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4672B1 - 청음 및 가스식 누출 탐지기 - Google Patents

청음 및 가스식 누출 탐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4672B1
KR102464672B1 KR1020210114369A KR20210114369A KR102464672B1 KR 102464672 B1 KR102464672 B1 KR 102464672B1 KR 1020210114369 A KR1020210114369 A KR 1020210114369A KR 20210114369 A KR20210114369 A KR 20210114369A KR 102464672 B1 KR102464672 B1 KR 1024646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hearing
lower body
gas
installa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43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옥
Original Assignee
김재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옥 filed Critical 김재옥
Priority to KR10202101143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46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46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46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G01M3/2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vibr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24Housings ; Casings for instruments
    • G01D11/245Housings for sens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4Gaseous mixtures, e.g. polluted air
    • G01N33/0009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 G01N33/0027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detect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청음식 누출 탐지와 가스식 누출 탐지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된 청음 및 가스식 누출 탐지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청음 및 가스식 누출 탐지기는 청음센서(S1)와 가스센서(S2)를 구비한 센서부(100)와, 상기 센서부(100)의 상단에 결합된 지지파이프(200)와, 상기 지지파이프(200)를 통해 상기 센서부(100)와 연결되어 청음센서(S1)와 가스센서(S2)의 동작을 동시에 제어하는 컨트롤부(3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청음 및 가스식 누출 탐지기{Hearing and gas type leak detector}
본 발명은 청음식 누출 탐지와 가스식 누출 탐지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된 청음 및 가스식 누출 탐지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과 같은 액체나 가스와 같은 기체의 누출 여부 및 정확한 누출 지점을 탐지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누출 탐지기는 탐지방법에 따라 청음식과 가스식으로 구분된다.
청음식은 유체가 누출될 때 발생되는 미세한 누출소음을 음향센서가 증폭시켜 탐지자에게 출력시키는 방식이며, 가스식은 누출되는 가스를 가스센서가 탐지하고 탐지자에게 경고음을 출력시키는 방식이다.
그러나, 종래의 누출 탐지기는 청음식과 가스식이 각각 별체로 구성되어 두종류의 누출 탐지기를 구비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에, 본 출원인은 상기한 불편한 점을 개선한 청음 및 가스식 누출 탐지기를 국내등록실용신안 제487548호를 통해 제안한바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청음 및 가스식 누출 탐지기의 분해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청음 및 가스식 누출 탐지기(1)는 외주면에 디스플레이 패널이 형성되고 일단이 막대형상으로 돌출된 연장부가 구비된 바디부(10)와, 상기 연장부에 연결되어 누출음을 감지하는 센서부(20)와, 상기 센서부(20)와 나선 결합 되어 누출음을 증폭시키는 청음봉(30)과, 상기 바디부(10)에 결합되어 누출되는 가스를 측정하는 가스탐지부재(40)와, 가스 누출 여부를 판단하는 컨트롤부(50)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청음식과 가스식을 모두를 이용하여 유체의 누출여부와 누출지점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청음 및 가스식 누출 탐지기(1)는 사용자가 컨트롤부(50)를 이용하여 청음 측정 모드 또는 가스 측정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만을 선택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작업자가 측정모드를 전환시켜 가면서 탐침을 해야 하므로 작업효율성이 크게 떨어지고 탐침 신뢰도가 크게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아울러, 종래의 청음 및 가스식 누출 탐지기(1)는 청음식으로 누출을 탐지할 경우에, 누출과 상관없는 현장 주변의 노이즈를 비롯하여 센서부와 직간접적으로 연결된 청음봉(30)이나 바디부(10)가 작업자와 접촉하면서 발생되는 노이즈도 함께 탐지됨으로써 노이즈가 너무 심해 정확한 누출여부 및 누출지점을 파악하기가 매우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87548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청음식 누출 탐지와 가스식 누출 탐지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으며, 청음식 탐지시 누출음과는 상관없는 주변의 노이즈들을 제거할 수 있는 청음 및 가스식 누출 탐지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청음 