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5860B1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5860B1
KR102465860B1 KR1020150186061A KR20150186061A KR102465860B1 KR 102465860 B1 KR102465860 B1 KR 102465860B1 KR 1020150186061 A KR1020150186061 A KR 1020150186061A KR 20150186061 A KR20150186061 A KR 20150186061A KR 102465860 B1 KR102465860 B1 KR 1024658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blade
outlet
transported
bu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60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76152A (ko
Inventor
이재진
정진
장도윤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860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5860B1/ko
Priority to EP16204171.9A priority patent/EP3184941B1/en
Priority to US15/390,458 priority patent/US10393421B2/en
Priority to CN201611215045.6A priority patent/CN106918176B/zh
Publication of KR201700761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61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58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58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18Storing ice
    • F25C5/182Ice bin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2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 F25C5/04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without the use of saws
    • F25C5/046Ice-crusher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22Feed or discharge means
    • B02C18/2225Feed means
    • B02C18/2258Feed means of screw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24Dri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25C1/24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for refrigerators, e.g. freezing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20Distributing 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20Distributing ice
    • F25C5/22Distributing ice particularly adapted for household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25D11/02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with cooling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C2500/02Geometry probl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제빙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는 아이스 버킷에 저장된 얼음을 상측으로 이송시키는 이송 장치를 포함한다. 이송 장치는 얼음을 전방으로 이송시키는 오거와 얼음을 분쇄할 수 있으며 얼음을 상측으로 이송시키는 블레이드 유닛을 포함하여 얼음을 용이하게 상측으로 이송시켜 디스펜서 측으로 얼음을 이송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펜서를 아이스 버킷보다 상측에 배치할 수 있어 아이스 버킷이 본체의 중간에 위치하여도 사용자가 용이하게 얼음을 취출할 수 있다.

Description

냉장고{ICE MAK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아이스를 제조하는 제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는 저장실을 갖는 본체와, 상기 저장실을 냉기를 공급하는 냉기 공급 시스템을 구비하여 식품을 신선하게 보관하는 기기이다. 저장실은 대략 섭씨 0 ~ 5 도로 유지되어 식품을 냉장 보관하는 냉장실과, 대략 섭씨 0 ~ 영하 30도로 유지되어 식품을 냉동 보관하는 냉동실을 포함한다.
냉장고는 냉장실과 냉동실의 위치에 따라, 냉동실이 하부에 위치되고 냉장실이 상부에 위치되는 BMF(Bottom Mounted Freezer) 형 냉장고와, 냉동실이 상부에 위치되고 냉장실이 하부에 위치되는 TMF(Top Mounted Freezer) 형 냉장고와, 냉동실과 냉장실이 좌우 방향으로 나란하게 위치되는 SBS(Side By Side) 형 냉장고로 구분될 수 있다. 나아가, 도어의 개수에 따라 2 도어 냉장고, 3 도어 냉장고, 4 도어 냉장고 등으로 구분될 수도 있다.
냉장고에는 얼음을 생성하는 제빙 장치와, 제빙 장치에서 제조된 얼음을 본체의 외부로 제공하는 디스펜서가 구비되기도 한다.
특히, BMF 형 냉장고에 제빙 장치 및 디스펜서가 구비되는 경우에, 일반적으로 냉장실의 상측 코너에 냉장실과 구획되게 제빙실이 마련되고, 이 제빙실에 제빙 장치가 배치된다. 이러한 배치 구조에 의해 냉장실의 형태가 정육면체 형상이 되지 못하고 공간 활용성이 저해되고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제빙실이 냉동실에 마련되는 경우, 제빙실에서 생성된 얼음을 제공하기 위한 디스펜서가 낮은 위치에 마련되게 되어 사용자가 사용에 불편을 느낄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식품을 저장할 수 있는 저장 공간 및 그 활용성이 증대된 냉장고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아이스버킷에 있는 얼음을 아이스버킷보다 상측에 위치하는 디스펜서 측으로 용이하게 이동시키는 이송장치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제빙 장치는 얼음을 생성하는 제빙 유닛과 상기 제빙 유닛에서 생성되는 얼음을 저장하도록 상기 제빙 유닛 하측에 배치되는 아이스 버킷과 상기 아이스 버킷에 저장된 얼음을 상기 아이스 버킷 외측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장치는 상기 아이스 버킷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회전축 방향으로 얼음을 이송시키는 제 1이송장치와, 상기 제 1이송장치에 의해 이송된 얼음을 회전에 의해 분쇄시킬 수 있는 블레이드를 가지고, 상기 블레이드의 회전에 의해 얼음이 상기 아이스 버킷 상측으로 이송하는 제 2이송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1이송장치와 상기 제 2이송장치는 각각 다른 방향으로 향하는 회전축을 가지고 각각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는 얼음이 상기 블레이드와 함께 회전되어 상기 아이스 버킷 상측으로 이송되도록 얼음이 안착되는 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착부는 상기 블레이드의 일측단 및 타측단에 각각 배치된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는 얼음이 상기 일측단의 안착부에 안착되어 상측으로 이송되도록 일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고, 얼음이 상기 타측단의 안착부에 안착되어 상측으로 이송되도록 반대 방향으로도 회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아이스 버킷의 상하방향에 대해, 상기 블레이드가 회전하는 방향과 상기 제 1이송장치의 회전축이 배치되는 방향이 이루는 각도는 20도에서 50도 사이다.
또한 상기 제 2이송장치는 상기 제 1이송장치에 대해 상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된다.
또한 상기 이송장치는, 1차적으로 상기 아이스 버킷에 저장된 얼음을 수평 방향으로 이송시키고, 2차적으로 얼음을 경사지게 상향 이송시켜 얼음이 저장된 상태보다 상측에 위치하도록 이송시킨다.
또한 상기 1이송장치는 상기 제 1이송장치를 회전시키는 제 1구동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 2이송장치는 상기 제 2이송장치를 회전시키는 제 2구동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 1,2구동모터는 독립적으로 구동된다.
또한 상기 제 2이송장치는, 상기 블레이드를 감싸고, 상기 제 1이송장치에 의해 이송된 얼음이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보다 높은 위치에 마련되고 이송된 얼음이 배출되는 배출구를 포함하는 케이스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2이송장치는, 상기 반대 방향으로 이송되는 얼음을 분쇄하도록 상기 블레이드의 반대 방향 회전 경로 상에 배치되는 고정 블레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반대 방향으로 이송된 얼음은 분쇄된 상태로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는, 분쇄된 얼음의 일부가 상기 배출구에 도달되기 전에 낙하하여 배출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반대 방향 회전 경로 상에 낙하되는 얼음이 배출되도록 마련되는 보조 배출구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의 회전축에는 상기 배출구 측으로 경사지는 테이퍼 형상의 허브가 마련된다.
또한 상기 허브는 상기 배출구 측까지 이송된 얼음이 상기 배출구로 배출되는 것을 가이드 하도록 상기 배출구 측으로 경사지게 마련되는 가이드면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얼음이 상기 일 방향 또는 반대 방향을 따라 상측으로 이송되는 것을 가이드하는 곡면을 가지고 상기 유입구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상승 가이드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아이스 버킷에 저장된 얼음을 상측으로 들어 올려 얼음이 상기 제 1이송장치에 의해 이송되도록 상기 아이스 버킷의 내측 하단에 배치되는 아이스 리프팅 장치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아이스 리프팅 장치는 저장된 얼음을 지지하는 리프팅 플레이트와 상기 리프팅 플레이트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리프팅 플레이트가 상하방향으로 승강되도록 상기 리프팅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리프팅 플레이트 하측으로 얼음이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리프팅 플레이트의 외곽측에는 상측으로 돌출되는 낙하방지 돌기가 마련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냉장고는 전방에 개구를 포함하는 본체와 상기 개구를 개폐하고 디스펜서를 포함하는 도어와 상기 본체 내측에 마련되는 제빙 유닛과 상기 제빙 유닛에서 생성되는 얼음을 저장하는 아이스 버킷과 상기 아이스 버킷에 저장된 얼음을 상기 디스펜서 측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장치는, 상기 아이스 버킷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저장된 얼음을 회전축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오거와 상기 오거에 의해 이송된 얼음을 회전을 통해 상기 디스펜서 측으로 이송시키도록 상기 오거와 상기 디스펜서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블레이드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오거와 상기 블레이드 유닛은 서로 다른 회전축을 가지도록 배치된다.
또한 상기 오거는 회전하는 방향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얼음을 이송시키고, 상기 블레이드 유닛은 회전하는 방향으로 얼음을 이송시킨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 유닛은 상기 오거의 회전축에 대해 상측으로 20도 내지 50도 각도를 가지고 경사지게 배치된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 유닛은 얼음이 안착되어 얼음과 함께 회전하는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아이스 버킷에 저장된 얼음을 상측으로 이송시키도록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아이스 버킷에 대해 하측에서 상측 방향으로 회전한다.
