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2297B1 - 개인미디어 크리에이터를 위한 클라우드 기반 스튜디오 플랫폼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개인미디어 크리에이터를 위한 클라우드 기반 스튜디오 플랫폼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2297B1
KR102462297B1 KR1020200187254A KR20200187254A KR102462297B1 KR 102462297 B1 KR102462297 B1 KR 102462297B1 KR 1020200187254 A KR1020200187254 A KR 1020200187254A KR 20200187254 A KR20200187254 A KR 20200187254A KR 102462297 B1 KR102462297 B1 KR 1024622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oadcast content
creator
emotional
platform
broadca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72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95591A (ko
Inventor
감경철
이명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로드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로드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로드코리아
Priority to KR10202001872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2297B1/ko
Publication of KR202200955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55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22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22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6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executable data, e.g. software
    • H04N21/8173End-user applications, e.g. Web browser, gam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8Eye characteristics, e.g. of the iri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1Server components or server architectures
    • H04N21/222Secondary servers, e.g. proxy server, cable television Head-end
    • H04N21/2223Secondary servers, e.g. proxy server, cable television Head-end being a public access point, e.g. for downloading to or uploading from cli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13Monitoring of end-user related data
    • H04N21/44218Detecting physical presence or behaviour of the user, e.g. using sensors to detect if the user is leaving the room or changes his face expression during a TV progr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08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 H04N21/4532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involving end-user characteristics, e.g. viewer profile, pre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5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 H04N21/4758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for providing answers, e.g. vo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4Content autho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개인미디어 크리에이터를 위한 클라우드 기반 스튜디오 플랫폼 제공 시스템은, 메타데이터, 영상, 음향, 썸네일 추출, 미디어 변환 및 생성과 방송 편성 정보를 관리할 수 있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및, 방송 콘텐츠 제작에 관련된 오브젝트를 저장 및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클라우드 플랫폼; 상기 클라우드 플랫폼과 네트워크를 매개로 연결된 것으로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매개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오브젝트를 선택하여 편집하는 오브젝트 편집모듈과, 크리에이터가 방송하는 방송 콘텐츠에 편집된 상기 오브젝트를 합성하여 시청자에게 방송하는 방송모듈을 포함하는 크리에이팅 플랫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개인미디어 크리에이터를 위한 클라우드 기반 스튜디오 플랫폼 제공 시스템{A SYSTEM PROVIDING CLOUD-BASED ONE-STOP PERSONAL MEDIA CREATOR STUDIO PLATFORM FOR PERSONAL MEDIA BROADCASTING}
본 발명은 개인미디어 크리에이터를 위한 클라우드 기반 스튜디오 플랫폼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클라우드 플랫폼를 기반으로 하여 방송 콘텐츠를 기획, 제작하여 시청자에게 실시간으로 송출할 수 있는, 개인미디어 크리에이터를 위한 클라우드 기반 스튜디오 플랫폼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개인 미디어 또는 1인 미디어는 양방향 커뮤니케이션(Two-way communication)을 전제로 개인이 인터넷 등에 있는 무수한 콘텐츠 중에서 능동적으로 콘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최근 스마트 디바이스(Smart device)의 확산, 방송통신 기술의 보편화는 미디어 이용자 스스로 방송 콘텐츠의 제작과 편집 및 송출을 가능하게 하는 개인 크리에이터 방송(Personal creator broadcasting)에 대한 관심을 증가시키고 있다.
또한, 실시간 스트리밍(Real time streaming)으로 페이스북 라이브(Facebook live), 인스타 라이브(Insta live), 유튜브 라이브(YuTube live), 아프리카 TV(Afreeca TV(Television)), 네이버 TV(Naver TV) 등 인터넷 방송(Internet broadcasting)이 점차 확산되고 있다.
이와 같이 개인 미디어 크리에이터(Personal media creator) 시장 규모가 커지면서 동영상의 제작 지원과 배급을 담당하고 다양한 채널에서 수익을 창출하는 다중 채널 네트워크(Multi channel network, MCN)의 설립 등 새로운 산업분야가 등장하고 있다.
이에 대한 선행기술로서, 한국 공개특허 제10-2017-0032632호 '개인 미디어 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발명은 방송 콘텐츠를 제작하고 송신하는 다수의 방송자 클라이언트와, 다수의 방송자 클라이언트에 의해 제작된 방송 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선택하여 수신하는 다수의 시청자 클라이언트와, 다수의 방송자 클라이언트로부터 송신된 방송 콘텐츠를 수신하여 관리하고 다수의 시청자 클라이언트의 선택 정보를 수신하여 선택된 콘텐츠를 다수의 시청자 클라이언트로 송신할 수 있는 방송 관리 서버를 포함한다. 방송 관리 서버는 실시간으로 방송 콘텐츠를 송신 중인 다수의 방송자 클라이언트 각각의 위치 정보를 다수의 방송자 클라이언트 각각으로부터 수신하여 다수의 방송자 클라이언트의 적어도 일부의 위치 정보를 지도상에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대한 또 다른 선행기술로서, 한국 등록특허 제10-0784066호 '개인 방송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발명은 제작자 단말에서 방송 콘텐츠 제작 도구를 이용하여 방송 콘텐츠를 제작하는 단계와, 제작자 단말에서 방송 시스템에 방송 채널 및 시간 할당을 요청하고 방송 콘텐츠를 업로드하는 단계와,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콘텐츠의 방송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방송 가능한 경우 방송할 채널 및 시간을 확인하여 제작자 단말에 통보하는 단계와,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콘텐츠를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시청자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 발명들은, 방송 콘텐츠의 제작에 있어 별도의 자료 제공이나 스튜디오 제공 기능이 부가되어 있지 않아 크리에이터로 하여금 효율적인 방송 제작이 어려울 수 있다는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클라우드 플랫폼를 기반으로 하여 방송 콘텐츠의 제작 및 기획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방송 콘텐츠의 제작 및 기획을 보다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도록 한, 신규하고 진보한 개인미디어 크리에이터를 위한 클라우드 기반 스튜디오 플랫폼 제공 시스템을 개발할 필요성이 대두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개인방송 콘텐츠 제작에 특화되어 클라우드를 기반으로 방송 콘텐츠의 기획 및 제작이 가능하게 한 개인미디어 크리에이터를 위한 클라우드 기반 스튜디오 플랫폼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시청률을 분석하여 크리에이터에게 제공함으로써 크리에이터가 시청률을 기반으로 방송 콘텐츠 기획에 참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방송 콘텐츠의 장면을 분석한 분석자료를 크리에이터에게 제공함으로써 방송 콘텐츠 기획에 참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방송 