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3102Y1 - Wrist watch type band for automobile driver - Google Patents

Wrist watch type band for automobile driv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3102Y1
KR200483102Y1 KR2020170000715U KR20170000715U KR200483102Y1 KR 200483102 Y1 KR200483102 Y1 KR 200483102Y1 KR 2020170000715 U KR2020170000715 U KR 2020170000715U KR 20170000715 U KR20170000715 U KR 20170000715U KR 200483102 Y1 KR200483102 Y1 KR 2004831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driver
wrist
corner portion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0715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명국
김윤배
전인호
Original Assignee
유정시스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정시스템(주) filed Critical 유정시스템(주)
Priority to KR20201700007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3102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31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3102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 A61B5/053Measuring electrical impedance or conductance of a portion of the body
    • A61B5/0531Measuring skin impeda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1Measuring temperature of body parts ; Diagnostic temperature sensing, e.g. for malignant or inflamed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61B5/02416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using photoplethysmograph signals, e.g. generated by infrared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3Means for maintaining contact with the body
    • A61B5/6831Straps, bands or harness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00Details of thermomet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thermometer
    • G01K1/20Compensating for effects of temperature changes other than those to be measured, e.g. changes in ambient temperat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rmat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Measur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 운전자의 손목에 착용되는 센서 모듈을 통해 운전자의 운전 중 생체 상태를 실시간 모니터링하여 졸음 등에 의한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차량 운전자용 손목 밴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차량 운전자용 손목시계형 밴드는 제어부처리부가 내장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는 밴드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몸체부를 운전자의 손목에 착용할 수 있도록 기능하는 손목밴드부와; 제1 전극과 제2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에 구비되는 GSR 센서; 및 상기 몸체부 하면의 중심부에 상기 하면에 대해 단차지게 돌출 형성된 융기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은 상호 간격을 두고 대향하며 상기 융기부 상에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게 구비되고, 상기 융기부 상에 노출되는 부위 중 상기 제1 전극의 내측 모서리부(이하, '제1 모서리부')와 상기 제2 전극의 내측 모서리부(이하, '제2 모서리부')는 각각 곡선형 구조로 이루어진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rist band for a driver who can prevent a safety accident due to drowsiness and the like by monitoring the living body state in real time during operation of the driver through a sensor module worn on the driver's wri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wristwatch band for a vehicle driver includes a body portion having a control unit processing unit incorporated therein; A wrist band portion formed in a band shape coupled to the body portion and functioning to wear the body portion on the driver's wrist; A GSR sensor including a first electrode and a second electrode and provided on the body portion; And a raised portion protruding from the center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so as to protrude from the lower surface.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are opposed to each other with a gap therebetween and are at least partially exposed on the protruding portion, and the inner edge of the first electrode (hereinafter referred to as " , 'First corner portion') and the inner edge portion of the second electrode (hereinafter, 'second corner portion') have a curved structure.

Description

차량 운전자용 손목시계형 밴드{WRIST WATCH TYPE BAND FOR AUTOMOBILE DRIVER}[0001] WRIST WATCH TYPE BAND FOR AUTOMOBILE DRIVER [0002]

본 고안은 차량 운전자의 손목에 착용되는 센서 모듈을 통해 운전자의 운전 중 생체 상태를 실시간 모니터링하여 졸음 등에 의한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차량 운전자용 손목 밴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rist band for a driver who can prevent a safety accident due to drowsiness and the like by monitoring the living body state in real time during operation of the driver through a sensor module worn on the driver's wrist.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많은 기본적인 안전 문제들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러한 안전 문제들은 운전자의 실수와 브레이크 고장과 같은 자동차 결함을 포함할 수 있다. 예측 가능한 안전 문제들에 따른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자동차에는 안전 벨트와 에어백 등과 같이 안전 장치들이 장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장치들이 근본적으로 안전 문제를 해결할 수는 없으며, 자동차 사고들 중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운전자의 실수(예를 들어 졸음운전 등)를 방지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된다.In general, automobiles contain many basic safety problems, which can include automotive faults such as operator errors and brake failures. In order to minimize the damage caused by predictable safety problems, automobiles are equipped with safety devices such as seat belts and airbags. However, these devices can not fundamentally solve safety problems, and there is a need for a way to prevent operator errors (such as drowsiness) that account for a large portion of car accidents.

이러한 필요성에 기인하여, 최근 운전자 상태 모니터링 장치에 대한 논의 및 개발이 진행 중이고, 특히 졸음 여부의 정확한 판단 및 경고 처리 등에 대한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개발되는 운전자 상태 모니터링 장치는 예컨대 한국등록특허 제100291378호(선행특허 1)과 같이 차량 내부의 센서(예를 들어, 카메라 등)를 이용하여 운전자의 졸음 상태만을 감시하고, 이를 근거로 주행 위험 요소를 파악하는 방식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졸음 상태 감시만으로는 운전자 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 제반 생체 상태에 대한 종합적 판단이 어렵기 때문에 보다 정확하게 운전자 상태를 감시하여 경고 처리와 차량 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Due to this necessity, discussions and developments of a driver condition monitoring apparatus have been under way in recent years, and development has been actively conducted for accurate determination of drowsiness and warning processing. Generally developed driver condition monitoring apparatus monitors only the driver's drowsiness state using a sensor (for example, a camera or the like) inside the vehicle as in Korean Patent No. 100291378 (Prior Patent 1) The way to identify risk factors is common. However, since it is difficult to make a comprehensive judgment on all living body conditions that can cause driver accidents by only monitoring the drowsiness state, it is necessary to monitor the driver condition more precisely and perform warning processing and vehicle control.

상기와 같이, 운전자 관련 제반 생체 상태를 종합 판단하기 위해서는, 운전에 방해를 주지 않으면서 해당 운전자의 맥박, 체온, 긴장/이완 상태, 주변 온도 등 다양한 정보를 측정해야 하므로 운전자의 손바닥과 직접 접촉하는 차량 핸들 등에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좋으나, 이러한 방식은 차량의 일부 구성을 새롭게 개발하거나 개조하여야 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이러한 이유로 운전자 상태를 종합적으로 모니터링 하기 위한 장치는 손목 밴드형으로 구현하는 것이 가장 좋다.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comprehensively judge all the driver-related living body conditions, various information such as the pulse, the body temperature, the tension / relaxation state, and the ambient temperature of the driver must be measured without disturbing the driver. A vehicle handle or the like. However, this method is not preferable because a part of the vehicle must be newly developed or modified. For this reason, it is best to implement a wrist band type device for monitoring the driver status comprehensively.

한국공개특허 제2008-0013129호(선행특허 2)에는 도 1과 같은 손목시계형 건강관리밴드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선행특허 1 등의 종래 기술을 적용한 손목시계형 건강관리밴드는 다양한 회로소자를 사용하고 있으며, 이를 실장하기 위해 손목밴드부 영역에도 회로소자를 실장하여야 하므로 손목밴드부와 몸체부를 전기적으로 안정되게 연결하는 구성을 구비하여야 하므로 단선 불량이 발생할 소지가 있으며, 구성이 복잡해지고, 부피가 커서 사용자가 손목에 차고 휴대하기에는 불편한 점이 있었다.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08-0013129 (prior patent 2) discloses a wristwatch-type health care band as shown in Fig. However, since the wristwatch-type health care band to which the prior art such as the prior patent 1 is applied uses various circuit elements and the circuit element must be mounted on the wrist band portion region for mounting the wrist band type health care band, the wrist band portion and the body portion are electrically and stably connected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short-circuit failure may occur, the configuration is complicated, and the bulky portion is inconvenient for a user to wear on the wrist and carry.

한편, 운전자의 긴장/이완 상태 등을 모니터링하기 위하여 손목시계형 밴드에 GSR 센서를 탑재할 경우, 광 신호를 이용하는 PPG 센서와 달리 GSR 센서의 경우 피부에 직접 접촉하여 피부 전기전도도를 측정하는 방식인 바, GSR 센서의 검출 전극은 운전자 피부 즉 손목에 항시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On the other hand, when GSR sensor is mounted on a wristwatch band to monitor the driver's tension / relaxation state, GSR sensor, in contrast to PPG sensor using optical signal, The detection electrodes of the bar and GSR sensor must be able to maintain contact with the driver's skin, ie the wrist, at all times.