또한 상기 오거는 상기 오거를 회전시키는 제 1구동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블레이드 유닛은 상기 제 블레이드 유닛을 회전시키는 제 2구동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 1,2구동모터는 독립적으로 구동된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 유닛은, 상기 블레이드를 내측에 배치시키고, 상기 오거에 의해 이송된 얼음이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보다 높은 위치에 마련되고 얼음이 배출되는 배출구를 가지는 케이스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디스펜서는 상기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얼음이 상기 디스펜서로 유입되기 위해 마련되는 개구 형상의 취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블레이드 유닛은 상기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얼음이 상기 취출구로 슬라이딩되도록 상기 배출구와 상기 취출구를 연결하는 슬라이딩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부는 상기 취출구와 접하는 측에 배치되고 회동을 통해 상기 슬라이딩부를 개폐하는 개폐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펜서는 상기 개폐부재를 가압하여 상기 개폐부재가 회동하도록상기 도어 저면측에서 상기 개폐부재 측으로 돌출되는 개폐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도어가 닫힐 시 상기 개폐돌기는 상기 개폐부재를 가압하여 상기 개폐돌기를 회동시켜 상기 슬라이딩부를 개방시킨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냉장고는 전방에 개구를 포함하는 본체와 상기 개구를 개폐하고 디스펜서를 포함하는 도어와 상기 본체 내측에 마련되는 제빙 유닛과 상기 제빙 유닛에서 생성되는 얼음을 저장하는 아이스 버킷과 상기 아이스 버킷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아이스 버킷에 저장된 얼음을 회전을 통해 전방 측으로 이송시키는 제 1이송장치와 상기 제 1이송장치에 의해 이송된 얼음을 상기 디스펜서로 이송하도록 상기 제 1이송장치와 상기 디스펜서 사이에 배치되는 제 2이송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 2이송장치는, 상기 아이스 버킷에 저장된 얼음을 상측으로 이송하도록, 상기 제 1이송장치에 대해 상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블레이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는 일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고, 얼음은 상기 블레이드의 회전과 함께 회전되어 상측으로 이송된다.
또한 상기 제 2이송장치는, 상기 제 1이송장치에 의해 이송된 얼음이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보다 높은 위치에 마련되고 얼음이 배출되는 배출구를 가지고 상기 블레이드를 커버하는 케이스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일 방향을 따라 상측으로 이송되는 얼음은 배출구 측까지 이송되어 배출되고, 상기 반대 방향을 따라 상측으로 이송되는 얼음은 이송되는 얼음을 분쇄하도록 상기 반대 방향 경로 상에 배치되는 고정 블레이드에 의해 분쇄된 상태로 상기 배출구 측까지 이송되어 배출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는, 분쇄된 얼음의 일부가 상기 배출구에 도달되기 전에 낙하하여 배출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반대 방향 회전 경로 상에 낙하되는 얼음이 배출되도록 마련되는 보조 배출구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의 회전축에는 상기 배출구 측으로 경사지는 테이퍼 형상의 허브가 마련되고, 상기 허브는 상기 배출구 측까지 이송된 얼음이 상기 배출구로 배출되는 것을 가이드 하도록 상기 배출구 측으로 경사지게 마련되는 가이드면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본체의 중간에 위치한 아이스버킷보다 적어도 일부가 상측에 위치하는 디스펜서에 아이스를 공급하도록 마련되는 이송장치에 의해 아이스버킷이 본체의 중간에 위치하여도 얼음을 상측으로 이송시켜 사용자가 용이하게 얼음을 취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냉장고의 전면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의 냉장고의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빙 장치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제빙 장치의 일측을 절개한 상태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6은 도 4의 제빙 장치의 측단면도.
도 7은 도 6의 일부를 확대한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빙 장치의 블레이드 유닛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빙 장치의 블레이드 유닛의 전면부의 정면도.
도 10은 도2의 일부 부분을 확대한 확대도.
도 11은 도 3의 일부 부분을 확대한 확대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측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빙 장치의 측면을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빙 장치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측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빙 장치의 측면을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 또는 변형예들도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으며, 각 도면은 본 발명의 용이한 이해를 돕도록 확대하거나 다소 과장하여 도시된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별도로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다만, 본 명세서에서 별도로 명명한 용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용어를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나,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이해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또는 명확히 하나라고만 표시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구성 요소, 특징, 숫자, 단계, 동작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구성 용소, 특징, 숫자, 단계, 동작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단순히 "전방에", "후방에, "상측에", "하측에", "좌측에" 또는 "우측에" 라고 표현하는 경우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바로 "전방에", "후방에, "상측에", "하측에", "좌측에" 또는 "우측에"마련되는 경우를 지칭할 뿐만 아니라 이들 구성 요소들 사이에 제3의 다른 구성 요소가 개재되는 경우를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일반적으로 이하에서 "전방", "후방"으로 기재되는 경우 도 1에 도시된 냉장고를 기준으로 냉장고의 도어가 배치되는 앞 측을 "전방"반대 측을 "후방"으로 기준하여 기재한다.
또한 이하에서 "상측", "하측"으로 기재되는 경우 역시 도 1에 도시된 냉장고를 기준으로 위 측을 "상측" 아래 측을 "하측"으로 기준하여 기재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 장치는 냉장고뿐만 아니라 얼음을 생성하는 모든 기기에 적용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냉장고에 마련되는 제빙 장치에 대하여만 설명하고 다른 기기에 적용되는 제빙 장치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냉장고의 전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냉장고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냉장고(1)는 본체(10)와, 식품을 저장하도록 본체(10)의 내부에 형성되는 저장실(30,31,32,33,34,35,36)과, 저장실(30,31,32,33,34,35,36)에 냉기를 공급하는 냉기 공급 시스템(미도시)과, 저장실(30,31,32,33,34,35,36)을 개폐하는 도어(40,41,42,43)를 포함한다.
저장실(30,31,32,33,34,35,36)은 상실(30)과, 하실(31,32)과, 상실(30)과 하실(31,32)의 사이에 형성되는 중간실(33)을 포함할 수 있다.
상실(30)은 식품을 냉장 보관하는 냉장실(30)일 수 있다. 냉장실(30)은 대략 섭씨 0 ~ 5 도로 유지되어 식품을 냉장 보관할 수 있다.
하실(31,32)은 식품을 냉동 보관하는 제1냉동실(31)과, 온도가 조절되는 제1변온실(32)을 가질 수 있다. 제1냉동실(31)은 대략 섭씨 0 ~ 영하 30도로 유지되어 식품을 냉동 보관할 수 있다.
제1변온실(32)은 냉장 온도와 냉동 온도 사이에서 온도가 조절될 수 있다. 냉장고(1)는 제1변온실(32)의 온도를 설정할 수 있는 온도 설정부(미도시)와, 제1변온실(32)에 공급하는 냉기의 양을 조절하는 냉기 조절부(미도시)와, 온도 설정부를 통해 설정된 온도에 따라 냉기 조절부를 제어하는 온도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온도 설정부는 미리 정해진 수 개의 온도 영역 중에 사용자가 하나를 선택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례로, 온도 설정부는 영하 23도 ~ 영하 17도의 냉동 온도 영역과, 영하 5도의 살얼음 온도 영역과, 영하 1도의 특선 온도 영역과, 영상 2도의 냉장 온도 영역의 4 개의 온도 영역 중에 하나의 온도 영역을 선택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온도 설정부는 상기 4 개의 온도 영역이 표시된 버튼을 가질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4 개의 버튼 중에 하나를 누르면 온도 제어부는 냉기 조절부를 제어하여 제1변온실(32)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냉기 조절부는 제1변온실(32)에 공급하는 냉기의 양을 조절하는 댐핑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와 달리 제1변온실(32) 대신에 냉동실이 마련될 수도 있다. 즉, 하실 전체가 냉동실로 구성될 수도 있다.
중간실(33)은 제빙실(34)과, 제2냉동실(35)과, 제2변온실(36)을 가질 수 있다. 제빙실(34)과 제2냉동실(35)과 제2변온실(36)은 좌우 방향으로 나란하게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빙실(34)과 제2변온실(36)은 중간벽(27)에 의해 서로 구획된다. 다만, 본 실시예와 다르게 제1중간벽(27)이 생략되고 제빙실(34)과 제2변온실(36)은 서로 구획되지 않을 수도 있다.
제빙실(34) 내부에는 제빙 장치(100)가 배치될 수 있다. 제빙실(34)은 얼음을 생성 및 보관할 수 있도록 영하의 온도로 유지될 수 있다. 제2냉동실(35)은 제1냉동실(31)과 마찬가지로 대략 섭씨 0 ~ 영하 30도로 유지되어 식품을 냉동 보관할 수 있다.
제2냉동실(35)은 제1냉동실(31)에 비해 상대적으로 소형이며 따라서 보조 냉동실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냉동실(31)은 하부 도어(42)에 의해 개폐되고, 제2냉동실(35)은 상부 도어(41)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출납 빈도가 적고 대형인 식품은 제1냉동실(31)에 보관하고, 상대적으로 출납빈도가 크고 소형인 식품인 식품은 제2냉동실(35)에 보관하여 관리 보관의 효율성을 제고하고 불필요한 냉기 유출을 최소화할 수 있다.
제2변온실(36)은 제1변온실(32)과 마찬가지로 냉장 온도와 냉동 온도 사이에서 온도가 조절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와 달리 제2변온실(35) 대신에 냉동실이 마련될 수도 있다. 즉, 중실(33)은 제빙실(34)과 냉동실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체(10)는 대략 박스 형상을 갖고, 전면이 개방되게 마련된다. 본체(10)는 내상(11)과, 내상(11)의 외측에 결합되는 외상(12)과, 내상(11)과 외상(12)의 사이에 마련되는 단열재(13)를 포함한다.
