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2306B1 - 자석 목도리 - Google Patents

자석 목도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2306B1
KR102462306B1 KR1020210125609A KR20210125609A KR102462306B1 KR 102462306 B1 KR102462306 B1 KR 102462306B1 KR 1020210125609 A KR1020210125609 A KR 1020210125609A KR 20210125609 A KR20210125609 A KR 20210125609A KR 102462306 B1 KR102462306 B1 KR 1024623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
magnetic
rod
shaped permanent
velcr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56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선학
Original Assignee
강선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선학 filed Critical 강선학
Priority to KR10202101256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23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23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23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Scarves; Head-scarves; Neckerchief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0Pockets; Making or setting-in pocke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FGARMENT FASTENINGS; SUSPENDERS
    • A41F1/00Faste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garments
    • A41F1/002Magnetic fasten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2/00Magnetotherapy
    • A61N2/004Magnetotherapy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therapy
    • A61N2/006Magnetotherapy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therapy for magnetic stimulation of nerve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2/00Magnetotherapy
    • A61N2/06Magnetotherapy using magnetic fields produced by permanent magne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2Closures using hook and loop-type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22Closures using slide faste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eurology (AREA)
  • Magnetic Treatment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직조물이나 부직포를 이중으로 겹치도록 하여 길이를 따라 주머니(112)가 형성되고, 상기 주머니(112)의 일측에는 주머니(112)를 열고 닫을 수 있는 지퍼(114)가 형성되며, 양단에 상호 대향되는 벨크로(116)가 형성되어 있어서 양단의 벨크로(116)가 맞대어지게 겹치면 상기 벨크로(116)가 서로 접촉되면서 접착되고, 양단을 손으로 잡고 떼어내면 벨크로(116)가 분리되도록 하는 목도리원단(110); 상기 자석주머니(140)에 삽입되고, 동일한 길이와 지름을 가지는 봉형영구자석(130)이 일렬로 자력에 의해 결합되어 있어서 자력 이상의 외력이 작용하지 않으면 각각의 봉형영구자석(130)이 서로 분리되지 않지만, 수직 방향의 외력이나 수평방향의 외력이 작용할 때 마다 각각의 봉형영구자석(130)이 상호 회전되면서 변형이 이루어지는 묶음자석(120); 상기 묶음자석(120)을 주머니에 삽입하기 전 먼저 묶음자석(120)이 삽입된 후 상기 주머니(112)에 삽입되는 자석주머니(140); 상기 묶음자석(120)이 삽입되어 밀폐됨으로써 묵음자석(120)이 수분에 노출되지 않고, 묶음자석(120)에 외력이 가해져도 길이 방향으로는 봉형영구자석(130)이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하면서 반경방향으로는 봉형영구자석(130)이 서로 간에 회전되어 단차가 형성되면서 자유롭게 변위되도록 할 수 있는 자석봉지(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 목도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석 목도리{magnetic muffler}
본 발명은 목도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영구자석이 내장되어 목에 두르고 있으면 그 영구자석의 효능이 지속적으로 미치는 자석 목도리에 관한 것이다.
목은 우리 몸에서 중요한 통로 역할을 담당한다. 섭취한 음식물이 위로 이동하는 통로인 식도와 공기가 폐로 전달되기 위해 통하는 길인 기도가 있다. 또 뇌로 가는 혈관인 척추동맥과 경동맥의 통로도 있고, 뇌와 연결되는 여러 신경이 지나기도 한다. 목 신경에 이상이 생기면 어깨나 팔 쪽에 이상 증상이 생길 뿐 아니라 감각신경이 마비되면서 뇌졸중과 유사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특히 목뼈를 지나는 척수는 신체의 모든 기능을 조정하고, 뇌에서 각 신체에 내리는 명령을 제대로 수행하도록 돕는다. 목을 심하게 다친 경우, 전신마비가 오거나 사망에까지 이를 수 있는 것은 이 때문이다.
