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5049B1 - Serving robot for serving and leaving food - Google Patents

Serving robot for serving and leaving fo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5049B1
KR102465049B1 KR1020220023779A KR20220023779A KR102465049B1 KR 102465049 B1 KR102465049 B1 KR 102465049B1 KR 1020220023779 A KR1020220023779 A KR 1020220023779A KR 20220023779 A KR20220023779 A KR 20220023779A KR 102465049 B1 KR102465049 B1 KR 1024650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ng
gripper
tray
robot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377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임종엽
Original Assignee
임종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종엽 filed Critical 임종엽
Priority to KR10202200237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504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50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504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J11/008Manipulators for service tas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J11/0045Manipulators used in the food indust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5/00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2Sens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5/00Manipulators mounted on wheels or on carriages
    • B25J5/007Manipulators mounted on wheels or on carriages mounted on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56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programming, planning systems for manipulators
    • B25J9/1664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programming, planning systems for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motion, path, trajectory plan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94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use of sensors other than normal servo-feedback from position, speed or acceleration sensors, perception control, multi-sensor controlled systems, sensor fu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erving robot for easily serving and leaving food in a restaurant where height or arrangement of a table a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ing robot for serving and leaving food comprises: a housing having a plurality of wheels; a plurality of storage units formed inside the housing and storing a tray; a gripper positioned inside the storage units and moving the tray into the storage units or moving the tray to the outside of the storage units; and a distance sensor provided on a side surface of the housing and recognizing a distance from the table.

Description

음식 서빙 및 퇴식을 위한 서빙 로봇 {Serving robot for serving and leaving food}Serving robot for serving and leaving food}

본 발명은 서빙 및 퇴식을 위한 서빙 로봇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테이블의 높이나 배치가 다른 음식점에서 용이하게 음식을 서빙 및 퇴식하는 서빙 로봇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rving robot for serving and eating out, and more particularly, to a serving robot that easily serves and eats food at a restaurant having a different table height or arrangement.

종래의 서빙 로봇은 음식이 담긴 트레이를 싣고 손님의 테이블 옆으로 이동, 식당의 직원이 음식을 내려 놓거나 손님이 직접 음식을 내려야 하는 불편함이 있어, 음식점 내에서 트레이 위에 담긴 음식을 이송하는 역할을 서빙 로봇이 담당하는 둥 현장 직원의 보조 역할 정도에 그치고 있다.Conventional serving robots load a tray with food and move it to the side of a customer's table, and there is an inconvenience in that a restaurant employee puts down the food or the customer has to unload the food himself. As the serving robot is in charge, it is limited to an auxiliary role for field staff.

서빙 로봇의 서빙하는 속도에 있어, 동선이 짧은 소규모 식당에서는 서빙로봇은 출발시점과 도착시점에서 가감속이 있기 때문에 그 처리속도가 현장 직원에 비해 확연히 떨어져, 현장 직원이 처리할 수 있는 속도를 서빙로봇이 따라가지 못하지만, 손님이 직원을 통해 주문하는 방식에서 각 테이블에 있는 태블릿을 사용하거나 키오스크를 사용하는 주문 방식이 보편화되면서, 일반 식당에 비해 동선이 길고 테이블 회전에 여유가 있는 뷔페나 패밀리 레스토랑에서 서빙로봇이 효율성을 가질 수 있다. As for the serving speed of the serving robot, in a small restaurant with a short movement line, the serving robot has acceleration and deceleration at the time of departure and arrival, so the processing speed i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field staff, so the speed that field staff can handle is lower than that of the serving robot. However, as customers order through the staff and order using a tablet at each table or using a kiosk has become more common, it is possible to use a buffet or family restaurant that has a longer movement than a regular restaurant and has plenty of table rotation. Serving robots can be efficient.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서빙 로봇은, 손님이 식사를 마친 후 서빙로봇을 각 테이블에 있는 호출벨을 눌러 직접 호출하고, 빈 그릇을 서빙로봇의 트레이에 올리거나, 현장 직원이 손님이 식사를 마친 빈 그릇을 서빙로봇에 옮겨 담아야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such a conventional serving robot, after a customer has finished eating, the serving robot is directly called by pressing a call bell on each table, and an empty bowl is placed on the tray of the serving robot, or an on-site staff member has an empty bowl after the customer has finished eating. There is a problem in having to transfer the data to the serving robot.

또한, 서빙 로봇을 적용하기 위하여 음식점의 테이블 및 인테리어를 재배치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트레이가 삐뚤게 위치한 경우 퇴식이 안되는 문제점이 있고, 테이블의 높낮이가 다르거나 테이블의 배치가 변경되는 경우 서빙 로봇의 작동이 원활하게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apply the serving robo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table and interior of the restaurant must be rearrang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tray cannot be eroded if the tray is positioned crookedly, and when the table height is different or the arrangement of the table is changed There is a problem that this does not go smoothly.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083700호(발명의 명칭: 음식점 서빙을 위한 로봇 시스템)에는 상단부; 하단부; 및 상기 하단부에 고정되고, 상기 상단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구성되며, 상기 상단부로 연결되는 신호케이블과 상기 하단부로 연결되는 신호케이블이 양측으로 연결되어 있는 연결 PCB가 내측에 구비되는 중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상단부는, 주문자에게 메뉴를 출력하고, 주문자로부터 메뉴를 선택, 입력받기 위한 주문장치와, 상기 상단부의 임의의 위치에 구비되며,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촬영신호에 응하여 해당 영역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촬영장치와, 상기 상단부의 양측에 구비되어, 동기 구동되는 한쌍의 다관절 로봇암;이 개시되어 있다.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083700 (Title of the invention: robot system for restaurant serving) has an upper part; lower part; And it is fixed to the lower end, the upper end is rotatably connected, and the signal cable connected to the upper end and the signal cable connected to the lower end are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connection PCB, the middle portion is provided on the inside. characterized by; The upper part includes an ordering device for outputting a menu to an orderer, selecting and receiving a menu from the orderer, and is provided at an arbitrary position in the upper part to photograph a corresponding area in response to a photographing signal input from the outside, A photographing device for outputting an image signal, and a pair of articulated robot arm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end and driven synchronously; are disclosed.

그러나 이러한 장치는 음식이 담긴 트레이가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서빙로봇이 음식을 서빙하는 동안 먼지 등 이물질이 음식에 들어갈 수 있고, 돌발 상황에서 사람이 직접 음식에 접촉하여 음식이 오염되거나 그릇 등이 쏟아져서 2차 오염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since the tray containing the food is open in these devices,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can enter the food while the serving robot is serving food, and in an unexpected situation, a person can directly contact the food, causing the food to become contaminated or spilled. There is a problem that secondary pollution occurs.