그런데, 운전자의 손목에 손목시계형 밴드를 착용하게 되면, 차량 핸들 조작 및 차량 진동 등에 의해 손목시계형 밴드가 반복적으로 흔들리거나 떨리는 현상이 유발되고, 이로 인해 GSR 센서의 검출 전극이 운전자 피부에 닿지 못하고 있는 상태가 빈번히 발생될 수 있다. 상기 경우, GSR 센서에 의한 생체 정보를 검출이 불가하게 되어 운전자 상태 모니터링 기능이 제대로 구현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야기된다.However, if the wristband is worn on the driver's wrist, the wristwatch-type band repeatedly shakes or vibrates due to manipulation of the steering wheel, vehicle vibration, or the like, thereby causing the detection electrode of the GSR sensor to touch the driver's skin A state that can not be performed frequently may occur. In this case, it is impossible to detect the biometric information by the GSR sensor, thereby failing to properly implement the driver condition monitoring function.

한편, 통상의 GSR 센서는 교감신경에 의한 한선 반응으로 한선의 밀도가 높은 손가락이나 손바닥을 측정 대상으로 하여 이에 직류를 흘려 저항을 측정하는 방식으로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GSR 센서를 손목 밴드형으로 제작하게 되면 그 착용 위치상 손목을 측정 대상으로 동작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a normal GSR sensor is usually used as a method of measuring resistance by flowing a direct current through a finger or palm having a high density of a line due to a linear response caused by a sympathetic nerve, but the GSR sensor is used as a wrist band type The wrist is operated as an object to be measured by the wear position.

그런데, 손목의 경우 손가락이나 손바닥 대비 한선의 밀도가 상대적으로 낮아 종래와 같이 단순히 직류를 사용할 경우 피부 전기전도도를 정확히 측정하기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야기된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wrist, the density of a line relative to a finger or a palm is relatively low, which makes it difficult to accurately measure the skin electrical conductivity when a direct current is used as in the conventional case.

선행특허 1. 한국등록특허 제100291378호 (등록일: 2001.03.12)Previous Patent 1. Korean Patent No. 100291378 (Registered on Mar. 3, 2001) 선행특허 2. 한국공개특허 제2008-0013129호 (공개일: 2008.02.13)Prior Patent 2.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08-0013129 (Published on February 23, 2008)

본 고안의 목적은 운전자의 다양한 생체 정보를 모니터링하여 이완, 졸음 등에 의해 유발될 수 있는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차량 운전자용 손목시계형 밴드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ristwatch band for a driver who can observe a variety of biometric information of a driver to prevent safety accidents caused by relaxation and drowsiness.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GSR 센서를 특히 손목시계형 밴드에 적용할 경우 야기되는 제반 문제점을 모두 해결할 수 있어, 항시 피부 전기전도도를 정확히 측정할 수 있는 차량 운전자용 손목시계형 밴드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ristwatch band for a vehicle operator who can accurately measure the skin electrical conductivity at all times by solving all the problems caused by applying the GSR sensor to a wristwatch type band .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센서 및 회로소자를 몸체부에만 실장할 수 있는 구조를 구현함으로써, 부피가 작고 누구나 쉽게 휴대할 수 있는 차량 운전자용 손목시계형 밴드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ristwatch band for a vehicle driver that is small in volume and can be easily carried by anyone, by implementing a structure in which a sensor and a circuit element can be mounted only on a body por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차량 운전자용 손목시계형 밴드는 제어부처리부가 내장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는 밴드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몸체부를 운전자의 손목에 착용할 수 있도록 기능하는 손목밴드부와; 제1 전극과 제2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에 구비되는 GSR 센서; 및 상기 몸체부 하면의 중심부에 상기 하면에 대해 단차지게 돌출 형성된 융기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wristwatch band for a vehicle driver comprising: a body portion having a control unit processing unit; A wrist band portion formed in a band shape coupled to the body portion and functioning to wear the body portion on the driver's wrist; A GSR sensor including a first electrode and a second electrode and provided on the body portion; And a raised portion protruding from the center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so as to protrude from the lower surface.

그리고,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은 상호 간격을 두고 대향하며 상기 융기부 상에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게 구비되고, 상기 융기부 상에 노출되는 부위 중 상기 제1 전극의 내측 모서리부(이하, '제1 모서리부')와 상기 제2 전극의 내측 모서리부(이하, '제2 모서리부')는 각각 곡선형 구조로 이루어진다.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are opposed to each other with a gap therebetween and are at least partially exposed on the protruding portion, and the inner edge of the first electrode (hereinafter referred to as " , 'First corner portion') and the inner edge portion of the second electrode (hereinafter, 'second corner portion') have a curved structure.

그리고,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은 상기 제1 모서리부와 상기 제2 모서리부 간의 다양한 이격거리 중, 상기 제1 모서리부의 중심부(이하, '제1 중심부')와 상기 제2 모서리부의 중심부(이하, '제2 중심부') 간의 이격거리가 가장 큰 이격거리를 갖도록 형성된다.In addition,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may be formed to have the same shape as the center por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first center portion") of the first corner portion and the second corner portion And a center distan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econd center distance") is formed to have the greatest distance.

그리고,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은 상기 제1 중심부와 상기 제2 중심부를 연결한 가상의 선(이하, '가상선')이 상기 손목밴드부의 장축 길이방향에 평행하도록 배열된다.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are arranged such that imaginary lines connecting the first center portion and the second center portion (hereinafter, "virtual line") are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wrist band portion.

본 고안에 따른 차량 운전자용 손목시계형 밴드에 의하면, 운전자의 졸음 상태뿐만 아니라 다양한 생체 정보를 종합적으로 감시 및 고려하여 운전자 상태 감시가 가능하고, 이에 따라 안전사고 방지의 극대화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wristwatch band for vehicle dri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onitor driver's condition by monitoring and considering not only the driver's drowsy state but also various bio-information collectively, thereby maximizing the prevention of safety accidents.

본 고안에 따른 차량 운전자용 손목시계형 밴드에 의하면, GSR 센서를 특히 손목시계형 밴드에 적용할 경우 야기되는 제반 문제점을 모두 해결할 수 있어, 다양한 운전 환경, 운전 습관 내지 방식에 상관없이 항시 정확한 생체 신호를 측정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장치 신뢰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olve all the problems caused by applying the GSR sensor to a wristwatch-type band, The signal can be measured, and the reliability of the device can be further improved.

본 고안에 따른 차량 운전자용 손목시계형 밴드에 의하면, 외관상으로는 손목시계와 유사하므로 차량을 운전 중인 운전자가 편하게 착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wristwatch band for vehicle dri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wristwatch is apparently similar to a wristwatch,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driver who is driving the vehicle can easily wear it.

도 1은 종래 손목시계형 건강관리밴드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 운전자용 손목시계형 밴드의 회로 블럭도.
도 3은 본 고안을 구성하는 메인 PCB와 센서 PCB 등을 포함한 회로 구성을 보여주는 실물 사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 운전자용 손목시계형 밴드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평면도.
도 6은 도 4의 측면도.
도 7은 도 4의 배면도.
도 8은 본 고안에서 제시하는 제1 및 제2 전극의 배열구조와 다른 타 배열구조를 예시한 도면.
도 9는 본 고안에서 제시하는 제1 및 제2 전극의 배열구조와 또 다른 타 배열구조를 예시한 도면.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ure 1 is a view of a conventional wrist watch type health care band.
2 is a circuit block diagram of a wristwatch band for a vehicle op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hotograph showing a circuit configuration including a main PCB and a sensor PCB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wristwatch band for a dri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lan view of Fig. 4; Fig.
Figure 6 is a side view of Figure 4;
Fig. 7 is a rear view of Fig. 4; 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arrangement structure different from the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illustrating an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and another array structure shown in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in this specification is used only to describe a specific embodiment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and the like refer to the presence of stated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또한, 본 명세서에서, "~ 상에 또는 ~ 상부에" 라 함은 대상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 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상에 또는 상부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상에 또는 상부에" 접촉하여 있거나 간격을 두고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Also,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term " above or above "means to be located above or below the object portion, and does not necessarily mean that the object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with respect to the gravitational direction. It will also be understood that when a section of an area, plate, or the like is referred to as being "above or above another section ", this applies not only to the case where the other section is " And the like.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Also, in this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the elem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unless an opposite description is present, it may be connected or connected via another element in the middle.

또한,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Also,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 장점 및 특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고안에 따른 차량 운전자용 손목시계형 밴드는 몸체부(300)와 손목밴드부(400)로 구성되고, 몸체부(300)에 복수 개 센서부, 디스플레이부, 통신부 및 MCU 또는 ECU 등의 제어처리부를 설치하되, 물리적으로 분리된 두 개의 인쇄회로기판을 이용하여 구성함으로써, 필요로 하는 모든 회로소자가 컴팩트하게 구현되도록 구성하였고, 손목밴드부(400)에는 별도의 장치가 구비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손목시계형 밴드는 인쇄회로기판에 회로소자를 모두 실장하고, 손목밴드부(400)에는 회로소자를 실장하지 않는 구조를 사용하므로 제조자 입장에서는 제조 및 사후 서비스(AS) 제공이 용이하고, 소비자 입장에서는 손목 시계와 같은 형태를 지니므로 거부감 없이 쉽게 착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wristwatch b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ody part 300 and a wrist band part 400. The body part 300 includes a plurality of sensor parts, a display part, a communication part, and a control processing part such as an MCU or an ECU The wrist band unit 400 is constructed by using two physically separated printed circuit boards so that all necessary circuit elements are realized compactly and the wrist band unit 400 is not provided with a separate device . Therefore, the wristwatch-type b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structure in which all the circuit elements are mount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the circuit element is not mounted on the wrist band portion 400, so that it is easy to provide manufacturing and post-service (AS) And it has the advantage that it can be easily worn without any sense of discomfort because it has the same shape as a wristwatch.

