the same components even though they are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is is not only when both components are "directly" connected, but also when another component is interposed therebetween. It also includes cases where they are connected by "functionality" or "communication" as well as cases where they are "physically" connected. In addi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no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건강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통합 건강관리 시스템의 휴대용 스마트 악력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for explaining an integrated health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portable smart gripper of the integrated health management system of FIG.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통합 건강관리 시스템(1000)은, 휴대용 스마트 악력기(100), 상기 휴대용 스마트 악력기(10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동가능한 사용자 단말(200), 및 상기 휴대용 단말(200)을 통해 상기 휴대용 스마트 악력기(100)에서 측정된 사용자의 악력 데이터가 수신되는 건강관리 서버(300)를 포함한다.1 and 2, the integrated health management system 10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rtable smart gripper 100, a user terminal 200 capable of interworking with the portable smart gripper 100 through a network, and the portable It includes a health management server 300 through which the user's grip strength data measured by the portable smart gripper 100 is received through the terminal 200 .

상기 휴대용 스마트 악력기(100)는, 사용자의 악력 데이터를 측정하도록 구성되고, 측정한 악력 데이터를 네트워크(10)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휴대용 스마트 악력기(100)의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The portable smart gripper 100 is configured to measure user's grip strength data, and is configured to transmit the measured grip strength data to the user terminal 200 through the network 10 . The configuration of the portable smart gripper 100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 사용자 단말(200)은 네트워크(10)를 통해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pc)나 휴대용 단말로 구현될 수 있고, 네트워크(10)를 통해 건강관리 서버(300)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user terminal 200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pc) or a portable terminal that can be accessed through the network 10, and can access the health management server 300 through the network 10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It consists of

구체적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200)은 통합 건강관리 시스템(1000)을 통해 건강을 관리하고자 하는 개인 등 일반 사용자가 소유하고 있는 컴퓨터나 휴대용 단말로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을 통한 웹(Web), 앱(Application) 또는 웹앱의 형태로 상기 네트워크(10)를 통해 건강관리 서버(300)에 통신 접속하여 신규 가입 또는 로그인을 수행하고, 예를 들어, 성별, 나이, 키, 몸무게, 혈액형 등의 정보 뿐만 아니라, 선택적으로 인바디 측정 정보 및 병력 정보 등을 입력함으로써, 자신의 생체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 생체 데이터는 사람의 건강상태를 판별하기 위한 기준 척도로서 활용되는 일체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Specifically, the user terminal 200 is a computer or portable terminal owned by a general user, such as an individual who wants to manage health through the integrated health management system 1000, and the user can use the web (Web) or app through the user terminal. In the form of an application or web app, a new subscription or login is performed by communicating with the health management server 300 through the network 10, and for example, information such as gender, age, height, weight, blood type, etc. Instead, it is possible to manage one's biometric data by selectively inputting in-body measurement information and medical history information. Here, the biometric data is a concept including all data used as a standard scale for determining a person's health condition.

상기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테블릿 PC(Tablet PC) 등을 포함하고, 휴대용 단말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스마트폰(smartphone),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등과 같이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omputer includes, for example, a desktop, a laptop, a tablet PC, etc. equipped with a web browser, and a portable terminal, for example, ensures portability and mobility. As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hat becomes a smartphone (smartphone), PCS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PDC (Personal Digital Cellular), PHS (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 (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 (Wireless Broadband Internet) devices, etc. A communication device may be included.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200)과 건강관리 서버(300) 간을 연결하는 네트워크(10)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개인 근거리 무선통신(Personal Area Network; PAN),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Mobile 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또는 위성 통신망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유/무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용 스마트 악력기(100)와 상기 사용자 단말(200)은 네트워크를 이용하지 않고 전용선을 이용하여 직접 연결되거나 블루투스(Bluetooth)와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 등을 이용하여 유/무선 통신을 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network 10 connecting the user terminal 200 and the health management server 300 includes a local area network (LAN), a wide area network (WAN), and a value added network (Value Added Network). ; VAN), Personal Area Network (PAN), 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Wibro (Wireless Broadband Internet), Mobile WiMAX, HSDP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or satellite communication networks of any kind. It can be implemented as a wired/wireless network of In addition, the portable smart gripper 100 and the user terminal 200 may be directly connected using a dedicated line without using a network, or may perform wired/wireless communication using a short-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such as Bluetooth. have.

상기 건강관리 서버(300)는 상기 네트워크(10)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200)과 통신 접속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사용자의 생체 데이터가 입력되면, 이를 사용자 정보에 매칭시켜 DB에 저장하고 관리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건강관리 서버(300)는 상기 휴대용 스마트 악력기(100)를 통해 사용자의 악력 데이터가 전송되면, 사용자의 생체 데이터를 기초로 악력 데이터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악력 수치가 기준 악력 수치 이하인 경우, 사용자가 근감소증인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건강관리 서버(300)는 사용자의 악력 데이터에 기초한 악력 정도가 이전에 측정된 사용자의 악력 정도에 비해 감소한 경우, 상기 사용자가 근감소증인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The health management server 300 is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the user terminal 200 through the network 10, and when the user's biometric data is input from the user terminal 200, it matches the user information to the DB It is configured to store and manage in. In addition, when the user's grip strength data is transmitted through the portable smart gripper 100, the health management server 300 analyzes the grip strength data based on the user's biometric data, and if the user's grip strength value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grip strength value, Determine that the user is sarcopenia. In addi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health management server 300 may determine that the user has sarcopenia when the grip strength level based on the user's grip strength data is decreased compared to the previously measured grip strength level of the user.

