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3082B1 - 전동킥보드 거치장치 - Google Patents

전동킥보드 거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3082B1
KR102463082B1 KR1020200161694A KR20200161694A KR102463082B1 KR 102463082 B1 KR102463082 B1 KR 102463082B1 KR 1020200161694 A KR1020200161694 A KR 1020200161694A KR 20200161694 A KR20200161694 A KR 20200161694A KR 102463082 B1 KR102463082 B1 KR 1024630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ing
module
support
electric kickboard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16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73536A (ko
Inventor
현승보
양해룡
김연태
Original Assignee
(주)이브이패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브이패스 filed Critical (주)이브이패스
Priority to KR10202001616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3082B1/ko
Priority to PCT/KR2021/012402 priority patent/WO2022114475A1/ko
Publication of KR202200735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35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30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30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3/00Separate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 B62H3/08Separate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involving recesses or channelled rails for embracing the bottom part of a whee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05Garages for vehicles on two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2700/00Supports or stands for two-wheel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동킥보드 거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용모듈에 전동킥보드를 장착하여 다층 다열로 수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자동으로 수용모듈을 인출시켜 일측으로의 이동 및 승강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다수의 전동킥보드에 대한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전동킥보드 거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동킥보드 거치장치{A Mounting Device for Electric Kickboard}
본 발명은 전동킥보드 거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용모듈에 전동킥보드를 장착하여 다층 다열로 수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자동으로 수용모듈을 인출시켜 일측으로의 이동 및 승강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다수의 전동킥보드에 대한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전동킥보드 거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동 모터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구동되는 전동킥보드가 취미생활 및 이동수단으로 많은 사람들에게 이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아래 특허문헌과 같이 전동킥보드를 공유하여 사용하는 시스템이 확산되고 있으며, 특히 관광지 등에서는 일정 위치에 전동킥보드 보관소를 설치하고 일정 시간동안 전동킥보드를 대여하는 시스템도 널리 이용되고 있다.
다만, 전동킥보드를 공유하거나 대여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다수의 전동킥보드를 효율적으로 보관하고 관리할 수 있는 거치장치가 없어 원활한 운영이 이루어지고 있지 못하며, 관리를 위해 다수의 인력을 투입해야 하는바 사업의 수익성이 떨어지고 사업의 확장에도 제한을 받고 있는 실정이다.
(특허문헌) 등록특허공보 제10-2150807호(2020. 08. 26. 등록)"스마트 모빌리트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수용모듈에 전동킥보드를 장착하여 다층 다열로 수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자동으로 수용모듈을 인출시켜 일측으로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다수의 전동킥보드에 대한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전동킥보드 거치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수용모듈을 거치프레임 전측으로 이동시켜 좌우 방향으로의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전동킥보드를 찾아 이동할 필요없이 일정한 위치에서 다수의 전동킥보드에 대한 보관 및 인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전동킥보드 거치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수용모듈의 승강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전동킥보드가 다층으로 수용되는 경우에도 일정 위치에서의 보관 및 인출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전동킥보드 관리에 대한 효율성을 더욱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전동킥보드 거치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안착프레임의 측면 및 전방에서 전동킥보드를 지지하도록 하면서, 발판고정부를 통해 전동킥보드의 발판을 눌러 고정시키도록 함으로써, 전동킥보드의 안정적인 고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전동킥보드 거치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안착프레임의 바닥, 측면, 전방에 탄성을 가진 탄성지지부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전동킥보드 및 안착프레임의 손상을 막고 전동킥보드의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하도록 하는 전동킥보드 거치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해서 구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전동킥보드 거치장치는 전동킥보드를 수용하는 수용모듈과, 복수의 수용모듈이 다수의 열과 층으로 지지되도록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고정 설치되는 거치프레임과, 상기 수용모듈을 이동시키는 모듈이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모듈이동부는 상기 거치프레임 상에 전후 방향으로 설치되는 지지레일과; 상기 지지레일의 전측으로 연장되어 일렬로 형성되는 이동레일과; 상기 지지레일 및 이동레일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수용모듈과 연결되는 이동모듈과; 상기 