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5170B1 - 알에프 통신을 이용한 도로 터널 소화장치 식별장치 - Google Patents

알에프 통신을 이용한 도로 터널 소화장치 식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5170B1
KR102465170B1 KR1020210192438A KR20210192438A KR102465170B1 KR 102465170 B1 KR102465170 B1 KR 102465170B1 KR 1020210192438 A KR1020210192438 A KR 1020210192438A KR 20210192438 A KR20210192438 A KR 20210192438A KR 102465170 B1 KR102465170 B1 KR 1024651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smoke
tunnel
fire extinguisher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924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알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알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알산업
Priority to KR10202101924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51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51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51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2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area conflagrations, e.g. forest fires, subterranean fires
    • A62C3/0221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area conflagrations, e.g. forest fires, subterranean fires for tunnel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20Hydrants, e.g. wall-hoses, wall units, plug-in cabine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emergency conditions, e.g. fire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FSAFETY DEVICES, TRANSPORT, FILLING-UP, RESCUE, VENTILATION, OR DRAINING IN OR OF MINES OR TUNNELS
    • E21F11/00Rescue devices or other safety devices, e.g. safety chambers or escape w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2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recess-mounted type, e.g. downlighters
    • F21S8/022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recess-mounted type, e.g. downlighters intended to be recessed in a floor or like ground surface, e.g. pavement or false flo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5/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damage
    • F21V15/01Housings, e.g. material or assembling of housing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4Health, life-saving or fire-fighting equipment
    • F21V33/0076Safety or security signalisation, e.g. smoke or burglar alarms, earthquake detectors; Self-defence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005Reflectors for light sources with an elongated shape to cooperate with linear light sour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1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F21W2111/02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for roads, paths or the like
    • F21W2111/023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for roads, paths or the like for pedestrian walkw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Pulmonology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널(30) 내 보행로(32) 상측 벽면(31)에 설치되어 작동시 터널(30) 내 화재를 시청각수단으로 알리는 비상벨스위치(41)와 경광등(42)을 갖고 도어(44)에 의해 개폐되는 내부 공간에는 소화기(43)를 포함하는 소방관련 설비들이 구비되는 소화전함(40)을 포함하는 도로 터널 소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소화전함(40)이 설치된 직하부 보행로(32) 일정길이가 절개되어 분리되면서 도로(50)와 동일평면을 이루게 형성되는 설치공간요부(33); 상기 터널(30) 벽면(31) 다수 곳에 설치되는 연기및화재감지센서(31a); 상기 