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4186B1 - 안면인식 및 열화상 검출기능을 갖는 키오스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출입통제방법 - Google Patents

안면인식 및 열화상 검출기능을 갖는 키오스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출입통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4186B1
KR102464186B1 KR1020210017836A KR20210017836A KR102464186B1 KR 102464186 B1 KR102464186 B1 KR 102464186B1 KR 1020210017836 A KR1020210017836 A KR 1020210017836A KR 20210017836 A KR20210017836 A KR 20210017836A KR 102464186 B1 KR102464186 B1 KR 1024641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iosk
store
user terminal
facial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78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14389A (ko
Inventor
박병혁
박지연
박소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픽넘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픽넘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픽넘버
Priority to KR10202100178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4186B1/ko
Priority to PCT/KR2021/012608 priority patent/WO2022169055A1/ko
Publication of KR202201143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43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41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41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4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devices for accepting orders, advertisement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1Measuring temperature of body parts ; Diagnostic temperature sensing, e.g. for malignant or inflamed tissu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6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using personal physical data of the operator, e.g. finger prints, retinal images, voicepatter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3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32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 G07C9/37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 recogni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04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anthropometrical measurements, such as weight, height, strength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006Details of the software used for the vending machi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45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for generating image signals from two or more image sensors being of different type or operating in different modes, e.g. with a CMOS sensor for moving images in combination with a charge-coupled device [CCD] for still im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04N5/2257
    • H04N5/2258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면인식 및 열화상 검출기능을 갖는 키오스크 시스템은 플랫폼 상에 안면정보를 등록하고, 방문할 매장에 대한 입장 대기번호표를 발급받는 고객단말; 상기 기 설정된 거리 내에 상기 고객단말을 소지한 고객이 위치하면, 해당 고객의 안면인식 및 체온발열 상태를 감지한 후, 감지결과를 매장단말로 제공하고, 체온이 기 설정 온도를 초과하는 고객의 실내위치정보를 매장단말로 전송하도록 GPS 측위부에 요청하는 키오스크; 및 상기 키오스크 및 상기 GSP 측위부의 전송값을 기초로 체온발열온도가 기 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고객의 실내유입여부를 모니터링하는 매장단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안면인식 및 열화상 검출기능을 갖는 키오스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출입통제방법{Kiosk with the function of detecting facial recognition and thermal imaging, and an access control method using it}
본 발명은 안면인식 및 열화상 검출기능을 갖는 키오스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출입통제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람은 항온동물로 분류되며 발병이 되는 경우 내부의 면역기능의 작용으로 체온의 변화가 발생한다.
메르스(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MERS) 또는 사스(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SARS)와 같은 심각한 전염병으로부터 흔히 나타나는 현상일 수 있다.
2015년 메르스의 경우 메르스에 감염된 환자 관리의 실패로 많은 사람들이 메르스 감염 공포에 시달리고 이에 따른 많은 사회적인 비용이 발생되었다.
이후, 각급 병원 및 의원, 산후조리원 등에서는 외래환자 및 방문객들에 대한 통제를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통제는 단순히 면회 시간을 제한하는 것으로, 통제된 면회 시간 내에 감염자가 출입하는 경우, 대비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출입을 제한하는 방법으로 출입자의 체온을 측정하는 방안이 대두되었다.
특히, 한국등록특허 제10-1912390호는 열영상 센서를 이용하여 피부온도를 측정하나, 외부 대기온도에 의한 피부 온도 변화를 판단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3-0011582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안면인식 및 열화상 검출기능을 갖는 키오스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출입통제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면인식 및 열화상 검출기능을 갖는 키오스크 시스템은 플랫폼 상에 안면정보를 등록하고, 방문할 매장에 대한 출입 대기번호표를 발급받는 사용자 단말; 기 설정된 거리 내에 상기 사용자 단말을 소지한 고객이 위치하면, 해당 고객의 안면인식 및 체온발열 상태를 감지한 후, 감지결과를 매장단말로 제공하고, 체온이 기 설정 온도를 초과하는 고객의 실내위치정보를 매장단말로 전송하도록 GPS 측위부에 요청하는 키오스크; 상기 키오스크 및 상기 GPS 측위부의 전송값을 기초로 체온발열온도가 기 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고객의 실내유입여부를 모니터링하는 매장단말; 및 상기 플랫폼 내에 입력된 사용자 정보를 암호화한 암호화 토큰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발급하는 플랫폼 관리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플랫폼 관리서버는 상기 암호화 토큰 내에 상기 키오스크를 접촉한 시간, 날짜, 발열온도, 매장 내 위치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암호화문으로 기록저장하고, 상기 키오스크는 출입자의 안면영상을 촬영하는 영상카메라; 상기 출입자의 안면발열온도를 감지하는 열화상 카메라; 상기 안면영상을 기초로 출입자의 신원을 확인하고, 상기 안면발열온도를 기초로 출입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정보처리부; 