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2135B1 - 홈페이지 제작 시스템 - Google Patents

홈페이지 제작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2135B1
KR102462135B1 KR1020220077459A KR20220077459A KR102462135B1 KR 102462135 B1 KR102462135 B1 KR 102462135B1 KR 1020220077459 A KR1020220077459 A KR 1020220077459A KR 20220077459 A KR20220077459 A KR 20220077459A KR 102462135 B1 KR102462135 B1 KR 1024621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mepage
content
user
usage
p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74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미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시퀀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시퀀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시퀀스
Priority to KR10202200774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21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21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21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1Indexing; Web crawling techniqu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홈페이지 제작 시스템은, 메인 페이지와 서브 페이지를 포함하는 제1 홈페이지를 운영하는 홈페이지 운영서버와, 상기 제1 홈페이지를 리뉴얼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하는 사용자들의 홈페이지 이용 성향에 따라 상기 메인 페이지 및 상기 서브 페이지의 디자인 및 메뉴 배치를 변경하는 사용자 반응형 홈페이지를 제작하는 홈페이지 제작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홈페이지 제작 서버는, 상기 제1 홈페이지의 웹사이트 주소를 선정한 후 데이터 로드를 진행하고, 상기 제1 홈페이지를 구성하는 메인 페이지와 서브 페이지를 크롤링하여 크롤링 데이터를 추출하는 크롤링 작업부와, 상기 크롤링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메인 페이지와 상기 서브 페이지를 구성하는 컨텐츠를 속성별로 분류하여 상기 사용자 반응형 홈페이지를 구성하는 컨텐츠 모듈들로 변환하는 모듈화 작업부와, 사용자들의 제1 홈페이지 이용 성향을 분석하기 위해, 과거에 상기 제1 홈페이지에 접속했던 사용자들의 홈페이지 이용 기록을 분석하여 사용자별 컨텐츠 이용패턴들을 형성하고, 상기 사용자별 컨텐츠 이용패턴들 중 대표 컨텐츠 이용패턴을 설정하는 사용자 패턴 분석부와, 상기 대표 컨텐츠 이용패턴에 이용되는 컨텐츠 모듈들을 선택하고, 많이 이용되는 컨텐츠 순서에 따라 컨텐츠 모듈들의 우선순위를 설정하고, 상기 우선순위에 따라 컨텐츠 모듈의 크기 및 배치를 다르게 설정하여 상기 사용자 반응형 홈페이지를 생성하는 홈페이지 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홈페이지 생성부는, 상기 대표 컨텐츠 이용패턴에 대응하여 서로 상이한 메인페이지 및 서브페이지를 포함하는 n개(n은 2이상의 자연수)의 홈페이지를 생성하고, 우선순위가 높은 컨텐츠 모듈일수록 화면의 중앙에 위치하고, 상대적으로 큰 크기로 형성하며, 기준 우선순위 이상의 컨텐츠 모듈들을 사용자 반응형 홈페이지를 구성하는 메인 페이지에 배치하고, 나머지 컨텐츠 모듈들을 서브 페이지에 배치하고, 상기 사용자 패턴 분석부는, 상기 제1 홈페이지의 사용자들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이용하는 컨텐츠 이용 경로를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별 컨텐츠 이용패턴들을 생성하며, 기준 사용비율 이상으로 사용되는 적어도 2가지 이상의 사용자별 컨텐츠 이용패턴들을 상기 대표 컨텐츠 이용패턴으로 설정한다.

Description

홈페이지 제작 시스템{HOMEPAGE PRODUCTION SYSTEM}
본 발명은 홈페이지 제작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이 발달함에 따라 사회분위기가 빠르게 변화하고 있고, IT 분야도 변화하는 시대적 흐름에 맞춰 트랜드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다. 웹사이트는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의 네트워크에서 도메인 이름, IP 주소, 루트 경로만으로 이루어진 일반 URL을 통하여 보이는 웹페이지 묶음이다. 이러한 웹사이트는 시대의 흐름을 빠르게 읽고 변화할 수 있어야 가치가 낮아지지 않는데, 잘 사용하지 않는 기능이나 오래된 느낌을 주는 디자인을 갖는 홈페이지는 관리되지 않는 사이트로 인식되어 사용자의 이용률을 낮추게 한다.