콘텐츠에 나타난 크리에이터의 감정, 실시간으로 업로드된 시청자의 댓글, 시청자의 수를 기반으로 하여 방송 콘텐츠 영상에 효과를 부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개인미디어 크리에이터를 위한 클라우드 기반 스튜디오 플랫폼 제공 시스템은, 메타데이터, 영상, 음향, 썸네일 추출, 미디어 변환 및 생성과 방송 편성 정보를 관리할 수 있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및, 방송 콘텐츠 제작에 관련된 오브젝트를 저장 및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클라우드 플랫폼; 상기 클라우드 플랫폼과 네트워크를 매개로 연결된 것으로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매개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오브젝트를 선택하여 편집하는 오브젝트 편집모듈과, 크리에이터가 방송하는 방송 콘텐츠에 편집된 상기 오브젝트를 합성하여 시청자에게 방송하는 방송모듈을 포함하는 크리에이팅 플랫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오브젝트 편집모듈은, 상기 방송 콘텐츠의 편집을 위한 비디오 템플릿과 영상 및 공개 방송 콘텐츠를 상기 크리에이터에게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부와, 상기 방송 콘텐츠의 편집 리소스를 생성하고 상기 방송 콘텐츠의 영상을 편집하는 편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하여, 상기 크리에이팅 플랫폼은, 상기 시청자에게 방송된 상기 방송 콘텐츠를 녹화하는 녹화모듈과, 녹화된 상기 방송 콘텐츠에 대한 시청률을 포함하는 시청 정보를 수집 및 분석하여 상기 크리에이터에게 제공하는 시청 정보 분석모듈 및, 상기 시청 정보 분석모듈에 의해 분석된 시청 정보를 토대로 상기 방송 콘텐츠 중의 특정 장면에 대한 장면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크리에이터에게 제공하는 장면 분석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장면은, 상기 방송 콘텐츠에 대한 하이라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장면 분석모듈은, 상기 하이라이트에 대한 시청률과 메타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크리에이터 단말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개인미디어 크리에이터를 위한 클라우드 기반 스튜디오 플랫폼 제공 시스템은,
1) 클라우드 플랫폼에 저장된 메타데이터, 영상, 음향, 썸네일 추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개인미디어 크리에이터가 쉽고 효율적으로 방송 콘텐츠의 기획 및 생산이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2) 시청률을 포함하는 시청 정보를 실시간으로 크리에이터에게 제공하여 크리에이터가 방송 콘텐츠 기획 및 촬영, 방송 시 이를 참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청률 향상 효과를 높였을 뿐 아니라,
3) 방송 콘텐츠에 포함된 장면 및 하이라이트 장면을 자동 분석하여 크리에이터에게 제공하여 시청률 향상을 위한 방송 콘텐츠 기획을 가능케 하였고,
4) 방송 콘텐츠에 나타난 크리에이터의 감정, 실시간으로 업로드된 시청자의 댓글, 시청자의 수를 기반으로 하여 방송 콘텐츠 영상에 효과를 부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방송 콘텐츠 영상을 보다 화려하게 구성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시청자의 흥미를 이끌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방송 콘텐츠 제공 웹페이지의 예시를 도시한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안면영상의 예시를 나타낸 개념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크리에이터(1)를 위한 클라우드 기반 스튜디오 플랫폼 제공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크리에이터(1), 시청자(3), 그리고 중앙관제서버(2)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크리에이터(1)라 함은 본 발명의 스튜디오 플랫폼 제공 시스템을 통해 방송 콘텐츠를 제작하고 이를 방송하는 주체이다. 따라서 크리에이터(1)라 함은 방송 콘텐츠 제작자일 수 있으며, 방송 콘텐츠에 크리에이터(1)가 직접 출연하거나 혹은 크리에이터(1)가 방송 콘텐츠를 제작하여 후술할 인터넷 방송 인터페이스(100)를 통해 시청자(3)에게 방송하게 된다.
이러한 크리에이터(1)는 기본적으로 크리에이터 단말을 소지하고 있는데, 크리에이터 단말에는 인터넷 익스플로러(Internet explorer), 마이크로소프트 엣지(Microsoft edge), 구글 크롬(Google chrome) 등과 같은 웹브라우저(Web browser)가 설치되어 있으며,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컴퓨터 시스템이다.
컴퓨터 시스템은 키보드(Keyboard), 마우스(Mouse) 등의 입력 장치와 모니터, 프린터 등의 출력 장치를 구비한다. 또한, 크리에이터 단말은 네트워크를 통해 후술할 클라우드 플랫폼(10)에 접속할수 있는 단말기로 구성될 수 있다.
단말기는 휴대하여 사용할 수 있는 스마트폰(Smart phone), 셀룰러폰(Cellular phone) 등의 모바일폰(Mobile phone), 피디에이(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피엠피(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시청자(3)는 크리에이터(1)에 의해 제작되어 방송되는 방송 콘텐츠를 제공받아 시청하는 자로서, 이를 위해서는 시청자(3)가 방송 콘텐츠가 송출되는 웹페이지 주소에 접속하여 방송되는 방송 콘텐츠를 시청하게 된다.
따라서 시청자(3) 역시 스마트폰(Smart phone), 셀룰러폰(Cellular phone) 등의 모바일폰(Mobile phone), 피디에이(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피엠피(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중 어느 하나의 단말기를 소지하고, 단말기에도 역시 인터넷 익스플로러(Internet explorer), 마이크로소프트 엣지(Microsoft edge), 구글 크롬(Google chrome) 등과 같은 웹브라우저(Web browser)가 설치되어 있으며,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이를 통해 인터넷 방송 인터페이스(100)에 접속하여 방송 콘텐츠를 제공 및 시청할 수 있게 된다.
중앙관제서버(2)는 기본적으로 방송 콘텐츠를 시청자(3)에게 방송하는 방송모듈을 관리하고, 후술할 클라우드 플랫폼(10)에 속한 애플리케이션(100) 및 데이터베이스(200)는 물론 크리에이팅 플랫폼(20)과 연동(통신을 매개로 데이터 교류 및 정보 송수신) 및 관리 기능을 수행함다.
이와 같은 중앙관제서버(2)를 비롯하여 클라우드 플랫폼(10)과 크리에이팅 플랫폼(20)은 중앙처리장치(CPU), 메모리 및 하드디스크, 유선 및 블루투스 등의 무선 통신 수단을 구비한 하드웨어 기반에서 중앙처리장치에서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즉 소프트웨어가 설치되어 이 소프트웨어를 기반으로 후술할 세부 모듈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서버, 플랫폼, 모듈, 부, 파트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를 기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 요소들은 하드웨어인 컴퓨터와 결합되어 실행되기 위해 프로그램(또는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어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 요소들은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들로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중앙관제서버(2) 및 클라우드 플랫폼(10)과 크리에이팅 플랫폼(20)은 내부에서 처리되는 신호(또는, 데이터)를 일시적 및/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램(RAM) 및 롬(ROM),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는 하나 이상의 코어 및 그래픽 처리부 및/또는 다른 구성 요소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연결 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이와 같은 거시적 구성을 기반으로 본 발명의 시스템에 대한 세부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방송 콘텐츠 제공 웹페이지의 예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개인미디어 크리에이터를 위한 클라우드 기반 스튜디오 플랫폼 제공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클라우드 플랫폼(10) 및 크리에이팅 플랫폼(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클라우드 플랫폼(10)은 후술할 크리에이팅 플랫폼(20)과 네트워크(유무선 통신)를 매개로 연동되는 것으로서, 메타데이터, 영상, 음향, 썸네일 추출, 미디어 변환 및 생성과 방송 편성 정보를 관리할 수 있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100)과, 방송 콘텐츠 제작에 관련된 오브젝트를 저장 및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2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네트워크라 함은 인터넷(Internet), 블루투스 네트워크(Bluetooth network), 와이파이네트워크(Wi-Fi network, Wireless fidelity network), 롱텀에볼루션 네트워크(LTE network, Long term evolution network),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클라우드 플랫폼(10)은 인터넷 사용자, 바람직하게는 크리에이터(1)가 유니버설 리소스 로케이터(Universal resource locator, URL) 형식으로 정보를 검색할 수 있는 다양한 웹페이지(Web page)들과 사용자가 접속 또는 다운로드하여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애플리케이션(100)들을 포함한다.
