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1184B1 - 다중 쿼티키 입력 방법 - Google Patents

다중 쿼티키 입력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1184B1
KR102461184B1 KR1020210026873A KR20210026873A KR102461184B1 KR 102461184 B1 KR102461184 B1 KR 102461184B1 KR 1020210026873 A KR1020210026873 A KR 1020210026873A KR 20210026873 A KR20210026873 A KR 20210026873A KR 102461184 B1 KR102461184 B1 KR 1024611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key
character
pressed
input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68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22351A (ko
Inventor
오재헌
Original Assignee
오재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재헌 filed Critical 오재헌
Priority to KR10202100268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1184B1/ko
Priority to US17/923,116 priority patent/US11714546B2/en
Priority to PCT/KR2021/003467 priority patent/WO2021225272A1/ko
Publication of KR202201223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23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11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1184B1/ko
Priority to US17/980,279 priority patent/US11762551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6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selection techniques to select from displayed i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8Programmable keybo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중 쿼티키 입력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쿼티키보드 자판 배열을 이용하여 하나의 키로 다수 개의 문자 입력이 가능한 다중 쿼티키 입력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다중 쿼티키 입력 방법 {MULTI QWERTY KEY INPUT METHOD}
본 발명은 다중 쿼티키 입력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쿼티키보드 자판 배열을 이용하여 하나의 키로 다수 개의 문자 입력이 가능한 다중 쿼티키 입력 방법에 관한 것이다.
쿼티(QWERTY) 자판은 영어 타자기나 컴퓨터 자판에서 가장 널리 쓰이는 자판 배열이다.
자판의 왼쪽 상단의 여섯 글자(QWERTY)를 따서 이름 붙여졌다.
휴대전화는 공간상의 제약 때문에 키보드가 들어갈 자리가 없어, 키패드를 입력장치로 이용했었다.
그런데 PDA라는 새로운 정보 단말기가 개발되면서 키보드를 채용할 생각을 하는 사람들이 생겨났다.
키패드나 터치스크린 등의 방식은 키보드에 비해 입력이 불편했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결국 이러한 단말기에 작으나마 키보드를 채용하는 방식이 생겨났고, 기존의 쿼티 자판을 휴대폰에서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하면서 '풀-쿼티 키보드를 썼다'와 같은 표현이 등장했다.
이후 쿼티라는 말은 키보드를 그대로 따온 휴대폰의 입력 방식을 일컫는 말로 쓰이게 되었다.
글자를 입력할 때가 아니면 자리만 차지하는 키보드의 처리는 고민거리가 되었다. 대부분은 이를 터치스크린과 그 화면상의 가상 키보드를 적용해 처리하였다.
그러나, 화면상의 가상 키보드를 적용해 쿼티 자판을 구현한다 하더라도, 키 하나가 차지하는 크기가 작아, 오타가 발생될 확률이 높고 문자 입력이 불편한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특허 [10-1599227]에서는 한글과 영문 등의 문자 입력이 용이한 터치 스크린용 면촉 자판이 개시되어 있다.
한국등록특허 [10-1599227](등록일자: 2016년02월25일)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쿼티키보드 자판 배열을 이용하여 하나의 키로 다수 개의 문자 입력이 가능한 다중 쿼티키 입력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 시예들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쿼티키 입력 방법은, 컴퓨터를 포함하는 연산처리수단에 의하여 실행되는 프로그램 형태로 이루어지는 다중 쿼티키 입력 방법에 있어서, 쿼티키보드 자판 배열로 문자가 화면상에 배열되며, 입력키(100) 마다 미리 설정된 n 개의 문자가 할당되되, n은 자연수로 각각의 입력키 마다 서로 다른 n이 설정될 수 있고, 어느 하나의 입력키(100)에 문자가 n 개 할당된 경우, 상기 입력키(100)를 i 번 누르면 미리 설정된 i 번째문자가 입력되되, i는 자연수이며 i는 n보다 작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입력키(100)를 n 번 이하로 누르면 하나의 문자가 입력되고 누르는 회수가 n 번을 초과하면 다음 문자 입력 칸에 다음 문자가 입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다중 쿼티키 입력 방법은 동일한 입력키(100)가 적어도 3 번 연달아 눌리고, 동일한 입력키(100)가 이전에 눌려진 후부터 다음에 눌려질 때 까지 걸린 시간인 지연시간을 비교하여, 