이후, 상기 건강관리 서버(300)는 사용자가 근감소증인 것으로 판단한 경우, 사용자에게 근감소증 치료를 위한 피드백을 상기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근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근력 정도에 따른 맞춤 운동 프로그램을 상기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하고, 나아가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입력되는 악력 데이터로부터 사용자의 근감소증 질환의 추이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된다. Thereafter, when the health management server 300 determines that the user has sarcopenia, it is configured to provide the user with feedback for sarcopenia treatment to the user terminal 200 . Specifically, based on the user's muscle strength data, a customized exercise program according to the user's muscle strength level is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200, and furthermore, the trend of the user's sarcopenia disease is determined from the grip strength data input from the user terminal 200. configured for continuous monitoring.

해당 정보들은 DB에 누적되어 저장되며, 이에 따라, 사용자의 생활 습관의 행동 교정을 유도할 수 있으며, 이후, 재활원 또는 병원 등 재활 또는 치료를 목적으로 하는 전문기관에 사용자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해당 사용자가 전문기관으로부터 치료 등을 포함한 토탈 케어를 받을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정보들은 사용자별 케어 이력 관리를 위해 블록체인 기술로 해당 정보를 필요로 하는 기관들과 공유될 수도 있으며,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근감소증을 판단하기 위한 알고리즘의 업데이트를 위한 데이터로도 활용될 수 있다.Corresponding information is accumulated and stored in the DB, an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induce behavioral correction of the user's lifestyle, and then, by sharing the user information with specialized institutions for rehabilitation or treatment, such as rehabilitation centers or hospitals, the corresponding user to receive total care, including treatment, from specialized institutions. On the other hand, the above information may be shared with institutions that require the information through blockchain technology for managing care history for each user, and also used as data for updating an algorithm to determine sarcopenia through big data analysis. It can be.

한편, 상기 건강관리 서버(300)가 근감소증을 판단하는 것을 예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건강관리 서버(300)는 근감소증을 판단하는 알고리즘을 업데이트하여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200)에서 상기 알고리즘을 기초로 사용자의 근감소증 여부를 판단하고, 그 판단 결과를 상기 건강관리 서버(300)로 전송하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근감소증인 것으로 판단한 경우, 사용자에게 근감소증 치료를 위한 피드백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네트워크(10)를 통한 사용자 단말(200)과 건강관리 서버(300)의 통신 없이도, 사용자의 악력 운동을 통해 근감소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health management server 300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of determining sarcopenia, but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health management server 300 updates an algorithm for determining sarcopenia and transmits it to the user terminal 200, and the user terminal 20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user has sarcopenia based on the algorithm, ,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has sarcopenia, by transmitting the determination result to the health management server 300, it may be configured to provide feedback for sarcopenia treatment to the user. Accordingly, even without communication between the user terminal 200 and the health management server 300 through the network 10, the presence or absence of sarcopenia can be determined through the user's gripping exercise.

이하, 사용자의 악력 데이터를 측정함에 있어서의 상기 휴대용 스마트 악력기(100)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the portable smart gripper 100 for measuring user's grip strength data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3은 도 2의 휴대용 스마트 악력기의 악력 그립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FIG.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grip part of the portable smart gripper of FIG. 2 .

도 2 및 3을 참조하면, 상기 휴대용 스마트 악력기(100)는, 전체적으로 내부에 개구를 형성한 도넛 형태를 이루고 있으며, 상기 개구에 사용자의 팔목을 위치시켜, 팔찌 형태로 휴대가 가능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스마트 악력기(100)는, 악력 운동에 있어서 사용자의 손가락이 그립되는 악력 그립부(110) 및 사용자의 악력에 의해 변형가능하도록 구성된 탄성 변형부(120)를 포함한다. 이하, 상기 탄성 변형부(120)를 설명한 후, 상기 악력 그립부(110)를 설명하도록 한다. 2 and 3, the portable smart gripper 100 has a donut shape with an opening formed therein as a whole, and can be designed to be carried in the form of a bracelet by placing the user's wrist in the opening. have. The portable smart gripper 100 includes a gripping grip part 110 for gripping a user's finger during gripping exercise and an elastic deformation part 120 configured to be deformable by a user's gripping force. Hereinafter, the elastic deformation part 120 will be described, and then the grip grip part 110 will be described.