한편, 관공서 홈페이지와 같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홈페이지는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해 쉽고 빠른 메뉴와 디자인을 구비해야 하지만, 무수히 많은 메뉴와 복잡한 디자인은 사용자로 하여금 이용에 어려움을 느끼게 한다. 사용자의 편의성 개선 목적으로 새로운 홈페이지를 제작하는 방법이 있지만, 업무의 연속성이 중단되지 않으면서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진시키는 일은 쉬운 작업이 아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사용자가 직접 노력을 기울이지 않더라도 사용자의 취향을 반영하고, 주로 사용하는 컨텐츠를 보다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홈페이지를 생성하는 홈페이지 제작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홈페이지 제작 시스템은, 메인 페이지와 서브 페이지를 포함하는 제1 홈페이지를 운영하는 홈페이지 운영서버와, 상기 제1 홈페이지를 리뉴얼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하는 사용자들의 홈페이지 이용 성향에 따라 상기 메인 페이지 및 상기 서브 페이지의 디자인 및 메뉴 배치를 변경하는 사용자 반응형 홈페이지를 제작하는 홈페이지 제작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홈페이지 제작 서버는, 상기 제1 홈페이지의 웹사이트 주소를 선정한 후 데이터 로드를 진행하고, 상기 제1 홈페이지를 구성하는 메인 페이지와 서브 페이지를 크롤링하여 크롤링 데이터를 추출하는 크롤링 작업부와, 상기 크롤링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메인 페이지와 상기 서브 페이지를 구성하는 컨텐츠를 속성별로 분류하여 상기 사용자 반응형 홈페이지를 구성하는 컨텐츠 모듈들로 변환하는 모듈화 작업부와, 사용자들의 제1 홈페이지 이용 성향을 분석하기 위해, 과거에 상기 제1 홈페이지에 접속했던 사용자들의 홈페이지 이용 기록을 분석하여 사용자별 컨텐츠 이용패턴들을 형성하고, 상기 사용자별 컨텐츠 이용패턴들 중 대표 컨텐츠 이용패턴을 설정하는 사용자 패턴 분석부와, 상기 대표 컨텐츠 이용패턴에 이용되는 컨텐츠 모듈들을 선택하고, 많이 이용되는 컨텐츠 순서에 따라 컨텐츠 모듈들의 우선순위를 설정하고, 상기 우선순위에 따라 컨텐츠 모듈의 크기 및 배치를 다르게 설정하여 상기 사용자 반응형 홈페이지를 생성하는 홈페이지 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홈페이지 생성부는, 상기 대표 컨텐츠 이용패턴에 대응하여 서로 상이한 메인페이지 및 서브페이지를 포함하는 n개(n은 2이상의 자연수)의 홈페이지를 생성하고, 우선순위가 높은 컨텐츠 모듈일수록 화면의 중앙에 위치하고, 상대적으로 큰 크기로 형성하며, 기준 우선순위 이상의 컨텐츠 모듈들을 사용자 반응형 홈페이지를 구성하는 메인 페이지에 배치하고, 나머지 컨텐츠 모듈들을 서브 페이지에 배치하고, 상기 사용자 패턴 분석부는, 상기 제1 홈페이지의 사용자들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이용하는 컨텐츠 이용 경로를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별 컨텐츠 이용패턴들을 생성하며, 기준 사용비율 이상으로 사용되는 적어도 2가지 이상의 사용자별 컨텐츠 이용패턴들을 상기 대표 컨텐츠 이용패턴으로 설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홈페이지 제작서버에 의하면, 사용자가 직접 홈페이지나 포털사이트 메뉴구성 구성 등을 변경하는 노력을 기울이지 않더라도, 사용자 취향을 반영한 사용자 반응형 홈페이지를 자동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홈페이지 제작서버에 의하면, 사용자 반응형 홈페이지마다 컨텐츠 디자인, 배치 등을 다르게 하여 사용자가 평소 관심을 기울이지 않거나 사용하지 않는 컨텐츠의 표시를 제한하고, 주로 사용하는 컨텐츠를 보다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홈페이지 제작 시스템의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홈페이지 제작서버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홈페이지 제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a와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홈페이지 제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있어서 '모듈' 혹은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는 기능적 부분을 의미하며,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또는 “모듈”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FPGA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 또는 “모듈”은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 또는 “모듈”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 또는 “모듈”은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 또는 “모듈”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 또는 “모듈”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 또는 “모듈”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 또는 “모듈”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홈페이지 제작 시스템의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홈페이지 제작서버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홈페이지 제작 시스템(10)은 홈페이지 제작서버(100), 홈페이지 운영서버(200), 및 사용자 단말기(300)를 포함한다.
