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1935B1 - 스팀 세차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팀 세차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1935B1
KR102461935B1 KR1020200122712A KR20200122712A KR102461935B1 KR 102461935 B1 KR102461935 B1 KR 102461935B1 KR 1020200122712 A KR1020200122712 A KR 1020200122712A KR 20200122712 A KR20200122712 A KR 20200122712A KR 102461935 B1 KR102461935 B1 KR 1024619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air
hot water
gun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27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40016A (ko
Inventor
정점숙
Original Assignee
정점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점숙 filed Critical 정점숙
Priority to KR10202001227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1935B1/ko
Publication of KR202200400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00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19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19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3/00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 B60S3/04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for exteriors of lan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2203/00Details of cleaning machines or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2203/007Heating the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2203/00Details of cleaning machines or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2203/02Details of machines or methods for 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체 케이스와, 본체 케이스에 내장되는 스팀 공급부와, 예열된 공기를 이송시키는 가열공기 이송관이 포함된 압축공기 공급부와, 물 예열관과 연결되는 온수 이송관을 포함하는 온수 공급부 및, 스팀 추출관의 스팀 또는 스팀 추출관의 스팀에 상기 예열된 공기나 예열된 물이 혼합된 혼합 스팀을 분사시켜 세차를 수행시키는 노즐 건으로 구성됨으로써, 종래보다 효율이 향상되면서도 동일한 압력의 스팀이 분사 가능함으로써 스팀 세차의 효과는 유지될 수 있고, 동절기에 스팀 건의 동파도 방지될 수 있는 스팀 세차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Description

스팀 세차 시스템{Car cleaning system using steam}
본 발명은 뜨거운 증기를 이용하여 차량의 내부와 외부을 세차시키는 스팀 세차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스팀 세차에서는 물을 끓여 기화시킨 스팀이 사용되므로 차량 표면의 모래 먼지가 눌러붙은 묵은 때의 제거도 가능하다. 그런데 이처럼 상온의 물로 제거하기 힘든 이물질과 때를 제거시킬 수 있으려면 스팀의 분사 량과 분사 압력이 일정한 수준 이상이 되어야 한다.
통상적으로 스팀 건의 토출 압력은 스팀탱크의 온도가 섭씨 160도 일 때 6 kg/cm2 정도이다. 이것은 결국 6 kg/cm2의 압력에서도 물이 끓을 정도로 막대한 전력을 공급시켜야 한다는 결론이므로, 상당히 비효율적이고, 단위 부피의 스팀 생산에 소요되는 에너지 비용 또한 막대하다.
또한 현재 스팀 세차는 세차 압력을 높이는 경쟁이 업체 간에 일어나, 서로 경쟁적으로 순간 스팀 생산량을 높일 수 있는 고용량의 히터가 사용되며, 통상적으로 스팀 세차장에서 사용되는 고용량의 히터는 15 kw/h 내지 30 kw/h 정도의 전력을 소모한다.
이처럼 높은 전력 소모량으로 인해 사업자 입장에서는 에너지 비용이 과도하게 증가되고, 이러한 에너지 소모는 궁극적으로는 화석연료의 발전량을 증가시켜 기후 파국이 초래되는데에 일조하는 결과가 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실내 세차의 경우에도 껌, 초컬릿, 묵은때를 지우고자 할 때 스팀 세차가 필요할 수 있지만, 이러한 묵은때의 제거에는 외부세차에서 사용되던 고압의 스팀이 아니라 저압 스팀이 필요함에도 현재 설치된 스팀 발생 장비는 고압 스팀만을 발생시키므로 정작 실내세차에서는 스팀 세차를 사용할 수 없거나 또는 고압의 비효율적인 스팀 세차가 이루어지는 문제 또한 있다.
한편, 스팀세차 시스템에서 스팀 건은 하절기와 춘추기에는 문제가 없으나, 동절기에는 세차가 행해지지 않는 시간동안 건 몸체 내부에서 식어서 다시 물로 변한 스팀이 얼면서 스팀 건이 동파되는 문제가 빈번하게 발생된다.