그런데 일상생활에서 목이 혹사당하는 경우가 많다. 이로 인해 목 관련 질환도 늘어나는 추세다. 실제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자료에 따르면 목디스크 환자는 2010~2015년 사이 24%나 급증했다. 목 건강이 위협받는 데는 여러 이유가 있겠지만, 생활습관이 가장 대표적인 원인으로 꼽힌다. 특히 스마트폰과 같은 전자기기의 사용 증가가 큰 영향을 미친다. 고개를 숙인 채 한 자세를 오래 유지하는 것은 목 경직을 유발한다. 목의 근육이 경직되면 목을 지나 드는 혈관과 신경의 흐름이 방해되고, 흐름이 원활하지 못해 정체되면 염증으로 이어질 수도 있어 주의해야 한다.
고개를 숙이고 스마트폰을 오래 들여다보거나, 쇼파에 누워 TV를 보거나, 장시간 컴퓨터를 사용하는 것과 같은 습관은 목 건강을 악화시키는 주범이다. 이 때문에 목이 거북이 목처럼 앞으로 구부러지며 통증을 유발하는 거북목증후군이 있는 사람도 많다. 거북목증후군이 있으면 근육이 경직되면서 뒷목과 어깨가 무겁고, 목디스크 발생 위험도 높아진다. 따라서 스마트폰이나 컴퓨터를 사용할 때는 고개를 지나치게 숙이지 않아야 한다. 장시간 같은 자세로 컴퓨터를 이용하는 직장인들은 모니터를 눈높이에 맞춰 조절하는 게 좋다.
스트레칭도 목 건강에 도움이 된다. 어깨를 펴고 턱을 목 쪽으로 당긴다. 또 바로 선 자세에서 목을 수평인 채로 옆으로 돌리는 것도 좋다. 목 스트레칭을 할 때는 함부로 세게 꺾거나 돌리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특히 근육이 경직된 상태에서 갑자기 움직이면 부상의 위험이 있으므로 천천히 움직여 근육이 충분히 이완되도록 동작 끝에서 수초 이상 정지하는 게 좋다.
전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목 건강을 지키기 위해서 노력하고 있지만, 최악의 경우 외과적인 수술도 받지만, 외과적인 수술은 위험성도 따르는 게 사실이다.
자석을 이용하여 목 건강을 호전시킬 수도 있다. 자석의 효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자석의 효능>
자석의 N극은 인체 내 혈액을 밀어내는 작용을 해서 세포를 수축시키고, S극은 혈액을 당기는 작용을 해서 세포를 이완시키는 작용을 합니다. 즉 N극은 기능을 억제시키고 S극은 활성화 시키는 작용을 한다.
자석의 자기장은 산화를 촉진해 몸의 산도를 낮춤으로써 박테리아와 진균 그리고 바이러스를 죽이는 효과를 낸다. 이러한 기전은 몸에는 이롭고 동시에 병을 일으키는 미생물들에게는 해가 된다. 자기장이 DNA를 음극화해 혈류에서 세포내로 산소가 들어오게 하는데, 이런 자기장이 세포의 완충 시스템을 견고하게 만들어 세포를 알칼리성으로 바꾼다고 알려져 있다.
자석의 자기장은 손상된 대사체계가 세포의 부종, 세포의 산화, 세포 산소부족과 감영 등이 야기하는 통증을 유발하는 상황을 정상화하는 역활을 한다.
자석의 자기장은 멜라토닌이라는 호르몬 분비가 활발해져 두뇌가 차분해지며 두뇌와 몸에 잠을 유도하는 효과를 가져온다. 멜리토닌은 스프레스를 감소시키고 노화를 억제하며 감염에 대한 저항성을 높인다. 또한 호흡과 자유 라디칼의 생성에 대한 조절을 하는 기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혈액에는 철분이 함유된 헤모글로빈을 함유하고 있는데 자기장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헤모글로빈이 자기장을 충분히 받아 자성을 갖게 되면 산소 운반과 노폐물을 잘 방출하게 되지만, 자기장이 부족할 경우 헤모글로빈 본래의 기능을 할 수 없어 각종 질병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인체의 신진대사를 주관하는 주요 작용은 전기와 자기로 이루어 지는데 전기가 흐르는 곳에 자기장이 형성되고 양극과 음극이 균형을 이루며 전신에 혈액순환을 시키고 건강을 유지하지만, 자기장이 부족하거나 기능이 떨어지면 인체는 질병에 대한 저항성이 저하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목도리는 추위를 막거나 모양을 내기 위하여 목에 두른다. 목도리는 추위를 막기 위해서도 착용하지만, 모자나 귀거리 처럼 장신구로도 많이 이용된다. 따라서 계절에 관계 없이 목도리를 항상 착용하고 다녀도 전혀 어색하지 않다.
