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4973B1 - 균일한 압력의 돌기를 갖는 마스크 - Google Patents

균일한 압력의 돌기를 갖는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4973B1
KR102464973B1 KR1020220006248A KR20220006248A KR102464973B1 KR 102464973 B1 KR102464973 B1 KR 102464973B1 KR 1020220006248 A KR1020220006248 A KR 1020220006248A KR 20220006248 A KR20220006248 A KR 20220006248A KR 102464973 B1 KR102464973 B1 KR 1024649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mask
sheet
protrusion
support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62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39660A (ko
Inventor
오지윤
Original Assignee
오지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지윤 filed Critical 오지윤
Priority to KR10202200062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4973B1/ko
Publication of KR202200396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96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49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49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02Masks for cosmetic treatment of the fa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4Devices for pressing such points, e.g. Shiatsu or Acu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8Devices for applying needles to such points, i.e. for acupuncture ; Acupuncture needles or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2Face mask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0Details of appl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0Details of applicators
    • A45D2200/1009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 A45D2200/1036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containing a cosmetic substance, e.g. impregnated with liquid or containing a soluble solid substanc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20Additional enhanc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with further special therapeutic means, e.g. electrotherapy, magneto therapy or radiation therapy, chromo therapy, infrared or ultraviolet therapy
    • A61H2201/105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with further special therapeutic means, e.g. electrotherapy, magneto therapy or radiation therapy, chromo therapy, infrared or ultraviolet therapy with means for delivering media, e.g. drugs or cosm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83Surface of interface
    • A61H2201/169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surface, e.g. material, relief, texture or indicia
    • A61H2201/1695Enhanced pressure effect, e.g. substantially sharp projections, needles or pyram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2Head
    • A61H2205/022Fac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Birds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smetics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스크 시트(140)에 복수 개의 돌기(130)가 구비되고, 하나의 돌기(130)에 첨단(131)이 복수 구비되도록, 돌기(130)는 C형태부재를 취해서 C형태부재의 양단이 첨단(131)으로 제공되며, C형태부재의 중간 몸체 곡선부로 이루어지는 지지편(132`)은 시트(140)의 내측(143)에 접촉한다. 도포부재(134)가 내측(143)과 지지편(132`)의 외측을 함께 도포하여 지지편(132`)이 시트(140)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잡아줌과 동시에 지지편(132`)의 곡선부가 도포부재(134)위에서 구를 수 있도록 하여서, 어느 하나의 첨단(131)(131a)이 피부의 돌출부위로부터 눌려 후퇴하면 반대로 다른 하나의 첨단(131)(131b)이 돌출하여 나와서 피부의 돌출부위 주변을 가압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균일한 압력의 돌기를 갖는 마스크{Bump Mounted Mask Pack}
본 발명은 구비된 돌기로 피부를 마사지함으로써 경락마사지 및 피내침 효과를 갖는 마스크와 관련하는 것이다. 피부를 촉촉하고 탄력적으로 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기능성 화장품이나 팩, 마사지, 전문적인 시술 등으로 피부관리를 하고 있다.
피부의 손상을 회복하고 노화 방지를 위해 비타민과 미네랄 등을 외부에서 공급하는 것은 피부의 정상적인 상태를 유지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요소로서, (얼굴) 피부에 영양을 공급하고 탄력적인 피부를 유지하기 위한 마스크(마스크팩)는 사용방법에 따라 크게 워시 오프형(wash off type), 필 오프형(peel off type), 시트형(sheet type)의 세 가지로 대별된다. 워시 오프형은 머드 또는 클레이, 젤 형태 등의 미용성분을 얼굴에 바른 후 물로 씻어내는 타입이고, 필 오프형은 미용성분을 바른 후에 일정시간 경과 후 건조된 미용성분을 벗겨내는 타입이며, 시트형은 시트에 미리 화장수나 에센스와 같은 미용성분들이 적셔져 있어서 피부에 붙인 후 떼어내는 타입이다. 그런데 워시 오프형 마스크는 제거하기가 번거롭고 제거 후 얼굴이나 피부에 팩의 찌꺼기가 남아 있어서 한번에 제거하기 어려우며, 건조된 내용물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주변을 오염시키고 피부에 긴장감을 부여하지 못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으며, 필 오프형의 마스크는 수용성 고분자 물질에 의해 물이 증발하면서 고분자가 필름을 형성하여 피부에 강한 긴장감을 부여하고 산뜻한 장점이 있으나 워시 오프형에 비하여 보습과 영양공급 효과가 떨어지는 등의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피부보호막 형성과 영양공급 및 보습효과 등을 위하여 피부미용성분을 일회용 시트에 적당히 도포한 후 안면부에 일정시간 부착하여 마사지 효과를 제공하는 시트형의 마스크가 주로 사용된다. 그러나 시트형의 마스크는 오랜 시간이 경과하거나 피부침투가 더딘 미용성분을 사용할 경우 쉽게 말라버리고, 마스크으로부터 피부로의 미용성분 전달 효율성이 높지 않다.
