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4373B1 - 셋톱박스 및 이를 이용한 대기전력 차단 서비스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셋톱박스 및 이를 이용한 대기전력 차단 서비스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4373B1
KR102464373B1 KR1020220056211A KR20220056211A KR102464373B1 KR 102464373 B1 KR102464373 B1 KR 102464373B1 KR 1020220056211 A KR1020220056211 A KR 1020220056211A KR 20220056211 A KR20220056211 A KR 20220056211A KR 102464373 B1 KR102464373 B1 KR 1024643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p box
standby
power
mode
ti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62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연재
Original Assignee
이연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연재 filed Critical 이연재
Priority to KR10202200562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43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43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4373B1/ko
Priority to PCT/KR2023/002568 priority patent/WO2023214649A1/ko
Priority to US18/306,128 priority patent/US20230362441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 H04N21/4436Power management, e.g. shutting down unused components of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08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characterised by an identification number or address, e.g. local network addr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6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13Monitoring of end-user related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08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 H04N21/4516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involving client characteristics, e.g. Set-Top-Box type, software version or amount of memory availab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08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 H04N21/4524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involving the geographical location of the cli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8Scheduling content for creating a personalised stream, e.g. by combining a locally stored advertisement with an incoming stream; Updating operations, e.g. for OS modules ; time-related management operations
    • H04N21/4586Content update operation triggered locally, e.g. by comparing the version of software modules in a DVB carousel to the version stored local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3Generation or supply of power specially adapted for television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Sources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셋톱박스 대기전력 차단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제공되며, 대기상태로 전환된 후 기 설정된 시간을 카운트하는 타이머 및 타이머로부터 카운트된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된 후 동작중이 아니면서 입력신호도 존재하지 않는 경우, 대기전력을 차단하는 차단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셋톱박스 및 이를 이용한 대기전력 차단 서비스 제공 시스템{SET-TOP BOX AND SYSTEM FOR PROVIDING STANDBY-POWER BLOCKING SERVICE USING THEREOF}
본 발명은 셋톱박스 및 이를 이용한 대기전력 차단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셋톱박스의 대기전력을 차단하기 위하여 대기상태로 진입한 후 타이머를 구동하여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는 경우 대기전력을 차단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한국전기연구원의 조사에 따르면 매년 약 4200억원의 전기가 대기전력으로 낭비되고 있고 있으며, 전원을 꺼둔 동안 가장 많이 전기를 소모하는 가전제품은 셋톱박스로 1.3W의 전력을 소비하는 TV 보다 12.3W의 전력을 소비하여 10 배의 전기를 소비한다고 보고했다. 대기전력은 전원을 끈 상태에서 전기제품이 소비하는 전력을 말하는데, 대기상태 셋톱박스의 전력소모를 줄이기 위해, 국내외에서는 셋톱박스의 대기상태 동작을 주기능인 방송서비스 제공기능 이외의 셋톱박스 업데이트에 필요한 동작을 수행하는 능동대기모드(Active Standby Mode)와, 최소한의 전력소모를 위해 리모콘의 입력을 받는 정도의 단순한 연산만 처리할 수 있는 저전력 CPU 동작만 지원하는 수동대기모드(Passive Standby Mode)로 나누어 표준화가 진행되었다.
이때, 대기전력을 차단하기 위하여 전원제어기능을 내장하거나 무선원격신호로 활성화 모드에서 대기모드로 전환하는 방법이 연구 및 개발되었는데, 이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등록특허 제10-0862640호(2008년10월10일 공고) 및 한국등록특허 제10-0748687호(2007년08월13일 공고)에는 전원제어기능을 내장한 셋탑박스를 이용하여 주장치에 연결되는 셋탑박스의 대기전력과 셋탑박스의 전원을 끄지 않아 낭비되는 전력을 차단하고, 주장치가 구동될 경우 셋탑박스의 전원이 자동으로 ON/OFF 상태로 전환되도록 하는 구성과, 활성화 모드에서 무선원격제어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대기모드로 전환하면서 TV의 전원상태정보에 대응하는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를 커넥터로 제공하는 구성이 각각 개시되어 있다.
