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0809B1 - 광 간섭 단층 촬영을 위한 구조체 - Google Patents

광 간섭 단층 촬영을 위한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0809B1
KR102460809B1 KR1020210183951A KR20210183951A KR102460809B1 KR 102460809 B1 KR102460809 B1 KR 102460809B1 KR 1020210183951 A KR1020210183951 A KR 1020210183951A KR 20210183951 A KR20210183951 A KR 20210183951A KR 102460809 B1 KR102460809 B1 KR 1024608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theter
connector
driving unit
fastening member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39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일
최소기
한소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도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도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도터
Priority to KR10202101839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0809B1/ko
Priority to KR1020220088207A priority patent/KR1024560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08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08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62Arrangements for scanning
    • A61B5/0066Optical coherence imag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73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by tomography, i.e. reconstruction of 3D images from 2D proje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82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adapted for particular medical purposes
    • A61B5/0084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adapted for particular medical purposes for introduction into the body, e.g. by cath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46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brought in contact with an internal body part, i.e. invasive
    • A61B5/684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brought in contact with an internal body part, i.e. invasive mounted on an invasive device
    • A61B5/6852Cath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67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distal end, e.g. tips
    • A61M25/0068Static characteristics of the catheter tip, e.g. shape, atraumatic tip, curved tip or tip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67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distal end, e.g. tips
    • A61M25/0082Catheter tip comprising a too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와의 결착 및 해지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OCT(Optical Coherence Tomography) 관련 구조체가 개시된다. 상기 구조체는 상기 카테터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고 그리고 상기 카테터가 체결되는 바디부; 상기 카테터와의 광 결착을 위한 커넥터를 일단에 구비하고, 상기 커넥터를 회전시켜 상기 카테터와의 광 결착을 제공하는 제 1 구동부; 상기 카테터가 삽입되는 방향의 연장 선상에 구비되고, 상기 카테터가 체결됨에 따라 상기 제 1 구동부를 상기 카테터를 향해 제 1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 2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광 간섭 단층 촬영을 위한 구조체{STRUCTURE FOR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본 개시는 OCT(Optical Coherence Tomography) 기술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카테터와의 결착 및 해지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인체에 있어서, 관상 동맥은 심장 근육에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현대사회에는 불규칙한 식습관 또는 스트레스 등으로 인하여 관상 동맥 질환을 가지고 있는 인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관상 동맥 질환을 진단하기 위하여, 혈관 내부 구조를 촬영하기 위한 다양한 이미징 기술들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혈관조영술(angiography), 혈관 내 초음파(Intravascular Ultrasound, IVUS) 및 광 간섭 단층 촬영(Optical Coherence Tomography, OCT) 기술 등이 존재한다.
이 중에서도, 광 간섭 단층 촬영 기술은 뛰어난 이미지 해상도와 더불어 민감도를 제공함으로써, 차세대 혈관 이미징 기술로 각광받고 있다. 이러한 광 간섭 단층 촬영 기술은 인체의 혈관 내부에 삽입되는 카테터(catheter)의 광 방출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카테터는 광 간섭 단층 촬영 장치로부터 전달받은 광을 방출하는 기능을 수행할 뿐, 스스로 광을 생성하여 방출하기는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로터리 조인트(rotary joint) 등을 이용하여, 광 간섭 단층 촬영 장치와 카테터를 연결할 필요성이 존재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광 간섭 단층 촬영 장치와 카테터를 연결하는데 있어서 사용자가 직접 광 간섭 단층 촬영 장치와 카테터를 결착해야 했다. 이에 따라, 광 간섭 단층 촬영 장치와 카테터를 결착하거나 또는 해지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카테터의 부정확한 결착에 따른 검사 에러가 발생될 가능성이 존재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KR 10-1658447
본 개시는 전술한 배경기술에 대응하여 안출된 것으로, 카테터와의 결착 및 해지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OCT 구조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개시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카테터와의 결착 및 해지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OCT(Optical Coherence Tomography) 관련 구조체가 개시된다. 상기 구조체는 상기 카테터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고 그리고 상기 카테터가 체결되는 바디부; 상기 카테터와의 광 결착을 위한 커넥터를 일단에 구비하고, 상기 커넥터를 회전시켜 상기 카테터와의 광 결착을 제공하는 제 1 구동부; 및 상기 카테터가 삽입되는 방향의 연장 선상에 구비되고, 상기 카테터가 체결됨에 따라 상기 제 1 구동부를 상기 카테터를 향해 제 1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 2 구동부;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부는, 상기 카테터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카테터를 체결하는 체결부; 상기 체결부가 지면과 접하는 단부로부터 상기 지면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 1 구동부가 상기 지지부 상에서 직선 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부;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체결부의 제 1 면을 형성하고, 상기 카테터의 외측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날개부가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홈을 구비하는 제 1 체결 부재; 상기 제 1 면에 대향하는 제 2 면을 형성하는 제 2 체결 부재; 및 상기 제 1 체결 부재 및 상기 제 2 체결 부재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제 1 체결 부재와의 결합을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홈에 직교하는 제 2 홈을 형성하는 제 3 체결 부재;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3 체결 부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날개부가 안착되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로부터 상기 제 1 체결 부재를 향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 1 체결 부재와 맞닿는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의 내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카테터의 회전을 한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카테터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 1 구동부 또는 상기 제 2 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스위치;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스위치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 2 홈에 노출되도록 외측면으로부터 상기 제 2 홈을 향해 함입 형성되는 스위치 홈; 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기는, 상기 카테터의 제 1 회전 방향으로의 제 1 회전 각도를 한정하되, 제 2 회전 방향으로의 제 2 회전 각도는 한정하지 않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구동부는, 상기 커넥터를 회전시키는 구동 모터 - 