마스크에 바늘과 같은 돌기를 설치하여 얼굴 피부에 자극을 줌으로써 미용성분의 흡수를 촉진하는 방안이 제시되어 있는 바, 공개특허 제75832호(2011)에는 승장, 지창, 협거, 청해, 영향, 사백 및 청궁으로 구성되는 안면 피부의 혈자리를 자극할 수 있도록 혈자리의 대응부에 돌기가 형성된 마스크와, 마스크를 이용하여 혈자리를 자극해줌으로써 안면 피부의 온도를 상승시키고 붓기를 개선하는 소안 마사지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얼굴 등 인체으 피부 표면은 거의 곡면형태이므로 마스크에 형성된 돌기를 혈자리에 정확히 일치시키기 어려워서 효과를 보기 어려울 수 있다.
관련하여서 등록특허 제1452400호(2014.10.13)가 제공되어 있다. 한편, 공개특허 제81380호(2010)에는 미세 바늘이 부착된 스킨 케어 마스크에 관한 발명이 개시되어 있는데, 스킨 케어 마스크의 뒷면에 막 형태로 균일하게 형성되는 보호막; 보호막 상에 막 형태로 균일하게 형성되는 피부 마사지용 젤 또는 하이드로 젤 레이어; 및 젤 레이어에 부착되고 젤 레이어로부터 젤을 흡수하여 피부에 전달하는 다수의 미세 바늘들을 구비하며, 다수의 미세 바늘들 각각의 일부분은 젤 레이어에 파묻혀서 젤 레이어로부터 젤을 흡수하고 다수의 미세 바늘들 각각의 나머지 부분은 젤 레이어로부터 돌출되어 피부에 접촉되어 다수의 미세 바늘들 각각의 일부분에서 흡수된 젤을 피부로 전달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얼굴은 곡면형태이고 마스크는 평면형태이므로 마스크를 적당히 재단하여 곡면의 얼굴형태에 맞추려고 할 경우 마스크가 얼굴 전체에 접촉되도록 할 수는 있으나 전체적으로 균일한 압력으로 눌러주지 못하여 마사지 효과가 불균일하며, 이에 따라 미용성분의 피부 흡수율 또한 위치에 따라 차이가 나므로 마스크 사용 후 얼굴 피부가 울퉁불퉁하고 얼굴색이 울긋불긋해지는 부작용이 발생한다.
피부질환, 피부노화 방지를 위하여 마스크에 돌기 바늘을 부착하여 피부에 수분과 영양 공급을 촉진하기 위하여는 마스크가 굴곡진 곡면형상의 얼굴에 균일한 압력으로 밀착되도록 하는 방안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곡면형상의 얼굴에 평면형상의 마스크가 균일하게 밀착되도록 하여 마스크에 부착되는 돌기가 피부 전체에 균일한 압력을 가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자 한다.
