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6417B1 - System of video output for transmitting image signals to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hanging displayed video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System of video output for transmitting image signals to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hanging displayed video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6417B1
KR102466417B1 KR1020210048016A KR20210048016A KR102466417B1 KR 102466417 B1 KR102466417 B1 KR 102466417B1 KR 1020210048016 A KR1020210048016 A KR 1020210048016A KR 20210048016 A KR20210048016 A KR 20210048016A KR 102466417 B1 KR102466417 B1 KR 1024664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signal
image
display device
standby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801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77829A (en
Inventor
김문수
김기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텔레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텔레칩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텔레칩스
Publication of KR202200778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782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64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641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66Channel or content management, e.g. generation and management of keys and entitlement messages in a conditional access system, merging a VOD unicast channel into a multicast channel
    • H04N21/2662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the video stream, e.g.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of the video stream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04N21/4621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the content stream or additional data, e.g. lower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of the video stream for a mobile client with a small scre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 H04N7/0117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involving conversion of the spatial resolution of the incoming video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 H04N7/0127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by changing the field or frame frequency of the incoming video signal, e.g. frame rate conver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동작하는 영상 출력 시스템이 영상 표출 장치로 출력하는 표출 영상을 변경하는 방법으로서, 제1 영상 신호와 제2 영상 신호를 수신하고, 제1 시점에 기 선택된 제1 영상 선택 신호와 수신한 제1 영상 수직 동기 신호를 기초로, 제1 영상 선택 상태를 유지하며 수신한 제1 영상 신호를 영상 표출 장치로 전달한다. 제1 영상 신호를 전달하는 중에 제2 영상 선택 신호를 수신하면, 제1 영상 선택 상태에서 대기 상태로 전환하고, 대기 상태를 유지하면서 제2 시점에 제2 영상 수직 동기 신호를 수신하면 대기 상태에서 제2 영상 선택 상태로 전환한 후, 수신하는 제2 영상을 영상 표출 장치로 전달한다.A method of changing a display image output from an image output system operated by at least one processor to an image display device, wherein a first image signal and a second image signal are received, and a first image selection signal pre-selected at a first time point. Based on the first video sync signal and the received first video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the first video selection state is maintained and the received first video signal is delivered to the video display device. If the second video selection signal is received while the first video signal is being transmitted, the state is switched from the first video selection state to the standby state. After switching to the second image selection state, the received second image is transmitted to the image display device.

Figure R1020210048016
Figure R1020210048016

Description

영상 표출 장치로 영상 신호를 전송하는 영상 출력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표출 영상 변경 방법{System of video output for transmitting image signals to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hanging displayed video using the same}System of video output for transmitting image signals to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hanging displayed video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영상 표출 장치로 영상 신호를 전송하는 영상 출력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표출 영상 변경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deo output system for transmitting a video signal to a video display device and a display video changing method using the same.

최근 개발되는 차량 내에는 내비게이션 장치, 첨단 운전자 보조 시스템(ADAS: Advanced Driver Assistant), 차량 정보 제공 장치(OBD: On Board Diagnostics) 등 다양한 운전자 주행 보조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운전자의 안전 운전을 위해 HUD(Head Up Display)가 이용되기도 한다. Various driver driving assistance devices such as a navigation device, an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 (ADAS), and an on board diagnostics (OBD) are installed in a recently developed vehicle. In addition, a Head Up Display (HUD) is also used for the driver's safe driving.

이와 같이 차량에 적용된 주행 보조 장치나 HUD는 영상을 표출하는 LCD 패널 등과 같은 영상 표출 장치와 영상 표출 장치로 영상 신호를 전송하는 영상 출력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영상 출력 시스템은 영상 신호를 영상 표출 장치에 전송하기 위한 전송 장치와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영상 신호 생성 장치로 구성된다.A driving assistance device or HUD applied to a vehicle as described above is composed of an image display device such as an LCD panel that displays an image and an image output system that transmits an image signal to the image display device. And, the video output system is composed of a transmission device for transmitting the video signal to the video display device and a video signal generating device for generating the video signal.

영상 신호 생성 장치는 복수 개 존재할 수 있으며, 영상 표출 장치에 출력해야 할 영상 컨텐츠를 변경할 경우, 추가적으로 영상 신호 멀티플렉서를 포함하기도 한다. 영상 신호 멀티플렉서는 복수의 영상 신호 중 하나를 선택하여 전송 장치를 통해 영상 표출 장치에 전달한다. A plurality of video signal generating devices may exist, and may additionally include a video signal multiplexer when video content to be output to the video display device is changed. The video signal multiplexer selects one of a plurality of video signals and transmits it to the video display device through a transmission device.

이때, 복수의 영상 신호 생성부는 모두 독립적으로 동작하기 때문에, 영상 신호 멀티플렉서로 입력되는 영상 신호들은 서로 동기화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영상 표출 장치를 통해 표출되고 있는 영상 변경을 시도하는 경우, 기존 출력되고 있던 영상 신호와 변경될 영상 신호의 시간적 차이와 변경되는 타이밍에 의해 다양한 형태의 오류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At this time, since all of the plurality of video signal generators operate independently, video signals input to the video signal multiplexer are not synchronized with each other. Therefore, when trying to change an image being displayed through an image display device, there are problems in that various types of errors occur due to a time difference between an existing image signal and an image signal to be changed, and timing of the change.

따라서, 본 발명은 영상 표출 장치가 정의한 프레임 당 픽셀 개수와 최소 수직 신호 대기 시간을 만족시키면서도 오류 없이 표출되는 영상 컨텐츠를 변경할 수 있는 영상 신호를 변경할 수 있는 영상 표출 장치로 영상 신호를 전송하는 영상 출력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표출 영상 변경 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ideo output for transmitting a video signal to a video display device capable of changing a video signal capable of changing the video content displayed without errors while satisfying the number of pixels per frame and the minimum vertical signal waiting time defined by the video display device. A system and a method for changing an expression image using the same are provided.

상기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인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동작하는 영상 출력 시스템이 영상 표출 장치로 출력하는 표출 영상을 변경하는 방법으로서,As a method of changing a display image output to an image display device by an image output system operated by at least one processor, which is one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대기 상태를 유지하며 제1 영상 신호와 제2 영상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제1 시점에 기 선택된 제1 영상 선택 신호와 수신한 제1 영상 수직 동기 신호를 기초로, 상기 대기 상태에서 천이된 제1 영상 선택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수신한 제1 영상 신호를 상기 영상 표출 장치로 전달하는 단계, 상기 제1 영상 신호를 전달하는 중에 제2 영상 선택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제1 영상 선택 상태에서 상기 대기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대기 상태를 유지하면서 제2 시점에 제2 영상 수직 동기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대기 상태에서 상기 제2 영상 선택 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수신하는 제2 영상을 상기 영상 표출 장치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Receiving a first video signal and a second video signal while maintaining a standby state, based on a first video selection signal previously selected at a first time point and a first video vertical sync signal received, transitioning from the standby state Maintaining a 1 image selection state and transferring the received first image signal to the image display device, if a second image selection signal is received while the first image signal is being transmitted, the first image selection state Switching to a standby state, and if a second video vertical synchronizing signal is received at a second time point while maintaining the standby state, switching from the standby state to the second image selection state, and displaying the received second image as the image and forwarding to the presentation device.