상기 탄성 변형부(120)는 상기 악력 그립부(110)의 양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연결되며 사용자의 악력에 의해 변형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탄성 변형부(120)는 'C' 자형의 탄성 변형이 가능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PVC 또는 실리콘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The elastic deformable part 120 extends from both ends of the gripping grip part 110 and is connected to it, and is configured to be deformable by a user's gripping force. For example, the elastically deformable part 120 may be made of a material that can be elastically deformed in a 'C' shape, and may be made of, for example, PVC or silicone.

또한, 상기 탄성 변형부(120)는 상기 악력 그립부(110)의 양 단에 형성된 결합 수단에 의해 상기 악력 그립부(110)와 분리 및 결합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결합 수단은 슬라이드 방식으로 결합가능한 요철이거나, 나사방식에 의해 결합될 수 있는 수나사 또는 암나사 일 수 있다. 이에 따라, 탄성 변형부(120)가 탄성 강도의 크기별로 복수 개로 구성된 세트로 구성된 경우, 사용자는 원하는 탄성 강도를 가진 탄성 변형부(120)를 선택하여 상기 악력 그립부(110)에 결합시킴으로써, 자신의 악력의 정도에 적합한 악력 운동을 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악력 그립부(110)와 상기 탄성 변형부(120)는 일체로서 형성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elastic deformation part 120 may be configured to be separated from and combined with the grip grip part 110 by coupling means formed at both ends of the grip grip part 110 . For example, the coupling means may be a concave-convex or concave-convex screw that can be coupled in a sliding manner, or a male or female screw that can be coupled by a screw. Accordingly, when the elastically deformable part 120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sets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elastic strength, the user selects the elastically deformable part 120 having the desired elastic strength and couples it to the gripping grip part 110. You can perform grip strength exercises suitable for the degree of grip strength of the person.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grip grip part 110 and the elastic deformation part 120 may be integrally formed.

상기 악력 그립부(110)는 악력 운동에 있어서 사용자의 손가락이 그립되고, 사용자의 악력 데이터를 측정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악력 그립부(110)는 모드 선택부(111), 조작 감지부(113), 악력 측정부(115), 제어부(117), 디스플레이부(DP) 및 통신부(119)를 포함한다. The gripping part 110 is configured to grip the user's finger in gripping exercise and measure the user's gripping data. In addition, the grip strength grip unit 110 includes a mode selection unit 111, a manipulation detection unit 113, a grip strength measuring unit 115, a control unit 117, a display unit DP, and a communication unit 119.

상기 모드 선택부(111)는 사용자가 상기 휴대용 스마트 악력기(100)의 동작 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모드 선택부(111)는 조작가능한 버튼으로 형성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원하는 동작 모드로의 변환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동작 모드는 단순 악력 운동의 횟수를 카운트하는 모드, 탄성 변형부(120)의 탄성 강도를 고려하여 악력 운동의 횟수를 통해 사용자가 운동한 칼로리를 계산하는 모드 및 사용자의 근감소증을 판단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악력 데이터를 측정하는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ode selector 111 is configured so that the user can select an operation mode of the portable smart gripper 100. For example, the mode selection unit 111 may be formed as a manipulable button to enable a user to change to a desired operation mode. For example, the operation mode is a mode for counting the number of simple grip exercises, a mode for calculating calories exercised by the user through the number of grip exercises in consideration of the elastic strength of the elastic deformation unit 120, and a user's sarcopenia It may include a mode of measuring at least one or more grip strength data to determine.

또한, 상기 모드 선택부(111)를 통해 상기 악력 그립부(110)에 연결된 상기 탄성 변형부(120)의 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정해진 색깔에 의해 식별되는 상기 탄성 변형부(120)의 탄성 강도가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고, 상기 모드 선택부(111)를 통해 상기 악력 그립부(110)에 연결된 탄성 변형부(120)의 색깔이 선택됨으로써, 해당 탄성 변형부(120)의 탄성 강도에 대한 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악력 운동 시, 연결된 탄성 변형부(120)의 탄성 강도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운동한 칼로리를 계산할 수 있으며, 또한, 탄성 강도는 다른 악력 데이터와 함께 건강관리 서버(300)로 전송되어 근감소증의 판단을 위한 기초 데이터로 활용된다. Also, information on the elastic deformation part 120 connected to the grip grip part 110 may be input through the mode selector 111 . For example, the elastic strength of the elastically deformable part 120 identified by a predetermined color is stored in a memory, and the elastically deformable part 120 connected to the grip grip part 110 through the mode selection part 111 ) By selecting the color, information on the elastic strength of the corresponding elastic deformation unit 120 can be input. Accordingly, during the user's grip exercise, the user's exercised calories may be calculated based on the elastic strength of the connected elastic deformation unit 120, and the elastic strength is transmitted to the health management server 300 together with other grip strength data. and used as basic data for the determination of sarcopenia.