설치공간요부(33)에 안착되는 반투명 재질의 박스체로 전후방측에 각각 수직기립되어 보행로(32) 선단면과 각각 밀착되는 직사각판체인 전후방사각판(11a,11b)을 각각 갖고 전후방사각판(11a,11b)의 바닥면과 우측면을 각각 이음연결하는 바닥판(11c)과 우측판(11d)을 각각 갖으며 우측단은 전후방사각판(11a,11b) 우측상단에 각각 고정되고 좌측단은 전후방사각판(11a,11b) 좌측하단에 각각 경사지게 고정설치되는 상면만 반사상면(12a)이 형성된 판체인 내측경사반사판(12)을 갖고 좌측단은 전후방사각판(11a,11b) 좌측상단에 각각 고정되고 우측단은 내측경사반사판(12) 반사면(12a) 중심부에 위치되어 밀착되면서 전후방사각판(11a,11b)에 각각 고정설치되는 양면이 반사면인 상하부반사면(13a,13b)이 형성된 상부경사반사판(13)을 갖으며 바닥판(11c) 및 우측판(11d)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연기및화재감지센서(31a)와 알에프 신호로 통신연결되는 박스체인 알에프수신부및제어박스(14)를 갖고 내측경사반사판(12)과 상부경사반사판(13)이 만나는 지점의 상측에서 전후방사각판(11a,11b)에 각각 고정되게 조명설치되어 소화전함(40) 방향으로 조명하는 연기투시상부엘이디(15)를 갖으며 내측경사반사판(12)과 상부경사반사판(13)이 만나는 지점의 좌측에서 전후방사각판(11a,11b)에 각각 고정되게 조명설치되어 도로(50) 방향으로 조명하는 연기투시측부엘이디(16)를 갖는 조명박스몸체(11)가 형성되고, 투명판체로 일측은 조명박스몸체(11)의 전후방사각판(11a,11b) 상단에 안착되어 고정설치되는 상면커버(17a)를 갖고 타측은 상면커버(17a) 좌측단에서 하부로 수직절곡되어 전후방사각판(11a,11b) 좌측단에 고정설치되는 측면커버(17b)를 갖는 투명조명커버(17)가 형성되는 연기투시엘이디조명박스(10); 상기 연기투시엘이디조명박스(10) 투명조명커버(17)의 상면커버(17a) 상측에 수평으로 위치되어 상면이 보행로(32) 상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고 우측단은 터널(30) 벽면(31)과 밀착되며 좌우측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통공(21aa)이 형성되는 수평지지대(21a)를 갖고 수평지지대(21a) 좌측단에서 도로(50)측으로 연장되어 선단이 도로(50)와 밀착되되 좌측면이 보행로(32) 최측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는 외측지지대(21b)를 갖는 횡방향지지프레임(21)이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 다수개 형성되고, 다수개 횡방향지지프레임(21) 우측단을 길이방향으로 고정지지하고 일정간격 상부로 수직돌출되어 터널(30) 벽면(31)에 앵커볼트(22c)에 의해 고정되는 볼트공(22b)이 통공형성된 고정바(22a)를 갖는 우측단지지프레임(22)이 형성되며, 다수개 횡방향지지프레임(21) 좌측단을 길이방향으로 고정지지하는 좌측단지지프레임(23)이 형성되며, 다수개 횡방향지지프레임(21) 수평지지대(21a)의 통공(21aa)을 길이방향으로 연결지지하는 봉체인 종방향상단지지봉(24)을 갖는 조명박스보호프레임(20); 상기 소화전함(40)의 도어(44)는, 우측단부 중심에 회동축(44a)이 형성되고, 우측단 외측면은 평면이 원형으로 랙기어부(44b)가 형성되며, 랙기어부(44b)에는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알에프수신부및제어박스(14)와 통신연결되고 화재시 도어(44)를 개방시키는 정역회전모터(44c)의 피니언기어부(44ca)가 기어결합되고, 좌측단부 내측면에는 선단부에 상하로 잠금공(44da)이 통공형성된 잠금바(44d)가 돌출형성되며, 소화전함(40) 내측면에는 상기 알에프수신부및제어박스(14)와 통신연결되어 잠금바(44d)가 단속장공(45c)을 통해 삽입되고 삽입된 잠금바(44d)의 잠금공(44da)에 솔레노이드(45a)의 단속바(45b)가 삽입되어 화재시 솔레노이드(45a)의 단속바(45b)가 잠금바(44d)의 잠금공(44da)에서 분리되는 솔레노이드도어괘정장치(45)가 형성되고, 소화전함(40) 내부 상면에는 상기 알에프수신부및제어박스(14)와 통신연결되어 회재시 점등되는 조명등(46)이 형성되며; 상기 알에프수신부및제어박스(14)와 통신연결되는 원격의 관리자단말기(60)를 구비하는 알에프 통신을 이용한 도로 터널 소화장치 식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터널 벽면에 설치된 다수개 연기및화재감지센서에 의해 손쉽게 터널내 화재를 인식할 수 있고 터널 내 화재시 연기와 각종 소음이 발생하더라도 소화기가 수납된 인근의 소화전함을 연기투시상부엘이디와 연기투시측부엘이디에 의해 손쉽게 찾을 수 있으며 이때 자동으로 소화기가 수납된 소화전함의 도어가 자동으로 오픈됨에 따라 소화전함 인근의 사용자가 소화전함에서 손쉽고 신속하게 소화기를 꺼내 신속히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알에프 통신을 이용한 도로 터널 소화장치 식별장치{Fire extinguisher identification device of a road tunnel using RF communication}
본 발명은 알에프 통신을 이용한 도로 터널 소화장치 식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터널 벽면에 설치된 다수개 연기및화재감지센서에 의해 손쉽게 터널내 화재를 인식할 수 있고 터널 내 화재시 연기와 각종 소음이 발생하더라도 소화기가 수납된 인근의 소화전함을 연기투시상부엘이디와 연기투시측부엘이디에 의해 손쉽게 찾을 수 있으며 이때 자동으로 소화기가 수납된 소화전함의 도어가 자동으로 오픈됨에 따라 소화전함 인근의 사용자가 소화전함에서 손쉽고 신속하게 소화기를 꺼내 신속히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알에프 통신을 이용한 도로 터널 소화장치 식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방시설이란 화재발생시 화재발생 사실을 탐지하여 주위에 통보하는 시설과 이를 소화하기 위한 일련의 시설 그리고, 피해가 우려되는 소화에 필요한 용수를 확보하기 위한 시설 및 소방대의 소화활동을 보조하기 위한 시설 등을 총칭하는 것으로 소화설비, 경보설비, 피난설비, 소방용수설비 및 소화활동설비로 구분된다.