상기 대기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1 시점과 제2 시점 사이에 상기 제1 영상 신호에 대한 제1 영상 수직 동기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수신하는 제1 영상을 상기 영상 표출 장치로 전송하지 않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step of switching to the standby state, if a first video vertical synchronizing signal for the first video signal is received between the first time point and the second time point, the received first image is not transmitted to the image display device. steps may be included.

상기 수신하는 제2 영상을 상기 영상 표출 장치로 전달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영상 수직 동기 신호의 라이징 에지가 입력되면, 상기 대기 상태에서 상기 제2 영상 선택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수신하는 제2 영상을 상기 영상 표출 장치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transferring the received second image to the image display device may include: switching from the standby state to the second image selection state when a rising edge of the second image vertical sync signal is input; It may include transmitting a second image to the image display device.

상기 대기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에서, 상기 영상 표출 장치는, 상기 제1 시점에 전송되는 상기 제1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In the step of switching to the standby state, the video display device may output the first video transmitted at the first time point.

상기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인 영상 표출 장치로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영상 출력 시스템으로서,As a video output system for outputting a video signal to a video display device, which is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외부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제1 영상 신호 또는 제2 영상 신호 중 하나의 영상 신호가 상기 영상 표출 장치로 출력되도록, 제1 영상 선택 신호 또는 제2 영상 선택 신호 중 어느 하나의 영상 선택 신호를 생성하는 프로세서, 최초 구동되면 대기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프로세서에서 생성된 영상 선택 신호와 영상 신호 별 영상 수직 동기 신호에 따라, 상기 대기 상태에서 영상 선택 상태로 전환하여 상기 제1 영상 신호 또는 제2 영상 신호 중 어느 하나의 영상 신호를 선택하거나, 상기 영상 선택 상태에서 상기 대기 상태로 전환되면 입력되는 상기 제1 영상 신호와 제2 영상 신호 모두 선택하지 않는 영상 신호 멀티플렉서, 그리고 상기 제1 영상 신호 또는 제2 영상 신호 중 선택된 영상 신호를 상기 영상 표출 장치로 출력하는 전송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from the outside, one of the first and second video selection signals is generated so tha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video signals is output to the video display device. When the processor is initially driven, it maintains a standby state, and switches from the standby state to an image selection state according to the image selection signal generated by the processor and the video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for each video signal, and the first image signal or the second image A video signal multiplexer that selects neither the first video signal nor the second video signal input when either one of the video signals is selected or the video signal is switched from the video selection state to the standby state, and the first video signal or the second video signal is input. and a transmitter for outputting a video signal selected from among the two video signals to the video display device.

상기 영상 신호 멀티플렉서는, 상기 제1 영상 신호와 상기 제2 영상 신호를 모두 수신하고, 상기 영상 선택 신호가 제1 영상 선택 신호이고 상기 제1 영상 신호를 생성한 제1 영상 생성부로부터 제1 영상 수직 동기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대기 상태에서 제1 영상 선택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The video signal multiplexer receives both the first video signal and the second video signal, the video selection signal is the first video selection signal, and the first video generator generates the first video signal. When a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is received, the standby state may be switched to the first image selection state.

상기 영상 신호 멀티플렉서는, 상기 제1 영상 선택 상태에서 상기 프로세서로부터 상기 제2 영상 선택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영상 생성부로부터 상기 제1 영상 수직 동기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제1 영상 선택 상태에서 상기 대기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When the video signal multiplexer receives the second video selection signal from the processor and the first video vertical synchronizing signal from the first video generator in the first video selection state, the first video selection state can switch to the standby state.

상기 영상 신호 멀티플렉서는, 상기 대기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제2 영상을 생성하는 제2 영상 생성부로부터 제2 영상 수직 동기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대기 상태에서 상기 제2 영상 선택 상태로 전환하고, 수신되는 제2 영상을 선택할 수 있다.When the video signal multiplexer receives a second video vertical sync signal from a second video generator that generates the second video while maintaining the standby state, the video signal multiplexer switches from the standby state to the second image selection state, and receives A second image may be selected.

상기 영상 표출 장치에서 출력할 복수의 제1 영상 프레임들로 구성된 제1 영상 신호를 생성하고, 미리 설정된 제1 영상 프레임들마다 상기 제1 영상 수직 동기 신호를 생성하는 상기 제1 영상 신호 생성부, 그리고 상기 영상 표출 장치에서 출력할 복수의 제2 영상 프레임들로 구성된 제2 영상 신호를 생성하고, 미리 설정된 제2 영상 프레임들마다 상기 제2 영상 수직 동기 신호를 생성하는 상기 제2 영상 신호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video signal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a first video signal composed of a plurality of first video frames to be output from the video display device and generating the first video vertical sync signal for each preset first video frame; and the second video signal generator configured to generate a second video signal composed of a plurality of second video frames to be output from the video display device, and to generate the second video vertical synchronizing signal for each preset second video frame. can include

본 발명에 따르면, 영상 표출 장치가 정의한 프레임 당 픽셀 개수와 최소 수직 신호 대기 시간을 만족시키면서도 오류 없이 표출되는 영상 컨텐츠를 변경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displayed video content without error while satisfying the number of pixels per frame and the minimum vertical signal waiting time defined by the video display device.

도 1은 일반적인 영상 출력 시스템의 예시도이다.
도 2는 일반적인 영상 출력 시스템의 동작 예시도이다.
도 3은 일반적인 영상 출력 시스템에서 영상 콘텐츠 변경 시 발생하는 화면 이상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출력 시스템의 구조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출력 시스템의 상태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출력 시스템의 동작 타이밍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표출되는 영상 콘텐츠를 변경하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1 is an exemplary view of a general video output system.
2 is an exemplary operation diagram of a general video output system.
3 is an exemplary view of a screen abnormality that occurs when video content is changed in a general video output system.
4 is a structural diagram of an image outpu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emplary state diagram of an image outpu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operation timing of an image outpu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changing displayed video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certain component is said to "include", it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withou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이하,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출 장치로 영상 신호를 전송하는 영상 출력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표출 영상 변경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 앞서, 일반적인 영상 출력 시스템에 대해 도 1 내지 도 3을 참조로 먼저 설명한다.Hereinafter, a video output system for transmitting a video signal to a video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display video change method using the sam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Prior to describ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general video output system will be firs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

도 1은 일반적인 영상 출력 시스템의 예시도이다.1 is an exemplary view of a general video output system.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LCD(10)와 같이 영상 표출 장치에 영상 신호를 전송하는 영상 출력 시스템(20)은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영상 신호 생성부(21)와, 영상 신호 생성부(21)가 생성한 영상 신호를 LCD(10)로 전송하는 LVDS(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 전송부(23)를 포함한다. 여기서, 영상 신호 생성부(21)는 영상 출력 시스템(20) 내부에 포함될 수도 있고, 영상 출력 시스템(20)의 외부에 설치되어 영상 출력 시스템(20)으로 영상 신호를 제공할 수도 있다.As shown in FIG. 1, an image output system 20 for transmitting an image signal to an image display device such as an LCD 10 includes at least one image signal generator 21 that generates an image signal, and an image signal generator. A 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 (LVDS) transmission unit 23 for transmitting the image signal generated by the unit 21 to the LCD 10 is included. Here, the video signal generator 21 may be included inside the video output system 20 or installed outside the video output system 20 to provide a video signal to the video output system 20 .

