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0391B1 - Multiple conveyor systems - Google Patents
Multiple conveyor system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60391B1 KR102460391B1 KR1020210137039A KR20210137039A KR102460391B1 KR 102460391 B1 KR102460391 B1 KR 102460391B1 KR 1020210137039 A KR1020210137039 A KR 1020210137039A KR 20210137039 A KR20210137039 A KR 20210137039A KR 102460391 B1 KR102460391 B1 KR 10246039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veyor
- sub
- pulley
- drive pulley
- ben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22—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comprising a series of co-operating units
- B65G15/24—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comprising a series of co-operating units in tandem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1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movable, or having interchangeable or relatively movable parts; Devices for moving framework or parts thereof
- B65G21/12—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movable, or having interchangeable or relatively movable parts; Devices for moving framework or parts thereof to allow adjustment of position of load-carrier or traction element as a who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22—Arrangements or mountings of driving mot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128—Belt conveyors
- B65G2812/02138—Common features for belt conveyors
- B65G2812/02148—Driving means for the be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ramework For Endless Conveyor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다중 컨베이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이송 컨베이어 라인에 배출 및 투입이 일괄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컨베이어 라인 구성시 투입, 이송, 배출이 하나의 라인에서 하나의 동력원으로 구성함으로써, 장소의 제약이 최소화되고, 다수의 컨베이어 및 동력 구성을 갖추어야 하는 경제적 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송 방향을 상하로 전환 가능함에 따라 컨베이어 라인 구성의 다양성이 확보될 수 있고, 벨트의 변형이나 손상없이 방향성의 전환이 용이하여 컨베이어 벨트의 장력에 무리를 주지 않고 간단한 각도 조정을 통해 물품 이송 방향을 결정할 수 있어 사용상 편의성이 확보되면서 유지보수비가 절감될 수 있는 다중 컨베이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conveyor system, and by allowing discharge and input to be carried out in a batch on a transfer conveyor line, input, transfer, and discharge are configured as one power source in one line when constructing a conveyor line, thereby reducing location restrictions Minimized, the economic burden of having multiple conveyors and power configurations can be minimized, and as the conveying direction can be switched up and down, the diversity of the conveyor line configuration can be secured, and the direction can be changed without deformation or damage to the bel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conveyor system that can reduce maintenance costs while securing convenience in use because it is easy to use, and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direction of transporting goods through simple angle adjustment without burdening the tension of the conveyor belt.
일반적으로 컨베이어는 일정한 거리를 자동적ㆍ연속적으로 재료나 물품을 운반하는 기계장치로서, 공장 내에서 부품이나 재료의 운반, 반제품의 이동, 항만ㆍ광산 등에서 석탄ㆍ광석 화물의 운반, 건설 현장에서 모래 등의 운반에 널리 사용되고 있고, 이와 같은 컨베이어는 공장에서는 운반 장치로서 뿐만 아니라 이동 작업대로 사용하며 대량 생산 방식의 기반이 되어 있다. In general, a conveyor is a mechanical device that automatically and continuously transports materials or goods over a certain distance, transporting parts or materials within a factory, moving semi-finished products, transporting coal and ore cargo in ports and mines, and sand, etc. at construction sites. It is widely used for the transportation of products, and such conveyors are used not only as conveying devices in factories but also as mobile workbenches, and are the basis for mass production methods.
상기 컨베이어로는 벨트 컨베이어, 롤러 컨베이어, 트롤리 컨베이어, 휠 컨베이어, 스크류 컨베이어, 체인 컨베이어 등 다양한 종류와 산업분야에 널리 쓰이고 있다. 이 중 대표적인 컨베이어로 떠올리는 것이 벨트 컨베이어이다. The conveyors are widely used in various types and industrial fields such as belt conveyors, roller conveyors, trolley conveyors, wheel conveyors, screw conveyors, and chain conveyors. Among them, the belt conveyor is the representative conveyor that comes to mind.
이와 같은 컨베이어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물건이나 재료를 운반하는 장치로서 통상 산업분야에서는 다음 공정으로 재료를 투입 또는 이송, 배출을 위해 각각 용도에 적합하게 설치하여 사용되고 있다. 대표적인 벨트 컨베이어를 예를 들면 모터에 의해 구동하는 구동부가 있고, 양단에 벨트풀리가 결합되어 있어 특정 방향으로 물건이나 재료를 이송하도록 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벨트가 무한 회전하도록 형성된다. As mentioned above, such a conveyor is a device for transporting goods or materials, and is usually installed and used for each purpose in order to input, transport, or discharge the material to the next process in the industrial field. In a typical belt conveyor, for example, there is a driving part that is driven by a motor, and belt pulleys are coupled to both ends so that the belt rotates infinitely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to transport goods or materials in a specific direction.
따라서, 산업분야에서 특정 물품이나 재료를 투입하고 이송하며 배출하기 위해서 각각의 해당 역할에 맞도록 컨베이어를 설계하여 배치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 컨베이어 시스템은 각각의 개별적으로 작동됨에 따라 장소의 제약이 따른다. 즉, 물건이나 재료를 투입하기 위한 투입 컨베이어를 설치하고, 투입된 물건이나 재료를 특정 위치로 이송하기 위한 이송 컨베이어가 별도 설치되며, 이송된 물건이나 재료에서 선별된 불량품의 배출이나 양품의 공급을 위해서 별도 배출 컨베이어를 설치하여 구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Therefore, in order to input, transport, and discharge specific goods or materials in the industrial field, conveyors are designed and arranged to fit their respective roles. These conventional conveyor systems are subject to location restrictions as each is operated individually. That is, an input conveyor is installed for inputting objects or materials, and a transfer conveyor is separately installed to transport the inserted objects or materials to a specific location. It is common to install and configure a separate discharge conveyor.
따라서, 이와 같은 종래의 컨베이어 시스템은 장소의 제약이 따르는 문제가 있고, 각각의 목적에 맞는 컨베이어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컨베이어를 설치해야 하는 경제적 부담이 가중되는 것이 현실이다. Therefore, such a conventional conveyor system has a problem with the restriction of the place, and in order to install a conveyor suitable for each purpose, the economic burden of installing a plurality of conveyors is aggravated.
예를 들면 물품을 이송하는 과정에서 불량품을 선별하고, 양품에 대하여는 포장공정으로 이송해야 하는 경우 종래에는 통상 벨트 컨베이어을 물품을 투입하는 공정에 설치하고, 투입공정에 설치된 벨트 컨베이어와 연결되면서 물품을 선별하는 공정까지 이송하기 위한 벨트 컨베이어가 설치되며, 물품을 선별하는 공정에서는 불량품을 배출하도록 벨트 컨베이어와 양품을 이송하기 위한 벨트 컨베이어가 설치된다. For example, in the case of selecting defective products in the process of transporting goods and transferring good products to the packaging process, conventionally, a belt conveyor is installed in the process of inputting the goods, and the goods are selected while connected to the belt conveyor installed in the input process. A belt conveyor is installed to transport the product to the process, and a belt conveyor is installed to discharge defective products and a belt conveyor to transport good products in the process of sorting products.
즉, 물품을 투입하고, 이송한 후, 선별 및 배출과 포장단개로의 배출을 위해서는 투입과 이송, 배출과 이송간에 각각의 벨트 컨베이어가 설치되어야만 전체 컨베이어 라인을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목적에 적합한 벨트 컨베이어를 설치한 후, 물품의 이송간의 전체 과정을 통해 컨베이어 라인을 구성하기 때문에 설치면적이 상당하고, 설치비용 역시 부담이 가중될 수 밖에 없는 실정이다. That is, the entire conveyor line can be configured only when each belt conveyor is installed between the input and the transfer, and the discharge and transfer for sorting, discharging, and discharging to the packaging stage after the goods are put in and transferred. Therefore, after installing the belt conveyor suitable for each purpose, since the conveyor line is configured through the entire process between transporting the goods, the installation area is considerable, and the installation cost is also inevitably increased.