중앙에 가로방향으로 부분 절개된 제1절개선(110)과 제1절개선(110)에서 상방향 단부까지 절개된 제2절개선(111)이 형성되어 있으며, 표면(141)에 복수 개의 돌기(130)가 형성된다. 돌기(130)는 바늘일 수 있고, 얼굴의 혈자리에 위치할 수 있다. 돌기(130)는 마스크(100)의 표면 전체에 형성되거나, 제1절개선(110)이 코의 하단부에 일치되도록 얼굴에 부착시 제2절개선(111)을 기준으로 좌우의 마스크 일부가 서로 겹쳐지는 겹침부(120a, 120b)를 제외한 돌기형성부(121)에 형성되거나, 겹침부(120a, 120b) 중 어느 일면과 돌기형성부(121)에 형성되거나, 겹침부(120a, 120b)가 서로 겹쳐진 상태에서 눈에 대응되는 위치를 제외한 마스크(100)의 표면 전체에 형성되거나, 겹침부(120a, 120b)가 서로 겹쳐진 상태에서 눈에 대응되는 위치와 겹침부(120a, 120b)를 제외한 돌기형성부(121)에 형성되거나, 겹침부(120a, 120b)가 서로 겹쳐진 상태에서 눈에 대응되는 위치와 겹침부(120a, 120b) 중 어느 일면을 제외한 타면의 겹침부(120a, 120b)와 돌기형성부(121)에 형성될 수 있다. 돌기(130)는 첨단(131)이 마스크(100)의 시트(140) 이면(143)으로부터 시트(140)를 관통하여 시트(140)의 표면(141)으로 돌출되도록 하고, 돌기(130)를 지지하는 지지편(132)과 시트(140)의 이면(143) 사이에 접착제(133)가 개재 가능하다. 제1절개선(110)이 코의 하단부에 일치되고 제2절개선(111)을 기준으로 좌우의 마스크 일부가 서로 겹쳐지도록 얼굴에 부착한 상태에서, 얼굴의 눈 부위에 대응되는 위치와 입 부위에 대응되는 위치에 개구부(150a, 150b, 151)가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시트(140)에 복수 개의 돌기(130)가 구비되는, 돌기가 부착된 마스크(100)에 있어서,
하나의 돌기(130)에 첨단(131)이 적어도 2개 이상 복수 구비되도록, 돌기(130)는 C형태부재를 취해서 C형태부재의 양단이 첨단(131)으로 제공되며, C형태부재의 중간 몸체 곡선부로 이루어지는 지지편(132`)은 시트(140)의 내측(143)에 접촉하고,
도포부재(134)가 내측(143)과 지지편(132`)의 외측을 함께 도포하여 지지편(132`)이 시트(140)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잡아줌과 동시에 지지편(132`)의 곡선부가 도포부재(134)위에서 소정 움직여 구를 수 있도록 안내하여서 이를 통하여, 복수의 첨단(131) 중 어느 하나의 첨단(131)(131a)이 피부의 돌출부위로부터 눌려 후퇴하면 반대로 다른 하나의 첨단(131)(131b)이 돌출하여 나와서 피부의 돌출부위 주변을 가압하도록 제공된다.
피부회복을 위하여 마스크 표면에 구비된 돌기가 피부 전체에 균일한 압력으로 밀착되어 피부를 자극함으로써 고르게 혈액순환을 촉진하여 피부미용 효과와 더불어 경락마사지 효과 및 피내침(皮內鍼)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마스크에 부착된 바늘이 피부에 미세한 구멍을 내고, 이 구멍을 통하여 마스크에 도포된 미용성분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피부 깊숙이 침투하므로 미용성분의 피부흡수율과 피부흡수효과가 향상된다.
도 1은 돌기를 구비한 마스크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돌기가 부착된 마스크의 단면구조를 보여주는 부분단면도이다.
도 3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도 3 A는 어느 부분 사시도이고, 도 3 B는 조립된 상태를 측단면으로 보인 예시도이다.
4는 조립된 상태에서 동작을 예시하여 보인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과 함께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종래에 마스크(100)는 중앙에 가로방향으로 부분 절개된 제1절개선(110)과 제1절개선(110)에서 상방향 단부(斷部)까지 절개된 제2절개선(111)이 형성되어 있다. 제2절개선(111)은 제1절개선(110)의 중심에서 상방향 단부까지 절개되거나 제1절개선(110)의 임의의 점에서 상방향 단부까지 절개될 수 있으며, 또한 제1절개선(110)에서 수직 상방향으로 절개되거나 제1절개선(110)에서 상방향으로 비스듬히 절개될 수도 있다. 도 1을 참조한다. 위와 같이 절개선이 형성된 마스크(100)를 얼굴에 부착시, 제1절개선(110)이 코의 하단부에 일치되게 하여 얼굴에 밀착시키면 마스크(100)는 얼굴윤곽의 굴곡진 곡면형태를 따라 가장자리가 얼굴 뒤편으로 만곡되고 이에 따라 자연스럽게 제2절개선(111)을 기준으로 좌우의 마스크 일부가 서로 겹쳐지면서 얼굴 전체에 걸쳐 균일하게 밀착될 수 있는 바, 겹침부(120a, 120b)가 예시되어 있다.