스팀 건의 동파가 발생될 경우 다시 녹이는데에 시간과 노력 및 비용이 소요될 뿐만아니라 동파로 인해 스팀 건 자체가 파손될 경우 유닛 교체에 소요되는 비용과 영업 정지로 인한 손해가 막심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보다 효율이 향상되면서도 동일한 압력의 스팀이 분사 가능함으로써 스팀 세차의 효과는 유지될 수 있고, 동절기에 스팀 건의 동파도 방지될 수 있는 스팀 세차 시스템에 대한 기술 개발이 필요한 상황이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34133호(공개일자: 2009. 04. 07)
이에 본 발명은 종래보다 효율이 향상되면서도 동일한 압력의 스팀이 분사 가능함으로써 스팀 세차의 효과는 유지될 수 있고, 동절기에 스팀 건의 동파도 방지될 수 있는 스팀 세차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팀 세차 시스템은 함체 형태의 본체 케이스와, 온수 가열 탱크와, 온수 가열 탱크에 내장되어 열을 발생시키는 열기구인 가열 유닛과, 온수 가열 탱크에 연결되어 증기를 추출시키는 스팀 추출관 및, 온수 가열 탱크를 감싸는 단열재로 이루어져 본체 케이스에 내장되는 스팀 공급부와, 외부에서 공기를 공급받는 에어 컴프레서와, 에어 컴프레서로 압축된 공기가 통과되며 상기 온수 가열 탱크에 일정한 횟수만큼 감겨 상기 압축된 공기를 예열시키는 에어 예열관 및, 에어 예열관으로부터 연장되어 예열된 공기를 이송시키는 가열공기 이송관으로 이루어져 본체 케이스에 내장되는 압축공기 공급부와, 상온의 물을 공급받는 워터 펌프와, 워터 펌프로 압축된 물이 통과되며 상기 온수 가열 탱크에 일정한 횟수만큼 감겨 상기 압출된 물을 예열시키는 물 예열관 및, 물 예열관으로부터 연장되어 예열된 물을 이송시키는 온수 이송관으로 이루어져 본체 케이스에 내장되는 온수 공급부 및, 상기 스팀 추출관의 스팀 또는 스팀 추출관의 스팀에 상기 예열된 공기나 예열된 물이 혼합된 혼합 스팀을 분사시켜 세차를 수행시키는 노즐 건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온수 이송관은 바람직하게는 가열공기 이송관의 소정 부위에 연결되어, 가열공기의 흐름에 가열된 온수 흐름이 혼입된다.
이 경우 상기 온수 이송관과 가열공기 이송관이 연결되는 지점에는 바람직하게는 저압용 이젝터 또는 벤트리 관이 설치되어, 온수 이송관을 따라 흐르는 온수가 가열공기 이송관에 형성되는 부압으로 인해 가열공기 이송관으로 흡입된다.
이때 상기 가열공기 이송관으로 흡입되는 온수와 가열공기 이송관을 따라 흐르는 가열공기가 혼합되어 형성되는 온수 혼합 공기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열공기 이송관을 따라 흐르다가 가열공기 이송관이 상기 스팀 추출관으로 연결됨으로써 스팀 추출관 내부로 흡입되며, 스팀 추출관 내부를 따라 흐르는 스팀과 스팀 추출관으로 흡입된 온수 혼합 공기가 서로 혼합되어 혼합 스팀이 된 후 혼합 스팀이 상기 노즐 건으로 공급된다.
특히 상기 노즐 건은 바람직하게는 서로 분리 설치되는 제1노즐 건과 제2노즐 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팀 추출관은 두 갈래로 분기되어 제1스팀 추출관과 제2스팀 추출관으로 형성되며, 제1스팀 추출관은 제1노즐 건으로 연결되어 스팀을 공급시키고, 제2스팀 추출관은 제2노즐 건으로 연결되어 스팀을 공급시키되, 상기 온수 혼합 공기는 제1스팀 추출관으로 흡입됨으로써, 제1노즐 건에는 혼합 스팀이 공급되고, 제2노즐 건에는 스팀이 공급된다.
한편 상기 본체 케이스의 표면에는 노즐 건이 거치 가능하도록 노즐 건이 수용가능한 용적의 건 꽂이 박스가 설치되되, 바람직하게는 건 꽂이 박스는 본체 케이스 내부롭터 열기를 공급받음으로써 노즐 건의 동파를 방지시킨다.
