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5643B1 - 복수의 디바이스에 대한 원격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원격제어장치 - Google Patents

복수의 디바이스에 대한 원격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원격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5643B1
KR102465643B1 KR1020150138014A KR20150138014A KR102465643B1 KR 102465643 B1 KR102465643 B1 KR 102465643B1 KR 1020150138014 A KR1020150138014 A KR 1020150138014A KR 20150138014 A KR20150138014 A KR 20150138014A KR 102465643 B1 KR102465643 B1 KR 1024656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mote control
unit
item
signal
poi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80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8530A (ko
Inventor
함준석
김재영
신윤호
김윤성
허희정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380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5643B1/ko
Priority to US15/280,676 priority patent/US9881494B2/en
Priority to EP16191618.4A priority patent/EP3151211B1/en
Priority to CN201611005726.XA priority patent/CN106559691B/zh
Publication of KR201700385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85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56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56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characterized by types of remote control, e.g. universal remote contro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02Specific input/output arrangements not covered by G06F3/01 - G06F3/16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04Detection arrangements using opto-electronic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2Light pens for emitting or receiving ligh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06F3/0383Signal control means within the pointing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3/00Non-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systems, e.g. optical systems
    • G08C23/04Non-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systems, e.g. optical systems using light waves, e.g. infrar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11Arrangements specific to free-space transmission, i.e. transmission through air or vacuum
    • H04B10/114Indoor or close-range type systems
    • H04B10/116Visible light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1Transmission circuitry, e.g. infrared [IR] or radio frequency [R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2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 G06F3/042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using a single imaging device like a video camera for tracking the absolute position of a single or a plurality of objects with respect to an imaged reference surface, e.g. video camera imaging a display or a projection screen, a table or a wall surface, on which a computer generated image is displayed or projecte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30User interfac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70Device selec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90Additional features
    • G08C2201/92Universal remote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08Display device provided on the remote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Electromagnet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디바이스에 대한 원격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원격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는, 송신 신호를 전송하는 송신부와, 제1 반사 패턴으로부터 반사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외부로 영상을 투사하는 영상 투사부와, 복수의 버튼을 구비하는 입력부와, 제1 반사 패턴으로부터의 반사 신호에 기초하여, 제1 반사 패턴에 대응하는 제1 디바이스에 대한 원격 제어 모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며, 영상 투사부를 통해, 제1 디바이스의 원격 제어를 위한, 원격 제어 화면을 외부로 투사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영상 투사에 기초하여 원격 제어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복수의 디바이스에 대한 원격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원격제어장치{Remote controller capable of remote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device}
본 발명은, 영상 투사에 기초하여 원격 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원격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원격제어장치는, TV, 에어컨, 광디스크 플레이어 등을 원격제어하기 위해 사용된다.
한편, 각각의 전자 기기를 원격제어하기 위해, 서로 다른 제어 코드가 할당된, TV용 원격제어장치, 에어컨용 원격제어장치, 광디스크 플레이어용 원격제어장치 등이 사용되고 있다.
사용자 편의를 위해, 원격제어장치를 채용하는 전자 기기의 개수는 증가하는 추세이나, 각각의 전자 기기 마다, 별도의 원격제어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의 이용이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이러한 사용자 불편을 해소하기 위한 노력이 시도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영상 투사에 기초하여 원격 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원격제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영상 투사에 기초하여 영상을 출력할 수 있는 원격제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복수의 디바이스에 대한 원격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원격제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는, 송신 신호를 전송하는 송신부와, 제1 반사 패턴으로부터 반사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외부로 영상을 투사하는 영상 투사부와, 복수의 버튼을 구비하는 입력부와, 제1 반사 패턴으로부터의 반사 신호에 기초하여, 제1 반사 패턴에 대응하는 제1 디바이스에 대한 원격 제어 모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며, 영상 투사부를 통해, 제1 디바이스의 원격 제어를 위한, 원격 제어 화면을 외부로 투사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는, 송신 신호를 전송하는 송신부와, 제1 반사 패턴으로부터 반사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외부로 영상을 투사하는 영상 투사부와, 복수의 버튼을 구비하는 입력부와, 제1 반사 패턴으로부터의 반사 신호에 기초하여, 제1 반사 패턴과 관련된 영상을 외부로 투사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는, 송신 신호를 전송하는 송신부와, 제1 반사 패턴으로부터 반사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외부로 영상을 투사하는 영상 투사부와, 복수의 버튼을 구비하는 입력부와, 제1 반사 패턴으로부터의 반사 신호에 기초하여, 제1 반사 패턴에 대응하는 제1 디바이스에 대한 원격 제어 모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며, 영상 투사부를 통해, 제1 디바이스의 원격 제어를 위한, 원격 제어 화면을 외부로 투사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으로써, 영상 투사에 기초하여 원격 제어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제1 반사 패턴에 대응하는 제1 디바이스에 대한 원격 제어를 위한 원격 제어 화면을 외부로 투사함으로써, 원격 제어 화면을 이용하여 원격 제어를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원격 제어 화면과 별개로 포인터를 표시함으로써, 포인터를 이용하여, 원격 제어 화면 내의 항목을 간단하게 선택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영상 투사부는, 가시광을 스캐닝 방식으로 출력함으로써, 소형화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영상 투사부는, 가시광 기반의 원격 제어 화면 외에, 거리 검출을 위한 광 출력부와 광 수신부를 더 구비함으로써, 수신광에 기초하여, 제1 반사 패턴의 위치를 검출하고, 제1 반사 패턴 대비 포인터의 위치를 센서부로부터의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연산함으로써, 원격 제어 화면 내의 제1 항목 선택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는, 송신 신호를 전송하는 송신부와, 제1 반사 패턴으로부터 반사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외부로 영상을 투사하는 영상 투사부와, 복수의 버튼을 구비하는 입력부와, 제1 반사 패턴으로부터의 반사 신호에 기초하여, 제1 반사 패턴과 관련된 영상을 외부로 투사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으로써, 영상 투사에 기초하여 영상을 출력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원격제어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디바이스 별 원격제어장치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3f는 도 1의 원격제어장치의 지향 방향에 따라 제어되는 디바이스의 종류가 가변되는 것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b는 도 1의 원격제어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반사 패턴의 일예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반사 패턴을 이용한 반사 신호 출력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원격제어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8은 도 6의 영상투사부의 내부 블록도의 일예를 예시한다.
도 9는 도 6의 영상투사부와 카메라의 내부 블록도의 일예를 예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동작방법의 일예를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11a 내지 도 13b는 도 10의 원격제어장치의 동작방법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원격제어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바이스 원격제어시스템(10)은, 원격제어장치(200), 복수의 디바이스들(100a,100b,100c,100d,100e,100f,100g,100h), 및 각 디바이스 내에 장착되거나, 디바이스 주변에 배치되는 반사 패턴(101a,101b,101c,101d,101e,101f,101g,101h)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디바이스 원격제어시스템(10)은, 게이트 웨이(400), 서버(3700a,...,700n)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디바이스(device)의 예로, TV와 같은 영상표시장치(100a), 셋탑 박스(100b), 에어컨(100c), 조명 장치(100d), 로봇 청소기(100e), 냉장고(100f), 공기 청정기(100g), 온도조절장치(100h) 등을 예시하나, 그 외 다양한 예가 가능하다. 한편, 도면에 도시된 디바이스는, 홈 디바이스(home device)라고 명명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device)로, 세탁기, 광디스크 재생장치, 게임 기기, 가스 밸브, 보안 카메라 등의 보안 장치, 전자식으로 개폐되는 도어(door), 전자식으로 개폐되는 창문, 음향출력기기, 게임 기기, 전자 액자, 에너지 저장장치(ESS), 디지털 카메라, 향기 발생 장치, 차량(vehicle), 드론(drone) 등이 더 예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디바이스들 위주로 설명한다.