및 가스식 누출 탐지기는 청음센서와 가스센서를 구비한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의 상단에 결합된 지지파이프와, 상기 지지파이프를 통해 상기 센서부와 연결되어 청음센서와 가스센서의 동작을 동시에 제어하는 컨트롤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연결봉의 하단에 결합된 상부몸체와, 상기 청음센서와 가스센서가 설치된 하부몸체와, 상기 상부몸체와 하부몸체를 이격되게 감싸 연결하며 상부몸체와 하부몸체와 접촉되는 연결부의 두께보다 상기 상부몸체와 하부몸체를 이격되게 연결하는 이격구간에서의 두께가 얇게 형성되어 상부몸체를 통해 하부몸체로 노이즈가 전달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제1방음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몸체에는 청음센서 설치공이 형성되고, 상기 청음센서와 청음센서 설치공 사이에는 하부몸체를 통해 청음센서측으로 노이즈가 전달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제2방음부재가 긴밀히 결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청음센서 설치공에는 내향단턱이 형성되고 상기 청음센서의 외주면에는 상기 내향단턱에 대응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청음센서가 청음센서 설치공의 내측으로 탈락되지 않도록 하고, 상기 청음센서의 외측에는 상기 청음센서가 청음센서 설치공의 외측으로 탈락되지 않도록 하부몸체의 상부에 밀착되는 조임너트가 체결되며, 상기 청음센서 설치공의 주변에는 상기 하부몸체에서 발생되는 노이즈가 조임너트를 통해 청음센서로 전달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제3방음부재가 부착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지지파이프의 내측으로는 센서부와 컨트롤부를 연결하는 전기케이블이 통과하며, 상기 지지파이프의 내측에는 상기 지지파이프에서 발생되는 노이즈가 상기 전기케이블을 통해 청음센서로 전달되지 않도록 차단하도록 상기 전기케이블을 감싸는 튜브 형태의 제4방음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컨트롤부가 청음센서와 가스센서의 동작을 동시에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청음모드와 가스모드를 선택적으로 사용하지 않고 청음모드와 가스모드를 동시에 활성화시켜 누출을 탐지할 수 있게 되므로 사용의 편리성과 함께 탐지 신뢰도 및 정확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센서부의 상부몸체와 하부몸체를 이격되게 감싸 연결하는 제1방음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방음부재에 있어서 상부몸체와 하부몸체와 접촉되는 연결부의 두께보다 상기 상부몸체와 하부몸체를 이격되게 연결하는 이격구간에서의 두께가 얇게 형성되는 경우, 상부몸체를 통해 하부몸체로 전달되는 노이즈가 효과적으로 차단되면서 탐지 신뢰도를 보다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청음센서와 청음센서 설치공 사이에 제2방음부재가 긴밀히 결합되는 경우, 하부몸체를 통해 청음센서측으로 전달되는 노이즈가 차단되면서 탐지 신뢰도를 보다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청음센서 설치공의 주변에 제3방음부재가 부착되는 경우, 센서부의 조임너트를 통해 청음센서로 전달되는 노이즈가 차단되면서 탐지 신뢰도를 보다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지지파이프의 내측에 상기 케이블을 감싸는 튜브 형태의 제4방음부재가 구비되는 경우, 상기 지지파이프에서 청음센서로 전달되는 노이즈가 차단되면서 탐지 신뢰도를 보다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청음 및 가스식 누출 탐지기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청음 및 가스식 누출 탐지기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센서부와 지지파이프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센서부의 저면도.
도 5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센서부와 지지파이프의 단면도.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아울러,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예컨대,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아울러, "포함한다" 또는 "구비한다" 또는 "가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아래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아울러,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며, 명료성을 위하여 가능한 중복되지 않게 상이한 부분만을 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청음 및 가스식 누출 탐지기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센서부와 지지파이프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센서부의 저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센서부와 지지파이프의 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청음 및 가스식 누출 탐지기는 청음센서(S1)와 가스센서(S2)를 구비한 센서부(100)와, 상기 센서부(100)의 상단에 결합된 지지파이프(200)와, 상기 지지파이프(200)에 연결되어 상기 청음센서(S1)와 가스센서(S2)의 동작을 동시에 제어하는 컨트롤부(300)를 포함한다.
상기 센서부(100)는 상부몸체(110)와 하부몸체(120)로 분할 구성되며, 상기 상부몸체(110)와 하부몸체(120)를 이격되게 감싸 연결하는 제1방음부재(130)를 구비한다.
상기 상부몸체(110)는 지지파이프(200)의 하단에 나선결합을 통해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1방음부재(130)는 상부몸체(110)를 통해 하부몸체(120)로 노이즈가 전달되지 않도록 상부몸체(110)와 하부몸체(120)를 이격되게 감싸 연결한다.