상기 커넥터의 중심축과 상기 구동 모터의 중심축은 일치함 -; 및 상기 커넥터의 외측에 구비되고, 상기 커넥터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카테터에 삽입되어 회전하는 경우, 상기 커넥터의 각위치(angular position)를 결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로드(rod);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로드는 상기 카테터의 내측에 형성된 걸림 구조를 이용하여 상기 커넥터의 각위치가 결정되도록 제 1 로드 및 제 1 로드와 대향하는 위치에 구비되고 상기 제 1 로드와 길이가 상이한 제 2 로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제 2 체결 부재 및 상기 제 3 체결 부재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카테터의 내부에 구비되는 이너캡(inner cap)의 관통이 가능한 제 1 영역 및 상기 이너캡의 관통이 불가능한 제 2 영역을 포함하는 제 4 체결 부재;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4 체결 부재는,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체결부의 내에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구동부는, 상기 제 1 방향에 대향하는 제 2 방향으로 상기 제 1 구동부를 이동시켜 상기 제 2 영역을 통해 상기 광 결착을 해지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얻을 수 있는 기술적 해결 수단은 이상에서 언급한 해결 수단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해결 수단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카테터와의 결착 및 해지가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는 OCT 구조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본 개시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다양한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로 기재되며, 여기서 유사한 참조 번호들은 총괄적으로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지칭하는데 이용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설명 목적을 위해, 다수의 특정 세부사항들이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총체적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제시된다. 그러나, 그러한 양상(들)이 이러한 특정 세부사항들 없이 실시될 수 있음은 명백할 것이다. 다른 예시들에서, 공지의 구조들 및 장치들이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기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블록도 형태로 도시된다.
도 1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구조체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바디부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제 3 체결 부재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제 1 구동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구조체와 카테터의 광 결착이 해지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다양한 실시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감지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는다.
비록 제 1, 제 2 등이 다양한 소자나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소자나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소자나 구성요소를 다른 소자나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 1 소자나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 2 소자나 구성요소 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더불어, 용어 "또는"은 배타적 "또는"이 아니라 내포적 "또는"을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달리 특정되지 않거나 문맥상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는 자연적인 내포적 치환 중 하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X가 A를 이용하거나; X가 B를 이용하거나; 또는 X가 A 및 B 모두를 이용하는 경우,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가 이들 경우들 어느 것으로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열거된 관련 아이템들 중 하나 이상의 아이템의 가능한 모든 조합을 지칭하고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달리 특정되지 않거나 단수 형태를 지시하는 것으로 문맥상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 본 명세서와 청구범위에서 단수는 일반적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구성 요소(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구성 요소 또는 층의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구성 요소 또는 층의 바로 위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구성 요소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구성 요소가 "직접 위(directly on)" 또는 "바로 위"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 또는 층을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 요소 또는 다른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 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 요소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 요소는 다른 구성 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 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 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목적 및 효과,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개시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개시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개시는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개시에서 구조체는 카테터와의 결착 및 해지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OCT(Optical Coherence Tomography)와 관련된 구조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에서의 구조체는 Rotary Junction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시로, 본 개시에서의 구조체는 Driving Optical Controller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시로, 본 개시에서의 구조체는 광 간섭 단층 촬영 기술에 사용되는 사용자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카테터는 인체의 혈관 내부에 삽입되어, 광을 방출하는 부품일 수 있다. 이러한 카테터는 인체의 혈관 내부에 삽입되어 혈관 내부에 대한 정보를 이미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일례로, 카테터는 일회용 부품일 수 있다.
카테터는 광을 방출하는 기능만 수행할 뿐, 스스로 광을 생성하지는 못할 수 있다. 따라서, 카테터는 OCT 구조체와 광 결착되어 광원에서 발생된 광을 제공받을 수 있다. 여기서, 광 결착은 광섬유 간의 결착으로 이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OCT 구조체 및 카테터 각각은 광섬유 간의 결착을 제공하기 위한 커넥터를 구비할 수 있고, 커넥터를 통해 OCT 구조체 및 카테터가 연결됨에 따라, OCT 구조체는 광원으로부터 발생된 광을 카테터에 전달할 수 있다. 종래에는 OCT 구조체와 카테터의 광 결착을 사용자가 스스로 수행해야 했다. 반면, 본 개시에서의 OCT 구조체는 카테터와의 결착이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통해 본 개시에 따른 OCT 구조체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구조체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바디부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구조체(1000)는 바디부(100), 제 1 구동부(200) 및 제 2 구동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구성 요소들은 구조체(1000)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구조체(1000)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바디부(100)는 카테터(2000)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 바디부(100)는 카테터(2000)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된 경우, 카테터(2000)를 체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를 참조하면 바디부(100)는 카테터(2000)가 회전함에 따라, 카테터(2000)를 체결하는 체결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체결부(110)에는 카테터(2000)의 아우터 캡(outer cap)(2100)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 아우터 캡(2100)은 카테터(2000)의 외형을 형성하는 일 부품일 수 있다. 아우터 캡(2100)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된 경우, 체결부(110)는 내측에 형성된 홈을 통해 카테터(2000)의 날개부(211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카테터(2000)의 아우터 캡(2100)의 적어도 일부를 체결부(110)에 삽입할 수 있다. 카테터(2000)가 체결부(110)에 삽입된 경우, 사용자는 카테터(200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카테터(2000)의 날개부(2110)는 체결부(110)의 내측에 형성된 홈에 체결될 수 있다. 이하, 카테터(2000)가 체결부(110)에 체결되는 방법은 도 3 및 도 4를 통해 설명한다.