다만, 전자 및 후자 모두 산업통산자원부 효율관리기자재 운용규정 및 표준화가 이루어지기 이전의 구성으로 표준화가 진행된 후에는 능동대기모드 및 수동대기모드로 나누어 대기모드를 진행하므로 의미가 없는 구성이다. 즉, 수동대기모드와 능동대기모드의 셋톱박스 전력소모 예상치는 각각 1W와 5W로 12.3W보다는 훨씬 낮은 수치이기 때문이다. 다만, 표준화가 진행되고 난 이후에도, 수동대기모드의 전력소모 저감 측면에서 능동대기모드보다 유리하지만, 셋톱박스 사업자는 수동대기모드에서는 기존의 셋톱박스처럼 대기상태에서 셋톱박스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및 펌웨어(Firmware) 업데이트를 할 수 없으므로 수동대기모드의 사용을 선호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대기상태의 셋톱박스의 대기전력을 차단하거나 대기모드로 진입한 경우 수동대기모드에서도 업데이트를 할 수 있는 셋톱박스의 연구 및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대기상태의 셋톱박스에 타이머를 구동시켜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차단기를 이용하여 대기전력을 차단하거나, 대기상태에서도 업데이트를 수행하면서도 셋톱박스의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도록, 수동대기모드에서 CPU가 저전력 모드로 동작하는 환경에서도 네트워크 연결을 활성화시켜 업데이트 시그널링을 검출할 수 있도록 하고, 저전력 모드에서 활성화 모드로 전환한 후 업데이트가 완료되면 다시 저전력 모드로 복귀함으로써 국가차원의 전력낭비방지, 셋톱박스 사업자의 업데이트 및 사용자의 절전을 모두 만족시킬 수 있으며, 셋톱박스 사업자의 대기상태 셋톱박스 업데이트에 대한 지원 요구를 충족할 뿐만이 아니라 국가적인 대기상태 가전기기의 전력소모 저감에 기여할 수 있는, 셋톱박스 대기전력 차단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대기상태로 전환된 후 기 설정된 시간을 카운트하는 타이머 및 타이머로부터 카운트된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된 후 동작중이 아니면서 입력신호도 존재하지 않는 경우, 대기전력을 차단하는 차단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대기상태로 전환된 후 타이머를 이용하여 기 설정된 시간을 카운트하고, 차단기를 이용하여 타이머로부터 카운트된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된 후 동작중이 아니면서 입력신호도 존재하지 않는 경우, 대기전력을 차단하는 셋톱박스, 셋톱박스가 연결된 AP(Access Point)를 경유하여 연결되고, 사용자 단말의 GPS가 셋톱박스가 위치한 GPS가 아닌 경우, 대기전력을 차단하는 차단 이벤트를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 및 사용자 단말과 셋톱박스를 매핑하여 저장하는 저장부, 사용자 단말에서 입력한 주소지와 GPS를 매핑하여 저장하는 매핑부, 사용자 단말의 위치가 주소지에 대응하는 GPS에 대응하는 위치가 아닌 경우, 셋톱박스의 타이머를 구동하도록 AP로 구동신호를 전달하는 차단관리부를 포함하는 차단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대기상태의 셋톱박스에 타이머를 구동시켜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차단기를 이용하여 대기전력을 차단하거나, 대기상태에서도 업데이트를 수행하면서도 셋톱박스의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도록, 수동대기모드에서 CPU가 저전력 모드로 동작하는 환경에서도 네트워크 연결을 활성화시켜 업데이트 시그널링을 검출할 수 있도록 하고, 저전력 모드에서 활성화 모드로 전환한 후 업데이트가 완료되면 다시 저전력 모드로 복귀함으로써 국가차원의 전력낭비방지, 셋톱박스 사업자의 업데이트 및 사용자의 절전을 모두 만족시킬 수 있으며, 셋톱박스 사업자의 대기상태 셋톱박스 업데이트에 대한 지원 요구를 충족할 뿐만이 아니라 국가적인 대기상태 가전기기의 전력소모 저감에 기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셋톱박스 대기전력 차단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차단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셋톱박스 대기전력 차단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셋톱박스 대기전력 차단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한편,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부'는 어드레싱 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 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있어서, 단말과 매핑(Mapping) 또는 매칭(Matching)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단말의 식별 정보(Identifying Data)인 단말기의 고유번호나 개인의 식별정보를 매핑 또는 매칭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셋톱박스 대기전력 차단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셋톱박스 대기전력 차단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차단 서비스 제공 서버(300), 적어도 하나의 셋톱박스(400) 및 적어도 하나의 IoT 콘센트(50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셋톱박스 대기전력 차단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하여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도 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 200)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차단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차단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셋톱박스(400), 적어도 하나의 IoT 콘센트(50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셋톱박스(4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차단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IoT 콘센트(5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차단 서비스 제공 서버(300) 및 적어도 하나의 셋톱박스(400)과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인터넷(WWW: World Wide Web),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전화망,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 등을 포함한다. 무선 데이터 통신망의 일례에는 3G, 4G, 5G,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5GPP(5th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와이파이(Wi-Fi),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RF(Radio Frequency),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Near-Field Communication)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하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는 단수 및 복수를 포함하는 용어로 정의되고,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존재할 수 있고, 단수 또는 복수를 의미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되는 것은, 실시예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할 것이다.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셋톱박스 대기전력 차단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GPS를 설정하고 WIFI 등을 이용하여 셋톱박스(400)를 등록하는 사용자의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100)은 대기전력을 차단하기 위한 IF-THEN 조건을 설정하여 차단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등록하거나, 아낀 전력량을 차단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차단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셋톱박스 대기전력 차단 서비스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차단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셋톱박스(400)를 등록하면 사용자 단말(100)과 셋톱박스(400)를 연결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차단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IoT 콘센트(500)를 등록하는 경우, 이를 또 사용자 단말(100)과 매핑하여 저장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차단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셋톱박스(400)의 타이머가 구동되는 조건을 사용자 단말(100)에서 설정하는 경우 조건에 맞을 때에만 타이머가 구동되어 대기전력이 차단되도록 하는 서버일 수 있고, 대기전력으로 소모되는 전력량과 차단으로 아낀 전력량을 인포그래픽으로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차단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아낀 전력량에 대응하는 포인트를 지급하는 서버일 수 있고, 사용자 단말(100)에서 TV를 턴 온 시켰을 때의 센서 데이터 및 입력 데이터 등을 수집한 후 패턴을 파악하고, 패턴에 매칭되지 않는 시간, 키보드 입력, 터치 등이 발생하는 경우 타이머를 구동시키도록 하는 서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TV를 켜고 잠이 드는 경우에도 수면이 확인되면 TV와 셋톱박스(400)를 모두 턴 오프시키고 대기전력까지 차단하도록 하는 서버일 수 있다.