가장 작은 지연시간을 기준으로 미리 정해진 비율보다 큰 지연시간이 발생된 경우, 미리 정해진 비율보다 큰 지연시간 이후에 입력키(100)가 눌린 것은 다음 문자 입력 칸에 적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입력키(100)는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누르면 미리 설정된 하나 또는 다수의 확장문자가 화면상에 보이며, 이중 선택된 확장문자가 입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다중 쿼티키 입력 방법은 상기 입력키(100)와 물리적으로 분리되도록 구비된 반복입력키(200)를 누르면 이전에 입력된 문자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반복입력키(200)는 상기 반복입력키(200)의 위치를 사용자가 변경하거나, 상기 반복입력키(200)의 수를 변경하여 사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반복입력키(200)를 누르면, 이전에 입력된 문자들 중 블록으로 지정된 문자들이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다중 쿼티키 입력 방법은 상기 입력키(100)와 물리적으로 분리되도록 구비된 전환입력키(300)를 누르면, 현재 입력된 문자의 다음 문자가 현재 입력된 문자를 대체하여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다중 쿼티키 입력 방법은 상기 입력키(100)와 물리적으로 분리되도록 구비된 전환입력키(300)를 누르면, 현재 입력된 문자의 다음 문자 입력 칸에 현재 입력된 문자의 다음 문자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전환입력키(300)를 누르면 입력될 문자가 상기 전환입력키(300)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쿼티키 입력 방법은, 컴퓨터를 포함하는 연산처리수단에 의하여 실행되는 프로그램 형태로 이루어지는 다중 쿼티키 입력 방법에 있어서, 쿼티키보드 자판 배열로 문자가 화면상에 배열되며, 입력키(100) 마다 미리 결정된 복수 개의 문자가 할당되고, 상기 입력키(100)를 한 번 누르면 미리 설정된 첫 번째 문자가 입력되며, 상기 입력키(100)와 물리적으로 분리되도록 구비된 선택입력키(400)를 누르면 미리 결정된 j 번째 문자가 입력되도록 하되, j는 1을 제외한 자연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쿼티키 입력 방법에 의하면, 쿼티키보드 자판 배열을 이용하여 하나의 키로 두 개의 문자 입력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자판에 적응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최소화 시키고, 적은 공간에 배치되는 키의 크기를 키울 수 있어 오타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입력키는 누르는 형식(여러 번 누름, 드래그, 스와이프 등)에 따라 서로 다른 문자가 입력되도록 함으로써, 보다 편리하게 다양한 문자 입력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 일정시간 이상 누르면 확장문자가 화면상에 팝업되어 확장 문자 입력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편리하게 확장 문자 입력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 영어 단어 및 문장을 분석하여 하나의 입력키에 배치되는 문자를 배치함으로써, 문자 입력을 위해 기다려야 하는 시간이 발생되거나, 키를 한 번 더 눌러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되는 상황을 최소화시켜 문자 입력을 더욱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반복입력키를 이용하여 최근에 입력된 문자를 반복하여 입력할 수 있음으로써, 같은 문자의 반복 입력을 더욱 편리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블록으로 지장된 문자들을 반복입력키로 입력할 수 있음으로써, 같은 문자열의 반복 입력을 더욱 편리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전환입력키 또는 선택입력키를 이용해 문자를 입력할 수 있음으로써, 같은 데이터셋의 문자 입력을 더욱 편리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쿼티키 입력 방법에 사용되는 자판의 예시도.
도 2는 동일 입려키를 반복적으로 입력한 신호와 시간과의 관계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3은 도 1의 입력키를 일정시간 이상 눌렀을 때 확장문자가 팝업되는 것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중 쿼티키 입력 방법에 사용되는 자판의 예시도.
도 6은 도 1에 반복입력키, 전환입력키 및 선택입력키가 추가된 것을 보여주는 예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공정,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공정,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쿼티키 입력 방법에 사용되는 자판의 예시도이고, 도 2는 동일 입려키를 반복적으로 입력한 신호와 시간과의 관계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입력키를 일정시간 이상 눌렀을 때 확장문자가 팝업되는 것을 보여주는 예시도이고,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중 쿼티키 입력 방법에 사용되는 자판의 예시도이며, 도 6은 도 1에 반복입력키, 전환입력키 및 선택입력키가 추가된 것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설명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도록 한다.
'쿼티키보드'는 컴퓨터 자판을 의미하며, 영문자에 한정된 것이 아니고, 컴퓨터 자판을 이용하여 문자 입력이 가능한 모든 나라의 언어가 적용될 수 있다.