이동레일을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좌우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전동킥보드 거치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모듈은 상기 지지레일 및 이동레일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본체와, 상기 이동본체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전후이동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전후이동수단은 상기 이동본체 양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지지레일 및 이동레일에 삽입·지지되는 이동바퀴와, 상기 이동바퀴를 회전시키는 이동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전동킥보드 거치장치에 있어서, 상기 좌우이동부는 상기 이동레일이 고정설치되며, 좌우 방향으로 회전하는 이동벨트와; 상기 이동벨트의 일측을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이동벨트의 타측을 지지하며, 이동벨트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이동벨트의 일측이 감기는 지지부재와; 상기 거치프레임에 고정되는 지지본체와; 상기 지지본체에 고정되며, 지지부재가 삽입되어 회전하는 지지회전축;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이동벨트의 타측이 감기는 구동부재와, 상기 거치프레임에 고정되어 구동부재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고정되어 구동모터의 작동에 따라 회전하며, 상기 구동부재에 삽입·고정되는 구동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전동킥보드 거치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모듈은 상기 수용모듈과 연결되어 수용모듈을 승강시키는 승강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승강수단은 수용모듈과 연결되는 승강와이어와, 상기 승강와이어가 감기는 감김축과, 상기 감김축을 회전시켜 승강와이어를 감거나 푸는 회전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전동킥보드 거치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용모듈은 전동킥보드가 삽입되어 안착되는 안착프레임과, 안착프레임에 삽입된 전동킥보드의 발판을 눌러 고정시키는 발판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전동킥보드 거치장치에 있어서, 상기 안착프레임은 바닥을 형성하는 바닥부와; 바닥의 양측에서 수직 상방으로 돌출되어 전동킥보드의 측면을 지지하는 측면지지부와; 바닥부의 전측 끝단에서 수직 상방으로 돌출되어 전동킥보드의 전측을 지지하는 전방차단부와; 바닥부, 측면지지부, 전방차단부 내측에 탄성을 가진 재질로 형성되는 탄성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전동킥보드 거치장치에 있어서, 상기 발판고정부는 양측 측면지지부 상에 고정되어 전동킥보드의 발판을 누르는 발판누름부재와, 상기 발판누름부재를 측면지지부 상에 탈착 가능하도록 고정시키는 누름부재결속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전동킥보드 거치장치에 있어서, 상기 발판누름부재는 일단에 하측으로 함입되도록 절곡되어 형성되는 절곡단과, 타단 전후측에 누름부재결속구와 체결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고정레버와, 발판누름부재의 하측에 탄성을 가진 재질로 형성되는 압착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누름부재결속구는 일측 측면지지부의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관통공을 통해 절곡단이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하는 걸림부재와; 타측 측면지지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전후측에 고정용고리가 돌출되어 상기 고정레버가 체결되도록 하는 돌출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전동킥보드 거치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레버는 상기 고정용고리에 걸려 당겨지도록 하는 걸쇠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용고리는 그 하단에 상측으로 함입되어 걸쇠가 삽입되는 삽입홈을 포함하여, 고정레버를 당김에 따라 걸쇠가 삽입홈에 걸려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수용모듈에 전동킥보드를 장착하여 다층 다열로 수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자동으로 수용모듈을 인출시켜 일측으로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다수의 전동킥보드에 대한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수용모듈을 거치프레임 전측으로 이동시켜 좌우 방향으로의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전동킥보드를 찾아 이동할 필요없이 일정한 위치에서 다수의 전동킥보드에 대한 보관 및 인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수용모듈의 승강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전동킥보드가 다층으로 수용되는 경우에도 일정 위치에서의 보관 및 인출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전동킥보드 관리에 대한 효율성을 더욱 높일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안착프레임의 측면 및 전방에서 전동킥보드를 지지하도록 하면서, 발판고정부를 통해 전동킥보드의 발판을 눌러 고정시키도록 함으로써, 전동킥보드의 안정적인 고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안착프레임의 바닥, 측면, 전방에 탄성을 가진 탄성지지부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전동킥보드 및 안착프레임의 손상을 막고 전동킥보드의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전동킥보드 거치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킥보드 거치장치의 정면도
도 3은 도 2의 일측 끝단의 부분 사시도
도 4는 지지레일 및 이동레일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수용모듈이 이동모듈에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이동모듈의 단면도
도 7은 수용모듈이 이동모듈에 연결된 상태의 정면도
도 8은 이동모듈이 지지레일 및 이동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
도 9는 도 2의 타측 끝단의 평면도
도 10은 도 2의 타측 끝단의 정면도
도 11은 도 2의 타측 끝단에서 수용모듈이 이동 및 승강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도 12는 수용모듈의 분해사시도
도 13은 수용모듈의 평면도
도 14는 수용모듈에 전동킥보드가 수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5는 전동킥보드의 수용상태를 나타내는 참고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킥보드 거치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고,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킥보드 거치장치를 도 1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전동킥보드 거치장치는 전동킥보드를 수용하는 수용모듈(3)과, 복수의 수용모듈(3)이 다수의 열과 층으로 지지되도록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고정 설치되는 거치프레임(1)과, 상기 수용모듈(3)을 이동시키는 모듈이동부(5)를 포함한다.