여기서, 차단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셋톱박스(400)는, 셋톱박스 대기전력 차단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타이머 구동신호를 수신하는 장치일 수 있다. 셋톱박스(400)는 타이머가 구동되는 경우 기 설정된 시간이 카운트되면 대기전력을 차단하도록 대기전력을 차단시키는 장치일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셋톱박스(4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셋톱박스(4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셋톱박스(400)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IoT 콘센트(500)는, 셋톱박스 대기전력 차단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전력이 인입되지 못하도록 턴 오프시키는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IoT 콘센트(500)는, 스위치가 있는 멀티탭과 같이 턴 오프되는 경우 스위치가 오프(Off)된 것과 같이 대기전력을 차단하는 장치일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IoT 콘센트(5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IoT 콘센트(5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IoT 콘센트(500)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차단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셋톱박스 대기전력 차단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차단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저장부(310), 매핑부(320), 차단관리부(330), 물리적차단부(340), 조건설정부(350), 제어부(360), 업데이트관리부(370), 행동유도부(380) 및 셋톱프리안내부(390)를 포함하고, 셋톱박스(400)는 타이머(410), 차단기(420) 및 모드전환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 서비스 제공 서버(300)나 연동되어 동작하는 다른 서버(미도시)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셋톱박스(400) 및 적어도 하나의 IoT 콘센트(500)로 셋톱박스 대기전력 차단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전송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셋톱박스(400) 및 적어도 하나의 IoT 콘센트(500)는, 셋톱박스 대기전력 차단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설치하거나 열 수 있다. 또한,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서비스 프로그램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셋톱박스(400) 및 적어도 하나의 IoT 콘센트(500)에서 구동될 수도 있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제 1 실시예는 셋톱박스(400)만으로 대기전력을 차단하는 구성이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제 2 실시예는, 셋톱박스(400)와 사용자 단말(100), IoT 콘센트(500) 또 차단 서비스 제공 서버(300)가 시스템을 이루어 대기전력을 차단하는 구성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두 가지의 실시예를 이하에서 나누어 설명하지만, 반드시 나누어 실시되어야 하는 것은 아님을 명시한다.
<제 1 실시예>
셋톱박스(400)는, 대기상태로 전환된 후 기 설정된 시간을 카운트하는 타이머(410)와, 타이머(410)로부터 카운트된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된 후 동작중이 아니면서 입력신호도 존재하지 않는 경우, 대기전력을 차단하는 차단기(4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대기상태란 콘센트와 연결되어 전원 버튼에 적색불이 들어오고는 있지만, 전원 버튼은 턴 오프된 상태로 실제로는 꺼져 있지만 전력을 소모하고 있는 대기전력을 소모하는 상태를 의미한다.
모드전환부(430)는, 대기상태로 전환된 후, 타이머(410)를 구동시키기 전에, 대기상태 중 셋톱박스(400)의 CPU가 저전력 모드로 동작하는 수동대기모드로 진입하도록 하고, 저전력 모드에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활성화시키며, 저전력 모드에서 셋톱박스(400) 업데이트가 발생하는 경우, 저전력 모드로 동작하는 CPU를 활성화 모드(Activation Mode)로 변환하여 업데이트를 진행하고, 업데이트가 완료되면 CPU를 활성화 모드에서 저전력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셋톱박스 제어를 위해 사용되는 프로토콜>
IPTV 와 케이블방송 셋톱박스 제어를 위해 사용되는 메시지의 프로토콜을 살펴보면, 우선, 셋톱박스의 제어를 위한 프로토콜 포맷(Format)은, UDP(User Datagram Protocol)/IP(Internet Protocol) 패킷이 이더넷 프레임(Ethernet Frame)에 의해 전달되는 형태이다. 케이블방송 셋톱박스의 제어를 위한 프로토콜 포맷은 DOCSIS(Data Over Cable Service Interface Specification) 프로토콜 위에 이더넷 프레임 및 UDP/IP 패킷이 전달되는 형태이다. 셋톱박스의 제어 메시지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DOCSIS, 이더넷, IP, UDP 프로토콜 등을 해석하여 처리할 수 있어야 한다. 하지만, 프로토콜의 해석을 위해서는 높은 연산량이 필요로 하게 되므로, 수동대기모드와 같이 CPU가 저전력 모드로 동작 시에는 프로토콜 해석과 처리가 어렵다. 이에, 해당 프로토콜의 포맷을 이용하여, 셋톱박스 제어 프로토콜의 해석과 처리를 단순화할 수 있는 방법을 이용한다.