이런 목도리의 착용 특성과 자석의 효능을 활용하여 목 건강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런데 영구자석은 단단한 고체이기 때문에 유연성이 중요한 목도리에 적용하는데 어려움이 있고, 영구자석이 목의 피부에 직접 접촉하면 피부 손상을 일으키는 문제도 있다. 또한 목도리에 영구자석을 부탁하더라도 목도리를 착용하고 움직이는 동안 함께 움직이고 이런 움직임에 의해 목에 불괘감을 주고 착용감이 떨어져 상업화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329177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230453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59606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424665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영자석의 활용하여 목에 편리하게 착용하고 다님으로써 목 건강에 유익한 효능을 제공하되, 착용감이 우수하여 편리하게 목에 착용하고 다닐 수 있는 자석 목도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직조물이나 부직포를 이중으로 겹치도록 하여 길이를 따라 주머니(112)가 형성되고, 상기 주머니(112)의 일측에는 주머니(112)를 열고 닫을 수 있는 지퍼(114)가 형성되며, 양단에 상호 대향되는 벨크로(116)가 형성되어 있어서 양단의 벨크로(116)가 맞대어지게 겹치면 상기 벨크로(116)가 서로 접촉되면서 접착되고, 양단을 손으로 잡고 떼어내면 벨크로(116)가 분리되도록 하는 목도리원단(110); 상기 주머니(112)에 삽입되고, 동일한 길이와 지름을 가지는 봉형영구자석(130)이 일렬로 자력에 의해 결합되어 있어서 자력 이상의 외력이 작용하지 않으면 각각의 봉형영구자석(130)이 서로 분리되지 않지만, 수직 방향의 외력이나 수평방향의 외력이 작용할 때 마다 각각의 봉형영구자석(130)이 상호 회전되면서 변형이 이루어지는 묶음자석(120); 상기 묶음자석(120)을 주머니에 삽입하기 전 먼저 묶음자석(120)이 삽입된 후 상기 주머니(112)에 삽입되는 자석주머니(140); 상기 묶음자석(120)이 삽입되어 밀폐됨으로써 묵음자석(120)이 수분에 노출되지 않고, 묶음자석(120)에 외력이 가해져도 길이 방향으로는 봉형영구자석(130)이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하면서 반경방향으로는 봉형영구자석(130)이 서로 간에 회전되어 단차가 형성되면서 자유롭게 변위되도록 할 수 있는 자석봉지(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 목도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석목도리를 항상 목에 착용하고 다닐 수 있기 때문에 자석의 유익한 효능을 간단하면서도 용이하게 지속적으로 얻을 수 있고, 묶음자석이 다수의 봉형영구자석이 자력으로 결합된 상태이므로 걷거나 뛰더라도 그 움직임에 따라 연동되어 순간적으로 변위가 일어나기 때문에 착용감이 우수하다. 또한 묶음자석을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고, 묶음자석이 수분흡수가 되지 않도록 자석봉지에 삽입되어 있어서 사용 중 냄새도 방지하고 사용 후 세탁도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석 목도리의 분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석 목도리의 묶음자석이 자석봉지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석 목도리의 단면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자석 목도리를 목에 착용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조물이나 부직포의 목도리원단(110)을 이중으로 겹치도록 하여 주머니(112)를 형성한다. 목도리원단에 형성되는 주머니(112)는 목도리원단(110)의 선후단만 약간 제외하고 형성되기 때문에 목도리원단(110)의 길이와 거의 같다. 목도리원단(110)의 길이는 40 ~ 60cm 정도로서 보통 사람의 목을 두르고 조금 남을 정도로 형성하고, 목도리원단(110)의 폭은 5 ~ 10cm 정도이다. 목고리원단(110)의 길이와 폭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더 길거나 짧게 더 넓거나 좁게 등 여러 종류로 구별하여 제작할 수 있다. 주머니의 한쪽 끝에는 주머니(112)를 열고 닫을 수 있는 지퍼(114)를 형성한다.