또한, 상기 모드 선택부(111)는 디스플레이부(DP)를 통해 표시되는 컨텐츠의 표시 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사용자의 악력 운동에 대한 정보뿐만 아니라, 시간, 날짜, 등의 정보도 표시할 수 있으며, 상기 모드 선택부(111)를 통해 이들 정보 간의 표시를 전환시킬 수 있다.Also, the mode selection unit 111 may be configured to select a display mode of content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DP. For example, information on the user's gripping strength exercise as well as information such as time, date, etc. may be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and display between these information may be switched through the mode selector 111.

상기 조작 감지부(113)는 사용자의 악력 운동에 의한 상기 탄성 변형부(120)의 변형 여부 및 변형 정도를 감지하도록 구성된다.The manipulation detection unit 113 is configured to detect whether or not the elastic deformable unit 120 is deformed and the degree of deformity caused by the user's gripping motion.

예를 들어, 상기 조작 감지부(113)는 상기 탄성 변형부(120)와 결합된 상기 악력 그립부(110)의 양단 중 적어도 하나의 단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악력 운동에 따른 탄성 변형부(120)의 압력의 변화를 감지하도록 구성된 압력 센서일 수 있다. 즉, 압력 센서에 의해 상기 탄성 변형부(120)의 변형된 정도에 따른 압력의 변화가 감지되고, 감지된 압력의 크기에 따라 상기 탄성 변형부(120)의 조작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manipulation sensor 113 is installed on at least one of both ends of the grip grip part 110 coupled to the elastic deformable part 120, and the elastic deformable part 120 according to the user's grip movement. ) may be a pressure sensor configured to detect a change in pressure. That is, a change in pressure according to the degree of deformation of the elastic deformable part 120 is detected by the pressure sensor, and the degree of manipulation of the elastic deformable part 120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detected pressure.

또는, 상기 조작 감지부(113)는 사용자의 악력 운동에 의해 탄성 변형부(120)가 변형되어 인접하게 되는 상기 악력 그립부(110)의 안쪽 영역에 설치되어, 탄성 변형부(120)의 거리 변화를 감지하도록 구성된 근접 센서일 수도 있다. 즉, 적외선을 이용한 인접 센서에 의해 상기 탄성 변형부(120)의 변형된 정도에 따른 거리의 변화가 감지되고, 감지된 거리에 따라 상기 탄성 변형부(120)의 조작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manipulation detecting unit 113 is installed in an inner region of the gripping grip unit 110 where the elastic deformable unit 120 is deformed and adjacent to each other by the user's gripping motion, and the distance of the elastic deformable unit 120 changes. may be a proximity sensor configured to detect That is, a change in distance according to the degree of deformation of the elastically deformable part 120 is detected by a proximity sensor using infrared rays, and the manipulation degree of the elastically deformable part 120 can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detected distance.

즉, 상기 조작 감지부(113)를 통한 상기 탄성 변형부(120)의 변형 여부를 감지함으로써, 사용자 악력 운동의 횟수를 카운트할 수 있으며, 또한, 변형 정도를 감지함으로써, 탄성 변형부(120)의 변형된 상태뿐만 아니라 최대 변형된 시점 내지 간격 등을 산출할 수 있다. That is, by detecting whether or not the elastic deformable portion 120 is deformed through the manipulation detector 113, the number of user grip movements may be counted, and by detecting the degree of deformation, the elastic deformable portion 120 It is possible to calculate not only the deformed state of but also the maximum deformed time and interval.

상기 악력 측정부(115)는 상기 조작 감지부(113)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악력 데이터를 측정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악력 측정부(115)는 횟수 카운트부(115-1), 인터벌 측정부(115-2) 및 홀딩 유지시간 측정부(115-3)를 포함한다. The grip strength measurement unit 115 is configured to measure user's grip strength data based on a detection result of the manipulation detection unit 113 . The grip strength measuring unit 115 includes a number counting unit 115-1, an interval measuring unit 115-2, and a holding holding time measuring unit 115-3.

상기 횟수 카운트부(115-1)는 상기 조작 감지부(113)에 의해 감지되는 상기 탄성 변형부(120)의 변형 여부에 따른 악력 운동의 횟수를 카운트하도록 구성된다. The number counting unit 115 - 1 is configured to count the number of gripping movements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 elastic deformation unit 120 is deformed, which is detected by the manipulation detection unit 113 .

상기 인터벌 측정부(115-2)는 상기 조작 감지부(113)에 의해 감지되는 상기 탄성 변형부(120)의 변형 정도에 따른 최대 변형된 시점의 간격에 기초하여 주기 또는 피크와 인접하는 피크 사이의 인터벌 간격을 측정하도록 구성된다. The interval measuring unit 115-2 is based on the interval at the time of maximum deformation according to the degree of deformation of the elastic deformation unit 120 detected by the manipulation detection unit 113, or between a peak and an adjacent peak. It is configured to measure the interval interval of

또한, 상기 홀딩 유지시간 측정부(115-3)는 상기 조작 감지부(113)에 의해 감지되는 상기 탄성 변형부(120)의 변형 정도에 따른 최대 변형된 상태 즉, 가장 큰 최대 악력이 유지되는 시간을 측정하도록 구성된다. In addition, the holding holding time measurement unit 115-3 is in a maximum deformed state according to the degree of deformation of the elastic deformation unit 120 detected by the manipulation detection unit 113, that is, the largest maximum grip force is maintained. configured to measure time.

