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4433B1 - 차량용 전원 소켓 - Google Patents

차량용 전원 소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4433B1
KR102464433B1 KR1020170172075A KR20170172075A KR102464433B1 KR 102464433 B1 KR102464433 B1 KR 102464433B1 KR 1020170172075 A KR1020170172075 A KR 1020170172075A KR 20170172075 A KR20170172075 A KR 20170172075A KR 102464433 B1 KR102464433 B1 KR 1024644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power
terminal
socket
us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20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1226A (ko
Inventor
김운태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720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4433B1/ko
Publication of KR201900712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12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44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44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소켓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USB 단자가 마련되는 커버를 갖는 차량용 전원 소켓을 제공한다.
차량용 전원 소켓은 전원이 공급되는 차량 배터리와 연결되는 소켓 플러그와, 상기 소켓 플러그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는 전자기기가 연결되는 삽입부를 포함하는 소켓 바디, 상기 삽입부의 테두리에 마련되는 커버 홀더, 상기 커버 홀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삽입부를 개폐하며, USB가 연결되는 USB 단자가 마련되는 커버 및 상기 USB 단자와 상기 소켓 플러그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전원 소켓{POWER SOCKET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전원을 외부 전자기기에 공급하기 위해 전자기기와 연결되는 차량용 전원 소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전원을 외부 전자기기에 공급하기 위해 차에는 차량용 전원 소켓이 마련된다.
외부 전자기기는 IT(Information Technology) 기기와, 네비게이션, 진공청소기, 공기청정기 등의 전자기기를 포함한다.
외부 전자기기 중 IT 기기는 USB 단자가 마련된 시거잭과 연결하고, 시거잭을 차량용 전원 소켓에 연결하여 차량의 전원을 공급받는다.
외부 전자기기 중 네비게이션, 진공청소기, 공기청정기 등의 전자기기는 직접 차량용 전원 소켓에 연결하여 차량의 전원을 공급받는다.
상기와 같이, IT 기기의 경우IT 기기를 USB 단자가 마련된 별도의 시거잭에 연결한 후, 시거잭을 차량용 전원 소켓에 연결하기 때문에, 시거잭이 차량용 전원 소켓에서 이탈되어 전원 공급이 차단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될 수 있다.
전원이 갑자기 차단되는 경우가 반복되면 IT 기기에 충격이 가해지고, IT 기기가 손상될 수 있다.
또한, USB 단자가 마련된 별도의 시거잭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시거잭을 분실하면 IT 기기에 전원을 공급할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소켓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USB 단자가 마련되는 커버를 갖는 차량용 전원 소켓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소켓은 전원이 공급되는 차량 배터리와 연결되는 소켓 플러그와, 상기 소켓 플러그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는 전자기기가 연결되는 삽입부를 포함하는 소켓 바디, 상기 삽입부의 테두리에 마련되는 커버 홀더, 상기 커버 홀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삽입부를 개폐하며, USB가 연결되는 USB 단자가 마련되는 커버 및 상기 USB 단자와 상기 소켓 플러그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소켓 바디는 링 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마련되며, 상기 삽입부는 상기 소켓 바디의 일측이 개방된 홈 형상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커버 홀더는 상기 커버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제1결합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부 및 제2결합부는 각각 제1결합홀 및 제2결합홀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유닛은 상기 제1결합홀에 삽입되어 상기 소켓 플러그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전원단자와, 상기 제2결합홀에 삽입되어 상기 제1전원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전원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전원단자와 상기 제2전원단자는 서로 같은 극을 갖는 전원단자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유닛은 상기 제1결합홀 및 제2결합홀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제1전원단자 및 제2전원단자와 접촉되는 금속핀과, 상기 금속핀을 가압하여 상기 금속핀이 상기 제1전원단자 및 제2전원단자와 접촉을 유지하도록 하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유닛은 상기 제2결합홀에 결합되는 덮개에 의해 외부로의 유출이 방지되며, 상기 스프링은 일측이 상기 덮개에 접촉되고 타측이 상기 금속핀을 가압할 수 있다.