도 1에서, 사각형 박스는 각각 입력키(100)에 해당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쿼티키 입력 방법은 컴퓨터를 포함하는 연산처리수단에 의하여 실행되는 프로그램 형태로 이루어지는 다중 쿼티키 입력 방법에 있어서,
쿼티키보드 자판 배열로 문자가 화면상에 배열되며, 입력키(100) 마다 미리 설정된 n 개의 문자가 할당되되, n은 자연수로 각각의 입력키 마다 서로 다른 n이 설정될 수 있고, 어느 하나의 입력키(100)에 문자가 n 개 할당된 경우,
상기 입력키(100)를 i 번 누르면 미리 설정된 i 번째문자가 입력되되, i는 자연수이며 i는 n보다 작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입력키(100)를 n 번 이하로 누르면 하나의 문자가 입력되고 누르는 회수가 n 번을 초과하면 다음 문자 입력 칸에 다음 문자가 입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하나의 입력키(100)에 복수의 문자가 배치될 수 있으며, 이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입력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컴퓨터 자판의 경우, 101키, 106키 등 다수의 키(글쇠)가 달린 키보드를 사용하고 있으며, 각각의 키는 숫자/문자/특수 키로 구분될 수 있다.
하지만, 스마트폰 등 키를 배치해야 하는 공간이 협소한 경우, 모든 키를 다 배치하는 것은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자 입력과 관련된 키만 배치하여 문자를 입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에도, 문자 하나당 키 하나를 배치하는 것은 키 하나가 차지하는 면적이 작아 입력이 불편하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문자 두 개 또는 세 개 당 하나의 입력키(100)가 배치되도록 하여, 사용하도록 하면 입력키(100) 하나가 차지하는 면적이 커져 문자 입력을 위한 키 터치가 더욱 용이해진다.
문자 두 개 당 하나의 입력키(100)가 배치 되도록 한 경우, 가로로 배치된 문자의 수가 홀수인 경우 어느 하나는 하나의 입력키(100)에 문자 하나만 배치될 수 있다.(도 1의 A 키와 M 키 등)
예를 들어, 도 1의 "A" 키가 할당된 입력키(100)의 경우, 상기 입력키(100)에 할당된 문자가 "A" 문자 한 개(n이 1)이기 때문에, A 키가 할당된 입력키(100)를 한 번 누르면 "A" 문자가 입력되고, A 키가 할당된 입력키(100)를 두 번 누르면 "AA" 문자가 입력되며, A 키가 할당된 입력키(100)를 m(자연수) 번 누르면 "A" 문자가 m 번 입력된다.
다른 예로, 도 1의 "Q"와 "W" 키가 할당된 입력키(100)의 경우, 상기 입력키(100)에 할당된 문자가 "Q"와 "W" 문자 두 개(n이 2)이기 때문에, "Q"와 "W" 키가 할당된 입력키(100)를 한 번 누르면 "Q" 문자가 입력되고, "Q"와 "W" 키가 할당된 입력키(100)를 두 번 누르면 "W" 문자가 입력되며, "Q"와 "W" 키가 할당된 입력키(100)를 두 번 누르면 "W" 문자가 입력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쿼티키 입력 방법은 동일한 입력키(100)가 적어도 3 번 연달아 눌리고, 동일한 입력키(100)가 이전에 눌려진 후부터 다음에 눌려질 때 까지 걸린 시간인 지연시간(t1, t2)을 비교하여, 가장 작은 지연시간을 기준으로 미리 정해진 비율보다 큰 지연시간이 발생된 경우, 미리 정해진 비율보다 큰 지연시간 이후에 입력키(100)가 눌린 것은 다음 문자 입력 칸에 적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연시간이 초기화 되는 시점은 이전에 입력된 입력키(100)가 아닌 다른 입력키(100)가 입력되는 시점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W를 3 번 입력하고자 할 경우, 도 1의 경우, Q와 W가 배치된 입력키(100)를 두 번 누르고 일정 시간 기다리거나 한 칸 건너 띄는 키를 누른 후, 다시 두 번 누르고 일정 시간 기다리거나 한 칸 건너 띄는 키를 누른 후, 다시 두 번 눌려야 W를 3 번 입력할 수 있었기 때문에 문자 입력에 걸리는 시간이 오래 걸리거나, 한 칸 건너 띄는 키를 두 번 더 눌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동일한 입력키(100)가 연이어 입력되면, 다음 입력키(100)가 입력된 시간 끼리 비교하여, 각각의 시간이 정해진 비율의 시간차가 발생된 경우, 짧은 시간이 입력키(100)를 두 번 누른 것으로 판단되도록 할 수 있다.
도 2는 입력키(100)가 눌렸을 때 발생되는 신호를 시간에 따라 표시한 것으로, (a), (b), (c) 모두 각각 세 번 씩 입력키(100)가 눌린 상황을 표현한 것이다.
