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4229B1 - Buckle type force sensor - Google Patents

Buckle type force sens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4229B1
KR102464229B1 KR1020210051663A KR20210051663A KR102464229B1 KR 102464229 B1 KR102464229 B1 KR 102464229B1 KR 1020210051663 A KR1020210051663 A KR 1020210051663A KR 20210051663 A KR20210051663 A KR 20210051663A KR 102464229 B1 KR102464229 B1 KR 1024642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ckle
insertion module
fixed
hole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166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145449A (en
Inventor
김의겸
정희연
정현목
박철훈
박종우
최경준
박성준
박찬훈
박동일
도현민
최태용
경진호
김두형
김휘수
Original Assignee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계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to KR10202100516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4229B1/en
Publication of KR202201454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544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42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422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5/00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01L5/04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measuring tension in flexible members, e.g. ropes, cables, wires, threads, belts or bands
    • G01L5/10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measuring tension in flexible members, e.g. ropes, cables, wires, threads, belts or bands using electrical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0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 G01L1/14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by measuring variations in capacitance or inductance of electrical elements, e.g. by measuring variations of frequency of electrical oscilla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5/00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01L5/04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measuring tension in flexible members, e.g. ropes, cables, wires, threads, belts or bands
    • G01L5/045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measuring tension in flexible members, e.g. ropes, cables, wires, threads, belts or bands for measuring the tension across the width of a band-shaped flexible memb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5/00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01L5/16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measuring several components of force
    • G01L5/165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measuring several components of force using variations in capacitan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ir Bags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Buck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클 타입 힘 센서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버클 타입 힘 센서는 스트랩이 고정되며 고정부로부터 상기 스트랩의 장력에 의해 탄성 이동이 가능하며 탄성 이동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삽입 모듈을 포함하는 버클부, 평판 형태의 기판으로 위치가 고정되고, 상기 삽입 모듈이 이격 삽입될 수 있는 홀이 형성되며, 상기 홀의 내측면에 전극이 형성되어 상기 삽입 모듈과 정전 용량을 형성하는 기판부 및 상기 버클부의 탄성 이동에 따라 상기 정전 용량의 변화를 이용하여 상기 버클부에 작용하는 힘을 측정하는 힘 측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ckle-type force sensor, wherein the buckle-type force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ap fixed thereto and is elastically movable by the tension of the strap from a fixed part, and the insert is formed to protrud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elastic movement direction. A buckle portion including a module, a substrate having a fixed position with a plate-shaped substrate, a hole into which the insertion module can be inserted spaced apart is formed, and an electrode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ole to form a capacitance with the insertion module and a force measuring unit measuring a force acting on the buckle unit by using a change in the capacitance according to the elastic movement of the buckle unit and the buckle unit.

Description

버클 타입 힘 센서{BUCKLE TYPE FORCE SENSOR}Buckle TYPE FORCE SENSOR

본 발명은 버클 타입 힘 센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착용형 로봇 또는 장치 등에 사용되어 스트랩이 연결되는 버클에 작용하는 힘을 측정하는 버클 타입 힘 센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ckle-type force sens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buckle-type force sensor used in a wearable robot or device to measure a force acting on a buckle to which a strap is connected.

최근 다양한 착용형 로봇들이 개발되고 있는데, 특히 소재의 유연한 특성으로 여러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 유연 소재의 착용형 로봇이 활발히 개발되고 있다. 착용형 로봇은 건설 현장의 작업자, 재활 환자 등에 사용될 수 있는데, 옷과 같이 인간의 신체에 착용되어 착용자의 근력을 보조해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Recently, various wearable robots have been developed. In particular, wearable robots made of flexible materials are being actively developed, which has the advantage that it can be used in various environments due to the flexible characteristics of the material. The wearable robot can be used for construction site workers, rehabilitation patients, etc., and can be worn on the human body like clothes to assist the wearer's muscular strength.

이러한 착용형 로봇들은 인체와 밀착되어 구동되기 때문에, 안전을 위해서 착용자와 교류할 수 있는 능력이 중요하다. 착용자와 상호작용 할 수 있는 능력을 위해, 로봇에는 다양한 센서들이 설계되어 착용자의 의도를 파악하여 이에 맞추어 구동할 수 있도록 한다. Since these wearable robots are driven in close contact with the human body, the ability to interact with the wearer is important for safety. For the ability to interact with the wearer, various sensors are designed in the robot to understand the wearer's intentions and act accordingly.

이렇게 다양한 센서에서 측정되는 정보들 중에서, 힘에 대한 정보는 착용자와의 상호작용을 위해 매우 중요한 정보이다. 힘에 대한 정보는 물리적인 정보이기 때문에, 착용형 로봇이 착용자에게 작용하는 힘 정보는 착용자의 안전과 직접적으로 연관된다. 또한, 착용자나 외부에서 착용형 로봇에 작용하는 힘 정보를 통해 안정성 있는 구동을 할 수 있다. Among the information measured by these various sensors, information about force is very important information for interaction with the wearer. Since information about force is physical information, information on force that the wearable robot acts on the wearer is directly related to the safety of the wearer. In addition, stable driving can be performed through force information acting on the wearable robot from the wearer or from the outside.

유연 소재의 착용형 로봇 및 장치는 많은 움직임을 가지는 신체에 착용된다. 그렇기 때문에, 이러한 곳에 장착되는 힘 센서는 로봇 및 착용자의 움직임을 제한하지 않아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개발되는 힘 센서의 무게는 가벼워야 하고, 크기는 작아야 하며, 추가적인 장치 없이 센싱을 할 수 있어야 한다. 그리고 착용자의 큰 힘을 견딜 수 있도록 견고한 구성을 가져야 한다. Wearable robots and devices made of flexible materials are worn on a body having many movements. Therefore, the force sensor mounted in these places should not restrict the movement of the robot and the wearer. To this end, the developed force sensor must be light in weight, small in size, and capable of sensing without an additional device. And it must have a sturdy construction to withstand the great force of the wearer.

이에 따라, 착용형 로봇 및 장치에 적용하기 위한 다양한 힘 센서들이 개발되고 있는데, 대부분 착용자나 로봇의 운동성을 제한하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착용형 로봇에 결합이 용이한 힘 측정 센서가 필요하다. Accordingly, various force sensors for application to wearable robots and devices have been developed, but most have limitations in limiting the mobility of the wearer or the robot.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force measuring sensor that can be easily combined with a wearable robot.