상기 USB 단자는 상기 제2전원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커버는 상기 제2전원단자로 인가된 전원의 전압을 변압하여 상기 USB 단자로 공급하는 변압회로와, 상기 USB 단자로 과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과전류방지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는 상기 USB 단자와, 상기 변압회로와, 상기 과전류방지회로를 감싸도록 마련되어 내부의 회로를 보호하고, 내부의 회로에서 발생되는 열을 차폐하는 발열차폐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소켓은 전원이 공급되는 차량 배터리와 연결되는 소켓 플러그와, 상기 소켓 플러그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는 전자기기가 연결되는 삽입부를 포함하는 소켓 바디, 상기 삽입부의 테두리에 마련되는 커버 홀더, 상기 커버 홀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삽입부를 개폐하는 커버 및 상기 커버에 마련되며, USB가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소켓 플러그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USB 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전자기기를 상기 삽입부에 연결할 때는 상기 커버가 상기 삽입부를 개방하도록 하고, 상기 USB를 상기 USB 단자에 연결할 때는 상기 커버가 상기 삽입부를 폐쇄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차량용 전원 소켓의 커버에 USB 단자가 내장되어 있어 IT 기기에 안정적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USB 단자가 차량용 전원 소켓에 일체로 마련되어 있어 사용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고, 제조 단가가 낮아져 수익성이 개선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티엠마운트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티엠마운트를 다른 방향에서 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토퍼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토퍼가 인슐레이터에 조립된 모습을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A-A'부분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5에 도시된 B-B'부분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선단", "후단", "상부", "하부", "상단" 및 "하단"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버가 닫혀있는 차량용 전원 소켓에 USB가 연결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버가 열려있는 차량용 전원 소켓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소켓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버에서 발열차폐쉴드가 분리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결유닛이 커버 홀더 및 커버에 마련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용 전원 소켓은 링 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마련되는 소켓 바디(10)와, 커버(30)를 소켓 바디(10)에 결합시키기 위해 소켓 바디(10)에 마련되는 커버 홀더(20)와, 커버 홀더(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30)를 포함할 수 있다.
소켓 바디(10)는 링 형상을 단면을 갖도록 마련되며, 차량 배터리와 연결되는 소켓 플러그(11)와, 소켓 플러그(11)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는 전자기기(미도시)가 연결되는 삽입부(13)를 포함할 수 있다.(도 6 참조)
소켓 플러그(11)는 소켓 바디(10)에 마련되며, 전원이 공급되는 차량 배터리와 연결될 수 있다.(도 6 참조)
삽입부(13)는 소켓 바디(10)의 일측이 개방된 홈 형상을 갖도록 마련되며, 네비게이션, 진공청소기, 공기청정기 등의 전자기기를 연결하여 차량의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한다.
커버 홀더(20)는 소켓 바디(10)에 커버(30)를 결합시키기 위해 삽입부(13)의 테두리에 마련될 수 있다.
커버 홀더(20)는 커버(3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결합부(21)를 포함하고, 제1결합부(21)는 하기할 연결유닛(40)의 금속핀(45)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1결합홀(23)을 포함할 수 있다.
금속핀(45) 외에 제1결합홀(23) 내부에는 연결유닛(40)의 다른 구성들이 삽입되는데 이에 대해서는 하기하도록 한다.
커버(30)는 커버 홀더(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삽입부(13)를 개폐한다.
커버(30)는 커버 홀더(20)의 제1결합부(2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결합부(31)를 포함하고, 제2결합부(31)는 연결유닛(40)의 금속핀(45)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2결합홀(3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결합홀(32) 내부에는 제1결합홀(23)과 마찬가지로 금속핀(45) 외에 연결유닛(40)의 다른 구성들이 삽입되는데 이에 대해서는 하기하도록 한다.
커버(30)는 IT 기기(미도시)의 충전을 위해 IT 기기와 연결된 USB(60)가 연결되는 USB 단자(33)와, USB 단자(33)로 공급되는 전원의 전압을 변압하는 변압회로(34)와, USB 단자(33)로 과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과전류방지회로(35)를 포함할 수 있다.
USB 단자(33)는 커버(30)에 일체로 마련되며, 하기할 연결유닛(40)의 제2전원단자(43)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USB 단자(33)가 커버(30)에 일체로 마련되기 때문에, IT 기기의 충전을 위해 USB(60)를 USB 단자(33)에 연결할 때, 사용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고, IT 기기의 충전 중에 USB 단자가 차량용 전원 소켓에서 이탈되면서 발생되는 전원 공급이 차단되는 문제가 발생되지 않기 때문에, 안정적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USB 단자(33)가 커버(30)에 일체로 마련되고, 커버(30)가 커버 홀더(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기 때문에, 네비게이션, 진공청소기, 공기청정기 등의 전자기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커버(30)를 개방하고 네비게이션, 진공청소기, 공기청정기 등의 전자기기를 직접 삽입부(13)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IT 기기를 충전하는 경우에는 커버(30)가 삽입부(13)를 폐쇄하도록 커버(30)를 닫고, USB 단자(33)에 USB(60)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변압회로(34)는 USB 단자(33)의 상부에 마련되며, 차량 배터리로부터 제2전원단자(43)로 인가된 14V의 전력을 5V로 변압하여 USB 단자(33)로 공급할 수 있다.