이 중, (a)와 (b)는 종래에는 하나의 키로 다수의 문자를 입력할 때, 문자 하나를 입력하고 일정 시간 기다려야 다음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상황에서, (a)는 QW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 신호를, (b)는 WQ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 신호를 나타낸다.
도 2를 예로 설명하면, Q와 W가 배치된 입력키(100)를 세 번 누른다는 가정 하에, 입력키(100)가 첫 번째 눌려진 후 부터 두 번째 눌려질 때 까지 걸린 시간인 t1과, 입력키(100)가 두 번째 눌려진 후 부터 세 번째 눌려질 때 까지 걸린 시간인 t2를 비교하여, 도 2의 (a), (b), (c) 모두 정해진 비율의 시간차가 발생되었다고 가정한다면,
(a)의 상황에서는 QW가 입력될 것이고, (b)의 상황에서는 WQ가 입력될 것이이며, (c)의 상황에서는 QW가 입력될 것이다.
즉, (a)와 (c)는 입력 시간에 차이가 발생되지만 동일한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다음 입력키(100)가 입력된 시간 끼리 비교하여, 각각의 시간이 정해진 비율의 시간차가 발생된 경우, 짧은 시간이 입력키(100)를 두 번 누른 것으로 판단되도록 함으로써, 동일한 키를 반복하여 여러 문자를 입력해야 하는 경우, 문자 입력에 필요로 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 입력키(100)를 누르는 횟수에 따라 입력되는 문자가 달라지는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입력키(100)를 터치함과 동시에 드래그 또는 스와이프를 하는 방향에 따라 서로 다른 문자가 입력되도록 하는 등 다양한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에 대한 예로, Q와 W가 배치된 입력키(100)를 터치함과 동시에 좌측으로 드래그를 하면 Q가 입력되도록 하고, Q와 W가 배치된 입력키(100)를 터치함과 동시에 우측으로 드래그를 하면 W가 입력되도록 하는 등 다양한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쿼티키 입력 방법의 입력키(100)는 한 번 누르면 미리 설정된 제1문자, 두 번 누르면 미리 설정된 제2문자, 세 번 누르면 미리 설정된 제3문자가 입력되도록 입력키가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하나의 입력키(100)로 세 개의 문자가 입력되도록 하는 경우, 한 번 누르면 미리 설정된 제1문자, 두 번 누르면 미리 설정된 제2문자, 세 번 누르면 미리 설정된 제3문자가 입력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Q와 W와 E가 배치된 입력키(100)를 한 번 누르면 Q가 입력되도록 할 수 있고, 두 번 연달아 누르면 W가 입력되도록 할 수 있으며, 세 번 연달아 누르면 E가 입력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에서, 입력키(100)를 누르는 횟수에 따라 입력되는 문자가 달라지는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입력키(100)를 터치함과 동시에 드래그 또는 스와이프를 하는 방향에 따라 서로 다른 문자가 입력되도록 하는 등 다양한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에 대한 예로, Q와 W와 E가 배치된 입력키(100)를 터치함과 동시에 좌측으로 드래그(또는 스와이프)를 하면 Q가 입력되도록 하고, Q와 W와 E가 배치된 입력키(100)를 터치만 하면 W가 입력되도록 하며, Q와 W와 E가 배치된 입력키(100)를 터치함과 동시에 우측으로 드래그(또는 스와이프)를 하면 E가 입력되도록 하는 등 다양한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쿼티키 입력 방법의 입력키(100)는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누르면 미리 설정된 하나 또는 다수의 확장문자가 화면상에 보이며, 이중 선택된 확장문자가 입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가장 상단의 키에 1~0 까지의 숫자가 확장문자로 입력되도록 하였을 경우, E와 F가 배치된 입력키(100)를 일정시간 눌렸을 때, 3과 4가 팝업 되고, 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선택된 숫자가 입력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선택은 입력하고자 하는 확장문자를 직접 클릭하는 것도 가능하나, 입력키(100)를 일정시간 눌러 확장문자가 팝업되면 그 상태에서 좌로 드래그를 하면 좌측 확장문자가 입력되고 우로 드래그 하면 우측 문자가 입력되도록 하는 등 다양한 실시가 가능하다.
도 3에서 문자 하나 당 하나의 확장문자가 입력되는 예를 들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문자 하나 당 다수의 확장문자가 배치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쿼티키 입력 방법은 Q 부터 P 까지의 영문자 중, Q 부터 우측으로 두 개의 영문자가 하나의 입력키(100)로 입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Q와W가 하나의 입력키(100)로 입력되도록 할 경우, QW를 입력하고자 한다면, Q를 입력하고 문자입력칸이 한 칸 옆으로 이동하는 것을 기다려 W를 입력해야 하기 때문에, 문자 입력을 위해 기다려야 하는 시간이 발생되거나, 키를 한 번 더 눌러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된다.