내상(11)은 수지 재질로 사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내상(11)은 내부에 전술한 냉장실(30)과, 제1냉동실(31)과, 제1변온실(32)과, 제빙실(34)과, 제2냉동실(35)과, 제2변온실(36)을 형성할 수 있다. 즉, 내상(11)은 각 저장실의 범위를 한정할 수 있다.
내상(11)과 외상(12)의 사이에는 단열재(13)가 마련될 수 있다. 단열재(13)로는 우레탄 폼 단열재(urethane foam insulation)이 사용되고, 필요에 따라 진공 단열재(vacuum insulation panel)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우레탄 폼 단열재는 내상(11)과 외상(12)이 결합된 후에 그 사이에 우레탄과 발포제가 혼합된 발포 우레탄을 충진하고 발포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발포 우레탄은 강한 접착력을 가져서 내상(11)과 외상(12)의 결합력을 강화시킬 수 있고, 발포가 완료되면 충분한 강도를 가질 수 있다.
내상(11)과 외상(12)의 사이에 발포 우레탄을 충진하고 발포시킴으로써 상부벽(20), 하부벽(21), 좌우측벽(미도시), 후벽(24), 제1구획벽(25), 제2구획벽(26), 중간벽(27)이 함께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구획벽(25)은 본체(10)의 내부 공간을 상하로 구획한다. 즉, 제1구획벽(25)은 냉장실(30)과 중간실(33)을 구획한다. 제2구획벽(26)은 본체(10)의 내부 공간을 상하로 구획한다. 즉, 제2구획벽(26)은 중간실(33)을 구획한다. 중간벽(27)은 중간실(33)을 좌우로 구획하고, 또한 하실(31,32)을 좌우로 구획한다.
각 저장실에는 식품을 올려 놓을 수 있는 선반(37)과, 식품을 밀폐 보관하는 밀폐 용기(38)와, 전후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드로어(39)가 마련될 수 있다.
저장실(30,31,32,33,34,35,36)을 개폐하는 도어(40,41,42,43)는 제1상부 도어(40)와, 제2상부 도어(41)와, 제1하부 도어(42)와, 제2하부 도어(43)의 4 도어로 구성될 수 있다. 각 도어(40,41,42,43)는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상부 도어(40)와, 제2상부 도어(41)는 각각 상부 힌지와 중간 힌지(15)에 의해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중간 힌지(15)는 제2구획벽(26)에 결합되어 제1상부 도어(40)와 제2상부 도어(41)를 지지할 수 있다. 제1상부 도어(40)와, 제2상부 도어(41)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며 개폐될 수 있다. 제1상부 도어(40)의 내측과 제2상부 도어(41)의 내측에는 각각 손잡이(40a,41a)가 마련될 수 있다.
제1상부 도어(40)와 제2상부 도어(41)는 냉장실(31)과 중간실(33)을 함께 개폐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상부 도어(40)는 냉장실(31)의 일부와, 제빙실(34)과, 제2냉동실(35)을 개폐할 수 있고, 제2상부 도어(41)는 냉장실(31)의 나머지 일부와, 제2변온실(36)을 개폐할 수 있다.
따라서, 제1상부 도어(40)를 개방하면 냉장실(31)과 제2냉동실(35)에 동시에 접근 가능할 수 있다. 제2상부 도어(41)를 개방하면 냉장실(31)과 제2변온실(36)에 동시에 접근 가능할 수 있다.
제1상부 도어(40)에는 제1상부 도어(40)와, 제2상부 도어(41)가 닫힌 상태에서 제1상부 도어(40)와 제2상부 도어(41)의 사이로 냉기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필러(48)가 마련될 수 있다.
상부 도어(40,41)의 배면에는 상부 도어(40,41)가 닫힌 상태에서 상부 도어(40,41)와 본체(10)의 사이로 냉기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실링 부재(45)가 마련될 수 있다. 실링 부재(45)는 고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1하부 도어(42)와, 제2하부 도어(43)는 각각 중간 힌지(15)와 하부 힌지에 의해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하부 도어(42)와, 제2하부 도어(43)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며 개폐될 수 있다. 제1하부 도어(42)의 내측과 제2하부 도어(43)의 내측에는 각각 손잡이(42a,43a)가 마련될 수 있다.
제1하부 도어(42)는 제1냉동실(31)을 개폐할 수 있다. 제2하부 도어(43)는 제1변온실(32)을 개폐할 수 있다.
냉장고(1)는 냉장실(30)에 저장된 물 또는 제빙실(34)의 아이스 버킷(81)에 저장된 얼음을 제공하는 디스펜서(50)를 포함한다. 사용자는 디스펜서(50)를 통해 상부 도어(40)를 열지 않고서도 물 또는 얼음을 제공받을 수 있다.
디스펜서(50)는 물이 토출되는 물 토출구(51a)와 얼음이 토출되는 얼음 토출구(51b)를 갖는 토출구(51)와, 물 또는 얼음을 받을 용기를 수용하는 디스펜싱 공간(53)과, 물 또는 얼음을 받을 용기를 지지하는 용기 지지대(54)와, 후술할 제빙 장치(100)의 배출구(412)에서 배출되는 얼음이 디스펜서(50)로 유입되어 얼음이 취출되도록 도어(40) 배면에 마련되는 취출구(56)와, 취출구(56)로 유입된 얼음을 얼음 토출구(51b)로 안내하는 슈트(52)와, 디스펜서(50)의 작동 명령을 입력 받고 동작 상태를 표시해 주는 조작 패널부(55)를 포함한다.
토출구(51)는 상부 도어(40)에 마련될 수 있다. 얼음 토출구(51b)는 대략적으로 아이스 버킷(81)의 바닥면의 높이 보다 같거나 높은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슈트(52)의 길이가 종래에 비해 축소될 수 있으며, 도어(40)의 배면에 보다 많은 식품 저장 공간이 발생할 수 있다.
디스펜싱 공간(53)은 상부 도어(40)와, 하부 도어(42)에 분할하여 형성될 수 있다. 즉, 디스펜싱 공간(53)은 상부 도어(40)의 전면 하단에 함몰 형성되는 제1디스펜싱 공간(53a)과, 하부 도어(42)의 전면 상단에 함몰 형성되는 제2디스펜싱 공간(53b)을 포함할 수 있다.
용기를 지지하는 용기 지지대(54)는 제2디스펜싱 공간(53b)의 하단에 마련될 수 있다. 즉, 용기 지지대(54)는 하부 도어(42)에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사용자가 물 또는 얼음을 더욱 편리한 자세로 받을 수 있으며, 사용할 수 있는 용기의 크기가 확대될 수 있다.
제빙실(34)에는 얼음을 생성하는 제빙 장치(100)가 마련된다. 제빙 장치(100)는 얼음을 생성하는 제빙 유닛(110)과 제빙 유닛(110)에서 생성된 얼음을 보관하는 아이스 버킷(120)이 배치될 수 있다. 제빙 유닛(110)은 물을 담는 제빙 트레이와, 제빙 트레이에서 생성된 얼음을 이빙시키기 위한 이젝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빙 유닛(110)은 제빙실(34)의 냉기에 의해 물을 얼리는 간접 냉각 방식 또는 제빙 트레이에 냉매관이 접촉하여 직접 냉각 에너지를 전달 받아 물을 얼리는 직접 냉각 방식으로 얼음을 생성할 수 있다. 제빙 장치(100)에 대하여는 이하에서 자세하게 설명한다.
냉기 공급 시스템은 냉동 사이클을 이용하여 냉기를 생성할 수 있다. 냉기 공급 시스템은 압축기(미도시)와, 응축기(미도시)와, 팽창 장치(미도시)와, 증발기(미도시)와, 송풍팬(미도시)과, 냉매가 순환하는 적어도 하나의 냉매 서킷을 포함할 수 있다.
압축기, 응축기, 팽창 장치, 증발기, 송풍팬의 개수 및 냉매 서킷의 형태에 한정은 없다.
일례로, 냉기 공급 시스템은 제1냉매 서킷과 제2냉매 서킷의 복수의 냉매 서킷을 가질 수 있다. 제1냉매 서킷에는 제1압축기와, 제1증발기와, 제1송풍팬이 마련될 수 있다. 제2냉매 서킷에는 제2압축기와, 제2증발기와, 제3증발기와, 제2송풍팬과, 제3송풍팬이 마련될 수 있다.
제1송풍팬은 제1증발기에서 생성된 냉기를 냉장실(30)에 공급할 수 있다. 제2송풍팬은 제2증발기에서 생성된 냉기를 제1냉동실(31)과, 제빙실(34)과, 제2냉동실(35)에 공급할 수 있다. 제3송풍팬은 제3증발기에서 생성된 냉기를 제1변온실(32)과 제2변온실(36)에 공급할 수 있다.
즉, 냉기 공급 시스템은 3 개의 파트에 독립적으로 냉기를 제공할 수 있으며, 상실인 냉장실(30)과, 중실 및 하실의 좌측 저장실인 제1냉동실(31)과 제빙실(34)과 제2냉동실(35)과, 중실 및 하실의 우측 저장실인 제1변온실(32)과 제2변온실(36)이 각각 독립적으로 냉각될 수 있다.