USB 단자(33)와, 변압회로(34)와, 과전류방지회로(35)는 각각 별개로 커버(30)에 마련되며, USB 단자(33)와, 변압회로(34)와, 과전류방지회로(35)를 감싸는 발열차폐쉴드(36)에 의해 외부로 노출이 방지될 수 있다.
발열차폐쉴드(36)는 USB 단자(33)와, 변압회로(34)와, 과전류방지회로(35)를 감싸도록 마련되어 내부의 회로를 보호하고, 내부의 회로에서 발생되는 열을 차폐할 수 있다.
연결유닛(40)은 차량 배터리와 연결되는 소켓 플러그(11)와 USB 단자(33)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연결유닛(40)은 커버 홀더(20)의 제1결합홀(23)에 삽입되어 소켓 플러그(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전원단자(41)와, 커버(30)의 제2결합홀(32)에 삽입되어 제1전원단자(4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전원단자(43)와, 제1결합홀(23) 및 제2결합홀(32)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며 제1전원단자(41) 및 제2전원단자(43)와 접촉되는 금속핀(45)과, 금속핀(45)을 가압하여 금속핀(45)이 제1전원단자(41) 및 제2전원단자(43)와 접촉을 유지하도록 하는 스프링(47)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전원단자(41)와 제2전원단자(43)는 서로 같은 극을 갖는 전원단자가 연결될 수 있다.(도 6 참조)
커버(30)의 제2결합부(31)는 제1결합홀(23) 및 제2결합홀(32)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금속핀(45)에 의해 커버 홀더(20)의 제1결합부(2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연결유닛(40)은 제2결합홀(32)에 결합되는 덮개(50)에 의해 외부로의 유출이 방지되며, 스프링(47)은 일측이 덮개(50)에 접촉되고 타측이 금속핀(45)에 접촉되어 금속핀(45)이 제1전원단자(41) 및 제2전원단자(43)와 접촉을 유지하도록 금속핀(45)을 가압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배터리의 전원이 USB 단자로 공급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켓 플러그(11)는 차량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소켓 플러그(11)는 제1전원단자(41)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전원단자(41)는 금속핀(45)에 의해 제2전원단자(43)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1전원단자(41)와 제2전원단자(43)는 같은 극끼리 연결될 수 있다.
제2전원단자(43)는 USB 단자(33)와 연결되어 차량 배터리에서 공급되는 전원은 USB 단자(33)로 공급될 수 있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차량용 전원 소켓을 설명함에 있어 특정 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소켓 바디 11 : 소켓 플러그
13 : 삽입부
20 : 커버 홀더 21 : 제1결합부
23 : 제1결합홀
30 : 커버 31 : 제2결합부
32 : 제2결합홀 33 : USB 단자
34 : 변압회로 35 : 과전류방지회로
36 : 발열차폐쉴드
40 : 연결유닛 41 : 제1전원단자
43 : 제2전원단자 45 : 금속핀
47 : 스프링
50 : 덮개
60 : USB

Claims (10)

  1. 전원이 공급되는 차량 배터리와 연결되는 소켓 플러그와, 상기 소켓 플러그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는 전자기기가 연결되는 삽입부를 포함하는 소켓 바디;
    상기 삽입부의 테두리에 마련되는 커버 홀더;
    상기 커버 홀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삽입부를 개폐하며, USB가 연결되는 USB 단자가 마련되는 커버; 및
    상기 USB 단자와 상기 소켓 플러그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 홀더는 상기 커버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제1결합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결합부 및 제2결합부는 각각 제1결합홀 및 제2결합홀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유닛은 상기 제1결합홀에 삽입되어 상기 소켓 플러그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전원단자와, 상기 제2결합홀에 삽입되어 상기 제1전원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전원단자를 포함하는 차량용 전원 소켓.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 바디는 링 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마련되며, 상기 삽입부는 상기 소켓 바디의 일측이 개방된 홈 형상을 갖도록 마련되는 차량용 전원 소켓.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원단자와 상기 제2전원단자는 서로 같은 극을 갖는 전원단자가 연결되는 차량용 전원 소켓.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유닛은 상기 제1결합홀 및 제2결합홀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제1전원단자 및 제2전원단자와 접촉되는 금속핀과, 상기 금속핀을 가압하여 상기 금속핀이 상기 제1전원단자 및 제2전원단자와 접촉을 유지하도록 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차량용 전원 소켓.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유닛은 상기 제2결합홀에 결합되는 덮개에 의해 외부로의 유출이 방지되며, 상기 스프링은 일측이 상기 덮개에 접촉되고 타측이 상기 금속핀을 가압하는 차량용 전원 소켓.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USB 단자는 상기 제2전원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커버는 상기 제2전원단자로 인가된 전원의 전압을 변압하여 상기 USB 단자로 공급하는 변압회로와, 상기 USB 단자로 과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과전류방지회로를 포함하는 차량용 전원 소켓.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USB 단자와, 상기 변압회로와, 상기 과전류방지회로를 감싸도록 마련되어 내부의 회로를 보호하고, 내부의 회로에서 발생되는 열을 차폐하는 발열차폐쉴드를 포함하는 차량용 전원 소켓.