이중 소화설비는 우리가 잘 알고 있는 옥내와 옥외에 설치되는 소화기구 및 스프링쿨러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경보설비는 건물 내에서 발생한 화재를 초기단계에서 화재에 의해 발생하는 열, 연기 또는 화염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화재를 발견하고, 벨 또는 사이렌 등의 음향장치에 의해 건물 내의 관계자 또는 거주자에게 경보를 발하는 설비로 수신기, 감지기, 발신기, 음향장치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소화설비는 화재의 초기 진압에 가장 요긴하게 사용되는 설비로 일반 가정집을 포함하여 건물 등의 곳곳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설비이다.
그러나, 이러한 소화설비 중 수동식 소화기는 일반인에게 가장 널리 이용되는 설비이나 화재시에는 효과적 으로 사용되지 못하는 경우가 다반사다. 이유는 화재시 동반되는 다량의 스모그에 의해 비치된 위치를 정확히 식별할 수 없어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에, "소화기를 지지하는 소화기용 지지대에 있어서, 상기 소화기의 하부 영역을 수용하여 지지하도록 판면에 함몰부가 형성된 지지대본체와; 상기 지지대본체에 마련되며 화재에 의해 발생한 열이나 연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감지하는 화재감지센서와; 상기 지지대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소화기의 위치를 외부로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화재감지센서의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부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용 지지대."가 실용등록 제20-0279460호(2002.06.24.공고)로 개시된바 있었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기술은, 열 또는 연기의 감지가 이루어 질 수 있는 일정 근접부위까지 화재가 진행되어야만 작동을 취하는 문제로 다소 거리가 있는 타 공간에서 화재가 발생시에는 이미 화재가 상당히 진행된 후에야 경보음 또는 경보램프를 작동시키므로 효과적인 진화에 이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상술한 소화설비는 조기 진화에 이용하지 않으면 사실상 큰 효과를 볼 수 없는 설비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소화기를 안치하는 모든 지지대 내에 각각 화재감지센서(열감지센서,연기감지센서)를 설치해 주어야 함에 따라 제조원가의 상승을 초래하여 구매자의 경제적 부담을 가중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런 문제점읗 해결하기 위하여, "건물 내의 벽부에 설치되어 있어 방호 대상물의 임의구역 내 감지기(1) 또는 발신기(2)로 발하여진 신호를 수신하여 화재 발생지점을 표시함과 동시에 경보 음향 및 조명을 작동시킬 수 있도록 제작되어 있되, 이와같은 화재 신호를 수신시 동시에 화재 경보 RF 신호를 발생시키는 알람 TX 보드(10)를 일체로 구비하고 있는 P형 일급 수신기(3)와; 상기, 알람 TX 보드(10)에서 발생된 신호를 수신시 경고 음향을 발생시킴과 동시에 안개 투시 조명을 점등
시킬 수 있도록 알람 RX 보드(20)와 알람장치(21) 및 안개 투시 랜턴장치(22)를 일체로 구비하고 있는 소화기(4) 지지대(5)를 일체로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화기 식별용 소방시설."이 실용등록 제20-0324117호(2003.08.21.공고)로 개시된바 있었다.
그러나 이런 종래의 진화기 식별용 소방시설은, 건물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피(P)형 일급 수신기가 화재를 감지하여 경보 작동을 취할시 이와 연동하여 고유의 알에프(RF)신호를 발생시켜 알람장치 및 안개 투시 랜턴장치를 통해 경보 음향과 조명을 발하였으나, 이를 터널에 설치시 화재시 연기와 각종 소음으로 인해 사용자가 평상시 진화기의 위치를 인지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진화기를 찾아 소화활동에 사용하기 쉽지 않은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KR) 대한민국 실용등록 제20-0279460호(2002.06.24.공고) (KR) 대한민국 실용등록 제20-0324117호(2003.08.21.