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5925B1 - Mounting device for mobile terminals - Google Patents

Mounting device for mobile terminal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5925B1
KR102465925B1 KR1020190154881A KR20190154881A KR102465925B1 KR 102465925 B1 KR102465925 B1 KR 102465925B1 KR 1020190154881 A KR1020190154881 A KR 1020190154881A KR 20190154881 A KR20190154881 A KR 20190154881A KR 102465925 B1 KR102465925 B1 KR 1024659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p plate
coupled
coupling member
coupling
portab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488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03651A (en
Inventor
권용현
한규식
윤여신
Original Assignee
권용현
한규식
윤여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90079682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053742B1/en
Application filed by 권용현, 한규식, 윤여신 filed Critical 권용현
Priority to KR10201901548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5925B1/en
Publication of KR202100036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3651A/en
Priority to KR1020210010933A priority patent/KR102346510B1/en
Priority to KR1020210010942A priority patent/KR10234651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59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592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일 단말기에 결합되는 거치장치에 있어서, 상기 거치장치의 상면에 배치된 상판(200)과; 상기 상판(200)의 하부에 구비되되 신장 및 수축하는 몸체부(300);와 상기 몸체부(300)와 결합되되, 상기 몸체부와 결합된 부위의 반대면 일면이 모바일단말기의 일면에 탈부착 되는 하판(400);과 상기 상판(200)의 상부에 구비되는 결합부재(100);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상판과 결합부재의 견고한 고정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상기 몸체부의 길이조절이 가능한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mounting device coupled to a vail terminal, comprising: a top plate 200 dispos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mounting device; A body portion 300 provided under the top plate 200 but extending and contracting; and coupled to the body portion 300, one side of the opposite side of the portion coupled to the body portion is detachable from one side of the mobile terminal. By including a lower plate 400; and a coupling member 100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upper plate 200, it is possible to firmly fix the upper plate and the coupling member, and to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length of the body portion can be adjusted. It relates to a mounting device for a portable terminal that does.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Mounting device for mobile terminals}Mounting device for mobile terminals. {Mounting device for mobile terminals}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단말기에 간편하게 부착하여 휴대단말기의 낙하위험 방지 또는 거치를 할 수 있는 거치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unting device for a portab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unting device that can be easily attached to a portable terminal to prevent or mount the portable terminal from falling risk.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단말기의 보급이 증가하고 사용이 잦아지고 있어 휴대단말기의 거치에 대한 문제가 이슈가 되고 있다.As the spread and use of portable terminals such as smart phones are increasing, the problem of mounting the portable terminal has become an issue.

휴대단말기는 손으로 파지하여 사용하지만 사용 시간이 길고 휴대단말기의 화면 크기가 날로 커짐에 따라 순간 낙하 위험이 크다. 휴대단말기는 케이스를 끼워 측면과 후면은 보호하고 있으나 전면은 보호에 한계가 있어 낙하 시 화면이 깨지는 문제가 발생한다.The portable terminal is used by holding it by hand, but as the use time is long and the screen size of the portable terminal increases day by day, the risk of momentary fall is high. The side and back of the portable terminal are protected by a case, but there is a limit to the protection of the front, so the screen is broken when dropped.

따라서 최근에는 휴대단말기의 낙하 위험 방지와 거치 등의 목적으로 휴대단말기에 부착할 수 있는 별도의 거치대를 제공하고 있다.Therefore, recently, a separate holder that can be attached to the portable terminal has been provided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the risk of falling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mounting the portable terminal.

국내 특허 제 10-2017-0126904호에 의하면, 금속부재를 이용하여 상판과 바According to Korean Patent No. 10-2017-0126904, a top plate and a bar using a metal member

디를 견고하게 고정하여 당기는 힘에 의해 상판과 바디가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를 제공하고 있다.Provided is a mounting device for a portable terminal that firmly fixes the D so that the upper plate and the body are not separated by a pulling force.

상기와 같은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는 금속부재를 이용하기 때문에 부식의 위험이 있을 뿐만아니라, 액세서리부가 단순히 상판을 감싸도록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상판에 견고하게 고정되지 않아 분실되는 문제점이 있다.The mounting device for a portable terminal as described above not only has a risk of corrosion because it uses a metal member, but also has a problem in that the accessory part is not firmly fixed to the top plate and is lost because it is simply coupled to cover the top plate.

따라서 상기 액세서리부와 상판의 견고한 고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결합구조가 필요한 실정이다.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coupling structure capable of firmly fixing the accessory part and the upper plate.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접착제를 도포함으로써 상기 상판과 결합부재의 견고한 고정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상기 접착제를 도포하는 면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적은양의 접착제를 사용하더라도 효과적으로 접착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by applying an adhesive, it is possible to firmly fix the top plate and the coupling member, and by improving the structure of the surface to which the adhesive is applied, even if a small amount of adhesive is used, it can be effectively bonde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and device for a portable terminal that can be used.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기에 결합되는 거치장치에 있어서, 상기 거치장치의 상면에 배치된 상판(200)과; 상기 상판(200)의 하부에 구비되되 신장 및 수축하는 몸체부(300);와 상기 몸체부(300)와 결합되되, 상기 몸체부와 결합된 부위의 반대면일면이 모바일단말기의 일면에 탈부착 되는 하판(400);과 상기 상판(200)의 상부에 구비되는 결합부재(100);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mounting device coupled to a mobile terminal, comprising: a top plate 200 dispos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holding device; A body portion 300 provided under the top plate 200 but extending and contracting; and coupled to the body portion 300, one surface opposite to the portion coupled to the body portion is detachable from one side of the mobile terminal. It includes a lower plate 400; and a coupling member 100 provided on the top of the upper plate 200.