상기 전동킥보드 거치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전동킥보드를 복수의 층, 열로 수용하여 보관하도록 하면서, 여기에 추가적으로 전동킥보드를 수용하는 수용모듈(3)을 상하전후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여 전동킥보드에 대한 보관 및 관리가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다시 말해, 상기 전동킥보드 거치장치는 일정한 위치에서 수용모듈(3)을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다수의 층, 열에 수용된 전동킥보드를 꺼낼 수 있으므로, 전동킥보드의 대여, 공유 사업 등에 있어서 전동킥보드의 보관과 인출이 매우 쉽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고, 별도의 인력 없이도 다수의 전동킥보드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거치프레임(1)은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어 수용모듈(3)을 지지하는 구성으로, 상하 방향의 수직프레임(11)과 바닥과 수평을 이루는 수평프레임(1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직프레임(11)은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가 형성되어 바닥에 고정되도록 하며, 수직프레임(11) 사이에는 수평프레임(12)이 직교하여 형성되도록 한다. 따라서, 수평프레임(12)은 바닥과 수평을 이루어 수용모듈(3)이 안착될 수 있도록 하며, 수평프레임(12)을 따라 복수의 수용모듈(3)이 일정 간격으로 안착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평프레임(12)은 전후 방향으로 한 쌍이 형성되어 수용모듈(3)을 전후 방향에서 각각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참고로, 이하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A,B,C,D,E,F 방향을 각각 상하전후좌우 방향으로 가정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거치프레임(1)은 내부에 빈 공간을 포함하는 관의 형태로 형성되어 충전부(34)로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선 등이 내부로 통과하도록 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사각관으로 형성되어 수용모듈(3)의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치프레임(1)은 추가적인 수평프레임(12)을 설치하여 상기 모듈이동부(5)의 후술할 지지레일(51)의 지지도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수용모듈(3)은 전동킥보드가 안착되어 고정되는 구성으로, 상기 거치프레임(1), 더욱 정확하게는 수평프레임(12) 상에 안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수용모듈(3)은 전동킥보드가 삽입될 수 있는 일정 공간을 형성하도록 하며, 상기 모듈이동부(5)에 의해 상하전후좌우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다수의 수용모듈(3)을 일정한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수용모듈(3)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며, 수용모듈(3)을 이동시키는 모듈이동부(5)에 관하여 먼저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모듈이동부(5)는 상기 수용모듈(3)은 상하전후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하는 구성으로, 일정한 위치에서 수용모듈(3)에 대한 전동킥보드의 보관과 인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일 예로, 상기 모듈이동부(5)는 상기 수용모듈(3)을 전측으로 이동시켜 거치프레임(1) 밖으로 인출될 수 있도록 하고, 인출된 수용모듈(3)을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켜 거치프레임의 우측으로 이동시키도록 할 수 있으며, 우측으로 이동된 수용모듈(3)을 하강시켜 높은 층의 수용모듈(3)에 대한 전동킥보드의 보관 및 인출도 지면에서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모듈이동부(5)는 거치프레임(1) 상에 전후 방향으로 형성되는 지지레일(51), 지지레일(51)의 전측에서 지지레일(51)과 일렬로 형성되는 이동레일(53), 지지레일(51) 및 이동레일(53)에 지지되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모듈(55), 이동레일(53)을 좌우 방향으로 회전시켜 이동레일(53)에 지지된 이동모듈(55)이 좌우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좌우이동부(5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레일(51)은 전후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이동모듈(55)이 지지되어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거치프레임(1)에 지지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레일(51)은 각 수용모듈(3)의 상측에 형성되어 수용모듈(3)과 연결되는 이동모듈(55)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며, 수용모듈(3)의 양단이 각각 연결되어 지지되도록 각 수용모듈(3)의 상측에 좌우 한 쌍으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지지레일(51)은 '[ ]'의 형태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이동모듈(55)의 후술할 이동바퀴(553a)가 삽입되어 지지된 상태로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이동레일(53)은 상기 지지레일(51)과 일렬로 형성되며, 상기 거치프레임(1)의 전측에 전후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이동레일(53)은 지지레일(51)과 동일한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며, 이동레일(53)과는 미세한 간격이 이격되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동레일(53)은 지지레일(51)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모듈(55)의 이동바퀴(553a)가 그대로 삽입되어 전측으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동레일(53)에 이동바퀴(553a)가 삽입되어 수용모듈(3)이 지지되는 경우 이동레일(53)이 상기 좌우이동부(57)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이동레일(53)은 좌우이동부(57)의 후술할 이동벨트(571) 하측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며, 이동벨트(571)의 좌우 방향 회전에 따라 함께 좌우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이동모듈(55)은 상기 지지레일(51) 및 이동레일(53)에 삽입·지지되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수용모듈(3)과 연결되어 이동모듈(55)의 이동에 따라 수용모듈(3)이 함께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이동모듈(55)은 지지레일(51)에 삽입되어 지지된 상태에서 전측으로 이동하여 이동레일(53)에 삽입되며, 좌우이동부(57)의 작동에 따라 이동레일(53)이 좌우 방향으로 이동할 때 함께 좌우 방향으로 이동된다. 