다만, 앞서 얘기한 바와 같이, 상기 냉기 공급 시스템은 하나의 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사상은 각 저장실에 냉기를 공급하는 냉기 공급 시스템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달리 냉장고(1)는 중간실(33)을 포함하지 않고 상실(31)과 하실(32)로만 저장실(30)이 분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빙 장치(100)는 냉동을 유지하는 하실(32)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빙 장치(100)가 하실(32)에 마련될 시, 하부 도어(42,43)에 의해 인입될 수 있다. 또한 디스펜서(50)의 얼음 토출구(51b)도 제빙 장치(100)에 대응되게 하부 도어(42,43) 측에 마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빙 장치(100)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빙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제빙 유닛의 일측을 절개한 상태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4의 제빙 장치의 측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일부를 확대한 확대도이다.
제빙 장치(100)는 상술한 바 있는 얼음을 생성하는 제빙 유닛(110)과 제빙 유닛(110)에서 생성된 얼음을 저장하는 아이스 버킷(120)과 아이스 버킷(120)에 저장된 얼음을 디스펜서(50) 측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
아이스 버킷(120)은 제빙 유닛(110)의 하측에 배치되어 이젝터를 통해 제빙 트레이에서 이탈되는 얼음을 저장하도록 제빙 유닛(11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아이스 버킷(120)은 상면이 개방된 박스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아이스 버킷(100)에는 얼음이 만빙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만빙 감지 장치(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아이스 버킷(120)는 제방실(34)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게 마련될 수 있다.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될수록 많은 양의 얼음을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빙실(34)의 전후 방향 일부에 걸쳐 연장될 수도 있고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빙실(34)의 전후 방향과 대응되는 길이로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송장치(200)는 아이스 버킷(120) 내측에 마련되어 아이스 버킷(120)에 저장된 얼음을 아이스 버킷(120) 외측으로 이동시키는 오거(300)와 오거(300)에 의해 이송된 얼음을 상측으로 이동시키는 블레이드 유닛(400)을 포함할 수 있다.
오거(300)는 아이스 버킷(120)의 전후 방향으로 수평되게 연장되는 오거 회전축(310)과 오거 회전축(310)에서 반경 방향으로 나선 형태로 돌출되는 나선 날개(320)와 오거 회전축(310)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 1구동모터(3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구동모터(330)가 구동되면 오거 회전축(310)과 나선 날개(320)가 회전하고, 나선 날개(320)는 얼음을 회전축(310)의 축 방향을 따라 이송시킬 수 있다. 즉, 오거(300)는 회전에 의해 아이스 버킷(120)에 저장된 얼음을 아이스 버킷(120)의 전방 측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오거(300)에 의해 아이스 버킷(120)의 전방측으로 이송된 얼음은 아이스 버킷(120) 전면측에 마련되는 개구를 통해 아이스 버킷(120) 외측으로 이송될 수 있다.
아이스 버킷(120) 전면측에 배치되는 개구는 후술할 블레이드 유닛(400)의 케이스(410)에 마련되는 유입구(411)와 연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할 때, 아이스 버킷(120)의 전면측과 케이스(410)의 일측은 접하게 마련되어 아이스 버킷(120)의 전면측에 마련되는 개구와 케이스(410)의 유입구(411)는 동일한 구성으로 마련될 수 있다.
즉, 유입구(411)는 케이스(410)와 아이스 버킷(120)이 연통되는 개구로 오거(300)에 의해 아이스 버킷(120)에서 이송된 얼음이 블레이드 유닛(400) 내측으로 유입되는 공간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아이스 버킷(120)과 케이스(410)는 이격 배치될 수 있으며, 이 때 아이스 버킷(120)의 전면측에 마련되는 개구와 유입구(411)는 별도의 구성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개구와 유입구(411)를 연결하는 통로가 별도로 배치될 수 있다.
블레이드 유닛(400)은 디스펜서(50)와 아이스 버킷(120) 사이에 배치되어 아이스 버킷(120)에서 이송된 얼음을 상측으로 이송하여 디스펜서(50) 측으로 얼음을 이송시킬 수 있다.
블레이드 유닛(400)은 케이스(410)와 케이스(410) 내측에 배치되고 얼음을 상측으로 이송시키고 이송되는 얼음의 일부를 분쇄시키는 블레이드(420)와 블레이드(420)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 2구동모터(430)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4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일측이 아이스 버킷(120)의 전면측과 접하여 케이스(410)의 내측과 아이스 버킷(120)의 내측이 연통되게 마련될 수 있다.
케이스(410)는 직육면체의 박스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아이스 버킷(120)의 상하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케이스(410)는 아이스 버킷(120)의 전면측에서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게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케이스(410)의 하측부는 아이스 버킷(120)과 접하게 마련되며 케이스(410)의 상측부는 아이스 버킷(120)과 이격되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다르게 말하자면, 케이스(410)는 상하방향으로 비스듬하게 배치되어 케이스(410)의 하측부는 아이스 버킷(120)과 인접하게 배치되고 케이스(410)의 상측부는 디스펜서(50)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케이스(4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하측부에 배치되는 유입구(411)를 포함하고 상측부에는 유입구(411)측으로 이송된 얼음이 상측으로 이송되어 디스펜서(50) 측으로 배출되는 배출구(4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얼음은 유입구(411)를 통해 상측으로 이송되어 배출구(412)를 통해 블레이드 유닛(400)에서 배출되고, 배출되는 얼음이 디스펜서(50)의 취출구(56)로 이송되도록 배출구(412)와 취출구(56) 사이에는 얼음이 이송되는 공간인 슬라이딩부(490)가 마련될 수 있다.
슬라이딩부(490)는 배출구(412)에서부터 취출구(56)까지 하향 경사지게 마련될 수 있어 배출구(412)에서 배출된 얼음이 슬라이딩 되어 취출구(56)로 이송될 수 있다.
케이스(410) 내측에는 회전을 통해 얼음을 상측으로 이송시키는 블레이드(420)가 마련될 수 있다. 블레이트(420)는 제 2구동모터(430)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는 블레이드 회전축(421)에서부터 블레이드 회전축(421)의 반경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게 마련될 수 있다.
블레이드(420)는 하나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블레이드 회전축(421)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얼음을 블레이드(420)가 회전되는 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블레이드(420)는 유입구(411) 측에서부터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배출구(412) 측까지 상향 회전되고 다시 배출구(412)를 지나 유입구(411) 측으로 하향 회전하여 일 회전될 수 있다.
즉, 블레이드(420)는 일 회전하는 동안 상향 회전 하향 회전이 모두 수반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블레이드(420)가 회전되는 방향이라 함은 블레이드(420)가 유입구(411) 측에서 배출구(412) 측으로 회전되는 방향인 상향 회전 방향만을 말하는 것으로 한다.
블레이드 회전축(421)은 블레이드(420)가 상측을 향해 회전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블레이드(420)는 아이스 버킷(120)의 전방 상측에 배치된 취출구(56)측으로 얼음을 이송할 수 있도록 전방 상측으로 경사지게 회전되어야 한다. 따라서 블레이드(420)는 전방 상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된 상태에서 회전되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 블레이드 회전축(421)은 블레이드(420)의 수직 방향인 전방 하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되게 배치될 수 있다.(도 7참조)
상술한 바와 같이 블레이드 회전축(421)이 전방 하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됨에 따라 블레이드(420)는 블레이드 회전축(421)에 수직 방향인 전방 상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되고 배치된 상태에서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블레이드(420)는 얼음과 함께 전방 상측으로 회전되어 얼음을 상측으로 이동시켜 디스펜서(50) 측으로 얼음을 이송시킬 수 있다.
자세하게는 블레이드(420)의 양측단에는 얼음이 안착될 수 있도록 블레이드(420)의 길이방향으로 마련되는 안착부(424,425)가 마련될 수 있고, 얼음이 안착부(424,425)에 안착되어 블레이드(420)와 함께 블레이드 회전축(421)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케이스(410)의 하측에 배치되는 유입구(411)로 이송된 얼음은 회전되는 블레이드(420)와 접하면서 안착부(424,425)에 일시적으로 안착되고 회전을 통해 케이스(410)의 상측으로 이송될 수 있다.
블레이드(420)가 유입구(411)측에서부터 상측을 향해 회전하는 동안은 얼음보다 하측에 배치되어 얼음이 자연스럽게 블레이드(420)에 안착되어 블레이드(420)의 회전과 함께 상측으로 회전될 수 있다.
다만, 블레이드(420)가 상측으로 회전하고 배출구(412) 측에 다다를 경우 계속되는 블레이드(420)의 회전으로 얼음과 블레이드(420)의 상하위치가 반전되며 이에 따라 얼음은 블레이드(420)로부터 이탈되어 하측으로 낙하될 수 있다. 낙하되는 얼음은 케이스(410)의 상측에 배치되는 배출구(412) 측으로 낙하되게 되어 케이스(410) 외측으로 배출될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블레이드(420)는 블레이드(420)가 회전되는 방향으로 얼음을 이송할 수 있는데, 블레이드(420)가 상측을 향하여 회전될 때 얼음이 블레이드(420)의 안착부(424,425)에 일시적으로 안착되어 상측으로 블레이드(420)와 함께 같이 회전될 수 있다.
이 후 블레이드(420)가 상측에 배치되는 배출구(412)측에 도달할 경우 얼음은 안착부(424,425)에서 이탈되고 하측으로 낙하되는데 이 때 얼음은 배출구(412)를 통과하여 블레이드 유닛(400) 외측으로 배출될 수 있다.