또한 상기 상판(200)은 상면;과 하면;과 측면;으로 이루어지는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의 판재이되, 상판(200)의 상면 테두리부를 따라 수직으로 돌출된 누설 방지부(210);와 상기 상면 중심부에 구비되되 오목부를 갖도록 형성 된 제1홈부(220);와 상기 제1홈부의 내주면과 연통되고, 상기 제1홈부의 외주면에서 상기 누설방지부를 향해 오목부를 갖도록 형성 된 하나이상의 제2홈부(230);와 상판(200)의 하면에서 수직으로 돌출된 돌출부(240);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top plate 200 is a plate material having a circular or polygonal shape consisting of an upper surface; a lower surface; and a side surface, and a leak prevention unit 210 vertically protruding along the upper edge of the upper plate 200; and a central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ne or more second grooves 230 communicating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groove and having a concave portion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groove toward the leakage preventing part; and a protrusion 240 protruding vertically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top plate 200.

또한 상기 결합부재(100)는 일면이 상기 상판(200)이 수납되도록 안쪽으로 파여진 수납부가 구비되고 상기 상판(200)의 제1홈부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상기 상판(200)을 상기 수납부에 수납하여 접착하되, 상기 제1홈부에 도포 된 접착제는 상기 제1홈부와 연통된 제2홈부로 유도되어 상기 접착제가 상기 상판의 상면에 퍼져 접착된다.In addition, the coupling member 100 is provided with a storage part that is dug inward so that one side of the top plate 200 can be accommodated, and after applying an adhesive to the first groove of the top plate 200, the top plate 200 is placed in the storage part. However, the adhesive applied to the first groove part is guided to the second groove part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groove part, and the adhesive spreads and adheres to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그리고 상기 누설 방지부(210)는 상기 제2홈부(230)를 따라 흐르는 접착제가 상면에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한다.Also, the leakage preventing part 210 prevents the adhesive flowing along the second groove part 230 from leaking from the upper surface.

또한 상기 결합부재(100)는 상면;과 하면;과 측면;으로 이루어지는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의 판재이되, 상기 하면의 안쪽에는 상기 수납부가 배치되며 상기 수납부는 상기 상판의 상면과 부착되는 안쪽상부면과 상기 상판의 측면 및 하면의 테두리와 부착되는 안쪽측면으로 형성되되, 상기 안쪽측면은 상기 안쪽상부면의 끝단에서 수직으로 절곡 된 제1절곡부(110)와 상기 제1절곡부의 끝단부가 내측방향을 향하도록 절곡 된 제2절곡부(120)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coupling member 100 is a plate member having a circular or polygonal shape consisting of an upper surface, a lower surface, and a side surface, and the receiving part is disposed inside the lower surface, and the receiving part is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and the inside upper surface. It is formed of an inner side surface attached to the edge of the side surface and lower surface of the top plate, and the inner side surface is a first bent part 110 bent vertically at the end of the inner upper surface and the end of the first bent part in an inward direction. It includes a second bent portion 120 bent toward the direction.

또한 상기 결합부재(100)는 상기 제1절곡부(110)가 상기 상판(200)의 측면에 맞닿고 상기 제2절곡부(120);가 상기 상판(200)의 하면 테두리부를 감싸도록 상판(200)에 결합한다.In addition, the coupling member 100 is a top plate such that the first bent part 11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top plate 200 and the second bent part 120 surrounds the edge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top plate 200 ( 200).

또한 상기 결합부재(100)와 상판(200)을 내려다보았을 때 상기 결합부재(100)의 직경(W1)은 상기 상판(200)의 직경(W2)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재(100)의 하면에서부터 상기 제1절곡부(110) 끝단부까지의 길이(T1)는 상기 결합부재(100)의 누설 방지부(210) 끝단부에서부터 결합부재(100)의 하면까지의 길이(T2)와 일치하거나 더 크게 형성된다.In addition, when looking down at the coupling member 100 and the top plate 200, the diameter W1 of the coupling member 100 is larger than the diameter W2 of the top plate 200,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coupling member 100 The length (T1) from to the end of the first bent portion 110 coincides with the length (T2) from the end of the leakage preventing portion 210 of the coupling member 100 to the lower surface of the coupling member 100, or formed larger.

또한 상기 상판은 상면;과 하면;과 측면;으로 이루어지는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의 판재이되, 상판(200)의 하면에서 수직으로 돌출된 돌출부(240);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재(100)는 일면에 상기 상판(200)이 수납되도록 안쪽으로 파여진 수납부가 구비되어 상기 수납부에 상기 상판이 수납된 상태로 끼움 결합 된다.In addition, the upper plate is a circular or polygonal plate member consisting of an upper surface, a lower surface, and a side surface, and includes a protrusion 240 vertically protruding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200, and the coupling member 100 is on one surface. A receiving portion is provided in which the top plate 200 is received, and the top plate is fitted into the receiving portion while being stored therein.

상기에서 수납부는 상기 상판의 상면과 부착되는 안쪽상부면과 상기 상판의 측면 및 하면의 테두리와 부착되는 안쪽측면으로 형성되되, 상기 안쪽측면은 상기 안쪽상부면의 끝단에서 수직으로 절곡 된 제1절곡부(110)와 상기 제1절곡부의 끝단부가 내측방향을 향하도록 절곡 된 제2절곡부(120)를 포함하되, 상기 제1절곡부(110)가 상기 상판(200)의 측면에 맞닿고 상기 제2절곡부(120);가 상기 상판(200)의 하면 테두리부를 감싸도록 상판(200)에 결합한다.In the above, the receiving part is formed of an inner upper surface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top plate and an inner surface attached to the rim of the side surface and lower surface of the top plate, and the inner surface is first bent vertically at the end of the inner upper surface. It includes a portion 110 and a second bent portion 120 bent so that the end of the first bent portion faces inward, wherein the first bent portion 110 abuts against the side surface of the top plate 200 and The second bent portion 120 is coupled to the top plate 200 so as to surround the bottom edge of the top plate 200 .