그리고, 영상 신호 생성부(21)는 제1 영상 신호 생성부(21-1)와 제2 영상 신호 생성부(21-2)와 같이 복수의 개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LCD(10)를 통해 출력해야 할 영상을 변경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영상 신호 멀티플렉서(22)를 추가로 구성할 수 있다.Also, the video signal generator 21 may be configured with a plurality of pieces such as the first video signal generator 21-1 and the second video signal generator 21-2. In this case, the image to be output through the LCD 10 can be changed, and for this purpose, the image signal multiplexer 22 can be additionally configured.

영상 신호 멀티플렉서(22)는 제1 영상 신호 생성부(21-1)와 제2 영상 신호 생성부(21-2)에서 전송되는 복수의 영상 신호 중 하나를 선택하여 LVDS 전송부(23)로 전달하는 멀티플렉서이다. LCD(10)로 출력되는 영상을 변경해야 할 경우, 영상 신호 멀티플렉서(22)는 외부에서 전송되는 제어 신호를 통해 선택 영상을 변경하여, LVDS 전송부(23)로 전달되는 영상 신호를 변경한다. 여기서 제어 신호는 영상 출력 시스템(20) 내의 프로세서(도면 미도시)에서 생성할 수도 있고, 외부에서 입력될 수도 있다.The video signal multiplexer 22 selects one of a plurality of video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first video signal generator 21-1 and the second video signal generator 21-2 and transmits it to the LVDS transmission unit 23. is a multiplexer that When the image output to the LCD 10 needs to be changed, the image signal multiplexer 22 changes the selected image through a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and changes the image signal transmitted to the LVDS transmitter 23. Here, the control signal may be generated by a processor (not shown) in the image output system 20 or may be input from the outside.

이 때, 제1 영상 신호 생성부(21-1)와 제2 영상 신호 생성부(21-2)는 모두 독립적으로 동작한다. 따라서, 영상 신호 멀티플렉서(22)로 전달되는 영상 신호들은 서로 동기화되어 있지 않다.At this time, both the first video signal generator 21-1 and the second video signal generator 21-2 operate independently. Accordingly, the video signals transmitted to the video signal multiplexer 22 are not synchronized with each other.

그러므로, 일반적인 영상 출력 시스템(20)을 이용하여 LCD(10)에서 표출되고 있는 영상을 변경할 때, 여러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대해 도 2와 도 3을 참조로 설명한다.Therefore, when changing the image displayed on the LCD 10 using the general image output system 20, various errors may occur.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

도 2는 일반적인 영상 출력 시스템의 동작 예시도이고, 도 3은 일반적인 영상 출력 시스템에서 영상 콘텐츠 변경 시 발생하는 화면 이상에 대한 예시도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general video output system, and 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bnormal screen occurring when video content is changed in a general video output system.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영상 신호 생성부(21-1)에서 생성된 제1 영상 소스(①)와 제2 영상 신호 생성부(21-2)에서 생성된 제2 영상 소스(②)는 영상 신호 멀티플렉서(22)의 입력 영상 신호이다.First, as shown in FIG. 2, the first image source ① generated by the first image signal generator 21-1 and the second image source generated by the second image signal generator 21-2 (②) is an input video signal of the video signal multiplexer 22.

영상 신호 멀티플렉서(22)는 멀티플렉서 선택 신호가 제1 레벨(low level)(③)인 경우 제1 영상 소스를 선택하여 출력하고, 제2 레벨(high level)인 경우 제2 영상 소스를 선택하여 출력하도록 설정되어 있다고 가정한다.The video signal multiplexer 22 selects and outputs the first video source when the multiplexer selection signal is at the first level (low level) (③), and selects and outputs the second video source when it is at the second level (high level). Assume that it is set to

도 2에서 오류 발생 프레임으로 표시된 프레임 구간의 픽셀 데이터 수는 기 정의된 픽셀의 수보다 많은 오류가 발생된다. 또한, 경우에 따라 정의된 프레임의 픽셀 개수보다 적은 픽셀 데이터가 해당 프레임 구간에 전송되는 오류도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영상 수직 동기화(vsync)가 하이 레벨 구간인 수직 신호 대기(Vertical blank) 구간이 기 정의된 최소 길이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되는 오류가 발생할 수도 있다. In FIG. 2 , more errors occur than the number of predefined pixels in the number of pixel data in the frame section indicated as the error-occurring frame. Also, in some cases, an error in which pixel data smaller than the number of pixels of a defined frame is transmitted in a corresponding frame section may occur. Also, an error may occur in which a vertical signal waiting (vertical blank) section in which the video vertical synchronization (vsync) is at a high level is shorter than a predetermined minimum length.

즉, 제1 영상 소스와 제2 영상 소스는 동기화되어 있지 않지만, 한 프레임 내의 픽셀 수는 동일하다. 그러나, 오류 발생 프레임 구간에서는 제1 영상 소스의 축소된 프레임과 제2 영상 소스의 축소된 프레임이 합쳐져 하나의 프레임을 구성하기 ‹š문에, 기 정의된 프레임의 픽셀 개수를 맞출 수 없게 된다. 도 2의 경우에는 오류 발생 프레임 구간에서 픽셀 개수가 기 정의된 프레임의 픽셀 개수보다 많아지는 경우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That is, the first image source and the second image source are not synchronized, but the number of pixels in one frame is the same. However, in the error occurrence frame section, since the reduced frame of the first image source and the reduced frame of the second image source are combined to form one frame, it is impossible to match the number of pixels in the predefined frame. In the case of FIG. 2, an example of a case where the number of pixels in an error occurrence frame section is greater than the number of pixels in a predefined frame is shown.