및 상기 정보처리부로부터 신원확인 및 출입가능지시를 수신하면, 출입번호를 발급하는 출입번호 발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정보처리부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암호화 토큰을 수신할 경우, 상기 안면영역의 열화상 이미지를 기초로 사용자의 출입가능 여부만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정보처리부는 상기 안면발열온도가 기 설정된 발열온도를 초과할 경우, 해당 출입자의 사용자 단말의 위치추적을 상기 GPS 측위부로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면인식 및 열화상 검출기능을 갖는 키오스크 시스템을 이용한 출입통제방법은 사용자 단말에서 플랫폼을 이용하여 방문할 매장에 대한 출입 대기번호표를 발급받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을 소지한 사용자가 해당 매장의 기 설정된 영역에 위치하면, 키오스크에서 해당 사용자의 안면인식 및 체온발열 상태를 감지한 후, 감지결과를 표시하는 단계; 감지결과 중 사용자의 신원확인이 불가하거나 또는 안면체온이 기 설정 온도를 초과하면, GPS 측정부로 사용자 단말의 실내위치추적을 요청하고, 추적한 사용자 단말의 실내위치정보를 매장단말로 전송하도록 요청하는 단계; 및 매장단말에서 위치추적이 요청된 사용자 단말의 실내유입여부를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출입 대기번호표를 발급받는 단계 이전에, 플랫폼 관리서버에서 상기 플랫폼 내에 입력된 사용자 정보를 암호화한 암호화 토큰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발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암호화 토큰은 상기 키오스크를 접촉한 시간, 날짜, 발열온도, 매장 내 위치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암호화문으로 기록 저장하는 프로그램이고, 상기 키오스크는 출입자의 안면영상을 촬영하는 영상카메라; 상기 출입자의 안면발열온도를 감지하는 열화상 카메라; 상기 안면영상을 기초로 출입자의 신원을 확인하고, 상기 안면발열온도를 기초로 출입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정보처리부; 및 상기 정보처리부로부터 신원확인 및 출입가능지시를 수신하면, 출입번호를 발급하는 출입번호 발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정보처리부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암호화 토큰을 수신할 경우, 상기 안면영역의 열화상 이미지를 기초로 사용자의 출입가능 여부만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면인식 및 열화상 검출기반으로 동작하는 키오스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출입통제방법을 활용하면, 발열을 동반하는 감염자가 좁은 공간의 매장에 진입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고, 발열이 감지된 사람의 단말위치를 추적하여 실내 매장 내에 몰래들어오더라도 손쉽게 발열증상을 갖는 사람을 찾아낼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온라인으로 예약 및 대기현황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순번 정보를 확인하고 예약할 수 있도록 해 일정 시간대에 좁은 장소에 대기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밀집하는 밀집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매장 방문 전에 플랫폼 내에 신원확인정보를 등록하면, 신원정보가 등록된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 확인 후, 간단한 발열 체크 과정만을 통해 매장 진입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는 이점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면인식 및 열화상 검출기능을 갖는 키오스크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키오스크의 장치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플랫폼 관리서버의 세부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면인식 및 열화상 검출기능을 갖는 키오스크 시스템을 이용한 출입통제방법의 다양한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명세서에 개진된 하나 이상의 실시예가 구현될 수 있는 예시적인 컴퓨팅 환경을 도시한 도이다.
다양한 실시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또한, 다양한 양상들 및 특징들이 다수의 디바이스들, 컴포넌트들 및/또는 모듈들 등을 포함할 수 있는 시스템에 의하여 제시될 것이다. 다양한 시스템들이, 추가적인 장치들, 컴포넌트들 및/또는 모듈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는 점 그리고/또는 도면들과 관련하여 논의된 장치들, 컴포넌트들, 모듈들 등 전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점 또한 이해되고 인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 아래에서 사용되는 용어들 '컴포넌트', '모듈', '시스템', '인터페이스' 등은 일반적으로 컴퓨터 관련 엔티티(computer-related entity)를 의미하며, 예를 들어, 하드웨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 소프트웨어를 의미할 수 있다.
더불어, 용어 "또는"은 배타적 "또는"이 아니라 내포적 "또는"을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달리 특정되지 않거나 문맥상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는 자연적인 내포적 치환 중 하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X가 A를 이용하거나; X가 B를 이용하거나; 또는 X가 A 및 B 모두를 이용하는 경우,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가 이들 경우들 어느 것으로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열거된 관련 아이템들 중 하나 이상의 아이템의 가능한 모든 조합을 지칭하고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달리 특정되지 않거나 단수 형태를 지시하는 것으로 문맥상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 본 명세서와 청구범위에서 단수는 일반적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더불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클라이언트", "유저" 및 "사용자"는 종종 상호교환가능하게 사용될 수 있다. 더불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컴포넌트" 및 "엘리먼트" 또한 종종 상호교환가능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면인식 및 열화상 검출기반으로 동작하는 키오스크 및 이와 연동하는 O2O 플랫폼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면인식 및 열화상 검출기능을 갖는 키오스크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키오스크의 장치 블록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플랫폼 관리서버의 세부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면인식 및 열화상 검출기능을 갖는 키오스크 시스템(100)는 사용자 단말(200), 키오스크(300), 매장단말(400) 및 플랫폼 관리서버(500)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각 구성요소들은 네트워크로 연결된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 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RF,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PP(5th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 (Bluetooth) 네트워크, NFC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하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는 단수 및 복수를 포함하는 용어로 정의되고,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존재할 수 있고, 단수 또는 복수를 의미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되는 것은 실시예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할 것이다.
