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3220B1 - Sc-fde 방식의 위상 잡음 보상을 위한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Sc-fde 방식의 위상 잡음 보상을 위한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3220B1
KR102463220B1 KR1020210014548A KR20210014548A KR102463220B1 KR 102463220 B1 KR102463220 B1 KR 102463220B1 KR 1020210014548 A KR1020210014548 A KR 1020210014548A KR 20210014548 A KR20210014548 A KR 20210014548A KR 102463220 B1 KR102463220 B1 KR 1024632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block
data
phase noise
receiving device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45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11381A (ko
Inventor
박형숙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100145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3220B1/ko
Priority to US17/541,143 priority patent/US11637725B2/en
Publication of KR202201113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13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32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32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45Arrangements at the receiver end
    • H04L1/0047Decoding adapted to other signal detection operation
    • H04L1/005Iterative decoding, including iteration between signal detection and decoding ope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3Shaping networks in transmitter or receiver, e.g. adaptive shaping networks
    • H04L25/03006Arrangements for removing intersymbol interference
    • H04L25/03159Arrangements for removing intersymbol interference operating in the frequency doma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06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forma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06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format
    • H04L1/0007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format by modifying the frame l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202Channel estimation
    • H04L25/0222Estimation of channel variability, e.g. coherence bandwidth, coherence time, fading frequenc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02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 H04L1/000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by switching between different modulation sche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3Shaping networks in transmitter or receiver, e.g. adaptive shaping networks
    • H04L25/03006Arrangements for removing intersymbol interference
    • H04L25/03012Arrangements for removing intersymbol interference operating in the time doma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igital Transmission Methods That Use Modulated Carrier Waves (AREA)
  • Noise Elimination (AREA)

Abstract

SC-FDE 방식으로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장치의 동작 방법은 복수의 데이터 블록들을 포함한 프레임에 속한 N번째 데이터 블록을 전송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상기 복수의 데이터 블록들 각각은 데이터 구간과 고유어(unique word, UW) 구간을 포함함; 상기 N번째 데이터 블록의 UW 구간에서 수신된 제1 UW를 버퍼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프레임에 속한 (N+1) 번째 데이터 블록을 상기 전송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UW와 상기 (N+1) 번째 데이터 블록의 UW 구간에서 수신된 제2 UW를 결합하여 시간 영역에서의 위상 잡음(phase noise)을 추정하는 단계; 및 상기 추정된 위상 잡음에 따른 시간 영역 보상을 상기 (N+1) 번째 데이터 블록에 적용하고, 상기 (N+1) 번째 데이터 블록의 데이터를 복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SC-FDE 방식의 위상 잡음 보상을 위한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Transceiving method for phase noise compensation in SC-FDE scheme, and apparatus therefor}
본 발명은 위상 잡음 보상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밀리미터파 이상의 통신 대역에서 SC-FDE(Single Carrier-Frequency Domain Equalizer) 방식의 데이터 송수신에서 위상 잡음을 추정하고 보상하기 위한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100Gbps 이상의 데이터 전송을 수용하기 위해 초광대역 주파수 확보가 가능한 100GHz 이상 초고주파 대역 무선통신이 주목받고 있다. 초고주파 대역으로 갈수록 RF 트랜시버 소자의 한계로 기저대역 변복조 신호의 성능 열화를 가져오는 RF Impairment 요소의 중요도가 높아질 것으로 예상되며, 대표적으로 전력증폭기의 비선형성, 오실레이터의 위상 잡음 등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5G NR 밀리미터파 대역에서는 CP-OFDM 방식을 사용하고 있으나, 초고주파 대역에서는 위와 같은 요소를 반영한 새로운 waveform이 고려될 수 있다. 단일 캐리어 (Single Carrier : SC) 방식은 CP-OFDM 방식에 비해 PAPR(Peak to Average Ratio)이 작아 전력증폭기기 효율성 관점에서 유력한 후보가 될 수 있으며, 60GHz 대역의 IEEE 802.11ad 규격 등에 포함된 SC-FDE(Single Carrier-Frequency Domain Equalizer) 방식이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다. 주파수 대역이 높아짐에 따라 높은 주파수의 오실레이터가 필요하므로 주파수 체배기는 필수적이며, 주파수 체배기는 입력 대비 K배의 출력 주파수를 갖게 되어 위상 잡음 특성을 20Log10K 만큼 증가시킨다. 이와 같은 위상 잡음은 시스템의 성능 열화를 야기하므로 이를 극복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밀리미터파 이상의 대역에서 SC-FDE 방식의 위상 잡음에 따른 성능 열화 개선하기 위한 데이터 수신을 위한 수신 장치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수신 장치에 대응되는 전송 장치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밀리미터파 이상의 대역에서 SC-FDE 방식의 위상 잡음에 따른 성능 열화 개선하기 위한 데이터 수신을 위한 수신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SC-FDE 방식으로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장치의 동작 방법으로, 복수의 데이터 블록(data block)들을 포함한 프레임(frame)에 속한 N번째(N은 1이상의 정수) 데이터 블록을 전송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상기 복수의 데이터 블록들 각각은 데이터 구간과 고유어(unique word, UW) 구간을 포함함; 상기 N번째 데이터 블록의 UW 구간에서 수신된 제1 UW를 버퍼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프레임에 속한 (N+1) 번째 데이터 블록을 상기 전송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UW와 상기 (N+1) 번째 데이터 블록의 UW 구간에서 수신된 제2 UW를 결합하여 시간 영역에서의 위상 잡음(phase noise)을 추정하는 단계; 및 상기 추정된 위상 잡음에 따른 시간 영역 보상을 상기 (N+1) 번째 데이터 블록에 적용하고, 상기 (N+1) 번째 데이터 블록의 데이터를 복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UW와 상기 제2 UW는 동일한 시퀀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UW와 상기 제2 UW 각각은 동일 길이의 고레이(Golay) 시퀀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위상 잡음을 추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1 UW에 제1 가중치가 적용되고 상기 제2 UW에 제2 가중치가 적용되는 가중 결합 방식으로, 상기 제1 가중치와 상기 제2 가중치에 의해서 정의되는 윈도우(window) 구간 내에서 상기 제1 UW와 상기 제2 UW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윈도우 구간의 길이는 상기 복수의 데이터 블록들에 적용되는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 레벨에 따라 상기 수신 장치에 의해서 상기 UW 구간의 길이 이내에서 가변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데이터 블록들에 적용되는 MCS 레벨이 고차(higher) 변조에 대응될수록 상기 윈도우 구간의 길이가 증가될 수 있다.