한편, 각 반사 패턴(101a,101b,101c,101d,101e,101f,101g,101h)은, 지향되는 원격제어장치(200)에서 출력되는 송신 신호를 반사할 수 있다.
즉, 각 반사 패턴(101a,101b,101c,101d,101e,101f,101g,101h)은, 하여, 원격제어장치(200)에서 출력되는 송신 신호를 이용하여, 반사 패턴에 대응하는 반사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200)는, 각 반사 패턴(101a,101b,101c,101d,101e,101f,101g,101h)으로부터의 반사 신호에 기초하여, 특히, 반사 신호에 기초한 반사 패턴에 따라, 디비이스를 식별할 수 있다.
반사 신호 또는 반사 패턴은, 각 디바이스에 대한, 디바이스 종류 정보, 제조사 정보, 디바이스 모델명 정보, 디바이스 상태 정보, 디바이스 제어 명령과 관련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디바이스 상태 정보는 디바이스의 온/오프 상태, 디바이스 동작 시의 동작 값 상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송신 신호는, 지향성이 좋은 신호로서, 적외선(Infra Red) 신호, RF(Radio Frequency) 신호, 와이파이 (Wi-Fi)신호, 지그비(ZigBee) 신호, 블루투스(bluetooth) 신호, 레이저 신호, UWB(Ultra Wideband) 신호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200)는, 각 반사 패턴(101a,101b,101c,101d,101e,101f,101g,101h)로부터의, 복수의 반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원격제어장치(200)가, 복수의 디바이스들(100a,100b,100c,100d,100e,100f,100g,100h)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반사 패턴(101a,101b,101c,101d,101e,101f,101g,101h) 중 어느 하나에 지향되는 경우, 원격제어장치(200)는, 수신되는 적어도 하나의 반사 신호 중 하나의 반사 신호를, 대표 반사 신호로서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원격제어장치(200)는, 검출된 반사 신호 또는 대표 반사 신호에 대한 신호 처리를 수행하고, 검출된 식별신호 내에 포함되는 디바이스 종류 정보, 제조사 정보, 디바이스 모델명 정보, 디바이스 상태 정보, 디바이스 제어 명령과 관련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반사 신호에 대응하는, 디바이스를 확인 또는 식별할 수 있다.
또는, 원격제어장치(200)는, 검출된 반사 신호 또는 대표 반사 신호와, 원격제어장치(200)에 기 저장된 반사 신호와 관련된 데이터를 비교하여, 디바이스를 확인 또는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원격제어장치(200)는, 확인된 디바이스 원격 제어를 위한, 원격제어화면을 외부로 투사할 수 있다. 특히, 반사 패턴 부근에, 원격제어화면을 투사할 수 있다.
그리고, 디바이스 제어를 위한, 원격제어화면이 외부로 투사된 이후, 원격제어화면 중 어느 한 항목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경우, 원격제어장치(200)는, 선택된 항목에 대응하는 신호, 즉 원격제어신호를 출력,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격제어장치(200)가, 에어컨(100c)을 지향하는 경우, 원격제어장치(200)는, 원격제어화면이 외부로 투사되도록 제어하고, 원격제어화면 중 제1 항목이, 에어컨에 대한 바람 세기 조정을 위한, 항목으로 설정된 상태에서, 제1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에어컨에 대한 바람 세기 조정과 관련된 원격제어신호를 출력, 송신할 수 있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는, 제1 디바이스 방향으로 지향되는 경우, 제1 디바이스에 대응하여 부착되는 제1 반사 패턴으로부터의 제1 반사 신호를 검출하고, 검출된 제1 반사 신호에 기초하여, 제1 디바이스의 원격 제어를 위한, 제1 원격제어화면이 외부로 투사되도록 제어하고, 제2 디바이스 방향으로 지향되는 경우, 수신된 제2 반사 신호를 검출하고, 검출된 제2 반사 신호에 기초하여, 제2 디바이스의 원격 제어를 위한, 제2 원격제어화면이 외부로 투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나의 원격제어장치(200)로, 다양한 디바이스에 대한 원격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즉, 원격제어장치(200)의 지향 방향에 따라, TV와 같은 영상표시장치(100a), 셋탑 박스(100b), 에어컨(100c), 조명 장치(100d), 로봇 청소기(100e), 냉장고(100f), 공기 청정기(100g), 온도조절장치(100h) 등이 각각 원격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에서 출력되는 원격제어신호는, 적외선(Infra Red) 신호, RF(Radio Frequency) 신호, 와이파이 (Wi-Fi)신호, 지그비(ZigBee) 신호, 블루투스(bluetooth) 신호, 레이저 신호, UWB(Ultra Wideband) 신호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는, 각 디바이스에 대한 원격 제어를 위해, 원격제어화면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한, 제어 명령 정보를, 게이트 웨이(4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원격제어장치(200)는 각 디바이스에 대한 원격 제어를 위해, 원격제어화면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한, 제어 명령 정보를, 게이트 웨이(400)로, 송신할 수도 있다.
특히, 게이트 웨이(400)는, 네트워크(550)를 통해, 외부 서버(3700a,...,700n) 등으로 부터, 각 디바이스에 대한 원격 제어를 위해, 원격제어화면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한, 제어 명령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의 외부 서버(3700a,...,700n)는, 각 디바이스 제조사가 운영하는 서버, 또는 각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서버 등일 수 있다.
도 2는 디바이스 별 원격제어장치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도 2는, 영상표시장치용 원격제어장치(201a), 광디스크 플레이어용 원격제어장치(201b), 에어컨용 원격제어장치(201c), 로봇 청소기용 원격제어장치(201d)를 예시한다.
도 2와 같이, 각각의 전자 기기를 원격제어하기 위해, 서로 다른 코드가 할당된, 원격제어장치 등이 사용되는 경우, 원격제어장치의 개수가 많아져, 사용자가 사용하기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보다 간편하게, 복수의 디바이스 들에 대한 원격제어가 가능한, 원격제어장치를 제시한다.
도 3a 내지 도 3f는 도 1의 원격제어장치의 지향 방향에 따라 제어되는 디바이스의 종류가 가변되는 것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3a는, 집안 내의 다양한 디바이스들(100a,100b,100c,100d,100e) 중 에어컨(100c) 방향으로 원격제어장치(200)가 지향되는 경우를 예시한다.
