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2492B1 - 조립식 하우스 - Google Patents

조립식 하우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2492B1
KR102462492B1 KR1020220025625A KR20220025625A KR102462492B1 KR 102462492 B1 KR102462492 B1 KR 102462492B1 KR 1020220025625 A KR1020220025625 A KR 1020220025625A KR 20220025625 A KR20220025625 A KR 20220025625A KR 102462492 B1 KR102462492 B1 KR 1024624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iling
seating
frame
upper frame
lock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56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재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마테이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마테이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마테이너
Priority to KR10202200256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24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24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24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8Structures composed of units comprising at least considerable parts of two sides of a room, e.g. box-like or cell-like units closed or in skeleton form
    • E04B1/34815Elements not integrated in a skelet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15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36Structures movable as a whole, e.g. mobile home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rotection Of Pipes Against Damage, Friction, And Corrosion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이동 가능한 조립식 하우스에 있어서, 지면에 수직하게 배치된 수직 프레임, 및 상기 수직 프레임의 상단에서 지면에 평행하게 배치된 상부 프레임을 포함하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에 결합되고 상기 조립식 하우스의 측방향 4면을 형성하는 벽체부; 및 상기 프레임부에 결합되고 상기 조립식 하우스의 천장면을 형성하는 천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청장부는, 상기 조립식 하우스의 둘레면 중 적어도 일부를 따라 형성된 빗물받이 홈을 포함하고, 상기 빗물받이 홈은 상부에서 볼 때 상기 벽체부의 외측면보다 상기 조립식 하우스의 내측으로 배치되는 것인, 조립식 하우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조립식 하우스{ASSEMBLY HOUSE}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조립식 하우스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주로 건설 현장에서 작업자들의 임시 쉼터나 논밭의 농막 목적으로 조립식 하우스가 사용되어 왔으나, 최근 과도하게 상승된 주택 가격 및 주말 여가 활동 등의 목적으로 조립식 또는 이동식의 모듈러 하우스에 대한 수요가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조립식 하우스에도 우천 시 빗물을 특정 위치로 배수하기 위한 빗물받이가 구비되었으나, 종래의 빗물받이의 경우 하우스의 지붕 가장자리에 돌출되거나 벽면 외부로 돌출 설치되어 조립식 하우스의 전체 체적을 증가시키는 주요 요인이었다.
빗물받이에 의한 불필요한 체적 증가는, 조립식 또는 이동식 하우스의 운송 시 하우스 파손 또는 운송 비용의 증대를 야기하게 되었다. 뿐만 아니라, 빗물받이를 포함하여 지붕 형태로 덮어진 부분은 주택 허가 기준에서 모두 건축면적으로 산입되므로 주택 인허가에 있어 불필요한 영향을 주는 문제가 존재하였다.
또한, 종래의 조립식 하우스의 경우 인접한 철제 패널들을 용접 및 실리콘 처리함으로써 접합하였으나, 용접 및 실리콘 작업에 결함이 있거나 용접부 및 실리콘이 노후화된 경우 해당 부분에 누수가 발생되는 문제가 존재하였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927204호(2019.03.12)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전술한 종래의 조립식 하우스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빗물받이에 의한 불필요한 하우스 체적 증가를 방지하고, 용접 및 실리콘 작업 불량 또는 용접 및 실리콘 작업 부위의 노후화로 인한 누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조립식 하우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 가능한 조립식 하우스에 있어서, 지면에 수직하게 배치된 수직 프레임, 및 상기 수직 프레임의 상부에서 지면에 평행하게 배치된 상부 프레임을 포함하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에 결합되고 상기 조립식 하우스의 측방향 4면을 형성하는 벽체부; 및 상기 프레임부에 결합되고 상기 조립식 하우스의 천장면을 형성하는 천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청장부는, 상기 조립식 하우스의 둘레면 중 적어도 일부를 따라 형성된 빗물받이 홈을 포함하고, 상기 빗물받이 홈은 상부에서 볼 때 상기 벽체부의 외측면보다 상기 조립식 하우스의 내측으로 배치되는 것인, 조립식 하우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천장부는, 상기 상부 프레임과 연결되는 상부 프레임 커버부, 및 상기 조립식 하우스의 천장면을 형성하는 천장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프레임은, 제1 상부 프레임, 및 상기 제1 상부 프레임보다 높은 위치에서 상기 제1 상부 프레임보다 상기 조립식 하우스의 내측으로 위치된 제2 상부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프레임 커버부는, 상기 제1 상부 프레임에 안착되어 상기 제1 상부 프레임의 외면 일부를 감싸도록 구성된 제1 프레임 안착부, 상기 제2 상부 프레임에 안착되어 상기 제2 상부 프레임의 외면 일부를 감싸도록 구성된 제2 프레임 안착부, 및 상기 제1 프레임 안착부 및 상기 제2 프레임 안착부 사이에 위치된 상기 빗물받이 홈을 포함하며, 상기 빗물받이 홈은, 상기 제1 상부 프레임 및 상기 제2 상부 프레임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천장 커버부는, 상기 제2 프레임 안착부 상에 