상기 UW 구간의 길이는 상기 복수의 데이터 블록들에 적용되는 MCS 레벨에 따라 상기 전송 장치에 의해서 가변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데이터 블록들에 적용되는 MCS 레벨이 고차 변조에 대응될수록 상기 UW 구간의 길이가 증가될 수 있다.
상기 N번째 데이터 블록이 상기 프레임 내의 첫번째 데이터 블록인 경우, 상기 제1 UW만을 이용하여 상기 시간 영역에서의 위상 잡음이 추정되고, 상기 추정된 위상 잡음에 따른 시간 영역 보상이 상기N 번째 데이터 블록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SC-FDE 방식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전송 장치의 동작 방법으로, 복수의 데이터 블록(data block)들을 포함한 프레임(frame)에 속한 N번째(N은 1이상의 정수) 데이터 블록을 수신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데이터 블록 각각은 데이터 구간과 고유어(unique word, UW) 구간을 포함함; 및 상기 프레임에 속한 (N+1) 번째 데이터 블록을 상기 수신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N번째 데이터 블록의 UW 구간에서 전송되는 제1 UW와 상기 (N+1) 번째 데이터 블록의 UW 구간에서 전송되는 제2 UW가 상기 수신 장치에서 결합되어 시간 영역에서 추정된 위상 잡음(phase noise)에 대한 시간 영역 보상이 상기 (N+1) 번째 데이터 블록에 적용되며, 상기 제1 UW와 상기 제2 UW는 동일한 시퀀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UW와 상기 제2 UW 각각은 동일 길이의 고레이(Golay) 시퀀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위상 잡음은, 상기 제1 UW에 제1 가중치가 적용되고 상기 제2 UW에 제2 가중치가 적용되는 가중 결합 방식으로, 상기 제1 가중치와 상기 제2 가중치에 의해서 정의되는 윈도우(window)의 구간 내에서 상기 제1 UW와 상기 제2 UW가 결합되어 추정될 수 있다.
상기 UW 구간의 길이는 상기 복수의 데이터 블록들에 적용되는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 레벨에 따라 상기 전송 장치에 의해서 가변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데이터 블록들에 적용되는 MCS 레벨이 고차 변조에 대응될수록 상기 UW 구간의 길이가 증가될 수 있다.
상기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SC-FDE 방식으로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장치로서, 프로세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제어되는 수신기(receiver)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설행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는 상기 프로세서가: 복수의 데이터 블록(data block)들을 포함한 프레임(frame)에 속한 N번째(N은 1이상의 정수) 데이터 블록을 상기 수신기를 이용하여 전송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데이터 블록 각각은 데이터 구간과 고유어(unique word, UW) 구간을 포함함; 상기 N번째 데이터 블록의 UW 구간에서 수신된 제1 UW를 버퍼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프레임에 속한 (N+1) 번째 데이터 블록을 상기 수신기를 이용하여 상기 전송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UW와 상기 (N+1) 번째 데이터 블록의 UW 구간에서 수신된 제2 UW를 결합하여 시간 영역에서의 위상 잡음(phase noise)을 추정하는 단계; 및 상기 추정된 위상 잡음에 따른 시간 영역 보상을 상기 (N+1) 번째 데이터 블록에 적용하고, 상기 (N+1) 번째 데이터 블록의 데이터를 복조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UW와 상기 제2 UW는 동일한 시퀀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UW와 상기 제2 UW 각각은 동일 길이의 고레이(Golay) 시퀀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위상 잡음을 추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1 UW에 제1 가중치가 적용되고 상기 제2 UW에 제2 가중치가 적용되는 가중 결합 방식으로, 상기 제1 가중치와 상기 제2 가중치에 의해서 정의되는 윈도우(window) 구간 내에서 상기 제1 UW와 상기 제2 UW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윈도우 구간의 길이는 상기 복수의 데이터 블록들에 적용되는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 레벨에 따라 상기 수신 장치에 의해서 상기 UW 구간의 길이 이내에서 가변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데이터 블록들에 적용되는 MCS 레벨이 고차 변조에 대응될수록 상기 윈도우 구간의 길이가 증가될 수 있다.
상기 UW 구간의 길이는 상기 복수의 데이터 블록들에 적용되는 MCS 레벨에 따라 상기 전송 장치에 의해서 가변될 수 있다.