여기서 상기 건 꽂이 박스의 내벽에서 본체 케이스의 표면과 접하는 면에는 바람직하게는 본체 케이스 내부와 연통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연통구가 형성되며, 상기 연통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열기가 건 꽂이 박스로 유입되는 핫 에어 유입구이고, 핫 에어 유입구를 제외한 나머지 연통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핫 에어 유출구이며, 핫 에어 유출구의 형성 높이는 핫 에어 유입구의 형성 높이보다 높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핫 에어 유입구에는 바람직하게는 일정한 길이의 관으로서 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감소되는 형태의 핫 에어 유도관이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팀 세차 시스템은 종래보다 효율이 향상되면서도 동일한 압력의 스팀이 분사 가능함으로써 스팀 세차의 효과는 유지될 수 있고, 동절기에 스팀 건의 동파도 방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팀 세차 시스템의 정단면도,
도 2는 도 1에서 건 꽂이 박스의 투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건 꽂이 박스의 작동 개념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팀 세차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케이스(15)와, 스팀 공급부(11)와, 압축공기 공급부(12)와, 온수 공급부(13) 및, 노즐 건(16,17)으로 구성된다.
본체 케이스(15)는 형태에 특정한 제한은 없으나, 효율적인 내부 공간 활용을 위해 도 1과 같이 직육면체의 함체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다만 특정한 목적을 위해 다른 형태로 제작되는 것이 배재되진 않는다.
스팀 공급부(1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수 가열 탱크(111)와, 온수 가열 탱크(111)에 내장되어 열을 발생시키는 열기구인 가열 유닛(112)과, 온수 가열 탱크(111)에 연결되어 증기를 추출시키는 스팀 추출관(115) 및, 온수 가열 탱크(111)를 감싸는 단열재(113,114)로 이루어진다.
단열재(113,114)는 단열 성능이 발휘되는 재질이라면 공지의 단열재 중 어떠한 것도 채택 가능하지만, 통상의 단열재와는 달리 단열재질과 반사재질이 서로 접합되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일례로 본 발명에서 단열재는 제1단열재(113)로서 온수 가열 탱크 표면을 직접 감싸는 유리섬유와, 제2단열재로서 유리섬유를 둘러싸며 유리섬유를 통해 전달되는 미량의 열을 내부를 향해 다시 반사시키는 알미늄 박막과 같은 열반사부재(114)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압축공기 공급부(1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에서 공기를 공급받는 에어 컴프레서(121)와, 에어 컴프레서(121)로 압축된 공기가 통과되며 상기 온수 가열 탱크(111)에 일정한 횟수만큼 감겨 상기 압축된 공기를 예열시키는 에어 예열관(122) 및, 에어 예열관(122)으로부터 연장되어 예열된 공기를 이송시키는 가열공기 이송관(123)으로 이루어진다.
온수 공급부(13)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온의 물을 공급받는 워터 펌프(132)와, 워터 펌프(132)로 압축된 물이 통과되며 상기 온수 가열 탱크(111)에 일정한 횟수만큼 감겨 상기 압출된 물을 예열시키는 물 예열관(133) 및, 물 예열관(133)으로부터 연장되어 예열된 물을 이송시키는 온수 이송관(134)으로 이루어져 본체 케이스(15)에 내장된다.
온수 공급부(13)는 상수도로부터 직접 물을 공급받을 수도 있으며, 또는 순간적인 다량의 물 사용이 가능하도록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케이스(15) 외부에 별도의 수조(131)로부터 물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이때 수조(131)는 항상 일정한 수위만큼의 물이 내부에 저장되어 순간적인 물 공급 필요량이 상수도 공급량을 초과할 경우에 추가적인 순간 공급이 가능할 수 있다.
노즐 건(16,17)은 스팀 추출관(115)의 스팀 또는 스팀 추출관(115)의 스팀에 상기 예열된 공기나 예열된 물이 서로 혼합된 상태의 혼합 스팀을 분사시켜 세차를 수행시키는 유닛이다. 노즐 건(16,17)은 보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 몸체(162)와, 손잡이(163)와, 방아쇠 레버(161)와, 노즐(164) 및 본체 케이스(15) 내부로부터 건 몸체(162)까지 연결되는 연결관(166)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통상의 스팀 세차자에서는 배경기술 란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물을 끓임으로써 상당량의 증기를 발생시켜 발생된 증기 압력으로 스팀 세차가 이루어지는데 비해 본 발명에서는 예열된 공기나 예열된 물이 스팀과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혼합 스팀(이하에서 '혼합 스팀'이라 칭하기로 한다)이 노즐 건(16,17)을 통해 분사된다.