안착되고, 상측에서 보았을 때 상기 빗물받이 홈보다 상기 조립식 하우스의 내측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천장 커버부는 일 방향으로 정렬된 복수의 천장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천장 커버부는, 상기 복수의 천장 조립체 중 인접한 천장 조립체가 상호 연결됨으로써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천장 조립체 각각은, 상기 복수의 천장 조립체의 정렬 방향 일측에 위치된 제1 걸림부, 상기 제1 걸림부로부터 지면에 평행하게 연장된 천장면부재, 상기 천장면부재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복수의 천장 조립체의 정렬 방향 타측에 위치된 제2 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걸림부는, 지면에 수직하게 배치된 제1-1 걸림부재, 상기 제1-1 걸림부재로부터 연장되고 지면에 평행하게 배치된 제1-2 걸림부재, 및 상기 제1-2 걸림부재로부터 상기 천장면부재의 일단까지 연장되고 상기 제1-1 걸림부재와 대향하는 제1-3 걸림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걸림부는, 상기 천장면부재의 타단으로부터 지면에 수직하게 연장된 제2-1 걸림부재, 및 상기 제2-1 걸림부재로부터 상기 제1 걸림부를 향해 지면에 평행하게 연장된 제2-2 걸림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천장 조립체의 정렬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2-2 걸림부재의 폭은 상기 제1-1 걸림부재와 상기 제1-3 걸림부재 사이의 이격 거리보다 작도록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천장 조립체 중 어느 하나의 천장 조립체의 제2 걸림부는, 인접한 다른 천장 조립체의 상기 제1-1 걸림부재와 상기 제1-3 걸림부재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1 프레임 안착부는, 상기 제1 상부 프레임의 하면에 접하는 제1 안착바닥면, 상기 제1 상부 프레임의 외향 측면을 감싸는 제1-1 안착측면, 상기 제1 상부 프레임의 상면에 접하는 제1 안착상면, 및 상기 제1 상부 프레임의 내향 측면에 대향하는 제1-2 안착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프레임 안착부는, 상기 제2 상부 프레임의 외향 측면을 감싸는 제2 안착측면, 및 상기 제2 상부 프레임의 상면에 접하는 제2 안착상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프레임 안착부 및 상기 제2 프레임 안착부는, 상기 제1-2 안착측면 및 상기 제2 안착측면 사이에서 연장된 홈 바닥면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빗물받이 홈은 상기 제1-2 안착측면, 상기 홈 바닥면 및 상기 제2 안착측면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조립식 하우스에서 차지하는 빗물받이 통의 불필요한 체적을 제거함으로써 조립식 하우스의 전체 체적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조립식 하우스의 설치에 용접 및 실리콘 처리 작업을 최소화 함으로써, 용접 및 실리콘 작업 불량 또는 노후화로 인한 누수 발생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조립식 하우스의 천장 구조물에 일체형 패널을 사용하지 않고 복수의 천장 조립체를 연결하여 형성하는바, 인접한 천장 조립체의 연결 부위에 외기가 미세하게 연통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천장 구조물에서의 실내외 급격한 온도차에 의한 결로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조립식 하우스의 제조에 필요한 패널 가공 공정을 간소화 하여 조립식 하우스의 제조에 요구되는 비용을 최소화 하고 구성품의 생산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제조 오차 등에 의한 조립 결함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하우스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하우스의 프레임부 및 천장부의 분해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하우스의 프레임부 및 천장부의 연결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의 (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하우스의 천장부의 단면을 나타내기 위한 도 1의 A-A확대도이고, 도 4의 (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하우스의 천장부의 천장 조립체의 분해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하우스의 프레임부 및 천장부의 연결 구조의 단면을 나타내기 위한 도 1의 B-B확대도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하우스의 천장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천장 조립체의 연결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하우스의 가이드부를 나타기내 위한 도 1의 부분확대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개시와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의 실시예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하우스(1)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하우스(1)의 프레임부(10) 및 천장부(30)의 분해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하우스(1)는 지면에 설치되는 프레임부(10), 프레임부(10)에 결합되고 조립식 하우스(1)의 측방향 4면을 형성하는 벽체부(20), 및 프레임부(10)에 결합되고 조립식 하우스(1)의 천장면을 형성하는 천장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프레임부(10)는 지면에 수직하게 배치된 수직 프레임(120), 및 수직 프레임(120)의 상부에서 지면에 평행하게 배치된 상부 프레임(11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부(10)는 수직 프레임(120)의 하단에서 지면에 평행하게 배치된 하부 프레임(미도시 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서로 직교하여 배치되고 인접하게 위치된 수직 프레임(120)과 상부 프레임(110), 그리고 서로 직교하여 배치되고 인접하게 위치된 수직 프레임(120)과 하부 프레임은, 모서리연결구(미도시 됨)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상술한 모서리연결구는 직교하는 3개의 방향, 즉, x-y-z축으로 프레임들이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직교하는 3개 방향으로 개방된 결합구를 포함할 수 있고, 각 수직 프레임(120), 상부 프레임(110) 및 하부 프레임의 외면은 결합구의 내면에 접하여 모서리연결구에 끼움결합될 수 있다.