공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터널 벽면에 설치된 다수개 연기및화재감지센서에 의해 손쉽게 터널내 화재를 인식할 수 있고 터널 내 화재시 연기와 각종 소음이 발생하더라도 소화기가 수납된 인근의 소화전함을 연기투시상부엘이디와 연기투시측부엘이디에 의해 손쉽게 찾을 수 있으며 이때 자동으로 소화기가 수납된 소화전함의 도어가 자동으로 오픈됨에 따라 소화전함 인근의 사용자가 소화전함에서 손쉽고 신속하게 소화기를 꺼내 신속히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알에프 통신을 이용한 도로 터널 소화장치 식별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 언급한 과제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터널(30) 내 보행로(32) 상측 벽면(31)에 설치되어 작동시 터널(30) 내 화재를 시청각수단으로 알리는 비상벨스위치(41)와 경광등(42)을 갖고 도어(44)에 의해 개폐되는 내부 공간에는 소화기(43)를 포함하는 소방관련 설비들이 구비되는 소화전함(40)을 포함하는 도로 터널 소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소화전함(40)이 설치된 직하부 보행로(32) 일정길이가 절개되어 분리되면서 도로(50)와 동일평면을 이루게 형성되는 설치공간요부(33);
상기 터널(30) 벽면(31) 다수 곳에 설치되는 연기및화재감지센서(31a);
상기 설치공간요부(33)에 안착되는 반투명 재질의 박스체로 전후방측에 각각 수직기립되어 보행로(32) 선단면과 각각 밀착되는 직사각판체인 전후방사각판(11a,11b)을 각각 갖고 전후방사각판(11a,11b)의 바닥면과 우측면을 각각 이음연결하는 바닥판(11c)과 우측판(11d)을 각각 갖으며 우측단은 전후방사각판(11a,11b) 우측상단에 각각 고정되고 좌측단은 전후방사각판(11a,11b) 좌측하단에 각각 경사지게 고정설치되는 상면만 반사상면(12a)이 형성된 판체인 내측경사반사판(12)을 갖고 좌측단은 전후방사각판(11a,11b) 좌측상단에 각각 고정되고 우측단은 내측경사반사판(12) 반사면(12a) 중심부에 위치되어 밀착되면서 전후방사각판(11a,11b)에 각각 고정설치되는 양면이 반사면인 상하부반사면(13a,13b)이 형성된 상부경사반사판(13)을 갖으며 바닥판(11c) 및 우측판(11d)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연기및화재감지센서(31a)와 알에프 신호로 통신연결되는 박스체인 알에프수신부및제어박스(14)를 갖고 내측경사반사판(12)과 상부경사반사판(13)이 만나는 지점의 상측에서 전후방사각판(11a,11b)에 각각 고정되게 조명설치되어 소화전함(40) 방향으로 조명하는 연기투시상부엘이디(15)를 갖으며 내측경사반사판(12)과 상부경사반사판(13)이 만나는 지점의 좌측에서 전후방사각판(11a,11b)에 각각 고정되게 조명설치되어 도로(50) 방향으로 조명하는 연기투시측부엘이디(16)를 갖는 조명박스몸체(11)가 형성되고, 투명판체로 일측은 조명박스몸체(11)의 전후방사각판(11a,11b) 상단에 안착되어 고정설치되는 상면커버(17a)를 갖고 타측은 상면커버(17a) 좌측단에서 하부로 수직절곡되어 전후방사각판(11a,11b) 좌측단에 고정설치되는 측면커버(17b)를 갖는 투명조명커버(17)가 형성되는 연기투시엘이디조명박스(10);
상기 연기투시엘이디조명박스(10) 투명조명커버(17)의 상면커버(17a) 상측에 수평으로 위치되어 상면이 보행로(32) 상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고 우측단은 터널(30) 벽면(31)과 밀착되며 좌우측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통공(21aa)이 형성되는 수평지지대(21a)를 갖고 수평지지대(21a) 좌측단에서 도로(50)측으로 연장되어 선단이 도로(50)와 밀착되되 좌측면이 보행로(32) 최측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는 외측지지대(21b)를 갖는 횡방향지지프레임(21)이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 다수개 형성되고, 다수개 횡방향지지프레임(21) 우측단을 길이방향으로 고정지지하고 일정간격 상부로 수직돌출되어 터널(30) 벽면(31)에 앵커볼트(22c)에 의해 고정되는 볼트공(22b)이 통공형성된 고정바(22a)를 갖는 우측단지지프레임(22)이 형성되며, 다수개 횡방향지지프레임(21) 좌측단을 길이방향으로 고정지지하는 좌측단지지프레임(23)이 형성되며, 다수개 횡방향지지프레임(21) 수평지지대(21a)의 통공(21aa)을 길이방향으로 연결지지하는 봉체인 종방향상단지지봉(24)을 갖는 조명박스보호프레임(20);