<저전력 CPU에서도 동작 가능한 대기상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셋톱박스(400)가 대기상태에서 수동대기모드처럼 CPU는 저전력 모드로 동작을 하지만, 수동대기모드와는 다르게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활성화시키기로 한다. 만약 셋톱박스(400)의 업데이트가 필요한 경우에, 셋톱박스(400) 사업자 측에서 셋톱박스(400) CPU의 동작을 저전력 모드로부터 정상적인 CPU 연산을 가능하게 하는 활성화 모드로 전환시켜 셋톱박스(400) 업데이트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저전력 모드의 CPU가 이더넷, DOCSIS, UDP/IP 프로토콜의 해석 및 처리를 적은 연산량으로 처리할 수 있어야 한다.
프로토콜의 해석 및 처리를 단순화하기 위해서는 정해진 프로토콜 패턴을 이용하는 것이 방법이 될 수 있다. 그 중 하나가 WoL(Wake on LAN)이며, WoL은 수신하는 측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가 반복되는 패턴을 프로토콜 패턴으로 사용한다. WoL 은 현재 많은 CPU 에서 구현이 되어있으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기상태의 셋톱박스(400)를 제어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두 번째 프로토콜의 해석 및 처리를 단순화하는 방법으로는 셋톱박스(400) 제어 프로토콜 헤더의 계산을 단순화하여 유의미한 메시지의 처리방법을 알아내는 것이다. 프로토콜 헤더 중 필드의 길이가 가변적인 선택적인(Optional) 필드 외에는 고정되어 있으므로, 가변적인 필드를 계산하여 헤더의 길이를 계산하면 메시지 프로토콜 전체를 해석할 필요 없이, 유의미한 부분만 해석하여 처리하면 저전력 모드의 CPU에서도 동작 가능하다. 이 방법은 WoL 처럼 대중화된 방법은 아니지만 메시지 시작 위치를 알아내기 위해 단순한 연산만 수행하므로, WoL 보다 더 낮은 전력소모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프로토콜 해석 및 처리 단순화 방법 외에도, 셋톱박스(400)의 고유식별자인 IP 주소의 회수에 대한 대응을 매체별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 IPTV 셋톱박스(400)의 CPU가 저전력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는 IP 주소가 회수당할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IPTV 셋톱박스(400)는 IP 주소가 회수당하지 않게 대기상태에서도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 프로세스를 수행해야 한다. 그러나, 케이블방송 셋톱박스(400)의 경우에는 CMTS(Cable Modem Termination System)가 케이블방송 셋톱박스의 케이블모뎀의 IP 주소를 회수하지 않게 관리하고 있으므로 대기상태에서 별도의 ARP 프로세스를 실행하지 않아도 된다.
이렇게 단순화된 프로토콜 해석 및 처리를 이용하여 셋톱박스(400)의 대기상태에서도 저전력의 동작이 가능하다. 대기상태 셋톱박스(400)의 전력소모는 수동대기모드에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전력소모만 추가로 필요하므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전력소모가 0.5W 라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셋톱박스(400) 대기상태의 전력소모는 1.5W로 예측할 수 있다. 만약 대기상태에서 셋톱박스(400)의 업데이트가 수행된다고 해도 하루 24 시간 평균 2 시간 이내의 업데이트를 수행할 것이므로 대기상태에서 평균 2W 이상은 소모하지 않을 수 있다.
<제 2 실시예>
저장부(310)는, 사용자 단말(100)과 셋톱박스(400)를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과 연동시키는 이유는, 사용자가 집 밖을 나갔을 때, 즉 셋톱박스(400)가 설치된 주소지 밖을 나가는 경우에는, 대기상태에서 대기전력까지 차단하는 타이머(410)를 구동시키고 차단기(420)를 이용하여 차단해도 되지만, 만약 집에 있으면서 언제든지 TV를 켤 수 있는 상황에 타이머(410)를 구동시키고 차단기(420)를 지속적으로 구동시키는 경우, 이에 따른 전력소모가 더 커져 배보다 배꼽이 더 큰 사태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집을 나갈 때 모든 콘센트를 빼고 나가는 것과 같이,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를 파악하여 외부로 나가는 것이거나 또는 직장이나 학교와 같이 주기적으로 나가는 경우를 파악한 후 그 시간대에는 타이머(410)를 구동시켜 차단기(420)로 차단하지 않고 바로 차단기(420)만을 구동시키도록 할 수 있다. 또, 사용자가 집에 있는 경우라고 할지라도 집에서 재택근무를 해서 재택근무시에는 TV를 켜지 않고, 일과가 모두 끝난 후 TV를 켠다거나 하는 등의 패턴이 파악되는 경우, 해당 패턴 이외의 상황에서는 바로 차단기(420)를 구동하여 대기전력을 차단시키고, 사용자가 TV를 켜고 잠이 드는 경우가 많다면 이 또한 사용자 단말(100)의 수면체크기능을 이용하여 함께 TV 및 셋톱박스(400)의 전원을 끄고, 이에 더하여 셋톱박스(400)의 대기전력까지 차단하도록 차단기(420)를 구동시킬 수 있다.