먼저, 사용자 단말(200)은 본원에서 제시하는 안면인식 및 열화상 검출 기능을 갖는 키오스크(300)와 연동가능한 키오스크 연동 플랫폼(10)을 실행하는 단말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키오스크 연동 플랫폼(10)을 통해 후술하는 플랫폼 관리서버(400)에 접속하여 안면인식 및 열화상 검출 기능을 갖는 키오스크가 위치한 매장입장에 필요한 출입번호를 발급요청 및 발급받는 단말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키오스크 연동 플랫폼(10) 내에 등록된 개인 신원확인정보(안면정보 등)을 암호화한 암호화 토큰을 발급받는 단말일 수 있고, 안면인식 및 열화상 검출 기능을 갖는 키오스크(300)에 근접하면 해당 암호화 토큰을 키오스크(300)로 제공하는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암호화 토큰은 안면인식 및 열화상 검출 기능을 갖는 키오스크와 접촉한 시간, 날짜, 발열온도, 해당 키오스크가 위치한 매장 내를 이동한 동선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암호화문으로 기록저장한 프로그램일 수 있다.
상기 암호화 토큰 내에 저장된 정보들은 후술하는 플랫폼 관리서버에서 암호화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가공한 정보들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200)은 키오스크 연동 플랫폼(10)을 이용하여 안면인식 및 열화상 검출 기능을 갖는 키오스크가 위치하는 매장 또는 장소를 검색가능한 단말일 수 있고, 또한, 해당 매장에 위치한 키오스크로부터 매장 내의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단말일 수 있다.
본원에서 언급하는 매장 및 장소는 은행, 쇼핑몰, 병원 등 전자상거래가 가능한 모든 곳일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2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 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고객단말(2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200)은 키오스크 연동 플랫폼(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설치하거나 또는 열 수 있는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
다음으로, 키오스크(300)은 기 설정된 거리 내에 키오스크 연동 플랫폼이 실행된 사용자 단말(200)을 소지한 고객이 위치하면, 해당 고객의 안면인식 및 체온발열 상태를 감지한 후, 감지결과를 매장단말로 제공하고, 체온이 기 설정 온도를 초과하는 고객의 실내위치정보를 매장단말로 전송하도록 GPS 측위부에 요청하는 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키오스크(300)는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 기능의 지원으로 인터넷 및 컴퓨터에 접속되어, 이메일, 웹 브라우징, 뱅킹 또는 게임 등의 기능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러한 다양한 기능을 위해 표준화된 범용 OS가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범용의 OS 커널 상에,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이 자유롭게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 친화적인 다양한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키오스크(300)는 디지털 사이니지와 결합이 가능할 수 있고, 상술한 디지털 사이니지는 기업들의 마케팅, 광고, 트레이닝 효과 및 고객 경험을 유도할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 툴(tool)로서, 공항이나, 호텔, 병원 등 공공장소에서 특정한 정보를 제공하는 디지털 영상장치이다.
또한, 본원에서 소개하는 키오스크는 종래에 공지된 매장검색, 상품검색결과를 표시하는 기능, 상품결제기능, 예약기능, 주차처리기능 등 다양한 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위치한 매장 또는 장소와 관련된 정보를 저장 및 등록하는 장치임을 명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안면인식 및 열화상 검출 기능을 갖는 키오스크(300)는 터치디스플레이(310), 영상 카메라(320), 열화상 카메라(330), 메모리(34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5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60) 및 출입번호 발급부(370)를 포함할 수 있고, 결제, 정보검색 등을 수행 및 처리하는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안면인식 및 열화상 검출 기능을 갖는 키오스크(300)는 근적외선 또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기 설정된 반경의 객체를 감지하는 객체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어, 기 설정된 거리에 객체가 감지되면, 후술하는 열화상 및 안면인식 동작을 자동수행한다. 한편, 상술한 결제 및 정보검색 등에 대한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종래에 다양한 문헌에서 공지된 내용들과 동일함으로 생략한다.
상기 터치디스플레이(310)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값(위치정보)에 상응하는 기 설정된 컨텐츠 정보 및 그래픽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구성일 수 있다.
상기 터치디스플레이(310)는 후술하는 정보처리부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에서 수신되는 영상신호, 데이터 신호 등을 각각 R, G, B 신호로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고, PDP, LCD,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등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터치디스플레이(3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텐츠 예컨대,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GUI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카메라(320)는 상술한 객체감지신호를 기초로 기 설정된 영역에 위치하는 대상의 신체영상을 촬영한 후, 신체영상 중 안면영상을 추출하여 제공하는 구성일 수 있다.
열화상 카메라(330)는 상술한 객체감지신호를 기초로 기 설정된 영역에 위치하는 대상의 신체의 발열상태를 열화상 이미지로 제공하고, 열화상 이미지 중 안면영역의 열화상 이미지를 추출하여 제공하는 구성일 수 있다.