상기 소화전함(40)의 도어(44)는, 우측단부 중심에 회동축(44a)이 형성되고, 우측단 외측면은 평면이 원형으로 랙기어부(44b)가 형성되며, 랙기어부(44b)에는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알에프수신부및제어박스(14)와 통신연결되고 화재시 도어(44)를 개방시키는 정역회전모터(44c)의 피니언기어부(44ca)가 기어결합되고, 좌측단부 내측면에는 선단부에 상하로 잠금공(44da)이 통공형성된 잠금바(44d)가 돌출형성되며, 소화전함(40) 내측면에는 상기 알에프수신부및제어박스(14)와 통신연결되어 잠금바(44d)가 단속장공(45c)을 통해 삽입되고 삽입된 잠금바(44d)의 잠금공(44da)에 솔레노이드(45a)의 단속바(45b)가 삽입되어 화재시 솔레노이드(45a)의 단속바(45b)가 잠금바(44d)의 잠금공(44da)에서 분리되는 솔레노이드도어괘정장치(45)가 형성되고, 소화전함(40) 내부 상면에는 상기 알에프수신부및제어박스(14)와 통신연결되어 회재시 점등되는 조명등(46)이 형성되며;
상기 알에프수신부및제어박스(14)와 통신연결되는 원격의 관리자단말기(60)를 구비하는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터널 벽면에 설치된 다수개 연기및화재감지센서에 의해 손쉽게 터널내 화재를 인식할 수 있고 터널 내 화재시 연기와 각종 소음이 발생하더라도 소화기가 수납된 인근의 소화전함을 연기투시상부엘이디와 연기투시측부엘이디에 의해 손쉽게 찾을 수 있으며 이때 자동으로 소화기가 수납된 소화전함의 도어가 자동으로 오픈됨에 따라 소화전함 인근의 사용자가 소화전함에서 손쉽고 신속하게 소화기를 꺼내 신속히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 예인 알에프 통신을 이용한 도로 터널 소화장치 식별장치의 체결모습을 보인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 예인 알에프 통신을 이용한 도로 터널 소화장치 식별장치의 결합상태를 보인 사용상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 예인 알에프 통신을 이용한 도로 터널 소화장치 식별장치의 시공모습을 보인 요부확대 평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 예인 알에프 통신을 이용한 도로 터널 소화장치 식별장치의 시공모습을 보인 요부확대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 예인 알에프 통신을 이용한 도로 터널 소화장치 식별장치의 작동상태를 보인 사용상태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된 것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아래 실시 예에서의 선택적인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알에프 통신을 이용한 도로 터널 소화장치 식별장치는, 터널(30) 내 보행로(32) 상측 벽면(31)에 설치되어 작동시 터널(30) 내 화재를 시청각수단으로 알리는 비상벨스위치(41)와 경광등(42)을 갖고 도어(44)에 의해 개폐되는 내부 공간에는 소화기(43)를 포함하는 소방관련 설비들이 구비되는 소화전함(40)과, 상기 소화전함(40)이 설치된 직하부 보행로(32) 일정길이가 절개되어 분리되면서 도로(50)와 동일평면을 이루게 형성되는 설치공간요부(33)와, 상기 터널(30) 벽면(31) 다수 곳에 설치되는 연기및화재감지센서(31a)와, 연기투시엘이디조명박스(10)와, 조명박스보호프레임(20)과, 상기 알에프수신부및제어박스(14)와 통신연결되는 원격의 관리자단말기(60)로 구성된다.
상기 연기투시엘이디조명박스(10)는, 상기 설치공간요부(33)에 안착되는 반투명 재질의 박스체로 전후방측에 각각 수직기립되어 보행로(32) 선단면과 각각 밀착되는 직사각판체인 전후방사각판(11a,11b)을 각각 갖고 전후방사각판(11a,11b)의 바닥면과 우측면을 각각 이음연결하는 바닥판(11c)과 우측판(11d)을 각각 갖으며 우측단은 전후방사각판(11a,11b) 우측상단에 각각 고정되고 좌측단은 전후방사각판(11a,11b) 좌측하단에 각각 경사지게 고정설치되는 상면만 반사상면(12a)이 형성된 판체인 내측경사반사판(12)을 갖고 좌측단은 전후방사각판(11a,11b) 좌측상단에 각각 고정되고 우측단은 내측경사반사판(12) 반사면(12a) 중심부에 위치되어 밀착되면서 전후방사각판(11a,11b)에 각각 고정설치되는 양면이 반사면인 상하부반사면(13a,13b)이 형성된 상부경사반사판(13)을 갖으며 바닥판(11c) 및 우측판(11d)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연기및화재감지센서(31a)와 알에프 신호로 통신연결되는 박스체인 알에프수신부및제어박스(14)를 갖고 내측경사반사판(12)과 상부경사반사판(13)이 만나는 지점의 상측에서 전후방사각판(11a,11b)에 각각 고정되게 조명설치되어 소화전함(40) 방향으로 조명하는 연기투시상부엘이디(15)를 갖으며 내측경사반사판(12)과 상부경사반사판(13)이 만나는 지점의 좌측에서 전후방사각판(11a,11b)에 각각 고정되게 조명설치되어 도로(50) 방향으로 조명하는 연기투시측부엘이디(16)를 갖는 조명박스몸체(11)가 형성되고, 투명판체로 일측은 조명박스몸체(11)의 전후방사각판(11a,11b) 상단에 안착되어 고정설치되는 상면커버(17a)를 갖고 타측은 상면커버(17a) 좌측단에서 하부로 수직절곡되어 전후방사각판(11a,11b) 좌측단에 고정설치되는 측면커버(17b)를 갖는 투명조명커버(17)가 형성된다.