현재까지, 유연 소재의 착용형 로봇 및 장치에 결합 되는 힘 센서는 대부분 힘이 가해질 때 발생하는 변형을 통해 힘을 측정하는 변형(strain) 센서를 많이 사용한다. 변형 센서는 필름 형태처럼 얇게 제작이 가능하기 때문에 유연 소재의 장치에 결합하기 용이하다. 하지만 이러한 변형 센서를 구동하기 위해서는 전압 증폭기(amplifier)가 필요하다. 그리고 이를 장착하기 위한 추가적인 파트도 설계되어야 한다. 또한, 움직임이 많은 착용형 로봇의 특성상, 외력에 많이 노출되기 때문에 변형 센서를 보호하기 위한 구조로 설계되어야 한다. 이러한 구조는 장치의 운동성을 제한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변형 센서가 유연 소재의 착용형 로봇 및 장치에 널리 적용하기에는 많은 제한점이 존재한다.Until now, most force sensors coupled to wearable robots and devices made of flexible materials use strain sensors that measure force through deformation that occurs when force is applied. Since the strain sensor can be manufactured as thin as a film, it is easy to combine with a device made of a flexible material. However, a voltage amplifier is required to drive such a strain sensor. And additional parts for mounting it must also be designed. In addition, due to the nature of the wearable robot with a lot of movement, it should be designed as a structure to protect the deformation sensor because it is exposed to a lot of external force. These structures often limit the mobility of the device. Therefore, there are many limitations for the deformation sensor to be widely applied to wearable robots and devices made of flexible materials.

일본공개특허 제2019-68947호Japanese Laid-Open Patent No. 2019-68947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유연 소재의 착용형 로봇 및 장치 등에 사용될 수 있는 버클 타입 힘 센서로 버클에 연결되는 스트랩의 인장력을 쉽게 측정할 수 있는 버클 타입 힘 센서를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related art, and it is a buckle type force sensor that can be used for wearable robots and devices made of flexible materials, and is a buckle type that can easily measure the tensile force of a strap connected to the buckle. To provide a force sensor.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스트랩이 고정되며 고정부로부터 상기 스트랩의 장력에 의해 탄성 이동이 가능하며 탄성 이동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삽입 모듈을 포함하는 버클부; 평판 형태의 기판으로 위치가 고정되고, 상기 삽입 모듈이 이격 삽입될 수 있는 홀이 형성되며, 상기 홀의 내측면에 전극이 형성되어 상기 삽입 모듈과 정전 용량을 형성하는 기판부; 및 상기 버클부의 탄성 이동에 따라 상기 정전 용량의 변화를 이용하여 상기 버클부에 작용하는 힘을 측정하는 힘 측정부를 포함하는 버클 타입 힘 센서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ap is fixed and elastic movement is possible by the tension of the strap from the fixing portion, the buckle portion comprising an insertion module protruding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elastic movement direction; a substrate part having a fixed position with a flat substrate, a hole into which the insertion module can be inserted and spaced apart, and an electrode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hole to form a capacitance with the insertion module; And it can be achieved by a buckle-type force sensor comprising a force measuring unit for measuring the force acting on the buckle portion using a change in the capacitance according to the elastic movement of the buckle portion.

여기서, 상기 삽입 모듈은 원기둥 형태이고, 상기 홀은 원형의 홀인 것이 바람직하다. 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insertion module has a cylindrical shape, and the hole is a circular hole.

여기서, 상기 고정부와 상기 버클부는 일체로 형성되고, 사이에 플렉셔 구조(flexure structure)가 형성되어 상기 버클부는 탄성 이동을 할 수 있다. Here, the fixing part and the buckle part are integrally formed, and a flexure structure is formed therebetween, so that the buckle part can elastically move.

여기서, 상기 기판부는 상기 고정부에 고정될 수 있다. Here, the substrate part may be fixed to the fixing part.

여기서, 상기 버클부에 고정되거나 상기 고정부에 고정되어 상기 삽입 모듈과 상기 기판부를 내부에 수용하는 커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Here, it may further include a cover part fixed to the buckle part or fixed to the fixing part to accommodate the insertion module and the substrate part therein.

여기서, 상기 고정부에 고정되어 상기 삽입 모듈 상기 삽입 모듈을 내부에 수용하거나 상기 삽입 모듈 상부에 배치되며, 내측면에 상기 기판부가 고정되는 커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insertion module is fixed to the fixing part, the insertion module is accommodated therein or is disposed on the insertion module, and may further include a cover part to which the substrate part is fixed to the inner surface.

여기서, 상기 삽입 모듈 및 상기 기판부는 상기 버클부의 양측에 형성되어, 양측에서 힘을 측정할 수 있다. Here, the insertion module and the substrate portion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uckle portion, and the force may be measured from both sides.

또한,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스트랩이 고정되며 고정부로부터 상기 스트랩의 장력에 의해 탄성 이동이 가능한 버클부; 상기 버클부에 고정되고 내측면에 상기 버클부가 탄성 이동하는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버클부 또는 상기 고정부를 향하여 돌출된 삽입 모듈이 형성되는 커버부; 평판 형태의 기판으로 상기 고정부에 고정되고, 상기 삽입 모듈이 이격 삽입될 수 있는 홀이 형성되며, 상기 홀의 내측면에 전극이 형성되어 상기 삽입 모듈과 정전 용량을 형성하는 기판부; 및 상기 버클부의 탄성 이동에 따라 상기 정전 용량의 변화를 이용하여 상기 버클부에 작용하는 힘을 측정하는 힘 측정부를 포함하는 버클 타입 힘 센서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ap is fixed and the buckle portion elastically movable by the tension of the strap from the fixing portion; a cover part fixed to the buckle part and having an insertion module protruding toward the buckle part or the fixing part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a direction in which the buckle part elastically moves on an inner surface thereof; a substrate part fixed to the fixing part as a plate-shaped substrate, a hole into which the insertion module can be inserted is formed, and an electrode is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hole to form a capacitance with the insertion module; And it can be achieved by a buckle-type force sensor comprising a force measuring unit for measuring the force acting on the buckle portion using a change in the capacitance according to the elastic movement of the buckle portion.

또한,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스트랩이 고정되며 고정부로부터 상기 스트랩의 장력에 의해 탄성 이동이 가능한 버클부; 상기 버클부의 탄성 이동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위치가 고정되는 삽입 모듈; 평판 형태의 기판으로 상기 버클부에 고정되고, 상기 삽입 모듈이 이격 삽입될 수 있는 홀이 형성되며, 상기 홀의 내측면에 전극이 형성되어 상기 삽입 모듈과 정전 용량을 형성하는 기판부; 및 상기 버클부의 탄성 이동에 따라 상기 정전 용량의 변화를 이용하여 상기 버클부에 작용하는 힘을 측정하는 힘 측정부를 포함하는 버클 타입 힘 센서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ap is fixed and the buckle portion elastically movable by the tension of the strap from the fixing portion; an insertion module protruding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elastic movement direction of the buckle part and having a fixed position; a substrate part fixed to the buckle part in a flat plate shape, a hole into which the insertion module can be inserted is formed, and an electrode is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hole to form a capacitance with the insertion module; And it can be achieved by a buckle-type force sensor comprising a force measuring unit for measuring the force acting on the buckle portion using a change in the capacitance according to the elastic movement of the buckle portion.