이러한 현상이 발생되는 상황을 최소화시키기 위해, 영어 단어 및 문장을 분석해본 결과,
Q와 W가 붙어서 사용되는 단어, E와 R이 붙어서 사용되는 단어, T와 Y가 붙어서 사용되는 단어, U와 I가 붙어서 사용되는 단어, O와 P가 붙어서 사용되는 단어가 등장할 빈도수가
W와 E가 붙어서 사용되는 단어, R와 T이 붙어서 사용되는 단어, Y와 U가 붙어서 사용되는 단어, I와 O가 붙어서 사용되는 단어의 빈도수 보다 적다.
따라서, Q 부터 P 까지의 영문자 중, Q 부터 우측으로 두 개의 영문자가 하나의 입력키(100)로 입력되도록 하는 것이 문자 입력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쿼티키 입력 방법은 S 부터 L 까지의 영문자 중, S 부터 우측으로 두 개의 영문자가 하나의 입력키(100)로 입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 역시, 문자 입력을 위해 기다려야 하는 시간이 발생되거나, 키를 한 번 더 눌러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되는 상황을 최소화시키기 위해, 영어 단어 및 문장을 분석해본 결과를 반영한 일 실시예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쿼티키 입력 방법은 A 부터 K 까지의 영문자 중, A 부터 우측으로 두 개의 영문자가 하나의 입력키(100)로 입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 역시, 문자 입력을 위해 기다려야 하는 시간이 발생되거나, 키를 한 번 더 눌러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되는 상황을 최소화시키기 위해, 영어 단어 및 문장을 분석해본 결과를 반영한 일 실시예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쿼티키 입력 방법은 Z 부터 N 까지의 영문자 중, Z 부터 우측으로 두 개의 영문자가 하나의 입력키(100)로 입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 역시, 문자 입력을 위해 기다려야 하는 시간이 발생되거나, 키를 한 번 더 눌러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되는 상황을 최소화시키기 위해, 영어 단어 및 문장을 분석해본 결과를 반영한 일 실시예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쿼티키 입력 방법은 X 부터 M 까지의 영문자 중, X 부터 우측으로 두 개의 영문자가 하나의 입력키(100)로 입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 역시, 문자 입력을 위해 기다려야 하는 시간이 발생되거나, 키를 한 번 더 눌러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되는 상황을 최소화시키기 위해, 영어 단어 및 문장을 분석해본 결과를 반영한 일 실시예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쿼티키 입력 방법은 상기 입력키(100)와 물리적으로 분리되도록 구비된 반복입력키(200)를 누르면 이전에 입력된 문자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반복입력키(200)는 가장 마지막에 입력된 문자를 반복하여 입력 할 수 있다.
이는, www 등 반복 입력해야 하는 문자 발생 시 한 번 이라도 덜 누르고 문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Q와 W가 배치된 입력키(100)를 한 번 누르면 Q가 입력되도록 할 수 있고, 두 번 연달아 누르면 W가 입력되도록 하는 경우, 최소 6 번에서 최대 8 번을 터치해야 문자 입력이 가능했던 것을 4번의 터치로 입력을 완료할 수 있다.
즉, 도 6의 경우, "Q"와 "W" 키가 할당된 입력키(100)를 두 번 누르고, 상기 반복입력키(200)를 두 번 누르는 것으로 "WWW"를 입력할 수 있다.
도 6에서 반복입력키(200)가 하나인 예를 들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입력의 편의를 위해 양 쪽으로 하나씩 두 개가 배치되도록 하는 등 다양한 실시가 가능하다.
또한, 도 6에서 반복입력키(200)가 우측 하단에 구비된 예를 들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상부 좌측, 상부 중앙, 상부 우측 등 다양하게 배치되어 실시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쿼티키 입력 방법은 상기 반복입력키(200)의 위치를 사용자가 변경하거나, 상기 반복입력키(200)의 수를 변경하여 사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즉, 상기 반복입력키(200)의 위치를 사용자가 변경할 수 있거나, 상기 반복입력키(200)를 추가로 등록하거나 추가로 등록한 반복입력키(200)를 삭제하는 등 상기 반복입력키(200)의 수를 조정하거나 그 위치를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쿼티키 입력 방법의 반복입력키(200)는 이전에 입력된 문자들 중 블록으로 지정된 문자들을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반복입력키(200)는 단일 문자 뿐 아니라 문자들의 집합도 반복하여 입력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블록 설정을 한 상태에서 상기 반복입력키(200)를 눌렀을 때, 블록 설정을 유지한 상태로 가장 마지막 문자 입력 부분에 블록으로 지정된 문자들이 입력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블록 설정을 풀게 되면 블록으로 지정된 문자들이 없기 때문에 상기 반복입력키(200)를 누르면 가장 마지막에 입력된 문자가 입력될 수 있다.