매핑부(32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입력한 주소지와 GPS를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셋톱박스(400)가 연결된 AP(Access Point)를 경유하여 연결되고, 사용자 단말(100)의 GPS가 셋톱박스(400)가 위치한 GPS가 아닌 경우, 대기전력을 차단하는 차단 이벤트를 전송할 수 있다. 최근 각 스마트폰에서 [IF-THEN] 조건을 붙여 각종 IoT 기기를 제어하거나 블루투스를 켜거나 끄는 등 다양한 설정을 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공개했다. 예를 들어, GPS가 집 주소가 아닐 때(IF) WIFI를 모바일데이터로 설정(THEN)하고, 블루투스 이어폰이 연결(IF)되면 바로 스포티파이의 음악을 재생(THEN)하는 등 다양한 사용자 설정이 가능해졌다. 이에 따라, 각 사용자 단말(100)의 GPS가 집 주소, 즉 셋톱박스(400)가 위치한 장소를 벗어나는 경우, 타이머(410)의 구동없이 바로 차단기(420)를 구동시킬 수 있다. 물론, 타이머(410)를 구동시키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가 출근을 하는 등 집을 비울 때에는 타이머(410)로 사용자가 언제나 켜고 끌 수 있는 상태가 아니기 때문에 타이머(410)의 구동없이 바로 차단기(420)를 구동하도록 하는 것이다.
차단관리부(330)는,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가 주소지에 대응하는 GPS에 대응하는 위치가 아닌 경우, 셋톱박스(400)의 타이머(410)를 구동하도록 AP로 구동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셋톱박스(400)는, 대기상태로 전환된 후 타이머(410)를 이용하여 기 설정된 시간을 카운트하고, 차단기(420)를 이용하여 타이머(410)로부터 카운트된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된 후 동작중이 아니면서 입력신호도 존재하지 않는 경우, 대기전력을 차단할 수 있다.
물리적차단부(330)는, 사용자 단말(100)의 GPS가 주소지에 대응하는 GPS가 아닌 경우, IoT 콘센트(500)를 턴 오프(Turn Off)시켜 전력을 차단할 수 있다. IoT 콘센트(500)는, 셋톱박스(400)로 전원선이 인입된 장치일 수 있다. 멀티탭의 스위치를 이용하여 플러그를 뽑지 않고도 대기전력을 켜고 끄는데, 여기에 더 나아가 최근 IoT 콘센트(500)는 사용자가 인터넷으로 일괄 소등할 수 있도록 WIFI 등과 연결된 Internet of Things 기반 콘센트이다. 플러그가 콘센트에 꽂혀있는 경우 전원을 껐더라도 대기전력을 소모하게 되는데, IoT 콘센트(500)를 이용하는 경우 대기전력을 셋톱박스(400) 단(End)에서 차단하는 것이 아니라, IoT 콘센트(500) 단에서 차단하게 되며 사용자는 이를 외부에서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즉 자동으로 꺼지지 않았거나 자동으로 꺼지도록 설정하지 않은 경우 외부에서도 또는 해외에 출장을 가 있더라도 본 발명의 플랫폼에 접속하여 끌 수 있다. 다만, 이때에는 WIFI가 켜져있다는 것을 전제로 하므로 사용자가 나가는 것이 확인, 즉 GPS로 확인되는 경우 바로 IoT 콘센트(500)를 구동시킨 후, WIFI 자체도 본 발명의 타이머 및 차단기 등을 이용하여 전원을 끄도록 할 수도 있다. 물론 CCTV가 인터넷으로 연결되도록 WIFI가 항상 구동되어야 하는 상황 등의 경우에는 WIFI는 항상 켜지도록 설정할 수 있다.
조건설정부(350)는, 셋톱박스(400) 및 TV가 턴 온되어 구동중일 때, 사용자 단말(100)의 입력 데이터 및 센서 데이터를 수집하고, 셋톱박스(400) 및 TV가 구동중일 때의 입력 데이터 및 센서 데이터의 패턴을 추출하며, 패턴과 일치하지 않는 입력 데이터 및 센서 데이터가 수집되는 시간에는 셋톱박스(400)의 타이머(410)를 구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셋톱박스(400) 및 TV를 볼 때 카카오톡을 확인하는 빈도가 줄어든다거나, 불을 끄고 침대에 누워서 조도가 낮아진다거나 하는 등의 패턴을 파악하는 경우, 이 패턴과 일치하지 않는 데이터가 사용자 단말(100)에서 감지될 때 타이머(410)를 구동하는 신호로 이용할 수 있다. 또 사용자 단말(100)에서 수면시각을 추정하는 기능이 존재하는데, 이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입력이 더 이상 없는 시간으로부터 입력이 다시 발생하기 시작한 시간을 수면시간으로 추정한다. 이때, 입력이 없은지 기 설정된 시간, 예를 들어 1 시간이 지난 경우, 예를 들어, 사용자가 잠이 든 경우에는 셋톱박스(400) 자체의 전원을 턴 오프 시킨 후 다시 차단기(420)를 이용하여 대기전력까지 차단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황인지 알고리즘을 더 이용할 수도 있다.