여기서, 상기 삽입 모듈은 상기 고정부에 형성될 수 있다. Here, the insertion module may be formed in the fixing part.

여기서, 상기 고정부에 고정되고 내측면에 상기 삽입 모듈이 형성되는 커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Here, it may further include a cover portion fixed to the fixing portion and the insertion module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버클 타입 힘 센서에 따르면 웨어러블 로봇이나 장치에 가용되는 버클에 센서를 결합하여 별도의 추가 센서 없이 버클 일체형으로 버클에 결합된 스트랩의 인장력을 측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buckle-type force sensor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tensile force of the strap coupled to the buckle can be measured as an integral buckle without a separate additional sensor by coupling the sensor to the buckle used in the wearable robot or device.

또한, 기존 사용되는 버클에 센서가 결합되어 부피가 작고 무게가 가볍기 때문에 센서가 착용자나 로봇의 운동성을 제한시키지 않는다는 장점도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ensor is combined with the existing buckle, the volume is small and the weight is light, so the sensor does not limit the mobility of the wearer or the robo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버클 타입 힘 센서가 사용될 수 있는 하네스 구조의 착용형 로봇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클 타입 힘 센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평면도이다.
도 5는 기판부의 홀에 삽입된 삽입 모듈의 모습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정전 용량의 측정에 의해 힘을 측정하는 원리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2 내지 도 4의 실시예의 제 1 변형례이다.
도 8은 도 7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2 내지 도 4의 실시예의 제 2 변형례이다.
도 10은 도 9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2 내지 도 4의 실시예의 제 3 변형례이다.
도 12는 도 11의 평면도이다.
도 13은 도 2 내지 도 4의 실시예의 제 4 변형례이다.
도 14는 도 13의 평면도이다.
1 shows an example of a wearable robot having a harness structure in which a buckle-type force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buckle-type force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2 ;
FIG. 4 is a plan view of FIG. 3 .
5 is an enlarged view illustrating an insertion module inserted into a hole in the substrate unit.
6 is a diagram showing the principle of measuring force by measuring capacit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irst modified example of the embodiment of FIGS. 2 to 4 .
FIG. 8 is a plan view of FIG. 7 .
9 is a second modification of the embodiment of FIGS. 2 to 4 .
FIG. 10 is a plan view of FIG. 9 .
11 is a third modified example of the embodiment of FIGS. 2 to 4 .
12 is a plan view of FIG. 11 .
13 is a fourth modified example of the embodiment of FIGS. 2 to 4 .
FIG. 14 is a plan view of FIG. 13 .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The specific details of the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who ha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버클 타입 힘 센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for explaining a buckle-type force sensor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버클 타입 힘 센서가 사용될 수 있는 하네스 구조의 착용형 로봇의 일 예를 도시한다.1 shows an example of a wearable robot having a harness structure in which a buckle-type force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도 1은 본 발명의 버클 타입 힘 센서가 사용될 수 있는 하네스(harness) 구조의 착용형 로봇의 일 예를 도시한다. 상기 착용형 로봇은 건설 현장의 작업자의 힘을 보조하기 위한 로봇 또는 재활 환자의 재활을 돕는 로봇 등일 수 있다. 1 shows an example of a wearable robot having a harness structure in which a buckle-type force senso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The wearable robot may be a robot for assisting the strength of a worker at a construction site or a robot for assisting rehabilitation of a rehabilitation patient.

상기 착용형 로봇은 팔, 다리, 몸체 등 착용자의 신체에 삽입되어 이를 고정시키기 위한 스트랩 및 스트랩을 연결하고 고정시키는 다수의 버클(100)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버클 타입 힘 센서는 버클(100) 내에 형성되어 버클(100)에 연결된 스트랩(200)의 장력을 측정한다. 따라서, 버클(100)에 작용하는 힘을 측정하여 사용자의 의도를 파악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착용형 로봇의 움직임을 제어할 수가 있다. The wearable robot is inserted into the wearer's body, such as arms, legs, and body, and a strap for fixing it, and a plurality of buckles 100 for connecting and fixing the straps may be formed. The buckle-type force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the buckle 100 and measures the tension of the strap 200 connected to the buckle 100 . Therefore, by measuring the force acting on the buckle 100, the intention of the user can be grasped, and accordingly, the movement of the wearable robot can be controlled.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버클 타입 힘 센서는 사람의 신체에 밀착되어 구동되는 소프트 타입의 착용형 로봇 또는 장치에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다. 착용형 로봇 또는 장치는 다수의 스트랩(200)과 버클(100)을 이용하여 인체에 고정시키기 때문이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버클 타입 힘 센서는 스트랩이 연결되는 다른 장치에서도 사용될 수도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buckle-type force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applied to a soft-type wearable robot or device driven in close contact with a person's body. This is because the wearable robot or device is fixed to the human body using a plurality of straps 200 and buckles 100 . However, the buckle-type force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also be used in other devices to which the strap is connected.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버클 타입 힘 센서의 구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structure of the buckle-type force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클 타입 힘 센서는 버클부(110), 기판부(120) 및 힘 측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커버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buckle-type force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buckle part 110 , a substrate part 120 , and a force measuring part. In addition, the cover 130 may be further included.