블록 설정을 푸는 방법으로는 블록 이외의 다른 부분을 터치(클릭) 하거나 다른 문자를 입력하는 등의 행위가 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반복입력키(200)는 블록이 설정된 상태에서는 복사 기능을 수행하고, 블록이 설정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붙여넣기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새로운 문자가 입력되면 복사되었던 문자들을 초기화(삭제) 시킬 수 있다.
또, 상기 반복입력키(200)를 한 번 누르면 이전문자가 반복 입력되도록 하고, 두 번 누르면 복사된 문자열이 반복 입력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에서, 반복입력키(200)를 누르는 횟수에 따라 입력되는 문자가 달라지는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입력키(100)를 터치함과 동시에 드래그 또는 스와이프를 하는 방향에 따라 서로 다른 문자가 입력되도록 하는 등 다양한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쿼티키 입력 방법은 상기 입력키(100)와 물리적으로 분리되도록 구비된 전환입력키(300)를 누르면, 현재 입력된 문자의 다음 문자가 현재 입력된 문자를 대체하여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의 "Q"와 "W" 키가 할당된 입력키(100)의 경우, 상기 입력키(100)에 할당된 문자가 "Q"와 "W" 문자 두 개(n이 2)이기 때문에, 해당 입력키(100)를 한 번 누르면 "Q" 문자가 입력되고, 이 상태에서 상기 전환입력키(300)를 누르면 "Q" 문자가 "W" 문자로 바뀌게 되어 최종 "W" 문자 하나만 입력된다.
반대로, 해당 입력키(100)를 두 번 누르면 "W" 문자가 입력되고, 이 상태에서 상기 전환입력키(300)를 누르면 "W" 문자가 "Q" 문자로 바뀌게 되어 최종 "Q" 문자 하나만 입력된다.
즉, 상기 전환입력키(300)는 다음 문자 입력칸으로 넘어기지 않고 해당 문자 입력칸에 입력될 데이터셋(현재 예시에서는 "Q"와 "W")을 교체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쿼티키 입력 방법은 상기 입력키(100)와 물리적으로 분리되도록 구비된 전환입력키(300)를 누르면, 현재 입력된 문자의 다음 문자 입력 칸에 현재 입력된 문자의 다음 문자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의 "Q"와 "W" 키가 할당된 입력키(100)의 경우, 상기 입력키(100)에 할당된 문자가 "Q"와 "W" 문자 두 개(n이 2)이기 때문에, 해당 입력키(100)를 한 번 누르면 "Q" 문자가 입력되고, 이 상태에서 상기 전환입력키(300)를 누르면 "Q" 문자 다음 문자로 "W" 문자가 입력되어 최종 "QW" 문자가 입력된다.
반대로, 해당 입력키(100)를 두 번 누르면 "W" 문자가 입력되고, 이 상태에서 상기 전환입력키(300)를 누르면 "W" 문자 다음 문자로 "Q" 문자가 입력되어 최종 "WQ" 문자가 입력된다.
즉, 상기 전환입력키(300)는 다음 문자 입력칸으로 넘어감과 동시에 해당 문자 입력칸에 입력될 데이터셋(현재 예시에서는 "Q"와 "W")을 교체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환입력키(300)를 누르면 입력될 문자가 상기 전환입력키(300)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의 "Q"와 "W" 키가 할당된 입력키(100)의 경우, 상기 입력키(100)에 할당된 문자가 "Q"와 "W" 문자 두 개(n이 2)이기 때문에, 해당 입력키(100)를 한 번 누르면 "Q" 문자가 입력되고, 이 상태에서 상기 전환입력키(300)에는 "W" 문자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으며, 해당 입력키(100)를 두 번 누르면 "W" 문자가 입력되고, 이 상태에서 상기 전환입력키(300)에는 "Q" 문자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전환입력키(300)를 눌렀을 때 입력될 문자가 상기 전환입력키(300)에 미리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쿼티키 입력 방법은 컴퓨터를 포함하는 연산처리수단에 의하여 실행되는 프로그램 형태로 이루어지는 다중 쿼티키 입력 방법에 있어서,
쿼티키보드 자판 배열로 문자가 화면상에 배열되며, 입력키(100) 마다 미리 결정된 복수 개의 문자가 할당되고,
상기 입력키(100)를 한 번 누르면 미리 설정된 첫 번째 문자가 입력되며, 상기 입력키(100)와 물리적으로 분리되도록 구비된 선택입력키(400)를 누르면 미리 결정된 j 번째 문자가 입력되도록 하되, j는 1을 제외한 자연수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의 "Q"와 "W" 키가 할당된 입력키(100)의 경우, 상기 입력키(100)에 할당된 문자가 "Q"와 "W" 문자 두 개이기 때문에, "Q"와 "W" 키가 할당된 입력키(100)를 한 번 누르면 "Q" 문자가 입력되고, "Q"와 "W" 키가 할당된 입력키(100)를 한 번 더 누르면 "QQ" 문자가 입력되며, 여기서 상기 선택입력키(400)를 한 번 더 누르면 "QW" 문자가 입력된다.