또한 온수 이송관(134)과 가열공기 이송관(123)이 연결되는 지점에는 저압용 이젝터(142) 또는 벤트리 관(미도시)이 설치되어, 온수 이송관(134)을 따라 흐르는 온수가 가열공기 이송관(123)에 형성되는 부압으로 인해 가열공기 이송관(123)으로 흡입됨으로써 예열된 각각의 공기와 물이 서로 혼합되어 온수 혼합 공기를 이룬 다음, 온수 혼합 공기와 스팀이 혼합됨으로써 최종적으로 상기 혼합 스팀이 형성되어 노즐 건(16)으로 공급될 수 있다.
종래 통상의 스팀 세차기 중에서 용량이 가장 적은 편에 속하는 것이 3상 380v 10kw/h이고, 이보다 용량이 큰 것은 15kw/h 내지 30kw/h이며, 이때 토출되는 스팀의 온도는 약 120℃이고, 이 순간의 온수 가열 탱크 내부의 스팀 온도는 약 160℃이다. 그리고 이때 토출 압력은 약 6 kg/cm2이다.
이에 반해 본 발명에서는 스팀의 압력에 압축공기의 압력과 가열된 물이 증발되면서 추가되는 압력의 합으로 인해 최종적으로 도 1의 제1노즐 건(16)에서 토출되는 압력이 대략 6 kg/cm2의 압력에 도달될 수 있으며, 이때 소요되는 전력은 가열 유닛(112)으로 채택되는 히터가 7.5 kw이고 에어 컴프레서(121)는 2.2kw이므로 종래의 15 내지 30 kw/h보다 현저하게 작다.
본 발명에 따른 스팀 세차 시스템에서는 최종적으로 제1노즐 건(16)에서 토출되는 혼합 스팀의 온도는 80℃ 내지 90℃이므로 종래의 120℃ 보다는 낮지만, 스팀 살균에 필요한 온도는 80℃ 내지 90℃로도 충분하며, 특히 내부 세차에서는 80℃ 내지 90℃의 스팀으로도 충분히 껌이나 초컬릿 등의 묵은 때 제거가 가능하므로, 종래에 비해 낭비되는 열량이 최소화되므로, 결국 전력 낭비 또한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수 가열 탱크(111)의 표면 둘레를 따라 에어 예열관(122)이 일정한 횟수만큼 감겨서 압축된 공기가 온수 가열 탱크(111)로부터 낭비되어 빠져나갈 수도 있는 열량을 흡수하면서 최초 압축때 보다 더욱 큰 고압으로 형성되어 최종적으로 스팀과 혼합될 때 스팀 온도의 하강 폭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워터 펌프(132)로 이송되는 물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 예열관(133)이 온수 가열 탱크(111)를 일정한 횟수만큼 감는 형태로 설치됨으로써 고온으로 예열된 후에 예열된 상기 압축공기와 혼합되므로 최종 단계에서 스팀과 혼합될 때 스팀 온도의 저하 폭을 최소화 시킬 수 있다.
에어 예열관(122)을 통과한 예열된 압축공기와, 물 예열관(133)을 통과한 예열된 물은 서로 혼합되되, 이때 본 발명에서는 별도로 전력이 공급되어야 하는 혼합장치 없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압용 이젝터(142) 또는 벤트리 관(미도시)만으로 혼합되거나 또는 벤트리 관 또는 그와 유사한 부압 형성 구조의 부재가 혼합지점에 설치됨으로써 압축공기와 물의 혼합이 자발적으로 발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압용 이젝터(142)가 가열공기 이송관(123)에 온수 이송관(134)이 연결되는 부위에 설치될 경우, 저압용 이젝터(142)가 설치된 구간에서 가열공기는 이송 속도가 증가되면서 압력이 대기압보다 저하되고, 이 부압이 이용되어, 온수는 가열공기 이송관(123)으로 빨려들어가게 된다. 이때 가열공기 이송관(123)으로 빨려들어간 온수는 온도는 높으면서 압력이 급격히 저하되므로 저압 팽창이 일어나 일부가 수증기 상태로 기화될 수 있고, 분사에 적당한 수많은 작은 입자 형태로 이송된다.