버클부(110)는 스트랩(200)이 고정되며 스트랩(200)의 장력에 의해 고정부(115)에 대하여 탄성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스트랩(200)이 삽입되어 둘러져 삽입될 수 있도록 상하 관통하는 관통홀 내에 제 1 브릿지(1106)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브릿지(1106)에 의해 스트랩(200) 연장 방향에 위치하는 전방 프레임(1101)과 제 1 브릿지(1106) 사이에 형성되는 전방의 관통홀(1103)과 제 1 브릿지(1106) 후방의 관통홀(1104)로 나뉠 수 있다. 스트랩(200)은 후방의 관통홀(1104) 아래에서 삽입되어 제 1 브릿지(1106)를 감아 전방의 관통홀(1103) 아래로 다시 삽입되어 전방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스트랩(200)을 고정시킬 수 있다. 전방의 관통홀(1103)을 통해 스트랩(200)이 전방 프레임(1101)을 직접 감는 형태로 스트랩(200)을 고정시킬 수도 있다. 버클부(110) 및 버클부(110)에 스트랩(200)이 연결되는 구조는 기존의 공지된 버클과 동일하기 때문에 다양하게 변형이 가능할 수 있고, 이에 관한 상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The buckle part 110 may be elastically movable with respect to the fixing part 115 by the tension of the strap 200 to which the strap 200 is fixed. A first bridge 1106 may be formed in a through hole penetrating up and down so that the strap 200 can be inserted and wrapped around it. Accordingly, the front through-hole 1103 and the first bridge 1106 formed between the front frame 1101 and the first bridge 1106 positioned in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strap 200 by the first bridge 1106 and the rear of the first bridge 1106 may be divided into a through hole 1104 of The strap 200 is inserted under the through-hole 1104 at the rear to wind the first bridge 1106 and is inserted again under the through-hole 1103 at the front to fix the strap 200 in a form extending forward. have. The strap 200 may be fixed in such a way that the strap 200 directly winds the front frame 1101 through the front through hole 1103 . Since the buckle unit 110 and the structure in which the strap 200 is connected to the buckle unit 110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known buckles,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and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고정부(115)는 버클부(110)의 일측에 형성되어 위치가 고정된다. 고정부(115)는 착용형 로봇이나 장치에 직접 고정될 수 있으나,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별도의 스트랩(210)에 의해 착용형 로봇이나 장치에 고정될 수도 있다. 후방 프레임(1102) 전방에 형성된 관통홀(1105)을 통해 스트랩(200)이 관통하여 후방 프레임(1102)을 감는 방식으로 스트랩(200)을 고정시킬 수 있다. 버클부(110)와 마찬가지로 별도의 브릿지(1106)를 형성하여 고정시킬 수도 있다. The fixing part 115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buckle part 110 and the position is fixed. The fixing unit 115 may be directly fixed to the wearable robot or device, but may be fixed to the wearable robot or device by a separate strap 210 as shown in FIG. 2 . The strap 200 may be fixed in such a way that the strap 200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1105 formed in the front of the rear frame 1102 to wind the rear frame 1102 . Similar to the buckle part 110, a separate bridge 1106 may be formed and fixed.

버클부(110)는 고정부(115)를 중심으로 탄성 이동을 할 수 있다. 버클부(110)에 연결된 스트랩(200)에 장력이 작용할 때, 고정부(115)의 위치는 고정된 상태에서 버클부(110)가 고정부(115)를 기준으로 상대 이동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버클부(110)와 고정부(115)는 일체로 형성되고, 버클부(110)와 고정부(115) 사이는 크랙과 같은 절개된 홈이 형성된 구조인 플렉셔 구조(flexure structure)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버클부(110)에 연결되는 스트랩(200)이 당겨질 때 상기 플렉셔 구조에 미세한 변형이 발생하여 버클부(110)는 고정부(115)를 중심으로 상대 이동을 할 수 있다. The buckle part 110 may elastically move around the fixing part 115 . When tension is applied to the strap 200 connected to the buckle part 110 , the buckle part 110 may move relative to the fixing part 115 while the position of the fixing part 115 is fixed. For example, the buckle part 110 and the fixing part 115 are integrally formed, and between the buckle part 110 and the fixing part 115, a cut groove such as a crack is formed in a flexure structure. ) can be formed. Therefore, when the strap 200 connected to the buckle part 110 is pulled, a minute deformation occurs in the flexure structure, so that the buckle part 110 can relatively move around the fixing part 115 .

버클부(110)를 고정부(115)에 대하여 탄성 이동시키는 구조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버클부(110)와 고정부(115)를 별도의 분리된 부재로 형성하되, 버클부(110)와 고정부(115) 사이에 강한 탄성을 가지는 탄성부를 개제하는 방법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The structure for elastically moving the buckle part 110 with respect to the fixing part 115 is not limited thereto. Although the buckle part 110 and the fixing part 115 are formed as separate members, it may be configured by a method of interposing an elastic part having strong elasticity between the buckle part 110 and the fixing part 115 .

버클부(110)에는 버클부(110)가 탄성 이동하는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삽입 모듈(112)이 형성될 수 있다. 삽입 모듈(112)은 후술하는 기판부(120)의 홀(122)에 이격 삽입되어 홀(122)에 형성된 전극과 정전 용량을 형성한다. An insertion module 112 protrud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buckle part 110 elastically moves may be formed in the buckle part 110 . The insertion module 112 is spaced apart and inserted into the hole 122 of the substrate 120 to be described later to form an electrode formed in the hole 122 and capacitance.

삽입 모듈(112)은 버클부(110)의 측면 프레임(1109)의 외측면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양쪽의 측면 프레임(1109)이 각각 삽입 모듈(112)이 돌출 형성된다. 삽입 모듈(112)은 원기둥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insertion module 112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side frame 1109 of the buckle part 110 . 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insertion module 112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side frames 1109 on both sides, respectively. The insertion module 112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but is not limited thereto.

기판부(120)는 평판 형태의 기판으로 예를 들어 PCB(PRINTED CIRCUIT BOARD)로 구성될 수가 있다. 또한, 기판부(120)에는 홀(122)이 형성되는데, 상기 홀(122)에는 전술한 버클부(110)의 삽입 모듈(112)이 삽입된다. 이때, 홀(122)의 내측면과 삽입 모듈(112)의 외측면은 서로 이격되도록 삽입 모듈(112)의 단면적보다 홀(122)의 단면적이 더 크게 형성된다. The substrate unit 120 is a flat substrate, for example, may be composed of a printed circuit board (PCB). In addition, a hole 122 is formed in the substrate part 120 , and the insertion module 112 of the buckle part 110 described above is inserted into the hole 122 . At this time,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hole 122 is larg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insertion module 112 so that the inner surface of the hole 122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insertion module 112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기판부(120)의 위치는 고정되는데, 본 실시예에서 기판부(120)는 고정부(115)의 외측면에 나사 등의 고정 부재를 이용하여 고정될 수 있다. The position of the substrate part 120 is fixed. In this embodiment, the substrate part 120 may be fix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fixing part 115 using a fixing member such as a screw.