상기 영상 카메라 및 열화상 카메라는 동일지점에 위치할 수 있고, 촬영각도 또한 동일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정보처리부(340)는 영상촬영부에서 전송한 안면영상을 기초로 출입자의 신원을 확인하고, 상기 안면영역의 열화상 이미지를 기초로 사용자의 출입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처리부(340)는 후술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60)를 통해 사용자 단말로부터 암호화 토큰을 수신할 경우, 상기 안면영역의 열화상 이미지를 기초로 사용자의 출입가능 여부만을 판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상기 정보처리부(340)는 출입된 사용자의 출입정보(시간, 날짜), 발열온도에 대한 정보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60)를 통해 후술하는 플랫폼 관리서버(400)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정보처리부(340)는 사용자의 안면발열 온도가 기 설정된 발열온도를 초과할 경우, 해당 사용자가 소지한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추적요청하는 구성일 수 있다.
다음으로, 메모리(350)는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정보처리부(34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거나,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35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60)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70)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350)는 출입자의 신원정보 및 출입가능한 안면온도정보의 레퍼런스를 저장하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340)는 터치패널의 조작에 필요한 정보들, 터치정보에 상응하는 기 설정된 컨텐츠 정보 및 그래픽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기 설정된 컨텐츠 정보는 상품정보, 광고정보, 매뉴얼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60)는 키오스크에 표시되는 컨텐츠들을 실행 및 조작하기 위한 응용프로그램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구성일 수 있다.
다음으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70)는 외부기기(미도시), 사용자 단말(200) 및 플랫폼 관리서버(300)와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 접속을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구성일 수 있다.
예컨대, 유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이더넷(Ethernet) 단자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무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통신 규격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70)는 외부구성들과의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한 통신 입출력 기능을 수행하며, 사용자 단말과 근거리 통신을 통해 암호화 토큰을 요청 및 수신할 수 있고, 플랫폼 관리서버(400)로 상술한 네트워크를 통해 출입자의 신원확인정보, 안면발열온도, 출인정보, 키오스크의 동작상태정보등을 전송하고, 플랫폼 관리서버(400)로부터 키오스크의 동작설정정보, 출입대기자 정보 등을 제공받을 수 있다.
다음으로, 출입(대기)번호 발급부(380)는 정보처리부로부터 신원확인 및/또는 정상발열온도로 판단된 판단결과값을 기초로 사용자에게 출인(대기)번호를 발급하는 구성일 수 있다.
상기 출입(대기)번호 발급부(380)는 발급된 출입(대기)번호를 종이로 출력할 수도 있고, 키오스크의 터치디스플레이 패널로 전송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GPS 측위부는 매장 또는 지정된 실내장소에 출입한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추적하고, 추적한 위치정보를 매장단말로 제공하는 구성일 수 있다.
상기 GPS 측위부는 복수 개의 측위 단말을 이용하여, 삼각측량(Triangulation) 기법, 핑거프린팅(Fingerprinting) 기법 등으로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측위한다.
실내 측위 결과 정보는 LBS 서비스 시스템과 연동하여 매장단말에서 3D 맵으로 제공될 수 있다. 삼각측량 기법의 경우 적어도 3개의 AP(Access Point)로부터 수신된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값을 거리로 환산하고 간단한 방정식을 적용하여 위치를 계산한다.
여기서, 측위단말 각각은 비콘(beacon), 지자기(geomagnetic)센서, 자이로(Giro) 센서, 가속도(accelerometer) 센서 및 통신모듈(미도시)이 구비된 단말기로서, 주기적으로 비콘 신호를 송출 및 데이터전송기능을 갖춘 단말일 수 있다.
다음으로, 매장단말(500)는 상기 키오스크 및 상기 GSP 측위부의 전송값을 기초로 체온발열온도가 기 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고객의 실내유입여부를 모니터링하는 구성일 수 있다.
상기 매장단말(500)는 실내공간을 이동하는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3D 맵으로 표시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설치된 단말일 수 있다.
다음으로, 플랫폼 관리서버(400)는 키오스크 연동 플랫폼(10) 내에 입력된 사용자 정보를 암호화한 암호화 토큰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발급하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플랫폼 관리서버(400)는 발급한 암호화 토큰 내에 안면인식 및 열화상 검출기능을 갖는 키오스크를 접촉한 시간, 날짜, 발열온도, 실내매장 내 위치정보(동선)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암호화문으로 가공하여 기록저장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플랫폼 관리서버(400)는 플랫폼 제공부(410), 암호화 토큰 발생부(420), 키오스크 관리부(430) 및 AI 검색부(4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랫폼 제공부(410)는 키오스트 연동 플랫폼(앱)을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키오스크 연동 플랫폼(1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에 설치 또는 구동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웹 페이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 앱(app)은 모바일 콘텐츠를 자유롭게 사고 파는 가상의 장터인 애플리케이션 마켓에서 다운로드 받아서 설치할 수 있다.
다음으로, 암호화 토큰 발행부(420)는 사용자 단말(10)의 신원정보를 시저 암호화, 단일 치환암호화, 다중 치환 암호화, 스트림 암호화, 블록 암호화(ECB 암호화, CBC 암호화, CFB 암호화, OFB 암호화, CTR 암호화)) 중 어느 하나의 암호화 구조가 적용한 암호화 토큰을 발행하는 구성일 수 있다.