프레임부(10)의 수직 프레임(120), 상부 프레임(110) 및 하부 프레임은 각각 소정 길이를 갖는 중공의 바(bar)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횡단면이 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벽체부(20) 및 천장부(30)는 프레임부(10)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고, 프레임부(10)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하우스(1)의 구조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부(10)는 지면 상에 직접 설치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지면에 콘크리트 타설 등을 통한 베이스(미도시 됨)가 설치될 수 있고, 프레임부(10)는 베이스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상술한 벽체부(20)는, 조립식 하우스(1)의 측방향 4면에 배치되는 네 개의 측면 패널(210)을 포함할 수 있다. 네 개의 측면 패널(210) 각각은 둘레를 따라 프레임부(10)와 접할 수 있고, 각 측면 패널(210)과 프레임부(10)는 용접 또는 볼트와 같은 기계식 체결구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에서는 조립식 하우스(1)가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벽체부(20)가 네 개인 경우로 서술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하우스(1)는 상부에서 보았을 때 'ㄱ'자 구조 또는 정사각형 구조 등의 다양한 주택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하우스(1)의 프레임부(10) 및 천장부(30)의 연결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술한 천장부(30)는 상부 프레임(110)과 연결되는 상부 프레임 커버부(310), 및 조립식 하우스(1)의 천장면을 형성하는 천장 커버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부 프레임(110)은 제1 상부 프레임(111) 및 제2 상부 프레임(1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상부 프레임(111)은 모서리연결구를 통해 수직 프레임(120)의 상단과 연결될 수 있고, 제2 상부 프레임(112)은 제1 상부 프레임(111)보다 높은 위치에서 제1 상부 프레임(111)보다 조립식 하우스(1)의 측방향 또는 폭 방향(x) 내측으로 위치될 수 있다. 제2 상부 프레임(112)은 제1 상부 프레임(111)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상태에서 제1 상부 프레임(111)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상부 프레임 커버부(310)는, 제1 상부 프레임(111)에 안착되어 제1 상부 프레임(111)의 외면 일부를 감싸도록 구성된 제1 프레임 안착부(3110), 제2 상부 프레임(112)에 안착되어 제2 상부 프레임(112)의 외면 일부를 감싸도록 구성된 제2 프레임 안착부(3120), 및 제1 프레임 안착부(3110) 및 제2 프레임 안착부(3120) 사이에 위치된 빗물받이 홈(31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천장 커버부(320)는, 제2 프레임 안착부(3120) 상에 안착될 수 있고, 상측에서 보았을 때 빗물받이 홈(3140)보다 조립식 하우스(1)의 내측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천장 커버부(320)는 상측에서 보았을 때 빗물받이 홈(3140)을 덮지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천장 커버부(320)는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 복수의 천장 가이드(321) 및 인접한 두 개의 천장 가이드(321) 사이에 형성된 천장 홈(322)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천장 가이드(321)는 조립식 하우스(1)의 폭 방향(x)을 따라 소정 길이를 갖는 세장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복수의 천장 가이드(321)는 지면에 평행한 평면에서 빗물받이 홈(3140)에 직교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천장 커버부(320)는 천장 커버부(320) 상의 유체가 빗물받이 홈(3140)에 유입되는 것을 유도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우천 시 천장 커버부(320)로 떨어진 빗물은 천장 홈(322)을 따라 유동되어 빗물받이 홈(3140)으로 유입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하우스(1)의 상부 프레임(110)은, 조립식 하우스(1)의 길이 방향(y)을 따라 배치된 한 쌍의 제1 상부 프레임(111), 조립식 하우스(1)의 길이 방향(y)을 따라 배치된 한 쌍의 제2 상부 프레임(112), 조립식 하우스(1)의 폭 방향(x)을 따라 배치되고 한 쌍의 제1 상부 프레임(111)을 연결하는 제3 상부 프레임(113), 및 제3 상부 프레임(113) 상에서 제3 상부 프레임(113)을 따라 배치되고 한 쌍의 제2 상부 프레임(112)을 연결하는 제4 상부 프레임(11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상부 프레임(111) 및 제2 상부 프레임(112)은 동일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고, 제4 상부 프레임(114)은 제3 상부 프레임(113)보다 짧은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제1 상부 프레임(111) 및 제2 상부 프레임(112)은, 네 개의 측면 패널(210)들 중 상대적으로 더 긴 길이를 갖는 한 쌍의 측면 패널(210)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즉, 빗물받이 홈(314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하우스(1)의 길이 방향(y)을 따라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위와 같이, 본 개시에서는 제2 상부 프레임(112)이 조립식 하우스(1)의 길이 방향(y)으로 배치된 두 개의 측면 패널(210)을 따라 한 쌍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2 상부 프레임(112)은 하나만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술한 빗물받이 홈(3140) 또한 하나만 형성될 수 있고, 천장 커버부(320)는 빗물받이 홈(3140) 측의 높이가 더 낮게 배치되도록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다.
도 4의 (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하우스(1)의 천장부(30)의 단면을 나타내기 위한 도 1의 A-A확대도이고, 도 4의 (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하우스(1)의 천장부(30)의 두 개의 천장 조립체(3200)가 분해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의 (a) 및 도 4의 (b)를 참조하면, 상술한 천장 커버부(320)는 일 방향으로 정렬된 복수의 천장 조립체(3200)를 포함할 수 있고, 천장 커버부(320)는, 복수의 천장 조립체(3200) 중 인접한 천장 조립체(3200)들이 상호 연결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천장 조립체(3200)는 조립식 하우스(1)의 길이 방향(y)을 따라 정렬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천장 조립체(3200) 각각은 제1 걸림부(3210), 천장면부재(3220) 및 제2 걸림부(32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걸림부(3210), 천장면부재(3220) 및 제2 걸림부(3230)는, 단일의 플레이트가 