상기 조명박스보호프레임(20)은, 상기 연기투시엘이디조명박스(10) 투명조명커버(17)의 상면커버(17a) 상측에 수평으로 위치되어 상면이 보행로(32) 상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고 우측단은 터널(30) 벽면(31)과 밀착되며 좌우측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통공(21aa)이 형성되는 수평지지대(21a)를 갖고 수평지지대(21a) 좌측단에서 도로(50)측으로 연장되어 선단이 도로(50)와 밀착되되 좌측면이 보행로(32) 최측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는 외측지지대(21b)를 갖는 횡방향지지프레임(21)이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 다수개 형성되고, 다수개 횡방향지지프레임(21) 우측단을 길이방향으로 고정지지하고 일정간격 상부로 수직돌출되어 터널(30) 벽면(31)에 앵커볼트(22c)에 의해 고정되는 볼트공(22b)이 통공형성된 고정바(22a)를 갖는 우측단지지프레임(22)이 형성되며, 다수개 횡방향지지프레임(21) 좌측단을 길이방향으로 고정지지하는 좌측단지지프레임(23)이 형성되며, 다수개 횡방향지지프레임(21) 수평지지대(21a)의 통공(21aa)을 길이방향으로 연결지지하는 봉체인 종방향상단지지봉(24)을 갖는다.
상기 소화전함(40)의 도어(44)는, 우측단부 중심에 회동축(44a)이 형성되고, 우측단 외측면은 평면이 원형으로 랙기어부(44b)가 형성되며, 랙기어부(44b)에는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알에프수신부및제어박스(14)와 통신연결되고 화재시 도어(44)를 개방시키는 정역회전모터(44c)의 피니언기어부(44ca)가 기어결합되고, 좌측단부 내측면에는 선단부에 상하로 잠금공(44da)이 통공형성된 잠금바(44d)가 돌출형성되며, 소화전함(40) 내측면에는 상기 알에프수신부및제어박스(14)와 통신연결되어 잠금바(44d)가 단속장공(45c)을 통해 삽입되고 삽입된 잠금바(44d)의 잠금공(44da)에 솔레노이드(45a)의 단속바(45b)가 삽입되어 화재시 솔레노이드(45a)의 단속바(45b)가 잠금바(44d)의 잠금공(44da)에서 분리되는 솔레노이드도어괘정장치(45)가 형성되고, 소화전함(40) 내부 상면에는 상기 알에프수신부및제어박스(14)와 통신연결되어 회재시 점등되는 조명등(46)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터널(30) 벽면(31)에 설치된 다수개 연기및화재감지센서(31a)와 알에프수신부및제어박스(14)에 의해 원격의 관리자가 관리자단말기(60)로 손쉽게 터널(30)내 화재를 인식할 수 있고, 터널(30) 내 화재시 연기와 각종 소음이 발생하더라도 소화기(43)가 수납된 인근의 소화전함(40)을 연기투시상부엘이디(15)와 연기투시측부엘이디(16)에 의해 연기를 투과하여서 손쉽게 찾을 수 있으며, 이때 자동으로 소화기(43)가 내부 수납된 소화전함(40)의 도어(44)가 자동으로 오픈됨에 따라 화재시 소화전함(40) 인근의 사용자가 도어(44)가 오픈된 소화전함(40)에서 손쉽고 신속하게 소화기(43)를 꺼내 신속히 화재를 진압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 및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연기투시엘이디조명박스
11 : 조명박스몸체
14 : 알에프수신부및제어박스
15 ; 연기투시상부엘이디
16 : 연기투시측부엘이디
17 : 투명조명커버
20 : 조명박스보호프레임
30 : 터널
31 : 벽면
31a : 연기및화재감지센서
32 ; 보행로
33 : 설치공간요부
40 : 소화전함
50 : 도로
60 : 관리자단말기

Claims (1)

  1. 터널(30) 내 보행로(32) 상측 벽면(31)에 설치되어 작동시 터널(30) 내 화재를 시청각수단으로 알리는 비상벨스위치(41)와 경광등(42)을 갖고 도어(44)에 의해 개폐되는 내부 공간에는 소화기(43)를 포함하는 소방관련 설비들이 구비되는 소화전함(40)을 포함하는 도로 터널 소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소화전함(40)이 설치된 직하부 보행로(32) 일정길이가 절개되어 분리되면서 도로(50)와 동일평면을 이루게 형성되는 설치공간요부(33);
    상기 터널(30) 벽면(31) 다수 곳에 설치되는 연기및화재감지센서(31a);