상기 N번째 데이터 블록이 상기 프레임 내의 첫번째 데이터 블록인 경우, 상기 제1 UW만을 이용하여 상기 시간 영역에서의 위상 잡음이 추정되고, 상기 추정된 위상 잡음에 따른 시간 영역 보상이 상기N 번째 데이터 블록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SC-FDE 방식의 데이터 수신에서 UW 수신 신호의 일부 샘플들을 이전 UW 수신 신호의 샘플들이 가중치 결합함으로써 위상 잡음 보상 성능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초고주파대역의 위상 잡음 환경에서 SC-FDE 프레임의 UW 길이를 MCS 레벨에 따라 가변하므로써 고차변조방식에 대한 성능 열화가 개선될 수 있다. 가변 UW 길이를 적용하는 방식은 고차변조 방식에 대해 약간의 오버헤드를 증가시킬 수 있으나, 기존 기술 대비 수신기의 복잡도를 줄이고, 추가적인 시간 지연 없이 고차변조 방식에 대한 위상 잡음 성능을 개선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SC-FDM 방식에 적용되는 프레임 구조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초고주파 대역의 예측 위상 잡음 모델에 따른 PSD(power spectral density)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C-FDE 방식에서 위상 잡음이 보상되는 데이터 수신 방법을 설명하기 개념도이다.
도 4는 종래 기술의 알고리즘을 이용한 SC-FDE 방식의 BLER 성능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수신 방법에서 16QAM 및 부호화 율 2/3이 적용된 경우의 BLER 성능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수신 방법에서 64QAM 및 부호화율 2/3이 적용된 경우의 BLER 성능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가변 UW 길이를 가지는 SC-FDE 패킷의 구조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수신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수신 방법을 수행하는 수신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5G NR에서 사용되는 CP-OFDM 방식은 위상 잡음을 보상하기 위해 phase tracking reference signal(PTRS)를 도입하여 위상 잡음으로부터 야기되는 CPE(Common Phase Error)를 보상한다. 한편, 초고주파대역 위상 잡음 하에서는 부반송파 간격을 더 높이거나 ICI(Inter carrier interference) 제거 기술을 이용하여 극복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초고주파 대역에서는 새로운 waveform이 고려될 수 있다. 단일 캐리어(Single Carrier : SC) 방식은 CP-OFDM 방식에 비해 PAPR(Peak to Average Ratio)이 작아 전력증폭기기 효율성 관점에서 유력한 후보가 될 수 있으며, 60GHz 대역의 IEEE 802.11ad 규격 등에 포함된 SC-FDE(Single Carrier-Frequency Domain Equalizer) 방식이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다.
도 1은 SC-FDM 방식에 적용되는 프레임 구조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에서는, IEEE802.11ad 표준에서 정의하는 프레임(100)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하나의 프레임은 프리앰블(preamble, 110)과 복수의 데이터 블록들(120)로 구성된다. 각각의 데이터 블록(예컨대, 121)은 데이터 구간(121-1)과 고유어(unique word, UW) 구간(121-2)로 구성된다.
데이터 블록 당 심볼수로 512를 가정하였을 때(즉, N=512), 하나의 데이터 블록은 Ns개의 심볼들에 대응되는 데이터 부분(121-1)과 Ng 길이의 UW 구간(121-2)으로 구성된다. 즉, 각 데이터 블록의 길이(N)은
Figure 112021013303973-pat00001
로 정의된다. 고유어로 Ga64 Golay sequence가 사용될 수 있으며, i번째 데이터 블록의 UW는 (i+1) 번째 데이터 블록의 CP(cyclic prefix)로 간주될 수 있다. UW의 길이 Ng는 채널 임펄스 길이 L보다 크게 설정된다.
위상 잡음을 가진 SC-FDE 수신신호
Figure 112021013303973-pat00002
는 하기 수학식 1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21013303973-pat00003
여기서,
Figure 112021013303973-pat00004
는 위상 잡음을 나타내는 NxN 크기를 가지는 대각(diagonal) 행렬이다.
Figure 112021013303973-pat00005
는 수신 신호 샘플
Figure 112021013303973-pat00006
의 위상 잡음
Figure 112021013303973-pat00007
에 해당하는 샘플 값이며,
Figure 112021013303973-pat00008
는 데이터와 UW로 구성된 i번째 데이터 블록의 송신 신호이다.
Figure 112021013303973-pat00009
Figure 112021013303973-pat00010
는 하기 수학식 2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21013303973-pat00011
Figure 112021013303973-pat00012
채널
Figure 112021013303973-pat00013
는 NxN 크기의 순환행렬(circulant matrix) 행렬이며, 채널
Figure 112021013303973-pat00014
의 첫번째 열은
Figure 112021013303973-pat00015
이다. 위상 잡음이 없다면
Figure 112021013303973-pat00016
는 NxN 크기의 단위행렬
Figure 112021013303973-pat00017
이 되며, 수신신호는
Figure 112021013303973-pat00018
로 정의된다. i번째 데이터 블록의 UW
Figure 112021013303973-pat00019
에 대한 수신신호는 하기 수학식 3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21013303973-pat00020
수신 장치에서는 프리앰블(preamble)을 이용하여
Figure 112021013303973-pat00021
을 추정하여 UW 신호를 하기 수학식 4와 같이 검출할 수 있다.
Figure 112021013303973-pat00022
UW 구간 동안의 위상 잡음이
Figure 112021013303973-pat00023
와 같이 일정하다고 가정하면, UW 구간에 해당되는 위상 잡음은 하기 수학식 5와 같이 구해질 수 있다.
Figure 112021013303973-pat00024
하나의 데이터 블록의 위상 잡음은 일정하다는 가정 하에, 수신 장치는 해당 데이터 블록의 UW를 이용하여 추정한 위상 잡음
Figure 112021013303973-pat00025
에 따라 수신 신호
Figure 112021013303973-pat00026
에서 하기 수학식6과 같이 위상 잡음을 시간 영역에서 보상할 수 있다.