절곡 성형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즉, 복수의 천장 조립체(3200) 각각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제1 걸림부(3210)는 복수의 천장 조립체(3200)의 정렬 방향 일측에 위치될 수 있고, 제2 걸림부(3230)는 복수의 천장 조립체(3200)의 정렬 방향 타측에 위치될 수 있으며, 천장면부재(3220)는 제1 걸림부(3210)로부터 지면에 평행하게 제2 걸림부(3230)까지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제1 걸림부(3210) 및 제2 걸림부(3230)는 천장면부재(3220)로부터 상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1 걸림부(3210)는 하측이 개방된 캡(cap)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인접한 두 개의 천장 조립체(3200) 중 어느 하나의 천장 조립체(3200)의 제2 걸림부(3230)는 인접한 두 개의 천장 조립체(3200) 중 나머지 하나의 천장 조립체(3200)의 제1 걸림부(3210)의 하측 개방부에 삽입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인접한 두 개의 천장 조립체(3200)가 조립될 수 있다. 삽입된 제2 걸림부(3230)의 외측면은 제1 걸림부(3210)의 내측면에 면상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제2 걸림부(3230)의 최상단 높이는 제1 걸림부(3210)의 최상단 높이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인접한 두 개의 천장 조립체(3200)가 조립된 상태에서 상술한 어느 하나의 천장 조립체(3200)의 천장면부재(3220)와 나머지 하나의 천장 조립체(3200)의 천장면부재(3220)는 동일한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조립된 복수의 천장 조립체(3200)의 천장면부재(3220)들은 실질적으로 평면인 천장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천장 조립체(3200)들이 조립된 상태에서 서로 조립된 제1 걸림부(3210) 및 제2 걸림부(3230)는 상술한 천장 가이드(321)를 형성할 수 있다. 인접한 두 개의 천장 가이드(321) 사이에 위치된 천장면부재(3220)와 서로 대향하는 천장 가이드(321) 측면에 의해 상술한 천장 홈(322)이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제1 걸림부(3210)는, 지면에 수직하게 배치된 제1-1 걸림부재(3211), 일단에서 제1-1 걸림부재(3211)의 상단으로부터 연장되고 지면에 평행하게 배치된 제1-2 걸림부재(3212), 및 제1-2 걸림부재(3212)의 타단으로부터 천장면부재(3220)의 일단까지 연장되고 제1-1 걸림부재(3211)와 대향하는 제1-3 걸림부재(32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1 걸림부재(3211), 제1-2 걸림부재(3212) 및 제1-3 걸림부재(3213)는 하측이 개방된 캡 형상의 제1 걸림부(3210)를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제2 걸림부(3230)는, 천장면부재(3220)의 타단으로부터 지면에 수직하게 상방 연장된 제2-1 걸림부재(3231), 및 제2-1 걸림부재(3231)의 상단으로부터 제1 걸림부(3210)를 향해 지면에 평행하게 연장된 제2-2 걸림부재(323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2-2 걸림부재(3232)는 천장면부재(3220)의 타측 일부와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복수의 천장 조립체(3200)의 정렬 방향에 있어서, 제2-2 걸림부재(3232)의 폭은 제1-1 걸림부재(3211)와 제1-3 걸림부재(3213) 사이의 이격 거리보다 작도록 형성될 수 있고, 인접한 두 개의 천장 조립체(3200) 중 어느 하나의 천장 조립체(3200)의 제2 걸림부(3230)는, 인접한 다른 천장 조립체(3200)의 제1-1 걸림부재(3211)와 제1-3 걸림부재(3213)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복수의 천장 조립체(3200)들이 조립된 상태에서, 서로 조립된 제1 걸림부(3210) 및 제2 걸림부(3230)에 있어서, 제1 걸림부(3210)의 제1-2 걸림부재(3212)의 내측면(즉, 하면)은 제2 걸림부(3230)의 제2-2 걸림부재(3232)의 외측면(즉, 상면)과 적어도 일부에서 면상 접촉될 수 있고, 제1 걸림부(3210)의 제1-3 걸림부재(3213)의 내측면(제1-1 걸림부재(3211)에 대향하는 외면)은 제2 걸림부(3230)의 제2-1 걸림부재(3231)의 외측면(제2-2 걸림부재(3232) 위치의 반대측 외면)과 적어도 일부에서 면상 접촉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복수의 천장 조립체(3200)가 조립된 상태에서, 천장면의 기밀성이 유지될 수 있고, 인접한 천장 조립체(3200) 사이의 틈으로 외부 이물질이나 빗물 등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1-1 걸림부재(3211)는 제1-2 걸림부재(3212)와 약 90°의 각도를 형성하도록 플레이트의 일부가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고, 제1-3 걸림부재(3213)는 제1-2 걸림부재(3212)와 약 90°의 각도를 형성하도록 플레이트의 일부가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고, 제1-3 걸림부재(3213)는 천장면부재(3220)와 약 90°의 각도를 형성하도록 플레이트의 일부가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고, 제2-1 걸림부재(3231)는 천장면부재(3220)와 약 90°의 각도를 형성하도록 플레이트의 일부가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제2-2 걸림부재(3232)는 제2-1 걸림부재(3231)와 약 90°의 각도를 형성하도록 플레이트의 일부가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하우스(1)의 프레임부(10) 및 천장부(30)의 연결 구조의 단면을 나타내기 위한 도 1의 B-B확대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상부 프레임 커버부(310)는 제1 프레임 안착부(3110)와 제2 프레임 안착부(3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제1 프레임 안착부(3110)는, 제1 상부 프레임(111)의 하면에 접하는 제1 안착바닥면(3111), 제1 상부 프레임(111)의 외향 측면(즉, 조립식 하우스의 측방향 외측을 향하는 면)을 감싸는 제1-1 안착측면(3112), 제1 상부 프레임(111)의 상면에 접하는 제1 안착상면(3113), 및 제1 상부 프레임(111)의 내향 측면(즉, 조립식 하우스의 측방향 내측을 향하는 면)에 대향하는 제1-2 안착측면(311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안착바닥면(3111)은 지면에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고, 제1-1 안착측면(3112)은 제1 안착바닥면(3111)의 일단으로부터 제1 안착상면(3113)까지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제1 안착상면(3113)은 제1 안착바닥면(3111)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고, 제1-2 안착측면(3114)은 제1 안착상면(3113)의 타단으로부터 지면에 수직하게 하방 연장될 수 있다. 나아가, 제1 안착상면(3113)의 폭, 구체적으로 조립식 하우스(1)의 폭 방향(x)을 따른 제1 안착상면(3113)의 폭의 크기는, 제1 상부 프레임(111)의 폭 방향(x) 크기 및 제1 안착바닥면(3111)의 폭 방향(x) 크기의 합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상부 프레임(111)은 제1 안착바닥면(3111)과 제1-2 안착측면(3114)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될 수 있다.