더불어 여기서 애플리케이션(100)이라 함은 사용자 관리 앱(User management App)(110), 메타데이터 관리 앱(Metadata management App)(120), 영상 관리 앱(Video management App)(130), 음향 관리 앱(Sound management App)(140), 썸네일 추출 앱(Thumbnail extraction App)(150), 미디어 변환 생성 앱(Media conversion and creation App)(160), 방송 편성 관리 앱(Broadcast schedule management App)(170), 클라우드 서비스 관리 앱(Cloud service management App)(180)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관리 앱(110)은 운영자 또는 관리자, 크리에이터(1) 등의 사용자 정보를 등록, 인증 및 관리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 정보는 실명 인증 후 등록되는 성명, 생년월일, 성별, 주소, 이동통신 단말기 번호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메타데이터는 데이터에 관한 구조화된 데이터로 속성정보라고도 한다. 메타데이터에는 방송 콘텐츠의 위치와 내용, 작성자에 관한 정보, 권리 조건, 이용 조건, 이용 내력 등이 기록되어 있다. 메타데이터 관리 앱(120)은 방송 콘텐츠의 메타데이터를 관리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영상 관리 앱(130)은 방송 콘텐츠에 포함될 수 있는 영상, 이미지 등을 편집하고 관리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썸네일 추출 앱(150)은 방송 콘텐츠의 영상으로부터 썸네일을 추출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음향 관리 앱(140)은 방송 콘텐츠의 배경 음악(Background music, BGM), 음향 효과(Sound effects) 등의 음향을 관리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미디어 변환 생성 앱(160)은 방송 콘텐츠를 변환 및 생성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방송 편성 관리 앱(170)은 후술할 방송모듈(400)의 웹페이지에 대한 관리 및, 방송 일시 등 방송 편성 정보를 관리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바람직하게 방송 콘텐츠의 방송 편성 정보라 함은 방송 시간을 포함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클라우드 서비스 관리 앱(180)은 클라우드 플랫폼(10)을 이용한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하거나 관리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더불어 이러한 클라우드 플랫폼(10)은 데이터베이스(200)를 포함하고 있다. 데이터베이스(200)는 방송 콘텐츠 제작에 관련된 오브젝트를 저장 및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오브젝트(object)라 함은 메타데이터, 방송 콘텐츠 영상, BGM, 이미지, 음향 효과, 자막, 기타 영상 효과 및 영상에 부가되는 말풍선, 스티커 등과 같은 방송 콘텐츠에 부가되는 다양한 부속 컨텐츠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텍스트, 이미지, 영상, 사운드와 같은 형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나아가 이러한 데이터베이스(200) 또는 스토리지 서버(Storage server)는 사용자 DB, 메타데이터 DB(Metadata DB), 영상 DB, BGM DB(Background music Database), 음향 효과 DB(Sound effects DB), 유통 정보 DB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오브젝트 등의 정보에 대한 저장 주체를 예시하면, 사용자 DB는 운영자, 개인 미디어 크리에이터 등의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메타데이터 DB는 메타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한다. 영상 DB는 방송 콘텐츠에 삽입될 수 있는 이미지를 비롯하여 영상, 말풍선, 스티커 등을 저장하고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BGM DB는 BGM을 저장하고 관리한다. 음향 효과 DB는 음향 효과를 저장하고 관리한다. 유통 정보 DB는 방송 콘텐츠의 유통에 수반되는 일련의 정보, 예를 들면 인터넷 방송 플랫폼, 방송 수수료, 법령, 저작권 등을 저장하고 관리한다.
본 발명의 크리에이팅 플랫폼(20)은 클라우드 플랫폼(10)과 네트워크를 매개로 연결되어 실제 방송 콘텐츠에 삽입될 오브젝트를 선택 및 편집하고, 이를 기반으로 방송 콘텐츠에 오브젝트를 합성하여 시청자에게 송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오브젝트 편집모듈(300)과 방송모듈(400)을 기본적으로 포함한다.
오브젝트 편집모듈(300)은 상술한 복수의 애플리케이션(100)을 매개로 하여 데이터베이스(200)에 저장된 복수의 오브젝트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고 편집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때 오브젝트의 선택은 시스템을 통한 자동 선택, 또는 크리에이터(1)를 통한 수동 선택 모두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오브젝트 편집모듈(300)의 기본적인 실시예를 예시하면, 오브젝트 편집모듈(300)은 방송 콘텐츠의 규격 정보, 즉 카메라와 크리에이터 거리에 따른 방송 컨텐츠의 프레임 내에서 크리에이터 또는 게스트의 화면 사이즈 및 구도, 크리에이터 또는 게스트가 말하는 사운드의 볼륨, 크리에이터의 주관적 성향(예를 들어, 말풍선은 방송 콘텐츠의 프레임 내 오른쪽 상단에 배치하는 것을 선호) 등에 대한 정보를 미리 입력받아 이를 기반으로 선택된 이미지 형식의 오브젝트의 사이즈를 조절하거나 사운드 형식의 오브젝트의 볼륨을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이러한 오브젝트 편집모듈(300)은 콘텐츠 제공부(310) 및 편집부(320)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는 후술하도록 한다.
즉, 오브젝트 편집모듈(300)은 콘텐츠 제공부의 구성을 통해 상술한 애플리케이션(100)과 연동되어 방송 콘텐츠에 대한 기획 및 제작, 편집을 위한 오브젝트들을 편집하여 크리에이터(1)에 제공하는 역할을 하며, 더불어 비디오 템플릿, 영상 및 공개 방송 콘텐츠를 웹페이지의 형태로 크리에이터(1)에게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크리에이터(1)에게 제공한다는 것은 바람직하게는 크리에이터 단말(수동 방식)이나 크리에이터가 방송하는 방송 콘텐츠 자체(자동 방식)에 제공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웹페이지들은 편집 가이드 웹페이지, 비디오 템플릿 웹페이지(Video template program), 편집 영상 검색 웹페이지, 공개 방송 콘텐츠 웹페이지(Publishing media contents web page)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더불어 이러한 콘텐츠 제공부(310)는 다양한 프로그램과 연동될 수 있으며, 이러한 프로그램들은 웹 기반 편집 사용자 인터페이스 (Web-based editing user interface), 편집 결정 리스트 생성 프로그램(Edit decision dist(EDL) generation program), 동영상 편집 프로그램(Video editing program), 자막 추출 프로그램(Subtitle extraction program)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오브젝트 편집모듈(300)에 포함되는 콘텐츠 제공부(310)는 방송 콘텐츠의 편집을 위한 비디오 템플릿과 영상 및 공개 방송 콘텐츠를 크리에이터(1)에게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보다 자세하게는 상술한 프로그램 및 웹페이지의 구성으로서, 콘텐츠 제공부(310)는 편집 가이드 웹페이지, 비디오 템플릿 웹사이트, 편집 영상 검색 웹페이지, 공개 방송 콘텐츠 웹페이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편집 가이드 웹페이지는 방송 콘텐츠의 편집에 요구되는 정보, 예를 들면 프로그램 사용 방법을 제공한다. 비디오 템플릿 웹사이트는 방송 콘텐츠의 편집에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템플릿을 제공한다. 편집 영상 검색 웹페이지는 편집 영상을 검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공개 방송 콘텐츠 웹페이지는 크리에이터(1)가 무료로 다운로드하여 사용할 수 있는 방송 관련 콘텐츠를 제공한다.
또한, 오브젝트 편집모듈(300)에 포함되는 편집부(320)는 방송 콘텐츠에 대한 편집 리소스를 생성하고 방송 콘텐츠의 영상 편집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를 위해 편집부(320)는 기본적으로 웹 기반 편집 UI, EDL, EDL 생성 프로그램, 동영상 편집 프로그램, 추출 프로그램의 기능을 포함한다.