여기서, 기 정의된 프레임의 픽셀 개수 또는 정의된 최소 수직 신호 대기 구간이란, 정상적으로 영상 표출 장치(10)가 동작하기 위해 사전에 정의해 둔 조건을 의미한다. 이 조건이 만족되지 못할 경우 영상 표출 장치(10)의 정상적인 동작을 기대할 수 없게 된다. Here, the number of pixels in a predefined frame or the defined minimum vertical signal waiting period means a predefined condition for the video display device 10 to operate normally. If this condition is not satisfied, normal operation of the video display device 10 cannot be expected.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제가 발생한 프레임에서 순간적인 화면 이상이 발생할 수도 있다. 또한, 문제가 발생한 프레임 이후의 모든 프레임에서 화면 이상이 발생할 수도 있다. Therefore, as shown in FIG. 3 , an instantaneous screen abnormality may occur in a frame in which a problem occurs. In addition, a screen abnormality may occur in all frames after the frame in which the problem occurs.

즉,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영상 신호 생성부(21-1)가 제1 영상을 생성하고 있고,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영상 신호 생성부(21-2)가 제2 영상을 생성 있다고 가정한다. 영상 표출 장치(10)가 제1 영상을 화면에 표출하고 있는 중에, 표출 대상 영상을 제1 영상에서 제2 영상으로 변경하는 경우, 영상 표출 장치(10)가 기 정의해 둔 조건이 만족되지 않을 수 있다. That is, as shown in (a) of FIG. 3, the first image signal generator 21-1 generates the first image, and as shown in (b) of FIG. 3, the second image signal generator 21-1 It is assumed that (21-2) generates the second image. When the display target image is changed from the first image to the second image while the image display device 10 is displaying the first image on the screen, a condition predefined by the image display device 10 may not be satisfied. can

이에 따라, 도 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영상에서 제2 영상으로 전환하는 중에, 두 영상이 동시에 화면에 표출되거나, 화면 밀림 현상 등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영상 표출 장치가 정의한 프레임 당 픽셀 개수와 최소 수직 신호 대기 시간을 만족시키면서, 표출 대상인 영상을 변경하더라도 동시에 두 영상이 표출되거나 화면 밀림 현상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영상 표출 장치로 영상 신호를 전송하는 영상 출력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표출 영상 변경 방법을 제안한다.Accordingly, as shown in (c) of FIG. 3 , while switching from the first image to the second image, the two images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at the same time or a screen-pull phenomenon may occur. Therefor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le satisfying the number of pixels per frame and the minimum vertical signal waiting time defined by the image display device, even if the image to be displayed is changed, the image display device prevents two images from being displayed at the same time or the screen rolling phenomenon does not occur. We propose a video output system that transmits video signals and a method for changing the displayed video using the same.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출력 시스템의 구조도이다.4 is a structural diagram of an image outpu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표출 장치(30)에 영상 신호를 전송하는 영상 출력 시스템(100)은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영상 신호 생성부(110)와, 영상 신호 생성부(110)가 생성한 영상 신호를 영상 표출 장치(30)로 전송하는 LVDS(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 전송부(130)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4 , the video output system 100 that transmits video signals to the video display device 30 includes at least one video signal generator 110 that generates video signals, and the video signal generator 110. ) includes a 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 (LVDS) transmitter 130 that transmits the video signal generated by the image display device 30.

여기서, 영상 신호 생성부(110)는 영상 출력 시스템(100) 내부(110-1, 110-2)에 포함될 수도 있고, 영상 출력 시스템(110)의 외부(110-3)에 설치되어 영상 출력 시스템(100)으로 영상 신호를 제공할 수도 있다.Here, the video signal generator 110 may be included inside the video output system 100 (110-1, 110-2) or installed outside the video output system 110 (110-3) to the video output system In (100), a video signal may be provided.

영상 신호 생성부(1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세 개의 영상 신호 생성부(110-1~110-3)만 도시하였으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두 개의 영상 신호 생성부들에서 생성된 영상 신호를 영상 표출 장치(30)로 전송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영상 신호 생성부(110-1~110-3)는 자동차의 후방 카메라,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 경고 화면 재생 장치, 클러스터 화면 재생 장치 등 영상 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장치면 어떠한 장치들이라도 적용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 a plurality of image signal generators 110 may be form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ly three image signal generators 110-1 to 110-3 are show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image signals generated by the two image signal generators are used as an image display device. The case of transmission in (30) will be described. The video signal generators 110-1 to 110-3 may be any device capable of generating a video signal, such as a rear camera of a vehicle, a multimedia playback device, a warning screen playback device, or a cluster screen playback device.

이와 같이 영상 신호 생성부(110)가 복수 개 구성되는 경우, 영상 표출 장치(30)를 통해 출력해야 할 영상을 변경하기 위하여 영상 신호 멀티플렉서(120)를 추가로 구성할 수 있다. 영상 신호 멀티플렉서(120)는 복수의 영상 신호 생성부(110-1~110-3)들에서 전송되는 복수의 영상 신호들 중 하나를 선택하여 LVDS 전송부(130)로 전달한다. When a plurality of image signal generators 110 ar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n image signal multiplexer 120 may be additionally configured to change an image to be output through the image display device 30 . The video signal multiplexer 120 selects one of a plurality of video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plurality of video signal generators 110-1 to 110-3 and transmits it to the LVDS transmission unit 130.

영상 표출 장치(30)로 출력되는 영상을 변경해야 할 경우, 영상 신호 멀티플렉서(120)는 프로세서(140)에서 전송되는 제어 신호를 기초로 LVDS 전송부(130)로 전달하는 영상 신호를 변경한다. 여기서 제어 신호에는 운전자에 의해 선택된 영상 정보가 포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프로세서(140)가 영상 출력 시스템(100)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나타내었으나, 영상 출력 시스템(100)의 외부에 위치하여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When an image output to the image display device 30 needs to be changed, the image signal multiplexer 120 changes the image signal transmitted to the LVDS transmitter 130 based on the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processor 140. Here, the control signal includes image information selected by the driver.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cessor 140 is shown as being located inside the video output system 100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but may be located outside the video output system 100 and transmit control signals.

영상 신호 멀티플렉서(120)는 처음 구동되어 프로세서(140)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면, 영상 신호 생성부(110)가 각각 생성한 영상 신호를 수신할 대비 상태로 상태를 천이한다. When the video signal multiplexer 120 is initially driven and receives a control signal from the processor 140, the video signal generator 110 transitions to a state ready to receive the video signals generated respectively.