참고로, 시저 암호화는 특정 위치를 이동하여 매핑시키는 암호화 방식으로, 암호화키를 z라고 하면 A에서 Z만큰 이동한 C에 맴핑하는 방법을 AB를 암호화하면 Z씩 이동시킨 CD로 암호화하는 구조을 갖는다. 다음으로, 단일 치환암호는 치환표를 이용하여 문자 매핑하여 암호화하는 구조이고, 다중 치환암호는 평문의 문자에 정수 값을 부여하여, N개 문자를 치환한 암호화이고, 스트림 암호화는 비트, 바이트 단위인 키 스크림(Stream) XOR 암호화 구조이고, 블록 암호화는 고정된 길이의 입력 블록을 출력 블록으로 변환하고, 평문을 고정된 블록 별로 암호화처리하는 구조로서, ECB(평문을 블록화한 암호화), DES(블록을 64비트 분할한 암호화), AES(블록을 128 비트 분할한 암호화), CBC(ECB와 동일하게 평문을 블록화하여 암호화한 형태에 처음에 특정 키값을 사용하여 XOR 암호화한 암호화), CFB(패딩없이 블록단위 암호화를 스트림 암호화(bit 단위)로 수행한 형태), OFB(영상, 음성 데이터 및 아날로그 신호에 사용하는 암호화), CTR(평문 블록과 키스트림 XOR 연산 암호화)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암호화하는 형태이다.
또한, 상기 암호화 토큰 발행부(420)는 사용자 단말로 발행된 암호화 토큰 내에 키오스크에서 제공한 사용자가 해당 키오스크를 접촉한 시간, 날짜, 발열온도, 실내매장 내 위치정보(동선)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상술한 암호화 형태 중 어느 하나로 암호화하여 기록 및 저장하는 구성일 수 있다.
상기 암호화 토큰 발행부(420)에서 발행된 암호화 토큰은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하는 키오스크 연동 플랫폼(10)에서 복호화될 수 있다.
한편, 암호화 토큰 발행부(420)는 다양한 암호화 알고리즘(RSA 암호화 알고리즘, HASH 암호화 알고리즘, DES 암호화 알고리즘, AES 암호화 알고리즘, SPEED 암호화 알고리즘 등)을 실행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키오스크 관리부(430)는 안면인식 및 열화상 검출 기능을 갖는 키오스크의 위치정보, 동작상태(정상 및 이상상태 포함)정보 등을 관리하는 구성일 수 있다.
다음으로 AI 검색부(440)는 사용자 단말(200)에서 입력된 키오스크 위치정보, 해당 키오스크가 위치한 매장정보를 AI 알고리즘을 통해 검색하는 구성일 수 있다.
참고로, AI 검색부(224)는 빅데이터를 구축하기 위하여, 저장된 로우 데이터 내에 포함된 비정형(Unstructed) 데이터, 정형(Structured) 데이터 및 반정형 데이터(Semi-structured)를 정제하고, 메타 데이터로 분류를 포함 한 전처리를 실시할 수 있고, 전처리된 데이터를 데이터 마이닝(Data Mining)을 포함하는 분석을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분석된 데이터를 시각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데이터 마이닝은, 전처리된 데이터 간의 내재된 관계를 탐색하여 클래스가 알려진 훈련 데이터 셋을 학습시켜 새로운 데이터의 클래스를 예측하는 분류(Classification) 또는 클래스 정보 없이 유사성을 기준으로 데이터를 그룹짓는 군집화(Clustering)를 수행할 수 있다. 물론, 이외에도 다양한 마이닝 방법이 존재할 수 있으며, 수집 및 저장되는 빅데이터의 종류나 이후에 요청될 질의(Query)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마이닝될 수도 있다. 이렇게 구축된 빅데이터는, 인공신경망 딥러닝이나 기계학습 등으로 검증과정을 거칠수도 있다. 이때, 인공 신경망은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 구조가 이용될 수 있는데, CNN은 컨볼루션 층을 이용한 네트워크 구조로 이미지 처리에 적합하며, 이미지 데이터를 입력으로 하여 이미지 내의 특징을 기반으로 이미지를 분류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텍스트 마이닝(Text Mining)은 비/반정형 텍스트 데이터에서 자연어처리 기술에 기반하여 유용한 정보를 추출, 가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기술이다. 텍스트 마이닝 기술을 통해 방대한 텍스트 뭉치에서 의미 있는 정보를 추출해 내고, 다른 정보와의 연계성을 파악하며, 텍스트가 가진 카테고리를 찾아내거나 단순한 정보 검색 그 이상의 결과를 얻어낼 수 있다.
도 4 내지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면인식 및 열화상 검출기능을 갖는 키오스크 시스템을 이용한 출입통제방법의 다양한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면인식 및 열화상 검출기능을 갖는 키오스크 시스템을 이용한 출입통제방법(S700)은 먼저, 사용자 단말(200)에서 플랫폼(10)을 이용하여 방문할 매장에 대한 출입 대기번호표를 발급(S710)받는다.