손목밴드부(400)는 몸체부(300) 양측면에 결합되는 시계줄 형태로 구성되고, 몸체부(300) 전면에는 OLED 디스플레이부(80)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몸체부(300) 하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가 구비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GSR 센서(230)의 전극(231,232)이 금도금 형태로 일부 영역을 차지하면서 일부가 노출되게 설치되고, 포토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PPG 센서(210)가 설치될 수 있다.The wrist band 400 may have a shape of a wristband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body 300 and an OLED display unit 80 may be installed on the body 300. Specifically, the electrodes 231 and 232 of the GSR sensor 230 may be partially exposed in a gold-plated form while being partially exposed, and may include a photodiode A PPG sensor 210 may be installed.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 운전자용 손목시계형 밴드의 전체 회로 블럭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손목시계형 밴드는 케이스 내부에 메인 인쇄회로기판(100, 이하, '메인 PCB'라 함)과 센서 인쇄회로기판(200, 이하, '센서 PCB'라 함)을 구비한다. 메인 PCB(100)는 상면에 OLED 디스플레이부(80)가 구비되며, 하면에는 밧데리 관리 모듈(30), 슬라이드 스위치(20), 9축 자이로/가속 센서(60), BLE 모듈(70), 제1온도센서(50) 및 돔 스위치(90)가 설치된다. 메인 PCB(100) 상면에 설치되는 OLED 디스플레이부(80)는 상면 케이스 외부에 노출되도록 설치되며, 메인 PCB(100) 하면에는 통신용 안테나 패턴(75)이 구비된다. 센서 PCB(200)에는 PPG 센서(210), 제2온도센서(220), 및 GSR센서(230)가 설치되며, PPG 센서(210), 제2온도센서(220), 및 GSR센서(230)는 전극부가 하부 케이스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메인 PCB(100)와 센서 PCB(200)는 FFC(150, Flexible Flat Cable)로 연결하였다. 밧데리(10)와 진동모터(95)는 연결잭을 통해 메인 PCB(100)와 센서 PCB(200) 사이에 설치되도록 구현하였다. 메인 PCB(100)에는 밧데리 충전 커넥터와 디버그 커넥터가 추가로 구비된다.2 is an overall circuit block diagram of a wristwatch band for a vehicle dri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ristwatch-type b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printed circuit board (hereinafter, referred to as 'main PCB') 100 and a sensor printed circuit board 200 (hereinafter, referred to as 'sensor PCB'). An OLED display unit 80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PCB 100 and a battery management module 30, a slide switch 20, a 9 axis gyro / acceleration sensor 60, a BLE module 70, 1 temperature sensor 50 and a dome switch 90 are installed. The OLED display unit 80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PCB 100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upper case and the communication antenna pattern 75 is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PCB 100. The PPG sensor 210, the second temperature sensor 220 and the GSR sensor 230 are installed on the sensor PCB 200 and the PPG sensor 210, the second temperature sensor 220, and the GSR sensor 230, The electrode unit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lower case. The main PCB 100 and the sensor PCB 200 are connected by an FFC 150 (Flexible Flat Cable). The battery 10 and the vibration motor 95 are installed between the main PCB 100 and the sensor PCB 200 through a connection jack. The main PCB 100 further includes a battery charging connector and a debug connector.

밧데리 관리 모듈(30)은 밧데리 충전부(31)와, DC/DC 변환부(35)로 구성되며, 밧데리 충전부(31)는 밧데리(10)의 충전을 제어하고, DC/DC 변환부(35)는 밧데리(10)의 출력 전압을 각 회로 구성에 적합한 DC 전압으로 변환하는 기능을 담당하다. 슬라이드 스위치(20)는 손목시계형 밴드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밧데리(10)를 차단하여 밧데리(10) 소모를 막기 위한 스위치이다. 제1온도센서(50)는 주위온도를 센싱하기 위한 센서이며, 9축 자이로/가속 센서(60)는 자이로 및 가속센서이다. 돔 스위치(90)는 운전자 인터페이스 기능을 제공하는 스위치로서, 운전자의 선택에 의해 손목시계형 밴드의 작동을 스위칭하는데 이용한다. BLE 모듈(70)은 Bluetooth Low Energy 모듈로서 블루투쓰 통신을 처리하는 회로소자이나, 본 고안에서는 블루투쓰 기능과 함께 제어기능도 처리하도록 프로그래밍하였다. 따라서 별도의 씨피유를 사용하지 않고 구현하였다. 진동모터(95)는 운전자에게 비교적 강력한 진동을 제공하여 경고를 보내기 위해 사용된다.The battery management module 30 includes a battery charging section 31 and a DC / DC conversion section 35. The battery charging section 31 controls charging of the battery 10, and the DC / Is a function of converting the output voltage of the battery 10 into a DC voltage suitable for each circuit configuration. The slide switch 20 is a switch for blocking the battery 10 when the wristwatch-type band is not used and preventing the battery 10 from being consumed.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50 is a sensor for sensing the ambient temperature, and the 9-axis gyro / acceleration sensor 60 is a gyro and acceleration sensor. The dome switch 90 is a switch that provides an operator interface function and is used to switch the operation of the wristwatch-type band at the driver's option. The BLE module 70 is a Bluetooth low energy module that processes Bluetooth communica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LE module 70 is programmed to process the Bluetooth function as well as the control function. Therefore, it is implemented without using a separate CPU. The vibration motor 95 is used to send a warning by providing a relatively strong vibration to the driver.

PPG센서(210)는 PPG( 광용적맥파(photo-plethysmography) ) 신호를 센싱하기 위한 센서이며, 발광 다이오드와 포토 다이오드로 구성된다. PPG는 심장박동에 따라 혈관 내의 혈액량의 변화를 빛의 흡수, 반사, 산란을 이용하여 측정하는 신호로서, 말초 혈관과 관련된 병증이 반영되며 의용계측 분야에서는 PPG 신호를 분석하여 안정상태의 맥박과 혈중 산소포화도를 측정하는데 이용되고 있다.The PPG sensor 210 is a sensor for sensing a PPG (photo-plethysmography) signal, and is composed of a light emitting diode and a photodiode. PPG is a signal that measures changes in blood volume in blood vessels using light absorption, reflection, and scattering depending on the heartbeat. The PPG signal is analyzed in the field of medical measurement, It is used to measure oxygen saturation.

제2온도센서(220)는 운전자의 피부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이다. GSR(Galvanic Skin Respones) 센서(230)는 피부의 전도율을 측정하여 GSR을 측정하는 센서이다. GSR(Galvanic Skin Respones) 센서(230)는 강한 감정을 느꼈을 때 교감 신경계를 자극하고, 땀샘에서 땀이 많이 분비되는데, 이러한 현상을 운전자 손등에 전극을 부착하여 측정하기 위한 센서이다.The second temperature sensor 220 is a sensor for measuring the skin temperature of the driver. The GSR (Galvanic Skin Responses) sensor 230 is a sensor for measuring GSR by measuring the skin conductivity. The Galvanic Skin Responses (GSR) sensor 230 stimulates the sympathetic nervous system when a strong emotion is felt, and a lot of sweat is secreted from the sweat glands. This is a sensor for measuring the phenomenon by attaching an electrode to the driver's hand.

본 고안의 손목시계형 밴드는 GSR 센서(230)를 통해 측정되는 GSR 신호 즉 피부 전기전도도 정보를 통해 해당 운전자의 스트레스, 긴장, 이완, 흥분 상태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The wristwatch-type ban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determine the stress, tension, relaxation, and excitement state of the corresponding driver through the GSR signal measured through the GSR sensor 230, that is, skin electrical conductivity information.