Figure 112021013303973-pat00027
이와 같이 초기 위상 잡음이 보상된 수신신호
Figure 112021013303973-pat00028
에 SC-FDE 복조과정을 거쳐 초기 수신 신호(
Figure 112021013303973-pat00029
)가 하기 수학식 7과 같이 검출될 수 있다.
Figure 112021013303973-pat00030
여기서,
Figure 112021013303973-pat00031
는 NxN크기의 FFT 행렬이며,
Figure 112021013303973-pat00032
Figure 112021013303973-pat00033
원소를 가지는 이퀄라이저(equalizer) 대각 행렬이다. 위상 잡음에 민감한 64QAM 과 같은 고차변조방식의 성능 열화가 예상되어 위와 같이 초기 위상 잡음을 보상한 후 decision-directed 보상 기술 등을 적용하여 성능을 개선하는 알고리즘이 있으나, 이는 하드웨어 복잡도가 증가하고 추가적인 시간지연이 발생하게 된다.
한편, 초고주파 대역에서는 높은 중심 주파수를 얻기 위해서 입력 대비 K배의 주파수를 출력하는 주파수 체배기(multiplier)가 이용된다. 이러한 주파수 체배기는 위상 잡음 특성을 20Log10K 만큼 증가시킨다. 이와 같은 위상 잡음 증가에 따른 성능 분석을 위하여 5G NR의 PTRS 설계를 위해 사용한 위상 잡음 모델을 활용하여 초고주파 대역의 위상 잡음 모델을 예측하였다.
도 2는 초고주파 대역의 예측 위상 잡음 모델에 따른 PSD(power spectral density)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에서, 실선은 30GHz 대역의 위상 잡음 모델을 나타내고, 점선은 30GHz 주파수 대역에서 20Log10(300/30) 만큼 잡음이 증가한 300GHz 주파수 대역의 위상 잡음 모델을 나타낸다.
종래 기술에 따른 SC-FDE 방식에서는, UW를 이용하여 시간 영역에서 초기 위상 잡음을 추정한 수신신호에 대해 복조 또는 코덱 출력을 검출한 다음 반복적(iterative)으로 위상 잡음을 추정하여 성능을 개선한다. 실제 수신기에서 반복적인 루프(iterative loop)를 이용하는 방법은 하드웨어 복잡도를 증가시키고 시간 지연이 발생하여 실제 수신기에 적용하기는 어려워진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C-FDE 방식에서 위상 잡음이 보상되는 데이터 수신 방법을 설명하기 개념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SC-FDE 방식의 UW를 이용하여 시간 영역에서의 위상 잡음을 추정할 때 시간 영역에서 UW의 검출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서, 매 데이터 블록마다 동일한 UW를 전송할 수 있다. 즉, (i-1) 번째 데이터 블록의 UW를 버퍼에 저장하고 이를 i 번째 데이터 블록의 UW과 결합하여 이용하는 방식이다. 이는 하기 수학식 8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다만, 0번째 데이터 블록은 해당 데이터 블록의 UW만을 이용할 수 있다.
Figure 112021013303973-pat00034
수학식 8에서는, 두 데이터 블록들의 UW 신호를 결합하는 과정에서 가중 결합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즉, i번째 데이터 블록의 UW에는 제1 가중치
Figure 112021013303973-pat00035
이 적용되고 (i-1) 번째 데이터 블록의 UW에는 제2 가중치
Figure 112021013303973-pat00036
이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가중치들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반적인 Rectangular 윈도우의 경우,
Figure 112021013303973-pat00037
로 설정될 수 있다. Constant 윈도우의 경우,
Figure 112021013303973-pat00038
로 설정될 수 있다. 이를 일반화하여 표현하면, (i-1)번째 데이터 블록과 i번째 데이터 블록의 구간 별로 적용되는 가중치는 하기 수학식 9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즉, 구간(
Figure 112021013303973-pat00039
)는 (i-1)번째 데이터 블록의 UW 구간을 의미하며, 구간(
Figure 112021013303973-pat00040
)는 i번째 데이터 블록의 데이터 구간을 의미하여, 구간(
Figure 112021013303973-pat00041
)는 i번째 데이터 블록의 UW 구간을 의미한다.
Figure 112021013303973-pat00042
여기서, 해당 프레임 내의 첫번째 데이터 블록은 해당 데이터 블록의 UW만 사용하며, 해당 프레임 내의 두번째 데이터 블록부터 상술된 UW의 결합 적용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방식은 추가적인 시간 지연을 요구하지 않으며, 하기 수학식 10으로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21013303973-pat00043
이하에서는, 300GHz 대역 위상 잡음이 존재할 때 SC-FDE 방식의 성능을 살펴보기 위해 다음과 같은 시뮬레이션 파라메터들을 사용한다.