웹 기반 편집 UI는 방송 콘텐츠의 편집에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UI를 제공한다. EDL은 비디오 편집 정보를 텍스트 형태로 저장한 편집 항목 목록. 비디오 프로젝트에 존재하는 클립, 효과, 트랜지션 등에 관한 정보를 모아 놓은 것으로, 각 클립의 시간 상의 위치, 시작점, 끝점, 다른 클립과의 관계 등에 관한 모든 정보가 들어 있다. EDL 생성 프로그램은 방송 콘텐츠의 EDL을 생성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동영상 편집 프로그램 또는 영화 편집 소프트웨어는 MP4(Moving picture experts group, MPEG-4 Part 14), AVI(Audio video interleaved, MOV(Quick time movie) 등의 다양한 동영상 파일을 지원하여 방송 콘텐츠의 편집을 효율적으로 처리하여 업로드(Upload)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자막 추출 프로그램은 동영상에서 자막을 추출 및 생성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방송모듈(400)은 크리에이터(1)로부터 제작 및 방송하는 방송 콘텐츠에 편집된 오브젝트를 합성 처리하여 시청자(3)에게 송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방송 콘텐츠는 기본적으로 크리에이터(1)가 출연하거나 혹은 크리에이터(1)로 인해 제작된 영상으로서, 이를 시청자(3)에게 바람직하게는 실시간으로 송출하는 것이다.
이러한 방송모듈(400)은 웹페이지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형태로 방송 콘텐츠에 오브젝트를 합성하여 시청자에게 방송하게 되는데, 이러한 기능은 종래의 실시간 동영상 스트리밍용 인터페이스와 유사한 것으로서, 실시간으로 영상 콘텐츠를 시청자(3)에게 송출하는 공지의 유튜브 라이브 스트리밍, 인스타그램 라이브 방송, 아프리카 TV, 트위치 등의 플랫폼과 그 기능이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일 측에 방송 콘텐츠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구비한 상태에서 시청자(3)들이 해당 웹사이트 주소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접속하고, 시청자(3)로 하여금 실시간으로 송출되는 방송 콘텐츠에 대한 시청과 실시간 채팅 등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한, 방송모듈(400)은 크리에이터(1)로부터 제작 및 방송하는 방송 콘텐츠에 편집된 오브젝트를 합성 처리하는 것은 크리에이터 단말로 전송된 오브젝트를 크리에이터가 수동 조작으로 방송 컨텐츠의 프레임에 합성하거나 아니면 자동 방식으로 기설정된 방송 컨텐츠의 프레임 위치나 시간대에 덧입힐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은 공지된 편집 기능을 구비한 방송 인터페이스와 비슷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초보 크리에이터는 물론 시간이 없거나 방법을 잘 몰라 오브젝트를 구하거나 편집하는데 애로를 갖는 크리에이터가 편리하고 손쉽게, 더불어 별도의 저장 공간을 구비하지 않고서도 자신의 방송 컨텐츠에 다양한 오브젝트를 합성/삽입하여 방송 컨텐츠의 질을 향상할 수 있는 특성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은 자신이 방송한 방송 컨텐츠를 분석하거나 라이브 방송에서 실시간 유저의 반응에 맞게 오브젝트의 선택 및 편집 기능을 차등적으로 반영하여 더욱 현장감 있고 실제감 있는 방송 컨텐츠를 제작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크리에이팅 플랫폼(20)은 오브젝트가 합성 처리되어 시청자에게 방송된 방송 콘텐츠를 녹화하는 녹화모듈(8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녹화모듈(800)은 방송 콘텐츠를 녹화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데이터베이스(200)에 저장하여 크리에이터(1)로 하여금 자신이 방송한 방송 콘텐츠를 분석(진행이 매끄러웠는지 여부, 댓글을 통해 유저의 반응이 어땠는지 여부 등)하여 다음 방송 콘텐츠의 기획 및 편집에 녹화된 방송 콘텐츠를 참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크리에이팅 플랫폼(20)은 녹화된 방송 콘텐츠 중의 장면에 대한 장면 정보를 분석하여 크리에이터(1)에게 제공하는 장면 분석모듈(50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장면 분석모듈(500)은 세부 구성으로서 영상 분석부(510), 장면 관리부(520), 장면 메타데이터 관리부(530)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분석부(510)는 녹화된 방송 콘텐츠의 특정 장면에 대한 장면 정보를 분석한다. 장면 정보는 테마, 촬영 지역, 계절, 날씨, 내용, 출연 인물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테마는 게임, 스포츠, 음악, 교육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촬영 지역은 산, 바다, 도시, 건물 등으로 촬영 장소에 따라 나눌 수 있다. 출연 인물은 예를 들어 남자, 여자, 노인, 어린이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장면 관리부(520)는 녹화된 방송 콘텐츠의 주요 장면, 즉 하이라이트(Highlight)나 시청률이 높은 장면을 추출하고 이를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장면 메타데이터 관리부(530)는 주요 장면, 즉 하이라이트에 대한 시청률 및 메타데이터를 관리하고, 이를 크리에이터(1)에게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시청 정보 분석모듈(600)은 녹화된 방송 콘텐츠와 관련되는 일련의 정보, 다시 말해 시청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크리에이터 단말에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시청 정보 분석모듈(600)은 시청 정보의 수집 및 분석을 위한 복수의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시청 정보 분석부(610), 정산 정보 분석부(620)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시청 정보 분석부(610)는 시청자(3)의 시청 정보를 수집 및 분석하고, 데이터베이스(200)에 저장한 후 해당 시청 정보를 크리에이터(1)에게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시청 정보는 바람직하게 시청률을 포함하며, 나아가 페이지 뷰(Page view, PV), 댓글 작성, 공유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정산 정보 분석부(620)는 인터넷 방송 플랫폼 또는 인터넷 방송사로부터 지급되는 수수료에 대한 정보를 수집 및 분석하고, 데이터베이스(200)에 저장한 뒤 크리에이터(1)에게 이를 제공한다.
더불어 이와 같은 시청 정보 분석모듈(600)은 방송 콘텐츠의 기획 및 제작에 요구되는 교육, 법률 등 일련의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플랫폼 제공 시스템을 통해, 크리에이터(1)는 크리에이터 단말을 통해 클라우드 플랫폼(10)에 접속한 후, 크리에이팅 플랫폼(20)을 통해 방송 콘텐츠를 기획 및 제작하고 오브젝트를 합성하여 시청자(3)에게 송출할 수 있다. 운영자와 크리에이터(1) 각각은 운영자 및 크리에이터 단말을 통해 클라우드 플랫폼(10)에 접속 및 인증을 거쳐 클라우드 서비스 또는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을 실시할 수 있다.
크리에이터(1)는 크리에이팅 플랫폼을 통한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하여 방송 콘텐츠의 기획 및 제작에 필요한 영상, 음향 등 각종 자료나 프로그램을 자신의 컴퓨터, 즉 크리에이터 단말에 설치하지 않고서도 언제 어디서나 이용할 수 있으므로, 방송 콘텐츠를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제작 및 관리하여 업로드할 수 있으며, 운영자는 별도의 운영자 단말을 통해 사용자, 메타데이터, 영상, 음악 등을 간편하고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크리에이터(1)는 크리에이터 단말을 매개로 하여 방송 편성 관리 앱을 통해 방송 편성 정보를 업로드할 수 있다. 크리에이터(1)는 방송 편성 관리 앱에 의해 방송하고자 하는 방송 콘텐츠와 방송일시를 등록하고, 인터넷 방송 인터페이스(100)를 간편하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방송 송출 프로그램은 방송 편성 관리 앱에 업로드되어 있는 방송 일시와 인터넷 방송 인터페이스(100)를 통해 방송 콘텐츠를 송출하여 방송한다.