상술한 제2 프레임 안착부(3120)는, 제2 상부 프레임(112)의 외향 측면을 감싸는 제2 안착측면(3121), 및 제2 상부 프레임(112)의 상면에 접하는 제2 안착상면(312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프레임 안착부(3110) 및 제2 프레임 안착부(3120)는, 제1-2 안착측면(3114) 및 제2 안착측면(3121) 사이에서 연장된 홈 바닥면(313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즉, 홈 바닥면(3130)은 지면에 평행하게 형성되어 제1-2 안착측면(3114)의 하단에서 제2 안착측면(3121)의 하단까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빗물받이 홈(3140)은 제1-2 안착측면(3114), 홈 바닥면(3130) 및 제2 안착측면(3121)에 의해 형성될 수 있고, 빗물받이 홈(3140)이란 제1-2 안착측면(3114), 홈 바닥면(3130) 및 제2 안착측면(3121)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을 의미할 수 있다.
상술한 제1 프레임 안착부(3110), 홈 바닥면(3130) 및 제2 프레임 안착부(3120)는 단일의 플레이트가 절곡 성형되어 형성된 일체형 구조물일 수 있다. 또한, 제1 안착바닥면(3111)은 제1-1 안착측면(3112)과 약 90°의 각도를 형성하도록 플레이트의 일부가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고, 제1 안착상면(3113)은 제1-1 안착측면(3112)과 약 90°의 각도를 형성하도록 플레이트의 일부가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고, 제1-2 안착측면(3114)은 제1 안착상면(3113)과 약 90°의 각도를 형성하도록 플레이트의 일부가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고, 홈 바닥면(3130)은 제1-2 안착측면(3114) 및 제2 안착측면(3121)에 대해 각각 약 90°의 각도를 형성하도록 플레이트의 일부가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고, 제2 안착상면(3122)은 제2 안착측면(3121)과 약 90°의 각도를 형성하도록 플레이트의 일부가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위와 같이, 상부 프레임 커버부(310)는 단일의 플레이트가 절곡 성형되어 형성된 일체형 구조물인바, 제1 프레임 안착부(3110) 및 제2 프레임 안착부(3120)를 포함하는 상부 프레임 커버부(310)의 형성을 위해 불필요한 접합 또는 결합 공정이 불필요하며, 접합 또는 결합 공정 부위를 최소화 함으로써 접합 부위로 외부 유체가 실내로 유입되는 등의 문제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제1 안착바닥면(3111)의 상면은 제1 상부 프레임(111)의 하면의 적어도 일부와 면상 접촉될 수 있고, 제1 안착바닥면(3111) 및 제1 상부 프레임(111)은 제1 체결부재(3150)에 의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상술한 제1 체결부재(3150)는, 조립식 하우의 높이 방향(z)을 따라 제1 안착바닥면(3111)의 하측에서 상방으로 제1 안착바닥면(3111)과 제1 상부 프레임(111)의 하면을 관통하여, 제1 안착바닥면(3111) 및 제1 상부 프레임(111)을 결합시킬 수 있다.
제1 체결부재(3150)는 하측에서 상방으로 체결되는바, 우천 시 두 개의 구성요소를 결합하는 체결부위로 빗물 등의 외부 유체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하우스(1)의 누수 가능성을 보다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제1 체결부재(3150)는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고, 복수 개의 제1 체결부재(3150)는 조립식 하우스(1)의 길이 방향(y)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어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제1 안착바닥면(3111) 및 제1 상부 프레임(111)은 제1 체결부재(3150)에 의해 체결됨에 따라 서로를 향해 가압되어 면상 접촉의 기밀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천장 커버부(320)는, 제2 프레임 안착부(3120) 상에 안착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제2 프레임 안착부(3120)의 제2 안착상면(3122)에 안착될 수 있다. 천장 커버부(320)의 말단부, 바람직하게는 천장 커버부(320)의 둘레부 중 빗물받이 홈(3140)에 인접한 말단부는, 제2 안착상면(3122)에 안착되어 제2 안착상면(3122)과 면상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천장 커버부(320)의 말단부 및 제2 안착상면(3122) 사이의 접촉면은, 천장 커버부(320)와 상부 프레임 커버부(310)가 결합됨에 따라 기밀하게 가압되어 외부 이물질 또는 빗물 등이 유입되지 않도록 면상 접촉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빗물받이 홈(3140)은, 제1 상부 프레임(111) 및 제2 상부 프레임(11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조립식 하우스(1)의 상측에서 보았을 때, 빗물받이 홈(3140)은 제1 상부 프레임(111)의 내향 측면 및 제2 상부 프레임(112)의 외향 측면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조립식 하우스(1)의 길이 방향(y) 일측에서 보았을 때(즉 도 5에 도시된 상태), 빗물받이 홈(3140)을 형성하는 상부 프레임 커버부(310)의 홈 바닥면(3130)은, 제1 상부 프레임(111)의 하측면 및 제2 상부 프레임(112)의 상측면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위와 같이, 빗물받이 홈(3140)은 조립식 하우스(1)의 폭 방향(x) 또는 높이 방향(z) 중 어느 곳으로도 제1 상부 프레임(111) 및 제2 상부 프레임(112)의 최외측 평면을 초과하여 돌출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빗물받이 홈(314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하우스(1)의 외벽면을 형성하는 측면 패널(210) 및 천장 커버부(320)에 대하여 조립식 하우스(1)의 내측에 형성되고, 조립식 하우스(1)의 외벽면을 넘어서 돌출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통해, 종래의 하우스의 외벽에 별개로 마련되거나 외벽에 돌출되도록 마련된 빗물받이 통의 불필요한 체적을 제거함으로써 조립식 하우스(1)의 전체 체적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하우스(1)의 천장부(30)를 구성하는 복수의 천장 조립체(3200)의 연결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6은 도 4의 (a)에 도시된 복수의 천장 조립체(3200) 중 인접한 두 개의 천장 조립체(3200)의 연결 구조를 구체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인접한 두 개의 천장 조립체(3200) 중 어느 하나의 천장 조립체(3200)의 제2 걸림부(3230)는 인접한 두 개의 천장 조립체(3200) 중 나머지 하나의 천장 조립체(3200)의 제1 걸림부(3210)의 하측 개방부에 삽입될 수 있다. 