바디부(100)는 지지부(120) 및 가이드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120)는 체결부(110)가 지면과 접하는 단부로부터 지면을 따라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120)는 구조체(1000)가 지면에 고정되어 있을 수 있도록 구조체(1000)를 지지할 수 있다. 일례로, 제 1 구동부(200)는 지지부(120)의 상방에 구비되어, 직선 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조체(1000)에는 진동 또는 외력이 가해질 수 있다. 지지부(120)는 진동 또는 외력이 구조체(1000)에 발생하더라도 구조체(1000)가 움직이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다.
가이드부(130)는 지지부(120)의 상면에 구비되어, 제 1 구동부(200)가 지지부(120) 상에서 직선 운동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일례로, 제 1 가이드부(130)는 제 1 구동부(200)가 직선 운동하도록 가이드하기 위한 레일 등일 수 있다. 제 1 구동부(200)는 가이드부(130)와 결합되는 블록 등에 구비되어, 지지부(120) 상에서 직선 운동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제 1 구동부(200)는 카테터(2000)와의 광 결착을 위한 커넥터를 일단에 구비하고, 커넥터를 회전시켜 카테터(2000)와의 광 결착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광 결착은 커넥터 간의 결합을 통한 광 섬유의 결착을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구동부(200)는 광 섬유를 구비하는 제 1 커넥터를 일단에 구비할 수 있다. 카테터(2000)는 제 1 커넥터와 물리적으로 결합 가능하고, 광 섬유를 구비하는 제 2 커넥터를 구비할 수 있다. 제 1 커넥터 및 제 2 커넥터가 물리적으로 결합되기 위해서는 각위치(angular position)가 일치해야 할 수 있다. 각위치는 제 1 커넥터 및 제 2 커넥터가 특정 축(예를 들어, 가로축 또는 세로축)을 기준으로 얼마나 회전하였는지를 나타내는 위치 또는 값일 수 있다. 일례로, 제 1 커넥터 및 제 2 커넥터는 암/수가 쌍을 이루는 커넥터일 수 있다. 제 1 커넥터가 암 커넥터이고, 제 2 커넥터가 수 커넥터인 경우, 제 2 커넥터는 제 1 커넥터에 삽입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 1 구동부(200)는 제 1 커넥터의 각위치가 제 2 커넥터의 각위치와 일치하도록 제 1 커넥터를 회전시킬 수 있다. 제 1 커넥터의 각위치와 제 2 커넥터의 각위치가 일치된 경우, 제 1 구동부(200)는 제 1 커넥터를 제 2 커넥터에 삽입시켜, 카테터(2000)와의 광 결착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제 1 구동부(200)가 카테터(2000)와의 광 결착을 제공하는 일례는 도 5 및 도 6을 통해 설명한다.
제 2 구동부(300)는 카테터(2000)가 삽입되는 방향의 연장 선상에 구비되고, 카테터(2000)가 체결됨에 따라 제 1 구동부(200)를 카테터(2000)를 향해 제 1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카테터(2000)가 삽입되는 방향은 도 1에서 우측 방향에서 좌측 방향으로의 이동일 수 있다. 제 1 방향은 도 1에서 우측 방향일 수 있다. 다시 말해, 제 1 방향은 제 1 구동부(200)가 카테터(2000)를 향해 이동되는 방향일 수 있다.
제 2 구동부(300)는 제 1 구동부(200)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 모터, 기어 및 기어 박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 모터는 AC 모터, DC 모터, BLDC(Brushless DC) 모터 또는 서보(servo) 모터 등일 수 있다. 제 2 구동부(300)는 구동 모터에서 발생된 회전력을 제 1 구동부(200)에 전달하여, 제 1 구동부(200)를 직선 이동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 1 구동부(200)는 블록을 통해 가이드부(130)와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제 2 구동부(300)는 블록과 결합된 기어 박스 또는 기어 박스의 내부에 포함된 기어를 통해, 구동 모터에서 발생된 회전력을 블록에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구동부(200)는 가이드부(130)를 통해 지지부(120) 상에서 직선 운동할 수 있다. 이하, 제 2 구동부(300)가 제 1 구동부(200)를 이동시키는 방법은 종래의 기술을 이용할 수 있는 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구성에 따르면, 구조체(1000)는 바디부(100)를 통해 카테터(2000)를 체결할 수 있다. 카테터(2000)가 체결됨에 따라, 구조체(1000)는 사용자로부터의 추가적인 입력이 없이도, 제 1 구동부(200)를 제 2 구동부(300)를 통해 카테터(2000)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 1 구동부(200)가 이동되는 경우, 구조체(1000)는 사용자로부터의 추가적인 입력이 없이도, 제 1 구동부(200)를 통해 커넥터를 회전시켜 카테터(2000)와의 광 결착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동작으로, 구조체(1000)는 사용자로부터의 추가적인 입력 없이도 구조체(1000)와 카테터(2000)의 광 결착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편리하게 구조체(1000)와 카테터(2000)의 광 결착을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구조체(1000)는 체결부(110)에 구비된 스위치를 통해 제 1 구동부(200) 또는 제 2 구동부(3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통해 본 개시에 따른 체결부(110)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제 3 체결 부재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체결부(110)는 제 1 체결 부재(111), 제 2 체결 부재(112), 제 3 체결 부재(113), 제 4 체결 부재(114) 및 스위치(115)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체결 부재(111)는 체결부(110)의 제 1 면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면은 카테터(2000)와 마주하는 방향의 면일 수 있다.