즉, 이송 장치(200)는 아이스 버킷(120)에 저장된 얼음을 1차적으로 오거(300)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2차적으로 블레이드 유닛(400)에 의해 상측 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얼음의 2차 이송 과정에서 블레이드(420)가 오거(330)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되는 각도에 따라 얼음이 상측으로 이송될 수 있는 높이가 정해질 수 있다. 블레이드(420)가 경사지게 배치되는 각도, 즉 블레이드(420)가 회전되는 방향과 오거 회전축(310) 또는 아이스 버킷(120)의 하측면과 이루는 각도(θ)에 따라 얼음이 상승하는 높이가 달라질 수 있다.
블레이드(420)의 회전 방향과 오거 회전축(310)이 이루는 각도(θ)가 클 경우 블레이드(420)의 회전 방향이 더 상측으로 향하여 얼음이 더 높게 이송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블레이드(420)의 회전 방향과 오거 회전축(310)이 이루는 각도(θ)를 조정하여 얼음을 다양한 위치로 상향 이송시킬 수 있다. 각도(θ)는 바람직하게 20도에서 50도 사이로 마련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각도(θ)가 높을수록 얼음이 상측으로 이송가능하나, 각도(θ)가 90도에 가까울 경우 배출구(412)와 인접하게 이송된 얼음이 배출구(412)를 통해 외측으로 낙하되지 못하고 다시 블레이드(420)의 하향 회전을 따라 케이스(410) 내측으로 낙하되어 얼음이 블레이드 유닛(400)에서 배출되지 못할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블레이드(420)의 회전을 따라 얼음이 용이하게 배출구(412)로 얼음이 낙하될 수 있도록 각도(θ)는 20도에서 50도 사이로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아이스 버킷(120)과 디스펜서(50)가 배치되는 높이 차이에 따라 각도(θ)는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아이스 버킷(120)과 디스펜서(50)가 배치되는 높이 차이가 클 경우 각도(θ)를 크게 하여 얼음을 좀 더 상측으로 이송시킬 수 있으며, 반대로 아이스 버킷(120)과 디스펜서(50)가 배치되는 높이 차이가 작을 경우 각도(θ)를 작게 하여 얼음을 상측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송장치(200)는 제 1이송장치로 볼 수 있는 오거(300)와 제 2이송장치로 볼 수 있는 블레이드 유닛(400)으로 분리되어 각각의 구동에 의해 얼음을 이송시킬 수 있다.
오거(300)와 블레이드 유닛(400)은 각각 별도의 회전축(310,421)을 포함하고, 각각의 회전축(310,421)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오거 회전축(310)은 아이스 버킷(120)의 전후 방향으로 수평되게 연장될 수 있고, 블레이드 회전축(421)은 아이스 버킷(120)의 상하 방향으로 전방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오거 회전축(310)과 블레이드 회전축(421)은 각각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 1구동모터(330)와 제 2구동모터(430)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따라서 오거(300)와 블레이드 유닛(400)은 서로 다른 구동장치에 의해 개별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또한 오거(300)는 오거 회전축(310)이 회전하는 방향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얼음을 이송시키는 반면 블레이드 유닛(400)은 블레이드(420)가 회전하는 방향으로 얼음을 이송시킬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설명하자면, 오거(300)는 오거 회전축(310)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얼음을 이송시키고, 블레이드 유닛(400)은 블레이드 회전축(421)의 반경 방향에서 블레이드(420)가 회전되는 방향으로 얼음을 이송시킬 수 있다.
종래의 이송장치의 경우 오거에 의해 얼음이 이송되며 얼음을 상측으로 이송할 경우 오거의 회전축을 전방측으로 상향되게 연장되게 하여 얼음을 상측으로 이송시킬 수 있었다.
이 때, 오거는 아이스 버킷 내측에 배치되고 단일개의 회전축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으로 마련되기에 제빙실 또는 아이스 버킷의 공간에 따라 얼음을 상측으로 이송시키는 높이의 제한이 발생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할 때, 오거(300)와 별도로 추가되는 블레이드 유닛(400)의 구성에 의해 좁은 공간에서도 회전축(310,421)을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어, 공간에 의해 얼음의 상승이 제한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블레이드 유닛(400)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빙 장치의 블레이드 유닛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빙 장치의 블레이드 유닛의 전면부의 정면도이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레이드 유닛(400)의 케이스(410) 내측에는 블레이드(420)와 블레이드 회전축(421)에 배출구(412) 측으로 경사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마련되는 허브(440)와(도 7 참고)와 블레이드(420)에 의해 이송되는 얼음을 분쇄하는 고정 블레이드(4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블레이드(420)는 회전하여 얼음을 상측으로 이송할 뿐만 아니라, 고정 블레이드(450)와 교차되면서 회전되어 얼음을 분쇄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블레이드(420)가 일 방향(R1)으로 회전할 경우 얼음은 블레이드(420)의 일측단에 마련되는 제 1안착부(424)에 안착되어 블레이드(420)와 함께 회전되어 배출구(412) 측까지 이송된 후 배출구(412)를 통해 블레이드 유닛(400) 외측으로 배출될 수 있다.
블레이드(420)가 반대 방향(R2)으로 회전할 경우 얼음은 블레이드(420)의 타측단에 마련되는 제 2안착부(425)에 안착되어 블레이드(420)와 함께 회전되는데 블레이드(420)의 반대 방향(R2) 회전 경로 상에는 고정 블레이드(450)가 배치되어 블레이드(420)와 함께 회전되는 얼음을 분쇄시킬 수 있다.
고정 블레이드(450)에 의해 분쇄된 얼음은 블레이드(420)의 제 2안착부(425)에 잔존하여 회전되다가 배출구(412) 측에서 배출될 수 있다.
블레이드(420)는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블레이드(420)는 블레이드 회전축(421)의 연장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고정 블레이드(450)는 단일개 또는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고정 블레이드(450)는 복수 개의 블레이드(4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고정 블레이드(450)는 블레이드 회전축(421)의 연장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블레이드(420)가 일 회전할 때에 고정 블레이드(450)와 교차되어도 회전에 제한을 받지 않고 회전할 수 있다.
고정 블레이드(450)는 블레이드(420)가 반대 방향(R2)으로 회전할 때, 유입구(411)에서부터 배출구(412)까지 상측으로 회전되는 회전 경로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블레이드(420)가 반대 방향(R2)으로 회전하여 얼음을 이송시키는 과정에서 얼음을 분쇄한 후 분쇄된 얼음을 배출구(412)로 배출하기 위함이다.
제 2구동 모터(430)는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따라 블레이드(420)를 일 방향(R1) 또는 반대 방향(R2)으로 회전되도록 회전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다.
디스펜서(50)로 분쇄되지 않는 얼음이 배출되는 정보가 제어부(미도시)에 입력될 경우 제 2구동 모터(430)는 블레이드(420)가 일 방향(R1)으로 회전되게 회전력을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입구(411)로 케이스(410) 내측으로 유입된 얼음은 블레이드(420)의 회전에 따라 제 1안착부(424)에 안착되어 일 방향(R1)으로 회전되어 배출구(412) 측으로 이송되고 배출구(412)를 통해 블레이드 유닛(400) 외측으로 배출될 수 있다.
디스펜서(50)로 분쇄된 얼음이 배출되는 정보가 제어부(미도시)에 입력될 경우 제 2구동 모터(430)는 블레이드(420)가 반대 방향(R2)으로 회전되게 회전력을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입구(411)로 케이스(410) 내측으로 유입된 얼음은 블레이드(420)의 회전에 따라 제 2안착부(425)에 안착되어 반대 방향(R2)으로 회전되어 배출구(412) 측으로 이송될 수 있다.
배출구(412) 측으로 회전되는 경로 상에는 고정 블레이드(450)가 배치되어 제 2안착부(425)에 안착된 얼음과 고정 블레이드(450)가 충돌하면서 얼음이 분쇄되고, 분쇄된 상태에서 블레이드(420)와 함께 반대 방향(R2)으로 계속 회전되어 배출구(412) 측까지 이송될 수 있다.
제 2안착부(425)는 얼음의 분쇄를 위해 뽀족한 요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고정 블레이드(450)의 제 2안착부(425)와 마주하는 측에도 얼음의 분쇄를 위해 뽀족한 요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410)의 상측부에는 얼음이 분쇄되면서 배출구(412)로 낙하되지 못하고 케이스(410) 내측으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보조 배출구(413)가 마련될 수 있다.
블레이드(420)가 고정 블레이드(450)와 교차되면서 얼음이 분쇄될 수 있는데 분쇄된 얼음은 제 2안착부(425)에 잔존하여 배출구(412)까지 이송될 수 있으나, 일부 분쇄된 얼음은 블레이드(420) 사이로 낙하되거나 분쇄되는 과정에서 제 2안착부(425)에서 이탈되어 케이스(410) 하측으로 낙하될 수 있다.
케이스(410) 내측으로 낙하되는 얼음이 쌓이게 될 경우 유입구(411) 측으로 유입되는 얼음의 경로를 제한할 수 있어 얼음의 이송을 방해할 수 있으며, 얼음이 계속 케이스(410) 내측에 잔존하여 위생상으로도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블레이드(420)의 반대 방향(R2) 회전경로 상에서 유입구(411)와 배출구(412) 사이에 보조 배출구(413)가 배치될 수 있다. 즉, 반대 방향(R2)을 경유하여 이송되는 얼음이 다시 상승했던 경로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반대 방향(R2)으로 회전되는 경로 사이에 보조 배출구(413)가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분쇄되는 과정에서 배출구(412)에 다다르지 못한 분쇄된 얼음이 보조 배출구(413) 측으로 낙하되어 케이스(410) 하측으로 낙하되지 않고 블레이드 유닛(400) 외측으로 배출될 수 있다.