목도리원단(110)의 양쪽 끝에는 벨크로(116)를 형성한다. 벨크로(116)는 암수 구별하여 상호 대응되는 구조로, 접촉되면 결합되도록 하였다. 벨크로(116)의 길이는 5 ~ 10cm 정도로서, 벨크로(116)의 길이 내에서 자석목도리를 목에 두를 때 목도리원단(110)이 만들어 내는 둘레를 더 길거나 짧게 할 수 있다. 즉 벨크로(116)의 외측이 서로 결합되면 길이가 상대적으로 길어져 자석목도리가 목에 여유 있게 매어지고, 벨크로(116)의 내측이 서로 결합되면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아져 목에 타이트 하게 매어진다.
목도리원단(110)의 주머니(112)에는 묶음자석(120)이 삽입된다. 묶음자석(120)은 동일한 크기와 형태의 봉형영구자석(130) 수십개가 서로 자력으로 결합된 것이다. 봉형영구자석(130)은 원통형이므로 서로 자력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봉형영구자석(130)의 길이와 수직한 방향으로 외력이 작용하면 쉽게 분리되지 않고 결합된 상태에서 서로 회전되거나 미끄러지면 움직인다.
묶음자석(120)은 자석주머니(140)를 만들어 여기에 묶음자석(120)을 삽입한 후 주머니(112)에 삽입된다. 묶음자석(120)을 바로 주머니(112)에 삽입하면 주머니(112) 내에서 이리저리 왔다갔다 하면서 유동할 수 있기 때문에 주머니(112)에 삽입될 수 있도록 자석주머니(140)에 묶음자석(120)을 삽입한 후 다시 주머니(112)에 삽입한 것이다.
묶음자석(120)의 길이는 봉형영구자석(130)의 수를 가감하면 되고, 폭은 봉형영구자석(130)의 길이가 더 길거나 짧은 것을 사용하면 된다. 또한 봉형영구자석(130)의 지름이 상대적으로면 크면 묶음자석(120)의 길이가 같은 수의 봉형영구자석(130)을 사용하더라도 더 길어지고, 반대로 지름이 상대적으로 작으면 더 짧아진다.
묶음자석(120)에는 자석봉지(150)가 씌워진다. 묶음자석(120)은 자석주머니(140)에 삽입된 상태에서 주머니(112) 속에 들어가기 때문에 사용중 자력 이상의 외력이 작용하면 분리되더라도 주머니(112) 안에서만 있게 되지만, 자석목도리를 목에 착용한 상태에서 봉형영구자석(130)이 서로 분리되면 일시적이지만 착용감이 떨어지면서 제품의 신뢰도를 저하시킨다. 또한, 자석목걸이 사용중 묶음자석(120)이 땀이나 물 등에 에 노출되면 냄새가 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묶음자석(120)을 수분이 침투하지 못하는 폴리에틸렌 자석봉지(150)로 씌운다. 자석봉지(150)는 묶음자석(120) 길이와 동일하게 자석봉지(150) 안에서 밀착되어 있기 때문에 자력 이상의 외력이 묶음자석(120)에 가해지더라도 자석봉지(150)가 가두고 있어서 길이방향으로는 분리되지 않는다.
반면에 자석봉지(150) 안에서도 묶음자석(120)을 구성하는 봉형영구자석(130)은 외력이 가해질 때 반경방향으로 서로 미끄러지고 구르거나 회전하면서 변위 된다. 여기서 변위가 중요한 이유는 자석목도리를 목에 착용한 후 사용자가 걷거나 뛰게 되면 귀걸이 처럼 계속 움직이게 되는데, 그 움직임과 순간적으로 연동되는 변위가 되지 않으면 특정 부분으로 외력이 더 강하게 작용하여 착용감이 떨어진다. 구슬을 꿰어 만든 목걸이와 철사를 링처럼 만든 목걸이를 비교해 봐도 분명히 착용감의 차이가 나는 것처럼 묶음자석(120)의 순간적인 변위는 착용감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전술한 바와 같은 자석목도리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목도리원단(110)의 주머니(112)의 지퍼(114)를 열고 자석주머니(140)에 삽입된 묶음자석(120)을 삽입한다. 묶음자석(120)이 삽입되면 지퍼(114)를 닫는다. 도 4와 같이, 자석목도리를 사용자의 목에 두르고 목도리원단(110) 양쪽 끝에 형성된 벨크로를 중첩시켜 자석목도리가 목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결합한다.
