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8800B1 - 영아용 손가락 칫솔 - Google Patents

영아용 손가락 칫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8800B1
KR102458800B1 KR1020220063647A KR20220063647A KR102458800B1 KR 102458800 B1 KR102458800 B1 KR 102458800B1 KR 1020220063647 A KR1020220063647 A KR 1020220063647A KR 20220063647 A KR20220063647 A KR 20220063647A KR 102458800 B1 KR102458800 B1 KR 1024588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
wearing
head
neck
l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36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해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베이비클라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베이비클라우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베이비클라우드
Priority to KR10202200636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88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88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88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4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shaped as gloves or finger-stalls or other special holding ways, e.g. by the tongu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사용자의 손가락에 착용하는 착용부와, 치아를 닦는 헤드부가 서로 분리되어, 사용자가 손가락에 칫솔을 착용할 경우에도 헤드부의 팽창으로 인한 칫솔모의 변형이 없고, 이에 칫솔질 시 칫솔모가 치아에 닿을 수 있는 면적이 증가하게 되어 더 효율적인 칫솔질이 가능한 영아용 손가락 칫솔을 개시한다.
영아용 손가락 칫솔은 사용자의 손가락에 착용 가능한 착용부, 착용부로부터 분리되어 이격 배치되고, 전면에 칫솔모가 형성되는 헤드부 및 착용부와 헤드부를 연결하는 넥부를 포함하고, 착용부, 헤드부 및 넥부는 탄성력을 가진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고, 착용부의 길이는, 헤드부의 길이와 넥부의 길이가 합해진 길이 보다 길게 형성되며, 헤드부 및 넥부는, 착용부의 중심축에 대하여 10도 이상 20도 이하로 경사지게 배치된다.

Description

영아용 손가락 칫솔{Infant Finger Toothbrush}
본 발명은 영아용 손가락 칫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아나 영아는 스스로 칫솔질이 어려우므로 보호자가 칫솔을 사용하여 칫솔질을 해주게 된다.
그러나, 상술한 칫솔은 손으로 파지한 상태로 사용해야하는 막대 형태로 형성되어 유아나 영아의 작은 입안에서 칫솔을 조작하기가 어렵고, 정확한 부위를 칫솔질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이에,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손가락에 끼워 사용할 수 있는 손가락 칫솔이 개발되었다.
손가락 칫솔은 보호자의 손가락을 이용하여 직접적인 조작이 가능하므로 조작이 용이하고, 사용자가 치아와 칫솔모가 닿는 촉감을 느낄 수 있어서, 정확한 부위를 칫솔질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손가락 칫솔은 사용자가 착용하는 부위의 표면에 칫솔모가 형성됨에 따라, 사용자의 손가락에 칫솔을 착용 시 고무재질의 칫솔이 늘어나면서 칫솔모가 벌어지게 되어 칫솔질 시 칫솔모가 치아에 닿는 면적이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손가락 칫솔은 사용자가 유아나 영아의 입안에 손가락을 넣은 후 손가락을 움직여가며 치아를 닦아야 하는데, 유아나 영아의 경우 입을 크게 벌릴 수 없기 때문에 칫솔의 움직임이 제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상술한 바와 같이 칫솔모가 벌어진 상태에서 손가락의 움직임이 제한됨에 따라, 치아의 안쪽이나 치아의 깊숙한 곳을 정확히 닦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손가락 칫솔은 치아의 안쪽을 닦아야 할 경우 손가락을 구부려 손가락 바닥쪽에 있는 칫솔모를 치아에 밀착시킨 상태로 손가락을 움직여야 함에 따라 유아나 영아의 입을 과도하게 벌려야 하고, 골무와 같이 손가락의 마지막 마디에 착용하여 사용하는 형태를 가짐에 따라, 칫솔질을 수행하는 도중 유아나 영아가 입을 닫을 경우 칫솔이 미착용된 부위를 물려 손가락에 부상을 입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99-003824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손가락에 착용하는 착용부와, 치아를 닦는 헤드부가 서로 분리되어, 사용자가 손가락에 칫솔을 착용할 경우에도 헤드부의 팽창으로 인한 칫솔모의 변형이 없고, 이에 칫솔질 시 칫솔모가 치아에 닿을 수 있는 면적이 증가하게 되어 더 효율적인 칫솔질이 가능한 영아용 손가락 칫솔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칫솔질 시 착용부가 아닌 착용부와 분리된 헤드부를 이용하므로, 대상자의 입을 과도하게 벌리지 않은 상태에서 칫솔질이 가능하고, 움직임이 자유롭기 때문에 치아의 안쪽이나 치아의 깊은 곳까지 용이하게 닦을 수 있는 영아용 손가락 