이후, 사용자 단말을 소지한 사용자가 해당 매장의 기 설정된 영역에 위치하면, 키오스크(300)에서 해당 사용자의 안면인식 및 체온발열 상태를 감지한 후, 감지결과를 화면 또 음성으로 출력(S720)하고, 만약 감지결과 중 사용자의 신원확인이 불가하거나 또는 안면체온이 기 설정 온도를 초과하면, GPS 측정부로 사용자 단말의 실내위치추적을 요청하고, 추적한 사용자 단말의 실내위치정보를 매장단말로 전송하도록 요청(S730)한다.
이후, 매장단말(500)에서 위치추적이 요청된 사용자 단말(200)의 실내유입여부를 모니터링(S740)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면인식 및 열화상 검출기능을 갖는 키오스크 시스템을 이용한 출입통제방법(S700)은 S710 과정 이전인 상기 출입 대기번호표를 발급받는 단계 이전에, 상기 플랫폼 관리서버에서 상기 플랫폼 내에 입력된 사용자 정보를 암호화한 암호화 토큰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발급(S701)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암호화 토큰은 상기 키오스크를 접촉한 시간, 날짜, 발열온도, 매장 내 위치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암호화문으로 기록 저장하는 프로그램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면인식 및 열화상 검출기능을 갖는 키오스크 시스템을 이용한 출입통제방법(S700)은 플랫폼 관리서버(400)에서 암호화 토큰을 발급받은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를 안면인식 및 발열체크한 키오스크로부터 해당 사용자가 키오스크를 접촉한 시간, 날짜, 발열온도 및 매장 내의 입장여부(실내동선정보 포함)를 암호화 토큰 내에 기록 저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화상 검출기반으로 동작하는 키오스크 및 이와 연동하는 O2O 플랫폼을 이용하면, 발열을 동반하는 감염자가 좁은 공간의 매장에 진입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고, 발열이 감지된 사람의 단말위치를 추적하여 실내 매장 내에 몰래 들어오더라도 손쉽게 발열증상을 갖는 사람을 찾아낼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온라인으로 예약 및 대기현황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순번 정보를 확인하고 예약할 수 있도록 해 일정 시간대에 좁은 장소에 대기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밀집하는 밀집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매장 방문 전에 플랫폼 내에 신원확인정보를 등록하면, 신원정보가 등록된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 확인 후, 간단한 발열 체크 과정만을 통해 매장 진입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는 이점을 제공한다.
도 7은 본 명세서에 개진된 하나 이상의 실시예가 구현될 수 있는 예시적인 컴퓨팅 환경을 도시하는 도면으로, 상술한 하나 이상의 실시예를 구현하도록 구성된 컴퓨팅 디바이스(1100)를 포함하는 시스템(1000)의 예시를 도시한다. 예를 들어,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개인 컴퓨터, 서버 컴퓨터, 핸드헬드 또는 랩탑 디바이스, 모바일 디바이스(모바일폰, PDA, 미디어 플레이어 등), 멀티프로세서 시스템, 소비자 전자기기, 미니 컴퓨터, 메인프레임 컴퓨터, 임의의 전술된 시스템 또는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분산 컴퓨팅 환경 등을 포함하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유닛(1110) 및 메모리(11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싱 유닛(1110)은 예를 들어 중앙처리장치(CPU), 그래픽처리장치(GPU), 마이크로프로세서, 주문형 반도체(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FPGA)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코어를 가질 수 있다. 메모리(1120)는 휘발성 메모리(예를 들어, RAM 등), 비휘발성 메모리(예를 들어, ROM, 플래시 메모리 등)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추가적인 스토리지(113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토리지(1130)는 자기 스토리지, 광학 스토리지 등을 포함하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스토리지(1130)에는 본 명세서에 개진된 하나 이상의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이 저장될 수 있고, 운영 시스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도 저장될 수 있다. 스토리지(1130)에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은 프로세싱 유닛(1110)에 의해 실행되기 위해 메모리(1120)에 로딩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입력 디바이스(들)(1140) 및 출력 디바이스(들)(115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입력 디바이스(들)(1140)은 예를 들어 키보드, 마우스, 펜, 음성 입력 디바이스, 터치 입력 디바이스, 적외선 카메라, 비디오 입력 디바이스 또는 임의의 다른 입력 디바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출력 디바이스(들)(1150)은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스피커, 프린터 또는 임의의 다른 출력 디바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다른 컴퓨팅 디바이스에 구비된 입력 디바이스 또는 출력 디바이스를 입력 디바이스(들)(1140) 또는 출력 디바이스(들)(1150)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컴퓨팅 디바이스(1100)가 다른 디바이스(예를 들어, 컴퓨팅 디바이스(1300))와 통신할 수 있게 하는 통신접속(들)(116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접속(들)(1160)은 