또한, 종래의 컨베이어는 수평상으로 이동하는 것이 기본인 바, 물품을 아래측에서 상측으로 방향전환을 통해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여러가지 방법을 채택하여 사용되고 있는 데 그 중 대표적으로는 2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첫째는 2개의 컨베이어를 구성하되, 하나는 수평상으로 이동하는 컨베이어를 설치하고, 다른 하나는 높이차이가 있는 위치로 물품 이동을 위한 각도가 변경된 컨베이어를 설치하여 이송하는 방법과 둘째로 컨베이어의 일단부가 높이차이 만큼 상향위치되도록 하여 벨트가 곡선면을 가지면서 이동하도록 구성된 것이 있다.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conveyor is basically to move horizontally, and in order to move the article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through a direction change, various methods are adopted and used. . First, two conveyors are configured, one is to install a conveyor that moves horizontally, and the other is to install and transport a conveyor with a changed angle for moving goods to a position with a height difference. Second, one end of the conveyor In some cases, the belt is configured to move while having a curved surface by allowing the belt to be positioned upward by the height difference.
이를 살펴보면 첫 번째의 경우에는 2개의 컨베이어를 구성해야만 하기 때문에 설치장소의 제약과 더불어 경제적 부담이 가중될 수 있다. 두번째의 경우에는 수평상으로 이동되는 벨트가 상측으로 이동하기 위해 일단부측이 밸트풀리가 상향위치되기 때문에 수평과 수직간의 꺽이는 높이차이 만큼 벨트의 장력이 떨어지거나 과도하게 인가되는 문제가 있고, 벨트가 일정 각도로 꺽이는 문제로 인해 벨트의 내구성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Looking at this, in the first case, since two conveyors have to be configured, the economic burden may be increased along with the limitation of the installation location. In the second case, since the belt pulley at one end is positioned upward in order for the belt to be moved horizontally to move upward, the tension of the belt is reduced or excessively applied by the difference in height between horizontal and vertical bending. Due to the problem of bending at a certain angl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durability of the belt is significantly reduced.
이와 같은 벨트의 내구성 저하와 장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은 물품의 올바른 이송 능력을 떨어뜨리는 문제가 있고, 벨트의 손상이나 파손으로 인한 벨트 교체에 따른 유지보수로 인한 경제적 부담과 유지보수간에 전체 공정라인이 스톱됨에 따른 생산성 저하를 초래하는 문제가 발생된다. The problem of such a decrease in durability and tension of the belt is a problem in that the correct transport ability of goods is lowered, and the economic burden due to maintenance due to belt replacement due to damage or breakage of the belt and the entire process line stops between maintenance. As a result, there is a problem that causes a decrease in productivity.
따라서, 경제적 부담이 가중되더라도 두 번째의 방법보다는 첫 번째 방법으로 컨베이어를 복수 구성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하나의 컨베이어로 상하 방향전환이 필요한 구간에 벨트 풀리나 롤러의 위치만을 변경하여 하는 경우도 빈번하게 발생되어 상기와 같은 문제점은 현재 지속형으로 문제가 되고 있는 실정이다. Therefore, even if the economic burden is increased, it is common to configure a plurality of conveyors by the first method rather than the second method, but there are frequent cases where only the position of the belt pulley or roller is changed in a section where a vertical direction change is required with one conveyor. The above problems are currently becoming a persistent problem.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한 것으로, 투입, 이송, 배출을 위한 컨베이어 라인을 구성하기 위한 투입 컨베이어, 이송컨베이어, 배출컨베이어를 각각 별도 구비할 필요없이 투입, 이송, 선별, 배출이 일괄 가능하여 설치면적의 최소화가 가능하고, 하나의 컨베이어 라인에 제품이 투입, 이송, 선별, 배출에 따른 생산효율이 향상될 수 있으며, 하나의 동력으로 투입, 이송, 선별, 배출 컨베이어의 구동이 가능하여 제조비용 절감과 유지보수비의 절감이 가능한 다중 컨베이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and there is no need to separately provide an input conveyor, a transfer conveyor, and a discharge conveyor for configuring a conveyor line for input, transfer, and discharge.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installation area because sorting and discharging are possible at once, and the production efficiency can be improved according to the input, transport, sorting, and discharging of products on one conveyor lin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ulti-conveyor system capable of reducing manufacturing cost and maintenance cost by enabling the conveyor to be driven.
또한, 본 발명은 컨베이어 라인의 상하 방향으로 이송이 벨트, 체인과 같은 이송부재의 변형이나 손상없이 가능하고, 상하 방향에 대한 높이 편차에 따른 장력조절부재나 이송부재의 이탈방지부재 내지는 이송부재의 변형방지수단과 같은 부가적 시설을 설치하지 않고도 컨베이어 라인의 상하 이송방향 전환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사용편의성과 빠른 컨베이어 이송라인을 구성할 수 있는 다중 컨베이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the transfer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conveyor line without deformation or damage to the conveying members such as belts and chains, and the tension adjusting member or the separation preventing member of the conveying member or the conveying member according to the height devia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ulti-conveyor system capable of constructing a fast conveyor transfer line with ease of use as the vertical transfer direction of the conveyor line can be easily changed without installing additional facilities such as deformation prevention means.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컨베이어 시스템은 컨베이어가 상측에 결합되는 테이블 베이스(100)와; 테이블 베이스(100) 상측에 전후로 대칭되게 좌우로 길게 컨베이어 프레임(210)이 형성되고, 상기 테이블 베이스(100) 하측 일측으로 하나의 구동모터(220)가 구비되어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작동되는 드라이브 풀리(230)가 형성되며, 상기 테이블 베이스(100) 상측에 형성되는 컨베이어 프레임(210) 좌우로 벤드풀리(240)가 각각 마련되고, 상기 드라이브 풀리(230)와 벤드 풀리(240)에 벨트결합되어 드라이브 풀리의 회전력에 의해 무한 회전작동되는 이송벨트(250)가 형성된 메인 컨베이어(200)와; 상기 컨베이어 프레임(210)의 좌우에 위치되는 벤드 풀리(240) 중 어느 하나의 벤드 풀리 축선상 일측으로 축선이 연장되어 위치에 벤드 풀리의 회전력을 인가받아 동시회전하는 종동 드라이브 풀리(300)와; 서브 컨베이어 프레임(410)이 형성되고, 상기 메인 컨베이어(200)와 동일 면상에서 좌우로 서브 벤드풀리(420)가 대칭 형성되며, 대칭 형성된 서브 벤드풀리(420)에 서브 이송벨트(430)가 벨트결합되어 무한 회전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서브 벤드풀리(420) 중 어느 하나는 종동 드라이브 풀리(300)가 결합되는 상기 메인 컨베이어(200)의 벤드풀리(240)와 서로 마주보며 나란히 평행을 이루도록 테이블 베이스(100) 좌우 어느 한 끝단측으로 결합되는 서브 컨베이어(400)와; 상기 서브 컨베이어(400)의 서브 벤드풀리(420) 중 종동 드라이브 풀리(300)와 서로 마주보며 나란히 평행을 이루는 서브 벤드풀리(420)의 축선상 일측으로 상기 종동 드라이브 풀리(300)의 회전력을 전달받도록 종동 드라이브 풀리(300)와 벨트결합되는 서브종동 드라이브풀리(500)와; 상기 서브 컨베이어 프레임(410) 상측 또는 하측에 전후로 대칭결합되고, 상기 메인 컨베이어(200)의 종동 드라이브 풀리(300)가 형성된 벤드풀리(240)와 서로 마주보는 서브 벤드풀리(420)의 축선이 기준이 되어 상기 서브 컨베이어(400)가 상하로 선회조정되도록 마련된 각도 조정수단(600);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is object, the multi-conveyor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여기서, 상기 각도 조정수단(600)은 일측이 상기 메인 컨베이어(200)의 컨베이어 프레임(210)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서브 컨베이어 프레임(410)의 서브종동 드라이브 풀리(500)가 형성되는 서브 벤드풀리(420)의 축선상 회전간섭이 없도록 연장형성되는 고정커버(610)와; 상기 서브 컨베이어(400) 측으로 연장된 고정커버(610) 외측으로 상측 또는 하측에 수직형성되어 전후 대칭되는 지지암(620)과; 상기 지지암(620)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서브 컨베이어 프레임(410)에 결합되어 상기 서브 컨베이어(400)의 서브 컨베이어 프레임(410)을 상하 선회되도록 밀고 당기는 푸싱 부재(630);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Here, the angle adjusting means 600 has one side fixed to the