    상기 설치공간요부(33)에 안착되는 반투명 재질의 박스체로 전후방측에 각각 수직기립되어 보행로(32) 선단면과 각각 밀착되는 직사각판체인 전후방사각판(11a,11b)을 각각 갖고 전후방사각판(11a,11b)의 바닥면과 우측면을 각각 이음연결하는 바닥판(11c)과 우측판(11d)을 각각 갖으며 우측단은 전후방사각판(11a,11b) 우측상단에 각각 고정되고 좌측단은 전후방사각판(11a,11b) 좌측하단에 각각 경사지게 고정설치되는 상면만 반사상면(12a)이 형성된 판체인 내측경사반사판(12)을 갖고 좌측단은 전후방사각판(11a,11b) 좌측상단에 각각 고정되고 우측단은 내측경사반사판(12) 반사면(12a) 중심부에 위치되어 밀착되면서 전후방사각판(11a,11b)에 각각 고정설치되는 양면이 반사면인 상하부반사면(13a,13b)이 형성된 상부경사반사판(13)을 갖으며 바닥판(11c) 및 우측판(11d)에 고정설치되어 연기및화재감지센서(31a)와 알에프 신호로 통신연결되는 박스체인 알에프수신부및제어박스(14)를 갖고 내측경사반사판(12)과 상부경사반사판(13)이 만나는 지점의 상측에서 전후방사각판(11a,11b)에 각각 고정되게 조명설치되어 소화전함(40) 방향으로 조명하는 연기투시상부엘이디(15)를 갖으며 내측경사반사판(12)과 상부경사반사판(13)이 만나는 지점의 좌측에서 전후방사각판(11a,11b)에 각각 고정되게 조명설치되어 도로(50) 방향으로 조명하는 연기투시측부엘이디(16)를 갖는 조명박스몸체(11)가 형성되고, 투명판체로 일측은 조명박스몸체(11)의 전후방사각판(11a,11b) 상단에 안착되어 고정설치되는 상면커버(17a)를 갖고 타측은 상면커버(17a) 좌측단에서 하부로 수직절곡되어 전후방사각판(11a,11b) 좌측단에 고정설치되는 측면커버(17b)를 갖는 투명조명커버(17)가 형성되는 연기투시엘이디조명박스(10);
    상기 연기투시엘이디조명박스(10) 투명조명커버(17)의 상면커버(17a) 상측에 수평으로 위치되어 상면이 보행로(32) 상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고 우측단은 터널(30) 벽면(31)과 밀착되며 좌우측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통공(21aa)이 형성되는 수평지지대(21a)를 갖고 수평지지대(21a) 좌측단에서 도로(50)측으로 연장되어 선단이 도로(50)와 밀착되되 좌측면이 보행로(32) 최측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는 외측지지대(21b)를 갖는 횡방향지지프레임(21)이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 다수개 형성되고, 다수개 횡방향지지프레임(21) 우측단을 길이방향으로 고정지지하고 일정간격 상부로 수직돌출되어 터널(30) 벽면(31)에 앵커볼트(22c)에 의해 고정되는 볼트공(22b)이 통공형성된 고정바(22a)를 갖는 우측단지지프레임(22)이 형성되며, 다수개 횡방향지지프레임(21) 좌측단을 길이방향으로 고정지지하는 좌측단지지프레임(23)이 형성되며, 다수개 횡방향지지프레임(21) 수평지지대(21a)의 통공(21aa)을 길이방향으로 연결지지하는 봉체인 종방향상단지지봉(24)을 갖는 조명박스보호프레임(20);
    상기 소화전함(40)의 도어(44)는, 우측단부 중심에 회동축(44a)이 형성되고, 우측단 외측면은 평면이 원형으로 랙기어부(44b)가 형성되며, 랙기어부(44b)에는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알에프수신부및제어박스(14)와 통신연결되고 화재시 도어(44)를 개방시키는 정역회전모터(44c)의 피니언기어부(44ca)가 기어결합되고, 좌측단부 내측면에는 선단부에 상하로 잠금공(44da)이 통공형성된 잠금바(44d)가 돌출형성되며, 소화전함(40) 내측면에는 상기 알에프수신부및제어박스(14)와 통신연결되어 잠금바(44d)가 단속장공(45c)을 통해 삽입되고 삽입된 잠금바(44d)의 잠금공(44da)에 솔레노이드(45a)의 단속바(45b)가 삽입되어 화재시 솔레노이드(45a)의 단속바(45b)가 잠금바(44d)의 잠금공(44da)에서 분리되는 솔레노이드도어괘정장치(45)가 형성되고, 소화전함(40) 내부 상면에는 상기 알에프수신부및제어박스(14)와 통신연결되어 회재시 점등되는 조명등(46)이 형성되며;
    상기 알에프수신부및제어박스(14)와 통신연결되는 원격의 관리자단말기(60)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알에프 통신을 이용한 도로 터널 소화장치 식별장치.