또한, 상기 이동모듈(55)은 연결된 수용모듈(3)을 상하 방향으로 승강시킬 수 있도록 하여 높은 층의 수용모듈(3)도 바닥으로 하강시켜 전동킥보드의 보관 및 인출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동모듈(55)은 수용모듈(3)의 안정적인 승하강을 위해 복수개로 형성되어 수용모듈(3)과 연결되도록 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좌우 각각 2개씩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이동모듈(55)은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본체(551), 전후이동수단(553), 승강수단(55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본체(551)는 상기 지지레일(51) 및 이동레일(53)에 지지되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구성으로, 양측으로는 이동바퀴(553a)가 형성되고 그 내부에는 이동바퀴(553a)를 회전시키는 이동모터(553b)가 형성되며, 하부측에는 승강수단(555)이 형성되어 상기 수용모듈(3)을 승강시키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전후이동수단(553)은 이동본체(551)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이동바퀴(553a) 및 이동모터(553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바퀴(553a)는 이동본체(551)의 양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레일(51) 및 이동레일(53)에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한다. 상기 이동바퀴(553a)는 이동모터(553b)에 의해 회전하며, 회전에 따라 이동본체(551)가 지지레일(51) 및 이동레일(53)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이동모터(553b)는 상기 이동바퀴(553a)를 회전시키는 구성으로, 상기 이동본체(551) 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양측으로 이동회전축(553b-1)이 돌출 형성되어 이동바퀴(553a)에 삽입되도록 한다. 따라서, 이동모터(553b)의 작동에 따라 이동바퀴(553a)가 회전하여 이동본체(551)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레일(51) 상의 이동본체(551)가 이동레일(53) 상으로 이동하도록 하여 이동모듈(55)과 연결된 수용모듈(3)도 함께 이동레일(53) 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승강수단(555)은 수용모듈(3)을 승강시키는 구성으로, 높은 층의 수용모듈(3)도 바닥으로 모두 하강될 수 있도록 하여 용이하게 전동킥보드를 보관 및 인출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승강수단(555)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층에서 수용모듈(3)이 좌우이동부(57)에 의해 우측 끝단으로 이동된 후 수용모듈(3)을 하강시키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각 층의 수용모듈(3)이 좌우이동부(57)와의 간섭없이 승강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승강수단(555)은 승강와이어(555a), 감김축(555b), 회전모터(555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강와이어(555a)는 상기 이동모듈(55)과 수용모듈(3)을 연결하는 구성으로, 일측이 상기 수용모듈(3)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감김축(555b)에 감기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승강와이어(555a)는 감김축(555b)의 회전에 따라 감김축(555b)에 감겨지거나 감김축(555b)으로부터 풀리게 되며, 이를 통해 수용모듈(3)을 승강시키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감김축(555b)은 승강와이어(555a)가 감겨지지되는 구성으로, 상기 회전모터(555c)에 의해 회전하여 승강와이어(555a)가 감기거나 풀어지게 되며, 상기 이동본체(551)의 하부측에 지지되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회전모터(555c)는 상기 감김축(555b)을 회전시키는 구성으로, 그 작동에 따라 승강와이어(555a)에 연결된 수용모듈(3)의 승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이동본체(551) 내부에 삽입되어 설치된다.
상기 좌우이동부(57)는 이동레일(53)을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이동모듈(55)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레일(53)에 삽입된 상태에서 이동레일(53)을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함으로써, 전동킥보드가 수용된 수용모듈(3)이 좌우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좌우이동부(57)는 이동벨트(571), 지지부(573), 구동부(575), 받침부재(57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벨트(571)는 상기 이동레일(53)이 고정되어 이동레일(53)을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양측이 지지부(573) 및 구동부(575)에 지지되어 감긴 상태로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이동벨트(571)는 일정 폭을 가진 벨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하면에 각 지지레일(51)과 대향되도록 형성되는 이동레일(53)이 고정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이동벨트(571)의 좌우 방향 회전에 따라 이동레일(53)이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동레일(53)에 삽압된 이동모듈(55)과 연결된 수용모듈(3)이 좌우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상기 지지부(573)는 상기 이동벨트(571)의 일측을 지지하는 구성으로, 일 예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프레임(1)의 좌측에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573)는 이동벨트(571)의 일측이 감긴 상태에서 지지되도록 하며, 이동벨트(571)가 지지부(573)에 지지된 상태에서 좌우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지지부(573)는 지지부재(573a), 지지본체(573b), 지지회전축(573c)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573a)는 상기 이동벨트(571)를 지지하는 구성으로,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이동벨트(571)가 감기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573a)는 지지회전축(573c)과 연결되어 이동벨트(571)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지지본체(573b)는 지지부재(573a)를 지지하는 구성으로, 상기 받침부재(577) 상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지지본체(573b)는 지지부재(573a)의 전후측에 한 쌍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지지회전축(573c)이 돌출 형성되어 지지부재(573a)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지지회전축(573c)은 상기 지지부재(573a)가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구성으로, 상기 지지부재(573a)의 전후 양측에 삽입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지지본체(573b)에 고정된다.