원격제어장치(200)는, 에어컨(100c)에 대응하는 반사 패턴(101c)로부터의 반사 신호를 포함한 적어도 하나의 반사 신호를 수신한다. 그리고, 원격제어장치(200)는,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반사 신호에서, 디바이스 식별 정보를 검출하고, 검출된 디바이스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원격 제어 가능한 디바이스가, 에어컨(100c)인 것을 확인 또는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격제어장치(200)는, 검출된 반사 신호 내에, 디바이스 종류 정보, 제조사 정보, 디바이스 모델명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경우, 반사 신호에 대한 신호 처리를 수행하여, 디바이스 종류 정보, 제조사 정보, 디바이스 모델명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하고, 추출된 디바이스 종류 정보, 제조사 정보, 디바이스 모델명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반사 신호에 대응하는, 디바이스를 확인 또는 식별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원격제어장치(200)는, 수신, 검출되는 반사 신호가, 각 디바이스의 식별이 가능하도록, 설정된 특정 신호인 경우, 수신, 검출되는 반사 신호와, 메모리(465)에 저장된 반사 신호와 관련된 데이터와 비교하여, 디바이스를 확인 또는 식별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수신, 검출되는 반사 신호가, 공간 기반의 패턴 신호인 경우, 원격제어장치(200)는, 메모리(465)에 저장된 공간 기반의 패턴 신호 관련 데이터와, 수신된 패턴 신호를 비교하여, 디바이스를 확인 또는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원격제어장치(200)는, 지향되는 디바이스가 에어컨(100c)인 것으로 식별한 이후, 에어컨(100c)에 대한 원격제어화면이 외부로 투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는, 반사 신호 검출에 기초하여, 디바이스 식별이 완료되거나, 원격제어화면의 투사가 완료되는 경우, 디바이스 제어 가능 메시지(311a)를 사운드로 출력하거나, 원격제어장치(200)에 포함된 LED를 소정 시간 동안 발광하거나, 진동 출력 등을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에어컨 제어가 가능함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면 3a에서는 "에어컨을 제어합니다"와 같은 에어컨 제어 가능 메시지(311a)를 사운드로 출력하는 것을 도시한다.
또는, 사용자의 이용 편의를 위해, 원격제어장치(200)에 의해 식별이 완료되거나, 제어가 가능한 디바이스는, 디바이스 또는 송신장치에 포함되어 있는 LED를 소정시간 동안 발광하거나, 디바이스 또는 송신장치에 포함되어 있는 음향장치에서 특정한 소리를 내거나, 디바이스 또는 송신장치에 포함되어 있는 디스플레이에서 원격제어장치(200)의 원격 제어 가능 메세지 등을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특히, 원격제어화면의 투사가 완료 후, 원격제어화면 내의 소정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원격제어장치(200)는, 소정 항목의 제어명령에 대응하는 원격제어신호를, 에어컨(100c)으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에어컨(100c)은, 원격제어신호 수신 이후, 에어컨(100c)에 내장된 LED 를 소정 시간 동안 발광할 수도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에어컨 제어가 수행되고 있음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다음, 도 3b는, 집안 내의 다양한 디바이스들(100a,100b,100c,100d,100e) 중 영상표시장치(100a) 방향으로 원격제어장치(200)가 지향되는 경우를 예시한다.
원격제어장치(200)는, 영상표시장치(100a)에 대응하는 반사 패턴(101a)로부터의 반사 신호를 수신한다.
그리고, 원격제어장치(200)는, 영상표시장치(100a)로부터 수신된 식별신호를 포함한 적어도 하나의 반사 신호에서 디바이스 식별 정보를 검출하고, 검출된 디바이스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원격 제어가 가능한 디바이스가, 영상표시장치(100a)인 것을 확인 또는 식별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a) 확인 방법은, 도 3a의 설명을 참조하여 생략한다.
그리고, 원격제어장치(200)는, 지향되는 디바이스가 영상표시장치(100a)인 것으로 확인한 이후, 영상표시장치(100a)에 대한 원격제어화면이 외부로 투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음, 도 3c는, 집안 내의 다양한 디바이스들(100a,100b,100c,100d,100e) 중 조명 장치(100d) 방향으로 원격제어장치(200)가 지향되는 경우를 예시한다.
원격제어장치(200)는, 조명 장치(100d)에 대응하는 반사 패턴(101d)로부터의 반사 신호, 예를 들어, 적외선(IR) 신호를 수신한다.
그리고, 원격제어장치(200)는, 적외선(IR) 신호에 기초하여, 지향되는 디바이스가, 조명 장치(100d)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조명 장치(100d) 확인 방법은, 도 3a의 설명을 참조하여 생략한다.
그리고, 원격제어장치(200)는, 지향되는 디바이스가 조명 장치(100d)인 것으로 확인한 이후, 조명 장치(100d)에 대한 원격제어화면이 외부로 투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음, 도 3d는, 집안 내의 다양한 디바이스들(100a,100b,100c,100d,100e) 중 로봇 청소기(100e) 방향으로 원격제어장치(200)가 지향되는 경우를 예시한다.
원격제어장치(200)는, 로봇 청소기(100e)에 대응하는 반사 패턴(101e)로부터의 반사 신호를 수신한다.
그리고, 원격제어장치(200)는, 로봇 청소기(100e)로부터 수신된 식별신호를 포함한 적어도 하나의 반사 신호에서 디바이스 식별 정보를 검출하고, 검출된 디바이스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원격 제어가 가능한 디바이스가, 로봇 청소기(100e)인 것을 확인 또는 식별할 수 있다. 로봇 청소기(100e) 확인 방법은, 도 3a의 설명을 참조하여 생략한다.
그리고, 원격제어장치(200)는, 지향되는 디바이스가 로봇 청소기(100e)인 것으로 확인한 이후, 로봇 청소기(100e)에 대한 원격제어화면이 외부로 투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3e는, 에어컨(100c)에 대한 원격 제어를 위한 설정이 완료된 경우, 원격제어장치(200)에서, 에어컨(100c)으로, 원격 제어 가능 신호(Skeystc)가, 에어컨(100c)으로 전송되는 것을 예시한다.
에어컨(100c)은, 원격 제어 가능 신호(Skeystc)를 수신한 후, 에어컨 원격 제어 가능 메시지(311ac)를 에어컨 본체에 투사하여 표시하거나, 에어컨 원격 제어 가능 메시지(311ab)를 사운드로 출력할 수도 있다.
즉, 도 3a와 달리, 원격제어장치(200)에서, 에어컨을 제어합니다"와 같은 에어컨 제어 가능 메시지(311a) 출력 대신에, 에어컨(100c)으로, 원격 제어 가능 신호(Skeystc)가, 에어컨(100c)으로 전송되어, 에어컨(100c)에서, 에어컨 원격 제어 가능 메시지(311ab,311ac)가 출력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 3f는, 영상표시장치(100a)에 대한 원격 제어를 위한 설정이 완료된 경우, 원격제어장치(200)에서, 영상표시장치(100a)로, 원격 제어 가능 신호(Skeysta)가, 영상표시장치(100a)로 전송되는 것을 예시한다.
영상표시장치(100a)는, 원격 제어 가능 신호(Skeysta)를 수신한 후, 영상표시장치 원격 제어 가능 메시지(311bc)를 디스플레이(180a)에 표시하거나, 영상표시장치 원격 제어 가능 메시지(311bb)를 사운드로 출력할 수도 있다.