BLE 모듈(70)은 9축 자이로/가속 센서(60), 제1온도센서(50), PPG 센서(210), 제2온도센서(220), 및 GSR센서(230)로부터 센서값을 입력받은 후, 운전자 상태를 파악하고 운전자가 졸음이 오는 상태라고 판별될 경우에는 진동모터(95)를 통해 운전자에게 경고를 보내주게 된다. BLE 모듈(70)은 졸음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운전자의 신체 온도가 중요한 판별 요소 중 하나인데 해당 차량의 내부 온도에 따라 운전자 신체 온도가 변하므로 이를 보정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보정을 위해서 본 고안에서는 제1온도센서(50)와 제2온도센서(220)를 각각 구비하여 주변 온도와 운전자 피부 온도를 측정하도록 하였다.The BLE module 70 receives sensor values from the 9 axis gyro / acceleration sensor 60,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50, the PPG sensor 210, the second temperature sensor 220 and the GSR sensor 230 The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river is in a drowsy state, a warning is given to the driver through the vibration motor 95. The body temperature of the driver is one of the important determining factors for determining the drowsy state of the BLE module 70, and it is necessary to correct the body temperature of the driver according to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vehicle. For this correc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irst temperature sensor (50) and a second temperature sensor (220), respectively, to measure the ambient temperature and the driver's skin temperature.

도 3은 본 고안을 구성하는 메인 PCB와 센서 PCB 등을 포함한 회로 구성을 보여주는 실물 사진이다. 메인 PCB(100) 하면에는 다양한 회로소자가 부착되어 있음을 볼 수 있으며, FFC(150)를 통해 메인 PCB(100) 하면과 센서 PCB(200)의 상면이 커넥터에 의해 연결됨을 보여 준다. 또한, 밧데리(10)와 진동모터(95)는 별도의 커넥터를 통해 메인 PCB(100)와 연결되며, 결합시에는 메인 PCB(100) 하면과 센서 PCB(200)의 상면 사이에 개재되도록 설치된다.3 is a photograph showing a circuit configuration including a main PCB and a sensor PCB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seen that various circuit elements are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PCB 100 and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PCB 10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ensor PCB 20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FFC 150 by a connector. The battery 10 and the vibration motor 95 are connected to the main PCB 100 through separate connectors and are interposed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PCB 10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ensor PCB 200 .

메인 PCB(100) 상면에는 OLED 디스플레이부(80)가 구비될 수 있다. 센서 PCB(200) 하면에는 GSR 센서(230) 전극, PPG 센서(210) 및 제2온도센서(220)가 하부 케이스 외면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운전자의 손목 피부와 직접 접촉되도록 구성된다.An OLED display unit 80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PCB 100. The GSR sensor 230, the PPG sensor 210 and the second temperature sensor 220 are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ensor PCB 200 so as to be expos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case so as to be in direct contact with the wrist skin of the driver.

한편, 본 고안에서는 OLED 디스플레이부를 사용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LED 또는 액정디스플레이부와 같은 유사한 종류의 디스플레이부를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Meanwhile, although the OLED display unit i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eedless to say that a similar type of display unit such as an LED or a liquid crystal display unit can be used.

운전자 상태 모니터링 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전술한 바와 같이 다수의 센서가 탑재된 몸체부(300)와 이 몸체부(300)를 운전자 손목에 착용 가능하게 하는 손목밴드부(400)로 구성할 경우 특히 GSR 센서에 특화된 설계가 요구된다.In the case of constructing the driver condition monitoring apparatus, as described above, in the case of the body part 300 on which a plurality of sensors are mounted and the wrist band part 400 for allowing the body part 300 to be worn on the driver's wrist, A sensor-specific design is required.

이는, 광 신호를 이용하는 PPG 센서와 달리 GSR 센서의 경우 피부에 직접 접촉하여 피부 전기전도도를 측정하는 방식인 바, GSR 센서의 검출 전극은 운전자 피부 즉 손목에 항시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In contrast to the PPG sensor using an optical signal, the GSR sensor measures skin electrical conductivity by directly contacting the skin, and the detection electrode of the GSR sensor must be able to maintain a constant contact with the driver's skin, i.e., the wrist.

그런데, 운전자의 손목에 손목시계형 밴드를 착용하게 되면, 차량 핸들 조작 및 차량 진동 등에 의해 손목시계형 밴드가 반복적으로 흔들리거나 떨리는 현상이 유발되고, 이로 인해 GSR 센서의 검출 전극이 운전자 피부에 닿지 못하고 있는 상태가 빈번히 발생될 수 있다.However, if the wristband is worn on the driver's wrist, the wristwatch-type band repeatedly shakes or vibrates due to manipulation of the steering wheel, vehicle vibration, or the like, thereby causing the detection electrode of the GSR sensor to touch the driver's skin A state that can not be performed frequently may occur.

상기 경우, GSR 센서에 의한 생체 정보를 검출이 불가하게 되어 운전자 상태 모니터링 기능이 제대로 구현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GSR 센서를 특히 손목시계형 밴드에 적용할 경우에는 다양한 운전 환경에서도 정확한 생체 신호를 검출할 수 있어야 하며, 이는 GSR 센서의 제1 및 제2 전극(231,232)이 어떠한 운전 환경에서도 항시 착용자 손목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성능(이하, '피부접촉 유지성능'이라 칭함)에 의해 결정된다.In this case, it is impossible to detect the biometric information by the GSR sensor, so that the driver condition monitoring function can not be implemented properly. Therefore, when the GSR sensor is applied to a wristwatch-type band, it is necessary to be able to detect an accurate bio-signal even in various operating environments. This is because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231 and 232 of the GSR sensor are always in contact with the wearer's wrist (Hereinafter referred to as " skin contact holding performance ").

더 나아가, 통상의 GSR 센서는 교감신경에 의한 한선 반응으로 한선의 밀도가 높은 손가락이나 손바닥을 측정 대상으로 하여 이에 직류를 흘려 저항을 측정하는 방식으로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본 고안의 손목시계형 밴드는 그 착용 위치상 손목을 측정 대상으로 동작하게 된다.Furthermore, the conventional GSR sensor is generally used to measure resistance by flowing a direct current through a finger or a palm having a high density of a line due to a linear response caused by a sympathetic nerve. However, The band is operated to measure the wrist on the wear position.

그런데, 손목의 경우 손가락이나 손바닥 대비 한선의 밀도가 상대적으로 낮아 종래와 같이 단순히 직류를 사용할 경우 피부 전기전도도를 정확히 측정하기 어렵게 된다.However, in the case of a wrist, the density of a line relative to a finger or a palm is relatively low, so that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measure the skin electrical conductivity when a direct current is used as in the conventional case.

결국, GSR 센서를 손목시계형 밴드에 적용하려면, 항시 피부접촉 유지성능을 구현할 수 있고, 그 측정 대상을 손목으로 하더라도 피부 전기전도도를 정확히 측정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Ultimately, applying the GSR sensor to a wristwatch band requires a technique that can achieve skin contact maintenance at all times and accurately measure skin electrical conductivity even with the wrist.

본원 고안자는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GSR 센서 및 몸체부(300) 구조를 개발함에 이르렀다. 이하에서는 이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developed the following GSR sensor and body structur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Hereinafter,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 운전자용 손목시계형 밴드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4의 측면도이고, 도 7은 도 4의 배면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of a wristwatch band for a vehicle dri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lan view of Fig. 4, Fig. 6 is a side view of Fig. 4, and Fig. 7 is a rear view of Fig.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손목시계형 밴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몸체부(300)와 손목밴드부(400)로 구성되는데, 특히 몸체부(300)에는 융기부(31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4 to 7, the wristwatch-type b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part 300 and a wrist band part 400 as described above. In particular, the body part 300 has a protrusion 310 formed therein .

융기부(310)는 몸체부(300)의 하면의 수직 상부로 돌출 내지 융기된 형태로 구성되어, 그 측면은 몸체부(300) 하면에 대해 상향 단차를 형성하고, 상면은 평면으로 형성되어 이 평면 상에 GSR 센서의 제1 전극(231)과 제2 전극(232)이 외부로 노출되게 배치된다.The protruding portion 310 is protruded or protruded from a vertical upper portion of a low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300. The side surface forms an upward step with respect to a low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300, The first electrode 231 and the second electrode 232 of the GSR sensor are disposed on the plane so as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융기부(310)는 몸체부(300) 하면의 중심부에 형성되고, 그 모양은 원반형 내지 원형의 평면을 갖도록 구성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the protuberance 310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300, and the shape of the protuberance 310 is circular or circular.

이와 같이, 몸체부(300) 하면에 대해 돌출된 융기부(310) 상에 제1 및 제2 전극(231,232)을 설치하고, 이 융기부(310)를 몸체부(300) 하면의 중심부에 배치하게 되면, 운전자가 손목시계형 밴드를 손목에 착용시 피부 접촉 영역이 융기부 (310)에 집중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전극의 피부접촉 유지성능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231 and 232 are installed on the protruding protrusions 310 protruding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300 and the protrusions 310 are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300 The skin contact area can be concentrated on the ridge 310 when the wristband is worn on the wrist by the driver, and the skin contact maintenance performance of the electrode can be further improved.