페이스북 라이브, 인스타 라이브, 유튜브 라이브 등의 인터넷 방송 인터페이스(100)는 방송 편성 관리 앱과 연동되어 방송 콘텐츠의 인터넷 방송을 구현하기 때문에 크리에이터(1)는 여러 가지 방송용 웹사이트나 애플리케이션에 개별적으로 업로드하지 않고서도 간편하게 방송 콘텐츠를 방송할 수 있다. 또한, 방송 편성 관리 앱을 통해 예약 방송이나 생방송을 간편하게 진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크리에이터(1)는 기획, 제작, 편집, 송출 등 인터넷 방송을 위한 일련의 과정을 클라우드 서비스를 통하여 원스톱으로 실시할 수 있다.
계속해서, 시청 정보 분석모듈(600)은 방송 콘텐츠에 대한 방송 및 정산 등 일련의 정보를 수집 및 분석하여 크리에이터(1)에게 전송하고, 데이터베이스(200)에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크리에이터(1)는 시청 정보 분석모듈(600)을 통해 수집 및 분석된 방송, 정산, 교육, 법률 등 일련의 정보를 이용하여 방송 콘텐츠를 효율적으로 기획 및 제작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장면 분석모듈(500)은 시청 정보 분석모듈(600)에 의해 분석되는 시청 정보를 토대로 녹화된 방송 콘텐츠에 속한 주요 장면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여 크리에이터(1)에게 전송하고, 나아가 이를 데이터베이스(200)에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따라서 크리에이터(1)는 이와 같은 장면 분석모듈(500)에 의해 분석 및 제공되는 주요 장면에 대한 시청률, 선호도, 테마, 트렌드 등을 활용하여 다음 방송 콘텐츠를 효율적이고 체계적으로 기획 및 제작할 수 있다.
앞서 언급하였듯이, 본 발명의 플랫폼 제공 시스템은 실시간으로 방송 콘텐츠에 합성될 오브젝트를 자동 선택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실시간으로 방송 콘텐츠를 시청자(3)들에게 송출하는 과정에 있어 실시간으로 오브젝트를 자동 선택되게 하거나 더 나아가 선택된 오브젝트를 합성하도록 할 수 있는데, 이때 바람직하게는 송출되고 있는 방송 콘텐츠에 나타난 크리에이터(1)의 표정, 그리고 실시간으로 방송 콘텐츠를 시청하는 시청자(3)의 댓글 및 방송 콘텐츠를 시청하고 있는 시청자(3)의 수를 기반으로 하여 오브젝트를 자동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크리에이팅 플랫폼(20)은 자동 매칭모듈(700)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자동 매칭모듈(700)은 기본적으로 긍정감정 산출부(710)와, 댓글키워드 산출부(720) 및, 그룹분류부(730)와, 감정지수 부여부(740) 및, 수치산출부(750)와, 오브젝트 선택부(7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안면영상의 예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긍정감정 산출부(710)는 방송 콘텐츠 영상으로부터, 보다 정확히는 크리에이터(1) 본인이 직접 촬영된 방송 콘텐츠 영상으로부터 크리에이터(1)의 표정을 추출하여 크리에이터(1)가 긍정적인 감정의 시그널을 보인, 즉 미소를 나타내거나 웃는 표정을 검출하여 이를 기반으로 긍정감정수치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일반적으로 영상에 효과를 부여할 때는 출연한 크리에이터(1)가 슬픈 표정을 나타낼 때보다 긍정적인 감정을 나타낼 때 영상에 다양한 오브젝트, 즉 음향 효과나 스티커, 말풍선, 자막 또는 영상 자체에 대한 보정 효과를 넣는 것이 보다 적절하다 할 수 있다. 이는 일반적으로 웃음을 자아내거나 실제로 밝은 무드를 나타내고 있는 상태에서 이러한 다양한 오브젝트가 삽입되는 것이 자연스럽게 느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긍정감정 산출부(710)는 방송 콘텐츠 영상에서 출연한 크리에이터(1)가 긍정적인 감정을 보인 부분만을 추출해내어 이를 기반으로 하여 긍정적인 감정을 드러낸 빈도수나 길이를 기반으로 긍정감정수치를 산출해내는 것이다. 이러한 긍정감정 산출부(710)는 더 나아가 안면 검출파트(711), 영역 분류파트(712), 제 1 안구 분석파트(713), 제 2 안구 분석파트(714), 보조개 분석파트(715), 입술 분석파트(716), 수치 산출파트(717)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안면 검출파트(711)는 송출되고 있는 방송 콘텐츠 영상으로부터 크리에이터(1)의 안면부의 안면부를 확대한 안면영상(4)을 추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는 크리에이터(1)를 촬영한 방송 콘텐츠 영상으로부터 크리에이터(1)의 안면부만을 확대 처리한 것이다. 근래의 영상은 대부분 HD 이상 급의 화질을 가지고 있어 영상을 확대하더라 하더라도 별도의 영상 화질 손실 없이 안면부 영상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영역 분류파트(712)는 안면영상(4)으로부터 크리에이터(1)의 안구영역(5) 및 입술영역(6)과 보조개영역(7)을 검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2개의 안구영역(5), 1개의 입술영역(6), 2개의 보조개영역(7)이 검출될 수 있다.
제 1 안구 분석파트(713)는 안구영역(5)의 눈꼬리의 명도 변화값이 기 설정된 문턱값을 초과함에 따라 감정시그널을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바람직하게 제 1 안구분석파트는 상술한 안구영역(5)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는 곳으로서, 사람이 미소를 짓거나 크게 웃는 경우 눈꼬리 부분이 일반적으로 접히면서 주름이 많이 생기게 되는 특징이 있다. 이 때 주름이 많이 생긴 시점이라 함은 그 부분의 굴곡이 많아지면서, 명도가 일반적으로 낮아지는 특성이 있는데, 이를 특징으로 하여 눈꼬리의 명도 변화를 통해 크리에이터(1)가 표출한 긍정적인 감정의 시그널을 캐치해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제 1 안구 분석파트(713)는 안구영역(5)의 눈꼬리의 명도 변화값이 기 설정된 문턱값을 초과함에 따라 감정시그널을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이 때 문턱값의 설정 방법이나 상세 수치에 대해서는 제한을 두지 않으며, 이러한 문턱값은 플랫폼 관리자 등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안구 분석파트(713)를 통해 크리에이터(1)가 웃음을 지을 때 눈꼬리에서 생성되는 주름에 의한 명도 변화를 캐치해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감정시그널이라 함은 문턱값을 초과하는 명도 변화가 일어났을 때, 문턱값 이상의 명도 변화가 일어난 특정 시간 동안 크리에이터(1)가 긍정적인 감정, 즉 긍정적인 표정을 나타낸 것을 수치화된 시그널로서 산출해내는 것으로서, 만약 문턱값 이상의 눈꼬리 명도 변화가 3초 동안 지속되었다면 3초 동안 감정시그널이 나타난 것으로 산출되는 것이다.