따라서, 테이블의 높낮이 및 배치와 관계없이 용이하게 서빙을 하고, 트레이의 놓인 각도와 상관없이 용이하게 퇴식할 수 있으며, 일반 음식점에 바로 투입될 수 있고, 2차 오염이 발생하지 않는 서빙 로봇이 필요하다.Therefore, a serving robot that can serve easily regardless of the height and arrangement of the table, can be easily removed regardless of the angle of the tray, can be put directly into a general restaurant, and does not cause secondary pollution. do.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083700호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083700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미 구축된 식당에 적용 가능한 서빙 로봇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to provide a serving robot applicable to an already built restaurant.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트레이가 삐뚤게 놓일 시에도 용이하게 트레이를 퇴식하는 것이다.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easily wear out the tray even when the tray is placed crookedly.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서빙 로봇의 서빙 시 음식에 먼지 및 이물질 등으로 인한 2차 오염을 방지하는 것이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secondary contamination due to dust and foreign substances in food during serving of the serving robot.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description below. There will b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복수개의 바퀴를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복수개 형성되며, 트레이를 수용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트레이를 상기 수용부 내부로 이동시키거나 상기 트레이를 외부로 이동시키는 그리퍼; 및 상기 하우징 측면에 구비되며, 테이블과의 거리를 인식하는 거리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거리센서가 테이블의 높낮이를 인식하여 각각 높낮이가 다른 테이블에 상기 그리퍼가 상기 수용부 내부에 위치한 트레이를 외부로 이동시키거나 외부에 위치한 트레이를 수용부 내부로 이동시켜 트레이의 서빙과 퇴식을 용이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housing having a plurality of wheels; a plurality of accommodating portions formed inside the housing and accommodating trays; a gripper positioned inside the accommodating part and moving the tray into the accommodating part or moving the tray to the outside; and a distance sensor provided on the side of the housing and recognizing the distance from the table, wherein the distance sensor recognizes the height of the table, and the gripper places the tray located inside the accommodating part on the table having different heights, respectively. It is characterized in that by moving or moving the tray located on the outside to the inside of the receiving part to facilitate the serving and removal of the tray.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 상부면에 구비되며, 대상 지점에 부착된 마커를 인식하여 대상 지점에 근접하게 이동하는 마커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using,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a marker sensor that recognizes a marker attached to the target point and moves closer to the target point; may be provided.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거리센서는, 상하로 이동하여 높이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tance sensor may be moved up and down to adjust the heigh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거리센서는, 대상 지점에 부착된 반사판을 인식하여 대상 지점과 상기 하우징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tance sensor may measure a distance between the target point and the housing by recognizing a reflector attached to the target poin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그리퍼는, 삼차원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ripper may be capable of three-dimensional movemen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수용부의 측면에 위치하며 투명하게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 내부를 용이하게 관찰하는 투명판;을 구비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ccommodating part may include a transparent plate positioned on the side of the accommodating part and formed to be transparent to easily observe the inside of the accommodating par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투명판의 재질은 아크릴, 유리, 염화비닐, 폴리스티렌 및 폴리에틸렌 중 선택되는 어느 한가지 물질 중 하나 이상의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parent plate may be made of at least one material selected from among acrylic, glass, vinyl chloride, polystyrene, and polyethylen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의 상부 모서리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복수개 구비되며, 물체를 인식하는 카메라;를 더 구비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using, a plurality of cameras provided in a downward direction from the upper edge of the housing, for recognizing an object; may further includ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 하부 모서리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형성되며, 서빙 로봇을 작동하는 구동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using, is formed in the upper direction from the lower edge of the housing, the driving unit for operating the serving robot; may further includ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 하부 모서리로부터 상부 방향에 구비되며, 센서 및 서빙 로봇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using, provided in the upper direction from the lower edge of the housing, the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movement of the sensor and the serving robot; may further include.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효과는, 테이블의 높이가 다른 경우에도 용이하게 음식을 서빙 및 퇴식하는 장점이 있다.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even when the height of the table is different, there is an advantage of easily serving and eating food.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테이블의 형태가 다른 경우에도 용이하게 음식을 서빙 및 퇴식하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easily serving and serving food even when the shape of the table is different.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테이블의 배치가 다른 경우에도 용이하게 음식을 서빙 및 퇴식하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easily serving and serving food even when the arrangement of the table is different.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테이블의 크기가 다른 경우에도 용이하게 음식을 서빙 및 퇴식하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easily serving and serving food even when the size of the table is different.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트레이가 삐뚤게 놓일 시에도 용이하게 트레이를 퇴식하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dvantageous in that the tray is easily worn out even when the tray is placed crookedly.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하우징이 트레이를 둘러싸며 형성되어 서빙 로봇의 서빙 시 음식에 먼지 및 이물질 등으로 인한 2차 오염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in that the housing is formed to surround the tray to prevent secondary contamination due to dust and foreign substances in the food during serving of the serving robot.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effects,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effects that can be inferred from the configuration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r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식 서빙 및 퇴식을 위한 서빙 로봇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식 서빙 및 퇴식을 위한 서빙 로봇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식 서빙 및 퇴식을 위한 서빙 로봇의 사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레일의 확대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그리퍼의 확대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트레이의 사시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테이블 및 서빙 로봇의 사시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빙로봇이 삐뚤게 놓인 트레이를 정렬하는 도면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빙로봇의 이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front view of a serving robot for serving and eating fo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view of a serving robot for serving and eating fo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rving robot for serving food and eating ou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nlarged view of a rai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nlarged view of a grip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tr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table and a serving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in which a serving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igns a tray placed crookedly.
9 is a view showing the movement of the serving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several different forms, and thus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connected (connected, contacted, coupled)" with another part, it i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member interposed therebetween. "Including cases where In addi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this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provided withou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he terms used herein are used only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식 서빙 및 퇴식을 위한 서빙 로봇(100)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식 서빙 및 퇴식을 위한 서빙 로봇(100)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식 서빙 및 퇴식을 위한 서빙 로봇(100)의 사시도이고,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레일(220)의 확대도이고,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그리퍼(230)의 확대도이다.1 is a front view of a serving robot 100 for serving and eating fo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side view of a serving robot 100 for serving and eating fo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erving robot 100 for serving and eating fo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n enlarged view of the rail 2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is an enlarged view of the gripper 2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트레이(800)의 사시도이고,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테이블(900) 및 서빙 로봇(100)의 사시도이며, 도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빙 로봇(100)이 삐뚤게 놓인 트레이(800)를 정렬하는 도면이고, 도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빙 로봇(100)의 이동을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tray 8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table 900 and the serving robot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view in which the serving robot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aligns the tray 800 placed crookedly, and FIG. 9 is a view showing the movement of the serving robot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 내지 도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음식 서빙 및 퇴식을 위한 서빙 로봇(100)은 복수개의 바퀴를 구비하는 하우징(200), 하우징(200) 내부에 복수개 형성되며, 트레이(800)를 수용하는 수용부, 수용부 내부에 위치하며, 트레이(800)를 수용부 내부로 이동시키거나 트레이(800)를 외부로 이동시키는 그리퍼(230) 및 하우징(200) 측면에 구비되며, 테이블(900)과의 거리를 인식하는 거리센서(300)를 포함할 수 있다.1 to 2, the serving robot 100 for serving and serving food is a housing 200 having a plurality of wheels, a plurality of formed inside the housing 200, and accommodating the tray 800 The receiving unit, located inside the receiving unit,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gripper 230 and the housing 200 for moving the tray 800 into the receiving unit or moving the tray 800 to the outside, and includes the table 900 and It may include a distance sensor 300 for recognizing the distance of.

본 실시예의 서빙 로봇(100)은 구축되어 장사하고 있는 식당 등에 적용되어 테이블(900)의 높낮이, 테이블(900)의 배치 상태, 테이블(900)의 모양과 상관 없이 음식을 사용자에게 용이하게 서빙하거나 퇴식할 수 있다.The serving robot 100 of this embodiment is applied to a restaurant where it is built and sold to easily serve food to a user regardless of the height of the table 900, the arrangement state of the table 900, and the shape of the table 900, or can be withdrawn

도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트레이(800)는 전체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트레이(800)의 단면형상은 상부모서리보다 하부모서리가 짧은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트레이(800)는 상부모서리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형성된 트레이홈이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6 , the tray 800 may have an overall rectangular shape, and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tray 800 may be formed in a trapezoidal shape having a lower edge shorter than an upper edge. The tray 800 may have a tray groove formed in a downward direction from an upper edge.

트레이(800)는, 트레이(800) 상부모서리로부터 외부방향으로 형성되는 플렌지를 구비할 수 있다. 트레이(800)의 세로 모서리의 길이보다 가로 모서리의 길이가 더 작을 수 있으며, 플랜지의 하부면 및 트레이(800)의 상부모서리로부터 하부모서리로 형성되는 트레이(800)의 외측면에 그리퍼가 거치되는 그리퍼거치부(810)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퍼거치부(810)에는 음각된 형태로 형성되는 홈인 거치홈(811)이 형성될 수 있으며, 트레이(800)가 무겁거나 트레이(800)가 미끄러울 시 그리퍼거치부(810)에 형성된 거치홈(811)에 그리퍼에 형성된 돌기가 인입되어 그리퍼가 용이하게 트레이(800)를 운반할 수 있다.The tray 800 may include a flange formed outwardly from the upper edge of the tray 800 . The length of the horizontal edge may be smaller than the length of the vertical edge of the tray 800, and the gripper is moun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lange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tray 800 formed from the upper edge to the lower edge of the tray 800 A gripper holder 810 may be formed. A holding groove 811, which is a groove formed in an engraved shape, may be formed in the gripper holder 810, and when the tray 800 is heavy or the tray 800 is slippery, the holder groove formed in the gripper holder 810 is slippery. The protrusion formed on the gripper is drawn into the 811 so that the gripper can easily transport the tray 800 .

도7에서 보는 바와 같이, 테이블(900)의 형상은 원형 또는 다각형 형태일 수 있으며, 테이블(900)의 높이 및 크기는 각각 다를 수 있다. 테이블(900)의 상부모서리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형성되는 트레이 보관부(910)는 서빙 로봇(100)의 서빙 및 퇴식을 위한 트레이(800) 보관 장소로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7 , the shape of the table 900 may be circular or polygonal, and the height and size of the table 900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tray storage unit 910 formed in the inward direction from the upper edge of the table 900 may be formed as a tray 800 storage place for serving and disposing of the serving robot 100 .

트레이 보관부(910)는, 판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트레이 보관부(910)의 재질은 고무, 실리콘, 가죽, 원목 및 천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트레이 보관부(910)는, 테이블(900)에 고정되지 않아 사용자가 용이하게 트레이 보관부(910)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The tray storage unit 910 may be formed in a plate shape, and the material of the tray storage unit 910 may be formed of any one or more materials selected from rubber, silicone, leather, solid wood, and cloth. Since the tray storage unit 910 is not fixed to the table 900 , the user can easily move the tray storage unit 910 to a desired position.

테이블(900)은, 트레이 보관부(910)의 모서리로부터 수직한 방향에 위치하는 테이블(900)에 측면에 형성되는 거리반사판(920)을 구비할 수 있다. 거리반사판(920)은 거리센서(300)의 개수만큼 구비할 수 있다. 거리반사판(920)의 재질은 알루미늄, 구리, 철 및 유리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거리반사판(920)의 형상은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table 900 may include a distance reflection plate 920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table 900 position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edge of the tray storage unit 910 . The distance reflector 920 may be provided as many as the number of distance sensors 300 . The material of the distance reflector 920 may be formed of any one or more materials selected from aluminum, copper, iron, and glass. The shape of the distance reflector 920 may be circular or polygonal.