이 경우, 상기 제1방음부재(130)는 노이즈 전달을 효과적으로 차단하도록 흡음성이 우수한 유연재질의 실리콘 또는 고무와 같은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방음부재(130)는 상부몸체(110)와 하부몸체(120)와 접촉되는 연결부의 두께보다 상기 상부몸체(110)와 하부몸체(120)를 이격되게 연결하는 이격구간(A)에서의 두께가 얇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두께가 얇은 이격구간(A)의 유연성이 상기 연결부 보다 상대적으로 우수해지면서 노이즈 흡음성능도 크게 향상된다.
이때, 상기 이격구간(A)이 일정한 두께로 이루어지지 아니하고 예컨대, 이격구간(A)의 내벽면(131)이 반복되는 파형 형태를 갖도록 하면, 제1방음부재(130)로 전달된 노이즈가 두께가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감소하는 파형을 따라 진행하면서 교란됨과 동시에 파형의 선단으로 집중되면서 상쇄되는 효과까지 더해져 노이즈 흡음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제1방음부재(130)로 인하여 청음식 탐지시 누출음과는 상관없는 주변의 노이즈들은 물론 하부몸체(120)를 통해 상부몸체(110)로 전달되는 노이즈의 대부분이 제거되므로 정밀한 탐지가 가능해지고 탐지신뢰도가 크게 향상된다.
한편, 상기 하부몸체(120)에는 청음센서(S1)와 가스센서(S2)를 설치할 수 있는 청음센서 설치공(121)과 가스센서 설치홈(12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청음센서(S1)와 청음센서 설치공(121) 사이에는 하부몸체(120)를 통해 청음센서(S1)측으로 노이즈가 전달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제2방음부재(140)가 긴밀히 결합된다.
상기 제2방음부재(140)는 청음센서(S1)의 하단 가장자리에 끼워져 결합되며, 제1방음부재(130)와 마찬가지로 노이즈 전달을 효과적으로 차단하도록 흡음성이 우수한 유연재질의 실리콘 또는 고무와 같은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청음센서(S1)가 청음센서 설치공(121)의 내측으로 탈락되지 않도록 상기 청음센서 설치공(121)에는 내향단턱(121a)이 형성되고, 상기 청음센서(S1)의 외주면에는 상기 내향단턱(121a)에 대응되는 걸림턱(121b)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청음센서(S1)의 외측에는 청음센서(S1)가 청음센서 설치공(121)의 외측으로 탈락되지 않도록 하부몸체(120)의 상부에 밀착되는 조임너트(150)가 체결된다.
따라서, 상기 청음센서(S1)는 청음센서 설치공(121)에서 유동되거나 탈락되지 않고 안정적인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며, 제2방음부재(140)로 인하여 청음식 탐지시 누출음과는 상관없는 주변의 노이즈들이 대다수 제거되므로 보다 정밀한 탐지가 가능해지고 탐지신뢰도도 보다 크게 향상된다.
한편, 상기 하부몸체(120)의 상면에는 청음센서 설치공(121)의 주변을 따라 제3방음부재(160)가 부착될 수도 있다.
상기 제3방음부재(160)는 하부몸체(120)에서 발생되는 노이즈가 조임너트(150)를 통해 청음센서(S1)로 전달되지 않도록 차단해 준다.
이 경우, 상기 제3방음부재(160)는 제1방음부재(130)와 마찬가지로 노이즈 전달을 효과적으로 차단하도록 흡음성이 우수한 유연재질의 실리콘 또는 고무와 같은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청음센서(S1)는 제3방음부재(160)에 의하여 조임너트(150)를 통해 제2방음부재(140)로 전달되는 노이즈가 제거되므로 탐지의 정밀성과 신뢰도를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센서부(100)는 전기케이블을 통해 컨트롤부(300)와 연결된다. 상기 전기케이블은 센서부(100)로 전원을 공급하고 센서부(100)로부터 탐지된 누출음 데이터와 가스 데이터를 컨트롤부(300)로 전달한다.
이 경우, 상기 전기케이블은 센서부(100)의 청음센서(S1)와 가스센서(S2)에 연결되어 지지파이프(200)의 내측을 통과하여 지지파이프(200)의 상단에 구비된 연결단자에 접속된 내부케이블(400)과, 상기 컨트롤부(300)에 접속되어 지지파이프(200)의 상단에서 상기 연결단자를 통해 상기 내부케이블(400)에 접속되는 외부케이블(500)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내부케이블(400)의 외측에는 튜브형태의 제4방음부재(600)가 끼워져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4방음부재(600)는 지지파이프(200)를 통해 내부케이블(400)을 경유하여 청음센서(S1)로 전달되는 노이즈를 차단시켜 주므로 탐지의 정밀성과 신뢰도를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컨트롤부(300)는 전면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누출여부, 누출음량, 누출가스명, 누출량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관련 정보들을 텍스트, 그래프, 및 디지털 수치 등 다양한 방법으로 출력한다.