마스크(100)의 표면에는 복수 개의 돌기(130)가 형성되어 마스크(100)를 얼굴에 부착시 돌기(130)가 얼굴 피부를 전체적으로 고르게 자극함으로써 혈액순환을 촉진하여 피부미용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돌기(130)가 얼굴의 혈자리, 예를 들어 천정, 사공, 인당, 산근, 비준, 인중, 승장, 대영, 염천, 지각, 태양, 사백, 지창, 협차, 영향, 권료, 사백, 하관 등에 위치하도록 하여 경혈을 자극함으로써 붓기 완화, 소안 효과, 피부색 개선, 안면 피부온도 상승 등의 효과를 얻을 수도 있다. 또한, 돌기(130)는 압봉, 티(T)침과 같은 바늘(침)일 수도 있는데, 얼굴 피부에 바늘로 자극을 주어 이에 따른 인체의 반사작용으로 콜라겐의 형성을 유도하여, 주로 주름·여드름·각질 제거 등과 같은 피부미용 효과와 더불어 얼굴경락마사지 효과 및 피내침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얼굴 피부에 미세한 구멍을 내는 과정에서 손상된 피부조직의 자생력을 이용하여 새살이 돋아나게 되는데, 이러한 방법은 피부를 벗겨내어 손상된 피부가 재생되는 것을 이용하여 주름이나 색소침착이 치료되는 기존의 레이저, 박피 등의 시술법과는 달리, 표피를 제거하거나 손상시키지 않고 자체 콜라겐 생성을 유도하는 세포 복원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즉, 바늘이 피부에 침투되면서 발생하는 자연적 상처치유(wound healing) 작용으로 진피조직이 새로이 구성되고 재배열되기 때문에 흉터가 얕아지고 피부가 팽팽하게 당겨지면서 잔주름이 감소하며 색소침착이 개선되어 건강하고 깨끗한 피부로 되돌아갈 수 있는 부작용없이 간편하고 안전한 침 시술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돌기(130)는 마스크(100)의 표면 전체에 형성되거나, 겹침부(120a, 120b)를 제외한 돌기형성부(121)에 형성되거나, 겹침부(120a, 120b) 중 어느 일면과 돌기형성부(121)에 형성되거나, 겹침부(120a, 120b)가 서로 겹쳐진 상태에서 눈에 대응되는 위치를 제외한 마스크(100)의 표면 전체에 형성되거나, 겹침부(120a, 120b)가 서로 겹쳐진 상태에서 눈에 대응되는 위치와 겹침부(120a, 120b)를 제외한 돌기형성부(121)에 형성되거나, 겹침부(120a, 120b)가 서로 겹쳐진 상태에서 눈에 대응되는 위치와 겹침부(120a, 120b) 중 어느 일면을 제외한 타면의 겹침부(120a, 120b)와 돌기형성부(121)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마스크(100)의 표면에는 피부미용성분이 도포될 수 있으며, 미용성분으로는 최근의 웰빙붐을 타고 살구씨, 오이, 녹차, 알로에 등의 식물재료와 콜라겐, 알부틴, 레티놀 등의 동물성 추출물 재료, 아가로스, 알지네이트, 잔탄검, 구아검, 한천 등과 같은 친수성 하이드로콜로이드가 물리화학적 결합에 의해 3차원 메트릭스를 형성한 하이드로겔 또는 황토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며, 성분들을 조합하여 피부의 노화방지, 미백효과, 잡티제거, 보습효과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마스크(100)에는 돌기가 부착된 경우, 마스크(100)를 얼굴에 좀더 견고하게 밀착되도록 하여 돌기가 얼굴 피부 전체에 균일한 힘과 깊이로 찌르도록 할 필요가 있는데, 이를 위하여 마스크(100)의 표면에 도포되는 피부미용성분으로서 점성이 높은 다당류 또는 꿀이 바람직하며, 다당류 또는 꿀을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일반적으로 피부미용성분으로 사용되는 식물재료, 동물성 추출물 재료, 하이드로겔, 황토 