조립된 상태의 제1 걸림부(3210) 및 제2 걸림부(3230)에 있어서, 제1 걸림부(3210)의 제1-2 걸림부재(3212) 및 제2 걸림부(3230)의 제2-2 걸림부재(3232)는 상호 면상 접촉될 수 있고, 이러한 제1-2 걸림부재(3212) 및 제2-2 걸림부재(3232)는 서로 제2 체결부재(3260)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상술한 제2 체결부재(3260)는, 조립식 하우스(1)의 높이 방향(z)을 따라 제1 걸림부(3210)의 상측에서 하방으로 제1-2 걸림부재(3212) 및 제2-2 걸림부재(3232)를 관통하여, 제1 걸림부(3210) 및 제2 걸림부(3230)를 체결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2 체결부재(3260)는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고, 복수 개의 제2 체결부재(3260)는 조립식 하우스(1)의 폭 방향(x)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어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제1-2 걸림부재(3212) 및 제2-2 걸림부재(3232)는 제2 체결부재(3260)에 의해 체결됨에 따라 서로를 향해 가압되어 면상 접촉의 기밀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천장 커버부(320)는 인접한 두 개의 천장 조립체(3200) 사이의 접촉 부위에 배치되는 밀봉부재(3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밀봉부재(3240)는 천장 커버부(320)의 천장 홈(322) 및 천장 가이드(321)의 길이 방향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길이를 갖는 세장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밀봉부재(3240)는 제1 걸림부(3210)와 제2 걸림부(32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제1 걸림부(3210)의 내측면과 제2 걸림부(3230)의 외측면 사이에서 가압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밀봉부재(3240)는 제1 걸림부(3210)의 제1-2 걸림부재(3212) 및 제1-3 걸림부재(3213)가 만나는 모서리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고, 밀봉부재(3240)는 제2 걸림부(3230)의 제2-1 걸림부재(3231)와 제2-2 걸림부재(3232)가 만나는 모서리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설사 제2 체결부재(3260)의 체결 부위를 통해 제1 걸림부(3210)와 제2 걸림부(3230) 사이의 공간으로 빗물 등의 외부 유체가 유입된다 하더라도, 상술한 밀봉부재(3240)에 의해 유체가 실내까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상술한 밀봉부재(3240)는, 제1 걸림부(3210)의 제1-2 걸림부재(3212) 및 제1-3 걸림부재(3213)가 만나는 모서리의 내측면과 제2 걸림부(3230)의 제2-1 걸림부재(3231)와 제2-2 걸림부재(3232)가 만나는 모서리의 외측면에 상보적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 밀봉부재(3240)는 횡단면이 'ㄱ'자인 세장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천장 조립체(3200)의 제2-1 걸림부재(3231) 상에는 벤트홀(3250)이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벤트홀(3250)은 제2-1 걸림부재(3231)의 상단부에서 밀봉부재(3240)의 바로 아래의 높이에 형성될 수 있고, 벤트홀(3250)은 외부의 유체는 유입되지 않되 미량의 외기는 유입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벤트홀(3250)이 형성된 제2-1 걸림부재(3231)는 제1 걸림부(3210)애 의해 둘러싸이며, 제1-1 걸림부재(3211)의 말단 및 천장면부재(3220)의 기밀 접촉에 의해 제2 걸림부(3230)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방지되는바, 빗물이 벤트홀(3250) 높이까지 차올라 벤트홀(3250)을 통해 실내로 유입되는 문제가 차단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천장 커버부(320)가 조립식 하우스(1)의 실내와 완벽하게 기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벤트홀(3250)을 통해 미량의 외기가 제1 걸림부(3210)의 제1-3 걸림부재(3213)와 제2 걸림부(3230)의 제2-1 걸림부재(3231) 사이로 유입될 수 있는바, 겨울철 천장 커버부(320)의 실내외 온도차에 의한 결로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천장부(30)가 열 전도도가 높은 철제 플레이트로 형성되는 경우에도, 천장 커버부(320)를 구성하는 복수의 천장 조립체(3200)의 연결 부위에 미량의 외기가 유입될 수 있는바, 천장 커버부(320)의 하면을 건조하게 유지할 수 있고, 천장 커버부(320)의 하면에서 실내 공기와의 급격한 온도차로 인한 결로 발생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하우스(1)의 가이드부(220)를 나타기내 위한 도 1의 부분확대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하우스(1)는, 측면 패널(210) 상에서 빗물받이 홈(3140)의 말단으로부터 지면을 향해 연장된 가이드부(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부(220)는 벽체부(20)의 측면 패널(210)들 중 빗물받이 홈(3140)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측면 패널(210) 상에 형성될 수 있고,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이드부(220)는 조립식 하우스(1)의 폭 방향(x)에 