그리고, 영상 신호 멀티플렉서(120)는 프로세서(140)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영상 신호 정보가 포함된 선택 영상 제어 신호를 수신하면, 선택된 영상 신호를 영상 신호 생성부(110)로부터 수신하여 LVDS 전송부(130)로 전달한다. 여기서 선택 영상 제어 신호에는 선택된 영상에 대응하는 펄스 신호(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선택 영상 제어 신호'라 지칭함)를 포함한다. Further, when the video signal multiplexer 120 receives the selected video control signal including the video signal information selected by the user from the processor 140, the video signal generator 110 receives the selected video signal from the LVDS transmission unit ( 130). Here, the selected image control signal includes a puls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image (hereinafter referred to as 'selected image control signal'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영상 신호 멀티플렉서(120)는 선택 영상 제어 신호를 기초로, 펄스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영상 신호 생성부(110)로부터 영상 신호를 수신한다. 그리고 수신한 영상 신호를 LVDS 전송부(130)로 전달한다. 이때, 영상 신호 멀티플렉서(120)는 해당 영상 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LVDS 전송부(130)로 전달하는데, 영상 수직 동기 신호가 라이징 에지(rising edge)에서부터 다음 프레임의 영상 수직 동기 신호의 라이징 에지가 발생할 때까지 프레임 단위로 영상 신호를 전송한다.The video signal multiplexer 120 receives the video signal from the video signal generator 110 that generates a video signal corresponding to the pulse signal based on the selected video control signal. Then, the received video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LVDS transmitter 130. At this time, the video signal multiplexer 120 transmits the corresponding video signal to the LVDS transmission unit 130 in frame units. When the video vertical sync signal rises from the rising edge of the video vertical sync signal of the next frame, the rising edge occurs. The video signal is transmitted frame by frame until

이때, 영상 신호 멀티플렉서(120)가 프로세서(140)로부터 표출되는 영상 콘텐츠의 변경을 요청하는 제어 신호(이하, '변경 제어 신호'라 지칭함)를 수신하면, 영상 신호 멀티플렉서(120)는 선택 영상 제어 신호와 영상 수직 동기 신호의 에지 상태를 기초로 영상 전송 상태에서 대기 상태(IDLE 상태)로 상태를 천이한다. At this time, when the video signal multiplexer 120 receives a control signal requesting a change of the video content displayed from the processor 140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change control signal'), the video signal multiplexer 120 controls the selected video. The state transitions from the video transmission state to the standby state (IDLE state) based on the edge states of the signal and the video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이때, 대기 상태는 영상 신호 멀티플렉서(120)가 복수의 영상 신호 생성부(110)들로부터 영상 신호들을 수신하더라도, 영상 신호 멀티플렉서(120)가 어떠한 영상 신호도 선택하지 않는 상태를 의미한다. 영상 신호 멀티플렉서(120)가 대기 상태를 유지할 때, 영상 표출 장치(30)는 대기 상태의 구간을 수직 신호 대기 구간(Vertical blank) 구간으로 인식한다.At this time, the standby state means a state in which the video signal multiplexer 120 does not select any video signal even though the video signal multiplexer 120 receives video signals from the plurality of video signal generators 110 . When the video signal multiplexer 120 maintains the standby state, the video display device 30 recognizes the standby interval as a vertical blank interval.

여기서, 영상 신호 멀티플렉서(120)가 선택 영상 제어 신호와 영상 수직 동기 신호의 에지 상태에 따라 상태를 천이하는 예에 대해 도 5를 참조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두 개의 영상 신호 생성부(110-1, 110-2)가 있다고 가정한다. 그리고, 제1 영상 신호 생성부(110-1)의 영상 신호의 표출이 결정되면 영상 신호 멀티플렉서(120)로 로우 레벨의 선택 영상 제어 신호가 입력되고, 제2 영상 신호 생성부(110-2)의 영상 신호의 표출이 결정되면 영상 신호 멀티플렉서(120)로 하이 레벨의 선택 영상 제어 신호가 입력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Here, an example in which the video signal multiplexer 120 transitions the state according to the edge states of the selected video control signal and the video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ssumed that there are two image signal generators 110-1 and 110-2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n, when the display of the video signal of the first video signal generator 110-1 is determined, a low-level selected video control signal is input to the video signal multiplexer 120, and the second video signal generator 110-2 When the expression of the video signal of is determined, a high-level selection video control signal is input to the video signal multiplexer 120 as an example.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출력 시스템의 상태 예시도이다.5 is an exemplary state diagram of an image outpu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신호 멀티플렉서(120)는 맨 처음 구동되면 대기 상태를 유지한다. 대기 상태를 유지하더라도, 영상 신호 멀티플렉서(120)는 제1 영상 신호 생성부(110-1)와 제2 영상 신호 생성부(110-2)가 생성한 제1 영상 신호와 제2 영상 신호는 수신한다.As shown in FIG. 5, the video signal multiplexer 120 maintains a standby state when first driven. Even if the standby state is maintained, the video signal multiplexer 120 receives the first video signal and the second video signal generated by the first video signal generator 110-1 and the second video signal generator 110-2. do.

영상 신호 멀티플렉서(120)는 입력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선택 영상 제어 신호와 영상 수직 동기 신호의 조건을 확인한다. 그리고, 대기 상태에서 영상 선택 상태로 천이하거나, 영상 선택 상태에서 다시 대기 상태로 천이하게 된다.The video signal multiplexer 120 checks conditions of the selected video control signal and the video vertical synchronizing signal according to the input control signal. Then, a transition is made from the standby state to the image selection state or from the image selection state to the standby state.

즉, 대기 상태의 영상 신호 멀티플렉서(120)로 로우 레벨의 선택 영상 제어 신호가 입력되고 제1 영상 신호 생성부(110-1)로부터 수직 동기 신호의 라이징 에지가 입력되면(조건 1), 제1 영상 선택 상태로 천이한다. 제1 영상 선택 상태에서 영상 신호 멀티플렉서(120)는 제1 영상 신호 생성부(110-1)로부터 수신한 제1 영상 신호를 LVDS 전송부(130)로 전달한다. That is, when a low-level selected video control signal is input to the video signal multiplexer 120 in a standby state and a rising edge of a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is input from the first video signal generator 110-1 (condition 1), the first Transition to the image selection state. In the first image selection state, the image signal multiplexer 120 transfers the first image signal received from the first image signal generator 110-1 to the LVDS transmitter 130.

이때, 제1 영상 선택 상태에서 선택 영상 제어 신호가 하이 레벨이고, 제1 영상 신호 생성부(110-1)로부터 수직 동기 신호의 라이징 에지가 입력되면(조건 2), 영상 신호 멀티플렉서(120)는 대기 상태로 상태 천이한다. 즉, 외부의 제어에 의해 표출 영상 콘텐츠의 변경이 발생한 시점에 해당하며, 제1 영상 신호 생성부(110-1)에 대한 수직 동기 신호의 라이징 에지가 입력되더라도 제1 영상 신호를 LVDS 전송부(130)로 전달하지 않고 대기 상태를 유지한다.At this time, in the first image selection state, when the selected image control signal is at a high level and the rising edge of the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is input from the first image signal generator 110-1 (condition 2), the image signal multiplexer 120 State transitions to the standby state. That is, it corresponds to the time when the displayed video content is changed by external control, and even if the rising edge of the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to the first video signal generator 110-1 is input, the first video signal is sent to the LVDS transmission unit ( 130) and maintains a standby state.