한편, 상기 서브 컨베이어(400)가 선회작동 후 상기 푸싱 부재에 의해 복귀시, 상기 메인 컨베이어(200)와 동일 면상에 위치되게 선회가 제한되도록 상기 서브 컨베이어 프레임(410)의 상측 또는 하측 일면에 접하도록 상기 고정커버(610)의 외측에 상측 또는 하측으로 "┓" 또는 "┛" 형상으로 절곡되는 스톱퍼(640)가 더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나아가, 상기 서브 컨베이어(400)와 서브종동 드라이브 풀리(500), 각도조정수단(600)을 상기 메인 컨베이어(200) 좌우에 동시 구성하여 투입, 이송, 배출이 하나의 컨베이어 라인에서 하나의 구동모터의 구동력으로 이루어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다수의 서브 컨베이어(400)를 동일선상 및 동일 면상에 일렬로 나열하고, 서브종동 드라이브 풀리(500)를 지그재그로 연속 구성하여 벨트 결합하도록 함으로써, 하나의 구동모터의 구동력으로 다수의 서브 컨베이어(400)의 구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more, the
본 발명은 투입, 이송, 배출을 위한 컨베이어 라인을 구성하기 위한 투입 컨베이어, 이송컨베이어, 배출컨베이어를 각각 별도 구비할 필요없이 투입, 이송, 선별, 배출이 일괄 가능하여 설치면적의 최소화가 가능하고, 하나의 컨베이어 라인에 제품이 투입, 이송, 선별, 배출에 따른 생산효율이 향상될 수 있으며, 하나의 동력으로 투입, 이송, 선별, 배출 컨베이어의 구동이 가능하여 제조비용 절감과 에너지 절감 및 유지보수비의 절감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installation area because input, transfer, sorting, and discharge are possible at once without the need to separately provide an input conveyor, a transfer conveyor, and a discharge conveyor for configuring a conveyor line for input, transfer, and discharge. Production efficiency can be improved according to the input, transfer, sorting, and discharge of products on one conveyor line, and the input, transfer, sorting, and discharge conveyors can be driven with a single power to reduce manufacturing costs, energy savings, and maintenance costs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reduce
또한, 본 발명은 컨베이어 라인의 상하 방향으로 이송방향을 조정할 수가 있어 이송간에 벨트, 체인과 같은 이송부재의 변형이나 손상없이 가능하고, 상하 방향에 대한 높이 편차에 따른 장력조절부재나 이송부재의 이탈방지부재 내지는 이송부재의 변형방지수단과 같은 부가적 시설을 설치하지 않고도 컨베이어 라인의 상하 이송방향 전환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사용편의성과 빠른 컨베이어 이송라인을 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adjust the conveying direc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conveyor line, so that it is possible without deformation or damage to the conveying members such as belts and chains between conveying, and the tension adjusting member or the separation of the conveying member according to the height devia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vertical transfer direction of the conveyor line can be easily changed without installing additional facilities, such as an preventing member or a deformation preventing means of the transfer member, so that it is possible to construct a fast conveyor transfer line with convenience of us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컨베이어 시스템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컨베이어 시스템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컨베이어 시스템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컨베이어 시스템의 평단 간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컨베이어 시스템의 서브 컨베이어의 하향 선회작동 모습을 보인 전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컨베이어 시스템의 서브 컨베이어의 하향 선회 작동 모습을 보인 요부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컨베이어 시스템의 서브 컨베이어의 상향 선회작동 모습을 보인 전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컨베이어 시스템의 서브 컨베이어의 상향 선회 작동 모습을 보인 요부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컨베이어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컨베이어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 간략도이다.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컨베이어 시스템의 다양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 간략도이다.
1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of a multi-conveyor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main part of a multi-conveyor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multi-conveyor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implified top plan view of a multi-conveyor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ownward turning operation of the sub-conveyor of the multi-conveyor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ide view of the main part showing the downward turning operation of the sub-conveyor of the multi-conveyor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showing an upward turning operation of a sub-conveyor of a multi-conveyor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ide view of a main part showing an upward turning operation of a sub conveyor of a multi-conveyor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multi-conveyor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simplified plan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multi-conveyor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to 13 are schematic plan views illustrating various other embodiments of a multi-conveyor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수의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a number of different forms.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들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In this specification, the present embodiment is provided so that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 and to fully inform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Accordingly, in some embodiments, well-known components, well-known operations, and well-known techniques have not been specifically described in order to avoid obscuring the present invention.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결코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In addition, the terms used (mentioned) herein are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any way. 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also includes the plural,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phrase. In addition, elements and operations referred to as 'include (or include)' do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elements and operations.