제 1 체결 부재(111)는 카테터(2000)의 이너캡(inner cap)이 삽입되는 개구부(1111) 및 카테터(2000)의 외측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날개부(2110)가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홈(1112)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는 적어도 하나의 날개부(2110)와 적어도 하나의 제 1 홈(1112)의 위치를 일치시켜, 카테터(2000)의 적어도 일부를 체결부(110)에 삽입할 수 있다.
제 2 체결 부재(112)는 제 1 면에 대향하는 제 2 면을 형성할 수 있다. 환언하자면, 제 2 체결 부재(112)는 제 1 체결 부재(111)와의 결합을 통해 체결부(110)의 외형을 형성할 수 있다.
제 3 체결 부재(113)는 제 1 체결 부재(111) 및 제 2 체결 부재(112)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제 3 체결 부재(113)는 제 1 체결 부재(111)와의 결합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제 1 홈(1112)에 직교하는 제 2 홈을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를 참조하면 제 2 홈(1131)은 제 3 체결 부재(113)와 제 1 체결 부재(111)의 결합을 통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홈(1112)에 직교하는 홈일 수 있다. 일례로, 제 3 체결 부재(113)는 카테터(2000)의 적어도 하나의 날개부(2110)가 안착되는 안착부(1132) 및 안착부(1132)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1133)를 포함할 수 있다. 제 3 체결 부재(113) 및 제 1 체결 부재(111)가 결합되는 경우, 돌출부(1133)는 제 1 체결 부재(111)와 맞닿을 수 있다. 돌출부(1133)가 제 1 체결 부재(111)와 맞닿음에 따라, 안착부(1132)는 제 1 체결 부재(111)와 이격될 수 있다. 제 2 홈(1131)은 안착부(1132)와 제 1 체결 부재(111)가 이격됨에 따라 형성되는 공간일 수 있다.
제 3 체결 부재(113)는 안착부(1132), 돌출부(1133) 및 적어도 하나의 돌기(1134)를 포함할 수 있다.
안착부(1132)는 카테터(2000)의 적어도 하나의 날개부(2110)가 안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적어도 하나의 날개부(2110)와 적어도 하나의 제 1 홈(1112)의 위치를 일치시켜, 적어도 하나의 날개부(2110)를 체결부(110)에 삽입할 수 있다. 체결부(110)에 삽입된 적어도 하나의 날개부(2110)는 안착부(1132)에 안착될 수 있다.
돌출부(1133)는 안착부(1132)로부터 제 1 체결 부재(111)를 향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1133)는 제 1 체결 부재(111) 및 제 2 체결 부재(112)가 결합되는 경우, 제 1 체결 부재(111)와 맞닿을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돌기(1134)는 돌출부(1133)의 내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카테터(2000)의 회전을 한정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돌기(1134)는 카테터(2000)의 회전을 한정할 수 있도록, 비대칭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돌기(1134)는 카테터(2000)의 제 1 회전 방향으로의 제 1 회전 각도를 한정하되, 제 2 회전 방향으로의 제 2 회전 각도는 한정하지 않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회전 방향은 시계 방향이고, 제 2 회전 방향은 반시계 방향일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돌기(1134)는 사용자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날개부(211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날개부(2110)가 제 1 회전 각도까지만 회전하도록 한정할 수 있다. 환언하자면, 적어도 하나의 돌기(1134)는 적어도 하나의 날개부(2110)가 제 1 회전 방향으로는 제 1 회전 각도 이하로만 회전할 수 있도록 한정할 수 있다. 반대로, 적어도 하나의 돌기(1134)는 사용자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날개부(211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날개부(2110)의 제 2 회전 각도를 한정하지 않을 수 있다. 환언하자면, 적어도 하나의 돌기(1134)는 적어도 하나의 날개부(2110)의 제 2 회전 방향으로의 회전은 한정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체결부(110)와 카테터(2000)의 결합을 해지하고자 하는 경우, 카테터(2000)를 제 2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켜, 체결부(110)와 카테터(2000)의 결합을 해지할 수 있다.
스위치(115)는 카테터(2000)가 회전함에 따라 제 1 구동부(200) 또는 제 2 구동부(3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카테터(2000)의 적어도 하나의 날개부(2110)는 사용자에 의해 제 1 회전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스위치(115)의 스위치 단자(1151)와 접촉될 수 있다. 스위치(115)는 적어도 하나의 날개부(2110)와 스위치 단자(1151)가 접촉된 경우, 카테터(2000)가 체결부(110)에 체결되었다고 결정할 수 있다. 스위치(115)는 카테터(2000)가 체결부(110)에 체결되었다고 결정됨에 따라, 제 1 구동부(200) 및 제 2 구동부(3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제 1 구동부(200) 및 제 2 구동부(300) 각각에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조체(1000)는 추가적인 사용자의 입력이 없이도, 카테터(2000)와의 광 결착을 수행할 수 있다.