홈페이지 제작 시스템(10)은 홈페이지를 운영하는 사업자에게 홈페이지 리뉴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플랫폼을 운영하며, 홈페이지 리뉴얼 서비스는 기존 홈페이지의 컨텐츠 구성을 유지한 상태로 디자인, 메뉴 배치 등을 변경하여 사용자 반응형 홈페이지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갖는다. 여기서, 사용자 반응형 홈페이지는 사용자별로 부여된 사용자 유형에 따라 표시되는 개인 맞춤형 웹페이지를 의미한다.
홈페이지 제작서버(100)는 홈페이지 운영서버(200)에서 운영 중인 제1 홈페이지를 리뉴얼하여 사용자 반응형 홈페이지를 제작할 수 있다. 홈페이지 제작서버(100)는 크롤링 작업부(110), 모듈화 작업부(120), 사용자 패턴 분석부(130), 및 홈페이지 생성부(140)를 포함하며, 각 구성요소는 소프트웨어 모듈, 하드웨어 모듈,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되고, 적어도 하나의 통신 경로를 통해 연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할 수 있다.
크롤링 작업부(110)는 리뉴얼 대상인 제1 홈페이지를 크롤링하여 크롤링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예컨대, 크롤링 작업부(110)는 제1 홈페이지의 웹사이트 주소인 URL을 선정하고, 데이터 로드를 진행한다. 이때, API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 XML, JSON 문서를 다운받고 웹페이지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 HTML 문서를 다운받는다. 그리고, 크롤러 모듈을 이용하여 제1 홈페이지를 구성하는 메인 페이지와 서브 페이지 내 포함된 데이터를 크롤링 데이터로 추출할 수 있다.
모듈화 작업부(120)는 크롤링 작업부(110)에서 추출된 크롤링 데이터를 분석하여 제1 홈페이지의 메인 페이지와 서브 페이지를 구성하는 컨텐츠를 속성별로 분류할 수 있다. 그리고, 분류된 컨텐츠를 사용자 반응형 홈페이지를 구성하기 위한 컨텐츠 모듈들로 변환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홈페이지의 메인페이지에 제1 서비스 및 제2 서비스와 관련된 컨텐츠, 제1 서브페이지에 제1 서비스와 관련된 컨텐츠, 제2 서브 페이지에 제2 서비스와 관련된 컨텐츠가 포함될 수 있다. 모듈화 작업부(120)는 메인 페이지, 제1 및 제2 서브 페이지들로부터 추출된 크롤링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1 서비스와 관련된 컨텐츠를 제1 컨텐츠 모듈, 제2 서비스와 관련된 컨텐츠를 제2 컨텐츠 모듈로 변환할 수 있다.
사용자 패턴 분석부(130)는 사용자에게 개인 맞춤형 홈페이지를 제공하기 위해, 과거 제1 홈페이지를 이용했던 사용자들의 성향을 분석하는 구성으로서, 과거 사용자들의 홈페이지 이용기록을 분석하여 사용자별 컨텐츠 이용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 패턴 분석부(130)는 홈페이지 이용기록을 분석하여 제1 홈페이지의 사용자들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이용하는 컨텐츠 이용 경로를 분석하여 사용자별 컨텐츠 이용패턴들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패턴 분석부(130)는 사용자들의 성향을 분석 이전에, 사용자들의 홈페이지 이용기록을 홈페이지 운영서버(200)로부터 미리 수신하여 저장하고 있으며, 홈페이지 이용기록에는 사용자의 개인정보, 사용자의 홈페이지 접속기록, 활동 내역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즉, 홈페이지 이용기록에는 사용자가 제1 홈페이지 내 어떤 메뉴를 클릭하였는지, 어떤 서비스를 주로 이용하는지 등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 패턴 분석부(130)는 사용자별 컨텐츠 이용패턴들 중 대표 컨텐츠 이용패턴을 설정할 수 있다. 대표 컨텐츠 이용패턴은 적어도 2가지 이상으로 설정될 수 있는데, 사용자별 컨텐츠 이용패턴들 중 기준 사용비율 이상으로 이용되는 이용패턴이 대표 컨텐츠 이용패턴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홈페이지에는 제1 내지 제5 서비스를 제공하는 컨텐츠가 포함되어 있고, 전체의 약 50% 비율의 사용자들이 제1 및 제2 서비스와 관련된 제1 컨텐츠를 주로 사용하고, 약 40% 비율의 사용자들이 제2 내지 제4 서비스와 관련된 제2 컨텐츠를 주로 사용하고, 약 5% 비율의 사용자들이 제5 서비스와 관련된 제3 컨텐츠를 주로 사용할 수 있다.