도 4a 내지 도 4b는 도 1의 원격제어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 상부 케이스(297) 내에, 디스플레이(480)이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다음, 도 4b는, 슬라이드 타입의 상부 케이스(297)가, 위로 조작되는 경우, 하부 케이스(296)는 고정되고, 상부 케이스(297)가, 위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예시한다.
하부 케이스(296)는, 전원 온/오프와 관련된 전원 버튼(401), 영상 투사와 관련된 제1 버튼(402)과, 항목 선택 또는 조건 수행과 관련된 제2 버튼(403)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전원 버튼(401), 제1 버튼(402)과, 제2 버튼(403)은, 키 입력부(도 7의 430) 내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 4b와 같이, 상부 케이스(297)와 하부 케이스(296)이 서로 이격되는 경우, 원격제어장치(200)가 활성화될 수 있다.
도 5는 반사 패턴(101a)의 일예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반사 패턴(101a)는, 적외선 패턴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반사 패턴을 이용한 반사 신호 출력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도 6의 반사 패턴(101ab)은, 3X3 크기의 적외선 패턴으로서, 3X3 중 일부 영역에, 반사 물질이 도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신 신호(SIR)가 적외선 신호인 경우, 반사 패턴(101ab)은, 송신 신호송신 신호(SIR)에 대응하여, 반사 신호(Sida)를 출력할 수 있다.
반사 패턴(101ab)의 형상 등에 의해, 반사 신호(Sida)의 크기, 패턴 등이 가변되며, 이에 따라, 원격제어장치(200)는, 반사 패턴(101ab)에 대응하는 디바이스를 식별할 수 있다.
도 7은 도 1의 원격제어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원격제어장치(200)는 무선통신부(420), 키 입력부(430), 마이크(435), 센서부(440), 출력부(450), 전원공급부(460), 메모리(465), 제어부(470), 디스플레이(480), 카메라(495), 영상 투사부(485)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통신부(420)는 전술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디바이스들 중 어느 하나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무선 통신부(420)는, 수신부(423)와, 송신부(421)를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원격제어장치(200)는, 디바이스 반사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423)와, 원격제어신호 또는 출력 신호 또는 호출 신호를 출력하는 송신부(421)를 구비할 수 있다.
송신부(421)는, 적외선(Infra Red) 신호, RF(Radio Frequency) 신호, 와이파이 (Wi-Fi)신호, 지그비(ZigBee) 신호, 블루투스(bluetooth) 신호, 레이저 신호, UWB(Ultra Wideband) 신호 중 어느 하나의, 송신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송신부(421)는, 적외선(Infra Red) 신호, RF(Radio Frequency) 신호, 와이파이 (Wi-Fi)신호, 지그비(ZigBee) 신호, 블루투스(bluetooth) 신호, 레이저 신호, UWB(Ultra Wideband) 신호 중 어느 하나의, 원격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신부(421)는, IR 모듈(421a)을 구비하고, 적외선 신호 기반의 송신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송신부(421)는, 적외선 신호 기반의 원격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송신부(421)는, RF 모듈(421b)을 구비하고, RF 기반의 원격제어신호 를 출력할 수 있다.
수신부(423)는, 적외선(Infra Red) 신호, RF(Radio Frequency) 신호, 와이파이 (Wi-Fi)신호, 지그비(ZigBee) 신호, 블루투스(bluetooth) 신호, 레이저 신호, UWB(Ultra Wideband) 신호 중 어느 하나의, 반사 신호를, 반사 패턴(101)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는, 디바이스가 영상표시장치(100a)인 경우, 원격제어장치(200)의 포인팅 정보, 예를 들어, 움직임 등에 관한 정보가 담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키 입력부(430)는 복수의 키를 구비할 수 있다. 복수의 키는, 키패드, 버튼, 터치 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 등으로 구현 가능하다.
마이크(435)는,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하고, 수신된 사용자 음성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470)에 전달할 수 있다.
센서부(44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가속도 정보, 회전 각도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센서부(440)는 자이로 센서(441) 또는 가속도 센서(443)를 구비할 수 있다. 자이로 센서(441)와 가속도 센서(443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일예로, 자이로 센서(441)는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x,y,z 축을 기준으로 센싱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443)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이동속도 등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출력부(450)는 키 입력부(430)의 조작에 대응하는 진동 또는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거나 LED를 발광할 수 있다. 출력부(450)를 통하여 사용자는 키 입력부(430)의 조작 여부를 인지할 수 있다.
일예로, 출력부(450)는 키 입력부(430)가 조작되거나 무선 통신부(425)을 통하여 IR 신호가 송신 또는 수신되면 점등되는 LED 모듈(451),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 모듈(453),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 모듈(455)을 구비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460)는 원격제어장치(200)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460)는 원격제어장치(200)이 소정 시간 동안 움직이지 않은 경우 전원 공급을 중단함으로서 전원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전원공급부(460)는 원격제어장치(200)에 구비된 소정 키가 조작된 경우에 전원 공급을 재개할 수 있다.
메모리(465)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 또는 동작에 필요한 여러 종류의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특히, 수신 신호, 수신 신호에 대응하는 반사 패턴을, 각 디바이스 별로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47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에 관련된 제반사항을 제어한다.