제어부(360)는, 셋톱박스(400)에서 소모되는 대기전력량 및 시간대를 측정하여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100)에서 IF-THEN 조건문으로 셋톱박스(400)의 IoT 콘센트(500)의 구동조건을 설정하는 경우, 구동조건에 따라 IoT 콘센트(500)를 구동시켜 전력을 차단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황인지 알고리즘이나 패턴 파악 등으로 파악을 했다고 할지라도 사람이 이를 최종적으로 검수하고 파악하는 것이 가장 정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360)는, 대기전력량이 발생하는 시간대와 그 양을 사용자에게 안내해주고, 이 시간대에 조건을 더 설정하여 IoT 콘센트(500)를 구동하도록 할 것인지, 즉 전원을 차단할 것인지를 물어볼 수 있고, 부가적인 설정을 더 받을 수 있다. 이렇게 되는 경우 본 발명의 플랫폼에서 디폴트로 설정한 자동설정에, 사용자가 설정한 수동설정에 더해져 더욱 촘촘한 대기전력 관리가 가능해질 수 있고, 이렇게 수동으로 설정된 데이터는 본 발명의 플랫폼으로 수집되어 이후 자동으로 설정될 조건 등에 추가되도록 업데이트할 자료로 이용할 수 있다.
업데이트관리부(370)는, 적어도 하나의 셋톱박스(400) 사업자 단말로부터 셋톱박스(400) 업데이트 날짜 및 시간을 확인하고, 셋톱박스(400) 업데이트 날짜 및 시간에 차단기(420)를 해제하여 대기모드 중 능동대기모드(Active Standby Mode)로 전환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제 1 실시예와의 차이점은, 제 1 실시예에서는 수동대기모드로 계속하여 대기하다가 저전력 CPU를 활성화 모드로 전환했다면, 제 2 실시예에서는 각 셋톱박스 사업자, 예를 들어, SKT, LGU+, KT 등에서 업데이트 날짜 및 시각과 시간을 받은 후 그 시각대에만 업데이트가 가능하도록 능동대기모드로 전환한다는 것이다. 업데이트 날짜는 대부분 예정되어 있으므로 이 시간 대에만 능동대기모드로 전환하고, 업데이트가 완료된 후에는 이를 다시 수동대기모드로 전환한다. 제 1 실시예에서는 수동대기모드에서 네트워크 연결을 활성화했지만 제 2 실시예에서는 업데이트를 모니터링할 필요가 없으므로 일반적인 수동대기모드로 진행하며 네트워크 연결을 활성화하지 않는다.
행동유도부(380)는, 셋톱박스(400)의 차단기(420)로 대기전력을 차단한 후, 세이브된 예상 전력량에 대응하는 포인트를 지급할 수 있다. 최근 환경부에서 대기전력을 절약하는 경우 탄소포인트를 지급하고, 실적에 따라 공공시설 바우처 등을 무료로 받는 인센티브 제도를 실시하고 있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도 대기전력이 차단된 시간에 대응하는 전력량에 따라 포인트를 지급함으로써 각 사용자의 참여를 유도할 수도 있다.