칫솔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헤드부 및 넥부가 착용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폭을 가지면서 착용부의 축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절곡되므로, 대상자의 입을 과도하게 벌리지 않은 상태에서 칫솔모를 치아의 안쪽에 정확히 밀착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더욱 효율적으로 치아의 안쪽을 닦을 수 있는 영아용 손가락 칫솔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착용부가 손가락을 전체적으로 감싸는 구조로 형성되고, 탄성력을 가진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므로, 칫솔질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대상자가 사용자의 손가락을 물게 되더라도 착용부가 사용자의 손가락을 안전하게 보호하여 사용자의 손가락 부상을 방지할 수 있는 영아용 손가락 칫솔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아용 손가락 칫솔은 사용자의 손가락에 착용 가능한 착용부; 상기 착용부로부터 분리되어 이격 배치되고, 전면에 칫솔모가 형성되는 헤드부; 및 상기 착용부와 상기 헤드부를 연결하는 넥부;를 포함하고, 상기 착용부, 상기 헤드부 및 상기 넥부는 탄성력을 가진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착용부의 길이는, 상기 헤드부의 길이와 상기 넥부의 길이가 합해진 길이 보다 길게 형성되며, 상기 헤드부 및 상기 넥부는, 상기 착용부의 중심축에 대하여 10도 이상 20도 이하로 경사지게 배치된다.
상기 착용부는, 축방향을 따라 일단부에 개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개구와 연통되어 상기 손가락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손가락이 삽입되는 방향을 따라 내경의 크기가 점진적으로 감소되는 웨지 구조로 형성되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의 내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상기 손가락을 가압하여 고정시키도록 구성되는 가압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부와 상기 넥부는 상기 바디부의 내경 보다 작은 폭을 가지며, 상기 넥부는 상기 바디부에서 상기 헤드부를 향하여 폭의 크기가 점진적으로 감소되는 웨지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디부는 일단부가 축방향을 따라 펼쳐지거나, 말려지면서 상기 착용부의 길이를 조절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착용부의 길이는 상기 헤드부의 길이와 상기 넥부의 길이가 합해진 길이의 1.5배 이상 2배 이하이며, 상기 바디부의 외면에는 상기 바디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후크부재들이 형성되고, 상기 바디부의 내면에는 상기 바디부는 일단부가 말려질 경우 상기 후크부재들에 결합되어 상기 바디부의 일단부를 고정시키는 결합슬롯들이 형성되며, 상기 착용부는, 상기 바디부의 내면에 배치되고, 상기 수용공간의 크기를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폭 조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폭 조절부는, 상기 바디부의 내면에 배치되고, 팽창 또는 수축되면서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상기 손가락을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폭 조절 패드; 상기 바디부에 배치되어 상기 폭 조절 패드와 연통되고, 상기 폭 조절 패드에 공기를 주입하도록 구성되는 공기주입펌프; 및 상기 바디부에 배치되어 상기 폭 조절 패드와 연통되고, 상기 폭 조절 패드의 내부에 수용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구성되는 공기배출마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넥부는 상기 바디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다단계로 각도조절이 가능하고, 상기 넥부는 상기 착용부의 중심축에 대하여 13도 이상 15도 이하의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제1 단계, 상기 착용부의 중심축에 대하여 10도 이상 12도 이하의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제2 단계 및 상기 착용부의 중심축에 대하여 16도 이상 20도 이하의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제3 단계 중 어느 하나의 단계로 배치되며, 상기 넥부는, 상기 바디부의 상단부에 함몰 형성된 원호 형태의 가이드홈을 따라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더; 상기 슬라이더의 중앙부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의 중앙부에 배치된 제1 결합홈에 결합되어 상기 넥부를 상기 제1 단계로 유지시키는 제1 스토퍼; 상기 슬라이더의 후면부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의 후면부에 배치된 제2 결합홈에 결합되어 상기 넥부를 상기 제2 단계로 유지시키는 제2 스토퍼; 및 상기 슬라이더의 전면부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의 전면부에 배치된 제3 결합홈에 결합되어 상기 넥부를 상기 제3 단계로 유지시키는 제3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헤드부는 상기 