제어부(470)는,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 또는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반사 패턴으로부터의, 디바이스 반사 신호를 포함한 적어도 하나의 반사 신호를, 수신부(423)를 통해, 수신하는 경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반사 신호에서 반사 신호를 검출하고, 검출된 반사 신호에 기초하여, 디바이스를 확인 또는 식별하며, 복수의 키 중 적어도 하나를, 디바이스의 원격 제어를 위한 제어 명령에 매칭하며, 제어 명령에 매칭된 키가 선택되는 경우, 제어 명령에 대응하는 원격제어신호를 출력하도록, 송신부(421)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470)는, 원격제어장치가, 디바이스 방향으로 지향되는 경우, 디바이스 또는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반사 패턴으로부터 수신되는 반사 신호에 기초하여, 디바이스를 식별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470)는, 원격제어장치(200)가 제1 디바이스 방향으로 지향되는 경우, 제1 디바이스의 제1 반사 패턴으로부터 수신된 제1 반사 신호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반사 신호에서 제1 반사 신호를 검출하고, 검출된 제1 반사 신호에 기초하여, 제1 반사 패턴에 대응하는 제1 디바이스에 대한 원격 제어 모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며, 영상 투사부(485)를 통해, 제1 디바이스의 원격 제어를 위한, 원격 제어 화면을 외부로 투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원격 제어 화면은, 제1 디바이스의 원격 제어를 위한, 복수의 항목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470)는, 인식되는 디바이스 별로, 원격 제어 화면 내의 항목 들을 가변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470)는, 원격 제어 화면 내의 소정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항목에 대응하는 원격제어신호를 무선 통신부(425)를 통하여,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수신부(423)는, 게이트 웨이(400)로부터 제1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제어부(470)는, 게이트 웨이(400)를 경유하여 수신된 제1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제1 반사 패턴에 대응하는 제1 디바이스에 대한 원격 제어 모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며, 영상 투사부(485)를 통해, 제1 디바이스의 원격 제어를 위한, 원격 제어 화면을 외부로 투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470)는, 원격 제어 화면 외에, 포인터가 더 투사되도록 영상 투사부(485)를 제어하며, 원격 제어 화면 내의 제1 항목이 포인터에 의해 선택되는 경우, 제1 항목에 대응하는 제1 원격제어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
한편, 제어부(470)는, 입력부 내의 제1 버튼의 동작에 따라, 포인터가 더 투사되도록, 영상 투사부(485)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470)는, 포인터가, 원격 제어 화면 내의 제1 항목에 위치한 상태에서, 입력부 내의 제2 버튼이 동작하는 경우, 제1 항목을 선택하고, 제1 항목에 대응하는 제1 원격제어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470)는, 제1 반사 패턴 대비 포인터의 위치를 센서부로부터의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연산하고, 포인터가, 원격 제어 화면 내의 제1 항목에 위치한 것으로 연산된 상태에서, 입력부 내의 제2 버튼이 동작하는 경우, 제1 항목을 선택하고, 제1 항목에 대응하는 제1 원격제어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470)는, 제1 반사 패턴을 기준으로 원격 제어 화면이 투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470)는, 투사 가능 영역 내에 원격 제어 화면이 표시되도록 제어하되, 제1 반사 패턴을 기준으로 원격 제어 화면이 투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470)는, 영상 투사부(485)의 지향 방향이 손 떨림에 의해 가변되더라도, 투사 가능 영역 내에서, 제1 반사 패턴을 기준으로 고정된 위치에, 원격 제어 화면이 투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470)는, 포인터 표시시, 투사 가능 영역의 제1 영역에, 포인터가 위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470)는, 제1 반사 패턴과의 거리 또는 배율 조정 입력에 따라, 투사되는 원격 제어 화면의 배율이 가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470)는, 수신광에 기초하여, 제1 반사 패턴의 위치를 검출하고, 제어부(470)는, 제1 반사 패턴 대비 포인터의 위치를 센서부로부터의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연산하고, 포인터가, 원격 제어 화면 내의 제1 항목에 위치한 것으로 연산된 상태에서, 입력부 내의 제2 버튼이 동작하는 경우, 제1 항목을 선택하고, 제1 항목에 대응하는 제1 원격제어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470)는, 수신광에 기초하여, 제1 반사 패턴의 위치와, 포인터의 위치를 검출하고, 포인터가, 원격 제어 화면 내의 제1 항목에 위치한 것으로 검출된 상태에서, 입력부 내의 제2 버튼이 동작하는 경우, 제1 항목을 선택하고, 제1 항목에 대응하는 제1 원격제어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와 관련하여, 제어부(470)는, 제1 반사 패턴으로부터의 반사 신호에 기초하여, 제1 반사 패턴과 관련된 영상을 외부로 투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470)는, 입력부 내의 제1 버튼의 동작에 따라, 영상 외에, 포인터가 더 투사되도록 영상 투사부(485)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470)는, 투사 가능 영역 내에 영상이 표시되도록 제어하되, 제1 반사 패턴을 기준으로 영상이 투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470)는, 포인터 표시시, 투사 가능 영역의 제1 영역에, 포인터가 위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카메라(495)는, 이미지를 캡쳐할 수 있다. 특히, 카메라(495)가 사용자 얼굴 방향으로 향하는 경우, 사용자 얼굴을 포함하는 이미지를 캡쳐할 수 있다.
제어부(470)는, 캡쳐된 사용자 얼굴 이미지와 기 저장된 사용자 이미지 관련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를 식별 또는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영상 투사부(485)는, 외부에 투사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광원으로서, 직진성이 좋은 레이저 다이오드를 사용할 수 있다.
영상 투사부(485)는, 투사 영상에 대응하는 가시광을 출력하는 광원부(도 8의 210)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투사 영상의 출력 방향, 출력 각도, 출력 거리 등의 조정을 위해, 가시광을 스캐닝 방식에 의해 외부로 출력하는 스캐너(도 8의 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영상 투사부(485)는, 투사 가능 영역 내에 원격 제어 화면이 표시되도록 제어하되, 제1 반사 패턴을 기준으로 원격 제어 화면이 투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영상 투사부(485)는, 원격 제어 화면 외에 추가로 포인터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영상 투사부(485)는, 영상 투사부(485)의 지향 방향이 손 떨림에 의해 가변되더라도, 투사 가능 영역 내에서, 제1 반사 패턴을 기준으로 고정된 위치에, 원격 제어 화면을 투사할 수 있다.
한편, 영상 투사부(485)는, 제1 반사 패턴과의 거리 또는 배율 조정 입력에 따라, 배율이 가변된 원격 제어 화면을 투사할 수 있다.
한편, 디바이스(100)는, 원격제어장치(200)와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무선통신부(411)와, 수신되는 무선 신호에 대응하는 동작 제어를 위한 제어부(170)를 구비할 수 있다.
무선통신부(411)는, 원격제어장치(200)와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무선통신부(411)는, 원격제어장치(200)가 다양한 통신 규격에 따라 전송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도 8은 도 6의 영상투사부의 내부 블록도의 일예를 예시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도 8의 영상 투사부(485)는, 광학부(205)와, 구동부(186)를 구비할 수 있다.
광학부(205)는, 복수의 광원을 구비하는 광원부(210)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적색 광원부(210R), 녹색 광원부(210G), 청색 광원부(210B)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적색 광원부(210R), 녹색 광원부(210G), 청색 광원부(210B)는, 각각 적색, 녹색, 청색 광원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광원은, 레이저 다이오드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각 광원부(210R,210G,210B)는, 구동부(185)로부터의 각 전기 신호에 의해, 구동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동부(185)의 전기 신호는, 제어부(470)의 제어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각 광원부(210R,210G,210B)에서 출력되는 잭색,녹색,청색광들은, 집광부(212) 내의 각 집광 렌즈(collimator lens)를 통해, 시준된다(collimate).
광합성부(220)는, 각 광원부(210R,210G,210B)에서에서 출력되는 광을 합성하여 일 방향으로 출력한다. 이를 위해, 광합성부(220)는, 3개의 2D MEMS 미러(mirror)(220a,220b,220c)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제1 광합성부(220a), 제2 광합성부(220b), 제3 광합성부(220c)는, 각각, 적색 광원부(210R)에서 출력되는 적색광, 녹색 광원부(210G)에서 출력되는 녹색광, 청색 광원부(210B)에서 출력되는 청색광을, 스캐너(240) 방향으로 출력하도록 한다.
광반사부(256)는, 광합성부(220)를 통과한 적색광,녹색광,청색광을 스캐너(240) 방향으로 반사시킨다. 광반사부(256)는, 다양한 파장의 광을 반사시키며, 이를 위해, Total Mirror(TM)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스캐너(240)는, 광원부(210)으로부터의 적색광,녹색광,청색광에 기초한 가시광(RGB)을, 입력받아, 외부로 제1 방향 스캐닝 및 제2 방향 스캐닝을 순차적으로, 그리고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스캐닝 동작을, 외부 스캔 영역의 전체에 대해, 반복하여 수행한다. 이에 의해, 외부로 가시광(RGB)에 대응하는 투사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도 9는 도 6의 영상투사부와 카메라의 내부 블록도의 일예를 예시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영상 투사부(485)는, 레이더 다이오드 구동부(486), 제1 광원(210), 집광 렌즈(collimator lens; CL)(212), 미러(250), 스캐너(240)를 포함할 수 있다.