또한 상기 결합부재(100)와 상판(200)을 내려다보았을 때 상기 결합부재(100)의 직경(W1)은 상기 상판(200)의 직경(W2)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재(100)의 하면에서부터 상기 제1절곡부(110) 끝단부까지의 길이(T1)는 상기 결합부재(100)의 상면에서부터 결합부재(100)의 하면까지의 길이(T3)와 일치하거나 더 크게 형성된다.In addition, when looking down at the coupling member 100 and the top plate 200, the diameter W1 of the coupling member 100 is larger than the diameter W2 of the top plate 200,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coupling member 100 The length T1 from the first bent portion 110 to the end of the first bent portion 110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length T3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oupling member 100 to the lower surface of the coupling member 100.

또한 상기 상판(200)은 상판의 상면 테두리부를 따라 수직으로 돌출된 체결돌기부(260);가 더 구비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top plate 200 may further include fastening protrusions 260 protruding vertically along the rim of the upper surface of the top plate.

그리고 상기 수납부는 안쪽 상부면에 상기 체결돌기부(260)가 수용되는 체결홈(130);이 구비됨에 따라 상기 상판이 상기 수납부에 수납되었을 때, 상기 체결 돌기부가 상기 체결홈에 수용된다.Further, since the accommodating part has a fastening groove 130 accommodating the fastening protrusion 260 on an inner upper surface thereof, when the top plate is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part, the fastening protrusion is accommodated in the fastening groove.

또한 상기 상판의 상면에는 장식부재(270)가 구비될 수 있되, 상기 장식부재의 크기는 상기 상판의 크기와 같거나 작고, 일면이 상기 상판의 상면과 맞닿도록 결합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decorative member 270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op plate, the size of the decorative member is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top plate, and one surface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top plate.

그리고 상기 결합부재(100)의 하면에서부터 상기 제1절곡부(110) 끝단부까지의 길이(T1)는 상기 결합부재(100)의 상면에서부터 결합부재(100)의 하면까지의 길이(T3)와 상기 장식부재의 두께(T4)의 합과 일치하거나 더 크게 형성된다.And the length T1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coupling member 100 to the end of the first bent portion 110 is the length T3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oupling member 100 to the lower surface of the coupling member 100 and It is formed equal to or larger than the sum of the thicknesses T4 of the decorative members.

상기에서 장식부재(270)는 상기 상판의 상면과 맞닿는 면의 반대 면에 그림 또는 사진, 크리스탈, 큐빅, 또는 금속으로 성형된 장식비즈(20), 거울 중 하나이상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bove, the decorative member 270 is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of a picture or photo, decorative beads 20 formed of crystal, cubic or metal, and a mirror is formed on the surface opposite to th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top plate.

또한 상기 상판(200)은 상면에 교통카드 기능을 위한 평판 형태의 칩부재(280);가 결합 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upper plate 200 is characterized in that a chip member 280 in the form of a flat plate for a transportation card function can be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그리고 상기 결합부재(100)의 하면에서부터 상기 제1절곡부(110) 끝단부까지의 길이(T1)는 상기 결합부재(100)의 상면에서부터 결합부재(100)의 하면까지의 길이(T3)와 상기 칩부재의 두께(T5)의 합과 일치하거나 더 크게 형성된다.And the length T1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coupling member 100 to the end of the first bent portion 110 is the length T3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oupling member 100 to the lower surface of the coupling member 100 and It is formed equal to or larger than the sum of the thicknesses T5 of the chip member.

그리고 상기 몸체부(300);는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 된 깔대기 형상이되 상면은 개방되고 하면은 밀폐되어 상면으로부터 안쪽으로 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상면과 하면을 연결하는 측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body portion 300; has a funnel shape in which a predetermined space is formed therein, but the upper surface is open and the lower surface is sealed to form a space inward from the upper surface, and the side surface connecting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to be

또한 상기 몸체부(300)의 측면에는 수평으로 형성 된 다수개의 가이드라인(310)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의 측면은 상기 가이드라인을 기준으로 밑부분의 외주면이 윗부분에 내주면에 끼워져 접힐 수 있도록 형성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guide lines 310 formed horizontally are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body part 300, and the side surface of the body part is formed so tha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part can be folded by being inserted in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part based on the guide line. .

또한 서로 인접하게 배치 된 가이드라인(310) 사이에는 상기 몸체부가 가이드라인(310)을 따라 유연하게 접힐 수 있도록 오목하거나 볼록하게 형성되는 굴곡부(320);가 더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between the guide lines 310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a bent portion 320 formed to be concave or convex so that the body portion can be flexibly folded along the guide line 310; may be further provided.

또한 상기 몸체부(300) 상면의 크기는 상기 몸체부(300) 하면의 크기보다 크고 서로 평행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iz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300 is larger than the siz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300, characterized in that they are parallel to each other.

그리고 상기 몸체부(300)는 탄성을 갖는 재질로써 상기 가이드라인을 따라 접히거나 펴짐에 따라 몸체부의 높이가 변화하며 몸체부(300)의 상부에 결합 된 상기 상판(20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ody portion 300 is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and the height of the body portion changes as the body portion 300 is folded or unfolded along the guideline, and the position of the top plate 200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300 can be adjusted. .

또한 상기 상판(200)의 직경(W2)은 상기 몸체부(300)의 상부 외경(W3)보다 크고, 상기 돌출부(240)의 직경(W5)은 상기 몸체부(300)의 상부 내경(W4)보다 작다.In addition, the diameter W2 of the top plate 200 is greater than the outer diameter W3 of the upper part of the body 300, and the diameter W5 of the protruding part 240 is the inner diameter W4 of the upper part of the body 300. smaller than

또한 상기 상판(200)과 몸체부(300)는 제1결합수단(250)에 의해 끼움 결합되고 상기 몸체부(300)와 하판(400)은 제2결합수단(330)에 의해 끼움 결합 된다.In addition, the upper plate 200 and the body portion 300 are fitted and coupled by the first coupling means 250, and the body portion 300 and the lower plate 400 are fitted and coupled by the second coupling means 330.