제 2 안구 분석파트(714)는 일반적으로 미소를 짓거나 크게 웃는 경우 안구영역(5)의 크기 감소가 일어난다는 점(눈을 감거나 작게 뜨게 됨)에 착안하여, 상기 안구영역(5)의 안구 크기 감소가 기 설정된 문턱시간 이상 지속될 경우 감정시그널을 생성하게 한 것이다. 이 때 문턱시간 설정 방법이나 상세 수치에 대해서는 제한을 두지 않으며, 이러한 문턱시간 역시 플랫폼 관리자 등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안구 크기라 함은 상술한 도 5의 a수치와 같이 눈의 세로 길이를 말하는 것이다. 더불어 잠시 눈을 깜빡하는 것이 아닌 미소나 만족감으로 인해 눈의 크기가 감소한 것을 판단해야 하므로, 문턱시간은 눈을 깜빡이는데 소요되는 시간 이상이어야 함은 분명하다.
예를 들어 문턱시간이 2초인 경우, 안구 크기가 해당 크리에이터(1)의 평균 안구 크기 대비 감소된 것이 2초 이상 지속됨에 따라, 다시 말해 상기 크리에이터(1)의 안구 크기가 평균 안구 크기 대비로, 2초 이상 감소된 것이 관찰됨에 따라 감정시그널이 생성되는 것이며, 이 때 해당 모션이 6초 지속된 경우 만족시그널은 4초 동안 생성된다 할 수 있다.
보조개 분석파트(715)는 보조개영역(7)의 명도 변화값이 기 설정된 문턱값을 초과함에 따라 만족시그널을 생성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의 문턱값 역시 설정 방법이나 상세 수치에 대해서는 제한을 두지 않으며, 플랫폼 관리자 등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미소를 보이는 경우 일부 사람들은 보조개가 나타나는데, 이러한 보조개는 움푹 패이는 특성이 있어 주변 영역에 비해 명도가 낮은 특성이 나타난다. 즉 보조개가 나타나는 경우 해당 영역의 명도가 낮아지는 특성이 있는 것이므로, 보조개영역(7)의 명도 변화값이 기 설정된 문턱값 이상인 경우 보조개가 나타난 것(미소를 띤 것)으로 간주하여 감정시그널을 생성하게 되는 것이다. 만약 문턱값 이상의 보조개영역(7)의 명도 변화가 3초 동안 지속되었다면 3초 동안 감정시그널이 나타난 것으로 산출되는 것이다.
입술 분석파트(716)는 입술영역(6)의 입꼬리 위치가 표준 위치에 비해 기 설정된 문턱시간 이상 상승됨에 따라 감정시그널을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다시 말해, 입술영역(6)에서 미소를 지을 때 변화가 생기는 부위, 즉 입꼬리의 위치를 기반으로 하여 감정시그널을 생성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다시 말해 크리에이터(1)의 입꼬리 위치가 평균 입꼬리 위치보다 문턱시간 이상 상승되어 있는 경우, 긍정적인 기분이 나타나는 것으로 간주하고 만족시그널을 생성하는 것이다. 이때의 문턱시간 설정 방법이나 상세 수치, 평균 입꼬리 위치의 값 역시 제한이 없으며, 플랫폼 관리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이렇게 크리에이터(1)의 입꼬리 위치가 평균 위치에 비해 상승된 것을 통해 크리에이터(1)가 표출한 긍정적인 기분을 파악해낼 수 있다.
수치 산출파트(717)는 산출된 감정시그널의 빈도수 및 각각의 감정시그널의 유지 시간, 그리고 방송 콘텐츠 영상의 길이를 기반으로 크리에이터(1)가 방송 콘텐츠 영상에서 나타낸 긍정적인 감정을 수치화한 긍정감정수치를 산출해내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바람직하게 수치 산출파트(717)는, 다음의 수학식 1을 기반으로 긍정감정수치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수학식 1,
Figure 112020143217880-pat00001
여기서,
Figure 112020143217880-pat00002
는 긍정감정수치,
Figure 112020143217880-pat00003
는 방송 콘텐츠 영상의 길이,
Figure 112020143217880-pat00004
는 안면영상(4) 내에서 감정시그널이 유지된 총 시간,
Figure 112020143217880-pat00005
는 적어도 두 곳 이상의 영역에서
Figure 112020143217880-pat00006
번째로 중복 검출된 감정시그널이 유지된 시간,
Figure 112020143217880-pat00007
Figure 112020143217880-pat00008
번째로 중복 검출된 감정시그널의 중복 검출 영역의 수,
Figure 112020143217880-pat00009
Figure 112020143217880-pat00010
번째 감정시그널이 유지된 시간,
Figure 112020143217880-pat00011
은 생성된 감정시그널의 빈도수의 총 합,
Figure 112020143217880-pat00012
은 적어도 두 곳 이상의 영역에서 감정시그널이 중복 검출된 빈도수의 총 합을 의미한다.
여기서, 방송 콘텐츠 영상의 길이 및 감정시그널이 유지된 시간은 모두 시간을 기준으로 하며, 단위의 통일을 위해 감정시그널 자체가 긴 시간 나타나지 않는 만큼 초 단위를 기준으로 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중복 검출된 감정시그널이라 함은 미소는 일반적으로 눈, 입, 보조개에서 동시에 나타나는 점을 참조로 하여, 눈만 웃거나 입만 웃고 있는 것이 아닌 눈, 입, 보조개에서 동시에 감정시그널이 나타난 경우 두 곳 이상의 영역에서 감정시그널이 중복 도출되는 만큼 이를 파악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방송 콘텐츠 영상의 길이가 10분(600초)이고, 방송 콘텐츠 영상에서 추출된 안면영상(4) 내에서 감정시그널이 나타난 총 시간, 즉 감정시그널이 유지된 총 시간이 1분 40초 (100초)이며, 감정시그널이 총 3번 검출됐고, 1번째 검출된 감정시그널의 길이는 2초, 2번째 추출된 감정시그널의 길이는 6초, 3번째 추출된 감정시그널의 길이는 4초, 적어도 두 곳 이상에서 중복 검출된 감정시그널은 총 1회이며, 중복 검출된 감정시그널이 유지된 시간이 4초, 중복 검출 영역의 수가 3개라고 하자.
이 경우,
Figure 112020143217880-pat00013
의 값이 산출된다.