레이더 다이오드 구동부(486)는, 제어부(470)로부터의 구동 신호에 기초하여, 적외선광 또는 구조화된 적외선광을 출력하는 제1 광원(210)를 구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특히, 구동 신호의 레벨, 펄스폭 등에 의해, 적외선광 또는 구조화된 적외선광의 세기 등을 조정할 수 있다.
제1 광원(210)에서 출력되는 적외선광은, 집광 렌즈(212)를 거쳐, 미러(250)로 입사되며, 미러(250)는, 적외선광 또는 구조화된 적외선광의 광 경로를 변경하여, 스캐너(240) 방향으로 전달한다.
스캐너(240)는, 적외선광 또는 구조화된 적외선광을 입력받아, 제1 방향 스캐닝 및 제2 방향 스캐닝을 하여, 적외선광 또는 구조화된 적외선광을 외부 영역으로 출력한다.
특히, 스캐너(240)는, 전방(522)에 대해, 적외선광 또는 구조화된 적외선광(IR)을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470)는, 스캐너(24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캐너의 제1 방향 스캐닝의 각도 또는 제2 방향 스캐닝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스캐닝 각도 조절에 의해, 출력되는 적외선광(IR)의 출력 방향이 가변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70)는, 스캐너(240)의 스캐닝 주파수를 가변할 수도 있다. 스캐닝 주파수를 60Hz에서 30Hz로 감소시키는 경우, 동일 외부 영역에 대해, 해상도가 증가한 스캐닝이 수행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보다 자세한 거리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게 된다.
카메라(495)는, 적외선광에 대응는 수신광(IR)을 수신할 수 있다.
카메라(495)는, 수신광을 수신하여 집광하는 집광 렌즈(collimator lens; CL)(371), 적외선 통과 필터(372)와, 적외선 통과 필터를 통과한 수신광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광 검출부(374)의 일예로서, TOF 센서(Time of Flight sensor)(375)를 구비할 수 있다. TOF 센서(375)에서 변환된 전기 신호는 제어부(470)로 입력될 수 있다.
한편, 적외선 통과 필터(372)는 적외선광을 통과하고, 다른 파장의 광을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서, 선택적으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 8와 도 9에서는, 투사 영상을 위한 스캐너(240)와 적외선광 출력을 위한 스캐너(240)를 각각 도시하였으나, 투사 영상 출력과, 적외선광 출력을 위한 스캐너가 공통으로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도 8의 영상 투사부(485)와 도 9의 오브젝트 감지부(20)가 하나의 모듈로 구현되어, 스캐너를 공통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 8, 및 도 9의 영상 투사부(485)는, 가시광 기반의 투사 영상과, 적외선광 기반의 출력광을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카메라(495)는, 적외선광 기반의 수신광 검출은 물론, 가시광 기반의 수신광도 검출할 수 있다.
도 9와 같이, 투사 영상(522) 내에 포인터(529)가 표시되는 경우, 제어부(470)는, 카메라(495)에서 촬영된 가시광 기반의 이미지에 기초하여, 포인터(529)를 검출할 수 있다. 특히, 포인터의 위치, 거리 등을 검출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470)는, 카메라(495)에서 수신되는 적외선 광 기반의 수신광에 기초하여, 포인터(529)를 검출할 수 있다. 특히, 포인터의 위치, 거리 등을 검출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동작방법의 일예를 보여주는 순서도이고, 도 11a 내지 도 13b는 도 10의 원격제어장치의 동작방법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먼저, 도 10을 참조하면, 원격제어장치(200)의 송신부(421)는, 외부로 송신 신호를 전송한다(S1010).
예를 들어, 도 11a와 같이, 제1 디바이스(100c)에 제1 반사 패턴(101c)이 부착된 경우, 원격제어장치(200)가, 제1 반사 패턴(101a)을 향한 상태에서, 송신 신호(SIR)를 전송할 수 있다.
제1 반사 패턴(101a)은, 도 11a와 같이, 송신 신호(SIR)가 입사된 후, 반사 패턴에 대응하는 반사 신호(Sidc)를 출력할 수 있다.
다음, 원격제어장치(200)의 수신부(423)는, 제1 반사 패턴(101c)으로부터, 반사 신호(Sidc)를 수신한다(S1015).
다음,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부(470)는, 수신부(423)에서 수신된 반사 신호에 기초하여, 반사 패턴을 확인한다(S1020).
특히, 기 등록된 반사 패턴인 경우,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부(470)는, 신부(423)에서 수신된 반사 신호에 기초하여, 에어컨(101c)의 반사 패턴인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다음,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부(470)는, 확인된 제1 디바이스의 원격제어를 위한 모드로 진입하도록 제어한다(S1025).
예를 들어,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부(470)는, 에어컨(101c)의 원격제어를 위한, 원격 제어 화면을 구성할 수 있다.
다음,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부(1030)는, 제1 버튼이 동작하는 지 여부를 판단하고(S1030), 해당하는 경우, 영상 투사부(485)를 통해, 제1 디바이스 원격 제어 화면을 외부로 투사하도록 제어한다(S1035).
도 11b는, 식별된 에어컨(101c)의 원격제어를 위한, 원격 제어 화면(1100)이 에어컨(100c)의 본체에 투사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때, 원격 제어 화면(1100)은, 제1 디바이스(100c)의 원격 제어를 위한, 복수의 항목을 구비할 수 있다.
도 11b에서는, 복수의 항목으로서, 온도 조절 항목(1101), 바람 세기 등의 설정 항목, 모드 설정 항목 등을 예시한다.
한편, 제어부(470)는, 인식되는 디바이스 별로, 원격 제어 화면 내의 항목 들을 가변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470)는, 투사 가능 영역 내에 원격 제어 화면(1100)이 표시되도록 제어하되, 제1 반사 패턴(101c)을 기준으로 원격 제어 화면(1100)이 투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470)는, 영상 투사부(485)의 지향 방향이 손 떨림에 의해 가변되더라도, 투사 가능 영역 내에서, 제1 반사 패턴(101c)을 기준으로 고정된 위치에, 원격 제어 화면(1100)이 투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포인터(1105)도 원격 제어 화면1100)과 함께 투사될 수 있다.
다음, 원격 제어 화면 내의 제1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S1040),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부(1030)는, 제1 항목에 대응하는 제1 원격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S1045).
도 11b에서는, 포인터(1105)가, 온도 조절 항목(1101)에 위치한 상태에서, 온도 조절 항목(1101)이 선택되는 것이 예시된다.