셋톱프리안내부(39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등록한 TV의 모델명을 확인하고, 모델명이 셋톱박스(400) 프로그램의 설치가 가능한 TV인 경우, 사용자 단말(100)로 셋톱박스(400)의 설치제거를 권장 및 안내하고, 셋톱박스(400)를 제거하는 경우의 예상되는 절전량 및 포인트를 표시해줄 수 있다. 최근 스마트 TV인 경우 셋톱박스(400)의 설치 없이도 바로 셋톱박스(400)를 대신하는 프로그램을 설치하도록 함으로써 스마트 TV 내에 셋톱박스(400)를 넣는 것과 같은 효과를 제공하고 있다. 이에, 각 사용자 단말(100)에서 입력된 TV 모델명을 확인하고, TV 모델이 스마트 TV이고, 프로그램이 설치 및 구동가능한 TV라면 셋톱박스(400)의 설치제거를 권장하고 설치를 제거하는 경우 포인트를 지급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하, 상술한 도 2의 차단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성에 따른 동작 과정을 도 3 및 도 4를 예로 들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실시예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a) 셋톱박스(400)는, 대기상태인 경우 타이머(410)를 이용하여 카운트를 시작하고,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된 후에도 동작중도 아니고 입력신호도 존재하지 않는다면 대기전력을 차단하도록 차단기(420)를 구동한다. 만약, 동작중이거나 입력신호가 존재하면 바로 대기상태가 아닌 구동상태로 전환되며, 구동상태에서 다시 대기상태로 전환되기 위해서는 전원을 턴 오프(Off) 하는 신호나 버튼 입력이 필요하다. (b) 그리고 셋톱박스(400)는 셋톱박스(400) 업데이트를 위하여 수동대기모드에서 CPU 저전력 모드로 구동하는 것에 더하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하고 (c)와 같이 업데이트가 되는 경우 CPU 활성화 모드로 전환하여 진행한 후 다시 업데이트가 완료되면 CPU 저전력 상태로 전환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는 (d) 차단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조건을 설정하여 셋톱박스(400)의 대기전력을 차단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고, 도 4의 (a)와 같이 IoT 콘센트(500)의 턴 오프 조건을 설정하여 대기전력을 차단하는 것을 넘어 전원을 완전히 차단하도록 할 수도 있다. (b)와 같이 차단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의 패턴을 파악하여 (c)와 같이 사용자가 TV를 언제, 어떠한 상황에서 보는지를 파악하고 그렇지 않은 시각에는 바로 대기전력을 차단하는 타이머(410)를 구동시키거나 바로 차단기(420)를 구동시키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d)와 같이 차단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의 TV 모델을 확인한 후 셋톱프리가 가능한 모델인 경우 변경하도록 안내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도 2 내지 도 4의 셋톱박스 대기전력 차단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을 통해 셋톱박스 대기전력 차단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셋톱박스 대기전력 차단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5를 통해 각 구성들 상호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할 것이나, 이와 같은 실시예로 본원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앞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이 변경될 수 있음은 기술분야에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5를 참조하면, 차단 서비스 제공 서버는, 사용자 단말과 셋톱박스를 매핑하여 저장하고(S5100), 사용자 단말에서 입력한 주소지와 GPS를 매핑하여 저장한다(S5200).
또, 차단 서비스 제공 서버는, 사용자 단말의 위치가 주소지에 대응하는 GPS에 대응하는 위치가 아닌 경우, 셋톱박스의 타이머를 구동하도록 AP로 구동신호를 전달한다(S5300).
상술한 단계들(S5100~S5300)간의 순서는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술한 단계들(S5100~S5300)간의 순서는 상호 변동될 수 있으며, 이중 일부 단계들은 동시에 실행되거나 삭제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도 5의 셋톱박스 대기전력 차단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셋톱박스 대기전력 차단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를 통해 설명된 일 실시예에 따른 셋톱박스 대기전력 차단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셋톱박스 대기전력 차단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마스터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셋톱박스 대기전력 차단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에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0)

  1. 대기상태로 전환된 후 기 설정된 시간을 카운트하는 타이머;
    상기 타이머로부터 카운트된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된 후 동작중이 아니면서 셋톱박스로의 입력신호도 존재하지 않는 경우, 대기전력을 차단하는 차단기; 및
    상기 대기상태로 전환된 후, 상기 타이머를 구동시키기 전에, 상기 대기상태 중 상기 셋톱박스의 CPU가 저전력 모드로 동작하는 수동대기모드로 진입하도록 하고, 상기 셋톱박스의 업데이트를 위하여 상기 수동대기모드에서 상기 셋톱박스의 CPU의 저전력 모드로 구동하는 것에 더하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활성화시키며, 상기 저전력 모드에서 셋톱박스 업데이트가 발생할 때 상기 저전력 모드로 동작하는 CPU를 활성화 모드(Activation Mode)로 변환하여 업데이트를 진행하고, 상기 업데이트가 완료되면 상기 CPU를 상기 활성화 모드에서 저전력 모드로 전환하는 모드전환부를 포함하며,
    상기 CPU의 저전력 모드로의 동작 시 이더넷, DOCSIS, UDP 및 IP 프로토콜의 해석 및 처리를 단순화하기 위해서, 셋톱박스 제어 프로토콜 헤더 중에서 필드의 길이가 가변적인 선택적인(optional) 필드를 계산하여 상기 셋톱박스 제어 프로토콜 헤더의 길이의 계산을 통해 프로토콜 전체를 해석할 필요없이 유의미한 부분만 해석하여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셋톱박스.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220056211A 2022-05-06 2022-05-06 셋톱박스 및 이를 이용한 대기전력 차단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4643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6211A KR102464373B1 (ko) 2022-05-06 2022-05-06 셋톱박스 및 이를 이용한 대기전력 차단 서비스 제공 시스템
PCT/KR2023/002568 WO2023214649A1 (ko) 2022-05-06 2023-02-23 셋톱박스 및 이를 이용한 대기전력 차단 서비스 제공 시스템