평행하게 배치된 측면 패널(21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가이드부(220)는 측면 패널(210)에서 돌출 형성될 수 있고, 가이드부(220)의 폭은 빗물받이 홈(3140)의 폭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부(220)는 빗물받이 홈(3140)의 양단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부(220)는 횡단면이 삼각형인 세장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가이드부(220)는 조립식 하우스(1)의 폭 방향(x) 중심부가 가장 높은 높이를 갖는 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220)가 마련됨에 따라, 빗물받이 홈(3140)을 따라 유동된 빗물은 빗물받이 홈(3140)의 양단의 개구로부터 무작위하게 낙수되는 것이 아니고, 표면 장력에 의해 가이드부(220)를 따라 가이드부(220) 하단측의 지면으로 유동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가이드부(220)는 빗물받이 홈(3140)의 개방 단부로부터 지면까지 연장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빗물받이 홈(3140)의 유체가 높은 높이에서 낙하되어 지면에서 지저분하게 튀어 반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가이드부(220)의 하측에 배수시설을 설치하여 우천 시에도 조립식 하우스(1)의 주변 환경을 깔끔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개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개시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개시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 조립식 하우스
10: 프레임부
110: 상부 프레임
111: 제1 상부 프레임
112: 제2 상부 프레임
113: 제3 상부 프레임
114: 제4 상부 프레임
120: 수직 프레임
20: 벽체부
210: 측면 패널
220: 가이드부
30: 천장부
310: 상부 프레임 커버부
3110: 제1 프레임 안착부
3111: 제1 안착바닥면
3112: 제1-1 안착측면
3113: 제1 안착상면
3114: 제1-2 안착측면
3120: 제2 프레임 안착부
3121: 제2 안착측면
3122: 제2 안착상면
3130: 홈 바닥면
3140: 빗물받이 홈
3150: 제1 체결부재
320: 천장 커버부
321: 천장 가이드
322: 천장 홈
3200: 천장 조립체
3210: 제1 걸림부
3211: 제1-1 걸림부재
3112: 제1-2 걸림부재
3113: 제1-3 걸림부재
3220: 천장면부재
3230: 제2 걸림부
3231: 제2-1 걸림부재
3232: 제2-2 걸림부재
3240: 밀봉부재
3250: 벤트홀
3260: 제2 체결부재

Claims (6)

  1. 이동 가능한 조립식 하우스에 있어서,
    지면에 수직하게 배치된 수직 프레임, 및 상기 수직 프레임의 상부에서 지면에 평행하게 배치된 상부 프레임을 포함하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에 결합되고 상기 조립식 하우스의 측방향 4면을 형성하는 벽체부; 및
    상기 프레임부에 결합되고 상기 조립식 하우스의 천장면을 형성하는 천장부
    를 포함하고,
    상기 천장부는, 상기 조립식 하우스의 둘레면 중 적어도 일부를 따라 형성된 빗물받이 홈을 포함하고,
    상기 빗물받이 홈은 상부에서 볼 때 상기 벽체부의 외측면보다 상기 조립식 하우스의 내측으로 배치되고,
    상기 천장부는, 상기 상부 프레임과 연결되는 상부 프레임 커버부, 및 상기 조립식 하우스의 천장면을 형성하는 천장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프레임은, 제1 상부 프레임, 및 상기 제1 상부 프레임보다 높은 위치에서 상기 제1 상부 프레임보다 상기 조립식 하우스의 내측으로 위치된 제2 상부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프레임 커버부는, 상기 제1 상부 프레임에 안착되어 상기 제1 상부 프레임의 외면 일부를 감싸도록 구성된 제1 프레임 안착부, 상기 제2 상부 프레임에 안착되어 상기 제2 상부 프레임의 외면 일부를 감싸도록 구성된 제2 프레임 안착부, 및 상기 제1 프레임 안착부 및 상기 제2 프레임 안착부 사이에 위치된 상기 빗물받이 홈을 포함하며,
    상기 빗물받이 홈은, 상기 제1 상부 프레임 및 상기 제2 상부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천장 커버부는 일 방향으로 정렬된 복수의 천장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천장 커버부는, 상기 복수의 천장 조립체 중 인접한 천장 조립체가 상호 연결됨으로써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천장 조립체 각각은, 상기 복수의 천장 조립체의 정렬 방향 일측에 위치된 제1 걸림부, 상기 제1 걸림부로부터 지면에 평행하게 연장된 천장면부재, 상기 천장면부재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복수의 천장 조립체의 정렬 방향 타측에 위치된 제2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걸림부는, 하측이 개방된 캡(cap)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걸림부는, 지면에 수직하게 배치된 제1-1 걸림부재, 상기 제1-1 걸림부재로부터 연장되고 지면에 평행하게 배치된 제1-2 걸림부재, 및 상기 제1-2 걸림부재로부터 상기 천장면부재의 일단까지 연장되고 상기 제1-1 걸림부재와 대향하는 제1-3 걸림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걸림부는, 상기 천장면부재의 타단으로부터 지면에 수직하게 연장된 제2-1 걸림부재, 및 상기 제2-1 걸림부재로부터 상기 제1 걸림부를 향해 지면에 평행하게 연장된 제2-2 걸림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천장 조립체의 정렬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2-2 걸림부재의 폭은 상기 제1-1 걸림부재와 상기 제1-3 걸림부재 사이의 이격 거리보다 작도록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천장 조립체 중 어느 하나의 천장 조립체의 제2 걸림부는, 인접한 다른 천장 조립체의 상기 제1-1 걸림부재와 상기 제1-3 걸림부재 사이에 삽입되고,
    상기 제1 걸림부 내에 삽입된 상기 제2 걸림부의 외측면은 상기 제1 걸림부의 내측면에 면상 접촉되고,