등과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다당류는 수용액의 존재하에서 겔화반응제나 가교제와 화학적으로 반응하여 하이드로겔을 형성함으로써 물을 많이 함유하고 있는 수용성 고분자로 인하여 피부흡수성이 좋아지게 되어 유효활성성분의 이송을 용이하게 하며, 점성이 좋아 겔의 수분이 증발할 경우에도 부착성과 팽윤성이 우수하고 건조 피막이 물을 함유하는 보습성이 좋아서 피부부착 사용 후 간편하게 피막 제거가 가능한 이점이 있으며, 꿀은 특히 윤기와 보습효과가 우수한 바, 피부미용성분이 다당류 또는 꿀을 포함함으로써 액상의 물성이 아니라 점성을 가지는 점액질 상태의 물성을 가지게 되어 마스크(100)를 일정한 형태로 유지하면서 피부에 밀착시켜 피부미용성분이 피부에 잘 스며들도록 한다.
또한, 마스크(100)에 부착된 돌기가 바늘과 같은 형태일 경우 바늘의 뾰족한 첨단이 얼굴 피부에 침투하면서 미세한 구멍을 내고, 이 구멍을 통하여 피부에 밀착된 마스크(100)의 미용성분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피부 깊숙이 침투하게 되어 미용성분의 피부흡수율과 피부흡수효과가 더욱 향상된다. 그런데 돌기(130)는 마스크(100)의 시트 표면에 부착되어 형성되는데, 돌기(130)를 시트 표면에 부착하기 위해서는 돌기(130)와 마스크(100) 사이에 돌기(130)를 고정하는 접착제가 도포되고 이러한 접착제는 마스크(100) 표면의 피부미용성분에 의해 용해되어 얼굴 피부에 흡수될 수 있다.
접착제는 일반적으로 피부에 유해한 화공약품 성분으로 이루어져서 접착제가 얼굴 피부에 흡수될 경우 얼굴 피부미용에 악영향을 미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돌기(130)의 접착이 마스크(100)의 시트 표면이 아닌 시트 이면에서 이루어지도록 하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140)의 표면(141)에 피부미용성분(142) 도포되고 돌기(130)의 첨단(尖端, 131)이 시트(140)의 이면(143)으로부터 시트(140)를 관통하여 시트(140)의 표면(141)으로 돌출되도록 하며, 돌기(130)를 지지하는 지지편(132)과 시트(140)의 이면(143) 사이에 접착제(133)가 개재되어 돌기(130)를 마스크(100)의 시트(140)에 고정시킨다.
위와 같은 마스크(100)는 접착제(133)와 피부미용성분(142)이 분리되어 있어서 접착제(133)가 피부미용성분(142)에 의해 용해될 우려가 없으며, 접착제(133)가 얼굴 피부와 접촉하지 않는 시트(140)의 이면(143)에 도포되므로 얼굴 피부에 흡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의 마스크(100)는 돌기(130)와 피부미용성분(142)을 덮으면서 제거가 가능한 피부미용성분(142) 불투과성의 보호필름(144)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보관이나 이동시 돌기(130)와 피부미용성분(142)을 보호하기 위함으로써, 사용시에는 보호필름(144)을 떼어낸 후 표면(141)에 노출된 돌기(130)와 피부미용성분(142)을 얼굴에 밀착시켜 사용한다. 또한, 마스크(100)의 겹침부(120a, 120b)가 서로 겹쳐지도록 얼굴에 부착한 상태에서 얼굴의 눈 부위에 대응되는 위치와 입 부위에 대응되는 위치에 개구부(150a, 150b, 151)를 형성시켜 마스크(100)의 착용 중에 보거나 말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3 이하의 실시예와 함께 본 발명의 진보된 실시예를 알아본다. 마스크(100)(마스크팩)의 시트(140)에 복수 개의 돌기(130)가 부착 구비되되, 돌기(130)는 C클립 형태의 부재(C형태부재)로 제공되고, C형태부재의 양단은 각각 첨단(131)으로 제공되어서 결국 복수 개(2개)의 첨단(131:131a,131b)을 갖는다.