자석목도리를 목에 착용하면, 그때 부터 묶음자석(120)의 자력이 목과 목 주변의 피부와 혈관에 영향을 미쳐 전술한 바와 같은 자석의 효능이 인체에 미친다.
사용자가 자석목도리를 착용한 후 걸으면 인체는 수직운동과 수평운동이 혼합되면서 반복적으로 하게 되는데, 이때 자석목도리도 수직운동과 수평운동에 연동되어 수직 방향으로 운동하고, 수평방향으로도 운동한다. 빨리 걷거나 뛰면 더 빠르고 더 크게 수직 방향과 수평 방향으로 운동하면서 목에서 움직인다.
자석목도리가 목에서 수평운동과 수직운동을 하면 상대적으로 무거운 묶음자석(120)이 목에서 순간적으로 들떠 있다가 달라 붙은 반복적인 동작이 발생 된다. 이때 묶음자석(120)의 형태가 운동 방향에 따라 형태 변화가 없으면 특정 부분에 외력이 집중되어 충격을 줌으로써 목에 불괘감을 준다.
하지만 본원발명은 묶음자석(120)을 이루는 봉형영구자석이 자력으로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걷거나 뛰면서 변화되는 외력이 작용할 때마다 결합된 상태에서 서로 미끄러지나 회전하면서 변위가 되어 한 곳에 외력이 집중되지 않고 흡수 및 분산되어 목에 부딪히는 충격력이 작아져 목과 접촉성이 부드러워지면서 불괘감을 주는 것을 최소화 한다.
자석목도리 사용 후 세탁을 할 수 있는데, 이때는 지퍼(114)를 열고 자석주머니(140) 및 묶음자석(120)을 분리하여 빼내고, 묶음자석(120)의 자력을 높이거나 낮출 때에는 자력이 더 크거나 낮은 묶음자석(120)으로 교환하면 된다.
110 : 목도리원단 112 : 주머니
114 : 지퍼 116 : 벨크로
120 : 묶음자석 130 : 봉형영구자석
140 : 자석주머니 150 : 자석봉지

Claims (2)

  1. 직조물이나 부직포를 이중으로 겹치도록 하여 길이를 따라 주머니(112)가 형성되고, 상기 주머니(112)의 일측에는 주머니(112)를 열고 닫을 수 있는 지퍼(114)가 형성되며, 양단에 상호 대향되는 벨크로(116)가 형성되어 있어서 양단의 벨크로(116)가 맞대어지게 겹치면 상기 벨크로(116)가 서로 접촉되면서 접착되고, 양단을 손으로 잡고 떼어내면 벨크로(116)가 분리되도록 하는 목도리원단(110);
    상기 주머니(112)에 삽입되고, 동일한 길이와 지름을 가지는 봉형영구자석(130)이 일렬로 자력에 의해 결합되어 있어서 자력 이상의 외력이 작용하지 않으면 각각의 봉형영구자석(130)이 서로 분리되지 않지만, 수직 방향의 외력이나 수평방향의 외력이 작용할 때 마다 각각의 봉형영구자석(130)이 상호 회전되면서 변형이 이루어지는 묶음자석(120);
    상기 묶음자석(120)을 주머니에 삽입하기 전 먼저 묶음자석(120)이 삽입된 후 상기 주머니(112)에 삽입되는 자석주머니(140);
    상기 묶음자석(120)이 삽입되어 밀폐됨으로써 묵음자석(120)이 수분에 노출되지 않고, 묶음자석(120)에 외력이 가해져도 길이 방향으로는 봉형영구자석(130)이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하면서 반경방향으로는 봉형영구자석(130)이 서로 간에 회전되어 단차가 형성되면서 자유롭게 변위되도록 할 수 있는 자석봉지(15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 목도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묶음자석(120)은 봉형영구자석(130)의 수를 가감하여 길이를 가감할 수 있고, 봉형영구자석(130)의 길이를 더 길거나 짧은 걸로 선택하여 폭을 가감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 목도리.