상기 구동부(575)는 상기 이동벨트(571)를 회전시키는 구성으로, 일 예로 도 9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프레임(1)의 우측에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575)는 이동벨트(571)의 타측이 지지된 상태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하며, 이동벨트(571)가 좌우 방향으로 회전하는 구동력을 제공하도록 한다. 특히, 상기 구동부(575)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으로 갈수록 우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이동벨트(571)에 대한 간섭없이 각 측의 수용모듈(3)이 승강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구동부(575)는 구동부재(575a), 구동모터(575b), 구동축(575c)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재(575a)는 이동벨트(571)를 지지하는 구성으로, 이동벨트(571)의 타측이 감겨 지지되도록 한다. 상기 구동부재(575a)는 상기 구동모터(575b)의 작동에 따라 회전하도록 형성되며, 그 회전에 따라 이동벨트(571)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구동모터(575b)는 구동부재(575a)를 회전시키는 구성으로, 그 작동에 따라 구동축(575c)을 회전시켜 구동부재(575a)의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구동모터(575b)는 그 작동에 따라 이동벨트(571)를 좌우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며, 이동벨트(571)의 회전에 따라 이동벨트(571)에 고정된 이동레일(53)이 좌우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이동레일(53)에 삽입된 이동모듈(55)과 이동모듈(55)에 연결된 수용모듈(3)이 함께 좌우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구동축(575c)은 구동모터(575b)의 작동에 따라 회전하는 구성으로, 상기 구동부재(575a)에 삽입되어 구동부재(575a)를 회전시키도록 한다.
상기 받침부재(577)는 상기 지지본체(573b) 및 구동모터(575b)를 지지하는 구성으로, 상기 거치프레임(1)의 좌우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지지본체(573b) 및 구동모터(575b)를 받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받침부재(577)는 수용모듈(3)이 수용된 각 층에 형성되도록 하며, 특히 우측에서는 상측으로 갈수록 우측으로 더욱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이를 안정적으로 받치기 위해 추가적인 수직프레임(11)이 설치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모듈이동부(5)의 작동에 관하여 도 9 및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수용모듈(3)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모터(553b)의 작동에 따라 이동모듈(55)이 지지레일(51)에서 이동레일(53)로 이동하여 거치프레임(1)의 전측으로 인출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모터(575b)의 작동에 따라 이동벨트(571)가 좌우 방향으로 회전하면 이동레일(53)이 우측으로 이동하여 이동레일(53)과 연결된 수용모듈(3)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프레임(1) 우측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바닥층외의 상층에 수용된 수용모듈(3)들은 상기 회전모터(555c)의 작동에 따라 감김축(555b)이 회전하여 바닥으로 하강하게 된다. 이렇게 상기 거치프레임(1)에 수용된 다층, 다열의 수용모듈(3)들은 우측 바닥의 위치로 모두 이동할 수 있어, 수용모듈(3)에 대한 전동킥보드의 보관과 인출이 매우 쉽게 이루어질 수 있고, 다수의 인력 없이도 혼자만으로 이러한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므로, 효율적인 전동킥보드의 관리와 운영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수용모듈(3)에 관해 도 12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수용모듈(3)은 전동킥보드(100)가 안착되어 고정되는 구성으로, 상기 거치프레임(1), 더욱 정확하게는 거치프레임(1)의 수평프레임(12)에 지지된다. 상기 수용모듈(3)은 상기 승강와이어(555a)에 연결되어 이동모듈(55)과 연결되며, 모듈이동부(5)의 작동에 따라 상하좌우전후 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 수용모듈(3)은 전동킥보드가 삽입될 수 있는 일정 공간을 형성하며, 삽입된 전동킥보드의 발판을 눌러 고정되도록 하고, 별도의 고정와이어(332)에 의해 전동킥보드의 전후측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수용모듈(3)은 전동킥보드를 수용한 상태에서 전원을 공급하여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수용모듈(3)은 안착프레임(31), 발판고정부(32), 추가고정부(33), 충전부(3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착프레임(31)은 전동킥보드가 수용될 수 있는 일정 공간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수평프레임(12) 상에 전후측이 각각 지지되어 고정되며, 전동킥보드의 양측면과 전방에서 전동킥보드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고, 안착프레임(31)의 내측에는 탄성을 가진 소재가 형성되어 전동킥보드와의 마찰을 줄이고 전동킥보드의 안정적인 고정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안착프레임(31)은 바닥부(311), 측면지지부(312), 전방차단부(313), 탄성지지부(3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닥부(311)는 안착프레임(31)의 바닥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수평프레임(12) 상에 전후측이 지지되며, 바닥부(311) 상에는 바닥보호부재(314a)가 형성되어 전동킥보드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측면지지부(312)는 바닥부(311)의 양측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구성으로, 전동킥보드의 양측면을 지지하도록 한다. 상기 측면지지부(312) 내에도 측면보호부재(314b)가 형성되어 전동킥보드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하며, 측면지지부(312)의 외측으로는 발판고정부(32)와 추가고정부(33)가 형성되어 안착프레임(31)에 수용된 전동킥보드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전방차단부(313)는 안착프레임(31)의 전방을 차단하는 구성으로, 바닥부(311)의 전단으로부터 상측으로 수직 돌출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방차단부(313)는 안착프레임(31)내에 삽입되는 전동킥보드의 전방에서 이동을 차단하여 전동킥보드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전동킥보드가 전방차단부(313)에 닿을때까지 밀어넣으면 충분하므로 전동킥보드를 쉽게 삽입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전방차단부(313) 내측에는 전방보호부재(314c)가 형성되어 전동킥보드와의 직접적인 접촉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탄성지지부(314)는 안착프레임(31)의 내측에 형성되어 전동킥보드를 지지하는 구성으로, 바람직하게는 탄성을 가진 EVA 고무 등으로 형성되어 전동킥보드의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탄성지지부(314)는 전동킥보드가 안착프레임과 직접 접촉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전동킥보드 및 안착프레임(31)이 충돌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전동킥보드의 삽입 및 인출시에도 탄성지지부(314)를 따라 부드럽게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전동킥보드의 삽입 및 인출이 쉽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탄성지지부(314)는 바닥부(311), 측면지지부(312), 전방차단부(313) 내측에 각각 형성되는 바닥보호부재(314a), 측면보호부재(314b), 전방보호부재(314c)를 포함하도록 한다.