즉, 사용자의 악력 운동시 측정되는 악력 데이터는 악력 운동 횟수 정보, 인터벌 정보 및 홀딩 유지시간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전체 운동 시간, 조작한 탄성 변형부의 탄성 강도 등을 더 포함한다. 상기 악력 데이터는 후술하는 통신부(119)에 의해 상기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되며, 사용자 단말(200) 또는 상기 건강관리 서버(300)에서 당해 악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근감소증 여부가 판단된다. That is, the grip strength data measured during the user's grip strength exercise includes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grip strength exercises, interval information, and holding holding time information. In addition, the total exercise time, the elastic strength of the manipulated elastic deformation part, and the like are further included. The grip strength data is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200 by a communication unit 119 described later, and the user terminal 200 or the health management server 30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user has sarcopenia based on the grip strength data. .

상기 제어부(117)는 상기 휴대용 스마트 악력기(100)를 전반적으로 제어하도록 구성되며, 미리 정해진 알고리즘에 따라, 각 구성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17)는 전원 버튼을 통한 전원 온/오프 명령 입력에 따라 온/오프 동작하도록 구성된다.The control unit 117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portable smart gripper 100 as a whole, and is configured to control each component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algorithm. For example, the controller 117 is configured to operate on/off according to a power on/off command input through a power button.

또한, 상기 제어부(117)는 사용자의 모드 선택부(111)의 조작에 따라 상기 휴대용 스마트 악력기(100)가 사용자가 원하는 동작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구성되고, 또한 디스플레이부(DP)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미리 저장된 정보 또는 측정된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17 is configured so that the portable smart gripper 100 operates in an operation mode desired by the user according to the user's manipulation of the mode selection unit 111, and also the user desires through the display unit DP. It is configured to display previously stored information or measured information.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상기 휴대용 스마트 악력기(100)의 동작과 관련된 알고리즘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의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in relation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lgorithm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portable smart gripper 100 may be implemented directly as hardware, implemented as a software module executed by hardware, or implemented by a combination thereof. . A software module may include random access memory (RAM), read only memory (ROM), erasable programmable ROM (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 flash memory, hard disk, removable disk, CD-ROM, or It may also be based on any type of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well known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상기 디스플레이부(DP)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각종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성되며, 또한, 상기 통신부(119)는 상기 제어부(117)의 제어에 따라 네트워크(10)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200)과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통신부(119)는 사용자 단말(200)과 네트워크(10)를 통해 연결하거나, 또는 네트워크를 이용하지 않고 전용선을 이용하여 직접 연결되거나 블루투스(Bluetooth)와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 등을 이용하여 유/무선 통신을 할 수도 있다.The display unit DP is configured to display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and the communication unit 119 communicates with the user terminal 200 through the network 1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17. configured to communicate. The communication unit 119 is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200 through the network 10, directly connected using a dedicated line without using a network, or using a short-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such as Bluetooth. It can also communicate wirelessly.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스마트 악력기는, 측정한 사용자의 근력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로 송신가능함으로써, 상기 근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근력 정도에 따른 맞춤 운동 프로그램을 사용자 단말을 통해 제공 가능하고, 나아가 근감소증 질환의 모니터링이 가능하며, 또한 사용자의 생활 습관의 행동 교정을 유도할 수 있다. The portable smart gripp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transmit the measured user's muscle strength data to the user terminal, thereby providing a customized exercise program according to the user's muscle strength level based on the muscle strength data through the user terminal, and furthermore, for sarcopenia. It is possible to monitor the disease, and it is also possible to induce behavioral correction of the user's lifestyle.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휴대용 스마트 악력기를 이용한 통합 건강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근감소증을 판별하고, 피드백을 수행하는 동작을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 4, an operation of determining sarcopenia and performing feedback in an integrated health management system using a portable smart grip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4는 도 1의 통합 건강관리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Figure 4 is a flow chart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integrated health management system of Figure 1.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사용자의 생체 데이터가 입력되고, 이를 건강관리 서버(300)로 송신하거나 또는 외부의 공유된 DB로부터 자신의 생체 데이터를 가져옴으로써, 건강관리 서버(300)는 사용자의 생체 데이터를 제공받는다(S100). 상기 생체 데이터는 성별, 나이, 키, 몸무게, 혈액형 등의 정보 뿐만 아니라, 인바디 측정 정보 및 병력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생체 데이터는 사람의 건강상태를 판별하기 위한 기준 척도로서 활용되는 일체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1 and 4, the user's biometric data is input through the user terminal 200 and transmitted to the health management server 300 or by importing the user's biometric data from an external shared DB. The management server 300 receives the user's biometric data (S100). The biometric data may include information such as gender, age, height, weight, blood type, etc., as well as in-body measurement information and medical history information, where the biometric data is used as a standard criterion for determining a person's health condition It is a concept that includes all data.