그리고, 대기 상태에서 하이 레벨의 선택 영상 제어 신호가 입력되고 있는 중에 제2 영상 신호 생성부(110-2)에 대한 수직 동기 신호의 라이징 에지가 입력되면(조건 3), 영상 신호 멀티플렉서(120)는 대기 상태에서 제2 영상 선택 상태로 상태 천이한다. 그리고 영상 신호 멀티플렉서(120)는 제2 영상 신호 생성부(110-2)에서 전송되고 있는 제2 영상 신호를 LVDS 전송부(130)로 전달한다. Then, when the rising edge of the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to the second video signal generator 110-2 is input while the high level selection video control signal is being input in the standby state (condition 3), the video signal multiplexer 120 transitions from the standby state to the second image selection state. The video signal multiplexer 120 transmits the second video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econd video signal generator 110-2 to the LVDS transmitter 130.

그리고 제2 영상 선택 상태에서 선택 영상 제어 신호가 하이 레벨이고, 제2 영상 신호 생성부(110-2)에 대한 수직 동기 신호의 라이징 에지가 입력되면(조건 4), 영상 신호 멀티플렉서(120)는 대기 상태로 상태 천이한다. 그리고, 제2 영상 신호 생성부(110-2)에 대한 수직 동기 신호의 라이징 에지가 입력되었지만, 제2 영상 신호를 LVDS 전송부(130)로 전달하지 않고 대기 상태를 유지한다.In the second image selection state, when the selected image control signal is at a high level and the rising edge of the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to the second image signal generator 110-2 is input (condition 4), the image signal multiplexer 120 State transitions to the standby state. Then, even though the rising edge of the vertical sync signal to the second video signal generator 110-2 is input, the second video signal is not transferred to the LVDS transmission unit 130 and remains in a standby state.

상술한 상태 예시도에 따라 동작하는 영상 출력 시스템의 동작 타이밍에 대해 도 6을 참조로 설명한다.Operation timing of the video output system operating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state diagram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출력 시스템의 동작 타이밍을 나타낸 예시도이다.6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operation timing of an image outpu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영상 출력 시스템(100)이 구동하여 제1 영상 신호를 영상 표출 장치(30)로 전달하고 있다고 가정한다. 그러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우 레벨의 선택 영상 제어 신호가 영상 신호 멀티플렉서(120)로 입력된다. 이때, 제1 영상 수직 동기 신호에 라이징 에지가 입력되면(①), 영상 신호 멀티플렉서(120)는 제1 영상 생성부(110-1)에서 수신한 제1 영상의 프레임을 LVDS 전송부(130)로 전송한다.First, it is assumed that the video output system 100 is driven and transfers the first video signal to the video display device 30 . Then, as shown in FIG. 6 , the low-level selected video control signal is input to the video signal multiplexer 120 . At this time, when a rising edge is input to the first video vertical sync signal (①), the video signal multiplexer 120 transmits the frame of the first video received from the first video generator 110-1 to the LVDS transmitter 130. send to

제1 영상에 대한 프레임이 LVDS 전송부(130)로 전송될 때, 제2 영상에 대한 선택 영상 제어 신호 즉, 하이 레벨의 선택 영상 제어 신호가 영상 신호 멀티플렉서(120)로 입력되더라도(②), 영상 신호 멀티플렉서(120)는 제1 영상 신호를 LVDS 전송부(130)로 전송한다.When the frame for the first image is transmitted to the LVDS transmission unit 130, even if the selection image control signal for the second image, that is, the high-level selection image control signal is input to the image signal multiplexer 120 (②), The video signal multiplexer 120 transmits the first video signal to the LVDS transmitter 130 .

종래에는 제1 영상이 표출되고 있는 중에 제2 영상으로의 선택 신호를 수신할 경우, 제1 영상과 제2 영상이 동시에 표출되거나, 화면이 밀리는 현상 등이 발생할 수 있다. Conventionally, when a selection signal for the second image is received while the first image is being displayed, the first image and the second image may be simultaneously displayed or the screen may be pushed.

따라서, 하이 레벨의 선택 영상 제어 신호가 입력되었음에도, 제1 영상에 대한 제1 영상 수직 동기 신호의 라이징 에지가 입력될 때까지 즉, 전송중인 프레임이 끝날 때 까지(③), 제1 영상에 대한 프레임을 LVDS 전송부(130)로 전송한 후, 영상 신호 멀티플렉서(120)는 제1 영상 선택 상태에서 대기 상태로 상태 천이한다(④). 대기 상태에서는 제1 영상 신호와 제2 영상 신호가 입력되더라도 어떠한 영상 신호도 LVDS 전송부(130)로 출력하지 않는다. 하지만, 영상 표출 장치(30)에서는 제1 영상의 프레임 3이 계속 표출된다.Therefore, even though the high-level selection video control signal is input, until the rising edge of the first video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for the first video is input, that is, until the frame being transmitted ends (③), After transmitting the frame to the LVDS transmitter 130, the video signal multiplexer 120 transitions from the first video selection state to the standby state (④). In the standby state, no video signal is output to the LVDS transmitter 130 even when the first video signal and the second video signal are input. However, in the image display device 30, frame 3 of the first image is continuously displayed.

그리고, 제2 영상에 대한 제2 영상 수직 동기 신호의 라이징 에지가 입력되면(⑤), 영상 신호 멀티플렉서(120)는 대기 상태에서 제2 영상 선택 상태로 상태 천이한다. 그리고 영상 신호 멀티플렉서(120)는 제2 영상 신호를 LVDS 전송부(130)로 전송한다.Then, when the rising edge of the second video vertical synchronizing signal for the second video is input (⑤), the video signal multiplexer 120 transitions from the standby state to the second video selection state. The video signal multiplexer 120 transmits the second video signal to the LVDS transmitter 130 .

상술한 바와 같이 영상 출력 시스템(100)이 영상 표출 장치(30)에서 표출되는 영상 콘텐츠를 오류 없이 변경하는 방법에 대해 도 7을 참조로 설명한다. As described above, a method for the video output system 100 to change the video content displayed in the video display device 30 without error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7 .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영상이 이미 영상 표출 장치(30)를 통해 출력되고 있고, 제2 영상으로 표출 영상을 변경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그리고 제1 영상을 선택한 제1 영상 선택 신호는 로우 레벨 신호이고, 제2 영상을 선택한 제2 영상 선택 신호는 하이 레벨의 신호인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 case in which the first image is already output through the image display device 30 and the display image is changed to the second image will be described. Further, the first image selection signal for selecting the first image is a low level signal, and the second image selection signal for selecting the second image is a high level signal.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표출되는 영상 콘텐츠를 변경하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7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changing displayed video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출력 시스템(100)은 대기 상태에서 시작한다(S100). 영상 신호 멀티플렉서(120)는 대기 상태에서는 각 영상 신호 생성부(110-1, 110-2)에서 생성한 모든 영상 신호들 각각에 대한 수직 동기 신호의 라이징 에지와 운전자에 의해 선택된 영상 선택 신호를 감지한다(S101). As shown in FIG. 7, the video output system 100 starts in a standby state (S100). In the standby state, the video signal multiplexer 120 detects the rising edge of the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for each of all video signals generated by the video signal generators 110-1 and 110-2 and the video selection signal selected by the driver. Do (S101).