상기 발판고정부(32)는 안착프레임(31)에 삽입된 전동킥보드의 발판(101)을 눌러 고정시키는 구성으로, 발판누름부재(321)가 안착프레임(31)의 상측에 결합하여 발판(101)을 누를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발판누름부재(321)는 안착프레임(31)의 측면지지부(312) 상에 결합하여 발판(101)을 누르도록 할 수 있으며, 측면지지부(312) 상에 형성되는 누름부재결속구(322)와 탈착식으로 결합하도록 한다.
상기 발판누름부재(321)는 안착프레임(31)에 수용된 전동킥보드의 발판(101)을 누르는 구성으로, 일정 길이와 너비를 가진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양단에 누름부재결속구(322)와 결합할 수 있는 구성이 형성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발판누름부재(321)는 사용시에만 안착프레임(31)에 결합하여 발판(101)을 누르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판누름부재(321)의 하측으로는 탄성을 가진 부재가 형성되어 발판(101)을 압착하여 누를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발판누름부재(321)는 절곡단(321a), 고정레버(321b), 압착탄성부재(321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곡단(321a)은 발판누름부재(321)의 일단에서 하측으로 함입되어 절곡되도록 형성되는 구성으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부재결속구(322)의 후술할 걸림부재(322a)에 걸려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더욱 정확하게, 상기 절곡단(321a)은 걸림부재(322a)의 관통공(322a-1)에 삽입되어 걸림부재(322a)에 걸린 상태가 되며, 반대측에 형성된 고정레버(321b)가 누름부재결속구(322)의 후술할 고정용고리(322b-1)에 걸려 고정됨으로써 발판누름부재(321)가 발판(101)을 누른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고정레버(321b)는 발판누름부재(321)의 타단에 형성되어 누름부재결속구(322)의 고정용고리(322b-1)와 체결되는 구성으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쇠(321b-1)를 고정용고리(322b-1)의 삽입홈(322b-11)에 삽입한 상태에서 고정레버(321b)를 당겨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고정레버(321b)는 발판누름부재(321)의 양측에 한 쌍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발판누름부재(321)의 거치시에는 고정레버(321b)가 누름부재거치구(323)에 걸려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압착탄성부재(321c)는 발판누름부재(321)의 하측에 형성되어 발판(101)과 압착되는 구성으로, 탄성을 가진 EVA 고무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레버(321b)를 고정시킴에 따라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착탄성부재(321c)가 발판(101)에 압착되어 전동킥보드(100)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누름부재결속구(322)는 측면지지부(312) 양측에 형성되어 발판누름부재(321)와 결합하는 구성으로, 발판누름부재(321)의 착탈식 결합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누름부재결속구(322)는 일측 측면지지부(312)에 형성되는 걸림부재(322a), 타측 측면지지부(312)에 형성되는 돌출단(322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걸림부재(322a)는 일측 측면지지부(312)에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구성으로, 상기 절곡단(321a)과 결합하도록 한다. 상기 걸림부재(322a)는 상기 절곡단(321a)이 삽입될 수 있는 관통공(322a-1)이 관통 형성되도록 하며,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단(321a)이 관통공(322a-1)을 통과하여 걸림부재(322a)의 내측에 걸린 상태가 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돌출단(322b)은 타측 측면지지부(312)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구성으로, 돌출단(322b)의 전후측으로는 고정용고리(322b-1)가 돌출되어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고정용고리(322b-1)는 하단에 상측으로 함입되는 삽입홈(322b-11)을 포함할 수 있으며, 삽입홈(322b-11)에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걸쇠(321b-1)가 삽입되어 걸리도록 하고, 고정레버(321b)를 당김에 따라 걸쇠(321b-1)가 삽입홈(322b-11) 상단에 걸려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추가고정부(33)는 발판고정부(32)에 더하여 전동킥보드(100)를 고정시키는 구성으로, 탄성을 가진 고정와이어(332)를 통해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추가고정부(33)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프레임(31)의 둘레를 따라 돌출부재(331)가 복수개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고정와이어(332)를 돌출부재(331)에 걸어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돌출부재(331)는 안착프레임(31)의 측면지지부(312)에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구성으로, 양측 측면지지부(312)에 각각 복수개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와이어(332)가 전동킥보드(100)를 누른 상태에서 일측 및 타측 돌출부재(331)에 걸리도록 하여 전동킥보드(100)의 안정적인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재(331)는 끝단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걸림단(331a)을 포함하도록 하여, 고정와이어(332)의 걸림고리(332a)가 걸려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고정와이어(332)는 돌출부재(331) 사이를 연결하여 전동킥보드(100)를 고정시키는 구성으로, 탄성과 일정 정도의 강성을 동시에 가진 와이어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고정와이어(332)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동킥보드(100)의 양측에서 돌출부재(331) 사이에 연결되어 전동킥보드(100)를 눌러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고, 그 끝단에는 걸림고리(332a)를 형성하여 돌출부재(331)의 걸림단(331a)에 걸려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충전부(34)는 안착프레임(31)에 수용된 전동킥보드(100)를 충전시키는 구성으로, 별도의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전달받아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전부(34)는 별도의 전원으로 공급되는 전력을 전동킥보드(100)의 전압에 맞도록 변환하여 