버클부(110)에 연결된 스트랩(200)에 작용하는 장력에 의해 버클부(110)가 이동을 하게 되면 버클부(110)의 삽입 모듈(112)의 위치가 바뀌어 위치가 고정되는 기판부(120)의 홀(122) 내측면과 삽입 모듈(112) 외측면 사이의 거리가 변화될 수가 있으며, 이때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홀(122)의 내측면과 삽입 모듈(112) 외측면 사이는 접촉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When the buckle part 110 is moved by the tension acting on the strap 200 connected to the buckle part 110, the position of the insertion module 112 of the buckle part 110 is changed and the position is fixed to the substrate part 120 ), the distance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hole 122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insertion module 112 may be changed. It is preferable to do

전술한 바와 같이 삽입 모듈(112)이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홀(122)은 원형의 홀(122)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삽입 모듈(112)의 중심과 홀(122)의 중심을 일치시켜 원주 방향으로 이격 거리를 일정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insertion module 112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the hole 122 is preferably formed as a circular hole 122 .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match the center of the insertion module 112 with the center of the hole 122 so that the separation distanc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s constant.

이때,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홀(122)의 내측면에는 전극(125)이 형성될 수 있다. PCB 기판에 부품을 삽입하지 않고 상층과 하층 사이의 층간을 접속하기 위한 도금 도통홀을 비아홀(Via_Hole)이라고 하는데, 홀(122)의 크기가 작더라도 비아홀의 형태로 기판부(120)의 홀(122) 가장자리 상하면과 홀(122) 내측면에 전극(125)을 형성시킬 수 있다.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5 , an electrode 125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ole 122 . The plating through hole for connecting the layers between the upper and lower layers without inserting components into the PCB board is called a via hole (Via_Hole). Even if the size of the hole 122 is small, the hole ( 122) The electrode 125 may be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edge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hole 122 .

비아홀로 전극(125)을 형성하는 경우 전극(125)의 단면의 형태가 홀(122) 가장자리 상하면 및 내측면을 둘러싸는 'ㄷ'자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하지만, 홀(122)의 가장자리 상하면에는 전극(125)이 반드시 형성될 필요는 없다. When the electrode 125 is formed using the via hole, the cross-section of the electrode 125 may have a 'C' shape surrounding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edge of the hole 122 and the inner surface. However, the electrodes 125 are not necessarily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edges of the hole 122 .

전극(125)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전극(125)과 이격하는 삽입 모듈(112) 사이에 정전용량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삽입 모듈(112)이 형성되는 버클부(110)는 접지극이 되도록 접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When power is applied to the electrode 125 , a capacitance is formed between the electrode 125 and the spaced apart insertion module 112 .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buckle part 110 in which the insertion module 112 is formed is grounded to become a ground electrode.

기판부(120)의 홀(122)과 버클부(110)의 삽입 모듈(112) 사이의 이격 공간에는 유전체가 형성될 수가 있는데, 상기 유전체로는 폴리머, 공기 중 어느 하나가 형성될 수가 있고,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 dielectric may be formed in the space between the hole 122 of the substrate 120 and the insertion module 112 of the buckle 110, and as the dielectric, any one of a polymer and air may be formed, I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도 6의 (b)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버클부(110)에 연결되는 스트랩(200)의 장력에 의해 버클부(110)가 고정부(115)에 대하여 이동하는 경우 전극(125)과 삽입 모듈(112) 사이의 간격이 바뀌게 된다. 정전 용량의 값은 두 전극 사이의 거리에 반비례하므로 버클부(110)의 이동에 따라서 정전 용량의 값이 바뀌게 되어 정전 용량의 값의 변화로부터 버클부(110)에 작용하는 힘을 측정할 수 있다. When the buckle part 110 moves with respect to the fixing part 115 by the tension of the strap 200 connected to the buckle part 110 as shown in (b) of FIG. 6, the electrode 125 and the insertion The spacing between the modules 112 is changed. Since the value of the capacitance is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electrodes, the value of the capacitance changes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buckle part 110, so that the force acting on the buckle part 110 can be measured from the change in the value of the capacitance. .

본 발명에서는 버클부(110)의 양측에 삽입 모듈(112)이 형성되고 각 삽입 모듈(112)에 대응하는 기판부(120)를 형성하여, 버클부(110) 양측에서 힘을 측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버클부(110)부 양측에서 측정되는 값의 평균을 구하는 방법으로 버클부(110)에 작용하는 힘을 더욱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sertion module 112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uckle part 110 and the substrate part 120 corresponding to each insertion module 112 is formed, so that the force can be measured from both sides of the buckle part 110 . . In this embodiment, the force acting on the buckle part 110 can be more accurately measured by calculating the average of the values measured on both sides of the buckle part 110 .

또한, 삽입 모듈(112)과 기판부(120)를 내부에 수용하는 커버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버부(130)는 외부의 오염 물질로부터 센서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며, 외부의 노이즈에 의해 측정값에 오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insertion module 112 and the substrate portion 120 may further include a cover portion 130 for accommodating therein. The cover 130 serves to protect the sensor from external contaminants, and prevents an error in the measurement value due to external noise.

커버부(130)는 내측에 삽입 모듈(112)과 기판부(120)가 수용되도록 내측이 공간이 형성되는 형태로 형성되며, 버클부(110)에 고정되거나 고정부(115)에 고정된다. 버클부(110)와 고정부(115) 양측에 커버부(130)가 동시에 고정되는 경우 커버부(130)가 고정부(115)에 대한 버클부(110)의 상대 이동을 제한시키기 때문에, 커버부(130)는 버클부(110) 또는 고정부(115)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cover part 130 is formed in a form in which an inner space is formed so that the insertion module 112 and the substrate part 120 are accommodated therein, and is fixed to the buckle part 110 or fixed to the fixing part 115 . When the cover part 130 is fixed to both sides of the buckle part 110 and the fixing part 115 at the same time, since the cover part 130 restricts the relative movement of the buckle part 110 with respect to the fixing part 115, the cover The part 130 is preferably fixed to either the buckle part 110 or the fixing part 115 .

힘 측정부는 연산 장치로서, 버클부(110)에 연결되는 스트랩(200)에 의해 외력이 가해질 때 버클부(110)의 이동에 따른 삽입 모듈(112)과 전극(125) 사이에 형성되는 정전용량의 값 변화를 구하여, 이로부터 버클부(110)에 가해지는 외력을 구한다. 힘 측정부는 상기 기판부(120)에 형성될 수도 있고, 별도의 기판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일체로 형성되는 버클부(110)과 고정부(115) 사이의 관통하는 관통홀을 가로지르는 제 2 브릿지(1107)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 2 브릿지(1107) 상에 별도의 기판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기판(140)에 힘 측정부 및 상기 기판부(120)의 전극(125)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가 형성될 수 있다. The force measuring unit is a calculation device, and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by the strap 200 connected to the buckle unit 110 , the capacitance formed between the insertion module 112 and the electrode 125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buckle unit 110 . To obtain a change in the value of ,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buckle unit 110 is obtained therefrom. The force measuring unit may be formed on the substrate unit 120 or may be formed on a separate substrate. A second bridge 1107 crossing the through hole between the integrally formed buckle part 110 and the fixing part 115 may be formed, and a separate substrate is mounted on the second bridge 1107 . can be A force measuring unit and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electrode 125 of the substrate unit 120 may be formed on the substrate 140 .