이 후, 사용자는 휴대용 스마트 악력기(100)를 이용하여, 악력 운동을 수행하며, 휴대용 스마트 악력기(100)를 통해 측정된 사용자의 악력 데이터는, 상기 사용자 단말(200)을 거쳐 상기 건강관리 서버(300)로 전송된다. 예를 들어, 상기 건강관리 서버(300)는 입력된 사용자의 생체 데이터에 따른 맞춤형 운동 프로그램을 추천하여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하고, 사용자는 상기 운동 프로그램에 따라 악력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200)의 메모리에 저장된 자체 운동 프로그램에 따라 악력 운동이 수행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악력 데이터는 상기 휴대용 스마트 악력기(100)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 예를 들어, 압력 센서 또는 근접 센서에 의해 측정될 수 있으며, 악력 운동 횟수 정보, 인터벌 정보, 및 홀딩 유지시간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전체 운동 시간, 조작한 탄성 변형부의 탄성 강도 등의 정보를 더 포함한다. Thereafter, the user performs gripping exercise using the portable smart gripper 100, and the user's grip strength data measured through the portable smart gripper 100 passes through the user terminal 200 to the health management server ( 300) is transmitted. For example, the health management server 300 recommends a customized exercise program according to the input user's biometric data and transmits it to the user terminal 200, and the user can perform a grip exercise according to the exercise program. Alternatively, gripping exercise may be performed according to an exercise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of the user terminal 200 . Meanwhile, the grip strength data may be measured by at least one sensor attached to the portable smart gripper 100, for example, a pressure sensor or a proximity sensor, and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grip strength exercises, interval information, and holding duration time information. includes In addition, it further includes information such as the total exercise time and the elastic strength of the manipulated elastic deformable part.

상기 건강관리 서버(300)는 사용자의 입력된 생체 데이터와 악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근감소증 여부를 판단한다(S300). 근감소증 여부의 판단은 악력 데이터 각각을 인자로 하는 수식 내지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또는 학습된 모델을 통해 인공지능이 사용자의 악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근감소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The health management server 30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user has sarcopenia based on the user's input biometric data and grip strength data (S300). The determination of whether sarcopenia may be performed using a formula or an algorithm using each of the grip strength data as a factor, or artificial intelligence may determine whether the user has sarcopenia based on the user's grip strength data through a learned model.

이후, 사용자의 악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해당 사용자가 근감소증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건강관리 서버(300)는 근감소증 치료를 위한 피드백을 해당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한다(S400). 이후, 사용자는 피드백에 기초하여 짜여진 운동 프로그램에 따라 악력 운동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때 측정되는 악력 데이터를 통해 사용자의 근감소증 질환이 계속적으로 모니터링되며, 또한 이를 통해 사용자의 생활 습관의 행동 교정을 유도할 수 있다. Subsequently,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orresponding user has sarcopenia based on the user's grip strength data, the health management server 300 transmits feedback for sarcopenia treatment to the user terminal 200 of the corresponding user (S400). Thereafter, the user can perform grip strength exercise according to an exercise program designed based on the feedback. At this time, the user's sarcopenia disease is continuously monitored through the measured grip strength data, and through this, the user's lifestyle behavior correction is performed. can induce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or those having ordinary knowledge in the art do not deviate from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It will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 scope.

1000: 통합 건강관리 시스템
10: 네트워크
100: 휴대용 스마트 악력기
200: 사용자 단말
300: 건강관리 서버
110: 악력 그립부
120: 탄성 변형부
111: 모드 선택부
113: 조작 감지부
115: 악력 측정부
115-1: 횟수 카운트부
115-2: 인터벌 측정부
115-3: 홀딩 유지시간 측정부
117: 제어부
119: 통신부
DP: 디스플레이부
1000: integrated health management system
10: network
100: portable smart gripper
200: user terminal
300: health management server
110: grip grip part
120: elastic deformation part
111: mode selection unit
113: tamper detection unit
115: grip force measuring unit
115-1: number of times counting unit
115-2: interval measurement unit
115-3: holding holding time measuring unit
117: control unit
119: communication department
DP: display part

Claims (10)