최종적으로 예열된 압축공기-온수 혼합물은 스팀 추출관(115)을 통해 추출되는 스팀과 혼합되어 제1노즐 건(16)을 통해 분사될 수 있다. 이때 예열된 압축공기-온수 혼합물과 스팀의 혼합과정에서도 마찬가지로 스팀 추출관(115)과 압축공기-온수 혼합물이 이송되는 관 과의 상대 압력차로 인해 압축공기-온수 혼합물이 스팀 추출관(115)으로 흡입되면서 최종적으로 상기 '혼합 스팀'이 형성된다.
이 경우 압축공기-온수 혼합물이 스팀 추출관(115)으로 흡입되는 지점의 관의 형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Y자 형태로 형성되므로, 압축공기-온수 혼합물이 자연스럽게 스팀의 이송 방향에 합류될 수 있다.
한편, 특별히 고온의 스팀이 필요한 용도가 발생될 경우를 대비하여 본 발명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 건은 서로 분리 설치되는 제1노즐 건(16)과 제2노즐 건(17)으로 이루어지고, 스팀 추출관(115)은 두 갈래로 분기되어 제1스팀 추출관과 제2스팀 추출관으로 형성되며, 제1스팀 추출관은 제1노즐 건(16)으로 연결되어 스팀을 공급시키고, 제2스팀 추출관은 제2노즐 건(17)으로 연결되어 스팀을 공급시키되, 상기 혼합 스팀은 제1스팀 추출관으로 흡입됨으로써, 제1노즐 건(16)에는 혼합 스팀이 공급되고, 제2노즐 건(17)에는 스팀이 공급되어, 특별히 고온의 스팀이 필요할 경우에는 제2노즐 건(17)이 사용되고, 통상적인 스팀 세차 용도에는 제1노즐 건(16)이 사용되는 형태로 운용됨으로써, 모든 경우에 고온이 분사될 때 발생될 수 있는 열량과 그로 인한 막대한 전력 낭비가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스팀 세차 시스템은 단상 5 kw의 전력 공급으로도 기기의 구성이 가능하므로 자판기처럼 가정용 전원이 들어오는 곳이라면 어느 곳에나 설치가 가능한 효과가 있어, 소규모 창업도 가능하여 고용 창출을 통한 일자리 확대 및, 일반 가정에서 자가 세차로 인하여 낭비되는 물의 절약과 세차로 인한 분쟁 및 노력의 절감이 가능한 효과 또한 있다.
한편 종래의 스팀 세차기는 노즐 건 사용 후에는 통상적으로 기기 몸체에 설치된 건 꽂이 박스에 노즐 건이 거치된다. 그런데 스팀 세차기는 보통 야외에 설치되므로 특히 동절기에는 노즐 건 내부에 잔류하는 스팀이 액화된 후 동결되어 파손되거나, 파손되진 않더라도 사용을 못하게 될 수 있다. 왜냐하면 별도의 외부 가열 수단으로 노즐 건을 녹이기 전에는 스팀 세차기 내부 압력 급증으로 인한 파손을 방지시키기 위해서는 스팀 세차기의 작동이 중단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하여 상시적으로 노즐 건의 동파를 방지시키기 위하여 별도의 가열 수단을 항상 작동시키는 경우에는 막대한 전력 손실이 발생될 수 있고, 또는 노즐 건으로 일정량의 물을 지속적으로 통과시키는 방법 또한 물 부족의 시대에 상당한 물 낭비가 발생되는 결과가 초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팀 세차 시스템에서는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해 본체 케이스(15) 내부의 열이 노즐 건(16,17)의 동파를 방지시킨 후에 다시 본체 케이스(15) 내부로 복귀됨으로써, 열량의 큰 낭비 없이도 노즐 건(16,17)의 동파가 원천적으로 방지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건 꽂이 박스(18)가 제안된다.