케이스(410)의 하측부에는 유입구(411)를 통해 유입된 얼음이 상측으로 이송되도록 안착부(424,425)에 안착되는 것을 가이드하는 상승 가이드부(414)가 마련될 수 있다.
상승 가이드부(414)는 블레이드(420)의 회전 반경과 대응되는 오목한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승 가이드부(414)는 일 방향(R1) 또는 반대 방향(R2)으로 이송되는 얼음을 모두 가이드 하기 위해 케이스(410) 하측부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얼음은 유입구(411)를 통해 케이스(410) 내측으로 유입된 후 회전하는 블레이드(420)의 안착부(424,425)에 접하면서 안착부(424,425)에 안착되어 상측으로 이송되게 된다.
얼음이 안착부(424,425)에 안착될 때 유입구(411)와 인접한 측에서 얼음의 일측이 안착부(424,425)에 접하게 되고, 계속적인 블레이드(420)의 회전으로 블레이드(420)가 얼음이 접한 상태로 상승되고, 이 때 안착부(424,425)가 얼음의 하측을 지지하게 되면서 얼음이 블레이드(420)와 함께 상측으로 회전될 수 있다.
다만, 유입구(411)와 인접한 측에서 얼음의 타측이 지지되지 않을 경우, 얼음의 일측이 안착부(424,425)에 접한 상태로 블레이드(420)에 가압될 뿐, 블레이드(420)가 상승되는 과정에서 안착부(424,425)에서 이탈되어 블레이드(420)와 함께 상측으로 회전되지 못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유입구(411)와 인접한 측에 배치된 얼음의 일측이 안착부(424,425)와 접할 때 얼음의 타측이 상승 가이드부(414)에 지지되어 안정적으로 얼음이 안착부(424,425)에 안착될 수 있다. 또한 상승 가이드부(414)는 곡면으로 형성되어 얼음이 상측으로 이송되는 것을 용이하게 가이드 할 수 있다.
블레이드 회전축(421)에는 배출구(412) 측으로 경사지는 테이퍼 형상의 허브(440)가 마련될 수 있다. 허브(440)는 블레이드 회전축(421)을 따라 배출구(412)측으로 접근할수록 반경이 줄어드는 원형의 테이퍼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구(412) 측으로 이송된 얼음이 테이퍼 형상의 외주면을 따라 배출구(412)로 낙하될 수 있도록 얼음을 가이드할 수 있다.
허브(440)의 외주면은 얼을을 배출구(412)측으로 이송되는 것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면을 포함하여 상측으로 이송된 얼음이 배출구(412)로 낙하되지 않고 케이스(410) 내측으로 다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얼음이 블레이드(420)의 후방측에 안착되어 상측으로 이송되는 경우, 전방측에 마련되는 배출구(412)를 통해 블레이드 유닛(400) 외측으로 배출되지 못해 블레이드(420)의 회전에 따라 케이스(410) 하측으로 다시 이송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 때, 후방측에 안착된 얼음도 가이드 면의 경사에 의해 전방측으로 가이드되어 배출구(412)측으로 배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송 장치(200)에서 디스펜서(50)로 얼음이 이송되는 과정에 대하여 자세하게 서술한다.
도 10은 도2의 일부 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고, 도 11은 도 3의 일부 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상부 도어(40)의 배면에는 디스펜서(50)의 얼음 토출구(51b)와 연통되는 취출구(56)가 배치될 수 있다. 이송 장치(200)에 의해 아이스 버킷(120) 상측으로 이동된 얼음은 슬라이딩부(490)을 통해 취출구(56)로 유입되고 슈트(52)를 통과하여 얼음 토출구(51b)를 통해 최종적으로 냉장고(1)에서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슬라이딩부(490)의 개구에는 제 1상부 도어(40)가 개방될 시 슬라이딩부(490)를 폐쇄하고 제 1상부 도어(40)가 닫힐 시 슬라이딩부(490)와 취출구(56)가 연통되도록 슬라이딩부(490)를 개방하는 개폐부재(480)가 마련될 수 있다.
개폐 부재(480)는 슬라이딩부(490)의 개구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개폐 부재(480)의 상측부에는 회전힌지(481)가 마련되어 개폐 부재(480)가 회전힌지(481)를 회전축으로 회전될 수 있다.
취출구(56)의 상측부에는 제 1상부 도어(40)가 닫힐 시 개폐 부재(480)를 가압하도록 제 1상부 도어(40) 배면측으로 돌출되는 개폐 돌기(59)가 마련될 수 있다.
개폐 돌기(59)는 회전 힌지(481)보다 상측에 배치되고,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상부 도어(40)가 닫힐 시 개폐 부재(480)의 회전힌지(481)보다 상측을 가압하여 개폐 부재(480)가 회전되면서 개방되게 마련될 수 있다.
취출구(56)의 개구 둘레에는 둘레를 따라 오목하게 형성되는 장착 리세스가 마련되고, 슬라이딩부(490)의 개구에는 장착 리세스와 대응되게 돌출되는 장착부가 마련되어 제 1상부 도어(40)가 닫힐 시 슬라이딩부(490)의 개구와 취출구(56)가 밀폐될 수 있다.
제 1상부 도어(40)가 개방될 시, 개폐 돌기(59)가 개폐 부재(480)와 이격됨에 따라 개폐 부재(480)는 다시 회전되어 원 위치로 복귀하여 슬라이딩부(490)가 외기에 노출되지 않도록 슬라이딩부(490)의 개구를 폐쇄시킬 수 있다.(도 10참고)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 장치(100a)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구성 이 외의 구성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 장치(100)의 구성과 동일한 바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측단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빙 장치의 측면을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빙 장치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얼음의 저장용량이 큰 냉장고(1)가 마련될 수 있다. 이 때 제빙실(34a)의 높이를 본 발명의 일시예에 따른 제빙실(34)의 높이보다 높게 마련할 경우 제빙실(34a)의 저장용량이 증가하여 많은 양의 얼음을 저장할 수 있다.
제빙실(34a)의 높이가 높아짐에 따라 아이스 버킷(120a)의 상하 길이가 대응되게 증가될 수 있는데, 아이스 버킷(120a)의 상하 길이가 증가될 경우 아이스 버킷(120a)의 하면(121a)에 저장되는 얼음은 오거(300)가 회전되는 회전 반경 외측에 위치하게 되어 오거(300)에 의해 아이스 버킷(120a)의 전방측으로 이송되지 못하고 하면(121a)에 잔존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아이스 버킷(120a)의 하면(121a)에는 아이스 버킷(120a)에 저장된 얼음을 상측으로 들어 올리는 아이스 리프팅 장치(130)가 마련될 수 있다.
아이스 리프팅 장치(130)는 얼음을 들어 올리는 리프팅 플레이트(131)와, 리프팅 플레이트(131)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 부재(135)를 포함할 수 있다. 리프팅 플레이트(131)는 아이스 버킷(120a)의 일 지점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하면(121a)은 일측이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하면(121a)이 하측으로 경사지게 마련되는 만큼 아이스 버킷(120a)의 상하 방향 길이가 늘어나 아이스 버킷(120a)의 저장 용량이 증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하면(121a)이 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으며, 좌우측으로도 하향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내상(11)의 형상에 의해 형성되는 제빙실(34)의 공간 구조에 따라 대응되게 아이스 버킷(120a)이 마련될 수 있고, 제빙실(34)의 하측 공간에 경사가 마련되는 경우 이와 대응되는 경사로 하면(121a)이 마련될 수 있다.
리프팅 플레이트(131)는 경사지게 마련되는 하면(121a)의 상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리프팅 플레이트(131)는 하면(121a)의 상측을 회전축으로 회전하여 아이스 버킷(120a)의 하측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탄성부재(135)는 리프팅 플레이트(131) 하면에 배치되어 리프팅 플레이트(131)를 상하방향으로 탄성 지지할 수 있다.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얼음이 소량 저장되는 경우 리프팅 플레이트(131)는 탄성부재(135)에 지지되어 리프팅 플레이트가 상승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얼음이 대량으로 저장되는 경우 탄성부재(135)는 얼음의 무게에 의해 리프팅 플레이트(131)를 상측으로 지지하지 못하기 때문에 리프팅 플레이트(131)가 하강될 수 있다.
얼음이 대량으로 저장되는 경우 얼음이 아이스 버킷(120a)의 하면(121a)에 축척되어 쌓이는 바 리프팅 플레이트(131)가 하강되어도 얼음의 쌓이는 높이에 의해 오거(300)가 배치되는 측까지 얼음이 저장되어 오거(300)에 의해 얼음이 이송될 수 있다.
반대로 얼음이 소량으로 저장되는 경우 아이스 버킷(120a)의 하면(121a)에서부터 얼음이 쌓이는 경우 오거(300)가 배치되는 측까지 얼음이 저장되지 않아 오거(300)에 의해 얼음이 이송될 수 없다. 이에 따라 얼음을 오거(300)가 배치되는 측에 인접하게 저장시키기 위해 리프팅 플레이트(131)가 상승되게 배치될 수 있다.
리프팅 플레이트(131)의 테두리에는 테두리를 따라 상측으로 돌출되어 연장되는 낙하방지 돌기(132)가 마련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리프팅 플레이트(131)는 탄성부재에 지지되어 하면(121a)의 상측에서 상하 방향으로 지지된다.