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may be used with the meaning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Also,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y are not to be interpreted ideally or excessively unless defined.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컨베이어 시스템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echnical featur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multi-conveyor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컨베이어 시스템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컨베이어 시스템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컨베이어 시스템의 측면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컨베이어 시스템의 평단 간략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컨베이어 시스템의 서브 컨베이어의 하향 선회작동 모습을 보인 전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컨베이어 시스템의 서브 컨베이어의 하향 선회 작동 모습을 보인 요부 측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컨베이어 시스템의 서브 컨베이어의 상향 선회작동 모습을 보인 전체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컨베이어 시스템의 서브 컨베이어의 상향 선회 작동 모습을 보인 요부 측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컨베이어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컨베이어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 간략도이며,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컨베이어 시스템의 다양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 간략도이다.1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of a multi-conveyor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main parts of a multi-conveyor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multi-conveyor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A simplified plan view of a multi-conveyor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showing a downward turning operation of a sub-conveyor of a multi-conveyor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sub-conveyor of a multi-conveyor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main part side view showing the downward turning operation, FIG. 7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upward turning operation of the sub conveyor of the multi conveyor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the upward turning of the sub conveyor of the multi conveyor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main part side view showing the operation state, Figure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multi-conveyor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simplified plan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multi-conveyor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to 13 are schematic plan views illustrating various other embodiments of a multi-conveyor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컨베이어 시스템은 하나의 동력으로 하나의 컨베이어 라인에서 투입, 이송, 배출이 가능하고, 장소의 제약이 없이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 컨베이어를 상하로 조정하여 이송 대상물의 이송이 가능하며, 연속적 배열을 통해 설치장소의 다양한 요건에 맞추어 다양한 목적과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중 컨베이어 시스템은 테이블 베이스(100), 메인컨베이어(200), 종동 드라이브 풀리(300), 서브 컨베이어(400), 서브종동 드라이브풀리(500), 각도 조정수단(600)으로 구성된다. The multi-conveyor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input, transfer, and discharge in one conveyor line with one power, and it is possible to transfer the object to be transported by adjusting the conveyor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location without restriction of place, It is possible to perform various purposes and functions according to the various requirements of the installation site through a continuous arrangement, and as shown in FIGS. It is composed of a
상기 테이블 베이스(100)는 컨베이어를 구동하기 위한 후술되는 구동모터 및 제어를 위한 컨트롤러가 결합되는 것으로, 일반적인 사각의 프레임으로 제작된다. 또한, 통상 작업자가 쉽게 작업할 수 있을 정도의 높이를 가지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작업자가 필요없는 구간에서는 현장 상황에 따라 높이가 결정되는 것으로, 테이블 베이스(100) 상측에 컨베이어가 결합되어 컨베이어를 받쳐주게 된다. The
상기 메인 컨베이어(200)는 통상의 벨트 컨베이어로 구성된 것으로, 테이블 베이스(100) 상측에 전후로 대칭되게 좌우로 길게 컨베이어 프레임(210)이 형성된다. 상기 컨베이어 프레임에는 이송벨트 상에 이송대상물의 하중을 견디면서 구름운동하도록 가이드롤러(도시 없음)가 다수 배열되거나 하중을 지지하고, 이송벨트의 이동간에 마찰이 최소화되면서 미끄러지듯 작동되도록 받침부재(도시 없음)가 구성된다. The
그리고, 상기 테이블 베이스(100) 하측 일측으로 하나의 구동모터(220)가 구비되어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작동되는 드라이브 풀리(230)가 형성된다. 여기서 드라이브 풀리(230)는 구동모터(220)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후술되는 이송벨트의 무한 회전이 가능하도록 회전력을 전달하는 것으로, 구동모터의 모터축에 결합되는 풀리와 벨트결합되어 이송벨트가 무한회전하게 회전력을 전달한다. In addition, one driving
한편, 상기 테이블 베이스(100) 상측에 형성되는 컨베이어 프레임(210) 좌우로 벤드풀리(240)가 각각 마련된다. 벤드풀리(240)는 전술한 드라이브 풀리의 회전력에 따라 회전하는 이송벨트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는 것으로, 이송벨트의 방향전환을 통해 무한 회전되도록 마련되고, 이송벨트의 장력을 유지함과 더불어 이송 대상물의 이송거리에 해당되는 거리로 좌우 대칭 구비된다. 즉, 이송벨트가 좌측에서 우측으로 진행시, 이송 대상물은 이송벨트의 상단에 위치되고, 이송 벨트의 작동에 따라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송 대상물이 위치이동하는 이송 거리가 된다. Meanwhile, bend pulleys 240 are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여기서, 본 발명에는 상기 벤드풀리(240)가 컨베이어 프레임의 좌우 양단에 구성되어 있지만 컨베이어 프레임 좌우측 중 어느 한 측으로 드라이브 풀리가 구성되어 작동될 수 있기 때문에 드라이브 풀리가 좌우측 중 어느 한 측으로 구성될 경우에는 후술되는 종동 드라이브 풀리가 드라이브 풀리의 축선상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in the present invention, although the
나아가, 본 발명의 메인 컨베이어(200)는 이송 벨트(250)에 의해 이송 대상물을 구간 이동하도록 구성한 것으로, 전술한 상기 드라이브 풀리(230)와 벤드 풀리(240)에 벨트결합되어 드라이브 풀리의 회전력에 의해 무한 회전작동되는 이송벨트(250)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의 메인 컨베이어(200)는 이송벨트에 의한 벨트 컨베이어 이지만 체인에 의한 체인컨베이어 등 무한 회전 가능한 다양한 구성이 적용된 컨베이어로 구성하여도 동일한 역할을 수행한다. Furthermore, the
상기 종동 드라이브 풀리(30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컨베이어(200)의 하나의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별도의 구동모터 구비 없이도 후술되는 서브 컨베이어가 작동되도록 마련된 것으로, 상기 컨베이어 프레임(210)의 좌우에 위치되는 벤드 풀리(240) 중 어느 하나의 벤드 풀리 축선상 일측으로 축선이 연장되어 위치에 벤드 풀리의 회전력을 인가받아 동시회전하도록 구성된다. As shown in FIGS. 3 and 4, the driven
여기서, 상기 종동 드라이브 풀리(300)는 앞서 잠시 언급한 바와 같이, 메인 컨베이어(200)의 드라이브 풀리(230)가 컨베이어 프레임 좌우에 형성되는 벤드 풀리(240) 중 어느 하나의 벤드 풀리 위치에 대체 적용이 된 경우에는 상기 종동 드라이브 풀리(300)는 드라이브 풀리(230)의 축선상 일측으로 연장되어 구동모터의 구동력 전달이 보다 향상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Here, as mentioned briefly above, the driven