거리반사판(920)의 표면은 광택을 구비하여 용이하게 빛을 반사할 수 있다. 거리반사판(920)이 거리센서(300)에서 발생하는 빛을 반사시켜 거리센서(300)이 거리반사판(920)과의 길이를 측정할 수 있고, 거리반사판(920) 및 거리센서(300)가 테이블(900)과 서빙로봇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여 서빙로봇이 테이블(900)의 높이에 상관없이 음식을 서빙할 수 있다.The surface of the distance reflector 920 can easily reflect light by being provided with a gloss. The distance reflector 920 reflects light generated from the distance sensor 300 so that the distance sensor 300 can measure the length with the distance reflector 920 , and the distance reflector 920 and the distance sensor 300 are By measuring the distance between the table 900 and the serving robot, the serving robot can serve food regardless of the height of the table 900 .

도1 내지 도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우징(200)은, 구동부(600) 상부 방향에 홈의 형태로 구성되는 수용부를 구비하며, 수용부의 좌우 측면부에 복수개의 고정구가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고정구 상부에 트레이(800) 저장판(210) 이 접촉하여 고정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수용부 내부에 트레이(800)를 위치하여 서빙 로봇(100)의 서빙 시 음식에 먼지 및 이물질 등으로 인한 2차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 to 3 , the housing 200 includes a receiving part configured in the form of a groove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driving part 600 , and a plurality of fasteners may be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 portions of the receiving part, and a plurality of fasteners The tray 800, the storage plate 210 may be fixed in contact with the upper portion. For this reason, it is possible to prevent secondary contamination due to dust and foreign substances in food during serving of the serving robot 100 by locating the tray 800 inside the receiving unit.

트레이(800) 저장판(210) 은 판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트레이(800) 저장판(210) 상부면에 트레이(800)가 접촉할 수 있고, 트레이(800) 저장판(210) 은 트레이(800) 저장판(210) 중심부에 무게감지센서(211)를 구비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트레이(800) 저장판(210)에 트레이(800)가 인입될 경우 무게감지센서(211)가 트레이(800)의 무게를 감지하여 제어부(700)에 신호를 전달하여 제어부(700)가 서빙 로봇(100)을 작동할 수 있다.The tray 800 storage plate 210 may be formed in a plate shape, and the tray 800 may be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tray 800 storage plate 210 , and the tray 800 storage plate 210 may be A weight sensor 211 may be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tray 800 and the storage plate 210 . For this reason, when the tray 800 is inserted into the storage plate 210 of the tray 800, the weight sensor 211 detects the weight of the tray 800 and transmits a signal to the control unit 700 so that the control unit 700 The serving robot 100 may be operated.

하우징(200)은, 구동부(600) 상부 방향에 형성되며 하우징(200) 정면부에 개방되어 형성되는 출입구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수용부에 트레이(800)가 용이하게 출입할 수 있다.The housing 200 is formed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driving unit 600 and may have an entrance formed by being opened on the front side of the housing 200, whereby the tray 800 can easily enter and exit the receiving unit.

수용부는, 수용부 내부에 복수개의 레일(220)을 구비할 수 있고, 레일(220)은 복수개의 트레이(800) 저장판(210)의 모서리 상부 방향에 트레이(800) 저장판(210)의 좌측 모서리와 평행하게 형성되는 복수개의 제1레일(221)을 구비할 수 있고, 제1레일(221)으로부터 수직하게 형성되는 제2레일(222)을 구비할 수 있으며, 트레이(800) 저장판(210)의 모서리 상부 방향에 트레이(800) 저장판(210)의 우측 모서리와 평행하게 형성되는 복수개의 제3레일(223)을 구비할 수 있고, 제3레일(223)으로부터 수직하게 형성되는 제4레일(224)을 구비할 수 있다.The accommodating un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rails 220 inside the accommodating unit, and the rail 220 is a plurality of trays 800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corners of the storage plate 210 of the tray 800 and the storage plate 210 . A plurality of first rails 221 formed in parallel to the left corner may be provided, and a second rail 222 formed perpendicular to the first rail 221 may be provided, and the tray 800 storage plate. A plurality of third rails 223 formed in parallel to the right edge of the tray 800 storage plate 210 may be provided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edge of the 210, and formed vertically from the third rail 223 A fourth rail 224 may be provided.

일 실시예로, 수용부에 트레이(800) 저장판(210)이 두개 구비되어 총 3개의 트레이(800)를 수용부 내에 위치할 수 있을 시, 수용부 좌측면에 위치하며 트레이(800) 저장판(210)의 좌측모서리로부터 평행하게 형성되는 제1레일(221)은 3개 구비되고 제2레일(222)는 하나 구비되어 'E'자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when two trays 800 and storage plates 210 are provided in the accommodating part so that a total of three trays 800 can be located in the accommodating part, it is located on the left side of the accommodating part and the tray 800 is stored Three first rails 221 formed in parallel from the left edge of the plate 210 and one second rail 222 may be provided in an 'E' shape.

제1레일(221)과 제2레일(222)이 'ㅏ'형상으로 만나는 지점은 핀(225)를 구비할 수 있고, 핀(225)이 가벽 역할을 하여 제2레일(222)에서 상하로 이동하는 그리퍼(230)가 다른 제1레일(221)로 용이하게 이동하게 할 수 있다. 이때, 그리퍼(230)는 제1레일(221)로부터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된 핀(225)을 밀어 핀(225)을 제1레일(221)과 평행하게 이동시켜 제1레일(221)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퍼(230)가 상하부로 이동할 시, 제2레일(222)와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된 핀(225)을 밀어 핀(225)을 제2레일(222)와 수평한 방향으로 이동시켜 제2레일(222)내에서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할 수 있다.A point where the first rail 221 and the second rail 222 meet in the 'A' shape may be provided with a pin 225, and the pin 225 serves as a temporary wall to move up and down on the second rail 222. The moving gripper 230 may easily move to the other first rail 221 . At this time, the gripper 230 pushes the pin 225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the first rail 221 to move the pin 225 parallel to the first rail 221 to move to the first rail 221 . have. When the gripper 230 moves up and down, it pushes the pin 225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econd rail 222 and moves the pin 225 in a horizontal direction to the second rail 222 to move the second rail ( 222) can be moved up or down.

수용부 우측면에 위치하며 트레이(800) 저장판(210)의 우측모서리로부터 평행하게 형성되는 제3레일(223)은 3개 구비되고 제4레일(224)는 하나 구비되어 'E'자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Located on the right side of the receiving unit and formed in parallel from the right edge of the tray 800 and the storage plate 210, three third rails 223 are provided and one fourth rail 224 is provided to form an 'E' shape. can be provided.

제3레일(223)과 제4레일(224)이 'ㅏ'형상으로 만나는 지점은 핀(225)를 구비할 수 있고, 핀(225)이 가벽 역할을 하여 제4레일(224)에서 상하로 이동하는 그리퍼(230)가 다른 제3레일(223)로 용이하게 이동하게 할 수 있다. 이때, 그리퍼(230)는 제3레일(223)로부터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된 핀(225)을 밀어 핀(225)을 제4레일(224)과 평행하게 이동시켜 제3레일(223)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퍼(230)가 상하부로 이동할 시, 제4레일(224)와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된 핀(225)을 밀어 핀(225)을 제4레일(224)와 수평한 방향으로 이동시켜 제4레일(224)내에서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할 수 있다.A point where the third rail 223 and the fourth rail 224 meet in the 'A' shape may be provided with a pin 225, and the pin 225 serves as a temporary wall to move up and down on the fourth rail 224. The moving gripper 230 may easily move to another third rail 223 . At this time, the gripper 230 pushes the pin 225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the third rail 223 to move the pin 225 parallel to the fourth rail 224 to move to the third rail 223 . have. When the gripper 230 moves up and down, it pushes the pin 225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ourth rail 224 and moves the pin 225 in a direction horizontal to the fourth rail 224 to move the fourth rail ( 224) can be moved up or down.

이로 인해, 그리퍼(230)가 수용부 내부로 인입되어 트레이(800) 저장판(210)에 위치한 트레이(800)를 파지하고, 테이블(900)의 높이에 따라 상하부로 이동하여 음식의 서빙 및 퇴식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For this reason, the gripper 230 is drawn into the receiving part to grip the tray 800 located on the tray 800 storage plate 210 , and moves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table 900 to serve and eat food. can facilitate

도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우징(200)은 좌측면 및 우측면에 투명하게 형성되어 수용부 내부를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는 투명판(240)을 구비할 수 있으며, 투명판(240)의 재질은 아크릴, 유리, 염화비닐, 폴리스티렌 및 폴리에틸렌 중 선택되는 어느 한가지 물질 중 하나 이상의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 the housing 200 may include a transparent plate 240 that is formed to be transparent on the left and right sides and can easily observe the inside of the receiving part, and the material of the transparent plate 240 is It may be formed of at least one material selected from among acrylic, glass, vinyl chloride, polystyrene, and polyethylene.

도3내지 도5에서 보는 바와 같이 그리퍼(230)는, 직사각형 판 형상으로 형성된 제1판과 직사각형 판 형상으로 형성된 제2판이 둔각을 이루며 결합하여 형성될 수 있다. 그리퍼(230)의 재질은 고무, 철, 알루미늄, 플라스틱 및 구리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3 to 5 , the gripper 230 may be formed by combining a first plate formed in a rectangular plate shape and a second plate formed in a rectangular plate shape to form an obtuse angle. The material of the gripper 230 may be formed of any one or more materials selected from rubber, iron, aluminum, plastic, and copper.