  10. 전원이 공급되는 차량 배터리와 연결되는 소켓 플러그와, 상기 소켓 플러그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는 전자기기가 연결되는 삽입부를 포함하는 소켓 바디;
    상기 삽입부의 테두리에 마련되는 커버 홀더;
    상기 커버 홀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삽입부를 개폐하는 커버; 및
    상기 커버에 마련되며, USB가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소켓 플러그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USB 단자; 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 홀더는 상기 커버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제 1 결합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결합부 및 제 2 결합부는 각각 제 1 결합홀 및 제 2 결합홀을 포함하고,
    상기 USB단자는 제 1 전원단자가 상기 제 1 결합홀에 삽입되어 상기 소켓 플러그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 2 전원단자가 상기 제 2 결합홀에 삽입되어 상기 제 1 전원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전자기기를 상기 삽입부에 연결할 때는 상기 커버가 상기 삽입부를 개방하도록 하고, 상기 USB를 상기 USB 단자에 연결할 때는 상기 커버가 상기 삽입부를 폐쇄하도록 하는 차량용 전원 소켓.
KR1020170172075A 2017-12-14 2017-12-14 차량용 전원 소켓 KR1024644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2075A KR102464433B1 (ko) 2017-12-14 2017-12-14 차량용 전원 소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2075A KR102464433B1 (ko) 2017-12-14 2017-12-14 차량용 전원 소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1226A KR20190071226A (ko) 2019-06-24
KR102464433B1 true KR102464433B1 (ko) 2022-11-07

Family

ID=67055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2075A KR102464433B1 (ko) 2017-12-14 2017-12-14 차량용 전원 소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443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0752B1 (ko) * 2009-06-18 2010-06-01 김효승 탈착 및 회전가능한 커넥터를 갖는 휴대형 디바이스
CN206542209U (zh) * 2017-02-20 2017-10-03 东莞市驰锐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带点烟器车载充电器
KR101786819B1 (ko) * 2015-11-13 2017-10-19 주식회사 유니크 차량용 유에스비 충전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0752B1 (ko) * 2009-06-18 2010-06-01 김효승 탈착 및 회전가능한 커넥터를 갖는 휴대형 디바이스
KR101786819B1 (ko) * 2015-11-13 2017-10-19 주식회사 유니크 차량용 유에스비 충전기
CN206542209U (zh) * 2017-02-20 2017-10-03 东莞市驰锐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带点烟器车载充电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1226A (ko) 2019-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9524913A (ja) 取り外し可能なプラグコネクタシステム
US9564941B2 (en) Accessory for protect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9337676B2 (en) Outlet enclosure for device chargers
EP3595095A1 (en) Industrial socket
US20160233621A1 (en) Usb socket
KR101786819B1 (ko) 차량용 유에스비 충전기
WO2014054426A1 (ja) 携帯機器用アダプタ
CN105409244A (zh) 可充电听力设备和用于为该听力设备充电的电池充电器
JP6842572B2 (ja) モバイル端末保護アセンブリ、モバイル端末保護フレームおよび電池ケース
CN107845887B (zh) 用于交通工具充电的连接器组件
US10283912B2 (en)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resistant to vibration
ATE328467T1 (de) Schutzvorrichtung für einen elektrischen bauteil
KR102464433B1 (ko) 차량용 전원 소켓
KR101794340B1 (ko) 차량용 커넥터
US7125269B2 (en) Connector provided with cover
JP2015201340A (ja) コネクタ
KR20190027047A (ko) 차량용 급속 충전기
CN104299866A (zh) 车辆中央电气盒
US5422198A (en) Storage battery
CN110249284B (zh) 连接装置以及具有该连接装置的遥控设备
JP2005035438A (ja) 自転車用充電器付携帯機器ホルダ
KR101510234B1 (ko) Usb 커넥터 조립체
CN106252989B (zh) 用于12v插座的伸缩式插口转接器
JP2014022052A (ja) コネクタカバー
KR200486517Y1 (ko) 전선릴용 콘센트의 어스단자 접속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