만약, 설정된 기준 사용비율이 30%인 경우, 사용자 패턴 분석부(130)는 제1 컨텐츠를 주로 사용하는 사용자들의 컨텐츠 이용패턴과 제2 컨텐츠를 주로 사용하는 사용자들의 컨텐츠 이용패턴을 대표 컨텐츠 이용패턴으로 설정할 수 있다.
홈페이지 생성부(140)는 대표 컨텐츠 이용패턴에 이용되는 컨텐츠 모듈들을 선택하고, 많이 이용되는 컨텐츠 순서에 따라 선택된 컨텐츠 모듈들의 우선순위를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여기서 컨텐츠 모듈들의 우선순위는 컨텐츠 인기도를 의미할 수 있지만, 대표 컨텐츠 이용패턴마다 컨텐츠의 인기도가 서로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컨텐츠 모듈들의 우선순위도 대표 컨텐츠 이용패턴마다 다를 수 있다.
그리고, 홈페이지 생성부(140)는 우선순위에 따라 컨텐츠 모듈의 크기 및 배치를 다르게 설정하여 사용자 반응형 홈페이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홈페이지 생성부(140)는 우선순위가 높은 컨텐츠 모듈일수록 화면의 중앙에 위치하고, 상대적으로 큰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홈페이지 생성부(140)는 대표 컨텐츠 이용패턴의 개수에 대응하여 상이한 메인페이지 및 서브페이지를 포함하는 n개(n은 2이상의 자연수)의 홈페이지를 생성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홈페이지 생성부(140)는, 기준 우선순위 이상의 컨텐츠 모듈들을 사용자 반응형 홈페이지를 구성하는 메인 페이지에 배치하고, 나머지 컨텐츠 모듈들을 사용자 반응형 홈페이지를 구성하는 서브 페이지에 배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본인이 직접 홈페이지나 포털사이트 메뉴구성 구성 등을 변경하는 노력을 기울이지 않더라도, 홈페이지 제작서버(100)에 의해 생성된 사용자 반응형 홈페이지를 자동으로 접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 반응형 홈페이지마다 컨텐츠 디자인, 배치 등을 다르게 하여 사용자가 평소 관심을 기울이지 않거나 사용하지 않는 컨텐츠의 표시를 제한하고, 주로 사용하는 컨텐츠를 보다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한다.
홈페이지 운영서버(200)는 온라인 네트워크를 호스팅할 수 있고, 네트워크 주소 지정이 가능한 장치로서, 홈페이지 제작서버(100) 및 사용자 단말기(300)와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홈페이지 운영서버(200)는 제1 홈페이지를 통해 사용자에게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고, 홈페이지 제작서버(100)에 의해 리뉴얼된 사용자 반응형 홈페이지도 운영할 수 있다.
홈페이지 운영서버(200)는 제1 홈페이지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로그인 정보를 입력받아 개인정보를 관리하며, 사용자별로 홈페이지 이용기록을 저장할 수 있다. 즉, 홈페이지 운영서버(200)는 사용자들이 어떤 컨텐츠를 많이 이용하는지, 어떤 메뉴를 자주 클릭하는지 등 사용자의 활동기록을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사용자 반응형 홈페이지 제작을 위해 홈페이지 이용기록을 홈페이지 제작서버(100)에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300)는 홈페이지 운영서버(200)에서 운영하는 제1 홈페이지 또는 사용자 반응형 홈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는 통신 장치로서, PC(personal computer),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 (tablet) PC, 모바일 인터넷 장치(mobile internet device(MID)), 인터넷 태블릿, IoT(internet of things) 장치, IoE(internet of everything) 장치, 데스크 탑 컴퓨터(desktop computer), 랩탑(laptop) 컴퓨터, 워크스테이션 컴퓨터,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및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모든 종류의 통신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홈페이지 제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홈페이지 제작서버(100)는 리뉴얼 대상인 제1 홈페이지를 선정하고, 제1 홈페이지를 크롤링하여 크롤링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S100).