영상 신호 멀티플렉서(120)는 영상 수직 동기 신호와 영상 선택 신호가 동일하게 매칭되면, 대기 상태에서 해당 영상을 선택할 영상 선택 상태로 천이된다. When the video signal multiplexer 120 is identically matched to the video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and the video selection signal, it transitions from a standby state to an image selection state in which a corresponding image is to be selected.

즉, 영상 신호 멀티플렉서(120)는 S101 단계에서 제1 시점에 감지한 영상 수직 동기 신호가 제1 영상 수직 동기 신호인지 판단한다(S102). 영상 수직 동기 신호가 제1 영상 수직 동기 신호이면, 영상 신호 멀티플렉서(120)는 영상 선택 신호를 수신한다(S103).That is, the video signal multiplexer 120 determines whether the video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detected at the first time point in step S101 is the first video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S102). If the video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is the first video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the video signal multiplexer 120 receives the video selection signal (S103).

영상 신호 멀티플렉서(120)는 S103 단계에서 수신한 영상 선택 신호가 제1 영상 선택 신호인지 확인하고(S104), 만약 제2 영상 선택 신호가 입력되었다면 S100 단계로 돌아가 대기 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나, 제1 영상 선택 신호가 입력되었다면, 영상 신호 멀티플렉서(120)는 대기 상태에서 제1 영상 선택 상태로 천이한다(S105). The video signal multiplexer 120 checks whether the video selection signal received in step S103 is the first video selection signal (S104), and if the second video selection signal is input, returns to step S100 and maintains a standby state. However, if the first image selection signal is input, the image signal multiplexer 120 transitions from the standby state to the first image selection state (S105).

제1 영상 선택 상태로 천이되어 제1 영상 수직 동기 신호의 라이징 에지를 수신하면(S106), 영상 신호 멀티플렉서(120)는 S103 단계 이후의 절차를 반복한다. When the transition is made to the first image selection state and the rising edge of the first image vertical sync signal is received (S106), the image signal multiplexer 120 repeats the steps from step S103.

한편, S102 단계에서 확인한 결과 제2 영상 수직 동기 신호가 입력되었다면, 영상 신호 멀티플렉서(120)는 영상 선택 신호를 수신한다(S107). 그리고, 영상 신호 멀티플렉서(120)는 S107 단계에서 수신한 영상 선택 신호가 제2 영상 선택 신호인지 확인한다(S108).Meanwhile, as a result of checking in step S102, if the second video vertical synchronizing signal is input, the video signal multiplexer 120 receives the video selection signal (S107). Then, the video signal multiplexer 120 checks whether the video selection signal received in step S107 is the second video selection signal (S108).

만약 제2 영상 선택 신호가 입력되었다면 영상 신호 멀티플렉서(120)는 S100 단계로 돌아가 대기 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나, 제2 영상 선택 신호가 입력되었다면, 영상 신호 멀티플렉서(120)는 대기 상태에서 제2 영상 선택 상태로 천이한다(S109). If the second image selection signal is input, the image signal multiplexer 120 returns to step S100 and maintains a standby state. However, if the second image selection signal is input, the image signal multiplexer 120 transitions from the standby state to the second image selection state (S109).

제2 영상 선택 상태로 천이되어 제2 영상 수직 동기 신호의 라이징 에지를 수신하면(S110), 영상 신호 멀티플렉서(120)는 S107 단계 이후의 절차를 반복한다.When the transition is made to the second image selection state and the rising edge of the second image vertical sync signal is received (S110), the image signal multiplexer 120 repeats the procedures from step S107.

상술한 바와 같이 영상 표출 장치(30)에서 출력되는 영상을 변경할 수 있는 영상 출력 시스템(100)은 다양한 환경에 적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IVI(In-Vehicle Infotainment) 시스템에서 멀티미디어 또는 UI(User Interface) 화면 등의 디바이스 내부에서 생성한 영상 콘텐츠와 후방 카메라 영상과 같은 디바이스 외부에서 생성된 영상 간의 전환이 필요한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영상 출력 시스템(100)이 표출되는 영상의 오류 없이 영상을 전환하여 제공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video output system 100 capable of changing the video output from the video display device 30 can be applied to various environments. For example, in an In-Vehicle Infotainment (IVI) system, when it is necessary to switch between video content generated inside a device, such as a multimedia or user interface (UI) screen, and video generated outside the device, such as a rear camera image, the present invention The video output system 100 described in the embodiment of can convert and provide an image without errors in the displayed image.

또 다른 예로서, 디지털 클러스터 시스템에서 출력되는 화면의 멈춤 현상(freeze detect)이나 잘못된 화면이 출력되는 것을 프로세서가 탐지하고, 경고 화면으로 전환할 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영상 출력 시스템(100)을 적용할 수도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video output system 100 describ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processor detects that a screen freeze or an erroneous screen is output in a digital cluster system and converts to a warning screen can also be applied.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using the basic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are also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right.