수학식 1는 방송 콘텐츠 영상의 전체 길이, 감정시그널이 유지된 시간(길이) 감정시그널이 생성된 빈도수 등을 기반으로 긍정감정수치를 산출하는 식으로서, 이렇게 산출된 긍정감정수치를 통해 크리에이터(1)가 긍정적인 감정을 얼마나 표정으로써 드러냈는지를 수치화하여 알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수치화된 산출값의 경우 주관적인 분석이 아닌 객관적 분석이라 할 수 있기 때문에, 긍정감정수치에 대한 신뢰도를 보다 높여주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효과 매칭모듈(700)에 포함되는 댓글키워드 산출부(720)에 대해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르면 방송 콘텐츠의 실시간 송출에 따라 해당 방송 컨텐츠를 시청 중인 시청자(3)가 댓글을 실시간으로 입력 가능하다. 이때 실시간으로 시청자(3)로부터 입력된 댓글로부터 댓글키워드를 산출해내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는 종래의 텍스트 기반 키워드 산출을 기본으로 하며, 이때 텍스트 기반 키워드 산출이라 함은 예를 들어 '도티님 최고에요'라는 텍스트로부터, '도티'와 '최고'라는 어근을 키워드로써 산출해내는 것이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감정을 나타내는 댓글을 기반으로 하여 댓글키워드가 산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수 있으므로, 감정을 나타내는 표현, 예를 들어 형용사나 명사형의 키워드가 산출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ㅠㅠ','ㅋㅋ'와 같은 이모티콘이나 채팅 용어 역시 감정을 드러낼 수 있는 것이라면 댓글키워드로써 산출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서는 종래의 키워드 분석 프로그램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그룹분류부(730)는 산출된 복수의 댓글키워드를 기 설정된 분류기준에 따라 감정그룹으로 분류한다. 다시 말해 댓글키워드가 바람직하게는 감정을 나타내는 표현이라 하였으므로, 댓글키워드가 나타나내는 감정에 따라 댓글키워드를 긍정감정그룹, 부정감정그룹, 분노그룹 등의 감정에 따라 분류 처리하는 것이다. 이때 하나의 댓글키워드가 하나의 감정그룹에 포함될 수도 있으며, 하나의 댓글키워드가 여러 개의 감정을 나타낼 수도 있는 만큼 하나의 댓글키워드가 여러개의 감정그룹에 포함될 수도 있다. 이때 감정그룹에 대한 분류 기준은 플랫폼 관리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감정지수 부여부(740)는 분류된 감정그룹별로 감정지수를 부여하는 것으로서, 이때 바람직하게는 해당 감정그룹이 긍정적인 감정을 나타내는 댓글키워드를 포함할수록 높은 감정지수가 부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감정지수는 1 내지 10 사이에서 조절될 수 있다. 여기서 감정지수의 부여 방식은 제한이 없으므로, 감정지수 부여 방식 및 부여된 감정지수는 플랫폼 관리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수치산출부(750)로 하여금 산출된 긍정감정수치, 부여된 감정지수, 그리고 해당 방송 콘텐츠를 시청하고 있는 실시간 시청자 수를 기반으로 방송 콘텐츠에 대한 실시간 산출수치를 산출하게 된다.
여기서 시청자의 수라 함은 방송 콘텐츠 송출을 위한 웹페이지나 어플리케이션 실시간으로 접속해 있는 시청자(3)의 수를 말하는 것으로서, 이는 종래의 라이브 방송 플랫폼에서 실시간 시청자 수 측정이 가능하므로 이를 참조하도록 한다.
이때 바람직하게 실시간 산출수치는 다음의 수학식 2를 기반으로 산출된다.
수학식 2,
Figure 112020143217880-pat00014
여기서,
Figure 112020143217880-pat00015
는 실시간 산출수치,
Figure 112020143217880-pat00016
는 긍정감정수치,
Figure 112020143217880-pat00017
는 감정지수,
Figure 112020143217880-pat00018
은 상기 방송 콘텐츠의 실시간 시청자 수,
Figure 112020143217880-pat00019
은 기 설정된 산출기간 동안의 상기 방송 콘텐츠의 평균 시청자 수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긍정감정수치가 상술한 예시와 같은 4.77, 감정지수가 6, 실시간 시청자 수가 400, 평균 시청자 수가 300인 경우를 계산하면,
Figure 112020143217880-pat00020
의 값이 산출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수치화된 실시간 산출수치가 나타나는 경우, 크리에이터(1)가 나타내는 긍정적인 감정시그널, 그리고 이에 따라 나타나는 시청자(3)의 긍정적인 리액션(댓글), 나아가 시청자(3)의 수의 추이를 수치화된 값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마지막으로, 오브젝트 선택부(760)는 산출된 산출수치에 따라 오브젝트 편집모듈(300)과 연동되어 방송 콘텐츠에 합성될 상기 오브젝트를 자동 선택하여 크리에이터(1)에 제공하거나, 나아가 방송모듈(400)과 연동 처리되어 오브젝트를 방송 콘텐츠에 자동 합성 및 시청자(1)에게 송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다시 말해 산출수치에 따라 크리에이터(1)의 감정시그널, 시청자(3)의 긍정적 리액션, 그리고 시청자(3)의 수 등 해당 방송 콘텐츠에 대한 긍정적인 요소들이 나타나게 되는 만큼, 이를 기반으로 오브젝트, 다시 말해 음향 효과나 스티커, 아니면 영상 자체에 대한 보정 효과를 자동 선택하도록 하여 이를 크리에이터(1)에게 제공하거나, 혹은 더 나아가 방송 콘텐츠에 실시간으로 바로 합성 처리하는 것이다. 이때 선택되는 오브젝트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으므로, 클라우드 플랫폼(10)와 연동되어 저장된 오브젝트를 자동 선택 처리하여 이를 크리에이터(1)에게 제공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개인미디어 크리에이터를 위한 클라우드 기반 스튜디오 플랫폼 제공 시스템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 : 크리에이터 2 : 중앙관제서버
3 : 시청자 4 : 안면영상
5 : 안구영역 6 : 입술영역
7 : 보조개영역 10 : 클라우드 플랫폼
20 : 크리에이팅 플랫폼 100 : 애플리케이션
110 : 사용자 관리 앱 120 : 메타데이터 관리 앱
130 : 영상 관리 앱 140 : 음향 관리 앱
150 : 썸네일 추출 앱 160 : 미디어 변환 생성 앱
170 : 방송 편성 관리 앱 180 : 클라우드 서비스 관리 앱
200 : 데이터베이스 300 : 오브젝트 편집모듈
310 : 콘텐츠 제공부 320 : 편집부
400 : 방송모듈 500 : 장면 분석모듈
510 : 영상 분석부 520 : 장면 관리부
530 : 장면 메타데이터 관리부 600 : 시청 정보 분석모듈
610 : 시청 정보 분석부 620 : 정산 정보 분석부
700 : 효과 매칭모듈 710 : 긍정감정 산출부
711 : 안면 검출파트 712 : 영역 분류파트
713 : 제 1 안구 분석파트 714 : 제 2 안구 분석파트
715 : 보조개 분석파트 716 : 입술 분석파트
717 : 수치 산출파트 720 : 댓글키워드 산출부
730 : 그룹분류부 740 : 감정지수 부여부
750 : 수치산출부 760 : 오브젝트 선택부
800 : 녹화모듈

Claims (8)

  1. 개인미디어 크리에이터를 위한 클라우드 기반 스튜디오 플랫폼 제공 시스템으로서,
    메타데이터, 영상, 음향, 썸네일 추출, 미디어 변환 및 생성과 방송 편성 정보를 관리할 수 있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및,
    방송 콘텐츠 제작에 관련된 오브젝트를 저장 및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클라우드 플랫폼;
    상기 클라우드 플랫폼과 네트워크를 매개로 연결된 것으로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매개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오브젝트를 선택하여 편집하는 오브젝트 편집모듈과, 크리에이터가 방송하는 방송 콘텐츠에 편집된 상기 오브젝트를 합성하여 시청자에게 방송하는 방송모듈을 포함하는 크리에이팅 플랫폼;을 포함하되,
    상기 크리에이팅 플랫폼은,
    상기 방송 콘텐츠의 영상으로부터 상기 크리에이터의 표정을 추출하여 긍정감정수치를 산출하는 긍정감정 산출부와, 상기 시청자로부터 입력된 복수의 댓글로부터 댓글키워드를 산출하는 댓글키워드 산출부 및, 상기 댓글키워드를 기 설정된 분류기준에 따라 감정그룹으로 분류하는 그룹분류부와, 상기 감정그룹별로 감정지수를 부여하는 감정지수 부여부 및, 상기 긍정감정수치와 상기 감정지수 및 상기 방송 콘텐츠를 시청하는 시청자 수를 기반으로 상기 방송 콘텐츠에 대한 실시간 산출수치를 산출하는 수치산출부 및, 상기 산출수치에 따라 상기 방송 콘텐츠에 합성될 상기 오브젝트를 자동 선택하는 오브젝트 선택부를 포함하는 자동 매칭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폼 제공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 편집모듈은,
    상기 방송 콘텐츠의 편집을 위한 비디오 템플릿과 영상 및 공개 방송 콘텐츠를 상기 크리에이터에게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부와,
    상기 방송 콘텐츠의 편집 리소스를 생성하고 상기 방송 콘텐츠의 영상을 편집하는 편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폼 제공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크리에이팅 플랫폼은,
    상기 시청자에게 방송된 상기 방송 콘텐츠를 녹화하는 녹화모듈과,
    녹화된 상기 방송 콘텐츠에 대한 시청률을 포함하는 시청 정보를 수집 및 분석하여 상기 크리에이터에게 제공하는 시청 정보 분석모듈 및,