캐리어 주파수 : 300GHz
샘플링 주파수 : 3.072GHz
FFT 크기 : N=Ns+Ng , (512=448+64), (1024=448*2+64*2)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 : 16QAM 2/3, 64QAM 2/3
채널 코딩 : 터보 코드(Turbo code) 사용
채널 추정 : 프리앰블(preamble) 이용
도 4는 종래 기술의 알고리즘을 이용한 SC-FDE 방식의 BLER 성능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16QAM 및 64QAM MCS 레벨에 종래 기술에 따른 알고리즘을 적용하였을 때, Iteration loop(즉, 도 4에서 Iter)가 증가할수록 성능이 개선됨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Iter0은 수학식 7과 같이 초기 위상 잡음 보상만을 수행한 경우를 나타낸다. 상술된 구조에 의해서 위상 잡음에 대한 성능 개선은 가능하지만, 하드웨어 복잡도가 증가하며, 추가적인 시간지연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윈도우를 적용한 UW수신신호 샘플에 가중치를 주어 결합하기 위해 다음 식과 같은 2가지 윈도우를 사용하였다. 수학식 11은 constant 윈도우를 표현하며, 수학식 12는 근사 최적 결합 가중치을 가지는 윈도우를 표현한 것이다.
Figure 112021013303973-pat00044
Figure 112021013303973-pat00045
Figure 112021013303973-pat00046
상기 수학식 12에서의 결합 가중치들은 위상 잡음이 존재하는 경우 OFDM 방식에서 CP(cyclic prefix)를 결합하기 위해 이용되는 가중치들이다. 자세한 사항은 선행논문[Chun-Ying Ma, et.al., "A Simple ICI suppression Method Utilizing Cyclic Prefix for OFDM Systems in the presence of Phase noise", IEEE Trans. Commun., vol.61, no. 11, November 2013]에서 설명된다. 수학식 12에서,
Figure 112021013303973-pat00047
는 샘플링 타임,
Figure 112021013303973-pat00048
는 one pole/one zero 위상 잡음 모델의 pole 주파수이며, VCO 규격이나, 측정을 통해 얻어질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수신 방법에서 16QAM 및 부호화 율 2/3이 적용된 경우의 BLER 성능을 도시한 그래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수신 방법에서 64QAM 및 부호화율 2/3이 적용된 경우의 BLER 성능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5 및 도 6에서는, 기존의 알고리즘에 따른 성능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성능의 비교를 위해 도 4의 Iter4에 해당하는 결과를 Red 실선으로 도시하였으며, Blue 실선이 N=512일 때 윈도우 길이 q에 따른 BLER 성능 결과이다. 다음으로 N=1024일 때 윈도우 길이 q에 따른 성능은 Magenta 실선으로 나타내었다. 또한, Black 실선(
Figure 112021013303973-pat00049
)은 위상 잡음이 존재하지 않을 때이며, Black 실선(o)은 수학식 6의 초기 위상 잡음만 보상한 경우에 해당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16QAM 은 N 이 1024일 경우에도 BLER이 10-2 이상을 만족하며, 64QAM 은 N=512일때는 BLER 10-2 정도를 충분히 만족하나, N=1024인 경우는 약 10-1 정도의 성능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윈도우 길이 q에 따라 성능이 달라지므로 채널 지연 확산(delay spread)에 따라 UW길이가 Ng 로 정해졌다면, 정해진 Ng 길이에서 윈도우 길이를 결정하는 것은 수신 장치에서 선택할 수 있는 파라메터이며, 고차 변조 방식에 Ng 길이를 더 길게 선택하면 윈도우 길이 q를 더 크게 선택할 수 있게 되므로, MCS 레벨에 따라 기본 UW 길이 Ng를 조절하여 송신 프레임을 만들 수 있다.
일 예로, MCS 16QAM 일 때의 Ng를 Ng=Ng1로 정의하면 64QAM일 때의 Ng는 Ng2로 표현될 수 있다. 이때, Ng2> Ng1의 관계를 가질 수 있다. 이는 하기 수학식 13으로 표현될 수 있다. 일 예로 n=0,1,2 일 수 있다.
Figure 112021013303973-pat00050
Kg는 SC-FDE 패킷 구성에서 UW를 Golay Sequence를 사용하였으므로 길이 8의 Golay Sequence가 될 수 있으며, FFT 크기 N은 고정이므로 UW 길이 Ng의 길이에 따라 데이터 길이 Ns가 바뀌게 되어 추가적인 오버헤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MCS 레벨에 따라 가변적인 UW의 길이를 미리 정의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가변 UW 길이를 가지는 SC-FDE 패킷의 구조를 도시한 개념도이며, 표 1은 MCS 레벨(IMCS)에 따라 가변적인 UW의 길이를 정의하는 테이블의 예시이다. 표1에서, MCS1, MCS2, MCS3는 변조방식과 부호화 율(code rate)에 따라 정의될 수 있다.
Scheduled MCS UW 길이
lMCS<MCS1 Ng
MCS1< lMCS <MCS2 Ng +Kg
MCS2< lMCS <MCS3 Ng +2*Ks
대체로 64QAM 이상일 때 UW 길이가 증가될 것으로 예상된다. 앞서 설명된 수학식 13에 따라 데이터 심볼의 길이도 하기 수학식 14와 같이 가변될 수 있다.
Figure 112021013303973-pat00051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수신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을 참고하여 설명되는 데이터 수신 방법은 수신 장치에서 수행되는 동작 방법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수신 장치는 복수의 데이터 블록(data block)들을 포함한 프레임(frame)에 속한 N번째(N은 1이상의 정수) 데이터 블록을 전송 장치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S810). 이때, 프레임은 앞서 도 1을 통해서 설명된 바와 같이, 프리앰블과 복수의 데이터 블록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데이터 블록들은 데이터 구간(121-1)과 UW 구간(121-2)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수신 장치는 N번째 데이터 블록의 UW 구간에 수신된 제1 UW를 버퍼(buffer)에 저장할 수 있다(S820). 다음으로, 수신 장치는 상기 프레임에 속한 (N+1) 번째 데이터 블록을 상기 전송 장치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S830).