또한 상기 제1결합수단(250);은 상기 돌출부(240)의 측면부로부터 돌출 된 결합돌기(251);와 상기 몸체부;의 상단부에 형성 되고 상기 결합돌기(251)를 수용하는 결합공(252);을 포함하되 상기 결합돌기는 돌출부의 외주면을 따라 측면부에 하나이상 형성 된다.In addition, the first coupling means 250; is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coupling protrusion 251 protruding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protrusion 240 and the body portion, and the coupling hole 252 accommodating the coupling protrusion 251. ); including, but the coupling protrusion is formed at least one on the side portion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rotrusion.

또한 상기 결합돌기(251)가 A개 구비되었을 때, 상기 결합공(252)이 An개(n=자연수)가 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몸체부에 상판을 회전시켜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when A number of coupling protrusions 251 are provided, the number of coupling holes 252 is N (n = natural number) so that the top plate can be rotated and coupled to the body.

그리고 상기 제2결합수단(330)은 상기 몸체부(300)의 하면으로부터 돌출 된 제2결합돌기(331);와 상기 하판(400)의 중앙에 관통형성 되고 상기 제2결합돌기(331)를 수용하는 제2결합공을 포함한다.And the second coupling means 330 is formed through the center of the second coupling protrusion 331 protruding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300 and the lower plate 400, and the second coupling protrusion 331 It includes a second coupling hole for accommodating.

또한 상기 결합부재(100)는 상면이 평평하거나, 또는 굴곡을 갖도록 볼록하게 형성되거나, 또는 요철구조를 갖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coupling member 100 may have a flat upper surface, a convex shape to have a curve, or a concavo-convex structure.

또한 상기 몸체부(300)는 PVC, TPR, 고무 및 실리콘 및 그 밖의 재질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body portion 300 may be made of any one of PVC, TPR, rubber, silicone, and other materials.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Prior to this,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 conventional and dictionary sense, and the inventor may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explain his or her invention in the best way. It should be interpreted as a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there is.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몸체부의 길이를 조절하여 손가락 사이에 걸리도록 한 상태에서 휴대가 용이하며, 접착제를 사용하여 결합부재를 견고히 고정하되 상기 접착제를 도포하는 면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적은 양의 접착제를 사용하더라도 효과적인 접착이 가능하여 거치장치의 내구성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easy to carry in a state where the length of the body portion is adjusted so that it is caught between the fingers, and the coupling member is firmly fixed using an adhesive, but the structure of the surface on which the adhesive is applied is improved. By doing so, even if a small amount of adhesive is used, effective adhesion is possible, thereby improving the durability of the mounting device.

도 1은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의 상판과 결합부재를 도시한 단면도 이다.
도 3은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의 상판과 결합부재 사이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의 몸체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1 illustrates the structure of a mounting device for a portable terminal.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top plate and a coupling member of a mounting device for a portable terminal.
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oupled state between a top plate of a holding device for a portable terminal and a coupling member.
4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body portion of a mounting device for a portable terminal.
5 illustrates a coupled state of a mounting device for a portable terminal.
6 illustrates the structure of a mounting device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llustrates the structure of a mounting device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llustrates the structure of a mounting device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is process, the thickness of lines or the size of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description.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addition,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a user or operator.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아울러,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ollowing examples do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are merely illustrative of the components presented in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technical spirit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constitute the claims. Embodiments including elements that can be replaced as equivalents in elements may b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첨부된 도 1은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1 shows the structure of a mounting device for a portable terminal.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기에 결합되는 거치장치에 있어서, 상기 거치장치의 상면에 배치된 상판(200)과; 상기 상판(200)의 하부에 구비되되 신장 및 수축하는 몸체부(300);와 상기 몸체부(300)와 결합되되, 상기 몸체부와 결합된 부위의 반대면일면이 모바일단말기의 일면에 탈부착 되는 하판(400);과 상기 상판(200)의 상부에 구비되는 결합부재(1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 the present invention is a mounting device coupled to a mobile terminal, comprising: a top plate 200 dispos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mounting device; A body portion 300 provided under the top plate 200 but extending and contracting; and coupled to the body portion 300, one surface opposite to the portion coupled to the body portion is detachable from one side of the mobile terminal. It includes a lower plate 400; and a coupling member 100 provided on the top of the upper plate 200.

상기 결합부재(100)는 상면이 평평하거나, 또는 굴곡을 갖도록 볼록하게 형성되거나, 또는 요철구조를 갖는다.The upper surface of the coupling member 100 is flat, convex to have a curve, or has a concavo-convex structure.

또한 상기 결합부재(100)에는 이미지가 전사되거나 염료를 도포할 수 있다. In addition, an image may be transferred or a dye may be applied to the coupling member 100 .

상기와 같은 특징에 의해 상기 결합부재는 다양한 형상 및 디자인으로 형성되어 액세서리 기능을 할 수 있다.Due to the above characteristics, the coupling member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and designs to function as an accessory.

첨부된 도 2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의 상판과 결합부재를 도시한 단면도 이다.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upper plate and the coupling member of the portable terminal mounting device.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상판(200)은 상면;과 하면;과 측면;으로 이루어지는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의 판재이되, 상판(200)의 상면 테두리부를 따라 수직으로 돌출된 누설 방지부(210);와 상기 상면 중심부에 구비되되 오목부를 갖도록 형성 된 제1홈부(220);와 상기 제1홈부의 내주면과 연통되고, 상기 제1홈부의 외주면에서 상기 누설방지부를 향해 오목부를 갖도록 형성 된 하나이상의 제2홈부(230);와 상판(200)의 하면에서 수직으로 돌출된 돌출부(24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2, the top plate 200 is a plate material having a circular or polygonal shape consisting of an upper surface, a lower surface, and a side surface, and a leak prevention unit 210 vertically protruding along the upper edge of the upper plate 200; and A first groove 220 provided in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and formed to have a concave portion; and one or more second grooves 220 communicating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groove and having a concave portion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groove toward the leakage preventing part. It includes a groove part 230; and a protrusion part 240 that protrudes vertically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top plate 200.