상기 서브 컨베이어(400)는 전술한 종동 드라이브풀리(300)의 구동력을 후술되는 서브종동 드라이브풀리(400)로 전달하고, 서브종동 드라이브풀리(400)는 별도의 구동모터의 역할을 수행하여 서브 컨베이어(400)가 작동되도록 마련되며, 서브 컨베이어(400)는 도 3 및 도 5,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각도 조작이 가능하여 투입 내지는 배출 컨베이어로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The sub-conveyor 400 transfers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en
이와 같은 상기 서브 컨베이어(400)는 앞서 설명한 메인 컨베이어(200)와 같이 서브 컨베이어 프레임(410), 서브 벤드 풀리(420), 서브 이송벨트(430)로 구성되되, 상기 구성을 작동하기 위한 동력은 메인 컨베이어(200)의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작동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서브 컨베이어(400)는 전술한 메인 컨베이어(200)의 컨베이어 프레임 외측으로 연장선상에 서브 컨베이어 프레임(410)이 형성되고, 상기 메인 컨베이어(200)와 동일 면상에서 좌우로 서브 벤드풀리(420)가 대칭 형성되며, 대칭 형성된 서브 벤드풀리(420)에 서브 이송벨트(430)가 벨트결합되어 무한 회전하도록 마련된다. Like the
여기서, 상기 서브 컨베이어(400)의 서브 벤드풀리(420) 중 어느 하나는 종동 드라이브 풀리(300)가 결합되는 상기 메인 컨베이어(200)의 벤드풀리(240)와 서로 마주보며 나란히 평행을 이루도록 테이블 베이스(100) 좌우 어느 한 끝단측으로 결합된다. 즉, 메인 컨베이어(200)의 이송방향이 좌에서 우로 진행시, 배출 컨베이어로서 역할을 수행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서브 컨베이어(400)는 우측에 결합되어 구성되고, 투입 컨베이어로 구성시에는 서브 컨베이어(400)는 좌측에 결합되게 구성된다. Here, any one of the
상기 서브종동 드라이브풀리(5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메인 컨베이어(200)의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드라이브 풀리(230)를 통해 종동 드라이브풀리(300)로 전달되면 종동 드라이브풀리(300)의 구동력을 다시 전달받아 서브 컨베이어가 별도의 구동모터 없이 작동되도록 마련된 것으로, 상기 서브종동 드라이브풀리(500)는 서브 컨베이어(400)의 서브 벤드풀리(420) 중 종동 드라이브 풀리(300)와 서로 마주보며 나란히 평행을 이루는 서브 벤드풀리(420)의 축선상 일측으로 상기 종동 드라이브 풀리(300)의 회전력을 전달받도록 종동 드라이브 풀리(300)와 벨트결합된다. As shown in FIG. 4, the sub-driven drive
상기 각도 조정수단(600)은 서브 컨베이어(400)가 메인 컨베이어(200)와 동일 수평면상에서 작동되도록 구성되되, 배출 또는 투입, 이송위치의 조정에 따라 서브 컨베이어가 메인 컨베이어를 동일 수평면상을 기준으로 일측이 상하로 각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브 컨베이어 프레임(410) 상측 또는 하측에 전후로 대칭결합되고, 상기 메인 컨베이어(200)의 종동 드라이브 풀리(300)가 형성된 벤드풀리(240)와 서로 마주보는 서브 벤드풀리(420)의 축선이 기준이 되어 상기 서브 컨베이어(400)가 상하로 선회조정되도록 마련된다.The angle adjusting means 600 is configured such that the sub-conveyor 400 operates on the same horizontal plane as the
여기서, 상기 각도 조정수단(600)은 고정커버(610), 지지암(620), 푸싱부재(630)로 구성된다. Here, the angle adjusting means 600 is composed of a fixed
상기 고정커버(610)는 서버 컨베이어(400)가 선회작동시, 서브종동 드라이브 풀리(500) 측이 선회축 역할 수행과 후술되는 지지암과 푸싱부재의 결합을 통한 서버 컨베이어의 상하 선회작동이 원할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지지하기 위해 메인 컨베이어(200)에 일단이 고정되도록 구성된 것으로, 상기 각도 조정수단(600)은 일측이 상기 메인 컨베이어(200)의 컨베이어 프레임(210)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서브 컨베이어 프레임(410)의 서브종동 드라이브 풀리(500)가 형성되는 서브 벤드풀리(420)의 축선상 회전간섭이 없도록 연장형성된다. The fixed
상기 지지암(620)은 후술되는 푸싱부재(630)의 일단부가 지지되어 서브 컨베이어(400)의 서브종동 드라이브 풀리(500)가 형성된 반대편측이 푸싱부재에 의해 상하로 푸싱되어 서브종동 드라이브 풀리(500)가 결합된 서브 벤드풀리의 축선을 기준으로 선회작동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서브 컨베이어(400) 측으로 연장된 고정커버(610) 외측으로 상측 또는 하측에 수직형성되어 전후 대칭구성된다. 즉, 상기 서브컨베이어가 상측으로 선회작동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지지암은 고정커버(610) 외측 상측으로 기립형성되고, 서브컨베이어가 하측으로 선회 작동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지지암은 고정커버 외측 하측으로 하향 기립되게 형성된다. 다만, 설치현장의 상태에 따라서는 고정커버의 상하측 중 어느 한 측에 결합되어 서브 컨베이어의 일측이 상하로 작동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The
상기 푸싱부재(630)는 상기 서브 컨베이어(400)의 서브종동 드라이브 풀리(500)가 결합된 서브 벤드풀리의 축이 선회축이 되어 상하 선회되도록 반대편측 서브 벤드풀리를 상측 또는 하측으로 푸싱하거나 상하측으로 푸싱 내지는 풀링하여 서브 컨베이어의 각도가 메인 컨베이어의 수평면을 기준으로 상하 선회되도록 마련된 것으로, 상기 지지암(620)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서브 컨베이어 프레임(410)에 결합되어 상기 서브 컨베이어(400)의 서브 컨베이어 프레임(410)을 상하 선회되도록 밀고 당기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푸싱 부재(630)는 공압 실린더, 유압 실린더, 볼 스크류, 링크 구성 중 어느 하나의 구성으로 형성할 수 있다. The pushing
상기 스톱퍼(640)는 상기 서브 컨베이어(400)가 선회작동 후 상기 푸싱 부재에 의해 복귀시, 상기 메인 컨베이어(200)와 동일 면상에 위치되게 선회가 제한되도록 상기 서브 컨베이어 프레임(410)의 상측 또는 하측 일면에 접하도록 상기 고정커버(610)의 외측에 상측 또는 하측으로 "┓" 또는 "┛" 형상으로 절곡형성된다. 즉, 앞서 상술한 푸싱 부재(630)를 통해 메인 컨베이어(200)와 동일한 수평면을 서브 컨베이어(400)가 위치되도록 조정할 수 있지만 스톱퍼(640)를 구성함으로써, 푸싱부재(630)의 과작동이나 오작동에도 메인 컨베이어(200)와 서브 커베이어(400)간의 수평을 유지할 수 있다. The
나아가, 상기 서브 컨베이어(400)와 서브종동 드라이브 풀리(500), 각도조정수단(600)을 상기 메인 컨베이어(200) 좌우 중 어느 하나 또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에 동시 구성하여 이송-배출, 투입-이송-배출이 하나의 컨베이어 라인에서 하나의 구동모터의 구동력으로 이루어지도록 형성할 수 있고,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서브 컨베이어(400)를 동일선상 및 동일 면상에 일렬로 나열하고, 서브종동 드라이브 풀리(500)를 지그재그로 연속 구성하여 벨트 결합하도록 함으로써, 하나의 구동모터의 구동력으로 다수의 서브 컨베이어(400)의 구동이 가능하다. Furthermore, the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은 하나의 동력구성으로 투입, 이송, 배출의 컨베이어 라인 구성이 가능하고, 현장 설치시 이송 위치에 따라 컨베이어의 각도 조정을 통한 이송벨트의 무리한 변형 없이 컨베이어 라인을 구성할 수 있어 설치비 절감과 설치면적의 최소화 및 유지보수의 간편성이 가능한 것으로, 아래 실시예를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such a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configure a conveyor line of input, transfer, and discharge with one power configuration, and when installing on-site, the conveyor line can be configured without excessive deformation of the transfer belt through angle adjustment of the conveyor according to the transfer position. Therefor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installation cost, minimize the installation area, and simplify maintenance.
<실시예 1><Example 1>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컨베이어 시스템을 통해 이송 및 배출을 위한 컨베이어 라인을 구성하고자 할 경우에는 우선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상물을 이송하기 위한 구간에 이르는 거리에 따라 테이블 베이스(100)의 길이를 결정하여 메인 컨베이어(200)를 구성한다. 메인 컨베이어에는 벨트를 구동하기 위한 동력원으로 하나의 구동모터(220)가 테이블베이스(100)에 하부측에 구성된다. If you want to configure a conveyor line for transport and discharge through the multi-conveyor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rst, as shown in FIGS. 5 and 6, according to the distance to the section for transporting the object, the
상기와 같이 테이블베이스(100)에 메인컨베이어(200)가 구성되면 대상물이 이송된 후, 최종 단계에서 포장상자 내부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배출을 위한 용도의 컨베이어가 상기 메인컨베이어를 구동시키는 하나의 구동모터(22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별도의 동력원 없이도 무한 회전하도록 형성한다. 여기서, 배출을 위한 서브 컨베이어에 동력을 전달하고자 할 경우, 메인 컨베이어의 이송방향의 최종 단부측에 형성되는 밴드풀리(240)에 서브 밴드풀리(420)가 마주보도록 배치하여 구동모터(220)의 회전력을 드라이브풀리-벨트-밴드풀리를 거쳐 동일축선상 외측으로 종동 드라이브 풀리(300)를 회전하도록 하고, 배출 컨베이어가 될 서브컨베이어(400)의 마주보는 서브 벤드풀리(420)의 축선상 일측으로 서브종동 드라이브풀리(500)가 형성되어 종동 드라이브 풀리(300)의 회전력을 벨트결합을 통해 전달받도록 구성한다.When the