KR1020210192438A 2021-12-30 2021-12-30 알에프 통신을 이용한 도로 터널 소화장치 식별장치 KR1024651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2438A KR102465170B1 (ko) 2021-12-30 2021-12-30 알에프 통신을 이용한 도로 터널 소화장치 식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2438A KR102465170B1 (ko) 2021-12-30 2021-12-30 알에프 통신을 이용한 도로 터널 소화장치 식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5170B1 true KR102465170B1 (ko) 2022-11-10

Family

ID=841018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92438A KR102465170B1 (ko) 2021-12-30 2021-12-30 알에프 통신을 이용한 도로 터널 소화장치 식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5170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9460Y1 (ko) 2002-03-19 2002-06-24 정희윤 소화기용 지지대
KR200324117Y1 (ko) 2003-04-11 2003-08-21 정희윤 진화기 식별용 소방시설
KR100723026B1 (ko) * 2006-03-02 2007-05-31 주식회사 포이즈앤컴팩트 비상표시 및 탈출표시수단을 구비한 터널 및 지하차도의안전 유도등
JP2011206115A (ja) * 2010-03-29 2011-10-20 Hochiki Corp トンネル火災告知設備
KR101483712B1 (ko) * 2014-05-27 2015-01-19 현대아이티에스전자(주) 터널내 비상 상황 안내 시스템 및 방법
JP2017201448A (ja) * 2016-05-02 2017-11-09 株式会社シブタニ トイレ監視システム
KR101828994B1 (ko) * 2016-09-30 2018-02-13 주식회사 지에프에스 지능형 통합 방재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9460Y1 (ko) 2002-03-19 2002-06-24 정희윤 소화기용 지지대
KR200324117Y1 (ko) 2003-04-11 2003-08-21 정희윤 진화기 식별용 소방시설
KR100723026B1 (ko) * 2006-03-02 2007-05-31 주식회사 포이즈앤컴팩트 비상표시 및 탈출표시수단을 구비한 터널 및 지하차도의안전 유도등
JP2011206115A (ja) * 2010-03-29 2011-10-20 Hochiki Corp トンネル火災告知設備
KR101483712B1 (ko) * 2014-05-27 2015-01-19 현대아이티에스전자(주) 터널내 비상 상황 안내 시스템 및 방법
JP2017201448A (ja) * 2016-05-02 2017-11-09 株式会社シブタニ トイレ監視システム
KR101828994B1 (ko) * 2016-09-30 2018-02-13 주식회사 지에프에스 지능형 통합 방재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L2002295C2 (en) Illumination system including a variety of illumination devices.
JP6584771B2 (ja) 表示灯
US4651144A (en) Security housing with motion detector
CA2809448A1 (en) Emergency lighting system with projected directional indication
JP4106381B2 (ja) 消火栓格納箱
KR101996827B1 (ko) 공동주택의 신속한 화재진압을 위한 소방방재장치
JP2017055992A (ja) 消防用設備
KR101560348B1 (ko) 터널용 소화전함
KR101775770B1 (ko) 소방용 비상 경보장치
KR102465170B1 (ko) 알에프 통신을 이용한 도로 터널 소화장치 식별장치
KR20210000053U (ko) 시각경보장치를 구비한 거실용 입체형 피난구 유도등
AU2022100030A4 (en) Safety corridor arrangement
JP2003290379A (ja) 消火栓装置
KR102224167B1 (ko) 임시소방설비용 비상경보장치
KR20160150558A (ko) Led 표시판을 구비한 cctv 감시 카메라 시스템
JP2019141644A (ja) 消防用設備
KR101900203B1 (ko) 화재 감지기 및 이를 포함하는 지능형 자동화재탐지 시스템
KR20040082476A (ko) 소방용구 보관함(구급함)을 이용한 조명(비조명)표시광고
KR200358354Y1 (ko) 소화기 지지대 음성 전달 장치
KR200324117Y1 (ko) 진화기 식별용 소방시설
KR20170136245A (ko) led경보소화기
KR20200094322A (ko) 비상스위치 기능이 구비된 옥내소화전함
KR100267257B1 (ko) 음성 발신 및 백라이트 기능을 갖는 소화전 시스템
KR200335472Y1 (ko) 비상기구함
JP6845398B2 (ja) ガス系消火設備用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