그러나, 이와 같은 융기부(310)만으로는 전술한 문제를 해결함에 한계가 있다. 이러한 한계는 GSR 센서의 특징적인 설계를 융기부(310)에 더 조합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으며, 상기 특징적인 설계란 전극의 배치 구조, 배열 위치, 형상 및 전극 거리 설계 등을 포함한다.However, such a protrusion 310 alone has a limitation in solv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is limitation can be solved by further combining the characteristic design of the GSR sensor with the protrusion 310, and the characteristic design includes the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electrodes, the arrangement position, the shape, and the electrode distance design.

이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GSR 센서는 제1 전극(231)과 제2 전극(232)이 융기부(310) 상에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게 설치된다. 그리고 융기부(310) 상에 노출되는 제1 전극 부위와 제2 전극 부위는 상호 간격을 두고 대향하는 구조로 배치된다.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s follows. The GSR sensor is installed such that the first electrode 231 and the second electrode 232 are at least partially exposed on the protrusion 310. The first electrode portion and the second electrode portion, which are exposed on the protrusion portion 310, are arranged to face each other with a gap therebetween.

이하에서는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명세서 상에 기재되는 제1 전극(231)(또는 제2 전극(232))은 제1 전극(또는 제2 전극)의 융기부(310) 상에 노출되어 있는 부위를 지칭하는 것으로 한다.The first electrode 231 (or the second electrode 232)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is a portion exposed on the protrusion 310 of the first electrode (or the second electrode) . ≪ / RTI >

GSR 센서의 제1 전극(231)과 제2 전극(232)은 융기부(310) 상에 노출되는 부위 중 제1 전극(231)의 내측 모서리부(231a)(이하, '제1 모서리부')와 제2 전극 (232)의 내측 모서리부(232a)(이하, '제2 모서리부')는 각각 곡선형 구조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제1 전극(231)의 내측 모서리부(231a)란 제1 전극(231)의 상면(즉, 노출면)과 측면의 경계를 이루고 있는 선분 중 제2 전극(232)의 모서리부와 상호 마주하고 있는 부위를 지칭한다. 따라서, 제1 전극(231)의 내측 모서리부 (231a)와 제2 전극(232)의 내측 모서리(232a)는 상호 대향하고, 제1 전극(231)의 외측 모서리부(231b)는 제1 전극(231)의 내측 모서리부(231a)와 대향하며, 제2 전극(232)의 외측 모서리부(232b)는 제2 전극(232)의 내측 모서리부(232a)와 대향하게 된다.The first electrode 231 and the second electrode 232 of the GSR sensor are formed on the inner edge 231a of the first electrode 231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first edge' And the inner edge portion 232a of the second electrode 232 (hereinafter referred to as 'second edge portion') are each configured to include a curved structure. The inner corner portion 231a of the first electrode 231 corresponds to the edge portion of the second electrode 232 among the line segments forming the boundary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electrode 231 and the upper surface Refers to the area facing. The inner edge 231a of the first electrode 231 and the inner edge 232a of the second electrode 232 are opposed to each other and the outer edge 231b of the first electrode 231 is opposed to the inner edge 231a of the first electrode 231, And the outer edge portion 232b of the second electrode 232 faces the inner edge portion 232a of the second electrode 232. The inner edge portion 232a of the second electrode 232 is opposed to the inner edge portion 231a of the second electrode 232,

이러한 제1 모서리부(231a)(또는 제2 모서리부(232a))는 하나의 곡선형이 제1 모서리부(231a)(또는 제2 모서리부(232a)) 전체를 형성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하나의 곡선형과 비곡선형이 혼합된 구조로 구성되거나 또는 다수 개의 곡선형이 혼재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corner portion 231a (or the second corner portion 232a) may be configured so that one curved line forms the entire first corner portion 231a (or the second corner portion 232a) Or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curved shapes are mixed with each other.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모서리부(231a)와 제2 모서리부(232a)의 곡선형 구조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원호 형상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the curved structures of the first corner portion 231a and the second corner portion 232a are each configured to include at least one circular arc shape.

보다 바람직하게는, 제1 모서리부(231a)의 곡선형 구조와 제2 모서리부(232a)의 곡선형 구조는 상호 대칭 구조로 이루어진 동일한 곡률의 원호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원호 형상은 제1 모서리부(231a)와 제2 모서리부(232a)의 각 중심 영역에 위치하도록 구성된다.More preferably, the curved structure of the first corner portion 231a and the curved structure of the second corner portion 232a have an arc shape of the same curvature having mutually symmetrical structure, And is located in each central region of the first corner portion 231a and the second corner portion 232a.

참고로 도 7 실시예의 경우, 제1 모서리부(231a)의 곡선형 구조와 제2 모서리부(232a)의 곡선형 구조는 각각 하나씩 구비되고 이들은 상호 대칭 구조로 이루어진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며, 곡선형 구조의 양측 단부는 라운드 엣지(edge) 형태로 또 다른 모서리부와 연결되게 구성하였다.7, the curved structure of the first corner portion 231a and the curved structure of the second corner portion 232a are each formed in an arcuate shape having mutually symmetrical structure, Both ends of the structure are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another edge portion in the form of a rounded edge.

그리고, 제1 전극(231)의 외측 모서리부(231b)와 상기 제2 전극(232)의 외측 모서리부(232b)는 각각 외측으로 볼록한 곡선 모양으로 형성하여, 제한된 범위(즉, 융기부(310)) 내에서 전극의 폭(즉, 손목밴드 길이방향의 전극 크기)을 최대한 높일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The outer corner portion 231b of the first electrode 231 and the outer corner portion 232b of the second electrode 232 are each formed in an outwardly convex curved shape so that the protrusions 310 (I.e., the size of the electro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rist band) within the electrodes.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전극(231)의 외측 모서리부(231b)와 제2 전극(232)의 외측 모서리부(232b)는 각각 원호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경우 제1 전극(231)의 외측 모서리부(231b)의 원호는 제1 모서리부(231a)의 원호보다 더 작은 곡률을 갖도록 구성되고, 제2 전극(232)의 외측 모서리부(232b)의 원호는 제2 모서리부(232a)의 원호보다 더 작은 곡률을 갖도록 구성된다. 참고로 상기 '곡률'은 원호의 휨 정도를 의미하고, 이와 같은 곡률 조건은 융기부(310)의 상면 모양을 원형으로 형성하였을 때를 전제로 한다.The outer edge 231b of the first electrode 231 and the outer edge 232b of the second electrode 232 are formed in an arc shape and in this case, The arc of the outer corner portion 231b is configured to have a smaller curvature than the arc of the first corner portion 231a and the arc of the outer corner portion 232b of the second electrode 232 is configured to have a curvature smaller than that of the second corner portion 232a, The curvature of the arc of Fig. For the sake of reference, the 'curvature' refers to the degree of curvature of the arc, and the curvature condition i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top surface of the protrusion 310 has a circular shape.

이는, 제1 전극(231)과 제2 전극(232)의 외측 모서리부(231b,232b)는 후술할 전극 간의 이격거리(D1)와 무관하므로, 이 외측 모서리부(231b,232b)는 완만한 곡률의 원호로 형성하여 전극이 최대한의 면적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his is because the outer edge portions 231b and 232b of the first electrode 231 and the second electrode 232 are independent of a distance D1 between the electrodes to be described later so that the outer edge portions 231b and 232b are smooth So as to ensure the maximum area of the electrode.

GSR 센서는 다음과 같은 또 다른 특징을 갖도록 구성된다. 즉, GSR 센서의 제1 전극(231)과 제2 전극(232)은 제1 모서리부(231a)와 제2 모서리부(232a) 간의 다양한 이격거리 중, 제1 모서리부(231a)의 중심부(이하, '제1 중심부(C1)')와 제2 모서리부(232a)의 중심부(이하, '제2 중심부(C2)') 간의 이격거리(D1)가 가장 큰 이격거리를 갖도록 구성된다.The GSR sensor is configured to have the following additional features. That is, the first electrode 231 and the second electrode 232 of the GSR sensor are spaced apart from the center portion of the first corner portion 231a among various distances between the first corner portion 231a and the second corner portion 232a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first central portion C1") and a central portion of the second corner portion 232a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econd central portion C2") have the greatest spacing distance.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 7과 같이 제1 전극(231)과 제2 전극(232)의 각 내측 모서리부(231a,232b)는 상호 대칭 구조로 이루어진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1 중심부(C1)와 제2 중심부(C2)는 상기 원호의 중심과 일치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제1 전극(231)과 제2 전극(232)은 원호의 중심에서 가장 큰 이격거리(D1)를 갖고, 상기 중심에서 멀어질수록 점차 상호 간의 이격거리가 작아지는 구조로 형성된다.7, the inner edge portions 231a and 232b of the first electrode 231 and the second electrode 232 are formed in an arc shape having mutually symmetrical structures, and the first center portion C1 And the second central portion C2 are configured to coincide with the center of the arc. Therefore, the first electrode 231 and the second electrode 232 have the largest distance D1 at the center of the arc,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electrode 231 and the second electrode 232 gradually decreases as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increases.