그리퍼(230)는 트레이(800)에 형성된 그리퍼거치부(810)와 접촉하는 제1판 및 제2판에 돌기 형상으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그립돌기(236)를 구비할 수 있으며, 그립돌기(236)가 그리퍼거치부(810)에 형성된 돌기홈에 인입되어 그리퍼(230)가 트레이(800)를 파지할 시 트레이(800)가 미끄러지지 않아 음식을 용이하게 서빙 및 퇴식 할 수 있다.The gripper 230 may include a plurality of grip protrusions 236 formed in a protrusion shape on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contacting the gripper holder 810 formed on the tray 800 , and the grip protrusions 236 . ) is drawn into the protrusion groove formed in the gripper holder 810 so that the tray 800 does not slip when the gripper 230 grips the tray 800 , so that food can be easily served and served.

그리퍼(230)는 복수개 구비될 수 있으며, 그리퍼(230)는 수용부의 좌측면에 구비되는 제1그리퍼(231), 수용부의 우측면에 구비되는 제2그리퍼(232)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퍼(230)는 리니어모터(231)와 결합하여 리니어가이드(234)상에서 좌우로 이동할 수 있고, 이로 인해 트레이(800) 저장판(210) 및 트레이 보관부(910)에 위치하는 트레이(800)를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다.A plurality of grippers 230 may be provided, and the gripper 230 may include a first gripper 231 provided on a left side of the receiving unit and a second gripper 232 provided on a right side of the receiving unit. The gripper 230 is coupled with the linear motor 231 to move left and right on the linear guide 234 , and thereby the tray 800 is located in the storage plate 210 and the tray storage unit 910 . can be easily gripped.

그리퍼(230)가 트레이(800)를 파지 시, 트레이(800)를 제1그리퍼(231)와 제2그리퍼(232) 사이에 위치하고, 제1그리퍼(231)을 우측으로 이동하고, 제2그리퍼(232)를 좌측으로 이동시켜 트레이(800)를 파지할 수 있다.When the gripper 230 grips the tray 800 , the tray 800 is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gripper 231 and the second gripper 232 , the first gripper 231 is moved to the right, and the second gripper The tray 800 can be gripped by moving 232 to the left.

도8에서 보는 바와 같이, 트레이 보관부(910)와 트레이(800)가 평행하게 위치하지 않고 삐뚤게 위치할 시, 제1그리퍼(230)와 트레이(800) 좌측 상단부가 접촉하고 제2그리퍼(230)와 트레이(800) 우측 하단부가 접촉하며, 제1그리퍼(230)와 제2 그리퍼(230) 사이의 간격이 좁혀질 시 트레이(800)의 좌측 상단부는 우측으로 회전하고 우측 하단부는 좌측으로 회전하여 트레이(800)가 그리퍼(230)에 용이하게 파지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8, when the tray storage unit 910 and the tray 800 are not positioned in parallel but are positioned crookedly, the first gripper 230 and the upper left end of the tray 800 come into contact with the second gripper ( 230) and the lower right end of the tray 800 are in contact, and when the gap between the first gripper 230 and the second gripper 230 is narrowed, the upper left portion of the tray 800 rotates to the right and the lower right portion moves to the left. By rotating, the tray 800 may be easily gripped by the gripper 230 .

도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우징(200)은, 하우징(200)의 상부면에 구비되며, 대상 지점 천장에 부착된 마커를 인식하여 대상 지점에 근접하게 이동하는 마커센서(400)를 구비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3 , the housing 200 may include a marker sensor 400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200 and moving closer to the target point by recognizing the marker attached to the ceiling of the target point. have.

도9에서 보는 바와 같이, 마커센서(400)가 대상 지점 천장에 부착된 마커를 인식하고 인식신호를 제어부(700)에 전달하면 제어부(700)가 서빙 로봇(100)을 마커센서(400)와 근접한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마커센서(400)가 테이블(900)의 크기, 형태, 위치, 방향 및 테이블(900)의 배치 변경시에도 별도의 지도 업데이트 없이 마커의 위치를 변경하여 서빙로봇이 음식을 용이하게 서빙 및 퇴식 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9 , when the marker sensor 400 recognizes a marker attached to the ceiling of the target point and transmits a recognition signal to the control unit 700 , the control unit 700 connects the serving robot 100 with the marker sensor 400 . You can move to a nearby location. Due to this, the marker sensor 400 changes the position of the marker without a separate map update even when the size, shape, position, direction, and arrangement of the table 900 are changed so that the serving robot can easily serve food and can be withdrawn

다른 실시예로, 하우징(200)은, 하우징(200)의 전면, 후면, 좌측면 및 우측면의 상부 모서리로부터 하부 방향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카메라(500)와 라이다(Light Detection And LiDAR)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서빙 로봇(100)은 사면의 카메라(500)에서 얻은 위치 정보 및 이미지와 라이다 센서를 통해 주변의 지형지물을 파악하여 제어부(700)에 송신하여 로컬 환경의 키프레임 기반 SLAM(simultaneous localization and mapping) 맵을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테이블(900)의 배치가 변경될 시, 용이하게 대상 지점에 음식을 서빙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housing 200 includes a plurality of cameras 500 and LiDAR (Light Detection And LiDAR) sensors formed in a downward direction from the upper corners of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surfaces of the housing 200 . can be provided The serving robot 100 detects the surrounding terrain features through the lidar sensor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images obtained from the camera 500 of the slope,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 unit 700, based on the keyframe of the local environment, SLAM (simultaneous localization and mapping) ) to update the map. Due to this, when the arrangement of the table 900 is changed, it is possible to easily serve food to the target point.

하우징(200)의 형성된 출입구의 좌측 및 우측 방향으로 형성되며 하우징(200)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거리센서(300)는, 적외선 센서(IR Sensor)로 형성될 수 있으며, 거리센서(300)는 적외선을 발생시키는 발광부와 적외선을 감지하는 수광부로 구성될 수 있으며 발광부에서 나온 적외선이 물체에 반사되어 수광부에 들어오는 양에 따라 전압의 양이 변화하여 전압의 양에 의해 테이블(900)과 서빙 로봇(100) 사이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The distance sensor 300 form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doorway formed of the housing 200 and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200 may be formed of an infrared sensor (IR Sensor), and the distance sensor 300 is It may be composed of a light emitting unit that generates infrared rays and a light receiving unit that detects infrared rays, and the amount of voltage changes according to the amount of infrared rays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reflected by the object and entered into the light receiving unit. The distance between the robots 100 may be measured.

거리센서(300)는 테이블(900) 측면에 위치한 거리반사판(920)의 위치에 따라 상하로 움직여 높이 조절이 가능할 수 있으며, 거리반사판(920)의 위치가 기존 거리센서(300)보다 높이 위치할 시, 거리센서(300)가 상부로 이동하여 거리를 측정할 수 있고, 거리반사판(920)의 위치가 기존 거리센서(300)보다 낮게 위치할 시 거리센서(300)가 하부로 이동하여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The distance sensor 300 may move up and down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distance reflector 920 located on the side of the table 900 to adjust the height, and the position of the distance reflector 920 may be higher than the existing distance sensor 300 . When the distance sensor 300 moves upward to measure the distance, when the position of the distance reflector 920 is lower than the existing distance sensor 300, the distance sensor 300 moves downward to measure the distance. can be measured

거리센서(300)가 테이블(900)과 서빙 로봇(100)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여 제어부(700)에 신호를 보내면 제어부(700)가 그리퍼(230)를 이동할 수 있다. 이때 그리퍼(230)이 테이블(900)보다 낮게 위치할 시 그리퍼(230)를 상부로 이동하여 테이블(900)과 높낮이를 맞출 수 있고, 그리퍼(230)이 테이블(900)보다 높게 위치할 시 그리퍼(230)을 하부로 이동하여 테이블(900)과 높낮이를 맞출 수 있다. 이로 인해, 거리센서(300)가 테이블(900)과 서빙 로봇(100)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여 테이블(900)의 높낮이와 상관없이 음식을 서빙 및 퇴식 할 수 있다.When the distance sensor 300 measures the distance between the table 900 and the serving robot 100 and sends a signal to the controller 700 , the controller 700 may move the gripper 230 . At this time, when the gripper 230 is positioned lower than the table 900 , the gripper 230 can be moved upward to match the height of the table 900 , and when the gripper 230 is positioned higher than the table 900 , the gripper 230 is positioned higher than the table 900 . By moving 230 to the lower part, it is possible to match the table 900 and the height. For this reason, the distance sensor 300 measures the distance between the table 900 and the serving robot 100 so that food can be served and eaten regardless of the height of the table 900 .

하우징(200)의 좌측에 형성된 제1거리센서(300)는 제1거리반사판(920)을 인식하여 테이블(900)과 서빙 로봇(100) 좌측부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고, 제1측정 데이터를 제어부(700)에 송신할 수 있다. 하우징(200)의 우측에 형성된 제2거리센서(300)는 제2거리반사판(920)을 인식하여 테이블(900)과 서빙 로봇(100)의 우측부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여 제2측정 데이터를 제어부(700)에 송신할 수 있다.The first distance sensor 300 formed on the left side of the housing 200 recognizes the first distance reflector 920, measures the distance between the table 900 and the left side of the serving robot 100, and controls the first measurement data 700 . The second distance sensor 300 formed on the right side of the housing 200 recognizes the second distance reflector 920 and measures the distance between the table 900 and the right side of the serving robot 100 to receive the second measurement data. It can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700 .