이후, 종동드라이브 풀리(300)의 회전력을 전달받은 서브종동 드라이브 풀리(500)가 회전하면서 서브 컨베이어(400)의 메인 컨베이어측을 바라보는 일측의 서브 벤드풀리(420)-서브 이송벨트(430)-메인 컨베이어측 반대편측 서브 벤드풀리(420) 순으로 회전하면서 서브 이송벨트(430)가 무한회전하도록 구성된다. Thereafter, the sub-driven drive
다음으로, 각도조정수단(600)의 고정커버(610)의 일측이 메인 컨베이어(200)의 컨베이어 프레임(210)에 고정하여 컨베이어 프레임 외측으로 나란히 수평하도록 전후 대칭되게 형성한다. 그리고, 전방으로 서브 컨베이어(400) 측의 서브종동 드라이브풀리(500) 외측으로 선단이 연장되게 구성하여 서브종동 드라이브풀리(500)의 외측을 회전가능하게 축을 고정하여 안정적으로 회전되도록 한다. Next, one side of the fixing
이후, 각도조정수단(600)의 지지암(620)을 서브 컨베이어(400)측으로 선단이 연장된 고정커버(610)측에 결합하되, 지지암(620)의 위치는 서브 컨베이어(400)의 중앙에서 대상물이 이송되어 배출되는 위치측으로 치우치게 결합한다. 이렇게 결합된 지지암(620)측에는 푸싱부재(630)의 상단이 결합되도록 구성하고, 푸싱부재(630)의 하단은 서브 컨베이어(400)의 서브 컨베이어 프레임(410)에 결합되도록 하여 푸싱부재의 작동에 따라 서브 컨베이어(400)가 서브 종동 드라이브풀리(500)가 결합된 서브 벤드풀리(420)의 축을 기준으로 하향 선회작동되게 구성한다. Thereafter, the
상기와 같이 이송 컨베이어로서 메인 컨베이어(200)를 구성하고, 배출컨베이로서 서브 컨베이어(400)를 구성시, 메인 컨베이어(200)의 벤드 풀리(240)와 서브 컨베이어(400)의 서브 벤드풀리(420)가 나란히 마주보는 가운데 각각의 회전축이 나란히 평행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서브 컨베이어(400)가 하향 선회가 가능하게 된다. 즉, 메인컨베이어의 벤드풀리와 마주보는 측의 서브 벤드풀리(420)가 선회 기준축이 되고, 선회 기준축을 기준으로 푸싱부재(630)에 의해 서브 컨베이어가 하향선회작동되어 바닥측에 위치된 포장박스 내로 대상물을 안전하게 수용되도록 배출이 가능하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즉, 단순히 수평한 상태의 메인컨베이어와 구성하여 배출하게 되면 메인 컨베이어와 포장박스 간의 높이차로 인해 대상물이 최종 이송되어 배출되는 시점에서 높이차에 따른 낙하 배출이 되고, 이로 인해 대상물이 충격을 받아 파손되거나 손상될 수 있어 포장박스에 서브 컨베이어(400)의 배출되는 선단부가 근접하여 배출하게 됨에 따라 대상물의 파손이나 손상이 최소화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포장박스의 크기에 따라 서브 컨베이어의 하향 선회작동의 각도를 조정할 수 있어 다양한 제품을 다양한 포장상자의 크기에 적합한 위치로 배출하여 파손이나 손상없이 수용할 수 있다. That is, if it is simply composed with the main conveyor in a horizontal state and discharged, the object is finally transported and discharged due to the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main conveyor and the packaging box, and the object is dropped and discharged according to the height difference, which causes the object to be impacted and damaged As the discharging tip of the sub-conveyor 400 approaches the packaging box and discharges, damage or damage to the object can be minimize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angle of the downward turning operation of the sub conveyor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packaging box, so that various products can be discharged to a position suitable for the size of various packaging boxes and accommodated without damage or damage.
여기서, 서브 컨베이어(400)가 푸싱부재(630)의 복귀에 따라 다시 메인컨베이어(200)와 나란히 수평을 이루도록 하기 위해서는 푸싱부재의 복귀되는 위치를 조정할수 도 있지만 스톱퍼(640)를 구성함으로써, 푸싱부재의 과작동에 따른 수평위치 오류발생을 기계적 구성인 스톱퍼를 통해 정확한 수평위치로 복귀가 가능하여 대상물 이송이나 배출과정에서 보다 정밀한 이송 및 배출이 가능하다. Here, in order for the
<실시예 2><Example 2>
또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도조정수단(600)의 푸싱부재(630)나 지지암(620)의 위치를 고정커버(610)의 아래측으로 설치함을써, 서브 컨베이어의 선회각도를 하향 선회가 아닌 상향선회로 변경이 가능함에 따라 이송이나 배출위치의 변경으로 인한 이송벨트의 각도 변경이 없어 이송벨트의 변형이나 손상이 없고, 하나의 동력원으로 다양한 선회각도의 조정이 가능함에 따라 보다 경제적이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S. 7 and 8, by installing the position of the pushing
<실시예 3><Example 3>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테이블 베이스(100), 메인컨베이어(200), 종동 드라이브 풀리(300), 서브 커베이어(400), 서브종동 드라이브풀리(500), 각도조정수단(600)의 구성을 통해 앞서 설명한 <실시예 1>과 같이 메인 컨베이어(200), 서브 컨베이어(400)의 2단 구성에 하나의 서브 컨베이어(400) 구성을 서브 컨베이어(400)의 이송 배출되는 선단측에 나란히 배열하여 메인컨베이어(200)-서브컨베이어(400)-또 다른 서브컨베이어(400)의 3단으로 컨베이어 라인을 구성하게 될 경우 서브 컨베이어(400)의 서브 이송벨트(430)를 구동하는 서브종동 드라이브 풀리(500)가 결합된 서브 벤드풀리(420)의 반대편측에 또 다른 서브 컨베이어(400)를 구동시키기 위한 서브종동 드라이브 풀리(500)를 결합하여 구성함으로써, 메인 컨베이어(200)의 동력전달을 위한 선단측과 마주보는 서브 컨베이어(400)의 서브 벤드풀리(420)의 전후로 서브종동 드라이브풀리(500)가 대칭되게 구성한다. 9 and 10, the
이후, 또 다른 서브 컨베이어(400)에는 서브 컨베이어의 이송 선단부측과 마주보는 서브 벤드풀리(420)에 앞서 <실시예 1>과 같이 서브종동 드라이브 풀리를 구성하여 벨트연결을 통해 동력을 전달받도록 구성한다. Then, in another sub-conveyor 400, a sub-driven drive pulley is configured as in <Embodiment 1> prior to the
즉, 메인컨베이어의 구동모터에 의한 드라이브풀리의 구동력을 받는 벤드풀리에 종동 드라이브풀리가 축결합되고, 종동 드라이브풀리의 구동력을 서브 컨베이어의 서브종동 드라이브풀리가 전달받아 구동하게 되며, 서브종동 드라이브풀리가 반대편측에도 대칭되게 구성하여 또 다른 서브컨베이어의 서브종동 드라이브 풀리를 구동하도록 벨트결합하여 또 다른 서브컨베이어가 구동하도록 동력 전달과정이 지그 재그 형태로 구성되도록 한다. That is, the driven drive pulley is shaft-coupled to the bend pulley that receives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e pulley by the drive motor of the main conveyor, and the sub-driven drive pulley of the sub conveyor receives and drives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en drive pulley, and the sub-driven drive pulley is also configured symmetrically on the opposite side so that the power transmission process is configured in a zigzag form so that another sub-conveyor is driven by belt coupling to drive the sub-driven drive pulley of another sub-conveyor.
이와 같은 지그재그 형태의 동력전달과정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 컨베이어의 이송 후단부의 서브 벤드풀리측과 또 다른 서브 컨베이어의 이송 선단부와 직렬방식으로 결합하게 되면 구동력이 전달되는 과정에서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되어 메인 컨베이어의 이송 후단측으로 연결되는 서브 컨베이어의 이송벨트의 무한 회전하는 속도의 제약이 따르게 되기 때문에 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병렬방식의 지그재그 형태로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동력손실을 보다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렬형식의 동력전달 구성은 서브 컨베이어의 각도조정수단의 결합에 따란 상하 각도 조정을 위한 상하 선회가 개별적으로 불가능하다. 다만, 직렬형식의 동력전달 구성은 서브 컨베이어간의 상하로 오르고 내리고를 반복하는 요철형태의 구성을 가질 때 적용가능하다. As shown in FIG. 13, in this zigzag-type power transmission process, when the sub-bend pulley side of the transport rear end of the sub conveyor and the transport tip of another sub conveyor are combined in a series manner, the driving force is significantly lowered in the process of transmitting the power. As a problem occurs and the limit of the speed of infinite rotation of the transfer belt of the sub conveyor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main conveyor follows, as shown in FIGS. 9 to 11, in a parallel zigzag form to minimize this By configuring so as to transmit the driving force, the power loss can be further minimized. In addition, as shown in FIG. 13 , in the serial type power transmission configuration, it is impossible to individually turn up and down for vertical angle adjustment according to the combination of the angle adjusting means of the sub conveyor. However, the serial type power transmission configuration is applicable when it has a concave-convex configuration that repeats up and down between sub conveyors.