도 3 예시에서는 C형태부재 두 개가 서로 소정 각도(도면의 경우 90도)를 두고 교차 형성된 방법으로 제공되어서 총 4개의 첨단(131:131a,131b,131c,131d)이 구성되며, 이 중에서 어느 하나 C형태부재의 양단에는 첨단(131a)과 첨단(131b)가 서로 대응되게 구성되고, 다른 하나 C형태부재의 양단에는 첨단(131c)과 첨단(131d)가 서로 대응되게 구성된다.
C형태부재의 중간 몸체는 곡선부로 이루어져 제공되며 이 부분이 곡선형태 지지편(132`)의 역할을 하고, 곡선형태 지지편(132`)의 안쪽은 시트(140)의 내측(143)에 접촉하여 있는 상태가 되어서 위치 이동이 한정된다. 그리고 곡선형태 지지편(132`)의 외측(바깥쪽)은 도포부재(134)에 접촉하여 있는 상태(위치 이동이 한정된 상태)가 된다. 여기서 도포부재(134)는 일측에 접착제가 도포되어서 시트(140)의 내측(143)에 접착된다. 따라서, 시트(140)의 내측(143)과 도포부재(134)의 일측 사이에는 곡선형태 지지편(132`)이 개재되어서 이 개재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즉, 도포부재(134)는 시트(140)의 내측(143)과 지지편(132`)의 외측을 함께 도포하여 지지편(132`)이 시트(140)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잡아줌과 동시에, 곡선형태 지지편(132`)의 외측 곡선부가 도포부재(134) 위에서 소정 움직일(구를) 수 있도록 가이드(안내)를 하여준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태를 통하여 도 4의 예시와 같이, 복수의 첨단(131) 중 어느 하나의 첨단(131a)이 피부의 돌출부위로부터 눌려서 후퇴(m1)하면 반대로 다른 하나의 첨단(131b)이 돌출(m2)하여 튀어나와서 피부의 돌출부위 주변을 가압하도록 동작한다. 이러한 작동을 통하여 첨단(131)이 보다 더 얼굴, 피부의 굴곡(양각, 음각)에 잘 대응되게 후퇴(m1)와 돌출(m2)을 하면서 굴곡에 관계없이 어디서나 고른 압력으로 가압 및 지압 등을 실시하게 된다.
121:돌기형성부
130:돌기
131:첨단
132:지지편
140:시트
141:표면
143:이면

Claims (1)

  1. 복수 개의 돌기(130)가 형성되되, 돌기(130)의 첨단(131)이 마스크 시트(140)의 내측(143)으로부터 시트(140)를 관통하여 시트(140)의 표면(141)으로 돌출되고,
    돌기(130)는 C형태부재를 취해서, C형태부재의 양단이 복수 개의 첨단(131:131a,131b)으로 제공되며, C형태부재의 몸체는 곡선부로 이루어져서 곡선형태의 지지편(132`) 역할을 하면서 시트(140)의 내측(143)에 접촉한 상태가 되어서 위치 이동이 한정되고,
    도포부재(134)가 시트(140)의 내측(143)과 지지편(132`)의 외측을 함께 도포하여 지지편(132`)이 시트(140)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잡아줌과 동시에, 지지편(132`)이 도포부재(134)위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안내하여서, 양단의 첨단(131) 중 어느 하나가 후퇴하면 다른 하나가 돌출하여서 균일한 압력으로 피부를 가압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일한 압력의 돌기를 갖는 마스크.