    상기 시청 정보 분석모듈에 의해 분석된 시청 정보를 토대로 상기 방송 콘텐츠 중의 특정 장면에 대한 장면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크리에이터에게 제공하는 장면 분석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폼 제공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장면은,
    상기 방송 콘텐츠에 대한 하이라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장면 분석모듈은,
    상기 하이라이트에 대한 시청률과 메타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크리에이터 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폼 제공 시스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긍정감정 산출부는,
    방송 영상으로부터 상기 크리에이터의 안면부를 확대한 안면영상을 추출하는 안면 검출파트와,
    상기 안면영상으로부터 상기 크리에이터의 안구영역 및 입술영역과 보조개영역을 검출하는 영역 분류파트 및,
    상기 안구영역의 눈꼬리의 명도 변화값이 기 설정된 문턱값을 초과함에 따라 감정시그널을 생성하는 제 1 안구 분석파트 및,
    상기 안구영역의 안구 크기가 기 설정된 문턱시간 이상 변화됨에 따라 감정시그널를 생성하는 제 2 안구 분석파트 및,
    상기 보조개영역의 명도 변화값이 기 설정된 문턱값을 초과함에 따라 감정시그널를 생성하는 보조개 분석파트 및,
    상기 입술영역의 입꼬리 위치가 표준 위치에 비해 기 설정된 문턱시간 이상 상승됨에 따라 감정시그널을 생성하는 입술 분석파트 및,
    상기 감정시그널의 빈도수 및 상기 감정시그널의 유지 시간과 상기 방송 콘텐츠 영상의 길이를 기반으로 상기 긍정감정수치를 산출하는 수치 산출파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폼 제공 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수치 산출파트는,
    다음의 수학식 1을 기반으로 상기 긍정감정수치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폼 제공 시스템.
    수학식 1,
    Figure 112020143217880-pat00021

    (여기서,
    Figure 112020143217880-pat00022
    는 긍정감정수치,
    Figure 112020143217880-pat00023
    는 방송 콘텐츠 영상의 길이,
    Figure 112020143217880-pat00024
    는 안면영상 내에서 감정시그널이 유지된 총 시간,
    Figure 112020143217880-pat00025
    는 적어도 두 곳 이상의 영역에서
    Figure 112020143217880-pat00026
    번째로 중복 검출된 감정시그널이 유지된 시간,
    Figure 112020143217880-pat00027
    Figure 112020143217880-pat00028
    번째로 중복 검출된 감정시그널의 중복 검출 영역의 수,
    Figure 112020143217880-pat00029
    Figure 112020143217880-pat00030
    번째 감정시그널이 유지된 시간,
    Figure 112020143217880-pat00031
    은 생성된 감정시그널의 빈도수의 총 합,
    Figure 112020143217880-pat00032
    은 적어도 두 곳 이상의 영역에서 감정시그널이 중복 검출된 빈도수의 총 합)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수치산출부는,
    다음의 수학식 2를 기반으로 실시간 산출수치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폼 제공 시스템.
    수학식 2,
    Figure 112020143217880-pat00033

    (여기서,
    Figure 112020143217880-pat00034
    는 실시간 산출수치,
    Figure 112020143217880-pat00035
    는 긍정감정수치,
    Figure 112020143217880-pat00036
    는 감정지수,
    Figure 112020143217880-pat00037
    은 상기 방송 콘텐츠의 실시간 시청자 수,
    Figure 112020143217880-pat00038
    은 기 설정된 산출기간 동안의 상기 방송 콘텐츠의 평균 시청자 수)
KR1020200187254A 2020-12-30 2020-12-30 개인미디어 크리에이터를 위한 클라우드 기반 스튜디오 플랫폼 제공 시스템 KR1024622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7254A KR102462297B1 (ko) 2020-12-30 2020-12-30 개인미디어 크리에이터를 위한 클라우드 기반 스튜디오 플랫폼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7254A KR102462297B1 (ko) 2020-12-30 2020-12-30 개인미디어 크리에이터를 위한 클라우드 기반 스튜디오 플랫폼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5591A KR20220095591A (ko) 2022-07-07
KR102462297B1 true KR102462297B1 (ko) 2022-11-03

Family

ID=82398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7254A KR102462297B1 (ko) 2020-12-30 2020-12-30 개인미디어 크리에이터를 위한 클라우드 기반 스튜디오 플랫폼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229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2867B1 (ko) * 2023-02-02 2024-02-05 주식회사 씨디에스아시아 유튜브 콘텐츠 제작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9499B1 (ko) * 2017-02-10 2020-01-08 주식회사 시어스랩 라이브 스트리밍 영상 생성 방법 및 장치, 라이브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및 라이브 스트리밍 시스템
KR20200014487A (ko) * 2018-08-01 2020-02-11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클립영상 생성을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KR102144336B1 (ko) * 2018-11-30 2020-08-13 전상규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5591A (ko) 2022-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52362B2 (ja) 動画を自動編集する方法及びポータブル型端末
US1068546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photo-story based on visual context analysis of digital content
JP5092000B2 (ja) 映像処理装置、方法、及び映像処理システム
CN103718166B (zh) 信息处理设备、信息处理方法
US10192583B2 (en) Video editing using contextual data and content discovery using clusters
CN101300567B (zh) 在Web上的媒体共享和创作的方法
CN107707931B (zh) 根据视频数据生成解释数据、数据合成方法及装置、电子设备
JP2019036980A (ja) 共有アセット及び個別化アセットからのストーリーボード指示ビデオ制作
CN108401192A (zh) 视频流处理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CN101639943B (zh) 制作动画的方法和设备
US20140223309A1 (en) Method and system for browsing, searching and sharing of personal video by a non-parametric approach
US11343595B2 (en) User interface elements for content selection in media narrative presentation
US20180308524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eparing and capturing a video file embedded with an image file
CN111930994A (zh) 视频编辑的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03988496A (zh) 用于从多个源创建合成视频的方法和装置
CN105144739B (zh) 具有媒体处理机制的显示系统及其操作方法
US20210117471A1 (en)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a video from an online product representation
JP2016046705A (ja) 会議録編集装置、その方法とプログラム、会議録再生装置、および会議システム
CN114638232A (zh) 一种文本转换成视频的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102462297B1 (ko) 개인미디어 크리에이터를 위한 클라우드 기반 스튜디오 플랫폼 제공 시스템
CN114845149A (zh) 视频片段的剪辑方法、视频推荐方法、装置、设备及介质
KR102439599B1 (ko) 클라우드 영상 편집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Abadi et al. A multi-task learning framework for time-continuous emotion estimation from crowd annotations
WO2023058101A1 (ja) 動画再生支援システム、動画再生支援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1918085B (zh) 直播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