아울러, 상기 컨트롤부(300)에는 전원 조작을 비롯하여 청음모드와 가스모드의 선택, 청음량 조절 등 다양한 조작을 위한 버튼, 스위치, 노브가 구비된다.
특히, 상기 컨트롤부(300)는 청음모드와 가스모드를 모두 활성화시켜 청음센서(S1)와 가스센서(S2)의 동작을 동시에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청음모드 또는 가스모드로 전환하여 누출을 탐지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청음모드와 가스모드를 동시에 활성화시켜 보다 정밀하게 누출을 탐지할 수 있게 되므로 사용의 편리성과 함께 탐지 신뢰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컨트롤부(300)는 센서부(100)에서 감지한 누출음 및 누출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는 출력단자를 구비하며, 사용자는 출력단자에 이어폰 또는 헤드셋(700)을 연결하여 상기 출력단자를 통해 전달되는 누출음과 누출신호를 듣고 누출여부와 누출지점을 쉽고 빠르게 파악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부(300)는 휴대가 간편하도록 사용자가 어깨에 메고 다닐 수 있는 끈(310)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컨트롤부(300)에는 근거리 무선통신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무선이어폰 또는 무선헤드셋을 사용하여 자유롭게 행동하면서 누출 탐지를 보다 쉽고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지지파이프(200)의 상단에는 컨트롤부(300)와 센서부(100)와의 접속을 단속하는 작동버튼(80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작동버튼(800)은 평상시 컨트롤부(300)와 센서부(100)의 접속을 불허하다가 사용자가 작동버튼(800)을 누를 경우에만 접속을 허락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사용자는 필요시에만 작동버튼(800)을 눌러서 누출여부 및 누출지점을 파악하게 되므로 사용상의 편의성이 크게 증진될 뿐만 아니라 지속적인 청음에 따른 피로감을 쉽게 느끼지 않아 작업능률이 크게 향상된다.
상기 컨트롤부(300)에 작동버튼(800)의 기능을 정지시켜 항시 컨트롤부(300)와 센서부(100)의 접속이 유지되도록 하거나 작동버튼(800)의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별도의 스위치가 구비되어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술하였으나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 변형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할 것이다.
100...센서부 110...상부몸체
120...하부몸체 121...설치공
121a...내향단턱 121b...걸림턱
130...제1방음부재 140...제2방음부재
150...조임너트 160...제3방음부재
200...지지파이프 300...컨트롤부
600...제4방음부재 A...이격구간
S1...청음센서 S2...가스센서

Claims (5)

  1. 이하의 지지파이프의 하단에 나선 결합을 통해 착탈가능한 상부몸체;
    청음센서(S1)를 장착한 청음센서 설치공과 상기 청음센서 설치공의 주변을 따라 형성되는 다수의 가스 센서(S2)를 장착한 가스센서 설치홈을 구비한 하부몸체;
    상기 하부몸체의 상단에 결합된 지지파이프;
    상기 청음센서(S1)와 가스센서(S2)에 연결되어 상기 지지파이프의 내측을 통과하여 상기 지지파이프의 상단에 배치된 작동 버튼의 연결단자에 접속되는 내부케이블과, 이하의 컨트롤부에 일단이 접속되고, 타단이 상기 작동 버튼의 연결단자에 접속되는 외부케이블로 이루어진 전기 케이블;
    상기 전기 케이블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기 청음센서와 가스센스의 동작을 동시에 제어하는 컨트롤부;
    상기 청음센서(S1)가 상기 청음센서 설치공의 외측으로 탈락되지 않도록 상기 하부몸체의 상부에 밀착되어 형성되는 조임너트;
    상기 상부몸체와 하부몸체를 이격되게 감싸 연결하면서 상부몸체와 하부몸체와 접촉되는 연결부의 두께보다 상기 상부몸체와 하부몸체를 이격되게 연결하는 이격구간에서의 두께가 얇게 형성되어 상부몸체를 통해 하부몸체로 노이즈가 전달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제1방음부재;
    상기 청음센서 설치공과 청음센서 사이에 긴밀하게 설치되면서 상기 하부몸체로부터 노이즈가 상기 청음센서 측으로의 전달을 차단하는 제2방음부재;
    상기 하부몸체에서 발생되는 노이즈가 상기 조임너트를 통해 상기 청음센서로 전달되지 않도록 차단하기 위하여 상기 하부몸체의 상면에 형성되되, 상기 청음센서 설치공의 주변을 따라 형성되는 제3방음부재; 및
    상기 지지파이프에서 발생되는 노이즈가 상기 전기케이블을 통해 상기 청음센서로 전달되지 않도록 차단하면서 상기 전기케이블을 감싸는 튜브 형태의 제4방음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청음센서(S1)가 상기 청음센서 설치공의 내측으로 탈락되지 않도록 상기 청음센서 설치공에는 내향단턱이 형성되고, 상기 청음센서(S1)의 외주면에는 상기 내향단턱에 대응되는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음 및 가스식 누출 탐지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10114369A 2021-08-30 2021-08-30 청음 및 가스식 누출 탐지기 KR1024646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4369A KR102464672B1 (ko) 2021-08-30 2021-08-30 청음 및 가스식 누출 탐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4369A KR102464672B1 (ko) 2021-08-30 2021-08-30 청음 및 가스식 누출 탐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4672B1 true KR102464672B1 (ko) 2022-11-09