스위치(115)는 돌출부(1133)에 구비된 스위치 홈에 삽입될 수 있다. 일례로, 돌출부(1133)는 스위치(115)의 적어도 일부가 제 2 홈(1131)에 노출되도록 외측면으로부터 제 2 홈(1131)을 향해 함입 형성되는 스위치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위치 단자(1151)는 카테터(2000)의 회전에 따라 카테터(2000)의 적어도 하나의 날개부(2110)와 접촉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제 4 체결 부재(114)는 제 2 체결 부재(112) 및 제 3 체결 부재(113)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제 4 체결 부재(144)는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에 기초하여, 체결부(110)의 내에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4 체결 부재(144)는 체결부(110) 내에서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좌측 또는 우측 방향은 카테터(2000)가 체결부(110)에 삽입되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일 수 있다. 제 4 체결 부재(144)는 체결부(110)의 내에서 이동하여, 카테터(2000)와 제 1 구동부(200)의 광 결착을 해지할 수 있다. 이하, 제 4 체결 부재(144)가 카테터(2000)와 제 1 구동부(200)의 광 결착을 해지하는 일례는 도 7을 통해 설명한다.
상술한 구성에 따르면, 구조체(1000)는 체결부(110)를 통해 카테터(2000)를 체결할 수 있다. 사용자가 카테터(2000)를 체결부(110)에 체결시키기 위해 카테터(2000)를 회전시키는 경우, 구조체(1000)는 스위치(115)를 통해 카테터(2000)가 체결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구조체(1000)는 카테터(2000)가 체결되었다고 결정한 경우, 사용자로부터의 추가적인 입력이 없어도, 제 1 구동부(200) 및 제 2 구동부(300)를 동작시켜, 구조체(1000)와 카테터(2000)의 광 결착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편리하게 구조체(1000)와 카테터(2000)의 광 결착을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구동부(200)는 카테터(2000)와의 광 결착을 위해 구비된 커넥터를 회전시켜 카테터(2000)와의 광 결착될 수 있다. 이하, 도 5 및 도 6을 통해 본 개시에 따른 제 1 구동부(2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제 1 구동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 1 구동부(200)는 커넥터(210), 구동 모터(220) 및 적어도 하나의 로드(rod)(231, 232)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210)는 제 1 구동부(200)와 카테터(2000)의 광 결착을 제공하기 위한 모듈일 수 있다. 일례로, 도 6을 참조하면, 커넥터(210)는 카테터(2000)에 구비된 커넥터(2300)와 물리적으로 결합되기 위한 모듈일 수 있다. 제 1 구동부(200)의 커넥터(210) 및 카테터(2000)의 커넥터(2300) 각각은 광섬유를 구비할 수 있다. 제 1 구동부(200)의 커넥터(210) 및 카테터(2000)의 커넥터(2300)가 물리적으로 결합됨에 따라, 제 1 구동부(200)는 카테터(2000)와 광 결착될 수 있다. 여기서, 광 결착은 커넥터 간의 결합을 통한 광 섬유의 결착을 의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조체(1000)로부터 생성된 광은 카테터(2000)로 전달될 수 있다.
구동 모터(220)는 커넥터(210)를 회전시킬 수 있다. 구동 모터(220)는 AC 모터, DC 모터, BLDC(Brushless DC) 모터 또는 서보(servo) 모터 등일 수 있다.
구동 모터(220)의 중심축은 커넥터(210)의 중심축과 일치할 수 있다. 따라서, 구동 모터(220)가 커넥터(210)를 회전시키더라도, 진동 및 소음이 발생되지 않을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로드(231, 232)는 커넥터(210)의 외측에 구비되고, 커넥터(210)의 적어도 일부가 카테터(2000)에 삽입되어 회전하는 경우, 커넥터(210)의 각위치(angular position)를 결정할 수 있다. 각위치는 커넥터(210)가 특정 축(예를 들어, 가로축 또는 세로축)을 기준으로 얼마나 회전하였는지를 나타내는 위치 또는 값일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제 1 구동부(200)의 커넥터(210) 및 카테터(2000)의 커넥터(2300)는 암/수가 쌍을 이루는 커넥터일 수 있다. 제 1 구동부(200)의 커넥터(210)가 카테터(2000)의 커넥터(2300)와 결합되기 위해서는 각위치가 일치해야 할 수 있다. 일례로, 제 1 구동부(200)의 커넥터(210) 및 카테터(2000)의 커넥터(2300)는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의 형상이라고 가정했을 때, 가로 방향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중심선의 상방의 내부 형상과 중심선의 하방의 내부 형상이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구동부(200)의 커넥터(210)가 카테터(2000)의 커넥터(2300)와 결합되기 위해서는 각위치가 일치해야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로드(231, 232)는 카테터(2000)의 내측에 형성된 걸림 구조(2210, 2220)를 이용하여 커넥터(210)의 각위치가 결정되도록 제 1 로드(230) 및 제 1 로드(231)와 대향하는 위치에 구비되고 제 1 로드(231)와 길이가 상이한 제 2 로드(232)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제 1 로드(231)는 제 2 로드(232) 보다 길이가 길 수 있다. 걸림 구조는 제 1 걸림 구조(2210) 제 1 걸림 구조(2210)와 길이가 상이한 제 2 걸림 구조(2220)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제 1 걸림 구조(2210)는 제 2 걸림 구조(2220) 보다 길이가 길 수 있다. 제 1 구동부(200)는 제 2 구동부(300)에 의해 카테터(2000)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 1 구동부(200)는 카테터(2000)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과 연동하여 제 1 로드(231) 및 제 2 로드(232)를 회전시킬 수 있다. 제 1 로드(231) 및 제 2 로드(232)가 회전되는 경우, 제 1 로드(231)는 제 1 걸림 구조(2210)에 걸릴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제 1 로드(231)가 구동부들에 의해 전진하는 것과 동시에 회전되는 경우, 제 1 로드(231)는 제 1 걸림 구조(2210)에 걸리기 이전까진, 제 2 걸림 구조(2220)에 걸리지 않을 수 있다. 제 2 걸림 구조(2220)가 제 1 걸림 구조(2210) 보다 길이가 짧기 때문일 수 있다. 