"WQ" 문자을 입력하고자 할 경우에는, "Q"와 "W" 키가 할당된 입력키(100)를 한 번 누르고, 상기 선택입력키(400)를 한 번 더 누른 후, "Q"와 "W" 키가 할당된 입력키(100)를 한 번 더 누르면 된다.
이때, 상기 선택입력키(400)를 누르면 입력될 문자가 상기 전환입력키(300)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쿼티키 입력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다중 쿼티키 입력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및 다중 쿼티키 입력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역시 구현 가능함은 물론이다.
즉, 상술한 다중 쿼티키 입력 방법은 이를 구현하기 위한 명령어들의 프로그램이 유형적으로 구현됨으로써, 컴퓨터를 통해 판독될 수 있는 기록매체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도 있음을 당업자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다시 말해,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USB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 입력키
200: 반복입력키

Claims (10)

  1. 컴퓨터를 포함하는 연산처리수단에 의하여 실행되는 프로그램 형태로 이루어지는 다중 쿼티키 입력 방법에 있어서,
    쿼티키보드 자판 배열로 문자가 화면상에 배열되며,
    입력키(100) 마다 미리 설정된 n 개의 문자가 할당되되, n은 자연수로 각각의 입력키 마다 서로 다른 n이 설정될 수 있고,
    어느 하나의 입력키(100)에 문자가 n 개 할당된 경우,
    상기 입력키(100)를 i 번 누르면 미리 설정된 i 번째문자가 입력되되, i는 자연수이며 i는 n보다 작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입력키(100)를 n 번 이하로 누르면 하나의 문자가 입력되고 누르는 회수가 n 번을 초과하면 다음 문자 입력 칸에 다음 문자가 입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입력키(100)와 물리적으로 분리되도록 구비된 전환입력키(300)를 누르면, 현재 입력된 문자의 다음 문자가 현재 입력된 문자를 대체하여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전환입력키(300)를 누르면 입력될 문자가 상기 전환입력키(300)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쿼티키 입력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쿼티키 입력 방법은
    동일한 입력키(100)가 적어도 3 번 연달아 눌리고, 동일한 입력키(100)가 이전에 눌려진 후부터 다음에 눌려질 때 까지 걸린 시간인 지연시간을 비교하여, 가장 작은 지연시간을 기준으로 미리 정해진 비율보다 큰 지연시간이 발생된 경우,
    미리 정해진 비율보다 큰 지연시간 이후에 입력키(100)가 눌린 것은 다음 문자 입력 칸에 적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쿼티키 입력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키(100)는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누르면 미리 설정된 하나 또는 다수의 확장문자가 화면상에 보이며, 이중 선택된 확장문자가 입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쿼티키 입력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쿼티키 입력 방법은
    상기 입력키(100)와 물리적으로 분리되도록 구비된 반복입력키(200)를 누르면 이전에 입력된 문자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쿼티키 입력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반복입력키(200)는
    상기 반복입력키(200)의 위치를 사용자가 변경하거나, 상기 반복입력키(200)의 수를 변경하여 사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쿼티키 입력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반복입력키(200)를 누르면,
    이전에 입력된 문자들 중 블록으로 지정된 문자들이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쿼티키 입력 방법.
  7. 삭제
  8. 삭제
  9. 컴퓨터를 포함하는 연산처리수단에 의하여 실행되는 프로그램 형태로 이루어지는 다중 쿼티키 입력 방법에 있어서,
    쿼티키보드 자판 배열로 문자가 화면상에 배열되며,
    입력키(100) 마다 미리 설정된 n 개의 문자가 할당되되, n은 자연수로 각각의 입력키 마다 서로 다른 n이 설정될 수 있고,
    어느 하나의 입력키(100)에 문자가 n 개 할당된 경우,
    상기 입력키(100)를 i 번 누르면 미리 설정된 i 번째문자가 입력되되, i는 자연수이며 i는 n보다 작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입력키(100)를 n 번 이하로 누르면 하나의 문자가 입력되고 누르는 회수가 n 번을 초과하면 다음 문자 입력 칸에 다음 문자가 입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입력키(100)와 물리적으로 분리되도록 구비된 전환입력키(300)를 누르면, 현재 입력된 문자의 다음 문자 입력 칸에 현재 입력된 문자의 다음 문자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전환입력키(300)를 누르면 입력될 문자가 상기 전환입력키(300)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쿼티키 입력 방법.