US18/306,128 US20230362441A1 (en) 2022-05-06 2023-04-24 Set-top box and system for providing standby power cutoff service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6211A KR102464373B1 (ko) 2022-05-06 2022-05-06 셋톱박스 및 이를 이용한 대기전력 차단 서비스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4373B1 true KR102464373B1 (ko) 2022-11-04

Family

ID=840453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6211A KR102464373B1 (ko) 2022-05-06 2022-05-06 셋톱박스 및 이를 이용한 대기전력 차단 서비스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362441A1 (ko)
KR (1) KR102464373B1 (ko)
WO (1) WO202321464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14649A1 (ko) * 2022-05-06 2023-11-09 이연재 셋톱박스 및 이를 이용한 대기전력 차단 서비스 제공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311528A1 (en) * 2021-03-23 2022-09-29 Sling TV L.L.C. Systems and methods for unifying local channels with over-the-top services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2640B1 (ko) * 2008-05-15 2008-10-10 (주)씨이에스티 전원 제어 기능 내장형 셋탑박스
KR101410507B1 (ko) * 2013-01-17 2014-06-20 주식회사 이노피아테크 대기 모드에서 소비전력을 절전하기 위한 셋톱박스
KR20170025770A (ko) * 2015-08-31 2017-03-08 주식회사 에스엘피테크 블루투스 절전 어댑터 및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대기전력을 절감하는 방법
KR20170128651A (ko) * 2016-05-12 2017-11-23 주식회사 삼진일렉스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대기전력 차단 장치에 의하여 차단된 대기 전력의 자동 복구 시스템 및 자동 복구 방법
KR20190045668A (ko) * 2017-10-24 2019-05-03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셋탑 박스의 전원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20210048848A (ko) * 2019-10-24 2021-05-04 (주)이젝스 에너지 관리 시스템 및 그 관리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2677B1 (ko) * 2011-10-14 2013-09-03 석근수 셋톱박스의 전력 제어장치
KR101387369B1 (ko) * 2013-12-20 2014-04-21 (주)그린콤 셋톱박스의 외장형 대기전력 차단 및 전원 활성화 시스템
KR102464373B1 (ko) * 2022-05-06 2022-11-04 이연재 셋톱박스 및 이를 이용한 대기전력 차단 서비스 제공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2640B1 (ko) * 2008-05-15 2008-10-10 (주)씨이에스티 전원 제어 기능 내장형 셋탑박스
KR101410507B1 (ko) * 2013-01-17 2014-06-20 주식회사 이노피아테크 대기 모드에서 소비전력을 절전하기 위한 셋톱박스
KR20170025770A (ko) * 2015-08-31 2017-03-08 주식회사 에스엘피테크 블루투스 절전 어댑터 및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대기전력을 절감하는 방법
KR20170128651A (ko) * 2016-05-12 2017-11-23 주식회사 삼진일렉스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대기전력 차단 장치에 의하여 차단된 대기 전력의 자동 복구 시스템 및 자동 복구 방법
KR20190045668A (ko) * 2017-10-24 2019-05-03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셋탑 박스의 전원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20210048848A (ko) * 2019-10-24 2021-05-04 (주)이젝스 에너지 관리 시스템 및 그 관리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14649A1 (ko) * 2022-05-06 2023-11-09 이연재 셋톱박스 및 이를 이용한 대기전력 차단 서비스 제공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214649A1 (ko) 2023-11-09
US20230362441A1 (en) 2023-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64373B1 (ko) 셋톱박스 및 이를 이용한 대기전력 차단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1066292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데이터 방송 선택적 수신시스템 및 방법
US9602300B2 (en) Smart device-based home network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101624903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N111311314B (zh) 一种广告归因方法及设备
CN103270466A (zh) 经由对定时器相关任务的协调和选择性操作的功率管理
CN111629427B (zh) 多媒体数据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01578832A (zh) 用于向无线设备传送系统状态信息变化的装置和方法
CN105979369A (zh) 一种电视机自动关机方法及电视机
CN113301586A (zh) 网络选择方法及电子设备
WO2016179900A1 (zh) 一种路由设备及其节电方法、装置、存储介质
CN105320521A (zh) 一种智能按键设备在o2o服务场景中的应用方法
CN100521782C (zh) 用于多功能接收设备中的数据接收的方法
CN112616176B (zh) 设备的唤醒方法及装置、控制方法及装置
US20170238347A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Managing Mobile Hotspot
CN108074567A (zh) 语音遥控方法和装置
CN111885686A (zh) 一种设备网络唤醒方法、唤醒接收端和唤醒发起端
CN113115416A (zh) 一种门铃设备的控制方法、装置及系统
CN111970751A (zh) 控制方法、电子设备
EP3371958B1 (en) Method for moving a communication device to a first mode, method for providing a service, and corresponding devices, system, computer readable program products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a
CN109963197A (zh) 一种智能下载视频资源的方法、存储介质及智能终端
CN114340050B (zh) 基站网络设备关断系统及方法
WO2023078198A1 (zh) 网络拥塞控制方法、网络侧设备及终端
WO2024082811A1 (zh) 一种网络加速方法和装置
KR101702924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한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