공급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충전부(34)는 별도의 전원과 연결되는 충전콘센트(341), 콘센트를 거치하는 콘센트브라켓(342),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의 전압을 전동킥보드(100)에 맞도록 변환하는 전력변환모듈(343), 전력변환모듈(343)을 수용하는 모듈브라켓(34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충전콘센트(341)는 별도의 전원과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받아 전력변환모듈(343)로 전달하는 구성으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거치프레임(1) 내를 통과하는 전력선에 연결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충전콘센트(341)는 전력선과의 연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수평프레임(12) 상에 설치되는 콘센트브라켓(342) 상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으며, 수평프레임(12) 내를 통과하는 전력선에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콘센트브라켓(342)은 충전콘센트(341)를 고정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프레임(12)에 고정되는 절곡된 판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전력변환모듈(343)은 별도의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전동킥보드(100)에 적합한 전압으로 변환시키는 구성으로, 전동킥보드(100)의 사양에 따라 다양한 전력변환모듈(343)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전력변환모듈(343)은 상기 충전콘센트(341)에 삽입되는 플러그(미도시)를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안착프레임(31)의 하측에 형성되는 모듈브라켓(344)에 수용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전력변환모듈(343)은 전동킥보드(100)에도 연결되어 전압이 변환된 전력을 전동킥보드(100)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모듈브라켓(344)은 전력변환모듈(343)을 수용하는 일정 공간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부(311)의 하측으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모듈브라켓(344)은 일측에 개방공(344a)을 형성하여 전력변환모듈(343)의 교체가 쉽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전동킥보드(100)의 사양에 따라 전력변환모듈(343)의 교체가 이루어져 다양한 사양의 전동킥보드(100)를 충전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어떠한 변경예 또는 수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거치프레임 11: 수직프레임 12: 수평프레임
3: 수용모듈 31: 안착프레임 311: 바닥부
312: 측면지지부 313: 전방차단부 314: 탄성지지부
314a: 바닥보호부재 314b: 측면보호부재 314c: 전방보호부재
32: 발판고정부 321: 발판누름부재 321a: 절곡단
321b: 고정레버 321b-1: 걸쇠 321c: 압착탄성부재
322: 누름부재결속구 322a: 걸림부재 322a-1: 관통공
322b: 돌출단 322b-1: 고정용고리 322b-11: 삽입홈
33: 추가고정부 331: 돌출부재 331a: 걸림단
332: 고정와이어 332a: 걸림고리 34: 충전부
341: 충전콘센트 342: 콘센트브라켓 343: 전력변환모듈
344: 모듈브라켓 344a: 개방공
5: 모듈이동부 51: 지지레일 52: 이동레일
55: 이동모듈 551: 이동본체 553: 전후이동수단
553a: 이동바퀴 553b: 이동모터 553b-1: 이동회전축
555: 승강수단 555a: 승강와이어 555b: 감김축
555c: 회전모터 57: 좌우이동부 571: 이동벨트
573: 지지부 573a: 지지부재 573b: 지지본체
573c: 지지회전축 575: 구동부 575a: 구동부재
575b: 구동모터 575c: 구동축 577: 받침부재

Claims (5)

  1. 전동킥보드를 수용하는 수용모듈과, 복수의 수용모듈이 다수의 열과 층으로 지지되도록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고정 설치되는 거치프레임과, 상기 수용모듈을 이동시키는 모듈이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모듈이동부는,
    상기 거치프레임 상에 전후 방향으로 설치되는 지지레일과; 상기 지지레일의 전측으로 연장되어 일렬로 형성되는 이동레일과; 상기 지지레일 및 이동레일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수용모듈과 연결되는 이동모듈과; 상기 이동레일을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좌우이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모듈은,
    상기 지지레일 및 이동레일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본체와, 상기 이동본체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전후이동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전후이동수단은,
    상기 이동본체 양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지지레일 및 이동레일에 삽입·지지되는 이동바퀴와, 상기 이동바퀴를 회전시키는 이동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킥보드 거치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이동부는
    상기 이동레일이 고정설치되며, 좌우 방향으로 회전하는 이동벨트와; 상기 이동벨트의 일측을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이동벨트의 타측을 지지하며, 이동벨트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이동벨트의 일측이 감기는 지지부재와; 상기 거치프레임에 고정되는 지지본체와; 상기 지지본체에 고정되며, 지지부재가 삽입되어 회전하는 지지회전축;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이동벨트의 타측이 감기는 구동부재와, 상기 거치프레임에 고정되어 구동부재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고정되어 구동모터의 작동에 따라 회전하며, 상기 구동부재에 삽입·고정되는 구동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킥보드 거치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모듈은
    상기 수용모듈과 연결되어 수용모듈을 승강시키는 승강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승강수단은,
    수용모듈과 연결되는 승강와이어와, 상기 승강와이어가 감기는 감김축과, 상기 감김축을 회전시켜 승강와이어를 감거나 푸는 회전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킥보드 거치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모듈은
    전동킥보드가 삽입되어 안착되는 안착프레임과, 안착프레임에 삽입된 전동킥보드의 발판을 눌러 고정시키는 발판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킥보드 거치장치.