넥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칫솔모의 방향을 전환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헤드부는, 상기 넥부의 상단부에 지지되고, 일면에 상기 칫솔모가 배치되는 헤드 바디; 상기 헤드 바디의 하단부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넥부에 형성된 회전 지지홈에 결합되고, 상기 회전 지지홈의 내면을 따라 회전되면서 상기 헤드 바디를 상기 넥부의 상단부 상에서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 회전 축부재; 및 상기 헤드 바디의 하단부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헤드 바디의 하단부와 상기 회전 축부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넥부에 형성된 방향전환 홈에 수용되어 상기 방향전환 홈에 형성된 걸림홈들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되어 상기 헤드 바디의 회전 각도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각도조절 기어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손가락에 착용하는 착용부와, 치아를 닦는 헤드부가 서로 분리된 구조로 형성되므로, 사용자가 손가락에 칫솔을 착용할 경우에도 헤드부의 팽창으로 인한 칫솔모의 변형이 없고, 이에 칫솔질 시 칫솔모가 치아에 닿을 수 있는 면적이 증가하게 되어 더 효율적인 칫솔질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칫솔질 시 착용부가 아닌 착용부와 분리된 헤드부를 이용하므로, 대상자의 입을 과도하게 벌리지 않은 상태에서 칫솔질이 가능하고, 움직임이 자유롭기 때문에 치아의 안쪽이나 치아의 깊은 곳까지 용이하게 닦을 수 있다.
또한, 헤드부 및 넥부가 착용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폭을 가지면서 착용부의 축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절곡되므로, 대상자의 입을 과도하게 벌리지 않은 상태에서 칫솔모를 치아의 안쪽에 정확히 밀착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더욱 효율적으로 치아의 안쪽을 닦을 수 있다.
또한, 착용부가 손가락을 전체적으로 감싸는 구조로 형성되고, 탄성력을 가진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므로, 칫솔질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대상자가 사용자의 손가락을 물게 되더라도 착용부가 사용자의 손가락을 안전하게 보호하여 사용자의 손가락 부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발명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아용 손가락 칫솔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 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아용 손가락 칫솔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 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넥부의 각도가 조절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헤드부의 각도가 조절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VII-VII 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위(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크기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아용 손가락 칫솔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II-II 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아용 손가락 칫솔(1000)(이하 '영아용 손가락 칫솔(1000)'이라 함)은 착용부(1), 헤드부(2) 및 넥부(3)를 포함한다.
착용부(1)는 사용자의 손가락에 착용되도록 구성된다.
착용부(1)는 바디부(11) 및 가압돌기(12)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부(11)는 축방향을 따라 일단부에 개구(111)가 형성되고, 내부에 개구(111)와 연통되어 손가락이 수용되는 수용공간(112)이 형성될 수 있다.
바디부(11)는 손가락이 삽입되는 방향을 따라 내경의 크기가 점진적으로 감소되는 웨지(WEDGE)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가압돌기(12)는 바디부(11)의 내면에 돌출 형성되어 수용공간(112)에 수용된 손가락을 가압하여 고정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헤드부(2)는 착용부(1)로부터 분리되어 착용부(1)와 이격 배치되어, 전면에 칫솔모(21)가 형성되고, 후면에 복수의 긁개가 형성된다. 그리고, 헤드부(2)는 바디부(11)의 내경 보다 작은 폭을 가질 수 있다.
넥부(3)는 착용부(1)와 헤드부(2)를 연결하고, 바디부(11)의 내경 보다 작은 폭을 가질 수 있다.
넥부(3)는 바디부(11)에서 헤드부(2)를 향하여 폭의 크기가 점진적으로 감소되는 웨지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착용부(1), 헤드부(2) 및 넥부(3)는 탄성력을 가진 실리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착용부(1)와, 헤드부(2) 및 넥부(3)는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착용부(1)의 길이(L1)는, 헤드부(2)의 길이(L2)와 넥부(3)의 길이(L3)가 합해진 길이 보다 길게 형성된다.