제어부(700)에 송신된 제1거리센서(300)의 제1측정 데이터와 제2거리센서(300)의 제2측정 데이터를 비교하여 제1측정 데이터와 제2측정 데이터의 값이 다르다면, 제1측정 데이터가 제2측정 데이터의 측정값보다 크다면 서빙 로봇(100)의 좌측과 테이블(900) 사이의 간격을 좁혀 제1측정 데이터와 제2측정 데이터의 값을 동일하게 해줄 수 있고, 제2측정 데이터가 제1측정 데이터의 측정값보다 크다면 서빙 로봇(100)의 우측과 테이블(900) 사이의 간격을 좁혀 제1측정 데이터와 제2측정 데이터의 값을 동일하게 해줄 수 있다. 거리센서가 제1측정 데이터와 제2측정 데이터의 값을 동일하게 형성하여 서빙로봇이 테이블(900)과 평행하게 이동할 수 있다.If the values of the first measurement data and the second measurement data are different by comparing the first measurement data of the first distance sensor 300 and the second measurement data of the second distance sensor 300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700, If the first measurement data is greater than the measurement value of the second measurement data, the interval between the left side of the serving robot 100 and the table 900 can be narrowed to make the values of the first measurement data and the second measurement data the same, If the second measurement data is greater than the measurement value of the first measurement data, the interval between the right side of the serving robot 100 and the table 900 may be narrowed to make the values of the first measurement data and the second measurement data the same. The distance sensor forms the same values of the first measurement data and the second measurement data, so that the serving robot can move in parallel with the table 900 .

이로 인해, 제1거리센서(300)와 제2거리센서(300)의 측정값을 동일하게 제어하여 서빙 로봇(100)이 테이블(900)의 모양과 상관없이 트레이 보관부(910)로부터 평행하게 위치하여 트레이 보관부(910)에 위치하는 트레이(800)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고, 트레이(800) 저장판(210)에 놓여진 트레이(800)를 용이하게 트레이 보관부(910)에 서빙하거나 트레이 보관부(910)에 위치한 트레이(800)를 퇴식할 수 있다.For this reason, the measured values of the first distance sensor 300 and the second distance sensor 300 are equally controlled so that the serving robot 100 is parallel from the tray storage unit 910 regardless of the shape of the table 900 . It is possible to easily remove the tray 800 located in the tray storage unit 910 and easily serve the tray 800 placed on the tray 800 storage plate 210 in the tray storage unit 910 or The tray 800 located in the tray storage unit 910 may be eroded.

하우징(200)은, 사각 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하부에 복수개의 바퀴를 구비하여 용이하게 움직일 수 있다. 하우징(200)은, 하우징(200)의 하부 모서리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구동부(600)를 구비할 수 있으며, 구동부(600)는 바퀴, 그리퍼(230), 거리센서(300), 마커센서(400) 및 그리퍼(230)에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The housing 200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quadrangular pole, and may be easily moved by providing a plurality of wheels at the lower portion. The housing 200 may include a driving unit 600 in an upward direction from a lower edge of the housing 200 , and the driving unit 600 includes a wheel, a gripper 230 , a distance sensor 300 , and a marker sensor 400 . and a driving force may be transmitted to the gripper 230 .

하우징(200)은 하부 모서리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제어부(700)를 구비할 수 있으며, 제어부(700)는 무게감지센서(211), 마커센서(400), 카메라(500), 거리센서(300) 및 그리퍼(230)에서 송신받은 정보를 기반으로 서빙 로봇(100)을 제어할 수 있다.The housing 200 may include a control unit 700 in an upward direction from a lower edge, and the control unit 700 includes a weight sensor 211 , a marker sensor 400 , a camera 500 , a distance sensor 300 and The serving robot 100 may be controlled based on th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gripper 230 .

제어부(700)는, 무게감지센서(211)를 구비하는 트레이(800) 저장판(210) 에 트레이(800)가 인입될 경우 무게감지센서(211)가 트레이(800)의 무게를 감지하여 제어부(700)에 신호를 전달할 시 제어부(700)가 서빙 로봇(100)을 작동할 수 있고, 마커센서(400)가 대상 지점 천장에 부착된 마커를 인식하고 인식신호를 제어부(700)에 전달하면 제어부(700)가 서빙 로봇(100)을 마커센서(400)와 근접한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The control unit 700, when the tray 800 is inserted into the storage plate 210 of the tray 800 having the weight sensor 211, the weight sensor 211 detects the weight of the tray 800, and the control unit When transmitting a signal to the 700, the control unit 700 can operate the serving robot 100, the marker sensor 400 recognizes the marker attached to the ceiling of the target point and transmits the recognition signal to the control unit 700 The control unit 700 may move the serving robot 100 to a position close to the marker sensor 400 .

또한, 서빙 로봇(100) 사면에 위치하는 카메라(500)에서 얻은 위치 정보 및 이미지를 제어부(700)에 송신하여 로컬 환경의 키프레임 기반 SLAM(simultaneous localization and mapping) 맵을 업데이트 할 수 있고, 거리센서(300)와 거리반사판(920)의 높이가 다를 시 거리센서(300)의 상하 위치를 조절할 수 있으며, 제1거리센서(300)와 제2거리센서(300)의 측정 거리가 다를 시 서빙로봇을 제어하여 제1거리센서(300)와 제2거리센서(300)의 측정 데이터를 동일하게 제어 할 수 있다.In addition, by transmit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image obtained from the camera 500 located on the slope of the serving robot 100 to the controller 700, the keyframe-based SLAM (simultaneous localization and mapping) map of the local environment can be updated, and the distance When the height of the sensor 300 and the distance reflector 920 is different,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distance sensor 300 can be adjusted, and when the measured distances of the first distance sensor 300 and the second distance sensor 300 are different, serving By controlling the robot, the measurement data of the first distance sensor 300 and the second distance sensor 300 may be equally controlled.

또한, 제어부(700)는 거리센서(300)에서 측정한 테이블(900) 높이에 따라 수용부에 구비된 트레이(800)를 서빙하거나, 트레이 보관부(910)에 위치하는 트레이(800)를 퇴식시키기 위한 그리퍼(230)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700 serves the tray 800 provided in the receiving unit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table 900 measured by the distance sensor 300 , or removes the tray 800 located in the tray storage unit 910 .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movement of the gripper 230 for this purpose.

서빙 로봇(100)의 서빙 방법은, 수용부에 트레이(800)를 인입하는 단계, 서빙 로봇(100)이 이동할 대상 지점을 설정하는 단계, 천장에 부착된 마커를 마커센서(400)가 인식하여 대상 지점에 근접하게 이동하는 단계, 거리센서(300)가 테이블(900)에 부착된 거리반사판(920)을 인식하여 대상 지점까지의 거리 및 각도를 계산하는 단계, 서빙을 위하여 카메라(500)가 대상 지점을 확인하는 단계, 그리퍼(230)가 수용부에 위치한 트레이(800)를 파지하는 단계, 그리퍼(230)가 테이블(900)의 높이에 따라 상하부로 이동하는 단계, 그리퍼(230)가 트레이(800)를 대상 지점에 내려놓는 단계 및 그리퍼(230)가 충전 장소로 이동하는 단계로 구성될 수 있다.The serving method of the serving robot 100 includes the steps of inserting the tray 800 into the receiving unit, setting the target point to which the serving robot 100 moves, and the marker sensor 400 recognizes the marker attached to the ceiling. The step of moving closer to the target point, the distance sensor 300 recognizing the distance reflector 920 attached to the table 900 and calculating the distance and angle to the target point, the camera 500 for serving The step of confirming the target point, the step of the gripper 230 gripping the tray 800 located in the receiving portion, the step of moving the gripper 230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table 900, the gripper 230 is the tray It may consist of a step of placing the 800 at a target point and a step of moving the gripper 230 to the charging location.

여기서 수용부에 트레이(800)를 인입하는 단계는, 사용자가 음식의 조리 후 주방에 구비된 주방트레이(800)부에 트레이(800)를 위치시키고 주방에 위치한 호출부에 테이블(900) 번호를 입력할 시, 서빙 로봇(100)이 주방트레이(800)부로 이동 할 수 있다. Here, in the step of inserting the tray 800 into the receiving unit, the user places the tray 800 in the kitchen tray 800 unit provided in the kitchen after cooking the food, and enters the table 900 number in the call unit located in the kitchen. Upon input, the serving robot 100 may move to the kitchen tray 800 unit.

서빙 로봇(100)은 주방트레이(800)부 천장에 부착된 마커를 마커센서(400)로 인식하여 대상 지점으로 근접하게 이동할 수 있다. 주방트레이(800)부의 모서리로부터 수직한 방향으로 구비된 거리반사판(920)을 거리센서(300)가 인식하여 제어부(700)가 주방트레이(800)부와 서빙 로봇(100) 사이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The serving robot 100 may recognize the marker attached to the ceiling of the kitchen tray 800 by the marker sensor 400 and move closer to the target point. The distance sensor 300 recognizes the distance reflector 920 provided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the corner of the kitchen tray 800, and the control unit 700 calculates the distance between the kitchen tray 800 and the serving robot 100. have.