즉, 서버 컨베이어가 다수 연결시, 메인컨베이어로부터 최초 서브컨베이어가 상측으로 선회작동되면 그 다음 서브 컨베이어는 하측을 향하도록 구성되어 이를 반복적으로 구성하여 마치 요철을 넘나드는 형태로 구성할 수 있고, 설치 목적에 따라 연결된 서브 컨베이어 모두가 상측 또는 하측으로 연속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할 때 사용이 가능하나 이는 동력손실이 많이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바람직하지 못하다.That is, when multiple server conveyors are connected, when the first sub conveyor turns upward from the main conveyor, the next sub conveyor is configured to face downward and repeatedly configured to cross the unevenness. Depending on the purpose, it can be used when all of the connected sub-conveyors are configured to be continuously connected to the upper or lower side, but this is not preferable except in special cases where power loss is high.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하게 되면 대상물이나 제품을 이송하는 과정에서 불량품을 식별하여 중간에 배출하고, 양품은 또 다른 서브 컨베이어를 따라 계속해서 이동하여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불량품과 양품의 식별을 위한 컨베이어 라인을 구성할 수 있다. Therefore, whe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defective products are identified in the process of transporting an object or product and discharged in the middle, and the good products are continuously moved along another sub-conveyor to be discharged. can be configured.
<실시예 4><Example 4>
이와 같은 서브 컨베이어(400)를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속적으로 다수 구성할 경우에는 각 단계의 서브 컨베이어에 이송 물품을 식별하는 별도의 센서를 적용하여 다양한 물품을 각각 구별하여 별도로 각각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제품 식별 컨베이어 라인도 구성할 수 있게 되어 산업현장에서 보다 효율적 사용이 가능하다. As shown in FIG. 11, when a plurality of
<실시예 5><Example 5>
또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 컨베이어(400)를 메인 컨베이어(200)의 이송 선단과 후단에 각각 구성하여 투입 및 배출 컨베이어로서 서브 컨베이어를 메인 컨베이어 이송 선단과 후단에 구성하여 사용도 가능하며, 투입의 경우 메인컨베이어의 이송간 수평위치와 높이가 다를 경우 더욱 효과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즉, 각도조정수단(600)을 통해 투입 단계에서의 컨베이어의 이송 선단부의 각도를 상측이나 하측으로 선회작동함으로써, 작업자가 대상물을 과도하게 들어올리거나 허리를 굽히는 과정없이 투입이 가능하고, 배출되는 위치 역시 동일하게 작업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12 , the sub-conveyor 400 is configured at the transfer front and rear ends of the
한편, 덧붙인다면 앞서 상술한 구동모터(220)의 구동력이 드라이버풀리(230)를 통해 종동 드라이브 풀리(300)로 전달되어 메인 컨베이어가 가동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상기 구동모터(220)의 구동력을 종동 드라이브 풀리(300)로 직접 전달되도록 하여 메인 컨베이어를 작동하여도 바람직하며, 이하, 실시예에 따른 구동력 역시 동일하게 구동모터(220)의 구동력이 종동 드라이브 풀리(300)로 직접 전달되면서 메인 컨베이어의 구동에 따른 서브 컨베이어가 구동되도록 하여도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if it is added, the driving force of the above-described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하나의 실시예로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수의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명백한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와 실질적 균등범위까지 포함된다 할 것이다.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In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as one embodiment,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is clear that many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It will be included to a range substantially equivalent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chnical feature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100 : 테이블 베이스 200 : 메인 컨베이어
210 : 컨베이어 프레임 220 : 구동모터
230 : 드라이브 풀리 240 : 벤드 풀리
250 : 이송벨트 300 : 종동 드라이브 풀리
400 : 서브 컨베이어 410 : 서브 컨베이어 프레임
420 : 서브 벤드풀리 430 : 서브 이송벨트
500 : 서브종동 드라이브풀리 600 : 각도조정수단
610 : 고정커버 620 : 지지암
630 : 푸싱 부재 640 : 스톱퍼100: table base 200: main conveyor
210: conveyor frame 220: drive motor
230: drive pulley 240: bend pulley
250: transport belt 300: driven drive pulley
400: sub conveyor 410: sub conveyor frame
420: sub bend pulley 430: sub conveying belt
500: sub-driven drive pulley 600: angle adjustment means
610: fixed cover 620: support arm
630: pushing member 640: stopper
Claims (5)
테이블 베이스(100) 상측에 전후로 대칭되게 좌우로 길게 컨베이어 프레임(210)이 형성되고, 상기 테이블 베이스(100) 하측 일측으로 하나의 구동모터(220)가 구비되어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작동되는 드라이브 풀리(230)가 형성되며, 상기 테이블 베이스(100) 상측에 형성되는 컨베이어 프레임(210) 좌우로 벤드풀리(240)가 각각 마련되고, 상기 드라이브 풀리(230)와 벤드 풀리(240)에 벨트결합되어 드라이브 풀리의 회전력에 의해 무한 회전작동되는 이송벨트(250)가 형성된 메인 컨베이어(200)와;
상기 컨베이어 프레임(210)의 좌우에 위치되는 벤드 풀리(240) 중 어느 하나의 벤드 풀리 축선상 일측으로 축선이 연장되어 위치에 벤드 풀리의 회전력을 인가받아 동시회전하는 종동 드라이브 풀리(300)와;
서브 컨베이어 프레임(410)이 형성되고, 상기 메인 컨베이어(200)와 동일 면상에서 좌우로 서브 벤드풀리(420)가 대칭 형성되며, 대칭 형성된 서브 벤드풀리(420)에 서브 이송벨트(430)가 벨트결합되어 무한 회전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서브 벤드풀리(420) 중 어느 하나는 종동 드라이브 풀리(300)가 결합되는 상기 메인 컨베이어(200)의 벤드풀리(240)와 서로 마주보며 나란히 평행을 이루도록 테이블 베이스(100) 좌우 어느 한 끝단측으로 결합되는 서브 컨베이어(400)와;
상기 서브 컨베이어(400)의 서브 벤드풀리(420) 중 종동 드라이브 풀리(300)와 서로 마주보며 나란히 평행을 이루는 서브 벤드풀리(420)의 축선상 일측으로 상기 종동 드라이브 풀리(300)의 회전력을 전달받도록 종동 드라이브 풀리(300)와 벨트결합되는 서브종동 드라이브풀리(500)와;
상기 서브 컨베이어 프레임(410) 상측 또는 하측에 전후로 대칭결합되고, 상기 메인 컨베이어(200)의 종동 드라이브 풀리(300)가 형성된 벤드풀리(240)와 서로 마주보는 서브 벤드풀리(420)의 축선이 기준이 되어 상기 서브 컨베이어(400)가 상하로 선회조정되도록 마련된 각도 조정수단(600);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컨베이어 시스템.
a table base 100 to which the conveyor is coupled to the upper side;
A conveyor frame 210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table base 100 symmetrically back and forth and left and right, and a single driving motor 220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lower side of the table base 100 to receive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iving motor. A drive pulley 230 is formed, and a bend pulley 240 is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onveyor frame 210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table base 100 , and a belt is provided on the drive pulley 230 and the bend pulley 240 . a main conveyor 200 coupled to and provided with a conveying belt 250 that is operated indefinitely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ive pulley;
A driven drive pulley 300 that extends to one side of the bend pulley axis of any one of the bend pulleys 240 positioned on the left and right of the conveyor frame 210 and simultaneously rotates when the rotational force of the bend pulley is applied to the position;
The sub conveyor frame 410 is formed, the sub bend pulleys 420 are symmetrically formed on the same plane as the main conveyor 200 , and the sub transfer belt 430 is attached to the symmetrically formed sub bend pulley 420 . It is coupled and provided to rotate infinitely, and any one of the sub bend pulleys 420 faces the bend pulley 240 of the main conveyor 200 to which the driven drive pulley 300 is coupled and forms a table base in parallel with each other. (100) a sub-conveyor 400 coupled to either left or right end;
Transmitt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iven drive pulley 300 to one side of the axis of the sub bend pulley 420 of the sub bend pulley 420 of the sub conveyor 400 facing and parallel to the driven drive pulley 300 a sub-driven drive pulley 500 that is belt-coupled to the driven drive pulley 300 to receive;
The axis of the sub-bend pulley 420 facing each other and the bend pulley 240 that is symmetrically coupled back and forth on the upper or lower side of the sub conveyor frame 410 and on which the driven drive pulley 300 of the main conveyor 200 is formed is the reference The multi-conveyor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with an angle adjusting means (600) provided so that the sub-conveyor 400 is pivotally adjusted up and down.