KR1020220006248A 2020-11-18 2022-01-15 균일한 압력의 돌기를 갖는 마스크 KR1024649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6248A KR102464973B1 (ko) 2020-11-18 2022-01-15 균일한 압력의 돌기를 갖는 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4481A KR102453417B1 (ko) 2020-11-18 2020-11-18 돌기가 부착된 마스크팩
KR1020220006248A KR102464973B1 (ko) 2020-11-18 2022-01-15 균일한 압력의 돌기를 갖는 마스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4481A Division KR102453417B1 (ko) 2020-11-18 2020-11-18 돌기가 부착된 마스크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9660A KR20220039660A (ko) 2022-03-29
KR102464973B1 true KR102464973B1 (ko) 2022-11-09

Family

ID=80996583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4481A KR102453417B1 (ko) 2020-11-18 2020-11-18 돌기가 부착된 마스크팩
KR1020220006230A KR102486595B1 (ko) 2020-11-18 2022-01-14 굴곡에 대응하는 돌기를 갖는 마스크팩
KR1020220006248A KR102464973B1 (ko) 2020-11-18 2022-01-15 균일한 압력의 돌기를 갖는 마스크
KR1020220037174A KR20220068200A (ko) 2020-11-18 2022-03-25 경락마사지 및 피내침 돌기를 갖는 마스크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4481A KR102453417B1 (ko) 2020-11-18 2020-11-18 돌기가 부착된 마스크팩
KR1020220006230A KR102486595B1 (ko) 2020-11-18 2022-01-14 굴곡에 대응하는 돌기를 갖는 마스크팩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7174A KR20220068200A (ko) 2020-11-18 2022-03-25 경락마사지 및 피내침 돌기를 갖는 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4) KR10245341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2400B1 (ko) 2013-06-19 2014-10-22 성미숙 돌기가 부착된 마스크팩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146Y1 (ko) * 2011-06-02 2013-08-05 정우협 마스크
CN108601932A (zh) * 2016-01-28 2018-09-28 株式会社理光 微针阵列和微针片
KR20180046290A (ko) * 2016-10-27 2018-05-08 (주)얼리스킨코리아 마이크로 니들이 구비된 마스크팩 또는 패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2400B1 (ko) 2013-06-19 2014-10-22 성미숙 돌기가 부착된 마스크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9660A (ko) 2022-03-29
KR20220039502A (ko) 2022-03-29
KR102453417B1 (ko) 2022-10-11
KR20220068200A (ko) 2022-05-25
KR20220068199A (ko) 2022-05-25
KR102486595B1 (ko) 2023-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2400B1 (ko) 돌기가 부착된 마스크팩
KR101823263B1 (ko) 피부개선과 흉터치료를 겸비하는 엘이디 미용 마스크
RU2323017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контролируемой доставки активных веществ в кожу
US20150352345A1 (en) Microneedle, mould for producing same, and production method for same
KR20100054086A (ko) 호형 마이크로니들 스탬프 및 그 시술방법
CN106390301A (zh) 兼备改善皮肤和治疗疤痕的发光二极管美容面膜
US20200179667A1 (en) Apparatus for promoting hair growth
KR20120122125A (ko) 피부미용 개선을 위한 이온 마스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피부미용 개선방법
KR101006546B1 (ko) 전극내장형 마이크로니들 스탬프
KR101670271B1 (ko) 약액 주입이 향상된 미용 마스크
KR102464973B1 (ko) 균일한 압력의 돌기를 갖는 마스크
US20200188647A1 (en) Non-invasive transportation method
KR20120007011U (ko) 마이크로 니들 스탬프
KR100837083B1 (ko) 피부 흡수 향상 장치
KR20120005281U (ko) 피부마사지구
KR20210087581A (ko) 초미세 돌기 마스크팩
CA2194442A1 (en) Hydrogel for the application of therapeutic and/or cosmetic active substances to the skin
US20210085945A1 (en) Non-invasive Transportation Method
JP2021525112A (ja) 角錐形状の水溶性微細針状体スクラブ粒子
CN209900428U (zh) 一种护理用抹药装置
KR20140073652A (ko) 피부관리 방법 및 장치
KR20230139614A (ko) 약액 마스크팩 및 그 세트
KR20140109765A (ko) 피부관리 장치를 위한 팁
KR20200062097A (ko) 마이크로 스피큘, 이의 제조용 몰드 및 이의 제조 방법
TWM622581U (zh) 靈芝面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