KR1020210125609A 2021-09-23 2021-09-23 자석 목도리 KR1024623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5609A KR102462306B1 (ko) 2021-09-23 2021-09-23 자석 목도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5609A KR102462306B1 (ko) 2021-09-23 2021-09-23 자석 목도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2306B1 true KR102462306B1 (ko) 2022-11-03

Family

ID=84041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5609A KR102462306B1 (ko) 2021-09-23 2021-09-23 자석 목도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2306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3285U (ja) * 1997-03-20 1997-11-18 株式会社遊企画 首巻き用布体
KR200230453Y1 (ko) 2001-01-18 2001-07-03 정민숙 건강 보조용 자석벨트
KR200329177Y1 (ko) 2003-06-30 2003-10-08 지옥선 자석벨트
KR200424665Y1 (ko) 2006-06-13 2006-08-28 김연길 자석을 이용한 복합 기능 지압 벨트
KR200484947Y1 (ko) * 2016-11-18 2017-11-09 하선경 착용지름을 조절할 수 있는 모피목도리
KR20190001968U (ko) * 2018-01-25 2019-08-02 오충근 머플러
KR102159606B1 (ko) 2018-02-02 2020-09-29 유영화 자석을 이용한 고효율의 건강증진용 복합 기능 자석 벨트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3285U (ja) * 1997-03-20 1997-11-18 株式会社遊企画 首巻き用布体
KR200230453Y1 (ko) 2001-01-18 2001-07-03 정민숙 건강 보조용 자석벨트
KR200329177Y1 (ko) 2003-06-30 2003-10-08 지옥선 자석벨트
KR200424665Y1 (ko) 2006-06-13 2006-08-28 김연길 자석을 이용한 복합 기능 지압 벨트
KR200484947Y1 (ko) * 2016-11-18 2017-11-09 하선경 착용지름을 조절할 수 있는 모피목도리
KR20190001968U (ko) * 2018-01-25 2019-08-02 오충근 머플러
KR102159606B1 (ko) 2018-02-02 2020-09-29 유영화 자석을 이용한 고효율의 건강증진용 복합 기능 자석 벨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01697A (en) Treatment device to aid in long-term cessation of smoking
KR100897146B1 (ko) 성인 남성 성기 단련 및 운동기기
KR102462306B1 (ko) 자석 목도리
US20050222608A1 (en) Acupressure device for treating insomnia
CN215608567U (zh) 一种用于晚期肿瘤患者舒适照护的按摩面罩
CN211835842U (zh) 一种骨科康复用便于使用的磁疗带
CN211460825U (zh) 一种石墨烯内暖绒磁疗眼罩
KR200383241Y1 (ko) 자세 교정 보조구
CN209450751U (zh) 一种约束手套
KR20120003485U (ko) 손가락 지압 마사지 기기
JP3072626B1 (ja) 口唇器具
CN207605058U (zh) 一种腰间盘突出热治疗带
CN202044412U (zh) 新型保健遮光眼罩
CN211091940U (zh) 可实现靶向锁定肌肉的压缩衣
CN217090216U (zh) 一种自制简易u型肩垫被
CN203208526U (zh) 一种防保科用保健护理腰带
CN205796198U (zh) 重症监护无创呼吸面罩固定装置
CN211832962U (zh) 一种护理裤
CN212015877U (zh) 一种预防足下垂牵伸拉筋矫正带
CN210019917U (zh) 一种一次性可伸缩眼罩
CN206896435U (zh) 一种阴囊托
CN213695726U (zh) 糖尿病人用水凝胶袜子
CN218303506U (zh) 适用于腰椎间盘突出症患者的病号服
CN110638125A (zh) 护理裤
CN203663022U (zh) 两端能卷曲的医用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