사용자의 손가락이 그립되는 악력 그립부 및 상기 악력 그립부의 양 단으로부터 분리 및 결합 가능하고, 사용자의 악력에 의해 변형가능하도록 구성된 탄성 변형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스마트 악력기로서,
상기 악력 그립부는,
결합된 탄성 변형부의 정보를 입력함으로써, 미리 저장된 탄성 변형부별 탄성 강도가 적용되는 모드 선택부;
상기 탄성 변형부의 변형에 따른 사용자의 조작을 감지하기 위한 조작 감지부; 및
상기 조작 감지부를 통해 사용자의 악력 데이터를 측정하기 위한 악력 측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악력 측정부는 상기 모드 선택부에 입력된 탄성 변형부의 탄성 강도를 적용하여 사용자의 악력 데이터를 측정하고,
상기 탄성 변형부는 C 자 형태로 형성되고, 양 단을 통해 상기 악력 그립부에 결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악력 그립부 및 상기 탄성 변형부가 결합된 상태는, 내부에 개구를 형성한 도넛 형태를 이루어, 상기 개구에 사용자의 팔목을 위치시켜, 팔찌 형태로 휴대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스마트 악력기.
A portable smart gripper including a grip grip part for gripping a user's finger and an elastic deformable part configured to be deformable by a user's grip force, which is detachable from and coupled to both ends of the grip grip part,
The grip grip portion,
a mode selection unit to which elastic strength for each elastic deformable unit stored in advance is applied by inputting information on the coupled elastic deformable unit;
a manipulation detecting unit for detecting a user's manipulation according to deformation of the elastic deformation part; and
And a grip strength measurement unit for measuring user's grip strength data through the manipulation sensor,
The grip strength measurement unit measures the user's grip strength data by applying the elastic strength of the elastic deformation unit input to the mode selection unit,
The elastic deformation part is formed in a C shape and is configured to be coupled to the gripping part through both ends,
A state in which the grip grip part and the elastic deformation part are coupled form a donut shape having an opening formed therein, and a user's wrist is placed in the opening to be portable in the form of a bracelet.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악력 측정부는, 상기 조작 감지부에 의해 감지되는 상기 탄성 변형부의 변형 여부에 따른 악력 운동의 횟수를 카운트하도록 구성된 횟수 카운트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스마트 악력기.
According to claim 1,
The hand grip measuring unit includes a number counting unit configured to count the number of gripping movements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he elastic deformable unit is deformed, which is detected by the manipulation detecting unit.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악력 측정부는, 상기 조작 감지부에 의해 감지되는 상기 탄성 변형부의 변형 정도에 따른 최대 변형된 시점의 간격에 기초하여 주기 또는 피크와 인접하는 피크 사이의 인터벌 간격을 측정하도록 구성된 인터벌 측정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스마트 악력기.
According to claim 2,
The grip force measurement unit further includes an interval measurement unit configured to measure an interval interval between a period or a peak and an adjacent peak based on an interval of a maximum deformed time point according to a degree of deformation of the elastic deformable unit detected by the manipulation detection unit. A portable smart handgrip.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악력 측정부는, 상기 조작 감지부에 의해 감지되는 상기 탄성 변형부의 변형 정도에 따른 최대 변형된 상태가 유지되는 시간을 측정하도록 구성된 홀딩 유지시간 측정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스마트 악력기.
According to claim 3,
The grip force measurement unit further comprises a holding holding time measurement unit configured to measure a time during which a maximum deformed state is maintained according to a degree of deformation of the elastic deformation unit detected by the manipulation detection unit.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감지부는 압력 센서이고,
상기 악력 측정부는 상기 압력 센서에 의해 상기 탄성 변형부의 변형된 정도에 따른 압력의 변화를 감지하고, 감지된 압력의 크기에 따라 상기 탄성 변형부의 조작 정도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스마트 악력기.
According to claim 1,
The manipulation sensor is a pressure sensor,
The grip force measuring unit detects a change in pressure according to the degree of deformation of the elastic deformable portion by the pressure sensor, and determines the degree of manipulation of the elastic deformable portion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detected pressure. Portable smart gripper.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감지부는 적외선을 이용한 근접 센서이고,
상기 악력 측정부는 상기 근접 센서를 통해 상기 탄성 변형부의 변형된 정도에 따른 거리의 변화를 감지하고, 감지된 거리에 따라 상기 탄성 변형부의 조작 정도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스마트 악력기.
According to claim 1,
The manipulation detection unit is a proximity sensor using infrared rays,
The grip force measuring unit detects a change in distance according to the degree of deformation of the elastic deformable portion through the proximity sensor, and determines the degree of manipulation of the elastic deformable portion according to the detected distance.
삭제delet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악력 그립부는, 컨텐츠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사용자의 악력 운동에 대한 정보, 시간, 날짜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스마트 악력기.
According to claim 1,
The gripping grip unit includes a display unit displaying content,
A portable smart gripper, characterized in that for displaying at least one of information, time, and date on the user's gripping exercise through the display unit.
삭제delete 사용자의 손가락이 그립되는 악력 그립부 및 상기 악력 그립부의 양 단으로부터 분리 및 결합 가능하고, 사용자의 악력에 의해 변형가능하도록 구성된 탄성 변형부를 포함하고, 상기 악력 그립부는, 결합된 탄성 변형부의 정보를 입력함으로써, 미리 저장된 탄성 변형부별 탄성 강도가 적용되는 모드 선택부, 상기 탄성 변형부의 변형에 따른 사용자의 조작을 감지하기 위한 조작 감지부 및 상기 조작 감지부를 통해 사용자의 악력 데이터를 측정하기 위한 악력 측정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스마트 악력기;
사용자의 생체 데이터가 입력되고, 상기 휴대용 스마트 악력기와 연동되는 사용자 단말; 및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사용자의 생체 데이터 및 악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근감소증 여부를 판단하고, 사용자가 근감소증이라고 판단되면 근감소증 치료를 위한 피드백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건강관리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악력 측정부는 상기 모드 선택부에 입력된 탄성 변형부의 탄성 강도를 적용하여 사용자의 악력 데이터를 측정하고,
상기 탄성 변형부는 C 자 형태로 형성되고, 양 단을 통해 상기 악력 그립부에 결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악력 그립부 및 상기 탄성 변형부가 결합된 상태는, 내부에 개구를 형성한 도넛 형태를 이루어, 상기 개구에 사용자의 팔목을 위치시켜, 팔찌 형태로 휴대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건강관리 시스템.
It includes a grip grip part for gripping a user's finger and an elastic deformable part detachable from both ends of the grip grip part and configured to be deformable by the user's grip force, wherein the grip grip part inputs information of the coupled elastic deformable part. By doing so, a mode selection unit to which the elastic strength of each elastic deformable unit stored in advance is applied, a manipulation detecting unit for detecting a user's manipulation according to the deformation of the elastic deformable portion, and a grip strength measurement unit for measuring user's grip strength data through the manipulation detecting unit. A portable smart gripper that includes;
A user terminal inputting the user's biometric data and interworking with the portable smart gripper; and
Health management that determines whether the user has sarcopenia based on the user's biometric data and grip strength data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network, and transmits feedback for sarcopenia treatment to the user terminal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has sarcopenia. including the server;
The grip strength measurement unit measures the user's grip strength data by applying the elastic strength of the elastic deformation unit input to the mode selection unit,
The elastic deformation part is formed in a C shape and is configured to be coupled to the gripping part through both ends,
The combined state of the gripping grip and the elastic deformation unit is formed in a donut shape with an opening formed therein, by placing the user's wrist in the opening, the integrated health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carried in the form of a bracelet.
KR1020200094961A 2020-07-30 2020-07-30 Portable smart handgrip and total healthcare system using the same KR10246652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4961A KR102466524B1 (en) 2020-07-30 2020-07-30 Portable smart handgrip and total healthcare system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4961A KR102466524B1 (en) 2020-07-30 2020-07-30 Portable smart handgrip and total healthcare system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6320A KR20220016320A (en) 2022-02-09
KR102466524B1 true KR102466524B1 (en) 2022-11-21