  10. 삭제
KR1020210026873A 2020-05-04 2021-02-26 다중 쿼티키 입력 방법 KR1024611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6873A KR102461184B1 (ko) 2021-02-26 2021-02-26 다중 쿼티키 입력 방법
US17/923,116 US11714546B2 (en) 2020-05-04 2021-03-22 Multi QWERTY key input method
PCT/KR2021/003467 WO2021225272A1 (ko) 2020-05-04 2021-03-22 다중 쿼티키 입력 방법
US17/980,279 US11762551B2 (en) 2020-05-04 2022-11-03 Multi QWERTY key input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6873A KR102461184B1 (ko) 2021-02-26 2021-02-26 다중 쿼티키 입력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2351A KR20220122351A (ko) 2022-09-02
KR102461184B1 true KR102461184B1 (ko) 2022-10-28

Family

ID=832808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6873A KR102461184B1 (ko) 2020-05-04 2021-02-26 다중 쿼티키 입력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118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5481B1 (ko) * 2006-04-26 2007-10-09 삼성전자주식회사 하나의 키에 복수개의 문자가 할당된 키패드의 문자 입력방법 및 그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84582B2 (ja) * 2001-04-27 2008-04-30 俊司 加藤 タッチ式キー入力装置
KR100894149B1 (ko) * 2007-04-16 2009-04-22 윤보현 이동통신단말기의 한글 문자 입력 장치
KR100900087B1 (ko) * 2008-03-31 2009-06-01 박병진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버튼 확장형 문자 입력 방법
KR101065711B1 (ko) * 2008-09-23 2011-09-19 박대열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문자입력방법
KR101599227B1 (ko) 2010-11-22 2016-03-03 서경대학교 산학협력단 한글과 영문 등의 문자 입력이 용이한 터치 스크린용 면촉 자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5481B1 (ko) * 2006-04-26 2007-10-09 삼성전자주식회사 하나의 키에 복수개의 문자가 할당된 키패드의 문자 입력방법 및 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2351A (ko) 2022-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56258B1 (en) Keypad
CN102520868A (zh) 一种通过虚拟键盘实现pda设备快速车牌号输入的方法
CN106168880B (zh) 一种输入控制的方法及终端
KR102461184B1 (ko) 다중 쿼티키 입력 방법
KR100361621B1 (ko) 한글 입출력 장치 및 방법
KR102252499B1 (ko) 다중 쿼티키 입력 방법
US11714546B2 (en) Multi QWERTY key input method
CN103677303A (zh) 一种智能手机触屏虚拟键盘布局设计及字母输入方案
JP5650345B2 (ja) 子音英字キーからの母音英字及び仮名によるフリック操作方法。
KR20120068513A (ko) 터치 앤드 드래그 방식을 이용한 문자입력방법
KR101454896B1 (ko) 터치 패널을 이용한 한글 입력 장치 및 그의 한글 입력 방법
JP2008123114A (ja) 文字入力キーボードを備えた電子機器
WO2017086396A1 (ja) タッチ操作による文字入力装置・方法・プログラム
KR102199974B1 (ko) 한글 입력 방법 및 장치
KR101612625B1 (ko) 소프트웨어 키패드를 이용한 한글/영어/숫자 입력 방법
US10635306B2 (en) Four row overloaded QWERTY-like keypad layout
KR101954910B1 (ko) 영문자 입력 방법, 영문자 입력 장치, 및 영문자 입력을 위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CN111788776B (zh) 键盘输入电子设备的输入方法
WO2015100462A1 (en) Overloaded four-row qwerty-like keypad layout
KR20230020711A (ko) 음성인식성능 향상을 위한 영어 문자 입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JP2013125363A (ja) 情報入力装置
TWI436266B (zh) Intelligent device operation of the keyboar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KR20140147549A (ko) 터치스크린 기반의 문자 입력장치
KR20120117711A (ko) 문자 입력을 위한 영어 단짝문자 힐 자판과 한글 가족자음 나이러 자판
KR20130038427A (ko) 터치스크린 한글자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