    상기 제1 프레임 안착부는, 상기 제1 상부 프레임의 외향 측면을 감싸는 제1-1 안착측면, 상기 제1 상부 프레임의 상면에 접하는 제1 안착상면, 및 상기 제1 상부 프레임의 내향 측면에 대향하는 제1-2 안착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프레임 안착부는, 상기 제2 상부 프레임의 외향 측면을 감싸는 제2 안착측면, 및 상기 제2 상부 프레임의 상면에 접하는 제2 안착상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프레임 안착부 및 상기 제2 프레임 안착부는, 상기 제1-2 안착측면 및 상기 제2 안착측면 사이에서 연장된 홈 바닥면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빗물받이 홈은 상기 제1-2 안착측면, 상기 홈 바닥면 및 상기 제2 안착측면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제1 프레임 안착부, 상기 홈 바닥면 및 상기 제2 프레임 안착부는 단일의 플레이트가 절곡 성형되어 형성된 일체형 구조물이고,
    상기 제1 안착상면은 상기 제1-1 안착측면과 직각을 형성하도록 단일의 플레이트의 일부가 절곡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2 안착측면은 상기 제1 안착상면과 직각을 형성하도록 단일의 플레이트의 일부가 절곡되어 형성되고, 상기 홈 바닥면은 상기 제1-2 안착측면 및 상기 제2 안착측면 각각과 직각을 형성하도록 단일의 플레이트의 일부가 절곡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2 안착상면은 상기 제2 안착측면과 직각을 형성하도록 단일의 플레이트의 일부가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인, 조립식 하우스.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천장 커버부는, 상기 제2 프레임 안착부 상에 안착되고, 상측에서 보았을 때 상기 빗물받이 홈보다 상기 조립식 하우스의 내측으로 배치되는 것인, 조립식 하우스.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220025625A 2022-02-27 2022-02-27 조립식 하우스 KR1024624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5625A KR102462492B1 (ko) 2022-02-27 2022-02-27 조립식 하우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5625A KR102462492B1 (ko) 2022-02-27 2022-02-27 조립식 하우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2492B1 true KR102462492B1 (ko) 2022-11-03

Family

ID=84041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5625A KR102462492B1 (ko) 2022-02-27 2022-02-27 조립식 하우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249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1576B1 (ko) 2023-04-03 2023-10-19 (주)더유닛알앤디 누수방지 기능을 갖는 확장형 모듈러하우스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9742B2 (ja) * 1990-07-02 1996-02-28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建物ユニットへの排水装置の据付方法
JP2006152581A (ja) * 2004-11-25 2006-06-1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ユニットルームの天井パネル取付構造
KR20150115479A (ko) * 2014-04-04 2015-10-14 강우이엔지(주) 컨테이너 조립 하우스
KR101927204B1 (ko) 2018-03-06 2019-03-12 (주) 삼진넥스틸 내진장치가 설치된 컨테이너 하우스용 화장실
JP2020133274A (ja) * 2019-02-21 2020-08-31 四国化成工業株式会社 屋根構造物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9742B2 (ja) * 1990-07-02 1996-02-28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建物ユニットへの排水装置の据付方法
JP2006152581A (ja) * 2004-11-25 2006-06-1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ユニットルームの天井パネル取付構造
KR20150115479A (ko) * 2014-04-04 2015-10-14 강우이엔지(주) 컨테이너 조립 하우스
KR101927204B1 (ko) 2018-03-06 2019-03-12 (주) 삼진넥스틸 내진장치가 설치된 컨테이너 하우스용 화장실
JP2020133274A (ja) * 2019-02-21 2020-08-31 四国化成工業株式会社 屋根構造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1576B1 (ko) 2023-04-03 2023-10-19 (주)더유닛알앤디 누수방지 기능을 갖는 확장형 모듈러하우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62492B1 (ko) 조립식 하우스
US20230340773A1 (en) Support beam for screened enclosure and connectors therefore
KR20080096085A (ko) 조립식 주택의 골조
CN110528917B (zh) 手术室八角型模块化装配式结构
CN110528918B (zh) 手术室圆弧型模块化装配式结构
KR100959063B1 (ko) 커튼월 및 창호 시스템의 프레임 보강용 장치
KR20190042157A (ko) 단열 성능을 향상시킨 커튼월
JP2008267029A (ja) 通気材及びそれを用いた棟換気部材
KR200319279Y1 (ko) 조립식 건축물
US20210047837A1 (en) Building exterior panel and assembly structure thereof
KR101921633B1 (ko) 지오데식 돔 하우스 연결 구조체
KR102586746B1 (ko) 고정 클립을 구비한 외장 패널
KR200416147Y1 (ko) 조립식 건축용 지붕체의 연결부재
JP5775035B2 (ja) 屋根構造
KR20130058110A (ko) 온실 구조물
KR101385554B1 (ko) 하프 슬라브를 이용한 조립식 건축구조물
KR102119014B1 (ko) 조립식 원형지붕과 이를 이용한 조립식 하우스
JP5841477B2 (ja) 建物
JPH11351496A (ja) 建築用i字形支持体
KR101721223B1 (ko) 갤러리 창호
KR101745934B1 (ko) 외장패널 고정 프레임
KR102559032B1 (ko) 수평부재 연결형 모듈러 구조물
JP5965324B2 (ja) 建物の断熱構造
CN220580209U (zh) 一种箱式房
JP7065707B2 (ja) 斜材固定金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