다음으로, 수신 장치는 상기 N번째 데이터 블록의 제1 UW와 상기 (N+1) 번째 데이터 블록의 UW 구간에서 수신된 제2 UW를 결합하여 시간 영역에서의 위상 잡음(phase noise)을 추정할 수 있다(S840). 제1 UW와 제2 UW는 동일한 시퀀스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UW와 제2 UW는 동일한 길이를 가지는 동일한 고레이(Golay) 시퀀스로 구성될 수 있다.
단계(S840)에서 수행되는 제1 UW와 제2 UW의 결합은 상기 제1 UW에 제1 가중치가 적용되고 상기 제2 UW에 제2 가중치가 적용되는 가중 결합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가중치와 상기 제2 가중치에 의해서 정의되는 윈도우(window) 구간 내에서 상기 제1 UW와 상기 제2 UW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가중치와 상기 제2 가중치는 예를 들어 수학식 11에 의해 정의되는 윈도우의 구간 내에서 결합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 가중치와 상기 제2 가중치는 예를 들어 수학식 12에 의해 정의되는 윈도우의 구간 내에서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상기 수학식 11 및 수학식 12에 한정되지 않고, 제1 가중치와 제2 가중치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한편, 단계(S840)에서 수행되는 위상 잡음의 추정은 앞서 설명된 수학식 5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수신 장치는 상기 추정된 위상 잡음에 따른 시간 영역 보상을 상기 (N+1) 번째 데이터 블록에 적용하고, 상기 (N+1) 번째 데이터 블록의 데이터를 복조할 수 있다(S850). 상기 시간 영역 보상의 적용은 앞서 설명된 수학식 6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고, 상기 (N+1) 번째 데이터 블록의 데이터의 복조는 앞서 설명된 수학식 7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단계(S850)을 수행한 이후에, 수신 장치는 (N+1) 번째 데이터 블록과 (N+2) 번째 데이터 블록에 대해서 상기 단계 S810 내지 S850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후의 데이터 블록들에 대해서도 상기 단계 S810 내지 S850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도 5 및 도 6을 통해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윈도우 구간의 길이는 상기 복수의 데이터 블록들에 적용되는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 레벨에 따라 상기 수신 장치에 의해서 상기 UW 구간의 길이 이내에서 가변될 수 있다.
상기 수신 장치에 의한 윈도우 구간의 길이 조절에 추가적으로 또는 상기 수신 장치에 의한 윈도우 구간의 길이 조절을 대체하여 전송 장치에서 UW 구간을 길이는 상기 복수의 데이터 블록들에 적용되는 MCS 레벨에 따라 가변할 수도 있다.
상기 윈도우 구간의 길이나 UW 구간의 길이는 상기 복수의 데이터 블록들에 적용되는 MCS 레벨이 고차 변조(higher order modulation)에 대응될수록 증가되도록 가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N번째 데이터 블록이 상기 프레임 내의 첫번째 데이터 블록인 경우, 상기 제1 UW만을 이용하여 상기 시간 영역에서의 위상 잡음이 추정되고, 상기 추정된 위상 잡음에 따른 시간 영역 보상이 상기N 번째 데이터 블록에 적용될 수 있다.
도 8에서는 수신 장치의 동작 방법이 설명되었으나, 상기 수신 장치에 프레임을 전송하는 전송 장치는 상기 수신 장치의 동작 방법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수신 방법을 수행하는 수신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수신 장치(9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910), 메모리(920) 및 전송 장치가 전송하는 프레임을 수신하는 송수신 장치(9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수신 장치(900)는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940),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950), 저장 장치(96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신 장치(900)에 포함된 각각의 구성 요소들은 버스(bus)(970)에 의해 연결되어 서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수신 장치(900)에 포함된 각각의 구성요소들은 공통 버스(970)가 아니라, 프로세서(910)를 중심으로 개별 인터페이스 또는 개별 버스를 통하여 연결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910)는 메모리(920), 송수신 장치(930),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940),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950) 및 저장 장치(960) 중에서 적어도 하나와 전용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연결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910)는 메모리(920) 및 저장 장치(960)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program command)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910)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그래픽 처리 장치(graphics processing unit, GPU),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들이 수행되는 전용의 프로세서를 의미할 수 있다. 메모리(920) 및 저장 장치(960) 각각은 휘발성 저장 매체 및 비휘발성 저장 매체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920)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 only memory, ROM)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해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해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예에는 롬, 램,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과 같이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compiler)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interpreter)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0)

  1. SC-FDE(single carrier-frequency domain equalizer) 방식으로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장치의 동작 방법으로,
    복수의 데이터 블록(data block)들을 포함한 프레임(frame)에 속한 N번째(N은 1이상의 정수) 데이터 블록을 전송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상기 복수의 데이터 블록들 각각은 데이터 구간과 고유어(unique word, UW) 구간을 포함함;
    상기 N번째 데이터 블록의 UW 구간에서 수신된 제1 UW를 버퍼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프레임에 속한 (N+1) 번째 데이터 블록을 상기 전송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UW와 상기 (N+1) 번째 데이터 블록의 UW 구간에서 수신된 제2 UW를 결합하여 시간 영역에서의 위상 잡음(phase noise)을 추정하는 단계; 및
    상기 추정된 위상 잡음에 따른 시간 영역 보상을 상기 (N+1) 번째 데이터 블록에 적용하고, 상기 (N+1) 번째 데이터 블록의 데이터를 복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UW와 상기 제2 UW는 동일한 시퀀스로 구성되는,
    수신 장치의 동작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UW와 상기 제2 UW 각각은 동일 길이의 고레이(Golay) 시퀀스로 구성되는,
    수신 장치의 동작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위상 잡음을 추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1 UW에 제1 가중치가 적용되고 상기 제2 UW에 제2 가중치가 적용되는 가중 결합 방식으로, 상기 제1 가중치와 상기 제2 가중치에 의해서 정의되는 윈도우(window) 구간 내에서 상기 제1 UW와 상기 제2 UW가 결합되는,
    수신 장치의 동작 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구간의 길이는 상기 복수의 데이터 블록들에 적용되는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 레벨에 따라 상기 수신 장치에 의해서 상기 UW 구간의 길이 이내에서 가변되는,
    수신 장치의 동작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데이터 블록들에 적용되는 MCS 레벨이 고차(higher) 변조에 대응될수록 상기 윈도우 구간의 길이가 증가되는,
    수신 장치의 동작 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UW 구간의 길이는 상기 복수의 데이터 블록들에 적용되는 MCS 레벨에 따라 상기 전송 장치에 의해서 가변되는,
    수신 장치의 동작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데이터 블록들에 적용되는 MCS 레벨이 고차 변조에 대응될수록 상기 UW 구간의 길이가 증가되는,
    수신 장치의 동작 방법.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N번째 데이터 블록이 상기 프레임 내의 첫번째 데이터 블록인 경우, 상기 제1 UW만을 이용하여 상기 시간 영역에서의 위상 잡음이 추정되고, 상기 추정된 위상 잡음에 따른 시간 영역 보상이 상기N 번째 데이터 블록에 적용되는,
    수신 장치의 동작 방법.