얼음이 제빙기(110)에서 낙하됨에 따라 아이스 버킷(120a) 상에서 파손되어 부피가 작게 형성되는 얼음 조각들이 리프팅 플레이트(131) 상에 잔존할 수 있는데 얼음 조작들이 리프팅 플레이트(131)와 하면(121a) 사이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낙하방지 돌기(132)가 마련될 수 있다.
얼음 조각이 리프팅 플레이트(131) 하측으로 낙하될 경우, 리프팅 플레이트(131)의 승강 운동을 제한할 수 있으며 오랜 기간 하면(121a)에 적층될 경우 위생상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리프팅 플레이트(131)는 얼음의 무게에 따라 탄성부재(135)의 지지 하에상하 방향으로 승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평상 시에 아이스 버킷(120a)의 하면(121a)에 눕혀 있다가 별도의 구동 장치(미도시)에 의해 구동되어 하면(121a) 상측에 마련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전방측이 들어 올려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 장치(100b)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구성 이 외의 구성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 장치(100)의 구성과 동일한 바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얼음의 저장용량이 큰 냉장고(1)가 마련될 수 있다. 이 때 제빙실(34b)의 높이를 본 발명의 일시예에 따른 제빙실(34)의 높이보다 높게 마련할 경우 제빙실(34b)의 저장용량이 증가하여 많은 양의 얼음을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아이스 버킷(120b)의 상하 길이도 대응되게 증가할 수 있는데, 아이스 버킷(120b)의 저장공간의 깊이가 깊을 경우 아이스 버킷(120b) 내측에 저장되는 얼음을 상측으로 이송시키는데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오거(300b)가 전방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블레이드 유닛(420)으로 이송되는 얼음이 1차적으로 일정 높이 상측으로 이송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를 때, 제빙장치(100,100a)는 1차적으로 오거에 의해 얼음을 수평 방향으로 이송시킨 후 2차적으로 상측을 향해 얼음을 이송시켰는데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할 때, 1차적으로 오거(300b)에 의해 전방으로 얼음을 이송시킬 뿐만 아니라 1차 이송에서 소정의 높이로 얼음을 이송시켜 얼음을 보다 높은 높이로 이송시킬 수 있다.
즉, 오거 회전축(310b)이 전방으로 상향 경사지게 배치되어 얼음이 오거 회전축(310b)의 연장방향을 따라 상측으로 경사지게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제빙장치(100b)는 아이스 버킷(120b)에 저장된 얼음을 1차적으로전방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는 방향으로 이송한다. 이 후 2차적으로 블레이드 유닛(400)에 의해 얼음을 더 상향 방향으로 이송시키고 디스펜서(50) 측으로 얼음을 배출시킬 수 있다.
도 16a 및 도 1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이스 리프터(130)는 상승될 때 오거 회전축(310b)과 수평을 이루도록 전방으로 상향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얼음이 아이스 리프터(130)에 의해 상승될 때 오거 회전축(310b)가 인접하게 배치되어 오거(300b)을 따라 전방으로 이송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얼음의 저장량이 많아 아이스 리프터(130)가 하강될 때에는 하면(121b)과 대응되게 수평 방향으로 리프팅 플레이트(131)가 배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 냉장고 10 : 본체
11 : 내상 12 : 외상
13 : 단열재 30 : 냉장실
31 : 제1냉동실 32 : 제1변온실
33 : 중간실 34 : 제빙실
35 : 제2냉동실 36 : 제2변온실
37 : 선반 38 : 밀폐 용기
39 : 드로어 40 : 제1상부 도어
40a : 손잡이 41 : 제2상부 도어
41a : 손잡이 42 : 제1하부 도어
42a : 손잡이 43 : 제2하부 도어
43a : 손잡이 44 : 도어 가드
50 : 디스펜서 51 : 토출구
51a : 물 토출구 51b : 얼음 토출구
52 : 슈트 53 : 디스펜싱 공간
53a : 제1디스펜싱 공간 53b : 제2디스펜싱 공간
54 : 용기 지지대 55 : 조작 패널부
56 : 취출구 59 : 개폐 돌기
100 : 제빙 장치 110 : 제빙 유닛
120 : 아이스 버킷 121 : 하면
130 : 아이스 리프터 131 : 리프팅 플레이트
132 : 낙하 방지 돌기 135: 탄성부재
200 : 이송장치 300 : 오거
310 : 오거 회전축 320 : 나선날개
330 : 제 1구동모터 400 : 블레이트 유닛
410 : 케이스 411 : 유입구
412 : 배출구 413 : 보조 배출구
414 : 상승 가이드부 420 : 블레이드
421 : 블레이드 회전축 424: 제 1안착부
425 : 제 2안착부 430 : 제 2구동모터
440 : 허브 450 : 고정 블레이드
480 : 개폐부재 490 : 슬라이딩부

Claims (31)

  1. 얼음을 생성하는 제빙 유닛;
    상기 제빙 유닛에서 생성되는 얼음을 저장하도록 상기 제빙 유닛 하측에 배치되는 아이스 버킷;
    상기 아이스 버킷에 저장된 얼음을 상기 아이스 버킷 외측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장치는,
    상기 아이스 버킷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회전축 방향으로 얼음을 이송시키는 제 1이송장치와,
    상기 제 1이송장치에 의해 이송된 얼음을 회전에 의해 분쇄시킬 수 있는 블레이드를 가지고, 상기 블레이드의 회전에 의해 얼음이 상기 아이스 버킷 상측으로 이송하는 제 2이송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블레이드는 얼음이 상기 블레이드와 함께 회전되어 상기 아이스 버킷 상측으로 이송되도록 얼음이 안착되는 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착부는 상기 블레이드의 일측단 및 타측단에 각각 배치되는 제빙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이송장치와 상기 제 2이송장치는 각각 다른 방향으로 향하는 회전축을 가지고 각각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빙 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는 얼음이 상기 일측단의 안착부에 안착되어 상측으로 이송되도록 일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고, 얼음이 상기 타측단의 안착부에 안착되어 상측으로 이송되도록 반대 방향으로도 회전 가능한 제빙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스 버킷의 상하방향에 대해, 상기 블레이드가 회전하는 방향과 상기 제 1이송장치의 회전축이 배치되는 방향이 이루는 각도는 20도에서 50도 사이인 제빙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이송장치는 상기 제 1이송장치에 대해 상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제빙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장치는,
    1차적으로 상기 아이스 버킷에 저장된 얼음을 수평 방향으로 이송시키고, 2차적으로 얼음을 경사지게 상향 이송시켜 얼음이 저장된 상태보다 상측에 위치하도록 이송시키는 제빙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이송장치는 상기 제 1이송장치를 회전시키는 제 1구동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 2이송장치는 상기 제 2이송장치를 회전시키는 제 2구동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 1,2구동모터는 독립적으로 구동되는 제빙 장치.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이송장치는,
    상기 블레이드를 감싸고, 상기 제 1이송장치에 의해 이송된 얼음이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보다 높은 위치에 마련되고 이송된 얼음이 배출되는 배출구를 포함하는 케이스를 더 포함하는 제빙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이송장치는,
    상기 반대 방향으로 이송되는 얼음을 분쇄하도록 상기 블레이드의 반대 방향 회전 경로 상에 배치되는 고정 블레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반대 방향으로 이송된 얼음은 분쇄된 상태로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제빙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분쇄된 얼음의 일부가 상기 배출구에 도달되기 전에 낙하하여 배출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반대 방향 회전 경로 상에 낙하되는 얼음이 배출되도록 마련되는 보조 배출구를 더 포함하는 제빙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의 회전축에는 상기 배출구 측으로 경사지는 테이퍼 형상의 허브가 마련되는 제빙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는 상기 배출구 측까지 이송된 얼음이 상기 배출구로 배출되는 것을 가이드 하도록 상기 배출구 측으로 경사지게 마련되는 가이드면을 포함하는 제빙 장치.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얼음이 상기 일 방향 또는 반대 방향을 따라 상측으로 이송되는 것을 가이드하는 곡면을 가지고 상기 유입구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상승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제빙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스 버킷에 저장된 얼음을 상측으로 들어 올려 얼음이 상기 제 1이송장치에 의해 이송되도록 상기 아이스 버킷의 내측 하단에 배치되는 아이스 리프팅 장치를 더 포함하는 제빙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스 리프팅 장치는
    저장된 얼음을 지지하는 리프팅 플레이트와
    상기 리프팅 플레이트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리프팅 플레이트가 상하방향으로 승강되도록 상기 리프팅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제빙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 플레이트 하측으로 얼음이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리프팅 플레이트의 외곽측에는 상측으로 돌출되는 낙하방지 돌기가 마련되는 제빙 장치.
  18. 전방에 개구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개구를 개폐하고 디스펜서를 포함하는 도어;
    상기 본체 내측에 마련되는 제빙 유닛;
    상기 제빙 유닛에서 생성되는 얼음을 저장하는 아이스 버킷;
    상기 아이스 버킷에 저장된 얼음을 상기 디스펜서 측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장치는,
    상기 아이스 버킷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저장된 얼음을 회전축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오거와
    상기 오거에 의해 이송된 얼음을 회전을 통해 상기 디스펜서 측으로 이송시키도록 상기 오거와 상기 디스펜서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블레이드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오거와 상기 블레이드 유닛은 서로 다른 회전축을 가지도록 배치되고,
    상기 오거는 회전하는 방향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얼음을 이송시키고,
    상기 블레이드 유닛은 회전하는 방향으로 얼음을 이송시키는 냉장고.