제 2 로드(232)가 구동부들에 의해 전진하는 것과 동시에 회전되는 경우, 제 2 로드(232)는 제 1 로드(231)가 제 1 걸림 구조(2210)에 걸리기 이전까진, 제 1 걸림 구조(2210) 또는 제 2 걸림 구조(2220)에 걸리지 않을 수 있다. 제 2 로드(232)는 제 1 로드(231) 보다 길이가 짧기 때문에, 제 1 로드(231)가 제 1 걸림 구조(2210)에 걸리기 이전까진, 제 2 로드(232)는 제 1 걸림 구조(2210) 또는 제 2 걸림 구조(2220)에 걸리지 않을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 2 로드(232)는 제 1 구동부(200)가 제 2 구동부(300)를 통해 끝까지 전진하더라도, 제 1 걸림 구조(2210) 또는 제 2 걸림 구조(2220)에 걸리지 않을 수도 있다. 제 1 로드(231)가 제 1 걸림 구조(2210)에 걸린 경우, 제 1 구동부(200)가 커넥터(210)를 회전시키더라도, 커넥터(210)는 제 1 로드(231)에 의해 더 이상 회전하지 않을 수 있다. 또는 제 1 로드(231)가 제 1 걸림 구조(2210)에 걸린 경우, 제 1 구동부(200)는 커넥터(210)를 더 이상 회전시키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구동부(200)의 커넥터(210)와 카테터(2000)의 커넥터(2300)의 각 위치가 일치될 수 있으며, 제 1 구동부(200)의 커넥터(210)와 카테터(2000)의 커넥터(2300)는 광 결착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따르면, 제 1 구동부(200)는 길이가 상이한 제 1 로드(231) 및 제 2 로드(2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구동부(200)는 길이가 상이한 제 1 로드(231) 및 제 2 로드(232)를 이용하여, 제 1 구동부(200)의 커넥터(210)의 각 위치와 카테터(2000)의 커넥터(2300)의 각 위치를 일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 1 구동부(200)는 사용자로부터의 입력 또는 조작이 없이도, 카테터(2000)와의 광 결착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구동부(200)의 내부에는 광섬유, 페룰(ferrule) 및 콜리메이터(collimator)가 구비될 수 있다. 페룰은 광섬유 등의 접속에서, 광섬유 심선의 정렬을 위해 사용되는 실린더 튜브 형태로 정중앙에 홀을 갖는 부품일 수 있다. 콜리메이터는 입사 광선이나 입사 입자의 줄기를 평행하게 만들어주는 부품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구동부(200)는 내부에 구비된 콜리메이터 홀더를 통해 광섬유를 정렬할 수 있다. 제 1 구동부(200)는 내부에 구비된 콜리메이터 홀더를 통해 콜리메이터를 정렬할 수도 있다. 콜리메이터 홀더는 광섬유의 정렬을 돕기 위한 부품으로서, 콜리메이터를 감싸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광섬유 또는 콜리메이터의 정렬은 제 1 구동부(200)의 내부에 구비된 광섬유와 카테터(2000)에 구비된 제 2 광섬유와 간의 광 결착에 있어서, 제 1 광섬유와 제 2 광섬유의 축이 일치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구동부(200)는 조임 또는 풀림 동작을 통해 콜리메이터 홀더의 중심 축을 이동시킬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볼트는 구동 모터(220)의 회전자를 관통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적어도 하나의 볼트는 콜리메이터 홀더가 연장되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콜리메이터 홀더는 구동 모터(220)가 구비되는 방향으로부터 커넥터(210)가 구비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볼트는 콜리메이터 홀더의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콜리메이터 홀더가 연장 형성되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콜리메이터 홀더의 단면이 원으로 형성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볼트는 원의 외주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적어도 하나의 볼트는 원의 외주면에 120도의 각도를 이루도록 3개가 구비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적어도 하나의 볼트는 원의 외주면에 90도의 각도를 이루도록 4개가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적어도 하나의 볼트를 조이거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볼트를 푸는 동작을 통해, 콜리메이터 홀더의 중심축을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구동부(200)의 내부에 구비된 광섬유와 카테터(2000)에 구비된 제 2 광섬유와 간의 광 결착에 있어서, 제 1 광섬유와 제 2 광섬유의 축이 일치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구조체(1000) 및 카테터(2000)의 광 결착은 사용자가 직접 수행하지 않더라도 자동으로 해지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는 구조체(1000)와 연결된 조작 장치의 버튼 입력을 통해, 제 1 구동부(200) 및 카테터(2000)의 광 결착을 자동으로 해지할 수 있다. 이하, 도 7을 통해 본 개시에 따른 구조체(1000)와 카테터(2000)의 광 결착이 해지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구조체와 카테터의 광 결착이 해지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 4 체결 부재(114)는 카테터(2000)의 내부에 구비되는 이너캡(2200)의 관통이 가능한 제 1 영역(1141) 및 이너캡(2200)의 관통이 불가능한 제 2 영역(1142)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 4 체결 부재(114)는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에 기초하여, 체결부(110)의 내에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카테터(2000)는 환자의 혈관 내부를 촬영하기 위해, 풀백(pullback)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풀백은 제 1 구동부(200)와 카테터(2000)의 광 결착이 유지된 상태로, 카테터(2000)의 이너캡(2200)이 당겨지는 동작일 수 있다. 일례로, 제 2 구동부(300)는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에 기초하여, 제 1 방향에 대향하는 제 2 방향으로 제 1 구동부(2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 1 방향은 제 1 구동부(200)가 카테터(2000)를 향해 이동되는 방향이고, 제 2 방향은 제 1 구동부(200)가 카테터(200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일 수 있다. 카테터(2000)가 풀백 동작을 수행 중인 경우, 제 4 체결 부재(114)는 이너캡(2200)이 관통될 수 있도록 위치할 수 있다. 제 4 체결 부재(114)는 제 1 영역(1141)의 위치가 이너캡(2200)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체결부(110) 내에 위치할 수 있다. 환언하자면, 카테터(2000)가 풀백 동작이 수행중인 경우에는, 제 1 영역(1141)의 위치와 이너캡(2200)의 위치가 대응하도록, 제 4 체결 부재(114)가 체결부(110) 내에서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구동부(200)의 커넥터(210)와 카테터(2000)의 커넥터(2300)는 광 결착이 유지될 수 있다.