모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NIC), 통합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무선 주파수 송신기/수신기, 적외선 포트, USB 접속 또는 컴퓨팅 디바이스(1100)를 다른 컴퓨팅 디바이스에 접속시키기 위한 다른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접속(들)(1160)은 유선 접속 또는 무선 접속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컴퓨팅 디바이스(1100)의 각 구성요소는 버스 등의 다양한 상호접속(예를 들어, 주변 구성요소 상호접속(PCI), USB, 펌웨어(IEEE 1394), 광학적 버스 구조 등)에 의해 접속될 수도 있고, 네트워크(1200)에 의해 상호접속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 "시스템" 등과 같은 용어들은 일반적으로 하드웨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 소프트웨어, 또는 실행중인 소프트웨어인 컴퓨터 관련 엔티티를 지칭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구성요소는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중인 프로세스, 프로세서, 객체, 실행 가능물(executable), 실행 스레드, 프로그램 및/또는 컴퓨터일 수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 상에서 구동중인 애플리케이션 및 컨트롤러 모두가 구성요소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는 프로세스 및/또는 실행의 스레드 내에 존재할 수 있으며, 구성요소는 하나의 컴퓨터 상에서 로컬화될 수 있고, 둘 이상의 컴퓨터 사이에서 분산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에 따른 구성요소를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100: 안면인식 및 열화상 검출기능을 갖는 키오스크 시스템
200: 사용자 단말
300: 키오스크
400: 플랫폼 관리서버
500: 매장단말

Claims (6)

  1. 플랫폼 상에 안면정보를 등록하고, 방문할 매장에 대한 출입 대기번호표를 발급받는 사용자 단말;
    기 설정된 거리 내에 상기 사용자 단말을 소지한 고객이 위치하면, 해당 고객의 안면인식 및 체온발열 상태를 감지한 후, 감지결과를 매장단말로 제공하고, 체온이 기 설정 온도를 초과하는 고객의 실내위치정보를 매장단말로 전송하도록 GPS 측위부에 요청하는 키오스크;
    상기 키오스크 및 상기 GPS 측위부의 전송값을 기초로 체온발열온도가 기 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고객의 실내유입여부를 모니터링하는 매장단말; 및
    상기 플랫폼 내에 입력된 사용자 정보를 암호화한 암호화 토큰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발급하는 플랫폼 관리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플랫폼 관리서버는
    상기 암호화 토큰 내에 상기 키오스크를 접촉한 시간, 날짜, 발열온도, 매장 내 위치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암호화문으로 기록저장하고,
    상기 키오스크는
    출입자의 안면영상을 촬영하는 영상카메라;
    상기 출입자의 안면발열온도를 감지하는 열화상 카메라;
    상기 안면영상을 기초로 출입자의 신원을 확인하고, 상기 안면발열온도를 기초로 출입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정보처리부; 및
    상기 정보처리부로부터 신원확인 및 출입가능지시를 수신하면, 출입번호를 발급하는 출입번호 발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정보처리부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암호화 토큰을 수신할 경우, 상기 안면영역의 열화상 이미지를 기초로 사용자의 출입가능 여부만을 판단하는 안면인식 및 열화상 검출기능을 갖는 키오스크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처리부는
    상기 안면발열온도가 기 설정된 발열온도를 초과할 경우, 해당 출입자의 사용자 단말의 위치추적을 상기 GPS 측위부로 요청하는 안면인식 및 열화상 검출기능을 갖는 키오스크 시스템.
  4. 삭제
  5. 사용자 단말에서 플랫폼을 이용하여 방문할 매장에 대한 출입 대기번호표를 발급받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을 소지한 사용자가 해당 매장의 기 설정된 영역에 위치하면, 키오스크에서 해당 사용자의 안면인식 및 체온발열 상태를 감지한 후, 감지결과를 표시하는 단계;
    감지결과 중 사용자의 신원확인이 불가하거나 또는 안면체온이 기 설정 온도를 초과하면, GPS 측정부로 사용자 단말의 실내위치추적을 요청하고, 추적한 사용자 단말의 실내위치정보를 매장단말로 전송하도록 요청하는 단계; 및
    매장단말에서 위치추적이 요청된 사용자 단말의 실내유입여부를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출입 대기번호표를 발급받는 단계 이전에,
    플랫폼 관리서버에서 상기 플랫폼 내에 입력된 사용자 정보를 암호화한 암호화 토큰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발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암호화 토큰은 상기 키오스크를 접촉한 시간, 날짜, 발열온도, 매장 내 위치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암호화문으로 기록 저장하는 프로그램이고,
    상기 키오스크는
    출입자의 안면영상을 촬영하는 영상카메라;
    상기 출입자의 안면발열온도를 감지하는 열화상 카메라;
    상기 안면영상을 기초로 출입자의 신원을 확인하고, 상기 안면발열온도를 기초로 출입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정보처리부; 및
    상기 정보처리부로부터 신원확인 및 출입가능지시를 수신하면, 출입번호를 발급하는 출입번호 발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정보처리부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암호화 토큰을 수신할 경우, 상기 안면영역의 열화상 이미지를 기초로 사용자의 출입가능 여부만을 판단하는 안면인식 및 열화상 검출기능을 갖는 키오스크 시스템을 이용한 출입통제방법.