또한 상기 제1홈부에는 접착제(10)가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dhesive 10 is applied to the first groove.

또한 상기 결합부재(100)와 상판(200)을 내려다보았을 때 상기 결합부재(100)의 직경(W1)은 상기 상판(200)의 직경(W2)보다 크게 형성된다.In addition, when looking down at the coupling member 100 and the top plate 200, the diameter W1 of the coupling member 100 is larger than the diameter W2 of the top plate 200.

첨부된 도 3은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의 상판과 결합부재 사이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oupled state between the upper plate of the portable terminal mounting device and the coupling member.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결합부재(100)는 일면이 상기 상판(200)이 수납되도록 안쪽으로 파여진 수납부가 구비되고 상기 상판(200)의 제1홈부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상기 상판(200)을 상기 수납부에 수납하여 접착하되, 상기 제1홈부에 도포 된 접착제는 상기 제1홈부와 연통된 제2홈부로 유도되어 상기 접착제가 상기 상판의 상면에 퍼져 접착된다.Referring to FIG. 3 , the coupling member 100 is provided with a receiving portion on one side dug inward to accommodate the top plate 200, and after applying an adhesive to the first groove of the top plate 200, the top plate 200 is stored in the receiving part and adhered, but the adhesive applied to the first groove part is guided to the second groove part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groove part, and the adhesive spreads and adheres to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그리고 상기 누설 방지부(210)는 상기 제2홈부(230)를 따라 흐르는 접착제가 상면에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한다.Also, the leakage preventing part 210 prevents the adhesive flowing along the second groove part 230 from leaking from the upper surface.

또한 상기 결합부재(100)는 상면;과 하면;과 측면;으로 이루어지는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의 판재이되, 상기 하면의 안쪽에는 상기 수납부가 배치되며 상기 수납부는 상기 상판의 상면과 부착되는 안쪽상부면과 상기 상판의 측면 및 하면의 테두리와 부착되는 안쪽측면으로 형성되되, 상기 안쪽측면은 상기 안쪽상부면의 끝단에서 수직으로 절곡 된 제1절곡부(110)와 상기 제1절곡부의 끝단부가 내측방향을 향하도록 절곡 된 제2절곡부(120)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coupling member 100 is a plate member having a circular or polygonal shape consisting of an upper surface, a lower surface, and a side surface, and the receiving part is disposed inside the lower surface, and the receiving part is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and the inside upper surface. It is formed of an inner side surface attached to the edge of the side surface and lower surface of the top plate, and the inner side surface is a first bent part 110 bent vertically at the end of the inner upper surface and the end of the first bent part in an inward direction. It includes a second bent portion 120 bent toward the direction.

또한 상기 결합부재(100)는 상기 제1절곡부(110)가 상기 상판(200)의 측면에 맞닿고 상기 제2절곡부(120);가 상기 상판(200)의 하면 테두리부를 감싸도록 상판(200)에 결합한다.In addition, the coupling member 100 is a top plate such that the first bent part 11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top plate 200 and the second bent part 120 surrounds the edge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top plate 200 ( 200).

또한 상기 결합부재(100)의 하면에서부터 상기 제1절곡부(110) 끝단부까지의 길이(T1)는 상기 결합부재(100)의 누설 방지부(210) 끝단부에서부터 결합부재(100)의 하면까지의 길이(T2)와 일치하거나 더 크게 형성된다.In addition, the length T1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coupling member 100 to the end of the first bent portion 110 is from the end of the leakage preventing portion 210 of the coupling member 100 to the lower surface of the coupling member 100. It is formed equal to or larger than the length (T2) to.

첨부된 도 4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의 몸체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4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body portion of a mounting device for a portable terminal.

상기 도4를 참조하면 상기 몸체부(300);는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 된 깔대기 형상이되 상면은 개방되고 하면은 밀폐되어 상면으로부터 안쪽으로 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상면과 하면을 연결하는 측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Referring to FIG. 4, the body portion 300 has a funnel shape in which a predetermined space is formed therein, but the upper surface is open and the lower surface is sealed so that a space is formed from the upper surface to the inside, and the side surface connecting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It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또한 상기 몸체부(300)의 측면에는 수평으로 형성 된 다수개의 가이드라인(310)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의 측면은 상기 가이드라인을 기준으로 밑부분의 외주면이 윗부분에 내주면에 끼워져 접힐 수 있도록 형성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guide lines 310 formed horizontally are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body part 300, and the side surface of the body part is formed so tha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part can be folded by being inserted in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part based on the guide line. .

또한 서로 인접하게 배치 된 가이드라인(310) 사이에는 상기 몸체부가 가이드라인(310)을 따라 유연하게 접힐 수 있도록 오목하거나 볼록하게 형성되는 굴곡부(320);가 더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between the guide lines 310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a bent portion 320 formed to be concave or convex so that the body portion can be flexibly folded along the guide line 310; may be further provided.

또한 상기 몸체부(300) 상면의 크기는 상기 몸체부(300) 하면의 크기보다 크고 서로 평행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iz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300 is larger than the siz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300, characterized in that they are parallel to each other.

또한 상기 몸체부(300)는 탄성을 갖는 재질로써 상기 가이드라인을 따라 접히거나 펴짐에 따라 몸체부의 높이(H)가 변화하며 몸체부(300)의 상부에 결합 된 상기 상판(20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ody portion 300 is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and as the body portion 300 is folded or unfolded along the guideline, the height H of the body portion changes and the position of the top plate 200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300 is determined. can be adjusted

이때 상기 몸체부의 접이식 구조는 본 발명을 시행하는 자에게 공연히 알려진 기술로써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At this time, the folding structure of the body part is a technology openly known to those who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그리고 상기 몸체부(300)는 PVC, TPR, 고무 및 실리콘 및 그 밖의 재질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And the body part 300 may be made of any one of PVC, TPR, rubber, silicone, and other materials.