제 4 체결 부재(114)는 사용자로부터 제 1 구동부(200)와 카테터(2000)의 광 결착을 해지하는 입력을 수신한 경우, 제 2 영역(1142)의 위치와 이너캡(2200)의 위치가 대응하도록, 체결부(110) 내에서 이동할 수 있다. 제 4 체결 부재(114)가 이동한 경우, 제 2 구동부(300)는 제 2 방향으로 제 1 구동부(200)를 이동시켜 제 2 영역(1142)을 통해 광 결착을 해지할 수 있다. 제 2 영역(1142)은 이너캡(2200)의 관통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제 2 구동부(300)가 제 2 방향으로 제 1 구동부(200)를 이동시키는 경우, 제 1 구동부(200)와 카테터(2000)의 광 결착이 해지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 2 구동부(300)가 제 2 방향으로 제 1 구동부(200)를 이동시키는 경우, 제 4 체결 부재(114)는 제 1 구동부(200)의 커넥터(210)와 카테터(2000)의 커넥터(2300)의 결합을 해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구조체(1000)는 사용자로부터 카테터(2000)와의 광 결착을 해지하는 입력을 수신한 경우, 제 2 구동부(300)를 통해 제 1 구동부(200)를 제 1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 4 체결 부재(114)는 제 1 영역(1141)의 위치가 이너캡(2200)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체결부(110)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카테터(2000)의 이너캡(2200)은 제 1 영역(1141)을 관통하여, 카테터(200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카테터(2000)와 제 1 구동부(200)의 광 결합이 해지되기 위해서는 우선 카테터(2000)의 이너캡(2200)이 제 4 체결 부재(114) 보다 우측(예를 들어, 도 1의 우측 방향)에 위치할 필요가 있기 때문일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따르면, 구조체(1000)는 카테터(2000)와의 광 결착을 해지하는 입력을 수신한 경우 카테터(2000)와의 제 4 체결 부재(114)를 통해 광 결착을 자동으로 해지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편리하게 구조체(1000) 및 카테터(2000)의 광 결착을 해지할 수 있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개시를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개시는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카테터와의 결착 및 해지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OCT(Optical Coherence Tomography) 관련 구조체로서,
    상기 카테터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고 그리고 상기 카테터가 체결되는 바디부;
    상기 카테터와의 광 결착을 위한 커넥터를 일단에 구비하고, 상기 커넥터를 회전시켜 상기 카테터와의 광 결착을 제공하는 제 1 구동부; 및
    상기 카테터가 삽입되는 방향의 연장 선상에 구비되고, 상기 카테터가 체결됨에 따라 상기 제 1 구동부를 상기 카테터를 향해 제 1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 2 구동부;
    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는,
    상기 카테터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카테터를 체결하는 체결부;
    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카테터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 1 구동부 또는 상기 제 2 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스위치;
    상기 카테터의 외측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날개부가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홈을 구비하는 제 1 체결 부재; 및
    상기 제 1 체결 부재와 맞닿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체결 부재와의 결합을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홈에 직교하는 제 2 홈을 형성하는 제 3 체결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스위치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 2 홈에 노출되도록 외측면으로부터 상기 제 2 홈을 향해 함입 형성되는 스위치 홈;
    을 포함하는,
    구조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상기 체결부가 지면과 접하는 단부로부터 상기 지면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 1 구동부가 상기 지지부 상에서 직선 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부;
    를 포함하는,
    구조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체결 부재는,
    상기 체결부의 제 1 면을 형성하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제 1 면에 대향하는 제 2 면을 형성하는 제 2 체결 부재;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3 체결 부재는,
    상기 제 1 체결 부재 및 상기 제 2 체결 부재 사이에 구비되는,
    구조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체결 부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날개부가 안착되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로부터 상기 제 1 체결 부재를 향해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의 내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카테터의 회전을 한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
    를 포함하는,
    구조체.