이하, 도 7 내지 도 8을 참조로 전술한 버클 타입 힘 센서의 제 1 변형례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전술한 실시예와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first modified example of the above-described buckle-type force senso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 to 8 .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differences from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will be mainly described.

도 7은 도 2 내지 도 4를 참조로 설명한 실시예의 제 1 변형례이고, 도 8은 도 7의 평면도이다. 7 is a first modified example of the embodim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4 , and FIG. 8 is a plan view of FIG. 7 .

전술한 도 2 내지 도 4의 실시예에서 기판부(120)는 고정부(115)에 고정되어 위치가 고정되지만, 본 실시예에서 기판부(120)는 커버부(130)의 내측면에 고정된다. 커버부(130)는 삽입 모듈(112)을 내부에 수용하거나 삽입 모듈(112) 상측에 위치하며, 내측면에 기판부(120)가 고정된다.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of FIGS. 2 to 4 , the substrate part 120 is fixed to the fixing part 115 and the position is fixed, but in this embodiment, the substrate part 120 is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part 130 . do. The cover unit 130 accommodates the insertion module 112 therein or is located above the insertion module 112 , and the substrate unit 120 is fixed to the inner surface thereof.

이때, 커버부(130)는 고정부(115)에 결합된다. 따라서, 버클부(110)가 고정부(115)에 대하여 상대 이동을 하더라도 고정부(115), 고정부(115)에 결합되는 커버부(130), 커버부(130) 내측에 고정되는 기판부(120)의 위치는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버클부(110)에 결합된 스트랩(200)의 장력으로 버클부(110)가 이동을 하면 고정된 기판부(120)의 홀(122) 내부에 위치하는 삽입 모듈(112)의 위치가 바뀌어 정전 용량이 바뀔 수 있다. At this time, the cover part 130 is coupled to the fixing part 115 . Therefore, even when the buckle part 110 moves relative to the fixing part 115 , the fixing part 115 , the cover part 130 coupled to the fixing part 115 , and the substrate part fixed inside the cover part 130 . The position of 120 may be fixed. Therefore, when the buckle part 110 moves due to the tension of the strap 200 coupled to the buckle part 110, the position of the insertion module 112 located inside the hole 122 of the fixed substrate part 120 is can change the capacitance.

이하, 도 9 내지 도 10을 참조로 전술한 버클 타입 힘 센서의 제 2 변형례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도 전술한 실시예와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second modified example of the above-described buckle-type force senso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9 to 10 .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differences from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will be mainly described.

도 9는 도 2 내지 도 4의 실시예의 제 2 변형례이고, 도 10은 도 9의 평면도이다. 9 is a second modified example of the embodiment of FIGS. 2 to 4 , and FIG. 10 is a plan view of FIG. 9 .

본 실시예에서는 도 2 내지 도 4를 참조로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기판부(120)는 고정부(115)에 고정된다. 하지만, 전술한 실시예에서 삽입 모듈(112)은 버클부(110)의 외측면에 형성되지만, 본 실시예에서 삽입 모듈(132)은 커버부(130)의 내측면에서 버클부(110) 또는 고정부(115)를 향하여 돌출 형성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ubstrate part 120 is fixed to the fixing part 115 as in the embodiment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2 to 4 . However,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insertion module 112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uckle part 110 , but in this embodiment, the insertion module 132 is the buckle part 110 or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part 130 . It is formed to protrude toward the fixing part 115 .

이때, 커버부(130)는 버클부(110)에 결합된다. 따라서, 버클부(110)가 고정부(115)에 대하여 상대 이동을 하게 되면, 버클부(110)에 결합된 커버부(130) 및 커버부(130) 내측에 돌출 형성되는 삽입 모듈(132)이 버클부(110)와 함께 이동을 하게 된다. 따라서, 버클부(110)에 결합된 스트랩(200)의 장력으로 버클부(110)가 이동을 하면 고정부(115)에 위치가 고정된 기판부(120)의 홀(122) 내부에 위치하는 삽입 모듈(132)의 위치가 바뀌어 정전 용량이 바뀔 수 있다. At this time, the cover part 130 is coupled to the buckle part 110 . Accordingly, when the buckle part 110 moves relative to the fixing part 115 , the cover part 130 coupled to the buckle part 110 and the insert module 132 protruding inside the cover part 130 are formed. It moves together with this buckle part (110). Therefore, when the buckle part 110 moves due to the tension of the strap 200 coupled to the buckle part 110, the position inside the hole 122 of the substrate part 120 is fixed to the fixing part 115. The position of the insertion module 132 may be changed to change the capacitance.

이하, 도 11 내지 도 12를 참조로 전술한 버클 타입 힘 센서의 제 3 변형례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도 전술한 실시예와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third modified example of the above-described buckle-type force senso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1 to 12 .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differences from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will be mainly described.

도 11은 도 2 내지 도 4의 실시예의 제 3 변형례이고, 도 12는 도 11의 평면도이다. 11 is a third modified example of the embodiment of FIGS. 2 to 4 , and FIG. 12 is a plan view of FIG. 11 .

본 실시예에서는 도 2 내지 도 4를 참조로 전술한 실시예에서 달리 기판부(120)는 버클부(110)에 고정된다. 따라서, 버클부(110)가 외력에 의해 이동을 하게 되면 기판부(120)가 함께 이동을 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삽입 모듈(112)이 고정부(115)의 외측면에 형성된다. 따라서, 삽입 모듈(112)의 위치는 고정된 상태에서 버클부(110)에 결합된 스트랩(200)의 장력으로 버클부(110)가 이동을 하면 버클부(110)에 고정된 기판부(120)의 홀(122) 위치가 삽입 모듈(112)을 중심으로 바뀌어 정전 용량이 바뀔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unlike in the embodiment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2 to 4 , the substrate part 120 is fixed to the buckle part 110 . Accordingly, when the buckle part 110 is moved by an external force, the substrate part 120 moves together. 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insertion module 112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xing portion (115). Accordingly, when the buckle part 110 moves with the tension of the strap 200 coupled to the buckle part 110 in a fixed state, the position of the insertion module 112 is fixed to the substrate part 120 fixed to the buckle part 110 . ), the position of the hole 122 may be changed around the insertion module 112 to change the capacitance.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모두 기판부(120)의 위치가 고정되고 삽입 모듈(112, 132)의 위치가 바뀌어 정전 용량이 바뀌는데 반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삽입 모듈(132)의 위치는 고정되는 반면에 기판부(120)의 홀(122)의 위치가 바뀌어 홀(122)과 삽입 모듈(132) 사이의 거리 변화에 따른 정전 용량이 바뀌게 된다.In all of the above embodiments, the position of the substrate part 120 is fixed and the positions of the insertion modules 112 and 132 are changed to change the capacitance, whereas in this embodiment, the position of the insertion module 132 is fixed while the position of the substrate The position of the hole 122 of the part 120 is changed so that the capacitance is changed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distance between the hole 122 and the insertion module 132 .