Claims (9)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동작하는 영상 출력 시스템이 영상 표출 장치로 출력하는 표출 영상을 변경하는 방법으로서,
대기 상태를 유지하며 제1 영상 신호와 제2 영상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제1 시점에 기 선택된 제1 영상 선택 신호와 수신한 제1 영상 수직 동기 신호를 기초로, 상기 대기 상태에서 천이된 제1 영상 선택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수신한 제1 영상 신호를 상기 영상 표출 장치로 전달하는 단계,
상기 제1 영상 신호를 전달하는 중에 제2 영상 선택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제1 영상 선택 상태에서 상기 대기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
상기 대기 상태를 유지하면서 제2 시점에 제2 영상 수직 동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2 영상 수직 동기 신호의 라이징 에지가 입력되면, 상기 대기 상태에서 상기 제2 영상 선택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수신하는 제2 영상을 상기 영상 표출 장치로 전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표출 영상 변경 방법.
A method of changing a display image output from an image output system operated by at least one processor to an image display device, the method comprising:
Receiving a first image signal and a second image signal while maintaining a standby state;
Based on the first image selection signal pre-selected at a first point in time and the received first image vertical sync signal, the first image selection state transitioned from the standby state is maintained and the received first image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image display device. The step of passing to
switching from the first image selection state to the standby state when a second image selection signal is received while the first image signal is transmitted;
Receiving a second video vertical synchronizing signal at a second time point while maintaining the standby state and switching from the standby state to the second image selection state when a rising edge of the second video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is input; and
Delivering the received second image to the image display device
Including, how to change the expression imag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1 시점과 제2 시점 사이에 상기 제1 영상 신호에 대한 제1 영상 수직 동기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수신하는 제1 영상을 상기 영상 표출 장치로 전송하지 않는 단계
를 포함하는, 표출 영상 변경 방법.
According to claim 1,
In the step of switching to the standby state,
When receiving a first video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for the first video signal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views, not transmitting the received first video to the video display device
Including, how to change the expression imag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에서,
상기 영상 표출 장치는, 상기 제1 시점에 전송되는 상기 제1 영상을 출력하는, 표출 영상 변경 방법.
According to claim 1,
In the step of switching to the standby state,
Wherein the image display device outputs the first image transmitted at the first point in time.
영상 표출 장치로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영상 출력 시스템으로서,
외부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제1 영상 신호 또는 제2 영상 신호 중 하나의 영상 신호가 상기 영상 표출 장치로 출력되도록, 제1 영상 선택 신호 또는 제2 영상 선택 신호 중 어느 하나의 영상 선택 신호를 생성하는 프로세서,
최초 구동되면 대기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프로세서에서 생성된 영상 선택 신호와 영상 신호 별 영상 수직 동기 신호에 따라, 상기 대기 상태에서 영상 선택 상태로 전환하여 상기 제1 영상 신호 또는 제2 영상 신호 중 어느 하나의 영상 신호를 선택하거나, 상기 영상 선택 상태에서 상기 대기 상태로 전환되면 입력되는 상기 제1 영상 신호와 제2 영상 신호 모두 선택하지 않으며, 상기 제1 영상 선택 상태에서 상기 프로세서로부터 상기 제2 영상 선택 신호를 수신하고, 제1 영상 생성부로부터 제1 영상 수직 동기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제1 영상 선택 상태에서 상기 대기 상태로 전환하는 영상 신호 멀티플렉서, 그리고
상기 제1 영상 신호 또는 제2 영상 신호 중 선택된 영상 신호를 상기 영상 표출 장치로 출력하는 전송부
를 포함하는, 영상 출력 시스템.
A video output system for outputting a video signal to a video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from the outside, one of the first and second video selection signals is generated so tha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video signals is output to the video display device. a processor that
When initially driven, it maintains a standby state and switches from the standby state to an image selection state according to the video selection signal generated by the processor and the video vertical sync signal for each video signal, thereby selecting one of the first video signal or the second video signal. When one video signal is selected or when the image selection state is switched to the standby state, neither the first image signal nor the second image signal input is selected, and the second image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processor in the first image selection state. A video signal multiplexer that receives a selection signal and converts from the first video selection state to the standby state when receiving a first video vertical synchronizing signal from the first video generator; and
A transmitter for outputting a video signal selected from among the first video signal and the second video signal to the video display device.
Including, video output system.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신호 멀티플렉서는,
상기 제1 영상 신호와 상기 제2 영상 신호를 모두 수신하고, 상기 영상 선택 신호가 제1 영상 선택 신호이고 상기 제1 영상 신호를 생성한 제1 영상 생성부로부터 제1 영상 수직 동기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대기 상태에서 제1 영상 선택 상태로 전환하는, 영상 출력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5,
The video signal multiplexer,
When both the first video signal and the second video signal are received, the video selection signal is the first video selection signal and a first video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is received from the first video generator that generated the first video signal , A video output system that converts from the standby state to the first image selection state.
삭제delet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신호 멀티플렉서는,
상기 대기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제2 영상을 생성하는 제2 영상 생성부로부터 제2 영상 수직 동기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대기 상태에서 상기 제2 영상 선택 상태로 전환하고, 수신되는 제2 영상을 선택하는, 영상 출력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6,
The video signal multiplexer,
If a second video vertical synchronizing signal is received from the second image generator that generates the second image while maintaining the standby state, the standby state is switched to the second image selection state and the received second image is selected. , video output system.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표출 장치에서 출력할 복수의 제1 영상 프레임들로 구성된 제1 영상 신호를 생성하고, 미리 설정된 제1 영상 프레임들마다 상기 제1 영상 수직 동기 신호를 생성하는 상기 제1 영상 신호 생성부, 그리고
상기 영상 표출 장치에서 출력할 복수의 제2 영상 프레임들로 구성된 제2 영상 신호를 생성하고, 미리 설정된 제2 영상 프레임들마다 상기 제2 영상 수직 동기 신호를 생성하는 상기 제2 영상 신호 생성부
를 포함하는, 영상 출력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8,
The first video signal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a first video signal composed of a plurality of first video frames to be output from the video display device and generating the first video vertical sync signal for each preset first video frame; and
The second video signal generator for generating a second video signal composed of a plurality of second video frames to be output from the video display device, and generating the second video vertical sync signal for each preset second video frame.
Including, video output system.
KR1020210048016A 2020-12-02 2021-04-13 System of video output for transmitting image signals to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hanging displayed video using the same KR102466417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67008 2020-12-02
KR1020200167008 2020-12-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7829A KR20220077829A (en) 2022-06-09
KR102466417B1 true KR102466417B1 (en) 2022-11-11

Family

ID=81985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8016A KR102466417B1 (en) 2020-12-02 2021-04-13 System of video output for transmitting image signals to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hanging displayed video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6417B1 (en)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73995A (en) * 1996-12-06 1998-06-26 Nec Shizuoka Ltd Video signal switching circuit
KR20000021571A (en) * 1998-09-30 2000-04-25 전주범 Video mute method of tv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7829A (en) 2022-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67774B2 (en) Video switcher and video switching method
CN109830204B (en) Time schedule controller, display driving method and display device
US8390613B2 (en) Display driver integrated circuits, and systems and methods using display driver integrated circuits
CN108293149B (en) Image display device
CN107665105B (en) Display equipment interface conversion device, multi-screen display system and multi-screen display method
KR101315084B1 (en) Embedded displayport system, timing controller and control method with panel self refresh mode for embedded display port
WO2014112120A1 (en) Display device, multi-display system, and multi-display method
US20160005378A1 (en) Display device and display method
KR100653061B1 (en) Display system and host device
JP6362116B2 (en) Display device, control method therefor, program, and storage medium
US20130106996A1 (en) Timing controller with video format conversion, method therefor and display system
US20170118443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466417B1 (en) System of video output for transmitting image signals to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hanging displayed video using the same
KR100633161B1 (en) Display Apparatus and Data Writing Device
CN101874399A (en) Method and device for synchronizing an image display in a motor vehicle
CN103838533B (en) The synchronous method of figure signal and sync card in computer cluster splice displaying system
JP2018173540A (en) Display controller and display control method
US7209134B2 (en) Liquid crystal display
US20140176515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frame thereof
JP2015060021A (en) Display device, control method and program
JP6319814B2 (en) Display device, multi-display system, and multi-display method
US20030179179A1 (en)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for generating image signal having pointer signal
CN111818380B (en) Interactive synchronous image display method and system for micro display unit
US2011029229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video data
JP2015090461A (en) Video imag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