이와 같이 제1 전극(231)과 제2 전극(232) 간의 이격거리를 설정함에 있어서, 제1 중심부(C1)와 제2 중심부(C2)에서의 이격거리(D1)가 가장 크도록 설계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electrode 231 and the second electrode 232 is set, the distance D1 between the first central portion C1 and the second central portion C2 is designed to be the largest Is as follows.

GSR 센서는 이에 의해 측정되는 저항 내지 임피던스(impedance)의 값이 크고 그 범위(즉, 측정저항 최소치와 측정저항 최대치 간의 범위)가 넓을수록 센싱 성능 및 정확도가 향상되는데, 이는 수학식 1에서 알 수 있듯이 전극 간의 평균 이격거리에 비례하게 된다.As the resistance or impedance of the GSR sensor is large and the range (i.e., the range between the minimum value of the measurement resistance and the maximum value of the measurement resistance) is wide, the sensing performance and accuracy are improved. As a result, it is proportional to the averag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electrodes.

Figure 112017014109142-utm00001
Figure 112017014109142-utm00001

(여기서, Z: 측정저항(임피던스), l: 전극간 평균거리, a: 전극면적, (Where Z: measurement resistance (impedance), l: average distance between electrodes, a: electrode area,

ρ: 피부저항)ρ: skin resistance)

그런데, GSR 센서의 제1 전극(231)과 제2 전극(232) 간의 최대 이격거리는 몸체부(300)의 특히 융기부(310) 범위 내에서 한정된다. 환언하면, 제1 전극(231)과 제2 전극(232)의 이격거리를 너무 크게 설계하면 몸체부(300)의 크기가 증가되어 제품의 소형화가 어렵게되고, 운전자가 몸체부(300)를 착용시 전극이 손목을 자주 벗어나게 되어 전술한 피부접촉 유지성능이 크게 저하된다.However, the maximum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first electrode 231 and the second electrode 232 of the GSR sensor is limited within the range of the protuberance 310 of the body portion 300. In other words, if the spacing distance between the first electrode 231 and the second electrode 232 is designed to be too large, the size of the body 300 may be increased to make it difficult to downsize the product. If the driver wears the body 300 The electrode is frequently detached from the wrist, so that the above-described skin contact holding performance is significantly deteriorated.

따라서, 몸체부(300)의 규격 사이즈 내에서 전극 간의 평균 이격거리를 최대한 높일 수 있으면서도 동시에 뛰어난 피부접촉 유지성능을 보장할 수 있는 전극 설계가 필요한데, 이는 본 고안의 제1 전극(231)과 제2 전극(232)이 후술할 특정 배열을 만족하며 융기부(310) 상에 배치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경우 제1 중심부 (C1)와 제2 중심부(C2)간의 이격거리(D1)가 가장 크도록 형성함으로써 달성 가능하다.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sign an electrode capable of maximizing the average distance between the electrodes within the standard size of the body part 300 and at the same time ensuring excellent skin contact maintenance performance. The two electrodes 232 are arranged on the protruding portion 310 so as to satisfy a specific arrangement to be described later so that the distance D1 between the first central portion C1 and the second central portion C2 is the largest .

그리고, 제1 전극(231)과 제2 전극(232)은 이의 피부접촉 유지성능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임계 사이즈 이상으로 제작되어야 하는데, 이러한 임계 사이즈를 만족하는 전극 크기에서 제1 전극(231)의 내측 모서리부(231a)와 제2 전극(232)의 내측 모서리부(232a)의 각 중심부(C1,C2) 간의 이격거리(D1)를 최대한 벌릴 때 피부접촉 유지성능을 훼손하지 않으면서 전극 간의 평균 이격거리를 최대한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The first electrode 231 and the second electrode 232 must be formed to have a size larger than the critical size in order to ensure the skin contact performance of the first electrode 231 and the second electrode 232. In an electrode size satisfying the critical size, When the distance D1 between the corner portions 231a and the center portions C1 and C2 of the inner edge portion 232a of the second electrode 232 is maximized, The distance can be increased as much as possible.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 전극(231)과 제2 전극(232)은 각각 그 전체 영역 중 일측 단부 영역이 중심부 영역보다 운전자의 손목에 주로 접촉되는 영역에 해당한다. 이는 본 고안의 손목시계형 밴드는 운전자의 손목에 착용되고, 운전자는 항시 핸들을 조작하고 있어, 몸체부(300)는 대부분의 경우 손목에 대해 기울어진 상태로 있기 때문이다.More specifically, the first electrode 231 and the second electrode 232 correspond to a region where one end region of the entire region is in contact with the driver's wrist more than the central region. This is because the wristwatch ban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worn on the driver's wrist and the driver is always manipulating the handle and the body portion 300 is tilted with respect to the wrist in most cases.

따라서, 제1 모서리부(231a)와 제2 모서리부(232a)의 각 중심부가 아닌 예컨대 각 일측 단부 간의 이격거리가 가장 크도록 형성하면, 상기 일측 단부에 해당하는 전극 영역은 그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아지게 되고, 이로 인해 운전자의 특히 핸들 조작 시 상기 일측 단부에 해당하는 전극이 운전자 피부에 닿지 못하는 상태(즉, 생체정보 검출오류)가 빈번히 발생될 수 있다. 반면, 제1 전극(231)과 제2 전극(232)을 설계함에 있어서 제1 중심부(C1)와 제2 중심부(C2) 간의 이격거리(D1)가 가장 크도록 형성하면, 전술한 핸들 조작 시의 생체정보 검출오류 문제를 최대한 방지하면서 전극 간의 평균 이격거리를 최대한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Therefore,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corner portion 231a and the second corner portion 232a is set to be the largest, for example, the distance between one end portion of each of the first corner portion 231a and the second corner portion 232a is maximized, And thus, a state in which the electrode corresponding to the one end of the driver can not touch the driver's skin (i.e., a biometric information detection error) frequently occurs during operation of the steering wheel. On the other hand, when the first electrode 231 and the second electrode 232 are formed so as to have the largest distance D1 between the first central portion C1 and the second central portion C2, It is possible to maximally increase the averag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electrodes while preventing the error of the detection of the biometric information of the electrodes.

GSR 센서의 제1 전극(231)과 제2 전극(232)은 전술한 피부접촉 유지성능의 극대화를 위해 다음과 같은 특징을 다 갖도록 구성된다. 즉, 제1 전극(231)과 제2 전극(232)은 제1 중심부(C1)와 제2 중심부(C2)를 연결한 가상의 선(이하, '가상선(K2)'이라 칭함)이 손목밴드부(400)의 장축 길이방향(K1)에 평행하도록 배치된다.The first electrode 231 and the second electrode 232 of the GSR sensor are configured to have the following features in order to maximize the skin contact holding performance. That is, the first electrode 231 and the second electrode 23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phantom lin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virtual line K2) connecting the first central portion C1 and the second central portion C2, Axis length direction K1 of the band portion 400. The longitudinal direction K1 of the band portion 400 is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K1.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모서리부(231a)의 곡선형 구조와 제2 모서리부(232a)의 곡선형 구조는 상호 대칭 구조로 이루어진 동일한 곡률의 원호이고, 제1 모서리부(231a)의 원호의 중심은 제1 중심부(C1)와 일치하고, 제2 모서리부(232a)의 원호의 중심은 상기 제2 중심부(C2)와 일치하도록 구성되며, 상기와 같은 구조에서 제1 전극(231)과 상기 제2 전극(232)은 상기 가상선(K2)이 손목밴드부(400)의 장축 길이방향 중심축(도 7의 K2)과 일치하게 배열되도록 구성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the curved structure of the first corner portion 231a and the curved structure of the second corner portion 232a are arcs of the same curvature having mutually symmetrical structures, and the arc of the first corner portion 231a The center of the circular arc of the second corner portion 232a coincides with the center of the second center C2 and the first electrode 231 and The second electrode 232 is configured such that the imaginary line K2 is arranged to coincide with the longitudinal center axis of the wrist band 400 (K2 in FIG. 7).