Family

ID=80266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4961A KR102466524B1 (en) 2020-07-30 2020-07-30 Portable smart handgrip and total healthcare system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6524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228962A1 (en) * 2002-04-10 2003-12-11 Herman William P. Exercise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22543A (en) * 1983-12-07 1985-07-01 株式会社クボタ Electronic dynamometer
KR100933180B1 (en) * 2008-02-22 2009-12-21 박승훈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muscle strength of muscle to be measured using maxilla and apex
KR102429542B1 (en) * 2018-01-30 2022-08-05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Grasping apparatus for hand training
KR20200082860A (en) * 2018-12-31 2020-07-08 (주)메디코넥스 Method for providing feedback for sarcopenia treatment through measurting strength of grasp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228962A1 (en) * 2002-04-10 2003-12-11 Herman William P. Exercise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6320A (en) 2022-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26165B2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adaptive health monitoring using behavioral, psychological, and physiological changes of a body portion
US10660534B2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providing exercise guide information
US20180301209A1 (en) User terminal device and system for performing user customized health management, and methods thereof
US20180116589A1 (en) Computer-based diabetes management
US20180330810A1 (en) Physical therapy monitoring algorithms
US9370689B2 (en) System and methods for providing dynamic integrated wellness assessment
US2016008162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ealth care
WO2017181278A1 (en) Apparatus and methodologies for personal health analysis
KR20140117550A (en) Activity identification
Yan et al. Personalized method for self-management of trunk postural ergonomic hazards in construction rebar ironwork
KR10233896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ymtome and disease management based on learning
US20180126219A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handgrip strength assessment using pressure-sensitive elements
KR102173335B1 (en)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analyzing personal physical ability based on motion recognition
US20180232495A1 (en) Brokering data to interested parties
WO2018235652A1 (en) Health management device, health management method, and health management program
KR20170057569A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health care service based on smart management strategy for health
Sargious et al. Remote collection of questionnaires
Alexander et al. A behavioral sensing system that promotes positive lifestyle changes and improves metabolic control among adults with type 2 diabetes
US20240082098A1 (en) Stroke rehabilitation therapy predictive analysis
KR102466524B1 (en) Portable smart handgrip and total healthcare system using the same
CN112890785A (en) Health management system using non-contact image type physiological detection technology
Martins et al. Feature reduction and multi-classification of different assistive devices according to the gait pattern
US20220165424A1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a participant health regimen
Kailas A generic conceptual model linking wellness, health lifestyles, and user assistance
KR102550525B1 (en) Method, System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Providing Personalized Exercise Prescription Inform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