예를 들어, 착용부(1)의 길이(L1)는 수용공간(112)에 수용된 손가락을 전체적으로 감싸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헤드부(2) 및 넥부(3)는 착용부(1)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지게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헤드부(2) 및 넥부(3)는, 착용부(1)의 중심축(C)에 대하여 10도 이상 20도 이하로 경사지게 배치된다.
예를 들어, 헤드부(2) 및 넥부(3)는 착용부(1)의 중심축(C)에 대하여 14도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아용 손가락 칫솔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 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바디부(11)는 일단부가 축방향을 따라 펼쳐지거나, 말려지면서 착용부(1)의 길이(L1)를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디부(11)를 통해 조절되는 착용부(1)의 길이(L1)는 헤드부(2)의 길이(L2)와 넥부(3)의 길이(L3)가 합해진 길이의 1.5배 이상 2배 이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바디부(11)의 외면에는 바디부(11)의 길이방향을 따라 후크부재들(113)이 형성되고, 바디부(11)의 내면에는 바디부(11)는 일단부가 말려질 경우 후크부재들(113)에 결합되어 바디부(11)의 일단부를 고정시키는 결합슬롯들(114)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본 실시예는 사용자의 손가락 길이에 대응하여 다양한 착용부(1)의 길이(L1)를 조절 가능하므로, 사용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착용부(1)는 수용공간(112)의 크기를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착용부(1)는 바디부(11)의 내면에 배치되고, 수용공간(112)의 크기를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폭 조절부(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폭 조절부(13)는 폭 조절 패드(131), 공기주입펌프(132) 및 공기배출마개(133)를 포함할 수 있다.
폭 조절 패드(131)는 바디부(11)의 내면에 배치되고, 팽창 또는 수축되면서 수용공간(112)에 수용된 손가락을 가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폭 조절 패드(131)는 팽창 또는 수축 가능한 탄성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공기주입펌프(132)는 바디부(11)에 배치되어 폭 조절 패드(131)와 연통되고, 폭 조절 패드(131)에 공기를 주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주입펌프(132)는 바디부(11)에 배치되어 폭 조절 패드(131)와 연통되는 펌프바디, 펌프바디에 결합되고, 외부로부터 압력이 가해질 경우 일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펌프바디의 유로를 개방하여 외부의 공기를 펌프바디를 통해 폭 조절 패드(131)에 공기를 유입시키는 푸셔, 그리고 펌프바디에 배치되고, 탄성력을 통해 푸셔를 가압하여 펌프바디의 유로를 차폐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배출마개(133)는 바디부(11)에 배치되어 폭 조절 패드(131)와 연통되고, 개폐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어 개방 시 폭 조절 패드(131)의 내부에 수용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즉, 본 실시예는 사용자의 손가락 두께에 대응하여 수용공간(112)의 크기를 다양하게 조절 가능하므로, 사용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넥부의 각도가 조절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넥부(3)는 바디부(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다단계로 각도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넥부(3)는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부(1)의 중심축(C)에 대하여 13도 이상 15도 이하의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제1 단계,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부(1)의 중심축(C)에 대하여 10도 이상 12도 이하의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제2 단계 및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부(1)의 중심축(C)에 대하여 16도 이상 20도 이하의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제3 단계 중 어느 하나의 단계로 배치될 수 있다.
넥부(3)는 슬라이더(31)와 복수의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더(31)는 바디부(11)의 상단부에 함몰 형성된 원호 형태의 가이드홈(115)을 따라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복수의 스토퍼는 제1 스토퍼(32), 제2 스토퍼(33) 및 제3 스토퍼(3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스토퍼(32)는 슬라이더(31)의 중앙부에 돌출 형성되고, 가이드홈(115)의 중앙부에 배치된 제1 결합홈(116)에 결합되어 넥부(3)를 제1 단계로 유지시킬 수 있다.
제2 스토퍼(33)는 슬라이더(31)의 후면부에 돌출 형성되고, 가이드홈(115)의 후면부에 배치된 제2 결합홈(117)에 결합되어 넥부(3)를 제2 단계로 유지시킬 수 있다.
제3 스토퍼(34)는 슬라이더(31)의 전면부에 돌출 형성되고, 가이드홈(115)의 전면부에 배치된 제3 결합홈(118)에 결합되어 넥부(3)를 제3 단계로 유지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헤드부의 각도가 조절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도 6의 VII-VII 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헤드부(2)는 넥부(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칫솔모(21)의 방향을 전환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헤드부(2)는 헤드 바디(22), 회전 축부재(23) 및 각도조절 기어부재(24)를 포함할 수 있다.