본 실시예에서 커버부(130)는 고정부(115) 또는 버클부(110) 중 어느 하나에만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embodiment, the cover unit 130 is preferably fixed to only one of the fixing unit 115 and the buckle unit 110 .

이하, 도 13 내지 도 14를 참조로 전술한 버클 타입 힘 센서의 제 4 변형례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도 전술한 실시예와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fourth modified example of the above-described buckle-type force senso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3 to 14 .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differences from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will be mainly described.

도 13은 도 2 내지 도 4의 실시예의 제 4 변형례이고, 도 14는 도 13의 평면도이다. 13 is a fourth modified example of the embodiment of FIGS. 2 to 4 , and FIG. 14 is a plan view of FIG. 13 .

본 실시예에서도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기판부(120)는 버클부(110)에 고정된다. 나아가, 본 실시예에서는 제 2 변형례와 마찬가지로 커버부(130) 내측면에 삽입 모듈(132)이 버클부(110) 또는 고정부(115)를 향하여 돌출 형성된다. In this embodiment, as in the previous embodiment, the substrate part 120 is fixed to the buckle part 110 . Furthermore, in this embodiment, as in the second modification, the insertion module 132 is formed to protrude toward the buckle part 110 or the fixing part 115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part 130 .

이때, 커버부(130)는 고정부(115)에 결합된다. 따라서, 버클부(110)가 고정부(115)에 대하여 상대 이동을 하게 되더라도, 고정부(115)에 결합된 커버부(130) 및 커버부(130) 내측에 돌출 형성되는 삽입 모듈(132)의 위치는 고정된다. 따라서, 버클부(110)에 결합된 스트랩(200)의 장력으로 버클부(110)가 이동을 하면 버클부(110)에 고정된 기판부(120)의 홀(122) 위치가 삽입 모듈(132)을 중심으로 바뀌어 정전 용량이 바뀔 수 있다. At this time, the cover part 130 is coupled to the fixing part 115 . Therefore, even when the buckle part 110 is relatively moved with respect to the fixing part 115 , the cover part 130 coupled to the fixing part 115 and the insertion module 132 protruding inside the cover part 130 are formed. position is fixed. Accordingly, when the buckle part 110 moves due to the tension of the strap 200 coupled to the buckle part 110 , the position of the hole 122 of the substrate part 120 fixed to the buckle part 110 is changed to the insertion module 132 . ), and the capacitance can change.

본 실시예에서도 삽입 모듈(132)의 위치는 고정되는 반면에 기판부(120)의 홀(122)의 위치가 바뀌어 홀(122)과 삽입 모듈(132) 사이의 거리 변화에 따른 정전 용량이 바뀌게 된다.In this embodiment, while the position of the insertion module 132 is fixed, the position of the hole 122 of the substrate unit 120 is changed so that the capacitance is changed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distance between the hole 122 and the insertion module 132 . do.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it is considered to b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extent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anyon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invention pertains.

100: 버클
110: 버클부
1101: 전방 프레임
1102: 후방 프레임
1103: 관통홀
1104: 관통홀
1105: 관통홀
1106: 제 1 브릿지
1107: 제 2 브릿지
1109: 측면 프레임
112: 삽입 모듈
115: 고정부
120: 기판부
125: 전극
122: 홀
130: 커버부
132: 삽입 모듈
200: 스트랩
210: 스트랩
100: buckle
110: buckle part
1101: front frame
1102: rear frame
1103: through hole
1104: through hole
1105: through hole
1106: first bridge
1107: second bridge
1109: side frame
112: insert module
115: fixed part
120: substrate unit
125: electrode
122: Hall
130: cover part
132: insert module
200: strap
210: strap

Claims (11)