한편, 제어부(470)는, 포인터(1105)가, 원격 제어 화면(1100) 내의 제1 항목(1101)에 위치한 것으로 연산된 상태에서, 입력부(430) 내의 제2 버튼(403)이 동작하는 경우, 제1 항목(1101)을 선택하고, 제1 항목(1101)에 대응하는 제1 원격제어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470)는, 수신광에 기초하여, 제1 반사 패턴의 위치를 검출하고, 제어부(470)는, 제1 반사 패턴 대비 포인터의 위치를 센서부로부터의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연산하고, 포인터가, 원격 제어 화면(1100) 내의 제1 항목(1101)에 위치한 것으로 연산된 상태에서, 입력부(430) 내의 제2 버튼(403)이 동작하는 경우, 제1 항목(1101)을 선택하고, 제1 항목(1101)에 대응하는 제1 원격제어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도 11c는, 온도 조절 항목(1101) 선택에 의해, 에어컨(100c)에 설정된 온도가, 27℃에서 26℃로 낮게 설정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의해, 투사 영상 및 포인터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원격제어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원격제어장치(200)에 디스플레이가 없는 경우에도, 외부에 영상과, 포인터를 투사함으로써, 간단하게, 해당 디바이스에 대한 원격제어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2a는, 투사 가능 영역(1200) 내에 원격 제어 화면(1210)이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제어부(470)는, 투사 가능 영역(1200) 내에 원격 제어 화면(1210)이 표시되도록 제어하되, 제1 반사 패턴(101)을 기준으로 원격 제어 화면(1210)이 투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470)는, 영상 투사부(485)의 지향 방향이 손 떨림에 의해 가변되더라도, 투사 가능 영역(1200) 내에서, 제1 반사 패턴(101)을 기준으로 고정된 위치에, 원격 제어 화면(1210)이 투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470)는, 포인터 표시시, 투사 가능 영역(1200)의 제1 영역에, 포인터가 위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영역은, 투사 가능 영역(1200)의 중앙 영역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투사 가능 영역(1200)이 고정인 상태에서, 영상 투사부(485)의 지향 방향이, 손 떨림 또는 손 이동에 따라, 투사 가능 영역(1200) 내에 표시되는 원격 제어 화면(1210)의 표시 위치가 가변될 수 있다.
한편, 포인터(1105)는, 손 떨림 또는 손 이동과 관계없이, 투사 가능 영역(1200)의 중앙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원격 제어 화면(1210) 내에 선택 가능한 항목이 복수개인 상태에서, 손 떨림 또는 손 이동이 없는 제1 시점에, 원격 제어 화면(1210) 내에, 원격제어 가능 항목인, 제1 항목 상에, 포인터(1105)가 위치하는 경우, 제어부(470)는, 제1 항목이 선택되는 것으로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원격 제어 화면(1210) 내에 선택 가능한 항목이 복수개인 상태에서, 손 떨림 또는 손 이동이 있는 제2 시점에, 원격 제어 화면(1210) 내에, 원격제어 가능 항목인, 제2 항목 상에, 위치하는 경우, 제어부(470)는, 제2 항목이 선택되는 것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원격제어항목이 선택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2b는, 배율이 조정된 투사 가능 영역(1200a) 내에 원격 제어 화면(1210a)이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제어부(470)는, 제1 반사 패턴과의 거리 또는 배율 조정 입력에 따라, 투사되는 원격 제어 화면(1210a)의 배율이 가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제1 반사 패턴과의 거리가 작아짐에 따라, 도 12a에 비해, 배율이 증가된 투사 가능 영역(1200a) 내의 원격 제어 화면(1210a)을 예시하나, 이와 달리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도 13a 내지 도 13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원격제어장치(200)를 통해, 다양한 영상이 투사되는 것을 예시한다.
예를 들어, 도 13a와 같이, 장난감(1310)에 반사 패턴이 부착된 경우, 원격제어장치(200)는, 반사 패턴을 인식하고, 장난감(1310)과 관련된 영상(1300)을 주변에 투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3b와 같이, 복수의 원격제어장치(200a,200b)를 이용하여, 복수의 영상(1410a,1410b)을 투사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중첩되는 영역이 발생하는 경우, 이를 회피하기 위한 가이드 메세지가, 복수의 원격제어장치(200a,200b) 중 적어도 하나에서 출력돠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원격제어장치의 동작방법은, 원격제어장치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20)

  1. 송신 신호를 전송하는 송신부;
    제1 반사 패턴으로부터 반사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외부로 영상을 투사하는 영상 투사부;
    복수의 버튼을 구비하는 입력부;
    상기 제1 반사 패턴으로부터의 상기 반사 신호에 기초하여, 제1 디바이스를 인식하고, 상기 제1 반사 패턴에 대응하는 상기 제1 디바이스에 대한 원격 제어 모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영상 투사부를 통해,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원격 제어를 위한, 원격 제어 화면을 외부로 투사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원격 제어 화면 내의 제1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제1 항목에 대응하는 제1 원격제어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송신부는,
    적외선 기반의 송신 신호를 출력하는 IR 모듈과,
    RF 기반의 상기 원격제어신호를 출력하는 RF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원격 제어 화면 외에, 포인터가 더 투사되도록 상기 영상 투사부를 제어하며,
    상기 원격 제어 화면 내의 상기 제1 항목이 상기 포인터에 의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제1 항목에 대응하는 제1 원격제어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 내의 제1 버튼의 동작에 따라, 상기 포인터가 더 투사되도록, 상기 영상 투사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포인터가, 상기 원격 제어 화면 내의 상기 제1 항목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입력부 내의 제2 버튼이 동작하는 경우, 상기 제1 항목을 선택하고, 상기 제1 항목에 대응하는 제1 원격제어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가속도 정보, 회전 각도 정보를 센싱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반사 패턴 대비 상기 포인터의 위치를 상기 센서부로부터의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연산하고, 상기 포인터가, 상기 원격 제어 화면 내의 상기 제1 항목에 위치한 것으로 연산된 상태에서, 상기 입력부 내의 제2 버튼이 동작하는 경우, 상기 제1 항목을 선택하고, 상기 제1 항목에 대응하는 제1 원격제어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반사 패턴을 기준으로 상기 원격 제어 화면이 투사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투사 가능 영역 내에 상기 원격 제어 화면이 표시되도록 제어하되, 상기 제1 반사 패턴을 기준으로 상기 원격 제어 화면이 투사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 투사부의 지향 방향이 손 떨림에 의해 가변되더라도, 상기 투사 가능 영역 내에서, 상기 제1 반사 패턴을 기준으로 고정된 위치에, 상기 원격 제어 화면이 투사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장치.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원격 제어 화면 외에, 포인터가 더 투사되도록 상기 영상 투사부를 제어하며,
    상기 포인터 표시시, 상기 투사 가능 영역의 제1 영역에, 상기 포인터가 위치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장치.