헤드 바디(22)는 넥부(3)의 상단부에 지지되고, 일면에 칫솔모(21)가 배치될 수 있다.
회전 축부재(23)는 헤드 바디(22)의 하단부에 돌출 형성되어 넥부(3)에 형성된 회전 지지홈(35)에 결합되고, 회전 지지홈(35)의 내면을 따라 회전되면서 헤드 바디(22)를 넥부(3)의 상단부 상에서 원주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각도조절 기어부재(24)는 헤드 바디(22)의 하단부에 돌출 형성되어 헤드 바디(22)의 하단부와 회전 축부재(23) 사이에 배치되고, 넥부(3)에 형성된 방향전환 홈(36)에 수용되어 방향전환 홈(36)에 형성된 걸림홈들(361)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되어 헤드 바디(22)의 회전 각도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도조절 기어부재(24) 원주방향을 따라 25도씩 회전되면서 각도를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손가락에 착용하는 착용부(1)와, 치아를 닦는 헤드부(2)가 서로 분리된 구조로 형성되므로, 사용자가 손가락에 칫솔을 착용할 경우에도 헤드부(2)의 팽창으로 인한 칫솔모(21)의 변형이 없고, 이에 칫솔질 시 칫솔모(21)가 치아에 닿을 수 있는 면적이 증가하게 되어 더 효율적인 칫솔질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칫솔질 시 착용부(1)가 아닌 착용부(1)와 분리된 헤드부(2)를 이용하므로, 대상자의 입을 과도하게 벌리지 않은 상태에서 칫솔질이 가능하고, 움직임이 자유롭기 때문에 치아의 안쪽이나 치아의 깊은 곳까지 용이하게 닦을 수 있다.
또한, 헤드부(2) 및 넥부(3)가 착용부(1)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폭을 가지면서 착용부(1)의 축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절곡되므로, 대상자의 입을 과도하게 벌리지 않은 상태에서 칫솔모(21)를 치아의 안쪽에 정확히 밀착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더욱 효율적으로 치아의 안쪽을 닦을 수 있다.
또한, 착용부(1)가 손가락을 전체적으로 감싸는 구조로 형성되고, 탄성력을 가진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므로, 칫솔질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대상자가 사용자의 손가락을 물게 되더라도 착용부(1)가 사용자의 손가락을 안전하게 보호하여 사용자의 손가락 부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00. 영아용 손가락 칫솔
1. 착용부
L1. 착용부의 길이
C. 착용부의 중심축
11. 바디부
111. 개구
112. 수용공간
113. 후크부재들
114. 결합슬롯들
115. 가이드홈
116. 제1 결합홈
117. 제2 결합홈
118. 제3 결합홈
12. 가압돌기
13. 폭 조절부
131. 폭 조절 패드
132. 공기주입펌프
133. 공기배출마개
2. 헤드부
L2. 헤드부의 길이
21. 칫솔모
22. 헤드 바디
23. 회전 축부재
24. 각도조절 기어부재
3. 넥부
L3. 넥부의 길이
31. 슬라이더
32. 제1 스토퍼
33. 제2 스토퍼
34. 제3 스토퍼
35. 회전 지지홈
36. 방향전환 홈
361. 걸림홈들

Claims (3)

  1. 사용자의 손가락에 착용 가능한 착용부;
    상기 착용부로부터 분리되어 이격 배치되고, 전면에 칫솔모가 형성되는 헤드부; 및
    상기 착용부와 상기 헤드부를 연결하는 넥부;를 포함하고,
    상기 착용부, 상기 헤드부 및 상기 넥부는 탄성력을 가진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착용부의 길이는, 상기 헤드부의 길이와 상기 넥부의 길이가 합해진 길이 보다 길게 형성되며,
    상기 헤드부 및 상기 넥부는, 상기 착용부의 중심축에 대하여 10도 이상 20도 이하로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기 착용부는,
    축방향을 따라 일단부에 개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개구와 연통되어 상기 손가락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손가락이 삽입되는 방향을 따라 내경의 크기가 점진적으로 감소되는 웨지 구조로 형성되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의 내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상기 손가락을 가압하여 고정시키도록 구성되는 가압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부와 상기 넥부는 상기 바디부의 내경 보다 작은 폭을 가지며,
    상기 넥부는 상기 바디부에서 상기 헤드부를 향하여 폭의 크기가 점진적으로 감소되는 웨지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바디부는 일단부가 축방향을 따라 펼쳐지거나, 말려지면서 상기 착용부의 길이를 조절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착용부의 길이는 상기 헤드부의 길이와 상기 넥부의 길이가 합해진 길이의 1.5배 이상 2배 이하이며,