  9. SC-FDE(single carrier-frequency domain equalizer) 방식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전송 장치의 동작 방법으로,
    복수의 데이터 블록(data block)들을 포함한 프레임(frame)에 속한 N번째(N은 1이상의 정수) 데이터 블록을 수신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데이터 블록 각각은 데이터 구간과 고유어(unique word, UW) 구간을 포함함; 및
    상기 프레임에 속한 (N+1) 번째 데이터 블록을 상기 수신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N번째 데이터 블록의 UW 구간에서 전송되는 제1 UW와 상기 (N+1) 번째 데이터 블록의 UW 구간에서 전송되는 제2 UW가 상기 수신 장치에서 결합되어 시간 영역에서 추정된 위상 잡음(phase noise)에 대한 시간 영역 보상이 상기 (N+1) 번째 데이터 블록에 적용되며, 상기 제1 UW와 상기 제2 UW는 동일한 시퀀스로 구성되는,
    전송 장치의 동작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1 UW와 상기 제2 UW 각각은 동일 길이의 고레이(Golay) 시퀀스로 구성되는,
    전송 장치의 동작 방법.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위상 잡음은, 상기 제1 UW에 제1 가중치가 적용되고 상기 제2 UW에 제2 가중치가 적용되는 가중 결합 방식으로, 상기 제1 가중치와 상기 제2 가중치에 의해서 정의되는 윈도우(window)의 구간 내에서 상기 제1 UW와 상기 제2 UW가 결합되어 추정되는,
    전송 장치의 동작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UW 구간의 길이는 상기 복수의 데이터 블록들에 적용되는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 레벨에 따라 상기 전송 장치에 의해서 가변되는,
    전송 장치의 동작 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데이터 블록들에 적용되는 MCS 레벨이 고차 변조에 대응될수록 상기 UW 구간의 길이는 증가되는,
    전송 장치의 동작 방법.
  14. SC-FDE(single carrier-frequency domain equalizer) 방식으로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장치로서,
    프로세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제어되는 수신기(receiver)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설행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는 상기 프로세서가:
    복수의 데이터 블록(data block)들을 포함한 프레임(frame)에 속한 N번째(N은 1이상의 정수) 데이터 블록을 상기 수신기를 이용하여 전송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데이터 블록 각각은 데이터 구간과 고유어(unique word, UW) 구간을 포함함;
    상기 N번째 데이터 블록의 UW 구간에서 수신된 제1 UW를 버퍼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프레임에 속한 (N+1) 번째 데이터 블록을 상기 수신기를 이용하여 상기 전송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UW와 상기 (N+1) 번째 데이터 블록의 UW 구간에서 수신된 제2 UW를 결합하여 시간 영역에서의 위상 잡음(phase noise)을 추정하는 단계; 및
    상기 추정된 위상 잡음에 따른 시간 영역 보상을 상기 (N+1) 번째 데이터 블록에 적용하고, 상기 (N+1) 번째 데이터 블록의 데이터를 복조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UW와 상기 제2 UW는 동일한 시퀀스로 구성되는,
    수신 장치.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제1 UW와 상기 제2 UW 각각은 동일 길이의 고레이(Golay) 시퀀스로 구성되는,
    수신 장치.
  16.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위상 잡음을 추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1 UW에 제1 가중치가 적용되고 상기 제2 UW에 제2 가중치가 적용되는 가중 결합 방식으로, 상기 제1 가중치와 상기 제2 가중치에 의해서 정의되는 윈도우(window) 구간 내에서 상기 제1 UW와 상기 제2 UW가 결합되는,
    수신 장치.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구간의 길이는 상기 복수의 데이터 블록들에 적용되는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 레벨에 따라 상기 수신 장치에 의해서 상기 UW 구간의 길이 이내에서 가변되는,
    수신 장치.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데이터 블록들에 적용되는 MCS 레벨이 고차 변조에 대응될수록 상기 윈도우 구간의 길이가 증가되는,
    수신 장치.