그리고, 홈페이지 제작서버(100)는 추출된 크롤링 데이터를 분석하여 제1 홈페이지의 메인 페이지와 서브 페이지를 구성하는 컨텐츠를 속성별로 분류하고, 분류된 컨텐츠를 사용자 반응형 홈페이지를 구성하기 위한 컨텐츠 모듈들로 변환할 수 있다(S110).
그리고, 홈페이지 제작서버(100)는 홈페이지 운영서버(2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들의 홈페이지 이용기록을 분석하여 사용자별 컨텐츠 이용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S120). 이때, 사용자 패턴 분석부(130)는 사용자들의 성향을 분석 이전에, 사용자들의 홈페이지 이용기록을 홈페이지 운영서버(200)로부터 미리 수신하여 저장하고 있다.
그리고, 홈페이지 제작서버(100)는 사용자별 컨텐츠 이용패턴들 중 기준 사용비율 이상으로 이용되는 이용패턴들을 적어도 2가지 이상 선별하여, 이를 대표 컨텐츠 이용패턴을 설정할 수 있다(S130).
그리고, 홈페이지 제작서버(100)는 대표 컨텐츠 이용패턴에 이용되는 컨텐츠 모듈들을 선택하고, 많이 이용되는 컨텐츠 순서에 따라 선택된 컨텐츠 모듈들의 우선순위를 설정할 수 있다(S140).
그리고, 홈페이지 제작서버(100)는 설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컨텐츠 모듈의 크기 및 배치를 다르게 설정하여 사용자 반응형 홈페이지를 생성할 수 있다(S150). 이때, 홈페이지 생성부(140)는 우선순위가 높은 컨텐츠 모듈일수록 화면의 중앙에 위치하고, 상대적으로 큰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a와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홈페이지 제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정부기관에서 운영되는 제1 홈페이지(PA1)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예시적으로 일부 구성만을 표시한 것이다.
제1 홈페이지(PA1)에는 제1 영역 내지 제4 영역(AR1 내지 AR4)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1 영역(AR1)에는 제1 홈페이지(PA1)에서 이용할 수 있는 각종 컨텐츠를 연결하는 메뉴가 구성되어 있고, 제2 영역(AR2)에는 컨텐츠와 관련된 광고, 이벤트 등이 표시될 수 있으며, 제3 영역(AR3)에는 제1 영역(AR1)에서 이용할 수 있는 각종 컨텐츠를 빠르게 이용할 수 있는 바로가기 메뉴가 포함될 수 있고, 제4 영역(AR4)에는 제1 홈페이지(PA1)에서 전달하는 공지사항이 포함될 수 있다.
홈페이지 제작서버(100)는 크롤링 작업부(110)에 의해 각 영역에서의 크롤링 데이터를 추출하고, 각 메뉴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컨텐츠 모듈로 변환할 수 있다. 예컨대, 제3 영역(AR3)에는 '주민등록등본 메뉴', '건축물대장 메뉴', '토지(임야)대장 메뉴', 및 '지방세 환급계좌 메뉴'와 관련된 컨텐츠가 포함되어 있고, 각각의 컨텐츠는 제1 내지 제4 컨텐츠 모듈(MO1 내지 MO4)로 변환될 수 있다.