    상기 바디부의 외면에는 상기 바디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후크부재들이 형성되고,
    상기 바디부의 내면에는 상기 바디부는 일단부가 말려질 경우 상기 후크부재들에 결합되어 상기 바디부의 일단부를 고정시키는 결합슬롯들이 형성되며,
    상기 착용부는,
    상기 바디부의 내면에 배치되고, 상기 수용공간의 크기를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폭 조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폭 조절부는,
    상기 바디부의 내면에 배치되고, 팽창 또는 수축되면서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상기 손가락을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폭 조절 패드;
    상기 바디부에 배치되어 상기 폭 조절 패드와 연통되고, 상기 폭 조절 패드에 공기를 주입하도록 구성되는 공기주입펌프; 및
    상기 바디부에 배치되어 상기 폭 조절 패드와 연통되고, 상기 폭 조절 패드의 내부에 수용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구성되는 공기배출마개;를 포함하는, 영아용 손가락 칫솔.
  2. 삭제
  3. 삭제
KR1020220063647A 2022-05-24 2022-05-24 영아용 손가락 칫솔 KR1024588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3647A KR102458800B1 (ko) 2022-05-24 2022-05-24 영아용 손가락 칫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3647A KR102458800B1 (ko) 2022-05-24 2022-05-24 영아용 손가락 칫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8800B1 true KR102458800B1 (ko) 2022-10-25

Family

ID=83803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3647A KR102458800B1 (ko) 2022-05-24 2022-05-24 영아용 손가락 칫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880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7544U (ko) * 1999-01-21 1999-05-25 정기완 손가락삽입형칫솔
KR19990038245U (ko) 1998-03-21 1999-10-25 성재갑 손가락 칫솔
KR20070000185U (ko) * 2007-01-23 2007-02-12 박명종 캡슐형 일회용 칫솔
JP2017108921A (ja) * 2015-12-16 2017-06-22 株式会社ターキー 歯磨き用指サック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8245U (ko) 1998-03-21 1999-10-25 성재갑 손가락 칫솔
KR19990017544U (ko) * 1999-01-21 1999-05-25 정기완 손가락삽입형칫솔
KR20070000185U (ko) * 2007-01-23 2007-02-12 박명종 캡슐형 일회용 칫솔
JP2017108921A (ja) * 2015-12-16 2017-06-22 株式会社ターキー 歯磨き用指サック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1328B1 (ko) 칫솔
JP5269351B2 (ja) 歯ブラシ
CN110536711A (zh) 针护罩移除器
TWI539912B (zh) 牙刷
US20100050358A1 (en) Interdental brush
KR20120082471A (ko) 구강 세정 장치의 구강 세정 섹션 및 구강 세정 장치
KR102577531B1 (ko) 칫솔
KR101387383B1 (ko) 치실 홀더 및 이를 구비한 칫솔
KR102458800B1 (ko) 영아용 손가락 칫솔
RU2580498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хода за полостью рта, имеющее гибкую ручку
WO2014073878A1 (ko) 세면도구
JP3200687U (ja) 歯ブラシヘッド
BR212017001788Y1 (pt) Disposição construtiva em aplicador para produto cosmético
KR102291110B1 (ko) 전동 칫솔용 칫솔 헤드
KR20070000185U (ko) 캡슐형 일회용 칫솔
WO2018088512A1 (ja) 歯ブラシ
CN220694636U (zh) 一种牙刷
KR102300086B1 (ko) 칫솔헤드 접이형 칫솔
KR200321488Y1 (ko) 회전용 보조손잡이를 가지는 칫솔
JP6472956B2 (ja) 歯ブラシ
KR101529119B1 (ko) 핸드리스 칫솔
JP2006081760A (ja) 歯ブラシ
KR101008695B1 (ko) 치간칫솔
KR101976803B1 (ko) 유아용 손가락 칫솔
GB2320423A (en) Toothbrush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