  6. 삭제
KR1020210017836A 2021-02-08 2021-02-08 안면인식 및 열화상 검출기능을 갖는 키오스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출입통제방법 KR1024641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7836A KR102464186B1 (ko) 2021-02-08 2021-02-08 안면인식 및 열화상 검출기능을 갖는 키오스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출입통제방법
PCT/KR2021/012608 WO2022169055A1 (ko) 2021-02-08 2021-09-15 안면인식 및 열화상 검출기능을 갖는 키오스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출입통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7836A KR102464186B1 (ko) 2021-02-08 2021-02-08 안면인식 및 열화상 검출기능을 갖는 키오스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출입통제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4389A KR20220114389A (ko) 2022-08-17
KR102464186B1 true KR102464186B1 (ko) 2022-11-09

Family

ID=82741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7836A KR102464186B1 (ko) 2021-02-08 2021-02-08 안면인식 및 열화상 검출기능을 갖는 키오스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출입통제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64186B1 (ko)
WO (1) WO202216905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6632A (ko) 2021-12-08 2023-06-15 주식회사 큐브릭디지털 체온, 마스크 착용, 전자출입명부 QR 코드 체킹을 지원하는 단독형 Covid -19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2864B1 (ko) * 2016-11-18 2017-08-30 차경진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무인판매기 결제 시스템
KR102139341B1 (ko) * 2020-04-14 2020-07-30 주식회사 중원인더스트리 감염병 확산 방지를 위한 출입통제 시스템
KR102141172B1 (ko) 2020-02-10 2020-08-04 주식회사 드림아이티솔루션 인공지능 및 사물인터넷을 적용한 키오스크 주문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08984A (ja) 2001-07-27 2003-04-11 Toshiba Corp 顔画像認識装置、通行制御装置、顔画像認識方法、及び通行制御方法
JP7054800B2 (ja) * 2017-04-26 2022-04-1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深部体温測定装置、深部体温測定システム及び深部体温測定方法
KR20180136150A (ko) * 2017-06-14 2018-12-24 주식회사 씨에이치솔루션 듀얼 카메라를 이용한 온도 추적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KR20190141410A (ko) * 2018-06-14 2019-12-24 (주)이지위드 키오스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143231B1 (ko) * 2020-03-26 2020-08-10 주식회사 동진에스앤디 얼굴 감시 및 열화상 감시를 이용한 건강 이상 감지방법, 건강 이상 감지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134903B1 (ko) * 2020-06-08 2020-07-17 주식회사 유니온씨티 감염예방 인증 키오스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2864B1 (ko) * 2016-11-18 2017-08-30 차경진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무인판매기 결제 시스템
KR102141172B1 (ko) 2020-02-10 2020-08-04 주식회사 드림아이티솔루션 인공지능 및 사물인터넷을 적용한 키오스크 주문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139341B1 (ko) * 2020-04-14 2020-07-30 주식회사 중원인더스트리 감염병 확산 방지를 위한 출입통제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6632A (ko) 2021-12-08 2023-06-15 주식회사 큐브릭디지털 체온, 마스크 착용, 전자출입명부 QR 코드 체킹을 지원하는 단독형 Covid -19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4389A (ko) 2022-08-17
WO2022169055A1 (ko) 2022-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365445A1 (en) Technologies for collecting, managing, and providing contact tracing information for infectious disease response and mitigation
US20140273857A1 (en) Systems and methods to secure short-range proximity signals
CN104321666B (zh) 用于可信位置应用与位置提供器通信的技术
US10043019B2 (en) External dataset-based outlier detection for confidential data in a computer system
US11178596B2 (en) Identifying users via mobile hotspots
US10095753B2 (en) Aggregation and generation of confidential data insights with confidence values
US20080155258A1 (en) Non-volatile memory sub-system integrated with security for storing near field transactions
US10157291B1 (en) Collection flow for confidential data
Malik et al. Novel roadside unit positioning framework in the context of the vehicle-to-infrastructure communication system based on AHP—Entropy for weighting and borda—VIKOR for uniform ranking
Sattler et al. Risk estimation of SARS-CoV-2 transmission from bluetooth low energy measurements
US10268839B1 (en) Anonymizing and grouping confidential data from members
US2018035960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nsing and locating passive electronic devices
KR20160106289A (ko)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전자 장치의 컨텐츠 제공 방법
US10262154B1 (en) Computerized matrix factorization and completion to infer median/mean confidential values
US20170048210A1 (en) Re-programmable secure device
KR102464186B1 (ko) 안면인식 및 열화상 검출기능을 갖는 키오스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출입통제방법
US10261958B1 (en) Generating an association between confidential data and member attributes
US10999258B2 (en) Dynamic transmission of encrypted data
US10440009B1 (en) Cross-device user identification and content access control using cookie stitchers
US10484387B1 (en) Tracking submission of confidential data in a computer system
US20180089444A1 (en) Outlier detection based on distribution fitness
KR20200056604A (ko) 출입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10044693B1 (en) Security for confidential data
Rashid et al. A survey on social-physical sensing: An emerging sensing paradigm that explores the collective intelligence of humans and machines
Ren et al. LANDMARC indoor positioning algorithm based on density-based spatial clustering of applications with noise–genetic algorithm–radial basis function neural net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