그리고, 홈페이지 제작서버(100)는 제1 홈페이지(PA1)를 이용하는 사용자별 컨텐츠 이용패턴들 중 기준 사용비율 이상으로 이용되는 이용패턴을 대표 컨텐츠 이용패턴으로 설정하고, 많이 이용되는 컨텐츠 순서에 따라 선택된 컨텐츠 모듈들의 우선순위를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복수의 대표 컨텐츠 이용패턴들 중 어느 하나가 제1 컨텐츠 모듈(MO1), 제2 컨텐츠 모듈(MO2), 및 제4 컨텐츠 모듈(MO4)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주민등록등본 메뉴', '건축물대장 메뉴', 및 '지방세 환급계좌 메뉴'만 주로 사용하는 사용자들이 존재할 수 있고, 상기 사용자들은 '주민등록등본 메뉴'를 '건축물대장 메뉴', 및 '지방세 환급계좌 메뉴'보다 많이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홈페이지 제작서버(100)는 제1 컨텐츠 모듈(MO1)을 제2 및 제4 컨텐츠 모듈들(MO2 및 MO4)보다 높은 우선순위를 갖도록 설정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홈페이지 제작서버(100)에 의해 생성된 사용자 반응형 홈페이지(PA2)가 도시되어 있는데, 사용자 반응형 홈페이지(PA2)는 사용자의 성향에 따라 상이한 접속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도 4b에서는 '주민등록등본 메뉴'를 '건축물대장 메뉴', 및 '지방세 환급계좌 메뉴'만 주로 사용하는 사용자들을 위한 사용자 반응형 홈페이지(PA2)가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와 다른 성향을 갖는 사용자들을 위해 다른 메뉴화면으로 구성된 사용자 반응형 홈페이지가 표시될 수 있다. 즉, 사용자 반응형 홈페이지는 사용자의 로그인시 미리 사용자에게 배정된 성향에 따라 적합한 웹페이지를 표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주민등록등본 메뉴', '건축물대장 메뉴', 및 '지방세 환급계좌 메뉴'만 주로 사용하는 사용자들이 존재하고, 상기 사용자들이 '주민등록등본 메뉴'를 '건축물대장 메뉴', 및 '지방세 환급계좌 메뉴'보다 많이 사용하기 때문에, 사용자 반응형 홈페이지(PA2)는 제1 컨텐츠 모듈(MO1'), 제2 컨텐츠 모듈(MO2'), 및 제4 컨텐츠 모듈(MO4')만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반응형 홈페이지는 '주민등록등본 메뉴'를 '건축물대장 메뉴', 및 '지방세 환급계좌 메뉴'보다 큰 크기로 디자인하고, 보다 화면의 중심에 오도록 배치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반응형 홈페이지(PA2)는 해당 사용자들이 잘 사용하지 않는 메뉴들은 메인 페이지에서 표시하지 않도록 구성하여, 메뉴의 복잡성에 따른 피로감을 느끼게 하지 않을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100: 홈페이지 제작서버
110: 크롤링 작업부
120: 모듈화 작업부
130: 사용자 패턴 분석부
140: 홈페이지 생성부
200: 홈페이지 운영서버
300: 사용자 단말기

Claims (1)

  1. 메인 페이지와 서브 페이지를 포함하는 제1 홈페이지를 운영하는 홈페이지 운영서버; 및
    상기 제1 홈페이지를 리뉴얼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하는 사용자들의 홈페이지 이용 성향에 따라 상기 메인 페이지 및 상기 서브 페이지의 디자인 및 메뉴 배치를 변경하는 사용자 반응형 홈페이지를 제작하는 홈페이지 제작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홈페이지 제작 서버는,
    상기 제1 홈페이지의 웹사이트 주소를 선정한 후 데이터 로드를 진행하고, 상기 제1 홈페이지를 구성하는 메인 페이지와 서브 페이지를 크롤링하여 크롤링 데이터를 추출하는 크롤링 작업부;
    상기 크롤링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메인 페이지와 상기 서브 페이지를 구성하는 컨텐츠를 속성별로 분류하여 상기 사용자 반응형 홈페이지를 구성하는 컨텐츠 모듈들로 변환하는 모듈화 작업부;
    사용자들의 제1 홈페이지 이용 성향을 분석하기 위해, 과거에 상기 제1 홈페이지에 접속했던 사용자들의 홈페이지 이용 기록을 분석하여 사용자별 컨텐츠 이용패턴들을 형성하고, 상기 사용자별 컨텐츠 이용패턴들 중 대표 컨텐츠 이용패턴을 설정하는 사용자 패턴 분석부; 및
    상기 대표 컨텐츠 이용패턴에 이용되는 컨텐츠 모듈들을 선택하고, 많이 이용되는 컨텐츠 순서에 따라 컨텐츠 모듈들의 우선순위를 설정하고, 상기 우선순위에 따라 컨텐츠 모듈의 크기 및 배치를 다르게 설정하여 상기 사용자 반응형 홈페이지를 생성하는 홈페이지 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홈페이지 생성부는,
    상기 대표 컨텐츠 이용패턴에 대응하여 서로 상이한 메인페이지 및 서브페이지를 포함하는 n개(n은 2이상의 자연수)의 홈페이지를 생성하고, 우선순위가 높은 컨텐츠 모듈일수록 화면의 중앙에 위치하고, 상대적으로 큰 크기로 형성하며, 기준 우선순위 이상의 컨텐츠 모듈들을 사용자 반응형 홈페이지를 구성하는 메인 페이지에 배치하고, 나머지 컨텐츠 모듈들을 서브 페이지에 배치하고,
    상기 사용자 패턴 분석부는,
    상기 제1 홈페이지의 사용자들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이용하는 컨텐츠 이용 경로를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별 컨텐츠 이용패턴들을 생성하며, 기준 사용비율 이상으로 사용되는 적어도 2가지 이상의 사용자별 컨텐츠 이용패턴들을 상기 대표 컨텐츠 이용패턴으로 설정하는 홈페이지 제작 시스템.