수용부 내부에 인입되어 있던 그리퍼(230)가 리니어가이드(234)에 형성되어 있는 레일바퀴(235)에 구동부(600)에서 구동력이 인가되어 제1레일(221) 및 제3레일(223)의 끝단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퍼(230)가 제2레일(232) 및 제4레일(234)에서 이동 할 시, 그리퍼(230)에 형성된 수평센서가 수평을 측정하여 제어부에 신호를 보내고, 제어부가 리니어가이드(234)에 형성된 모터를 조절하여 그리퍼(230)의 수평을 조정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그리퍼(230) 제2레일(222) 및 제4레일(224)에서 트레이(800) 저장판(210)과 수평하게 상하부로 움직여 테이블(900) 높이로 이동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그리퍼(230)가 테이블(900)의 높이와 상관없이 트레이(800)를 파지할 수 있다.The driving force is applied from the driving unit 600 to the rail wheel 235 formed in the linear guide 234 of the gripper 230, which was drawn into the receiving unit, so that the first rail 221 and the third rail 223 are moved. You can move to the end. When the gripper 230 moves on the second rail 232 and the fourth rail 234 , the horizontal sensor formed on the gripper 230 measures the level and sends a signal to the control unit, and the control unit sends a signal to the linear guide 234 . The level of the gripper 230 may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formed motor. Due to this, the gripper 230 can move up and down horizontally with the tray 800 and the storage plate 210 on the second rail 222 and the fourth rail 224 to the height of the table 900 . Due to this, the gripper 230 can grip the tray 800 regardless of the height of the table 900 .

제2레일(222) 및 제4레일(224)에서 트레이(800) 저장판(210)과 수평하게 이동한 그리퍼(230)는, 트레이(800)를 제1그리퍼(231)와 제2그리퍼(232) 사이에 위치하고, 제1그리퍼(231)을 우측으로 이동하고, 제2그리퍼(232)를 좌측으로 이동시켜 트레이(800)를 파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그리퍼(230)가 주방트레이(800)부에 위치한 트레이(800)를 파지하여 수용부 내부로 인입할 수 있다.The gripper 230 moving horizontally with the tray 800 storage plate 210 on the second rail 222 and the fourth rail 224 holds the tray 800 between the first gripper 231 and the second gripper ( 232 , the tray 800 may be gripped by moving the first gripper 231 to the right and the second gripper 232 to the left. For this reason, the gripper 230 may grip the tray 800 located in the kitchen tray 800 part and lead it into the receiving part.

대상 지점에 근접하게 이동하는 단계는, 호출부와 제어부(700)가 통신하여 서빙 로봇(100)은 서버와 용이하게 통신할 수 있다. 서빙 로봇(100)은 대상 지점 천장에 부착된 마커를 마커센서(400)로 인식하여 자율주행하여 대상 지점으로 근접하게 이동할 수 있다. In the step of moving closer to the target point, the call unit and the control unit 700 communicate, so that the serving robot 100 can easily communicate with the server. The serving robot 100 may recognize the marker attached to the ceiling of the target point as the marker sensor 400 and autonomously move to move closer to the target point.

대상 지점까지의 거리 및 각도를 계산하는 단계에서, 거리센서(300)는 적외선 센서(IR Sensor)로 형성될 수 있으며, 거리센서(300)는 적외선을 발생시키는 발광부와 적외선을 감지하는 수광부로 구성될 수 있으며 발광부에서 나온 적외선이 물체에 반사되어 수광부에 들어오는 양에 따라 전압의 양이 변화하여 전압의 양에 의해 테이블(900)과 서빙 로봇(100) 사이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In the step of calculating the distance and angle to the target point, the distance sensor 300 may be formed of an infrared sensor (IR Sensor), and the distance sensor 300 includes a light emitting unit generating infrared rays and a light receiving unit sensing infrared rays. It can be configured and the amount of voltage is chang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infrared rays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reflected by the object and entering the light receiving unit,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table 900 and the serving robot 100 can be measured by the amount of voltage.

그리퍼(230)가 트레이(800)를 파지하는 단계는, 제2레일(222) 및 제4레일(224)에서 트레이(800) 저장판(210)과 수평하게 이동한 그리퍼(230)는, 트레이(800)를 제1그리퍼(231)와 제2그리퍼(232) 사이에 위치하고, 제1그리퍼(231)을 우측으로 이동하고, 제2그리퍼(232)를 좌측으로 이동시켜 트레이(800) 저장판(210) 위치한 트레이(800)를 파지할 수 있다. In the step of the gripper 230 holding the tray 800, the gripper 230 moved horizontally with the tray 800 and the storage plate 210 on the second rail 222 and the fourth rail 224, the tray 800 is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gripper 231 and the second gripper 232 , the first gripper 231 is moved to the right, and the second gripper 232 is moved to the left to move the tray 800 storage plate. The tray 800 located at 210 may be gripped.

그리퍼(230)가 상하부로 이동하는 단계는, 음식을 파지하고 수용부 내부에 위치한 그리퍼(230)가 구동부(600)에서 구동력이 인가되어 리니어가이드(234)에 형성되어 있는 레일바퀴(235)에 의해 제1레일(221) 및 제3레일(223)의 끝단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퍼(230)가 제2레일(232) 및 제4레일(234)에서 이동 할 시, 그리퍼(230)에 형성된 수평센서가 수평을 측정하여 제어부에 신호를 보내고, 제어부가 리니어가이드(234)에 형성된 모터를 조절하여 그리퍼(230)의 수평을 조정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그리퍼(230) 제2레일(222) 및 제4레일(224)에서 트레이(800) 저장판(210)과 수평하게 상하부로 움직여 테이블(900) 높이로 이동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그리퍼(230)가 테이블(900)의 높이와 상관없이 용이하게 음식을 서빙할 수 있다.In the step of moving the gripper 230 up and down, the gripper 230 located inside the accommodating part grips food and a driving force is applied from the driving part 600 to the rail wheel 235 formed in the linear guide 234. It can move to the ends of the first rail 221 and the third rail 223 by the When the gripper 230 moves on the second rail 232 and the fourth rail 234 , the horizontal sensor formed on the gripper 230 measures the level and sends a signal to the control unit, and the control unit sends a signal to the linear guide 234 . The level of the gripper 230 may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formed motor. Due to this, the gripper 230 can move up and down horizontally with the tray 800 and the storage plate 210 on the second rail 222 and the fourth rail 224 to the height of the table 900 . Due to this, the gripper 230 can easily serve food regardless of the height of the table 900 .

서빙 로봇(100)의 퇴식 방법은, 호출벨의 호출에 따라 서빙 로봇(100)이 이동할 대상 지점을 설정하는 단계, 천장에 부착된 마커를 마커센서(400)가 인식하여 대상 지점에 근접하게 이동하는 단계, 거리센서(300)가 테이블(900)에 부착된 거리반사판(920)을 인식하여 대상 지점까지의 거리 및 각도를 계산하는 단계, 서빙 또는 퇴식을 위하여 상기 카메라(500)가 대상 지점을 확인하는 단계, 그리퍼(230)가 테이블(900)의 높이에 따라 상하부로 이동하는 단계, 그리퍼(230)가 트레이(800)를 파지하는 단계, 그리퍼(230)가 트레이(800)를 수용부에 인입하는 단계 및 그리퍼(230)가 퇴식 장소로 이동하는 단계로 구성될 수 있다.The method of decay of the serving robot 100 includes the steps of setting a target point to which the serving robot 100 moves according to the call of a call bell, and the marker sensor 400 recognizes a marker attached to the ceiling and moves closer to the target point step, the distance sensor 300 recognizes the distance reflector 920 attached to the table 900 and calculates the distance and angle to the target point, the camera 500 selects the target point for serving or eating Confirmation step, the step of moving the gripper 230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table 900, the step of the gripper 230 gripping the tray 800, the gripper 230 holding the tray 800 in the receiving part It may be composed of a step of retracting and a step of moving the gripper 230 to the evacuation site.

여기서, 호출벨의 호출에 따라 서빙 로봇(100)이 이동할 대상 지점을 설정하는 단계, 퇴식 호출벨이 호출할 시 로봇의 제어부(700)에 호출신호가 전달되어 제어부(700)가 서빙 로봇(100)에게 이동 명령을 내릴 수 있고, 이로 인해 서빙 로봇(100)이 이동할 대상 지점을 설정할 수 있다. 이후 구동부(600)가 작동하여 서빙 로봇(100)이 이동할 수 있다.Here, in the step of setting the target point to which the serving robot 100 is to move according to the call of the call bell, when the call bell calls, a call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700 of the robot, and the controller 700 controls the serving robot 100 ) can give a movement command, thereby setting a target point to which the serving robot 100 moves. Thereafter, the driving unit 600 may operate to move the serving robot 100 .

대상 지점에 근접하게 이동하는 단계는, 호출부와 제어부(700)가 통신하여 서빙 로봇(100)은 서버와 용이하게 통신할 수 있다. 서빙 로봇(100)은 대상 지점 천장에 부착된 마커를 마커센서(400)로 인식하여 자율주행하여 대상 지점으로 근접하게 이동할 수 있다. In the step of moving closer to the target point, the call unit and the control unit 700 communicate, so that the serving robot 100 can easily communicate with the server. The serving robot 100 may recognize the marker attached to the ceiling of the target point as the marker sensor 400 and autonomously move to move closer to the target point.