  11.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반사 패턴과의 거리 또는 배율 조정 입력에 따라, 상기 투사되는 원격 제어 화면의 배율이 가변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투사부는,
    상기 외부로 투사되는 영상에 대응하는 가시광을 출력하는 광원부; 및
    상기 가시광을 스캐닝 방식에 의해 외부로 출력하는 스캐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투사부는,
    상기 외부로 투사되는 영상에 대응하는 가시광 및 출력광을 출력하는 광원부;
    상기 가시광 및 출력광을 스캐닝 방식에 의해 외부로 출력하는 스캐너;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력광과, 상기 출력광에 대응하는 수신광에 기초하여, 외부 오브젝트에 대한 거리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가속도 정보, 회전 각도 정보를 센싱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광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반사 패턴의 위치를 검출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원격 제어 화면 외에, 포인터가 더 투사되도록 상기 영상 투사부를 제어하며,
    상기 제1 반사 패턴 대비 상기 포인터의 위치를 상기 센서부로부터의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연산하고, 상기 포인터가, 상기 원격 제어 화면 내의 상기 제1 항목에 위치한 것으로 연산된 상태에서, 상기 입력부 내의 제2 버튼이 동작하는 경우, 상기 제1 항목을 선택하고, 상기 제1 항목에 대응하는 제1 원격제어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원격 제어 화면 외에, 포인터가 더 투사되도록 상기 영상 투사부를 제어하며,
    상기 수신광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반사 패턴의 위치와, 상기 포인터의 위치를 검출하고,
    상기 포인터가, 상기 원격 제어 화면 내의 상기 제1 항목에 위치한 것으로 검출된 상태에서, 상기 입력부 내의 제2 버튼이 동작하는 경우, 상기 제1 항목을 선택하고, 상기 제1 항목에 대응하는 제1 원격제어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장치.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150138014A 2015-09-30 2015-09-30 복수의 디바이스에 대한 원격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원격제어장치 KR1024656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8014A KR102465643B1 (ko) 2015-09-30 2015-09-30 복수의 디바이스에 대한 원격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원격제어장치
US15/280,676 US9881494B2 (en) 2015-09-30 2016-09-29 Remote controller capable of remotely controlling plurality of devices
EP16191618.4A EP3151211B1 (en) 2015-09-30 2016-09-29 Remote controller capable of remotely controlling plurality of devices
CN201611005726.XA CN106559691B (zh) 2015-09-30 2016-09-30 能够遥控多个装置的遥控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8014A KR102465643B1 (ko) 2015-09-30 2015-09-30 복수의 디바이스에 대한 원격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원격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8530A KR20170038530A (ko) 2017-04-07
KR102465643B1 true KR102465643B1 (ko) 2022-11-09

Family

ID=57189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8014A KR102465643B1 (ko) 2015-09-30 2015-09-30 복수의 디바이스에 대한 원격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원격제어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881494B2 (ko)
EP (1) EP3151211B1 (ko)
KR (1) KR102465643B1 (ko)
CN (1) CN10655969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32831A (zh) * 2018-07-20 2018-12-04 温州埃浦特摩尔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遥控方法、装置及系统
CN110491117B (zh) * 2019-08-27 2021-08-06 西安闻泰电子科技有限公司 遥控方法、装置、设备和介质
CN114125011A (zh) * 2021-11-15 2022-03-01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设备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06613A (ja) * 2007-07-10 2007-11-22 Casio Comput Co Ltd 表示制御装置、情報端末装置、表示制御プログラム
JP2013120623A (ja) * 2011-12-06 2013-06-17 Panasonic Corp 照明システム
US20130249811A1 (en) * 2012-03-23 2013-09-26 Microsoft Corporation Controlling a device with visible light
KR101537598B1 (ko) * 2008-10-20 2015-07-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프로젝터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25938B1 (en) * 1999-01-14 2001-05-01 Universal Electronics Inc. Universal remote control system with bar code setup
JP3338825B2 (ja) * 2000-08-22 2002-10-28 エヌイーシービュー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電子プレゼンテーション方法並びにシステム
CN100555059C (zh) * 2006-03-06 2009-10-28 精工爱普生株式会社 电子设备以及投影仪
TW200743010A (en) * 2006-05-10 2007-11-16 Compal Communications Inc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with a projection func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090022097A (ko) * 2007-08-29 2009-03-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원격 제어 방법 및, 원격 제어 장치
JP2011044103A (ja) * 2009-08-24 2011-03-03 Sony Corp 遠隔制御装置、遠隔制御システム、遠隔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WO2011086956A1 (ja) 2010-01-18 2011-07-21 日本電気株式会社 情報端末機器、情報端末機器による操作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439347B2 (ja) * 2010-12-06 2014-03-12 日立コンシューマ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操作制御装置
US20120280948A1 (en) * 2011-05-06 2012-11-08 Ricoh Company, Ltd. Interactive whiteboard using disappearing writing medium
CN202197357U (zh) * 2011-09-19 2012-04-18 青岛海信电器股份有限公司 组合式电视遥控器
CN102692881A (zh) * 2012-05-16 2012-09-26 中国海洋大学 一种基于二维码的家电控制方法及控制系统
US9041914B2 (en) * 2013-03-15 2015-05-26 Faro Technologies, Inc. Three-dimensional coordinate scanner and method of operation
KR102155120B1 (ko) * 2014-02-26 2020-09-11 삼성전자주식회사 뷰 센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홈 제어 시스템, 그리고 이의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06613A (ja) * 2007-07-10 2007-11-22 Casio Comput Co Ltd 表示制御装置、情報端末装置、表示制御プログラム
KR101537598B1 (ko) * 2008-10-20 2015-07-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프로젝터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JP2013120623A (ja) * 2011-12-06 2013-06-17 Panasonic Corp 照明システム
US20130249811A1 (en) * 2012-03-23 2013-09-26 Microsoft Corporation Controlling a device with visible ligh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151211B1 (en) 2019-06-12
US20170092116A1 (en) 2017-03-30
EP3151211A1 (en) 2017-04-05
KR20170038530A (ko) 2017-04-07
US9881494B2 (en) 2018-01-30
CN106559691A (zh) 2017-04-05
CN106559691B (zh) 2019-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27898B2 (en) TOF illumination system and TOF camera and method for operating, with control means for driving electronic devices located in the scene
JP5311470B2 (ja) リモート色制御装置および照明システム
US6967695B2 (en) Remote control network system for remote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electric apparatus such as home appliances
KR102586578B1 (ko) 스마트홈 컨트롤러 냉장고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JP6752848B2 (ja) 照明装置
US20180191890A1 (en) Mobile terminal capable of performing remote control of plurality of devices
KR102465643B1 (ko) 복수의 디바이스에 대한 원격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원격제어장치
KR20050075031A (ko) 지시 디바이스에 기초한 유저 인터페이스 시스템
JPH1124839A (ja) 情報入力装置
KR102400388B1 (ko) 원격제어장치
US20180165951A1 (en) Remote control apparatus capable of remotely controlling multiple devices
US20150373310A1 (en) Lighting Device
US8184211B2 (en) Quasi analog knob control method and appartus using the same
JP2019095595A (ja) 通信装置、表示装置、それら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ならびに表示システム
KR20170001434A (ko) 복수의 디바이스에 대한 원격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 케이스
KR102333931B1 (ko) 영상 투사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10310676B2 (en) Image projection apparatus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2313299B1 (ko) 복수의 디바이스에 대한 원격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원격제어장치
US11700063B2 (en) Appliance remote control
KR102484779B1 (ko) 복수의 디바이스에 대한 원격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원격제어장치 및 그 동작방법
US10364946B1 (en) Smart bulb system
KR102313300B1 (ko) 복수의 디바이스에 대한 원격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원격제어장치
JP2021071894A (ja) 操作装置、操作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578680B1 (ko) 조명 장치를 원격제어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JP2020091361A (ja) マルチプロジェクションシステム及びその調整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