  19.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UW 구간의 길이는 상기 복수의 데이터 블록들에 적용되는 MCS 레벨에 따라 상기 전송 장치에 의해서 가변되는,
    수신 장치.
  20.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N번째 데이터 블록이 상기 프레임 내의 첫번째 데이터 블록인 경우, 상기 제1 UW만을 이용하여 상기 시간 영역에서의 위상 잡음이 추정되고, 상기 추정된 위상 잡음에 따른 시간 영역 보상이 상기N 번째 데이터 블록에 적용되는,
    수신 장치.
KR1020210014548A 2021-02-02 2021-02-02 Sc-fde 방식의 위상 잡음 보상을 위한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4632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4548A KR102463220B1 (ko) 2021-02-02 2021-02-02 Sc-fde 방식의 위상 잡음 보상을 위한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7/541,143 US11637725B2 (en) 2021-02-02 2021-12-02 Transceiving method for phase noise compensation in SC-FDE scheme, and apparatus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4548A KR102463220B1 (ko) 2021-02-02 2021-02-02 Sc-fde 방식의 위상 잡음 보상을 위한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1381A KR20220111381A (ko) 2022-08-09
KR102463220B1 true KR102463220B1 (ko) 2022-11-04

Family

ID=82611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4548A KR102463220B1 (ko) 2021-02-02 2021-02-02 Sc-fde 방식의 위상 잡음 보상을 위한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637725B2 (ko)
KR (1) KR10246322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7892B1 (ko) 2022-10-26 2023-01-12 주식회사 코메스타 선박 중심 직접 통신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1086B1 (ko) 2010-11-10 2012-03-16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유니크 워드 기반 주파수 영역 등화기 기반 단일반송파 방식을 위한 채널 추정 기법
KR101275852B1 (ko) 2012-03-27 2013-06-17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UW(unique-word)를 사용하는 SC-FDE 기반의 송수신 장치 및 방법
JP2018006796A (ja) 2016-06-27 2018-01-11 日本放送協会 シングルキャリア方式の送信装置及び受信装置、並びに送信方法、受信方法、及び伝送フレーム構成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1730B1 (ko) 2005-12-09 2010-12-1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와이브로 시스템에서 ici 제거에 적합한 반복 수신기장치 및 그 방법
KR101204394B1 (ko) 2006-10-16 2012-11-26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Uw 기반 sc 시스템에서 stbc 스킴을 지원하는송신기, 수신기 및 그 방법
KR100965675B1 (ko) 2006-12-28 2010-06-24 삼성전자주식회사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시스템에서 심볼 변조 방법 및장치와 이를 이용한 송신 장치
US9008094B2 (en) 2011-09-27 2015-04-14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method and apparatus robust against phase noise for high efficiency satellite transmission
CN114285714B (zh) 2017-06-16 2024-05-14 华为技术有限公司 相位跟踪参考信号处理方法与装置
KR20200055376A (ko) 2018-11-13 2020-05-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추정을 위한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1086B1 (ko) 2010-11-10 2012-03-16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유니크 워드 기반 주파수 영역 등화기 기반 단일반송파 방식을 위한 채널 추정 기법
KR101275852B1 (ko) 2012-03-27 2013-06-17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UW(unique-word)를 사용하는 SC-FDE 기반의 송수신 장치 및 방법
JP2018006796A (ja) 2016-06-27 2018-01-11 日本放送協会 シングルキャリア方式の送信装置及び受信装置、並びに送信方法、受信方法、及び伝送フレーム構成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247604A1 (en) 2022-08-04
KR20220111381A (ko) 2022-08-09
US11637725B2 (en) 2023-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47230B2 (ja) 無線周波数キャリアアグリゲーション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9544173B1 (en) Iterative normalization technique for reference sequence generation for zero-tail discrete fourier transform spread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US20080019262A1 (en)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KR102269498B1 (ko) 다중 반송파 통신 시스템에서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WO2012122037A1 (en) Bayesian platform for channel estimation
WO2011008740A2 (en) Constructing very high throughput short training field sequences
KR102463220B1 (ko) Sc-fde 방식의 위상 잡음 보상을 위한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40096559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주파수-직각 진폭 변조된 신호의 복호 매트릭 생성 방법 및 장치
US7606331B2 (en) Frequency offset compensation in radio receiver
Pokamestov et al. Concepts of the physical level of the fifth generation communications systems
JP2013236302A (ja) 移動局装置、基地局装置、送信方法および無線通信システム
JP5788088B2 (ja) 受信装置および受信方法
CN116232821A (zh) 一种自组网物理层帧结构及无线通讯方法
Patil et al. IEEE 802.11 n: Joint modulation‐coding and guard interval adaptation scheme for throughput enhancement
Namitha et al. An improved selective mapping technique to reduce peak-to-average power ratio in SISO and SIMO OFDM systems without side information
KR102407117B1 (ko) 무선 환경에서 papr을 낮추어 신호를 송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
JP6935634B2 (ja) 送信装置、送信方法、受信装置および受信方法
Wang et al. Waveform evaluations subject to hardware impairments for mm-wave mobile communications
KR102473870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위상 잡음을 추정하는 방법 및 장치
Shamaei et al. Frequency offset estimation in SC-FDMA systems
Mizutani et al. A low pass filtered-raised-cosine window for UTW-DFTs-OFDM
Chen et al. Comparative Analysis of Performance of DWT-OFDM and DFT-OFDM
Singh et al. Novel companding technique for PAPR reduction in OFDM system
US20230308329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method
US20230403189A1 (en) Transmitter device and receiver device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