상기 각도 조정수단(600)은 일측이 상기 메인 컨베이어(200)의 컨베이어 프레임(210)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서브 컨베이어 프레임(410)의 서브종동 드라이브 풀리(500)가 형성되는 서브 벤드풀리(420)의 축선상 회전간섭이 없도록 연장형성되는 고정커버(610)와;
상기 서브 컨베이어(400) 측으로 연장된 고정커버(610) 외측으로 상측 또는 하측에 수직형성되어 전후 대칭되는 지지암(620)과;
상기 지지암(620)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서브 컨베이어 프레임(410)에 결합되어 상기 서브 컨베이어(400)의 서브 컨베이어 프레임(410)을 상하 선회되도록 밀고 당기는 푸싱 부재(630);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컨베이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angle adjusting means 600 has one side fixed to the conveyor frame 210 of the main conveyor 200, and the other side is a sub-bend pulley in which the sub-driven drive pulley 500 of the sub conveyor frame 410 is formed ( a fixed cover 610 extending so as not to interfere with rotation on the axis of the 420;
a support arm 620 vertically symmetrically formed on the upper side or lower side to the outside of the fixed cover 610 extending toward the sub-conveyor 400;
One end is coupled to the support arm 620, and the other end is coupled to the sub conveyor frame 410, and a pushing member 630 that pushes and pulls the sub conveyor frame 410 of the sub conveyor 400 to pivot up and down; Multiple conveyor system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상기 서브 컨베이어(400)가 선회작동 후 상기 푸싱 부재에 의해 복귀시, 상기 메인 컨베이어(200)와 동일 면상에 위치되게 선회가 제한되도록 상기 서브 컨베이어 프레임(410)의 상측 또는 하측 일면에 접하도록 상기 고정커버(610)의 외측에 상측 또는 하측으로 "┓" 또는 "┛" 형상으로 절곡되는 스톱퍼(640)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컨베이어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When the sub conveyor 400 returns by the pushing member after the turning operation, the sub conveyor 200 is positioned on the same plane as the main conveyor 200 so that the turning is restricted so that the sub conveyor frame 410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or lower surface of the frame 410. Multiple conveyor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stopper 640 bent in the shape of "┓" or "┛" upward or downward on the outside of the fixed cover 610 is further forme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37039A KR102460391B1 (en) | 2021-10-15 | 2021-10-15 | Multiple conveyor system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37039A KR102460391B1 (en) | 2021-10-15 | 2021-10-15 | Multiple conveyor system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60391B1 true KR102460391B1 (en) | 2022-11-01 |
Family
ID=84042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37039A KR102460391B1 (en) | 2021-10-15 | 2021-10-15 | Multiple conveyor system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60391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6177140A (en) * | 2022-12-22 | 2023-05-30 | 青岛三信包装科技有限公司 | Intelligent folding plate conveyor |
CN116871425A (en) * | 2023-09-07 | 2023-10-13 | 大捷智能科技(广东)有限公司 | Mould moving swing arm and stamping equipment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6141260A (en) * | 1980-04-02 | 1981-11-04 | Akira Tsukiji | Previously receiving machine for woodworking machine |
JP2536009Y2 (en) * | 1992-05-01 | 1997-05-21 | 株式会社山本製作所 | Transfer sorting conveyor in flower selector |
JP2001187621A (en) * | 1999-12-27 | 2001-07-10 | Okura Yusoki Co Ltd | Carrying device |
KR100778758B1 (en) | 2006-03-27 | 2007-11-28 | 주식회사 세림지엠티 | Pallet conveyor |
KR20100006722A (en) | 2008-07-10 | 2010-01-21 |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 Conveyor belt for deformation prevention of steel belt |
KR101111620B1 (en) * | 2011-07-12 | 2012-03-13 | 김연서 | Foldable conveyor apparatus for removing products |
KR101746768B1 (en) * | 2015-06-01 | 2017-06-13 | 주식회사 포스코 | Apparatus for distributing of scrap |
-
2021
- 2021-10-15 KR KR1020210137039A patent/KR102460391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6141260A (en) * | 1980-04-02 | 1981-11-04 | Akira Tsukiji | Previously receiving machine for woodworking machine |
JP2536009Y2 (en) * | 1992-05-01 | 1997-05-21 | 株式会社山本製作所 | Transfer sorting conveyor in flower selector |
JP2001187621A (en) * | 1999-12-27 | 2001-07-10 | Okura Yusoki Co Ltd | Carrying device |
KR100778758B1 (en) | 2006-03-27 | 2007-11-28 | 주식회사 세림지엠티 | Pallet conveyor |
KR20100006722A (en) | 2008-07-10 | 2010-01-21 |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 Conveyor belt for deformation prevention of steel belt |
KR101111620B1 (en) * | 2011-07-12 | 2012-03-13 | 김연서 | Foldable conveyor apparatus for removing products |
KR101746768B1 (en) * | 2015-06-01 | 2017-06-13 | 주식회사 포스코 | Apparatus for distributing of scrap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6177140A (en) * | 2022-12-22 | 2023-05-30 | 青岛三信包装科技有限公司 | Intelligent folding plate conveyor |
CN116177140B (en) * | 2022-12-22 | 2023-08-11 | 青岛三信包装科技有限公司 | Intelligent folding plate conveyor |
CN116871425A (en) * | 2023-09-07 | 2023-10-13 | 大捷智能科技(广东)有限公司 | Mould moving swing arm and stamping equipment |
CN116871425B (en) * | 2023-09-07 | 2023-12-12 | 大捷智能科技(广东)有限公司 | Mould moving swing arm and stamping equipment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460391B1 (en) | Multiple conveyor systems | |
KR101725337B1 (en) | 2-way branch type pivot wheel sorter | |
US9809388B2 (en) | Cross belt slat sorter | |
KR101172565B1 (en) | Vertical conveyance device | |
KR101866402B1 (en) | Diverting Apparatus of parallel array transport conveyor | |
MX2007003738A (en) | Bidirectional transverse-roller-belt sorter with automated guide. | |
US6938751B1 (en) | Vertical lift assembly | |
KR20140087293A (en) | Carrier and overhead hoist system including the same | |
JP2001192116A (en) | Device for changing pallet conveying direction | |
KR102224615B1 (en) | Auto classification machine for goods | |
JP3228266B2 (en) | Pallet transfer direction changing device | |
KR20150000527A (en) | Rail car | |
US6732849B2 (en) | Sorting system | |
KR101448474B1 (en) | Transfer path switching apparatus | |
KR20190012431A (en) | Apparatus For Converting The Direction Of Conveyor | |
KR20220097775A (en) | Diverter for conveyor | |
CN115744199A (en) | Reversing conveyor belt convenient to adjust | |
KR102172226B1 (en) | Unmanned logistics transport apparatus | |
KR101057791B1 (en) | 4-way logistics lifter | |
WO2020062932A1 (en) | Transmission assembly and sorting apapratus | |
KR200353869Y1 (en) | Directional selecting device in a conveyor | |
WO2023276993A1 (en) | Transfer device | |
CN212150656U (en) | Bidirectional floating transfer machine | |
KR20200004064A (en) | Conveyor with directional structure | |
US11878877B2 (en) | Material conveying device and material processing apparatu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