  5. 삭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기는,
    상기 카테터의 제 1 회전 방향으로의 제 1 회전 각도를 한정하되, 제 2 회전 방향으로의 제 2 회전 각도는 한정하지 않도록 구비되는,
    구조체.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동부는,
    상기 커넥터를 회전시키는 구동 모터 - 상기 커넥터의 중심축과 상기 구동 모터의 중심축은 일치함 -; 및
    상기 커넥터의 외측에 구비되고, 상기 커넥터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카테터에 삽입되어 회전하는 경우, 상기 커넥터의 각위치(angular position)를 결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로드(rod);
    를 포함하는,
    구조체.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로드는 상기 카테터의 내측에 형성된 걸림 구조를 이용하여 상기 커넥터의 각위치가 결정되도록 제 1 로드 및 제 1 로드와 대향하는 위치에 구비되고 상기 제 1 로드와 길이가 상이한 제 2 로드를 포함하는,
    구조체.
  9. 삭제
  10. 삭제
KR1020210183951A 2021-12-21 2021-12-21 광 간섭 단층 촬영을 위한 구조체 KR1024608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3951A KR102460809B1 (ko) 2021-12-21 2021-12-21 광 간섭 단층 촬영을 위한 구조체
KR1020220088207A KR102456033B1 (ko) 2021-12-21 2022-07-18 광 간섭 단층 촬영을 위한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3951A KR102460809B1 (ko) 2021-12-21 2021-12-21 광 간섭 단층 촬영을 위한 구조체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8207A Division KR102456033B1 (ko) 2021-12-21 2022-07-18 광 간섭 단층 촬영을 위한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0809B1 true KR102460809B1 (ko) 2022-10-31

Family

ID=8380329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3951A KR102460809B1 (ko) 2021-12-21 2021-12-21 광 간섭 단층 촬영을 위한 구조체
KR1020220088207A KR102456033B1 (ko) 2021-12-21 2022-07-18 광 간섭 단층 촬영을 위한 구조체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8207A KR102456033B1 (ko) 2021-12-21 2022-07-18 광 간섭 단층 촬영을 위한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46080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507407A (ja) * 2006-10-20 2010-03-11 インフラレド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ィッド 光カテーテルならびに引戻し回転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15177919A (ja) * 2014-03-19 2015-10-08 テルモ株式会社 光画像診断装置及びそれに用いるカテーテル
KR101658447B1 (ko) 2015-07-09 2016-09-21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Oct 시스템용 광학 결합 장치
KR20160133351A (ko) * 2015-05-12 2016-11-22 한국과학기술원 관상동맥 혈관 고속 스캐닝 장치 및 방법
KR20210064763A (ko) * 2019-11-26 2021-06-03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Oct 시스템용 광학 회전접합모듈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507407A (ja) * 2006-10-20 2010-03-11 インフラレド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ィッド 光カテーテルならびに引戻し回転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15177919A (ja) * 2014-03-19 2015-10-08 テルモ株式会社 光画像診断装置及びそれに用いるカテーテル
KR20160133351A (ko) * 2015-05-12 2016-11-22 한국과학기술원 관상동맥 혈관 고속 스캐닝 장치 및 방법
KR101658447B1 (ko) 2015-07-09 2016-09-21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Oct 시스템용 광학 결합 장치
KR20210064763A (ko) * 2019-11-26 2021-06-03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Oct 시스템용 광학 회전접합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6033B1 (ko) 2022-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49603B2 (en) Endoscope
CN105705110B (zh) 用于引导器械的系统和设备
JPH09122234A (ja) シリンジ固定用補助器具
KR101731728B1 (ko) 관상동맥 혈관 고속 스캐닝 장치 및 방법
JP3215549U (ja) 気管支鏡
JP6371418B2 (ja) Octプローブに対する後方反射最小化
KR102460809B1 (ko) 광 간섭 단층 촬영을 위한 구조체
EP3378407B1 (en) Imaging apparatus for diagnosis
KR102086643B1 (ko) Oct 시스템용 광학 회전접합모듈
KR101584182B1 (ko) 회전형 컨트롤패널을 구비하는 초음파진단장치
JP6625067B2 (ja) 医療用デバイス
CN114391962B (zh) 一种联动结构和用于介入手术机器人的龙门架
KR102409042B1 (ko) 광 결합 장치
KR102316478B1 (ko) Oct 시스템용 광학 회전접합모듈
CN212729843U (zh) 乳腺自动扫查设备
JP3570923B2 (ja) 探触子用穿刺針アダプタ
KR101565109B1 (ko) 제어패널의 회전멈춤장치
JP6210912B2 (ja) 光画像診断装置及びそれに用いるカテーテル
CN219782723U (zh) 一种手术导航系统的辅助装置
JP3780091B2 (ja) 3次元走査超音波プローブ用駆動装置
JP2001269404A (ja) フランジ連結器具
JP2016154808A (ja) カテーテル及び駆動装置
JP7223042B2 (ja) 画像診断装置
JP6612665B2 (ja) カテーテル及び画像診断装置
WO2018159814A1 (ja) 軟性内視鏡と接続可能な中継器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内視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