  19. 삭제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 유닛은 상기 오거의 회전축에 대해 상측으로 20도 내지 50도 각도를 가지고 경사지게 배치되는 냉장고.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 유닛은
    얼음이 안착되어 얼음과 함께 회전하는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아이스 버킷에 저장된 얼음을 상측으로 이송시키도록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아이스 버킷에 대해 하측에서 상측 방향으로 회전하는 냉장고.
  22.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오거는 상기 오거를 회전시키는 제 1구동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블레이드 유닛은 상기 블레이드 유닛을 회전시키는 제 2구동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 1,2구동모터는 독립적으로 구동되는 냉장고.
  23. ◈청구항 2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 유닛은,
    상기 블레이드를 내측에 배치시키고, 상기 오거에 의해 이송된 얼음이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보다 높은 위치에 마련되고 얼음이 배출되는 배출구를 가지는 케이스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24. ◈청구항 2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펜서는 상기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얼음이 상기 디스펜서로 유입되기 위해 마련되는 개구 형상의 취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블레이드 유닛은 상기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얼음이 상기 취출구로 슬라이딩되도록 상기 배출구와 상기 취출구를 연결하는 슬라이딩부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25. ◈청구항 2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는 상기 취출구와 접하는 측에 배치되고 회동을 통해 상기 슬라이딩부를 개폐하는 개폐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펜서는 상기 개폐부재를 가압하여 상기 개폐부재가 회동하도록상기 도어 저면측에서 상기 개폐부재 측으로 돌출되는 개폐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도어가 닫힐 시 상기 개폐돌기는 상기 개폐부재를 가압하여 상기 개폐돌기를 회동시켜 상기 슬라이딩부를 개방시키는 냉장고.
  26. ◈청구항 2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전방에 개구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개구를 개폐하고 디스펜서를 포함하는 도어;
    상기 본체 내측에 마련되는 제빙 유닛;
    상기 제빙 유닛에서 생성되는 얼음을 저장하는 아이스 버킷;
    상기 아이스 버킷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아이스 버킷에 저장된 얼음을 회전을 통해 전방 측으로 이송시키는 제 1이송장치;
    상기 제 1이송장치에 의해 이송된 얼음을 상기 디스펜서로 이송하도록 상기 제 1이송장치와 상기 디스펜서 사이에 배치되는 제 2이송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 2이송장치는,
    상기 아이스 버킷에 저장된 얼음을 상측으로 이송하도록, 상기 제 1이송장치에 대해 상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블레이드는 일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고, 얼음은 상기 블레이드의 회전과 함께 회전되어 상측으로 이송되는 냉장고.
  27. 삭제
  28. ◈청구항 2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이송장치는,
    상기 제 1이송장치에 의해 이송된 얼음이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보다 높은 위치에 마련되고 얼음이 배출되는 배출구를 가지고 상기 블레이드를 커버하는 케이스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29. ◈청구항 2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일 방향을 따라 상측으로 이송되는 얼음은 배출구 측까지 이송되어 배출되고,
    상기 반대 방향을 따라 상측으로 이송되는 얼음은 이송되는 얼음을 분쇄하도록 상기 반대 방향 경로 상에 배치되는 고정 블레이드에 의해 분쇄된 상태로 상기 배출구 측까지 이송되어 배출되는 냉장고.
  30. ◈청구항 3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분쇄된 얼음의 일부가 상기 배출구에 도달되기 전에 낙하하여 배출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반대 방향 회전 경로 상에 낙하되는 얼음이 배출되도록 마련되는 보조 배출구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31. ◈청구항 3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의 회전축에는 상기 배출구 측으로 경사지는 테이퍼 형상의 허브가 마련되고,
    상기 허브는 상기 배출구 측까지 이송된 얼음이 상기 배출구로 배출되는 것을 가이드 하도록 상기 배출구 측으로 경사지게 마련되는 가이드면을 포함하는 냉장고.
KR1020150186061A 2015-12-24 2015-12-24 냉장고 KR1024658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6061A KR102465860B1 (ko) 2015-12-24 2015-12-24 냉장고
EP16204171.9A EP3184941B1 (en) 2015-12-24 2016-12-14 Ice maker
US15/390,458 US10393421B2 (en) 2015-12-24 2016-12-23 Ice mak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CN201611215045.6A CN106918176B (zh) 2015-12-24 2016-12-26 制冰机和具有制冰机的冰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6061A KR102465860B1 (ko) 2015-12-24 2015-12-24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6152A KR20170076152A (ko) 2017-07-04
KR102465860B1 true KR102465860B1 (ko) 2022-11-11

Family

ID=57570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6061A KR102465860B1 (ko) 2015-12-24 2015-12-24 냉장고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393421B2 (ko)
EP (1) EP3184941B1 (ko)
KR (1) KR102465860B1 (ko)
CN (1) CN10691817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25615B2 (en) 2017-12-08 2022-12-13 Midea Group Co., Ltd. Refrigerator icemaking system with tandem storage bins and/or removable dispenser recess
US10837690B2 (en) 2017-12-08 2020-11-17 Midea Group Co., Ltd. Refrigerator icemaking system with tandem storage bins and/or removable dispenser recess
CN109028688B (zh) * 2018-06-19 2020-02-07 合肥华凌股份有限公司 储冰盒以及具有其的冰箱
US10852046B2 (en) * 2018-12-10 2020-12-01 Midea Group Co., Ltd. Refrigerator with door-mounted fluid dispenser
US11262116B2 (en) * 2019-05-03 2022-03-01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Refrigerator appliance having a removable ice storage bin
US11293680B2 (en) 2019-06-14 2022-04-05 Midea Group Co., Ltd. Refrigerator with multiple ice movers
US11067326B2 (en) * 2019-07-08 2021-07-20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Ice dispensing assemblies and methods for preventing clumping
US11493252B2 (en) 2020-06-30 2022-11-08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Ice maker assembly for a cooling device
US20220113075A1 (en) * 2020-10-13 2022-04-14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Ice dispensing motor assembly with separate enclosures with minimized internal volume
WO2022264401A1 (ja) * 2021-06-18 2022-12-22 三菱電機株式会社 冷蔵庫
CN114798118B (zh) * 2022-03-09 2023-06-23 黄山学院 一种高效率省力的食品加工用研磨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93529A1 (en) 2008-05-30 2009-12-03 Hitachi Appliances, Inc. Ice supplying apparatus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US20130305763A1 (en) 2012-05-18 2013-11-21 General Electric Company Ice dispenser with crusher and shaver for a refrigerator appliance
US20140345313A1 (en) 2013-05-27 2014-11-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50777A (en) * 1990-01-02 1991-09-24 Whirlpool Corporation Ice dispenser conveying apparatus having a rotating blade auger that operates in connection with a baffle opening to prevent wedging of ice bodies therebetween
US6109476A (en) * 1998-07-30 2000-08-29 Maytag Corporation Ice dispensing system
CA2521359A1 (en) * 2004-09-27 2006-03-27 Maytag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ensing ice from a bottom mount refrigerator
KR20060125302A (ko) 2005-06-02 2006-12-06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20080000128A (ko) * 2006-06-26 2008-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20080022466A (ko) * 2006-09-06 2008-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US20130020530A1 (en) * 2010-03-31 2013-01-24 Shishiai-Kabushikigaisha Liquid cooling composition
KR101339448B1 (ko) 2011-08-18 2013-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정수기의 제어방법 및 정수기의 얼음 취출장치
KR101980540B1 (ko) * 2012-01-06 2019-05-21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101969588B1 (ko) 2012-06-20 2019-04-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얼음보관함을 구비하는 냉장고
KR101463907B1 (ko) 2012-10-18 2014-11-26 정휘동 분쇄 얼음 및 미분쇄 얼음을 토출할 수 있는 얼음 저장고
KR101485981B1 (ko) 2013-04-19 2015-01-23 정휘동 얼음 공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93529A1 (en) 2008-05-30 2009-12-03 Hitachi Appliances, Inc. Ice supplying apparatus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US20130305763A1 (en) 2012-05-18 2013-11-21 General Electric Company Ice dispenser with crusher and shaver for a refrigerator appliance
US20140345313A1 (en) 2013-05-27 2014-11-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918176A (zh) 2017-07-04
EP3184941A1 (en) 2017-06-28
EP3184941B1 (en) 2021-09-15
US20170292751A1 (en) 2017-10-12
US10393421B2 (en) 2019-08-27
KR20170076152A (ko) 2017-07-04
CN106918176B (zh) 2020-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65860B1 (ko) 냉장고
EP2299210B1 (en) Refrigerator with an icemaker
US8336330B2 (en) Refrigerator with icemaker compartment having an improved air flow
US8720221B2 (en) In the door ice maker
US9212841B2 (en) Refrigerator
EP2808627B1 (en) Refrigerator
KR102417751B1 (ko) 냉장고
US20080034779A1 (en) Refrigerator
KR20060125302A (ko) 냉장고
US9423166B2 (en) Refrigerator
KR20130028324A (ko) 냉장고
KR20120012230A (ko) 아이스 디스펜서를 갖는 냉장고
KR20080022466A (ko) 냉장고
EP3299749B1 (en) Refrigerator
US11333418B2 (en) Refrigerator
KR20180007450A (ko) 냉장고
EP2021706B1 (en) Refriger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