첨부된 도 5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것이다.Attached FIG. 5 illustrates a coupled state of a mounting device for a portable terminal.

도 5의 (a)를 참조하면 상기 상판(200)과 몸체부(300)는 제1결합수단(250)에 의해 끼움 결합되고 상기 몸체부(300)와 하판(400)은 제2결합수단(330)에 의해 끼움 결합 된다.Referring to (a) of FIG. 5, the upper plate 200 and the body part 300 are fitted and coupled by the first coupling means 250, and the body part 300 and the lower plate 400 are coupled by the second coupling means ( 330) are fitted together.

또한 상기 제1결합수단(250);은 상기 돌출부(240)의 측면부로부터 돌출 된 결합돌기(251);와 상기 몸체부;의 상단부에 형성 되고 상기 결합돌기(251)를 수용하는 결합공(252);을 포함하되 상기 결합돌기는 돌출부의 외주면을 따라 측면부에 하나이상 형성 된다.In addition, the first coupling means 250; is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coupling protrusion 251 protruding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protrusion 240 and the body portion, and the coupling hole 252 accommodating the coupling protrusion 251. ); including, but the coupling protrusion is formed at least one on the side portion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rotrusion.

또한 상기 결합돌기(251)가 A개 구비되었을 때, 상기 결합공(252)이 An개(n=자연수)가 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몸체부에 상판을 회전시켜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when A number of coupling protrusions 251 are provided, the number of coupling holes 252 is N (n = natural number) so that the top plate can be rotated and coupled to the body.

그리고 상기 제2결합수단(330)은 상기 몸체부(300)의 하면으로부터 돌출 된 제2결합돌기(331);와 상기 하판(400)의 중앙에 관통형성 되고 상기 제2결합돌기(331)를 수용하는 제2결합공을 포함한다.And the second coupling means 330 is formed through the center of the second coupling protrusion 331 protruding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300 and the lower plate 400, and the second coupling protrusion 331 It includes a second coupling hole for accommodating.

도 5의 (b)를참조하면 상기 상판(200)의 직경(W2)은 상기 몸체부(300)의 상부 외경(W3)보다 크고, 상기 돌출부(240)의 직경(W5)은 상기 몸체부(300)의 상부 내경(W4)보다 작다.Referring to (b) of FIG. 5, the diameter W2 of the top plate 200 is greater than the outer diameter W3 of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300, and the diameter W5 of the protrusion 240 is the body portion ( 300) is smaller than the upper inner diameter W4.

첨부된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Attached FIG. 6 illustrates the structure of a mounting device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상판은 상면;과 하면;과 측면;으로 이루어지는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의 판재이되, 상판(200)의 하면에서 수직으로 돌출된 돌출부(240);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재(100)는 일면에 상기 상판(200)이 수납되도록 안쪽으로 파여진 수납부가 구비되어 상기 수납부에 상기 상판이 수납된 상태로 끼움 결합 된다.Referring to FIG. 6, the upper plate is a circular or polygonal plate member consisting of an upper surface, a lower surface, and a side surface, and includes a protrusion 240 vertically protruding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200, and the coupling member 100 ) is provided with a receiving portion dug inward to accommodate the top plate 200 on one surface, and is fitted into the receiving portion in a state where the top plate is stored.

상기에서 수납부는 상기 상판의 상면과 부착되는 안쪽상부면과 상기 상판의 측면 및 하면의 테두리와 부착되는 안쪽측면으로 형성되되, 상기 안쪽측면은 상기 안쪽상부면의 끝단에서 수직으로 절곡 된 제1절곡부(110)와 상기 제1절곡부의 끝단부가 내측방향을 향하도록 절곡 된 제2절곡부(120)를 포함하되, 상기 제1절곡부(110)가 상기 상판(200)의 측면에 맞닿고 상기 제2절곡부(120);가 상기 상판(200)의 하면 테두리부를 감싸도록 상판(200)에 결합한다.In the above, the receiving part is formed of an inner upper surface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top plate and an inner surface attached to the rim of the side surface and lower surface of the top plate, and the inner surface is first bent vertically at the end of the inner upper surface. It includes a portion 110 and a second bent portion 120 bent so that the end of the first bent portion faces inward, wherein the first bent portion 110 abuts against the side surface of the top plate 200 and The second bent portion 120 is coupled to the top plate 200 so as to surround the bottom edge of the top plate 200 .

또한 상기 결합부재(100)와 상판(200)을 내려다보았을 때 상기 결합부재(100)의 직경(W1)은 상기 상판(200)의 직경(W2)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재(100)의 하면에서부터 상기 제1절곡부(110) 끝단부까지의 길이(T1)는 상기 결합부재(100)의 상면에서부터 결합부재(100)의 하면까지의 길이(T3)와 일치하거나 더 크게 형성된다.In addition, when looking down at the coupling member 100 and the top plate 200, the diameter W1 of the coupling member 100 is larger than the diameter W2 of the top plate 200,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coupling member 100 The length T1 from the first bent portion 110 to the end of the first bent portion 110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length T3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oupling member 100 to the lower surface of the coupling member 100.

첨부된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Attached FIG. 7 illustrates the structure of a mounting device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상판(200)은 상판의 상면 테두리부를 따라 수직으로 돌출된 체결돌기부(260);가 더 구비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Referring to FIG. 7 , the top plate 200 may further include fastening protrusions 260 protruding vertically along the rim of the upper surface of the top plate.