대상 지점까지의 거리 및 각도를 계산하는 단계에서, 거리센서(300)는 적외선 센서(IR Sensor)로 형성될 수 있으며, 거리센서(300)는 적외선을 발생시키는 발광부와 적외선을 감지하는 수광부로 구성될 수 있으며 발광부에서 나온 적외선이 물체에 반사되어 수광부에 들어오는 양에 따라 전압의 양이 변화하여 전압의 양에 의해 테이블(900)과 서빙 로봇(100) 사이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In the step of calculating the distance and angle to the target point, the distance sensor 300 may be formed of an infrared sensor (IR Sensor), and the distance sensor 300 includes a light emitting unit generating infrared rays and a light receiving unit sensing infrared rays. It can be configured and the amount of voltage is chang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infrared rays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reflected by the object and entering the light receiving unit,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table 900 and the serving robot 100 can be measured by the amount of voltage.

여기서 제1거리센서(300)와 제2거리센서(300)의 측정값이 다른 경우, 제어부(700)가 제1거리센서(300)와 제2거리센서(300)의 측정값을 동일하게 제어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서빙 로봇(100)이 트레이 보관부(910)와 평행하게 위치할 수 있다.Here, when the measured values of the first distance sensor 300 and the second distance sensor 300 are different, the controller 700 controls the measured values of the first distance sensor 300 and the second distance sensor 300 to be the same. can do. Due to this, the serving robot 100 may be positioned parallel to the tray storage unit 910 .

그리퍼(230)가 트레이(800)를 파지하는 단계는, 리니어가이드(234)에 형성되어 있는 레일바퀴(235)에 구동부(600)에서 구동력이 인가되어 제1레일(221) 및 제3레일(223)의 끝단으로 이동할 수 있고, 그리퍼(230)가 제2레일(222) 및 제4레일(224)에서 트레이(800) 저장판(210)과 수평하게 상하부로 움직여 테이블(900) 높이로 이동할 수 있다. In the step of the gripper 230 gripping the tray 800, a driving force is applied from the driving unit 600 to the rail wheel 235 formed in the linear guide 234 to the first rail 221 and the third rail ( 223), and the gripper 230 moves up and down horizontally with the tray 800 and the storage plate 210 on the second rail 222 and the fourth rail 224 to move to the height of the table 900. can

제2레일(222) 및 제4레일(224)에서 트레이(800) 저장판(210)과 수평하게 이동한 그리퍼(230)는, 트레이(800)를 제1그리퍼(231)와 제2그리퍼(232) 사이에 위치하고, 제1그리퍼(231)을 우측으로 이동하고, 제2그리퍼(232)를 좌측으로 이동시켜 트레이(800)를 파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그리퍼(230)가 트레이 보관부(910)에 위치한 트레이(800)를 파지하여 수용부 내부로 인입할 수 있다.The gripper 230 moving horizontally with the tray 800 storage plate 210 on the second rail 222 and the fourth rail 224 holds the tray 800 between the first gripper 231 and the second gripper ( 232 , the tray 800 may be gripped by moving the first gripper 231 to the right and the second gripper 232 to the left. For this reason, the gripper 230 may grip the tray 800 located in the tray storage unit 910 and lead it into the receiving unit.

그리퍼(230)가 트레이 보관부(910)에 놓여진 트레이(800)를 파지할 시, 트레이(800)의 간격보다 제1그리퍼(230)와 제2그리퍼(230) 사이의 간격이 더 커 트레이(800)가 용이하게 제1그리퍼(230) 및 제2그리퍼(23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트레이 보관부(910)와 평행하게 위치한 트레이(800) 및 트레이 보관부(910)와 평행하지 않게 위치한 트레이(800)도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다.When the gripper 230 grips the tray 800 placed on the tray storage unit 910, the gap between the first gripper 230 and the second gripper 230 is greater than the gap between the tray 800, so the tray ( 800 may be easily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gripper 230 and the second gripper 230 . For this reason, the tray 800 located parallel to the tray storage unit 910 and the tray 800 located not parallel to the tray storage unit 910 can be easily gripped.

여기서 트레이 보관부(910)와 트레이(800)가 평행하게 위치하지 않고 삐뚤게 위치할 시, 제1그리퍼(230)와 트레이(800) 좌측 상단부가 접촉하고 제2그리퍼(230)와 트레이(800) 우측 하단부가 접촉하며, 제1그리퍼(230)와 제2 그리퍼(230) 사이의 간격이 좁혀질 시 트레이(800) 좌측 상단부는 우측으로 이동하고 우측 하단부는 좌측으로 이동하여 트레이(800)가 그리퍼(230)에 용이하게 파지될 수 있다.Here, when the tray storage unit 910 and the tray 800 are not positioned in parallel but are positioned crookedly, the first gripper 230 and the upper left end of the tray 800 come into contact with the second gripper 230 and the tray 800 . ) the lower right part is in contact, and when the gap between the first gripper 230 and the second gripper 230 is narrowed, the upper left part of the tray 800 moves to the right and the lower right part moves to the left so that the tray 800 is It may be easily gripped by the gripper 230 .

그리퍼(230)가 상하부로 이동하는 단계는, 리니어가이드(234)에 형성되어 있는 레일바퀴(235)에 구동부(600)에서 구동력이 인가되어 그리퍼(230)가 제2레일(222) 및 제4레일(224)에서 트레이(800) 저장판(210)과 수평하게 상하부로 움직여 트레이(800) 저장판(210) 높이로 이동할 수 있다. 이 후 제1레일(221) 및 제3레일(223)의 끝단으로 이동한 후 제1그리퍼(231)을 좌측으로 이동하고, 제2그리퍼(232)를 우측으로 이동시켜 트레이(800)를 트레이(800) 저장판(210)에 인입할 수 있다.In the step of moving the gripper 230 up and down, a driving force is applied from the driving unit 600 to the rail wheel 235 formed on the linear guide 234 so that the gripper 230 moves the second rail 222 and the fourth On the rail 224 , the tray 800 may move up and down horizontally with the storage plate 210 to move to the height of the tray 800 storage plate 210 . Thereafter, after moving to the ends of the first rail 221 and the third rail 223 , the first gripper 231 is moved to the left, and the second gripper 232 is moved to the right to remove the tray 800 from the tray. (800) can be drawn into the storage plate (210).

이러한 음식 서빙 및 퇴식을 위한 서빙 로봇은, 테이블(900)의 높이가 다른 경우에도 용이하게 음식을 서빙 및 퇴식할 수 있고, 테이블(900)의 형태가 다른 경우에도 용이하게 음식을 서빙 및 퇴식할 수 있으며, 테이블(900)의 배치가 다른 경우에도 용이하게 음식을 서빙 및 퇴식할 수 있고, 트레이(800)가 삐뚤게 놓일 시에도 용이하게 트레이(800)를 퇴식하는 장점이 있으며, 하우징이 트레이(800)를 둘러싸며 형성되어 서빙 로봇의 서빙 시 음식에 먼지 및 이물질 등으로 인한 2차 오염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The serving robot for food serving and eating out can easily serve and eat food even when the height of the table 900 is different, and can easily serve and eat food even when the shape of the table 900 is different. Also, even when the arrangement of the table 900 is different, food can be easily served and served, and there is an advantage of easily eroding the tray 800 even when the tray 800 is placed crookedly, and the housing is the tray It is formed to surround the 800 and has the advantage of preventing secondary contamination due to dust and foreign substances in the food during serving of the serving robot.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on,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understand that it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likewise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서빙 로봇 200 : 하우징
210 : 트레이 저장판 211 : 무게감지센서
220 : 레일 221 : 제1레일
222 : 제2레일 223 : 제3레일
224 : 제4레일 230 : 그리퍼
231 : 제1그리퍼 232 : 제2그리퍼
233 : 리니어모터 234 : 리니어가이드
235 : 레일바퀴 236 : 그립돌기
240 : 투명판 300 : 거리센서
400 : 마커센서 500 : 카메라
600 : 구동부 700 : 제어부
800 : 트레이 810 : 그리퍼거치부
811 : 거치홈 900 : 테이블
910 : 트레이 보관부 920 : 거리반사판
100: serving robot 200: housing
210: tray storage plate 211: weight sensor
220: rail 221: first rail
222: second rail 223: third rail
224: fourth rail 230: gripper
231: first gripper 232: second gripper
233: linear motor 234: linear guide
235: rail wheel 236: grip projection
240: transparent plate 300: distance sensor
400: marker sensor 500: camera
600: driving unit 700: control unit
800: tray 810: gripper holder
811: mounting groove 900: table
910: tray storage 920: distance reflector

Claims (12)