Family

ID=84040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4369A KR102464672B1 (ko) 2021-08-30 2021-08-30 청음 및 가스식 누출 탐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467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36073A (ja) * 2000-12-07 2002-08-23 Nissan Motor Co Ltd 気密性検査装置
US20050126264A1 (en) * 2003-12-12 2005-06-16 Komninos Nikolaos I. Multi-functional leak detection instrument along with sensor mounting assembly and methodology utilizing the same
KR200388387Y1 (ko) * 2005-03-31 2005-06-29 썬메디텍 (주) 청진기용 집음 헤드
KR20080113162A (ko) * 2007-06-23 2008-12-29 후지 테콤 가부시키가이샤 누설탐지장치
KR200487548Y1 (ko) 2017-11-23 2018-11-30 김재옥 다기능형 청음 및 가스식 누수탐지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36073A (ja) * 2000-12-07 2002-08-23 Nissan Motor Co Ltd 気密性検査装置
US20050126264A1 (en) * 2003-12-12 2005-06-16 Komninos Nikolaos I. Multi-functional leak detection instrument along with sensor mounting assembly and methodology utilizing the same
KR200388387Y1 (ko) * 2005-03-31 2005-06-29 썬메디텍 (주) 청진기용 집음 헤드
KR20080113162A (ko) * 2007-06-23 2008-12-29 후지 테콤 가부시키가이샤 누설탐지장치
KR200487548Y1 (ko) 2017-11-23 2018-11-30 김재옥 다기능형 청음 및 가스식 누수탐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87581A (en) Ultrasonic fluid leak detector
US9094764B2 (en) Voice activity detection with capacitive touch sense
WO2004025231A3 (en) Acoustic sensing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emissions from machinery
WO2004007019A3 (en) Minute ventilation sensor with dynamically adjusted excitation current
DE60125782D1 (de) Ohrschutz mit verifikationsvorrichtung
DK1341436T3 (da) Indretning til overvågning af blodtryk
GB2337118A (en) Interchangeable sensor monitoring device
WO2005001394A3 (en) A portable flow measurement apparatus having an array of sensors
GB2434685A (en) Method for testing the interconnection of remote hazardous condition detectors
KR101791953B1 (ko) 특정 주파수를 갖는 음향 주입을 통한 누수검출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누수검출방법
KR102464672B1 (ko) 청음 및 가스식 누출 탐지기
JP3223337B2 (ja) 漏洩音検出装置
DE60137349D1 (de) Ohrterminal für geräuschkontrolle
US10231691B2 (en) Audible ultrasound physical examination device
KR100784415B1 (ko) 초음파 센서를 이용한 유량 측정 장치
US20180136074A1 (en) System for finding slab leak location
JP2005077323A (ja) 携帯電話端末,浴槽水位通報システムおよび浴槽水位通報方法
KR101667275B1 (ko) 작업면에 대해 수직으로 배향된 개구를 갖는 음향 검출기를 이용하는 디지털 전사 시스템
JP5130368B2 (ja) 電話受話器の状態を検出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通信端末装置
KR101450643B1 (ko) 자동 급수 조절 장치
WO2000070301A3 (en) Metrological instrument
KR20130044414A (ko) 누수 탐지용 음향 센서
DE10347861A1 (de) Meßaufnehmer
JP6652885B2 (ja) 流体漏洩測定装置
KR100500794B1 (ko) 산업설비의 내부소리를 검출하는 소리 검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