본 발명에서 건 꽂이 박스(18)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케이스(15) 내부롭터 열기를 공급받음으로써 노즐 건(16,17)의 동파가 방지되며, 보다 구체적으로, 건 꽂이 박스(18)의 내벽에서 본체 케이스(15)의 표면과 접하는 면에는 본체 케이스(15) 내부와 연통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연통구(182,183)가 형성되며, 상기 연통구(182,18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열기가 건 꽂이 박스로 유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핫 에어 유입구(182)이고, 핫 에어 유입구(182)를 제외한 나머지 연통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핫 에어 유출구(183)이며, 핫 에어 유출구(183)의 형성 높이는 핫 에어 유입구(182)의 형성 높이보다 높게 형성된다.
참고로 여기서 '유입'이라는 표현과 '유출'이라는 표현은 건 꽂이 박스를 기준으로 했을때의 표현이므로, 만일 본체 케이스를 기준으로 해서 표현한다면 반대로 표현되어야 할 것이다.
핫 에어 유출구(183)의 형성 높이는 핫 에어 유입구(182)의 형성 높이보다 높게 형성됨으로써, 도 3에 도시된 공기 경로와 같이, 핫 에어 유입구(182)를 통해 건 꽂이 박스(18) 내부로 유입된 열기는 상승기류로 인해 상승되는 과정에서 노즐 건(16,17)을 데운 다음, 핫 에어 유출구(183)를 통해 다시 본체 케이스(15) 내부로 이동되어, 열기가 건 꽂이 박스(18)로부터 주위로 배출되면서 발생되는 열량 손실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핫 에어 유입구(182)에는 일정한 길이의 관으로서 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감소되는 형태의 핫 에어 유입 노즐(1821)이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본체 케이스(15) 내부는 고온 상태이므로 압력이 건 꽂이 박스(18) 내부보다 더 높게 형성되어 열기를 품은 공기가 건 꽂이 박스(18)로 흘러가되, 핫 에어 유입구(182)에 설치된 핫 에어 유입 노즐(1821)이 점차 직경이 감소되므로, 유입되는 공기는 유입 유속은 증가되면서 압력이 감소됨으로 인해, 건 꽂이 박스(18)로 유입되는 공기는 핫 에어 유출구(183)가 아니라 핫 에어 유입구(182)에 설치된 핫 에어 유입 노즐(1821)을 통해 유입되고, 유입된 열기를 품은 공기가 상승되면서 노즐 건(16,17)을 데운 다음에는, 건 꽂이 박스(18) 상부에 몰린 공기가 다시 핫 에어 유출구(183)를 통해 본체 케이스(15) 내부로 복귀될 수 있다. 이러한 공기의 운동 경로가 도 3에 화살표로 도시되어 있다.
제1 및 제2노즐 건(16,17)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163)와, 방아쇠 레버(161)와, 건 몸체(162) 및, 노즐(164)로 이루어지고, 제1 및 제2노즐 건(16,17)은 제트 스팀 또는 혼합 스팀 또는 스팀이 공급되도록 제1 및 제2노즐 건(16,17)을 본체 케이스(15) 내부와 연결시키는 연결관(166)이 마련된다.
노즐 건(16,17)의 사용 중에도 건 꽂이 박스(18)로부터 열량의 손실이 발생되면 안되므로, 건 꽂이 박스(18)에는 건 몸체(162)가 통과 가능하도록 형성된 건 출입구(184)가 노즐 건(16,17)의 사용 중에 밀폐될 수 있도록 건 출입구 커버(185)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노즐 건(16,17)이 건 꽂이 박스(18) 내에 거치될 때에는 도 3의 모습과 달리 연결관(166)만 건 꽂이 박스(18)의 밖으로 노출된다. 따라서 건 출입구 커버(185)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관(166)이 노출될 수 있는 구멍인 건 연결관 출입구(186)가 형성되고, 노즐 건(16,17)을 사용할 때 건 연결관 출입구(186)를 개폐시킬 수 있는 건 연결관 출입구 커버(187)가 별도로 마련된다.