스트랩이 고정되며 고정부로부터 상기 스트랩의 장력에 의해 탄성 이동이 가능하며 탄성 이동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삽입 모듈을 포함하는 버클부;
평판 형태의 기판으로 위치가 고정되고, 상기 삽입 모듈이 이격 삽입될 수 있는 홀이 형성되며, 상기 홀의 내측면에 전극이 형성되어 상기 삽입 모듈과 정전 용량을 형성하는 기판부; 및
위치가 고정된 상기 홀에 대하여 상기 버클부의 탄성 이동에 따라 상기 삽입 모듈이 이동할 때 정전 용량의 변화를 이용하여 상기 버클부에 작용하는 힘을 측정하는 힘 측정부를 포함하는 버클 타입 힘 센서.
a buckle part including an insertion module to which the strap is fixed and elastically movable by the tension of the strap from the fixing part and protrud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elastic movement direction;
a substrate part having a fixed position with a flat substrate, a hole into which the insertion module can be inserted and spaced apart, and an electrode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hole to form a capacitance with the insertion module; and
and a force measuring part measuring a force acting on the buckle part using a change in capacitance when the insertion module moves according to the elastic movement of the buckle part with respect to the hole at which the position is fix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모듈은 원기둥 형태이고, 상기 홀은 원형의 홀인 버클 타입 힘 센서.
The method of claim 1,
The insertion module has a cylindrical shape, and the hole is a circular hole in a buckle type force senso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와 상기 버클부는 일체로 형성되고, 사이에 플렉셔 구조(flexure structure)가 형성되어 상기 버클부는 탄성 이동을 하는 버클 타입 힘 센서.
The method of claim 1,
A buckle-type force sensor in which the fixing part and the buckle part are integrally formed, and a flexure structure is formed therebetween so that the buckle part elastically mov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부는 상기 고정부에 고정되는 버클 타입 힘 센서.
The method of claim 1,
The substrate portion is a buckle-type force sensor fixed to the fixing portion.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버클부에 고정되거나 상기 고정부에 고정되어 상기 삽입 모듈과 상기 기판부를 내부에 수용하는 커버부를 더 포함하는 버클 타입 힘 센서.
5. The method of claim 4,
The buckle type force sensor further comprising a cover part fixed to the buckle part or fixed to the fixing part to accommodate the insertion module and the substrate part therei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에 고정되어 상기 삽입 모듈을 내부에 수용하거나 상기 삽입 모듈 상부에 배치되며, 내측면에 상기 기판부가 고정되는 커버부를 더 포함하는 버클 타입 힘 센서.
The method of claim 1,
The buckle type force sensor further comprising a cover part fixed to the fixing part to accommodate the insertion module therein or disposed on the insertion module, the substrate part being fixed to the inner surfa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모듈 및 상기 기판부는 상기 버클부의 양측에 형성되어, 양측에서 힘을 측정하는 버클 타입 힘 센서.
The method of claim 1,
The insertion module and the substrate portion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uckle portion, a buckle-type force sensor for measuring the force from both sides.
스트랩이 고정되며 고정부로부터 상기 스트랩의 장력에 의해 탄성 이동이 가능한 버클부;
상기 버클부에 고정되고 내측면에 상기 버클부가 탄성 이동하는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버클부 또는 상기 고정부를 향하여 돌출된 삽입 모듈이 형성되는 커버부;
평판 형태의 기판으로 상기 고정부에 고정되고, 상기 삽입 모듈이 이격 삽입될 수 있는 홀이 형성되며, 상기 홀의 내측면에 전극이 형성되어 상기 삽입 모듈과 정전 용량을 형성하는 기판부; 및
위치가 고정된 상기 홀에 대하여 상기 버클부의 탄성 이동에 따라 상기 삽입 모듈이 이동할 때 정전 용량의 변화를 이용하여 상기 버클부에 작용하는 힘을 측정하는 힘 측정부를 포함하는 버클 타입 힘 센서.
a buckle part to which the strap is fixed and elastically movable by the tension of the strap from the fixing part;
a cover part fixed to the buckle part and having an insertion module protruding toward the buckle part or the fixing part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a direction in which the buckle part elastically moves on an inner surface thereof;
a substrate part fixed to the fixing part as a plate-shaped substrate, a hole into which the insertion module can be inserted is formed, and an electrode is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hole to form a capacitance with the insertion module; and
and a force measuring part measuring a force acting on the buckle part using a change in capacitance when the insertion module moves according to the elastic movement of the buckle part with respect to the hole at which the position is fixed.
스트랩이 고정되며 고정부로부터 상기 스트랩의 장력에 의해 탄성 이동이 가능한 버클부;
상기 버클부의 탄성 이동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위치가 고정되는 삽입 모듈;
평판 형태의 기판으로 상기 버클부에 고정되고, 상기 삽입 모듈이 이격 삽입될 수 있는 홀이 형성되며, 상기 홀의 내측면에 전극이 형성되어 상기 삽입 모듈과 정전 용량을 형성하는 기판부; 및
위치가 고정된 상기 삽입 모듈에 대하여 상기 버클부의 탄성 이동에 따라 상기 홀이 이동할 때 정전 용량의 변화를 이용하여 상기 버클부에 작용하는 힘을 측정하는 힘 측정부를 포함하는 버클 타입 힘 센서.
a buckle part to which the strap is fixed and elastically movable by the tension of the strap from the fixing part;
an insertion module protruding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elastic movement direction of the buckle part and having a fixed position;
a substrate part fixed to the buckle part in a flat plate shape, a hole into which the insertion module can be inserted is formed, and an electrode is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hole to form a capacitance with the insertion module; and
and a force measuring part measuring a force acting on the buckle part using a change in capacitance when the hole moves according to the elastic movement of the buckle part with respect to the insertion module having a fixed position.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모듈은 상기 고정부에 형성되는 버클 타입 힘 센서.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insertion module is a buckle-type force sensor formed in the fixing portion.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에 고정되고 내측면에 상기 삽입 모듈이 형성되는 커버부를 더 포함하는 버클 타입 힘 센서.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buckle-type force sensor further comprising a cover part fixed to the fixing part and having the insertion module formed on an inner surface thereof.
KR1020210051663A 2021-04-21 2021-04-21 Buckle type force sensor KR10246422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1663A KR102464229B1 (en) 2021-04-21 2021-04-21 Buckle type force sens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1663A KR102464229B1 (en) 2021-04-21 2021-04-21 Buckle type force sens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5449A KR20220145449A (en) 2022-10-31
KR102464229B1 true KR102464229B1 (en) 2022-11-10

Family

ID=83803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1663A KR102464229B1 (en) 2021-04-21 2021-04-21 Buckle type force sens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4229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06899A1 (en) * 2008-03-12 2011-01-13 Tore Eide Sensor unit and method for monitoring the state of fastener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86919B2 (en) 2017-10-06 2021-12-22 Joyson Safety Systems Japan株式会社 buckle
KR102212131B1 (en) * 2019-06-14 2021-02-05 한국기계연구원 Force sensor and multiaxial force/torque sensor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06899A1 (en) * 2008-03-12 2011-01-13 Tore Eide Sensor unit and method for monitoring the state of fasten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5449A (en) 2022-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59644B2 (en) Compliant sensors for force sensing
EP2581037B1 (en) Biological information detection device
KR101836413B1 (en) Tendon device of suit type exoskeleton for human power assistance
US7167737B2 (en) Heart rate monitoring unit
US8771204B2 (en) Acoustic sensor assembly
CN107536607B (en) Wearable device and compensation method for heart rate readings thereof
JP2001190526A (en) Posture detecting device and respiratory function measuring device
WO2009062189A1 (en) Conformable physiological sensor
WO2009074928A1 (en) Measurement apparatus and method
KR200483102Y1 (en) Wrist watch type band for automobile driver
JP5506157B2 (en) Body motion detection device
KR102464229B1 (en) Buckle type force sensor
WO2017179427A1 (en) Pulse wave detection device, biological information measuring device, wearing auxiliary member of pulse wave detection device
JP6297407B2 (en) Angle sensor device
CN107530008B (en) Sensor unit
JP2009279211A (en) Body motion sensor
CN109669031B (en) Detection device
KR102092864B1 (en) A seonsor module and a motion assist apparatus comprising thereof
KR101675577B1 (en) sensor module for sensing stiffness of muscle
EP3510926B1 (en) Body movement detection sensor
US11497444B2 (en) Biological information measurement device
KR102353978B1 (en) Hand rehabilitation training apparatus
KR102209879B1 (en) A pressure sensor, pressure measuring device and technical clothes including the same
JP2016150179A (en) Motion measuring device
IT201600125471A1 (en) Glasses with bio-senso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