본원 고안자는 제1 전극(231)과 제2 전극(232)이 상기와 같은 배열 구조를 갖도록 구성할 경우 특히 운전자의 핸들 조작시의 손목 기울기, 손목 꺽임 등을 고려할 때 항시 모든 전극이 손목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최상의 구조임을 밝혀냈다.When the first electrode 231 and the second electrode 232 are configured to have the above-described arrangement structure,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found that all the electrodes always contact the wrist in consideration of the inclination of the wrist during wrist manipulation, And it is the best structure that can maintain the state.

환언하면, 제1 전극(231)과 제2 전극(232)을 배열함에 있어서, 도 8과 같이 그 가상선(K2)이 손목밴드부(400)의 장축 길이방향(K1)에 직교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도 9와 같이 그 가상선(K2)이 손목밴드부(400)의 장축 길이방향(K1)에 소정 구배(θ1)로 기울어지게 구성되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8, the virtual line K2 may be configured to be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axis K1 of the wrist band portion 400, or alternatively, Or the virtual line K2 i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gradient? 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K1 of the wrist band portion 400 as shown in FIG. 9, the following problems may occur.

즉, 운전 조작중 손목은 지면에 대하여 45 내지 그 이상 각도 이루게 되는 것이 통상적이며, 상기 경우 전술한 가상선(K2)이 손목밴드부(400)의 장축 길이방향 (K1)에 직교하도록 구성하거나 내지 소정 각도(예컨대 45°) 이상 기울어지게 설계하면 어느 하나의 전극이 피부에 닿지 못하고 간격을 두고 떠 있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여 생체 신호(즉, 피부 전기전도도)를 측정할 수 없게 된다.That is, the wrist is usually formed at an angle of 45 or more with respect to the ground during the driving operation. In this case, the virtual line K2 may be configured to be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axis K1 of the wrist band portion 400, If the electrode is designed to be inclined at an angle (for example, 45 degrees), any one of the electrodes may not be able to touch the skin and may float with a gap, and the living body signal (i.e., skin electrical conductivity) can not be measured.

반면, 본원 고안에서 제시하는 전극 배열 구조인 평행 배열 방식으로 전극을 설계하면, 특히 핸들 조작에 따른 손목 기울어짐이 있더라도 양측 전극 모두 항시 손목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electrodes are designed in a parallel arrangement manner, which is an electrode arrangement structure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both of the electrodes can always be kept in contact with the wrist even if there is a wrist tilt due to a handle operation.

본 고안에 따른 GSR 센서는 직류를 사용하여 저항을 측정하는 통상의 방식과 달리 교류를 사용하여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방식으로 피부 전기전도도를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한다. 이는, 손목의 경우 손가락이나 손바닥 대비 한선의 밀도가 상대적으로 낮아 종래와 같이 단순히 직류를 사용할 경우 피부 전기전도도를 정확히 측정하기 어려워지기 때문이다.The GSR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urther characterized in that the GSR sensor is configured to detect the skin electrical conductivity by measuring impedance using alternating current, unlike the conventional method of measuring the resistance using direct current. This is because the densities of the wrists are relatively low compared to the fingers or the palms, which makes it difficult to accurately measure the skin electrical conductivity when a direct current is used as in the prior art.

그런데, 이처럼 교류를 사용하여 피부 임피던스를 측정하게 되면 교류의 주파수도 함께 고려해야한다. 즉, 교류 전력을 사용하여 피부 임피던스를 정확히 측정하기 위해서는 세포막을 투과할 수 있는 주파수이어야 하는데, 구체적으로 5Khz 이상의 주파수를 사용할 때 세포막을 투과할 수 있게 된다.However, when the skin impedance is measured using the alternating current, the frequency of the alternating current must be considered together. That is, in order to accurately measure the skin impedance using the AC power, the frequency should be a frequency at which the cell membrane can be transmitted. Specifically, when the frequency of 5 KHz or more is used, the cell membrane can be permeated.

전술한 바를 고려할 때, GSR 센서는 5 Khz ~ 10 Khz 의 주파수를 갖는 교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변화량의 적절함을 더 고려하면 7Khz ~ 8Khz 주파수의 교류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좋다.In view of the foregoing, it is preferable that the GSR sensor use an alternating current having a frequency of 5 Khz to 10 Khz, and it is best to use an alternating current having a frequency of 7 Khz to 8 Khz considering the appropriate amount of variation.

상기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여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그러한 용어는 오로지 본 고안을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고안의 실시예 및 기술된 용어는 다음의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고서 여러가지 변경 및 변화가 가해질 수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이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본 고안의 청구범위 안에 속한다고 해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using specific terms, such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clarify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described terminology should be construed to cover the technical scope and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It will be obvious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Such modified embodiment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should b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밧데리 20: 슬라이드 스위치
30: 밧데리 관리 모듈 50: 제1온도센서
60: 9축 자이로/가속 센서 70: BLE 모듈(70),
75: 통신용 안테나 패턴 80: OLED 디스플레이부
90: 돔 스위치 95: 진동모터
100: 메인 인쇄회로기판 150: FFC(Flexible Flat Cable)
200: 센서 인쇄회로기판 210: PPG 센서
220: 제2온도센서 230: GSR센서
231: 제1 전극 231a: 제1 모서리부
232a: 제2 모서리부 232: 제2 전극
300: 몸체부 310: 융기부
400: 손목밴드부 C1: 제1 중심부
C2: 제2 중심부
D1: 제1 중심부와 제2 중심부 간의 이격거리
10: Battery 20: Slide switch
30: battery management module 50: first temperature sensor
60: 9 axis gyro / acceleration sensor 70: BLE module 70,
75: antenna pattern for communication 80: OLED display part
90: Dome switch 95: Vibration motor
100: main printed circuit board 150: FFC (Flexible Flat Cable)
200: sensor printed circuit board 210: PPG sensor
220: second temperature sensor 230: GSR sensor
231: first electrode 231a: first corner portion
232a: second corner portion 232: second electrode
300: body part 310:
400: wrist band C1: first center
C2: second center
D1: a distance between the first central portion and the second central portion

Claims (5)

제어처리부가 내장되는 몸체부(300); 상기 몸체부(300)에 결합되는 밴드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몸체부(300)를 운전자의 손목에 착용할 수 있도록 기능하는 손목밴드부(400); 제1 전극(231)과 제2 전극(232)을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300)에 구비되는 GSR 센서; 및 상기 몸체부(300) 하면의 중심부에 상기 하면에 대해 단차지게 돌출 형성된 융기부(31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전극(231)과 상기 제2 전극(232)은,
상호 간격을 두고 대향하며 상기 융기부(310) 상에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게 구비되고,
상기 융기부(310) 상에 노출되는 부위 중 상기 제1 전극(231)의 내측 모서리부(231a)(이하, '제1 모서리부')와 상기 제2 전극(232)의 내측 모서리부 (232a)(이하, '제2 모서리부')는 각각 원호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모서리부(231a)와 상기 제2 모서리부(232a) 간의 다양한 이격거리 중, 상기 제1 모서리부(231a)의 중심부(이하, '제1 중심부(C1)')와 상기 제2 모서리부(232a)의 중심부(이하, '제2 중심부(C2)') 간의 이격거리(D1)가 가장 큰 이격거리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중심부(C1)와 상기 제2 중심부(C2)를 연결한 가상의 선(이하, '가상선(K2)')이 상기 손목밴드부(400)의 장축 길이방향(K1)에 평행하도록 배열되고,
상기 제1 전극(231)의 외측 모서리부(231b)와 상기 제2 전극(232)의 외측 모서리부(232b)는 각각 원호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모서리부(231a)의 원호는 상기 제1 전극(231)의 외측 모서리부(231b)의 원호보다 더 큰 곡률을 갖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모서리부(232a)의 원호는 상기 제2 전극(232)의 외측 모서리부(232b)의 원호보다 더 큰 곡률을 갖도록 구성되며,
상기 GSR 센서는,
5 ~ 10 Khz 주파수의 교류를 사용하여 상기 제1 전극(231)과 상기 제2 전극(232)이 접촉하고 있는 피부의 임피던스를 측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운전자용 손목시계형 밴드.
A body part 300 having a control processing part incorporated therein; A wrist band part 400 configured to be coupled to the body part 300 and functioning to wear the body part 300 on the driver's wrist; A GSR sensor including a first electrode 231 and a second electrode 232 and provided on the body 300; And a protrusion 310 protruding from the center of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300 so as to protrude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300,
The first electrode (231) and the second electrode (232)
At least a portion of which is exposed on the ridge portion 310,
An inner corner portion 231a of the first electrode 231 and a second inner electrode portion 232b of the second electrode 232 are exposed from the protrusion 310, ) (Hereinafter referred to as "second corner portions") are each formed in an arc shape,
The center portion of the first corner portion 231a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first center portion C1") and the second corner portion 232b of the first corner portion 231a (Hereinafter referred to as " second central portion C2 ") of the first portion 232a is formed to have the greatest spacing distance,
The imaginary line K2 connecting the first central portion C1 and the second central portion C2 is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K1 of the wrist band portion 400 And,
The outer corner portion 231b of the first electrode 231 and the outer corner portion 232b of the second electrode 232 are formed in an arc shape,
The circular arc of the first corner portion 231a is configured to have a curvature larger than the circular arc of the outer corner portion 231b of the first electrode 231, Is configured to have a curvature greater than the arc of the outer edge portion (232b) of the electrode (232)
The GSR sensor includes:
Is configured to measure the impedance of the skin in which the first electrode (231) and the second electrode (232)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using alternating current of 5 to 10 Khz frequency.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서리부(231a)의 원호의 중심은 상기 제1 중심부(C1)와 일치하고, 상기 제2 모서리부(232a)의 원호의 중심은 상기 제2 중심부(C2)와 일치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전극(231)과 상기 제2 전극(232)은 상기 가상선(K2)이 상기 손목밴드부(400)의 장축 길이방향 중심축과 일치하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운전자용 손목시계형 밴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enter of an arc of the first corner portion 231a coincides with the first center portion C1 and the center of an arc of the second corner portion 232a coincides with the second center portion C2,
Wherein the first electrode (231) and the second electrode (232) are arranged such that the imaginary line (K2) coincides with the longitudinal axi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rist band portion (400) band.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300)에 설치되는 PPG 센서(210), 제1 온도센서(50), 제2 온도센서(220) 및 진동모터(95)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온도센서(50)는 주위 온도를 센싱하고, 상기 제2 온도센서(220)는 운전자 손목에 접촉되어 피부 온도를 센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운전자용 손목시계형 밴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PPG sensor 210 installed in the body 300, a first temperature sensor 50, a second temperature sensor 220, and a vibration motor 95,
Wherein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50) senses an ambient temperature and the second temperature sensor (220) contacts a driver's wrist to sense skin temperatur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2020170000715U 2017-02-10 2017-02-10 Wrist watch type band for automobile driver KR200483102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0715U KR200483102Y1 (en) 2017-02-10 2017-02-10 Wrist watch type band for automobile driv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0715U KR200483102Y1 (en) 2017-02-10 2017-02-10 Wrist watch type band for automobile driv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3102Y1 true KR200483102Y1 (en) 2017-04-06