복수개의 바퀴를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복수개 형성되며, 트레이를 수용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수용부의 좌측면에 구비되는 제1그리퍼, 상기 수용부의 우측면에 구비되는 제2그리퍼를 포함하고, 상기 트레이를 상기 수용부 내부로 이동시키거나 상기 트레이를 외부로 이동시키는 그리퍼;
상기 하우징 측면에 구비되며, 테이블과의 거리를 인식하는 거리센서; 및
상기 그리퍼와 결합되고, 리니어가이드를 구비하며, 상기 그리퍼를 상기 리니어가이드 상에서 좌우로 이동시키는 리니어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그리퍼와 상기 제2그리퍼 사이에 상기 트레이가 위치하고, 상기 제1그리퍼 및 상기 제 2그리퍼가 상기 리니어가이드 상에서 좌우로 이동되어 상기 트레이를 파지하며,
상기 거리센서가 테이블의 높낮이를 인식하여 상기 그리퍼가 상기 수용부 내부에 위치한 트레이를 외부로 이동시키거나, 또는 외부에 위치한 상기 트레이를 상기 수용부 내부로 이동시켜 상기 트레이의 서빙과 퇴식을 용이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 서빙 및 퇴식을 위한 서빙 로봇.
a housing having a plurality of wheels;
a plurality of accommodating portions formed inside the housing and accommodating trays;
and a first gripper positioned inside the accommodating part and provided on a left side of the accommodating part and a second gripper provided on a right side of the accommodating part, wherein the tray is moved into the accommodating part or the tray is moved outward. moving gripper;
a distance sensor provided on the side of the housing and recognizing the distance to the table; and
a linear motor coupled to the gripper, having a linear guide, and moving the gripper left and right on the linear guide; and
The tray is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gripper and the second gripper, and the first gripper and the second gripper are moved left and right on the linear guide to grip the tray,
The distance sensor recognizes the height of the table so that the gripper moves the tray located inside the accommodating part to the outside, or moves the tray located outside the accommodating part into the accommodating part to facilitate serving and disposing of the tray Serving robot for food serving and eating, characterized in tha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대상 지점에 부착된 마커를 인식하여 상기 대상 지점에 근접하게 이동하도록 하는 마커센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 서빙 및 퇴식을 위한 서빙 로봇.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ousing is
Serving robot for serving and serving food,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marker sensor for recognizing a marker attached to the target point to move closer to the target poin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거리센서는, 상하로 이동하여 높이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 서빙 및 퇴식을 위한 서빙 로봇.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istance sensor is a serving robot for serving and eating food,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height by moving up and dow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거리센서는, 대상 지점에 부착된 반사판을 인식하여 대상 지점과 상기 하우징의 거리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 서빙 및 퇴식을 위한 서빙 로봇.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istance sensor, by recognizing a reflector attached to the target point, a serving robot for serving and serving food, characterized in that for measuring the distance between the target point and the housing.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그리퍼는, 삼차원 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 서빙 및 퇴식을 위한 서빙 로봇.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gripper is a serving robot for serving and eating food, characterized in that three-dimensional movement is possibl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수용부의 측면에 위치하며 투명하게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 내부를 용이하게 관찰하는 투명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 서빙 및 퇴식을 위한 서빙 로봇.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eceiving unit,
Serving robot for serving and serving foo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transparent plate that is located on the side of the accommodating part and is formed to be transparent to easily observe the inside of the accommodating part.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투명판의 재질은 아크릴, 유리, 염화비닐, 폴리스티렌 및 폴리에틸렌 중 선택되는 어느 한가지 물질 중 하나 이상의 물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 서빙 및 퇴식을 위한 서빙 로봇.
7. The method of claim 6,
The transparent plate is made of at least one material selected from among acrylic, glass, vinyl chloride, polystyrene and polyethylen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의 상부 모서리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복수개 구비되며, 물체를 인식하는 카메라;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 서빙 및 퇴식을 위한 서빙 로봇.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ousing is
A plurality of cameras are provided in a downward direction from the upper edge of the housing, and a camera for recognizing an objec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 하부에 형성되며, 서빙 로봇을 작동하는 구동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 서빙 및 퇴식을 위한 서빙 로봇.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ousing is
Serving robot for serving and serving food,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the driving unit for operating the serving robo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 하부에 구비되며, 센서 및 서빙 로봇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 서빙 및 퇴식을 위한 서빙 로봇.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ousing is
Serving robot for serving and serving food,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provided under the housing, the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movement of the sensor and the serving robot.
청구항 1내지 청구항 1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음식 서빙 및 퇴식을 위한 서빙 로봇에 의한 서빙 로봇의 서빙 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에 상기 트레이를 인입하는 단계;
서빙 로봇이 이동할 대상 지점을 설정하는 단계;
천장에 부착된 마커를 마커센서가 인식하여 대상 지점에 근접하게 이동하는 단계;
상기 거리센서가 테이블에 부착된 반사판을 인식하여 대상 지점까지의 거리 및 각도를 계산하는 단계;
서빙을 위하여 카메라가 대상 지점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그리퍼가 상기 수용부에 위치한 상기 트레이를 파지하는 단계;
상기 그리퍼가 테이블의 높이에 따라 상하부로 이동하는 단계;
상기 그리퍼가 상기 트레이를 대상 지점에 내려놓는 단계; 및
상기 그리퍼가 퇴식 장소로 이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빙 로봇의 서빙 방법.
In the serving method of the serving robot by the serving robot for food serving and eating out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0,
retracting the tray into the receiving unit;
setting a target point to which the serving robot will move;
Recognizing the marker attached to the ceiling by the marker sensor and moving it closer to the target point;
calculating, by the distance sensor, a distance and an angle to a target point by recognizing a reflector attached to the table;
Checking the target point by the camera for serving;
the gripper gripping the tray located in the receiving part;
moving the gripper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table;
the gripper placing the tray on a target point; and
Serving method of a serving robot comprising a; the step of moving the gripper to the erosion location.
청구항 1내지 청구항 1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음식 서빙 및 퇴식을 위한 서빙 로봇에 의한 서빙 로봇의 퇴식 방법에 있어서,
호출벨의 호출에 따라 서빙 로봇이 이동할 대상 지점을 설정하는 단계;
천장에 부착된 마커를 마커센서가 인식하여 대상 지점에 근접하게 이동하는 단계;
상기 거리센서가 테이블에 부착된 반사판을 인식하여 대상 지점까지의 거리 및 각도를 계산하는 단계;
서빙 또는 퇴식을 위하여 카메라가 대상 지점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그리퍼가 테이블의 높이에 따라 상하부로 이동하는 단계;
상기 그리퍼가 상기 트레이를 파지하는 단계;
상기 그리퍼가 상기 트레이를 상기 수용부에 인입하는 단계; 및
상기 그리퍼가 퇴식 장소로 이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빙 로봇의 퇴식 방법.

In the erosion method of the serving robot by the serving robot for food serving and evacuation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0,
setting a target point to which the serving robot will move according to the call of the call bell;
Recognizing the marker attached to the ceiling by the marker sensor and moving it closer to the target point;
calculating, by the distance sensor, a distance and an angle to a target point by recognizing a reflector attached to the table;
checking the target point by the camera for serving or serving;
moving the gripper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table;
the gripper gripping the tray;
drawing, by the gripper, the tray into the accommodating part; and
Removal method of a serving robot comprising a; the step of moving the gripper to the evacuation location.

KR1020220023779A 2022-02-23 2022-02-23 Serving robot for serving and leaving food KR10246504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3779A KR102465049B1 (en) 2022-02-23 2022-02-23 Serving robot for serving and leaving fo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3779A KR102465049B1 (en) 2022-02-23 2022-02-23 Serving robot for serving and leaving fo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5049B1 true KR102465049B1 (en) 2022-11-09

Family

ID=84040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3779A KR102465049B1 (en) 2022-02-23 2022-02-23 Serving robot for serving and leaving fo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5049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0008U (en) * 2006-06-02 2006-10-27 김성주 Motorcycle delivery box
KR20100110143A (en) * 2009-04-02 2010-10-12 주식회사 유진로봇 Robot system for restaurant serving
KR20190106910A (en) * 2019-06-17 2019-09-18 엘지전자 주식회사 The moving robot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KR20200133174A (en) * 2019-05-16 2020-11-26 주식회사 알지티 Serving robot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0008U (en) * 2006-06-02 2006-10-27 김성주 Motorcycle delivery box
KR20100110143A (en) * 2009-04-02 2010-10-12 주식회사 유진로봇 Robot system for restaurant serving
KR101083700B1 (en) 2009-04-02 2011-11-16 주식회사 유진로봇 robot system for restaurant serving
KR20200133174A (en) * 2019-05-16 2020-11-26 주식회사 알지티 Serving robot
KR20190106910A (en) * 2019-06-17 2019-09-18 엘지전자 주식회사 The moving robot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477218B2 (en) Home autonomous item collection and transportation robot system
JP7103689B2 (en) Autonomous mobile transfer robot
US9535421B1 (en) Mobile delivery robot with interior cargo space
JP6211734B1 (en) Combination of stereo processing and structured light processing
US20200148475A1 (en) Automated storage and retrieval system with detector for detecting items extending beyond dimensional threshold
US9527710B1 (en) Enhanced inventory holder
JP6531336B2 (en) Item gripping by robot in inventory system
US20190246858A1 (en) Cleaning robot with arm and tool receptacles
WO2020259233A1 (en) Meal delivery robot
JP2017515176A (en) Authentication system at the doorway
US20150242806A1 (en) Entryway Based Authentication System
US10119272B1 (en) Interference frames
JP7033626B2 (en) Automatic parcel terminal
US20210229293A1 (en) Lifting robot systems
WO2021115216A1 (en) Self-propelled apparatus, apparatus combination and vending system
US11267651B2 (en) System having workstation with tote retention and release mechanism
CN111429660A (en) Multifunctional container
GB2531072A (en) Vending machine and associated methods
JP6663083B1 (en) Lifting robot and robot system
KR102465049B1 (en) Serving robot for serving and leaving food
CN109095195B (en) Cargo stacking device, cargo stacking system comprising same and method thereof
CA2938587A1 (en) Shopping facility track system and method of routing motorized transport units
US20230331484A1 (en) Robots for Three-Dimensional Sortation
US20240160210A1 (en) Place enrollment in a robotic cart coordination system
TW201931039A (en) A robot capable of taking elevator autonomously and a method for receiving and delivering articles u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