그리고 건 출입구(184)와 건 연결관 출입구(186)는 둘레에 기밀유지를 위한 기밀 링이 설치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스팀 세차 시스템에서는 열량의 낭비 없이도 노즐 건의 동파가 방지되어, 한겨울에도 가동 중단될 우려 없이 사용이 가능하며, 노즐 동파로 인한 사고가 방지되어 안전이 더욱 도모되는 효과 또한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1 : 스팀 공급부 12 : 압축공기 공급부
13 : 온수 공급부 15 : 본체 케이스
16 : 제1노즐 건 17 : 제2노즐 건
18 : 건 꽂이 박스 111 : 온수 가열 탱크
112 : 가열 유닛 113 : 1차 단열재
114 : 열 반사 부재 115 : 스팀 추출관
121 : 에어 컴프레서 122 : 에어 예열관
123 : 가열공기 이송관 131 : 수조
132 : 워터 펌프 133 : 물 예열관
134 : 온수 이송관 141 : 개폐 및 유량조절 밸브
142 : 저압용 이젝터 143 : 체크밸브
144 : 제어밸브 146 : 혼합 스팀 분사관
147 : 스팀 분사관 151 : 외부 공기 유입관
152 : 거치대 161 : 방아쇠 레버
162 : 건 몸체 163 : 손잡이
164 : 노즐 166 : 연결관
181 : 케이스 182 : 핫 에어 유입구
183 : 핫 에어 유출구 184 : 건 출입구
185 : 건 출입구 커버 186 : 건 연결관 출입구
187 : 건 연결관 출입구 커버 1821 : 핫 에어 유입 노즐
1851 : 건 출입구 커버 힌지 1871 : 건 연결관 출입구 커버 힌지

Claims (8)

  1. 함체 형태의 본체 케이스와;
    온수 가열 탱크와, 온수 가열 탱크에 내장되어 열을 발생시키는 열기구인 가열 유닛과, 온수 가열 탱크에 연결되어 증기를 추출시키는 스팀 추출관 및, 온수 가열 탱크를 감싸는 단열재로 이루어져 본체 케이스에 내장되는 스팀 공급부와;
    외부에서 공기를 공급받는 에어 컴프레서와, 에어 컴프레서로 압축된 공기가 통과되며 상기 온수 가열 탱크에 일정한 횟수만큼 감겨 상기 압축된 공기를 예열시키는 에어 예열관 및, 에어 예열관으로부터 연장되어 예열된 공기를 이송시키는 가열공기 이송관으로 이루어져 본체 케이스에 내장되는 압축공기 공급부와;
    상온의 물을 공급받는 워터 펌프와, 워터 펌프로 압축된 물이 통과되며 상기 온수 가열 탱크에 일정한 횟수만큼 감겨 상기 워터 펌프로 압출된 물을 예열시키는 물 예열관 및, 물 예열관으로부터 연장되어 예열된 물을 이송시키는 온수 이송관으로 이루어져 본체 케이스에 내장되는 온수 공급부; 및,
    상기 스팀 추출관의 스팀 또는 스팀 추출관의 스팀에 상기 예열된 공기나 예열된 물이 혼합된 혼합 스팀을 분사시켜 세차를 수행시키는 노즐 건;으로 구성되고,
    상기 온수 이송관은 가열공기 이송관의 소정 부위에 연결되어, 가열공기의 흐름에 가열된 온수 흐름이 혼입되며,
    상기 본체 케이스의 표면에는 노즐 건이 거치 가능하도록 노즐 건이 수용가능한 용적의 건 꽂이 박스가 설치되되,
    상기 건 꽂이 박스는 본체 케이스 내부롭터 열기를 공급받음으로써 노즐 건의 동파를 방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세차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 이송관과 가열공기 이송관이 연결되는 지점에는 저압용 이젝터 또는 벤트리 관이 설치되어, 온수 이송관을 따라 흐르는 온수가 가열공기 이송관에 형성되는 부압으로 인해 가열공기 이송관으로 흡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세차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공기 이송관으로 흡입되는 온수와 가열공기 이송관을 따라 흐르는 가열공기가 혼합되어 형성되는 온수 혼합 공기는 상기 가열공기 이송관을 따라 흐르다가 가열공기 이송관이 상기 스팀 추출관으로 연결됨으로써 스팀 추출관 내부로 흡입되며,
    스팀 추출관 내부를 따라 흐르는 스팀과 스팀 추출관으로 흡입된 온수 혼합 공기가 서로 혼합되어 혼합 스팀이 된 후 혼합 스팀이 상기 노즐 건으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세차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건은 서로 분리 설치되는 제1노즐 건과 제2노즐 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팀 추출관은 두 갈래로 분기되어 제1스팀 추출관과 제2스팀 추출관으로 형성되며, 제1스팀 추출관은 제1노즐 건으로 연결되어 스팀을 공급시키고, 제2스팀 추출관은 제2노즐 건으로 연결되어 스팀을 공급시키되,
    상기 온수 혼합 공기는 제1스팀 추출관으로 흡입됨으로써, 제1노즐 건에는 혼합 스팀이 공급되고, 제2노즐 건에는 스팀이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세차 시스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 꽂이 박스의 내벽에서 본체 케이스의 표면과 접하는 면에는 본체 케이스 내부와 연통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연통구가 형성되며,
    상기 연통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열기가 건 꽂이 박스로 유입되는 핫 에어 유입구이고, 핫 에어 유입구를 제외한 나머지 연통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핫 에어 유출구이며,
    핫 에어 유출구의 형성 높이는 핫 에어 유입구의 형성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세차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핫 에어 유입구에는 일정한 길이의 관으로서 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감소되는 형태의 핫 에어 유도관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세차 시스템.