KR1020220077459A 2021-07-06 2022-06-24 홈페이지 제작 시스템 KR1024621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7459A KR102462135B1 (ko) 2021-07-06 2022-06-24 홈페이지 제작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8410A KR102420825B1 (ko) 2021-07-06 2021-07-06 홈페이지 제작서버
KR1020220077459A KR102462135B1 (ko) 2021-07-06 2022-06-24 홈페이지 제작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8410A Division KR102420825B1 (ko) 2021-07-06 2021-07-06 홈페이지 제작서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2135B1 true KR102462135B1 (ko) 2022-11-03

Family

ID=8240712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8410A KR102420825B1 (ko) 2021-07-06 2021-07-06 홈페이지 제작서버
KR1020220077459A KR102462135B1 (ko) 2021-07-06 2022-06-24 홈페이지 제작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8410A KR102420825B1 (ko) 2021-07-06 2021-07-06 홈페이지 제작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42082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1475B1 (ko) * 2022-09-30 2023-08-25 강영실 홈페이지 제작 및 관리 솔루션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596930B1 (ko) 2023-07-17 2023-11-01 (주)샤이닝 인공지능 모델을 활용한 홈페이지 제작 정보 생성 자동화방법, 장치 및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2564A (ko) * 2016-10-18 2018-04-26 에스이테크주식회사 사용자별 맞춤형 메뉴 제공 시스템
KR20200082583A (ko) * 2018-12-31 2020-07-08 주식회사 엘솔컴퍼니 쿠키 데이터를 이용한 사용자 맞춤형 웹페이지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2227552B1 (ko) * 2020-06-08 2021-03-15 주식회사 그로우키친 상황인지 알고리즘 기반 리뷰 카테고리를 이용한 음식점 노출 개인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2564A (ko) * 2016-10-18 2018-04-26 에스이테크주식회사 사용자별 맞춤형 메뉴 제공 시스템
KR20200082583A (ko) * 2018-12-31 2020-07-08 주식회사 엘솔컴퍼니 쿠키 데이터를 이용한 사용자 맞춤형 웹페이지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2227552B1 (ko) * 2020-06-08 2021-03-15 주식회사 그로우키친 상황인지 알고리즘 기반 리뷰 카테고리를 이용한 음식점 노출 개인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0825B1 (ko) 2022-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62135B1 (ko) 홈페이지 제작 시스템
US2022010094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haring user generated slide objects over a network
US6973483B2 (en) System and method for using dynamic web components to automatically customize web pages
JP4865983B2 (ja) ネットワークサーバ
US773928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ranking documents based upon structurally interrelated information
US7340604B2 (en) Using dynamic web components to remotely control the security state of web pages
US788622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toring web site data by web site dimensions and generating a web site having complementary elements
CN111538872B (zh) 业务节点信息的可视化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介质
CN106682144A (zh) 页面展示方法和装置
US20120151329A1 (en) On-page manipulation and real-time replacement of content
US20120197855A1 (en) Method and Apparatus of Generating Internet Navigation Page
US20110167336A1 (en) Gesture-based web site design
US20110167360A1 (en) Incoming web traffic conversion
CN112632919B (zh) 一种文档编辑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CN102930058A (zh) 一种在浏览器的地址栏中实现搜索的方法和装置
JP2004164623A (ja) 表示データ生成装置、表示データ生成システム、表示データ生成方法、表示データ生成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AU2014400621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xtual analytics data
CN110166499A (zh) 一种获取用户画像数据的方法和服务器
US11675773B2 (en) Content management
KR20210156366A (ko) 홈페이지 자동제작 서비스 및 방법
US20100114858A1 (en) Host-based seed selection algorithm for web crawlers
CN116361594B (zh) 一种招投标信息发布平台挖掘方法、装置、设备及介质
US20240029117A1 (e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a dynamically manageable qr driven information platform
KR20080087188A (ko) 실시간 클리핑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웹페이지 통합 서비스 시스템
CN116910410A (zh) 一种动态官网页面布局和数据的配置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