그리고 상기 수납부는 안쪽 상부면에 상기 체결돌기부(260)가 수용되는 체결홈(130);이 구비됨에 따라 상기 상판이 상기 수납부에 수납되었을 때, 상기 체결 돌기부가 상기 체결홈에 수용된다.Further, since the accommodating part has a fastening groove 130 accommodating the fastening protrusion 260 on an inner upper surface thereof, when the top plate is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part, the fastening protrusion is accommodated in the fastening groove.

첨부된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8 shows the structure of a mounting device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의(a)를 참조하면 상기 상판의 상면에는 장식부재(270)를 구비될 수 있되, 상기 장식부재의 크기는 상기 상판의 크기와 같거나 작고, 일면이 상기 상판의 상면과 맞닿도록 결합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Referring to (a) of FIG. 8, a decorative member 270 may be provided on the top surface of the top plate, but the size of the decorative member is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top plate, and one surface is coupled so as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top surface of the top plate. characterized by being

그리고 상기 결합부재(100)의 하면에서부터 상기 제1절곡부(110) 끝단부까지의 길이(T1)는 상기 결합부재(100)의 상면에서부터 결합부재(100)의 하면까지의 길이(T3)와 상기 장식부재의 두께(T4)의 합과 일치하거나 더 크게 형성된다.And the length T1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coupling member 100 to the end of the first bent portion 110 is the length T3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oupling member 100 to the lower surface of the coupling member 100 and It is formed equal to or larger than the sum of the thicknesses T4 of the decorative members.

상기에서 장식부재(270)는 상기 상판의 상면과 맞닿는 면의 반대 면에 그림 또는 사진, 크리스탈, 큐빅, 또는 금속으로 성형된 장식비즈(20), 거울 중 하나이상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bove, the decorative member 270 is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of a picture or photo, decorative beads 20 formed of crystal, cubic or metal, and a mirror is formed on the surface opposite to th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top plate.

도 8의(b)를 참조하면 또한 상기 상판(200)은 상면에 교통카드 기능을 위한 평판 형태의 칩부재(280);가 결합 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Referring to (b) of FIG. 8, the top plate 200 is also characterized in that a chip member 280 in the form of a flat plate for a transportation card function can be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그리고 상기 결합부재(100)의 하면에서부터 상기 제1절곡부(110) 끝단부까지의 길이(T1)는 상기 결합부재(100)의 상면에서부터 결합부재(100)의 하면까지의 길이(T3)와 상기 칩부재의 두께(T5)의 합과 일치하거나 더 크게 형성된다.And the length T1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coupling member 100 to the end of the first bent portion 110 is the length T3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oupling member 100 to the lower surface of the coupling member 100 and It is formed equal to or larger than the sum of the thicknesses T5 of the chip member.

본 발명의 구조에 의하면 상기 상판의 상면에 칩 부재가 결합되었을 때 상기 상판에 끼움 결합되는 결합부재(100)가 상판의 상면에 결합 된 칩 부재를 보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hip member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the coupling member 100 fitted to the upper plate can protect the chip member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through specific examples, this is for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with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t is clear that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are possible.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All simple modifications or changes of the present invention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pecific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clarified by the appended claims.

100 결합부재 110 제1절곡부
120 제2절곡부 130 체결홈
200 상판 210 누설 방지부
220 제1홈부 230 제2홈부
240 돌출부 250 제1결합수단
251 결합돌기 252 결합공
260 체결돌기부 270 장식부재
280 칩부재 300 몸체부
310 가이드라인 320 굴곡부
330 제2결합수단 331 제2결합돌기
332 제2결합공 400 하판
100 coupling member 110 first bent portion
120 second bent part 130 fastening groove
200 Upper plate 210 Leak prevention part
220 first groove 230 second groove
240 protrusion 250 first coupling means
251 coupling protrusion 252 coupling hole
260 fastening protrusion 270 decorative member
280 chip member 300 body
310 Guideline 320 Bend
330 second coupling means 331 second coupling protrusion
332 second coupling hole 400 lower plate

Claims (17)