KR1020200122712A 2020-09-23 2020-09-23 스팀 세차 시스템 KR1024619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2712A KR102461935B1 (ko) 2020-09-23 2020-09-23 스팀 세차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2712A KR102461935B1 (ko) 2020-09-23 2020-09-23 스팀 세차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0016A KR20220040016A (ko) 2022-03-30
KR102461935B1 true KR102461935B1 (ko) 2022-11-02

Family

ID=80948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2712A KR102461935B1 (ko) 2020-09-23 2020-09-23 스팀 세차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193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3152Y1 (ko) * 2004-03-24 2004-06-14 전상욱 셀프 스팀 세차장치
KR200429109Y1 (ko) * 2006-08-03 2006-10-17 주식회사 이비산업 스팀세차기
WO2016106474A1 (zh) * 2014-12-31 2016-07-07 吉诺工业有限公司 蒸气及热水供应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34133A (ko) 2007-10-02 2009-04-07 이승곤 스팀세차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3152Y1 (ko) * 2004-03-24 2004-06-14 전상욱 셀프 스팀 세차장치
KR200429109Y1 (ko) * 2006-08-03 2006-10-17 주식회사 이비산업 스팀세차기
WO2016106474A1 (zh) * 2014-12-31 2016-07-07 吉诺工业有限公司 蒸气及热水供应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0016A (ko) 2022-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874325A (zh) 燃料电池系统
CN105603681B (zh) 真空低温沸腾清洗系统、真空低温沸腾清洗机及气泡清洗方法
CN102900047A (zh) 一种射流融冰与碎冰机
KR102461935B1 (ko) 스팀 세차 시스템
CN101613789A (zh) 漆包线生产中防止铜线氧化的设备及其方法
KR20070099431A (ko) 스팀을 발생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N203893142U (zh) 蒸汽发生器
CN102606429B (zh) 热辐射内循环发电装置
CN105972660A (zh) 一种抽油烟机的油污清洗系统
CN108077712B (zh) 一种袋装冷冻食品解冻箱
CN114087540B (zh) 一种高效移动式气液双模氢燃料加注装置
CN110061321A (zh) 一种基于热电与涡流管的动力电池热管理系统
CN108699941B (zh) 用于储藏辅助液体及将辅助液体供给机动车内燃机或机动车内燃机部件的系统
CN107208579B (zh) 燃料活化和能量释放设备、系统及其方法
CN109751652A (zh) 300mw及以上等级湿冷机组高背压和热泵联合供热系统
CN205842799U (zh) 一种抽油烟机的油污清洗系统
CN2894871Y (zh) 一种采用二次加热的蒸汽清洁机
CN106696911A (zh) 一种多功能节水节能洗车设备
CN203336559U (zh) 一种雾化加热式热机
CN206541890U (zh) 一种自动注入原料的水氢发电基站
US20040200090A1 (en) Plastic dryer
CN110219711A (zh) 有机溶剂氢能发电系统
CN219502396U (zh) 一种干式脱酸塔
CN206113688U (zh) 一种乏汽回收装置
CN210374500U (zh) 一种粉体闪蒸干燥分选系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