Family

ID=58605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0715U KR200483102Y1 (en) 2017-02-10 2017-02-10 Wrist watch type band for automobile driv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3102Y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8426B1 (en) 2017-12-15 2019-06-12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Wrist type electricshock apparatus for preventing sleepiness
USD895615S1 (en) 2018-11-06 2020-09-08 Fitbit, Inc. Body of a smart watch
USD902922S1 (en) 2019-09-25 2020-11-24 Fitbit, Inc. Smart watch
USD910012S1 (en) 2019-04-25 2021-02-09 Fitbit, Inc. Smart watch
KR20220067704A (en) * 2020-11-18 2022-05-25 재단법인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Temperature sensor, wearable device having the sensor and method for sensing core temperature using the sensor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75210A (en) * 1994-04-13 1995-10-24 Zexel Corp Physical condition detecting device and physical condition judging method
KR100291378B1 (en) 1997-05-15 2001-06-01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Drowsy driving prevention device
KR20050062773A (en) * 2002-10-09 2005-06-27 보디미디어 인코퍼레이티드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 journaling of continuous or discrete body states utilizing physiological and/or contextual parameters
JP2005270543A (en) * 2004-03-26 2005-10-06 Seiko Instruments Inc Biological information measuring device
KR20080013129A (en) 2006-08-07 2008-02-13 남승리 Healthcare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healthcare service
KR20150067047A (en) * 2013-12-09 2015-06-17 삼성전자주식회사 Modular sensor platform
JP2015531954A (en) * 2012-09-21 2015-11-05 プロテウス デジタル ヘル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Wireless wearable device, system, and method
KR20160089193A (en) * 2015-01-19 2016-07-27 삼성전자주식회사 Wearable devcie for adaptive control based on bio information, system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thereof
KR20160103707A (en) * 2015-02-25 2016-09-02 팅크웨어(주) A prevention system for dozing off at the wheel and method of the same
KR20160105396A (en) * 2013-12-31 2016-09-06 삼성전자주식회사 Battery charger related applications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75210A (en) * 1994-04-13 1995-10-24 Zexel Corp Physical condition detecting device and physical condition judging method
KR100291378B1 (en) 1997-05-15 2001-06-01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Drowsy driving prevention device
KR20050062773A (en) * 2002-10-09 2005-06-27 보디미디어 인코퍼레이티드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 journaling of continuous or discrete body states utilizing physiological and/or contextual parameters
JP2005270543A (en) * 2004-03-26 2005-10-06 Seiko Instruments Inc Biological information measuring device
KR20080013129A (en) 2006-08-07 2008-02-13 남승리 Healthcare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healthcare service
JP2015531954A (en) * 2012-09-21 2015-11-05 プロテウス デジタル ヘル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Wireless wearable device, system, and method
KR20150067047A (en) * 2013-12-09 2015-06-17 삼성전자주식회사 Modular sensor platform
KR20160105396A (en) * 2013-12-31 2016-09-06 삼성전자주식회사 Battery charger related applications
KR20160089193A (en) * 2015-01-19 2016-07-27 삼성전자주식회사 Wearable devcie for adaptive control based on bio information, system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thereof
KR20160103707A (en) * 2015-02-25 2016-09-02 팅크웨어(주) A prevention system for dozing off at the wheel and method of the same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8426B1 (en) 2017-12-15 2019-06-12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Wrist type electricshock apparatus for preventing sleepiness
USD895615S1 (en) 2018-11-06 2020-09-08 Fitbit, Inc. Body of a smart watch
USD895614S1 (en) 2018-11-06 2020-09-08 Fitbit, Inc. Body of a smart watch
USD900808S1 (en) 2018-11-06 2020-11-03 Fitbit, Inc. Body of a smart watch
USD910617S1 (en) 2018-11-06 2021-02-16 Firbit, Inc. Smart watch
USD910011S1 (en) 2019-04-25 2021-02-09 Fitbit, Inc. Smart watch
USD910012S1 (en) 2019-04-25 2021-02-09 Fitbit, Inc. Smart watch
USD902921S1 (en) 2019-09-25 2020-11-24 Fitbit, Inc. Smart watch
USD903664S1 (en) 2019-09-25 2020-12-01 Fitbit, Inc. Smart watch
USD902923S1 (en) 2019-09-25 2020-11-24 Fitbit, Inc. Smart watch
USD902922S1 (en) 2019-09-25 2020-11-24 Fitbit, Inc. Smart watch
USD1007504S1 (en) 2019-09-25 2023-12-12 Fitbit, Inc. Smart watch
KR20220067704A (en) * 2020-11-18 2022-05-25 재단법인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Temperature sensor, wearable device having the sensor and method for sensing core temperature using the sensor
KR102506052B1 (en) * 2020-11-18 2023-03-06 재단법인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Temperature sensor, wearable device having the sensor and method for sensing core temperature using the sens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3102Y1 (en) Wrist watch type band for automobile driver
CN107530009B (en) Patient-worn sensor assembly
KR101828068B1 (en) User-customized wrist watch type band and method for monitoring driver condition
US9113793B2 (en) Pulse wave sensor
US10799133B2 (en) Wearable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20150173675A1 (en) Biometric information detecting apparatus
JP2008237378A (en) Biological signal detector
US10390742B2 (en) Non-invasive monitor for measuring regional saturation of oxygen
JP2015021215A (en) Safety monitoring system, fatigue monitoring device therefor, and helmet
EP3430995B1 (en) Sensor assembly
JP6616069B2 (en) Vital sensor module
WO2009086452A1 (en) Pulse oximetry sensor with a pressure sensor
KR20180039698A (en) Biometric information measuring device
EP2865327B1 (en) Heart rate measuring device
WO2020017013A1 (en) Detection device, seat belt, and driver monitoring system
KR101828067B1 (en) Wristband for monitoring driver condition
KR20170111286A (en) Detection Apparatus of Vital Parameters On the Steering Wheel
KR20150065123A (en) Apparatus for measuring bio-signal of hybrid type
KR102102871B1 (en) Palm rest type measuring device for bio information
US11675218B2 (en) Pair of spectacles with bio-sensors
KR20180106433A (en) Band type weareable device and system with driver health care function
CN211674231U (en) Sleep sensing system
WO2017198755A1 (en) Headgear incorporating electrical measurement apparatus
US20210169399A1 (en)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Uterine Activity
WO2020148828A1 (en) Seat belt and state identify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