KR1020200161694A 2020-11-26 2020-11-26 전동킥보드 거치장치 KR1024630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1694A KR102463082B1 (ko) 2020-11-26 2020-11-26 전동킥보드 거치장치
PCT/KR2021/012402 WO2022114475A1 (ko) 2020-11-26 2021-09-13 전동킥보드 거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1694A KR102463082B1 (ko) 2020-11-26 2020-11-26 전동킥보드 거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3536A KR20220073536A (ko) 2022-06-03
KR102463082B1 true KR102463082B1 (ko) 2022-11-04

Family

ID=81755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1694A KR102463082B1 (ko) 2020-11-26 2020-11-26 전동킥보드 거치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63082B1 (ko)
WO (1) WO2022114475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6055B1 (ko) * 2018-02-20 2018-09-06 (주)바이콕 모바일 인증을 이용한 이동수단 대여 및 보관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32178A (ko) * 2005-06-17 2006-12-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중량물 로딩장치
JP2008254605A (ja) * 2007-04-05 2008-10-23 Press Kogyo Co Ltd 駐輪装置
KR20100097775A (ko) * 2009-02-27 2010-09-06 이금철 로봇을 이용한 자전거 주차장치
KR101307527B1 (ko) * 2011-12-15 2013-09-12 동서하이텍 주식회사 자전거 주차타워용 자전거 거치대 및 이를 구비하는 자전거 주차타워
KR200477432Y1 (ko) * 2014-12-30 2015-06-11 박만순 자전거 거치대
JP6945125B2 (ja) * 2018-12-07 2021-10-06 正勝 酒井 懸垂方式駐輪機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6055B1 (ko) * 2018-02-20 2018-09-06 (주)바이콕 모바일 인증을 이용한 이동수단 대여 및 보관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14475A1 (ko) 2022-06-02
KR20220073536A (ko) 2022-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405747B2 (ja) バッテリー交換ステーションおよびその制御方法
US11325490B2 (en) Movable station for electric kick scooter
KR102038334B1 (ko) 지중 케이블의 기계화 포설장치와 포설공법 및 이에 사용된 스네이크대차
US20080298943A1 (en) Postal-Go-Round
KR102463082B1 (ko) 전동킥보드 거치장치
JP2011080265A (ja) 立体駐車装置
US11091081B1 (en) Crane mat lift
KR102036871B1 (ko) 케이블 릴의 공회전 방지장치
CN202284050U (zh) 辊保管架
KR102375654B1 (ko)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교체 시스템 및 방법
KR200445233Y1 (ko) 디스플레이 장치용 리프트
KR102586598B1 (ko) 주차장 충전 시스템
KR102109273B1 (ko) 신발 정리기구
KR100968077B1 (ko) 공동주택 배전용 조립식 케이블 트레이 구조
KR101882749B1 (ko) 이에스에스 배터리 렉 전용 배터리 수납장치
CN215105513U (zh) 一种人工电缆检查井结构
KR101832460B1 (ko) 자전거 주차 시설물
JP6785571B2 (ja) 駐車装置
CN210212448U (zh) 一种防止管形货物滑落的推车
KR20180105367A (ko) 전기자동차 충전기 충전단자 및 충전선 이동장치
CN211809641U (zh) 一种运输车用多功能装卸搬运装置
CN218070917U (zh) 一种雾化器上的电源线固定装置
CN110957968A (zh) 一种基于太阳能供热系统的太阳能板用可调式支撑架
CN217742416U (zh) 绿化景观墙及绿化系统
KR101717036B1 (ko) 생계 출하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