상판;
상기 상판의 상면을 커버하도록 상기 상판과 결합되는 결합부재;
상기 결합부재 및 상기 상판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재와 상기 상판 사이에 도포된 접착제의 흐름을 유도하는 홈;
상기 상판의 상면 테두리부를 따라 돌출되어 상기 접착제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누설 방지부;
상기 상판과 결합되어 신장 및 압축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와 일측에서 결합되어 타측에서 모바일단말기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판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
top plate;
a coupling member coupled to the top plate to cover an upper surface of the top plate;
a groove formed between the coupling member and the top plate to guide the flow of the adhesive applied between the coupling member and the top plate;
a leak prevention unit that protrudes along the edg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top plate to prevent leakage of the adhesive;
a body portion that is coupled to the upper plate and is stretched and compressed; and
A device for holding a portable terminal including a lower plate coupled to the body at one side and detachably coupled to the mobile terminal at the other si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상판을 수납 가능하도록 안쪽으로 파여진 수납부를 구비하고,
상기 상판은,
상기 수납부에 수납된 상태로 상기 결합부재와 끼움 결합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coupling member has a storage portion dug inward to accommodate the top plate,
The top plate,
A holding device for a portable terminal, which is fitted and coupled to the coupling member in a state accommodated in the storage uni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는,
상기 상판의 상면과 대향되는 안쪽상부면, 및 상기 상판의 측면 및 하면과 대향되는 안쪽측면을 가지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storage unit,
A mounting device for a portable terminal having an inner upper surface facing the upper surface of the top plate and an inner side surface facing the side and lower surfaces of the top plat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안쪽측면은,
상기 안쪽상부면의 끝단에서 하향 절곡된 제1절곡부; 및
상기 제1절곡부의 끝단부에서 내측방으로 절곡된 제2절곡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
According to claim 3,
The inner side,
a first bent portion bent downward at an end of the inner upper surface; and
A holding device for a portable terminal comprising a second bent portion bent inwardly from an end of the first bent portio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제1절곡부가 상기 상판의 측면을 커버하고 상기 제2절곡부가 상기 상판의 하면 테두리부를 커버하면서 상기 상판과 결합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
According to claim 4,
The coupling member is
Wherein the first bent portion covers the side surface of the top plate and the second bent portion is combined with the top plate while covering an edge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top plat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부재는,
상기 안쪽상부면가 상기 누설 방지부의 상면을 커버하고 상기 제1 절곡부가 상기 누설 방지부의 외측면를 커버하면서 상기 상판과 결합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
According to claim 4,
The coupling member,
The inner upper surface covers the upper surface of the leakage preventing part and the first bent part covers the outer surface of the leakage preventing part and is coupled to the top pl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탄성 재질로 형성되고 측면에 복수의 가이드라인이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라인을 따라 탄성적으로 접힘에 따라 압축 가능한 굴곡 구조를 가지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body part,
A mounting device for a portable terminal, which is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and has a plurality of guidelines formed on the side thereof, and has a bending structure capable of being compressed as it is elastically folded along the guideli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은, 하면에 돌출부가 돌출되고,
상기 몸체부는, 상측으로 개방되고,
상기 상판은,
상기 돌출부가 상기 몸체부의 개방된 상측으로 수용됨에 따라 상기 몸체부와 결합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upper plate has a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lower surface,
The body portion is open upward,
The top plate,
The device for holding a portable terminal, wherein the protrusion is coupled to the body as it is accommodated in the open upper side of the body.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은, 상기 돌출부의 외주면에 결합돌기가 돌출되고,
상기 몸체부는, 상단부에 상기 결합돌기에 대응되게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상판은,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결합공에 수용됨에 따라 상기 몸체부와 끼움 결합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
According to claim 8,
In the upper plate, coupling protrusions protrude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rotruding portion,
The body portion, an engaging hole is formed at the upper end to correspond to the engaging protrusion,
The top plate,
As the coupling protrusion is accommodated in the coupling hole, the mounting device for a portable terminal is fitted and coupled to the body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하측에 제2결합돌기가 돌출되고,
상기 하판은, 상측에 상기 제2결합돌기에 대응되게 제2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는,
상기 제2 결합돌기가 상기 제2 결합공에 수용됨에 따라 상기 하판과 끼움 결합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body portion, a second coupling protrusion protrudes on the lower side,
The lower plate has a second coupling hole formed on the upper side to correspond to the second coupling protrusion,
The body part,
As the second coupling protrusion is accommodated in the second coupling hole, the lower plate is fitted and coupled to the mounting device for a portable terminal.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90154881A 2019-07-02 2019-11-27 Mounting device for mobile terminals KR102465925B1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4881A KR102465925B1 (en) 2019-07-02 2019-11-27 Mounting device for mobile terminals
KR1020210010933A KR102346510B1 (en) 2019-11-27 2021-01-26 Mounting device for mobile terminals
KR1020210010942A KR102346514B1 (en) 2019-11-27 2021-01-26 Mounting device for mobile terminal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9682A KR102053742B1 (en) 2019-07-02 2019-07-02 Mounting device for mobile terminals
KR1020190154881A KR102465925B1 (en) 2019-07-02 2019-11-27 Mounting device for mobile terminals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9682A Division KR102053742B1 (en) 2019-07-02 2019-07-02 Mounting device for mobile terminals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0933A Division KR102346510B1 (en) 2019-11-27 2021-01-26 Mounting device for mobile terminals
KR1020210010942A Division KR102346514B1 (en) 2019-11-27 2021-01-26 Mounting device for mobile terminal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3651A KR20210003651A (en) 2021-01-12
KR102465925B1 true KR102465925B1 (en) 2022-11-11

Family

ID=84043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4881A KR102465925B1 (en) 2019-07-02 2019-11-27 Mounting device for mobile terminal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5925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5820B1 (en) 2017-11-24 2018-08-06 주식회사 마이팝 Holder for mobile device
KR101891667B1 (en) 2017-09-29 2018-08-24 주식회사 아이버스터 Mounting device for portable terminal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3328A (en) * 2017-08-01 2019-02-11 김기현 Phone Cradl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1667B1 (en) 2017-09-29 2018-08-24 주식회사 아이버스터 Mounting device for portable terminals
KR101885820B1 (en) 2017-11-24 2018-08-06 주식회사 마이팝 Holder for mobile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3651A (en) 2021-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99873B2 (en) Protective case for foldable image display apparatus
KR101001752B1 (en) Protector device for smart phone
KR101394285B1 (en) Connecting device opening and shutting front cover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case thereof
KR100988204B1 (en) Case for bar type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0466058Y1 (en) Cover Case For Portable Divice Having Support Function
US20130299533A1 (en) Spring loaded holster for electronic device
KR101422194B1 (en) Protection Case for Mobile Terminal
US20160051021A1 (en) Protective Jacket of Electronic Product
KR200460676Y1 (en) The fixing band can be catched easy the cellular phone
KR102053742B1 (en) Mounting device for mobile terminals
KR102346510B1 (en) Mounting device for mobile terminals
KR102346514B1 (en) Mounting device for mobile terminals
KR102465925B1 (en) Mounting device for mobile terminals
US20160254835A1 (en) Integrated screen and perimeter protector for an electronic device
KR101348712B1 (en) Protective case for mobile devices
CN106690725A (en) Protective sleeve for electronic device
KR101423640B1 (en) Protection Case for Mobile Terminal
KR200444219Y1 (en) Mobile device case with sliding member
KR101488107B1 (en) Mobile phone case card holder
KR20130133627A (en) Stand for portable telephone
KR20160010778A (en) Mobile Terminal Protection Case With Wallet
TWI446778B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1491077B1 (en) Case for mobile smart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120002633U (en) Cases can be stowed pen touch screen mobile phone
KR20160003392A (en) Holder for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case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